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966B1 -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 및 인서트방법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 및 인서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966B1
KR100414966B1 KR10-2001-0074374A KR20010074374A KR100414966B1 KR 100414966 B1 KR100414966 B1 KR 100414966B1 KR 20010074374 A KR20010074374 A KR 20010074374A KR 100414966 B1 KR100414966 B1 KR 100414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bbin
reference block
frame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6014A (ko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테크 filed Critical (주)에스엠테크
Priority to KR10-2001-0074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966B1/ko
Publication of KR20020006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0Connecting leads to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공정이 간소화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면서도 원자재의 소모량이 줄어들어 코스트가 절감되고,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된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 및 인서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빈(70) 하단부의 단자삽입공(73)에 와이어(33)를 삽입하고 이 와이어(33)를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단자핀(75)을 형성하는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에 있어서,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설치되며 그 일측면에는 보빈(70) 안착홈(21)이 구비되며 이 안착홈(21)에는 타측으로 관통되는 와이어삽입공(23)이 형성된 기준블록(20)과, 이 기준블록(20)의 안착홈(21)을 향해 왕복이송되면서 보빈(70)을 안착홈(21)에 공급하는 보빈공급수단(25,26)과, 상기 프레임(10)의 일단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와이어 권취롤(30)과,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왕복이송되면서 와이어 권취롤(30)에 감겨진 와이어(33)를 기준블록(20)의 와이어삽입공(23)을 통해 보빈(70)의 단자삽입공(73)에 끼워넣는 이송유닛(40)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보빈(70)에 삽입된 와이어(33)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커터유닛(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 및 인서트방법 {Insert apparatus for transformer terminal and Inser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 및 인서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공정이 간소화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면서도 원자재의 소모량이 줄어들어 코스트가 절감되고,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된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 및 인서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 등에 실장되는 소형 트랜스포머는 도1에서와 같이, 코일이 권취된 원통형 보빈(70)과, 이 보빈(70)의 하단부에 소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인쇄회로기판(80)의 회로패턴(85)과 접속되는 다수개의 단자핀(75)으로 구성되어, 접속된 각각의 회로패턴(85)에 필요한 전압의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트랜스포머는 인쇄회로기판(80)에 실장되는 형태에 따라 크게 딥(dip) 타입과, 표면실장(Surface Mounted Device) 타입으로 구분된다. 이중,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딥 타입은 단자핀이 인쇄회로기판의 인서트홀에 삽입되어 이 인서트홀 둘레의 회로패턴과 솔더링됨에 반해, 도1의 표면실장 타입은 단자핀(75)이 인쇄회로기판(80)의 회로패턴(85)에 얹혀져 솔더링되어 접속된 각각의 회로패턴(85)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표면실장 타입의 트랜스포머는 회로기판(80)에 별도의 인서트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인쇄회로기판(80)에 실장시 단자핀(75)이 휘어지거나 손상될 염려가 적어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표면실장 타입의 트랜스포머는 도시되지 않은 얇은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원하는 형태의 리드프레임을 성형한 후, 이 리드프레임이 보빈(70)의 양측 하단부에 인서트되도록 보빈(70)을 사출 성형하고, 상기 리드프레임의 연결부를 절단해내어 상기 보빈(70)에 다수개의 단자핀(75)이 소정간격으로 구비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트랜스포머를 제조하게 되면, 금속판을 별도로 프레스 가공하여 리드프레임을 성형한 후 이 리드프레임을 금형에 장착하여 보빈(70)을 사출성형하고, 이 보빈(70)에 장착된 리드프레임의 연결부를 절단하여 각각의 단자핀(75)으로 개별화하는 등의 복잡한 제조공정이 필요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상기 리드프레임을 성형하기 위한 도전성 금속판 등 원자재의 소모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종래의 표면실장 타입의 트랜스포머는 상기 보빈(70)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져 인쇄회로기판(80)에 솔더링시 이 보빈(70)이 가열 연화되어 보빈(70)에 인서트 된 단자핀(75)이 유동되면서 접속불량을 초래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면서도, 원자재의 소모량이 줄어들고, 단자핀이 보빈에 정위치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된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 및 인서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트랜스포머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커터유닛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송유닛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방법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20 : 기준블록
21 : 안착홈 30 : 와이어 권취롤
33 : 와이어 40 : 이송유닛
50 : 커터유닛 60 : 스퀴즈유닛
70 : 보빈 73 : 단자삽입공
본 발명에 따르면, 보빈(70) 하단부의 단자삽입공(73)에 와이어(33)를 삽입하고 이 와이어(33)를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단자핀(75)을 형성하는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에 있어서,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설치되며 그 일측면에는 보빈(70) 안착홈(21)이 구비되며 이 안착홈(21)에는 타측으로 관통되는 와이어삽입공(23)이 형성된 기준블록(20)과, 이 기준블록(20)의 안착홈(21)을 향해 왕복이송되면서 보빈(70)을 안착홈(21)에 공급하는 보빈공급수단(25,26)과, 상기 프레임(10)의 일단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와이어 권취롤(30)과,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왕복이송되면서 와이어 권취롤(30)에 감겨진 와이어(33)를 기준블록(20)의 와이어삽입공(23)을 통해 보빈(70)의 단자삽입공(73)에 끼워넣는 이송유닛(40)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보빈(70)에 삽입된 와이어(33)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커터유닛(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고정되며 그 일면에는 보빈 안착홈(21)이 형성된 기준블록(20)과, 다수개의 와이어 권취롤(30)과, 이 와이어 권취롤(30)에 감겨진 와이어(33)를 기준블록(20)의 보빈(70)에 끼워넣는 이송유닛(40)과, 상기 와이어(33)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유닛(50)을 포함하는 인서트장치에 의해 보빈(70)의 단자삽입공(71)에 단자핀(75)을 끼워넣는 트랜스포머의단자핀 인서트방법에 있어서, 트랜스포머의 보빈(70)을 기준블록(20)의 안착홈(21)에 삽입 고정하는 보빈 고정단계(S1)와, 다수가닥의 와이어(33)를 이송유닛(40)에 의해 와이어(33)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켜 이 와이어(33)의 선단부가 기준블록(20)에 고정된 보빈(70)의 단자삽입공(73)에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와이어 삽입단계(S-2~S-4)와, 보빈(70)에 억지끼움된 와이어(33)를 커터유닛(50)에 의해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와이어 절단단계(S-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삽입단계(S-2~S-4)는 장방형 단면을 갖는 와이어(33)를 장변이 보빈(70)의 상하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삽입하며, 상기 와이어 절단단계(S-6)는 커터유닛(50)을 보빈(70)의 상부쪽으로 이송시켜 절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트랜스포머는 열경화성 수지로 된 보빈(70)의 단자삽입공(73)에 다수가닥의 와이어(33)를 억지끼움한 후 이 와이어(33)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 및 절곡하여 단자핀을 형성하고, 상기 보빈(70)에 코일을 권취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트랜스포머의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단자핀 인서트장치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고정되며 그 일면에는 보빈 안착홈(21)이 형성된 기준블록(20)과, 이 기준블록(20)의 안착홈(21)을 향해 왕복이송되면서 보빈(70)을 안착홈(21)에 공급하는 보빈공급수단(25,26)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된 다수개의 와이어 권취롤(30)과, 이 와이어 권취롤(30)에 감겨진 와이어(33)를 안착홈(21)에 고정된 보빈(70)에 끼워넣는 이송유닛(40)과, 상기 와이어(33)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유닛(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하단부에 배치된 기대(11)와, 이 기대(11)의 상단 양측에 상부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3)과, 이 가이드레일(13)의 상단부에 설치된 브래킷(1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대(11)의 중앙부에는 모터(18)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수직의 구동축(19)이 구비되며, 이 구동축(19)에는 다수개의 캠(14~17)이 설치되어 서로 동기화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상단부의 브래킷(12)에는 다수개의 와이어 권취롤(30)이 구비된다.
상기 기준블록(20)은 구동축(19)과 직교되도록 설치된 것으로, 그 저면에는 상부로 오목한 안착홈(21)이 형성되어 트랜스포머의 보빈(70)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이 안착홈(21)에는 상부로 관통된 다수개의 와이어삽입공(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빈공급수단(25,26)은 기준블록(20)의 안착홈(21) 하측에 설치되어 보빈(70)을 안착홈(21)에 단위수량씩 공급해주는 것으로, 캠(17a)에 접촉되어 회동승강되는 레버(17b)와, 이 레버(17b)의 선단에 접촉되어 승강작동되면서 보빈(70)을 안착홈(21)에 공급하는 푸셔(25)와, 이 푸셔(25)에 연결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피더로부터 공급되는 보빈(70)을 푸셔(25)의 상면에 하나씩 적재되도록 안내해주는 가이드레일(26)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유닛(40)은 가이드레일(13)을 따라 승강되면서 와이어 권취롤(30)에 감겨진 와이어(33)를 하강시켜 기준블록(20)에 고정된 보빈(70)의 단자삽입공(73)에 끼워넣는 기구로서, 저면에 직경방향으로 가이드홈(42)이 형성된 가이드블록(41)과, 이 가이드블록(41)의 가이드홈(42)을 따라 서로 가압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한 쌍의 클램프(43)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45)에 의해 상기 캠(15)에 접촉되어 가이드블록(44)의 중앙에서 회동되며 양측에는 한 쌍의 경사장공(46)이 구비된 회동블록(44)과, 상기 클램프(43)에 장착되어 회동블록(44)의 경사장공(46)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진 한 쌍의 연결핀(47)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블록(44)이 캠(15)에 의해 회동됨에 따라 한 쌍의 클램프(43)가 회동블록(44)의 경사장공(46)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서로 벌어지거나 가압밀착되도록 슬라이드되면서 한 쌍의 클램프(43) 사이로 통과되는 와이어(33)를 클램핑하거나 클램핑해제하게 된다.
이러한 이송유닛(40)은 가이드레일(13)의 상측에 구비된 또 다른 캠(14)과 연결되어 승강작동되면서, 하강시에는 상기 클램프(42)에 의해 와이어(33)를 클램핑하고 상승시에는 와이어(33)의 클램핑을 해제하여 이 이송유닛(40)이 승강됨에 따라 와이어(33)가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터유닛(50)은 보빈(70)의 단자삽입공(73)에 끼워진 와이어(33)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것으로서, 이 와이어(33)를 절단할 수 있으면 모두 적용가능하나,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4에서와 같이, 저면에 가이드레일(55)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와이어통과공(54)이 형성된 고정블록(53)과, 이 고정블록(53)의 가이드레일(55)을 따라 전후진되며 저면에는 안착홈(21)이 형성된 기준블록(20)과, 상기 캠(17)에 접촉되어 회동되면서 기준블록(20)을 전후진시키는 레버(57)와, 상기 기준블록(20)을 원위치로 복귀시켜주는 스프링(56)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준블록(20)이 고정블록(53)에 대해 일측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와이어(33)를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 외에도, 상기 가이드레일(13)에는 와이어(33)의 소정부위에 앰보싱돌기(34)를 형성하는 스퀴즈유닛(60)이 구비된다. 이 스퀴즈유닛(60)은 전술한 이송유닛과 동일 유사하게 구성되고, 단지 한 쌍의 클램프(63) 선단을 얇게 형성하여 이 한 쌍의 클램프(63)가 와이어(33)를 양측에서 가압하게 되면, 와이어(33)의 가압부가 찌그러지면서 가압되지 않은 쪽으로 엠보싱돌기(34)가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엠보싱돌기(34)는 이송유닛(40)에 의해 하강되는 와이어(33)의 선단부에 형성되도록 위치조절하여 와이어(33)가 보빈(70)의 단자삽입공(73)에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방법을 도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자핀 인서트방법은 도2의 보빈(70)을 기준블록(20)의 안착홈(21)에 삽입 고정하는 보빈 고정단계(S-1)와, 다수가닥의 와이어(33)를 이송유닛(40)에 의해 하강시켜 이 와이어(33)의 선단부가 보빈(70)의 단자삽입공(73)에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와이어 삽입단계(S-2~S-4)와, 보빈(70)에 억지끼움된와이어(33)를 커터유닛(50)에 의해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와이어 절단단계(S-6)로 구성된다.
상기 보빈 고정단계(S-1)는 슈트(26)를 통해 이송 공급된 보빈(70)이 푸셔(25)에 담겨진 후 이 푸셔(25)가 캠(17a)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레일(13)을 따라 상승되어 기준블록(20)의 안착홈(21)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기준블록(20)의 안착홈(21)은 그 입구측에 상협하광한 테이퍼부(22)가 형성되어 푸셔(25)에 의해 상승되는 보빈(70)을 안착홈(21)에 자동적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삽입단계(S-2~S-4)는 이송유닛(40)이 와이어(33)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캠(14)에 의해 하강하여 이 와이어(33)의 선단이 기준블록(20)의 안착홈(21)에 삽입 고정된 보빈(70)의 단자핀삽입공(73)에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과정(S-2)과, 상기 이송유닛(40)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S-3~S-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와이어(33)가 보빈(70)에 억지끼움된 후에는 상기 기준블록(20)이 캠(17)에 의해 일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와이어(33)를 기준블록(20)과 고정블록(53)에 의해 절반쯤 절단된 상태 즉, 와이어(33)가 완전히 절단되지 않고 기준블록(20)과 고정블록(53)에 의해 물려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S-3), 이어서, 상기 이송유닛(40)이 캠(14)을 따라 원위치로 상승된다(S-4). 이러한 이송유닛(40)의 상승시에는 이송유닛(40)을 구성하는 클램프(42)가 캠(15)에 의해 서로 벌려져 와이어(33)의 클램핑상태를 해제하여 보빈(70)에 삽입된 와이어(33)는 상승되지 않고 이송유닛(40)만이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와이어(33)의 소정부위가 캠(16)에 의해 작동되는 스퀴즈유닛(60)에 의해 가압되어 이 와이어(33)에 앰보싱돌기(34)를 형성하므로써, 이 앰보싱돌기(34)가 이후 공정에서 보빈(70)의 단자삽입공(73)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앰보싱돌기(34)는 후공정에서 와이어(33)를 절단하여 단자핀을 형성하였을 때 단자핀의 선단부에만 형성될 수 있도록 위치조절하여 형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이송유닛(40)의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의 행정거리도 단자핀의 길이에 해당되도록 조절된다(S-5).
상기 와이어절단단계(S-6)는 기준블록(20)이 캠(17)에 의해 고정블록(53) 일측으로 더 슬라이드되어 기준블록(20)과 고정블록(53)에 의해 절반쯤 절단되어 클램핑된 와이어(33)를 완전히 절단하게 된다. 이때, 기준블록(20)은 보빈(70)의 상부쪽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와이어(33)를 절단하여 단자핀이 선단부가 절단도중 소성변형되더라도 회로패턴에 접속되는 단자핀의 저면은 평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단자핀 인서트방법에 의하면, 트랜스포머의 보빈(70)이 기준블록(20)의 안착홈(21)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33)가 가이드레일(13)을 따라 그 길이방향으로 하강되어 보빈(70)의 단자삽입공(73)에 끼워지게 되므로, 단자핀이 원하는 각도로 정확하게 삽입 고정된다. 이와 같이, 트랜스포머의 보빈(70)에 삽입된 와이어(33)는 후공정에서 커터유닛(50)에 의해 절단되더라도 다시 탄성복원되므로, 단자핀이 정위치된 상태로 고정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이 트랜스포머를 인쇄회로기판의 원하는 회로패턴에 정확하게 얹혀져 솔더링할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빈(70)은 열경화성수지로 이루어져 솔더링시 가열되더라도 인서트 된 단자핀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절단단계에서는 커터유닛(50)이 보빈(70)의 윗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절단되므로, 절단 도중 와이어(33)가 소성변형되더라도 단자핀의 선단부가 상부로 들려질 뿐 인쇄회로기판에 접촉되어 접속되는 단자핀의 저면이 평탄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기준블록(20)의 안착홈(21) 입구측에는 상협하광한 테이퍼부(22)가 구비되어 트랜스포머의 보빈(70)이 푸셔(25)에 의해 상승되어 기준블록(20)의 안착홈(21)에 삽입될 때 자동적으로 센터가 맞추어져 정위치로 셋팅되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와이어(33)를 보빈(70)에 인서트하여 절단 및 절곡하기만 하면 단자핀이 구성되므로, 종래의 복잡한 제조공정을 대폭 간소화시켜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단자핀을 구성하기 위한 도전성 금속재의 소모량도 현저히 줄어드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33)를 보빈(70)에 인서트하여 절단 및 절곡하기만 하면 단자핀이 구성되므로, 종래의 복잡한 제조공정을 대폭 간소화시켜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단자핀을 구성하기 위한 도전성 금속재의 소모량도 현저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상기 단자핀이 원하는 각도로 정확하게 인서트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됨은 물론, 회로패턴에 접속되는 단자핀의 저면이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보빈(70) 하단부의 단자삽입공(73)에 와이어(33)를 삽입하고 이 와이어(33)를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단자핀(75)을 형성하는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에 있어서,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설치되며 그 일측면에는 보빈(70) 안착홈(21)이 구비되며 이 안착홈(21)에는 타측으로 관통되는 와이어삽입공(23)이 형성된 기준블록(20)과, 이 기준블록(20)의 안착홈(21)을 향해 왕복이송되면서 보빈(70)을 안착홈(21)에 공급하는 보빈공급수단(25,26)과, 상기 프레임(10)의 일단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와이어 권취롤(30)과,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왕복이송되면서 와이어 권취롤(30)에 감겨진 와이어(33)를 기준블록(20)의 와이어삽입공(23)을 통해 보빈(70)의 단자삽입공(73)에 끼워넣는 이송유닛(40)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보빈(70)에 삽입된 와이어(33)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커터유닛(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
  2.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고정되며 그 일면에는 보빈 안착홈(21)이 형성된 기준블록(20)과, 다수개의 와이어 권취롤(30)과, 이 와이어 권취롤(30)에 감겨진 와이어(33)를 기준블록(20)의 보빈(70)에 끼워넣는 이송유닛(40)과, 상기 와이어(33)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유닛(50)을 포함하는 인서트장치에 의해 보빈(70)의 단자삽입공(71)에 단자핀(75)을 끼워넣는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방법에 있어서, 트랜스포머의 보빈(70)을 기준블록(20)의 안착홈(21)에 삽입 고정하는 보빈 고정단계(S1)와, 다수가닥의 와이어(33)를 이송유닛(40)에 의해 와이어(33)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켜 이 와이어(33)의 선단부가 기준블록(20)에 고정된 보빈(70)의 단자삽입공(73)에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와이어 삽입단계(S-2~S-4)와, 보빈(70)에 억지끼움된 와이어(33)를 커터유닛(50)에 의해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와이어 절단단계(S-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단계(S-2~S-4)는 장방형 단면을 갖는 와이어(33)를 장변이 보빈(70)의 상하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삽입하며, 상기 와이어 절단단계(S-6)는 커터유닛(50)을 보빈(70)의 상부쪽으로 이송시켜 절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방법.
KR10-2001-0074374A 2001-11-27 2001-11-27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 및 인서트방법 KR100414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374A KR100414966B1 (ko) 2001-11-27 2001-11-27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 및 인서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374A KR100414966B1 (ko) 2001-11-27 2001-11-27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 및 인서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014A KR20020006014A (ko) 2002-01-18
KR100414966B1 true KR100414966B1 (ko) 2004-01-13

Family

ID=1971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374A KR100414966B1 (ko) 2001-11-27 2001-11-27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 및 인서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4581A (zh) * 2019-09-28 2019-12-06 东莞理工学院 一种线圈类电子产品的端子插入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3673B (zh) * 2013-08-16 2016-01-20 东莞市下上自动化科技有限公司 变压器骨架自动插针机
CN103500638A (zh) * 2013-09-26 2014-01-08 中江县凯讯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网络变压器引针的辅助矫正器
CN109755012B (zh) * 2019-01-25 2020-09-25 东莞市力能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变压器连接端子全自动裁切组装设备及其组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4581A (zh) * 2019-09-28 2019-12-06 东莞理工学院 一种线圈类电子产品的端子插入机构
CN110544581B (zh) * 2019-09-28 2021-07-23 东莞理工学院 一种线圈类电子产品的端子插入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014A (ko) 200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8284B2 (en) Components insertion method
JP4875991B2 (ja) チップコイ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EP1994612B1 (en) Hold down device in a terminal applicator
EP0726585B1 (en)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lytic capacitor
KR100414966B1 (ko)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인서트장치 및 인서트방법
EP0687040A2 (en) Automatic crimping tool
US35538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ting cable
JP2655115B2 (ja) 電気端子アプリケータ
KR20090106858A (ko) 자동에어 조절이 가능한 전원단자압착기
US3798734A (en) Component preforming machine
JP3904777B2 (ja) 電線用圧着端子の取付装置
KR100768538B1 (ko) 전원단자압착기
JP3063540B2 (ja) アプリケータ
US58065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he external leads of an integrated circuit
JP3612817B2 (ja) 電子部品のリード線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CN201895172U (zh) 一种闪光对焊机的夹具快换装置
JPH0145953B2 (ko)
JP3469357B2 (ja) 電子部品におけるリード端子の曲げ加工装置
US3056445A (en) Crimping method and apparatus
CN113594825B (zh) 接线端子压接装置
CN212625182U (zh) 一种线圈插片自动焊接装置
USRE28119E (en) Le roy busler
CN216096136U (zh) 一种引脚整形治具
JP2559490Y2 (ja) 端子曲り防止装置
JPH0936291A (ja) タイバーカット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