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186B1 - 신호선 구동회로, 발광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신호선 구동회로, 발광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186B1
KR100914186B1 KR1020047006382A KR20047006382A KR100914186B1 KR 100914186 B1 KR100914186 B1 KR 100914186B1 KR 1020047006382 A KR1020047006382 A KR 1020047006382A KR 20047006382 A KR20047006382 A KR 20047006382A KR 100914186 B1 KR100914186 B1 KR 100914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ource
current
circuit
signal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2015A (ko
Inventor
키무라하지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05004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83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current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5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being a dynamic memory with more than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6Interleaved control phases for different scan lines in the same sub-field, e.g. initialization, addressing and sustaining in plasma displays that are not simultaneous for all scan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gradation control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09G3/324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09G3/324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 G09G3/3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the dat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ving transistor during a setting phase, e.g. by using a switch for connecting the driving transistor to the data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트랜지스터의 특성에는 변동이 생겨 버린다. 본 발명은,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전류원회로를 갖는 신호선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원회로의 각각은, 용량수단 및 공급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전류원회로의 각각은, 비디오신호에 따라, 공급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호선, 구동회로, 발광장치, 화상, 표시장치, 화소, 계조, 발광소자

Description

신호선 구동회로, 발광장치 및 그 구동방법{SIGNAL LINE DRIVE CIRCUIT, LIGHT EMITTING DEVICE, AND ITS DRIVE METHOD}
본 발명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신호선 구동회로를 갖는 발광장치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의 개발이 진행되어 있다. 표시장치로서는, 액정소자를 사용하여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액정표시장치가, 고화질, 박형, 경량 등의 이점을 살려 폭넓게 사용되어 있다.
한편, 자발광소자인 발광소자를 사용한 발광장치의 개발도 최근 진행되어 있다. 발광장치는, 기존의 액정표시장치가 갖는 이점에 더하여, 동작 화상표시에 적합한 빠른 응답속도, 저전압, 저소비전력 등의 특징을 가지며,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크게 주목되어 있다.
발광장치에 다계조의 화상을 표시할 때의 계조표현방법으로서는, 아날로그 계조방식과 디지털 계조방식을 들 수 있다. 전자의 아날로그 계조방식은, 발광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아날로그적으로 제어하여 계조를 얻는다는 방식이다. 또 한 후자의 디지털 계조방식은, 발광소자가 온상태(휘도가 거의 100%인 상태)와, 오프상태(휘도가 거의 0%인 상태)의 2개의 상태만에 의해 구동한다는 방식이다. 디지털 계조방식에 있어서는, 이대로는 2계조밖에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방식과 조합하여 다계조의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화소의 구동방법으로서는, 화소에 입력하는 신호의 종류로 분류하면, 전압입력방식과 전류입력방식을 들 수 있다. 전자의 전압입력방식은, 화소에 입력하는 비디오신호(전압)를 구동용 소자의 게이트전극에 입력하여, 그 구동용 소자를 사용하여 발광소자의 휘도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또한 후자의 전류입력방식에서는, 설정된 신호전류를 발광소자에 흐르게 함으로써, 그 발광소자의 휘도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전압입력방식을 적용한 발광장치에서의 화소의 회로의 일례와 그 구동방법에 대하여, 도 16a를 사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16a에 나타낸 화소는, 신호선(501), 주사선(502), 스위칭용 TFT(503), 구동용 TFT(504), 용량소자(505), 발광소자(506), 전원(507, 508)을 갖는다.
주사선(502)의 전위가 변화되어 스위칭용 TFT 503이 온하면, 신호선 501에 입력되어 있는 비디오신호는, 구동용 TFT 504의 게이트전극으로 입력된다. 입력된 비디오신호의 전위에 따라, 구동용 TFT 504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이 결정되고, 구동용 TFT 504의 소스·드레인 사이를 흐르는 전류가 결정한다. 이 전류는 발광소자 506에 공급되고, 그 발광소자 506은 발광한다.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반도체소자로서는, 폴리실리콘 트랜지스터가 사용된다. 그러나, 폴리실리콘 트랜지스터는, 결 정입계에서의 결함에 기인하여, 임계치나 온전류 등의 전기적특성에 변동이 생기기 쉽다. 도 16a에 나타낸 화소에 있어서, 구동용 TFT 504의 특성이 화소마다 변동하면, 동일한 비디오신호를 입력한 경우에도, 그것에 따른 구동용 TFT 504의 드레인전류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발광소자 506의 휘도는 변동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TFT의 특성에 좌우되지 않고, 원하는 전류를 발광소자에 공급하면 된다. 이 관점으로부터, TFT의 특성에 좌우되지 않고 발광소자에 공급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전류입력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이어서, 전류입력방식을 적용한 발광장치에서의 화소의 회로의 일례와 그 구동방법에 대하여, 도 16b, 17을 사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16b에 나타낸 화소는, 신호선(601), 제1∼제3 주사선(602∼604), 전류선(605), TFT(606∼609), 용량소자(610), 발광소자(611)를 갖는다. 전류원회로(612)는, 각 신호선(각 열)에 배치된다.
도 17을 사용하여, 비디오신호의 기록으로부터 발광까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서, 각부를 나타내는 도면번은, 도 16에 준한다. 도 17a∼17c는, 전류의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7d는, 비디오신호의 기록시에서의 각 경로를 흐르는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 17e는, 동일하게 비디오신호의 기록시에 용량소자 610에 축적되는 전압, 요컨대 TFT 608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을 나타낸다.
우선, 제1 및 제2 주사선 602, 603에 펄스가 입력되고, TFT 606, 607이 온한 다. 이때, 신호선 601을 흐르는 전류는 신호전류를 Idata로 표기한다. 신호선 601에는, 신호전류 Idata가 흐르고 있으므로,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소 내에서는, 전류의 경로는 I1과 I2로 분리되어 흐른다. 이들 관계를 도 17d에 나타내지만, Idata=I1+12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TFT 606이 온한 순간에는, 아직 용량소자 610에는 전하가 유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TFT 608은 오프이다. 따라서, I2=0이 되고, Idata=I1이 된다. 이 동안에는, 용량소자 610의 양쪽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흘러, 그 용량소자 610에서 전하의 축적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서서히 용량소자 610에 전하가 축적되고, 양쪽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생기기 시작한다(도 17e). 양쪽 전극의 전위차가 Vth가 되면(도 17e, A점), TFT 608이 온하여, I2가 생긴다. 전술한 바와 같이, Idata=I1+I2이므로, I1은 점차로 감소하지만, 여전히 전류는 흐르고 있고, 용량소자 610에는 더욱 전하의 축적이 행해진다.
용량소자 610에서는, 그 양쪽 전극의 전위차, 요컨대 TFT 608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이 원하는 전압이 될 때까지 전하의 축적이 계속된다. 요컨대 TFT 608이 Idata의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만큼의 전압이 될 때까지 전하의 축적이 계속된다. 이윽고 전하의 축적이 종료하면(도 17e, B점), 전류 I1은 흐르지 않게 된다. 또한, TFT 608은 완전히 온하고 있으므로, Idata=I2가 된다(도 17b). 이상의 동작에 의해, 화소에 대한 신호의 기록동작이 완료된다. 마지막으로 제1 및 제2 주사선 602, 603의 선택이 종료하고, TFT 606, 607이 오프한다.
계속해서, 제3 주사선 604에 펄스가 입력되고, TFT 609가 온한다. 용량소자 610에는, 조금 전에 기록한 VGS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TFT 608은 온되어 있고, 전류선 605로부터 Idata와 같은 전류가 흐른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 611이 발광한다. 이때, TFT 608이 포화영역에서 동작하도록 해 두면, TFT 608의 소스·드레인 사이 전압이 변화되었다고 해도, 발광소자 611에 흐르는 발광전류 IEL은 변함 없이 흐른다.
이와 같이 전류입력방식이란, TFT 609의 드레인전류가 전류원회로 612에서 설정된 신호전류 Idlata와 같은 전류값이 되도록 설정하고, 이 드레인전류에 따른 휘도로 발광소자 611이 발광을 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 구성의 화소를 사용함으로써, 화소를 구성하는 TFT의 특성변동의 영향을 억제하여, 원하는 전류를 발광소자에 공급할 수 있다.
단, 전류입력방식을 적용한 발광장치에서는, 비디오신호에 따른 신호전류를 정확하게 화소에 입력해야 한다. 그러나, 신호전류를 화소에 입력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신호선 구동회로(도 16에서는 전류원회로 612에 해당)를 폴리실리콘 트랜지스터로 형성하면, 그 특성에 변동이 생기기 때문에, 그 신호전류에도 변동이 생겨 버린다.
요컨대 전류입력방식을 적용한 발광장치에서는, 화소 및 신호선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TFT의 특성변동의 영향을 억제해야 한다. 그러나 도 16b에 나타내는 구성의 화소를 사용함으로써, 화소를 구성하는 TFT의 특성변동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은 할 수 있지만, 신호선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TFT의 특성변동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 은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전류입력방식의 화소를 구동하는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되는 전류원회로의 구성과 그 동작에 대하여 도 18을 사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18a, 18b에서의 전류원회로 612는, 도 16b에서 나타낸 전류원회로 612에 해당한다. 전류원회로 612는, 정전류원 555∼558을 갖는다.
정전류원 555∼558은, 단자 551∼554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정전류원 555∼558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는 각각 다르고, 그 비는 1:2:4:8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8b는 전류원회로 612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면에서의 정전류원 555∼558은 트랜지스터에 해당한다. 트랜지스터 555∼558의 온전류는, L(게이트길이)/W(게이트폭)값의 비(1:2:4:8)에 기인하여 1:2:4:8이 된다. 그렇게 하면 전류원회로 612는, 24=16단계에서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요컨대 4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에 대하여, 16계조의 아날로그값을 갖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이 전류원회로 612는, 폴리실리콘 트랜지스터로 형성되고, 화소부와 동일기판 상에 일체형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 전류원회로를 내장한 신호선 구동회로는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2 참조)
또한, 디지털 계조방식에 있어서는, 다계조의 화상을 표현하기 위해 디지털계조방식과 면적계조방식을 조합한 방식(이하 면적계조방식으로 표기)이나 디지털계조방식과 시간계조방식을 조합한 방식(이하 시간계조방식으로 표기)이 있다. 면 적계조방식이란, 일화소를 복수의 부화소로 분할하고, 각각의 부화소에서 발광, 또는 비발광을 선택함으로써, 일화소에 있어서 발광하고 있는 면적과, 그 이외의 면적과의 차이를 갖아 계조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또한 시간계조방식이란, 발광소자가 발광하고 있는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계조표현을 행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는, 1프레임기간을 길이가 다른 복수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분할하고, 각 기간에서의 발광소자의 발광, 또는 비발광을 선택함으로써, 1프레임기간 내에서 발광한 시간의 길이의 차이를 갖고 계조를 표현한다. 디지털 계조방식에 있어서는, 다계조의 화상을 표현하기 위해 디지털 계조방식과 시간계조방식을 조합한 방식(이하 시간계조방식으로 표기)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비특허문헌 1]
핫토리레이지, 외 3명, 「신학기보」, ED2001-8, 전류지정형 폴리실리콘 TFT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유기 LED 디스플레이의 회로시뮬레이션, p. 7-14
[비특허문헌 2]
Reiji H et a1.,「AM-LCD01」, OLED-4, p. 223-226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1-5426호 공보.
(발명의 개시)
전술한 전류원회로 612는, L/W 값을 설계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온전류를 1:2:4:8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트랜지스터 555~558은, 제작공정이나 사 용하는 기판의 상위에 따라 생기는 게이트길이, 게이트폭 및 게이트 절연막의 막두께의 변동의 요인이 겹쳐, 임계치나 이동도에 변동이 생겨 버린다. 그 때문에, 트랜지스터 555∼558의 온전류를 설계대로 정확히 1:2:4:8로 하는 것은 곤란하다. 요컨대 열(列)에 의해, 화소에 공급하는 전류값에 변동이 생겨 버린다.
트랜지스터 555∼558의 온전류를 설계대로 정확히 1:2:4:8로 하기 위해서는, 모든 열에 있는 전류원회로의 특성을, 모두 동일하게 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신호선 구동회로가 갖는 전류원회로의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모두 동일하게 할 필요가 있지만, 그 실현은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TFT의 특성변동의 영향을 억제하여, 원하는 신호전류를 화소에 공급할 수 있는 신호선 구동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TFT의 특성변동의 영향을 억제한 회로구성의 화소를 사용함으로써, 화소 및 구동회로의 양쪽을 구성하는 TFT의 특성변동의 영향을 억제하여, 원하는 신호전류를 발광소자에 공급할 수 있는 발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TFT의 특성변동의 영향을 억제하여, 원하는 일정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기회로(본 명세서에서는 전류원회로라 부름)를 설치한 새로운 구성의 신호선 구동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호선 구동회로를 구비한 발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 열(각 신호선 등)에 전류원회로가 배치된 신호선 구동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 신호선(각 열)에 배치된 전류원회로는,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을 사용하여, 소정의 신호전류를 공급하도록 설정된다. 설정된 전류원회로에서는,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에 비례한 전류를 공급하는 능력을 갖는다. 그 결과, 상기 전류원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신호선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TFT의 특성변동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신호전류를 전류원회로로부터 화소에 공급하는지 아닌지 결정하는 스위치는, 비디오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요컨대, 신호선에 비디오신호에 비례한 전류를 흐르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전류원회로에서 신호선 구동회로에 신호전류를 공급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행해지고, 그 스위치는 비디오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전류원회로에서 신호선 구동회로에 신호전류를 공급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스위치인 것을, 신호전류 제어스위치라 부르는 것으로 한다.
이때,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은, 기판 상에 신호선 구동회로와 일체형성해도 되고, IC를 사용하여 기판의 외부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레퍼런스용 전류로서, 기판의 외부에서 일정한 전류가 신호선 구동회로에 공급된다.
본 발명의 신호선 구동회로의 개략에 관해서 도 1,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2에)는, i열번째로부터 (i+2)열번째의 3개의 신호선의 주변의 신호선 구동회로가 표시되어 있다.
우선, 신호선에 비디오신호에 비례한 신호전류를 흐르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1에서, 신호선 구동회로 403에는, 각 신호선(각 열)에 전류원회로가 420이 배치되어 있다. 전류원회로 420은, 단자 a, 단자 b 및 단자 c를 갖는다. 단자 a 에는 설정신호가 입력된다. 단자 b에는 전류선에 접속된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로부터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공급된다. 또한 단자 c는, 전류원회로 420에 유지된 신호를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을 통해 출력한다. 요컨대 전류원회로 420은, 단자 a로부터 입력되는 설정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단자 b로부터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공급되며, 그 전류(레퍼런스용 전류)에 비례한 전류를 단자 c로부터 출력한다. 이때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은, 전류원회로 420과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는, 비디오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어서 도 1과는 다른 구성의 본 발명의 신호선 구동회로에 대하여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신호선 구동회로 403에는, 각각의 신호선마다(각 열) 2개 이상의 전류원회로 42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류원회로 420은 복수의 전류원회로를 갖는다. 그리고 여기서는 가령 2개의 전류원회로를 갖는다고 하고, 전류원회로 420은, 제1 전류원회로 421 및 제2 전류원회로 422를 갖는다고 한다. 제1 전류원회로 421 및 제2 전류원회로 422는, 단자 a, 단자 b, 단자 c 및 단자 d를 갖는다. 단자 a에는 설정신호가 입력된다. 단자 b에는 전류선에 접속된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로부터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공급된다. 또한 단자 c는, 제1 전류원회로 421 및 제2 전류원회로 422에 유지된 신호(신호전류)를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을 통해 출력한다. 요컨대 전류원회로 420은, 단자 a로부터 입력되는 설정신호 및 단자 d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단자 b에서는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공급되며, 그 전류(레퍼런스용 전류)에 비례한 전류( 신호전류)를 단자 c로부터 출력한다. 이때 스위치(신호전류 제어스위치) 101은, 전류원회로 420과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신호전류 제어스위치) 101의 온 또는 오프는, 비디오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는, 전류원회로 420에 대하여 신호전류의 기록을 종료시키는 동작(신호전류를 설정하는, 레퍼런스용 전류에 의해 신호전류를 설정하는, 전류원회로 420이 신호전류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정함)을 설정동작이라 부르고, 신호전류를 화소에 입력하는 동작(전류원회로 420이 신호전류를 출력하는 동작)을 입력동작이라 부르는 것으로 한다. 도 2에서, 제1 전류원회로 421 및 제2 전류원회로 422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제1 전류원회로 421 및 제2 전류원회로 422는, 한쪽은 설정동작을 행하고, 다른쪽은 입력동작을 행한다. 이에 따라 동시에 2개의 동작을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이때 설정동작은 임의의 시간에 임의의 타이밍으로 임의의 회수만 행하면 된다. 어떠한 타이밍으로 설정동작을 행하는지, 화소구성(화소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이나,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 등의 구성에 의해,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설정동작을 행하는 회수는, 신호선 구동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고, 동작하기 시작할 때에, 최저한 1회만 행하면 된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설정동작에 의해 취득한 정보가 새어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정보를 다시 취득하는 편이 좋은 시기가 오면, 다시 설정동작을 행하면 된다.
도 1, 2에 나타낸 신호선 구동회로에서는, 비디오신호에 비례한 신호전류를 신호선에 공급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 는다. 예를 들면, 신호선과는 다른 별도의 배선에 전류를 공급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을 배치할 필요는 없다. 이 스위치 101을 배치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도 1에 대해서는 도 36, 도 2에 대해서는 도 37에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전류는 화소용 전류선에 출력된다. 신호선에는 비디오신호가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는, 비디오신호는, 화소의 제어에 사용하는 경우와 전류원회로의 설정신호에 사용하는 경우의 2개의 경우가 있다. 요컨대, 비디오신호는, 화상의 표시를 위해 이용하는 것은 아니며,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위해 이용한다. 그리고, 비디오신호를 화소의 제어(화상의 표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류원회로는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한다. 또한, 비디오신호를 전류원회로의 설정신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류원회로는 설정동작을 행한다.
이때 전류는 신호선 또는 화소용 전류선의 어느 쪽인지에 출력된다. 전류가 신호선에 출력되는 경우, 비디오신호를 화소의 제어(화상의 표시)에 사용할 때는, 전류원회로는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한다. 왜냐하면, 신호선으로 출력되는 전류가 비디오신호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한편, 전류가 화소용 전류선에 출력되는 경우, 비디오신호를 화소의 제어(화상의 표시)에 사용할 때는,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에서는 입력동작을 행한다고는 한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비디오신호를 화소의 제어(화상의 표시)에 사용할 때는, 신호선에는, 비디오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그 비디오신호와,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가 입력동작일 때에 출력하는 전류와는, 무관계의 것이기 때문이다.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에서는, 화소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을 때에 입력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정동작을 행할 때, 비디오신호를 사용하여, 1열번째로부터 마지막열번째 중, 임의의 열에 배치된 전류원회로를 지정한다. 또한, 임의의 기간만큼, 전류원회로를 지정한다. 그렇게 하면, 복수열에 배치된 전류원회로 중, 설정동작이 필요한 전류원회로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지정된 전류원회로에서는 설정동작에 시간을 들여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정확히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만약에 임의의 열의 전류원회로를 지정할 수 없고, 1열번째로부터 마지막열번째까지 순차로 지정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1열당 설정동작의 기간이 짧아져 버린다. 왜냐하면, 어떤 결정된 기간에 있어서, 1열번째로부터 마지막열번째까지의 전류원회로에 대하여, 설정동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1열당 설정동작의 기간이 짧아져 버리기 때문이다. 그 결과, 충분히 설정동작을 행할 수 없다.
이때 복수열에 배치된 전류원회로 중, 1열번째로부터 마지막열번째까지 순차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해도 된다. 그러나, 1열번째로부터 순차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은 아니고,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랜덤하게 행할 수 있으면, 여러가지 이점이 생긴다. 예를 들면,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는 시간의 길이가 자유롭게 길게 취해지게 된다. 또한,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는 기간이, 1프레임 중에 점재하고 있는 경우는, 임의의 열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으면, 자유도가 올라가, 설정동작을 행하는 기간을 길게 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1프레임 중에 점재하고 있는,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는 기간에 있어서, 1열만큼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그 기간 통틀어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그 밖의 이점으로서는, 전류원회로 내에 배치된 용량소자에서의 전하의 누설의 영향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동작에 따른 문제가 있었던 경우, 그 문제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비디오신호를 전류원회로의 제어를 위해 이용함으로써,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의 제어나 전류원회로를 지정하기 위한 전용의 회로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배치하는 회로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제조시에서의 불량발생률을 억제하여, 수율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치하는 회로수를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아웃면적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액자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 TFT는, 통상의 단결정을 사용한 트랜지스터나, SOI를 사용한 트랜지스터, 유기트랜지스터 등으로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발광장치란 발광소자를 갖는 화소부 및 신호선 구동회로가 기판과 커버재와의 사이에 봉입된 패널, 상기 패널에 IC 등을 실장한 모듈, 디스플레이 등을 범박하게 포함한다. 요컨대 발광장치란, 패널 모듈 및 디스플레이 등의 총칭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전류원회로를 갖는 신호선 구동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TFT의 특성에 좌우되지 않은 회로구성의 화소를 사용함으로써, 화소 및 구동회로의 양쪽을 구성하는 TFT의 특성변동의 영향을 억제하고, 또한 원하는 신호전류 Idata를 발광소자에 공급할 수 있는 발광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2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3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1비트).
도 4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3비트).
도 5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3비트).
도 6은, 전류원회로의 회로도.
도 7은, 전류원회로의 회로도.
도 8은, 전류원회로의 회로도.
도 9는, 타이밍 차트.
도 10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11은, 타이밍 차트.
도 12는, 발광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발광장치의 화소의 회로도.
도 14는,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발광장치의 화소의 회로도.
도 17은, 발광장치의 화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전류원회로의 도면.
도 19는, 전류원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전류원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전류원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3비트).
도 24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3비트).
도 25는,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6은,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7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28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29는,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0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31은,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2는,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의 회로도.
도 33은,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의 회로도.
도 34는,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의 회로도.
도 35는,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의 회로도.
도 36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37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38은, 전류원회로의 회로도.
도 39는, 전류원회로의 회로도.
도 40은, 전류원회로의 회로도.
도 41은, 전류원회로의 회로도.
도 42는, 전류원회로의 회로도.
도 43은, 전류원회로의 회로도.
도 44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45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46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47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48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49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50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51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52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53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54는, 발광장치의 도면.
도 55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56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57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58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59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60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61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62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63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64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65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66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67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68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69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70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71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72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도면.
도 73은, 발광장치의 화소의 회로도.
도 74는, 타이밍 차트.
도 75는, 타이밍 차트.
도 76은, 타이밍 차트.
도 77은 타이밍 차트.
도 78은, 타이밍 차트.
도 79는, 타이밍 차트.
도 80은, 타이밍 차트.
도 81은, 타이밍 차트.
도 82는, 타이밍 차트.
도 83은, 타이밍 차트.
도 84는, 타이밍 차트.
도 85는, 타이밍 차트.
도 86은, 타이밍 차트.
도 87은, 전류원회로의 레이아웃도.
도 88은, 전류원회로의 회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신호선 구동회로에 구비되는 도 1에 나타낸 전류원회로 420의 회로구성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단자 a로부터 입력되는 설정신호란, 제2 래치회로 413으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신호에 해당한다. 단, 비디오신호는 화소의 제어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전류원회로 420에 직접입력되지 않고, 논리연산자를 통해 입력된다. 이 논리연 산자에 의해, 비디오신호를 화소의 제어(화상의 표시)를 위해 사용할 때와, 전류원회로의 제어를 위해 사용할 때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요컨대, 단자 a로부터 입력되는 설정신호란, 설정제어선(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해당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정제어선에 접속된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맞추어, 전류원회로 420의 설정을 행한다.
상기 논리연산자의 2개의 입력단자는, 한쪽에는 제2 래치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비디오신호에 해당), 다른쪽에는 설정제어선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논리연산자에서는, 입력된 2개의 신호의 논리연산을 행하여, 출력단자로부터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전류원회로 420에서는, 상기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설정동작 또는 입력동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비디오신호를 화소의 제어(화상의 표시)에 사용하고 있을 때에, 비디오신호가 전류원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약에 상기 논리연산자를 배치하지 않고, 제2 래치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비디오신호에 해당)에 따라, 전류원회로 420의 설정동작이나 입력동작을 행하면, 비디오신호를 화소의 제어(화상의 표시)에 사용하고 있을 때에도, 전류원회로 420의 설정동작이나 입력동작 등이 행해지게 되어 버린다. 그리고, 어떤 전류원회로 420에 대하여 설정동작이나 입력동작 등이 행해지는지가, 화상의 표시패턴에 의해서 달라져 버린다. 요컨대, 정확하게, 전류원회로 420의 설정동작이나 입력동작 등을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것에 대하여, 상기 논리연산자를 배치하면, 상 기 논리연산자에 입력되는 설정제어선으로부터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비디오신호를 화소의 제어(화상의 표시)에 사용하고 있을 때라도, 상기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의 신호가 변화되거나 하는 것을 막는 수 있어, 정확하게, 전류원회로 420의 설정동작이나 입력동작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2 래치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비디오신호에 해당)는, 화소에 입력하는 비디오신호로서 사용하는 경우와, 전류원회로의 설정신호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2개의 경우가 있다. 요컨대 제2 래치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비디오신호에 해당)를 화소에 입력하는 비디오신호로서 사용할 때에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는 입력동작을 행한다. 또한 제2 래치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비디오신호에 해당)를 전류원회로의 설정신호로서 사용할 때에는, 그 전류원회로는 설정동작을 행한다.
그 때문에, 가령 제2 래치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전류원회로의 단자 a에 그대로 입력하면, 화소에 비디오신호를 입력하고 있을 때에,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는, 설정동작을 동시에 행하게 된다. 요컨대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가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게 되어 버린다. 그렇게 하면, 비디오신호는, 표시하는 화상에 의해 변화되기 때문에, 정확히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전류원회로가 설정동작을 행하는 타이밍을 설정제어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제어한다. 더욱이 어떤 열의 전류원회로에서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인가를 비디오신호를 사용하여 제어한다. 그렇게 하면, 비디 오신호를 화소에 입력하는 비디오신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비디오신호를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신호로서 사용하여 설정동작을 행할 때는, 그 전류원회로가 입력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설정제어선을 제어함으로써, 정확하게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이때 시프트 레지스터란, 플립플롭회로(FF) 등을 복수열 사용한 구성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클록신호(S-CLK), 스타트펄스(S-SP) 및 클록반전신호(S-CLKb)가 입력되어, 이들 신호의 타이밍에 따라, 순차 출력되는 신호를 샘플링펄스라 부른다.
도 6a에서, 스위치 104, 105a, 116과, 트랜지스터 102(n채널형)와, 그 트랜지스터 102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 VGS를 유지하는 용량소자 103을 갖는 회로가 전류원회로 420에 해당한다.
전류원회로 420에서는, 단자 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치 104, 스위치 105a가 온이 된다. 그렇게 하면, 전류선에 접속된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이하 정전류원 109로 표기)로부터, 단자 b를 통해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공급되고, 용량소자 103에 소정의 전하가 유지된다. 그리고 정전류원 109로부터 흐르는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트랜지스터 102의 드레인전류와 같아질 때까지, 용량소자 103에 전하가 유지된다.
이어서, 단자 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치 104, 스위치 105a를 오프로 한다. 그렇게 하면, 용량소자 103에 소정의 전하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102는, 신호전류 Idata에 따른 크기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가령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 스위치 116이 도통상태가 되면, 단자 c를 통해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 트랜지스터 102의 게이트전압은, 용량소자 103에 의해 소정의 게이트전압으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102의 드레인영역에는 신호전류 Idata에 따른 드레인전류가 흐른다. 그 때문에, 신호선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특성변동에 좌우되지 않고, 화소에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위치 116이 도통상태가 되면, 단자 c를 통해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 스위치 104 및 스위치 105a의 접속구성은 도 6a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위치 104의 한쪽을 단자 b에 접속하고, 다른쪽을 트랜지스터 102의 게이트전극의 사이에 접속하며, 또한 스위치 105a의 한쪽을, 스위치 104를 통해 단자 b에 접속하고, 다른쪽을 스위치 106에 접속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리고 스위치 104 및 스위치 105a는, 단자 a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혹은, 스위치 104는 단자 b와 트랜지스터 102의 게이트전극의 사이에 배치하고, 스위치 105a는 단자 b와 스위치 116의 사이에 배치해도 된다. 요컨대, 도 38a를 참조하면, 설정동작시에는 도 38a1과 같이 접속되고, 입력동작시에는 도 38a2와 같이 접속되도록, 배선이나 스위치를 배치하면 된다. 배선의 개수나 스위치의 개수 및 그 접속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도 6a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 420에서는, 신호를 설정하는 동작(설정동작)과, 신호를 화소에 입력하는 동작(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것은 할 수 없다. 도 6b에서, 스위치 124, 스위치 125와, 트랜지스터 122(n채널형)와, 그 트랜지스터 122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 VGS를 유지하는 용량소자 123과 트랜지스터 126(n채널형)을 갖는 회로가 전류원회로 420에 해당한다.
트랜지스터 126은 스위치 또는 전류원용 트랜지스터의 일부 중 어느 하나로서 기능한다.
전류원회로 420에서는, 단자 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치 124, 스위치 125가 온이 된다. 그렇게 하면, 전류선에 접속된 정전류원 109로부터, 단자 b를 통해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공급되고, 용량소자 123에 소정의 전하가 유지된다. 그리고 정전류원 109로부터 흐르는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트랜지스터 122의 드레인전류와 같아질 때까지, 용량소자 123에 전하가 유지된다. 이때 스위치 124가 온으로 되면, 트랜지스터 126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 VGS가 OV가 되므로, 트랜지스터 126은 오프가 된다.
이어서, 스위치 124, 스위치 125를 오프로 한다. 그렇게 하면, 용량소자 123에 소정의 전하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122는, 신호전류 Idata에 따른 크기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가령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이 도통상태가 되면, 단자 c를 통해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 트랜지스터122의 게이트전압은, 용량소자 123에 의해 소정의 게이트전압으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122의 드레인영역에는 신호전류 Idata 에 따른 드레인전류가 흐른다. 그 때문에, 신호선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특성변동에 좌우되지 않고, 화소에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 124, 125가 오프하면, 트랜지스터 126의 게이트와 소스는 동전위가 아니게 된다. 그 결과, 용량소자 123에 유지된 전하가 트랜지스터 126 쪽에도 분배되고, 트랜지스터 126이 자동적으로 온이 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 122, 126은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서로의 게이트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122, 126은 멀티게이트의 트랜지스터로서 동작한다. 요컨대, 설정동작시와 입력동작시에서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길이 L이 다른 것으로 된다. 따라서, 설정동작시에 단자 b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값은, 입력동작시에 단자 c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값보다도 크게 하는 것을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단자 b와 레퍼런스용 정전류원과의 사이에 배치된 여러가지 부하(배선저항, 교차용량 등)를, 보다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동작을 아주 빠르게 완료시킬 수 있다. 이때,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트랜지스터 126이 도통상태가 되면, 단자 c를 통해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 배선의 개수, 스위치의 개수 및 그 접속구성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요컨대, 도 38b를 참조하면, 설정동작시에는 도 38b1과 같이 접속되고, 입력동작시에는 도 38b2와 같이 접속되도록, 배선이나 스위치를 배치하면 된다. 특히, 도 38c2에서는, 용량소자 107에 축적된 전하가 누설되지 않게 되어 있으면 된다.
이때 도 6a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 420에서는, 신호를 설정하는 동작(설정동작)과, 신호를 화소에 입력하는 동작(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것은 할 수 없다.
도 6c에서, 스위치 108, 스위치 110, 트랜지스터 105b, 106(n채널형), 그 트랜지스터 105b, 106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 VGS를 유지하는 용량소자 107을 갖는 회로가 전류원회로 420에 해당한다.
전류원회로 420에서는, 단자 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치 108, 스위치 110이 온이 된다. 그렇게 하면 전류선에 접속된 정전류원 109로부터, 단자 b를 통해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공급되고, 용량소자 107에 소정의 전하가 유지된다. 그리고 정전류원 109로부터 흐르는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트랜지스터 105b의 드레인전류와 같아질 때까지, 용량소자 107에 전하가 유지된다. 이때, 트랜지스터 105b 및 트랜지스터 106의 게이트전극은 서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 105b 및 트랜지스터 106의 게이트전압은, 용량소자 107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어서, 단자 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치 108, 스위치 110을 오프로 한다. 그렇게 하면, 용량소자 107에 소정의 전하가 유지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106은, 전류(레퍼런스용 전류)에 따른 크기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가령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이 도통상태가 되면, 단자 c를 통해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 트랜지스터 106의 게이트전압은, 용량소자 107에 의해 소정의 게이트전압으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106의 드레인영역에는 전류(레퍼런스용 전류)에 따른 드레인전류가 흐른다. 그 때문에, 신호선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특성편차에 좌우되지 않고, 화소에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단자 c를 통해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 트랜지스터 106의 드레인영역에, 신호전류 Idata에 따른 드레인전류를 정확히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 105b 및 트랜지스터 106의 특성이 동일한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보다 자세히는, 트랜지스터 105b 및 트랜지스터 106의 이동도, 임계치 등의 값이 동일한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도 6c에서는, 트랜지스터 105b 및 트랜지스터 106의 W(게이트폭)/L(게이트길이)의 값을 임의로 설정하여, 정전류원 109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비례한 전류를 화소에 흐르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105b 및 106 중, 정전류원 109에 접속된 트랜지스터 W/L를 크게 설정함으로써, 그 정전류원 109로부터 대전류를 공급하여, 기록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때 도 6b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 420에서는, 신호를 설정하는 동작(설정동작)과, 신호를 화소에 입력하는 동작(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d, 6e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 420은, 도 6c에 나타내는 전류원회 로 420과 스위치 110의 접속구성이 다른 점 이외는, 그 외의 회로소자의 접속구성은 동일하다. 또한 도 6d, 6e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 420의 동작은, 도 6c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 420의 동작에 준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배선의 개수, 스위치의 개수 및 그 접속구성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요컨대, 도 38c를 참조하면, 설정동작시에는 도 38c1과 같이 접속되고, 입력동작시에는 도 38c2와 같이 접속되도록, 배선이나 스위치를 배치하면 된다. 특히, 도 38c2에서는, 용량소자 107에 축적된 전하가 누설되지 않게 되어 있으면 된다.
도 39a에서 스위치 195b, 195c, 195d, 195f, 트랜지스터195a, 용량소자 195e를 갖는 회로가 전류원회로에 해당한다. 도 39a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에서는, 단자 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치 195b, 195c, 195d, 195f가 온이 된다. 그렇게 하면, 단자 b를 통해, 전류선에 접속된 정전류원 109로부터 전류가 공급되고, 정전류원 109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전류와 트랜지스터 195a의 드레인전류가 같아질 때까지, 용량소자 195e에 소정의 전하가 유지된다.
이어서, 단자 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치 195b, 195c, 195d, 195f가 온이 된다. 이때, 용량소자 195e에는 소정의 전하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195a는 신호전류에 따른 크기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을 갖는다. 이것은, 트랜지스터 195a의 게이트전압은, 용량소자 195e에 의해 소정의 게이트전압으로 설정되어 있고, 그 트랜지스터 195a의 드레인영역에는 전류(레퍼런스용 전류)에 따른 드레인전류가 흐르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단자 c를 통해 외부에 전류가 공급된다. 이때 도 39a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에서는, 전류원회로가 신호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을 갖도록 설정하는 설정동작과, 그 신호전류를 화소에 입력하는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것은 할 수 없다. 또한 단자 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가 온이고, 또한 단자 c로부터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있을 때는, 단자 c와 다른 전위의 배선을 접속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그 배선의 전위를, Va로 한다. Va는, 단자 b로부터 흘러 오는 전류를 그대로 흐르게 할 수 있는 전위이면 되고, 일례로서는, 전원전압 Vdd 등이어도 된다.
이때 배선의 개수, 스위치의 개수 및 그 접속구성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요컨대, 도 39B, 39c를 참조하면, 설정동작시에는 도 39b1, 39c1과 같이 접속되고, 입력동작시에는 도 39b2, 39c2와 같이 접속되도록, 배선이나 스위치를 배치하면 된다.
또한 도 6a, 도 6c∼6e의 전류원회로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화소로부터 신호선 구동회로로의 방향)은 마찬가지로서, 트랜지스터 102, 트랜지스터 105b, 트랜지스터 106의 극성(도전형)을 p채널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래서 도 7a에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화소로부터 신호선 구동회로로의 방향)은 동일하고, 도 6a 나타내는 트랜지스터 102를 p채널형으로 하였을 때의 회로구성을 나타낸다. 도 6a에서는, 용량소자를 게이트·소스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소스의 전위는 변화되어도,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b∼7d에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화소로부터 신호선 구동회로로의 방향)은 마찬가지로서, 도 6c∼6e에 나타내는 트랜지스터 105b, 트랜지스터 106을 p채널형으로 한 회로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40a에는, 도 39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195a를 p채널형으로 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40b에는, 도 6b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122, 126을 p채널형으로 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2에서, 스위치 104, 116, 트랜지스터 102, 용량소자 103 등을 갖는 회로가 전류원회로에 해당한다.
도 42a는, 도 6a의 일부를 변경한 회로에 해당한다. 도 42a에 나타내는 전류 원회로에서는, 전류원의 설정동작시와, 입력동작시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폭 W가 다르다. 요컨대, 설정동작시에는, 도 42b와 같이 접속되고, 게이트폭 W가 크다. 입력동작시에는, 도 42c와 같이 접속되고, 게이트폭 W가 작다. 따라서, 설정동작시에 단자 b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값은, 입력동작시에 단자 c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값보다도 크게 하는 것을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단자 b와 레퍼런스용 정전류원과의 사이에 배치된 여러가지 부하(배선저항, 교차용량 등)를, 보다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동작을 아주 빠르게 완료시킬 수 있다.
이때, 도 42에서는, 도 6a의 일부를 변경한 회로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 6의 다른 회로나 도 7, 도 39, 도 40, 도 41 등의 회로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도 6, 도 7, 도 39에 나타낸 전류원회로에서는, 전류는 화소로부터 신호선 구동회로의 방향으로 흐른다. 그렇지만, 전류는 화소로부터 신호선 구동회로의 방향으로 흐를 뿐만 아니라, 신호선 구동회로에서 화소의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도 있다. 전류가 어느쪽의 방향으로 흐르는지는, 화소의 구성에 의존한다. 전류가 신호선 구동회로에서 화소의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는, 도 6에서, Vss(저전위전원)를 Vdd(고전위전원)로 변경하고, 트랜지스터 102, 105b, 106, 122, 126을 p채널형으로 하면 된다. 또한 도 7에서, Vss를 Vdd로 변경하여, 트랜지스터 102, 105b, 106을 n채널형으로 하면 된다.
이때, 상기한 모든 전류원회로에서, 배치되어 있는 용량소자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용량 등을 대용함으로써,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 도 7a∼7d, 도 40a, 40b의 회로는, 설정동작시에는 도 41a1∼d1과 같이 접속되고, 입력동작시에는 도 41a2∼d2와 같이 접속되도록, 배선이나 스위치를 배치하면 된다. 배선의 개수나 스위치의 개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는, 도 6, 7을 사용하여 설명한 전류원회로 중 도 6a 및 도 7a, 도 6c∼6e 및 도 7b∼7d의 전류원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6a 및 도 7a의 전류원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도 1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9a∼도 19c는, 전류가 회로소자 사이를 흘러가는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9d는, 신호전류 Idata를 전류원회로에 기록할 때의 각 경로를 흐르는 전류와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9e는, 신호전류 Idata를 전류원회로에 기록할 때에 용량소자 16에 축적되는 전압, 요컨대 트랜지스터 15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과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9a∼도 19c에 나타내는 회로도에 있어서, 11은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스위치 12∼스위치 14는 스위칭기능을 갖는 반도체소자, 15는 트랜지스터(n채널형), 16은 용량소자, 17은 화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 14와, 트랜지스터 15와, 용량소자 16이 전류원회로 20에 해당하는 전기회로로 한다. 이때 도 19a에는 인출선과 부호가 붙여져 있고, 도 19b, 19c에서 인출선과 부호는 도 19a에 준하므로 도시는 생략한다.
n채널형의 트랜지스터 15의 소스영역은 Vss에 접속되고, 드레인영역은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용량소자 16의 한쪽의 전극은 Vss(트랜지스터 15의 소스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전극은 스위치 14(트랜지스터 15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용량소자 16은, 트랜지스터 15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화소 17은, 발광소자나 트랜지스터 등에 의해 구성된다. 발광소자는, 양극과 음극과, 그 양극과 그 음극과의 사이에 끼워진 발광층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양극을 화소전극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음극을 대향전극이라 부르고, 음극을 화소전극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양극을 대향전극이라 부른다. 또한 발광층에는, 공지의 발광재료를 사용하고 제작할 수 있다. 발광층에는, 단층구조와 적층구조의 두개의 구조가 있지만, 본 발명은 공지의 어떠한 구조를 사용해도 된다. 발광층에서의 루미네센스에는, 일중항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되돌아갈 때의 발광(형광)과, 3중항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되돌아갈 때의 발광(인광)이 있지만, 본 발명은 어느쪽인지 한쪽, 또는 양쪽의 발광을 사용한 발광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은, 유기재료나 무기재료 등의 공지의 재료로 구성된다.
이때 실제로는, 전류원회로 20은 신호선 구동회로에 설치된다. 그리고 신호선 구동회로에 설치된 전류원회로 20으로부터, 신호선이나 화소가 갖는 회로소자 등을 통해 발광소자에 신호전류 Idata에 따른 전류가 흐른다. 그러나 도 19는,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1, 전류원회로 20 및 화소 17과의 관계의 개략을 간단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므로, 자세한 구성의 도시는 생략한다.
우선 전류원회로 20이 신호전류 Idata를 유지하는 동작(설정동작)을 도 19a, 19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9a에서, 스위치 12, 스위치 14가 온이 되고, 스위치 13은 오프가 된다. 이 상태에서,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1로부터 신호전류 Idata가 출력되고,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1로부터 전류원회로 20의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간다. 이때,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1로부터는 신호전류 Idata가 흐르고 있으므로,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류원회로 20 내에서는, 전류의 경로는 I1과 I2로 분리되어 흐른다. 이때의 관계를 도 19d에 나타내고 있지만, 신호전류 Idata=I1+ 12의 관계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1로부터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 순간에는, 용량소자16에 전하는 유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15는 오프하고 있다. 따라서, I2=0이 되고, Idata=I1이 된다.
그리고, 서서히 용량소자 16에 전하가 축적되어, 용량소자 16의 양쪽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생기기 시작한다(도 19e). 양쪽 전극 사이의 전위차가 Vth가 되면(도 19e A점), 트랜지스터 15가 온하여, I2>0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Idata=I1+I2이므로, I1은 점차로 감소하지만, 여전히 전류는 흐르고 있다. 용량소자 16에는, 또한 전하의 축적이 행해진다.
용량소자 16의 양쪽 전극 사이의 전위차는, 트랜지스터 15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이 된다. 그 때문에, 트랜지스터 15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이 원하는 전압, 요컨대 트랜지스터 15가 Idata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만큼의 전압(VGS)이 될 때까지, 용량소자 16에서의 전하의 축적은 계속된다. 그리고 전하의 축적이 종료하면(도 19e B점), 전류 I1은 흐르게 되지 않고, 또한 트랜지스터 15는 온되어 있으므로, 1data=I2가 된다(도 19b).
이어서, 화소에 신호전류 Idata를 입력하는 동작(입력동작)을 도 19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화소에 신호전류 Idata를 입력할 때에는, 스위치 13을 온으로 하여 스위치 12 및 스위치 14를 오프로 한다. 용량소자 16에는 전술한 동작에 있어서 기록된 VGS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15는 온되어 있고, 신호전류 Idata와 같은 전류가, 스위치 13 및 트랜지스터 15를 통해 Vss의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화소로의 신호전류 Idata의 입력이 완료한다. 이때, 트랜지스터 15를 포화영역에서 동작하도록 해 두면, 트랜지스터 15의 소스·드레인 사이 전압이 변화되었다고 해도, 발광소자에는 일정한 전류가 공급된다.
도 19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 20에서는, 도 19a∼도 1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전류원회로 20에 대하여 신호전류 Idata의 기록을 종료시키는 동작(설정동작, 도 19a, 19b에 해당)과, 화소에 신호전류 Idlata를 입력하는 동작(입력동작, 도 19c에 해당)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화소에서는 입력된 신호전류 Idata에 근거하여, 발광소자에의 전류의 공급이 행해진다.
도 19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 20에서는,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것은 할 수 없다. 따라서,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화소가 복수개 접속되어 있는 신호선으로서, 또한 화소부에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신호선의 각각에, 적어도 2개의 전류원회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신호전류 Idata를 화소에 입력하지 않고 있는 기간 내에,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면, 신호선마다(각 열에) 하나의 전류원회로를 설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19a∼도 19c에 나타낸 전류원회로 20의 트랜지스터 15는 n채널형이지만, 물론 전류원회로 20의 트랜지스터15를 p채널형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트랜 지스터 15가 p채널형인 경우의 회로도를 도 19f에 나타낸다. 도 19f에서, 31은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스위치 32∼스위치 34는 스위칭기능을 갖는 반도체소자(트랜지스터), 35는 트랜지스터(p채널형), 36은 용량소자, 37은 화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 34와, 트랜지스터 35와, 용량소자 36이 전류원회로 24에 해당하는 전기회로로 한다.
트랜지스터 35는 p채널형이고, 트랜지스터 35의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은, 한쪽은 Vdd에 접속되고, 다른쪽은 정전류원 3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용량소자 36의 한쪽의 전극은 Vdd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전극은 스위치 36에 접속되어 있다. 용량소자 36은, 트랜지스터 35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19f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 24의 동작은,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다른 이외는, 상기한 전류원회로 20과 같은 동작을 행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 트랜지스터 15의 극성을 변경한 전류원회로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도 7a에 나타내는 회로도를 참고로 하면 된다.
이때 도 43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은 도 19f와 같고, 트랜지스터 35를 n채널형으로 하고 있다. 용량소자 36은, 트랜지스터 35의 게이트·소스 사이에 접속한다. 트랜지스터 35의 소스의 전위는 설정동작시와 입력동작시로 다르다. 그러나, 소스의 전위가 변화되어도,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계속해서, 도 6c∼6e 및 도 7b∼7d의 전류원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도 20, 도 2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0a∼도 20c에는, 전류가 회로소자 사이를 흘러가는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0d는, 신호전류 Idata를 전류원회로에 기록할 때의 각 경로를 흐르는 전류와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도 20e는, 신호전류 Idata를 전류원회로에 기록할 때에 용량소자 46에 축적되는 전압, 요컨대 트랜지스터 43, 44의 게이트 소스 사이 전압과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0a∼도 20c에 나타내는 회로도에 있어서, 41은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스위치 42는 스위칭기능을 갖는 반도체소자, 43, 44는 트랜지스터(n채널형), 46은 용량소자, 47은 화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 42와, 트랜지스터 43, 44와, 용량소자 46을 갖는 회로가 전류원회로 25에 해당하는 전기회로로 한다. 이때 도 20a에는 인출선과 부호가 붙여져 있고, 도 20b, 20c에서 인출선과 부호는 도 20a에 준하므로 도시는 생략한다.
n채널형의 트랜지스터 43의 소스영역은 Vss에 접속되고, 드레인영역은 정전류원 41에 접속되어 있다. n채널형의 트랜지스터 44의 소스영역은 Vss에 접속되고, 드레인영역은 발광소자 47의 단자 48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용량소자 46의 한쪽의 전극은 Vss(트랜지스터 43 및 44의 소스)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전극은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용량소자 46은,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실제로는, 전류원회로 25는 신호선 구동회로에 설치된다. 그리고 신호선 구동회로에 설치된 전류원회로 25로부터, 신호선이나 화소가 갖는 회로소자 등을 통해 발광소자에 신호전류 Idata에 따른 전류가 흐른다. 그러나 도 20은, 레퍼 런스용 정전류원 41, 전류원회로 25 및 화소 47과의 관계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므로, 자세한 구성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20의 전류원회로 25에서는,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의 사이즈가 중요하게 된다. 그래서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의 사이즈가, 같은 경우와 다른 경우에 대하여, 부호를 나누어 설명한다. 도 20a∼도 20c에서, 트랜지스터 43및 트랜지스터 44의 사이즈가 같은 경우에는, 신호전류 Idlata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의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는, 신호전류 Idata1과 신호전류 Idata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때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의 사이즈는,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W(게이트폭)/L(게이트길이)의 값을 사용하여 판단된다.
처음에,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의 사이즈가 같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우선 신호전류 Idata를 전류원회로 20에 유지하는 동작을 도 20a, 20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0a에서, 스위치 42가 온이 되면,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41에서 신호전류 Idata가 설정되고, 정전류원 41로부터 전류원회로 25의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간다. 이때,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41로부터는 신호전류 Idata가 흐르고 있으므로,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류원회로 25 내에서는, 전류의 경로는 I1과 I2로 분리되어 흐른다. 이때의 관계를 도 20d에 나타내고 있지만, 신호전류 Idata=I1+I2의 관계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정전류원 41로부터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 순간에는, 용량소자 46에 전하는 유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는 오프되어 있다. 따 라서, I2=0이 되고, Idata=I1이 된다.
그리고, 서서히 용량소자 46에 전하가 축적되어, 용량소자 46의 양쪽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생기기 시작한다(도 20e). 양쪽 전극 사이의 전위차가 Vth가 되면(도 20e A점),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가 온하여, I2>0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Idata=I1+I2이므로, I1은 점차로 감소하지만, 여전히 전류는 흐르고 있다. 용량소자 46에는, 더욱 전하의 축적이 행해진다.
용량소자 46의 양쪽 전극 사이의 전위차는,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이 된다. 그 때문에,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이 원하는 전압, 요컨대 트랜지스터 44가 Idata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만큼의 전압(VGS)이 될 때까지, 용량소자 46에서의 전하의 축적은 계속 할 수 있다. 그리고 전하의 축적이 종료하면(도 20e B점), 전류 I1은 흐르지 않게 되고, 또한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는 온되어 있으므로, Idata=I2가 된다(도 20b).
이어서, 화소에 신호전류 Idata를 입력하는 동작을 도 20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위치 42를 오프로 한다. 용량소자 46에는 소정의 전하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는 온되어 있고, 화소 47로부터 신호전류 Idlata와 같은 전류가 흐른다. 이에 따라, 화소에 신호전류 Idata가 입력된다. 이때, 트랜지스터 44를 포화영역에서 동작하도록 해 두면, 트랜지스터 44의 소스·드레인 사이 전압이 변화되었다고 해도, 화소에 있어서 흐르는 전류는 변함이 없이 흐를 수 있다.
이때 도 6c와 같은 커런트미러회로의 경우에는, 스위치 42를 오프로 하지 않아도, 정전류원 41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사용하여 화소 47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요컨대 전류원회로 20에 대하여 신호를 설정하는 동작을 설정동작과, 신호를 화소에 입력하는 동작(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이어서,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의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류원회로 25에서의 동작은, 전술한 동작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의 사이즈가 다르면, 필연적으로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41에서 설정되는 신호전류 Idata1과 화소 47에 흐르는 신호전류 Idata2와는 다르다. 양자의 상위점은,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의 W(게이트폭)/L(게이트길이)의 값의 상위점에 의존한다.
통상은 트랜지스터 43의 W/L 값을, 트랜지스터 44의 W/L 값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트랜지스터43의 W/L 값을 크게 하면, 신호전류 Idata1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신호전류 Idata1로 전류원회로 i를 설정할 때, 부하(교차용량, 배선저항)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빠르게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0a∼도 20c에 나타낸 전류원회로 25의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는 n채널형이지만, 물론 전류원회로 25의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를 p채널형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가 p채널형인 경우의 회로도를 도 21에 나타낸다.
도 21에서, 41은 정전류원, 스위치 42는 스위칭기능을 갖는 반도체소자, 43, 44는 트랜지스터(p채널형), 46은 용량소자, 47은 화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 42와, 트랜지스터 43, 44와, 용량소자 46이 전류원회로 26에 해당하는 전기회로로 한다.
p채널형의 트랜지스터 43의 소스영역은 Vdd에 접속되고, 드레인영역은 정전류원 41에 접속되어 있다. p채널형의 트랜지스터 44의 소스영역은 Vdd에 접속되고, 드레인영역은 발광소자 47의 단자 48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용량소자 46의 한쪽의 전극은(소스)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전극은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용량소자 46은, 트랜지스터 43 및 트랜지스터 44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 24의 동작은,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다른 이외는, 도 20a∼도 20c와 같은 동작을 행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 트랜지스터 43, 트랜지스터 44의 극성을 바꾼 전류원회로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도 7b에 나타내는 회로도를 참고로 하면 된다.
이때,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바꾸지 않고, 트랜지스터의 극성을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그것은, 도 43의 동작에 준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을 정리하면, 도 19의 전류원회로에서는, 전류원에서 설정되는 신호전류 Idata와 같은 크기의 전류가 화소에 흐른다. 바꿔 말하면, 정전류원에서 설정된 신호전류 Idata와, 화소에 흐르는 전류는 값이 동일하고, 전류원회로에 설치된 트랜지스터의 특성변동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또한, 도 19의 전류원회로 및 도 6b의 전류원회로에서는, 설정동작을 행하는 기간에 있어서는, 전류원회로로부터 화소에 신호전류 Idata를 출력하는 것은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1개의 신호선마다 2개의 전류원회로를 설치하고, 한쪽의 전류원회로에 신호를 설정하는 동작(설정동작)을 행하며, 다른쪽의 전류원회로를 사용하여 화소에 Idata를 입력하는 동작(입력동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지 않는 경우는, 각 열에 하나의 전류원회로를 설치할 것만이어도 된다. 이때, 도 39a, 도 40a의 전류원회로는, 도 19의 전류원회로와, 접속이나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다른 이외는, 동일하다. 도 42a의 전류원회로는, 정전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와, 전류원회로로부터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다른 것 이외는, 동일하다. 또한, 도 6b, 도 40b의 전류원회로는, 정전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와, 전류원회로로부터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다른 것 이외는, 동일하다. 요컨대, 도 42a에서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폭 W가 설정동작시와 입력동작시로 다르고, 도 6b, 도 40b에서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길이 L이 설정동작시와 입력동작시로 다를 뿐이며, 그 이외는 도 19의 전류원회로와 같은 구성이다.
한편, 도 20, 21의 전류원회로에서는, 정전류원에서 설정된 신호전류 Idata와, 화소에 흐르는 전류의 값은, 전류원회로에 설치된 2개의 트랜지스터의 사이즈에 의존한다. 요컨대 전류원회로에 설치된 2개의 트랜지스터의 사이즈(W(게이트폭)/L(게이트길이))를 임의로 설계하여, 정전류원에서 설정된 신호전류 Idata와, 화소에 흐르는 전류를 임의로 바꾸는 것을 할 수 있다. 단, 2개의 트랜지스터의 임계치나 이동도 등의 특성에 변동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정확한 신호전류 Idata를 화소에 출력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도 20, 21의 전류원회로에서는, 설정동작을 행하는 기간에 화소에 신호를 입력하는 것은 가능하다. 요컨대, 신호를 설정하는 동작을 설정동작과, 신호를 화소에 입력하는 동작(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19의 전류원회로와 같이, 1개의 신호선에 2개의 전류원회로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TFT의 특성변동의 영향을 억제하여, 원하는 전류를 외부에 공급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19(및 도 6b, 도 40b, 도 42a 등)에 나타낸 전류원회로에서는, 1개의 신호선마다(각 열) 2개의 전류원회로를 설치하고, 한쪽의 전류원회로에서 설정동작을 행하고, 다른쪽의 전류원회로에서 입력동작을 행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전술했다. 이것은,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고 것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제1 전류원회로 421 또는 제2 전류원회로 422의 구성과 그 동작에 대하여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때 신호선 구동회로는, 전류원회로 420, 시프트 레지스터 및 래치회로 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단자 a로부터 입력되는 설정신호란, 제2 래치회로 413으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신호에 해당한다. 요컨대 도 2에서의 설정신호란, 제2 래치회로 413으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신호에 해당한다. 단, 비디오신호는 화소의 제어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전류원회로 420에 직접입력되지 않고, 논리연산자를 통해 입력된다. 이 논리연산자에 의해, 비디오신호를 화소의 제어(화상의 표시)를 위해 사용할 때와, 전류원회로의 제어를 위해 사용할 때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요컨대, 단자 a로부터 입력되는 설정신호란, 설정제어선(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해당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와 제어선의 타이밍에 맞추어, 전류원회로 420의 설정을 행한다.
상기 논리연산자의 2개의 입력단자는, 한쪽에는 제2 래치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비디오신호에 해당)가 입력되고, 다른쪽에는 설정제어선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된다. 논리연산자에서는, 입력된 2개의 신호의 논리연산을 행하여, 출력단자로부터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전류원회로에서는, 상기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설정동작 또는 입력동작을 행한다.
전류원회로 420은, 단자 a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신호와 단자 d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단자 b로부터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공급되고, 그 전류(레퍼런스용 전류)에 비례한 전류를 단자 c로부터 출력한다.
도 8a에서, 스위치 134∼스위치 139와, 트랜지스터 132(n채널형)와, 그 트랜지스터 132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 VGS를 유지하는 용량소자 133을 갖는 회로가 제1 전류원회로 421 또는 제2 전류원회로 422에 해당한다.
제1 전류원회로 421 또는 제2 전류원회로 422에서는, 단자 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치 134, 스위치 136이 온이 된다. 또한 단자 d를 통해 제어선 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치 135, 스위치 137이 온이 된다. 그렇게 하면, 전류선에 접속된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로부터 단자 b를 통해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공급되고, 용량소자 133에 소정의 전하가 유지된다. 그리고 정전류원 109로부터 흐르는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트랜지스터 132의 드레인전류와 같아질 때까지, 용량소자 133에 전하가 유지된다.
이어서, 단자 a, d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치 134∼스위치 137을 오프로 한다. 그렇게 하면, 용량소자 133에 소정의 전하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132는, 신호전류 Idata에 따른 크기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가령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 스위치 138, 스위치 139가 도통상태가 되면, 단자 c를 통해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 트랜지스터 132의 게이트전압은, 용량소자 133에 의해 소정의 게이트전압으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132의 드레인영역에는 신호전류 Idlata에 따른 드레인전류가 흐른다. 그 때문에, 신호선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특성변동에 좌우되지 않고, 화소에 있어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위치 138, 139가 도통상태가 되면, 단자 c를 통해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에 전류가 흐른다.
도 8b에서, 스위치 144∼스위치 147과, 트랜지스터 142(n채널형)와, 그 트랜지스터 142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 VGS를 유지하는 용량소자 143과, 트랜지스터 148(n채널형)을 갖는 회로가 제1 전류원회로 421 또는 제2 전류원회로 422에 해당 한다.
제1 전류원회로 421 또는 제2 전류원회로 4232에서는, 단자 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치 144, 스위치 146이 온이 된다. 또한 단자 d를 통해 제어선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치 145, 스위치 147이 온이 된다. 그렇게 하면, 전류선 i에 접속된 정전류원 109로부터, 단자 b를 통해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공급되고, 용량소자 143에 전하가 유지된다. 그리고 정전류원 109로부터 흐르는 전류(레퍼런스용 전류)가 트랜지스터 142의 드레인전류와 같아질 때까지, 용량소자 143에 전하가 유지된다. 이때 스위치 144, 스위치 145가 온이 되면, 트랜지스터 148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 VGS가 0V가 되므로, 트랜지스터 148은 자동적으로 오프가 된다.
이어서, 단자 a, d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치 144∼147이 오프가 된다. 그렇게 하면, 용량소자 143에는 소정의 전하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142는 신호전류에 따른 크기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을 갖는다. 그리고 가령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이 도통상태가 되면, 단자 c를 통해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에 전류가 공급된다. 이것은, 트랜지스터 142의 게이트전압은 용량소자 143에 의해 소정의 게이트전압으로 설정되어 있고, 그 트랜지스터 142의 드레인영역에는 신호전류 Idata에 따른 드레인전류가 흐른다. 그 때문에, 신호선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특성변동에 좌우되지 않고, 화소에 있어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 144, 145가 오프되면, 트랜지스터 142의 게이트와 소스는 동전 위가 아니게 된다. 그 결과, 용량소자 143에 유지된 전하가 트랜지스터 148쪽에도 분배되고, 트랜지스터 148이 자동적으로 온이 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 142, 148은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서로의 게이트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142, 148은 멀티게이트의 트랜지스터로서 동작한다. 요컨대, 설정동작시와 입력동작시에서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길이 L이 다른 것으로 된다. 따라서, 설정동작시에 단자 b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값은, 입력동작시에 단자 c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값보다도 크게 하는 것을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단자 b와 레퍼런스용 정전류원과의 사이에 배치된 여러가지 부하(배선저항, 교차용량 등)를, 보다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동작을 아주 빠르게 완료시킬 수 있다. 이때,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위치 144, 145가 오프가 되면, 단자 c를 통해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 도 8a는, 도 6a의 구성에 단자 d를 추가한 구성에 해당한다. 도 8b는, 도 6b의 구성에 단자 d를 추가한 구성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도 6a, 6b의 구성에 스위치를 직렬로 추가하여 배치함으로써, 단자 d를 추가한 도 8a, 8b의 구성으로 변형된다. 이때, 제1 전류원회로 421 또는 제2 전류원회로 422에는, 2개의 스위치를 직렬로 배치함으로써, 도 6, 도 7, 도 39, 도 40, 도 42 등에 나타낸 전류원회로의 구성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는, 1개의 신호선마다 제1 전류원회로 421 및 제2 전류원회로 422의 2개의 전류원회로를 갖는 전류원회로 420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1개의 신호선마다 전류원회로의 개수는 특히 한정 되지 않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전류원회로는, 각각에 대응한 정전류원을 설치하도록 설정하여, 그 정전류원으로부터 전류원회로에 신호전류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1개의 신호선마다 3개의 전류원회로 420을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각 전류원회로 420에는 다른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로부터 신호전류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전류원회로 420에는, 1비트용의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을 사용하여 신호전류를 설정하고, 1개의 전류원회로 420에는, 2비트용의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을 사용하여 신호전류를 설정하며, 1개의 전류원회로 420에는, 3비트용의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을 사용하여 신호전류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그렇게 하면, 3비트표시를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TFT의 특성변동의 영향을 억제하여, 원하는 전류를 외부에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실시예형태 1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신호선 구동회로가 구비되는 발광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5a에서, 발광장치는 기판 401 상에,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화소부 402를 갖고, 화소부 402의 주변에는, 신호선 구동회로 403, 제1 및 제2 주사선 구동회로 404, 405를 갖는다. 도 15a에서는, 신호선 구동회로 403과, 2쌍의 주사선 구동회로 404, 405를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회로의 개수는, 화소의 구성에 따라서 임의로 설계할 수 있다. 신호선 구동회 로 403과, 제1 및 제2 주사선구동회로 404, 405에는, FPC 406을 통해 외부로부터 신호가 공급된다.
제1 및 제2 주사선구동회로 404, 405의 구성과 그 동작에 대하여 도 15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 및 제2 주사선 구동회로 404, 405는, 시프트 레지스터 407, 버퍼 408을 갖는다. 시프트 레지스터 407은, 클록신호(G-CLK), 스타트펄스(S-SP) 및 클록반전신호(G-CLKb)에 따라, 순차 샘플링펄스를 출력한다. 그 후 버퍼 408에서 증폭된 샘플링펄스는, 주사선에 입력되어 1행씩 선택상태로 해 나간다. 그리고 선택된 주사선에 의해 제어되는 화소에는, 순차로 신호선으로부터 신호가 기록된다.
이때, 시프트 레지스터 407과 버퍼 408의 사이에 레벨시프터회로를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레벨시프터회로를 배치함으로써, 전압진폭을 크게 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2와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a에 나타낸 신호선 구동회로 403의 구성과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비트의 디지털계조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403에 대하여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대응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또한 여기서는 선순차 구동의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3a에는, 1비트의 디지털계조표시를 행하는 경우에서의 신호선 구동회로 403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신호선 구동회로 403은, 시프트 레지스터 411, 제1 래치회로 412, 제2 래치회로 413, 정전류회로 414를 갖는다.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시프트 레지스터 411은, 플립플롭회로(FF) 등을 복수열 사용하여 구성되고, 클록신호(S-CLK), 스타트펄스(S-SP), 클록반전신호(S-CLKb)가 입력된다. 이것들의 신호의 타이밍에 따라, 순차 샘플링펄스가 출력된다.
시프트 레지스터 411로부터 출력된 샘플링펄스는, 제1 래치회로 412에 입력된다. 제1 래치회로 412에는,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샘플링펄스가 입력되는 타이밍에 따라, 각 열에서 비디오신호를 유지해 간다.
제1 래치회로 412에서, 마지막열까지 비디오신호의 유지가 완료하면, 수평귀선기간 중에, 제2 래치회로 413에 래치펄스가 입력되어, 제1 래치회로 412에 유지되어 있던 비디오신호는, 일제히 제2 래치회로 413에 전송된다. 그러면, 제2 래치회로 413에 유지된 비디오신호는, 1행만큼이 동시에 정전류회로 414로 입력된다.
제2 래치회로 413에 유지된 비디오신호가 정전류회로 414에 입력되고 있는 동안, 시프트 레지스터 411에서는 다시 샘플링펄스가 출력된다. 이후 이 동작을 반복하고, 1프레임만큼의 비디오신호의 처리를 행한다. 이때 정전류회로 414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갖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정전류회로 414는, 전류원회로 420을 복수설치된다. 도 3b에는, i열번째로부터 (i+2)열번째의 3개의 신호선의 주변의 신호선 구동회로의 개략을 나타낸다.
전류원회로 420은, 단자 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전 류원회로 420에는, 단자 b를 통해, 전류선에 접속된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로부터 전류가 공급된다. 그리고 전류원회로 420과 신호선 Sn에 접속된 화소와의 사이에는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이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는 비디오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비디오신호가 명(明)신호인 경우, 전류원회로 420으로부터 화소에 신호전류가 공급된다. 또한 비디오신호가 암(暗)신호인 경우,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이 제어되어 화소에 전류는 공급되지 않는다. 요컨대 전류원회로 420은, 소정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을 갖고, 그 전류를 화소에 공급하는지 아닌지는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전류원회로 420의 구성에는, 도 6, 도 7, 도 39, 도 40, 도 42 등에 나타낸 전류원회로 420의 구성을 임의로 사용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전류원회로 420에는, 하나의 구성을 채용할 뿐만 아니며, 복수를 채용해도 된다.
이때 단자 a로부터 입력되는 설정신호란, 제2 래치회로 413으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신호에 해당한다. 단, 비디오신호는 화소의 제어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전류원회로 420에 직접입력되지 않고, 논리연산자를 통해 입력된다. 요컨대, 단자 a로부터 입력되는 설정신호란, 설정제어선에 접속된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해당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정제어선에 접속된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맞추어, 전류원회로 420의 설정을 행한다.
상기 논리연산자의 2개의 입력단자는, 한쪽에는 제2 래치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비디오신호에 해당)가 입력되고, 다른쪽에는 설정제어선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된다. 논리연산자에서는, 입력된 2개의 신호의 논리연산을 행하여, 출력단자로부터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전류원회로에서는, 상기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설정동작 또는 입력동작을 행한다.
이때 전류원회로 420에, 도 6a, 7a에 나타낸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동작을 행하고 있는 기간에는,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입력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설정동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단, 입력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기간은, 1프레임기간 중에 연속하여 존재하지 않고, 점재하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경우에는 각 열을 순차로 선택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는 경우, 비디오신호를 이용하여 전류원회로를 지정한다. 따라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도, 1열번째로부터 마지막열번째까지 순차로 행하는 것은 아니고, 랜덤하게 행할 수 있다. 요컨대, 비디오신호는, 원래, 화상정보를 갖는 신호이다. 따라서, 어떤 열의 화상정보와 별도의 열의 화상정보를 같은 값으로 하거나, 어떤 열의 화상정보만 별도의 값으로 하여, 그 이외의 열의 화상정보를 같은 값으로 하거나, 등으로 하는 것은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열의 비디오신호의 값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열의 비디오신호만 별도의 값으로 하면, 그 열만 선택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음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할 때에는, 또한, 완전히 별도의 열의 비디오신호만 별도의 값으로 하여, 그 열만 선택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열을 순차로 선택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열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정동작을 행하는 시간의 길이도, 자유롭게 길게 취하게 된다. 요컨대, 비디오신호를 이용하여, 어떤 열의 전류원회로를 지정하여 설정동작을 시작하고, 다음에, 언제 다음 열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는지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는 기간이 1개 있었던 경우, 그 기간의 전부를 사용하여, 어떤 1열의 전류원회로에만 설정동작을 행해도 되고, 복수열의 전류원회로에 설정동작을 행해도 된다. 따라서, 설정동작을 행하는 시간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랜덤하게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으면, 여러가지 이점이 생긴다. 예를 들면,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는 기간이, 1프레임 중에 점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임의의 열을 선택할 수 있으면, 자유도가 올라가, 설정동작의 기간을 길게 취할 수 있다. 가령,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는 기간이, 1프레임 중에 점재하고 있어도, 임의의 열을 선택할 수 없고, 1열번째로부터 순차로 선택해야만 하는 경우는, 1프레임 중에 점재하고 있는,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는 기간 중의 1개의 기간을 사용하여, 1열번째로부터 순차로 선택해 가지 않으면 안되어 버리게 된다. 그 때문에, 1열당 설정동작의 기간이 짧아져 버린다.
그 밖의 이점으로서는, 전류원회로 420의 중에 어떤 용량소자(예를 들면, 도 6a에서는 용량소자 103, 도 6b에서는 용량소자 123, 도 6c에서는 용량소자 107등에 해당함)에서의 전하의 누설의 영향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전류원회로 420에는, 용량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단, 용량소자를 트랜지 스터의 게이트용량 등으로 대용해도 된다. 그 용량소자에는,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에 의해, 소정의 전하가 축적된다. 이상적으로는,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은, 전원을 입력했을 때에 1회만 행하면 된다. 요컨대, 신호선 구동회로를 동작시킬 때, 그 동작의 처음의 기간에, 1회만 행하면 된다. 왜냐하면, 용량소자에 축적되는 전하량은, 동작상태나 시간 등에 의해 변화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는, 용량소자에는, 여러가지 노이즈가 들어가거나, 용량소자와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의 누설전류가 흐르거나 한다. 그 결과, 용량소자에 축적되는 전하량이, 시간과 동시에 변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전하량이 변화되면, 전류원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변화되고, 그 결과, 화소에 입력되는 전류가 변화되어 버린다. 그렇게 하면, 화소의 휘도도 변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용량소자에 축적된 전하를 변동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어떤 주기로 정기적으로 행하여, 전하를 리플래시시켜, 변화한 전하를 보존하여 새로 충전할 필요가 생긴다.
가령, 용량소자에 축적된 전하의 변동량이 큰 경우,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여 그 전하를 리플래시시켜, 변화된 전하를 다시 원래로 되돌려, 정확한 양의 전하를 보존하여 새로 충전하도록 하면, 그것에 따라 전류원회로가 출력하는 전류량의 변동도 커진다. 그 때문에, 1열번째로부터 순차로 설정동작을 행하면, 전류원회로가 출력하는 전류량의 변동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만큼의 표시방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요컨대, 1열번째로부터 순차로 생기는 화소의 휘도의 변화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표시방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1열번째로 부터 순차로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은 아니며, 랜덤하게 설정동작을 행하면, 전류원회로가 출력하는 전류량의 변동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배선을 랜덤하게 선택함으로써, 여러가지 이점이 생긴다.
또한 도 3b에서는, 1열씩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시에 복수열에서 설정동작을 행해도 된다. 여기서, 동시에 복수열에서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을 다상화라 부른다. 이때 도 44에는, 2개의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 2개의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에 대해서도 별도로 배치한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으로부터 설정동작을 행해도 된다.
여기서, 도 3b에 나타낸 정전류회로 414의 상세한 구성을 도 45, 도 46에 나타낸다. 도 45는, 전류원회로의 부분에, 도 6c를 적용한 경우의 회로를 나타낸다. 도 46은, 전류원회로의 부분에, 도 6a를 적용한 경우의 회로를 나타낸다.
이때 비디오신호는, 전류원회로의 지정뿐만 아니라, 원래의 용도, 요컨대, 화소의 제어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전류원회로 420에 직접입력되지 않고, 논리연산자를 통해 입력된다. 또한 논리연산자에는, 설정제어선으로부터도 신호가 입력된다. 요컨대, 논리연산자에서는, 비디오신호와 설정제어선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합쳐서 2개의 신호의 논리연산을 행하여, 출력단자로부터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논리연산자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이 제어된다.
요컨대, 논리연산자는, 비디오신호를 화소의 제어(화상의 표시)와 전류원회로의 제어를 바꾸는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논리연산자에 한정되지 않고 , 화소의 제어와 전류원회로의 제어를 바꿀 수 있는 회로이면, 어떠한 회로를 사용해도 된다. 일례로서, 도 45나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를 설치하여, 그 스위치에 의해 바꾸도록 해도 된다.
지금까지는, 선순차 구동의 경우에 대하여 기술해 왔다. 이어서, 여기서는 점순차구동인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47a에서, 비디오선으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신호는, 시프트 레지스터 411로부터 공급되는 샘플링펄스의 타이밍에 따라서 샘플링된다. 또한 전류원회로 420의 설정동작은, 비디오신호에 따라 행해진다. 이와 같이, 도 47a의 구성을 갖는 경우에는, 점순차 구동을 행한다.
이때, 샘플링펄스가 출력되어, 비디오선으로부터 비디오신호가 공급되고 있는 동안에만,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이 온상태가 되고, 또한 샘플링펄스가 출력되어 없어져, 비디오선으로부터 비디오신호가 공급되어 없어지면,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이 오프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정확하게 동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화소에서는, 전류를 입력하기 위한 스위치는 온상태대로 있기 때문이다. 이 상태로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을 오프상태로 하면, 화소에 전류가 입력되어 없어지기 때문에, 정확히 신호를 입력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비디오선으로부터 공급된 비디오신호를 유지하고,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래치회로 452가 배치되어 있다. 래치회로 452는, 단순한 용량소자와 스위치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SRAM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샘플링펄스가 출력되어, 비디오선 으로부터 비디오신호가 1열씩 순차로 공급되고, 그 비디오신호에 근거하여,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이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가 되어, 화소로의 전류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점순차 구동을 실현할 수 있다.
이때, 래치회로 452의 출력(비디오신호)은 화소의 제어에 사용되지만,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각각의 이용을 바꾸기 위해, 래치회로 452의 출력(비디오신호)은, 전류원회로 420에 직접입력되지 않고, 논리연산자 262를 통해 입력된다. 이 논리연산자 262에 의해, 비디오신호를 화소의 제어(화상의 표시)를 위해 사용할 때와, 전류원회로의 제어를 위해 사용할 때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1열번째로부터 마지막열번째까지 순서로 선택되는 경우, 처음인 쪽의 열에서는, 화소에 신호를 입력하는 기간이 길다. 한편, 마지막인 쪽의 열에서는, 비디오신호를 입력해도, 바로, 다음 행의 화소가 선택되어 버린다. 그 결과, 화소에 신호를 입력하는 기간이 짧아져 버린다. 그와 같은 경우, 도 4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소부 402에 배치된 주사선을 중앙에서 분단함으로써, 화소에 신호를 입력하는 기간을 길게 할 수 있다. 그 경우, 화소부 402의 좌측과 우측에 각 1개의 주사선구동회로를 배치하고, 그 주사선구동회로를 사용하여 화소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동일행에 배치되어 있는 화소라도, 우측의 화소와 좌측의 화소에서는, 신호를 입력하는 기간을 어긋나게 할 수 있다. 도 47c에는, 1, 2행번째의 우측과 좌측에 배치된 주사선구동회로의 출력파형과, 시프트 레지스터 411의 스타트펄스(S0SP)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동작시킴으로써, 좌측의 화소이어도, 화소에 신 호를 입력하는 기간을 길게 할 수 있어, 점순차 구동이 하기 쉬워진다.
이때, 선순차 구동이나 점순차 구동이 등에 관계없이, 전류원회로 420의 설정동작은, 임의의 타이밍, 임의의 열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에, 임의의 회수만 행하면 된다. 단, 이상적으로는, 전류원회로 420에 배치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I 소스 사이에 접속된 용량소자에 소정의 전하가 유지되어 있는 한은, 설정동작을 행할 때만 1회만 행하면 된다. 또는, 용량소자에 유지된 소정의 전하가 방전(변동)해 버린 경우에 행하면 된다. 또한, 전류원회로 420의 설정동작은, 어느 정도 기간을 걸어, 전체열의 전류원회로 420의 설정동작을 행해도 된다. 혹은, 1프레임기간 내에, 전체열의 전류원회로 420의 설정동작을 행해도 된다. 혹은, 1프레임기간 내에서는, 수열의 전류원회로 420밖에 설정동작을 행하여, 결과로서, 수프레임기간 이상 걸어, 전체열의 전류원회로 420의 설정동작을 행해도 된다.
또한 각 열에 하나의 전류원회로를 배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전류원회로를 배치해도 된다.
일례로서, 도 3b의 전류원회로의 부분에, 도 2를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그 경우의 정전류회로 414의 자세한 구성을 도 48에 나타낸다. 여기서, 도 48은 전류원회로의 부분에 도 6a를 적용한 경우의 회로를 나타낸다. 제어선을 제어함으로써, 한쪽의 전류원에 대하여 설정동작을 행하고, 동시에, 또 한쪽의 전류원이 입력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호선 구동회로에서의 전류원회로에 대하여, 레이아웃도를 도 87에, 대응한 회로도를 도 88에 나타낸다.
또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3과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a에 나타낸 신호선 구동회로 403의 상세한 구성과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3비트의 디지털계조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40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3비트의 디지털계조표시를 행하는 경우에서의 신호선 구동회로 403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신호선 구동회로 403은, 시프트 레지스터 411, 제1 래치회로 412, 제2 래치회로 413, 정전류회로 414를 갖는다.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시프트 레지스터 411은, 플립플롭회로(FF) 등을 복수열 사용하여 구성되고, 클록신호(S-CLK), 스타트펄스(S-SP), 클록반전신호(S­ CLKb)가 입력된다. 이들 신호의 타이밍에 따라, 순차 샘플링펄스가 출력된다.
시프트 레지스터 411로부터 출력된 샘플링펄스는, 제1 래치회로 412에 입력된다. 제1 래치회로 412에는, 3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Digital Data1∼Digital Data3)가 입력되어 있고, 샘플링펄스가 입력되는 타이밍에 따라, 각 열에서 비디오신호를 유지해 간다.
제1 래치회로 412에서, 마지막열까지 비디오신호의 유지가 완료되면, 수평귀선기간 중에, 제2 래치회로 413에 래치펄스가 입력되고, 제1 래치회로 412에 유지되어 있던 3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Digital Data1∼Digital Data3)는, 일제히 제2 래치회로 413에 전송된다. 그렇게 하면, 제2 래치회로 413에 유지된 3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Digital Data1∼Digital Data3)는 1행만큼이 동시에 정전류회로 414로 입력된다.
제2 래치회로 413에 유지된 3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Digital Data1∼Digital Data3)가 정전류회로 414에 입력되고 있는 동안, 시프트 레지스터 411에서는 다시 샘플링펄스가 출력된다. 이후 이 동작을 반복하여, 1프레임만큼의 비디오신호의 처리를 행한다.
정전류회로 414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갖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정전류회로 414에는, 전류원회로 420이 복수설치된다. 도 5에는, i열번째로부터 (i+2)열번째의 3개의 신호선에 관한 신호선 구동회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때 도 5에서는, 각 비트에 대응한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가 배치된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다. 각 전류원회로 420은, 단자 a, 단자 b 및 단자 c를 갖는다. 전류원회로 420은, 단자 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단자 b를 통해, 전류선에 접속된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로부터 전류가 공급된다. 그리고 전류원회로 420과 신호선 Sn에 접속된 화소와의 사이에는 스위치(신호전류 제어스위치) 111∼113이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신호전류 제어스위치) 111∼113은, 1비트∼3비트의 비디오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비디오신호가 명신호인 경우, 전류원회로로부터 화소에 전류가 공급된다. 반대로 비디오신호가 암신호인 경우, 상기 스위치(신호전류 제어스위치) 111∼113이 제어되어, 화소에 전류는 공급되지 않는다. 요컨대 전류원회로 420은, 소정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을 갖고, 그 전류를 화소에 공급하는지 아닌지는 스위치(신호전류 제어스위치) 111∼113에 의해 제어된 다.
이때 도 5에서, 전류선과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은, 각 비트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비트의 전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값의 합계가, 신호선에 공급된다. 요컨대, 정전류원회로 414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의 기능도 갖는다.
이때 단자 a로부터 입력되는 설정신호란, 제2 래치회로 413으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신호에 해당한다. 단, 비디오신호는 화소의 제어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전류원회로 420에 직접입력되지 않고, 논리연산자를 통해 입력된다. 요컨대, 단자 a로부터 입력되는 설정신호란, 설정제어선에 접속된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해당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정제어선에 접속된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맞추어, 전류원회로 420의 설정을 행한다.
상기 논리연산자의 2개의 입력단자는, 한쪽에는 제2 래치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비디오신호에 해당), 다른쪽에는 설정제어선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논리연산자에서는, 입력된 2개의 신호의 논리연산을 행하여, 출력단자로부터 신호를 출력한다. 요컨대 전류원회로 420에서는, 설정제어선에 접속된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맞추어, 설정동작 또는 입력동작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비트의 디지털계조표시를 행하는 경우예로 들어 설명하는 관계상, 각 열에 3개의 전류원회로 420이 설치된다. 1개의 신호선에 접속된 3개의 전류원회로 420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전류를 1:2:4로서 설정하면, 23=8단계로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전류원회로 420의 구성은, 도 6, 도 7, 도 39, 도 40, 도 42 등에 나타낸 전 류원회로 420의 구성을 임의로 사용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전류원회로 420에는, 하나의 구성을 채용할 뿐만 아니며, 복수를 채용해도 된다.
이때, 도 5에 나타낸 신호선 구동회로에서는, 1비트∼3비트의 각각 전용의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가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트수보다도 적은 개수의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최상위비트(여기서는 3비트)의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만을 배치하여, 1열에 배치된 복수의 전류원회로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전류원회로를 설정한다. 그리고, 설정동작이 이미 행해진 전류원회로를 사용하여, 다른 전류원회로의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바꿔 말하면, 설정동작이 이미 행해진 전류원회로를 사용하여, 설정정보를 공유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3비트용의 전류원회로 420에만 설정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이미 설정동작이 행해진 전류원회로 420을 사용하여, 다른 1비트용과 2비트용의 전류원회로 420에, 정보를 공유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류원회로 420 중에서,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지스터(도 6a에서는 트랜지스터 102가 해당)의 게이트단자를 접속하여, 소스단자도 접속한다. 그 결과,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트랜지스터(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은, 같아진다.
이때, 도 49에서는, 최하위비트(여기서는 1비트)의 전류원회로가 아니라, 최상위비트(여기서는 3비트)의 전류원회로에,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값이 큰 비트의 전류원회로에 대하여 설정동작을 행함으로써, 비트 사이의 전류원회로의 특성변동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가령, 최하위비트(여기서는 1비트)의 전류원회로에 설정동작을 행하고, 상위비트의 전류원회로에 최하위비트의 전류원회로가 행한 설정동작의 정보를 공유한 경우, 각각의 전류원회로의 특성이 변동하면, 상위비트의 전류값이 정확한 값이 되지 않게 된다. 상위비트의 전류원회로는, 출력하는 전류값이 크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특성이 변동하면, 그 변동의 영향이 커지고 마는, 출력하는 전류값도 크게 변동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반대로, 최상위비트( 여기서는 3비트)의 전류원회로에 설정동작을 행하고, 하위비트의 전류원회로에 정보를 공유한 경우, 각각의 전류원회로의 특성이 변동해도, 출력하는 전류값이 작기 때문에, 변동에 의한 전류값의 차가 작고, 영향은 작아진다.
이하에는, 1예로서, 도 4, 도 5, 도 49에 나타낸 정전류회로 414의 상세한 구성을 도 23, 도 24, 도 50에 나타낸다. 도 23, 도 24, 도 50의 각 열에 설치된 전류원회로 420에서, 신호선 Si(1≤i≤n)에 소정의 신호전류의 출력을 하는지 아닌지는, 제2 래치회로 413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갖는 정보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런트미러회로를 갖는 구성으로 전류원회로 420을 구성할 때에는, 도 23,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류원회로 420이 갖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이 공통으로 접속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도 50에는, 도 5에 나타낸 신호선 구동회로에, 도 6a의 전류원회로를 배치한 경우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50에서는, 설정동작시에는, 트랜지스터 A∼C는 오프로서 동작시킨다. 이것은 전류의 누설을 막기 위해서이다. 혹은, 트랜지스터 A∼C 와 직렬로 스위치를 배치하고, 설정동작시에는 오프로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23, 24에는, 비트수보다도 적은 개수의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를 배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23에는, 도 49에 나타낸 신호선 구동회로에, 도 6c의 전류원회로를 배치한 경우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24에는, 도 49에 도시한 신호선 구동회로에, 도 6a의 전류원회로를 배치한 경우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23에서, 각 열에 설치된 전류원회로 420은, 신호선 Si(1≤i≤n)로 소정의 신호전류 Idata를 출력하는지 아닌지를 제2 래치회로 413으로부터 입력되는 3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Digital Data1∼Digital Data3)가 갖는 High 또는 Low의 정보에 의해 제어된다.
전류원회로 420은, 트랜지스터 180∼트랜지스터 188 및 용량소자 189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랜지스터 180∼트랜지스터 188은 모두 n채널형으로 한다.
트랜지스터 180의 게이트전극에는, 제2 래치회로 413으로부터 1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180의 소스영역과 트레인영역은, 한쪽은 소스신호선(Si)에 접속되고, 다른쪽은 트랜지스터 183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의 한쪽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181의 게이트전극에는, 제2 래치회로 413으로부터 2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181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은 한쪽은 소스신호선(Si)에 접속되고, 다른쪽은 트랜지스터 184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의 한쪽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182의 게이트전극에는, 제2 래치회로 413으로부터 3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182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은, 한쪽은 소스신호선(Si)에 접속되어, 다른쪽은 트랜지스터 185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의 한쪽에 접속되어 있는 있다.
트랜지스터 183∼트랜지스터 185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은, 한쪽은 Vss에 접속되고, 다른쪽은 트랜지스터 180∼트랜지스터 182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의 한쪽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186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은, 한쪽은 Vss에 접속되고, 다른쪽은 트랜지스터 188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의 한쪽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187과 트랜지스터 188의 게이트전극에는, AND 193의 출력단자로부터 신호가 입력된다. AND 193의 입력단자의 한쪽에는 제어선에 접속되고, 다른쪽은 제2 래치회로 413에 접속된다. 이때 도 23에서는, AND 193의 입력단자의 한쪽은 제어선에 접속되고, 다른쪽은 1비트용(1st Bit)의 래치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AND 193의 입력단자의 한쪽은 1비트용(1st Bit)의 래치회로, 2비트용의 래치회로(2and Bit) 및 3비트용의 래치회로(3rd Bit)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트랜지스터 187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은, 한쪽은 트랜지스터 186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의 한쪽에 접속되고, 다른쪽은 용량소자 189의 한쪽의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188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은, 한쪽은 전류선 190에 접속되고, 다른쪽은 트랜지스터 186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의 한쪽에 접속되어 있 다.
용량소자 189의 한쪽의 전극은, 트랜지스터 183∼트랜지스터 186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전극은 Vss에 접속되어 있다. 용량소자 189는, 트랜지스터 183∼트랜지스터 186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전류원회로 420에서는, 트랜지스터 187 및 트랜지스터 188이 온이 되면 전류선 190에 접속된 레퍼런스용 정전류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전류가 용량소자 189에 흘러간다. 이때 트랜지스터 180∼트랜지스터 182는 오프이다.
그리고 서서히 용량소자 189에 전하가 축적되고, 양쪽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생기기 시작한다. 그리고 양쪽 전극 사이의 전위차가 Vth가 되면, 트랜지스터 183∼트랜지스터 186은 온이 된다.
용량소자 189에서, 그 양쪽 전극의 전위차, 요컨대 트랜지스터 183∼트랜지스터 186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이 원하는 전압이 될 때까지 전하의 축적이 계속된다. 바꿔 말하면, 트랜지스터 183∼트랜지스터 186이 신호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만큼의 전압이 될 때까지, 전하의 축적이 계속된다.
그리고 전하의 축적이 종료되면, 트랜지스터 183∼트랜지스터 186은 완전히 온이 된다.
그리고 전류원회로 420에서, 3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 180∼트랜지스터 182의 도통 또는 비도통이 선택된다.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180∼트랜지스터 182가 모두 도통상태가 되었을 때는, 신호선(Si)에 공급되는 전류는, 트랜지스터 183의 드레인전류와, 트랜지스터 184의 드레인전류와, 트랜지스터 185 의 드레인전류의 총합이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180만이 도통상태가 되었을 때는, 트랜지스터 183의 드레인전류만이 신호선(Si)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트랜지스터 183∼185의 게이트단자를 접속함으로써, 설정동작에 의한 정보를 공유시킬 수 있다.
이때, 여기서는, 동일열에 배치된 트랜지스터 내에서, 설정동작에 의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별도의 열의 트랜지스터와도, 설정동작에 의한 정보를 공유시켜도 된다. 요컨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자를, 별도의 열의 트랜지스터와도 접속시켜도 된다. 이에 따라, 설정해야 할 전류원회로의 수를 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설정동작을 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회로수를 감할 수 있으므로, 레이아웃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시에는, 트랜지스터 182는 오프로서 동작시킨다. 이것은 전류의 누설을 막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 24의 구성에서, 트랜지스터 182와 직렬로 스위치 203을 배치한 경우의 전류원회로의 회로도를 도 51에 나타낸다. 도 51에서는, 스위치 203을 설정동작시에는 오프로 하고, 그 이외일 때로는 온으로 한다.
이때 도 23, 도 24, 도 51에서는, 트랜지스터 183의 드레인전류와, 트랜지스터 184의 드레인전류와, 트랜지스터 185의 드레인전류를 1:2:4로서 설정하면, 23=8단계로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트랜지스터 183∼185의 W(채널폭)/L(채널길이)값을, 1:2:4로서 설계하면, 각각의 온전류가 1:2:4가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신호는 화소의 제어와 전류원회로의 제어의 2개의 용도에 사용되기 위해서(때문에), 전류원회로 420에 직접입력되지 않고, 논리연산자를 통해 입력된다. 도 23에서, 상기 논리연산자란 AND 193에 해당한다.
AND 193의 입력단자의 한쪽에는 설정제어선, 다른쪽은 제2 래치회로 413에 접속된다. 이때 도 23에서는, AND 193의 입력단자의 한쪽은 설정제어선, 다른쪽은 1비트용의 래치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AND 193의 입력단자의 한쪽은 1비트용∼3비트용의 래치회로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도 24에는, 도 23과는 다른 회로구성의 전류원회로 420을 나타낸다. 도 24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 420에서는, 트랜지스터 186∼트랜지스터 188 대신에 스위치 191, 스위치 192가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 191, 스위치 192에는 AND 193의 출력단자로부터 신호가 입력된다. AND 193의 입력단자의 한쪽에는 제어선에 접속되고, 다른쪽은 제2 래치회로 413에 접속된다. 이때 도 23에서는, AND 193의 입력단자의 한쪽은 제어선에 접속되고, 다른쪽은 인버터 194를 통해 3비트용(3rd Bit)의 래치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AND 193의 입력단자의 한쪽은 1비트용(1st Bit)의 래치회로, 2비트용의 래치회로(2nd Bit), 및: 3비트용의 래치회로(3rd Bit)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이때 도 24에서는 스위치 191의 한쪽의 단자는 트랜지스터 185의 드레인영역에 접속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치 191의 한쪽의 단자는 트랜지스터 183∼트랜지스터 185 중 어느 하나의 드레인영역에 접속시키면 된 다. 단 이 경우에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191의 한쪽의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 185를 제어하는 비디오신호를 유지하는 래치회로(도 24에서는 3비트용의 래치회로(3rd Bit))에 AND 193의 입력단자에 접속할 때에는, 인버터 194를 통해 래치회로에 접속시킬 필요가 생긴다.
그리고 도 24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 420에서는, 스위치 191 및 스위치 192가 온이 되면, 전류선 190에 접속된 레퍼런스용 정전류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전류가 트랜지스터 185를 통해 용량소자 189에 흘러가는 점 이외는, 도 23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 42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3, 24에 나타내는 전류원회로 420이 갖는 트랜지스터는 모두 n채널형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p채널형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도 할 수 있다. p채널형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경우에서의 전류원회로 420의 동작은,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변하는 점과, 용량소자가 Vss가 아니라 Vdd에 접속되는 점 이외는 전술한 동작에 준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p채널형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 VSS와 Vdd를 교체하지 않은 경우, 요컨대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변하지 않은 경우는, 도 6과 도 7의 대비를 사용하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3비트의 디지털계조표시를 행하는 경우에서의 신호선 구동회로의 구성과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3비트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를 참고로 하여 임의의 비트수에 대응한 신호선 구동회로 를 설계하고, 임의의 비트수의 표시를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4와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임의의 비트수의 표시를 행할 때, 본 형태를 참고로 하여, 다상화를 도모하는 것이나 점순차 구동을 행하는 것은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1개의 신호선에 대하여 각 비트의 전류원회로를 하나씩 배치하였지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신호선에 대하여 복수의 전류원회로를 배치해도 된다. 이때의 도면을 도 52에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도 49에 나타내는 구성으로서는 각 비트의 정전류원 109를 1개씩 배치하였지만, 도 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비트로 정전류원 109를 공유해도 된다.
(실시형태 6)
본 발명에서는 도 1, 2에 나타내는 단자 a로부터 입력되는 설정신호란, 설정제어선(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것은 전술하였다. 이때 도 2에서는, 제어선이 나타내고 있지만, 설정제어선과는 다른 배선이다. 설정신호에는 그 설정제어선에 접속된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논리연산자의 2개의 입력단자에는, 한쪽에는 제2 래치회로 413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비디오신호에 해당)가 입력되고, 다른쪽에는 설정제어선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논리연산자로서는, 입력된 2개의 신호의 논리연산을 행하여, 출력단자로부터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전류원회로에서는, 상기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설정동작 또는 입력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류원회로가 설정동작을 행하는 타이밍에 대하여 도 25∼도 3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프레임기간을 분할하지 않는 구동방식(풀프레임방식으로 표기)과,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프레임기간을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구동방식(서브프레임방식으로 표기)으로 대별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는, 우선 풀프레임방식에 대하여 도 25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이어서 서브프레임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액정표시장치나 발광장치 등의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프레임주파수는 60[Hz] 정도이다. 요컨대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초 동안에 60회 정도의 화면의 묘화가 행해진다. 이에 따라, 인간의 눈에 플리커(화면의 깜빡임)를 느끼게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화면의 묘화를 1회 행하는 기간을 1프레임기간이라 부른다.
풀프레임방식인 경우, 도 25b와 같이, 1프레임기간에 있어서 주사선을 1행번째로부터 마지막행번째까지 선택한 후에, Tc에서 나타내는 기간을 설치한다. 이때 주사선이 1행번째로부터 마지막행번째까지 선택되는 기간이란, 화소에 신호가 입력되는 기간에 해당한다. 그리고, 도 25c∼도 25e에는, 기간 Tc에서의 비디오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상기 비디오신호의 파형은, 프레임마다 다르다. 일례로서 3개의 프레임에서의 비디오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그리고 설정기간 Tc의 길이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1게이트 선택기간(1수평주사기간)과 같은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5c에는, 일례로서 1프레임번째의 기간 Tc1에서의 비디오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이때, 제2 래치회로 413으로부터 i열번째에 설정치 전류원회로에의 출력이 High가 되도록, 비디오신호의 파형을 제어한다. 도 25d에는, 2프레임번째의 기간 Tc2에서의 비디오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이때, 제2 래치회로 413으로부터 j열번째에 설정된 전류원회로에의 출력이 High가 되도록, 비디오신호의 파형을 제어한다. 도 25e에는, 3프레임번째의 기간 Tc3에서의 비디오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이때, 제2 래치회로 413으로부터 k열번째에 설치된 전류원회로에의 출력이 High가 되도록, 비디오신호의 파형을 제어한다.
이때 설정기간 Tc란, 신호선 구동회로가 갖는 복수의 전류원회로 중,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회로를 지정하는 기간에 해당한다. 요컨대 설정기간 Tc에서는,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회로의 열의 비디오신호가 High가 되도록 비디오신호의 파형이 제어된다. 그리고 도 25c∼2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기간마다, 설정기간 Tc에서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을 지정한다.
이때 1프레임기간에는, 설정기간 Tc를 하나 설치할 뿐만이 아니라, 복수설치해도 된다. 또한, 설정기간 Tc는 프레임기간과 프레임기간의 경계선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1프레임기간의 어디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도 25c∼도 25e에서는, 1열번째로부터 마지막열번째 중, 어느 하나인지 1열의 비디오신호의 파형을 High로 하도록 제어하지 않고, 1열번째로부터 마지막열번째 내, 복수열에서의 전류원회로의 비디오신호 파형을 High가 되도록 제어해도 된다.
그리고,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경우는, 설정기간 Tc에서,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회로를 지정하고, 그 이외의 기간에 있어서, 설정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동시에, 입력동작도 행한다.
한편,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할 수 없는 경우는, 설정기간 Tc에서,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회로를 지정하고, 또한, 설정기간 Tc에서, 설정동작도 행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설정기간 Tc는,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충분히 행할 수 있을 수 있는 만큼의 기간일 필요가 있다. 단, 1프레임기간 중에, 모든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할 필요는 없고, 수프레임기간을 사용하여, 모든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면 된다.
이때,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경우에도, 설정기간 Tc에서,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회로를 지정하고, 또한, 설정기간 Tc에서, 설정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어서 서브프레임방식에 대하여 도 2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서브프레임방식에서는,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프레임기간을 길이가 다른 복수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분할한다. 이때의 분할수는, 계조비트수와 같은 경우가 많다. 도 26에서는, 일례로서 3개의 서브프레임기간 SF1∼SF3으로 분할한 경우를 나타낸다.
각 서브프레임기간은, 어드레스기간(Ta)과, 서스테인기간(Ts)을 갖는다. 어드레스기간은 화소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간이고, 각 서브프레임기간에서의 길이는 같다. 서스테인기간(Ts)은, 어드레스기간(Ta)에 있어서 기록된 신호에 따라 발광소자가 발광을 행하는 기간이다.
서브프레임방식에 있어서, 기간 Tc를 설치할 때에는,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떤 서브프레임기간 SF에서의 어드레스기간 Ta가 종료한 후에 1회만 배치해도 되고, 도 2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프레임기간 중에 복수회 배치해도 된다. 물론 모든 서브프레임기간에서의 어드레스기간이 종료한 후에, 기간 Tc를 배치해도 되고, 어드레스기간 중에 배치해도 되며, 또는 임의의 프레임기간마다, 기간 Tc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서브프레임방식에 있어서, 기간 Tc를 설치할 때에는,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떤 서브프레임기간의 어드레스기간이 종료한 후에 1회만 배치해도 되고, 도 2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프레임기간 중에 복수회 배치해도 된다. 물론 모든 서브프레임기간이 종료한 후에, 기간 Tc를 배치해도 되고, 어드레스기간 중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임의의 프레임기간마다, 기간 Tc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도 1, 2에서, 단자 a로부터 입력되는 설정신호란, 설정제어선에 접속된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것은 전술하였다. 그리고 상기 논리연산자의 2개의 입력단자에는, 한쪽에는 제2 래치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비디오신호에 해당)가 입력되고, 다른쪽에는 설정제어선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것은 전술하였다. 그래서, 도 1, 2에는 설정제어선은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설정신호를 출력하는 논리연산자의 입력단자가 접속하고 있는 설정제어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을 도 26b, 26c에 나타낸다.
도 26b, 26c에는, 설정제어선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26b, 26c에 나타내는 설정제어선의 파형으로서는, 설정기간 Tc가 종료하고 나서 다음 어드레스기간이 시 작하기까지의 기간(설정기간 Tb로 표기)에 있어서 High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도 26b에서는 설정기간 Tc가 종료하고 나서 어드레스기간 Ta2가 시작하기까지의 기간(설정기간 Tb1)에 있어서 설정제어선의 파형이 High가 되도록 설정하고, 도 26c에서는 설정기간 Tc가 종료하고 나서 어드레스기간 Ta1이 시작하기까지의 기간(설정기간 Tb1)과, 기간 Td가 종료하고 나서 어드레스기간 Ta2가 시작하기까지의 기간(설정기간 Tb2)에 있어서 설정제어선의 파형이 High가 되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설정기간 Tb1이나 설정기간 Tb2에서, 전류원회로가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에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가령, 입력동작을 행하는 기간이 출현한 경우, 일시적으로 설정제어선을 Low로 하고, 그동안만 설정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단,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경우, 전류원회로가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하고 있어도, 전류원회로에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기간 Tc에서는, 신호선 구동회로가 갖는 전류원 회로 중,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회로가 지정된다. 가령, i열번째에 설치된 전류원회로 420이 지정되었다고 하면, 기간 Tc가 종료하고 나서 다음 어드레스기간이 시작되기까지의 기간(Tb)에서의 설정제어선의 파형을 High로 함으로써,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와는 달리, 전류원회로 420에 가하여 기억회로 451을 갖는 구성의 신호선 구동회로에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의 타이밍에 대하여, 도 27∼도 3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7에는, 각 열에 1개의 전류원회로 420을 배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28에는, 각 열에 2개의 전류원회로 420을 배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7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기간이 있는 경우,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는 전류원회로 420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도 28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각 열에 2개의, 전류원회로 420이 배치되고, 한쪽은 설정동작, 다른쪽은 입력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28에 사용하는 전류원회로 420의 구성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도 27, 도 28에 나타내는 기억회로 451에는, 데이터를 유지하는 수단을 갖는 회로이면 공지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7, 도 28에서 기억제어선의 신호의 파형에 대하여 도 29를 나타내어 설명한다. 우선 풀프레임방식의 기억제어의 신호의 파형에 대하여 도 29a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이어서 서브프레임방식의 기억제어선의 신호의 파형에 대하여 도 29b, 29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풀프레임방식 및 서브프레임방식의 양쪽 식은, 도 29a∼2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제어선의 파형을 설정기간 Tc에서 High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류원회로 420에서는, 설정기간 Tc가 종료하고 나서, 다음 설정기간 Tc가 시작되기까지의 기간에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이때, 기억제어선의 파형이 High가 되면, 스위치 450이 온이 되고, 기억회로 451에 데이터(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기억제어선의 파형이 Low가 되면, 스위치 450이 오프가 되어, 기억회로 451에 데이터(비디오신호)가 유지되기를 계속한다.
따라서, 전류원회로가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비디오신호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어도, 기억회로 451에 의해, 지정한 전류원회로가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그 비디오신호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때 비디오신호가 변화되는 기간으로서는, 어드레스기간 등이 해당한다. 또한,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경우는, 전류원회로가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하고 있어도, 전류원회로에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전류원회로가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하는 기간으로서는, 어드레스기간이 그 일례에 해당한다.
이때 1프레임기간에는, 설정기간 Tc를 1개 설치할 뿐만 아니라, 복수설치해도 된다. 또한, 설정기간 Tc는, 1프레임기간의 어디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1열번째로부터 마지막열번째 중, 어느 하나인지 1열의 비디오신호의 파형을 High로 하도록 제어하지 않고, 1열번째로부터 마지막열번째 내, 복수열에서의 전류원회로의 비디오신호의 파형을 High가 되도록 제어해도 된다.
계속해서, 상기와는 다른 예로서, 각 열에 하나의 전류원회로 420을 배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3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0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각 열에 하나의 전류원회로가 배치된다. 이 전류원회로는,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설정동작은 입력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행하고, 입력동작은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도 30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논리연산자 452를 배치하고, 기억회로 451의 출력은 논리연산자 452(도 30에서는 AND)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다른쪽의 입력단자에는 제2 기억제어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논리연산자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전류원회로 420에 대한 설정신호에 해당한다.
이때, 도 30에서도, 도 45나 도 46과 같이, 논리연산자의 부분을 스위치로 바꿔 놓아도 된다.
이와 같이 논리연산자 452를 배치함으로써, 기억회로 451이 갖는 데이터에 관하지 않고, 전류원회로 420의 단자 a에 입력되는 신호는, 제2 기억제어선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전류원회로 420에서는, 설정동작 또는 입력동작이 행해지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제1 기억제어선의 신호의 파형과, 제2 기억제어선의 신호의 파형을 도 31a∼도 31c에 나타낸다. 우선 풀프레임방식에서의 제1 및 제2 기억제어선의 파형에 대하여 도 31a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이어서 서브프레임방식에서의 제1 및 제2 기억제어선의 파형에 대하여 도 31b, 31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풀프레임방식 및 서브프레임방식의 양쪽식에서는, 도 31a∼3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기억제어선의 파형은, 설정기간 Tc 에서 High가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제2 기억제어선의 파형은,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 Low가 되도록 설정된다.
어드레스기간이란, 전류원회로 420이 화소에 소정의 전류를 공급하는 기간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2 기억제어선의 파형은,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 Low가 되도록 설정된다. 그렇게 하면, 전류원회로 420에서는 설정동작 또는 입력동작이 행해지도록 설정된다.
요컨대, 제2 기억제어선을 제어함으로써,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정지할 필요가 있는 것은,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전류원회로의 입력동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이다.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 전류원회로의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하는 경우가 많고, 그 때에는, 도 31b, 도 31c와 같이, 어드레스기간 중에 제2 기억제어선의 파형을 Low로 해 두면 된다. 가령, 어드레스기간 이외의 기간에, 전류원회로의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에 있어서는, 제2 기억제어선의 파형을 Low로 해 두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실시형태 5를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7)
전류원회로에 전류를 공급하는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는, 기판 상에 신호선 구동회로와 일체형성해도 되고, IC 등을 사용하여 기판의 외부에 배치해도 된다. 기판 상에 일체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6∼도 8, 도 39, 도 40, 도 42 등에 나타낸 전류원회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혹은, 간단히 1개의 트랜지스터를 배치하여, 게이트에 가하는 전압에 따라, 전류값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퍼런스용 정전류원 109의 구성과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 한다.
도 32에는, 일례로서, 가장 간단한 경우, 요컨대, 게이트에 전압을 가하는 방식에 대하여 나타낸다. 여기서는, 3개의 전류선이 필요한 경우를 나타낸다. 가령, 1개의 전류선이어도 되는 경우는, 단순히, 트랜지스터 1840, 1850과 대응하는 전류선을 도 32에 나타내는 구성으로부터 삭제하면 된다. 도 32에서는, 단자 f를 통해, 외부로부터, 트랜지스터 1830, 1840, 1850에 인가하는 게이트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이때, 트랜지스터 1830, 1840, 1850의 W/L 값을 1:2:4로서 설계하면, 각각의 온전류는 1:2:4가 된다.
다음에 도 33a에서, 단자 f로부터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32와 같이, 게이트에 전압을 가하여 조정하는 경우에는, 온도특성 등에 의해, 그 트랜지스터의 전류값이 변동해 버리는 것이 있다. 그렇지만, 도 33a와 같이 전류로 입력하면, 그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도 32, 도 33a에 나타내는 구성인 경우, 전류선에 전류를 흐르고 있는 동안에는, 단자 f로부터 전압이나 전류를 입력하기를 계속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류선에 전류를 흐르게 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단자 f로부터 전압이나 전류를 입력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도 3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33a의 구성에 스위치 1870, 1880과 용량소자 1890을 추가해도 된다. 그렇게 하면, 전류선에 전류를 공급하고 있을 때에도, 레퍼런스용 IC로부터의 공급(단자 f로부터 입력하는 전류나 전압의 공급)을 정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소비전력이 작아진다.
또한 도 32, 도 33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레퍼런스용의 전류원회로에 배치된 다른 전류원용 트랜지스터와 정보를 공유하고 있었다. 요컨대, 트랜지스터 1830, 1840, 1850의 게이트단자는, 서로 접속되어 있었다.
그래서, 도 34에는, 각각의 전류원회로에 설정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 34에서는, 단자 f로부터 전류를 입력하고, 단자 e에서 타이밍을 제어한다. 또 전류원회로에는, 도 6, 도 7, 도 39, 도 40, 도 42 등에 나타내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도 34에 나타낸 회로는, 도 6a의 회로를 적용한 예이다. 따라서,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이 회로인 경우, 레퍼런스용의 전류원회로에 대한 설정동작은, 전류선에 전류를 흐르게 할 필요가 없는 타이밍에서 행할 필요가 있다.
도 35에는, 다상화시킨 경우에 대한 예를 나타낸다. 요컨대, 도 44에 나타낸 구성을 적용한 레퍼런스용 전류원 109에 해당한다. 다상화인 경우, 도 32, 도 33, 도 34의 회로를 적용해도 된다. 그렇지만 전류선에 공급되는 전류값은 동일하므로, 도 35와 같이, 1개의 전류를 사용하여, 각각의 전류원회로에 대하여 설정동작을 행하면,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전류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실시형태 6과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8)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5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4a에서, 화 소부의 위쪽에 신호선 구동회로, 아래쪽으로 정전류회로를 배치하고, 상기 신호선 구동회로에 전류원 A, 정전류회로에 전류원 B를 배치한다. 전류원 A, B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IA, IB로 하고, 화소에 공급되는 신호전류를 Idata로 하면, IA=IB+Idata가 성립한다. 그리고, 화소에 신호전류를 기록할 때는, 전류원 A, B의 양자로부터 전류를 공급하도록 설정한다. 이때, IA, IB를 크게 하면, 화소에 대한 신호전류의 기록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때, 전류원 A를 사용하여, 전류원 B의 설정동작을 행한다. 화소에는, 전류원 A로부터의 전류로부터 전류원 B의 전류를 뺀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전류원 A를 사용하여, 전류원 B의 설정동작을 행함으로써, 여러가지의 노이즈 등의 영향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54b에서,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이하 정전류원으로 표기) C, E는, 화소부의 위쪽과 아래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류원 C, E를 사용하여, 신호선 구동회로, 정전류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한다. 전류원 D는, 전류원 C, E를 설정하는 전류원에 해당하고, 외부로부터 레퍼런스용 전류가 공급된다.
이때, 도 54b에서, 아래쪽에 배치해 놓은 정전류회로를 신호선 구동회로로서도 된다. 그것에 의해, 위쪽과 아래쪽의 양쪽에 신호선 구동회로가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 화면(화소부전체)의 상하 반씩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동시에 2행만큼의 화소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 화소, 화소의 전류원 등에의 설정동작(신호입력동작)을 위한 시간을 길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보다 정확히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7과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9)
지금까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신호전류 제어스위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여 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전류 제어스위치가 없는 경우, 요컨대, 신호선과는 다른 별도의 배선에, 비디오신호에는 비례하지 않은 전류(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 경우에는 스위치 101(신호전류 제어스위치)을 배치할 필요는 없다.
이때, 신호전류 제어스위치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신호전류 제어스위치가 없는 것을 제외하면, 신호전류 제어스위치가 존재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간단히 설명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신호전류 제어스위치를 배치하는 경우와 대비시키면, 도 1에 대해서는 도 36, 도 2에 대해서는 도 37에 나타낸다. 도 3b에 대해서는, 도 55a에 나타낸다. 여기까지의 실시형태에서는, 비디오신호에 의해 신호전류 제어스위치를 제어하여, 전류를 신호선에 출력하고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류는 화소용 전류선에 출력된다. 신호선에는 비디오신호가 출력된다.
이 경우의 화소구성에 대하여, 개략도를 도 55b에 나타낸다. 다음에, 화소의 동작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기술한다. 우선, 스위칭용 트랜지스터가 온일 때, 신호선을 통해, 비디오신호가 화소에 입력되고, 용량소자에 보존된다. 그리고, 비디오신호의 값에 의해, 구동용 트랜지스터가 온 또는 오프한다. 한편, 전류원회로는,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구동용 트랜지스터가 온 인 경우는, 발광소자에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발광한다. 구동용 트랜지스터가 오프인 경우는, 발광소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발광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단, 이 경우, 발광과 비발광의 2개의 상태밖에 표현할 수 없다. 따라서, 시간계조법이나 면적계조법 등을 사용하여, 다계조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때, 전류원회로의 부분은, 도 6, 도 7, 도 39, 도 40, 도 42 등의 회로를 적용한다. 그리고, 전류원회로가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설정동작을 행하면 된다. 화소의 전류원회로에 설정동작을 행하는 경우는, 화소용 전류선을 통과시켜 전류를 입력하여, 실행한다. 화소의 전류원회로에 대한 설정동작은, 임의일 때에, 임의의 타이밍으로, 임의의 회수만 행하면 된다. 화소의 전류원회로에 대한 설정동작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과는, 전혀 무관계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전류원회로 중에 있는 용량소자에 보존되어 있는 전하가 누설되어 왔을 때에, 설정동작을 행하면 된다.
다음에, 도 55a에 나타낸 정전류회로 414의 상세한 구성을 도 56, 도 57에 나타낸다. 여기서, 도 56은, 전류원회로의 부분에, 도 6a를 적용한 경우의 회로를 나타낸다. 도 57은, 전류원회로의 부분에, 도 6e를 적용한 경우의 회로를 나타낸다.
또한, 도 55a의 전류원회로의 부분에, 도 37을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그 경우의 정전류회로 414의 상세한 구성을 도 58에 나타낸다. 여기서, 도 58에는, 전류원회로의 부분에, 도 6a를 적용한 경우의 회로를 나타낸다. 제어선을 제 어함으로써, 한쪽의 전류원에 대하여 설정동작을 행하고, 동시에, 또 한 쪽의 전류원이 입력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전류원회로 420에 더하여 기억회로 451을 갖는 구성에 대하여, 신호전류 제어스위치를 배치하는 경우와, 배치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시키면, 도 27에 대해서는, 도 59, 도 28에 대해서는 도 60, 도 30에 대해서는 도 61에 나타낸다.
이때, 신호전류 제어스위치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신호전류 제어스위치가 없는 것을 제외하면, 신호전류 제어스위치가 존재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는, 실시예 1∼8과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0)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억회로 451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신호선 구동회로 403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신호전류 제어스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요컨대, 신호선에 비디오신호에 비례한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27에 나타낸 구성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 62, 도 63에 나타낸다. 도 62에 나타낸 회로는, 도 6e의 회로를 적용한 예이다. 도 63에 나타낸 회로는, 도 6a의 회로를 적용한 예이다.
도 62에서는,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동작을 행하는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지정한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회 로의 정보는, 기억회로 451에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비디오신호의 변화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 28의 상세한 구성을, 도 64에 나타낸다. 도 64에 나타낸 회로는, 도 6a의 회로를 적용한 예이다.
도 64에서는, 제어선을 통해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전류원회로의 동작을 바꿀 수 있다. 그 때문에, 설정동작과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동작을 행하는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 입력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쪽의 전류원회로에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지정된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회로의 정보는, 기억회로 451에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비디오신호의 변화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 30의 상세한 구성을, 도 65에 나타낸다. 도 65에 나타낸 회로는, 도 6a의 회로를 적용한 예이다. 도 65에서는, 논리연산자 45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다음에, 3비트의 디지털계조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에 나타낸 구성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 66에 나타낸다. 도 66에 나타낸 회로는, 도 6c의 회로를 적용한 예이다. 도 66에서는,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도, 동시에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동작을 행하게 되는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지정된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회로의 정보는, 기억회로 451에 보존 되어 있기 때문에, 비디오신호의 변화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도 28에 나타낸 구성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 67에 나타낸다. 도 67에 나타낸 회로는, 도 6a의 회로를 적용한 예이다. 도 67에서는,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도, 제어선을 통해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전류원회로의 동작을 바꿀 수 있다. 그 때문에, 설정동작과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동작을 행하게 되는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 입력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쪽의 전류원회로에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회로의 지정은, 기억회로 451에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비디오신호의 변화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이때, 도 67에서는,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의 개수가 표시비트수보다도 적은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요컨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접속하고, 그 설정한 정보를 공유한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때, 표시비트수와 같은 개수만큼 레퍼런스 전류원을 배치하고, 각 비트의 전류원회로마다, 설정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30의 구성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 68에 나타낸다. 도 68에 나타낸 회로는, 도 6a의 회로를 적용한 예이다. 도 68에서는, 논리연산자 45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이때, 도 68에서는,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의 개수가 표시비트수와 같은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요컨대, 각 비트의 전류원회로마다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다. 이때,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의 개수를 표시비트수보다도 적게 하고, 이미 설정된 전류원회로의 정보를 공유해도 된다. 즉,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전류원회로에 배치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접속해도 된다.
여기까지는, 신호전류 제어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여 왔다. 다음에, 신호전류 제어스위치가 없는 경우, 요컨대, 신호선과는 별도의 배선에, 비디오신호에는 비례하지 않은 전류(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 경우에는 스위치 101(신호전류제어 스위치)은 배치하지 않는다.
도 59의 구성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 69, 도 70에 나타낸다. 도 69에 나타낸 회로는 도 6e의 회로를 적용한 예이다. 도 70에 나타낸 회로는, 도 6a의 회로를 적용한 예이다.
도 69의 구성에서는,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도, 동시에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동작을 행하게 되는 기간, 즉, 화소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 중에 있어서도,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에서는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지정된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회로의 정보는, 기억회로 451에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비디오신호의 변화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이 구성인 경우, 화소에 비디오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어드레스기간과,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가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하고 있는 기간과는,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비디오신호가 변화하고 있는 기간이어도,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기억회로 451을 설치하는 것은, 매우 유효하다.
도 60의 구성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 71에 나타낸다. 도 71에 나타낸 회로는, 도 6a의 회로를 적용한 예이다.
도 71에서는,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도, 제어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전류원회로의 동작을 바꿀 수 있다. 그 때문에, 설정동작과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동작을 행하는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 입력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쪽의 전류원회로는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회로의 지정은, 기억회로 451에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비디오신호의 변화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도 61의 구성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 72에 나타낸다. 도 72에 나타낸 회로는, 도 6a의 회로를 적용한 예이다.
도 72에서는, 논리연산자 452에 의해,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이때, 신호전류 제어스위치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요컨대, 신호선과는 다른 별도의 배선에, 비디오신호에는 비례하지 않은 전류(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화소에 비디오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어드레스기간과,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가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하고 있는 기간과는,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비디오신호가 변화하고 있는 기간이어도,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억회로 451을 설치하는 것은, 매우 유효하다.
이때 전류원회로에는, 도 6, 도 7, 도 39, 도 40, 도 42 등에 나타내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9와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 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계조방식에 대하여 도 14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 액정표시장치나 발광장치 등의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프레임 주파수는 60Hz 정도이다. 요컨대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초 동안에 60회 정도의 화면의 묘화가 행해진다. 이에 따라, 인간의 눈에 플리커(화면의 깜빡임)를 느끼게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화면의 묘화를 1회 행하는 기간을 1프레임기간이라 부른다.
본 실시예로서는 일례로서, 특허문헌 1의 공보에 공개되어 있는 시간계조방식을 설명한다. 시간계조방식에서는, 1프레임기간을 복수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분할한다. 이때의 분할수는, 계조비트수와 같은 경우가 많다. 그리고 여기서는 간단화를 위해, 분할수가 계조비트수와 같은 경우를 나타낸다. 요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3비트계조이므로, 3개의 서브프레임기간 SF1∼SF3으로 분할하고 있는 예를 나타낸다(도 14b).
각 서브프레임기간은, 어드레스(기록)기간 Ta와, 서스테인(발광)기간 Ts를 갖는다. 어드레스기간이란, 화소에 비디오신호를 기록하는 기간이고, 각 서브프레임기간에서의 길이는 같다. 서스테인기간이란,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 화소에 기록된 비디오신호에 근거하여 발광소자가 발광 또는 비발광하는 기간이다. 이때, 서스테인기간 Ts1∼Ts3은, 그 길이의 비를 Ts1:Ts2:Ts3=4:2:1로 한다. 요컨대, n비트계 조를 표현할 때, n개의 서스테인기간의 길이의 비는, 2(n-1):2(n-2):···:21 :20으로 한다. 그리고, 어떤 서스테인기간에서 발광소자가 발광 또는 비발광하는지에 의해, 1프레임기간에서의 각 화소가 발광하는 기간의 길이가 결정하고, 이것에 의해 계조표현을 행한다.
이어서, 시간계조방식을 적용한 화소에서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16b에 나타내는 화소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b에 나타내는 화소는, 전류입력방식이 적용된다.
우선 어드레스기간 Ta에서는,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제1 주사선 602 및 제2 주사선 603이 선택되고, TFT 606, 607이 온한다. 이때, 신호선 601을 흐르는 전류를 신호전류 Idata가 된다. 그리고 용량소자 610에는 소정의 전하가 축적되면, 제1 주사선 602 및 제2 주사선 603의 선택이 종료하여, TFT 606, 607이 오프한다.
이어서 서스테인기간 Ts에서는,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제3 주사선 604가 선택되고, TFT 609가 온한다. 용량소자 610에는 조금 전에 기록한 소정의 전하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TFT 608은 온되어 있고, 전류선 605로부터 신호전류 Idata와 같은 전류가 흐른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 611이 발광한다.
이상의 동작을 각 서브프레임기간에서 행함으로써, 1프레임기간을 구성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표시계조수를 늘리고 싶은 경우는, 서브프레임기간의 분할수를 늘리면 된다. 또한, 서브프레임기간의 순서는, 도 14b,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드시 상위비트로부터 하위비트라 했던 순서일 필요는 없고, 1프레임기간 중, 랜덤하게 나열되어 있어도 된다. 더욱이 각 프레임기간 내에서, 그 순서가 변화해도 된다.
또한, m행번째의 주사선의 서브프레임기간 SF2를 도 14d에 도시한다. 도 1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에서는 어드레스기간 Ta2가 종료하면, 바로 서스테인기간 Ts2가 시작된다.
다음에,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에 관련된 부분의 타이밍 차트에 대하여 기술한다. 특히,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에 관련된 부분의 타이밍 차트에 대하여 기술한다.
기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타이밍이 된다. 우선, 어드레스기간이 종료하고, 그 후, 서스테인기간으로서, 어느쪽의 주사선도 선택되어 있지 않은 기간 Tc에서, 어떤 전류원회로에 대하여 설정동작을 행하는지를 선택한다. 그리고,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시작하고, 다음의 어드레스기간이 시작하기 직전에, 그 설정동작을 종료한다. 이 사이에, 다시 기간 Tc를 설치하고, 어떤 전류원회로에 대하여 설정동작을 행하는지를 선택하고, 선택한 그 전류원회로에 대하여 설정동작을 행하면 된다. 즉, 어드레스기간과 어드레스기간의 사이에 있어서, 설정동작을 행하면 된다.
단, 상기한 기간에 있어서 설정동작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그 기간에 있어서,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가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하고 있고, 또한,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가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없는 경우이다. 어드레스기간과 어드레스기간의 사이에,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가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하는 것은, 도 55b의 구 성의 화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 많다.
또한,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도 37, 도 28, 도 30 등과 같이, 기억회로 451을 갖는 경우이다. 이 경우, 가령,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도,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는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가 입력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 어떠한 구성의 전류원회로를 사용하고 있어도,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는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왜냐하면, 기억회로 451에 의해, 어떤 전류원회로에 대하여 설정동작을 행하는지가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 비디오신호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경우는,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도,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는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없어도,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가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1열씩 순차로 행해도 되고, 랜덤하게 행해도 된다. 또한, 설정동작을 행하는 기간이, 1프레임 내에서, 점재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을 유효히 이용하여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전 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1프레임기간 내에서 하는 것은 아니며, 수프레임기간 이상 걸어 실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에 시간을 걸어 정확히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10과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부에 설치되는 화소의 회로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13, 도 7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에는, 전류를 입력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 화소이면, 어떠한 구성의 화소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3a의 화소는, 신호선 1101, 제1 및 제2 주사선 1102, 1103, 전류선(전원선) 1104, 스위칭용 TFT 1105, 유지용 TFT 1106, 구동용 TFT 1107, 변환구동용 TFT 1108, 용량소자 1109, 발광소자 1110을 갖는다. 신호선 1101은 전류원회로 1111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전류원회로 1111이, 신호선 구동회로 403에 배치되어 있는 전류원회로 420에 해당한다.
도 13a의 화소는, 스위칭용 TFT 1105의 게이트전극은, 제1 주사선 1102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신호선 1101에 접속되며, 제2 전극은 구동용 TFT 1107의 제1 전극과, 변환구동용 TFT 1108의 제1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유지용 TFT 1106의 게이트전극은, 제2 주사선 1103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신호선 1102에 접속되며, 제2 전극은 구동용 TFT 1107의 게이트전극과, 변환구동용 TFT 1108의 게이트전극과 접속되어 있다. 구동용 TFT 1107의 제2 전극은, 전류선(전원선) 1104에 접속되고, 변환구동용 TFT 1108의 제2 전극은, 발광소자 1110의 한쪽의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용량소자 1109는, 변환구동용 TFT 1108의 게이트전극과 제2 전극과의 사이에 접속되고, 변환구동용 TFT 1108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을 유지한다. 전류선(전원선) 1104 및 발광소자 1110의 다른쪽의 전극에는, 각각 소정의 전위가 입력되고, 서로 전위차를 갖는다.
이때, 도 13a의 화소는, 도 40b의 회로를 화소에 적용한 경우에 해당한다. 단,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 있다. 도 13a의 구동용 TFT 1107이 도 40b의 TFT 126에 해당하고, 도 13a의 변환구동용 TFT 1108이 도 40b의 TFT 122에 해당하며, 도 13a의 유지용 TFT 1106이 도 40b의 TFT 124에 해당한다.
도 13b의 화소는, 신호선 1151, 제1 및 제2 주사선 1142, 1143, 전류선(전원선) 1144, 스위칭용 TFT 1145, 유지용 TFT 1146, 변환구동용 TFT 1147, 구동용 TFT 1148, 용량소자 1149, 발광소자 1140을 갖는다. 신호선 1151은 전류원회로 1141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전류원회로 1141이, 신호선 구동회로 403에 배치되어 있는 전류원회로 420에 해당한다.
도 13b의 화소는, 스위칭용 TFT 1145의 게이트전극은, 제1 주사선 1142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신호선 1151에 접속되며, 제2 전극은 구동용 TFT 1148의 제1 전극과, 변환구동용 TFT 1148의 제1 전극과 접속되어 있다. 유지용 TFT 1146의 게 이트전극은, 제2 주사선 1143에 접속되어, 제1 전극은 구동용 TFT 1148의 제1 전극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구동용 TFT 1148의 게이트전극과 변환구동용 TFT 1147·의 게이트전극과 접속되어 있다. 변환구동용 TFT 1147의 제2 전극은, 전류선(전원선) 1144에 접속되고, 변환구동용 TFT 1147의 제2 전극은, 발광소자 1140의 한쪽의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용량소자 1149는, 변환구동용 TFT 1147의 게이트전극과 제2 전극과의 사이에 접속되고, 변환구동용 TFT 1147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을 유지한다. 전류선(전원선) 1144 및 발광소자 1140의 다른쪽의 전극에는, 각각 소정의 전위가 입력되고, 서로 전위차를 갖는다.
이때, 도 13b의 화소는, 도 6b의 회로를 화소에 적용한 경우에 해당한다. 단,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 있다. 도 13b의 변환구동용 TFT 1147이 도 6b의 TFT 122에 해당하고, 도 13b의 구동용 TFT 1148이 도 6b의 TFT 126에 해당하며, 도 13b의 유지용 TFT 1146이 도 6b의 TFT 124에 해당한다.
도 13c의 화소는, 신호선 1121, 제1 주사선 1122, 제2 주사선 1123, 제3 주사선 1135, 전류선(전원선) 1124, 스위칭용 TFT 1125, 화소용 전류선 1138, 소거용 TFT 1126, 구동용 TFT 1127, 용량소자 1128, 전류원 TFT 1129, 미러 TFT 1130, 용량소자 1131, 전류입력 TFT 1132, 유지 TFT 1133, 발광소자 1136을 갖는다. 화소용 전류선 1138은, 전류원회로1137에 접속된다.
도 13c의 화소는, 스위칭용 TFT 1125의 게이트전극은, 제1 주사선 122에 접속되고, 스위칭용 TFT 1125의 제1 전극은 신호선 1121에 접속되며, 스위칭용 TFT 1125의 제1 전극은 구동용 TFT 1127의 게이트전극과, 소거용 TFT 1126의 제1 전극과 접속되어 있다. 소거용 TFT 1126의 게이트전극은, 제2 주사선 1123에 접속되고, 소거용 TFT 1126의 제2 전극은 전류선(전원선) 1124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용 TFT 1127의 제1 전극은 발광소자 1136의 한쪽의 전극에 접속되고, 구동용 TFT 1127의 제2 전극은 전류원 TFT 1129의 제1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원 TFT 1129의 제2 전극은 전류선 1124에 접속되어 있다. 용량소자 1131의 한쪽의 전극은, 전류원 TFT 1129의 게이트전극 및 미러 TFT 1130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전극은 전류선(전원선)1124에 접속되어 있다. 미러 TFT 1130의 제1 전극은 전류선 1124에 접속되고, 미러 TFT 1130의 제2 전극은, 전류입력 TFT 1132의 제1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입력 TFT 1132의 제2 전극은 전류선(전원선) 1124에 접속되고, 전류입력 TFT 1132의 게이트전극은 제3 주사선 1135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유지 TFT 1133의 게이트전극은 제3 주사선 1135에 접속되고, 전류유지 TFT 1133의 제1 전극은 화소용 전류선 1138에 접속되며, 전류유지 TFT 1133의 제2 전극은 전류원 TFT 1129의 게이트전극 및 미러 TFT 1130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선(전원선) 1124 및 발광소자 1136의 다른쪽의 전극에는, 각각 소정의 전위가 입력되고, 서로 전위차를 갖는다.
여기서, 전류원회로 1137이, 신호선 구동회로 403에 배치되어 있는 전류원회로 420에 해당한다.
이때, 도 13c의 화소는, 도 55b의 화소에, 도 6e의 회로를 화소에 적용한 경우에 해당한다. 단,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 있다. 이때, 도 13c의 화소에는, 소거용 TFT 1126이 추가되어 있다. 소거용 TFT 1126을 배치함으로써, 점등기간의 길이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스위칭용 TFT 1125는 화소에 대한 비디오신호의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소거용 TFT 1126은 용량소자 1131에 유지된 전하를 방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동용 TFT 1127은, 용량소자 1131에 유지된 전하에 따라, 도통 또는 비도통이 제어된다. 전류원 TFT 1129와 미러 TFT 1130은 커런트미러회로를 형성한다. 전류선 1124 및 발광소자 1136의 다른쪽의 전극에는, 각각 소정의 전위가 입력되고, 서로 전위차를 갖는다.
요컨대, 스위칭용 TFT 1125가 온이 되면, 신호선 1121을 통해, 비디오신호가 화소에 입력되고, 용량소자 1128에 보존된다. 그리고, 비디오신호의 값에 의해, 구동용 TFT 1127이 온 또는 오프한다. 따라서, 구동용 TFT 1127이 온인 경우는, 발광소자에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발광한다. 구동용 TFT 1127이 오프인 경우는, 발광소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발광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한편, 전류원 TFT 1129, 미러 TFT 1130, 용량소자 1131, 전류입력 TFT 1132, 유지 TFT 1133 등이, 전류원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전류원회로는,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전류원회로에는, 화소용 전류선 1138을 통해 전류가 입력되고, 설정동작이 행해진다. 그 때문에, 전류원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변동해도, 전류원회로로부터 발광소자 쪽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변동하지 않게 된다. 화소의 전류원회로에 대한 설정동작은, 스위칭용 TFT 1125나 구동용 TFT 1127의 동작과는, 무관계하게 행할 수 있다.
도 73a의 화소는, 도 55b의 화소에, 도 6a의 회로를 화소에 적용한 경우에 해당한다. 단,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 있다.
도 73a의 화소는, 전류원 TFT 1129, 용량소자 1131, 유지 TFT 1133, 화소용 전류선 1138(Ci) 등을 가지고 있다. 화소용 전류선 1138(Ci)은, 전류원회로 1137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전류원회로 1137이, 신호선 구동회로 403에 배치되어 있는 전류원회로 420에 해당한다.
도 73b의 화소는, 도 55b의 화소에, 도 7a의 회로를 화소에 적용한 경우에 해당한다. 단,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 있다.
도 73b의 화소는, 전류원 TFT 1129, 용량소자 1131, 유지 TFT 1133, 화소용 전류선 1138(Ci) 등을 가지고 있다. 화소용 전류선 1138(Ci)은, 전류원회로 1137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전류원회로 1137이, 신호선 구동회로 403에 배치되어 있는 전류원회로 420에 해당한다.
도 73a의 화소와 도 73b의 화소에서는 전류원 TFT 1129의 극성이 다르다. 그리고, 극성이 다른 것에 의해, 용량소자 1131, 유지 TFT 1133의 접속이 다르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의 구성의 화소가 존재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기술한 화소는, 크게 두개의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번째 타입이, 신호선에 비디오신호에 따른 전류를 입력하는 타입이다. 이것은, 도 13a, 도 13b 등이 그것에 해당한 다. 그 경우, 신호선 구동회로는, 도 1이나 도 2와 같이, 신호전류 제어스위치를 가지고 있다. 이미 하나의 타입이, 신호선에 비디오신호를 입력하고, 화소용 전류선에, 비디오신호와는 무관계한 일정한 전류를 입력하는 타입, 요컨대, 도 55b와 같은 화소인 경우이다. 이것은, 도 13c, 도 73a, 도 73b 등이 해당한다. 이 경우, 신호선 구동회로는, 도 36이나 도 37과 같이, 신호전류 제어스위치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래서, 각각의 화소의 타입에 따른 타이밍 차트에 대하여 기술한다. 우선, 디지털계조와 시간계조를 조합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단, 이것은, 화소의 타입이나 신호선 구동회로의 구성에 따라 변한다. 그래서, 각각의 구성마다에서의 타이밍 차트에 대하여 기술한다.
우선, 화소의 타입이, 신호선에 비디오신호에 따른 전류를 입력하는 타입인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화소는, 도 13a 또는 도 13b의 구성으로 한다. 신호선 구동회로는, 도 3a이나 도 3b의 구성으로 한다. 이때의 타이밍 차트를 도 74에 나타낸다.
4비트의 계조를 표현하는 것으로 하고, 간단화를 위해, 서브프레임수를 4개로 하였다고 한다. 우선, 최초의 서브프레임기간 SF1이 시작된다. 1행씩 주사선(도 13a에서의 제1 주사선 1102이나 도 13b에서의 제1 주사선 1132)을 선택하고, 신호선(도 13a에서의 1101이나 도 13b에서의 1131)으로부터 전류를 입력해 간다. 이 전류는, 비디오신호에 따른 값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점등기간 Ts1이 종료하면, 다음 서브프레임기간 SF2가 시작하여, 서브프레임기간 SF1과 동일하게 주사시킨다. 그 후, 그 다음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이 시작되고, 동일하게 주사시켜 간다. 단, 점등기간 Ts3의 길이가, 어드레스기간 Ta3의 길이보다도 짧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발광하지 않도록 해 간다. 요컨대, 입력한 비디오신호를 소거해 간다. 혹은, 발광소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 비디오신호를 소거하기 위해서는, 제2 주사선(도 13a에서의 제2 주사선 1103이나 도 13b에서의 제2 주사선 1133)을 1행씩 선택하해 간다. 그렇게 하면, 비디오신호가 소거되어, 비발광상태로 할 수 있다. 그 후, 다음의 서브프레임 SF4가 시작된다. 여기서도, 서브프레임 SF3과 같이 주사시켜, 동일하게 비발광상태로 해 간다.
이상이, 화상표시동작, 요컨대, 화소의 동작에 관한 타이밍 차트이다. 다음에,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의 타이밍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 경우, 설정기간 Tc에서, 복수의 전류원회로 중, 어떤 전류원회로에 대하여 설정동작을 행하는지를 비디오신호에 의해 지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비디오신호가 변화되는 기간, 즉,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는,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을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어드레스기간에 설정동작을 행하려고 해도, 비디오신호가 변화하고 있고, 그 변화의 방식은 화상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요컨대,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입력동작은, 각 서브프레임기간에서의 어드레스기간(Ta1, Ta2 등)의 사이에 행해진다. 따라서,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은, 어드레스기간 이외일 때에 행하면 된다. 따라서, 도 7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드레스기간 이외일 때에 배치된 설정동작기간 Tb1∼Tb4에 있어서,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면 된다. 이 때, 어드레스기간 Ta1과 어드레스기간 Ta2의 사이의 기간에서 설정동작을 행해도 되고, 어드레스기간 Ta2와 어드레스기간 Ta3의 사이의 기간에서 설정동작을 행해도 되며, 양쪽의 기간을 이용하여 설정동작을 행해도 된다. 또한, 어드레스기간 Ta1과 어드레스기간 Ta2의 사이의 기간에 있어서, 설정동작기간 Tb가 복수배치되어 있지만, 설정동작기간 Tb를 하나만 배치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어드레스기간 Ta2와 어드레스기간 Ta3의 사이의 기간에 있어서, 설정동작기간 Tb를 1개씩뿐만 아니라 복수배치해도 된다.
다음에, 화소는 도 13a 또는 도 13b의 구성이고, 신호선 구동회로는 도 27, 도 28과 같이 기억회로 451을 갖는 구성으로 한다. 화상표시동작, 요컨대, 화소의 동작에 관한 타이밍 차트는 상기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75에는,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의 타이밍에 대하여 나타낸다. 이 경우, 비디오신호가 변화하고 있을 때에도, 설정동작을 행하는 열의 전류원회로의 정보는, 기억회로 451에 보존되어 있다. 따라서, 전류원회로가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경우는,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도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래서, 설정동작기간 Tb5, Tb7, Tb8, Tb1 등의 전에, 설정기간 Tc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기간 Tc에서, 어떤 전류원회로에 대하여 설정동작을 행하는지를 선택하고, 그 후, 설정동작기간이 시작된다. 이에 따라,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가 설정동작과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도, 설정동작기간 Tb5를 설치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74, 75의 타이밍 차트에서는, 설정동작기간을 다수설치하는 것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모든 전류원회로가 설정동작을 행하는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혹은, 전류원회로에 대하여 설정동작을 행하는 기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동작을 보다 정확히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다음에, 화소의 타입이, 신호선에 비디오신호를 입력하고, 화소용 전류선에 비디오신호와는 무관계한 일정한 전류를 입력하는 타입인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신호선 구동회로는, 도 55a의 구성으로 한다. 화소는, 도 13c, 도 55b, 도 73a, 도 73b 등의 구성으로 한다. 단, 상기 화소인 경우, 화소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에 대해서도, 설정동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화소의 전류원회로가,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할 수 있는지 어떤지에 따라, 그 동작이 달라지게 된. 그래서, 우선 화소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경우, 요컨대, 화소가 도 13c일 때의 타이밍 차트를 도 76에 나타낸다.
우선, 화상표시동작, 요컨대, 화소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와 구동용 트랜지스터 등에 관한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단, 상기한 경우와 거의 같기 때문에, 간단히 기술한다. 우선, 처음의 서브프레임기간 SF1이 시작된다. 1행씩 주사선(도 13c에서의 제1 주사선 1122)을 선택하고, 신호선(도 13c에서의 1121)으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입력해 간다. 이 비디오신호는, 통상, 전압이지만, 전류이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점등기간 Ts1이 종료하면, 다음 서브프레임기간 SF2가 시작되고, 서브프레임기간 SF1과 동일하게 주사시킨다. 그 후, 그 다음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이 시작되고, 동일하게 주사시켜 간다. 단, 점등기간의 길이 Ts3이, 어드레스기간 Ta3의 길이보다도 짧아, 강제적으로, 발광하지 않도록 해 간다. 요컨대, 입력한 비디오신 호를 소거해 간다. 혹은, 발광소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 입력한 비디오신호를 소거하기 위해서는, 제2 주사선(도 13c에서의 제2 주사선 1123)을 1행씩 선택해 간다. 그렇게 하면, 비디오신호가 소거되고, 구동용 TFT 1127이 오프상태가 되어, 비발광상태로 할 수 있다. 그 후, 다음 서브프레임기간 SF4가 시작된다. 여기서도, 서브프레임기간 SF3과 동일하게 주사시켜, 동일하게 비발광상태로 해 간다.
다음에, 화소의 전류원회로에 대한 설정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13c인 경우, 화소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과는,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은, 임의의 타이밍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설정기간 Tc에서는, 어떤 전류원회로에 대하여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인지를 비디오신호에 의해 지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비디오신호가 변화하고 있는 기간 즉,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는,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은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 설정동작을 행하려고 해도, 비디오신호가 변화하고 있고, 그 변화의 방식은 화상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이,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과 동시에 할 수 없는 경우, 도 7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드레스기간과 어드레스기간의 사이에서, 또한, 화소의 전류원에의 설정동작(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입력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면 된다. 또한,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이, 입력동작(화소로의 전류의 출력)과 동시에 할 수 있는 경우는, 도 7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드레스기간과 어드레스기간의 사이에,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면 된다. 이때, 도 76, 77의 타이밍 차트에 있어서, 어드레스기간 Ta1과 어드레스 Ta2의 사이의 기간에 있어서, 설정동작기간 Tb가 복수배치되어 있지만, 1개만 배치해도 된다.
다음에, 화소는 도 13c의 구성으로, 신호선 구동회로는 도 59, 도 60과 같이, 기억회로 451을 갖는 구성으로 한다. 화상표시동작, 요컨대, 화소의 동작에 관한 타이밍 차트는 상기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하에는,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의 타이밍에 대하여, 도 78, 도 79에 나타낸다. 이 경우, 기억회로 451에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회로의 정보가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비디오신호가 변화하고 있을 때라도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래서, 본 구성에서는, 설정동작기간 Tb1, Tb5 등의 전에, 설정기간 Tc를 설치한다. 그리고, 설정기간 Tc에서, 어떤 전류원회로에 대하여 설정동작을 행하는지를 선택하고, 그 후, 설정동작기간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 어드레스기간 중에도, 설정동작기간 Tb5 등을 설치하는 것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전류원회로가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할 수 없는 경우, 도 78과 같이, 화소의 전류원에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은 할 수 없다. 또한 이때, 화소의 전류원에 설정동작을 행하기 전에 설정기간 Tc를 설치하고, 그 설정기간 Tc에서 기억회로 451의 데이터를 변경하고, 어떤 전류원회로도 설정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7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동작기간 Tb5 후에, 설정기간 Tc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 에 행할 수 있는 경우는, 도 79와 같이, 화소의 전류원에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도,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에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도 79에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인 경우에는, 설정동작기간을 다수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신호선 구동회로가 갖는 모든 전류원회로가 설정동작을 행하는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혹은, 각각의 전류원회로가 설정동작을 행하는 기간을 길게 취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동작을 보다 정확히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다음에, 화소는 도 13c의 구성이고, 신호선 구동회로는 도 61의 구성과 같이 기억회로 451을 갖는 구성으로 한다. 화상표시동작, 요컨대, 화소의 동작에 관한 타이밍 차트는 상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그리고,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의 타이밍에 대하여, 도 80에 나타낸다. 이 경우, 비디오신호가 변화하고 있을 때라도, 기억회로 451에는 소정의 정보가 보존되어 있으므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어드레스기간 중에도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논리연산자 452에 의해, 설정동작을 임의의 기간으로 정지시키거나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화소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기 전에, 설정기간 Tc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도, 제2 기억제어선을 제어함으로써, 설정동작을 종료시키는 것을 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화소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는 기간의 길이와,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는 기간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 화소의 타입이, 신호선에 비디오신호를 입력하고, 화소용 전류선에, 비디오신호와는 무관계한 일정한 전류를 입력하는 구성이며, 또한, 화소의 전류원 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할 수 없는 경우, 요컨대 화소가 도 73a, 도 73b의 구성일 때의 타이밍 차트를 도 81에 나타낸다. 우선, 화상표시동작, 요컨대, 화소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와 구동용 트랜지스터 등에 관한 동작은, 상기한 도 76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간단히 기술한다, 우선, 처음의 서브프레임기간 SF1이 시작된다. 1행씩 주사선(도 73a, 도 73b에서의 제1 주사선 1122)을 선택하고, 신호선(도 73a, 도 73b에서의 1121)으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입력해 간다. 이 비디오신호는, 통상, 전압이지만, 전류라도 상관없다. 그리고, 점등기간 Ts1이 종료하면, 다음 서브프레임기간 SF2가 시작되고, 서브프레임기간 SF1과 동일하게 주사시킨다. 그 후, 그 다음 서브프레임기간 SF3이 시작되고, 동일하게 주사시켜 간다. 단, 점등기간 Ts3의 길이가, 어드레스기간의 길이 Ta3보다도 짧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발광하지 않도록 해 간다. 요컨대, 입력한 비디오신호를 소거해 간다. 혹은, 발광소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 발광소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 주사선(도 13c에서의 제2 주사선 1123)을 1행씩 비선택상태로 해 간다. 그렇게 하면, 소거용 TFT 1127이 오프상태가 되고,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차단되어, 비발광상태로 할 수 있다. 그 후, 다음 서브프레임기간 SF4가 시작한다. 여기서도, 서브프레임기간 SF3과 같이 주사시켜, 동일하게 발광소자를 비발광상태로 해 간다.
다음에, 화소의 전류원회로에 대한 설정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화소가 도 73a, 도 73b의 구성인 경우 화소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은, 동시에 행할 수 없다. 따라서, 화소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은, 화소의 전 류원회로가 입력동작을 행하고 있을 때, 요컨대, 발광소자에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을 때에 행하면 된다. 또한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은, 화소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는 기간 이외일 때이며, 또한, 어드레스기간과 어드레스기간의 사이에 행하면 된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화소의 전류원회로에 대한 설정동작은, 비점등기간(Td3, Td4)에 행하고,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은, 어드레스기간과 어드레스기간의 사이에 행하면 된다. 그래서, 도 81에는, 서브프레임기간 SF3과 서브프레임기간 SF4의 비점등기간(Td3, Td4)에 화소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에 대한 설정동작을 행한 경우이고, 또한, 어드레스기간 Ta1과 어드레스기간 Ta2의 사이, 어드레스기간 Ta2와 어드레스기간 Ta3의 사이의 기간에 있어서,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한 경우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낸다.
이때, 화소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에 대한 설정동작을 행하는 기간이, 비점등기간만으로는 그 시간이 짧고, 그 설정동작을 정확히 행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을 때는, 도 82이나 도 83과 같이, 각 어드레스기간 전에, 강제적으로 비점등기간을 설치하여, 그 비점등기간에서 화소의 전류원회로에 대한 설정동작을 행해도 된다. 이때, 도 82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에 대한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다. 한편, 도 83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에 대한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다.
다음에, 화소는 도 73a, 도 73b의 구성이고, 신호선 구동회로는, 도 59, 도 60과 같이, 기억회로 451을 갖는 구성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표시동작, 요컨대, 화소의 동작에 관한 타이밍 차트는 상기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의 타이밍에 대하여, 도 84, 도 85에 나타낸다. 이 경우, 비디오신호가 변화하고 있을 때라도, 기억회로 451에는 소정의 정보가 보존되어 있으므로, 전류원회로는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래서, 설정동작기간 Tb4등의 앞에, 설정기간 Tc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기간 Tc에서, 설정동작을 행하는 전류원회로가 선택되고, 그 후, 설정동작기간이 시작된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도 8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드레스기간 중에 있어서도, 설정동작기간 Tb4를 설치하는 것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 84와 같이, 화소의 전류원에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는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은 할 수 없다. 이때, 화소에 배치된 전류원에 설정동작을 행하기 전에, 설정기간 Tc를 설치하고, 그 설정기간 Tc에 있어서 기억회로 451의 데이터를 변경하고, 어떤 전류원회로도 설정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해 놓아야 한다. 따라서, 도 8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례로서, 설정동작기간 Tb5 후에, 설정기간 Tc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는, 도 85와 같이, 화소의 전류원에의 설정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도,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84, 85의 구성으로서는, 1프레임기간에 설정동작기간을 다수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선 구동회로가 갖는 모든 전류원회로가 설정동작을 종료하기까지의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혹은, 전류원회로가 설정동작을 행하는 기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동작을 보다 정확히 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다음에, 화소는 도 73a, 도 73b의 구성이고, 신호선 구동회로는, 도 61과 같이, 기억회로 451을 갖는 구성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표시동작, 요컨대, 화소의 동작에 관한 타이밍 차트는 상기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의 타이밍 차트를 도 86에 나타낸다. 이 경우, 비디오신호가 변화하고 있을 때라도, 기억회로 451에 소정의 정보가 보존되어 있으므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는, 어드레스기간에 있어서도,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논리연산자 452를 제어함으로써, 설정동작을 임의의 기간에서 정지시키거나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화소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기 전에는, 설정기간 Tc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어드레스기간의 도중이어도, 제2 기억제어선을 제어함으로써, 설정동작을 종료시키는 것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는 기간의 길이와,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는 기간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디지털계조와 시간계조를 조합한 경우에서의, 타이밍 차트에 대하여 기술해 왔다. 다음에, 아날로그계조인 경우의 타이밍 차트에 대하여 기술한다.
우선, 화소는, 도 13a 또는 도 13b로 한다. 신호선 구동회로는, 도 5 또는 도 49나 도 50의 구성으로 한다. 이때의 타이밍차트를 도 9에 나타낸다. 1행씩 주사선(도 13a에서의 제1 주사선 1102나 도 13b에서의 제1 주사선 1132)을 선택하고, 신호선(도 13a에서의 1101이나 도 13b에서의 1131)으로부터 전류를 입력해 간다. 이 전류는, 비디오신호에 따른 값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1행씩 선택하고, 신호선으로부터 전류를 입력해 가는 동작을, 1프레임기간 걸어 행한다.
이상이, 화상표시동작, 요컨대, 화소의 동작에 관한 타이밍 차트이다. 다음에,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의 타이밍에 대하여 기술한다.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입력동작은, 통상은, 1프레임기간 걸어 행해진다. 따라서, 종래대로는,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할 수 없다. 그래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수평주사기간의 처음에 설정기간 Tc 및 설정동작기간 Tb를 설치한다. 그리고, 설정기간 Tc에서, 어떤 전류원회로에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인지를 선택하고, 그 후 설정동작기간 Tb에서 설정동작을 행하도록 한다. 이때, 그 기간은, 귀선기간과 일치시켜도 된다. 그리고, 그 후,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입력동작을 행한다.
다음에, 화소는 도 13a 또는 도 13b의 구성이고, 신호선 구동회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회로 451을 갖는 구성이다. 그리고, 신호선 구동회로에 배치된 전류원회로에 있어서, 설정동작과 입력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기간 Tb를 길게 취할 수 있다. 이때,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류가 누설되거나, 별도의 전류가 들어오거나 하는 것이 없는 상태로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24 에서의 트랜지스터 182, 도 50에서의 트랜지스터 A, B, C 등은 신호선 구동회로의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기 전에는, 오프상태로 해 놓아야 한다. 단, 도 51과 같이, 트랜지스터 193이 배치되어 있고, 전류가 누설되거나, 별도의 전류가 들어오거나 하는 것이 없는 구성인 경우에는, 그와 같은 전류를 고려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는, 실시형태 1∼10, 실시예 1과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컬러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연구에 대하여 기술한다.
발광소자가 유기 EL 소자인 경우, 발광소자에 같은 크기의 전류를 흐르게 해도, 색깔에 따라서, 그 휘도가 다른 경우가 있다. 또한, 발광소자가 경시적인 요인 등에 의해 열화한 경우, 그 열화의 정도는, 색깔에 따라 다르다. 그 때문에, 발광소자를 사용한 발광장치에 있어서, 컬러표시를 행할 때는, 그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가장 단순한 수법은, 화소에 입력하는 전류의 크기를 색깔에 의해 변경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비디오 신호용 정전류원의 전류의 크기를 색깔에 따라 변경하면 된다.
그 밖의 수법으로서는, 화소, 신호선 구동회로, 비디오 신호용 정전류원 등에 있어서, 도 6c∼도 6e와 같은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c~도 6e와 같은 회로에서, 커런트미러회로를 구성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W/L의 비율을 색깔에 의해 변경한다. 이에 따라, 화소에 입력하는 전류의 크기가 색깔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수법으로서는, 점등기간의 길이를 색깔에 의해 변경하는 것이다. 이것은, 시간계조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또한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어느쪽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수법에 의해, 각 화소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수법을 사용함으로써, 혹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이트 밸런스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실시형태 1∼10, 실시예 1, 2와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반도체장치)의 외관에 대하여,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소자기판을 실링재에 의해 밀봉함으로써 형성된 발광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A-A'에서의 단면도, 도 12c는 도 12a의 B-B'에서의 단면도이다.
기판 4001 상에 설치된 화소부 4002와, 소스신호선 구동회로 4003과,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 4004a, b를 둘러싸도록 하여, 밀봉재 4009가 설치된다. 또한 화소부 4002와, 소스신호선 구동회로 4003과,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 4004a, b와의 상에 실링재 4008이 설치된다. 따라서 화소부 4002와, 소스신호선 구동회로 4003과,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 4004a, b와는, 기판 4001과 밀봉재 4009와 실링재 4008에 의해, 충전재 4210으로 밀봉되어 있다.
또한 기판 4001 상에 설치된 화소부 4002와, 소스신호선 구동회로 4003과,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 4004a, b는, 복수의 TFT를 가지고 있다. 도 12b에서는 대표적으로, 하지막 4010 상에 형성된, 소스신호선 구동회로 4003에 포함되는 구동 TFT(단, 여기서는 n채널형 TFT와 p채널형 TFT를 도시) 4201 및 화소부 4002에 포함되는 소거용 TFT 4202를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TFT 4201에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작된 p채널형 TFT 또는 n채널형 TFT가 사용되고, 소거용 TFT 4202에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작된 n채널형 TFT가 사용된다.
구동 TFT 4201 및 소거용 TFT 4202 상에는 층간절연막(평탄화막) 4301이 형성되고, 그 위에 소거용 TFT 4202의 드레인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화소전극(양극) 4203이 형성된다. 화소전극 4203으로서는 일함수가 큰 투명도전막이 사용된다. 투명도전막으로서는, 산화인듐과 산화주석과의 화합물, 산화인듐과 산화아연과의 화합물, 산화아연, 산화주석 또는 산화인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도전막에 갈륨을 첨가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화소전극 4203 상에는 절연막 4302가 형성되고, 절연막 4302는 화소전극 4203 상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에서, 화소전극 4203 상에는 발광층 4204가 형성된다. 발광층 4204는 공지의 발광재료 또는 무기발광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재료에는 저분자계(모노머계)재료와 고분자계(폴리머계)재료가 있지만 어느 쪽을 사용해도 된다.
발광층 4204의 형성방법은 공지의 증착기술 또는 도포법 기술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발광층 4204의 구조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또 는 전자주입층을 임의로 조합하여 적층구조 또는 단층구조로 하면 된다.
발광층 4204 상에는 차광성을 갖는 도전막(대표적으로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전막 또는 그것들과 다른 도전막과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지는 음극 4205가 형성된다. 또한, 음극 4205와 발광층 4204의 계면에 존재하는 수분이나 산소는 극력 배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발광층 4204를 질소 또는 희가스분위기로 형성하고, 산소나 수분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음극 4205를 형성한다고 했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챔버방식(클러스터 툴방식)의 막형성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막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음극 4205는 소정의 전압이 공급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화소전극(양극) 4203, 발광층 4204 및 음극 4205로 이루어지는 발광소자 4303이 형성된다. 그리고 발광소자 4303을 덮도록, 절연막 상에 보호막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은, 발광소자 4303에 산소나 수분 등이 들어가는 것을 막는 데 효과적이다.
4005a는 전원선에 접속된 인출배선이고, 소거용 TFT 4202의 소스영역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인출배선 4005a는 밀봉재 4009와 기판 4001과의 사이를 통해, 이방도전성필름 4300을 통해 FPC 4006이 갖는 FPC용 배선 43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실링재(4008)로서는, 유리재, 금속재(대표적으로는 스테인레스재), 세라믹재, 플라스틱재(플라스틱필름도 포함함)를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재로서는, FRP(Fiber glass-Reinforced Plastics)판, PVF(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필름, 마일라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아크릴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필름을 PVF 필름이나 마일라 필름으로 끼운 구조의 시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단, 발광층으로부터의 광의 방사방향이 커버재측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커버재는 투명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경우에는, 유리판, 플라스틱판,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아크릴 필름 같은 투명물질을 사용한다.
또한, 충전재 4210으로서는 질소나 아르곤 등의 불활성인 기체 외에, 자외선경화수지 또는 열경화수지를 사용할 수 있어,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 아크릴, 폴리이미드, 에폭시수지, 실리콘수지, PVB(폴리비닐부틸랄) 또는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재로서 질소를 사용하였다.
또한 충전재 4210을 흡습성물질(바람직하게는 산화바륨) 또는 산소를 흡착할 수 있는 물질에 노출해 두기 때문에, 실링재 4008의 기판 4001 측의 면에 오목부 4007을 설치하여 흡습성물질 또는 산소를 흡착할 수 있는 물질(4207)을 배치한다. 그리고, 흡습성물질 또는 산소를 흡착할 수 있는 물질(4207)이 비산되지 않도록, 오목부 커버재 4208에 의해 흡습성물질 또는 산소를 흡착할 수 있는 물질(4207)은 오목부 4007에 유지되어 있다. 이때 오목부 커버재 4208은 눈금이 세밀한 메시형상으로 되어 있고, 공기나 수분은 통과시켜, 흡습성물질 또는 산소를 흡착할 수 있는 물질(4207)은 통과시키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흡습성물질 또는 산소를 흡착할 수 있는 물질(4207)을 설치함으로써, 발광소자 4303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소전극 4203이 형성되면 동시에, 인출배선 4005a 상에 접하도록 도전성막 4203a가 형성된다.
또한, 이방도전성 필름 4300은 도전성필러 4300a를 가지고 있다. 기판 4001과 FPC 4006을 열압착함으로써, 기판 4001 상의 도전성막 4203a와 FPC 4006 상의 FPC용 배선 4301이, 도전성필러 4300a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예는, 실시형태 1∼10, 실시예 1∼3과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5>
발광소자를 사용한 발광장치는 자발광형이기 때문에, 액정디스플레이에 비해, 밝은 장소에서의 시인성에 뛰어나고, 시야각이 넓다. 따라서, 여러가지 전자기기의 표시부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로서,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고글형 디스플레이(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네비게이션 시스템, 음향재생장치(카오디오, 오디오 콤포넌트 스테레오 등),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게임기기, 휴대정보단말(모바일 컴퓨터, 휴대전화, 휴대형 게임기 또는 전자서적 등), 기록매체를 구비한 화상재생장치(구체적으로는 Digital Versatile Disc(DVD) 등의 기록매체를 재생하고, 그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기울어진 방향으로부터 화면을 보는 기회가 많은 휴대정보단말은, 시야각의 넓이가 중요시되기 때문에, 발광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들 전자기기의 구체예를 도 22에 나타낸다.
도 22a는 발광장치이고, 외관 케이스(2001), 지지대(2002), 표시부(2003), 스피커부(2004), 비디오 입력단자(2005)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광장치는 표시부(2003)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도 22a에 나타내는 발광장치가 완성된다. 발광장치는 자발광형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 없고, 액정디스플레이보다도 얇은 표시부로 할 수 있다. 이때, 발광장치는, 퍼스널 컴퓨터용, TV 방송수신용, 광고표시용 등의 모든 정보표시용 표시장치가 포함된다.
도 22b는 디지털스틸 카메라이고, 본체(2101), 표시부(2102), 수상부(2103), 조작키(2104), 외부접속포트(2105), 셔터(2106)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광장치는 표시부(2102)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도 22b에 나타내는 디지털스틸 카메라가 완성된다.
도 22c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이고, 본체(2201), 외관 케이스(2202), 표시부(2203), 키보드(2204), 외부접속포트(2205), 포인팅 마우스(2206)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광장치는 표시부(2203)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도 22c에 나타내는 발광장치가 완성된다.
도 22d는 모바일 컴퓨터이고, 본체(2301), 표시부(2302), 스위치(2303), 조작키(2304), 적외선포트(2305)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광장치는 표시부(2302)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도 22d에 나타내는 모바일 컴퓨터가 완성된다.
도 22e는 기록매체를 구비한 휴대형의 화상재생장치(구체적으로는 DVD 재생장치)이고, 본체(2401), 외관 케이스(2402), 표시부(A2403), 표시부(B2404), 기록매체(DVD 등) 판독부(2405), 조작키(2406), 스피커부(2407)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 A2403은 주로 화상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부 B2404는 주로 문자정보를 표시하지만, 본 발명의 발광장치는 이들 표시부 A, B 2403, 2404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를 구비한 화상재생장치에는 가정용 게임기기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도 22e에 나타내는 DVD 재생장치가 완성된다.
도 22f는 고글형 디스플레이(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이고, 본체(2501), 표시부(2502), 암부(25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광장치는 표시부(2502)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도 22(F)에 나타내는 고글형 디스플레이가 완성된다.
도 22g는 비디오 카메라이고, 본체(2601), 표시부(2602), 외관 케이스(2603), 외부접속포트(2604), 리모콘 수신부(2605), 수상부(2606), 배터리(2607), 음성입력부(2608), 조작키(2609), 접안부(261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광장치는 표시부(2602)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도 22g에 나타내는 비디오 카메라가 완성된다.
여기서 도 22h는 휴대전화이고, 본체(2701), 외관 케이스(2702), 표시부(2703), 음성입력부(2704), 음성출력부(2705), 조작키(2706), 외부접속포트(2707), 안테나(2708)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광장치는 표시부(2703)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2703)는 흑색의 배경에 백색의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휴대전화의 소비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도 22h에 나타내는 휴대전화가 완성된다.
이때, 장래적으로 발광재료의 발광휘도가 높아지면, 출력한 화상정보를 포함 하는 광을 렌즈 등으로 확대투영하여 프론트형 또는 리어형의 프로젝터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는 인터넷이나 CATV(케이블 텔레비전) 등의 전자통신회선을 통하여 분배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많아져, 특히 동화상정보를 표시하는 기회가 증가되고 있다. 발광재료의 응답속도는 매우 높기 때문에, 발광장치는 동화상표시에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장치는 발광하고 있는 부분이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발광부분이 극력 적어지도록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휴대정보단말, 특히 휴대전화나 음향재생장치와 같은 문자정보를 주로 하는 표시부에 발광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발광부분을 배경으로서 문자정보를 발광부분으로 형성하도록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매우 넓고, 모든 분야의 전자기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자기기는, 실시형태 1∼10, 실시예 1∼4에 나타낸 어느 하나의 구성의 발광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제작공정이나 사용하는 기판의 상위에 의해 생기는 TFT의 특성변동의 영향을 억제하여, 원하는 신호전류를 외부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정동작을 행할 때, 비디오신호를 사용하여, 1열번째로부터 마지막열번째 중, 임의의 열에 배치된 전류원회로를 지정한다. 또한, 임의의 기간만큼, 전류원회로를 지정한다. 그렇게 하면, 복수열에 배치된 전류원회로 중, 설 정동작이 필요한 전류원회로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지정된 전류원회로에서는 설정동작에 시간을 걸어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정확히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때 복수열에 배치된 전류원회로 중, 1열번째로부터 마지막열번째까지 순차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해도 된다. 그러나, 1열번째로부터 순차로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는 것은 아니며,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랜덤하게 행할 수 있으면, 여러가지 이점이 생긴다. 예를 들면,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행하는 시간의 길이가 자유롭게 길게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정동작을 행할 수 있는 기간이, 1프레임 중에 점재하고 있는 경우는, 임의의 열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으면, 자유도가 올라가, 설정동작의 기간을 길게 취할 수 있게 된다. 그 밖에의 이점으로서는, 전류원회로 내에 배치된 용량소자에서의 전하의 누설의 영향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동작에 따른 문제가 있었던 경우, 그 문제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디오신호를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을 위해 이용함으로써, 전류원회로의 설정동작의 제어나 전류원회로를 지정하기 위한 전용의 회로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배치하는 회로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제조시에서의 불량발생률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이아웃 면적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액자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Claims (46)

  1.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전류원회로를 갖는 신호선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원회로의 각각은, 용량수단 및 공급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전류원회로의 각각은, 설정신호에 따라, 공급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용량수단은, 상기 공급수단이 갖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양쪽의 드레인과 게이트가 단락된 상태에 있을 때, 공급된 전류에 의해,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2.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전류원회로를 갖는 신호선 구동회로에 있어서,
    1개의 배선에 대하여, 각각이 용량수단 및 공급수단을 갖는 2개의 전류원회로가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전류원회로 중, 설정신호에 따라, 한쪽의 전류원회로는 공급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다른쪽의 전류원회로는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용량수단은, 상기 공급수단이 갖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양쪽의 드레인과 게이트가 단락된 상태에 있을 때, 공급된 전류에 의해,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3.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전류원회로를 갖는 신호선 구동회로에 있어서,
    1개의 배선에 대하여, 각각이 용량수단 및 공급수단을 갖는 n개의 전류원회로(n은 2이상의 자연수)가 배치되고,
    상기 n개의 전류원회로의 각각은, 설정신호에 따라, 공급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용량수단은, 상기 공급수단이 갖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양쪽의 드레인과 게이트가 단락된 상태에 있을 때, 공급된 전류에 의해,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전류원회로는, 서로 다른 비트에 대응한 n개의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에 접속되고,
    상기 n개의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값은, 20:21:···:2n-1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n은 2이상의 자연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전류원회로는, 최상위비트에 대응한 1개의 레퍼런스용 정전류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n은 2이상의 자연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은, 복수의 신호선 또는 복수의 전류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수단은, 상기 공급수단이 갖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게이트가 단락된 상태에 있을 때, 공급된 전류에 의해, 그 게이트·소스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드레인의 도통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와, 레퍼런스용 정전류원과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도통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화소의 도통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9. 삭제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커런트미러회로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드레인의 도통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와, 레퍼런스용 정전류원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도통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수단은, 상기 공급수단이 갖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한쪽의 드레인과 게이트가 단락된 상태에 있을 때, 공급된 전류에 의해, 그 게이트·소스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커런트미러회로와,
    레퍼런스용 정전류원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의 도통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게이트,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레퍼런스용 정전류원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도통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 / 게이트 길이는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 / 게이트 길이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 / 게이트 길이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15. 삭제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m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커런트미러회로를 갖고,
    상기 m개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 / 게이트 길이는 20:21:···:2m-1로 설정되며,
    상기 m개의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류는 20:21:···:2m-1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m은 2이상의 자연수).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는 포화영역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1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능동층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1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상기 신호선 구동회로와, 각각에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화소부를 갖고, 상기 발광소자에는, 상기 신호선 구동회로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20.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배선 및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화소부와,
    상기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전류원회로를 갖는 신호선 구동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각각은, 발광소자 및 구동용 트랜지스터 및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을 유지하는 용량소자를 가지며,
    1프레임기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기간을 갖고,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기간의 각각은 어드레스기간과 점등기간을 가지며,
    상기 점등기간 중,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어느 것도 선택되어 있지 않은 기간에 설정기간과 설정동작기간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기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원회로 중, m개의 전류원회로(m은 1 이상의 자연수)를 설정신호에 의해 지정하며,
    상기 설정동작기간에 있어서, 지정된 상기 m개의 전류원회로의 각각에서는, 설정신호에 따라, 공급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의 구동방법.
  21.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배선 및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화소부와,
    상기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전류원회로를 갖는 신호선 구동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각각은, 발광소자 및 구동용 트랜지스터 및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을 유지하는 용량소자를 가지며,
    1프레임기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기간을 갖고,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기간의 각각은 어드레스기간과 점등기간을 가지며,
    상기 점등기간 중,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어느 것도 선택되어 있지 않은 기간에 설정기간과 설정동작기간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기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원회로 중, m개의 전류원회로(m은 1 이상의 자연수)를 설정신호에 의해 지정하며,
    상기 어드레스기간 및 상기 설정동작기간에 있어서, 지정된 상기 m개의 전류원회로는, 설정신호에 따라, 공급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의 구동방법.
  22.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배선 및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화소부와,
    상기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전류원회로를 갖는 신호선 구동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각각은, 발광소자 및 전류원회로 및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전류원회로의 도통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갖는 발광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1프레임기간은, 설정기간 및 제1 및 제2 설정동작기간을 갖고,
    상기 설정기간 및 상기 제1 설정동작기간은, 상기 복수의 주사선 중 어느 것도 선택되어 있지 않은 기간에 설정되며,
    상기 설정기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원회로 중, m개의 전류원회로(m은 1 이상의 자연수)를 설정신호에 의해 지정하고,
    상기 제1 설정동작기간에 있어서, 지정된 상기 m개의 전류원회로의 각각은, 설정신호에 따라, 공급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제2 설정동작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소에 배치된 상기 전류원회로에서는, 공급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의 구동방법.
  23.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배선 및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화소부와,
    상기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전류원회로를 갖는 신호선 구동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각각은, 발광소자 및 전류원회로 및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전류원회로의 도통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갖는 발광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1프레임기간은, 설정기간 및 제1 및 제2 설정동작기간을 갖고,
    상기 설정기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원회로 중, m개의 전류원회로(m은 1 이상의 자연수)를 설정신호에 의해 지정하며,
    상기 제1 설정동작기간에 있어서, 지정된 상기 m개의 전류원회로의 각각은, 설정신호에 따라, 공급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제2 설정동작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소에 배치된 상기 전류원회로에서는, 공급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의 구동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기간 및 상기 제1 설정동작기간과 상기 제2 설정동작기간은, 일부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의 구동방법.
  25.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배선 및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화소부와,
    상기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전류원회로를 갖는 신호선 구동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각각은 발광소자를 가지며,
    1프레임기간은 복수의 수평주사기간을 갖고,
    상기 복수의 수평주사기간의 각각은, 설정기간 및 설정동작기간을 가지며,
    상기 설정기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원회로 중, m개의 전류원회로를 설정신호에 의해 지정하고,
    상기 설정동작기간에 있어서, 지정된 상기 m개의 전류원회로의 각각은, 설정신호에 따라, 공급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의 구동방법.
  26.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배선 및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화소부와,
    상기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전류원회로를 갖는 신호선 구동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각각은 발광소자를 가지며,
    1프레임기간은 복수의 수평주사기간을 갖고,
    상기 복수의 수평주사기간으로부터 선택된 x개의 수평주사기간(x는 1 이상의 자연수)은 설정기간 및 설정동작기간을 가지며,
    상기 설정기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원회로 중, m개의 전류원회로를 설정신호에 의해 지정하고,
    상기 설정동작기간에 있어서, 지정된 상기 m개의 전류원회로의 각각은, 설정신호에 따라, 공급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의 구동방법.
  27. 제 20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부는 선순차 구동 또는 점순차 구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의 구동방법.
  28. 제 20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은 복수의 신호선 또는 복수의 전류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의 구동방법.
  2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의 온 또는 오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의 온 또는 오프는, 비디오신호에 따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31. 제 20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의 온 또는 오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의 구동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전압에 따른 전류의 온 또는 오프는, 비디오신호에 따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의 구동방법.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 / 게이트 길이는 같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4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 / 게이트 길이는 같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4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 / 게이트 길이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 / 게이트 길이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4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 / 게이트 길이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 / 게이트 길이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KR1020047006382A 2001-10-30 2002-10-30 신호선 구동회로, 발광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914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33466 2001-10-30
JP2001333466 2001-10-30
JP2002288104 2002-09-30
JPJP-P-2002-00288104 2002-09-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315A Division KR100943029B1 (ko) 2001-10-30 2002-10-30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015A KR20050042015A (ko) 2005-05-04
KR100914186B1 true KR100914186B1 (ko) 2009-08-26

Family

ID=266242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382A KR100914186B1 (ko) 2001-10-30 2002-10-30 신호선 구동회로, 발광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077024315A KR100943029B1 (ko) 2001-10-30 2002-10-30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315A KR100943029B1 (ko) 2001-10-30 2002-10-30 표시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7742064B2 (ko)
EP (1) EP1450342B1 (ko)
JP (2) JPWO2003038794A1 (ko)
KR (2) KR100914186B1 (ko)
CN (2) CN101325030B (ko)
SG (1) SG156523A1 (ko)
TW (2) TW200638329A (ko)
WO (1) WO2003038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0479B2 (en) 2001-10-30 2007-02-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ignal line drive circuit and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US7576734B2 (en) * 2001-10-30 2009-08-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ignal line driving circuit,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7742064B2 (en) 2001-10-30 2010-06-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ignal line driver circuit,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WI256607B (en) * 2001-10-31 2006-06-11 Semiconductor Energy Lab Signal line drive circuit and light emitting device
TWI261217B (en) 2001-10-31 2006-09-01 Semiconductor Energy Lab Driving circuit of signal line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WO2004001713A1 (ja) * 2002-06-19 2003-12-3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
US8035626B2 (en) 2002-11-29 2011-10-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urrent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current driving circuit
WO2004054114A1 (ja) * 2002-12-10 2004-06-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半導体装置、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回路及びそれらを用いた表示装置
US7271784B2 (en) * 2002-12-18 2007-09-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0437701C (zh) 2003-01-17 2008-11-2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电流源电路、信号线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以及发光装置
JP4663327B2 (ja) 2003-02-28 2011-04-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JP4558509B2 (ja) * 2003-04-25 2010-10-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7453427B2 (en) 2003-05-09 2008-11-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04107078A1 (ja) * 2003-05-14 2004-12-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半導体装置
US7566902B2 (en) * 2003-05-16 2009-07-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2201196B (zh) * 2003-06-06 2014-03-2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装置
JP4662698B2 (ja) 2003-06-25 2011-03-3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流源回路、並びに電流設定方法
US8378939B2 (en) 2003-07-11 2013-02-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8085226B2 (en) 2003-08-15 2011-12-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EP1671303B1 (en) 2003-09-12 2014-08-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JP2005221659A (ja) * 2004-02-04 2005-08-18 Nec Corp 電流源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EP1610292B1 (en) * 2004-06-25 2016-06-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100661661B1 (ko) 2005-07-01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090385A1 (en) * 2005-10-21 2007-04-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EP1793367A3 (en) * 2005-12-02 2009-08-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JP2009053576A (ja) * 2007-08-29 2009-03-12 Eastman Kodak Co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101606832B1 (ko) * 2009-06-16 2016-03-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24388B1 (ko) * 2010-02-23 2023-04-2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2237049B (zh) * 2010-04-22 2013-03-20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玻璃基芯片型液晶显示器
KR20120129335A (ko) * 2011-05-19 2012-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4813391B (zh) * 2012-11-26 2017-09-12 Imec 非营利协会 有源矩阵显示器的低功率数字驱动
CN113241039A (zh) * 2016-06-28 2021-08-10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
US11527217B2 (en) * 2016-06-28 2022-12-13 Innolux Corporation Display panel
US20180348805A1 (en) * 2017-05-31 2018-12-06 Silicon Laboratories Inc. Bias Current Generator
KR102423987B1 (ko) * 2017-09-21 2022-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미네이션 회로 및 인터페이스 장치
JP2022085239A (ja) * 2020-11-27 2022-06-08 ラピ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インタフェース回路、ソース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2488U (ko) * 1986-01-28 1987-08-04
KR0137475B1 (ko) * 1988-09-12 1998-06-15 에프.제이.스미트 전류-소스 장치
KR100250411B1 (en) * 1995-11-30 2000-04-01 Orion Electric Co Ltd Cell driving system of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KR20010085788A (ko) * 1999-07-14 2001-09-07 이데이 노부유끼 전류 구동 회로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 화소 회로,및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2488A (ja) 1985-11-22 1987-06-03 Toshiba Corp X線撮影装置
EP0249954B1 (en) 1986-06-17 1992-12-02 Fujitsu Limited Driving a matrix type display device
US4967192A (en) * 1987-04-22 1990-10-30 Hitachi, Ltd. Light-emitting element array driver circuit
US5041823A (en) 1988-12-29 1991-08-20 Honeywell Inc. Flicker-free liquid crystal display driver system
US5266936A (en) * 1989-05-09 1993-11-30 Nec Corporation Driving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H0542488A (ja) 1990-09-04 1993-02-23 Masahisa Miura ロータリーホチキス
JPH06118913A (ja) 1992-08-10 1994-04-28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3313830B2 (ja) 1993-07-19 2002-08-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回路
US5594463A (en) 1993-07-19 1997-01-1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riving circuit fo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apparatus
JP3442449B2 (ja) 1993-12-25 2003-09-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
JP3156522B2 (ja) 1994-09-22 2001-04-16 凸版印刷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駆動回路
JPH08101669A (ja) 1994-09-30 1996-04-1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駆動回路
JPH08106075A (ja) 1994-10-06 1996-04-23 Sharp Corp 表示駆動回路
JP3619299B2 (ja) 1995-09-29 2005-02-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素子の駆動回路
KR100195501B1 (ko) * 1995-11-30 1999-06-15 김영남 레치형 전송기를 이용한 평판 표시기 데이타 구동 장치
JP3507239B2 (ja) 1996-02-26 2004-03-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素子の駆動方法及び装置
JP3352876B2 (ja) 1996-03-11 2002-12-03 株式会社東芝 出力回路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器の駆動回路
JP3547561B2 (ja) 1996-05-15 2004-07-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装置
JPH09329806A (ja) * 1996-06-11 1997-12-2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US5783952A (en) 1996-09-16 1998-07-21 Atmel Corporation Clock feedthrough reduction system for switched current memory cells
US5990629A (en) * 1997-01-28 1999-11-23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US5952789A (en) 1997-04-14 1999-09-14 Sarnoff Corporatio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display pixel structure and data load/illuminate circuit therefor
WO1998048403A1 (en) * 1997-04-23 1998-10-29 Sarnoff Corporation Active matrix light emitting diode pixel structure and method
US6229506B1 (en) 1997-04-23 2001-05-08 Sarnoff Corporation Active matrix light emitting diode pixel structure and concomitant method
JPH10312173A (ja) 1997-05-09 1998-11-24 Pioneer Electron Corp 画像表示装置
JP3102411B2 (ja) 1997-05-29 2000-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有機薄膜el素子の駆動回路
US6310589B1 (en) 1997-05-29 2001-10-30 Nec Corporation Driving circuit for organic thin film EL elements
TW432234B (en) 1997-08-20 2001-05-01 Advantest Corp Optical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JPH11231834A (ja) 1998-02-13 1999-08-27 Pioneer Electron Corp 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3252897B2 (ja) 1998-03-31 2002-02-04 日本電気株式会社 素子駆動装置および方法、画像表示装置
US6268842B1 (en) 1998-04-13 2001-07-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circuit and semiconductor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GB9812742D0 (en) * 1998-06-12 1998-08-12 Philips Electronics Nv Active matrix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JP2000039926A (ja) 1998-07-24 2000-02-08 Canon Inc 電流出力回路
JP3315652B2 (ja) 1998-09-07 2002-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流出力回路
JP2000105574A (ja) 1998-09-29 2000-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流制御型発光装置
JP3800831B2 (ja) 1998-10-13 2006-07-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138102B2 (ja) * 1998-10-13 2008-08-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281336B1 (ko) 1998-10-21 2001-03-02 구본준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KR100438525B1 (ko) 1999-02-09 2004-07-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GB2360651B (en) 1998-10-21 2002-03-13 Lg Philips Lcd Co Ltd Shift register
JP2000305522A (ja) 1999-02-15 2000-11-02 Tdk Corp 表示装置
JP3840027B2 (ja) * 1999-02-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3500322B2 (ja) * 1999-04-09 2004-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定電流駆動装置および定電流駆動半導体集積回路
JP4092857B2 (ja) * 1999-06-17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4627822B2 (ja) 1999-06-23 2011-02-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MY124036A (en) * 1999-07-08 2006-06-30 Nichia Corp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ts method of operation
US7379039B2 (en) 1999-07-14 2008-05-27 Sony Corporation Current drive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pixel circuit, and drive method
JP2001034221A (ja) 1999-07-23 2001-02-09 Nippon Seiki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の駆動回路
JP2001042822A (ja) 1999-08-03 2001-02-16 Pioneer Electroni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2001056667A (ja) 1999-08-18 2001-02-27 Tdk Corp 画像表示装置
JP3341735B2 (ja) 1999-10-05 2002-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有機薄膜el表示装置の駆動装置とその駆動方法
JP2001109432A (ja) * 1999-10-06 2001-04-20 Pioneer Electroni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発光パネルの駆動装置
GB9923591D0 (en) 1999-10-07 1999-12-0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urrent sour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1147659A (ja) 1999-11-18 2001-05-29 Sony Corp 表示装置
GB2357643A (en) * 1999-12-21 2001-06-27 Nokia Mobile Phones Ltd A mobile phone VCO with controlled output power level
TW493152B (en) 1999-12-24 2002-07-01 Semiconductor Energy Lab Electronic device
US6515534B2 (en) 1999-12-30 2003-02-04 Intel Corporation Enhanced conductivity body biased PMOS driver
KR100327374B1 (ko) * 2000-03-06 2002-03-06 구자홍 액티브 구동 회로
JP2001290469A (ja) 2000-04-06 2001-10-19 Nec Corp 液晶表示装置
TW493282B (en) 2000-04-17 2002-07-01 Semiconductor Energy Lab Self-luminous device and electric machine using the same
TW493153B (en) 2000-05-22 2002-07-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US6825820B2 (en) 2000-08-10 2004-11-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4014831B2 (ja) 2000-09-04 2007-11-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El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3793016B2 (ja) 2000-11-06 200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US7015882B2 (en) 2000-11-07 2006-03-21 Sony Corporation Active matrix display and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JP2003195815A (ja) 2000-11-07 2003-07-09 Sony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02215095A (ja) * 2001-01-22 2002-07-31 Pioneer Electronic Corp 発光ディスプレイの画素駆動回路
US6724150B2 (en) 2001-02-01 2004-04-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2278497A (ja) 2001-03-22 2002-09-27 Canon Inc 表示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3015613A (ja) * 2001-06-29 2003-01-1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液晶表示装置、液晶ドライバ、lcdコントローラ、および複数のドライバicにおける駆動方法
US6876350B2 (en) * 2001-08-10 2005-04-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CN100440286C (zh) 2001-08-29 2008-12-03 日本电气株式会社 用于驱动电流负载器件的半导体器件及提供的电流负载器件
JP4193452B2 (ja) 2001-08-29 2008-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流負荷デバイス駆動用半導体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流負荷デバイス
JP3866069B2 (ja) * 2001-09-26 2007-01-10 株式会社東芝 赤外線固体撮像装置
US7742064B2 (en) 2001-10-30 2010-06-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ignal line driver circuit,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576734B2 (en) 2001-10-30 2009-08-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ignal line driving circuit,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7180479B2 (en) 2001-10-30 2007-02-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ignal line drive circuit and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TWI256607B (en) 2001-10-31 2006-06-11 Semiconductor Energy Lab Signal line drive circuit and light emitting device
TWI261217B (en) 2001-10-31 2006-09-01 Semiconductor Energy Lab Driving circuit of signal line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JP2003150112A (ja) 2001-11-14 2003-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led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6985072B2 (en) 2001-12-21 2006-01-10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 low-rate data transmission mode over a power line
WO2004054114A1 (ja) * 2002-12-10 2004-06-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半導体装置、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回路及びそれらを用いた表示装置
US7271784B2 (en) * 2002-12-18 2007-09-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W594634B (en) 2003-02-21 2004-06-2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Data driver
TW589604B (en) * 2003-03-07 2004-06-01 Au Optronics Corp Integrated data driver structure used in a current-driving display device
JP3918770B2 (ja) 2003-04-25 2007-05-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AU2010210646B2 (en) * 2009-02-05 2015-10-29 Immunogen, Inc. Novel benzodiazepine derivativ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2488U (ko) * 1986-01-28 1987-08-04
KR0137475B1 (ko) * 1988-09-12 1998-06-15 에프.제이.스미트 전류-소스 장치
KR100250411B1 (en) * 1995-11-30 2000-04-01 Orion Electric Co Ltd Cell driving system of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KR20010085788A (ko) * 1999-07-14 2001-09-07 이데이 노부유끼 전류 구동 회로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 화소 회로,및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04204B (ko) 2008-12-11
CN1610931A (zh) 2005-04-27
KR20050042015A (ko) 2005-05-04
US7961159B2 (en) 2011-06-14
KR20070116903A (ko) 2007-12-11
JPWO2003038794A1 (ja) 2005-02-24
US20100253670A1 (en) 2010-10-07
WO2003038794A1 (fr) 2003-05-08
US20110254880A1 (en) 2011-10-20
SG156523A1 (en) 2009-11-26
EP1450342A4 (en) 2008-10-01
US20030169250A1 (en) 2003-09-11
EP1450342B1 (en) 2012-12-19
JP4610632B2 (ja) 2011-01-12
TW200638329A (en) 2006-11-01
TW200300245A (en) 2003-05-16
US8314754B2 (en) 2012-11-20
CN101325030A (zh) 2008-12-17
TWI305905B (ko) 2009-02-01
CN101325030B (zh) 2011-07-06
JP2008203885A (ja) 2008-09-04
EP1450342A1 (en) 2004-08-25
KR100943029B1 (ko) 2010-02-18
CN100416635C (zh) 2008-09-03
US7742064B2 (en)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186B1 (ko) 신호선 구동회로, 발광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939735B1 (ko) 신호선 구동회로, 발광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939734B1 (ko) 신호선구동회로, 및 발광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905270B1 (ko) 신호선 구동회로 및 발광장치
KR100924740B1 (ko) 신호선 구동회로 및 발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