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672B1 - 칩 코일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칩 코일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672B1
KR100882672B1 KR1020070019306A KR20070019306A KR100882672B1 KR 100882672 B1 KR100882672 B1 KR 100882672B1 KR 1020070019306 A KR1020070019306 A KR 1020070019306A KR 20070019306 A KR20070019306 A KR 20070019306A KR 100882672 B1 KR100882672 B1 KR 100882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wire
electrode
lead portion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9612A (ko
Inventor
히데끼 세끼
Original Assignee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96Dispensing or fee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82Devices for guiding or positioning the winding material on the former
    • H01F41/086Devices for guiding or positioning the winding material on the former in a special configuration on the former, e.g. orthocyclic coils or open mesh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03Printed circuit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il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도선과 전극의 접합 상태가 안정된 칩 코일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양단부에 플랜지부(3)를 갖는 코어(1)의 권취 몸통부(2)에 도선(4)이 권선 된 칩 코일의 제조 장치(100)이며, 도선을 조출하는 노즐(6)과, 노즐(6)을 지지하는 동시에 코어(1)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시킴으로써 도선(4)을 코어(1)에 권취하는 도선 권취 기구(30)와, 도선(4)을 소정 길이 압궤하여 평각 형상으로 하는 도선 압궤 기구(31)와, 도선(4)의 평각 형상부(7, 8)를 플랜지부(3a)에 형성된 전극(5a, 5b)에 가열 압박하고, 평각 형상부(7, 8)와 전극(5a, 5b)을 접합하는 리드선 접합 기구(12)를 구비한다.
Figure R1020070019306
플랜지부, 코어, 노즐, 평각 형상부, 도선 압궤 기구

Description

칩 코일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HIP COIL}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칩 코일 제조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코어(1)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코어 지지 기구(10)의 부분 확대도.
도4는 도선 권취 기구(30)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5는 도선 압궤 기구(31)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도선 압궤 기구(31)에 의해 도선을 압궤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도선 보유 지지 기구(60)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8은 커터(104)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9는 권선 공정과 위치 맞춤 공정을 시계열 순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10의 (A)는 장력 완화 기구(62)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10의 (B)는 장력 안정 기구(63)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11은 도선 접합 공정을 시계열 순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12의 (A)는 땜납을 통한 리드선의 평각 형상부와 전극의 접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12의 (B)는 종래의 도선과 전극의 접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도.
도13은 도선 압박 부재(105)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칩 코일 제조 장치(200)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5는 권선 공정과 위치 맞춤 공정을 시계열 순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칩 코일 제조 장치
1 : 코어
2 : 권취 몸통부
3, 3a, 3b : 플랜지부
3d : 플랜지부의 정상면
4 : 도선
4a : 권취 개시 리드부
4b : 권취 종료 리드부
5, 5a, 5b : 전극
6 : 노즐
7, 8, 9 : 평각 형상부
10 : 코어 지지 기구
11 : 권선 기구
12 : 리드선 접합 기구
30 : 도선 권취 기구
31 : 도선 압궤 기구
60 : 도선 보유 지지 기구
62 : 장력 완화 기구
63 : 장력 안정 기구
65 : 척 부재
96 : 히터 칩
104 : 커터
105 : 도선 압박 부재
106 : 절입
107 : 땜납
201 : 도선 압궤 기구
202 : 압박 기구
205a, 205b : 압박판
203 : 안내 기구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312922호
본 발명은 칩 코일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형 전자 기기 등에 이용되는 칩 코일로서 양단부에 플랜지부를 갖는 코어의 권취 몸통부에 도선을 권취하고, 도선의 단부를 플랜지부에 형성된 전극에 고정한 것이 알려져 있다(문헌 1).
도선의 단부를 플랜지부에 형성된 전극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히터를 이용하여 도선의 단부를 플랜지부에 압박하고 도선의 절연 피막을 박리하는 동시에, 전극의 땜납을 용융시켜 도선을 전극에 접합한다. 이와 같이, 히터를 이용하여 도선을 전극에 가압 압착시킨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칩 코일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의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그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코어의 크기에 대해 직경이 큰 도선을 이용할 경우가 있다.
직경이 큰 둥근 형태의 도선을 이용하여 칩 코일을 제조할 경우, 히터를 이용하여 도선의 절연 피막을 박리하는 동시에, 전극의 땜납을 용융시켜 도선을 전극에 가압 압착시키기 위해서는, 도선을 큰 힘으로 플랜지부에 압박해야만 한다. 그로 인해, 플랜지부나 전극이 파손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도선과 전극의 접합 상태가 안정된 칩 코일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단부에 플랜지부를 갖는 코어의 권취 몸통부에 도선이 권선된 칩 코일의 제조 장치이며, 상기 도선을 조출하는 도선 조출 부재와, 상기 도선 조 출 부재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코어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시킴으로써 도선을 코어에 권취하는 도선 권취 수단과, 상기 도선을 소정 길이 압궤하여 평각 형상으로 하는 도선 압궤 수단과,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전극과, 상기 도선의 평각 형상부를 상기 전극에 가열 압박하여, 상기 평각 형상부와 상기 전극을 접합하는 접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칩 코일 제조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칩 코일 제조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2는 도선이 권선되는 코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칩 코일 제조 장치(100)는 코어(1)에 대해 도선(4)을 권취하고, 도선(4)의 양단부 리드선을 코어(1)에 마련된 전극[5(5a, 5b)]에 접합하여 칩 코일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코어(1)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선(4)이 권취되는 권취 몸통부(2)와, 권취 몸통부(2)의 양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3(3a, 3b)]를 구비하는 것이다. 전극(5a, 5b)은 플랜지부(3)의 한쪽의 플랜지부(3a)의 외측면(3c)에 병렬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극(5a)에는 권취 개시 리드부가 접합되고, 전극(5b)에는 권취 종료 리드부가 접합된다. 전극(5a, 5b)의 표면에는 도선(4)을 접합하기 위한 땜납이 형성되어 있다.
도선(4)은 단면이 원형인 둥근 형태 도선이고, 표면은 절연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칩 코일 제조 장치(10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1)를 지지하는 코어 지지 기구(10)와, 코어(1)에 대해 도선(4)의 권취를 행하는 권선 기구(11)와, 권선 기구(11)에 의한 코어(1)로의 권선 종료 후에, 도선(4)의 양단부의 리드선을 전극에 접합하는 도선 접합 수단으로서의 리드선 접합 기구(12)를 구비한다.
코어 지지 기구(10)는 기반(14) 상에 배치되어 축(13a) 중심으로 회전하는 인덱스대(13) 상에 복수 배치된다. 또한, 권선 기구(11)와 리드선 접합 기구(12)는 인덱스대(13)의 주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인덱스대(13)가 회전함으로써, 코어 지지 기구(10)에 의해 지지된 코어(1)는 권선 기구(11)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리드선 접합 기구(12)에 대향하는 위치에 순서대로 이송된다. 그리고, 각각의 위치에 권선 공정 및 도선 접합 공정이 행해짐으로써 칩 코일이 제조된다.
이하에, 칩 코일 제조 장치(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1 및 도3을 참조하여 코어 지지 기구(10)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코어 지지 기구(10)의 부분 확대도이다. 코어 지지 기구(10)는 인덱스대(13) 상의 외연부에 복수개 배치된다. 각각의 코어 지지 기구(10)는 코어(1)의 권취 몸통부(2)의 축 방향이 인덱스대(13)의 직경 방향과 일치하고, 또한 코어(1)의 플랜지부(3a)의 외측면(3c)이 외부 방향으로 되도록 코어(1)를 지지한다.
코어 지지 기구(10)는 인덱스대(13)의 축(13a)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 코어 지지 지그(21)를 구비한다. 코어 지지 지그(21)는 직방체의 본 체부(22)와, 본체부(22)의 단부에 형성된 L자형부(23)와, L자형부(23)의 개구하고 있는 2면을 향하는 한 쌍의 척 부재(24)를 구비한다.
척 부재(24)는 본체부(22)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원형 볼록부(24c)를 요동 중심으로서, 일단부에는 코어(1)의 플랜지부(3)를 L자형부(23)에 대해 압박하는 압박부(24a)가 형성되고, 타단부(24b)는 탄성 부재(25)에 의해 본체부(22)에 연결되어 있다. 탄성 부재(25)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척 부재(24)의 타단부(24b)를 본체부(22)로부터 분리하는 방향, 즉 압박부(24a)가 플랜지부(3)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또한, 척 부재(24)의 타단부(24b) 근방에는 실린더(26) 내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이동하는 피스톤(27)이 배치되고, 피스톤(27)은 척 부재(24)의 타단부(24b)를 탄성 부재(25)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압박 가능하다.
코어(1)는 전극(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플랜지부(3b)의 외주면이 척 부재(24)의 압박부(24a)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L자형부(23)의 내주면과 압박부(24a)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코어(1)는 코어 지지 지그(21)의 단부로부터 전극(5)이 형성된 플랜지부(3a)와 권취 몸통부(2)가 돌출된 상태에서 코어 지지 지그(21)에 지지된다.
코어(1)의 코어 지지 지그(21)로의 설치 및 코어 지지 지그(21)로부터의 제거 시에는 실린더(26)를 구동하여, 피스톤(27)에 의해 척 부재(24)의 타단부(24b)를 압박하여 탄성 부재(25)를 압축한다. 이에 의해, 척 부재(24)의 압박부(24a)는 L자형부(23)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L자형부(23)로의 코어(1)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피스톤(27)의 압박을 해제함으로써, 탄성 부재(25)의 압박력에 의해 척 부재(24)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코어 지지 기구(10)의 하부에는, 도선(4)의 양단부의 권취 개시 리드부 및 권취 종료 리드부의 연장부를 각각 보유 지지하는 연장부 지지 부재로서의 클램프(28)가 1대 마련된다. 클램프(28)는 실린더(29)의 구동에 의해 개폐한다.
다음에, 도1 및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권선 기구(11)에 대해 설명한다. 권선 기구(1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선(4)을 조출하는 도선 조출 부재로서의 노즐(6)과, 도선(4)을 코어(1)의 권취 몸통부(2)에 권취하는 도선 권취 수단으로서의 도선 권취 기구(30)와, 도선(4)을 부분적으로 압궤하여 평각 형상으로 하는 도선 압궤 수단으로서의 도선 압궤 기구(31)를 구비한다. 또한, 도4는 도선 권취 기구(3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5는 도선 압궤 기구(3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6은 도선 압궤 기구(31)에 의해 도선(4)을 압궤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선 권취 기구(30)는 인덱스대(13) 외주에 인덱스대(13)와는 별도의 부재로 마련된 고정대(33) 상에, 코어 지지 기구(1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도선 권취 기구(30)는 직교 3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베이스(34)에 배치되고, 도1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34) 선단부의 벽부(34a)를 관통하고, 벽부(34a)에 베어링(35)을 거쳐서 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원통 부재(36)와, 원통 부재(36)를 회전시키는 원통 부재 회전 기구(37)와, 노즐(6)을 지지하는 동시에 원통 부재(36)의 선단부에 설치된 노즐 지지반(38)을 구비한다.
노즐 지지반(38)은 원통 부재(36)와 동축 상에 설치되고, 외연부로 노즐(6) 을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원통 부재 회전 기구(37)의 동작에 의해 원통 부재(36)가 회전하면, 노즐 지지반(38)에 지지된 노즐(6)은 코어(1)의 권취 몸통부(2)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원통 부재 회전 기구(37)는 원통 부재(36)와 평행한 출력축을 갖는 노즐 선회 모터(40)와, 노즐 선회 모터(40)의 출력축에 고정된 제1 풀리(41)와, 원통 부재(36)에 있어서의 노즐 지지반(38)과는 반대 단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제1 풀리(41)와 벨트(42)를 거쳐서 연결된 제2 풀리(43)를 구비한다. 원통 부재 회전 기구(37)에 의해, 노즐 선회 모터(40)의 회전이 노즐 지지반(38)에 전달된다.
선재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되는 도선(4)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풀리(43) 및 원통 부재(36)의 중공부와, 원통 부재(36)의 몸통부에 마련된 관통 구멍(36a)을 삽입 관통하고, 노즐(6)로 유도된다.
도선(4)은 도선 권취 기구(30)에 도입되기 전에 도선 압궤 기구(31)로 유도되고, 압궤됨으로써 평각 형상부가 형성된다.
도선 압궤 기구(3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34) 상에 도선 권취 기구(30)와 직렬로 배치된다. 도선 압궤 기구(31)는 직방체형의 하우징(45) 내에 설치되고, 하우징(45)에는 도선(4)이 삽입 관통되는 단면 직사각형의 관통로(46)가 개구되어 있다.
도선 압궤 기구(31)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45) 내에 마련된 캠 기구(47)에 의해, 상하 이동판(48)을 관통로(46) 내로 유도하고, 상하 이동판(48)의 선단부(48a)를 관통로(46)의 내벽(46a)에 접촉시킴으로써 도선(4)을 평각 형상 으로 압궤한다.
상하 이동판(48)의 선단부(48a)에는, 도선(4)의 선 직경의 대략 절반의 깊이를 갖는 단면 직사각형의 홈부(49)가 형성되고, 선단부(48a)가 관통로(46)의 내벽(46a)에 접촉함으로써,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선(4)이 홈부(49)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둥근 형태의 도선(4)의 소정 부분이 평각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하 이동판(48)은 관통로(46)의 바닥면(46b)에 연통하는 가이드 통로(5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캠 기구(47)에 의해 가이드 통로(50)를 따라 이동한다. 캠 기구(47)는 상하 이동판(48)에 고정된 원기둥형의 캠(51)과, 캠(51)이 끼워 맞추어지는 캠 홈(52)이 형성된 횡이동판(53)과, 횡이동판(53)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통로(54)와, 횡이동판(53)에 연결되어 실린더(55) 내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이동하는 피스톤(56)을 구비한다.
캠 홈(52)은 횡이동판(53)이 가이드 통로(54)를 따라 이동하였을 경우에, 캠(51)이 횡이동판(53)의 이동 방향과는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55)를 구동함으로써 캠(51)은 캠 홈(52)에 안내되고, 캠(51)에 연결된 상하 이동판(48)은 가이드 통로(50)를 따라 이동하여 관통로(46) 내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하여, 캠 기구(47)의 동작에 의해 상하 이동판(48)이 상승되고, 도선(4)은 평각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상의 구성 외에, 권선 기구(11)는 노즐(6)로부터 조출된 도선(4)의 선단부의 권취 개시 리드부를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도선(4)의 장력을 조정하는 도선 보 유 지지 기구(60)도 구비한다. 이하에, 도1 및 도7을 참조하여, 도선 보유 지지 기구(60)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도선 보유 지지 기구(60)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선 보유 지지 기구(60)는 도선(4)의 선단부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척 기구(61)와, 척 기구(61)에 의해 보유 지지한 도선(4)의 장력을 완화시키는 장력 완화 기구(62)와, 도선(4)의 리드선을 전극(5)에 위치 맞춤할 때에, 척 기구(61)에 의해 보유 지지한 도선(4)의 장력을 안정시키는 장력 안정 기구(63)를 구비한다.
도선 보유 지지 기구(60)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제1 베이스(34)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직교 3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베이스(64)에 마련된다. 제2 베이스(64)의 선단부에는 도선(4)의 권취 개시 리드부를 보유 지지하는 도선 보유 지지 부재로서의 척 부재(65)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척 부재(65)는 장판형의 부재이며, 선단부 측면부에는 절결부(65a)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65a)에는 절결부(65a) 내주면 사이에 의해 도선(4)을 끼움 지지하는 압박판(66)이 배치된다.
척 부재(65)의 후단부에는 실린더(67)가 결합되고, 압박판(66)에는 실린더(67)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척 부재(65)를 관통하는 피스톤(68)의 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실린더(67)를 구동함으로써 압박판(66)이 이동하고, 절결부(65a) 내주면과의 사이에 의해 도선(4)을 끼움 지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척 부재(65), 압박판(66), 실린더(67) 및 피스톤(68)으로 척 기구(61)가 구성된다.
척 부재(65)는 제2 베이스(64)의 선단부 하부에 마련된 지지판(69)에 지지되 는 축(70)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선(4)의 리드선을 전극(5)에 위치 맞춤할 때에는, 도선(4)을 보유 지지한 척 부재(65)를 이동시키고, 도선(4)을 코어(1)의 플랜지부(3)의 정상면(3d)에 결합시키고, 도선(4)을 신장하는 조작을 행한다. 이때, 척 부재(65)는 도선(4)의 장력을 완화시키도록 요동하므로, 도선(4)의 장력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척 부재(65), 지지판(69) 및 축(70)으로 장력 완화 기구(62)가 구성된다.
제2 베이스(64)의 선단부에는 コ자형의 절결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척 부재(65)가 요동될 경우에는 척 부재(65)의 후단부는 절결부(64a) 내에 인입할 수 있으므로, 제2 베이스(64)가 척 부재(65)의 요동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제2 베이스(64)에 있어서의 척 부재(65) 후단부 부근에는 실린더(71)와, 실린더(71)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척 부재(65)의 후단부측에 접촉 가능한 피스톤(72)이 배치된다. 또한, 제2 베이스(64)의 하부에는 척 부재(65)의 후단부측이 피스톤(72)에 압박된 경우에, 척 부재(65)의 요동을 규제하여 척 부재(65)를 수평하게 유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판(73)이 마련되어 있다. 척 부재(65)의 요동을 정지시키고 싶을 경우에는 실린더(71)를 동작시키고, 척 부재(65)의 후단부측을 피스톤(72)과 보유 지지판(73)으로 끼움으로써 척 부재(65)를 고정한다. 또한, 척 부재(65)가 요동 중인 경우에는 피스톤(72)을 실린더(71) 내에 수용하여, 피스톤(72)이 척 부재(65)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척 부재(65)의 선단부에는 척 부재(65)에 보유 지지된 도선(4)이 안내되는 가이드 부재(75)가 탄성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76)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75)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 기둥 형상의 부재이고, 도선(4)이 안내되는 곡면부(75a)를 하방으로 하여, 척 부재(65)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평행한 2개의 막대 형상 부재(74)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막대 형상 부재(74)는 코일 스프링(76)을 삽입 관통하고 있고, 코일 스프링(76)의 양단부는, 각각 척 부재(65)와 가이드 부재(75)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부재(75)의 이동에 수반하여, 코일 스프링(76)은 신축하여 압박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막대 형상 부재(74), 가이드 부재(75) 및 코일 스프링(76)으로 장력 안정 기구(63)가 구성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권선 기구(11)는, 도1에 도시한 3축 이동 기구(79)에 의해, 직교 3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하에, 도1을 참조하여, 3축 이동 기구(79)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대(33)에는 상하 이동대(80)가 배치되고, 상하 이동대(80)에는 측면의 사면이 개구되어 있는 박스형의 프레임(81)이 고정 배치된다. 프레임(81) 내부의 중공부에는 하우징(82)과, 하우징(82)의 단부에 설치된 모터(83)와, 모터(83)의 출력축에 결합하는 볼 나사(84)와, 볼 나사(84)가 나사 결합되는 이동대(85)로 이루어지는 이동 기구(86)가 1대 마련되고, 그 한 쌍의 이동 기구(86)는 수평 직교 방향으로 교차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베이스(34)는 한 쌍의 이동 기구(86)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한 쌍의 이동 기구(86)에 의해 수평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프레임(81)의 상면에는, 상기 한 쌍의 이동 기구(86)와 동일한 구성인 한 쌍 의 이동 기구(87)가 배치된다. 제2 베이스(64)는 한 쌍의 이동 기구(87) 상에 배치되고, 수평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제1 베이스(34) 및 제2 베이스(64)는, 각각 별개로 수평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베이스(34) 및 제2 베이스(64)는 프레임(81)을 거쳐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베이스(34) 및 제2 베이스(64)의 연직 방향으로의 이동은 프레임(81)을 고정 적재하는 상하 이동대(80)를 연직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고정대(33)에는 모터(88)가 고정 배치되고, 모터(88)의 출력축에 연결하는 볼 나사(89)는 상하 이동대(80)에 나사 결합한다. 상하 이동대(80)에는 고정대(33)에 세워 설치하는 미끄럼 이동축(90)이 관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하 이동대(80)는 모터(88)의 회전에 의해 미끄럼 이동축(90)을 따라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상하 이동대(80)는 고정대(33)에 세워 설치하는 지지 기둥(91)과 지지 기둥(91)에 결합하는 스프링(9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권선 기구(11)는 3축 이동 기구(79)에 의해 직교 3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코어(1)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도1을 참조하여, 리드선 접합 기구(12)에 대해 설명한다. 리드선 접합 기구(12)는 인덱스대(13) 외주에 인덱스대(13)와는 별도의 부재로 마련된 지지대(94) 상에, 코어 지지 기구(1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리드선 접합 기구(12)는 용착 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 칩(96)과, 히터 칩(96)이 고정 적재되는 이동대(97)와, 이동대(97)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98)과, 이동대(97)에 결합된 피스톤(99)과, 피스 톤(99)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린더(101)를 구비한다.
히터 칩(96)의 선단부는 2개의 돌출부(96a)를 갖고, 각각의 돌출부(96a)는 코어(1)의 플랜지부(3a)에 형성된 전극(5a, 5b)에 대향한다. 실린더(101)를 구동함으로써, 열을 띤 히터 칩(96)은 가이드 레일(98)을 따라 이동하고, 돌출부(96a)가 도선(4)의 권취 개시 리드부 및 권취 종료 리드부를 각각 전극(5a, 5b)에 가열 압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선(4)의 리드선을 전극(5)에 접합한다.
지지대(94)에 있어서의 리드선 접합 기구(12)의 하방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선과 전극(5)의 접합 후에, 리드선을 절단하기 위한 도선 절단 기구(103)가 마련되어 있다. 도선 절단 기구(103)는 리드선의 연장부에 절입을 부여하는 절입 부여구로서의 커터(104)와, 리드선에 절입을 부여한 후, 리드선에 있어서의 절입과 클램프(28) 사이를 압박하고, 절입과 클램프(28) 사이의 장력을 크게 하여 리드선을 절입으로부터 절단하는 도선 압박 부재(105)를 구비한다.
커터(104) 및 도선 압박 부재(105)는 피스톤 실린더 기구에 의해 별개로, 코어(1)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커터(104)의 선단부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개시 리드부(4a)와 권취 종료 리드부(4b) 사이를 지나 플랜지부(3a)에 접촉하는 볼록형의 접촉부(104a)와, 접촉부(104a)의 양측에 형성되어 권취 개시 리드부(4a) 및 권취 종료 리드부(4b)에 대해 절입을 부여하는 커터부(104b)로 구성된다. 접촉부(104a)와 커터부(104b)의 단차는, 도선(4)의 선직경 미만이므로, 접촉부(104a)를 플랜지부(3a)에 접촉시킴으로써, 커터부(104b)로 리드선(4a, 4b)에 대해 절입을 부여할 수 있다.
다음에, 칩 코일 제조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칩 코일 제조 장치(100)의 동작은 칩 코일 제조 장치(100)에 탑재된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러로 제어된다.
우선, 주로 도9를 참조하여, 권선 공정 및 리드선(4a, 4b)과 전극(5)의 위치 맞춤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9는 권선 공정과 위치 맞춤 공정을 시계열 순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준비로 하여 코어(1)를 코어 지지 지그(21)에 지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코어 지지 기구(10)에 있어서의 실린더(26)를 구동하고, 피스톤(27)으로 척 부재(24)를 압박함으로써, 코어 지지 지그(21)의 L자형부(23)를 개방한다. 그리고, 코어(1)에 있어서의 전극(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플랜지부(3b)를 L자형부(23)에 적재한 후, 피스톤(27)에 의한 압박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 탄성 부재(25)의 압박력에 의해 척 부재(24)의 압박부(24a)는 플랜지부(3b)를 L자형부(23)에 대해 압박하고, 코어(1)는 코어 지지 지그(21)에 지지된다.
코어(1)는 코어 지지 지그(21)로 지지된 상태에서는, 코어 지지 지그(21)의 단부로부터 전극(5)이 형성된 플랜지부(3a)와 권취 몸통부(2)가 돌출된 상태로 된다.
도선(4)은 선재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되고, 도선 압궤 기구(31)에 있어서의 관통로(46) 및 도선 권취 기구(30)의 원통 부재(36)의 중공부를 삽입 관통하고, 노즐(6)로 유도된다.
노즐(6)로부터 조출된 도선(4)은 노즐(6) 상부에 배치된 도선 보유 지지 기 구(60)의 척 부재(65)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도9의 (A)]. 척 부재(65)와 노즐(6) 사이의 도선(4)은 권취 개시 리드부(4a)이며, 소정 길이로 압궤된 평각 형상부(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코어(1)로의 권선 동작이 개시된다.
우선, 3축 이동 기구(79)를 구동하고, 제1 베이스(34) 및 제2 베이스(64)를 이동시키고, 노즐(6)의 회전축인 원통 부재(36)의 중심축을 코어(1)의 권취 몸통부(2)의 축방향과 일치시키는 동시에, 노즐(6)을 코어(1)의 권취 몸통부(2)의 외주를 향해 이동시킨다[도9의 (B)].
도선(4)의 권취 개시 리드부(4a)를 플랜지부(3b) 내벽에 접촉하도록 권취 몸통부(2)에 붙여서, 그 상태에 의해 노즐 선회 모터(40)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노즐(6)은 권취 몸통부(2)의 주위를 선회하고, 노즐(6)로부터 조출되는 도선(4)은 권취 몸통부(2)에 권취된다[도9의 (C)].
소정 권수의 권선이 종료된 후, 권선 동작을 멈추고, 도선 압궤 기구(31)의 캠 기구(47)를 구동함으로써, 도선(4)을 소정 길이 압궤하여 평각 형상으로 한다. 그리고, 도선(4)을 소정 거리 진행시킨 후, 권선 동작을 멈추고, 다시 도선(4)을 소정 길이 압궤하여 평각 형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도선(4)에는 소정 간격을 둔 2개의 평각 형상부(8, 9)가 형성된다.
다시 권선 동작을 재개하고, 최초로 압궤된 평각 형상부(8)를 전극(5)이 형성된 플랜지부(3a) 근방에 배치한다. 그리고, 노즐(6)을 이동시켜 평각 형상부(8)를 플랜지부(3a)의 정상면(3d)에 결합시킨다. 또한, 이 동작과 동시에 권취 개시 리드부(4a)를 보유 지지한 척 부재(65)도 이동시키고, 권취 개시 리드부(4a)의 평각 형상부(7)도 플랜지부(3a)의 정상면(3d)에 결합시킨다[도9의 (D)].
평각 형상부(7, 8)를 플랜지부(3a)의 정상면(3d)에 결합시킨 상태에 의해, 노즐(6) 및 척 부재(65)를 각각 코어(1)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선(4)을 신장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음 동작인 평각 형상부(7, 8)의 전극(5a, 5b)으로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평각 형상부(7, 8)를 플랜지부(3a)의 정상면(3d)에 결합시키고, 또한 신장시킨 상태에 의해 상하 이동대(80)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노즐(6) 및 척 부재(65)를 함께 하강시켜 평각 형상부(7, 8)를 플랜지부(3a)를 따라 절곡하고, 각각 전극(5a, 5b)에 위치 맞춤한다[도9의 (E)]. 또한, 상기한 도선(4)을 신장시키는 조작을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노즐(6) 및 척 부재(65)의 하강 시, 도선(4)은 완만해진 정확한 위치 맞춤이 곤란해진다.
이와 같이, 권취 개시 리드부(4a)의 평각 형상부(7)는 전극(5a)에 위치 맞춤되고, 다른 한쪽의 평각 형상부(8)는 전극(5b)에 위치 맞춤된다. 이 평각 형상부(8)가 형성되는 리드선은 권취 종료 리드부(4b)이다.
리드선(4a, 4b)과 전극(5)의 위치 맞춤은 리드선의 평각 형상부(7, 8)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평각 형상부(7, 8)는, 둥근 형태의 도선과 비교하여 플랜지부(3a) 상에 의해 어긋나기 어려워 안정된다. 따라서, 리드선을 전극(5)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맞춤할 수 있다.
척 부재(65)를 하강시켜 평각 형상부(7)를 절곡 전극(5)에 위치 맞춤하는 과 정에 의해, 도선 보유 지지 기구(60)의 장력 완화 기구(62) 및 장력 안정 기구(63)가 동작한다. 이 동작에 대해,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의 (A)는 장력 완화 기구(62)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10의 (B)는 장력 안정 기구(63)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권취 개시 리드부(4a)를 플랜지부(3a)에 결합시켜 신장시킬 때에는, 척 부재(65)를 코어(1)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권취 개시 리드부(4a)의 장력은 커진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장력 완화 기구(62)는 도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71) 내에 피스톤(72)을 수용하고, 척 부재(65)가 축(70)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해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실린더(71) 중 구동 매체를 배출하고, 피스톤(72)이 실린더(71) 중을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해도, 척 부재(65)는 요동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척 부재(65)가 코어(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후에 하강하는 과정에 의해 권취 개시 리드부(4a)의 장력이 커지는 경우라도, 척 부재(65)는 요동하여, 권취 개시 리드부(4a)의 장력을 억제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권취 개시 리드부(4a)의 장력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 부재(65)가 더 하강하면, 권취 개시 리드부(4a)는 장력 안정 기구(63)의 가이드 부재(75)의 곡면부(75a)에 접촉하여 안내된다. 이와 같이, 권취 개시 리드부(4a)가 가이드 부재(75)에 안내되었을 경우에는, 장력 완화 기구(62)의 실린더(71)를 동작시켜 척 부재(65)의 후단부를 피스톤(72) 과 보유 지지판(73)으로 끼운다. 이에 의해, 척 부재(65)는 고정되어 요동 불가능해진다.
권취 개시 리드부(4a)가 가이드 부재(75)에 안내된 상태에 있어서, 권취 개시 리드부(4a)의 장력이 변동되었을 경우에는, 그 장력의 변동은 가이드 부재(75)와 척 부재(65) 사이에 개재된 코일 스프링(76)에 의해 흡수된다. 이와 같이, 권취 개시 리드부(4a)를 전극(5)에 위치 맞춤할 때, 장력 안정 기구(63)의 작용에 의해 권취 개시 리드부(4a)의 장력을 안정시키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11을 참조하여, 권취 개시 리드부(4a)의 평각 형상부(7)와 전극(5a) 및 권취 종료 리드부(4b)의 평각 형상부(8)와 전극(5b)의 접합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은 도선 접합 공정을 시계열 순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의 (E)에 도시한 리드선(4a, 4b)과 전극(5)을 위치 맞춤한 상태로부터, 노즐(6) 및 척 부재(65)를 더 하강시킨다. 이때, 코어(1)의 하방에는 한 쌍의 클램프(28)가 개방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양쪽의 리드선을 클램프(28)의 개방부에 통과시켜 하강시킨다[도11의 (A)].
노즐(6)을 하강시킴으로써, 도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6)로부터는 소정 간격을 둔 2개의 평각 형상부(8, 9) 중, 후에 압궤된 평각 형상부(9)가 조출된다.
개방하고 있던 클램프(28)를 폐쇄하고, 양쪽의 리드선을 고정 및 보유 지지한다. 권취 종료 리드부(4b)측을 고정 및 보유 지지하는 클램프(28)는 평각 형상부(8, 9)의 사이를 고정 및 보유 지지한다[도11의 (B)].
다음에, 척 부재(65)에 있어서의 압박판(66)에 의한 권취 개시 리드부(4a)의 끼움 지지를 해제한다. 그리고, 척 부재(65)를 이동시키고, 권취 종료 리드부(4b)에 있어서의 클램프(28)와 후에 압궤된 평각 형상부(9) 사이를 보유 지지한다[도11의 (C)].
척 부재(65)가 권취 종료 리드부(4b)를 보유 지지한 상태로, 척 부재(65)와 노즐(6)은 권선 공정의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 동작에 따라, 권취 종료 리드부(4b)는 절단된다[도11의 (D)]. 초기 위치로 복귀한 척 부재(65)가 보유 지지하는 도선(4)은, 다음에 권선되는 코어(1)의 권취 개시 리드부(4a)가 된다. 즉, 도선 압궤 기구(31)에 의해 성형된 2개의 평각 형상부(8, 9) 중, 후에 압궤된 평각 형상부(9)는 권취 개시 리드부(4a)의 평각 형상부가 된다.
권취 종료 리드부(4b)의 절단 후, 인덱스대(13)를 회전시켜 권선 공정 및 위치 맞춤 공정이 종료된 코어(1)를 리드선 접합 기구(12)에 대향시킨다.
가열된 히터 칩(96)을 전진시키고, 돌출부(96a)로 권취 개시 리드부(4a)의 평각 형상부(7) 및 권취 종료 리드부(4b)의 평각 형상부(8)를, 각각 전극(5a, 5b)에 대해 압박한다[도11의 (E)].
평각 형상부(7, 8)는 압궤되어 있으므로, 평각 형상부(7, 8)의 절연 피막은 얇게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평각 형상부(7, 8)는 압궤되어 높이가 낮기 때문에, 히터 칩(96)을 땜납에 근접하게 할 수 있고, 히터 칩(96)의 열이 땜납에 전해지기 쉽다. 따라서, 히터 칩(96)은 평각 형상부(7, 8)의 절연 피막 및 전극(5)의 표면에 형성된 땜납의 양쪽을 용이하게 용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12 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땜납(107)을 거쳐서 평각 형상부(7, 8)의 측면부와 전극(5)이 접합된다.
평각 형상부(7, 8)는 평평하게 압궤되어 있으므로 높이가 낮다. 따라서, 도12의 (B)에 도시한 둥근 형태의 도선(4)인 경우와 비교하여, 측면부에 의한 땜납(107)의 빨아 올림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극(5)에 있어서의 땜납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어, 땜납 필렛부(107)를 크게 남길 수 있으므로, 그 후에 다른 전자 부품을 전극(5)에 접속할 때의 접속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도8 및 도13을 참조하여, 도선 절단 기구(103)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은 커터(104)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13은 도선 압박 부재(105)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접합 공정의 종료 후,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선 접합 기구(12)의 하부에 배치된 커터(104)를 전진시키고, 접촉부(104a)를 권취 개시 리드부(4a)와 권취 종료 리드부(4b) 사이를, 플랜지부(3a)에 있어서의 외측면(3c)의 전극(5)의 하부에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권취 개시 리드부(4a) 및 권취 종료 리드부(4b)에는 커터부(104b)에 의해 절입(106)이 부여된다. 그 후에 절입을 부여한 커터(104)는 후퇴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에,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터(104)의 하부에 배치된 도선 압박 부재(105)를 전진시키고, 권취 개시 리드부(4a) 및 권취 종료 리드부(4b)에 있어서의 절입(106)과 클램프(28) 사이를 압박한다. 이에 의해, 절입(106)과 클램프(28) 사이의 장력이 커지고, 절입(106)에 힘이 집중되어 권취 개시 리드부(4a) 및 권취 종 료 리드부(4b)는 절입(106)으로부터 절단된다.
또한, 권취 개시 리드부(4a) 및 권취 종료 리드부(4b)에 있어서의 절입(106)과 클램프(28) 사이의 장력을 크게 하는 방법으로서, 코어(1)와 클램프(28)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선 압박 부재(105)의 설치는 불필요해진다.
종래는, 리드선의 절단은 플랜지부의 단부에 리드선을 걸쳐 인장함으로써 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플랜지부가 파손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도선 절단 기구(103)에 의한 리드선의 절단 방법에 따르면, 미리 리드선에 절입(106)을 부여하고, 그 절입(106)에 힘을 집중시킴으로써 리드선을 절단하므로, 절단에 즈음하여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플랜지부(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칩 코일 제조 장치(100)에 의해 칩 코일이 제조된다. 칩 코일 제조 장치(100)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칩 코일에 있어서의 리드선은 평각 형상이므로, 칩 코일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칩 코일의 치수를 원하는 치수 내에 들어오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상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발휘한다.
리드선의 전극(5)으로의 접합은, 미리 도선(4)을 평각 형상으로 성형하고, 그 평각 형상부를 전극(5)에 대해 가열 압박함으로써 행해지므로, 종래의 둥근 형태의 도선인 경우와 같이 큰 힘으로 전극(5)에 대해 압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극(5)이나 플랜지부(3)를 파손할 가능성이 낮고, 리드선과 전극(5)의 접합 상태 가 안정된 칩 코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리드선과 전극(5)의 위치 맞춤은 리드선의 평각 형상부(7, 8)를 플랜지부(3)에 결합함으로써 행해진다. 평각 형상부(7, 8)는 둥근 형태의 도선과 비교하여 플랜지부(3) 상에 의해 어긋나기 어려워 안정된다. 따라서, 리드선을 전극(5)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맞춤할 수 있다.
또한, 전극(5)에 접합하는 리드선이 평각 형상이므로, 둥근 형태의 도선인 경우와 비교하여 리드선으로의 땜납의 적재를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땜납 필렛부를 크게 남길 수 있으므로, 그 후에 다른 전자 부품을 전극(5)에 접속할 때의 접속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권취 개시 리드부(4a) 및 권취 종료 리드부(4b)에 대응하는 전극(5a, 5b)은 코어(1)에 있어서의 한쪽의 플랜지부(3)의 외측면(3c)에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권취 개시 리드부(4a) 및 권취 종료 리드부(4b)와 전극(5)의 접합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칩 코일을 제조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14 및 도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칩 코일 제조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14는 칩 코일 제조 장치(2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15는 권선 공정과 위치 맞춤 공정을 시계열 순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칩 코일 제조 장치(200)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칩 코일 제조 장치(100)의 차이점은, 도선(4)을 평각 형상으로 압궤하는 타이밍이 다른 점이 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칩 코일 제조 장치(1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칩 코일 제조 장치(100)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칩 코일 제조 장치(100)에서는, 제1 베이스(34) 상에 도선 압궤 기구(31)가 배치되고, 도선(4)은 노즐(6)로 유도되기 전에 도선 압궤 기구(31)에 의해 평각 형상으로 압궤된다.
이에 대해, 칩 코일 제조 장치(200)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선 압궤 기구(31)를 대신하고, 기반(14) 상에서 권선 기구(11)에 대향하는 코어 지지 기구(10)의 근방에 배치되는 도선 압궤 기구(201)를 더 구비한다.
도선 압궤 기구(201)는 도선(4)의 일부를 평각 형상으로 압궤하는 압박 기구(202)와, 압박 기구(202)를 도선(4)에 안내하는 안내 기구(203)를 구비한다.
압박 기구(202)는 지지 부재(204)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압박판(205a, 205b)을 구비한다. 한 쌍의 압박판(205a, 205b)은 지지 부재(204)의 내주 바닥면에 마련된 레일(도시 생략)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배치되고, 실린더 등의 구동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선(4)은 한 쌍의 압박판(205a, 205b)에 의해 끼워져 압박됨으로써 평각 형상으로 압궤된다.
여기서, 지지 부재(204)의 내주 바닥면에 마련되는 레일은 코어(1)의 권취 몸통부(2)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한 쌍의 압박 판(205a, 205b)은 도선(4)을 끼움 지지하는 압박면이 코어(1)의 플랜지부(3a)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 및 압박판(205a, 205b)을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한 쌍의 압박판(205a, 205b)에 의해 압궤된 도선(4)의 평각 형상부는 플랜지부(3a)에 형성된 전극(5)의 표면과 평행하게 성형되므로, 그 후에 행해지는 도선(4)과 전극(5)의 접합이 용이해진다.
안내 기구(203)는 하우징(206)과, 하우징(206)의 단부에 설치된 모터(207)와, 모터(207)의 출력축에 결합하는 볼 나사(208)와, 볼 나사(208)가 나사 결합되는 이동대(209)로 이루어지는 이동 기구(210)를 1쌍 구비한다.
한쪽의 이동 기구(210)는 기반(14) 상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다른 쪽의 이동 기구(210)는 연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서로의 이동대(209)는 연결 부재(211)에 의해 결합되고, 지지 부재(204)는 다른 쪽의 이동 기구(210)의 이동대(209)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204)에 지지된 한 쌍의 압박판(205a, 205b)은 수평하게 연직의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반(14) 상에 배치되는 한쪽의 이동 기구(210)는 볼 나사(208)가 코어(1)의 권취 몸통부(2)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도15를 참조하여, 칩 코일 제조 장치(200)에 의한 권선 공정 및 리드선(4a, 4b)과 전극(5)의 위치 맞춤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코어(1)에 권선을 행하는 데 있어서의 준비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지만, 다른 점은 도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선을 개시할 때에 권취 개시 리드부(4a)에 평각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이다.
우선, 3축 이동 기구(79)를 구동하고, 노즐(6)의 회전축을 코어(1)의 권취 몸통부(2)의 축방향과 일치시키는 동시에, 노즐(6)을 권취 몸통부(2)의 외주를 향해 이동시킨다[도15의 (B)].
다음에, 노즐 선회 모터(40)를 구동함으로써, 권취 몸통부(2)에 도선(4)을 몇 바퀴 권선한다. 이 상태에 의해, 안내 기구(203)를 구동하여 압박 기구(202)를 이동시키고, 한 쌍의 압박판(205a, 205b) 사이에 권취 개시 리드부(4a)가 위치하도록 압박 기구(202)를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도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부재에 의해 한 쌍의 압박판(205a, 205b)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권취 개시 리드부(4a)를 압박한다. 이에 의해, 권취 개시 리드부(4a)에는 평각 형상부(7)가 형성된다. 권취 개시 리드부(4a)로의 평각 형상부(7)의 성형 후, 압박 기구(202)를 후퇴시킨다.
다음에, 노즐 선회 모터(40)를 구동하여 권선 동작을 재개시켜 권취 몸통부(2)에 소정 권수의 권선을 종료한 후, 권선 동작을 멈춘다.
다음에, 도1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6)을 전극(5b)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의 노즐(6)로부터 권취 몸통부(2)까지의 도선(4)이 권취 종료 리드부(4b)이다. 그리고, 다시 안내 기구(203)를 구동하고, 압박 기구(202)에 의해 권취 종료 리드부(4b)에도 평각 형상부(8)를 형성한다. 권취 종료 리드부(4b)로의 평각 형상부(8)의 성형 후, 압박 기구(202)를 후퇴시킨다.
다음에, 도15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개시 리드부(4a)를 보유 지지한 척 부재(65)와 노즐(6)의 양쪽을 이동시키고, 권취 개시 리드부(4a)의 평각 형 상부(7) 및 권취 종료 리드부(4b)의 평각 형상부(8)를 플랜지부(3a)의 정상면(3d)에 결합시킨다.
그 후, 도15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이동대(80)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노즐(6) 및 척 부재(65)를 함께 하강시키고 평각 형상부(7, 8)를 플랜지부(3a)를 따라 절곡하고, 각각 전극(5a, 5b)에 위치 맞춤한다. 이와 같이, 권취 개시 리드부(4a)의 평각 형상부(7)는 전극(5a)에 위치 맞춤되고, 권취 종료 리드부(4b)의 평각 형상부(8)는 전극(5b)에 위치 맞춤된다.
다음 공정인 평각 형상부(7)와 전극(5a) 및 평각 형상부(8)와 전극(5b)의 접합 공정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등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권취 개시 리드부(4a)로의 평각 형상부(7)의 성형은 권취 몸통부(2)에 도선(4)을 몇 바퀴 권선한 후에 행하였지만, 권취 종료 리드부(4b)로의 평각 형상부(8)의 성형과 같은 타이밍으로 행해도 좋다. 즉, 권취 몸통부(2)에 소정 권수의 권선을 종료한 후에, 권취 개시부(4a) 및 권취 종료 리드부(4b)에 대해 순차적으로 평각 형상부(7, 8)를 성형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칩 코일 제조 장치(200)에서는 권취 개시 리드부(4a) 및 권취 종료 리드부(4b)로의 평각 형상부(7, 8)의 성형은, 평각 형상부(7, 8)를 전극(5a, 5b)에 위치 맞춤하기 직전에 전극(5a, 5b)의 근방에서 행해진다. 즉, 권취 개시 리드부(4a) 및 권취 종료 리드부(4b)를 전극(5a, 5b)으로 유도한 후에, 평각 형상부(7, 8)의 성형이 행해진다.
이상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칩 코일은, 주로 소형 전자 기기에 이용되는 것이므로, 극소의 코어(1) 및 아주 가는 도선(4)이 이용될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도선(4)을 권선하기 전[전극(5)으로 유도되기 전]에 미리 도선(4)의 일부를 압궤하여 평각 형상부(7, 8)로 하는 방법으로는, 권선 중에 도선(4)의 평각 형상부(7, 8)에 의해 단선되어 버릴 경우가 있다. 또한, 코어(1)에 형성되는 전극(5)도 극소하므로, 미리 성형한 평각 형상부(7, 8)를 전극(5)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칩 코일 제조 장치(200)는 권취 개시 리드부(4a) 및 권취 종료 리드부(4b)를 전극(5a, 5b)으로 유도한 후에 평각 형상부(7, 8)의 성형을 행하는 것이고, 평각 형상부(7, 8)의 성형 후에 도선(4)의 권선이 행해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평각 형상부(7, 8)가 배치되는 일이 없으므로, 평각 형상부(7, 8)에 의해 단선되는 일은 없고, 또한 전극(5)이 극소일지라도 평각 형상부(7, 8)를 정확하게 전극(5a, 5b)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인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칩 코일의 제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전에 도선을 평각 형상으로 압궤한 후에, 그 평각 형상부를 가열 압박하여 전극에 접합시키기 위해, 도선을 큰 힘으로 플랜지부에 압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플랜지부나 전극을 파손시킬 가능성이 낮고, 도선과 전극의 접합 상태가 안정된 칩 코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양단부에 플랜지부를 갖는 코어의 권취 몸통부에 도선이 권선된 칩 코일의 제조 장치이며,
    상기 도선을 조출하는 도선 조출 부재와,
    상기 도선 조출 부재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코어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시킴으로써 도선을 상기 코어의 권취 몸통부에 권취하는 도선 권취 수단과,
    상기 도선을 소정 길이 압궤하여 미리 평각 형상으로 하는 도선 압궤 수단과,
    상기 도선의 평각 형상부를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전극에 가열 압박하여, 상기 평각 형상부와 상기 전극을 접합하는 접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코일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수단은 상기 전극의 표면에 형성된 땜납을 거쳐서, 상기 평각 형상부의 측면과 상기 전극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코일의 제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도선의 양단부의 권취 개시 리드부 및 권취 종료 리드부에 대응하는 2개의 전극을 갖고,
    상기 도선 압궤 수단에 의해 상기 권취 개시 리드부 및 상기 권취 종료 리드부의 각각에 상기 평각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전극은 한쪽의 플랜지부의 외측면에 병렬로 형성되고,
    상기 접합 수단에 의해 상기 권취 개시 리드부 및 상기 권취 종료 리드부의 상기 평각 형상부를 각각 상기 전극에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코일의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개시 리드부의 선단부를 보유 지지하는 도선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도선 보유 지지 부재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도선의 장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도선 보유 지지 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하는 장력 완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코일의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 보유 지지 부재에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마련되고, 상기 도선 보유 지지 부재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도선이 안내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권취 개시 리드부를 상기 전극에 위치 맞춤할 때, 상기 도선 보유 지지 부재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도선의 장력을 안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코일의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 보유 지지 부재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도선이 상기 가이드 부재로 안내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장력 완화 기구는 상기 도선 보유 지지 부재를 요동 불가능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코일의 제조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각 형상부와 상기 전극의 접합 후, 상기 권취 개시 리드부 및 상기 권취 종료 리드부의 연장부에 절입을 부여하는 절입 부여구를 구비하고,
    상기 절입과 상기 연장부를 보유 지지하는 연장부 보유 지지 부재 사이의 장력을 크게 함으로써 상기 권취 개시 리드부 및 권취 종료 리드부를 상기 절입으로부터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코일의 제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 부여구의 선단부는,
    상기 권취 개시 리드부와 상기 권취 종료 리드부 사이를 지나 상기 플랜지부에 접촉하는 볼록형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 개시 리드부 및 상기 권취 종료 리드부에 대해 절입을 부여하는 커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코일의 제조 장치.
  9. 양단부에 플랜지부를 갖는 코어의 권취 몸통부에 도선이 권선된 칩 코일의 제조 방법이며,
    도선을 압궤함으로써 소정 간격을 둔 2개의 평각 형상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한쪽의 평각 형상부가 도선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된 권취 개시 리드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평각 형상부가 권취 종료 리드부에 배치되도록 권선을 행하는 공정과,
    상기 권취 개시 리드부 및 상기 권취 종료 리드부의 평각 형상부를 각각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전극에 위치 맞춤하는 공정과,
    각각의 상기 평각 형상부를 상기 전극에 가열 압박하여, 상기 평각 형상부와 상기 전극을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코일의 제조 방법.
  10. 양단부에 플랜지부를 갖는 코어의 권취 몸통부에 도선이 권선된 칩 코일의 제조 방법이며,
    도선을 상기 코어의 권취 몸통부에 권취하는 공정과,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전극에 유도된 도선의 권취 개시 리드부 및 권취 종료 리드부를 압궤함으로써, 권취 개시 리드부 및 권취 종료 리드부에 평각 형상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권취 개시 리드부 및 상기 권취 종료 리드부의 평각 형상부를 각각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전극에 위치 맞춤하는 공정과,
    각각의 상기 평각 형상부를 상기 전극에 가열 압박하여, 상기 평각 형상부와 상기 전극을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코일의 제조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한쪽의 플랜지부의 외측면에 병렬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 맞춤은,
    상기 권취 개시 리드부 및 상기 권취 종료 리드부의 평각 형상부를, 상기 한쪽의 플랜지부의 정상면에 결합시키고,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절곡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코일의 제조 방법.
KR1020070019306A 2006-02-28 2007-02-27 칩 코일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0882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2168 2006-02-28
JP2006052168 2006-02-28
JPJP-P-2007-00006076 2007-01-15
JP2007006076A JP4875991B2 (ja) 2006-02-28 2007-01-15 チップコイ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612A KR20070089612A (ko) 2007-08-31
KR100882672B1 true KR100882672B1 (ko) 2009-02-06

Family

ID=38614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306A KR100882672B1 (ko) 2006-02-28 2007-02-27 칩 코일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75991B2 (ko)
KR (1) KR100882672B1 (ko)
CN (1) CN101051558B (ko)
TW (1) TW2007351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2914B2 (ja) * 2006-03-01 2011-08-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KR101134005B1 (ko) 2008-04-15 2012-04-06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공심 코일의 권선방법 및 권선장치
JP5351614B2 (ja) * 2009-06-03 2013-11-27 カヤバ工業株式会社 電動モータのブラシ装置
CN102594051A (zh) * 2011-01-07 2012-07-18 山东中际电工装备股份有限公司 推线压线装置
JP5879769B2 (ja) * 2011-06-22 2016-03-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巻線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巻線型電子部品
JP6004568B2 (ja) * 2012-07-25 2016-10-12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チップコイルの製造方法
JP6016299B2 (ja) * 2012-12-16 2016-10-26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JP6112714B2 (ja) 2013-04-12 2017-04-12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イル製造装置
CN103752728B (zh) * 2014-01-28 2016-03-23 昆山库克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线圈加热装置
JP6315792B2 (ja) * 2014-05-15 2018-04-25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イル製造装置
CN105047392B (zh) * 2015-08-01 2017-04-12 中山捷航自动化科技有限公司 绕线焊锡机
TWI576875B (zh) * 2016-03-17 2017-04-01 All Ring Tech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winding core wire
TWI594827B (zh) * 2016-03-17 2017-08-11 All Ring Tech Co Ltd Iron core winding wire welding method and device
TWI595520B (zh) * 2016-03-17 2017-08-11 All Ring Tech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 wire core
CN109360730B (zh) * 2018-11-13 2020-10-13 赵娟 压缩机用电磁离合器线圈全自动装配系统
CN109273251B (zh) * 2018-11-13 2020-06-30 阜阳佰恩得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电感线圈用半自动上料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7008A (en) * 1997-05-14 2000-02-2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electric wire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003272922A (ja) 2002-03-19 2003-09-26 Tdk Corp コイル封入圧粉磁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70664A (ko) * 2003-02-04 2004-08-11 주식회사 다코웰 칩 코일 권선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4090A1 (en) * 1999-06-01 2000-12-07 Pulse Engineering, Inc. Simplified laminar core transform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3262107B2 (ja) * 1999-08-26 2002-03-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2463928Y (zh) * 2000-08-24 2001-12-05 范云光 嵌入端子式的铁芯结构
JP3755488B2 (ja) * 2001-08-09 2006-03-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巻線型チップコイルおよびその特性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7008A (en) * 1997-05-14 2000-02-2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electric wire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003272922A (ja) 2002-03-19 2003-09-26 Tdk Corp コイル封入圧粉磁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70664A (ko) * 2003-02-04 2004-08-11 주식회사 다코웰 칩 코일 권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51558B (zh) 2011-05-18
JP4875991B2 (ja) 2012-02-15
TW200735139A (en) 2007-09-16
JP2007266578A (ja) 2007-10-11
KR20070089612A (ko) 2007-08-31
TWI326088B (ko) 2010-06-11
CN101051558A (zh)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672B1 (ko) 칩 코일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5227682B2 (ja) ステータ製造装置
JP2016517152A (ja) ケーブルを切断し、ケーブルから絶縁体を剥離し、ケーブルを圧着端子に取り付けるためのケーブル処理装置
JPH05331788A (ja) ワイヤ圧着装置
JP2019021375A (ja) 端子付き電線、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US20200114447A1 (en) Wire Fixation Apparatus And Soldering Method
JP2008103445A (ja) ピンコネクタ圧入治具装置および同装置を取扱うピンコネクタ圧入治具取扱装置
CN109103131B (zh) 用于芯片的切割装置
JP2010015701A (ja) 端子圧着装置
JP2004288546A (ja) 電線圧接装置
KR100968292B1 (ko) 보이스 코일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414966B1 (ko)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 및 인서트방법
CN113059296B (zh) 一种能够提高倒刺线末端焊接效率和质量的设备
JP2709690B2 (ja) 多心電線の電線被覆ストリップ兼端子圧着機における電線供給装置および電線保持用治具
CN220028997U (zh) 一种卷芯极耳超声焊接夹具
CN218225430U (zh) 一种安全性高的旋钮零件组合装置
JPH07335807A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ード端子の成形装置
CN212968439U (zh) 一种子弹头造型的接线端子用黄铜片自动加工生产设备
CN219684265U (zh) 压紧装置及线切割设备
CN116154578B (zh) 一种电子线压接切线治具
JP5412393B2 (ja) コイルリードの切断方法および切断装置
JP2951348B2 (ja) コイル巻線機
TW201342500A (zh) 固定元件接合裝置及其固定元件供應模組
JPH09320882A (ja) リード線組付け装置
JP3119432B2 (ja) トリミング機構を備えた電線被覆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