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641B1 - 이중 챔버형 오일 팬 및 이를 장착한 엔진 - Google Patents

이중 챔버형 오일 팬 및 이를 장착한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641B1
KR100865641B1 KR1020077020388A KR20077020388A KR100865641B1 KR 100865641 B1 KR100865641 B1 KR 100865641B1 KR 1020077020388 A KR1020077020388 A KR 1020077020388A KR 20077020388 A KR20077020388 A KR 20077020388A KR 100865641 B1 KR100865641 B1 KR 100865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il pan
chamber
engine
dual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0920A (ko
Inventor
히데오 고바야시
가츠히코 아리사와
요시오 야마시타
구니히코 하야시
다메토시 미즈타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0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1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2Conditioning lubricant for aiding engine starting, e.g.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37Oilsumps with different oil compartments
    • F01M2011/0045Oilsumps with different oil compartments for controlling the oil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이중 챔버 오일 팬은, 엔진 블럭 (7) 아래에 형성된 오일 팬 (1), 상기 오일 팬 (1) 내에 형성되고 엔진 블럭과 연통하는 제 1 챔버 (4) 와 상기 제 1 챔버 주위에 형성된 제 2 챔버를 한정하는 오일 팬 분리기 (3), 및 상기 제 1 챔버 (4) 내에 배치된 흡인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챔버는 오일 팬 분리기의 바닥부를 구비한 대용량부 (3C) 와, 상기 대용량부의 위에 위치하고 또한 대용량부와 일체로 형성된 소용량부 (3B) 를 포함한다.
이중 챔버 오일 팬

Description

이중 챔버형 오일 팬 및 이를 장착한 엔진 {DUAL-CHAMBER TYPE OIL PAN AND ENGINE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엔진 블럭 아래에 배치되고 엔진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진 오일은 엔진을 윤활하고 냉각시키는데 사용되었다. 이 엔진 오일은 엔진 아래에 배치된 오일 팬에 저장되고 오일 펌프에 의해 엔진의 개별 부품을 통하여 순환되었다. 개별 부품을 통하여 순환된 엔진 오일은 이 개별 부품 아래에 위치한 오일 팬안으로 하강하였다. 오일 팬안으로 하강한 엔진 오일은 오일 펌프에 의해 개별 부품을 통하여 재순환되었다. 순환시, 엔진 오일은 엔진의 개별 부품으로부터 열을 수용하여 이 개별 부품을 냉각시켰다. 엔진 오일은 또한 엔진의 개별 부품에 오일막을 형성하도록 작용하여, 부품간의 윤활을 증진시키고, 이 부품들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냉간 상태에서 엔진이 시동된 후 바로, 오일 팬에 저장된 엔진 오일은 차갑고 고점성을 가지므로, 이 엔진 오일은 엔진의 개별 부품을 통하여 순환하고 이 개별 부품을 윤활하기에 적절한 상태가 아니다. 그리하여, 냉간 시동 후 바로, 가능한 한 빨리 엔진 오일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적절한 점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오일 팬을 다중 부분으로 나누어, 하나의 부분내의 엔진 오일이 냉간 시동 후 바로 순환되는 상태를 형성하여 이 부분의 엔진 오일이 초기에 가열되도록 하며, 워밍업 완료 후 엔진 오일이 과도하게 가열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엔진 오일을 적절한 상태로 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특허문허 1 내지 특허문헌 3 참조). 조기에 엔진 오일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조기에 마찰이 감소되기 때문에 연비가 향상되고, 또한 최근 연비에 대한 요구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1 에서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이중 챔버형 오일 팬 (50) 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이중 챔버 오일 팬 (50) 은 엔진 오일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오일 팬 (52) 에 오목부 (51a) 를 갖춘 오일 팬 분리기 (51) 를 구비한다. 이 오목부 (51a) 에 엔진 오일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구 (53a) 가 위치하도록 오일 스트레이너 (strainer; 53) 가 배열된다. 오목부 (51a) 의 측벽 (51a1) 의 상부 및 하부에는 연통구멍 (54, 55) 이 각각 형성되어, 오목부 (51a) 의 측벽 (51a1) 의 내측과 외측이 서로 연통할 수 있다. 오목부 (51a) 의 측벽 (51a1) 의 하부에 형성된 연통구멍 (55) 은, 엔진 오일의 점성 변화를 이용하여 오목부 (51a) 의 측벽 (51a1) 을 통과하는 엔진 오일의 순환을 제어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연통구멍 (55) 은,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엔진이 워밍업 상태일 때 고점성의 엔진 오일에 대하여 큰 순환 저항이 생기도록 한다. 따라서, 연통구멍 (55) 을 통하여 측벽 (51a1) 의 내측과 외측에 위치한 엔진 오일을 서로 혼합시킬 수 없다. 반대로, 워밍업 이후의 저점성의 엔진 오일은 연통구멍 (55) 을 통과할 수 있고, 그리하여 오목부 (51a) 의 측벽 (51a1) 의 내측과 외측에 위치한 엔진 오일이 서로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으로, 오목부 (51a) 의 외측에 위치한 저온의 엔진 오일이 오목부 (51a) 의 고온의 엔진 오일을 냉각시킨다.
오목부 (51a) 의 측벽 (51a1) 의 상부에 형성된 연통구멍 (54) 은 엔진 오일의 점성에 상관없이 측벽 (51a1) 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엔진 오일을 순환시킬 수 있다. 이 연통구멍 (54) 은, 엔진의 개별 부품을 통하여 순화되어 오일 팬 분리기 (51) (오목부 (51a)) 안으로 하강된 엔진 오일을 측벽 (51a1) 의 외측으로 유동시키는 기능을 주로 한다. 그리하여, 화살표 (57) 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오일의 점성을 기초로 하여 오목부 (51a) 의 상부 외부로 유동하는 엔진 오일이 오목부 (51a) 의 하부를 통하여 다시 오목부 (51a) 로 유동하는 엔진 오일의 순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엔진 오일의 순환 경로는 엔진 오일의 혼합 및 냉각을 용이하게 해준다. 흡인구 (53a) 로부터 흡인된 혼합된 엔진 오일은 엔진 블럭 (56) 내부로 공급된다. 오일 팬 (52) 에는 배출 플러그 (58) 가 부착된다.
특허문헌 2 에는 분리판으로 오일 팬 내부를 2 개의 오일 저장부로 분할한 오일 팬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분리판의 상단부는 유면 (oil level) 보다 낮도록 위치되어 있다. 분리판은 2 개의 저장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연통 통로와, 오일 팬내의 오일 온도 변화에 따라 연통 통로를 개폐시키는 밸브를 구비한다. 이러한 오일 팬 구성에 있어서, 2 개의 오일 저장부 중 하나에만 오일 파이프의 흡 인구가 장착되고, 오일이 저온일 때 이 흡인구와 연관된 오일 저장부내의 오일만이 사용된다. 그리하여, 오일 팬내의 오일 온도를 급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오일 온도가 상승하고 밸브가 개방 상태일 때, 2 개의 오일 저장부는 서로 연통하게 되고, 오일 저장부의 오일은 엔진의 개별 부품을 통하여 순환된다. 2 개의 오일 저장부는, 분리판의 상단부 위에서 서로 항상 연통하고 또한 동일한 유면으로 유지된다.
특허문헌 3 에는 분할판으로 제 1 및 제 2 오일 저장부로 분할된 엔진의 오일 팬이 기재되어 있다. 분할판의 수직 측벽은 연통구멍을 구비하고, 이 연통구멍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오일 저장부가 서로 연통하게 된다. 제 1 저장부의 오일량이 소정의 유면보다 낮으면 연통구멍을 해제하는 제 1 밸브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저장부의 오일 온도가 소정의 온도보다 높으면 연통구멍을 해제하는 제 2 밸브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오일 저장부에는 오일 스트레이너의 단부, 즉 흡인구가 위치되어 있다. 제 1 저장부의 엔진 오일 온도가 낮으면, 이 오일은 순환용으로 사용된다. 그리하여, 제 1 오일 저장부의 소량의 오일의 온도 상승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 오일 저장부의 오일량이 소정의 유면보다 낮아지면, 제 1 및 제 2 오일 저장부가 서로 연통하게 되어, 오일 부족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이중 챔버 오일 팬 (50) 은 다중 챔버로 분할된 오일 팬 (52) 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냉간 시동 이후에 바로 챔버 중 하나만의 오일을 사용하게 해준다. 그리하여, 냉간 시동시 연관된 챔버의 오일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중 챔버 오일 팬 (50) 에서는 냉간 시동 후에 바로 엔진 오일의 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상승시켜 연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오일 팬은 오일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오일 팬의 구성에서 2 개의 오일 저장부는 분할 상태에서 오일 팬의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유사하게,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오일 팬의 제 1 및 제 2 오일 저장부는 분할 상태에서 오일 팬의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하여, 오일이 냉간 상태일 때 사용되는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저장부가 이동하는 바람에 노출된다. 따라서, 전술한 오일 팬은 오일의 열절연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2003-222012
특허문헌 2 : 일본특허공개 2003-278519
특허문헌 3 : 일본특허공개 2001-152825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간 시동시 엔진 오일의 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고 또한 연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챔버 오일 팬을 제공하는 것이고, 또한 이 이중 챔버 오일 팬을 장착한 엔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라서, 엔진 블럭 아래에 형성된 오일 팬; 상기 오일 팬내에 형성되고, 엔진 블럭과 연통하는 제 1 챔버와 상기 제 1 챔버 주위에 형성된 제 2 챔버를 한정하는 오일 팬 분리기; 및 상기 제 1 챔버내에 배치된 흡인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챔버는 오일 팬 분리기의 바닥부를 포함하는 대용량부와, 상기 대용량부의 위에 위치하고 또한 대용량부와 일체로 형성된 소용량부를 포함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을 제공한다.
냉간 시동시, 제 1 챔버의 엔진 오일은 엔진을 통하여 순환된다. 그리하여, 제 1 챔버내의 엔진 오일량이 적을수록 엔진 오일의 온도가 신속하게 상승될 수 있다. 하지만, 제 1 챔버내의 엔진 오일량이 너무 적으면, 펌프로 엔진 오일을 흡인함으로써 유면이 하강하고, 흡인구를 통하여 공기가 흡인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오일 압력을 보장할 수 없다. 특히, 엔진 오일은 냉간 시동시 고점성을 가지고, 엔진 블럭에 공급된 엔진 오일은 엔진 블럭의 내벽에 부착되어 제 1 챔버로 되돌아가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제 1 챔버의 엔진 오일은 즉시 소비되기 쉽다. 제 1 챔버에 적은 양의 엔진 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급하게 선회하거나 또는 경사길을 오르기 시작할 때, 흡인구를 통하여 공기가 흡인될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라서, 제 1 챔버에는 소용량부가 제공되어, 제 1 챔버가 소량의 엔진 오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제 1 챔버의 엔진 오일의 온도가 신속하게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제 1 챔버에는 대용량부가 제공되어, 최소 양의 엔진 오일이 보장될 수 있다.
이중 챔버 오일 팬의 제 1 챔버의 엔진 오일은 순환에 주로 사용된다. 그리하여, 제 1 챔버의 대량의 엔진 오일이 엔진 블럭에 공급되고 소량의 엔진 오일만이 오일 팬에 남아 있더라도, 제 1 챔버에 대량의 잔류 엔진 오일이 남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대용량부 위에 소용량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서, 흡인구가 엔진 오일로부터 노출되는 것이 어려워서, 흡인구를 통한 공기의 흡인 위험성이 감소될 수 있다.
대용량부와 소용량부간의 관계는 그 내의 유면 면적간의 관계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대용량부는 소용량부보다 큰 유면 면적을 가진다.
소용량부는, 대용량부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방으로 뻗어 있는 수축부를 구비한다. 이 개구부를 통하여 엔진 오일이 대용량부안으로 들어간다. 대용량부의 외경보다 좁은 수축부가 필요하지만, 이 수축부는 특정 위치 또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용량부는, 대용량부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방으로 뻗어 있는 중공 원통형부를 구비한다. 오일 팬 분리기는 소용량부에서부터 오일 팬의 상단부까지 뻗어 있는 오일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 수용부는 엔진 블럭의 내측으로부터 하강된 엔진 오일을 수용한다. 또한, 오일 수용부는 오일 팬의 상단부에서 오일 팬 분리기와 오일 팬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오일 팬 분리기는 소용량부에서부터 오일 팬의 상단부까지 뻗어 있는 하강 슬로프부를 갖는 오일 수용부를 포함한다. 하강 슬로프부는 엔진 블럭의 내측에서 하강된 엔진 오일을 제 1 챔버쪽으로 안내한다.
소용량부는 대용량부의 개구부로부터 뻗어 있는 오일 팬 분리기의 슬로프인 수축부를 가질 수 있다.
오일 팬 분리기는 대용량부 위에 위치한 숄더부를 가질 수 있다. 숄더부는 대용량부의 유면 면적이 소용량부의 유면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숄더부는 소용량부로부터 외부로 뻗어 있을 수 있다. 숄더부는 대용량부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이중 챔버 오일 팬은 대용량부의 숄더부에 형성된 오일구와, 제 1 챔버의 유면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오일구를 폐쇄하는 오일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구는 오일 교환시 제 1 및 제 2 챔버에 엔진 오일을 균등하게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오일 밸브는 오일구를 관통하는 로드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오일 압력을 받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플랜지가 하측으로부터 오일 압력을 받으면, 오일 밸브는 상승되어 오일구를 개방시킨다. 오일 밸브는 숄더부에 형성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생기는 공간은 오일 밸브가 상승되도록 한다.
이중 챔버 오일 팬은 소용량부가 오일 팬의 최소 유면보다 높은 유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용량부는 오일 팬의 최소 유면보다 높은 유면에 위치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대용량부는 비교적 큰 유면 면적을 가지므로, 흡인구를 통하여 엔진 오일이 흡인됨에 따라 유면이 점진적으로 하강될 수 있다. 유면이 흡인구에 근접해지는 속도가 감소될 수 있고, 또한 흡인구를 통하여 공기가 흡인될 위험성이 감소될 수 있다.
오일 팬 분리기는 대용량부의 하부와 일체로 형성된 협소부를 포함하고, 이 협소부에 흡인구가 배치된다. 협소부는 오일 저장 용량이 적고 또한 제 1 챔버의 엔진 오일량을 감소시킨다. 그리하여, 엔진 오일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제 1 챔버에서 엔진 오일의 저장 용량이 감소하더라도, 협소부내에 흡인구를 배치함으로써 유면과 흡인구간의 충분한 거리가 확보될 수 있으므로, 흡인구를 통하여 공기가 흡인될 위험성이 더 감소될 수 있다.
오일 팬 분리기가 소용량부에 위치한 제 1 연통구멍과 대용량부에 위치한 제 2 연통구멍을 포함하도록 이중 챔버 오일 팬이 구성될 수 있다. 제 1 연통구멍은, 거의 모든 엔진 오일이 오일 팬으로 되돌아갈 때 규정되는 유면보다 낮은 유면에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제 1 및 제 2 챔버 사이에서 엔진 오일이 교환되도록 한다. 유면이 제 1 연통구멍보다 낮아져서 제 1 연통구멍이 노출되면, 제 1 및 제 2 챔버 사이에서 엔진 오일이 더이상 교환되지 않는다. 하지만, 제 2 연통구멍은 대용량부, 바람직하게는 오일 팬 분리기의 바닥부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챔버는 서로 항상 연통하게 된다. 이는 엔진 오일이 제 1 챔버에 잔류하도록 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냉간 시동시 제 2 챔버의 차가운 엔진 오일이 흡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 2 연통구멍은 흡인구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있다.
엔진 오일은 오일 교환시 제 1 챔버로부터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는 제 2 연통구멍이 바람직하게는 오일 팬 분리기의 바닥부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제 2 연통구멍은, 전술한 협소부가 없을 시 대용량부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또한 협소부가 있을 시에는 이 협소부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중 챔버 오일 팬은, 온도 감지부가 엔진 블럭과 대향하도록 오일 팬 분리기에 부착된 제 1 서모스탯 (thermostat) 과, 온도 감지부가 제 1 챔버에 대향하도록 오일 팬 분리기에 부착된 제 2 서모스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서모스탯은 제 1 및 제 2 연통구멍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엔진 오일이 저온일 때, 제 1 및 제 2 서모스탯은 폐쇄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챔버는 서로 격리된다. 엔진 오일의 온도가 높으면, 제 1 및 제 2 서모스탯은 개방되어, 제 1 및 제 2 챔버 사이에서 엔진 오일이 교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엔진 오일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중 챔버 오일 팬은 오일 팬 분리기와 오일 팬 사이에 형성된 오일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 챔버 오일 팬의 외형을 한정하는 오일 팬은, 이 오일 팬이 대용량부를 한정하는 오일 팬 분리기의 일부에 근접하도록 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근접 구성으로 오일 통로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챔버의 엔진 오일의 온도를 가능한 한 신속하게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냉간 시동시 제 2 챔버의 차가운 엔진 오일이 제 1 챔버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엔진 오일의 과도한 가열을 방지하기 위해, 워밍업을 완료한 후에 이중 챔버 오일 팬의 엔진 오일이 제 1 및 제 2 챔버를 통하여 잘 순환되어야 한다. 전술한 오일 통로는 엔진 오일의 순환을 용이하게 해주고, 이동하는 바람을 이용함으로써 효과적인 냉각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오일 통로는 오일 팬의 바닥에서 오일의 수평 유동뿐만 아니라 수직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효율적인 냉각을 하도록 한다.
이중 챔버 오일 팬은 흡인구 위에 형성된 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인구 위에서 나선형 유동이 발생되고, 이 나선형 유동은 유면을 역원뿔형으로 형성시킨다. 유면이 하강하면, 공기의 흡인 위험성이 더 높아지게 된다. 상기 판은 흡인구를 통하여 제 1 챔버의 엔진 오일이 흡인될 때 발생되는 유면의 변화를 감소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 1 챔버는 소량의 엔진 오일을 가지므로, 냉간 시동시 엔진 오일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대용량부가 소용량부 아래에 형성되어, 엔진 오일이 고점성이고 또한 엔진 블럭에서부터 오일 팬으로 되돌아오기 어렵더라도, 흡인구를 통하여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줄어든 엔진 오일량이 제 1 챔버에 잔류하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이중 챔버 오일 팬의 단면도,
도 2 는 엔진 오일이 소정의 유면에 도달해 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챔버 오일 팬의 단면도,
도 3 은 저장된 엔진 오일이 줄어든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챔버 오일 팬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 는 제 1 실시형태의 이중 챔버 오일 팬에 사용된 오일 팬 분리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 는 2 개로 분리된 오일 팬 분리기를 도시한 도면, 도 4B 는 2 개의 분리된 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오일 팬 분리기를 형성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형 오일 팬의 단면도,
도 6 은 판이 없을 때 유면 변화를 관찰한 개략도,
도 7 은 판이 있을 때 유면 변화를 관찰한 개략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챔버 오일 팬의 평면도,
도 9 는 도 8 의 선 A-A 을 따른 단면도,
도 10 은 도 8 의 선 B-B 를 따른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챔버 오일 팬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 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챔버 오일 팬 (1) 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2 에서는 엔진의 시동전에 저장된 오일이 소정의 유면에 도달해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3 에서는 이중 챔버 오일 팬 (1) 의 엔진 오일 일부가 엔진 블럭 (7) 에 공급되어 이중 챔버 오일 팬 (1) 에 남아있는 엔진 오일이 감소된 다른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중 챔버 오일 팬 (1) 은, 엔진 블럭 (7) 의 하부에 부착되고 또한 오일 팬 (2) 내에 배열된 오일 팬 분리기를 구비한다. 오일 팬 분리기 (3) 는 오일 팬 (2) 내에서 제 1 챔버 (4) 와 제 2 챔버 (5) 를 한정해 준다. 제 1 챔버 (4) 는 엔진 블럭 (7) 의 내부와 연통한다. 제 2 챔버 (5) 는 제 1 챔버 (4) 를 덮거나 둘러싸도록 배열되고 또한 제 1 챔버 (4) 주변에 위치한다.
제 1 챔버 (4) 는 오일 팬 분리기 (3) 의 바닥측에 배열된 대용량부 (3c) 와, 이 대용량부 (3c) 위에 형성되어 이와 연통하는 소용량부 (3b) 를 포함한다. 대용량부 (3c) 는 소용량부 (3b) 보다 큰 체적을 가진다. 이러한 체적 관계는 대용량부 (3c) 에서의 유면 영역을 소용량부 (3b) 에서의 유면 영역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유면 영역에서의 이러한 관계는, 오일 팬 분리기 (3) 가 대용량부 (3c) 의 상부에서 숄더부를 구비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숄더부 (3c1) 는 대용량부 (3c) 의 상부의 전체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소용량부 (3b) 는 대용량부 (3c) 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3c2) 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축부를 형성한다. 수축부, 즉 소용량부 (3b) 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부 (3c) 의 개구부 (3c2) 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뻗어있는 중공 원통형부이다. 오일 팬 분리기 (3) 는, 중공 원통형의 소용량부 (3b) 의 상단부 (3b1) 에서부터 오일 팬 (2) 의 원주방향 상단부 (2c) 까지 뻗어 있는 오일 수용부 (3a) 를 구비한다. 오일 수용부 (3a) 는 오일 팬 (2) 의 원주방향 상단부 (2c) 에서부터 소용량부 (3b) 의 상단부 (3b1) 까지 뻗어 있는 하강 슬로프를 구비한다. 하강 슬로프는 엔진 블럭 (7) 에서 하강된 오일이 제 1 챔버 (4) 로 효율적으로 유동하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오일 팬 분리기 (3) 는 소용량부 (3b) 로 인해 종래의 오일 팬 분리기와 비교하여 작은 내부 용량을 갖게 된다.
제 1 챔버 (4) 에는 오일 팬 분리기 (3) 의 흡인구 (6a) 가 배치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흡인구 (6a) 는 대용량부 (3c) 에 위치한다. 흡인구 (6a) 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형상을 가진다. 캡 형상의 흡인구 (6a) 내에는 오일 팬 분리기 (3) 에 부착된 서모서탯 (10) 의 온도 감지부가 위치한다.
소용량부 (3b) 에는 제 1 연통구멍 (8) 이 형성된다. 대용량부 (3c) 의 바닥에는 제 2 연통구멍 (9) 이 형성된다. 제 2 연통구멍 (9) 은 제 1 챔버 (4) 와 제 2 챔버 (5) 를 서로 연통시키는 기능을 한다. 흡인구 (6a) 를 통하여 엔진 오일이 흡인될 때 제 2 챔버 (5) 내의 엔진 오일이 너무 많이 흡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 2 연통구멍 (9) 은 대용량부 (3c) 의 코너에 위치하고 또한 이 제 2 연통구멍 (9) 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한 장벽 (9a) 을 구비한다.
오일 팬 (2) 에는 오일 배출부 (2a) 가 부착되고, 이 오일 배출부에 배출 플러그 (11) 가 탑재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판부 (2b) 가 오일 팬 분리기 (3) 의 대용량부 (3c) 에 근접하도록, 즉 오일 팬 분리기 (3) 의 벽이 오일 팬 (2) 의 벽에 근접하도록 오일 팬 (2) 이 형성된다. 이러한 근접 구성으로 인해 제 2 챔버 (5) 에 엔진 오일 통로 (5a) 가 형성된다. 엔진 오일 통로 (5a) 는 하부 엔진 오일 통로 (5b) 와 연통한다. 엔진 오일은 제 1 챔버 (4) 와 제 2 챔버 (5) 사이에서 제 1 연통구멍 (8), 엔진 오일 통로 (5a), 엔진 오일 통로 (5b) 및 서모스탯 (10) 을 통하여 순환될 수 있다. 이러한 순환으로 인해 엔진 오일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중 챔버 오일 팬 (1) 은 냉간 시동전에 저장된 엔진 오일이 소정의 유면에 도달해 있는 도 2 에 도시된 상태에 있다. 도 2 에 도시된 상태에서 엔진이 시동되면, 제 1 챔버 (4) 의 엔진 오일이 흡인구 (6a) 를 통하여 흡인되어 엔진 블럭 (7) 으로 공급된다. 그 후, 제 1 챔버 (4) 의 엔진 오일은 점점 줄어들게 되고, 유면도 점점 낮아지게 된다.
냉간 시동시, 엔진 오일은 고점성을 가지게 되어 제 1 챔버 (4) 로 되돌아가기 어렵게 된다. 그리하여, 냉간 시동시 제 1 챔버 (4) 에서 감소된 엔진 오일량은 엔진이 워밍업된 후 보다 더 많다. 오일 팬 (2) 의 엔진 오일의 감소로 인해 제 1 연통구멍 (8) 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면에서 노출된다. 하지만, 제 1 챔버 (4) 및 제 2 챔버 (5) 는 제 2 연통구멍 (9) 을 통하여 항상 서로 연통한다. 그리하여, 흡인구 (6a) 를 엔진 오일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충분한 양의 엔진 오일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면이 대용량부 (3c) 에 근접하게 되면, 대용량부 (3c) 가 큰 유면 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유면 높이 변화, 즉 유면의 감소율이 느려지게 된다. 즉, 유면의 변화는 엔진 오일의 양 변화에 크게 민감하지 않다. 그리하여, 흡인구 (6a) 를 통하여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챔버 (4) 는 종래의 챔버 보다 더 적은 양의 엔진 오일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소량의 엔진 오일이 남게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흡인구 (6a) 를 통하여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술한 기구로 인하여 흡인구 (6a) 를 통하여 공기가 흡인될 위험성이 덜하게 된다. 제 1 챔버 (4) 의 소량의 엔진 오일은 냉간 시동 이후에 오일 온도를 보다 신속하게 상승시켜, 엔진의 개별 부품에 대하여 유발된 마찰이 감소될 수 있고 또한 연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부 (3c) 에는 배플판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숄더부 (3c1) 가 장착된다. 숄더부 (3c1) 는 유면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여 흡인구 (6a) 를 통하여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챔버 (4) 의 엔진 오일의 온도가 적절한 온도에 도달한 후, 서모스탯 (10) 이 개방되고 제 2 챔버 (5) 로부터 엔진 오일이 활발하게 흡인된다. 따라서, 이중 챔버 오일 팬 (1) 에서 전체 엔진 오일이 순환하게 된다. 엔진이 워밍업된 후, 대량의 엔진 오일은 엔진 오일 통로 (5a, 5b) 를 통하여 순환하게 되어, 엔진 오일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이중 챔버 오일 팬 (1) 용 오일 팬 분리기 (3) 의 성형 공정을 설명한다. 수지로 형성될 수 있는 오일 팬 분리기 (3) 는 소용량부 (3b) 및 이 소용량부 (3b) 아래에 형성된 대용량부 (3c) 를 갖는다. 소용량부 (3b) 와 대용량부 (3c) 를 수지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오일 팬 분리기 (3) 는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개별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단일 부재는 오일 수용부 (3a), 소용량부 (3b) 및 대용량부 (3c) 의 숄더부 (3c1) 를 가진다. 다른 단일 부재는 대용량부 (3c) 의 하부 (3c3) 를 가진다. 이러한 부재들은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오일 팬 분리기 (3) 를 완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챔버 오일 팬 (20) 은 이하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이중 챔버 오일 팬 (1) 과는 상이하다. 이중 챔버 오일 팬 (20) 의 오일 팬 (22) 에 형성된 오일 팬 분리기 (23) 는, 이중 챔버 오일 팬 (1) 의 오일 팬 분리기 (3) 에서와 같은 오일 수용부 (23a), 소용량부 (23b) 및 대용량부 (23c) 이외 에, 협소부 (23d) 를 가진다. 협소부 (23d) 내에는 흡인구 (6a) 가 배치된다. 또한, 흡인구 (6a) 위에는 처마형 판 (eaves-like plate; 24) 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구성된 이중 챔버 오일 팬 (20) 에 있어서, 흡인구 (6a) 는 제 1 실시형태의 이중 챔버 오일 팬 (1) 에서보다 협소부 (23d) 의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만큼 더 깊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면과 흡인구 (6a) 간의 거리가 증가하게 되고 또한 흡인구로부터 공기가 흡인될 위험성이 줄어든다. 바람직하게는, 협소부 (23d) 는 제 1 챔버 (4) 의 엔진 오일량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체적 용량을 가진다.
공기 흡인을 막는 다른 수단으로는 판 (24) 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판 (24) 의 효과에 대해서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판 (24) 이 없는 유면 (25) 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흡인구 (6a) 위에서 나선형 유동이 발생하고, 이 유동은 유면 (25) 을 역원뿔형으로 형성시킨다. 유면이 낮아지면, 공기 흡인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반대로, 흡인구 (6a) 위에 형성된 판 (24) 은 제 1 챔버 (4) 의 엔진 오일이 흡인구 (6a) 를 통하여 흡인될 때 발생하는 유면의 변화를 감소시킨다. 즉, 엔진 오일은 판 (24) 을 우회하는 통로를 따라 흡인구 (6a) 안으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유면 (25) 의 변화는 크게 줄어들 수 있고, 그리하여 공기층을 흡인구 (6a) 에 근접하도록 하는 나선형 유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유면 (25) 에 야기되는 나선형 유동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 이외에, 판 (24) 은 차량이 회전할 때 유면 (25) 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플판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판 (24) 은 흡인구 (6a) 를 통하여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제 3 실시형태)
이하, 도 8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챔버 오일 팬 (30) 의 평면도이고, 도 9 는 도 8 의 선 A-A 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8 의 선 B-B 를 따른 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이중 챔버 오일 팬 (30) 은 오일 팬 (32) 에 형성된 오일 팬 분리기 (33) 를 구비한다. 오일 팬 분리기 (33) 는 오일 팬 (32) 의 내부 영역을 엔진 블럭 (7) 과 연통하는 제 1 챔버 (4) 와 이 제 1 챔버 (4) 를 덮도록 배치된 제 2 챔버 (5) 로 분할한다. 이러한 오일 팬 분리기 (33) 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의 이중 챔버 오일 팬 (1) 의 오일 팬 분리기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 1 챔버 (4) 는 오일 팬 분리기 (33) 의 바닥측에 형성된 대용량부 (33c) 와, 이 대용량부 (33c) 에 연결되고 또한 상방으로 뻗어 있는 소용량부 (33b) 를 포함한다. 오일 팬 분리기 (33) 에는 대용량부 (33c) 의 상부에 형성된 숄더부 (33c1) 가 장착된다. 숄더부 (33c1) 는 대용량부 (33c) 의 상부의 전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오일 팬 분리기 (33) 는, 중공 원통형 소용량부 (33b) 의 상단부 (33b1) 에서부터 오일 팬 (32) 의 원주방향 상단부 (32c) 까지 뻗어 있는 오일 수용부 (33a) 를 구비한다. 제 1 챔버 (4) 에는 스트레이너 (36) 의 흡인구 (36a) 가 배치된다. 이러한 전술한 제 3 실시형태의 구성도 제 1 실시형태 의 구성과 동일하다.
오일 수용부 (33a) 는 제 1 실시형태의 오일 수용부 (3a) 처럼 급하게 경사져 있지 않다. 도 9 에서, 오일 수용부 (33a) 는 거의 수평면 (level plane) 이다. 오일 수용부 (33a) 에는 온도 감지부가 엔진 블럭 (7) 에 대향하도록 제 1 서모스탯 (34)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서모스탯 (34) 은 엔진 블럭 (7) 으로부터 하강한 엔진 오일이 고온일 때 개방된다. 그리하여, 고온의 엔진 오일은 소용량부 (33b) 및 대용량부 (33c) 로 유동하지 않고 제 2 챔버 (5) 로 유동될 수 있다.
대용량부 (33c) 에는 온도 감지부가 제 1 챔버 (4) 에 대향하도록 제 2 서모스탯 (35)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서모스탯 (35) 은 제 1 챔버 (4) 의 엔진 오일 온도가 고온으로 되면 개방된다. 그리하여, 제 1 챔버 (4) 및 제 2 챔버 (5) 는 엔진 오일이 고온일 때 서로 연통할 수 있다.
오일 팬 분리기 (33) 는 대용량부 (33c) 의 상부에 형성된 숄더부 (33c1) 를 구비한다. 숄더부 (33c1) 에는 제 1 챔버 (4) 와 제 2 챔버 (5) 를 서로 연통시키는 오일구 (39) 가 형성된다. 오일구 (39) 에는 오일 밸브 (37) 가 형성되고, 이 오일 밸브는 제 1 챔버 (4) 의 유면이 상승하면 오일구 (39) 를 개방한다. 오일 밸브 (37) 는 오일구 (39) 를 관통하는 로드 (37a) 및 이 로드 (37a) 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오일 압력을 받는 플랜지 (37b) 로 구성된다. 오일구 (39) 는 오일 교환시 제 1 챔버 (4) 의 오일과 제 2 챔버 (5) 의 오일을 서로 같은 높이로 해준다. 오일 교환시 엔진 블럭 (7) 으로부터 스트레이너 (36) 를 통하여 공급된 엔진 오일은 우선 제 1 챔버 (4) 에 저장된다. 유면이 오일구 (39) 의 높이에 도달하면, 엔진 오일은 플랜지 (37b) 를 상승시켜 오일구 (39) 를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제 1 챔버 (4) 의 엔진 오일이 제 2 챔버 (5) 로 흘러 넘치고, 제 2 챔버 (5) 의 유면이 상승하게 된다. 제 2 챔버 (5) 의 유면이 제 1 챔버 (4) 의 유면과 동일하게 되면, 플랜지 (37b) 는 제 1 챔버 (4) 와 제 2 챔버 (5) 로부터 동일한 오일 압력을 받게 된다. 그리하여, 오일 밸브 (37) 는 오일구 (39) 를 폐쇄시킨다.
오일 팬 분리기 (33) 의 바닥에 오일 배출부 (33c2) 가 형성된다. 오일 배출부 (33c2) 에 플로트 밸브 (38) 가 형성된다. 이 플로트 밸브 (38) 는 로드 (38a), 플로트부 (38b) 및 밸브 본체 (38c) 로 이루어진다. 로드 (38a) 는 오일 배출부 (33c2) 를 관통한다. 로드 (38a) 의 상단부에 플로트부 (38b) 가 형성된다. 밸브 본체 (38c) 는 로드 (38a) 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플로트 밸브 (38) 는 제 1 챔버 (4) 의 엔진 오일이 배출될 때 작동된다. 오일 팬 (32) 에 부착된 오일 배출부 (도시하지 않음) 가 해제된다. 제 2 챔버 (5) 의 엔진 오일이 배출되기 시작한다. 제 1 챔버 (4) 와 제 2 챔버 (5) 간에 소정의 유면차가 발생하면, 제 1 챔버 (4) 의 오일 압력이 밸브 본체 (38c) 에 가해지고 이는 플로트 밸브 (38) 를 누른다. 그리하여, 오일 배출부 (33c2) 가 해제되고, 제 1 챔버 (4) 의 엔진 오일이 배출될 수 있다. 제 1 챔버 (4) 와 제 2 챔버 (5) 에 엔진 오일이 가득차면, 플로트부 (38b) 가 밸브 본체 (38c) 에 가해지는 오일 압력과 균형을 이루면서 밸브 본체 (38c) 가 오일 배출부 (33c2) 를 폐쇄하도 록 플로트 밸브 (38) 가 작동한다.
이중 챔버 오일 팬 (30) 의 최소 유면 높이는 도 9 및 도 10 에서 "저유면" 이라고 표시하였다. 대용량부 (33c) 는 최소 유면 높이보다 높은 상부를 가진다. 그리하여, 유면이 흡인구 (36a) 에 근접하게 되는 속도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흡인구 (36a) 를 통하여 공기가 흡인될 위험성을 저하시킨다.
이렇게 구성된 이중 챔버 오일 팬 (30) 은 냉간 시동시 엔진 오일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고 또한 개별 엔진 부품에 대하여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킨다. 이 결과 연비가 향상된다. 추가로, 숄더부 (33c1) 에 형성된 오일구 (39) 의 사용으로 엔진 오일이 제 2 챔버 (5) 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오일구 (39) 에는 오일 밸브 (37) 가 장착되어, 냉간 시동시 제 1 챔버 (4) 와 제 2 챔버 (5) 가 서로 격리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은 특별히 기재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형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판 (24) 은 흡입구 (6a) 통하여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형상이나 크기일 수 있다.
소용량부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중공 원통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소용량부는 중공 원통형이 아닐 수 있다. 이중 챔버 오일 팬 (40) 이 오일 팬 (42) 과, 오일 배출부 (43c2) 를 갖춘 오일 팬 분리기 (43) 를 구비한 대표적인 구성이 도 11 에 도시되었다. 오일 팬 분리기 (43) 는 개구부 (43c3) 를 갖춘 대용량부 (43c) 를 한정한다. 수축부 (43a) 가 개구 부 (43c3) 에서부터 오일 팬 (42) 의 원주방향 상단부 (42c) 까지 뻗어있다. 수축부 (43a) 는 제 1 서모스탯 (34) 이 탑재된 하강 슬로프인 오일 수용부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사용된 이중 챔버 오일 팬 (30) 의 오일 팬 분리기 (33) 의 형상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 9 에 도시된 오일 팬 분리기 (33) 에 있어서, 숄더부 (33c1) 는 대용량부 (33c) 의 상부의 전체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도 12 에 있어서, 숄더부 (33c1) 는 소용량부 (33b) 의 측벽이 대용량부 (33c) 의 측벽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변형되어 있다. 즉, 숄더부 (33c1) 는 대용량부 (33c) 의 상부의 전체 원주의 일부를 따라 형성된다.

Claims (18)

  1. 엔진 블럭 아래에 형성된 오일 팬,
    상기 오일 팬내에 형성되고, 엔진 블럭과 연통하는 제 1 챔버와 상기 제 1 챔버 주위에 형성된 제 2 챔버를 한정하는 오일 팬 분리기, 및
    상기 제 1 챔버내에 배치된 흡인구를 포함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이며,
    상기 제 1 챔버는 오일 팬 분리기의 바닥부를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위에 위치하고 또한 제 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은 제 2 부분보다 큰 용량을 가지는 이중 챔버 오일 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분은 제 2 부분보다 큰 유면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부분은, 제 1 부분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방으로 뻗어 있는 수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부분은, 제 1 부분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방으로 뻗어 있는 중공 원통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5. 제 1 항에 있어서, 오일 팬 분리기는 제 2 부분에서부터 오일 팬의 상단부까지 뻗어 있는 오일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6. 제 1 항에 있어서, 오일 팬 분리기는 제 2 부분에서부터 오일 팬의 상단부까지 뻗어 있는 하강 슬로프부를 갖는 오일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부분은 제 1 부분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뻗어 있는 오일 팬 분리기의 슬로프부인 수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8. 제 1 항에 있어서, 오일 팬 분리기는 제 1 부분 위에 위치한 숄더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9. 제 1 항에 있어서, 오일 팬 분리기는 제 1 부분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인 숄더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분의 숄더부에 형성된 오일구와, 제 1 챔버의 유면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오일구를 폐쇄하는 오일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부분은 오일 팬의 최소 유면보다 높은 유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분은 오일 팬의 최소 유면보다 높은 유면에 위치한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13. 제 1 항에 있어서, 오일 팬 분리기는 제 1 부분의 하부와 일체로 형성된 협소부를 포함하고, 이 협소부에 흡인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14. 제 1 항에 있어서, 오일 팬 분리기는 제 2 부분에 위치한 제 1 연통구멍과 제 1 부분에 위치한 제 2 연통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15. 제 1 항에 있어서,
    온도 감지부가 엔진 블럭과 대향하도록 오일 팬 분리기에 부착된 제 1 서모스탯과,
    온도 감지부가 제 1 챔버에 대향하도록 오일 팬 분리기에 부착된 제 2 서모스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16. 제 1 항에 있어서, 오일 팬 분리기와 오일 팬 사이에 형성된 오일 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17. 제 1 항에 있어서, 흡인구 위에 형성된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챔버 오일 팬.
  18. 제 1 항에 따른 이중 챔버 오일 팬을 장착한 엔진.
KR1020077020388A 2005-03-08 2006-03-06 이중 챔버형 오일 팬 및 이를 장착한 엔진 KR100865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64362 2005-03-08
JPJP-P-2005-00064362 2005-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920A KR20070100920A (ko) 2007-10-12
KR100865641B1 true KR100865641B1 (ko) 2008-10-29

Family

ID=3658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388A KR100865641B1 (ko) 2005-03-08 2006-03-06 이중 챔버형 오일 팬 및 이를 장착한 엔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54241B2 (ko)
EP (1) EP1871995B1 (ko)
JP (1) JP4420111B2 (ko)
KR (1) KR100865641B1 (ko)
CN (1) CN101137822B (ko)
CA (1) CA2586383C (ko)
RU (1) RU2358135C1 (ko)
WO (1) WO20060958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7756B2 (ja) * 2005-03-22 2009-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油圧回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DE602007009644D1 (de) * 2006-02-07 2010-11-18 Toyota Motor Co Ltd Schmiervorrichtung und ölpfanne
US7637337B2 (en) * 2007-04-19 2009-12-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oil pan
JP4582115B2 (ja) 2007-05-31 2010-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オイルパン構造
JP4882991B2 (ja) * 2007-12-11 2012-02-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オイルパン構造
DE202008010865U1 (de) * 2008-08-14 2010-01-07 Mann+Hummel Gmbh Ölwanne
US20110011367A1 (en) * 2009-07-20 2011-01-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 Warming of the Oil in an Oil Pa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09050335A1 (de) * 2009-10-22 2011-05-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etroit Einrichtung zum Sammeln von Öl einer Brennkraftmaschine
US8622176B2 (en) 2010-07-26 2014-01-07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Gearbox oil reservoir shape optimization
CN102465790B (zh) * 2010-11-08 2013-11-06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曲轴箱的导流构造
JP2012177364A (ja) * 2011-01-31 2012-09-13 Daikyonishikawa Corp オイルパンの構造
KR101262274B1 (ko) * 2011-11-16 2013-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오일순환장치
JP6021931B2 (ja) * 2011-11-17 2016-11-09 マーレ ベア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MAHLE Behr GmbH & Co.KG 蓄熱器
WO2013088525A1 (ja) * 2011-12-14 2013-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9534520B2 (en) * 2012-05-24 2017-01-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emperature-controlled segregation of hot and cold oil in a sump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979360B2 (ja) * 2012-07-26 2016-08-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オイルパン構造
US9206944B2 (en) * 2013-03-11 2015-12-08 Bell Helicopter Textron Inc. Lubrication system with passive drain valve
US9816601B2 (en) * 2013-03-11 2017-11-14 Bell Helicopter Textron Inc. Lubrication system with passive valve
JP6031594B2 (ja) * 2013-04-12 2016-1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オイル吸入装置
FR3004753B1 (fr) * 2013-04-23 2015-05-1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montee rapide en temperature de l'huile d'un moteur thermique et carter d'huile
CN103256093B (zh) * 2013-04-28 2016-05-18 重庆小康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内燃机润滑系统
US9958054B2 (en) * 2013-05-29 2018-05-01 Eaton Corporation Shield for transmission fluid sump
DE102013018449A1 (de) * 2013-11-05 2015-05-07 Man Truck & Bus Ag Ölwanne und Achsträger mit einer schrägen Flanschfläche
US9677436B2 (en) * 2014-04-16 2017-06-13 Avl Powertrain Engineering, Inc. Sump having temperature-controlled jalousie divider
US20150300480A1 (en) * 2014-04-16 2015-10-22 Avl Powertrain Engineering, Inc. Transmission Sump Screen
US9676027B2 (en) * 2014-12-01 2017-06-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Undercut die casting and injection molding systems and methods
DE102015003282B4 (de) * 2015-03-14 2017-06-29 Neander Motors Ag Wannensystem für eine Maschinengehäusestruktur einer Brennkraftmaschine
CN106703932A (zh) * 2015-07-23 2017-05-2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油底壳组件
CN105673128B (zh) * 2015-12-14 2018-02-02 浙江义利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油底壳结构
CN205458000U (zh) * 2015-12-25 2016-08-17 佛山市顺德区爱德实业有限公司 一种多功能烹调锅
KR101745254B1 (ko) * 2016-03-22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오일쏠림 방지장치
DE102016217242A1 (de) * 2016-09-09 2018-03-15 Zf Friedrichshafen Ag Getriebe
DE102017105539A1 (de) 2017-03-15 2018-09-20 Elringklinger Ag Ölwanne
RU2641788C1 (ru) * 2017-04-18 2018-01-22 Иван Иванович Бауэр Масляный поддон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6669131B2 (ja) * 2017-05-31 2020-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オイル循環装置
JP6607232B2 (ja) * 2017-05-31 2019-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オイル循環装置
JP6579160B2 (ja) * 2017-05-31 2019-09-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オイル循環装置
EP3425178A1 (en) * 2017-07-04 2019-01-09 Gomecsys B.V. A lubrica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RU183981U1 (ru) * 2018-02-26 2018-10-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Ракетных войск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имени Петра Великого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асляный поддон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RU184690U1 (ru) * 2018-05-10 2018-11-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ый Учебно-Научный Центр Сухопутных Войск "Общевойсковая Академия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огрева масла в двигателе
WO2020227227A1 (en) * 2019-05-03 2020-11-12 Brandeis University Thermal storage materials and applications thereof
DE102020213955A1 (de) * 2020-11-06 2022-05-12 Zf Friedrichshafen Ag Ölversorgungssystem für ein Automatikgetriebe
FR3119864A1 (fr) * 2021-02-15 2022-08-19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modification de la viscosite de l’huile de lubrification dans un moteur thermique
CN114352379A (zh) * 2021-12-02 2022-04-15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油底壳、发动机系统及车辆
US20240077073A1 (en) * 2022-09-01 2024-03-07 EKU Power Drives Inc. Reservoir for dual loop lubrication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pumps
JP2024078883A (ja) * 2022-11-30 2024-06-11 三菱重工コンプレッサ株式会社 潤滑油タンク及び回転機械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8679A (en) 1978-04-22 1981-03-31 Audi Nsu Auto Union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controlling the lubricating oil temperature of a combustion engine having an oil container
KR20070058699A (ko) * 2004-10-05 2007-06-08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오일 팬 및 윤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5292C2 (de) 1982-09-23 1986-01-09 Waldemar 8700 Würzburg Gontscharow Brennkraftmaschine für ein Kraftfahrzeug
JP3544269B2 (ja) 1996-06-18 2004-07-21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egr装置
JPH10196341A (ja) * 1997-01-13 1998-07-28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におけるオイルパンの制振構造
JP2001152825A (ja) 1999-11-25 2001-06-05 Mitsubishi Motors Corp エンジンのオイルパン
DE10002256B4 (de) * 2000-01-20 2008-06-26 Daimler Ag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der Erwärmung des Schmieröls einer Brennkraftmaschine
JP4267256B2 (ja) * 2001-07-25 2009-05-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オイルパン構造及びオイルパンセパレータ
JP2003278519A (ja) 2002-03-25 2003-10-02 Mitsubishi Motors Corp オイルパンの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8679A (en) 1978-04-22 1981-03-31 Audi Nsu Auto Union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controlling the lubricating oil temperature of a combustion engine having an oil container
KR20070058699A (ko) * 2004-10-05 2007-06-08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오일 팬 및 윤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71995B1 (en) 2013-12-25
WO2006095880A1 (en) 2006-09-14
JP2008533346A (ja) 2008-08-21
CN101137822A (zh) 2008-03-05
JP4420111B2 (ja) 2010-02-24
KR20070100920A (ko) 2007-10-12
CN101137822B (zh) 2011-03-30
RU2358135C1 (ru) 2009-06-10
EP1871995A1 (en) 2008-01-02
US20080066982A1 (en) 2008-03-20
CA2586383A1 (en) 2006-09-14
US7654241B2 (en) 2010-02-02
CA2586383C (en)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641B1 (ko) 이중 챔버형 오일 팬 및 이를 장착한 엔진
KR100849050B1 (ko) 오일 팬 및 윤활 장치
JP4506513B2 (ja) 潤滑機構付き機械
US20090020366A1 (en) Lubrication apparatus
JP4582115B2 (ja) オイルパン構造
CN105673128B (zh) 一种油底壳结构
JP2008303720A (ja) エンジンのオイル循環装置
JP2011247218A (ja) シリンダブロック
JP2006105126A (ja) 多槽式オイルパン構造
JP2007138792A (ja) 潤滑装置及びオイルパン
JP2007138821A (ja) 二槽式オイルパン
CA2956425C (en) Breather device
JP2006291759A (ja) エンジン
JP2004218582A (ja) オイルパン
JP2007032487A (ja) 二槽式オイルパン及びエンジン
TWI610020B (zh) 引擎之油殼構造
JPS6019930Y2 (ja) 内燃機関の潤滑装置
JPS6040805Y2 (ja) エンジンのオイルサブタンク
JP2006105118A (ja) オイルパン構造
JP2006125303A (ja) 潤滑装置、オイルパンセパレーター、及びオイルレベルゲージ
JP2007321639A (ja) 二槽式オイルパン及びこれを備えたエンジン
JP2004285974A (ja) 内燃機関の潤滑装置
JP5810827B2 (ja) 二槽式オイルパン装置
JPH06221225A (ja) 気化器のアイシング防止装置における冷却水循環パ イプ
JP2006125200A (ja) オイルパ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