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793B1 -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 이에이용되는 장착 부품 및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 이에이용되는 장착 부품 및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793B1
KR100894793B1 KR1020037004194A KR20037004194A KR100894793B1 KR 100894793 B1 KR100894793 B1 KR 100894793B1 KR 1020037004194 A KR1020037004194 A KR 1020037004194A KR 20037004194 A KR20037004194 A KR 20037004194A KR 100894793 B1 KR100894793 B1 KR 100894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unting
terminal
main body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625A (ko
Inventor
다께시따도시오
에비네노부히또
가쯔노요시유끼
다시로게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22951A external-priority patent/JP39251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63672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8105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7Protection against reversal of pol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만에 하나, 유사한 장착 부품의 본체측 기기에 대해 오장착이 이루어진 경우라도, 단자의 접촉을 회피한다. 이를 위해 비디오 카메라(본체측 기기)(1)는 본체측 단자(30)를 갖고, 배터리 팩(장착 부품)(100)은 상기 본체측 단자에 접합하는 배터리측 단자(장착 부품측 단자)(120)를 갖고, 장착 부품의 배터리측 단자(장착 부품측 단자)의 근방에 판별자(111)를 설치하는 동시에, 비디오 카메라(본체측 기기)의 본체측 단자 근방에 상기 판별자에 대해 요철 끼워 맞춤의 조합에 의해 그 장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저지부(19)를 설치하고, 상기 저지부와 상기 판별자와의 간섭에 의해 장착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는, 본체측 단자와 배터리측 단자(장착 부품측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비디오 카메라, 배터리 팩, 본체측 단자, 배터리측 단자, 판별자, 저지부

Description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 이에 이용되는 장착 부품 및 배터리 팩 {METHOD FOR PREVENTING ERRONEOUS MOUNTING OF MOUNTING PART ON MAIN BODY DEVICE, MOUNTING PART AND BATTERY PACK USED FOR THIS}
본 발명은 전기적 접촉이 도모되는 단자를 갖는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으로, 이에 이용되는 장착 부품 및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체측 기기와 전기적 접촉을 도모하는 장착 부품으로서, 예를 들어 비디오 카메라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이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비디오 카메라 외에, 비디오 라이트, 충전기 등에도 장착을 가능하게 하고, 이들과의 전기적 접촉을 도모할 필요가 있어, 이들은 모두 동일 형상의 단자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팩에는 그 용량의 차이로부터 복수 타입인 것이 있으며, 또한 동일 형상의 단자를 갖는 배터리 팩에 유사한 장착 부품으로서, 예를 들어 건전지 팩 및 DC 플레이트 등이 있다. 또, DC 플레이트라 함은,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 모양의 외형을 가진 장착 부품으로, 충전기에 접속하는 코드를 갖고, 충전기에 접속함으로써 DC 전력을 이 장착 부품을 거쳐서 본체 기기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체측 기기 및 장착 부품에는 각각 동일 형상의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상호간의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충전기에 건전지 팩이 장착되면, 건전지가 충전되어 버리게 되어, 이것은 회피되어야만 한다. 또한, 비디오 라이트에는 고용량의 배터리 팩만 장착을「가능」하게 하는 고용량 전용 비디오 라이트가 있고, 이러한 고용량 전용 비디오 라이트에는 저용량 배터리 팩이나 표준 용량 배터리 팩 등의 장착을 회피해야만 하는 등의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동일 형상의 단자를 갖는 유사 장착 부품에 있어서는, 장착되는 본체측 기기에 의해 그 장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해야만 한다.
그리고, 유사 장착 부품의 장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종래 요철 끼워 맞춤부를 본체측 기기 및 장착 부품에 각각 설치하고, 그 조합에 의해 장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요철 끼워 맞춤부를 구비한 본체측 기기 및 장착 부품에 있어서는, 장착 부품을 본체측 기기에 대해 완전히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 즉 장착 도중의 단계에서 단자끼리가 접촉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장착 부품을 본체측 기기에 대해 본래의 장착 방향보다 비스듬히 경사지게 하고, 양 단자끼리를 대향시켜 무리하게(복잡하게) 장착하려고 하면, 양 단자가 접촉되어 버리고 있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다른 용량의 배터리 팩이 본체측 기기에 장착되어 버리면, 대전류가 흘러 버려 본체측 기기의 오동작 및 파손 등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 다.
또한, 최근 본체측 기기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이에 장착되는 장착 부품도 소형화의 요청이 있어, 요철 끼워 맞춤부의 형상 및 크기를 작게 해 버리면, 상기 요철 끼워 맞춤부의 변형 및 왜곡 등에 의해 원래 장착해서는 안되는 장착 부품의 본체측 기기로의 오장착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오장착된 경우에는 단자끼리가 접촉되어 버린다고 하는 사고로 연결되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만에 하나, 유사한 장착 부품의 본체측 기기에 대해 오장착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단자의 접촉을 회피하여, 본체측 기기 및/또는 장착 부품으로의 전기적 장해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체측 기기는 본체측 단자를 갖고, 장착 부품은 상기 본체측 단자에 접합하는 장착 부품측 단자를 갖고, 장착 부품의 장착 부품측 단자의 근방에 판별자를 설치하는 동시에, 본체측 기기의 본체측 단자 근방에 상기 판별자에 대해 요철 끼워 맞춤의 조합에 의해 그 장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저지부와 상기 판별자와의 간섭에 의해 장착 불가능하게 했을 때는, 본체측 단자와 장착 부품측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착 부품은 본체측 기기에 설치된 본체측 단자와 접합하는 장착 부품측 단자를 갖고, 본체측 기기의 본체측 단자 근방에 설치된 저지부에 대 해 요철 끼워 맞춤의 조합에 의해 그 장착이 가능한지의 여부가 결정되는 판별자를 장착 부품측 단자의 근방에 설치하고, 상기 판별자와 상기 저지부와의 간섭에 의해 장착 부품의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이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는, 본체측 단자와 장착 부품측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장착 부품에 있어서는, 만에 하나 본래 장착할 수 없는 장착 부품을 본체측 기기에 오장착해 버린 경우라도, 단자 근방에 판별자와 저지부를 설치했으므로, 단자의 접촉만은 방지할 수 있어 본체측 기기 및/또는 장착 부품의 전기적 장해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배터리 장착부를 가진 전자 기기에 대해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전자 기기에 장착하는 배터리 팩이고, 대략 사각 기둥형을 한 배터리 케이스와, 슬라이드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면에 설치된 배터리 단자를 갖고, 배터리 케이스의 슬라이드 방향의 양단부면 이외의 측면의 일부에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오장착 방지 홈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 따르면, 슬라이드 방향으로부터 본 형상 다점 대칭이 아니므로, 이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측의 배터리 장착부에 대해 일의적인 방향을 특정할 수 있어, 이에 의해 정규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는 배터리 장착부에 삽입할 수 없으며, 따라서 배터리 팩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배터리 단자의 방향도 정규 방향으로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므로, 전자 기기측의 단자와 잘못된 단자끼리가 접촉된다는 사고도 방지할 수 있 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에 배터리 팩을 장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배터리 장착부를 우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3은 도2에 있어서의 Ⅲ-Ⅲ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4는 배터리 팩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배터리 팩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와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배터리 팩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배터리 팩을 분해하여 상방으로부터 본 확대도이다.
도8은 배터리 팩을 상방으로부터 본 확대도이다.
도9는 배터리측 단자의 부분을 분해하여 각부를 상하 방향으로 옮겨 우측으로부터 본 확대도이다.
도10은 배터리 장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a)는 본체측 단자의 보호 플레이트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b)는 본체측 단자의 보호 플레이트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로크 기구를 배터리 장착부로부터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12는 로크 기구를 분해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4 내지 도16과 함께 배터리 팩을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하거나 또는 이탈하는 모습의 일부를 절결하여 전방으로부터 본 확대도이며, 본 도면은 장착 초기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는 장착 도중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5는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은 배터리 팩을 이탈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튀어나옴 방지 레버에 의해 배터리 팩의 일부가 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7은 배터리측 단자를 상방으로부터 본 확대도이다.
도18은 배터리측 단자를 좌측으로부터 본 확대도이다.
도19는 배터리측 단자를 후방으로부터 본 확대도이다.
도20은 도18에 있어서의 XX-XX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21은 도19에 있어서의 XXI-XXI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22는 본체측 단자를 좌측으로부터 본 확대도이다.
도23은 본체측 단자를 하방으로부터 본 확대도이다.
도24는 도22에 있어서의 XXIV-XXIV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25는 도22에 있어서의 XXV-XXV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26은 배터리측 단자와 본체측 단자가 접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본 도면은 접합 초기의 단계에서 안내 부재가 안내 홈에 삽입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7은 접합 도중의 단계에서 콘택트부가 접합 부재에 접촉하기 시작한 상태 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8은 접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9는 도28에 있어서의 XXIX-XXIX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30은 도28에 있어서의 XXX-XXX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31은 도32 및 도33과 함께, 단자 부재와 단자 부재의 재질 및 그 도금에 대해 고찰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며, 본 도면은 접촉 저항에 관한 결과표도이다.
도32는 끼워 맞춤력에 관한 결과표도이다.
도33은 이탈력에 관한 결과표도이다.
도34는 콘택트부가 표준 위치에서 접촉 부재에 협지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5는 콘택트부가 한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접촉 부재에 협지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6은 접촉 부재의 변위량과 접촉 압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37은 도38 내지 도40과 함께, 복수종의 판별자와 저지부와의 조합에 있어서 그 장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본 도면은 저지부 타입 I과 각 판별자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8은 저지부 타입 Ⅱ와 각 판별자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9는 저지부 타입 Ⅲ과 각 판별자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0은 저지부 타입 IV와 각 판별자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1은 배터리 팩에 있어서의 피계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사시도 이다.
도42는 배터리 팩에 있어서의 피계지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43은 배터리 팩에 있어서의 피계지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44는 본 발명에 관한 배터리 팩을 전자 기기의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5는 도46 내지 도48과 함께 배터리 팩의 조립을 차례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본 도면은 기판에 배터리측 단자를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6은 기판을 배터리 셀에 납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7은 배터리 셀을 하부면 케이스에 수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8은 배면 케이스에 상부면 케이스를 맞추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9는 도50과 함께, 전자 기기의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며, 본 도면은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0은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1은 배터리 팩의 종단면도이다.
도52는 장착 또는 장착하고자 하는 배터리 팩과 배터리 장착부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으로, 이에 이용되는 장착 부품 및 배터리 팩의 상세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 도면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의 배터리 팩의 부착 구조에 적용한 것으로,「비디오 카메라」가 청구 범위에 기재된「본체측 기기」에,「배터리 팩」이 청구 범위에 기재된「장착 부품」에 각각 상당한다. 또한, 후술하는「비디오 라이트」,「충전기」도 청구 범위에 기재된「본체측 기기」에, 또한「건전지 팩」도 청구 범위에 기재된「장착 부품」에 각각 상당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비디오 카메라는, 통상 사용되는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의 상부에 렌즈 경통이 위치하고, 그 우측면에 배터리 팩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타입인 것이다. 그로 인해,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도, 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각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U 방향, D 방향, L 방향, R 방향, F 방향, B 방향은, 각각 상방, 하방, 좌측, 우측, 전방, 후방을 의미한다. 또한, 배터리 팩의 방향(방향성)에 대해서는, 본래 일의적인 것은 아니지만, 상술한 비디오 카메라에 장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므로, 이와 동일한 방향(방향성)으로 배터리 팩에 대해서도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비디오 카메라(1)는 직사각형 카메라 본체(2)와, 상기 카메라 본체(2)의 상부에 설치된 렌즈 경통(3)과, 카메라 본체(2)의 좌측면에 설치된 표시 패널(도시는 생략함) 등을 갖는다.
또한, 카메라 본체(2)의 우측면에는 편평한 오목형의 배터리 장착부(10)로 되어 있고, 4개의 프레임 부재[전방 프레임 부재(11), 후방 프레임 부재(12), 상부 프레임 부재(13), 하부 프레임 부재(14)]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도1, 도2 참조).
상기 배터리 장착부(10)는 정면(우측)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그 크기는 여기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100)의 정면 투영 형상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고, 또한 전방 프레임 부재(11)의 내면(후방면)(11a) 및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내면(전방면)(12a)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 각각 치우친 위치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은 리브(16, 16,…)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작은 리브(16)의 돌출량은 근소하며, 또한 그 돌출량은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으로 감에 따라 약간 크고, 즉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그 바닥면(15)에 있어서 대향하는 작은 리브(16, 16) 사이의 간격은 배터리 팩(100)의 전후 폭 치수와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도3 참조).
배터리 장착부(10)를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 부재(13)의 전방부 바닥면(13a)측에는, 상기 배터리 팩(100)의 단자(이하「팩측 단자」라 함)(120)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이하「본체측 단자」라 함)(30)가 설치되고, 또한 하부 프레임 부재(14)의 중앙에는 배터리 팩(100)을 배터리 장착부(10)에 보유 지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40)가 설치되어 있다(도1 참조).
우선, 상기 비디오 카메라(1)에 사용되는 배터리 팩(100)에 대해 설명한다.
배터리 팩(100)은 직사각형의 배터리 케이스(101)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101)에 수납된 배터리 셀(102, 102)과, 상기 배터리 팩(100)의 잔량 등을 계산하고 기억하는 IC 칩(103) 등이 마운트된 기판(104)과, 상기 기판(104)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측 단자(30)와 접속하는 배터리측 단자(120)를 갖는다(도4 참조).
여기서, 배터리 팩(100)에는, 주로 그 용량 차이로부터 복수 타입인 것이 있으며, 도1, 도3 내지 도9, 도13 내지 도16에 도시한 것은 표준 용량 타입인 것이고, 복수 타입인 배터리 팩(100) 중 외형이 가장 작은(두께가 얇은) 것이다.
그리고, 배터리 케이스(101)는 정면 케이스(105)와 배면 케이스(106)로 이루어지고(도4 참조), 배면 케이스(106)는 상기 복수 타입인 배터리 팩(100)에 있어서 크기가 동일하지만, 정면 케이스(105)는 그 크기(두께)가 다르다(도37 내지 도40 참조).
배면 케이스(106)의 상면 전방부는 다른 부분보다 일단 낮은 오목한 부분(107)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한 부분(107)에는 정면측(우측) 및 배면측(좌측)에 개구하는 직사각형 절결부(108)가 형성되고, 상기 직사각형 절결부(108)에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가 정면측(우측)으로부터 슬라이드되어 부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직사각형 절결부(108)에 부착된 배터리측 단자(120)의 상부면은 상기 오목한 부분(107) 이외의 부분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도록 되어 있다(도9 참조).
배면 케이스(106)의 직사각형 절결부(108)의 전후 측모서리에는, 상방으로 돌출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이하「단자 위치 결정 리브」라 함)(109, 109)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109)의 좌단부는 배면 케이스(106)의 배면(106a)까지는 도달하지 않고, 상기 배면(106a)보다 다소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2개의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109)의 상부면은 배터리측 단자의 상부면 및 배면 케이스(106)의 상기 오목한 부분(107) 이외의 부분과 대략 동일 높이로 되어 있다(도7 참조).
또한, 2개의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109) 사이의 간격은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의 전후 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2개의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109)는 부착된 배터리측 단자(120)의 우측 모서리부보다도 약간 우측으로 연장되고, 그 좌단부는 서로 반대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은 돌조(110, 1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작은 돌조(110, 110) 및 상기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109) 등과 같이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 근방에 형성된 볼록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팩(100)의 다른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자(111, 111,…)로 되어 있다(도7 참조).
상기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의 우측단부(109a)는 정면 케이스(105)가 배면 케이스(106)와 조합되었을 때에 배면 케이스(106)측으로 약간 씌워지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의 우측단부(109a)는 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팩(100)이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장착부(10)에 장착되었을 때의 상측 피계지부(112) 중 하나로 되어 있다(도8 참조).
또한, 배면 케이스(106)의 상부면 후방측 구석부에는 상방 및 후방에 개구하는 비교적 작은 오목부(113)가 설치되고, 이러한 작은 오목부(113)는 상기 배터리 팩(100)이 배터리 장착부(10)에 장착되었을 때의 상측 피계지부(112) 중 하나로 되어 있다(도8 참조).
또한, 배면 케이스(106)의 하부면(106b)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조의 피로크 홈(114)이 형성되고, 카메라 본체(2)측의 로크 기구(40)의 로크 갈고리(41)(후술함)가 계지하도록 되어 있고, 피로크 홈(114)은 배터리 팩(100)의 하측 피계지부(112)로 되어 있다(도6 참조).
이와 같이, 배터리 팩(100)측의 각 부분의 피계지부(112)[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의 우측단부(109a), 작은 오목부(113) 및 피로크 홈(114)]를 배면 케이스(106), 즉 일부품에 설치함으로써, 배터리 장착부(10)에 장착되었을 때의 배터리 팩(100)의 위치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도15 참조).
즉, 배터리 팩(100)의 배터리 장착부(10)로의 장착은 배면 케이스(106)의 배면(좌측면)(106a)이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에 접촉하는 동시에(도15 참조), 배터리 팩(100)측의 각 부분의 피계지부(112)[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의 우측단부(109a), 작은 오목부(113) 및 피로크 홈(114)]가 배터리 장착부(10)측의 대응하는 계지부[후술하는 차양부(17), 작은 볼록부(20) 및 로크 갈고리(41)]에 계지됨으로써 이루어지지만, 그 복수의 피계지부(112, 112,…)가, 예를 들어 배면 케이스(106)와 정면 케이스(105) 등과 같이 다른 부품에 설치되면, 배면 케이스(106)와 정면 케이스(105)와의 조립이 정밀도 좋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계지 상태로 덜걱거림이 생기는 동시에, 배터리측 단자(120)와 본체측 단자(30)와의 결합 상태에 문제점이 생겨 버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기 배터리 팩(100)과 같이, 일부품[배면 케이스(106)]에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 결정용 피계지부(112)를 집중하여 형성함으로써 배터리 팩(100)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할 수 있고, 또한 이에 의해, 배면 케이스(106)와 정면 케이스(105)와의 조합 정밀도를 개략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정면 케이스(105)의 상부면 전방부이며,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배면 케이스(106)의 오목한 부분(107)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는 오목한 부분(115)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한 부분(115)의 좌측 모서리에는 배터리측 단자(120)를 우측으로부터 누르는 단자 누름 리브(116)가 형성되어 있다(도7 내지 도9 참조).
이 단자 누름 리브(116)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배면 케이스(106)의 2개의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109) 사이의 간격, 즉 배터리측 단자(120)의 전후 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단자 누름 리브(116)는 정면 케이스(105)를 배면 케이스(106)에 조립했을 때, 상기 2개의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109) 사이에 위치되어 배터리측 단자(120)를 좌측으로부터 누르는 동시에, 배면 케이스(106)의 2개의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109)가 단자 누름 리브(116)보다도 약간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피계지부(112, 112)가 되도록 되어 있다(도8 참조).
이러한 표준 용량 타입의 배터리 팩(100)에는 배터리 케이스(101) 내에 2개의 편평한 직사각형 배터리 셀(102, 102)이 전후로 늘어서 수납되고, 이들 상부에 상기 기판(104)이 부착되고, 상기 기판(104)에는 그 전방측 부분에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가, 또한 후방측 부분에 상기 IC 칩(103) 등이 마운트되어 있다(도4 참조).
이와 같이, 배터리 팩(100)에 대해 한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터리측 단자(120)를 배치하도록 하였으므로, 이와 반대측 부분에 비교적 큰 공간을 마련할 수 있고, IC 칩(103) 등의 전자 부품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공간의 효율화를 도 모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셀(102)이 편평한 직사각형을 한 것에 있어서는, 이를 배터리 케이스(101) 내에 배열했을 때에 무효 공간이 생기지 않고, 배터리 팩(100)으로서 배터리 셀(102, 102)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반면, 배터리측 단자(120), 기판(104) 상의 IC 칩(103) 등 배터리 셀(102)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배치하는 공간의 확보가 곤란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측 단자(120)를 배터리 팩(100)에 대해 치우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공간의 유효 이용을 행할 수 있다(도4, 도7 참조).
또한, 배터리측 단자(120)를 배터리 팩(100)에 대해 치우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카메라 본체(2)로의 장착에 있어서 오장착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배터리측 단자(120) 및 그 받침측인 직사각형 절결부(108)의 상세한 형상 및 양자의 조립 방법 등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다음에,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장착부(10)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까지의 치수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101)의 배면 케이스(106)의 두께(좌우 방향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이에 의해 배터리 팩(100)이 배터리 장착부(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배면 케이스(106)는 배터리 장착부(10) 내에 위치하고, 정면 케이스(105)의 대부분의 부분은 카메라 본체(2)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도3, 도15 참조).
본체측 단자(30)는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에 대향하는 위치, 즉 상부 프레임 부재(13) 내면(하부면)과 바닥면(15)과의 구석부이며, 상부 경사 전방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10 참조).
상부 프레임 부재(13) 내면(13a)의 개구측 모서리(우측 모서리)이며, 상기 본체측 단자(30)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차양부(17)가 형성되고, 상기 차양부(17)와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 사이의 치수는 상기 배면 케이스(106)의 배면(106a)과 단자 위치 결정(109)의 우측단부 사이의 치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도15 참조).
이에 의해, 배터리 팩(100)을 배터리 장착부(10)에 장착하여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의 우측단부(109a)를 차양부(17)에 계지했을 때, 양자간에 덜걱거림이 없고, 따라서 장착 상태에 있어서 배터리 팩(100)의 상부 전방측 부위에 있어서 덜걱거림이 없는 상태에서의 계지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도15 참조).
차양부(17)의 후단부로부터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좌측)을 향하여 돌조(이하,「저지 돌조」라 함)(18)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저지 돌조(18)의 선단부는 바닥면(15)으로부터 적절하게 이격한 위치까지로 되어 있고(도10 참조), 상기 배터리 팩(100)의 배면 케이스(106)의 상기 판별자(111)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저지 돌조(18) 및 후술하는 본체측 단자(30)의 근방에 형성되는 작은 돌기부(18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 팩(100)의 장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저지부(19)로 되어 있다. 또, 이 비디오 카메라(1)에 있어서는 상기 저지부(19)가 배터리 팩(100)의 판별자(111)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배터리 장착부(10)로의 배터리 팩(100)의 장착을「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이러한 배터리 팩(100)을 장착하는 기기, 예를 들어 비디오 라이트(150)[저용량의 배터리 팩(100)은 장착할 수 없게 된 것] 등에 있어서는, 배터리 팩(100)의 용량 차이에 의해 장착을「불가능」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저지부(19)가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 근방까지 연장되어, 상기 판별자(111)와 간섭하여 그 장착을 저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배터리 팩(100)의 장착이 가능한지의 여부는 상기 배터리 팩(100)측의 판별자(111)와 상기 저지부(19)와의 형상 및 위치 관계에서 행하도록 되어 있고,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배터리 장착부(10)의 상부 프레임 부재(13)의 내면(하부면)(13a)의 후방측과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내면(전방면)(12a)과의 구석부이고, 상기 배면 케이스(106)의 작은 오목부(113)에 대응한 위치에는 상기 작은 오목부(113)에 대략 정확하게 끼워 맞추는 작은 볼록부(20)가 형성되고(도10 참조), 상기 작은 볼록부(20)의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으로부터의 형성 위치와 상기 작은 오목부(113)의 배면 케이스(106)의 배면(106a)으로부터의 형성 위치가 동일하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배터리 팩(100)을 배터리 장착부(10)에 장착했을 때, 배터리 팩(100)의 상부 후방측 부위에 있어서의 계지가 덜걱거림이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이며 그 하부 중앙에는 직사각형 구멍[이하「압상 플레이트 배치 구멍」이라 함](21)이 형성되고, 또한 그 하부 프레임 부재(14)의 내면(상부면)에는 상기 압상 플레이트 배치 구멍(21)에 연속하여 절결부(이하「로크 레버 배치 구멍(22)」이라 함)가 설치되어 있다(도2 참조).
로크 기구(40)는 배터리 팩(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피로크 홈(114)에 결합하는 로크 갈고리(41)를 갖는 로크 레버(42)와 배터리 팩(100)의 바닥면(106a)을 이탈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상 플레이트(43)와 상기 로크 레버(42)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었을 때에 배터리 팩(100)이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튀어나옴 방지 레버(44)를 갖고, 이들 로크 레버(42), 압상 플레이트(43) 및 튀어나옴 방지 레버(44)는 하부 프레임 부재(14)와 바닥면(15)과의 구석부 내측에 있어서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45)에 동축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11, 도12 참조).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45)는 하부 프레임 부재(14)의 내부에 수납 고정되고, 상기 로크 레버(42)는 하부 프레임 부재(14)의 상기 로크 레버 배치 구멍(22)에, 압상 플레이트(43)는 상기 압상 플레이트 배치 구멍(21)에, 튀어나옴 방지 레버(44)는 로크 레버 배치 구멍(22)에 연속하여 형성된 직사각형의 절결부(이하「튀어 나옴 방지 레버 배치 구멍」이라 함)(46)에, 각각 배치된다(도11 참조).
또한, 로크 레버(42), 압상 플레이트(43), 튀어나옴 방지 레버(4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47)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의 코일부(48a)가 외부 끼움되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의 한 쪽 아암부(48b)가 로크 레버(42)에, 다른 쪽 아암부(48c)가 압상 플레이트(43)에 작용하고 있고, 이에 의해 로크 레버(42)는 상방에, 압상 플레이트(43)는 우측으로 회전 압박되어 있다(도12 참조).
로크 레버(42)는 그 전체가 가로로 누운 L자형을 나타내고, 그 상부면 부재(49)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4)의 내면(상부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 부재(49)의 회전 중심측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면 삼각형의 로크 갈고리(41)가 형성되고, 또한 우측면 하부에 상기 로크 레버(42)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50)가 형성되어 있다(도11, 도12 참조).
그리고, 상기 로크 갈고리(41)는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으로부터 약간 우측(정면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면(15)으로부터의 거리는 상기 배터리 팩(100)의 피로크 홈(114)의 바닥면(106a)으로부터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어, 이에 의해 로크 갈고리(41)가 피로크 홈(114)에 결합했을 때에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에 압박되도록 되어 있다(도15 참조).
또한, 로크 레버(42)의 상부면 부재(49)의 좌우 양측부에는 하부 프레임 부재(14)의 로크 레버 배치 구멍(22)의 모서리부에 접촉하는 작은 돌조(51, 5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은 돌조(51, 51)가 상기 로크 레버 배치 구멍(22)의 모서리부에 내측으로부터 충돌함으로써,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에 의한 회전 압박이 저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부면 부재(49)의 상부면이 하부 프레임 부재(14)의 상부면과 동일 높이가 되도록 되어 있다.
압상 플레이트(43)에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작은 부재(52, 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은 부재(52, 52)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5)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에 의한 회전 압박이 저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압상 플레이트(43)가 압상 플레이트 배치 구멍(21)보다도 우측으 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도12 참조).
튀어나옴 방지 레버(44)는 그 회전단부의 하부면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5)에 형성된 돌조 부재(53)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54)이 수축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튀어나옴 방지 레버(44)는 상기 로크 레버(42)와 같이 상방으로 회전 압박되어 있다(도13 내지 도16 참조). 또, 도13 내지 도16에 있어서는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 및 본체측 단자(30)는 생략한다.
튀어나옴 방지 레버(44)의 회전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갈고리부(55)가 형성되고, 또한 그 기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회전 저지 부재(5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저지 부재(56)가 베이스 플레이트(45)에 형성된 억지 부재(57)에 충돌함으로써,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54)에 의한 회전 압박이 저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갈고리부(55)가 하부 프레임 부재(14)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도13 내지 도16 참조).
또한, 튀어나옴 방지 레버(44)의 갈고리부(55)는 로크 레버(42)의 로크 갈고리(41)보다도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도13 내지 도16 참조).
이와 같이 배터리 장착부(10)에 배터리 팩(100)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로크 레버(42)의 로크 갈고리(41) 및 튀어나옴 방지 레버(44)의 갈고리부(55)가 하부 프레임 부재(14)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압상 플레이트(43)가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도13 내지 도16 참조).
그리하여, 배터리 장착부(10)에 배터리 팩(100)을 장착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하고, 장착된 배터리 팩(100)은 상기 로크 기구(40)에 의해 배터리 장착부(10)에 로크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된다.
우선, 배터리 팩(100)의 상부를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배터리 장착부(10) 내에 삽입하고, 배터리측 단자(120)[배면 케이스(106)의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및 정면 케이스(105)의 단자 누름 리브(116)를 포함함]를 배터리 장착부(10)의 차양부(17)의 내측에 숨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00)측의 판별자(111)가 배터리 장착부(10)측의 부재[저지부(19)]와 간섭하는 일이 없으므로, 배터리 팩(100)의 배터리측 단자(120),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및 단자 누름 리브(116)를 차양부(17)의 안쪽까지 숨길 수 있다(도13 참조).
이 때, 도시는 생략했지만,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의 단자 부재(122, 122, 122)와 상기 본체측 단자(30)의 3개의 단자 부재(31, 31, 31)가 각각 접합된다.
또, 후에 상세하게 서술하지만, 배터리 팩(100)측의 판별자(111)와 배터리 장착부(10)측의 저지부(19)가 간섭하도록 형성해 둠으로써,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를 배터리 장착부(10)의 차양부(17) 속까지는 숨길 수 없고, 따라서 배터리측 단자(120)의 단자 부재(122)와 본체측 단자(30)의 단자 부재(31)가 접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장착부(10)의 저지부(19)와 배터리 팩(100)의 판별자(111)가 간섭해도, 또 무리하게 배터리 팩(100)을 장착하고자 하면, 상기 판별자(111)가 저지부(19)를 압박하여 배터리 장착부(10)의 상부 프레임 부재(13)를 휘게 해 버려, 그 장착을「가능」하게 해 버리는 경우도 만에 하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저지부(19)와 판별자(111)가 양 단자(120, 30)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지부(19)를 압박했을 때 본체측 단자(30)가 압박되어 압박 방향으로 도피해 버리고, 따라서 양 단자(120, 30)가 결합되는 일은 없으며, 결국 단자 부재(31)와 단자 부재(122)가 접촉되는 일은 없어 전기적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배터리 팩(100)의 상부[차양부(17)에 계지한 배터리측 단자(120) 부분]를 회전 지지점으로서 배터리 팩(100)의 하부를 좌측으로 회전시켜 배터리 팩(100)을 배터리 장착부(10)에 장착한다(도14, 도15 참조).
이 때, 배터리 팩(100)의 하측 좌측 모서리부(바닥면측 구석부)가 상기 로크 기구(40)의 튀어나옴 방지 레버(44)의 갈고리부(55)가 하방으로 채여진 후, 상기 갈고리부(55)가 배터리 팩(100)의 피로크 홈(114) 내에 결합한다(도14 참조).
또한, 배터리 팩(100)의 하부를 배터리 장착부(10)측으로 압박해 가면, 상기 튀어나옴 방지 레버(44)의 갈고리부(55)는 피로크 홈(114)의 모서리부에 의해 채이는 동시에, 로크 레버(42)의 로크 갈고리(41)가 배터리 팩(100)의 하측 좌측 모서리부(바닥면측 구석부)에 의해 하방으로 채여진 후, 상기 로크 갈고리(41)가 피로크 홈(114) 내에 결합하여 배터리 팩(100)의 장착이 완료된다(도15 참조).
또한, 로크 갈고리(41)의 피로크 홈(114)으로의 결합에 앞서서, 배터리 팩(100)의 바닥면(106a)이 압상 플레이트(43)를 좌측으로 회전시켜, 배터리 팩(100)의 바닥면(106a)이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에 대략 면접촉하도록 되어 있다(도15 참조).
그리고, 이들 로크 레버(42), 튀어나옴 방지 레버(44) 및 압상 플레이트(43)의 회전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48) 또는 압축 코일 스프링(54)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배터리측 단자(120)의 단자 부재(122)와 본체측 단자(30)의 단자 부재(31)와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배터리 팩(100)의 상부에 설치된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의 우측단부(109a)[피계지부(112)]가 차양부(17)에 결합하고, 배터리 팩(100)의 작은 오목부(113)[피계지부(112)]가 배터리 장착부(10)의 작은 볼록부(20)에 결합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 팩(100)의 상부에 있어서는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의 우측단부(109a)[피계지부(112)]와 차양부(17)와, 작은 오목부(113)[피계지부(112)]와 작은 볼록부(20)가 결합되는 동시에, 배터리 팩(100)의 하부에 있어서는 로크 갈고리(41)와 피로크 홈(114)이 결합됨으로써,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장착부(10)에 보유 지지된다(도15 참조).
로크 레버(42)의 로크 갈고리(41) 및 튀어나옴 방지 레버(44)의 갈고리부(55)가 배터리 팩(100)을 상방으로 압박하여 배터리 팩(100)을 상부 프레임 부재(13)에 압박하게 되어, 배터리 팩(100)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도15 참조).
이에 의해, 배터리측 단자(120)가 본체측 단자(30)에 압박되어 안정된 단자 부재(122)와 단자 부재(31)와의 접합 상태가 유지된다. 특히, 배터리측 단자(120) 및 본체측 단자(30)는 배터리 팩(100)에 대해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 지만, 튀어나옴 방지 레버(44)도 전후 방향의 중앙부보다도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즉 양 단자(120, 30)에 대향한 위치에 튀어나옴 방지 레버(4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갈고리부(55)에 의해 배터리 팩(100)이 상방으로 압박되어, 단자 부재(122) 및 단자 부재(31)는 확실한 접합 상태가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도2 참조).
또한, 배터리 팩(100)은 상기 압상 플레이트(43)에 의해 그 하부가 우측으로 압박되고, 이를 로크 갈고리(41)와 피로크 홈(114)과의 결합에 의해 저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배터리 팩(100)의 장착 방향(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또한 배터리 팩(100)은 이것이 배터리 장착부(10)에 장착되었을 때, 전방 프레임 부재(11)의 내면(후방면)(11a) 및 후방 프레임 부재(12)의 내면(전방면)(12a)에 형성된 작은 리브(16, 16,…)에 의해 규제되므로, 그 전후 방향으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도3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장착부(10)에 장착된 배터리 팩(100)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제거된다.
즉, 우선 로크 레버(42)의 조작부(50)를 손가락 등으로 압박하여 로크 기구(40)의 로크 해제를 행한다(도16 참조).
로크 레버(42)를 조작하면, 로크 레버(42)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회전되고, 이에 의해 그 로크 갈고리(41)는 배터리 팩(100)의 피로크 홈(114)으로부터 이탈한다.
로크 갈고리(41)의 배터리 팩(100)에 대한 로크 해제를 행하면, 배터리 팩(100)은 압상 플레이트(43)에 의해 배터리 팩(100)의 하부가 좌측으로 압박되고,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으로부터 부상된다(도16 참조).
이 때, 배터리 팩(100)의 하부가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으로부터 약간 부상하였을 때, 배터리 팩(100)의 피로크 홈(114)에 튀어나옴 방지 레버(44)의 갈고리부(55)가 끼워 맞추어진다. 이에 의해,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장착부(10)로부터 부상하지만, 튀어나옴 방지 레버(44)의 갈고리부(55)가 피로크 홈(114)에 걸려, 배터리 팩(100)이 부주의하게 튀어나오는 일이 없다. 특히, 비디오 카메라(1)의 방향이 상술한 방향(통상 촬영 상태의 방향)일 때, 배터리 팩(100)의 로크를 해제해도, 튀어나옴 방지 레버(44)의 갈고리부(55)가 피로크 홈(114)에 걸려 배터리 팩(100)이 배터리 장착부(10)로부터 이탈하는 일은 없어, 배터리 팩(10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그 하부가 부상된 배터리 팩(100)을 손가락 등으로 파지하여 이탈 방향(우측)으로 제거함으로써, 튀어나옴 방지 레버(44)의 갈고리부(55)와 피로크 홈(114)과의 결합뿐이므로, 배터리 팩(100)을 용이하게 배터리 장착부(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다음에 배터리측 단자(120) 및 그 배터리 팩(100)으로의 부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터리측 단자(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 케이스(121)와 상기 단자 케이스(121)에 삽입 성형에 의해 설치된 단자 부재(122, 122, 122)로 이루어지고, 단자 케이스(121)는 편평한 직사각 블럭형을 나타내고, 그 상부면 및 좌측면에 개구 하는 5개의 홈(123, 123, 124, 124, 124)이 형성되어 있다(도17 내지 도19 참조).
상기 5개의 홈 중, 전방측과 후방측 2개의 홈(123, 123)은 다른 3개의 홈(124, 124, 124)보다도 홈 폭이 약간 크고, 또한 길이 및 깊이와 함께 다른 3개의 홈(124, 124, 124)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측 단자(30)와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안내 홈(123, 123)으로 되어 있다(도17 내지 도19 참조).
또한, 상기 5개의 홈 중 중앙의 3개의 홈(124, 124, 124)은 각 홈(124) 내에 있어서 한 쌍의 접촉 부재(125, 125)가 서로 향하도록 배치된 단자 배치 홈(124, 124, 124)으로 되어 있고, 상기 단자 배치 홈(124, 124, 124)의 내부에는 상기 접촉 부재(125, 125)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126)이 형성되어 있다(도17, 도18 참조). 또, 도17 및 도18에 있어서는 단자 부재(122)를 하나만 파선으로 나타내고, 다른 2개의 단자 부재(122, 122)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이러한 안내 홈(123, 123) 및 단자 배치 홈(124, 124, 124)의 개구측 모서리는 R면 또는 테이퍼면 등의 이른바 모따기 가공이 실시되어 있고,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측 단자(30)의 안내 부재(32, 32) 또는 단자 부재(31, 31, 31)가 이들 각 홈(123, 123, 124, 124, 124)에 삽입되기 쉽도록 되어 있다(도26 내지 도28 참조).
배터리측 단자(120)의 각 단자 부재(122)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접촉 부재(125, 125)와, 이들 접촉 부재(125, 125)를 연결하는 베이스 부재(127)와, 상기 베이스 부재(127)로부터 접촉 부재(125, 125)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터리 케 이스(101) 내에 배치되는 기판(104)에 납땜되는 리드 부재(1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21, 도22 참조).
접촉 부재(125, 125)는 그 베이스부가 상기 단자 케이스(121)에 매립되고, 선단부에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반구형의 접촉 볼록부(125a, 125a)가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접촉 볼록부(125a, 125a)는 상기 수납 공간(126) 내에 있어서, 접촉하고 있지만 양자에게 압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른바 제로 접촉 상태)로 접촉하고 있으며, 배터리측 단자(120)의 단자 배치 홈(124, 124, 124)을 보았을 때, 그곳에는 2개의 접촉 볼록부(125a, 125a)만이 보이도록 되어 있다(도20, 도21 참조).
따라서, 콘택트부(35)를 단자 배치 홈(124) 내에 삽입했을 때, 접촉 볼록부(125a, 125a)밖에 접촉하는 일은 없고, 콘택트부(35)를 2 방향(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어느 쪽으로부터 단자 배치 홈(124) 내에 콘택트부(35)를 삽입해도, 접촉 부재(125, 125)의 스프링 특성이 동일하며, 따라서 양 단자(120, 30)의 접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이 효과는 상기 단자 구조에만 착안한 경우의 것이며,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디오 카메라(1)와 배터리 팩(100)과의 장착에 관해서는, 대략 좌우 후방으로부터의 삽입밖에 행해지고 있지 않다
베이스 부재(127)는 단자 케이스(121)의 우측면에 부착되도록 노출되어 위치되고, 리드 부재(128)는 베이스 부재(127)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직각으로 굴곡되어 단자 케이스(121)의 바닥면(121a)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어 우측으로 연장되어 있다(도20, 도21 참조).
단자 케이스(121)의 전후 양측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볼록부(129, 129)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볼록부(129, 129)는 상기 배면 케이스(106)의 직사각형 절결부(108)의 전후 양측 모서리이며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의 하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17, 117)에 슬라이드 끼워 맞춤하여, 배터리측 단자(120)가 배면 케이스(106)에 지지된다(도9 참조).
또한, 배면 케이스(106)의 상기 슬라이드 홈(117, 117)은 그 좌단부가 폐색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배터리측 단자(120)를 슬라이드 끼워 맞춤시켰을 때의 좌측으로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즉, 배면 케이스(106)의 배면(106a)으로부터의 배터리측 단자(120)까지의 위치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단자 케이스(121)의 우측면과 전방측면 및 우측면과 후방측면과의 각각의 구석부이며, 상기 슬라이드 볼록부(129, 129)의 상측에 인접하여 절삭 홈(130, 1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삭 홈(130, 130)은 정면 케이스(105)의 상기 단자 압박 리브(116)의 전후 양단부로부터 좌측에 설치된 돌조(118, 118)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도9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은 배터리측 단자(120)는 3개의 리드 부재(128, 128, 128)가 상기 기판(104)의 소정의 위치(전방측 좌각부)에 납땜되어 배터리측 단자(120)가 기판(104)의 전방측 좌각부에 마운트된다(도4, 도7 참조). 또한, 기판(104)에는 IC 칩(103) 등의 전자 부품이 배터리측 단자(120)가 마운트 되어 있지 않은 후방측의 소정의 위치에 마운트된다(도7 참조).
이리하여, 배터리 팩(102, 102)이 전후의 병설된 상태에서 결합되고, 이들 배터리 셀(102, 102)의 상부에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 및 IC 칩(103) 등이 마운트된 상기 기판(104)이 부착된다(도4 참조).
다음에, 이와 같은 기판(104)이 부착된 배터리 셀(102, 102)을 배면 케이스(106) 내에 그 우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이 때, 배터리측 단자(120)를 배면 케이스(106)의 직사각형 절결부(108) 내에 우측으로부터 슬라이드시키면서 삽입한다(도7 참조).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측 단자(120)의 슬라이드 볼록부(129, 129)를 배면 케이스(106)의 슬라이드 홈(117, 117) 내에 삽입한다(도7 참조).
마지막으로, 배터리 셀(102)을 씌우도록 정면 케이스(105)를 배면 케이스(106)에 맞추어 양자를 결합한다(도8 참조).
이 때, 정면 케이스(105)의 돌조(118, 118)를 배면 케이스(106)의 절삭 홈(130, 130) 내에 끼워 맞추는 동시에, 단자 압박 리브(116)에 의해 단자 케이스(121)의 우측면을 누르는 동시에, 그 우측면으로 노출된 단자 부재(122)의 베이스 부재(127, 127, 127)를 씌워 가리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측 단자(120)는 배면 케이스(106)와 정면 케이스(105)에 협지되도록 하여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정면 케이스(105)와 배면 케이스(106)와의 결합은 양자의 개구 주연을 맞춘 상태에서 초음파 용착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초음파 용착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배터리 팩(100)은 배면 케이스(106), 배터리 셀(102)[배터리측 단자(120), 기판(104) 등도 포함함], 정면 케이스(105)의 3개의 부품을 일방향으로부터의 조립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체측 단자(30)와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의 결합에 대한 상세를 설명한다.
우선, 본체측 단자(30)는 배터리 장착부(10)의 상기 위치[상부 프레임 부재(13)의 전방부 바닥면측 구석부]에 설치되고, 그 바닥면(15) 및 상부 프레임 부재(13)의 하면(13a)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3매의 단자 부재(31, 31, 31)와, 이들 단자 부재(31, 31, 31)를 전후로부터 협지하도록 설치된 2개의 안내 부재(32, 32)와, 상부 프레임 부재(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단자 부재(31, 31, 31)의 상방을 씌우도록 배치된 보호 플레이트(33)로 이루어진다(도22, 도23 참조).
단자 부재(31)는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을 이룬 평판형으로, 그 상부 모서리 및 좌측 모서리가 상부 프레임 부재(13)에 매립 설치되고, 또한 상부 프레임 부재(1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리드부(34)가 설치되어 있고(도24 참조), 상부 프레임 부재(13)로부터 노출된 부분(하부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이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의 접촉 부재(125, 125)에 협지되는 콘택트부(35)로 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부(35)의 단부측 모서리는 모따기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단자 부재(31, 31, 31)는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의 단자 배치 홈(124, 124, 124)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형성 간격으로 형성되고, 각 단자 부재(31)의 판 두께는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에 형성된 단자 배치 홈(124)의 홈 폭의 대략 절반으로 형성되어 있다(도22, 도23 참조).
안내 부재(32)는 상기 단자 부재(31)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을 이루고, 상부 프레임 부재(13) 및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24 참조).
또한, 안내 부재(32, 32)는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단자 부재(31)의 콘택트부(35)보다도 크고, 그 판 두께도 단자 부재(31)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에 형성된 안내 홈(123, 123)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형성 간격으로 형성되고, 각 안내 부재(32, 32)의 판 두께는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의 단자 케이스(121)의 안내 홈(123, 123)의 홈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 부재(32, 32)의 단부측 모서리는 모따기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도23 참조).
이와 같이 안내 부재(32)는 단자 부재(31)의 콘택트부(35)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터리측 단자(120)와의 결합에 있어서, 콘택트부(35)의 단자 배치 홈(124)으로의 침입보다도 먼저 안내 부재(32)의 안내 홈(123)으로의 침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도26 참조).
보호 플레이트(33)는 상부 프레임 부재(13)의 내면(하면) 전방단부에 그 개구측 모서리(우측 모서리) 근방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24, 도25 참조).
구체적으로는, 상부 프레임 부재(13)의 내면(하면) 전방단부에는 오목형의 보호 플레이트 수납부(13b)가 형성되고, 또한 보호 플레이트(33)의 전후 양측 모서리에, 상기 보호 플레이트 수납부(13b)의 우측단부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지지축 볼록부(36, 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전방측의 지지축 볼록부(36)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37)이 배치되어 있고, 보호 플레이트(33)는 후방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도24, 도25 참조).
보호 플레이트(33)의 회전 지지점부에는 상부 프레임 부재(13)에 접촉하여 상기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 저지부(38, 38)(도면에서는 1개만 도시함)가 설치되어 있고, 보호 플레이트(33)는 그 회전단부가 좌측 경사 하방(대략 45°)을 향한 위치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측의 회전단부로 되어 있다[도10의 (a), 도24, 도29 참조]. 또한, 보호 플레이트(33)의 시계 방향측의 회전단부는 상부 프레임 부재(13)의 보호 플레이트 수납부(13b) 내에 수납된 위치이고, 대략 수평이 된 위치로 되어 있다[도10의 (b) 참조].
보호 플레이트(33)는 그 전후 방향의 크기가 상기 2개의 안내 부재(32, 32)의 간격보다 약간 작고, 항상 2개의 안내 부재(32, 32)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단자 부재(3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회전단부측 모서리에 개구하는 슬릿(39, 39, 39)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되었을 때에 이들 슬릿(39, 39, 39)에 각 단자 부재(31, 31, 31)가 삽통되어 보호 플레이트(33)의 회전을 허용하는 동시에, 회전하였을 때에 단자 부재(31, 31, 31)가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도10, 도22, 도23 참조). 또한, 도10의 (a)는 보호 플레이트(33)를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10의 (b)는 보호 플레이트를 회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그리고, 보호 플레이트(33)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보호 플 레이트(33)의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단부에 있어서, 2개의 안내 부재(32, 32)의 구석부가 보호 플레이트(33)의 회전단부 모서리의 양측부를 전후로부터 씌운 상태로 되어 있고(도24 참조), 또한 이 상태에서는 상기 각 단자 부재(31, 31, 31)의 콘택트부(35, 35, 35)의 구석부가 상기 각 슬릿(39, 39, 39) 내로 약간 끼워 맞추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도25 참조).
그리고,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배터리 장착부(10)에 배터리 팩(100)이 장착되면 배터리측 단자(120)의 단자 케이스(121)가 상기 보호 플레이트(33)를 압박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37)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보호 플레이트(3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 프레임 부재(13)의 보호 플레이트 수납부(13b)에 위치된다(도29 참조).
이에 의해, 본체측 단자(30)의 콘택트부(35, 35, 35)가 노출되는 동시에, 단자 케이스(121)의 단자 배치 홈(124, 124, 124)에 상대적으로 침입하여 한 쌍의 접촉 부재(125, 125)에 협지되고, 전기적 접촉이 도모된다(도28 참조).
이와 같이, 보호 플레이트(33)는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콘택트부(35, 35, 35)를 씌우도록 되어 있으므로, 콘택트부(35, 35, 35)가 노출되는 일이 없어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도25 참조).
또한, 상기 본체측 단자(30)에 어떠한 충돌, 예를 들어 잘못된 방향으로 배터리 팩(100)이 장착되려고 했을 때(오장착) 등, 배터리측 단자(120)가 아닌 부재가 본체측 단자(30)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때에 있어서도 안내 부재(32, 32)는 콘택트부(35, 35, 35)보다 크 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외력은 안내 부재(32, 32)에 주로 작용하여 콘택트부(35, 35, 35)에 직접 외력이 작용하는 일은 없고, 따라서 콘택트부(35, 35, 35)의 변형 방지가 되고 있다.
또한, 비교적 작은 이물질이 본체측 단자(30)에 충돌하였을 때는 상기 보호 플레이트(33)가 있음으로써, 단자 부재(31)[콘택트부(35)]보다 먼저 보호 플레이트(33)에 충돌하므로, 그 외력은 완화되어 콘택트부(35)에 직접 큰 외력이 가해지는 일은 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 플레이트(33)는 2개의 안내 부재(32, 32) 사이에 협지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호 플레이트(33)에 전후 방향의 성분을 가진 외력이 가해졌을 때는 보호 플레이트(33)를 지지하도록 안내 부재(32, 32)가 작용하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3개의 슬릿(39, 39, 39) 내에 3개의 콘택트부(35, 35, 35)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보호 플레이트(33)의 전후 방향의 변위에 대해서는 그 외력이 각 슬릿(39, 39, 39)을 거쳐서 3개의 콘택트부(35, 35, 35)에 가해지므로, 하나의 콘택트부(35)에 집중하여 외력이 가해지는 일은 없고, 이 점에서도 콘택트부(35, 35, 3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체측 단자(30)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상부 프레임 부재(13)의 해당 부분에 안내 부재(32, 32)를 일체로 형성하고, 단자 부재(31, 31, 31)를 삽입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또한 보호 플레이트(33)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해도 좋고, 혹은 별도의 부재로서 소정 형상의 베이스 부재에 각 부를 성형 또는 형성하여 이러한 별도의 부재를 단자 애쉬로서 상부 프레임 부재(13) 에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배터리 팩(100)의 배터리 장착부(10)로의 장착에 의한 배터리측 단자(120)와 본체측 단자(30)와의 접속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배터리 팩(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장착부(10)에 대해 배터리측 단자(120)[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단자 압박 리브(116)를 포함함]를 상부 프레임 부재(1)의 차양부(17)에 숨도록 비스듬히 위치시키고, 본체측 단자(30)와 배터리측 단자(120)를 대향시킨다.
다음에, 상기 차양부(17)에 배터리측 단자를 숨기면(도13 참조), 본체측 단자(30)의 안내 부재(32, 32)가 배터리측 단자(120)의 안내 홈(123, 123)에 상대적으로 삽입된다(도26 참조). 이 때, 안내 홈(123, 123)의 개구측 모서리가 모따기되고, 또한 안내 부재(32, 32)의 단부측 모서리도 모따기되어 있으므로, 양자의 인입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는 안내 부재(32, 32)가 안내 홈(123, 123)에 약간 삽입된 상태이고, 이에 의해 본체측 단자(30)에 대한 배터리측 단자(120)의 위치 결정이 이루 어진다. 이와 같이, 접촉 부재(125, 125)와 콘택트부(35, 35, 35)와의 접촉에 앞서서, 몰드 부재로 이루어지는 안내 부재(32, 32) 및 안내 홈(123, 123)이 끼워 맞추어지므로 정밀도 좋게 형성된 부재에 의해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고, 따라서 양 단자(120, 30)의 접촉 부재(125, 125)와 콘택트부(35)가 접촉하기 전에 있어서 양 단자(120, 30)의 위치 결정이 정밀도 좋게 이루어져 그 후에 이루어지는 접촉 부재(125, 125)와 콘택트부(35)와의 접촉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이 상태로부터, 배터리 팩(100)을 그 하부를 회전시켜 배터리 장착부(10)에 장착한다. 배터리 팩(100)의 회전은 배터리 케이스(101)의 배면 케이스(106)의 피계지부를 상기 차양부(17)에 걸고, 상기 부위를 회전 지지점으로 하여 이루어진다(도14 참조).
그리고, 배터리측 단자(120)의 단자 배치 홈(124, 124, 124) 내에 본체측 단자(30)의 콘택트부(35)가 상대적으로 침입하고(도27 참조), 콘택트부(35)가 2개의 접촉 볼록부(125a, 125a)에 접촉하여 이를 밀어 후퇴시키고, 접촉 부재(125, 125)를 가요시켜 이에 콘택트부(35)를 협지시키고, 이에 의해 배터리측 단자(120)와 본체측 단자(30)와의 전기적 접속이 도모된다(도28 참조).
또한, 이 때의 콘택트부(35) 및 접촉 부재(125, 125)는, 콘택트부(35)는 그 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2개의 접촉 부재(125, 125)는 선단부[접촉 볼록부(125a, 125a)]가 밀려 벌어지도록 휘게 하기 때문에, 양자 사이에는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아, 콘택트부(35) 및 접촉 부재(125, 125)가 변형되는 일은 없다.
또한, 이와 같은 배터리측 단자(120) 및 본체측 단자(30)는 배터리측 단자(120)의 2방향으로 개구한 단자 배치 홈(124, 124, 124)과 대략 직각인 구석부를 갖는 평판형의 콘택트부(35, 35, 35)와의 접촉이므로, 양 단자(120, 30)의 결합 방향은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포함하는 90°의 범위에서 가능하다.
즉, 배터리측 단자(120)와 본체측 단자(30)만의 구조에서 보면, 배터리측 단자(120)를 본체측 단자(30)에 대해 좌측 또는 하방, 혹은 이들을 포함하는 좌측 경사 하방으로부터 결합할 수 있고, 대략 90°의 범위로부터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 고, 게다가 그 어느 한 방향으로부터의 결합에 있어서도 콘택트부(35)와 접촉 부재(125, 125)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고, 따라서 콘택트부(35) 및 접촉 부재(125, 125)가 변형되는 일은 없다.
물론, 상기 배터리 팩(100)과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장착부(10)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배터리측 단자(120)를 대략 좌측으로부터 본체측 단자(30)에 결합시키도록 한 것이며, 이 배터리측 단자(120) 및 본체측 단자(30)의 구조를 충분히 살릴 수 없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배터리 팩(100)과 배터리 장착부(10)와의 장착은 회전이고, 양 단자(120, 30)의 결합은 적어도 일방향만의 방향 성분이 아니므로, 상기 단자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양 단자(120, 30)의 콘택트부(35)와 접촉 부재(125, 125)와의 접촉에 있어서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변형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부재(125, 125)의 선단부에 접촉 볼록부(125a, 125a)를 설치하여 상기 접촉 볼록부(125a, 125a)가 콘택트부(35)에 접촉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2방향을 포함하는 90°의 범위에서의 양 단자(120, 30)의 결합을 다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콘택트부(35)가 접촉 부재(125, 125)를 밀어 벌어지게 하면서 침입해 가지만, 콘택트부(35)가 접촉하는 것은 접촉 볼록부(125a, 125a)이므로, 상기 2방향을 포함하는 90°의 범위로부터의 어느 한 방향으로부터의 양 단자(120, 30)의 결합이라도 동일한 상태에서 받아 들일 수 있어, 양 단자(120, 30)의 결합을 용이하 게 하고 있다.
또한, 접촉 부재(125, 125)의 선단부에 접촉 볼록부(125a, 125a)를 설치하였으므로, 접촉 부재(125, 125)와 콘택트부(35)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다소 어긋나도 양 단자[접촉 부재(125, 125)와 콘택트부(35)]의 안정된 접속 상태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다음에, 양 단자(120, 30)의 결합에 관하여 접촉 부재(125, 125)와 콘택트부(35)와의 접촉 상태에 영향을 주는 단자 부재(122)의 재질 및 두께에 대해 고찰한다.
또한, 단자 부재(31)는 황동(두께 : t = 0.35 ㎜)으로 그 접촉부에 0.76 ㎛의 금 도금을 실시한 것이다. 또한, 단자 부재(31)의 재질로서 황동을 선정한 것은 접속 단자의 접점으로서 황동, 인청동, 베릴륨동이 일반적이며 비용, 가공성의 점을 고려하는 것이다.
또한, 금 도금에 관해서는 그 기초로서 니켈층을 이용하고, 0.76 ㎛로 한 것은, 본래 단자 접점으로서는 0.3 ㎛ 이상이면 충분하다고 생각되지만, 배터리 팩(100)과 비디오 카메라(1)와의 사용 상황을 고려했을 때, 그 반복 삽입 발출이 빈번하여 안전율을 높게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이와 같은 비디오 카메라(1)와 배터리 팩의 단자 구조에 적용되어도, 그 접촉 볼록부(125a, 125a)의 금 도금의 소모는 통상의 사용 상황에 있어서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접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0.76 ㎛의 금 도금은 주로 접촉부, 즉 콘택트부(35)에 있어서의 층 두 께이며, 리드부(34)는 금 도금층 두께 0.1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납땜하였을 때에 땜납과 리드부(34)를 융합시켜 양자의 전기적 접속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단자 부재(122)에 대해서는 4개의 시료에 대해 시험하여 1개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시료의 재질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3개의 재료(황동, 인청동, 베릴륨동)가 고려되지만, 접촉 부재(125, 125)의 스프링력을 고려할 때, 인청동 또는 베릴륨동이 바람직하므로 이 2가지에 대해 시험을 행하였다.
시료 ①은 재질이 인청동(두께 : t = 0.2 ㎜), 접촉부에 0.76 ㎛의 금 도금을 실시하고, 시료 ②는 재질이 인청동(두께 : t = 0.15 ㎜), 접촉부에 0.76 ㎛의 금 도금을 실시하고, 시료 ③은 재질이 베릴륨동(두께 : t = 0.2 ㎜), 접촉부에 0.76 ㎛의 금 도금을 실시하고, 시료 ④는 재질이 베릴륨동(두께 : t = 0.15 ㎜), 접촉부에 0.76 ㎛의 금 도금을 실시하였다. 또한, 금 도금에 대해서는 상기 단자 부재(122)와 마찬가지로 그 기초로서 니켈층을 이용하고, 또한 층 두께를 0.76 ㎛로 한 이유도 동일하다. 또한, 단자 부재(122)의 0.76 ㎛의 금 도금은 주로 접촉부, 즉 접촉 부재(125, 125)의 접촉 볼록부(125a, 125a)에 있어서의 층 두께이고, 리드 부재(128)는 금 도금층 두께 0.1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험 방법은 단자 부재(31)의 단자 부재(122)에 대한 삽입 발출 시험으로 하여 7000회 내구로 행하였다.
시험 항목은 접촉 저항, 종합 끼워 맞춤력, 종합 이탈력 및 외관 검사이고, 상기 3가지의 시험 항목은 첫회 내지 7000회까지의 소정 횟수시에 있어서의 각 값 을, 또한 외관 검사는 7000회 내구 후의 눈으로 확인 관찰에 의한다.
또한, 접촉 저항은 4단자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개방 전압 20 ㎷ 이하, 단락 전류 100 ㎃ 이하이고, 규격치를 20 mΩmax로 한다.
종합 끼워 맞춤력은 양 단자(120, 30)를 끼워 맞추고(결합), 그 때의 끼워 맞춤력을 측정하여 끼워 맞춤력을 10 N(뉴튼)max로 한다.
종합 이탈력은 양 단자(120, 30)의 끼워 맞춤(결합)을 해제하고, 그 때의 이탈력을 측정하여 이탈력을 0.3 N(뉴튼)min으로 한다.
상기 3가지의 시험 항목에 대한 시험 결과를 도31 내지 도33에 나타낸다.
시료 ①에 대해서는 접촉 저항의 변동도 적어 안정되어 있고(도31 참조), 삽입 발출력도 안정되어 양호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도32, 도33 참조). 또한, 외관 검사에 있어서도 접촉 부재(125, 125)의 접촉 볼록부(125a, 125a)가 적량으로 마모되어 문제시하는 현상은 보이지 않았다.
시료 ②에 대해서는, 접촉 저항은 7000회 내구에 있어서 변동이 크고, 종합 끼워 맞춤력이 약하였다(도32 참조). 또한, 외관 검사에 있어서는 접촉 손상 흔적이 적어 종합 끼워 맞춤력이 약한 만큼 접촉압이 부족하여, 접촉 저항에 문제가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시료 ③에 대해서는 접촉 저항, 종합 끼워 맞춤력에 대해서는 문제시하는 일은 없었지만, 이탈력의 7000회 내구에서의 변동이 크고, 이탈시의 이른바「뻑뻑한 느낌」이 생기기 쉬웠다. 또한, 외관 검사에 있어서도 이탈력의 변동이 큰 만큼 단자 부재(31)의 마찰 손상이 많고, 또한 그 만큼 단자 부재(122)측의 접촉 볼록부(125a, 125a)의 마모가 심하였다.
시료 ④에 대해서는 종합 끼워 맞춤력이 작고, 접촉 저항에 대해서는 비교적 안정되어 있지만, 아직 접촉 저항치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외관 검사에 있어서는 종합 끼워 맞춤력이 작은 만큼, 접촉 손상 흔적도 적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상기 4개의 시료에 있어서는 시료 ①이 가장 적절하다고 고찰할 수 있다.
또한, 베릴륨동에 관해서는 이것에 금 도금을 실시하는 경우, 소위 후 도금(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한 후의 도금 처리)밖에 할 수 없으므로(어려우므로), 이것도 선정의 이유로 하였다.
즉, 베릴륨동은 일반적으로 금 도금을 실시한 후, 성형하는 것(절곡 등의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단자 부재(122)의 형상에 있어서는 성형 후의 형상이 접촉 볼록부(125a, 125a)에서 접촉하고 있고, 이와 같은 접촉부가 있는 것에 대해서는 후 도금을 실시하면 상기 접촉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금 도금이 실시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4개의 시료에 관해서는 상기 규격치(접촉 저항 : 20 mΩmax, 끼워 맞춤력 : 10 Nmax, 이탈력 : 0.3 Nmin)를 만족하는 것으로, 어떠한 것을 선정해도 특별히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악조건을 고려할 때,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시료 ①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자 부재(122)의 재질로서 시료 ①을 선정한 경우의 접촉 부재(125, 125)의 스프링력에 의한 접촉압에 관하여 고찰한다(도34 내지 도36 참조).
그 전에, 단자 부재(122) 및 이것이 배치되는 단자 배치 홈(124)의 치수 등에 대해 명기한다(도34, 도35 참조).
단자 부재(122)의 접촉 부재(125, 1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 두께 t = 0.2 ㎜, 폭 치수 w = 1.2 ㎜이고, 매설부로부터 노출된 부분의 길이 l = 3.9 ㎜이고, 그 선단부로부터 0.45 ㎜ 베이스 부재(127)측에 근접한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접촉 볼록부(125a, 125a)가 r = 0.3 ㎜로 형성되어 있다(도34, 도35 참조). 또한, 접촉 부재(125, 125)는 매설부로부터 서로 근접하도록 연장되어 그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서로 평행해지도록 굴곡되어 있고, 서로 굴곡된 부분으로부터 선단부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양자의 간격은 0.6 ㎜로 형성되고, 이에 의해 선단부에 있어서의 접촉 볼록부(125a와 125a)가 제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도21 참조).
단자 배치 홈(124)의 개구폭은 0.45 ㎜로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부(35)가 판 두께 t = 0.35 ㎜로 되어 있고, 따라서 콘택트부(35)가 단자 배치 홈(124) 내에 표준 위치(한 가운데)로 침입하였을 때는 단자 배치 홈(124)의 내부 모서리와 콘택트부(35) 사이의 간격은 (0.45 - 0.35)/2 = 0.05 ㎜로 되어 있다(도34, 도35 참조).
이 때, 2개의 접촉 부재(125, 125)는 대략 동일한 휨이 생기고, 그 변위량은 0.175 ㎜이다. 또한, 그 때의 접촉압은 1.0091 N으로 되어 있다(도36 참조).
그런데, 단자 배치 홈(124) 내의 한 쪽으로 치우쳐 콘택트부(35)가 침입되었 을 때는 한 쪽 접촉 부재(125)에 최대의 변위량이, 다른 쪽의 접촉 부재(125)에는 최소의 변위량이 생기고, 그 때의 각각의 접촉압은 1.4416 N, 0.4609 N으로 되어 있다(도36 참조).
따라서, 상기 시료 ①의 재료(인청동)를 이용한 경우, 콘택트부(35)와의 접촉에 있어서, 그 접촉압은 최대가 1.4416 N, 최소가 0.4609 N이며, 접촉압으로서는 충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금 도금을 실시한 접점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0.0981 N 내지 0.1961 N이면 접촉 압력으로서 충분하고, 상기 시료 ①의 경우에는 그 이상의 접촉 압력이 가해져 있어 과잉인 것처럼 보이게 된다.
그러나, 이 단자 구조는 배터리 팩(100)과 비디오 카메라(1)와의 전기적 접촉에 적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고, 그 삽입 발출 횟수가 많아 금 도금이 마모되는 것이 용이하게 예상된다.
그로 인해, 만에 하나 금 도금이 마모되어 기초층인 니켈층이 노출된 경우라도 그 접촉 저항치를 규격치 이하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니켈의 접촉 압력은 0.5884 N 정도 있으면 규정치의 접촉 저항을 확보할 수 있다고 일컬어지고 있으므로, 한 쪽의 접촉 부재(125)에서는 상기 최소치인 0.4609 N이지만, 다른 쪽의 접촉 부재(125)에서는 최대치인 1.4416 N을 확보함으로써, 금 도금이 마모되었을 때에 있어서도 접촉 저항치에 있어서 규정치를 만족하도록 한 것이다(도36 참조).
또한, 검사 항목으로서 그 밖에 절연 저항, 내전압을 행하였지만, 상기 4개 의 시료 모두 규정치 내로 억제되어 있어, 또한 각별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내환경 성능으로서 내습성, 온도 사이클, 염수 분무 등에 있어서 전기적 성능, 기계적 성능의 검사도 행하였지만 각별한 차이는 얻을 수 없었다.
다음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터리측 단자(120)를 갖는 것(장착 부품)으로서 배터리 팩(100)을, 또한 본체측 단자(30)를 갖는 것(본체측 기기)으로서 비디오 카메라(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배터리측 단자(120)를 갖는 것(장착 부품)으로서는 배터리 팩(100) 외에 건전지 팩(140) 등이 있고, 또한 본체측 단자(30)를 갖는 것(본체측 기기)으로서는 비디오 카메라(1) 외에 비디오 라이트(150), 충전기(160) 등이 있다(도37 내지 도40 참조).
또한, 배터리 팩(100)에 대해서는 그 용량의 차이에 따라 복수의 타입인 것이 있고, 비디오 카메라(1)에 대해서도 충전 기능을 구비한 충전 대응 타입(1A)과 충전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충전 미대응 타입(1B)이 있다(도37 내지 도40 참조).
이와 같은 배터리측 단자(120)를 갖는 모든 것[복수 타입의 배터리 팩(100)이나 건전지 팩(140) 등]이 본체측 단자(30)를 갖는 기기{비디오 카메라(1)[충전 대응 타입(1A), 충전 미대응 타입(1B)], 비디오 라이트(150)나 충전기(160) 등}에 장착할 수 있으면 문제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건전지 팩(140)은 비디오 카메라(1B)(충전 미대응 타입)에는 장착 가능하지만, 비디오 카메라(1A)(충전 대응 타입)나 충전기(160)에 대해서는 장착을「불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고, 또한 비디오 라이트(150)에서도 고용량 전용 타입(150A)인 것에 대해서는 배터리 팩(100) 중 고용량 배터리 팩(100H)만 장착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저용량 배터리 팩(100L), 표준 용량 배터리 팩(100S)이나 건전지 팩(140)의 장착은「불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비디오 카메라(1)의 충전 대응 타입(1A)이라 함은, 카메라 본체(2)에 DCin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DCin 잭을 접속하였을 때는 배터리 장착부(10)에 장착한 배터리 팩(100)을 충전하면서 카메라 본체(2)를 구동할 수 있는 것이고, 비디오 카메라(1)의 충전 미대응 타입(1B)이라 함은, 이와 같은 충전 기능을 갖지 않는 것이다. 덧붙여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비디오 카메라(1)는 충전 대응 타입(1A)인 것으로, 상기 건전지 팩(140)을 장착할 수 없는 타입인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배터리측 단자(120)를 갖기는 하지만 본체측 단자(30)를 갖는 기기로의 장착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장착이「불가능」한 경우에 그 장착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의 근방에 판별자(111)를 설치하는 동시에, 본체측 단자(30) 근방의 대응하는 부위에 배터리 팩(100) 등의 장착을 저지하는 상기 저지부(19)를 설치한다.
이하에, 배터리측 단자(120)의 판별자(111)와 본체측 단자(30)의 저지부(19)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배터리측 단자(120)의 판별자(111)의 종류에는, 예를 들어 L타입, S타입, H타입, D타입의 4종류가 있고, L타입 판별자(111L)는 저용량 타입의 배터리 팩(100L)에, S타입 판별자(111S)는 표준 용량 타입의 배터리 팩(100S)에, H타입 판별자(111H)는 고용량 타입의 배터리 팩(100H)에, 또한 D타입 판별자(111D)는 건전 지 팩(140)에 적용되고 있다(도37 내지 도40 참조).
또한, 본체측 단자(30)의 저지부(19)의 종류에는 타입 I, 타입 Ⅱ, 타입 Ⅲ, 타입 Ⅳ의 4종류가 있고, 저지부 타입 I은 충전 대응 타입의 비디오 카메라(1A)[충전기(160)도 동일함]에, 저지부 타입 Ⅱ는 충전 미대응 타입의 비디오 카메라(1B)에, 저지부 타입 Ⅲ은 고용량 전용 비디오 라이트(150A)에, 또한 저지부 타입 IV는 저용량 불가능 비디오 라이트(150B)에 적용되고 있다(도37 내지 도40 참조).
표준 용량 배터리 팩(100S)에 적용되고 있는 S타입 판별자(111S)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이고, 배면 케이스(106)의 배면(106a)보다 약간 우측으로 접근한 위치까지 형성된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의 좌단부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소돌조(110)가 형성되어 있다(도37 내지 도40 참조).
저용량 배터리 팩(100L)에 적용된 L타입 판별자(111L)는 상기 S타입 판별자(111S)의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의 좌단부에 형성된 소돌조(110)가 배면 케이스(106)의 배면(106a)까지 연장되고, 따라서 L타입 판별자(111L)의 소돌조(110L)는 배면 케이스(106)의 배면(106a)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도37 내지 도40 참조).
고용량 배터리 팩(100H)에 적용된 H타입 판별자(111H)는 상기 S타입 판별자(111S)나 L타입 판별자(111L)와 같은 서로 반대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돌조(110, 110L)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도37 내지 도40 참조).
건전지 팩(140)에 적용된 D타입 판별자(111D)는, 상기 H타입 판별자(111H)와 마찬가지로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의 좌단부로부터는 소돌조(110, 110L)는 형성 되어 있지 않지만, 정면 케이스(105)가 형성된 단자 압박 리브(116)의 중앙부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는 판별 리브(1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37 내지 도4O 참조).
다음에, 각 저지부(19)에 대해 그 구조를 설명하면서 상기 각 판별자(111)와의 조합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우선, 본체측 단자(30)의 저지부 타입 I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1)[충전 대응 타입(1A)]에 적용한 것이고, 배터리 장착부(10)의 상부 프레임 부재(13)에 형성한 차양부(17)와 상기 차양부(17)의 후단부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한 상기 저지 돌조(18)로 이루어진다(도37 참조).
이와 같은 저지부 타입 I에 있어서는 차양부(17)의 중앙부가 D타입 판별자(111D)의 판별 리브(141)와 간섭하므로, 그 장착을「불가능」하게 하고, 다른 타입의 판별자(111)와는 간섭하는 부분이 없어 그 장착을「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 저지부 타입 I이 적용된 충전 대응 타입의 비디오 카메라(1A)에는 건전지 팩(140)을 장착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따라서 건전지 팩(140)을 잘못하여 충전해 버리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타입의 판별자(111L, 111S, 111H)가 적용된 배터리 팩(100L, 100S, 100H)은 그 용량의 고저에 관계없이 배터리 장착부(10)에 장착할 수 있다(도37 참조).
저지부 타입 Ⅱ에 있어서는 차양부(17)의 중앙부에 절결부(17a)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D타입 판별자(111D)의 판별 리브(141)와 간섭하지 않으므로, 그 장착을「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다른 타입의 판별자(111L, 111S, 111H)와도 간섭 하는 부분이 없어, 결국 모든 타입의 판별자(111L, 111S, 111H)의 장착을「가능」하게 한다(도38 참조).
따라서, 이 저지부 타입 Ⅱ가 적용된 충전 미대응 타입의 비디오 카메라(1B)에는 모든 저용량 배터리 팩(100L), 표준 용량 배터리 팩(100S), 고용량 배터리 팩(100H) 및 건전지 팩(140)을 장착할 수 있다(도38 참조).
저지부 타입 Ⅲ에 있어서는, 차양부(17)의 후단부로부터 바닥면(15)(좌측)을 향해 형성된 저지 돌조(18)의 단부는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까지 도달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저지 돌조(18)의 전방에도 저지 돌조(18)가 상기 바닥면(15)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저지 돌조(18)의 간격은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를 전후로부터 협지하도록 설치된 2개의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109) 사이의 간격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도39 참조).
이와 같은 저지부 타입 Ⅲ에 있어서는 차양부(17)의 중앙부가 D타입 판별자(111D)의 판별 리브(141)와 간섭하므로 그 장착을「불가능」하게 하고, 또한 L타입 판별자(111L) 및 S타입 판별자(111S)는 이들의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의 좌단부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돌조(110, 110L)가 상기 저지 돌조(18, 18)에 간섭하므로 그 장착도「불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H타입 판별자(111H)에 대해서는 저지부 타입 Ⅲ과 간섭하는 부분이 없으므로 그 장착을「가능」하게 한다(도39 참조).
따라서, 이 저지부 타입 Ⅲ이 적용된 고용량 전용 비디오 라이트(150A)에는 저용량 배터리 팩(100L), 표준 용량 배터리 팩(100S) 및 건전지 팩(140)을 장착할 수 없고, 고용량 배터리 팩(100H)만 고용량 전용 비디오 라이트(150A)에 장착할 수 있다(도39 참조).
저지부 타입 IV에 있어서는, 상기 저지부 타입 I과 마찬가지로 차양부(17)의 후단부로부터 바닥면(15)(좌측)을 향해 형성된 저지 돌조(18)는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까지는 도달하고 있지 않지만, 그 연장 상의 배터리 장착부(10)의 바닥면(15)에 접촉하는 부위에 소돌기부(18a)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소돌기부(18a)의 전방에도 소돌기부(18a)가 상기 바닥면(15)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소돌기부(18a, 18a)의 간격은 상기 배터리측 단자(120)를 전후로부터 협지하도록 설치된 2개의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109) 사이의 간격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도40 참조).
이와 같은 저지부 타입 IV에 있어서는 차양부(17)의 중앙부가 D타입 판별자(111D)의 판별 리브(141)와 간섭하므로 그 장착을「불가능」하게 하고, 또한 L타입 판별자(111L)는 그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109)의 좌단부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돌조(110L, 110L)가 상기 소돌기부(18a, 18a)에 간섭하므로 그 장착도「불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S타입 판별자(111S)는 그 단자 위치 결정 리브(109, 109)의 좌단부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돌조(110, 110)가 배터리 팩(100S)의 바닥면(106a)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지부 타입 IV와 간섭하는 부분이 없어, 따라서 그 장착을「가능」하게 한다. 또한, H타입 판별자(111H)에 대해서는 저지부 타입 IV와 간섭하는 부분이 없어, 따라서 그 장착도「가능」하게 한다(도40 참조).
따라서, 이 저지부 타입 Ⅳ가 적용된 저용량 불가 비디오 라이트(150B)에는 저용량 배터리 팩(100L) 및 건전지 팩(140)이 장착되는 일은 없고, 표준 용량 배터리 팩(100S) 및 고용량 배터리 팩(100H)을 장착할 수 있다(도40 참조).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저지부 타입 IV의 소돌기부(18a)의 근방에는 검출 스위치가 배치되고, S타입 판별자(111S)의 소돌조(110)의 유무를 검출하여 S타입 판별자(111S)인지 L타입 판별자(111L)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저용량 불가 비디오 라이트(150B)는 2개의 전구가 구비되어, 고용량 배터리 팩(100H)이 장착되었을 때는 2개의 전구가, 표준 용량 배터리 팩(100S)이 장착되었을 때는 하나의 전구가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측 단자(120) 및 본체측 단자(30)의 근방에 각각 판별자(111) 및 저지부(19)를 설치함으로써, 배터리측 단자(120)와 본체측 단자(30)가 접속하기 전에 그 장착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어,「불가능」한 경우에는 확실하게 양 단자(120, 30)의 결합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만에 하나 오장착되어 버려도, 양 단자(120, 30)의 근방에 상기 판별자 및 저지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양 단자(120, 30)의 결합은 피함으로써 단자 부재(122)와 단자 부재(31)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자(111) 및 저지부(19)의 형상 및 그 형성 위치는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배터리측 단자(120) 및 본체측 단자(30)의 근방에 판별자(111) 및 저지부(19)를 설치하도록 하면 좋고, 또한 이들이 적용되는 것은 배터리 팩(100), 건전지 팩(140)이나 비디오 카메라(1)(1A, 1B), 비디오 라이트(150), 충전기(160) 등 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터리측 단자를 배치한 부분 및 그 주위에만 오목한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한 부분에 배터리측 단자와 함께 피계지부를 설치하도록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의 배터리측 단자를 배치하는 측(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방측)과 그 이외의 측(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후방측) 사이에 단차를 마련하여, 오목한 전방측에 배터리측 단자와 함께 피계지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42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의 표면에는, 배터리측 단자 및 이에 인접하여 설치한 피계지부만을 돌출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43과 같이 배터리 케이스의 표면에는, 배터리측 단자만, 즉 단자 케이스만을 돌출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단자 케이스의 일부를 피계지부로 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단자 케이스에 요철 끼워 맞춤부를 설치함으로써, 장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판별자로 할 수도 있다.
이상에 기재한 것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은, 본체측 기기는 본체측 단자를 갖고, 장착 부품은 상기 본체측 단자에 접합하는 장착 부품측 단자를 갖고, 장착 부품의 장착 부품측 단자의 근방에 판별자를 설치하는 동시에, 본체측 기기의 본체측 단자 근방에 상기 판별자에 대해 요철 끼워 맞춤의 조합에 의해 그 장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저지부와 상기 판별자와의 간섭에 의해 장착 불가능하게 했을 때는, 본체측 단자와 장착 부품측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 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착 부품은 본체측 기기에 설치된 본체측 단자와 접합하는 장착 부품측 단자를 갖고, 본체측 기기의 본체측 단자의 근방에 설치된 저지부에 대해 요철 끼워 맞춤의 조합에 의해 그 장착이 가능한지의 여부가 결정되는 판별자를 장착 부품측 단자의 근방에 설치하고, 상기 판별자와 상기 저지부와의 간섭에 의해 장착 부품의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이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는, 본체측 단자와 장착 부품측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장착 부품에 있어서는, 만에 하나 본래 장착할 수 없는 장착 부품이 본체측 기기에 오장착되어 버린 경우라도, 단자 근방에 판별자와 저지부를 설치하였으므로, 단자의 접촉만은 방지할 수 있어, 본체측 기기 및/또는 장착 부품의 전기적 장해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체측 단자의 근방에 계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계지부와 결합하는 피계지부를 장착 부품측 단자의 근방에 설치하고, 이들 계지부와 피계지부를 계지시킨 후, 장착 부품을 상기 장착 부품측 단자와 반대측 부위를 회전시킴으로써, 본체측 기기에 대해 장착 부품을 장착하도록 하였으므로,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장착 상태를, 양 단자 근방에서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어, 단자의 안정된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계지부 및 피계지부와 반대측에, 장착 부품의 본 체측 기기로의 장착 상태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설치하였으므로, 장착 부품의 안정된 장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측 단자 및 장착 부품측 단자를 한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하였으므로, 장착 부품의 장착 방향에 의한 오장착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 부품측 단자를 한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하였으므로, 장착 부품측 단자와 반대측 부분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IC 등의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등하여, 공간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44 내지 도52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팩의 실시 형태의 예를 도시한다. 이 도44 내지 도52에 대해 설명하는 데 있어, 이 배터리 팩(201)은 직사각형의 배터리 케이스(202)와, 이 배터리 케이스(202)에 수납된 배터리 셀(203)과, 상기 배터리 팩(201)의 잔량 등을 계산하고 기억하는 IC 칩(204) 등이 마운트된 기판(205)과, 상기 기판(205)에 부착되어 배터리 케이스(20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면(전단부면)으로 노출되는 배터리 단자(206)를 갖는다(도47 참조).
또, 각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낸, U 방향, D 방향, L 방향, R 방향, F 방향, B 방향은, 각각 상방, 하방, 좌측, 우측, 전방, 후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시한 상기 방향성은 편의상의 것이며, 상기 배터리 팩(201)이 사용되는 상황에 있어서, 그 방향성은 적절하게 변경된다.
배터리 케이스(202)는 상부면 케이스(207)와 하부면 케이스(208)로 이루어지 고, 상기 하부면 케이스(208)의 전단부면이며 그 좌우 방향의 중앙부보다 좌측 위치 및 상기 위치와 연속된 하부면의 전방단부에 개구하는 직사각형 절결부(209)가 형성되고, 상기 직사각형 절결부(209)에 상기 배터리 단자(206)가 상방으로부터 슬라이드되어 부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직사각형 절결부(209)에 부착된 배터리 단자(206)의 전방면은 하부면 케이스(208)와 대략 동일 높이가 되도록 되어 있다(도48 참조).
또한, 하부면 케이스(208)의 우측면 하부 구석부는 단면 L자형으로 절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장착 방지 홈(210)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하부면 케이스(208)의 내부 공간은 오장착 방지 홈(210)에 대응한 부위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하측 절반 부분보다 상측 절반 부분의 좌우 폭 치수쪽이 약간 넓게 되어 있고, 상기 상부면 케이스(207)는 하부면 케이스의 상측 절반 부분의 좌우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도51 참조).
배터리 셀(203)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202)보다도 훨씬 작게 길이 방향의 일단부면이 개구된 전지관(211)과 상기 전지관(211)의 개구를 덮도록 부착된 전지 덮개(212)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지관(211) 내에 수납된 전지 소자 등으로 이루어진다(도46 참조).
또한, 배터리 셀(203)의 좌우 폭 치수는 상기 하부면 케이스(208)의 하측 절반 부분의 좌우 폭보다 다소 작고, 따라서 배터리 셀(203)이 배터리 케이스(202) 내에 수납되었을 때, 배터리 케이스(202) 내의 우측면의 상측에는 공간(이하,「마이너스극측 터브 배치 공간」이라 함)(213)이 형성되어 있다(도51 참조).
전지 덮개(212)에는 플러스극측 터브(214)가 설치되고, 상기 플러스극측 터브(214)는 상기 기판(205)의 좌측 랜드 구멍(25a)에 관통된 후, 납땜된다(도46 참조).
전지관(211)의 관바닥(211a)에는 마이너스극측 터브(215)의 일단부가 용접되고, 상기 마이너스극측 터브(215)의 타단부는 상기 전지 덮개(212)의 전방면측까지 배치되어, 기판(205)의 우측 랜드 구멍(205b)에 관통된 후, 납땜된다(도46, 도47 참조).
구체적으로는, 마이너스극측 터브(215)는 관바닥측 터브(216)와 전지 덮개측 터브(217)의 2개로 분할되고, 이들 관바닥측 터브(216)와 전지 덮개측 터브(217) 사이에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218)가 개재되어 있다(도46 참조). 이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203)이 소정의 온도에 도달했을 때에, 관바닥측 터브(216)와 전지 덮개측 터브(217)와의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마이너스극측 터브(215)가 배치된 부분과 전지관(211) 사이에는 절연 시트(219)가 개재되고, 전지관(211)과 마이너스극측 터브(215), 특히 전지 덮개측 터브(217)와의 절연이 도모되고 있다(도46, 도47 참조).
또한, 마이너스극측 터브(215)의 기판(205)까지 배치된 부분[관바닥측 터브(216), PTC(218), 전지 덮개측 터브(217)]은 배터리 셀(203)의 우측면 중 상측 절반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이에 의해 이들 관바닥측 터브(216), PTC(218), 전지 덮개측 터브(217)는, 전술한 마이너스극측 터브 배치 공간(213)에 위치된다(도51 참조).
또, 도시는 생략했지만, 배터리 셀(203)을 덮도록 상부면 케이스(207)를 하부면 케이스(208)에 맞추었을 때의 결합은 양자의 개구 주연을 맞춘 상태에서, 초음파 용착함으로써 행한다. 또, 초음파 용착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이라도 좋다.
이리하여, 전단부면에 배터리 단자(206)가 배치되고, 우측면 하부 구석부에 단면 L자형의 오장착 방지 홈(210)이 형성된 배터리 케이스(202) 내에 하나의 배터리 셀(203)이 수납된 배터리 팩(201)이 조립된다(도44 참조).
다음에, 상기 배터리 팩(201)이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를 갖는 전자 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또, 전자 기기는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퍼스널 컴퓨터 등이며, 모바일 기기, 핸디 기기라 불리우는 배터리 구동으로 사용되는 것에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전자 기기(300)에는, 상기 배터리 팩(201)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공간을 갖고 후방에 개구한 케이싱(301)과, 상기 케이싱(301)의 후방면 개구 모서리에 배치되어, 장착된 배터리 팩(201)의 빠짐 방지를 행하는 로크 부재(3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301) 내가 배터리 장착부(302)로 되어 있다(도44 참조).
케이싱(301)의 배터리 장착부(302)의 안쪽 단부면(전단부면)에 배터리 팩(201)의 상기 배터리 단자(206)에 대응한 본체측 단자(303)가 설치되어 있다(도44 참조).
케이싱(301)의 후방면 개구의 우측 하부에는 저지 돌기부(304)가 설치되고, 상기 저지 돌기부(304)는 상기 배터리 팩(201)의 오장착 방지 홈(210)의 단면 형상 과 대략 동일하든지 또는 약간 작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49, 도50, 도51 참조).
이에 의해, 배터리 팩(201)을 정규 방향으로 배터리 장착부(302)에 장착할 때는, 상기 저지 돌기부(304)가 배터리 팩(201)의 오장착 방지 홈(210) 내에 위치하여, 이에 의해 배터리 팩(201)의 배터리 장착부(302)로의 슬라이드 삽입이 허용된다[도51, 도52의 (a) 참조].
로크 부재(310)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L자형을 한 로크 레버(311)와 상기 로크 레버(311)를 로크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수단(312)으로 이루어진다(도49, 도50 참조).
구체적으로는, 로크 레버(311)는 케이싱(301)의 우측면 개구측의 일부를 이루는 긴 아암 부재(311a)와, 그 후단부 모서리로부터 좌측으로 돌출 설치된 짧은 아암 부재(311b)로 이루어지고, 긴 아암 부재(311a)의 전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의해 케이싱(30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49, 도50 참조).
상기 압박 수단(312)은 판금 부재를 U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박 수단(312)은 상기 케이싱(301)측의 부재에 한 쪽 부재가 고정 부착되고, 다른 쪽 부재가 상기 로크 레버(311)의 긴 아암 부재(311a)의 우측면에 탄성 접촉되어 있고, 이에 의해 로크 레버(311)는 도49 및 도50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압박된다.
또, 회전 압박된 로크 레버(311)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저지 수단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고, 저지된 상태에서 로크 레버(311)의 짧은 아암 부재(311b)가 케이싱(301)의 후방면 개구의 일부를 덮도록 되어 있다(도50 참조).
이리하여, 배터리 팩(201)을 전자 기기(300)의 배터리 접착부(302)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로크 레버(311)를 압박 수단(312)에 저항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짧은 아암 부재(311b)를 배터리 장착부(302)의 후방면 개구로부터 대피시켜(도49 참조), 배터리 팩(201)을 배터리 장착부(302)에 슬라이드 삽입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팩(201)이 정규 방향인 경우[도52의 (a) 참조], 즉 오장착 방지 홈(210)이 우측 하부 구석부에 위치한 방향인 경우는, 상기 오장착 방지 홈(210)에 상기 저지 돌기부(304)가 위치하여 그 슬라이드 삽입이 허용된다. 그리고, 배터리 팩(201)이 배터리 장착부(302)의 안쪽 단부까지 슬라이드시켜 가면, 배터리 단자(206)가 본체측 단자(303)에 접속되는 동시에, 로크 레버(311)가 시계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짧은 아암 부재(311b)가 배터리 팩(201)의 후단부면에 계지되고, 이에 의해 배터리 팩(201)의 배터리 장착부(302)로부터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도50 참조).
또한, 장착하고자 하는 배터리 팩(201)이 정규 방향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302)의 저지 돌기부(304)가 배터리 팩(201)과 간섭하여 그 삽입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도52의 (b), 도52의 (c), 도52의 (d) 참조].
즉, 예를 들어 배터리 팩(201)의 방향이, 전후 방향은 정확하지만 상하가 반대인 경우[도52의 (b) 참조]는 배터리 팩(201)의 우측 하부 구석부에는 오장착 방지 홈(210)이 없고, 따라서 배터리 장착부(302)의 저지 돌기부(304)가 그 우측 하 부 구석부에 간섭해 버려, 배터리 팩(201)을 배터리 장착부(302)에 삽입할 수는 없다.
또한, 배터리 팩(201)의 방향이, 상하 방향은 정확하지만 전후가 반대인 경우[도52의 (c) 참조], 혹은 상하 방향도 전후 방향도 반대인 경우[도52의 (d) 참조]도, 마찬가지로 배터리 팩(201)의 우측 하부 구석부에는 오장착 방지 홈(210)이 없고, 따라서 배터리 장착부(302)의 저지 돌기부(304)가 그 우측 하부 구석부에 간섭해 버려, 배터리 팩(201)을 배터리 장착부(302)에 삽입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배터리 팩(201)의 방향이 정규가 아닌 경우에는, 배터리 장착부(302)의 후방면 개구의 일부를 덮는 저지 돌기부(304)에 의해 저지되어 버리므로, 배터리 팩(201)을 조금이라도 배터리 장착부(304) 내에 삽입시킬 수 없어, 조작자는 장착하려고 한 배터리 팩(201)의 방향이 잘못된 것을 즉시 인식할 수 있다. 이것은, 배터리 장착부(304)에 배터리 팩(201)을 약간이라도 삽입할 수 있는 것으로 하면, 그 방향이 정확하다고 생각하여 무리하게 장착하려고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201)에 있어서는, 사각 기둥형의 배터리 케이스(202) 내에, 사각 기둥형의 배터리 셀(203)을 수납한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기둥형인 배터리 케이스(201)에 원주형의 배터리 셀을 수납한 것이라도 좋으며, 중요한 것은 배터리 케이스가 대략 사각 기둥형인 것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201)에 있어서는, 배터리 케이스(202)의 슬라이드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오장착 방지 홈(210)을 형성한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 케이스(201)의 삽입측 단부면에 도달하는 오장착 방지 홈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으며, 그 슬라이드 방향의 길이는 전체 길이일 필요는 없다. 이 경우, 오장착되었을 때에 이를 저지하는 전자 기기측의 저지 돌기부를 배터리 장착부(302)의 안쪽 단부측 위치에 형성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201)에 있어서는, 오장착 방지 홈(210)을 배터리 케이스(201)의 구석부에 형성한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터리 케이스(201)의 측면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오장착 방지 홈을 형성한 측면의 폭 방향의 중앙부보다 일단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방향이 상하 방향도 전후 방향도 반대인 방향으로 장착되려고 했을 때라도,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기재한 부분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배터리 장착부를 가진 전자 기기에 대해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전자 기기에 장착하는 배터리 팩으로서, 대략 사각 기둥형을 한 배터리 케이스와, 슬라이드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면에 설치된 배터리 단자를 갖고, 배터리 케이스의 슬라이드 방향의 양단부면 이외의 측면의 일부에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오장착 방지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 따르면, 슬라이드 방향으로부터 본 형상 다점 대칭이 아니므로, 이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측의 배터리 장착부에 대해 일의적인 방향을 특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정규인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는 배터리 장착부에 삽입할 수 없어, 따라서 배터리 팩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배터리 단자의 방향도 정규인 방향으로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므로, 전자 기기측의 단자와 실수로 단자끼리가 접촉하게 되는 사고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배터리 케이스 내에 수납하는 배터리 셀이 사각 기둥형을 했으므로, 사각 기둥형의 배터리 케이스에 대해 공간적인 낭비를 없애고, 전체 크기가 비교적 용량이 큰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오장착 방지 홈을 배터리 케이스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석부에 형성하였으므로, 배터리 케이스와 배터리 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공간을 배터리 셀 주위에 배치하는 마이너스극측 터브 등의 배치 공간으로 할 수 있어, 공간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배터리 셀의 전지관의 관바닥으로부터 전지 덮개까지 배치된 마이너스극측 터브를, 배터리 케이스 내의 오장착 방지 홈이 형성된 측면측으로서, 상기 오장착 방지 홈을 피한 위치에 배치하였으므로, 배터리 케이스 내에 불필요한 공간이 없고, 전체 크기가 비교적 용량이 큰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배터리 셀의 관바닥으로부터 전지 덮개측에 배치된 마이너스극측 터브를 관바닥측 터브와 전지 덮개측 터브로 분할하고, 이들 관바닥측 터브와 전지 덮개측 터브 사이에 PTC를 개재시켰으므로, PTC를 공간적으로 무리없 이 배터리 케이스 내에 수납할 수 있어, 배터리 팩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각 부의 구체적인 형상 내지 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의 구체화의 일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2)

  1.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이며,
    본체측 기기는 본체측 단자를 갖고, 장착 부품은 상기 본체측 단자에 접합하는 장착 부품측 단자를 갖고,
    장착 부품의 장착 부품측 단자의 근방의 오목한 부분 내에 판별자를 설치하는 동시에, 본체측 기기의 본체측 단자의 근방에 상기 판별자에 대해 요철 끼워 맞춤의 조합에 의해 그 장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저지부를 설치하고,
    장착 부품측 단자의 상부면이 상기 오목한 부분 이외의 부분과 동일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측 단자의 근방에 계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계지부와 결합하는 피계지부를 장착 부품측 단자의 근방에 설치하고, 이들 계지부와 피계지부를 계지시킨 후, 장착 부품을 상기 장착 부품측 단자와 반대측 부위를 회전시킴으로써, 본체측 기기에 대해 장착 부품을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 및 피계지부의 반대측에 장착 부품의 본체측 기기로의 장착 상태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 단자 및 장착 부품측 단자를 한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
  5. 본체측 기기에 장착되는 장착 부품이며,
    본체측 기기에 설치된 본체측 단자와 접합하는 장착 부품측 단자를 갖고, 본체측 기기의 본체측 단자의 근방에 설치된 저지부에 대해 요철 끼워 맞춤의 조합에 의해 그 장착이 가능한지의 여부가 결정되는 판별자를 장착 부품측 단자의 근방의 오목한 부분 내에 설치하고,
    장착 부품측 단자의 상부면이 상기 오목한 부분 이외의 부분과 동일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부품.
  6. 제5항에 있어서, 본체측 기기의 본체측 단자 근방에 설치된 계지부에 계지되는 피계지부를 장착 부품측 단자의 근방에 설치하고,
    상기 피계지부를 본체측 기기의 계지부에 계지시킨 후, 장착 부품을 상기 장착 부품측 단자와 반대측 부위를 회전시킴으로써, 본체측 기기에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부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품측 단자를 한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부품.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배터리 장착부를 가진 전자 기기에 대해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전자 기기에 장착하는 배터리 팩이며,
    사각 기둥형을 한 배터리 케이스와, 슬라이드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면에 설치된 배터리 단자를 갖고,
    배터리 케이스의 슬라이드 방향의 양 단부면 이외의 측면의 일부에 슬라이드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오장착 방지 홈을 형성하고,
    상기 오장착 방지 홈이 배터리 케이스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석부로 형성되고,
    배터리 셀의 전지관의 관바닥으로부터 전지 덮개까지 배치된 마이너스극측 터브를, 배터리 케이스 내의 오장착 방지 홈이 형성된 측면측이며, 상기 오장착 방지 홈을 피한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제11항에 있어서, 배터리 셀의 관바닥으로부터 전지 덮개측에 배치된 마이너스극측 터브를 관바닥측 터브와 전지 덮개측 터브로 분할하고, 이들 관바닥측 터브와 전지 덮개측 터브 사이에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를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037004194A 2001-07-24 2002-07-24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 이에이용되는 장착 부품 및 배터리 팩 KR100894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22951A JP3925120B2 (ja) 2001-07-24 2001-07-24 本体側機器に対する装着部品の誤装着防止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装着部品
JPJP-P-2001-00222951 2001-07-24
JP2001263672A JP3888105B2 (ja) 2001-08-31 2001-08-31 バッテリーパック
JPJP-P-2001-00263672 2001-08-31
PCT/JP2002/007497 WO2003010839A1 (en) 2001-07-24 2002-07-24 Method for preventing erroneous mounting of mounting part on main body device, mounting part and battery pack used for thi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805A Division KR100919332B1 (ko) 2001-07-24 2002-07-24 배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625A KR20040028625A (ko) 2004-04-03
KR100894793B1 true KR100894793B1 (ko) 2009-04-24

Family

ID=266191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805A KR100919332B1 (ko) 2001-07-24 2002-07-24 배터리 장치
KR1020037004194A KR100894793B1 (ko) 2001-07-24 2002-07-24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 이에이용되는 장착 부품 및 배터리 팩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805A KR100919332B1 (ko) 2001-07-24 2002-07-24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4) US7223494B2 (ko)
EP (1) EP1411564B1 (ko)
KR (2) KR100919332B1 (ko)
CN (2) CN100391030C (ko)
DE (1) DE60234602D1 (ko)
HK (2) HK1080607A1 (ko)
WO (1) WO20030108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835A (ko) 2019-02-01 2020-08-11 젠 주식회사 촬영카메라용 배터리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5545A (ja) * 2003-12-01 2005-06-23 Sony Corp 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JP4123517B2 (ja)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JP4123516B2 (ja) *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JP4123515B2 (ja) *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RU2296391C2 (ru) 2004-09-21 2007-03-27 Сони Компьютер Энтертайнмент Инк. Батарейный блок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котором он используется
JP3805781B2 (ja) * 2004-11-26 2006-08-0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バッテリパッ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624969B1 (ko) * 2004-10-18 2006-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쇼트 방지 기능을 갖는 배터리팩
MX2007007139A (es) * 2004-12-28 2007-12-06 Sony Corp Mecanismo de carga/descarga de bateria.
US9136507B2 (en) * 2005-03-24 2015-09-15 Samsung Sdi Co., Ltd. Ca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4725317B2 (ja) * 2005-12-26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11196121B2 (en) 2006-08-28 2021-12-07 Sony Corporation Batter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battery system
JP4245017B2 (ja) 2006-08-28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JP2008053154A (ja) * 2006-08-28 2008-03-06 Sony Corp バッテリー装置、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JP5179746B2 (ja) * 2006-11-22 2013-04-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0876267B1 (ko) * 2007-10-04 2008-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188322B1 (ko) * 2007-12-25 2012-10-09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휘감긴 코어를 가진 전기화학적 전지
TWI399879B (zh) * 2008-03-28 2013-06-21 Fih Hong Kong Ltd 電池蓋及具該電池蓋之電子裝置
CN101577743A (zh) * 2008-05-09 2009-11-1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固定装置
KR101002511B1 (ko) * 2008-09-19 2010-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머 전지팩
CN101728494B (zh) * 2008-10-13 2013-03-1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锁持机构
CN101752520A (zh) * 2008-11-28 2010-06-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卡锁结构
DE202009018505U1 (de) * 2008-12-01 2011-11-17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Akkumulatoreinheit und tragbares elektronisches Gerät
JP5404085B2 (ja) * 2009-02-12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8096825B2 (en) * 2009-03-25 2012-01-17 Belkin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upler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US7867019B1 (en) * 2009-07-17 2011-01-11 Fluke Corporation Thermal imaging device with a battery pack with a shock absorber
JP3160044U (ja) 2010-03-29 2010-06-10 ソニー株式会社 電源供給装置
US8048552B1 (en) * 2010-04-23 2011-11-01 Psion Inc. Battery module mount
JP2011233410A (ja) * 2010-04-28 2011-11-17 Makita Corp 電気機器システム、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アダプタ
KR101296964B1 (ko) * 2011-02-10 2013-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20120285662A1 (en) * 2011-05-10 2012-11-15 Celsia Technologies Taiwan, I Vapor chamber with improved sealed opening
CN102882303B (zh) * 2011-07-12 2017-10-24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电机端盖组件
KR20130090096A (ko) * 2012-02-03 2013-08-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9434445B1 (en) * 2012-03-03 2016-09-06 Dr. Nathan Jauvtis Engineering Electronic bicycle
WO2013134164A1 (en) * 2012-03-03 2013-09-12 Nathan Jauvtis Power assisted vehicle
USD772804S1 (en) 2013-09-05 2016-11-29 Sony Corporation Rechargeable battery
KR101637891B1 (ko) 2013-09-05 2016-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둘 이상의 부재들로 이루어진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DE102013110002A1 (de) 2013-09-11 2015-03-12 Constin Gmbh Behälter für eine per Hand tragbare, wieder aufladbare Gleichstrom-Energie-Speichervorrichtung
USD725590S1 (en) 2014-07-11 2015-03-31 Gopro, Inc. Battery
DE102014216435A1 (de) * 2014-08-19 2016-02-25 Volkswagen Varta Microbattery Forschungsgesellschaft Mbh & Co. Kg Batterie mit prismatischem Gehäuse und Herstellungsverfahren
KR102463893B1 (ko) 2015-04-03 2022-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KR102080284B1 (ko) * 2015-10-22 2020-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수의 전극 탭들이 형성되어 있는 단위 전극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EP3403159B1 (en) * 2016-01-16 2019-11-27 Aliaksandr Alsheuski Securely mounting electronic device battery pack
CN109562285B (zh) 2016-04-15 2021-01-12 斯科特科技公司 通过语音发射器保持的面罩鼻罩
US20180048791A1 (en) * 2016-08-10 2018-02-15 Aaron Johnson Image Reflecting and Capturing Assembly
CN107799681B (zh) * 2016-09-01 2022-07-12 康塔有限公司 可再充电电池组
USD791695S1 (en) 2017-01-20 2017-07-11 Gopro, Inc. Battery
JP6191795B1 (ja) 2017-02-10 2017-09-0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JP6191796B1 (ja) 2017-02-10 2017-09-0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USD861592S1 (en) 2017-09-28 2019-10-01 Gopro, Inc. Battery
USD940066S1 (en) 2017-09-28 2022-01-04 Gopro, Inc. Battery
WO2019073949A1 (ja) * 2017-10-10 2019-04-18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バッテリ装着ユニット、電動機器及び電源ユニット
TWI663462B (zh) * 2017-10-18 2019-06-2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裝置、攝影模組與電子裝置
USD890835S1 (en) 2017-12-28 2020-07-21 Gopro, Inc. Camera
USD907680S1 (en) 2018-08-31 2021-01-12 Gopro, Inc. Camera
USD907101S1 (en) 2019-06-11 2021-01-05 Gopro, Inc. Camera
USD903740S1 (en) 2018-09-14 2020-12-01 Gopro, Inc. Camera
USD920419S1 (en) 2019-09-17 2021-05-25 Gopro, Inc. Camera
DE212020000722U1 (de) 2019-09-18 2022-04-26 Gopro, Inc. Türbaugruppen für Bildaufnahmevorrichtungen
DE102020100033A1 (de) * 2020-01-03 2021-07-08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Austauschbare Akkumulatoreinheit und Batteriefach
TWI743756B (zh) * 2020-04-24 2021-10-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電池組件及包含其之電子裝置
US11782327B2 (en) 2020-07-02 2023-10-10 Gopro, Inc. Removable battery door assemblies for image capture devices
USD946074S1 (en) 2020-08-14 2022-03-15 Gopro, Inc. Camera
KR102654179B1 (ko) 2021-10-15 2024-04-03 주식회사 젠트리 브이 마운트 배터리와 장비본체의 접속구조
TW202407925A (zh) * 2022-03-04 2024-02-16 美商捷控技術有限公司 用於電腦處理器及處理器組件之主動冷卻散熱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2022A (ja) * 1987-01-27 1994-05-13 Sony Corp 電源ケース
JPH0877991A (ja) * 1994-09-02 1996-03-22 Sony Corp バッテリ装置及びこのバッテリ装置の装着装置
KR19980016058U (ko) * 1996-09-14 1998-06-25 김광호 휴대용 컴퓨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98828B (it) 1978-09-01 1985-09-18 Montedison Spa Poliolefine rinforzate con fibre di vetro
JPS6051869B2 (ja) 1980-07-03 1985-11-15 マツダ株式会社 カラ−マツチング容易な塗装方法
JPS5956831A (ja) 1982-09-22 1984-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池充電回路
JPS6051869A (ja) 1983-08-31 1985-03-23 Fuji Xerox Co Ltd ロ−ル定着装置のクリ−ニングブレ−ド
JPS60110527U (ja) 1983-12-29 1985-07-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非常進入用手すり
JPS624066A (ja) 1985-06-19 1987-01-1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着色された熱可塑性樹脂製薄膜
JPS63316641A (ja) * 1987-06-19 1988-12-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充電装置
JP2650685B2 (ja) 1987-07-31 1997-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H01146456A (ja) 1987-12-02 1989-06-08 Puro Shiyuumaa Kk コンピュータ通信に於ける端末装置
JPH01302240A (ja) * 1988-05-30 1989-12-06 Fuji Photo Film Co Ltd バッテリーの保持装置
JP2971893B2 (ja) 1989-07-28 1999-11-08 旭光学工業株式会社 組電池装置
JP2578218B2 (ja) 1989-09-30 1997-02-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トナー用樹脂組成物及びトナー
US5436088A (en) 1994-05-02 1995-07-25 Motorola, Inc. Battery cradle
JPH0813169B2 (ja) 1990-12-01 1996-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JP3263855B2 (ja) * 1992-03-06 2002-03-11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US5180644A (en) 1992-03-09 1993-01-19 Motorola, Inc. Weldless battery pack
JP3318772B2 (ja) 1992-04-15 2002-08-26 ソニー株式会社 2次電池パックとその製造方法
JP3416962B2 (ja) * 1992-09-18 2003-06-1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TW243558B (ko) 1993-03-23 1995-03-21 Whitaker Corp
GB2317062B (en) 1993-08-10 1998-04-22 Whitaker Corp Extended height connector for a battery
US5626979A (en) 1994-04-08 1997-05-06 Sony Corporation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mploying the battery device as power source
JP3637625B2 (ja) 1994-04-08 2005-04-1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及びこのバッテリ装置が装着される電子機器
JPH07335187A (ja) 1994-06-09 1995-12-22 Sony Corp バッテリーパック装着機構
JP2711223B2 (ja) 1994-07-29 1998-02-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バッテリパック及びその接続構造
JPH0850891A (ja) * 1994-08-08 1996-02-20 Fuji Elelctrochem Co Ltd 薄形電気化学素子
US5795181A (en) 1995-01-24 1998-08-18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on a battery
JP3652410B2 (ja) 1995-07-12 2005-05-25 東芝電池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3505286B2 (ja) 1995-08-11 2004-03-08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H09271144A (ja) 1996-01-29 1997-10-14 Sony Corp 電源識別方法、乾電池パツク、電子機器
US5717314A (en) * 1996-09-12 1998-02-10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onitoring battery temperature during charging
JP3530332B2 (ja) 1997-01-23 2004-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装置
US5883787A (en) 1997-04-10 1999-03-16 Ericsson, Inc. Floating guided connector and method
JP3490590B2 (ja) 1997-05-29 2004-01-26 富士通株式会社 携帯装置のバッテリロック機構
US6095839A (en) * 1997-06-16 2000-08-0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D400496S (en) * 1998-01-21 1998-11-03 Motorola, Inc. Battery apparatus
US6127063A (en) 1998-01-26 2000-10-03 Physio-Control Manufacturing Corporation Intelligent battery and well interface
US6110618A (en) * 1998-02-27 2000-08-29 Motorola, Inc. Battery cell housing
US6261715B1 (en) 1998-03-12 2001-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Battery attaching mechanism for portable computers
KR100413026B1 (ko) 1998-04-30 2004-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어셈블리
USD411165S (en) * 1998-05-14 1999-06-22 Motorola, Inc. Battery pack
US6157545A (en) 1998-05-14 2000-12-05 Motorola, Inc. Battery connection apparatus with end projections
USD535253S1 (en) 1998-06-17 2007-01-16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terminal and housing
US6068946A (en) 1998-08-02 2000-05-30 Motorola, Inc. Dual cover battery casing
JP2000058015A (ja) 1998-08-07 2000-02-25 Mitsubishi Cable Ind Ltd 電池パック
US6057608A (en) 1998-08-13 2000-05-02 Black & Decker Inc. Cordless power tool system
EP1995819B1 (en) 1998-09-11 2011-07-13 Panasonic Corporation Battery pack with protective circuit
JP2000090961A (ja) 1998-09-17 2000-03-31 Mitsubishi Cable Ind Ltd 角型電池及び電池パック
US6235426B1 (en) 1998-09-21 2001-05-22 Sanyo Electric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wit PTC current collector tabs
USD439877S1 (en) * 1998-11-01 2001-04-03 Motorola, Inc. Battery housing
TW395568U (en) 1998-12-28 2000-06-2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nnector
JP4110656B2 (ja) * 1999-02-17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装着装置、電力供給装置及び電子機器
JP4110657B2 (ja) * 1999-02-17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装着装置、電力供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0343341A (ja) * 1999-06-04 2000-12-12 Yazaki Corp ユニットの誤組付防止構造
USD449577S1 (en) * 1999-07-07 2001-10-23 Mitsumi Electric Co., Ltd. Battery case
EP1071147A1 (en) * 1999-07-19 2001-01-24 Toshiba Battery Co., Ltd. Battery pack
JP3732361B2 (ja) 1999-07-28 2006-01-05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3190024B2 (ja) 1999-08-18 2001-07-16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バッテリ保護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322050A (zh) * 2000-04-28 2001-11-14 索尼公司 电池组件和信号发送系统
JP2001313017A (ja) * 2000-04-28 2001-11-09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USD447122S1 (en) 2000-05-30 2001-08-28 J.S.T. Mfg. Co., Ltd. Housing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6291970B1 (en) * 2000-08-10 2001-09-18 Zircon Corporation Device for reverse polarization protection for a battery
JP2002110287A (ja) 2000-09-14 2002-04-1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バッテリーコネクタ構造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US6677078B2 (en) 2001-06-29 2004-01-13 The Gillette Company Battery cartridge
JP2003018753A (ja) 2001-07-02 2003-01-17 Sony Corp 充電装置及び二次電池
EP1764851B1 (en) * 2001-07-25 2016-01-06 Sony Corporation Structures of terminals and component-to-be loaded
US6729413B2 (en) 2001-08-24 2004-05-04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with battery pack ejector
JP3846243B2 (ja) * 2001-09-14 2006-11-1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USD477275S1 (en) * 2002-01-14 2003-07-15 Sony Corporation Storage battery
USD473192S1 (en) 2002-02-14 2003-04-15 Mitsumi Electric Co., Ltd. Electric connector
USD480682S1 (en) * 2002-03-07 2003-10-14 Sony Corporation Battery
JP3118552U (ja) 2005-10-21 2006-02-02 有限会社スターライト 防音カーテ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2022A (ja) * 1987-01-27 1994-05-13 Sony Corp 電源ケース
JPH0877991A (ja) * 1994-09-02 1996-03-22 Sony Corp バッテリ装置及びこのバッテリ装置の装着装置
KR19980016058U (ko) * 1996-09-14 1998-06-25 김광호 휴대용 컴퓨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835A (ko) 2019-02-01 2020-08-11 젠 주식회사 촬영카메라용 배터리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332B1 (ko) 2009-09-25
US20110045330A1 (en) 2011-02-24
CN100391030C (zh) 2008-05-28
US9853261B2 (en) 2017-12-26
US20200335742A1 (en) 2020-10-22
US8247106B2 (en) 2012-08-21
US7879481B2 (en) 2011-02-01
US8293395B2 (en) 2012-10-23
US20160043364A1 (en) 2016-02-11
EP1411564B1 (en) 2009-12-02
US20150243959A1 (en) 2015-08-27
US20170117531A1 (en) 2017-04-27
HK1065645A1 (en) 2005-02-25
CN1276525C (zh) 2006-09-20
HK1080607A1 (en) 2006-04-28
US20140322592A1 (en) 2014-10-30
US20110244288A1 (en) 2011-10-06
US8304102B2 (en) 2012-11-06
US20120295152A1 (en) 2012-11-22
US9853260B2 (en) 2017-12-26
EP1411564A4 (en) 2006-06-14
US9023512B2 (en) 2015-05-05
US9899656B2 (en) 2018-02-20
US20120270086A1 (en) 2012-10-25
CN1670984A (zh) 2005-09-21
US9118066B2 (en) 2015-08-25
DE60234602D1 (de) 2010-01-14
US10756318B2 (en) 2020-08-25
CN1473367A (zh) 2004-02-04
US20180123111A1 (en) 2018-05-03
US7223494B2 (en) 2007-05-29
WO2003010839A1 (en) 2003-02-06
US20070042232A1 (en) 2007-02-22
US20120040220A1 (en) 2012-02-16
US8940432B2 (en) 2015-01-27
US20040058231A1 (en) 2004-03-25
KR20080096836A (ko) 2008-11-03
KR20040028625A (ko) 2004-04-03
EP1411564A1 (en) 2004-04-21
US9017863B2 (en) 2015-04-28
US20130183567A1 (en)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793B1 (ko)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 이에이용되는 장착 부품 및 배터리 팩
KR100932819B1 (ko) 단자 구조 및 장착 부품
JP4687989B2 (ja) バッテリ
JP5806193B2 (ja) バッテリパック
JP3705168B2 (ja) バッテリ装着用端子構造
JP6020622B2 (ja) バッテリ
JP6369497B2 (ja) バッテリ及びバッテリとバッテリが装着される装置の組み合わせ
JP3882544B2 (ja) 電子機器
JP2003036827A (ja) 装着部品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