KR101406682B1 -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682B1
KR101406682B1 KR1020130112543A KR20130112543A KR101406682B1 KR 101406682 B1 KR101406682 B1 KR 101406682B1 KR 1020130112543 A KR1020130112543 A KR 1020130112543A KR 20130112543 A KR20130112543 A KR 20130112543A KR 101406682 B1 KR101406682 B1 KR 101406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eparator
conveying
powder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216A (ko
Inventor
이장호
Original Assignee
(주)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원 filed Critical (주)주원
Priority to KR102013011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6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0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 투입수단과, 상기 투입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운반컨베이어와, 상기 운반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된 폐기물을 분쇄하기 위한 파쇄기와,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을 타격에 의하여 선별해내기 위한 제1 선별기와, 그리고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물질을 자력에 의하여 선별해내기 위한 제2 선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타격식 제1 선별기와, 자력식 제2 선별기가 도입되어 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물질은 제2 선별기가 부착하여 선별해내고, 특히 상부에는 제1 선별기가 배열되며, 제1 선별기 하부에는 제2 선별기가 배열되는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제1 선별기의 타격 시, 폐기물에 부착되는 수분이나, 먼지 기타 이물질의 분리와 동시에, 금속성 물질도 함께 분리하고, 이렇게 분리된 금속성 물질은 제2 선별기에 부착되어 선별됨으로써 선별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된 폐기물 중에서 금속성 물질을 재차 선별해낼 필요가 없어 작업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폐기물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WASTE}
본 발명은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폐기물 투입수단과, 상기 투입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운반컨베이어와, 상기 운반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된 폐기물을 분쇄하기 위한 파쇄기과,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을 타격에 의하여 선별해내기 위한 제1 선별기와,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물질을 자력에 의하여 선별해내기 위한 제2 선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타격식 제1 선별기와, 자력식 제2 선별기가 도입되어 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물질은 제2 선별기가 부착하여 선별해내고, 특히 상부에는 제1 선별기가 배열되며, 제1 선별기 하부에는 제2 선별기가 배열되는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제1 선별기의 타격 시, 폐기물에 부착되는 수분이나, 먼지 기타 이물질의 분리와 동시에, 금속성 물질도 함께 분리하고, 이렇게 분리된 금속성 물질은 제2 선별기에 부착되어 선별됨으로써 선별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된 폐기물 중에서 금속성 물질을 재차 선별해낼 필요가 없어 작업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폐기물 처리장치는 건축자재, 폐타이어, 폐비닐,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산업용, 농업용, 가정용 폐기물을 분쇄하고, 선별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은 재처리하여 사용하게 되며, 재활용이 불가능한 폐기물은 폐기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특히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이더라도 재처리과정을 달리하는 이종의 물질들은 분리 선별해냄으로써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예컨대 각종 폐기물에는 그 사용 용도에 따라 금속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 비금속성 폐기물과 금속성 물질을 처리과정에서 선별하게 된다.
이를 위한 종래의 폐기물 선별장치는 폐기물을 타격에 의하여 수분이나, 먼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분쇄 후, 선별작업을 하고,
이렇게 선별된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도입하여 자력이나, 전자석을 이용하여 선별해내는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각각의 선별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 않고, 개별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속도 역시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타격식 제1 선별기와, 자력식 제2 선별기가 도입되어 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물질은 제2 선별기가 부착하여 선별해내고,
특히 상부에는 제1 선별기가 배열되며, 제1 선별기 하부에는 제2 선별기가 배열되는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제1 선별기의 타격 시, 폐기물에 부착되는 수분이나, 먼지 기타 이물질의 분리와 동시에, 금속성 물질도 함께 분리하고, 이렇게 분리된 금속성 물질은 제2 선별기에 부착되어 선별됨으로써 선별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된 폐기물 중에서 금속성 물질을 재차 선별해낼 필요가 없어 작업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호 이격 배열된 다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각 이송롤러에 구비된 다수의 분쇄디스크를 포함하는 제3 선별기가 도입되어 폐기물 중 배출통로를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의 최종 부산물과, 배출통로를 통과하지 못하는 폐기물을 선별하고, 최종 부산물보다 사이즈가 큰 폐기물은 분쇄 및/또는 선별을 위하여 다음공정으로 이송하여 줌으로써 작업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물의 불필요한 이송이나, 분쇄 및 또 선별작업을 제거하여 작업합리화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파쇄기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의 이송 중,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 배출시키기 위한 분리수단을 도입하여 작업 초기에 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발견되는 경우 분리수단에 의하여 이물질을 즉시 제거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는 폐기물 투입수단; 상기 투입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운반컨베이어; 상기 운반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된 폐기물을 분쇄하기 위한 파쇄기;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을 타격에 의하여 선별해내기 위한 제1 선별기; 및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물질을 자력에 의하여 선별해내기 위한 제2 선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선별기와 상기 제2 선별기는 적층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호 이격 배열된 다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각 이송롤러에 구비된 다수의 분쇄디스크를 포함하는 제3 선별기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의 이송 중,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 배출시키기 위한 분리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는 타격식 제1 선별기와, 자력식 제2 선별기가 도입되어 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물질은 제2 선별기가 부착하여 선별하게 되고,
특히 상부에는 제1 선별기가 배열되며, 제1 선별기 하부에는 제2 선별기가 배열되는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제1 선별기의 타격 시, 폐기물에 부착되는 수분이나, 먼지 기타 이물질의 분리와 동시에, 금속성 물질도 함께 분리하고, 이렇게 분리된 금속성 물질은 제2 선별기에 부착되어 선별됨으로써 선별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된 폐기물 중에서 금속성 물질을 재차 선별해낼 필요가 없어 작업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호 이격 배열된 다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각 이송롤러에 구비된 다수의 분쇄디스크를 포함하는 제3 선별기가 도입되어 폐기물 중 배출통로를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의 최종 부산물과, 배출통로를 통과하지 못하는 폐기물을 선별하고, 최종 부산물보다 사이즈가 큰 폐기물은 분쇄 및/또는 선별을 위하여 다음공정으로 이송하여 줌으로써 작업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물의 불필요한 이송이나, 분쇄 및 또 선별작업을 제거하여 작업합리화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파쇄기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의 이송 중,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 배출시키기 위한 분리수단을 도입하여 작업 초기에 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발견되는 경우 분리수단에 의하여 이물질을 즉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에 의한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에 의한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에서 제3 및 제4 선별기와 이의 다양한 변형례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는 폐기물 처리장치의 또 다른 구현례를 나태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상의 폐기물은 건축자재, 폐타이어, 폐비닐,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산업용, 농업용, 가정용 폐기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는
폐기물 투입수단(10); 상기 투입수단(10)에 의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운반컨베이어; 상기 운반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된 폐기물을 분쇄하기 위한 파쇄기(20); 상기 파쇄기(20)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을 타격에 의하여 선별해내기 위한 제1 선별기(30); 및 상기 파쇄기(20)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물질을 자력에 의하여 선별해내기 위한 제2 선별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폐기물 투입수단(10)은
차량이나, 집적되어 있는 폐기물을 파쇄기(20)로 운반할 수 있도록 집게암(11)과, 상기 집게암(11) 단부에 연결되는 집게(13)로 구성된다.
즉 상기 투입수단(10)의 집게암(11)은 유압이나,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고,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다 관절 링크구조로 이루어져 절곡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폐기물의 위치에 따라 집게(13)를 움직여 폐기물을 집은 후, 파쇄기(20)로 집게(13)를 이동시켜 폐기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집게(13)는 상기 집게암(11)에 구비된 와이어(15)와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15)를 감고 푸는 동작을 통하여 집게(13)의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폐기물의 운반이나 투입 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투입수단(10)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수작업을 통하여 폐기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나, 안전성이나, 작업능률을 고려하여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파쇄기(20)는
상기 투입수단(10)에 의하여 공급된 폐기물을 분쇄하고, 분쇄된 폐기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쇄기(20)는 투입부(22)와 배출부(23)를 갖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 내부에 구비되고, 블레이드(25)가 연결된 한 쌍의 구동축(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구동축(24)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됨으로써 각 구동축(24)의 회전 시, 각 블레이드(25)가 맞물리면서 폐기물이 분쇄된다.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25)는 각 구동축(24)에 나선상으로 감겨진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수의 칼날이 상호 충돌되지 않도록 각 구동축(24)에 배열되어 각 구동축(24) 사이를 통과하는 폐기물을 각 블레이드(25)가 분쇄하여 상기 본체(21)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출부(23)를 통하여 폐기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파쇄기(20) 하부에는 상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제1 운반컨베이어(TC1)가 구비되어 상기 파쇄기(20)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이 낙하되어 제1 운반컨베이어(TC1) 하단에 얹히고, 제1 운반컨베이어(TC1)가 작동하여 폐기물을 상단까지 운반한 후, 낙하시켜 다음공정으로 운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운반컨베이어(TC1) 상단에 하부에는 제2 운반컨베이어(TC2)가 구비되어 폐기물을 연속적으로 운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2 운반컨베이어(TC2)는 상기 제1 운반컨베이어(TC1)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어긋나 있는 형태로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운반컨베이어(TC1)(TC2)를 연결하여 폐기물은 제1 운반컨베이어(TC1)에서 제2 운반컨베이어(TC2)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91)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91)에는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 배출시킬 수 있도록 분리수단(90)이 구비된다.
우선 상기 이송컨베이어(91)는 상기 제1 및 제2 운반컨베이어(TC1)(TC2)와 평면상에서 볼 때 직교하는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91)의 일측은 상기 제1 운반컨베이어(TC1) 상단 하부에 배열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91)의 타측은 상기 제2 운반컨베이어(TC2)의 하단 상부에 배열되어 폐기물을 제1 운반컨베이어(TC1)에서 제2 운반컨베이어(TC2)로 운반하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가 상기 이송컨베이어(91)에 의하여 이송되는 폐기물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되면 상기 분리수단(90)을 작동시켜 이물질의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분리수단(9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91)에 동력을 전달하고,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93)로 구성된다.
즉 상기 분리수단(90)의 구동모터(93)는 정상적인 이송과정에서는 상기 이송컨베이어(91)를 이송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운반컨베이어(TC2)로 이송이 이루어지고,
폐기물 중에 이물질 포함되어 있는 경우 구동모터(93)를 역회전시켜 이물질이 제2 운반컨베이어(TC2)로 이송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이송컨베이어(91)에 의하여 이물질은 제2 운반컨베이어(TC2)의 반대쪽으로 낙하되거나, 또는 작업자가 구동모터(93)의 작동을 멈춘 후, 이물질을 골라내는 등의 작업을 통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수단(90)은 구동모터(93)의 간단한 양방향 회전제어를 통하여 이물질을 발견 즉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분쇄 선별된 폐기물에서 이물질을 골라내야 하는 불필요한 작업로스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물의 재활용 시,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선별기(30)는
상기 제2 운반컨베이어(TC2)에 의하여 운반된 폐기물에 타격을 가해 수분이나, 먼지 기타 이물질 등을 떨어내고,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선별기(30)는 후방에 배열되는 유입부(31)와, 전방에 배열되는 배출부(33)가 구비되고, 내부에 다수의 구동축(35)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각 구동축(35)에는 타격체(3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35)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각 구동축(35)에 연결되고,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각 구동축(35)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각 타격체(37)가 폐기물에 타격을 가해 폐기물에 묻어 있는 수분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 등을 털어내어 폐기물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각 타격체(37)는 폐기물에 타격을 가하여 수분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 등을 털어내는 작업과 동시에, 폐기물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폐기물을 일정 정도 분쇄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 선별기(30)의 배출부(33) 측에는 폐기물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블로우어(미도시)가 구비되어 폐기물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빨아들이고, 상기 배출부(33)를 통하여 폐기물이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에서 취급되는 폐기물 중에는 건축자재나, 폐타이어와 같은 산업용 폐기물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산업용 폐기물에는 자성을 갖는 금속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어, 이러한 금속성 물질을 선별하여 분리해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금속성 물질을 선별하기 위해 도입된 제2 선별기(4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선별기(40)는
상기 파쇄기(20)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물질을 자력을 이용하여 선별하여 분리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선별기(40)는 다수의 자력드럼(41)이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각 자력드럼(4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각 자력드럼(41)을 회전 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각 자력드럼(41)은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기(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발전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기력에 의하여 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물질을 각 자력드럼(41)에 부착시켜 선별해내게 된다.
이렇게 각 자력드럼(41)에 부착된 금속성 물질은 상기 발전기의 가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금속성 물질이 각 자력드럼(41)에서 분리되어 자력드럼(41) 하부에 배열된 수거함에 낙하되어 금속성 물질만이 이 수거함에 수거된다.
특히 상기 제1 선별기(30)와 상기 제2 선별기(40)는 적층구조로 배열되되,
상기 제1 선별기(30)가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선별기(40)가 제1 선별기(30) 하부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 운반컨베이어(TC2)에 의하여 제1 선별기(30)로 운반되는 폐기물 중에서 자성을 갖지 않는 폐기물, 즉 비닐이나, 고무 등과 같은 폐기물은 상기 제1 선별기(30)의 타격체(37)에 의하여 타격 이송되어 선별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반면에 자성을 갖는 금속성 물질은 자중에 의하여 스스로 낙하하여 상기 제2 선별기(40)의 각 자력드럼(41)에 부착되어 선별된다.
이 과정에서 자성을 갖지 않는 폐기물 중에는 금속성 물질이 섞여 있거나, 또는 폐기물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1 선별기(30)의 타격체(37)에 의하여 가해지는 타격으로 금속성 물질이 폐기물에서 분리되어 상기 제2 선별기(40)의 각 자력드럼(41)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선별기(30)와 제2 선별기(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층구조를 가지되, 상부에는 제1 선별기(30)가, 하부에는 제2 선별기(40)가 배열되어 자성을 갖지 않는 폐기물은 제1 선별기(30)에 의하여 타격 및 이송되어 선별될 수 있도록 하고,
금속성 물질은 자중에 의한 낙하나, 상기 제1 선별기(30)에 의한 타격으로 분리되어 낙하됨으로써 각 자력드럼(41)에 부착 선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 선별기(30)의 배출부(33) 하부에는 제3 운반컨베이어(TC3)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 2 선별기(20)(30)에 의하여 금속성 물질이 선별된 폐기물이 상기 배출부(33)를 통하여 낙하되어 상기 제3 운반컨베이어(TC3)에 얹히어 다음공정으로 운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3 운반컨베이어(TC3)에 의하여 이송되는 폐기물은 상기 파쇄기(20)와 상기 제1 선별기(30)에 의하여 분쇄가 이루어져 불규칙한 사이즈를 갖게 되는데,
이때 폐기물을 사이즈별로 선별해내기 위한 제3 선별기(50)가 더 구비되고,
이하에서는 상기 제3 선별기(5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3 선별기(50)는
상기 제3 운반컨베이어(TC3)에 의하여 운반 이송되는 폐기물 중에서 일정한 사이즈의 폐기물(이하 '최종 부산물'이라 함.)은 낙하시켜 선별하고, 최종 부산물의 사이즈보다 큰 폐기물은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 선별기(50)는 상호 이격 배열된 다수의 이송롤러(120)와, 상기 각 이송롤러에 구비된 다수의 분쇄디스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 선별기(50)는
투입부(111)와 배출부(113)를 갖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호 이격된 배출통로(121)를 형성하도록 병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이송롤러(120); 상기 각 이송롤러(120)에 배열되는 분쇄디스크(130); 및 상기 이송롤러(120)와 상기 분쇄디스크(130)에 구비되어 상호 분리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인 본 발명에 따른 본체(110)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양측에 벽체(첨부된 도 1에는 일측 벽체만 도시되어 있음.)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 수용공간(115)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분쇄 전이나, 분쇄된 폐기물(W)이 공급되는 투입부(111)가 구비되고,
전방에는 이송롤러(120)에 의하여 선별되고, 이송된 폐기물(W)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113)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롤러(120)는
상기 본체(110)의 양측벽에 양단에 다수 연결되고, 병렬, 즉 횡방향으로 나란히 이격 배열되며, 이 이격 공간에 배출통로(121)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12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본체(110)의 외측에는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되고,
각 이송롤러(120)의 양단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각각 기어(미도시)나, 스프라켓(미도시)이 연결되어 기어와 스프라켓을 체인이나, 타이밍벨트로 연결하여 각 이송롤러(120)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이송롤러(120)에 연결되는 구동부(미도시)를 복수로 도입하여 다수의 이송롤러(120) 중에서 홀수 번째 위치하는 이송롤러(120)와 짝수 번째 위치하는 이송롤러(120)에 각각 다른 구동부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나 회전수를 달리하여 이송롤러(120)의 회전속도를 달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은 이송롤러(120)를 구동시키는 방식은 다양한 구동방식 중에서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구동방식을 통하여 이송롤러(12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구동부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게 되는 각 이송롤러(120)는 회전 구동을 하게 되어 상기 투입부(111)로 공급되는 폐기물(W)은 이송롤러(120)를 따라 후방(상기 투입부(111) 쪽)에서 전방(상기 배출부(113) 쪽)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폐기물(W) 중에서 일정한 사이즈, 즉 상기 각 이송롤러(120)간이 이격공간에 형성되는 배출통로(121)보다 작은 사이즈의 폐기물(W)은 배출통로(121)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되어 먼저 선별되고,
이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의 폐기물(W)은 상기 이송롤러(120)를 따라 배출부(113) 쪽으로 이송되어 후 공정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나아가 상기 각 이송롤러(120)는 후방에서 전방까지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형태로 배열되거나, 또는 반대로 간격 좁아지는 형태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배출통로(121)는 후방에서 전방까지 통로의 크기가 동일하거나, 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층적으로 통로가 커지거나, 또는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배출통로(121)가 점층적으로 커지거나, 좁아지는 경우에는 폐기물(W)은 사이즈별로 배출통로(121)를 통하여 낙하 배출되고, 상기 배출통로(121)를 통과하지 못하는 큰 사이즈의 폐기물(W)은 이송롤러(120)를 따라 배출부(113) 쪽으로 이송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쇄디스크(130)는
상기 각 이송롤러(120)에 상호 이격되도록 다수 배열되고, 전후로 상호 인접한 분쇄디스크(130)간의 전단력으로 폐기물(W)을 분쇄함과 동시에, 이송시키게 된다.
즉 상기 분쇄디스크(130)는 하나의 이송롤러(120)에 상호 이격되어 연결되고, 각 이송롤러(120)에 연결되는 분쇄디스크(130)는 전후방향으로 인접한 분쇄디스크(130) 사이에 배열되며,
이때 전후로 배열되는 분쇄디스크(130)는 상호 근접하여 중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롤러(120)를 따라 이송되는 폐기물(W) 중에서 전후로 배열된 분쇄디스크(130) 사이에 끼이거나, 물린 폐기물(W)은 찢기거나, 절단 및 파단되어 분쇄되고,
이때 상기 배출통로(121)를 통과하지 못하는 사이즈의 폐기물(W) 중 일부는 상기 분쇄디스크(130)에 의하여 잘게 분쇄되어 이송 중 배출통로(121)를 통하여 낙하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선별장치의 경우에는 이송롤러와 분쇄디스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장치의 오랜 사용으로 분쇄디스크가 마모되거나, 또는 금속이나 단단한 폐기물에 의하여 분쇄디스크가 파단되거나, 금이 가는 등의 손상 발생 시,
분쇄디스크가 이송롤러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분쇄디스크 뿐만 아니라, 이송롤러까지 교체하거나, 또는 수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경제적인 손실이 크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롤러(120)와 분쇄디스크(130)를 결합분리 가능하도록 고정수단(140)을 도입하여 분쇄디스크(130)의 마모나, 파손 시, 분쇄디스크(130)를 이송롤러(120)에서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수리한 후, 종전의 이송롤러(120)에 수리된 분쇄디스크(130)를 조립하여 다시 사용함으로써 경제성이 향상되고,
또한 분쇄디스크(130)의 분리나 결합이 쉽고 용이하여 유지보수작업의 편의성과, 작업능률을 형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수단(140)의 다양한 구현례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140)의 제1 구현례로
상기 이송롤러(120)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141)와, 상기 분쇄디스크(130)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롤러(120)가 끼워지는 중공(145)과, 상기 중공(145)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141)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고정수단(140)의 제1 고정부(141)는 상기 이송롤러(120)에서 분쇄디스크(130)가 배치될 위치에 원주면을 따라 다수의 볼트홈(141A)(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143)는 상기 중공(145) 주변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태의 고정판(143A)과, 상기 고정판(143A)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홈(141A)에 대응하는 볼트공(143a)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롤러(120)에 상기 중공(145)을 통하여 분쇄디스크(130)를 끼운 후, 해당 위치에서 상기 볼트공(143a)을 통하여 볼트홈(141A)에 결합볼트(B)를 체결하여 이송롤러(120)와 분쇄디스크(130)를 결합하게 되고,
분쇄디스크(130)를 이송롤러(120)에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볼트(B)를 볼트홈(141A) 및 볼트공(143a)에서 해체하여 이송롤러(120)에서 분쇄디스크(130)를 분리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판(143A)은 분쇄디스크(130)의 일측방향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양측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한데,
분쇄디스크(130)의 지지력이나, 폐기물(W)의 분쇄 시 발생하는 부하에 보다 저항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양측방향에 형성되어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6의 도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140)의 제2 구현례로서
상기 분쇄디스크(130)가 분체(13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고정부(141)는 끼움홈(141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143)는 상기 각 분체(131)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41B)에 삽입되는 끼움돌기(143B)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140)의 제2 구현례에서는 상기 분쇄디스크(130)를 분체(131)로 이루지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1 구현례의 경에는 유지보수작업을 위하여 이송롤러(120)의 장치에서 분리하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제2 구현례와 같이 분쇄디스크(130)를 분체(131)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송롤러(120)를 장치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분쇄디스크(130)를 이송롤러(12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지보수작업이 쉽고 편리해질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도 그만큼 절약됨으로써 작업 경제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우선 상기 제1 고정부(141)의 끼움홈(141B)은 상기 이송롤러(120)에 분쇄디스크(130)가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상기 끼움홈(141B)은 이송롤러(120)에 상호 대칭되는 방향에 'D'자 형상의 홈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부(143)의 끼움돌기(143B)는 상기 각 분체(131)의 내측 양측에 평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홈(141B)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각 분체(131)의 끼움돌기(143B)를 상하방향에서 상기 끼움홈(141B)에 끼우게 되면 상기 각 분체(131)의 단부가 맞닿게 되고,
상기 끼움홈(141B)은 상기 끼움돌기(143B)를 지지하여 각 분체(131)와 이송롤러(120)의 결합을 견고히 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끼움홈(141B)의 깊이를 깊게 형성하게 되면 각 분체(131)의 지지력은 보다 견고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분체(131)가 이송롤러(120)에 끼워져 결합된 후, 이송롤러(120)와 각 분체(131)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체결수단(150)이 더 구비되는데,
이 체결수단(150)은 하기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례들로 구성된다.
도 6의 도시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150)의 제1 구현례로서
상기 각 분체(131)의 단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체결공(151)과, 상기 각 분체(131)의 연결부위에 덧대어지는 이음판(152)과, 상기 이음판(152)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공(151)에 대응하는 제2 체결공(1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롤러(120)와 각 분체(131)를 고정수단(140)에 의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각 분체(131)의 연결부위에 상기 이음판(152)을 덧댄 후,
각 체결공(151)(153)에 볼트(B)를 관통 삽입하여 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각 분체(131)를 견고히 연결하게 된다.
또한 도 7의 도시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150)의 제2 구현례로서
상기 체결수단(150)은 상기 각 분체(131)의 연결부위 중 일측은 힌지결합부(154)에 의하여 연결되고, 다른 연결부위 쪽은 상기한 바와 같은 체결공들(151)(153)과 이음판(152)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힌지결합부(154)에 의하여 상기 각 분체(131)를 벌린 상태에서 상기 이송롤러(120)의 배치위치에서 각 분체(131)의 벌어짐 단부를 오므려 이송롤러(120)에 각 분체(131)를 결합한 후,
상기 이음판(152)을 각 분체(131)의 벌어짐 단부 쪽에 덧대고, 각 체결공(151)(153)에 볼트(B)를 관통 삽입한 후, 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각 분체(131)를 견고히 연결하게 된다.
나아가 도 8의 도시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150)의 제3 구현례로서
상기 각 분체(131)의 연결부위에서 하나의 분체(131)에는 관통공(133)이 형성되고, 또 다른 하나의 분체(131)에는 원주면에 걸림홈(1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150)은 상기 분체(131)의 관통공(133)에 관통 결합되는 연결고리(155)와, 상기 연결고리(155)의 양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손잡이(156a)가 구비된 지지바(156)와, 상기 지지바(156)에 연결되어 상기 분체(131)의 걸림홈(135)에 걸리는 걸림고리(157)를 포함하여 이루진다.
따라서 상기 각 분체(131)가 고정수단(140)에 의하여 상기 이송롤러(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157)를 상기 걸림홈(135)에 걸고,
상기 손잡이(156a)를 관통공(133) 쪽으로 제치게 되면 상기 걸림고리(157)가 걸림홈(135)을 관통공(133) 쪽으로 잡아당겨 각 분체(131)는 상호 가압되어 상호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도 7과 마찬가지로 상기 각 분체의 한 쪽 연결부위에는 힌지결합부를 도입하고, 각 분체의 따른 쪽 연결부위에 도 8의 체결수단의 도입하여 각 분체를 보다 쉽게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3 선별기(50) 하부에는 제1 배출컨베이어(DC1)가 구비되어 상기 제3 선별기(50)의 배출통로(121)를 통하여 낙하된 최종 부산물을 받아 집적장소로 운반하여 수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배출컨베이어(DC1)는 상기 제3 선별기(50)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수평컨베이어(DC1′)와, 상기 제1 수평컨베이어(DC1′)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수평컨베이어(DC1′)와 직교하는 형태로 배열되는 제1 수직컨베이어(DC1″)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수직컨베이어(DC1″)의 일단은 집적장소로 향해 있어 상기 제3 선별기(50)에 의하여 선별된 최종 부산물을 집적장소로 운반하여 쌓아두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3 선별기(50) 전방 하부에는 제4 운반컨베이어(TC4)가 구비되어 상기 제3 선별기(50)에 의하여 선별되고, 최종 부산물보다 사이즈가 큰 페기물을 다음공정으로 운반하게 된다.
상기 제4 운반컨베이어(TC4)에 의하여 운반되는 폐기물은 좀 더 잘게 분쇄하기 위해 2차 파쇄기(60)로 공급되고,
상기 2차 파쇄기(60)는 폐기물을 분쇄하여 분쇄된 폐기물을 다음공정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2차 파쇄기(60)의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페기물은 제5 운반컨베이어(TC5)에 의하여 제4 선별기(70)로 운반되는데,
상기 제4 선별기(70)는 상기 제3 선별기(50)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4 선별기(70)의 배출통로를 통하여 최종 부산물은 낙하되어 배출되고, 상기 배출통로를 통과하지 못하는 폐기물은 상기 제4 선별기(70)에서 직접 3차 파쇄기(80)로 공급되며,
상기 3차 파쇄기(80)에 의한 최종 분쇄작업을 통하여 폐기물은 최종 부산물로 형성되어 집적장소로 운반된다.
이 경우 상기 제4 선별기(70) 하부에는 제2 배출컨베이어(DC2)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 배출컨베이어(DC2)는 상기 제4 선별기(70) 하부에 배열되고, 전단부가 상기 3차 파쇄기(80)의 배출부 하부에 배열되는 제2 수평컨베이어(DC2′)와, 상기 제2 수평컨베이어(DC2′)의 후단부 하부에 배열되고, 일단이 집적장소로 향하는 제2 수직컨베이어(DC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4 선별기(70)의 배출통로를 통하여 낙하 배출되는 최종 부산물과, 상기 3차 파쇄기(80)에 의하여 분쇄된 최종 부산물은 상기 제2 수평컨베이어(DC2′)에 의하여 이송되고,
이렇게 이송된 최종 부산물은 상기 제2 수직컨베이어(DC2″)에 의하여 집적장소로 운반되어 쌓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에서 상기 각 선별기와 파쇄기들은 다양한 배열방식에 따라 재배치될 수 있고, 또한 그 개수 역시 증감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다양한 설계 요소들, 즉 폐기물 처리용량, 폐기물의 종류 등과 같은 요소들을 설계 시, 고려하여 최적의 설계를 통하여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각 운반컨베이어, 배출컨베이어는 모터의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고, 또한 운반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에는 상기 각 선별기 또는 상기 각 파쇄기, 또는 이들 모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각 선별기 및/또는 파쇄기의 구동을 제어 조절하기 위해 회로가 구성된 피씨비기판(PCB)이 구비된다.
우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피씨비기판(PCB)이 내장되어 장착되는 함체가 구비되고,
상기 함체에는 피씨비기판(PCB)을 조립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수단(200)이 구비된다.
이 조립수단(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 내부의 전후좌우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10)과,
상기 고정프레임(210)들에서 전방의 두 고정프레임(210)과 후방의 두 고정프레임(210)을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30)과,
상기 연결프레임(230)들에서 하부의 두 연결프레임(230)과 상부의 두 연결프레임(230)을 연결하며, 상기 피씨비기판(PCB)이 슬라이드식으로 조립 결합되는 조립프레임(25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10)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211)에는 체결홀(27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바(27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체결바(270)와 상기 연결프레임(230)은 볼트로 체결되는데, 상기 체결바(270)는 고정프레임(210)의 슬라이드홈(21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므로 연결프레임(230)이 연결되는 고정프레임(210)의 위치를 간편하게 임의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230)은 직접 고정프레임(210)의 체결바(270)에 체결될 수 있지만,
상기 연결프레임(230)들이 모두 함체 외부에서 체결플레이트에 고정 체결된 후에 체결플레이트(290)가 체결바(270)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체결 작업이 수월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230)은 좌우 길이방향으로 내측면에 다수의 삽입홀(23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231)의 전후방 양측에는 걸림홈(2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프레임(250)은 외측면 양측에 각각 상기 삽입홀(231)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25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출부(251)의 전후 양측으로는 탄성을 갖지며, 상기 걸림홈(233)에 후크식으로 걸림 결합되는 후크결합부(253)가 형성되고, 내측면 전후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피씨비기판(PCB)이 슬라이드식으로 조립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25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립수단(200)에서는 상기 조립프레임(250)들을 상기 피씨비기판(PCB)과 연결된 전면패널의 폭에 맞게 이격 거리를 두고,
상기 연결프레임(230)의 후크식으로 조립시킨 후에, 상기 피씨비기판(PCB)의 상하단을 조립프레임(250)의 슬라이딩결합부(255)로 밀어 넣으면 간편하게 조립 결합되고, 분리시킬 때에는 전면패널을 잡아당기면 간편하게 분리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수많은 전자소자가 실장된 피씨비를 고밀도 집적화 및 소형화하기 위한 컨트롤러의 피씨비 어셈블리(3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피씨비 어셈블리(300)는 단면 PCB(single-side PCB)와 양면 PCB (double-side PCB)를 끼움결합하고 솔더링 연결하여 피씨비 제품의 고밀도 집적화와 소형화에 일조하면서도 제조단가는 절감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플로우 솔더링 장비를 이용하여 두 피씨비를 솔더링 하는 경우 플럭스에 대한 피씨비의 이송운동을 고려하여 사선형 접속부의 형상을 도입한 피씨비 어셈블리이다.
상기 피씨비 어셈블리(300)는 상호 결합된 후 솔더링 연결되는 제1 피씨비(300A) 및 제2 피씨비(300B)를 포함하고,
도면에서 제1 피씨비(300A)는 단면 PCB(single-side PCB)이며, 제2 피씨비(300B)는 양면 PCB (double-side PCB)이다.
상기 제1 피씨비(300A)에는 각종 칩과 소자들이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피씨비(300B)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공(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피씨비(300B)는 상기 결합공(310)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330)가 형성되며, 이 끼움부(330)에는 제1 피씨비와 제2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3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 피씨비(300B)의 끼움부(330)는 두 결합돌기(330a,33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피씨비(300A)의 결합공(310)도 이에 상응하게 2개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결합돌기는 필요에 따라 돌기의 수, 위치 및 크기의 일부 또는 모두를 달리하여 제품 종류별 코드화 기능을 하여 조립 편리성, 생산성, 재고관리 편리성 등의 제고에 일조할 수 있다.
상기 제2 피씨비(300B)의 접속부(350)는 부식된 동박판 등으로 제조되거나, 공지의 무연(無鉛)(또는 유연(有鉛)) 페이스트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0b의 우측 확대된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개의 접속부(350)는 본체(350A) 하부에 사선부(350a)를 가지며,
특히 이 사선부(350a)는 대략 사각형의 본체(350A)를 벗어난 영역으로 이어져 형성된 꼬리부(350b)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는 대량 생산성 및 품질 확보를 위하여 제1 피씨비(300A)와 제2 피씨비(300B)의 전기적 연결시 플로우 솔더링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
상호 교차 결합된 제1 및 제2 피씨비(300A)(300B)에서, 일정 두께를 갖고 제1 피씨비(300A)의 하면으로 돌출된 제2 피씨비(300B)의 끼움부(330), 특히 결합돌기(330a,330b) 부분(330p)(도 10a [B] 하부 일점쇄선 원 내 참조)까지 연장되어 있는 접속부(350) 하단부가 [제1 및 제2 피씨비(300A)(300B) 조립체]를 이송하는 상황에서 솔더링 플럭스에 의하여
제1 피씨비(300A)의 결합공(310) 주변 저면부에 형성된 회로패턴의 연결단부와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결과로 제1 피씨비(300A)의 결합공(310) 주변 저면부에 형성된 회로패턴(미도시)의 연결단부와
접속부(350) 하단부의 꼬리부(350b)를 따라 형성된 사선부(350a)는
솔더링 플럭스에 의하여 형성된 갈매기 날개 형상의 땜부(370)에 의하여 정확하고 정밀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피씨비(300B) 접속부(350)의 사선부(350a)는 플로우 솔더링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 피씨비(300A)(300B) 조립체]의 솔더링 플럭스에 대한 이송상황 및 이송방향을 고려한 것이다.
또 상기 꼬리부(350b)는 접속부(350)에 사선부(350a)를 형성하는 경우
회로패턴을 구성하는 배선과 배선의 간격을 가능한 좁게 형성하여 집적도를 높이게 되는 회로부의 현실을 고려하여
솔더링 플럭스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부위(즉, 회로패턴의 연결단부 및 접속부(350)의 사선부(350a)) 중
접속부(350)의 사선부(350a) 폭을 가능한 좁게 형성하여
땜부(370)에 의하여 정확하고 정밀하게 회로패턴의 연결단부 및 접속부(350)의 사선부(350a)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아울러 도 10b의 우측 하부 일점 쇄선 원내 변형예를 도시하여 비교한 바와 같이,
상기 꼬리부(350b)에 의하여 꼬리부 없이 동일한 구간 길이를 갖는 사선부를 형성한 접속부(350D)에 비하여,
본 고안의 꼬리부(350b)를 갖는 접속부(350)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그만큼에 소요되는 재료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다.
도 11은 상기 피씨비 어셈블리(300)의 피씨비와 피씨비를 연결하거나, 피씨비와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케이블체(CC)가 결합되는 커넥터(4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커넥터(400)는 통신케이블체(CC)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착탈이 간편하게 행해지고, 통신케이블체(CC)의 접속을 견고히 하면서도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커넥터(400)는 통신케이블체(CC)의 바디(B)가 삽입되어 안착되고, 접속을 위한 접속핀(413)들이 구비되어 있는 안착홈(411)을 갖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양측에 각각 내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통신케이블체(CC) 바디(B)의 상단을 걸어주는 걸림구(4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400)의 몸체(410) 양측에는 각각
마주보며 일정거리 이격되고, 탄성을 갖는 두 탄성판(414)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판(414)의 내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걸림홈(415)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판(414)의 상기 걸림홈(415)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관통홀(416)이 형성되며,
상기 두 탄성판(414) 사이의 바닥 내측과 외측에는 막힘부(417, 4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4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상기 걸림구(430)는
상기 두 탄성판(414)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431)와,
상기 삽입부(431)의 하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416)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힌지돌기(436)와,
상기 삽입부(431)의 상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415)에 배치되어, 걸림홈(415)의 내측벽(415a)과 외측벽(415b)에 걸려 걸림구(430)가 비의도적으로 내외측으로 젖혀지는 것을 예방하면서 사용자가 젖히는 외력에는 어렵지 않게 젖혀지도록 하는 걸림돌기(435)와,
상기 삽입부(431)의 하단 외측과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막힘부(417, 418)에 걸려 걸림구(430)가 내외측으로 더 이상 젖혀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외측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돌기(437, 438)와,
상기 삽입부(431)의 상단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통신케이블체(CC)의 바디(B) 상단에 후크식으로 결합되는 후크결합부(439)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435)는 원형 모양을 하는데, 그 직경은 상기 걸림홈(415)의 폭에 근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걸림구(430)가 외측으로 젖혀졌을 때, 상기 걸림돌기(435)는 상기 탄성판(414)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외측으로 젖힌 걸림구(430)를 내측으로 젖힐 때 걸림돌기(435)가 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폐기물 처리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C1, TC2, TC3, TC4, TC5 : 제1, 제2, 제3, 제4, 제5 운반컨베이어
DC1, DC2 : 제1 및 제2 배출컨베이어
PCB : 피씨비기판 CC : 통신케이블체
B : 바디
10 : 투입수단 11 : 집게암
13 : 집게 15 : 와이어
20 : 파쇄기 21 : 투입부
23 : 배출부 25 : 구동축
27 : 블레이드
30 : 제1 선별기 31 : 유입부
33 : 배출부 35 : 구동축
37 : 타격체
40 : 제2 선별기 41 : 자력드럼
50 : 제3 선별기
60 : 2차 파쇄기
70 : 제4 선별기
80 : 3차 파쇄기
90 : 분리수단 91 : 이송컨베이어
93 : 구동모터
200 : 조립수단
300 : 피씨비 어셈블리
400 : 커넥터

Claims (4)

  1. 폐기물 투입수단;
    상기 투입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운반컨베이어;
    상기 운반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된 폐기물을 분쇄하기 위한 파쇄기;
    다수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연결된 구동모터 및 상기 각 구동축에 구비되어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에 타격을 가해 선별하는 타격체를 구비한 제1 선별기; 및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물질을 자력에 의하여 선별해내기 위한 제2 선별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선별기에는

    상기 파쇄기와 상기 제1 선별기에 의하여 분쇄가 이루어져 불규칙한 사이즈를 갖는 폐기물을 사이즈별로 선별해내기 위한 제3 선별기;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3 선별기는
    투입부와 배출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호 이격된 배출통로를 형성하도록 병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각 이송롤러에 배열되는 분쇄디스크 및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분쇄디스크에 구비되어 상호 분리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별기와 상기 제2 선별기는 적층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디스크는 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분체의 연결부위에서 하나의 분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또 다른 하나의 분체에는 원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분쇄디스크에는 체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분체의 관통공에 관통 결합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의 양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손잡이가 구비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어 상기 분체의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각 분체가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이송롤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를 상기 걸림홈에 걸고,
    상기 손잡이를 관통공쪽으로 제치게 되면 상기 걸림고리가 걸림홈을 관통공쪽으로 잡아당겨 각 분체는 상호 가압되어 상호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의 이송 중,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 배출시키기 위한 분리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KR1020130112543A 2013-09-23 2013-09-23 폐기물 처리장치 KR101406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543A KR101406682B1 (ko) 2013-09-23 2013-09-23 폐기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543A KR101406682B1 (ko) 2013-09-23 2013-09-23 폐기물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961 Division 2012-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216A KR20140020216A (ko) 2014-02-18
KR101406682B1 true KR101406682B1 (ko) 2014-06-27

Family

ID=5026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543A KR101406682B1 (ko) 2013-09-23 2013-09-23 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2398B (zh) * 2014-05-23 2016-06-08 重庆市聚益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再生橡胶胶粉生产装置
CN107661895A (zh) * 2016-07-29 2018-02-06 许杰霖 再生能源垃圾细部分类最终处理系统
KR102056183B1 (ko) * 2018-01-17 2020-01-22 수퍼빈 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 장치
CN113955361B (zh) * 2020-07-21 2023-07-14 北自所(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特变电条料堆垛机、储存拣选系统及拣选方法
CN113083441B (zh) * 2021-04-09 2022-12-09 福建省曾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磁吸式金属分离的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50B1 (ko) 2006-11-22 2007-03-21 주식회사 진흥중공업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0845961B1 (ko) 2007-12-03 2008-07-11 주식회사 세창환경산업 순환골재의 표면박리와 입도개선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50B1 (ko) 2006-11-22 2007-03-21 주식회사 진흥중공업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0845961B1 (ko) 2007-12-03 2008-07-11 주식회사 세창환경산업 순환골재의 표면박리와 입도개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216A (ko) 201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682B1 (ko) 폐기물 처리장치
JP5770780B2 (ja) がれき類処理装置
KR101753105B1 (ko) 재활용 폐기물 분쇄장치
KR101340918B1 (ko) 폐기물 처리장치
KR101348490B1 (ko) 폐 배터리 재활용 장치
CN108580042B (zh) 一种废旧电路板的铜锡分离装置
KR101787666B1 (ko) 폐기물 파쇄장치
CN210131695U (zh) 粉碎装置和用于该装置的切割台单元
EP1490182B1 (en) Method for separating adhered paper from paper-covered gypsum board
JP2019000777A (ja) 廃電池分別処理装置および廃電池分別物の製造方法
KR101351676B1 (ko) 공작기계 칩 배출장치
KR101500941B1 (ko) 타이어 스틸코드지 분리장치
CN110721796A (zh) 一种应用于建筑施工现场的垃圾加工设备
CN215234875U (zh) 一种建筑垃圾回收再利用的破碎装置
CN110314730A (zh) 一种建筑废料粉碎回收装置
KR20110026746A (ko) 폐전선 동분리기 및 분리방법
KR20170106873A (ko) 폐전선 동선 분리 및 피복 재활용 장치 및 분리방법
KR101072499B1 (ko) 괴탄 분리장치
KR20040051174A (ko) 목재칩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재칩제조방법
CN212310124U (zh) 多产品图像智能分选系统
CN213529662U (zh) 一种煤矿筛选装置
KR101612534B1 (ko) 산업폐기물 분쇄기
CN210968033U (zh) 一种碎屑回收装置
CN207206848U (zh) 一种废旧轮胎撕碎机
KR101795338B1 (ko) 재생 골재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