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937B1 - 광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4937B1 KR100894937B1 KR1020037012059A KR20037012059A KR100894937B1 KR 100894937 B1 KR100894937 B1 KR 100894937B1 KR 1020037012059 A KR1020037012059 A KR 1020037012059A KR 20037012059 A KR20037012059 A KR 20037012059A KR 100894937 B1 KR100894937 B1 KR 100894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ssis
- tilt
- adjustment
- traverse
- op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4—Head support adjust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2—Aligning the head or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otherwise than during transducing, e.g. adjusting tilt set screw during assembly of head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디스크장치는, 광픽업(5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평행한 주축 (6)과 부축(7)이 고정된 틸트샤시(3,201)가, 스핀들모터(2)를 고정한 트래버스샤시 (4)에 대하여 회전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2개의 틸트조정부(30, 31)를 가지는 경사조정수단에 의해 틸트샤시(3,201)를 트래버스샤시(4)에 대하여 틸트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광픽업의 이동면을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틸트조정작업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의 재생 및 광디스크로의 정보 기록을 하는 광디스크 장치 및 높이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턴테이블에 얹어 놓여진 광디스크의 광픽업 이동면에 대한 경사를 조정하는 광디스크장치의 틸트조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 광디스크상에 기록된 정보를 광픽업에 의해 재생하거나, 또는 광픽업에 의해 광디스크상에 정보를 기록할 때, 광픽업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의 광축은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만약 레이저광의 광축이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으면, 광디스크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정확히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부터, 광디스크장치에는 광축의 경사를 조정하기 위한 각종의 틸트조정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최근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고속화 및 대용량화에 의해 고밀도의 광디스크가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기록재생의 정밀도가 엄격하게 되어 오고 있다. 이 때문에, 광픽업의 광축과 광디스크와의 상대각도를 조정하는 틸트조정기구는 중요한 기구로 되어있다. 또한,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박형화의 요구가 높고, 광픽업도 박형화에 대응한 소형의 헤드가 사용되고 있으며, 틸트조정기구도 한층 더 박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고속화 및 대용량화, 그리고 박형화의 요망에 따라서, 각종의 틸트조정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틸트조정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성 9-320214호 공보 또는 일본 특허공개 평성 10-208372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가 있다.
도 14는 일본 특허공개 평성 9-320214호 공보에 개시된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틸트조정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광디스크(101)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발하는 광픽업(102)이, 미리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조정된 제 1 가이드축(103)과 제 2 가이드축(104)과의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제 1 가이드축 (103)의 양 끝단에는 제 1 조정부재(105A)와 제 2 조정부재(105B)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가이드축(104)의 양 끝단에는 제 3 조정부재(105C)와 지지부재(106)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3 조정부재(105A,105B,105C)는, 샤시에 대하여 회전운동가능한 회전부재(108A,108B,108C)와, 이들의 회전부재(108A,108B,108C)의 상면에 돌출 설치되고, 제 1 가이드축(103) 또는 제 2 가이드축(104)의 축받이가 되는 캠(109A,109B,109C)을 가지고 있다. 이들의 캠(109A,109B,109C)은, 회전부재 (108A,108B,108C)의 회전운동각에 따라서 점차 높이가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회전부재(108A,108B,108C)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캠(109A,109B,109C)이 회전운동하여 제 1 가이드축(103)과 제 2 가이드축(104) 각각의 해당하는 끝단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각 회전부재(108A,108B,108C)의 근방이고, 제 1 가이드축(103)과 제 2 가이드축(104)의 끝단부 근방에는, 샤시에 고정된 U자형상 지지구(107A,107B,107C)에 의해 위쪽으로의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축 (103)과 제 2 가이드축(104)의 끝단부 근방은, 누름 용수철(110A,110B,110C)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106)는 제 2 가이드축(104)의 일끝단을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일본 특허공개 평성 9-320214호 공보의 종래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조정부재인 회전부재(108A,108B,108C)와 캠(109A,109B,109C)은, 각각에 있어서의 부재가 완전히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회전부재(108A,108B,108C)를 같은 각도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제 1 가이드축(103)과 제 2 가이드축(104)의 해당하는 각 지지점은 같은 높이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조정부재(105A,105B,105C)에서의 각 구성부품은 정밀도 높게 형성해야 하여, 제 1 가이드축(103)의 중심축과 제 2 가이드축(104)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의 변형이나 기울기는, 3개의 조정부재(105A,105B,105C)를 사용하여 조정된다.
즉, 이 종래의 광디스크장치의 틸트조정에 있어서는, 제 1 가이드축(103)의 중심축과 제 2 가이드축(104)의 중심축의 평행을 항상 유지하면서 광픽업(102)의 이동면을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제 1 가이드축(103)의 중심축과 제 2 가이드축 (104)의 중심축의 평행을 미리 조정하여 두고, 조정부재(105A)와(105B)를 동기시켜 동일 양만큼 이동시키고, 조정부재(105B)와(105C)를 동기시켜 동일 양만큼 이동시키고 있다. 이들의 조정동작을 반복하여 광픽업(102)이 최적의 이동궤적을 그리도 록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광디스크(101)의 기록면과 광픽업(102)의 이동면이 평행하게 되도록 복수개소의 동기조정공정이 여러번 필요하다. 이 동기조정공정에서는, 복수개소 내의 2개소를 동기시켜 회전조정해야 하고, 수동으로는 곤란하며, 그렇게 하기 위한 전용의 지그 혹은 조정장치가 필요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일본 특허공개 평성 9-320214호 공보의 광디스크장치는, 조정부재에 있어서의 각 구성품을 정밀도 높게 형성할 필요가 있고, 또한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틸트조정에 있어서 특수한 기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 제조비용이 고액이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종래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3개소에 배치된 조정부재를 사용하여 광픽업의 이동면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번의 조정공정이 필요하고, 번잡한 조정작업을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광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가 광픽업이 배치되어 있는 공간으로 흘러, 미세한 먼지가 광학부품에 부착하여,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 광량이 저하하여 성능이 열화하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재생불능에 빠지는 경우가 있었다.
도 15는 일본 특허공개 평성 10-208372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광디스크장치의 스핀들모터 부착부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턴테이블(111)을 회전축으로 고정하고 있는 스핀들모터(112)는, 지지판(113)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제 1 고정나사(115)는, 장치 전체를 지지하고 있는 고정기판 (114)과 지지판(113)과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용수철(115A)을 관통하여 지지판 (113)의 나사부에 나사 맞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지판(113)은 제 1 용수철 (115A)에 의해 고정기판(11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또한, 제 2 고정나사(116)는 제 1 고정나사(115)와 같이, 고정기판(114)과 지지판 (113)의 사이에 배치된 제 2 용수철(116A)을 관통하여 지지판(113)의 나사부에 나사맞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지판(113)은 제 2 용수철(116A)에 의해 고정기판 (11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제 1 고정나사(115)와 제 2 고정나사(116)는, 턴테이블(111)상에 얹혀 놓여진 광디스크의 중심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113)의 하면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한 반구면형상의 볼록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117)의 반구면은, 디스크 얹어놓음면(111a)과 스핀들모터 (112)의 회전축의 중심이 직교하는 점(111b)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기판(114)의 상면에는 위쪽으로 돌출한 3개의 작은 반구면형상의 돌기부(1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돌기부(118)는, 반구면형상의 볼록부(117)를 3점에서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일본 특허공개 평성 10-208372호 공보의 장치에 있어서의 틸트조정작업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지지판(113)에 나사맞춤한 제 1 고정나사(115)를 회전시키면, 지지판 (113)이 반구면형상의 볼록부(117)의 형상에 따라 회전운동하여 변위한다. 이에 따라, 스핀들모터(112) 및 턴테이블(111)은, 광디스크의 트랙의 반지름방향(레이디얼 방향)으로 기울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지지판(113)에 나사맞춤한 제 2 고정나사(116)를 회전하면, 지지판 (113)이 반구면형상의 볼록부(117)의 형상에 따라 회전운동하여 변위한다. 이에 따라, 스핀들모터(112) 및 턴테이블(111)은, 광디스크의 트랙의 접선 방향(탄젠셜 방향)으로 기울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고정나사(115)와 제 2 고정나사(116)를 회전함에 의해, 디스크 얹어 놓음면(111a)을 광픽업의 광축과 직교하도록 틸트조정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일본 특허공개 평성 10-208372호 공보의 광디스크장치는, 틸트조정동작에 있어서, 광픽업의 이동면에 대하여 스핀들모터 및 턴테이블을 직접적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이 광디스크장치의 구성은, 턴테이블에 얹어 놓여지는 광디스크의 상하에 조정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어, 장치의 박형화가 방해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평성 10-208372호 공보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광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모터가 틸트조정부재인 용수철(115A,116A)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이기 때문에, 언밸런스한 광디스크가 얹어 놓여져 회전하는 경우에는, 스핀들모터 부분이 공진하여 떨림등 기기에 악영향을 주는 진동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다음에, 종래의 틸트조정부재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 그 문제점을 설명한다.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광디스크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상태를 바꾸는 것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광디스크의 기록면의 상태가 다른 것에 의한 레이저광의 반사 상태의 차이로부터,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 는 것이다. 따라서,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광픽업으로부터 발하는 레이저광은, 직각으로 또한 스폿광의 형상을 무너뜨리지 않고 정밀도 높게 조사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 때문에, 광디스크장치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광픽업이 발하는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조사하면서, 레이저광의 광디스크에의 조사각도를 정확히 조정해야 했다. 이러한 조정공정에서는, 광디스크를 얹어 놓고 회전하는 턴테이블 (혹은 이 턴테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시)의 광디스크의 얹어 놓음면과, 광픽업의 이동기구(혹은 이 이동기구를 지지하는 서브샤시)에 의한 광픽업의 이동면과의 높이 관계를 조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샤시와 서브샤시에 있어서의 각각의 기준이 되는 면의 평행도를 소정의 정밀도내가 되도록, 광디스크장치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조정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높이 관계를 고정밀도로 조절할 필요가 있는 기기로서는, 광디스크장치에 한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VTR)와 같은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도, 기록매체인 테이프에 헬리컬기록하기 위해서 테이프를 비스듬히 감아 붙인 회전헤드드럼과 주행하는 테이프와의 위치관계 및, 회전헤드 드럼내에 복수개 구비된 자기헤드의 테이프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관계 등도 마찬가지로 조정이 필요하다.
상술한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샤시와 이동기구를 지지하는 서브샤시는, 일반적으로 3점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샤시의 기준면과 서브 샤시의 기준면과의 평행도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3점지지중의 1개소를 걸어맞춤한 이동 가능한 지점으로 하고, 다른 2개소에서 각각의 높이(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술 한 것과 같은 틸트조정을 하면 좋다.
도 16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틸트조정기구에 있어서의 조정개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a)는 조정나사(311)가 서브샤시(303)와 샤시(304)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b)는 조정나사(311)가 서브샤시(303)와 샤시(304)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 있어서, 서브샤시(303)에는 조정나사(311)가 조여지는 암나사(303n)를 갖는 나사구멍(303a)이 형성되어 있다. 샤시(304)는, 서브샤시(303)에 대하여 그 높이(이격거리)가 조정되어 배치되고, 샤시(304)에 형성된 관통구멍(304a)에 삽입된 조정나사(311)는, 서브샤시(303)에 형성된 나사구멍(303a)에 나사맞춤 된다. 조정용수철(314)은, 나사구멍(303a)의 근방에 배치되어, 서브샤시(303)와 샤시 (304) 사이에 끼워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샤시(304)는, 서브샤시(30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조정나사(311)의 머리부(311a)에서 걸어멈춤되는 것에 의해, 샤시(304)와 서브샤시(303) 사이의 거리(이격거리)가 결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조정용수철(314)은 소위 소용돌이 용수철이고, 그 소용돌이 용수철 안을 조정나사(311)가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구멍(303a)이 형성되는 보스부(303b)는, 소용돌이 용수철 안에 삽입할 수 있도록 용수철지름보다 조금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샤시(303)에 있어서 암나사(303n)를 길게 형성할 수가 있고, 나사에 의한 조임부분을 길게 취하는 동시에, 조정용수철(314)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틸트조정기구에 대해서, 그 동작을 이하에 설명 한다.
우선, 서브샤시(303)의 보스부(303b)에 조정용수철(314)을 삽입한다. 다음에, 샤시(304)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조정나사(31l)를 샤시(304)의 관통구멍 (304a)을 관통시켜, 서브샤시(303)의 나사구멍(303a)에 대하여 일시 나사고정을 한다(도 16의 (a)에 있어서의 부호 F로 나타내는 화살표방향의 회전운동동작). 다음에, 조정나사(311)를 회전운동(도 16의 (b)에 있어서의 부호 R로 나타내는 화살표방향의 회전운동)하여, 조정나사(311) 와 나사구멍(303a)의 암나사(303n)를 맞물림시키고, 서브샤시(303)와 샤시(304)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맞물림 동작에 의해, 조정나사(311)의 머리부(311a)의 위치가 서브샤시(303)에 대하여 이동하여, 조정용수철(314)에 의해서 이격되도록 힘이 가해져 있는 샤시(304)의 위치{이격거리 : 도 16의 (b)에 있어서의 부호 M으로 나타내는 거리}가 정해진다.
이상과 같이, 틸트조정이 종료하면, 조정나사(311)가 회전하지 않도록 나사록 처리, 예를 들면 록페인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조정나사(311)의 회전을 금지하고, 머리부(311a)의 높이가 변화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것과 같은 종래의 틸트조정기구에서는, 서브샤시(303)의 보스부(303b)의 소정의 위치에 미리 암나사(303n)를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고, 가공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조정나사(311)의 나사부 (311n)와 보스부(303b)의 암나사(303n) 사이의 흔들림이 크면, 조정 정밀도가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반대로, 조정나사(311)의 나사부(311n)와 보스부 (303b)의 암나사(303n) 사이의 흔들림을 작게 하도록, 그 클리어런스를 작게 하면, 조정나사(311)의 회전이 무겁게 되어 조정작업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그 클리어런스를 적당하게 하고자 하면, 서브샤시(303)의 암나사(303n)의 가공정밀도, 및 조정나사(311)의 품질의 격차를 없앨 필요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도 16에 나타낸 종래의 틸트조정기구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틸트기구로서 도 17에 나타낸 것이 있었다. 도 17은 종래의 틸트조정기구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의 틸트 조정개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a)는 조정나사(411)가 서브샤시(303)와 샤시(404)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b)는 조정나사(411)가 서브샤시(403)와 샤시(404)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샤시(403)의 관통구멍(403a)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또한 조정나사(411)의 나사부(411n)의 앞끝단인 앞끝단부 (411t)가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낸 조정나사(411)는, 소위 수나사를 갖는 탭핑나사이다. 이 조정나사(411)를 샤시(404)의 관통구멍(404a)에 삽입하여, 서브샤시(403)의 관통구멍(403a)에 대하여 임시로 나사고정 한다(도 17의 (a)에 있어서의 부호 F로 나타내는 화살표방향의 회전운동 동작). 다음에, 조정나사(411)를 회전운동(도 17의 (b)에 있어서의 부호 R로 나타내는 화살표방향의 회전운동)하여, 조정나사(411)와 관통구멍(403a)을 걸어맞춤시키면서, 서브샤시 (403)와 샤시(404)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 이와 같은 걸어맞춤 동작에 의해, 조정나사(411)의 머리부(411a)의 위치가 서브샤시(403)에 대하여 이동하여, 조정용수철(414)에 의해서 이격되도록 힘이 가해져 있는 샤시(404)의 위치{이격거리: 도 17 의 (b)에 있어서의 부호 M으로 나타내는 거리}가 정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정나사(411)를 서브샤시(403)의 관통구멍(403a) 에 대하여 나사 삽입하여 가는 것에 의해, 조정나사(411)의 앞끝단부(411t)가 관통구멍 (403a)의 안쪽에 암나사를 형성한다.
도 17에 나타낸 틸트조정기구에 있어서는, 보스부(403b)에 암나사를 미리 형성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틸트조정에 있어서, 틸트동작에 의해서 형성된 서브샤시(403)의 관통구멍(403a)의 암나사부분을 조정나사(411)의 나사부(411n)가 왕복동작하기 때문에,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틸트조정에 있어서, 조정나사(411)의 앞끝단부(411t)가 관통구멍 (403a)에 진입해 갈 때, 조정나사(411) 를 회전시키는 것이 대단히 힘들고, 원활한 미세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에 있어서의 각종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광픽업의 이동면을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틸트조정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신뢰성이 높고, 고속화, 대용량화, 및 박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광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틸트기구에 의한 조정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샤시와 서브 샤시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미세조정할 수 있는 높이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광디스크를 얹어 놓은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구동하는 스핀들모터와, 상기 스핀들모터가 고정된 트래버스샤시와, 상기 광디스크에 대하여 반지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디스크에 쓰여진 정보의 읽기 또는 상기 광디스크에 정보의 쓰기를 하는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평행한 주축과 부축이 설치되고, 상기 트래버스샤시에 대하여 틸트조정 가능하게 배치된 틸트샤시와, 상기 트래버스샤시에 대하여 상기 틸트샤시를 틸트조정하기 위한 틸트조정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디스크장치는, 광픽업의 이동면을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상기 광픽업이 광디스크로 빛을 조사하는 렌즈돌출부와, 상기 렌즈돌출부를 광디스크의 반지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틸트샤시의 주면이 상기 본체부에 의해 광디스크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광픽업의 이동면을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장치의 박형화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상기 틸트샤시가 상기 트래버스샤시에 대하여 1개의 조정지지부에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있으며, 상기 틸트조정수단은 2개의 틸트조정부에 의해 구성되고, 해당 틸트조정부가 상기 틸트샤시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돌출부의 이동궤적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광픽업의 이동면을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장치의 박형화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상기 틸트조정수단이 탄성부재를 갖고, 상기 틸트샤시와 상기 트래버스샤시와의 사이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디스크장치는, 스핀들모터 등으로부터의 진동이 흡수되어, 쓰기 및 읽기 동작을 확실히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상기 트래버스샤시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 1 트래버스 구동수단과, 상기 틸트샤시에 설치되고,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제 1 트래버스 구동수단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주축에 전달하는 제 2 트래버스 구동수단을 더욱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제 1 트래버스 구동수단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제 2 트래버스 구동수단을 통해 확실히 주축에 전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상기 트래버스샤시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 1 트래버스 구동수단과, 상기 틸트샤시에 설치되어, 상기광픽업을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제 1 트래버스 구동수단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주축에 전달하는 제 2 트래버스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트래버스 구동수단으로부터 제 2 트래버스 구동수단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가, 상기 틸트샤시와 상기 트래버스샤시와의 조정지지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틸트조정후에 있어서도 제 1 트래버스 구동수단과 제 2 트래버스 구동수단과의 연결부가 확실히 구동력이 전달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상기 부축이 상기 틸트샤시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디스크장치는, 광픽업의 이동면을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상기 틸트조정수단이 2개의 틸트조정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틸트샤시가 상기 트래버스샤시에 대하여 1개의 조정지지부에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고, 상기 조정지지부가 상기 주축의 광디스크 안둘레측 끝단부 근방에 배치되며, 한쪽의 틸트조정부가 상기 주축의 광디스크 바깥둘레측 끝단부 근방에 배치되고, 다른쪽의 틸트조정부가 상기 부축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디스크장치는, 광픽업의 이동면을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상기 주축, 상기 부축, 및 상기 광픽업이 상기 틸트샤시에 미리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디스크장치는, 광픽업의 이동면을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상기 틸트샤시에 설치된 상기 광픽업, 상기 주축, 및 상기 부축을 덮도록 배치된 틸트커버를 더욱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디스크장치는, 광디스크의 회전에 따른 기류에 의해 먼지가 광픽업으로 부착되는 것을 대폭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상기 광픽업이 광디스크로 빛을 조사하는 렌즈돌출부와, 상기 렌즈돌출부를 광디스크의 반지름방향으로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틸트샤시의 주면보다 광디스크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장치의 박형화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상기 광픽업, 상기 주축, 및 상기 부축이 상기 틸트샤시와 상기 틸트커버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틸트조정수단에 의해 상기 틸트샤시와 상기 틸트커버가 일체적으로 상기 트래버스샤시에 대하여 틸트조정 가능한 청구항 10 또는 11에 기재된 광디스크장치. 이와 같이 구성된 광디스크장치는, 광디스크의 회전에 따른 기류에 의해 먼지가 광픽업으로 부착되는 것을 대폭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광픽업의 교환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덧붙여,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상기 틸트샤시와 상기 트래버스샤시와의 틸트조정상태를 바꾸지 않고, 상기 틸트샤시는 상기 틸트조정수단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트래버스샤시상에 구성된 틸트조정수단의 조정을 그 대로의 상태에서, 틸트샤시를 틸트조정수단으로부터 떼어내고 트래버스 샤시로부터 떨어뜨리고, 혹은 그 반대로 틸트샤시를 틸트조정수단에 장착하여 트래버스샤시에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광픽업의 유지나 교환 등으로 틸트샤시를 트래버스샤시로부터 착탈할 때라도, 틸트조정의 상태는 변하지 않아, 그 때마다 틸트조정을 다시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관한 높이조정장치는, 조정구멍을 가지는 제 1 샤시와, 상기 제 1 샤시의 상기 조정구멍에 맞물리는 것에 의해 입각(立脚)하는 조정나사와, 상기 제 1 샤시에 대하여 설정된 이격거리를 가지고 상기 조정나사로 걸어멈춤되는 제 2 샤시와, 상기 제 1 샤시와 상기 제 2 샤시를 이격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가지는 높이조정장치로서, 상기 조정나사는, 상기 조정구멍에 회전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정구멍에 암나사를 형성하는 끝단부와, 상기 끝단부에서 형성된 암나사에 맞물림하는 숫나사인 나사부와, 상기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방향에 대항하여 제 2 샤시를 걸어멈춤하는 머리부를 대략 직선형상으로 가지고, 상기 조정나사의 머리부의 숫나사측 끝단부와 끝단부의 숫나사측 끝단부와의 거리가, 상기 조정구멍의 암나사가 형성되는 안지름부의 길이와, 상기 제 1 샤시와 상기 제 2 샤시 사이 거리의 최대값과, 상기 제 2 샤시의 두께와의 합계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높이조정장치는, 상기 제 1 샤시의 조정구멍은, 암나사가 형성되는 작은지름부와, 상기 조정나사의 끝단부의 바깥지름보다 지름이 큰 큰지름부를 가지고, 상기 조정나사가 상기 작은 지름부측에서 큰지름부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높이조정장치는, 상기 조정나사의 나사부는, 끝단부와 동일피치이고, 또한 상기 끝단부보다 지름이 작은 나사산을 구비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발명의 신규인 특징은 첨부되는 청구의 범위에 특별히 기재한 것이 분명하지만, 구성 및 내용의 쌍방에 관하여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이나 특징과 합쳐서 도면과 같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는 것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되어 평가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1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스핀들모터 근방을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스핀들모터 근방을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의 스핀들모터 근방의 주요한 구성부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핀들모터 근방의 주요한 구성부품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조정지지부(13)의 근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V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VI-VI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2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스핀들모터 근방의 구성부품을 위쪽(턴테이블에 얹어 놓여진 광디스크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스핀들모터 근방의 구성부품을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광픽업 유니트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광픽업 유니트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2의 광픽업 유니트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조정장치의 구성단면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틸트조정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 다.
도 15는 종래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틸트조정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높이조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다른 높이조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도시를 목적으로 한 개요적 표현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반드시 거기에 나타난 요소의 실제의 상대적 크기나 위치를 충실히 묘사하고 있다고 한정하지 않은 것은 고려해주길 바란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1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스핀들모터 근방의 구성부품을 위쪽(턴테이블에 얹어 놓인 광디스크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스핀들모터 근방의 구성부품을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의 스핀들모터 근방의 주요한 구성부품의 상면을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핀들모터 근방의 주요한 구성부품의 아래면을 본 저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광디스크(101)를 얹어 놓은 턴테이블(1)은 스핀들모터(2)의 회전축에 직결되어 있다. 스핀들모터(2)는 트래버스 샤시(4)에 고정되어 있다. 이 트래버스 샤시(4)의 이면에는 트래버스모터(5)와 그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 1 트래버스 구동기구(10)가 설치되어 있다.
트래버스 샤시(4)와 틸트 샤시(3)는, 후술하는 조정지지부(13)에 있어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있으며, 2개소의 틸트조정부(30,31)에서 고정되어 있다. 틸트 샤시(3)는 틸트조정수단인 2개의 틸트조정부(30,31)에 의해 트래버스 샤시(4)에 대하여 틸트조정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틸트조정부(30,31)는 2조의 조정나사(11,12)와 용수철(14,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정나사(11,12)가 트래버스 샤시(4)에 형성된 구멍(51,52)과 용수철(14,15)을 관통하여 틸트 샤시(3)에 나사맞춤하고 있다.
턴테이블(1)에 얹어 놓인 광디스크(101)의 반지름방향(레이디얼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픽업(50)은, 광픽업본체(8)와 이 광픽업본체(8)의 표면 (광디스크측)에 설치된 렌즈돌출부(9)를 가지고 있다. 틸트샤시(3)의 주면(主面)은, 광픽업본체(8)의 표면과 광디스크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틸트샤시(3)에는, 광픽업본체(8)를 광디스크 (101)의 레이디얼 방향으로의 구동가이드인 주축(6)과 가이드축인 부축(7)이 설치되어 있다. 주축(6)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주축(6)의 회전에 의해, 이 주축 (6)과 걸어맞춤하는 광픽업본체(8)는 직선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축(7)은 틸트샤시(3)와 일체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틸트샤시(3)에는 트래버스 샤시(4)에 설치된 제 1 트래버스 구동기구(10)와 맞물림하는 제 2 트래버스 구동기 구(16)가 설치되어 있다. 트래버스모터(5)의 구동력은, 트래버스샤시(4)의 저면에 설치된 제 1 트래버스 구동기구(10)와 틸트샤시(3)에 설치된 제 2 트래버스 구동기구(16)를 통해 주축(6)에 전달된다. 제 1 트래버스 구동기구(10)와 제 2 트래버스 구동기구(16)와의 연결은, 틸트샤시(3)를 트래버스 샤시(4)에 지지하기 위한 조정지지부(13)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조정지지부(13)는 틸트샤시(3)를 트래버스 샤시(4)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걸어맞춤하여 지지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틸트샤시(3)에는 2개의 개구부(3a,3b)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개구부(3a)는 스핀들모터(2)를 삽입배치하기 위한 개구이고, 그 상부에 턴테이블(1)이 배치된다. 제 2 개구부(3b)는, 광픽업(50)의 렌즈돌출부(9)가 턴테이블(1)에 얹어 놓인 광디스크(101)의 기록면을 향할 수 있도록 하여 렌즈돌출부(9)의 이동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트래버스 샤시(4)에 스핀들모터(2)와 틸트샤시(3)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트래버스샤시(4)의 저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틸트조정수단의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12)는, 틸트샤시(3)의 가장자리부분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광픽업(50)의 렌즈돌출부(9)의 이동궤적을 포함하는 직선(A)의 양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정지지부(13)는 틸트샤시(3)의 턴테이블(1)의 중심축에 가까운 가장자리부분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 조정지지부(13)와 제 1 조정나사(11)는, 틸트샤시(3)의 저면에 설치된 주축(6)의 양 끝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조정지지부(13)는 주축(6)의 광디스크 안둘레측 끝단부 근방이고, 제 1 조정나사(11)는 주축(6)의 광디스크 바깥둘레측 끝단부 근방이다. 따라서, 조정지지부 (13)와 제 1 조정나사(11)는, 렌즈돌출부(9)의 이동궤적을 포함하는 직선 A를 경계로 하여 같은 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조정나사(12)는 틸트샤시(3)의 저면에 설치된 부축(7)의 대략 중간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래버스 샤시(4)의 저면에는, 광픽업(50)을 광디스크(101)의 레이디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생기는 트래버스 모터(5) 및 복수의 톱니바퀴로 구성된 제 1 트래버스 구동기구(10)가 설치되어 있다. 틸트샤시(3)에 설치된 제 2 트래버스 구동기구(16)에 있어서의 최초의 톱니바퀴(구동력의 전달방향에서의 최초의 톱니바퀴)에는, 조정지지부(13)의 근방에 있어서 제 1 트래버스 구동기구(10)에 있어서의 최종 톱니바퀴(구동력의 전달방향에서의 최종의 톱니바퀴)가 맞물림하고 있고,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제 1 트래버스 구동기구(10)와 제 2 트래버스 구동기구(16)의 맞물림부분은, 조정지지부(13)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틸트조정동작에 있어서의 서로 맞물림 피치나 각도의 어긋남은 대단히 작고, 전달에 필요한 맞물림 관계가 확보되어 있다.
도 5는 조정지지부(13)의 근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지지부(13)에 있어서, 트래버스 샤시(4)에 지지부구멍(4h)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부구멍(4h)의 개구끝단부(4c)는 단면처리되어 있으며, 코너가 커트되 어 있다. 지지부구멍(4h)와 개구끝단부(4c)는 동심상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틸트샤시(3)에 있어서는, 개구끝단부(4c)와 대응하는 위치의 양면에 대략 반구형상의 볼부(3c)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양측의 볼부(3c)에 의해 개구끝단부(4c)의 지름보다 큰 구형상이 구성되어 있다. 트래버스 샤시(4)와 대향하는 틸트샤시(3)의 볼부(3c)가, 트래버스 샤시(4)의 개구끝단부(4c)에 접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재(4p)는 트래버스 샤시(4)에 고정되어 있고, 틸트샤시(3)의 볼부(3c)를 개구끝단부(4c)에 의해 끼워붙임하고 있다. 따라서, 트래버스 샤시(4)와 대향하는 틸트샤시(3)의 볼부(3c)는, 트래버스 샤시(4)의 개구끝단부 (4c)에 눌러져 있다. 이에 따라, 볼부(3c)는 개구끝단부(4c)와 대략 고리형상의 선상에서 접하고, 누름부재(4p)와는 실질적으로 한점에서 접하고 있으며, 틸트샤시 (3)는 볼부(3c)의 대략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조정지지부(13)에 있어서, 틸트샤시(3)의 볼부(3c)의 중심은, 개구끝단부(4c)의 중심선상에 항상 배치되어 있고, 또한 틸트샤시(3)가 기울더라도 볼부(3c)의 중심이 높이방향에 관해서 움직이는 일이 없다. 따라서, 틸트샤시(3)는 조정지지부(13)에서 미끄럼운동하고, 그 조정지지부(13)에 의해 지지의 중심이 변하는 일 없이 기울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틸트조정수단에 있어서의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1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3의 V-V선에 의한 단면도이고, 제 1 조정나사(11)의 구성을 나타 낸다. 도 7은 도 4의 VI-VI선에 의한 단면도이고, 제 2 조정나사(12)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정나사(11)는 트래버스 샤시(4)의 구멍(51)을 관통하여 틸트샤시(3)에 형성된 나사구멍(7a)에 나사맞춤하고 있다. 이 제 1 조정나사(11)는, 트래버스샤시(4)와 틸트샤시(3)와의 사이에 배치된 용수철(14)을 관통하고 있다. 이 용수철(14)에 의해, 틸트샤시(3)는 트래버스샤시(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눌러지고 있다. 따라서, 제 1 조정나사(11)를 회전함에 의해, 틸트샤시(3)를 트래버스샤시(4)에 대하여 조정지지부(13)의 걸어맞춤점을 회전운동중심으로 하여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조정나사(12)는, 제 1 조정나사(11)와 같이, 트래버스샤시(4)의 구멍(52)을 관통하여 틸트샤시(3)에 형성된 나사구멍(7b)에 나사맞춤하고 있다. 또한 제 2 조정나사(12)는, 틸트샤시(3)와 트래버스샤시(4)와의 사이에 배치된 용수철(15)을 관통하고 있다. 이 용수철(15)에 의해, 틸트샤시 (3)는 트래버스샤시(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눌러지고 있다. 따라서, 제 2 조정나사(12)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틸트샤시(3)를 트래버스샤시(4)에 대하여 조정지지부(13)의 걸어맞춤점을 회전운동중심으로 하여 원하는 각도로 회전운동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틸트조정 작업이 완료한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12)는, 록페인트 등의 고정부착수단에 의해 그 회전운동이 금지된다.
다음에, 실시형태 1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틸트조정작업에 관해서 설명 한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 광픽업(50)을 광디스크(101)의 레이디얼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부축(7)은, 틸트샤시(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하는 위치에 미리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픽업(50)을 구동하는 주축(6)은, 틸트샤시(3)에 있어서 부축(7)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틸트샤시(3)상에 고정밀도로 구성된 축받이에 의해, 그 양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틸트샤시(3)에 있어서는, 주축(6)의 중심축과 부축(7)의 중심축은 원하는 평행도가 확실히 확보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축(6)과 부축(7)에 의해 구동 및 안내되는 광픽업(50)은, 턴테이블(1)에 장착된 광디스크의 레이디얼 방향의 직선상을 확실히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축(6), 부축(7), 광픽업(50) 및 제 2 트래버스 구동기구 (16)가 미리 배치된 틸트샤시(3)는, 스핀들모터(2)나 제 1 트래버스 구동기구(10)등이 설치된 트래버스샤시(4)에 장착된다. 트래버스샤시(4)에 장착된 틸트샤시(3)는, 광픽업(50)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보면서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 (12)를 교대로 회전운동시켜 틸트조정된다. 이 경우, 주축(6)과 부축(7)과의 평행도는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조정부재를 동기시켜서 할 필요가 없고, 단순히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12)를 교대로 회전운동시켜서, 탄젠셜 방향과 레이디얼 방향에서의 틸트샤시(3)의 틸트조정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틸트조정작업은, 종래기술의 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2개소의 동기회전에 의한 조정이 불필요하고, 간단한 조정 지그 혹은 수동에 의한 조정으로 대 응할 수가 있다.
이 틸트조정작업에 의해, 광픽업(50)의 렌즈돌출부(9)로부터의 레이저광은, 턴테이블(1)에 장착된 광디스크(101)의 기록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조사된다.
실시형태 1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틸트샤시(3)에 주축(6), 부축(7) 및 광픽업(50) 등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주축(6)과 부축(7)은 미리 동일평면상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틸트조정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실시형태 1의 광디스크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트래버스샤시(4)와 별체의 틸트샤시(3)에 주축(6), 부축(7) 및 광픽업(50)등이 원하는 위치에 미리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틸트조정작업에 있어서 틸트샤시(3)와 장착되는 광디스크(101)와의 사이에 미리 조정을 위한 여분인 공간을 장치내에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실시형태 1의 광디스크장치는, 디스크 저면과 광픽업(50)의 본체와의 사이가 한정된 공간에서도 광픽업(50)을 지지하는 틸트샤시(3)의 주면을 확보할 수가 있다. 실시형태 1의 구성은 장치의 박형화에 크게 공헌하고 있다.
또,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제 2 조정나사(12)를 부축(7)의 대략 중간부분에 배치한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틸트조정작업을 더욱 쉽게 하기 위해서, 렌즈돌출부(9)의 이동궤적을 포함하는 직선 A에 직교하여 턴테이블(1)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도 3에 있어서 부호 B에서 나타내는 직선)상에 제 2 조정나사(12)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조정지지부(13)의 위치를 직선 B상에 배치함으로써 조정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다만, 이 경우, 틸트샤시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그 가장자리부분 근방에서 탄성체 등에 의해 구성된 유동가능한 지지수단 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 틸트샤시(3)는 트래버스샤시(4)에 대하여 용수철 (14,15)에 의해 유지되는 구성이지만, 이들의 용수철(14,15) 이외에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체 등으로 구성된 진동흡수수단에 의해 틸트샤시(3)를 트래버스샤시 (4)로 유지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 1의 광디스크장치는, 광학부품이나 구동기구를 실질적으로 덮는 틸트샤시가 설치되기 때문에, 이 틸트샤시가 사용자에 대한 눈가림으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광디스크의 회전에 따르는 기류에 의해 작은 먼지가 광학부품이나 다른 기기로 흘러 들어 가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먼지가 광학부품에 부착하여 더러워져서, 장시간의 경과에 의해 광량저하에 의한 성능열화, 재생불능 등의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실시형태 1의 광디스크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틸트샤시와 트래버스샤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광학부품의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박형화를 달성할 수가 있어,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실시형태 2)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2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스핀들모터 근방의 구성부품을 위쪽(턴테이블에 얹어 놓여진 광디스크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2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스핀들모터 근방의 구성부품을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광픽업 근방의 구성부품을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광픽업 근방의 구성부품을 아래쪽 에서 본 사시도이다. 실시형태 2의 각 도면에 있어서 상술의 실시형태 1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구성부품과 같은 기능, 구성을 가지는 것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있어서, 광디스크(101)를 얹어 놓은 턴테이블(1)은 스핀들모터(2)의 회전축에 직결되어 있고, 스핀들모터(2)는 트래버스샤시(4)에 고정되어 있다. 이 트래버스샤시(4)의 저면에는 트래버스모터(5)와 그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 1 트래버스 구동기구(10)가 설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트래버스샤시(4)에 광픽업 유니트(200)가 부착되어 있다. 이 광픽업유니트 (200)는, 조정지지부(13)에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있고, 2개소의 틸트조정부(30,31)에서 고정되어 있다. 광픽업유니트(200)는 틸트샤시(201)와 그 틸트샤시(201)의 표면을 덮는 틸트샤시커버(202)를 가지고 있다. 이 광픽업 유니트 (200)의 내부에는, 광픽업(50)과, 그 광픽업(50)을 광디스크(101)의 레이디얼방향으로 구동하는 주축(6)과, 가이드축인 부축(7)이 설치된다.
광픽업(50)은 광디스크(101)로 빛을 조사하는 렌즈돌출부(9)와, 이 렌즈돌출부(9)를 광디스크(101)의 반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광픽업본체(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 틸트샤시(201)의 주면은, 광픽업본체 (8)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상술의 실시형태 1과의 차이는, 주축(6), 부축(7) 및 광픽업(50)을, 틸트샤시(201)와 틸트샤시커버(202)에 의해, 상하에서 감싸 넣도록 구성한 점이다. 틸트샤시커버(202)는 틸트샤시(201)에 대하여 걸어맞춤 고정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틸트샤시커버(202)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각 구성부품을 유지하는 틸트샤시(201)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광디스크(101)의 회전에 따른 기류가 광픽업(50)의 광학부품으로 흘러들어 가는 것을 방지한다.
광픽업유니트(200)는 틸트조정수단인 틸트조정부(30,31)에 의해 트래버스샤시(4)에 대하여 틸트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에 있어서, 틸트조정부(30,31)는 2조의 조정나사(11,12)와 용수철 (14,15)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조정나사(11,12)가 틸트샤시(201)에 형성된 각 구멍(251,252)과 각 용수철(14,15)을 관통하여 트래버스샤시(4)에 나사맞춤하고 있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광픽업 유니트(200)가 트래버스샤시(4)의 저면측에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 광픽업(50)을 교환하는 경우에, 트래버스샤시(4)의 표면(광디스크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부품, 예를 들면, 광디스크(101)를 턴테이블면에 누름고정하는 클램퍼나, 광디스크(101)를 턴테이블에 얹어 놓는 로딩기구 등을 떼어낼 필요 없이, 광픽업(50)의 보수관리가 용이한 광디스크장치가 된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 틸트샤시(201)에는, 광픽업본체(8)를 광디스크(101)의 레이디얼방향으로의 구동가이드인 주축(6) 및 가이드축인 부축(7)이 설치되어 있다. 주축(6)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주축(6)의 회전에 의해, 이 주축(6)과 걸 어맞춤하는 광픽업본체는 직선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축(7)은 틸트샤시 (201)와 일체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틸트샤시(201)에는 트래버스샤시 (4)에 설치된 제 1 트래버스구동기구(10)와 맞물림하는 제 2 트래버스 구동기구 (16)가 설치되어 있고, 트래버스모터(5)의 구동력은 트래버스샤시(4)의 저면에 설치된 제 1 트래버스 구동기구(10)와 틸트샤시(201)에 설치된 제 2 트래버스 구동기구(16)를 통해 주축(6)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트래버스 구동기구(10)와 제 2 트래버스 구동기구(16)의 연결부분은, 틸트샤시(201)를 트래버스샤시(4)에 걸어맞춤 유지하고 있는 조정지지부(13)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은 실시형태 2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광픽업유니트(200)를 위쪽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광픽업유니트(200)를 아래쪽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틸트샤시커버(202)에는 1개의 개구부 (20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02a)는, 광픽업(50)의 렌즈돌출부(9)가 턴테이블(1)에 얹어 놓여진 광디스크(101)의 기록면을 향할 수 있도록, 렌즈돌출부(9)의 이동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틸트조정수단의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12)는, 틸트샤시(201)의 가장자리부근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광픽업(50)의 렌즈돌출부(9)의 이동궤적을 포함하는 직선의 양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정지지부(13)와 제 1 조정나사(11)는, 틸트샤시 (201)의 상면에 설치된 주축(6)의 양 끝단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조정지지부(13)는 주축(6)의 광디스크 안둘레측끝단부 근방이고, 제 1 조정나사(11)는 주축(6)의 광디스크 바깥둘레측끝단부 근방이다. 따라서, 조정지지부(13)와 제 1 조정나사(11)는, 렌즈돌출부(9)의 이동궤적을 포함하는 직선을 경계로 하면 같은 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조정나사(12)는, 틸트샤시(201)의 표면에 설치된 부축(7)의 대략 중간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또,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제 2 조정나사(12)를 부축(7)의 대략 중간부분에 배치된 예로 설명하지만, 틸트조정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렌즈돌출부(9)의 이동궤적을 포함하는 직선에 직교하여 턴테이블(1)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상에 제 2 조정나사(12)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조정지지부(13)의 위치를 선 B상에 배치하면, 보다 조정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다만, 이 경우 틸트샤시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그 가장자리부분 근방에서 탄성체 등에 의해 구성된 지지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상술의 실시형태 1과 같이, 틸트샤시(201)에 설치된 제 2 트래버스 구동기구(16)에 있어서의 최초의 톱니바퀴(구동력의 전달방향에서의 최초의 톱니바퀴)에는, 조정지지부(13)의 근방에 있어서 제 1 트래버스 구동기구 (10)에 있어서의 최종의 톱니바퀴(구동력의 전달방향에서의 최종의 톱니바퀴)가 맞물림하고 있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제 1 트래버스구동기구(10)와 제 2 트래버스 구동기구(16)의 맞물림부분은, 조정지지부(13)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틸트조정동작에 있어서의 맞물림 피치나, 각도의 어긋남은 대단히 작아 전달에 필요한 맞물림 관계가 확보되어 있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틸트조정수단인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 (12)는, 상술의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이다.
제 1 조정나사(11)는 틸트샤시(201)의 구멍(251)을 관통하여 트래버스샤시(4)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맞춤하고 있다. 이 제 1 조정나사(11)는, 광픽업 유니트(200)와 트래버스샤시(4)와의 사이에 배치된 용수철(14)을 관통하고 있다. 이 용수철(14)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200)는 트래버스샤시(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눌러져 있다. 따라서, 제 1 조정나사(1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200)를 트래버스샤시(4)에 대하여 조정지지부(13)의 걸어맞춤점을 회전운동중심으로 하여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조정나사(12)는, 제 1 조정나사(11)와 마찬가지로, 틸트샤시(201)의 구멍(252)을 관통하여 트래버스샤시(4)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맞춤하고 있다. 또한 제 2 조정나사(12)는, 광픽업 유니트(200)와 트래버스샤시(4)와의 사이에 배치된 용수철(15)을 관통하고 있다. 이 용수철(15)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200)는 트래버스샤시(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눌러지고 있다. 따라서, 제 2 조정나사 (12)를 회전운동시키는 것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200)를 트래버스샤시(4)에 대하여 조정지지부(13)의 걸어맞춤점을 중심으로 하여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틸트조정작업을 완료한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12)는, 록페인트 등의 고정부착수단에 의해 그 회전운동이 금지된다.
도 12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광픽업 유니트(200)의 저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틸트샤시(201)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51,252)은, 큰 원형과 작은 원형의 각각의 일부가 포개지는 것과 같은 형상의 구멍(오뚝이 형상 구멍)을 가지고 있다. 구멍(251,252)에 있어서의 큰 원형부분의 지름은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12)의 머리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작은원형부분의 지름은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12)의 머리부의 지름보다 작고, 나사부분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틸트샤시(201)의 구멍(251,25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에 있어서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12)의 각 머리부를 각각의 구멍(251,252)의 작은원형부분에 걸어맞춤시켜, 광픽업 유니트(200)를 트래버스샤시(4)에 유지고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광픽업유니트(200)를 트래버스샤시(4)에 유지고정한 후, 틸트조정작업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광픽업유니트(200)를 트래버스샤시(4)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틸트조정을 할 수 있는 동시에, 나중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광픽업의 떼어내기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실시형태 2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틸트조정작업은, 상술의 실시형태 1의 틸트조정작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 광픽업(50)을 광디스크(101)의 레이디얼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부축(7)은, 틸트샤시(201)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하는 위치에 미리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픽업(50)을 구동하는 주축(6)은, 틸트샤시(201)에 있어서 부축(7)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틸트샤시(201)상에 고정밀도로 구성된 축받이에 의해, 그 양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틸트샤시 (201)에 있어서는, 주축(6)의 중심축과 부축(7)의 중심축은 원하는 평행도가 확실히 확보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축(6)과 부축(7)에 의해 구동 및 안내되는 광픽업(50)은, 턴테이블(1)에 장착된 광디스크(101)의 레이디얼방향의 직선상으로 확실히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주축(6), 부축(7), 광픽업(50) 및 제 2 트래버스 구동기구(16)가 미리 배치된 틸트샤시(201)에 틸트샤시커버(202)가 부착되고, 광픽업유니트(200)가 구성되어 있다. 이 광픽업유니트(200)가 트래버스샤시(4)의 저면에 장착되어, 광픽업(50)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보면서 제 1 조정나사(1l)와 제 2 조정나사(12)를 교대로 회전운동시켜 틸트조정된다. 이 경우, 주축(6)과 부축(7)과의 평행도는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조정부재를 동기시켜 행할 필요가 없고, 단순히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12)를 교대로 회전운동시켜, 탄젠셜방향과 레이디얼방향에서의 광픽업 유니트(200)의 틸트조정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틸트조정작업은, 종래기술의 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2개소의 동기회전에 의한 조정이 불필요하고, 간단한 조정지그 혹은 수동에 의한 조정으로 대응할 수가 있다.
이 틸트조정작업에 의해, 광픽업(50)의 렌즈돌출부(9)로부터의 레이저광은, 턴테이블(1)에 장착된 광디스크(101)의 기록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조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 2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광픽업의 떼어내기작업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또, 틸트샤시(201)와 트래버스샤시(4) 사 이의 조정지지부의 구성은, 상술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 조정지지부(13)와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이다.
상술과 같이 광픽업(50)은 틸트샤시(201)에 있어서 정밀도 높게 형성된 주축(6), 부축(7)에 의해서 가이드구동되고 있다. 또한, 틸트샤시(201)와 트래버스샤시(4)는, 틸트조정수단인 고치정지지부(13), 제 1 조정나사(11), 제 2 조정나사(12)에 의한 틸트조정부에 의해서, 정밀도 높게 틸트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의 실시형태 1의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틸트샤시(3)와 트래버스샤시(4)의 걸어맞춤지점의 위치정밀도는 틸트샤시(3)에 형성된 볼부(3c), 트래버스샤시(4)의 개구끝단부(4c), 지지부구멍(4h)의 부품정밀도로 결정한다. 따라서, 볼부(3c)를 누르고 있는 누름부재(4p)를 제거하여, 조정지지부(13)에서의 결합부의 미끄럼 운동상태를 벗기더라도 다시 조립하여 누름부재(4p)에 의해 누르면, 걸어맞춤지점의 위치정밀도는 확보할 수 있다.
실시형태 2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도 9,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재(204)가 틸트샤시(201)에 형성된 볼부(도시생략)를 누르도록 트래버스샤시(4)에 나사멈춤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 2에 있어서도, 볼부를 누르고 있는 누름부재(204)를 떼어 제거하여, 조정지지부(13)에서의 결합부의 미끄럼 운동상태를 벗기더라도, 다시 조립하여 누름부재(204)에 의해 누르면, 틸트샤시 (201)와 트래버스샤시(4)와의 걸어맞춤지점의 위치정밀도는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12)를 조정하여 틸트조정한 틸트조정부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12)를 록페 인트 등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가압수단인 용수철(14, 15)에 의해 트래버스샤시(4)로부터 이격되어,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 (12)에 의해 밀어붙여져 있는 틸트샤시(201)는, 용수철(14,15)의 가압방향으로 대항하도록 누르면, 그 걸어멈춤상태를 벗길 수 있다. 즉, 틸트샤시(201)는 큰 원형부분과 작은 원형부분이 연결된 구멍(251,252)의 작은 원형부분으로 제 1 조정나사 (11)와 제 2 조정나사(12)로 유지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누르면서 슬라이드하면 구멍(251,252)의 큰 원형부분에서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12)에 의한 유지고정을 벗길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누름부재(204)를 제거하고, 다음에 틸트샤시(201) 를 누르면서 슬라이드시키면, 조정개소인 제 1 조정나사(11)와 제 2 조정나사(12)를 돌리는 일없이, 틸트샤시(201)를 트래버스샤시(4)로부터 벗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틸트샤시(201)를 트래버스샤시(4)에 부착하는 경우도, 상술의 떼어내는 경우와 반대의 순서에 의해, 조금도 조정을 무너뜨리는 일없이 틸트조정을 유지한 채로 다시 조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정지지부(13)에 있어서,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누름부재(204)로 틸트샤시(201)를 끼워부착한다. 누름부재(204)는, 기본적으로는 상술의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 실시형태 1의 누름부재(4p)와 마찬가지고, 틸트샤시 (201)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볼부를 누른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누름부재 (204)에서, 도 5에 나타낸 누름부재(4p)와 다른 점은, 돌기(204t)가 설치되고, 이 돌기(204t)가 틸트샤시(201)에 형성된 오목부(201m)에 틈새를 가지고 삽입되어 있 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누름부재(204)를 트래버스샤시(4)로부터 벗기지 않는 한, 돌기(204t)와 오목부(201m)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200)를 슬라이드시킬 수 없는 구성이다. 또한, 진동 등에 의해 틸트조정부의 용수철(14,15)의 가압력이 낮아져, 만일, 광픽업 유니트(200)가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되었다고 해도, 누름부재(204)의 돌기(204t)가 오목부(201m)에 걸어멈춤하여, 슬라이드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돌기(204t)는 오목부(201m)에 틸트조정의 범위로서는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의 틈새를 확보하여 헐겁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틸트조정작업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또, 실시형태 2에 있어서, 광픽업 유니트(200)는 트래버스샤시(4)에 대하여 용수철(14,15)에 의해 유지되는 구성이지만, 이들의 용수철(14,15)의 이 외에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체 등으로 구성된 진동흡수수단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200)를 트래버스샤시(4)로 유지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2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광픽업 유니트(200)의 내부에 주축 (6), 부축(7) 및 광픽업(50) 등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주축(6)과 부축 (7)은 미리 동일평면상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틸트조정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실시형태 2의 광디스크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트래버스샤시 (4)와 별개의 광픽업 유니트(200)에 주축(6), 부축(7) 및 광픽업(50) 등이 원하는 위치에 미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틸트조정작업에 있어서 광픽업유니트 (200)와 장착되는 광디스크(101)와의 사이에 미리 조정을 위한 여분인 공간을 장치내에 확보할 필요가 없어, 장치의 박형화에 크게 공헌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 2의 광디스크장치는, 광학부품이나 구동기구를 실질적으로 덮는 틸트샤시 커버(20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틸트샤시커버(202)가 사용자에 대한 눈가림으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광픽업유니트(200)의 내부에 광픽업본체(8)가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광디스크(101)의 회전에 따른 기류에 의해 작은 먼지가 광학부품이나 다른 기기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그 결과, 먼지가 광픽업본체(8) 내부의 광학부품에 부착하여 더럽혀서, 장시간의 경과에 의해 광량저하에 의한 성능열화, 재생불능 등의 문제가 해결된다.
(실시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3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높이조정장치에 대해서 첨부의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설명하는 높이조정장치는, 광디스크장치의 틸트조정에 사용되는 동시에, 일반적인 전기기기에 사용되는 샤시와 서브샤시와의 사이의 거리(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정장치로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3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높이조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a)는 조정나사(211)가 서브샤시(203)와 샤시(204)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b)는 조정나사 (211)가 서브샤시(203)와 샤시(204)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서브샤시와 샤시는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틸트샤시와 트래버스샤시에 해당하고, 높이조정장치에 의해 서브샤시와 샤시 사이의 거리(높이)가 조정된 다.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서브샤시(203)와 샤시(204)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의 사이 거리가 이하에 설명하는 높이조정장치(230)에 의해 조정된다. 또, 도 13에 있어서는, 조정나사를 위쪽으로부터 샤시(204)와 서브샤시(203)에 삽입하도록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샤시(203)에는 샤시(204)측으로 돌출한 보스부(20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203b)에는 조정구멍(203a)이 형성되어 있고, 조립공정시에 후술하는 조정나사(211)에 의해 절삭되어 암나사(203s)가 형성된다. 서브샤시(203)와 소정거리를 가지고 배치되는 샤시(204)에는 서브샤시(203)의 조정구멍(203a)에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구멍(20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 (204a)에는 조정나사(211)가 삽입관통되어 조정구멍(203a)에 나사를 넣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브샤시(203)와 샤시(204) 사이에는 부착되는 조정나사(211)의 근방에 조정용수철(2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용수철(214)은,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소위 소용돌이 용수철이고, 그 소용돌이 용수철의 실질적인 중심에 조정나사(211)가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용돌이 용수철인 조정용수철(214)은, 서브샤시(203)의 보스부(203b)를 둘러싸 부착되도록 보스부(203b)의 지름이 용수철지름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정용수철(214)은 서브샤시(203)와 샤시(204) 사이에 끼워 지지되도록 배치되고, 서브샤시(203)와 샤시(204)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따라서, 서브샤시(203)와 샤시(204) 사이의 거리(높이)는, 서 브샤시(203)의 조정구멍(203a)에 비틀어 넣어진 조정나사(211)의 머리부(211a)에 의해 샤시(204)가 걸어멈춤되어 그 거리가 결정된다. 상술과 같이, 조정용수철 (214) 속에 서브샤시(203)의 보스부(203b)가 삽입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조정구멍 (203a)에 있어서 나사가 잘려진 부분[나사부(203n)]를, 조정나사(211)와의 걸어맞춤에 필요한 길이를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보스부(203b)가 돌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공정에서 조정용수철(214)을 소정의 위치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실시형태 3의 구성에 있어서, 상술의 도 16과 도 17에 나타낸 종래의 조정장치와의 차이는, 조정나사(211)의 나사구성과, 그것을 받는 서브샤시(203)의 조정구멍(203a)의 구성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의 조정나사(211)는, 머리부(211a)의 지름이 샤시(204)의 관통구멍(204a)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조정나사 (211)의 끝단부(211t)는 서브샤시(203)의 조정구멍(203a)에 암나사를 형성하기 위한 숫나사형상이다. 조정나사(211)의 머리부(211a)보다 아래의 나사부(211n)는, 끝단부(211t)의 숫나사와 동일피치의 나사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끝단부(211t)의 지름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3의 조정나사(211)는, 머리부(211a)와 나사부(211n)과 끝단부(211t)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부(211n)는 동일지름을 갖는 통상의 나사산을 가지는 부분이다. 끝단부(211t)는 암나사를 성형하는 탭핑나사로 되어 있고, 나사부(211n)의 지름보다 약간 큰 적어도 1산의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로서는, 연질재료로의 나사넣기용 탭핑 비스로서 고안된 일본의 일본 실용공개 평성 8-l340호 공보(일본 실원평 8-1821호)에 의 해 개시된 니도정공주식회사의 알루미타이트(등록상표)등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샤시(203)에 있어서의 샤시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보스부(203b)에는 단차를 가지는 조정구멍(20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구멍(203a)은, 조정나사(211)가 삽입되는 측에 안지름이 작은 작은지름부 (203s)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측에 안지름이 큰 큰지름부(203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정구멍(203a)은 작은지름부(203s) 와 큰지름부(203d)를 가지는 관통구멍이고, 그 내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조정구멍(203a)의 작은지름부(203s)의 지름은, 조정나사(211)의 끝단부 (211t)가 비틀려 넣어지는 것에 의해, 도 13의(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나사부 (203n)가 형성되도록, 조정나사(211)의 숫나사의 산골짜기와 대략 같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정구멍(203a)의 큰 지름부(203d)는, 조정나사(211)의 끝단(211t)의 최대바깥지름부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구멍(203a)의 큰지름부(203d)의 샤시측 끝단부로부터 샤시(204)의 표면[샤시(204)에 있어서의 조정나사(211)의 머리부(211a)가 접촉하는 면]까지의 거리 B는, 조정나사(211)의 나사부(211n)의 길이 A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즉, 조정나사(211)의 나사부(211n)의 길이 A는, 높이조정시의 거리 B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 3의 조정장치(230)의 조정동작에 대해서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서브샤시(203)의 보스부(203b)에 조정용수철(214)을 삽입하여, 샤시 (204)를 서브샤시(203)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다음에, 끝단부 (211t)가 탭핑나사인 조정나사(211)를 샤시(204)의 관통구멍(204a)을 통해서, 서브샤시(203)의 조정구멍(203a)에 비틀어 넣는다(도 13의 화살표 F의 방향). 이 때, 조정나사 (211)의 끝단부(211t)가 탭핑나사이기 때문에, 그 끝단부(211t)가 조정구멍(203a)의 작은 지름부(203s)에 암나사를 형성해 간다. 그리고, 조정나사(211)의 끝단부 (211t)는 작은 지름부(203s)에 암나사를 형성하면서 관통하여, 큰 지름부 (203d)에 도달한다.
다음에, 서브샤시(203)와 샤시(204)와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조정나사 (211)를 회전운동시킨다[도 13의 (b)에 있어서 화살표 R로 나타내는 방향]. 끝단부(211t)의 숫나사에 의해 형성된 암나사의 크기에 비교하여, 조정나사(211)의 나사부(211n)는 약간 가느다랄 뿐이기 때문에, 조정나사(211)의 나사부(211n)와 보스부(203d)의 나사부(203n)의 사이가 매끄러운 맞물림이 되어, 상기의 조정동작에 있어서 덜거덕거리는 일이 없고,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상술과 같이, 조정나사(211)의 나사부 (211n)의 길이 A가 높이조정시 거리 B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즉, 나사부(211n)의 길이 A는, 샤시(204)의 두께와, 서브샤시(203)(주평면)로부터 샤시(204)까지의 대향거리(편차 공차를 포함한다)와, 서브샤시(203)의 상기주평면으로부터 조정구멍(203a)의 단차[작은지름부(203s)와 큰지름부 (203d)와의 경계선]까지의 설계상의 거리를 가산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정동작에 있어서, 편차를 고려하여 서브샤시(203)와 샤시(204) 사이를 최대로 이격시켰다고 해도, 조정나사(211) 의 끝단부(211t)는 항상 큰지름부(203d)에 배치되어 작은지름부(203s)에 걸어맞춤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조정동작에 있어서는 조정나사 (211)의 회전이 뻑뻑해지는 일이 없이, 항상 원활한 조정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정동작에 있어서 조정나사(211)의 나사부(211n)와 작은지름부(203s)의 나사부(203n)와의 맞물림에 의해, 조정나사(211)의 머리부(211a)의 높이가 조정된다. 조정용수철(214)에 의해 서브샤시(203)와 샤시(204)가 이격되도록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서브샤시(203)와 샤시(204)와의 사이의 거리(높이)가 결정된다.
상기의 조정작업이 종료하면, 조정나사(211)가 회전하지 않도록 록페인트 등에 의해 나사가 고정된다. 이 때, 록페인트를 큰지름부(203d)와 끝단부(211t)와의 틈새에 도포함으로써 접착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고, 신뢰성이 높은 접착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조정나사(211)에 통상의 숫나사부분인 나사부(211n)와 암나사를 형성하기 위한 끝단부(211t)를 형성하여, 서브샤시(203)의 작은지름부(203s)의 길이를, 높이조정동작시에서의 최대이격거리로부터 요구되는 길이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 3의 조정장치에 있어서는, 미리 서브샤시(203)의 조정구멍에 암나사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조정동작시에서는, 조정나사(211)의 끝단부(211t)가 작은지름부(203s)에 접촉하는 일 없이, 조정나사(211)의 회전이 원활하여, 미세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3에서는, 서브샤시(203)의 조정구멍(203a)이 작은지름부(203s)와 큰지름부(203d)를 가지도록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의 조정장치는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조정구멍에 큰지름부를 형성하지 않고, 조정동작시에 조정나사의 끝단부가 서브샤시의 저면에서 완전히 돌출 혹은 노출하고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서브샤시(203)에 보스부(203b)를 샤시측에 돌출하도록 형성하여 예로 설명하였지만, 서브샤시에 암나사를 형성할 수 있는 만큼의 두께가 있으면, 보스부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보스부를 서브샤시에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더라도, 샤시와는 반대측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조정나사(211)의 머리부(211a)와 나사부(211n) 사이에, 나사부(211n)의 바깥지름(즉 나사산 정점)과 동일지름으로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무나사부)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무나사부의 길이는, 조정동작에 있어서 편차가 있더라도 무나사부가 작은지름부(203s)에 이르지 않도록 한 길이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무나사부의 길이는, 샤시(204)의 두께와 같은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상,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 점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픽업의 이동면을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광디스크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틸트샤시에 주축, 부축 및 광픽업을 미리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그 틸트샤시를 트래버스샤시에 장착하여 틸트조정동작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정작업공정수가 적고, 특별한 조정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확실한 조정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신뢰성이 높은 광디스크장치를 낮은 제조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틸트샤시를 설치하여 광픽업의 이동궤적에 따른 부분에만 개구부를 형성하여, 광디스크의 회전에 따른 기류가 광픽업본체로 흘러 들어가기 어려운 구성이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회전에 따른 기류에 의해 먼지가 광픽업의 광학부품으로의 부착을 대폭 저감할 수가 있어, 장치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래버스샤시와 별개의 틸트샤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조정을 위한 여분인 공간을 장치내에 확보할 필요가 없어져, 장치의 박형화에 대응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장치에 의하면, 트래버스샤시와 틸트샤시 사이에 탄성체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핀들모터 등으로부터의 진동이 흡수되어, 쓰기동작 및 읽기동작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트래버스샤시의 제 1 트래버스 구동수단에서 틸트샤시의 제 2 트래버스 구동수단으로의 연결부가 틸트샤시와 트래버스샤시의 조정지지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틸트조정작업을 하더라도 제 1 트래버스 구동수단과 제 2 트래버스 구동수단과의 연결부는 확실히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장치에 의하면, 주축, 부축 및 광픽업을 유지하는 틸트샤시에 틸트샤시커버를 부착한 광픽업유니트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각 구성부품을 유지하는 틸트샤시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광디스크의 회전에 따른 기류가 광픽업의 광학부품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방지하고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틸트조정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광학부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광디스크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장치에 의하면, 광픽업유니트를 트래버스샤시의 저면측에서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수관리가 용이한 광디스크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높이조정장치에 의하면, 미리 서브샤시의 조정구멍에 암나사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조정동작시에서도, 조정나사의 회전이 뻑뻑해져서 조정을 원활하게 할 수 없다고 하는 일이 생기지 않아, 미세조정을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발명을 어느 정도의 상세함을 가지고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 바람직한 형태의 현개시내용은 구성의 세부에서 당연히 변화해야 하는 것으로, 각 요소의 편성이나 순서의 변화는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의 재생 및 광디스크로의 정보 기록을 하는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 광픽업의 이동면을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틸트조정작업을 쉽게 하여, 신뢰성이 높은 박형의 광디스크장치 및 높이조정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7)
- 광디스크를 얹어 놓는 턴테이블,상기 턴테이블을 구동하는 스핀들모터,상기 스핀들모터가 고정된 트래버스샤시,상기 광디스크에 대하여 반지름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광디스크에 쓰여진 정보의 읽기 또는 상기 광디스크에 정보의 쓰기를 하는 광픽업,상기 광픽업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평행한 주축과 부축이 설치되고, 상기 트래버스샤시에 대하여 틸트조정 가능하게 배치된 틸트샤시, 및상기 틸트샤시와 상기 트래버스샤시 사이의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를 가지고, 상기 트래버스샤시에 대하여 상기 틸트샤시를 틸트조정하기 위한 틸트조정수단을 구비하며,상기 틸트샤시와 상기 트래버스샤시의 틸트조정상태를 바꾸지 않고, 상기 틸트샤시는 상기 틸트조정수단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광디스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이 광디스크로 빛을 조사하는 렌즈돌출부와, 상기 렌즈돌출부를 광디스크의 반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틸트샤시의 주면이 상기 본체부보다 광디스크측에 배치된 광디스크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샤시가 상기 트래버스샤시에 대하여 1개의 조정지지부에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있으며, 상기 틸트조정수단은 2개의 틸트조정부에 의해 구성되고, 해당 틸트조정부가 상기 틸트샤시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돌출부의 이동궤적의 양측에 배치된 광디스크장치.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샤시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 1 트래버스 구동수단과,상기 틸트샤시에 설치되고,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1 트래버스 구동수단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주축에 전달하는 제 2 트래버스 구동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광디스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샤시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 1 트래버스 구동수단과,상기 틸트샤시에 설치되어,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1 트래버스 구동수단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주축에 전달하는 제 2 트래버스 구동수단을 구비하고,상기 제 1 트래버스 구동수단으로부터 제 2 트래버스 구동수단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가, 상기 틸트샤시와 상기 트래버스샤시의 조정지지부 근방에 설치된 광디스크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축이 상기 틸트샤시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광디스크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조정수단이 2개의 틸트조정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틸트샤시가 상기 트래버스샤시에 대하여 1개의 조정지지부에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있으며, 상기 조정지지부가 상기 주축의 광디스크 안둘레측끝단부 근방에 배치되고, 한쪽의 틸트조정부가 상기 주축의 광디스크 바깥둘레측끝단부 근방에 배치되며, 다른쪽의 틸트조정부가 상기 부축측에 배치된 광디스크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 상기 부축 및 상기 광픽업이 상기 틸트샤시에 미리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광디스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샤시에 설치된 상기 광픽업, 상기 주축, 및 상기 부축을 덮도록 배치된 틸트커버를 더욱 구비하는 광디스크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이 광디스크로 빛을 조사하는 렌즈돌출부와, 상기 렌즈돌출부를 광디스크의 반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틸트샤시의 주면보다 광디스크측에 배치 된 광디스크장치.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 상기 주축 및 상기부축이 상기 틸트샤시와 상기 틸트커버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틸트조정수단에 의해 상기 틸트샤시와 상기 틸트커버가 일체적으로 상기 트래버스샤시에 대하여 틸트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된 광디스크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275128 | 2001-09-11 | ||
JP2001275128A JP4097414B2 (ja) | 2001-09-11 | 2001-09-11 | 光ディスク装置 |
JPJP-P-2001-00360555 | 2001-11-27 | ||
JP2001360555A JP4099980B2 (ja) | 2001-11-27 | 2001-11-27 | 高さ調整装置 |
PCT/JP2002/009065 WO2003028016A1 (fr) | 2001-09-11 | 2002-09-05 | Dispositif pour disque optiqu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01629A Division KR20090021315A (ko) | 2001-09-11 | 2002-09-05 | 광디스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28729A KR20040028729A (ko) | 2004-04-03 |
KR100894937B1 true KR100894937B1 (ko) | 2009-04-27 |
Family
ID=266220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01629A KR20090021315A (ko) | 2001-09-11 | 2002-09-05 | 광디스크 장치 |
KR1020037012059A KR100894937B1 (ko) | 2001-09-11 | 2002-09-05 | 광디스크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01629A KR20090021315A (ko) | 2001-09-11 | 2002-09-05 | 광디스크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7013472B2 (ko) |
EP (2) | EP1426932A4 (ko) |
KR (2) | KR20090021315A (ko) |
CN (1) | CN1246842C (ko) |
WO (1) | WO200302801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80688A1 (en) * | 2004-03-05 | 2006-04-13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Optical disk apparatus |
KR100619364B1 (ko) * | 2004-06-23 | 2006-09-08 | 삼성전기주식회사 | 높이 가변형 턴테이블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광디스크 장치 |
US20070297301A1 (en) * | 2004-11-30 | 2007-12-27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Disc Skew Correction |
JP3853347B1 (ja) * | 2005-09-08 | 2006-12-06 | 三菱電機株式会社 |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
JP2007220176A (ja) * | 2006-02-15 | 2007-08-30 | Hitachi-Lg Data Storage Inc | 光ディスク装置 |
TW200828293A (en) * | 2006-12-29 | 2008-07-01 | Lite On It Corp | DVD mechanism with tilt adjustment |
CN101320573B (zh) * | 2007-06-07 | 2012-07-18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光学读取头倾斜调整方法及系统 |
US20110058459A1 (en) * | 2008-05-07 | 2011-03-10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tilt of recording medium |
TW201013643A (en) * | 2008-09-23 | 2010-04-01 | Quanta Storage Inc | Slot-in disk drive with a release device |
CN102124519B (zh) * | 2008-12-18 | 2013-01-02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光盘装置 |
KR101245394B1 (ko) * | 2010-04-05 | 2013-03-1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일체형 디스크 구동 모듈 |
KR101245473B1 (ko) * | 2010-03-29 | 2013-03-2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일체형 디스크 구동 모듈 |
KR101275311B1 (ko) * | 2010-12-30 | 2013-06-14 |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 광 디스크 드라이브용 하우징 및 이를 적용하는 드라이브 |
KR101286637B1 (ko) * | 2010-12-30 | 2013-07-22 |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 광 디스크 트레이 및 이를 적용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
KR20120077406A (ko) * | 2010-12-30 | 2012-07-10 |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 광 디스크 드라이브 |
KR101275313B1 (ko) * | 2010-12-31 | 2013-06-14 |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 광 디스크 드라이브 |
KR101237352B1 (ko) * | 2010-12-31 | 2013-02-28 |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 광 디스크 드라이브 |
KR101315449B1 (ko) * | 2010-12-31 | 2013-10-07 |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 광 디스크 드라이브 |
CN108072953B (zh) * | 2016-11-15 | 2023-12-08 |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 第一镜头调整机构、镜头调整模组及投影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69579A (ja) * | 1997-03-27 | 1998-10-09 | Toshiba Corp | ディスク再生装置 |
KR100189914B1 (ko) * | 1996-05-20 | 1999-06-01 | 윤종용 | 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기울기 조정장치 |
JPH11149724A (ja) * | 1997-11-17 | 1999-06-0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の組立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27491Y2 (ko) | 1977-04-22 | 1979-09-06 | ||
EP0004541A1 (de) * | 1978-02-17 | 1979-10-17 | B E L I P A R, Société Anonyme | Schraube, insbesondere Gewindeformschraube und Walzwerkzeug zur Herstellung derselben |
JP2634852B2 (ja) * | 1988-05-07 | 1997-07-30 | シャープ株式会社 | 対物レンズ駆動装置の傾き調整機構 |
JPH0834004B2 (ja) | 1989-11-10 | 1996-03-29 | シャープ株式会社 | 光ピックアップの送り制御装置 |
JP2541169Y2 (ja) | 1991-05-30 | 1997-07-09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光ピックアップ送り装置 |
JP2556415Y2 (ja) | 1991-10-14 | 1997-12-03 | 船井電機株式会社 |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支持機構 |
JP2590520Y2 (ja) | 1992-06-18 | 1999-02-17 | 富士通テン株式会社 | 嵌合構造 |
DE4238792A1 (de) * | 1992-11-17 | 1994-05-19 | Lautenschlaeger Mepla Werke | Befestigungsbohrung in Beschlagteilen, insbesondere in metallischen Möbelbeschlägen |
MY112103A (en) * | 1993-08-26 | 2001-04-30 | Sony Corp |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medium and damper mechanism employed in such apparatus. |
US5724337A (en) * | 1993-10-29 | 1998-03-03 | Tdk Corporation | Optical pickup with a compact design |
JPH07320279A (ja) * | 1994-05-24 | 1995-12-08 | Sony Corp | 光学ピックアップの送り装置 |
JPH0817135A (ja) | 1994-06-28 | 1996-01-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スピンドルモータ固定機構 |
JPH081340U (ja) | 1996-02-09 | 1996-09-03 | 日東精工株式会社 | タッピンねじ |
JPH09317732A (ja) | 1996-03-29 | 1997-12-09 | Taro Kawahara | セルフロック・タッピングねじ部材 |
JPH09320214A (ja) | 1996-05-31 | 1997-12-12 | Toshiba Corp | 光ディスク装置と、案内軸調整方法 |
JPH10208372A (ja) | 1997-01-27 | 1998-08-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ディスク装置のチルト調整装置 |
JPH10293932A (ja) * | 1997-04-17 | 1998-11-04 | Mitsumi Electric Co Ltd | 光ディスク駆動装置における光ピックアップのスキュー調整機構 |
JP3000984B2 (ja) * | 1997-11-28 | 2000-01-17 |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 光学式ディスク装置 |
JP3509596B2 (ja) | 1998-02-06 | 2004-03-22 | ティアック株式会社 | ピックアップ調整機構 |
JP3085377B2 (ja) * | 1998-11-12 | 2000-09-04 | 日本電気株式会社 | 対物レンズ保持装置 |
JP2001101671A (ja) * | 1999-09-28 | 2001-04-13 | Alps Electric Co Ltd | 光ディスク装置 |
JP3731716B2 (ja) * | 1999-12-03 | 2006-01-05 | 株式会社リコー | 情報記録/再生装置 |
JP2001307338A (ja) | 2000-04-25 | 2001-11-02 | Kenwood Corp | スキュー調整機構 |
JP2002042351A (ja) | 2000-07-26 | 2002-02-08 | Victor Co Of Japan Ltd | 光ディスク駆動装置 |
KR100657921B1 (ko) * | 2000-08-11 | 2006-1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크 드라이브의 방진구 |
JP3605353B2 (ja) * | 2000-11-21 | 2004-12-22 |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装置の調整方法、及びエンタテインメント装置 |
JP2002184003A (ja) | 2000-12-18 | 2002-06-28 | Ricoh Co Ltd | 光ディスク装置 |
JP2002208145A (ja) * | 2001-01-09 | 2002-07-26 | Funai Electric Co Ltd |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調節機構 |
JP3751217B2 (ja) * | 2001-04-17 | 2006-03-01 | 株式会社ケンウッド | 光ピックアップ送り装置 |
US6683841B2 (en) * | 2001-09-26 | 2004-01-27 | Behavior Tech Computer Corporation | Anti-fluttering transmission apparatus for CD-RW drive head |
JP3603883B2 (ja) * | 2002-07-19 | 2004-12-22 | 船井電機株式会社 |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およびビーム角度調整構造 |
TWM241765U (en) * | 2003-01-29 | 2004-08-21 | Micro Star Int Co Ltd | CD drive with a fixing structure for with simultaneously positioning guide rod and avoiding the rod distortion |
-
2002
- 2002-09-05 EP EP02765429A patent/EP1426932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2-09-05 EP EP07023746A patent/EP1898402A1/en not_active Ceased
- 2002-09-05 US US10/468,689 patent/US701347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9-05 WO PCT/JP2002/009065 patent/WO200302801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2-09-05 KR KR1020097001629A patent/KR20090021315A/ko active IP Right Grant
- 2002-09-05 KR KR1020037012059A patent/KR1008949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9-05 CN CNB028089286A patent/CN124684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1-31 US US11/343,446 patent/US735022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89914B1 (ko) * | 1996-05-20 | 1999-06-01 | 윤종용 | 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기울기 조정장치 |
JPH10269579A (ja) * | 1997-03-27 | 1998-10-09 | Toshiba Corp | ディスク再生装置 |
JPH11149724A (ja) * | 1997-11-17 | 1999-06-0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の組立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350221B2 (en) | 2008-03-25 |
EP1426932A4 (en) | 2007-03-28 |
WO2003028016A1 (fr) | 2003-04-03 |
EP1426932A1 (en) | 2004-06-09 |
KR20090021315A (ko) | 2009-03-02 |
KR20040028729A (ko) | 2004-04-03 |
CN1246842C (zh) | 2006-03-22 |
US7013472B2 (en) | 2006-03-14 |
CN1505813A (zh) | 2004-06-16 |
EP1898402A1 (en) | 2008-03-12 |
US20060123438A1 (en) | 2006-06-08 |
US20040071073A1 (en) | 2004-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4937B1 (ko) | 광디스크 장치 | |
US7124419B2 (en) | Feed screw driver and information recorder/reproducer | |
US6052358A (en) | Head feeding mechanism and optical pick-up feeding mechanism | |
KR980011109A (ko) | 광 기록 재생 장치 | |
US6922840B2 (en) |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a turntable, a spindle motor, and a linear driving device | |
JP3035223B2 (ja) |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位置調整装置 | |
JP3633588B2 (ja) | ディスク装置のヘッド駆動装置 | |
JPH09293325A (ja) | スピンドルモータの設置角調整手段を備えた光記録再生装置 | |
KR100797635B1 (ko) | 광픽업장치 및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 |
EP0818779B1 (en) | Optical pickup | |
JPH0731417Y2 (ja) | ディスク型記録媒体再生装置のピックアップ送り機構 | |
US20020181386A1 (en) | Disk reproducing device | |
JP4097414B2 (ja) | 光ディスク装置 | |
JPS6156579B2 (ko) | ||
KR100189914B1 (ko) | 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기울기 조정장치 | |
US6993825B2 (en) | Tilt adjusting method for guide shafts in a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 |
JPS6144306Y2 (ko) | ||
KR20060113723A (ko) | 기록 매체의 표면에 대하여 스캐닝 디바이스의 평행 배향을위한 수단을 구비한 광학 기록 매체를 위한 기록 및/또는재생 장치 | |
JPH0329771Y2 (ko) | ||
JP2702848B2 (ja) | 光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安定化装置 | |
KR850001019B1 (ko) | 비데오 녹화-재생장치용 스핀들 조립체 | |
KR200201711Y1 (ko) |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 |
JP3861403B2 (ja) |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 |
JP2003346351A (ja) | 光ディスク装置 | |
JP2003091946A (ja) | ピックアップ送り機構、並びに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