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647B1 - 매체분리기구 - Google Patents

매체분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647B1
KR100909647B1 KR1020070133149A KR20070133149A KR100909647B1 KR 100909647 B1 KR100909647 B1 KR 100909647B1 KR 1020070133149 A KR1020070133149 A KR 1020070133149A KR 20070133149 A KR20070133149 A KR 20070133149A KR 100909647 B1 KR100909647 B1 KR 100909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amount
medium
overlap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066A (ko
Inventor
류지 요코쿠라
마도카 와카바야시
히로카즈 코마츠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매체의 인출 위치나, 게이트에 있어서의 매체의 상태, 매체 길이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게이트의 오버랩량의 적정한 조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피드 롤러(3)와 게이트 롤러(4)의 오버랩 부분인 게이트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1매씩 분리하는 매체분리기구에 있어서, 매체의 누계 분리 매수가 미리 설정한 기준매수에 달했을 경우, 상기 누계 분리 매수와 그 누계 분리 매수에 달할 때까지 상기중복 이송·연쇄 검지수단으로 검지된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의 발생회수로부터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 발생율을 산출하여, 산출한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 발생율이 게이트의 오버랩량 조정을 위한 제1 기준값을 초과했을 경우, 조정 모터(11)에 의해 게이트 롤러(4)를 이동시켜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많아지도록 조정한다.
오버랩량, 중복 이송·연쇄 검지수단, 조정 모터, 게이트 롤러

Description

매체분리기구{Media Separation Mechanism}
본 발명은, 매체수납부로부터 내보내지는 지엽형태의 매체를 피드 롤러와 게이트 롤러에 의해 1매씩 분리하는 매체분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매체분리기구로서, 예를 들면 자동거래장치의 하나의 기능으로서 지폐의 입출금처리 등을 행하는 지폐처리기에 삽입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지폐처리기에 있어서의 매체분리기는, 지폐수납부 등에 집적된 지엽형태의 매체인 지폐를 픽커 롤러에 의해 내보내 피드 롤러와 게이트 롤러 사이로 보내고, 피드 롤러의 회전에 의해 피드 롤러와 게이트 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1매씩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피드 롤러와 게이트 롤러는 외주의 일부가 서로 오버랩하도록 상자 모양으로 배치되고, 그 오버랩 부분을 지폐가 통과하는 게이트로 칭하지만,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적으면 지폐가 겹쳐져 이송되는 상태인 소위 중복 이송이나 복수 매의 지폐가 이상 접근하여 이송되는 상태인 소위 연쇄가 발생하고, 반대로 오버랩량이 많은 경우에는, 지폐를 보낼 수 없게 되거나 지폐가 손상되거나 하므로, 1매씩 정확하게 분리하여 이송을 행하기 위해서는 오버랩량을 적절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게이트 즉 피드 롤러와 게이트 롤러 사이에 조정용의 매체(이하 조정 매체)를 꽂아넣고, 그 조정 매체를 뽑았을 때의 인발력을 측정하여, 그 인발력이 설정값외 일때는 설정값 이내가 되도록 오버랩량을 조정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조정 매체의 탄력 강도나, 마찰계수의 차이 및 조정을 행하는 인간의 개인차 등에 의해 조정의 편차가 발생하므로, 안정된 분리 성능을 얻는 것이 곤란하며, 또 조정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
그래서,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매체분리기가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
그 하나로서, 피드 롤러와 게이트 롤러에 의한 게이트를 통과하는 매체의 인출 피치나 사행량 등의 반송 상태를 센서로 검출하여, 그 검출 데이터에 대하여 통계처리나, 퍼지 추론에 의한 신호 생성 등을 행하고, 그것에 의거하여 조정 모터에 의해 게이트 롤러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오버랩량을 자동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한 매체분리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5-254695호(단락 「0036」∼단락 「0080」, 도 1)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매체의 사행발생을 검출하여 보정을 행하기 때문에, 사행은 발생하지 않지만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변화되어 그 결과 매체의 중복 이송(겹친 상태)이나 연쇄(정상적인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반송되는 상태)가 발생했을 경우, 오버랩량의 조정이 행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그 대책으로서 픽커 롤러가 매체를 내보내고나서 그 매체가 피드 롤러와 게이트 롤러에 의한 게이트를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을 검지하여, 그 시간이 길거나 짧은가에 따라 오버랩량을 조정 수단에 의해 자동조정하는 것으로 오버랩량을 적절히 설정하는 매체분리기가 고려될 수 있지만, 이 경우 매체가 언제나 같은 위치에서 인출되지 않으면 오버랩량이 많아 통과 시간이 긴지, 매체를 내보내는 위치가 멀어 통과 시간이 긴지의 판별이 불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지엽류 집적부에 집적했을 때의 상태에 의해 매체를 내보내는 위치가 멀어져 통과 시간이 길어진 경우에도, 오버랩량이 많은 것으로 인식하여, 오버랩량이 적어지도록 잘못 조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많은 (게이트가 빽빽하다) 것으로 매체가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는 상태와, 오버랩량이 적은(게이트가 느슨하다) 것으로 매체 다발이 게이트로 들어가 진행되지 않는 상태의 구별이 불가능하게 되어, 잘못 조정하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외국지폐와 같이 이송방향의 길이가 다른 매체가 혼재하여 집적되고 있 는 경우, 그 길이의 차이에 의해 매체의 선단위치가 어긋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통과 시간이 긴 것이 오버랩량이 많기 때문인지, 매체선단이 게이트에 도달하는 시간이 걸려서 인지를 알 수 없어, 오버랩량을 적게 하면 되는지 판단할 수 없게 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적층된 지엽형태의 매체를 내보내는 픽커 롤러와, 매체인출 방향에 있어서의 픽커 롤러의 하류측에 배치된 피드 롤러와, 이 피드 롤러에 대하여 외주의 일부가 오버랩하도록 배치된 게이트 롤러의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픽커 롤러에 의해 내보내진 매체를 상기 피드 롤러와 게이트 롤러의 오버랩 부분인 게이트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1매씩 분리하는 매체분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픽커 롤러 및 피드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매체인출방향에 있어서의 게이트의 하류측에서 매체를 검출하는 매체검지수단과, 이 매체검지수단의 하류측에서 매체의 중복 이송이나 연쇄를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로서 검지하는 중복 이송·연쇄 검지수단과, 상기 게이트 롤러를 이동시켜서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매체의 누계 분리 매수가 미리 설정한 기준매수에 달했을 경우, 상기 누계 분리 매수와 그 누계 분리 매수에 달할 때까지 상기 중복 이송·연쇄 검지수단으로 검지된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의 발생회수로부터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 발생율을 산출하여, 산출한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 발생율이 게이트의 오버랩량 조정을 위한 제1 기준값을 초과했을 경우,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해 오버랩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한 본 발명은,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인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 발생율에 의거하여 게이트의 오버랩량의 조정을 행하여, 매체의 인출 위치나, 게이트에 있어서의 매체의 상태, 매체의 길이 차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적정한 조정을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매체분리기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측면도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지엽형태의 매체로서, 여기에서는 지폐를 나타내고 있고, 이 지폐(1)는 매체집적부인 지폐집적부에 집적되어 있다.
집적된 지폐(1)의 윗쪽에는 픽커 롤러(2)가 배치되고, 분리 인출시에 지폐(1)는 픽커 롤러(2)에 접촉하도록 가압된다.
이 픽커 롤러(2)의 외주의 일부에는 고마찰부재 2a가 설치되고, 픽커 롤러(2)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고마찰부재 2a가 지폐(1)에 접촉하여, 이 고마찰부재 2a와의 마찰력으로 지폐(1)는 지폐집적부로부터 내보내지는 것이다.
한편, 지폐(1)를 1매 내 보낸 후의 픽커 롤러(2)는 고마찰부재 2a가 지폐(1)측과 대향하여 정지하도록 설정된 홈 포지션으로 복귀하지만, 그 정지 타이밍은 도 5에 나타내는 홈 포지션 센서(12)의 출력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된다.
이 홈 포지션 센서는, 예를 들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에 의해 구성되고, 픽커 롤러의 중심축에 설치된 검지편이 발광소자의 빛을 차광했을 때 온(ON), 검지편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를 통과했을 때 오프(OFF)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픽커 롤러(2)의 회전 개시를 검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지폐인출 방향의 앞쪽 즉 지폐 집적부의 내보내는 입구측에는 피드 롤러(3)와 게이트 롤러(4)가 설치되어, 피드 롤러(3)는 모터(8)에 의해 구동되고,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드 롤러(3)의 중심축과 픽커 롤러(2)의 중심축은 도시하지 않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이 벨트에 의해 피드 롤러(3)의 회전이 픽커 롤러(2)에 전달되고, 픽커 롤러(2)와 피드 롤러(3)는 동기하여 회전하는 것이며, 그 때문에 픽커 롤러(2)가 회전하기 시작했음을 홈 포지션 센서가 검지하는 것으로, 피드 롤러(3)가 회전하기 시작한 것도 검지할 수 있다.
피드 롤러(3)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동축 위에 2개 부착되고, 마찬가지로 게이트 롤러(4)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동축 위에 2개 부착된다.
각 피드 롤러(3)는 각각 외주의 일부에 고마찰부재(3b)가 설치된 3개의 롤러 3a를 가지고, 또 각 게이트 롤러(4)는 전체를 고무로 형성한 2개의 롤러부 4a를 가지고 있으며, 롤러 3a와 롤러 4a의 외주의 일부가 서로 오버랩하도록 상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그 오버랩 부분인 게이트를 지폐(1)가 통과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각 게이트 롤러(4)는 도시하지 않은 원웨이 클러치를 가지고, 지폐분리시에 는 이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게이트 롤러(4)는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지폐(1)를 막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매체분리기구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픽커 롤러(2), 피드 롤러(3) 및 게이트 롤러(4)는 지폐(1)를 지폐집적부에 입력하여 집적하는 기능도 가지므로, 집적시 게이트 롤러(4)는 회전하고, 지폐분리시에는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게이트 롤러(4)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피드 롤러(3) 사이 및 피드 롤러(3)의 외측에는, 피드 롤러(3)의 롤러부 3a와 동일한 직경으로 전체를 고무로 형성한 피드 롤러(5)가 동축에 설치되고, 또 지폐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게이트 롤러(4)의 하류측에서 피드 롤러(5)에 프레셔 롤러(6)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프레셔 롤러(6)의 더 하류측에는 지폐(1)를 검지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2쌍의 지폐검지센서(7: 지폐검지수단)가 좌우로 간격 L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이 지폐검지센서(7)의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을 지폐(1)가 차단하는 것으로 발광소자가 온(ON)이 되며, 이에 따라 지폐(1)를 검지하게 된다. 또한 2쌍의 지폐검지센서(7)가 각각 지폐를 검지했을 때의 시간차에 의해 지폐(1)의 스큐(사행)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9와 10은 지폐집적부로부터 내보내진 지폐(1)를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가이드 판, 11은 조정 모터(11)로, 이 조정 모터(11)는, 도시하지 않은 이동 기구와 함께 게이트 롤러(4)를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오버랩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가이드판(9,10)의 하류측에는 지폐(1)를 반송하는 도시하지 않은 반송 벨트나 풀리 등이 설치된다.
도 3은 전술한 매체분리기구의 분리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동 도면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포지션에서 정지하고 있는 픽커 롤러(2)의 고마찰부재(2a)에 지폐(1)가 닿은 상태에서, 모터(8)에 의해 픽커 롤러(2)와 피드 롤러(3)가 회전을 시작하면 홈 포지션 센서가 온이 되어 회전 개시를 검지한다.
지폐(1)는 픽커 롤러(2)의 회전에 의해, 지폐집적부로부터 내보내져,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 롤러 3과 게이트 롤러(4)의 오버랩 부분인 게이트로 이송된다.
게이트 롤러(3)의 회전에 따라 고마찰부재 3a는 일단 지폐(1)로부터 멀어지지만,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회전후 다시 지폐(1)에 접촉하여 회전한다.
이에 따라 지폐(1)의 선단은 게이트로 진입하고, 그리고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 롤러(3)의 고마찰부재 3a에 의해 보내져서 게이트를 통과해 간다.
또한 피드 롤러(3)의 회전에 의해 도 3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1)의 선단은 피드 롤러(5)와 프레셔 롤러(6) 사이로 침입하고, 피드 롤러(5)의 회전에 의해 다시 이송된다.
그 후에 지폐(1)의 선단은 지폐검지센서(7)에 달하고, 이에 따라 지폐검지센서(7)는 온이 되어서 지폐(1)를 검지하며, 그리고 지폐(1)의 후단이 지폐검지센서(7)를 통과하면, 지폐검지센서(7)는 오프가 되어서 통과했음이 검지된다.
다음에 매체분리기구가 실장되는 자동거래장치의 지폐처리기에 대하여 설명 한다.
도 4는 지폐처리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다.
이 지폐처리기(30)에는, 지폐(1)가 수납되어 있는 금종별의 금고(31)가 복수설치되고, 각 금고(31)에는 전술한 구성에 의한 매체분리기구(20)가 설치된다.
이 외에, 지폐처리기(30)에는 입금 거래시에 지폐(1)를 입력하는 접객구(33), 복수 금종의 지폐(1)를 일괄하여 수납하는 일괄 수납부(일괄 금고)(34), 이들 금고(31)와 접객구(33) 및 일괄 수납부(일괄 금고)(34)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지폐의 진위, 정손(正損), 돈종 등의 감별을 행하는 동시에 지폐(1)의 반송 상태의 판별을 행하는 감별부(32), 이 감별부(32)에서 중복 이송이나 연쇄에 의한 반송 이상에 의한 중복 이송·반송 리젝트(이하, 중복 이송·반송RJ)라고 판별된 지폐(1)를 수납하는 리젝트 박스(35)가 설치되고, 이 중 접객구(33)와 일괄 수납부 (일괄 금고)(34)에도 매체분리기구(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실시예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제어부(41)는 본 실시예의 매체분리기구(20)를 제어하는 회로로서, 이 제어부(41)에는 전술한 픽커 롤러(2)의 회전 개시를 검지하는 홈 포지션 센서(12), 지폐검지센서(7), 모터(8), 조정 모터(11), 감별부(32) 및 기억부(40)등이 접속되고, 자동거래장치에서의 거래와 거래 사이의 빈 시간에 제어부(41)는 기억부(40)에 기억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조정 모터(11)를 구동 펄스에 의해 구동하고,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된다.
매체분리기구(20)에서는, 일반적으로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많아짐에 따라 지폐(1)가 통과할 때의 게이트의 부하가 늘어나고, 모터 회전속도 즉 회전량이 변동하지만,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적은 경우에도 지폐(1)가 다발 상태에서 게이트로 진입하면 게이트의 부하가 늘어나 모터 회전량이 변동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8)로부터의 회전 신호를 검지하여, 그 회전 신호를 카운트하는 것으로, 픽커 롤러(2)의 회전 개시를 홈 포지션 센서(12)가 검지하고나서 픽커 롤러(2)에 의해 내보내진 지폐(1)가 게이트를 지나 지폐검지센서(7)에 의해 검지될 때까지의 모터(8)의 회전 신호수를 모터 회전량으로 정의하고, 그 기준값(설계값)을 기억부(40)에 격납함과 동시에, 그때에 걸리는 시간을 게이트 통과 시간으로 정의하여, 그 기준값(설계값)을 기억부(40)에 격납하고 있다.
또한 모터 회전량과 게이트 통과 시간의 비(모터 회전량/게이트 통과 시간)를 제어부(41)로 계산하여 그것을 지폐이동 속도라 정의하고, 상기 기준값에 의한 모터 회전량과 게이트 통과 시간의 비로부터 얻어지는 지폐이동 속도의 기준값(허용범위도 포함한다)도 기억부(40)에 격납하고 있다.
또한 이 외에도 기억부(40)에는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등을 확정하기 위한 지폐분리의 기준매수 N1(제1 기준매수), 게이트를 느슨하게 할 때의 기준매수N2(제2 기준매수)를 기억하는 외에, 실제로 지폐의 분리를 행했을 때의 누적 분리 매수 N, 중복 이송·연쇄발생회수, 중복 이송·연쇄RJ의 누적 발생회수,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X와 그 기준값 X1(%)(제1 기준값) 및 기준값 X2(%)(제2 기준값), 모터 회전량의 누적변동 발생회수,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 M과 그 기준값 M1(%)(제1 기준값) 및 기준값 M2(%)(제2 기준값), 지폐이동속도의 누적변동 발생회 수,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 V와 그 기준값(%), 조정용 플래그가 게이트의 오버랩량 조정용의 데이터(이하, 게이트 조정용의 데이터)로서 기억된다.
또한,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X의 기준값 1은,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많게 하는 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값(설계값)이며, 또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X의 기준값 X2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의 조정은 필요하지 않아, 운용을 방해하지 않지만, 보다 좋게 분리하기 위해 조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값(설계값)이다.
또한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의 기준값 M1 및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의 기준값 V1은, 각각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적은지 많은지를 판단하기 위한 값(설계값)이며, 또한 기준값 M2는 지폐(1)가 다발 상태로 게이트로 들어갈 경우의 비율로, 예를 들면 1%로 하고 있다.
다음에 피드 롤러(3)와 게이트 롤러(4)의 오버랩 부분인 게이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게이트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며, 동 도면 (a)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적정한 상태, 동 도면(b)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적은 상태(게이트가 느슨한 상태), 동 도면(c)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많은 상태(게이트가 꽉끼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게이트는 오버랩량이 가장 많은 곳이, 지폐(1)가 통과할 때에 받는 부하가 가장 많은 부분이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적정한 상태에서는, 픽커 롤러(2)의 첫번째 회전으로 지폐(1)가 게이트까지 내보내지고, 두번째의 회전으로 피드 롤러(3)에 의해 롤러(6)로 송출된다. 그때, 2매째 이하의 지폐(1)는 게이트로 진입하지 않고 그 직전의 위치에서 멈춰지게 되므로, 1매째의 지폐(1)가 분리되어 롤러(6)측으로 보내진다.
이에 대하여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적을 경우 즉 게이트가 느슨한 상태에서는, 지폐(1)는 다발 상태로 게이트로 들어가는 상태가 발생하고, 그것에 의해 지폐(1)가 게이트를 통과할 때의 모터 회전량에 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역으로,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많은 경우에는, 지폐(1)가 게이트로 들어가기 어려워지고, 지폐(1)가 게이트를 통과하기 위해서 걸리는 부하가 많아지므로, 모터(8)의 회전이 늦어지거나, 피드 롤러(3)와 지폐(1)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여 모터 회전량에 변동이 생기게 된다.
다음에 게이트 조정 방식에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게이트에 대한 지폐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로서, 지폐(1)를 1매 내 보낸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6a와 같이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적정한 상태이고, 지폐(1)가 지폐집적부에 정상적으로 집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폐(1)를 1매 내보내면, 다음 지폐(1)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의 직전의 위치에서 정지하므로, 지폐(1)는 1매씩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 때의 모터 회전량, 지폐(1)의 게이트 통과 시간 및 지폐이동 속도를 적정 한 기준값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기억부(40)에 기억해 두고, 실제의 지폐분리시의 모터 회전량이 기준값보다도 큰지 작은지에 따라 게이트가 느슨한지 빽빽한 지, 즉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적은지 많은지를 제어부(41)가 판단한다.
지폐분리시의 모터 회전량이 기준값보다 작은(적은) 경우,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적고, 게이트가 느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게이트가 느슨한 상태에서는, 지폐(1)의 중복 이송이나 연쇄가 발생하여 감별부(32)로 중복 이송·연쇄RJ(리젝트)라고 감별되는 케이스가 많아지므로,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많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준값의 모터 회전량에 대하여 지폐분리시의 지폐이동 속도(모터 회전량/게이트 통과 시간)가 빠른지 느린지를 제어부(41)가 비교하여, 비교 결과, 지폐이동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게이트가 빽빽하다고 판단한다.
이것은 게이트의 부하가 많고, 그 때문에 지폐(1)가 진행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기 때문으로, 이 경우에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적게 할 필요가 있다.
도 8은 모터 회전량과 중복 이송·연쇄RJ율과 지폐이동 속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회전량과 중복 이송·연쇄RJ율의 관계, 모터 회전량과 지폐이동 속도의 관계가 성립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복 이송 연쇄RJ발생율이 많은 경우에는 모터 회전량이 작아(적어)지고, 지폐이동 속도는 늦어지지 않으므로, 그 경우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많게 하여 빽빽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한편, 게이트가 빽빽한 상태인 경우에는, 모터 회전량은 적어지지 않고, 지 폐이동 속도가 늦어지므로, 그 경우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줄여 느슨하게 하도록 조정한다.
또한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1)가 다발 상태로 들어간 경우, 모터 회전량이 적어지고, 지폐이동 속도는 느리지만(모터 회전량에 대하여 게이트 통과 시간은 적정), 오버랩량은 변화시킬 필요는 없다.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지폐집적부에 집적했을 때의 상태에 의해 지폐(1)를 내보내는 위치가 멀어지게 되어, 지폐(1)가 게이트에 도착하지 않은 경우는, 모터 회전량이 기준값보다도 많아져, 지폐(1)를 내보내는 위치가 멀어지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기 때문에, 오버랩량은 변화시킬 필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해외지폐와 같이 이송방향의 길이가 다른 지폐의 경우, 지폐의 후단이 맞춰진 상태로 지폐집적부에 집적되어 있으면, 도 7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짧은 지폐(1)의 선단은 게이트의 뒤쪽으로 벗어난 상태가 되므로, 게이트를 통과하기 위해서 걸리는 모터 회전량은 많아지고, 게이트를 통과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지만, 오버랩량은 변화시킬 필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분리시의 모터 회전량과 지폐이동 속도의 데이터만으로 제어하려고 했을 경우, 변형 등에 의해 상태가 좋지 않은 지폐(1)를 분리하거나, 환경변화 등의 외란에 의해 데이터가 변동하여, 제어가 잘못 행해질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매수만큼 지폐분리를 행했을 때, 그 분리 지폐매수를 분모, 모터 회전량의 기준값에 대하여 모터 회전량이 적었던 지폐매수 를 분자로 하여, 모터 회전량의 변동의 발생율을 구한다.
마찬가지로 지폐이동 속도에 대해서도, 상기 분리 지폐매수를 분모, 지폐이동 속도의 기준값에 대하여 속도가 느렸던 지폐매수를 분자로 하여,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의 발생율을 구한다.
이와 같이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을 구하여, 게이트의 오버랩량 조정을 위한 제어 요소로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속도 그 자체를 평균화하거나, 노이즈로 발산하는 경우에도, 매수의 발생 비율로 하면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지폐(1) 예를 들면 꼬깃꼬깃하게 접힌 지폐 혹은 이물질이 붙어있는 지폐 등 통상의 분리 상태와 다른 데이터가 될 우려가 있는 지폐에 영향을 받아 잘못된 판단을 할 우려가 없어진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의 상태를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로 치환하는 것으로, 변동이 좌우되지 않고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게이트는, 피드 롤러(3)과 게이트 롤러(4)의 표면의 마모, 지폐(1)로부터의 잉크나 종이 가루의 부착 등에 의해, 게이트가 느슨하게 되는 상태로 분리 성능이 저하하는 경우에도 중복 이송·연쇄가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게이트의 오버랩량의 조정은, 게이트를 빽빽하게 하는 방향으로 자동조정용 모터(11)를 움직이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구성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각 부의 동작은, 기억부(40)에 격납된 프로그램(소프 트웨어)에 의거하여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41)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하고, 제어부(41)에 의한 기억부 등으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이나 그것에 근거하는 제어에 대해서는,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생략한다.
도 9는 게이트의 조정용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로,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출금 거래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에 거래 선택 화면이 표시되고, 제어부(40)는 이 거래 선택 화면에서 거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1).
거래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즉 현재가 거래와 거래 사이의 빈 시간인 경우, 제어부(41)는 게이트의 조정을 실행하지만(S2), 이것에 대해서는 뒤에서 도 10에 의해 설명한다.
거래가 선택되었을 경우, 제어부(41)는 선택된 거래가 「출금」인지 여부를 판단, 즉 분리 내보냄 동작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3), 「출금」이 아닌 경우에는, 그 선택된 거래를 실행한다.
「출금」이 선택되었을 경우, 제어부(41)는 금액 등의 입력을 행하고, 그것에 의거하여 지폐의 출금 매수 등을 산출한 후, 모터(8)를 구동하고, 픽커 롤러(2), 피드 롤러(3 및 5)를 회전시켜서 지폐(1)를 내보내고, 게이트로 이송하여 1매씩 분리한다(S4).
분리된 지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지폐검지센서(7)로 통과가 검지된 후, 감별부(32)로 이송되어, 중복 이송·연쇄RJ의 검출이 행해진다.
그리고, 분리한 지폐에 대해서 분리 매수로서 카운트하여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누적 분리 매수 N에 가산하고, 또 지폐 1매마다 모터 회전량, 지폐이동 속도를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보다 모터 회전량이 적었을 경우, 지폐이동 속도의 기준값에 대하여 속도가 느린 경우, 그것을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회수,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회수로서 기억부(40)에 누적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감별부(32)로 중복 이송·연쇄RJ가 검출된 경우에는, 그것을 중복 이송·연쇄RJ발생회수로서 기억부(40)에 누적하여 기억한다(S5).
계속해서 제어부(41)는 감별부(32)로 출금 가능하다고 감별된 매수가 상기 출금 매수에 도달했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S6), 출금 매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S4, S5의 동작을 반복하지만, 출금 매수에 도달했을 경우, 제어부(41)는 거래 출구로부터의 지폐의 출금, 레시트 발행 등을 행하여 거래를 종료한다(S7).
다음에 상기 S2의 게이트의 조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게이트의 조정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다.
제어부(41)는 조정을 개시하면(S11), 처음에 기억부(40)의 조정 실행 플래그를 체크(확인)하여, 조정 실행 플래그가 ON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이 조정 실행 플래그는, 직전에 행한 게이트 조정 동작에 있어서의 게이트 롤러(4)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플래그ON의 상태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많아(빽빽해)지는 방향으로 게이트 롤러(4)를 이동시킨 것을 나타내고, 플래그OFF의 상태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적어(느슨해)지는 방향으로 게이트 롤러(4)를 이동시킨 것을 나타내며, 플래그ON인 경우에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지나치게 많이 하고 있지 않은지, 즉 빽빽하게 너무 조이지 않는지 체크하기 위해 S21로 진행하고, 플래그OFF인 경우에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많아지도록 조정하기 위해 S13으로 진행한다.
플래그OFF인 경우, 제어부(41)는 기억부(40)에 기억하고 있는 실제 지폐(1)의 누적 분리 매수 N이,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을 확정하기 위한 누계 분리 매수의 기준매수를 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3), 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지만, 넘은 경우에는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을 체크한다.
지폐(1)의 분리에 있어서, 예를 들면 모터 회전량이나 지폐이동 속도 등이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는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도 중복 이송이나 연쇄가 발생하지 않고, 감별부(32)로 중복 이송·연쇄RJ를 검지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반대로 모터 회전량이나 지폐이동 속도 등이 오버랩량이 적정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도, 감별부(32)로 중복 이송·연쇄RJ를 검지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2쌍의 지폐검지센서(7)만으로 지폐(1)를 검지하고 있으므로, 지폐(1)의 구멍이나 찢어짐에 의한 노이즈나 지폐 입출금기의 기기 본체의 편차가 생길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 회전량이나 지폐이동 속도에 근거하는 판단과, 감별부(32)에서의 중복 이송·연쇄RJ검지 결과에 근거하는 판단이 다를 경우, 신뢰성이 높은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을 우선하여 제어로 받아들이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누적 분리 매수 N이 전기의 기준매수를 초과한 경우, 제어부(41)는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중복 이송·연쇄RJ발생회수와 누적 분리 매수 N으로부터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X를 산출하고, 그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X가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많게 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값 X1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4), 넘은 경우에는 조정 모터(11)를 구동하여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증가시키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S18로 이행한다.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X가 기준값 X1을 넘지 않은 경우, 제어부(41)는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누적 분리 매수 N과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회수로부터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 M을 산출하여,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 M이 그 기준값 M1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이 기준값 M1은, 지폐(1)가 다발 상태로 게이트에 들어갈 경우의 비율로서 예를 들면 1%로 설정하여, 기준값 M1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S20으로 진행하여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게이트 조정용의 데이터를 클리어한다.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 M이 기준값 M1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41)는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누적 분리 매수 N과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회수로부터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 V를 산출하고, 그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 V가 그 기준값 V1이하인 지 여부를 판단하여(S16), 기준값 V1이하가 아닌 경우에는S20으로 진행하고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게이트 조정용의 데이터를 클리어한다.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 V가 기준값 V1이하인 경우, 제어부(41)는 상기의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X가 기준값 X2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7), 기준값 2미만인 경우에는 S18로 진행하고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게이트 조정용의 데이터를 클리어한다.
한편, 이 기준값 X2는 기준값 X1보다 작은 값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반드시 게이트 조정을 행할 필요는 없지만, 게이트 조정을 행하는 쪽이 바람직한 경우의 판단 기준이 되는 값이다.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X가 기준값 X2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41)는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조정 실행 플래그를 ON으로 갱신하고(S18), 조정 모터(11)를 1펄스분 구동하여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게이트를 빽빽하게 하도록 조정한다(S19).
조정후, 제어부(41)는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게이트 조정용의 데이터인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X,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 M,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 V, 누적 분리 매수 N, 중복 이송·연쇄발생회수, 중복 이송·연쇄RJ발생회수,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회수,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회수를 「0」으로 클리어하여(S20) 게이트의 조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X가 기준값 X1이상인 경우에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많게 하고,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X가 기준값 X1보다 작지만 기준값 X2이상일 경우에는,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 M,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 V에 따라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많게 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X가 기준값 X1보다 작을 경우, 기준값 X2이상이면 오버랩량을 많게 해도 되고, 마찬가지로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X가 기준값 X1보다 작을 경우,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 M이 기준값 M1을 초과하고 있거나 또는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 V가 기준값 V1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많게 해도 된다.
한편, 상기 S12에서 조정 실행 플래그가 ON인 경우에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지나치게 많이 하지 않는지, 즉 빽빽하게 조이지 않는지 체크하기 위해, 제어부(41)는 기억부(40)에 기억하고 있는 지폐(1)의 누적 분리 매수 N이,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을 확정하기 위한 기준매수 N1보다도 작은 값인 기준매수 N2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21), 기준매수 N2이상이 아니면 처리를 종료한다.
기준매수 N2이상인 경우, 누적 분리 매수 N과 제어부(41)는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회수로부터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 M을 산출하여,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 M이 기준값 M1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이 기준값 M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폐(1)가 다발 상태로 게이트로 들어간 경우의 비율로서 예를 들면 1%로 설정되어,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 M이 기준값 M1인 1%이상인 경우는 이상이라고 판단하고, S26으로 진행하여 조정 실행 플래그를 OFF로 갱신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모터 회전량의 비율 M이 기준값 M1미만인 경우, 제어부(41)는 상기 누적 분리 매수 N과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회수로부터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 V를 산출하고,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 V가 기준값 V1을 초과하고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23).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 V가 기준값 V1이하인 경우에는, 게이트가 빽빽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S26으로 진행되어 조정 실행 플래그를 OFF로 갱신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 V가 기준값 V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어부(41)는 조정 모터(11)를 예를 들면 1펄스분 구동하고,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적게 하여, 게이트가 느슨해지도록 조정한다(S24).
그 후에 제어부(41)는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게이트 조정용의 데이터인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X,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 M,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 V, 누적 분리 매수, 중복 이송·연쇄RJ발생회수,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회수,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회수를 「0」으로 클리어하여(S25), 조정 실행 플래그를 OFF로 갱신하여(S26) 게이트의 조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순서로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조정함으로써, 중복 이송·연쇄RJ가 발생하지 않는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어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게이트가 꼭 닫힌 경우나 픽커 롤러(2)의 1회전으로 분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게이트 통과 시간이 길어지므로, 그 때의 데이터는 자르고, 또 게이트가 지나치게 느슨한 경우에는, 바로 지폐검지센서(7)가 온이 되므로, 그 때의 데이터도 커트하는 것으로 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인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 발생율에 의거하여 게이트의 오버랩량의 조정을 행하기 때문에, 매체의 인출 위치나, 게이트에 있어서의 매체의 상태, 매체의 길이 차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적정한 조정을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매체의 인출 상태가 좋지 않거나, 매체의 길이 차이에 의한 적층 어긋남에 의한 통과 시간이 길어진 경우에 있어서도,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과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을 판정하는 것으로 게이트를 빽빽하다고 잘못 판정하지 않고 정연히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모터 회전량이나 지폐이동 속도에 근거하는 판단과, 감별부에서의 중복 이송·연쇄RJ검지 결과에 근거하는 판단이 다른 경우, 신뢰성이 높은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을 우선하여 제어로 받아들이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신뢰성이 높은 게이트 제어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게이트는 급격히 저하하지 않기 때문에,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많게 하는 양을 최소 1단위(1펄스 분의 모터의 구동)로 하고, 이에 따라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는 매체분리기구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조정하는 방향도, 처음부터 게이트를 느슨하게 하지 않고, 느슨하게 하는 양도 게이트를 빽빽하게 할 정도로 했기 때문에, 게이트를 너무 느슨하게 할 위험이 없고, 신뢰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게이트의 오버랩량이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중복 이송·연쇄RJ발생율,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과 지폐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을 사용한 통계 방법에 의한 조정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편차에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다.
도 2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3은 실시예의 분리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다.
도 4는 지폐처리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다.
도 5는 실시예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6은 게이트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다.
도 7은 게이트에 대한 지폐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다.
도 8은 모터 회전량과 중복 이송·연쇄RJ율과 지폐이동 속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게이트의 조정용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다.
도 10은 게이트의 조정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다.
[부호의 설명]
1 : 지폐 2 : 픽커 롤러
3 : 피드 롤러 4 : 게이트 롤러
5 : 피드 롤러 6 : 프레셔 롤러
7 : 지폐검지센서 8 : 모터
12 : 홈 포지션 센서 11 : 조정 모터
20 : 매체분리기구 32 : 감별부
40 ; 기억부 41 : 제어부

Claims (8)

  1. 적층된 지엽형태의 매체를 내보내는 픽커 롤러와, 매체인출 방향에 있어서의 픽커 롤러의 하류측에 배치된 피드 롤러와, 이 피드 롤러에 대하여 외주의 일부가 오버랩하도록 배치된 게이트 롤러의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픽커 롤러에 의해 내보내진 매체를 상기 피드 롤러와 게이트 롤러의 오버랩 부분인 게이트를 통과시킴으로써 1매씩 분리하는 매체분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픽커 롤러 및 피드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매체인출 방향에 있어서의 게이트의 하류측에서 매체를 검출하는 매체검지수단과, 이 매체검지수단의 하류측에서 매체의 중복 이송이나 연쇄를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로서 검지하는 중복 이송·연쇄 검지수단과, 상기 게이트 롤러를 이동시켜서 게이트의 오버랩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매체의 누계 분리 매수가 미리 설정한 기준매수에 달했을 경우, 상기 누계 분리 매수와 그 누계 분리 매수에 달할 때까지 상기 중복 이송·연쇄 검지수단으로 검지된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의 발생회수로부터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 발생율을 산출해서, 산출한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 발생율이 게이트의 오버랩량 조정을 위한 제1 기준값을 초과했을 경우,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해 오버랩량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분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량 조정을 위한 기준값을, 오버랩량을 많게 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하고,
    상기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 발생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넘었을 경우,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해 오버랩량이 많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분리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 롤러가 회전하고나서 매체가 상기 매체검지수단으로 검지 될 때까지 필요한 모터의 회전량이 그 회전량에 대한 기준값을 초과했을 때, 그것을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으로 하여,
    매체의 누계 분리 매수가 미리 설정한 제1 기준매수에 달했을 경우, 상기 누계 분리 매수와 그 누계 분리 매수에 달할 때까지의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회수로부터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을 산출하여, 산출한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이 그것에 대한 기준값을 넘었을 경우,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해 오버랩량이 많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분리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 롤러가 회전하고나서 매체가 상기 매체검지수단으로 검지 될 때까지 필요한 매체의 이동 속도가 그 이동 속도에 대한 기준값을 초과했을 때, 그것을 매체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으로 하여,
    매체의 누계 분리 매수가 미리 설정한 제1 기준매수에 달했을 경우, 상기 누계 분리 매수와 그 누계 분리 매수에 달할 때까지의 매체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회수로부터 매체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을 산출하여, 산출한 매체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이 그 변동 발생율에 대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해 오버랩량이 많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분리기구.
  5. 제 2항에 있어서,
    오버랩량을 많게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기 위한 제2 기준값을 가지고,
    상기 중복 이송·연쇄 리젝트 발생율이 상기 제1 기준값 이하이고,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해 오버랩량이 많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분리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량을 많게 할지 적게 할지를 지정하는 정보를 가지고,
    픽커 롤러가 회전하고나서 매체가 지폐검지 수단으로 검지 될 때까지 필요한 모터의 회전량이 그 회전량에 대한 기준값을 초과했을 때, 그것을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으로 하고,
    상기 정보가 적게 할지를 지정하는 정보인 경우, 매체의 누계 분리 매수가 미리 설정한 제1기준매수보다 수치가 작은 제2기준매수에 달했을 경우, 상기 누계 분리 매수와 그 누계 분리 매수에 달할 때까지의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회수로부터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을 산출하여, 산출한 모터 회전량의 변동 발생율이 게이트에 매체가 다발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해 오버랩량이 적어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분리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 롤러가 회전하고나서 매체가 상기 매체검지수단으로 검지 될 때까지 필요한 매체의 이동 속도가 그 이동 속도에 대한 기준값을 초과했을 때, 그것을 매체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으로 하고,
    매체의 누계 분리 매수가 미리 설정한 제2 기준매수에 달했을 경우, 상기 누계 분리 매수와 그 누계 분리 매수에 달할 때까지의 매체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회수로부터 매체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을 산출하여, 산출한 매체이동 속도의 변동 발생율이 그것에 대한 기준값을 넘었을 경우,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해 오버랩량이 적어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분리기구.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해 오버랩량을 조정할 때, 상기 조정 수단에 구비된 조정용 모터를 최소 1단위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분리기구.
KR1020070133149A 2007-01-29 2007-12-18 매체분리기구 KR100909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8384A JP4888136B2 (ja) 2007-01-29 2007-01-29 媒体分離機構
JPJP-P-2007-00018384 2007-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066A KR20080071066A (ko) 2008-08-01
KR100909647B1 true KR100909647B1 (ko) 2009-07-27

Family

ID=3972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149A KR100909647B1 (ko) 2007-01-29 2007-12-18 매체분리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88136B2 (ko)
KR (1) KR100909647B1 (ko)
CN (1) CN101234710B (ko)
TW (1) TW2008313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0030B2 (ja) * 2009-05-21 2013-11-1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5327634B2 (ja) * 2009-11-02 2013-10-30 株式会社リコー 回転測定装置、シート搬送装置、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156906B (zh) * 2011-03-31 2014-07-16 北京圣福伦科技有限公司 纠错机构及具有该纠错机构的点钞机
CN102760321A (zh) * 2011-04-25 2012-10-31 李艳 一种验钞机控制装置
CN102760320A (zh) * 2011-04-25 2012-10-31 李艳 一种验钞机控制方法
JP6281498B2 (ja) 2015-01-06 2018-02-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重送検知装置、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40475B2 (ja) * 2015-03-19 2018-06-06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分離装置及び紙葉類分離方法
CN105069903B (zh) * 2015-07-24 2017-09-29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挖空概率的计算方法和装置
CN107422753B (zh) * 2017-07-21 2021-01-01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分钞压力智能调整系统和方法
CN108389311A (zh) * 2018-03-09 2018-08-1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回退方法和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3256875B (zh) * 2021-04-28 2023-03-03 深圳怡化电脑科技有限公司 分选控制方法、装置、分选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0613A (ja) * 1997-09-30 1999-04-23 Toshiba Corp 現金処理装置および現金処理システム
JP2002114453A (ja) * 2000-10-04 2002-04-16 Omron Corp 紙葉類処理装置及び取引処理装置
KR20070001343A (ko) * 2005-06-29 2007-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류 분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7739A (ja) * 1983-12-27 1985-07-22 Oki Electric Ind Co Ltd 給紙機構
JP2001213540A (ja) * 2000-02-03 2001-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シート材の供給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0613A (ja) * 1997-09-30 1999-04-23 Toshiba Corp 現金処理装置および現金処理システム
JP2002114453A (ja) * 2000-10-04 2002-04-16 Omron Corp 紙葉類処理装置及び取引処理装置
KR20070001343A (ko) * 2005-06-29 2007-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류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31383A (en) 2008-08-01
CN101234710B (zh) 2011-02-09
TWI336685B (ko) 2011-02-01
JP4888136B2 (ja) 2012-02-29
KR20080071066A (ko) 2008-08-01
JP2008184260A (ja) 2008-08-14
CN101234710A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647B1 (ko) 매체분리기구
JP5125006B2 (ja) 紙幣処理装置
AU693617B2 (en) Single denomination bill dispensing apparatus
JP5013909B2 (ja) 紙幣処理装置
JP465413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その保守システム
KR100935806B1 (ko) 지폐반송로 게이트 제어방법
JP4877178B2 (ja) 紙葉類分離装置
JP2761883B2 (ja) 現金自動取扱装置
CN111243162B (zh) 纸币集积装置的控制方法、装置和现金处理设备
JP3567704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7493988B2 (ja) 紙葉類処理システム、紙葉類処理方法、および決定装置
JPH01256436A (ja) 現金自動取扱装置
JP5286794B2 (ja) 紙幣処理装置
US20110101597A1 (en) Medium storing and advancing apparatus
KR20100080189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저장부에서 분리되는 지폐의 정렬 방법
KR20100079812A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0132728A (ja) 紙幣収納装置
JP6584630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H0275551A (ja) 紙幣繰出し装置
JP2021170236A (ja) 紙葉類処理システム、紙葉類処理方法、および決定装置
JP2010020720A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08305309A (ja) 搬送装置および貨幣処理機
JPH10222728A (ja) 現金自動取扱装置
JPS63208709A (ja) 紙葉類の厚さ判定装置
JPH06293467A (ja) 紙幣入出金機のニアフル検出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