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650B1 -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 Google Patents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650B1
KR100853650B1 KR1020020061373A KR20020061373A KR100853650B1 KR 100853650 B1 KR100853650 B1 KR 100853650B1 KR 1020020061373 A KR1020020061373 A KR 1020020061373A KR 20020061373 A KR20020061373 A KR 20020061373A KR 100853650 B1 KR100853650 B1 KR 100853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tmospheric
atmosphere
seated
orific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5884A (ko
Inventor
야마시타노부유키
Original Assignee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5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배력장치의 비작동시에는, 상기 제 1 대기밸브와 제 2 대기밸브가 함께 밸브폐쇄되어 오리피스통로가 변압실에 연통하는 것을 저지하고, 또 배력장치의 작동개시시에는, 상기 제 1 대기밸브는, 제 2 대기밸브가 밸브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밸브개방함으로써 오리피스통로를 통하여 변압실을 대기에 연통시키고, 그 후에 제 2 대기밸브가 밸브개방함으로써 이 제 2 대기밸브 및 제 1 대기밸브를 통하여 변압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도록 되어 있다.
브레이크작동 초기의 밸브기구의 진동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20061373
정압실, 변압실, 진공밸브, 대기밸브, 오리피스통로, 파워피스톤, 밸브플런저, 대기밸브시트, 착석부, 환상 돌기, 관통구멍.

Description

배력장치의 밸브기구{VALVE MECHANISM OF BOOS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등에 사용되는 배력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배력장치는, 셸내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밸브보디와, 그 밸브보디에 고정된 파워피스톤의 전후에 형성된 정압실 및 변압실과, 상 기 밸브보디내에 설치되어 유로의 전환을 행하는 밸브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기구는, 밸브보디에 형성된 환상의 진공밸브시트와, 상기 밸브보디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맞춘 밸브플런저와, 이 밸브플런저에 형성된 환상의 대기밸브시트와, 상기 진공밸브시트 및 대기밸브시트에 착석되는 밸브체와, 상기 진공밸브시트와 밸브체가 접촉하는 진공밸브보다도 외측의 공간에 연통하는 정압통로와, 상기 대기밸브시트와 밸브체가 접촉하는 대기밸브보다도 내측의 공간에 연통하는 대기통로와, 상기 진공밸브와 대기밸브 사이의 공간에 연통하는 변압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배력장치의 비작동시에는, 상기 밸브체는 밸브플런저에 형성된 대기밸브시트에 착석하여 대기밸브를 폐쇄함으로써 대기통로와 변압통로의 연통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진공밸브시트로부터 이석하여 진공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정압통로와 변압통로를 연통시키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배력장치의 파워피스톤의 전후에 형성된 정압실과 변압실은 상기 정압통로와 변압통로를 통하여 상호 연통하게 되므로, 파워피스톤에 압력차가 작용하는 일이 없고, 밸브보디 및 밸브플런저는 비작동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한편, 배력장치의 작동시에는, 상기 밸브체는 밸브플런저에 형성된 대기밸브시트로부터 이석하여 대기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대기통로와 변압통로를 연통시키는 동시에, 상기 진공밸브시트에 착석하여 진공밸브를 폐쇄함으로써 정압통로와 변압통로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배력장치의 파워피스톤의 후방에 형성된 변압실은 상기 변압통로와 대기통로를 통하여 대기에 연통하게 되므로, 파워피스톤에 압력차가 작용해서, 밸브보디가 전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배력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에의 입력과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반력이 균형이 잡히도록 밸브기구가 작동하여 배력작동을 행하는 것인데, 브레이크작동 초기에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반력이 작으면, 진공밸브와 대기밸브가 함께 밸브폐쇄상태로 되는 밸브기구의 서보밸런스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어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등 결함이 생긴다.
요컨대,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반력이 작으면, 대기밸브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작기 때문에, 대기밸브가 좀처럼 폐쇄되지 않고, 변압실에 대기가 지나치게 도입되고 만다. 이것에 의해, 그 후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반력과 브레이크 페달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밸브기구가 균형이 잡히려고 할 때에, 입력에 대하여 반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있으므로, 대기밸브는 폐쇄되어도 진공밸브가 개방되고 만다.
상술한 문제는, 마스터 실린더와도 관계되어 있다. 예를 들면, 근년, 마스터 실린더의 비작동시에, 레저버(reservoir)의 브레이크액을 마스터 실린더의 액압실을 통하여 공급하고, 그 브레이크액을 사용하여 브레이크압을 발생하게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이 있는데, 그와 같은 브레이크시스템에서는, 레저버로부터의 브레이크액의 공급을 신속히 행하기 위해, 마스터 실린더의 액압실과 레저버의 통로를 넓게 설정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구성의 마스터 실린더에서는 배력장치에 연동시킨 피스톤으로 레저버와 액압실의 연통을 차단하기까지는, 액압실에서의 액압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그것에 의해 브레이크작동 초기에는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반력이 작게 되어, 상술한 결함이 유발되는 경우가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브레이크작동 초기의 변압실로의 대기의 지나친 도입을 방지하여 밸브기구의 작동초기의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파워피스톤의 전후에 형성된 정압실과 변압실의 연통을 개폐하는 진공밸브와, 상기 변압실과 대기의 연통을 개폐하는 제 1 대기밸브를 구비한 배력장치의 밸브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기밸브보다도 대기측에 이 제 1 대기밸브와 대기와의 연통을 개폐하는 제 2 대기밸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 2 대기밸브의 상기 제 1 대기밸브측과 대기를 연통시키는 오리피스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배력장치의 비작동시에는, 상기 제 1 대기밸브와 제 2 대기밸브는 함께 폐쇄되어 상기 변압실과 대기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고, 상기 배력장치의 작동시에는, 상기 제 1 대기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오리피스통로를 통하여 대기를 상기 변압실에 도입하고, 그 후 상기 제 2 대기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오리피스통로와 함께, 상기 제 2 대기밸브를 통하여 상기 변압실에 대기를 도입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배력장치의 대기밸브에 상당하는 제 1 대기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변압실은 밸브폐쇄한 그대로의 제 2 대기밸브로 대기와의 연통이 저지된 상태로 오리피스통로를 통하여 대기에 연통하므로, 변압실에 도입되는 대기는 오리피스통로에서 제한되어 종래의 구성의 배력장치에 비교해서 감소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작동 초기에서의 입력에 대한 적절한 출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그 후에 밸브기구의 진동이나 소음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대기밸브를 구성하는 밸브체의 제 2 착석부가 밸브플런저의 제 1 대기밸브로부터 이석하면, 제 2 대기밸브와, 이것보다도 앞서 밸브개방된 제 1 대기밸브 사이를 통하여 변압실에 대기가 신속히 도입되므로, 종래의 배력장치와 동일한 브레이크작동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전망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한 다음과 같은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도시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밸브기구(15)를 적용한 부압식 배력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 도 2에서, 프론트 셸(2)과의 사이에 밀봉된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셸(3)의 축부내에 실링부재(4)를 통하여 개략 통형상의 밸브보디(5)의 기밀을 유지하여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게 하였다.
상기 밸브보디(5)의 외주면에는, 파워피스톤(6)을 연결함과 동시에, 이 파워피스톤(6)의 배면에 다이어프램(7)이 팽팽히 설치되어 있고, 이 다이어프램(7)의 전후에 정압실(A)과 변압실(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압실(A)과 변압실(B) 사이의 유체회로를 전환하는 상기 밸브기구(15)는, 도 2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보디(5)내에 설치되어 있고, 이 밸브기구(15)는 밸브보디(5)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의 진공밸브시트(16)와, 상기 밸브보디(5)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밸브플런저(14)의 리어측 끝면에 형성된 환상의 제 1 대기밸브시트(17)와 제 2 대기밸브시트(18)와, 더욱이 진공밸브시트(16), 제 1 대기밸브시트(17) 및 제 2 대기밸브시트(18)에 도 2의 우방으로부터 스프링(21)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착석되는 밸브체(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브체(22)는 대략 통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밸브보디(5)의 말단 통형상부(5A)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부착부(23a)를 가짐과 동시에 이것에 연달아 설치되어 프론트측으로 뻗는 통형상의 만곡부(23b)를 가지는 탄성소자로 이루어지는 통형상 탄성체(23)와, 이 통형상 탄성체(23)의 선단부에 설치된 강성을 가지는 보강플레이트(24)와, 이 보강 플레이트(24)에 설치되어 제 1 대기밸브시트(17)에 착석하는 제 1 착석부(25)와 제 2 대기밸브시트(18)에 착석하는 제 2 착석부(26)를 가지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체(27)를 구비하고 있고, 더욱이, 보강 플레이트 (24)의 외주에 연결되어 축방향 프론트측으로 뻗는 강성을 가지는 통형상부재(28)와, 이 통형상부재(28)의 반경방향 내방으로 절곡된 프론트측 끝부에 설치되어 진공밸브시트(16)에 착석하는 제 3 착석부(29)를 가지는 탄성체(30)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통형상 탄성체(23)는, 그 부착부(23a)를 말단 통형상부(5A)의 내주면과 이 내주면에 형성된 단부(段部)(5B)에 맞닿는 레테이너(20)로 끼워 지지되어 말단 통형상부(5A)에 기밀로 유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밸브시트(16)와 이것에 착석하는 제 3 착석부(29)로 형성되는 진공밸브(S3)보다도 외측의 공간을, 밸브보디(5)에 형성된 축방향의 정압통로(32)(도 1 참조)를 통하여 정압실(A)에 연통시키는 동시에, 이 정압실(A)은 프론트 셸(2)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부압도입관을 통하여 엔진의 부압원에 연통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대기밸브시트(17)와 이것에 착석하는 제 1 착석부(25)로 형성되는 제 1 대기밸브(S1)와 상기 진공밸브(S3) 사이의 공간을, 밸브보디(5)에 형성된 반경방향의 변압통로(33)를 통하여 변압실(B)에 연통하고, 더욱 상기 제 1 대기밸브(S1)보다도 내측의 공간은 밸브보디(5)의 말단 통형상부(5A)내에 형성된 대기통로(34)를 통하여 외부의 대기에 연통시키고, 이 대기통로(34) 내에 필터(35)를 설치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제 2 대기밸브시트(18)와 이것에 착석하는 제 2 착석부(26)로 형성되는 제 2 대기밸브(S2)의 내측과 외측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대기밸브(S2)와 제 1 대기밸브(S1) 사이의 공간이, 밸브체(22)를 구성하는 탄성체(27)와 보강플레이트(24)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뻗는 관통구멍(60)으로서의 오리피스통로(36)를 통하여 연통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착석부(25)와 제 2 착석부(26)를, 동심상에 배치되어 프론트측에 돌출하는 환상 돌기(27a, 27b)로 하고, 그리고, 배력장치의 작동개시시에 제 1 대기밸브(S1)보다도 제 2 대기밸브(S2)가 늦게 개방되고, 또, 비작동시에 제 1 대기밸브(S1)와 제 2 대기밸브(S2)가 함께 폐쇄되어 변압실과 대 기의 연통을 저지할 수 있게 제 2 착석부(26)의 환상 돌기(27b)의 강성을 제 1 착석부(25)의 환상 돌기(27a)의 강성보다도 낮게 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제 2 착석부(26)의 환상 돌기(27b)는, 대기도입시의 대기에 대한 저항을 저감하기 위하여 반경방향 외방을 향해서 경사지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플런저(14)의 우측부에는 입력축(40)의 선단부를 피벗지지 연결되어 있고, 이 입력축(40)의 말단부는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밸브플런저(14)의 좌측에는 플런저(41) 및 리액션디스크(42)를 순차 배치하고, 이 리액션디스크(42)는 출력축(43)의 우측 끝부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40)과 밸브보디(5)에 고정된 리테이너(20) 사이에는 밸브 리턴스프링(44)을 탄성장착하고 있고, 이 밸브 리턴스프링(44)에 의해 입력축(40) 및 입력축(40)에 연결된 밸브플런저(14)를 리어측으로 힘을 가세하여, 진공밸브(S3)가 개방되고, 제 1 대기밸브(S1)와 제 2 대기밸브(S2)가 폐쇄되는 도시하는 비작동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 상기 출력축(43)의 좌측 끝부는 프론트 셸(1)의 축부로부터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외부로 돌출하게 함으로써, 도시하지 않는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에 연동시키고 있다. 더욱이, 상기 밸브보디(5)는 리턴스프링(39)에 의해 통상은 도시하는 비작동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말단 통형상부(5A)는 리어 셸(3)의 개구로부터 축방향 리어측으로 돌출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개구로부터 돌출된 말단 통형상부(5A)를 고무제의 더스트커버(45)로 덮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비작동상태에서는, 스프링(21)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밸브체(22)의 제 1 착석부(25)와 제 2 착석부(26)가 각각 밸브플런저(14)의 제 1 대기밸브시트(17)와 제 2 대기밸브시트(18)에 착석해서 대기통로(34)와 변압통로(33)의 연통을 차단함과 동시에, 또 상기 제 3 착석부(29)는 진공밸브시트(16)로부터 이격해서 변압통로(33)와 정압통로(32)가 연통하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변압실(B)은 정압실(A)에 연통되어 함께 부압이 도입되어 있다. 이 때, 제 1 대기밸브(S1)와 제 2 대기밸브(S2) 사이의 공간은, 오리피스통로(36)를 통하여 대기에 연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진공밸브(S3)와 제 1 대기밸브(S1)를 축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함과 동시에, 제 1 대기밸브(S1)를 진공밸브(S3)와 대략 동일 직경으로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진공밸브(S3)의 내측에 제 1 대기밸브(S1)를 배치한 구성에 비교하여 밸브체(22)에 작용하는 대기의 작용면적은 작게 되므로, 그에 따라 밸브 리턴스프링(44)의 탄성반발력을 저감하여 작동개시 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는 비작동상태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서, 입력축(40) 및 밸브플런저(14)가 밸브 리턴스프링(44)을 압축하면서 밸브보디(5)에 대하여 전진되면, 밸브플런저(14)에 맞닿은 상태로 전진하는 밸브체(22)의 제 3 착석부(29)가 밸브보디(5)의 진공밸브시트(16)에 착석해서 정압통로(32)와 변압통로(33)의 연통을 차단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입력축(40) 및 밸브플런저(14)가 밸브 리턴스프링(44) 및 스프링(21)에 저항하여 전진되면, 밸브 체(22)의 제 2 착석부(26)가 밸브플런저(14)의 제 2 대기밸브시트(18)에 착석한 그대로의 상태로 제 1 착석부(25)가 제 1 대기밸브시트(17)로부터 이석되므로, 변압통로(33)가 오리피스통로(36)를 통하여 대기에 연통되고, 이것에 의해 오리피스통로(36)를 통과한 대기가 변압실(B)에 도입되어 배력장치(1)가 작동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제 1 대기밸브(S1)에 상당하는 대기밸브를 다만 개방하게 함으로써 대기를 변압실에 도입하게 되어 있던 종래에 비교해서 제 2 대기밸브(S2)로 변압실(33)과 대기의 연통을 저지한 상태로 오리피스통로(36)로부터 변압실(B)에 대기를 도입하고 있으므로, 브레이크작동 초기의 출력의 상승이 완만하게 되므로, 요컨대, 입력에 맞는 출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작동 초기의 밸브기구(15)의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작동상태로부터 브레이크 페달이 더 밟혀서, 입력축(40) 및 밸브플런저(14)가 밸브 리턴스프링(44)을 압축하면서 밸브보디(5)에 대하여 전진되면, 그때까지 밸브플런저(14)의 제 2 대기밸브시트(18)에 착석되어 있던 밸브체(22)의 제 2 착석부(26)가 이석되므로, 그때까지 오리피스통로(36)를 통하여 대기에 연통되어 있던 변압통로(33)가 제 1 대기밸브(S1)와 제 2 대기밸브(S2)를 통하여 대기에 연통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대기밸브(S1)와 제 2 대기밸브(S2)를 통과한 대기가 변압실(B)에 신속히 도입되어 배력장치(1)의 출력은 신속히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제 2 착석부(26)는 반경방향 외방을 향해서 경사져 있으므로, 대치하는 밸브플런저(14)와의 사이를 반경방향 외방을 향해서 흐르는 대기를 원만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착석부(26)는, 반경방향 내방을 향해서 경사지게 해도 좋다.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일체로 구성되어 있던 제 1 대기밸브(S1)와 제 2 대기밸브(S2)를 별체로 구성한 것이다.
즉, 보강플레이트(124)를, 통형상 탄성체(123)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제 1 밸브체를 구성하는 제 1 플레이트부재(124A)와, 이 제 1 플레이트부재(124A)내에 끼워 맞추어져서 제 2 밸브체를 구성하는 제 2 플레이트부재(124B)의 2부재로 하고, 또 탄성체(127)를,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124A)에 설치되어 제 1 대기밸브(S1)를 구성하는 제 1 탄성부재(127A)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124B)에 설치되어 제 2대기밸브(S2)를 구성하는 제 2 탄성부재(127B)의 2부재로 하고 있고, 상기 제 1 탄성부재(127A)에 제 1 착석부(125)가 형성됨과 동시에 제 2 탄성부재(127B)에 제 2 착석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124B)의 외주면의 리어측 부분에 제 1 플레이트부재(124A)내에 리어측으로부터 끼워맞추어지는 단부(124b)를 형성하고, 이 단부(124b)를 제 1 플레이트부재(124A) 내에 끼워 맞춤으로써 제 2 플레이트부재(124B)를 이것과 일체로 체결하고 있다. 또, 이 체결 개소보다도 반경방향 내방에서 스프링(121)의 내측으로 되는 원주상의 소정위치에는, 제 2 탄성부재(127B)와 제 2 플레이트부재(124B)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뻗는 오리피스통로(136)로서의 관통구멍(16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사용한 부재번호에 대하여 각각 100을 가산한 부재번호가 붙어 있다.
요컨대, 본 실시예는, 진공밸브와 대기밸브를 축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한 종래 주지의 밸브기구를 이용하여 오리피스통로(136)를 가지는 제 2 플레이트부재(124B)와 제 2 탄성부재(127A)를 적용하여 본 발명을 구성한 것이고,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속시키고 있던 제 2 착석부(26)의 환상 돌기(27b)의 수개소를 절결해서 이 절결부(261)내를 오리피스통로(236)로 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사용한 부재번호에 대하여 각각 200을 가산한 부재번호가 붙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보강 플레이트(24)와 탄성체(27)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60)을 오리피스통로(36)로 하는 제 1 실시예에 비교해서 재조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제 2 착석부(126)를 가지는 제 2 실시예에 본 실시예를 적용해도 좋다.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는, 제 1 실시예에서 펑탄하게 형성되어 있던 밸브플런저(314)의 리어측 끝면의 일부에 리어측으로 돌출하는 환상 돌기(314b)를 형성하여 이것을 제 2 대기밸브시트(318)로 하는 한편, 제 1 실시예에서 프론트측으로 돌출하는 환상 돌기(27b)로 이루어지는 제 2 착석부(26)를 생략하여 대신에 보강 플레이트(324)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 2 대기밸브시트(318)에 착석하는 환상 립(327c)를 제 2 착석부(326)로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대기밸브시트(318)로서의 환상 돌기(314b)의 일부를 절결하여 이 절결부(361)내를 오리피스통로(336)로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사용한 부재번호에 대하여 각각 300을 가산한 부재번호가 붙어 있다.
결국,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제 2 착석부(26)의 환상 돌기(27b) 대신으로 강성을 낮게 할 수 있는 환상 립(327c)으로 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제 1 대기밸브(S1)보다 지연되어 제 2 대기밸브(S2)가 개방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 4 실시예에서 제 2 대기밸브시트(318)에 형성되어 있던 절결부(361)를 생략해서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게 함과 동시에, 이 제 2 대기밸브시트(418)에 착석하는 제 2 착석부(426)보다도 외측으로 탄성체(427)와 보강플레이트(424)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460)을 설치하고, 이 관통구멍(460)을 오리피스통로(436)로 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외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사용한 부재번호에 대하여 각각 400을 가산한 부재번호가 붙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 5 실시예에서 밸브플런저(41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던 제 2 대기밸브시트(418)로서의 환상 돌기(414b)를 생략해서 당해 위치에 환상 단부(562)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환상 단부(562)내에 제 2 대기밸브시트(518)로서의 리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 돌기(550a)를 가지는 탄성체(550)를 설치하고, 또, 제 5 실시예에서 탄성체(427)에 설치되어 있던 제 2 착석부(426)로서의 환상 립(427c)을 생략해서 당해 위치까지 보강플레이트(524)의 내측 가장자리부를 연장하게 함과 동시에 이 보강 플레이트(524)가 사기 환상 돌기(550a)로서의 탄성체(550)에 맞닿는 위치를 환상의 제 2 착석부(526)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 2 착석부(526)보다도 외측에 보강 플레이트(524)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560)을 설치하고, 이 관통구멍(560)을 오리피스통로(536)로 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사용한 부재번호에 대하여 각각 500을 가산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 5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플레이트(524)의 관통구멍(560)을 오리피스통로 (536)로 하고 있었는데, 이 관통구멍(560)을 생략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2 대기밸브시트(518)로서의 환상 돌기(550a)의 선단을 졀결해서 이 절결을 오리피스통로로 해도 좋다.
다음에,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착석부(625)를 가지는 제 1 탄성부재(627A)를 기밀성을 가지는 고밀도의 탄성소재로 형성하는 한편, 이 제 1 탄선부재(627A)와 별체로 형성되어 제 2 착석부(626)를 구성하는 제 2 탄성부재(627B)를 그 자신이 통기성을 가지는 스폰지 등의 발포성 탄성소재로 형성한 것이고, 즉, 제 2 탄성부재(627B) 자신이 대기의 유통을 제한하는 오리피스(636)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탄성부재(627B)의 강성을 제 1 탄성부재(627A)에 비교해서 작게 설정하여 제 2 대기밸브(S2)가 제 1 대기밸브(S1)보다도 후에 밸브개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사용한 부재번호에 대하여 각각 600을 가산한 부재번호가 붙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상기 제 7 실시예에서는 제 1 대기밸브(S1)를 구성하는 제 1 탄성부재(627A)와 제 2 대기밸브(S2)를 구성하는 제 2 탄성부재(627B)를 별체로 하고 있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9의 제 8 실시예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대기밸브(S1)를 구성하는 고밀도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 1 탄성부분(727a)과 저밀도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 2 대기밸브(S2)를 구성하는 제 2 탄성부분(727b)으로 하여 일체로 해도 좋고, 이것에 의해 제 7 실시예에 비교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진공밸브와 대기밸브를 축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한 밸브기구로 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진공밸브와 대기밸브를 반경방향으로 배치한 밸브기구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제 1 대기밸브(S1)의 대기통로(34, 134, 234, 334, 434, 534, 634, 734)측에 제 2 대기밸브(S2)와 오리피스통로(36, 136, 236, 336, 436, 536, 636, 736)를 설치하고 있는데,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욱 제 2 대기밸브(S2)와 오리피스통로(36, 136, 236, 336, 436, 536, 636, 736)의 대기측으로 제 3 대기밸브와 제 2 오리피스통로, 나아가서는 복수의 대기밸브와 오리피스통로를 순차 설치하고, 브레이크 작동시에 제 1 대기밸브의 밸브개방후, 순차 제 2 대기밸브, 제 3 대기밸브와 제 1 대기밸브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밸브개방하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브레이트작동 초기에 변압실에 대기를 도입하는 통로면적이 순차 크게 되므로, 변압실에의 대기의 도입속도를 순차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도시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품의 형상, 크기, 재질, 배열 등에 대한 많은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과 특허청구의 범위에 위배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배력장치의 대기밸브에 상당하는 제 1 대기밸브가 개방된 상테에서도, 변압실은 밸브폐쇄한 그대로의 제 2 대기밸브로 대기와의 연통이 저지된 상태로 오리피스통로를 통하여 대기에 연통하므로, 변압실에 도입되는 대기는 오리피스통로에서 제한되어 종래의 구성의 배력장치에 비교해서 감소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작동 초기에서의 입력에 대한 적절한 출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그 후에 밸브기구의 진동이나 소음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대기밸브를 구성하는 밸브체의 제 2 착석부가 밸브플런저의 제 1 대기밸브로부터 이석하면, 제 2 대기밸브와 이것보다도 앞서 밸브개방된 제 1 대기밸브 사이를 통하여 변압실에 대기가 신속히 도입되므로, 종래의 배력장치와 동일한 브레이크작동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4)

  1. 파워피스톤의 전후에 형성된 정압실과 변압실의 연통을 개폐하는 진공밸브와, 상기 변압실과 대기의 연통을 개페하는 제 1 대기밸브를 구비한 배력장치의 밸브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기밸브보다도 대기측에 이 제 1 대기밸브와 대기의 연통을 개폐하는 제 2 대기밸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 2 대기밸브의 상기 제 1 대기밸브측과 대기를 연통시키는 오리피스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배력장치의 비작동시에는, 상기 제 1 대기밸브와 제 2 대기밸브는 함께 폐쇄되어 상기 변압실과 대기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고, 상기 배력장치의 작동시에는, 상기 제 1 대기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오리피스통로를 통하여 대기를 상기 변압실에 도입하고, 그 후 상기 제 2 대기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오리피스통로와 함께, 상기 제 2 대기밸브를 통하여 상기 변압실에 대기를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기밸브는, 상기 파워피스톤내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입력축에 의해 연동되는 밸브플런저에 형성된 제 1 대기밸브시트와, 이 제 1 대기밸브시트에 착석되는 밸브체에 형성된 제 1 착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대기밸브는, 상기 밸브플런저에 형성된 제 2 대기밸브시트와, 상기 밸브체에 형성된 제 2 착석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력장치의 비작동시에는, 상기 밸브플런저의 제 1 대기밸브시트에 상기 밸브체의 제 1 착석부가 착석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플런저의 제 2 대기밸브시트에 상기 밸브체의 제 2 착석부가 착석하고 있고,
    상기 제 1 대기밸브, 제 2 대기밸브, 상기 밸브플런저 및 상기 밸브체로 둘러싸인 공간에 상기 오리피스통로를 통하여 대기가 도입되어 있고,
    상기 배력장치의 작동시에는, 상기 제 1 대기밸브시트와 제 1 착석부가 이석하고, 그 후 상기 제 2 대기밸브시트와 제 2 착석부가 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제 2 착석부는, 상기 밸브플런저의 제 2 대기밸브시트를 향해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탄성체의 환상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제 2 착석부는,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서 뻗는 탄성체의 환상 립이고, 상기 밸브플런저의 제 2 대기밸브시트는, 상기 환상 립의 측면에 착석하는 축방향으로 뻗는 환상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일단이 상기 밸브보디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제 1 착석부가 형성된 제 1 밸브체와, 이 제 1 밸브체에 의해 유지되어 상기 제 2 착석부가 형성된 제 2 밸브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6.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제 1 착석부와 제 2 착석부가 일체의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플런저의 제 2 대기밸브시트는, 상기 밸브체의 제 2 착석부를 향해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탄성체의 환상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8.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통로는, 상기 밸브체의 제 1 착석부와 제 2 착석부 사이에 위치하는 관통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9.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통로는, 상기 밸브체의 제 2 착석부의 일부를 절결한 절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10.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오리피스통로는, 상기 밸브플런저의 제 2 대기밸브시트의 일부를 절결한 절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11.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제 2 착석부는, 대기의 투과를 허용하는 저밀도의 소재로 구성되어 있고, 이 제 2 착석부가, 상기 오리피스통로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12. 제 2 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제2 착석부는, 상기 제 1 착석부보다 강성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플런저의 제 2 대기밸브시트는, 상기 밸브체의 제 1 착석부보다 강성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대기밸브에서 대기측으로, 이 제 2 대기밸브와 대기와의 연통을 개폐하는 제 3 대기밸브를 더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 3 대기밸브의 상기 제 2 대기밸브측과 대기를 연통하는 제 2 오리피스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배력장치의 비작동시에는, 상기 제 1 대기밸브, 제 2 대기밸브, 및 제 3 대기밸브는 함께 폐쇄되어 있고, 상기 배력장치의 작동시에는, 상기 제 1 대기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오리피스통로를 통하여 상기 변압실에 대기를 도입하고, 그 후 상기 제 2 대기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오리피스통로와 제 2 오리피스통로를 통하여 상기 변압실에 대기를 도입하고, 또한, 그 후 상기 제 3 대기밸브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KR1020020061373A 2001-10-22 2002-10-09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KR100853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24066 2001-10-22
JP2001324066A JP3785985B2 (ja) 2001-10-22 2001-10-22 倍力装置の弁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884A KR20030035884A (ko) 2003-05-09
KR100853650B1 true KR100853650B1 (ko) 2008-08-25

Family

ID=1914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373A KR100853650B1 (ko) 2001-10-22 2002-10-09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42437B2 (ko)
EP (1) EP1304273B1 (ko)
JP (1) JP3785985B2 (ko)
KR (1) KR100853650B1 (ko)
DE (1) DE6021575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1842B2 (ja) * 2005-03-30 2009-10-14 ボッシュ株式会社 流体圧倍力装置
JP2007308090A (ja) 2006-05-22 2007-11-29 Advics:Kk 負圧式倍力装置
JP5935443B2 (ja) * 2012-03-29 2016-06-15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負圧式倍力装置
DE102015001981A1 (de) 2015-02-16 2016-08-18 Lucas Automotive Gmbh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mit drosselnder Steuerventilanordn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892A (ko) * 1994-10-14 1996-05-22 요시다 도시오 배력장치
KR960031383A (ko) * 1995-02-27 1996-09-17 장영수 시멘트 몰탈 및 콘크리트 균열방지용 무수축 혼화제
KR19990045266A (ko) * 1997-11-28 1999-06-25 오카베 히로무 브레이크 배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8258A (ja) * 1987-04-15 1988-10-25 Tokico Ltd 気圧式倍力装置
JPH0437019Y2 (ko) * 1988-03-31 1992-09-01
US5476029A (en) * 1993-09-20 1995-12-19 Tokico Ltd. Pneumatic booster having vacuum and pressurized air sources
DE19844233A1 (de) * 1998-09-26 2000-03-3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892A (ko) * 1994-10-14 1996-05-22 요시다 도시오 배력장치
KR960031383A (ko) * 1995-02-27 1996-09-17 장영수 시멘트 몰탈 및 콘크리트 균열방지용 무수축 혼화제
KR19990045266A (ko) * 1997-11-28 1999-06-25 오카베 히로무 브레이크 배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884A (ko) 2003-05-09
EP1304273A3 (en) 2003-11-05
EP1304273A2 (en) 2003-04-23
US6742437B2 (en) 2004-06-01
EP1304273B1 (en) 2006-11-02
DE60215752T2 (de) 2007-08-30
US20030075039A1 (en) 2003-04-24
JP2003127851A (ja) 2003-05-08
JP3785985B2 (ja) 2006-06-14
DE60215752D1 (de)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278488B6 (en) The valve assembly for controlling pneumatic brake booster
JP3085319B2 (ja) ブレーキ倍力装置
KR100853650B1 (ko)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KR0141924B1 (ko) 배력장치
KR920006887Y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시일장치
US5178055A (en) Vacuum booster
KR100288608B1 (ko) 배력장치
JPH0616127A (ja) 気圧式倍力装置
JP3526128B2 (ja) ブレーキ倍力装置
JP2536598Y2 (ja) 気圧式倍力装置
JP3509272B2 (ja) 倍力装置
JP3509298B2 (ja) 倍力装置の弁機構
JP2902844B2 (ja) 気圧式倍力装置
JP2962333B2 (ja) ブレーキ倍力装置
JP3358642B2 (ja) 倍力装置
KR950006091Y1 (ko) 배력장치
JPH09295570A (ja) 倍力装置
JP2600254Y2 (ja) 倍力装置の消音装置
JP2600252Y2 (ja) 倍力装置の消音装置
JPH0952573A (ja) 倍力装置の弁機構
JPH0930404A (ja) 気圧式倍力装置
JPH0885445A (ja) 倍力装置
JP2001180476A (ja) 倍力装置
JP2006088887A (ja) 気圧式倍力装置
JPH0789429A (ja) 気圧式倍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