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371B1 - 가축용 사료 - Google Patents

가축용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371B1
KR100849371B1 KR1020010029190A KR20010029190A KR100849371B1 KR 100849371 B1 KR100849371 B1 KR 100849371B1 KR 1020010029190 A KR1020010029190 A KR 1020010029190A KR 20010029190 A KR20010029190 A KR 20010029190A KR 100849371 B1 KR100849371 B1 KR 100849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group
glutamine
livestock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7772A (ko
Inventor
신자토이즈루
사토히로유키
도리데야스히코
다케우치마코토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6607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493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7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6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weanl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3Nucleic acids; Hydrolysis product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용 사료와 핵산,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당해 가축 사료용 조성물을 가축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가축에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축용 사료, 핵산, 글루타민, 글루탐산, 체중 증가 효율, 사료 효율

Description

가축용 사료{Feed for livestock}
본 발명은 가축에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유약기(幼若期) 동안의 곤란은 산업 동물을 사육하는 데 있어서의 특징적인 문제점으로서 예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생 직후부터 이유기를 거쳐 사료를 비육기용 식이(grower diet)로 전환시키기 직전까지의 기간 동안에, 동물의 사료 섭취량은 모유로부터 고형 사료로의 식이 전환에 의해 유발되는 스트레스의 영향으로 인해 저하된다. 이외에, 설사, 각종 감염증, 환경의 변화, 밀집 사육 등과 같은 각종 스트레스가 사료 섭취량의 저하를 유도하며, 동물의 지연된 성장에 대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성장 지연은 산업적으로 심각한 손실의 요인이 되므로, 이의 대책으로서 각종 시도가 행해졌다. 예를 들어, 특히 사료 섭취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감미제와 같은 기호성이 높은 물질이 보충된 식이의 급여를 시도하였으나, 명료한 효과는 아직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이들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특징적인 발견으로서, 소장 융모의 위축으로 인한 소장 기능의 저하를 예로 들 수 있다. 물리적 요인과 화학적 요인, 즉 고형 사료 섭취에 의한 점막에 대한 물리적 자극과 영양 물질에 의한 화학적 자극이 융모의 성장에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으나, 이들 중 어느 것의 기여가 큰지는 불명료하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서든, 영양 물질의 흡수가 융모의 위축 상태하에서는 충분히 달성될 수 없으며, 이 결과, 사료 효율이 저하되고 체중 증가의 지연이 유발될 것이라는 것은 용이하게 상상할 수 있다.
소장 융모의 위축이 실험 동물에서 실험적으로 실시될 경우, 융모의 회복은 핵산의 투여에 의해 촉진된다는 여러 연구결과가 문헌[참조: Nutrition, Vol. 13, No. 4 (1997); J. Nutr., 125: 42-48 (1995) 및 JPEN, 14: 598-604 (1990)]에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보고는, 핵산을 핵산 합성용 원료로서 사료에 첨가하는 것이 급속한 세포 증식을 필요로 하는 조직, 예를 들어, 장 융모에 유효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아미노산을 기재로서 사용하는 신생 핵산 합성은 유약기 동물에서 미숙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핵산 투여의 유효성이 동물의 유약기에서 보다 현저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모유는 유아에서 소장 기능의 발달과 유지를 초래하는 몇가지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중, 글루타민이 모유에서 주요한 유리 아미노산이다. 따라서, 당해 아미노산이 동물에서 소장 기능의 발달과 유지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참조: Nutrition Review, 48: 297 (1990)]. 또한, 암퇘지의 모유 중 유리 글루타민의 농도는 수유 진행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참조: J. Nutr., 124: 415-424 (1994)], 당해 아미노산이 유약기 동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사료로부터 유래된 글루타민은 장 상피 세포에 대한 주요 에너지원일 뿐만 아니라 핵산의 전구체이기 때문에, 당해 아미노산이 소장의 정상 점막의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영양 물질인 것으로 간주된다[참조: JPEN, 11: 569-579 (1987); Annu. Rev. Nutr., 11: 285-308 (1991) 및 JPEN, 14: 237-243 (1990)].
글루타민과 유사하게, 글루탐산이 또한 모유에서 주요한 아미노산이고, 예를 들어, 당해 아미노산이 특히 암퇘지의 젖에서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참조: Br. J. Nutr., 79: 129-131 (1998)]. 또한, 점막에서의 글루탐산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최근 축적되어, 사료로부터 유래된 글루탐산이 글루타민과 마찬가지로 소장 상피 세포에 대한 주요 에너지원이고, 아르기닌과 프롤린의 전구체이며, 또한 글루타치온 합성용 원료인 것으로 밝혀졌다[참조: Am. J. Physiol., 273: E408-E415 (1997); J. Nutr., 126: 878-886 (1996); J. Nutr., 128: 1249-1252 (1998) 및 J. Nutr., 130: 978S-982S (2000)]. 이러한 관점을 기초로 하여, 최근에 글루탐산이 소장 기능의 유지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상기 보고로부터 핵산,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이 각각 독립적으로 어느 정도로 소장 기능에 개선 효과를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들 중 2종 이상, 예를 들어, 핵산과 글루타민, 핵산과 글루탐산, 글루타민과 글루탐산 등의 병용 효과에 대한 정보는 지금까지 전혀 입수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축에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사료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당해 목적과 기타 목적은, 가축용 사료와 핵산,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당해 목적 및 기타 목적은, 상기 가축 사료용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여, 가축에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핵산,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첨가제를 가축용 일반 사료와 같은 가축용 사료에 첨가할 경우, 이들 첨가제를 각각 독립적으로 첨가할 경우와 비교하여 사료 효율이 개선되며, 가축의 발육이 촉진됨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가축용 사료로서는, 가축용 일반 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로는 대용유(代用乳), 프리스타터 사료(pre-starter feed) 및 스타터 사료(starter feed)가 있다. 핵산을 사료 중량당 0.01 내지 2.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글루타민과 글루탐산을 사료 중량당 0.05 내지 2.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핵산,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 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첨가제의 혼합물을 사료 중량당 0.05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첨가한다.
가축 사료용 조성물의 투여 기간은 이유기, 즉 이유시키기 1주 내지 2주 전후의 기간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축"은 젖, 고기 또는 피혁 생산용 산업 동물, 예를 들어, 소, 돼지, 닭, 말, 칠면조, 양, 염소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핵산은 사료 등에 함유되어 있는 곡물로부터 유래된 핵산이 아니며, 단일 물질, 또는 다량의 핵산을 함유하는 균체, 예를 들어, 세균, 효모 등으로서 존재하는 핵산이다. 핵산으로서는, 데옥시리보핵산 및 리보핵산이 유효하다. 핵산은 소위 중합체 핵산으로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의 구성 단위로서의 뉴클레오티드, 탈인산화에 의해 뉴클레오티드로부터 형성된 뉴클레오시드, 및 최소 단위로서의 퓨린 또는 피리미딘 염기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뉴클레오티드의 예로는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시티딘 모노포스페이트, 우리딘 모노포스페이트, 티미딘 모노포스페이트,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등이 있다. 뉴클레오시드의 예로는 상기 뉴클레오티드의 탈인산화로부터 생성된 화합물이 있다. 또한, 아데닌 및 구아닌을 퓨린 염기의 예로 들 수 있으며, 시토신, 우라실 및 티미딘을 피리미딘 염기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글루타민과 글루탐산은 사료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분자로부터 유래된 글루타민과 글루탐산이 아니며, 유리 아미노산으로서 존재하는 글루타민과 글루탐산이다. 글루타민과 글루탐산은 L-이성체 또는 D-이성체로 서 사용할 수 있으나, L-이성체가 이용 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유리 아미노산으로서의 글루타민과 글루탐산과 관련하여, 합성법, 추출법 또는 발효법에 의해 제조된 글루타민과 글루탐산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의 유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핵산,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첨가제를 가할 가축용 사료의 예에는 곡물(예를 들어, 옥수수, 보리, 밀, 호밀, 수수, 대두, 황색 분말 대두 등), 대두분, 분리 대두 단백질, 유지, 탈지유, 어분, 육분, 골분, 혈분, 혈장 단백질, 유장, 쌀겨, 밀겨, 감미제, 예를 들어, 다당류(예: 설탕 등) 등, 미네랄, 비타민 및 염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 양 및 염소와 같은 반추 동물에서는, 각종 목초를 상기한 사료 이외의 사료로서 사용한다.
핵산은 사료 중량당 0.01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사료에 가한다.
글루타민과 글루탐산은 통상적으로 사료 중량당 0.05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사료에 가한다.
또한, 핵산,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첨가제의 혼합물은 통상적으로 사료 중량당 0.05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중량%의 양으로 가한다.
가축에게 가축 사료용 조성물을, 핵산이 각각의 동물 체중 kg당 0.01 내지 2.5g/일,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g/일의 양으로 섭취되고, 글루타민과 글루탐산이 각각의 동물 체중 kg당 0.05 내지 2.5g/일,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g/일의 양으로 섭취되도록 하는 투여량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핵산에 대한 필요조건은 생물학적 합성에 의해 거의 전부 충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간주되므로, 사료로부터 공급되는 핵산의 양은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각각의 사료 원료 중의 핵산 함량의 분석치가 대부분 명확하지 않더라도, 이들 사료 원료로부터 유래된 핵산의 양은 극히 소량인 것으로 일반적으로 판단된다. 한편, 사료 중의 글루타민은 사료 원료의 가수분해 공정 동안에 글루탐산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사료 원료의 글루타민 함량을 측정하지 않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사료로부터 유래된 글루타민의 양은 일반적으로 글루타민과 글루탐산의 총량으로서 측정하고, 당해 총량은 사료 중의 총 단백질의 10 내지 15%를 차지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를 기초로 하여, 실용 사료는 글루타민과 글루탐산을 사료 중량당 총 약 1.5 내지 4.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핵산,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첨가제를 보충하여 사료와 혼합함으로써 가축에게 급여할 수 있다. 돼지의 경우에, 예를 들어, 출생 직후에 암퇘지의 젖을 단독으로 급여하나, 이후 1주 내지 2주째에 암퇘지 젖과 함께 프리스타터 식이를 추가로 급여한다. 이유시킨 후, 사료를 스타터 식이로 전환시키고, 이어서 비육기용 식이로 전환시켜 비육을 수행한다. 또한, 소, 양, 염소 등과 같은 반추 동물에서는, 혹위가 형성될 때까지, 모유 또는 대용유와 고형 사료를 동시에 급여하고, 이유 시기에 이들을 고형 사료로 완전히 대체시킨다. 핵산,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을 임의의 사료에 첨가할 경우에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핵산,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첨가제가 보충된 사료를 급여하여 체중 증가와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효과는 식이의 급여를 종료하더라도 지속되므로, 특히 이유시키기 1주 내지 2주 전후의 기간 동안의 급여가 보다 유효하다. 핵산,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은 사료에 반드시 혼합할 필요없이 각각 독립적으로, 혼합 분말 형태로 또는 가축의 기호 물질, 예를 들어, 설탕 또는 기타와 혼합하여 급여할 수 있다. 또는, 이들은 대용유 또는 물에 용해시켜 액체로서 급여할 수 있다.
핵산,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첨가제를 미리 사료를 혼합할 때 또는 가축에게 식이를 급여할 때 사료에 가할 수 있다.
산업적 관점으로부터, 핵산,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첨가제가 보충된 가축용 사료를 사용하여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본 발명의 방법은 출생 직후로부터 이유기를 거쳐 사료를 비육기용 식이로 전환시키기 직전까지의 기간에 가축에게 적용시킬 경우에 유용하고, 자돈에게 적용시킬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가축에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을 개선시켜, 체중 증가와 같은 특정 효과를 결과로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예시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용어 "%"는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자돈에서 사료 효율 개선:
이유자돈, 즉 거세한 자돈 72마리와 어린 암컷 자돈 72마리를 사용하여 4개 그룹(각 그룹당 36마리, 반복 실험당 6마리 동물을 사용하여 6회 반복 실험), 즉 대조군(C), 핵산 단독 투여군(N), 글루타민 단독 투여군(G) 및 핵산+글루타민 혼합물 투여군(N+G)으로 분류한다. 자돈을 평균 17일령에 이유시킨다. 이유시킨 후 2주 동안, 표 1에 제시된 조성을 갖는 스타터 사료를 C 그룹에게 급여한다. 또한, 스타터 사료에 맥주 효모로부터 추출된 시판용 리보핵산(제조원: Kirin Brewery CO., LTD.)을 사료 중량당 0.8%로 첨가하여 제조된 시험용 사료를 N 그룹에게 급여하고, 스타터 사료에 결정질 글루타민을 사료 중량당 1.2%로 첨가하여 제조된 시험용 사료를 G 그룹에게 급여하고, 스타터 사료에 리보핵산 및 글루타민을 사료 중량당 각각 0.8% 및 1.2%로 첨가하여 제조된 시험용 사료를 N+G 그룹에게 급여한다. 2주가 경과한 후, 일반 식이를 모든 그룹에게 급여한다. 이유시킨 후 7일, 14일, 21일 및 28일째에, 체중과 잔류 사료 중량을 측정하여, 사료 섭취량, 체중 증가 및 사료 효율을 계산한다. 결과는 표 2에 제시한다.
스타터 사료의 배합 조성물
원료 배합비(%)
락토즈 30.0
옥수수 20.1
대두분 24.3
농축 대두 단백질 10.6
옥수수 전분 1.2
건조 적혈구 세포 1.8
유지 7.4
기타 4.6
합계 100.0
시험 결과
C N G N+G
평균 체중(kg)
이유시킬 때 5.36 5.36 5.36 5.37
이유 후 7일째 6.14 6.17 6.01 6.42
이유 후 14일째 8.07 8.28 7.83 8.68
이유 후 21일째 10.11 10.20 9.91 11.05
이유 후 28일째 12.98 13.23 12.82 14.09
체중 증가(kg/일)
0일 내지 7일째 0.111 0.116 0.094 0.151
7일 내지 14일째 0.276 0.301 0.259 0.322
14일 내지 21일째 0.292 0.274 0.297 0.340
21일 내지 28일째 0.410 0.432 0.416 0.433
0일 내지 28일째 0.272 0.281 0.267 0.311
평균 사료 섭취량(kg/일)
0일 내지 7일째 0.154 0.159 0.147 0.181
7일 내지 14일째 0.370 0.377 0.363 0.412
14일 내지 21일째 0.593 0.525 0.546 0.575
21일 내지 28일째 0.798 0.797 0.883 0.789
0일 내지 28일째 0.478 0.463 0.480 0.489
사료 효율(사료 kg/체중 증가 kg)
0일 내지 7일째 1.509 1.392 1.639 1.223
7일 내지 14일째 1.369 1.256 1.407 1.280
14일 내지 21일째 2.074 1.945 1.830 1.711
21일 내지 28일째 2.010 1.852 2.120 1.818
0일 내지 28일째 1.773ab 1.648bc 1.799a 1.570c
a, b, c: 상이한 위첨자간의 통계학적 유의차(p<0.05)

전체 시험 기간(이유 후 0일 내지 28일째) 동안에, 사료 효율의 개선이 C 그 룹과 비교하여 G 그룹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사료 효율의 경미한 개선이 C 그룹과 비교하여 N 그룹에서 확인되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그러나, 사료 효율의 유의한 개선이 C 그룹 또는 G 그룹과 비교하여 N+G 그룹에서 확인된다. 1주 단위 기준으로 비교할 경우, 사료 효율의 경미한 개선이 또한 C 그룹과 비교하여 N 그룹에서 확인되고, N+G 그룹에서 보다 크게 개선되는 경향이다. 또한, 체중 증가와 사료 효율에 미치는 이들 개선 효과는 시험용 사료-급여 기간(0일 내지 14일째) 동안에 관찰될 뿐만 아니라, 시험용 사료 급여의 중단 후에 모든 그룹에 일반 사료를 급여하는 기간(14일 내지 28일째) 동안에도 지속된다. 결과로서, 연구를 개시할 때 평균 체중이 모든 그룹에서 거의 동일하더라도, 연구 완료 후에 N+G 그룹의 평균 체중은 14.09kg이며, 이는 C 그룹의 12.98kg과 비교하여 1kg 이상 더 높다. 상기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이유시킨 자돈의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은 핵산과 글루타민을 사료에 복합 보충시킴으로써 개선된다. 또한, 핵산과 글루타민의 병용에 의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의 개선 효과는 핵산 또는 글루타민의 단독 첨가에 의한 개선 효과에 비해 우수하다. 또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이러한 효과는 시험용 사료 급여의 완료 후에도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자돈에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의 개선:
거세한 이유자돈 120마리를 사용하여 4개 그룹(각 그룹당 30마리, 반복 실험당 5마리 동물을 사용하여 6회 반복 실험), 즉 대조군(C), 핵산 단독 투여군(N), 글루탐산 단독 투여군(G) 및 핵산+글루탐산 혼합물 투여군(N+G)으로 분류한다. 자돈을 평균 17일령에 이유시킨다. 이유시킨 후 2주 동안, 표 3에 제시된 조성을 갖는 스타터 사료를 C 그룹에게 급여한다. 또한, 스타터 사료에 맥주 효모로부터 추출된 시판용 리보핵산(제조원: Kirin Brewery CO., LTD.)을 사료 중량당 0.8%로 첨가하여 제조된 시험용 사료를 N 그룹에게 급여하고, 스타터 사료에 결정질 글루탐산을 사료 중량당 1.2%로 첨가하여 제조된 시험용 사료를 G 그룹에게 급여하고, 스타터 사료에 리보핵산 및 글루탐산을 사료 중량당 각각 0.12% 및 1.08%로 첨가하여 제조된 시험용 사료를 N+G 그룹에게 급여한다. 이유시킨 후 7일 및 14일째에, 체중과 잔류 사료 중량을 측정하여, 사료 섭취량, 체중 증가 및 사료 효율을 계산한다. 결과는 표 4에 제시한다.
스타터 사료의 배합 조성물
원료 배합비(%)
락토즈 15.0
옥수수 41.6
대두분 28.0
어분 5.0
건조 적혈구 세포 1.8
유지 3.0
미네랄 3.3
비타민 0.3
기타 2.0
총계 100.0
시험 결과
C N G N+G
체중 증가(kg/일)
0일 내지 7일째 0.107b 0.102b 0.092b 0.121a
8일 내지 14일째 0.207 0.234 0.219 0.234
평균 사료 섭취량(kg/일)
0일 내지 7일째 0.152ab 0.151ab 0.142b 0.169a
8일 내지 14일째 0.290 0.291 0.308 0.300
사료 효율(사료 kg/체중 증가 kg)
0일 내지 7일째 1.431 1.490 1.553 1.408
8일 내지 14일째 0.397 1.252 1.404 1.285
a, b: 상이한 위첨자간의 통계학적 유의차(p<0.05)

이유시킨 직후 7일 동안에, N 그룹과 G 그룹에서 1일당 체중 증가는 C 그룹과 차이나지 않으나, N+G 그룹에서의 1일당 체중 증가는 다른 3개 그룹보다 유의하게 크다. 동일한 기간 동안의 사료 섭취량은 G 그룹에서 가장 적고, N+G 그룹에서 가장 많다. 사료 효율과 관련하여, 그룹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확인되지 않으나, N+G 그룹이 효율면에서 가장 큰 개선을 나타내는 경향이다. 이후 7일 동안(이유 후 8일 내지 14일째), 1일당 체중 증가는 C 그룹에서 가장 작고, G 그룹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N 그룹과 N+G 그룹에서는 한층 더 증가하나, 통계학적 유의차는 이들 그룹간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사료 섭취량은 모든 그룹에서 거의 동일하다. 사료 효율은 C 그룹과 G 그룹에 비해 N 그룹과 N+G 그룹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상기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이유시킨 자돈의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은 핵산과 글루탐산을 사료에 복합 보충시킴으로써 개선된다. 또한, 핵산과 글루탐산의 병용에 의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의 개선 효과는 핵산 또는 글루탐산의 단독 첨가에 의한 개선 효과에 비해 우수하다. 또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이러한 효과는 특히 이유시킨 직후에 현저하며, 이러한 경향은 이유시킨지 2주 후에도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자돈에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의 개선:
거세한 이유자돈 120마리를 사용하여 4개 그룹(각 그룹당 30마리, 반복 실험당 5마리 동물을 사용하여 6회 반복 실험), 즉 대조군(C), 글루타민 단독 투여군(GLN), 글루탐산 단독 투여군(GLU) 및 글루타민+글루탐산 혼합물 투여군(GLN+GLU)으로 분류한다. 자돈을 평균 17일령에 이유시킨다. 이유시킨 후 2주 동안, 실시예 2의 표 3에 제시된 바와 동일한 스타터 사료를 C 그룹에게 급여한다. 또한, 스타터 사료에 결정질 글루타민을 사료 중량당 1.2%로 첨가하여 제조된 시험용 사료를 GLN 그룹에게 급여하고, 스타터 사료에 결정질 글루탐산을 사료 중량당 1.2%로 첨가하여 제조된 시험용 사료를 GLU 그룹에게 급여하고, 스타터 사료에 글루타민 및 글루탐산을 사료 중량당 각각 0.12% 및 1.08%로 첨가하여 제조된 시험용 사료를 GLN+GLU 그룹에게 급여한다. 2주 경과 후에, 일반 사료를 모든 그룹에게 투여한다. 이유시킨지 14일 및 21일째에 체중과 잔류 사료 중량을 측정하여, 사료 섭취량, 체중 증가 및 사료 효율을 계산한다. 결과는 표 5에 제시한다.
시험 결과
C GLN GLU GLN+GLU
체중 증가(kg/일)
1일 내지 14일째 0.157 0.147 0.156 0.161
15일 내지 21일째 0.324 0.351 0.342 0.372
평균 사료 섭취량(kg/일)
1일 내지 14일째 0.221 0.211 0.225 0.216
15일 내지 21일째 0.456 0.446 0.459 0.466
사료 효율(사료 kg/체중 증가 kg)
1일 내지 14일째 1.414 1.439 1.453 1.344
15일 내지 21일째 1.403 1.280 1.333 1.227

이유시킨 후 1일째로부터 14일째까지의 2주 동안에, 1일당 체중 증가는 GLN+GLU 그룹에서 가장 크고, C 그룹과 GLU 그룹에서는 중간이고, GLN 그룹에서 가장 작으나, 이들 그룹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확인되지 않는다. 동일한 기간 동안의 사료 섭취량은 GLU 그룹에서 가장 많고, C 그룹과 GLN+GLU 그룹에서는 중간이고, GLN 그룹에서는 가장 작으나, 체중 증가의 경우와 유사하게 이들 그룹간에 통계학적 차이는 확인되지 않는다. 사료 효율과 관련하여, 처리군간에는 통계학적 차이가 확인되지 않으나, GLN+GLU 그룹이 다른 3개 그룹에 비해 가장 큰 효율을 나타내는 경향이다. 이후 7일 동안(이유 후 15일 내지 21일째), 1일당 체중 증가는 C 그룹에서 가장 작고, GLU 그룹과 GLN 그룹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며, GLN+GLU 그룹에서 한층 더 증가한다. 사료 효율과 관련하여, GLN 그룹과 GLU 그룹에서 C 그룹에 비해 개선된 경향이 확인되고, GLN+GLU 그룹에서는 한층 더 개선되는 경향이다. 상기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이유시킨 자돈의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은 글루타민과 글루탐산을 사료에 복합 보충시킴으로써 개선된다. 또한, 글루타민과 글루탐 산의 병용에 의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의 개선 효과는 글루타민 또는 글루탐산의 단독 첨가에 의한 개선 효과에 비해 우수하다. 또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이러한 효과는 시험용 사료의 급여가 완료되고 모든 그룹에게 일반 사료를 급여한 후에도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소장 융모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
거세한 이유자돈 24마리를 사용하여 4개 그룹(각 그룹당 6마리), 즉 대조군(C), 핵산 단독 투여군(N), 글루탐산 단독 투여군(G) 및 핵산+글루탐산 혼합물 투여군(N+G)으로 분류한다. 자돈을 평균 17일령에 이유시킨다. 이유시킨 후 1주 동안, 실시예 2의 표 3에 제시된 바와 동일한 스타터 사료를 C 그룹에게 급여한다. 또한, 스타터 사료에 맥주 효모로부터 추출된 시판용 리보핵산(제조원: Kirin Brewery CO., LTD.)을 사료 중량당 0.8%로 첨가하여 제조된 시험용 사료를 N 그룹에게 급여하고, 스타터 사료에 결정질 글루탐산을 사료 중량당 1.2%로 첨가하여 제조된 시험용 사료를 G 그룹에게 급여하고, 스타터 사료에 리보핵산 및 글루탐산을 사료 중량당 각각 0.12% 및 1.08%로 첨가하여 제조된 시험용 사료를 N+G 그룹에게 급여한다. 이유시킨 후 7일째에, 모든 자돈을 희생시켜 소장을 수거한다. 수거된 소장으로부터 일반적인 과정에 의해 조직 절편을 제조한 후,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융모의 길이와 음와의 두께를 측정한다. 결과는 표 6에 제시한다.
시험 결과
C N G N+G
십이지장
융모 길이(μm) 318a 385b 386b 420c
음와 두께(μm) 126a 130ab 127a 138b
공장
융모 길이(μm) 303a 406b 387b 435c
음와 두께(μm) 119a 136b 115a 127b
회장
융모 길이(μm) 328a 344ab 361b 400c
음와 두께(μm) 118a 128b 116a 128b
a, b, c: 상이한 위첨자간의 통계학적 유의차(p<0.10)

이유시킨 후 7일째에, 십이지장에서, N 그룹과 G 그룹의 융모 길이는 C 그룹의 것보다 유의하게 길고, N+G 그룹의 융모 길이는 N 그룹과 G 그룹의 것보다 유의하게 길다. 공장과 회장에서, N+G 그룹의 융모 길이는 또한 십이지장의 경우와 유사하게 다른 그룹보다 유의하게 길다. 음와 두께에 대해서는, 이는 십이지장에서는 C 그룹과 G 그룹보다 N+G 그룹에서 유의하게 두껍고, 공장과 회장에서는 C 그룹과 G 그룹보다 N 그룹과 N+G 그룹에서 유의하게 두껍다. 상기 결과를 기초로 하여, 핵산과 글루탐산을 사료에 동시에 가할 경우에, 이유시킨 자돈에서 융모 길이가 보다 길어지고 음와 두께가 보다 두꺼워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핵산 또는 글루탐산의 단독 첨가의 경우보다 명백하게 크다. 이러한 결과는 소장 조직의 형태와 조직에서의 손상이 N+G 그룹에서 가장 작음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방법은 이유시킨 자돈에서 영양 물질의 소화 및 흡수와 전염성 질환의 예방에 현저하게 유용한 것으로 간주된다.
본원은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2000년 5월 2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원 제2000-155826호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이의 구체적 실시양태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었으나,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각종 변화 및 수정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은 이의 전체 내용이 인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가축에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사료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가축용 사료 및 첨가제 혼합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로서, 당해 가축용 사료는 대용유(代用乳), 프리스타터 사료(pre-starter feed) 및 스타터 사료(starter feed) 중 어느 하나이며,
    당해 첨가제 혼합물은
    (a) 핵산, 뉴클레오티드 및 뉴클레오시드 중 하나 이상,
    (b) 글루타민 및
    (c)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이며,
    당해 첨가제 혼합물이 당해 사료에 0.5 내지 2.5중량%의 비율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가축 사료용 조성물을 가축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가축에서 체중 증가 효율과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방법.
  5. 삭제
KR1020010029190A 2000-05-26 2001-05-26 가축용 사료 KR100849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55826 2000-05-26
JP2000155826 2000-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772A KR20010107772A (ko) 2001-12-07
KR100849371B1 true KR100849371B1 (ko) 2008-07-31

Family

ID=1866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190A KR100849371B1 (ko) 2000-05-26 2001-05-26 가축용 사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77396B2 (ko)
EP (1) EP1157616B1 (ko)
JP (1) JP2011172594A (ko)
KR (1) KR100849371B1 (ko)
CN (1) CN1245091C (ko)
AU (1) AU783024B2 (ko)
BR (1) BR0102134A (ko)
CA (1) CA2348836C (ko)
DK (1) DK1157616T3 (ko)
MX (1) MXPA01005352A (ko)
TW (1) TWI2406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14419D0 (en) * 2001-06-13 2001-08-08 Mars Uk Ltd Health food
US8519008B2 (en) 2003-01-22 2013-08-27 Purina Animal Nutrition Llc Method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health of young monogastric mammals
CA2573054C (en) 2004-07-02 2012-10-09 Baylor Research Institute Glycogen or polysaccharide storage disease treatment method
US7595079B2 (en) 2005-07-08 2009-09-29 Bomac Vets Plus, Inc. Nutritional conjunctive support therapy for recovery in animals following stress or illness
CN100355358C (zh) * 2005-12-31 2007-12-19 浙江大学 一种增进仔猪肠道功能的饲料添加剂
JP5294149B2 (ja) * 2006-09-29 2013-09-18 味の素株式会社 グルタミン含有血流増加用組成物
MX2011000887A (es) * 2009-06-12 2011-08-10 Ajinomoto Kk Aditivo para alimento de ganado y composicion alimenticia para ganado.
CN101978853A (zh) * 2010-09-20 2011-02-23 杨开伦 葡萄糖酸和谷氨酰胺作为肉鸡日粮中饲用抗生素替代物质的应用
CN101971925A (zh) * 2010-09-28 2011-02-16 杨开伦 乳果糖和谷氨酰胺替代肉鸡日粮中饲用抗生素物质的应用
CN103875891A (zh) * 2012-12-20 2014-06-25 赵翠 禽畜饲料
CN118000288A (zh) * 2016-01-28 2024-05-10 深圳市七彩地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非粮生态饲料及其制备方法和饲喂方法
KR101987321B1 (ko) * 2016-10-14 2019-09-30 (주)비비씨 장 및 뇌건강 개선 기능성 반려동물 사료첨가제
JP2022116371A (ja) * 2019-06-13 2022-08-10 味の素株式会社 豚の飼育方法
GB2599749A (en) 2020-03-31 2022-04-13 Inroads International Ltd Supplementary fee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549A (ko) * 1993-12-29 1995-07-20 유영학 발효균체를 함유하는 동물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92496A1 (de) * 1965-01-27 1971-08-05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Futtermittel
GB1200583A (en) * 1968-03-22 1970-07-29 Ralston Purina Co Hydrolysis of ribonucleic acid-containing materials
JPS5599164A (en) 1979-01-24 1980-07-28 Jitsuken Doubutsu Chuo Kenkyusho Feed for germfree animal, and its preparation
HU184353B (en) * 1980-11-21 1984-08-28 Egyt Gyogyszervegyeszeti Gyar Plant growth regulating composition containing bicyclo/2.2.1/ heptane derivative further process for preparing bicyclo/2.2.1/ heptane derivatives
RO104875B1 (ro) 1989-04-03 1994-09-30 Inst Chimie Alimentara Biomasă proteică pentru furajarea animalelor
JPH03266944A (ja) * 1990-03-19 1991-11-27 Sanyo Kokusaku Pulp Co Ltd 家畜及び家禽類用人工乳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H0592944A (ja) * 1991-07-16 1993-04-16 Ajinomoto Co Inc アミノ酸・核酸またはその誘導体の製造方法
JP2756907B2 (ja) * 1993-12-28 1998-05-25 日本製紙株式会社 酵母エキス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飼料
US5756761A (en) * 1995-01-24 1998-05-26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Process for drying hydrophobic amino acids with improved process for increased bulk dens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549A (ko) * 1993-12-29 1995-07-20 유영학 발효균체를 함유하는 동물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PO 조사보고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157616T3 (da) 2014-11-03
AU783024B2 (en) 2005-09-15
CA2348836C (en) 2009-07-14
BR0102134A (pt) 2002-01-02
CN1325633A (zh) 2001-12-12
EP1157616B1 (en) 2014-10-08
TWI240616B (en) 2005-10-01
US6777396B2 (en) 2004-08-17
CA2348836A1 (en) 2001-11-26
KR20010107772A (ko) 2001-12-07
MXPA01005352A (es) 2005-08-26
US20020004096A1 (en) 2002-01-10
AU4805201A (en) 2001-11-29
JP2011172594A (ja) 2011-09-08
CN1245091C (zh) 2006-03-15
EP1157616A1 (en)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72594A (ja) 家畜用飼料
KR19990022591A (ko) 반추동물용 사료 첨가제
EP2314172A1 (en) Livestock feed additive and livestock feed composition
CN110463859A (zh) 改善蛋鸡产蛋后期生产性能和蛋壳质量的预混合饲料
CN108606177A (zh) 一种提高母猪产仔数的妊娠母猪饲料及其饲喂方法
JP2011206050A (ja) 豚用飼料及びその給与方法
US4788065A (en) Feeding method in breeding sows
CN111109442A (zh) 一种用于川藏黑猪妊娠母猪的配合饲料及其使用方法
Ruf et al. Observations upon an unidentified factor in feedstuffs stimulatory to cellulose digestion in the rumen and improved liveweight gains in lambs
RU2160531C1 (ru) Способ кормления свиней
JP4867083B2 (ja) 家畜用飼料
JPS591422A (ja) 反芻動物のこぶ胃の発酵の効率を増加する方法
KR101313142B1 (ko) 돼지용 사료 및 그 급여 방법
CN115067271A (zh) 一种可提高丹系母猪性能的饲喂方法
CN109907181A (zh) 一种低鱼粉蛋白珍珠龙胆石斑鱼配合饲料
CN106721163A (zh) 一种舍饲肉牛快速育肥的饲料添加剂及使用方法
WO2020189916A1 (ko) 반추동물의 사료전환효율 증진용 저단백 사료 조성물
JPH1132695A (ja) 動物用栄養組成物および動物の飼育方法
JP2629006B2 (ja) キシロオリゴ糖を含有する家畜飼料
CN109874922B (zh) 一种含黑水虻的提高仔猪生长性能的饲料
EP2424382B1 (en) Method of feeding a growing - finishing pig
RU2195838C2 (ru) Препарат для стимуляции роста и повышения резистентност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и птицы
Selle et al. Xylanase plus phytase supplementation of broiler diets based on different wheats
CN117898374A (zh) 一种提高高产母猪采食量、出仔猪断奶均重的母猪料及其制备方法
JP2001190230A (ja) 飼料効率の改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725

Effective date: 200803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