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172B1 - 아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172B1
KR100836172B1 KR1020070074995A KR20070074995A KR100836172B1 KR 100836172 B1 KR100836172 B1 KR 100836172B1 KR 1020070074995 A KR1020070074995 A KR 1020070074995A KR 20070074995 A KR20070074995 A KR 20070074995A KR 100836172 B1 KR100836172 B1 KR 100836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s
insecticidal
insecticide
moth
nemat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국
이경
이정준
이현선
노문철
최용석
송규용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7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172B1/ko
Priority to PCT/KR2007/006501 priority patent/WO200901428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0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 A01N43/52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7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3
    • A01N43/761,3-Oxazoles; Hydrogenated 1,3-ox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한 아졸계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 곤충의 살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아졸계 화합물은 유충의 식이를 억제하는 효과와 우수한 살충활성을 가짐으로 우수하고 안전한 환경 친화적 살충제로 이용할 수 있다.
아졸계화합물, 배추 좀나방, 진딧물, 살충제.

Description

아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The composition for killing insects comprising azol compounds as an effe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유기 합성된 아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병충해로부터 작물을 보호하여 농산물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농약의 사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농약의 잔류독성과 환경오염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자 전 세계 국가들은 인류건강을 위하여 독성이 강한 유기합성 농약의 사용을 자제하기로 국제적으로 논의되었으며, 특히 인간 및 가축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합성된 농약의 사용을 점차 제한하자고 협의하였다. 국내에서도 2004년도에 지난 10년 전부터 사용하여 왔던 신경전달 저해제인 화학합성 살충제 중에서 유기인계 및 유기염소계 농약을 50%까지 생산을 감축하기로 합의하였고, 또한 2010년까지 다시 유기인계 및 유기염소계 농약의 생산을 50% 감소시키기로 합의하였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다국적 기업을 포 함한 많은 연구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기작의 살충제를 개발하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안전한 살충제를 만들지 못하면 전 세계적으로 살충제의 부족으로 인하여 국제적으로 협약을 파기하고 금지되었던 독성농약의 사용을 다시 허용해야 할지도 모르는 위험에 처해있다.
살충제의 체내 유입경로에는 입, 피부 및 기문이 있으며 곤충 체내 조직에 유입된 살충제는 작용점에 도달하기도 전에 어떤 것은 분해되어 무독성화 되고, 어떤 것은 반대로 활성화되어 보다 강력한 독성을 지닌 물질로 변하여 일부는 기관에 축적되기도 하고 일부는 배출되기도 한다. 또한 곤충 체내에 약제가 도달하더라도 그 약제 전부가 살충작용에 관여하는 것은 아니며 유입될 때 곤충의 체조직 내에서 여러 가지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약제 일부만이 작용부위에 도달한 후 생화학적 기능의 변화를 일으켜 치사작용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므로 살충제의 작용기작을 고려할 때 살충제가 작용하는 위치와 살충제의 대사경로와 대사 작용 등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살충제를 작용 기작 면에서 분류하면 신경 전달 저해제, 에너지 생성 저해제, 유약호르몬 저해제와 키틴(chitin) 생합성 저해제의 생장조절저해제 및 성 페로몬 유인제로 나눌 수 있고, 최근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개발된 스테롤 대사억제 살충제가 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살충제는 곤충의 생명유지에 기본적 역할을 하는 신경계나 에너지 생성계의 효소에 작용하는 것들이다.
신경계의 이상 자극, 흥분이나 억제로 인하여 곤충은 급속히 죽게 되기 때문 에 신경계 작용 살충제는 곤충의 신경계에 독작용을 일으키는 작용점으로 작용한다. 신경계의 뉴런은 신경계 구성의 최소단위로 세포체로부터 길게 뻗어 나온 축색 말단에 다른 뉴런의 수상돌기와 연결되는데, 이 연결부위를 시냅스라고 한다. 신경계에서 일어나는 자극은 축색을 거쳐서 그 말단인 시냅스 전막까지 전달되며, 그 즉시 시냅스 소포체에서 방출되는 화학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이 시냅스로 이동하여 그 다음 뉴런 전달부인 시냅스후막에 있는 수용체에 결합되고, 뉴런을 자극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뉴런에서 다음 뉴런으로 계속 신경 자극을 전달하게 된다. 시냅스 소포체에서 방출된 아세틸콜린은 시냅스 전막에서 후막으로 자극을 전달하는데 이 임무를 끝낸 즉시 아세틸콜린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이를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etylcholinesterase)는 시냅스 후막에서 생산된다. 상기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etylcholinesterase)는 두 가지의 활성작용을 하는데, 하나는 음이온과 에스테르 분해부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하나는 아세틸콜린을 가수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신경자극전달이 끝난 아세틸콜린이 시냅스 후막의 수용체에 결합이 누적되면 과격한 흥분과 경련을 일으켜서 역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에 의하여 아세틸콜린은 콜린과 초산으로 분해되어 곧 시냅스 전막에 흡수된 후 시냅스 소포체에서 다시 아세틸콜린으로 바뀌어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저해작용을 나타내는 살충제는 주종인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화합물이 신경화학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작용을 저해하고, 이로 인해 아세틸콜린이 시냅스에 축척되어 신경 전달기능에 이상을 일으키 게 되고 경련과 마비로 연결되어 곤충을 죽게 한다.
상기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화합물은 주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부위에 작용하여 아세틸콜린의 분해 작용을 저해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약제들은 곤충의 피부로 비교적 빠르게 침투하여 중추신경 표면에 부착하여 이상 신경기능 작용을 일으키는데, 그 증상은 잠복기를 거쳐 과민증, 심한 경련에 이어 마비 순으로 진행되어 죽게 한다.
곤충 표피의 구성과 키틴(chitin) 생합성 저해작용을 하는 살충제도 있다. 곤충은 점진적 생장을 위하여 탈피를 해야 하는데, 표피의 생합성과정은 생리기능상 매우 중요하다. 곤충의 피부는 표피진피 및 기저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피는 다시 외표피와 원표피로 구분할 수 있다. 곤충의 원표피는 N-아세틸 글루코사민(키틴)의 중합체로서 키틴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 키틴은 척추동물에는 존재하지 않고 곤충 표피의 주요 구성성분이므로 탈피저해제에 의하여 이 키틴 생합성을 저해하면 곤충은 죽게 된다.
곤충 유충의 탈피저해제의 작용기구는 신경저해제와는 달리 입이나 기공을 통하여 체내에 들어갔을 때 곤충의 표피형성이 제대로 되지 않아 정상적 탈피를 하지 못한다. 이때 경화단백질로 된 외표피의 형성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고 원표피층의 키틴 형성을 억제한다. 그러나 탈피저해제의 구체적인 작용기구는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UDP-N-아세틸 글루코사민의 중합을 억제하여 원표피의 주성분인 키틴 생합성효소를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 최근에는 많은 연구자들이 곤충의 유약 호르몬의 생성을 저해하는 등 곤충 특유의 기능에 작용하는 살충제와 교미교란을 유도하는 물질을 개발 중에 있다. 그리고 곤충의 암컷에서 분비되는 수컷 유인 페로몬을 이용하여 수컷들을 유도하여 포획하여 죽이는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야외 포장시험에서는 유효한 효력을 나타내지 못하여 아직 상업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많은 연구자들은 곤충의 생리 관련연구를 분자생물학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곤충의 대사 관련 효소나 수용체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살충제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곤충류의 유충들은 외부로부터 영양분을 섭취하여 필요에 따라 이용하고 있으나 유충의 식이를 억제하여 살충제를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분자생물학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곤충의 대사 관련 효소나 수용체에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살충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구조를 가지는 아졸계 화합물 및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54376051-pat00001
A = O 또는 NR 이고, 이때 R은 H 또는 C1~C4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살충제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곤충에게 분무 또는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합성된 아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은 곤충들에 우수한 살충 효과를 보임으로 농작물 재배 시 살충제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구조를 가지는 아졸계 화합물 및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54376051-pat00002
A = O 또는 NR 이고, 이때 R은 H 또는 C1~C4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상기 아졸계 화합물 1 및 2는 하기 실시예 1 및 2의 방법으로 유기합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제조방법의 일례에 불과하며, 하기 반응식 합성 방법 외에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게 알려진 공지의 다양한 합성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식의 아졸계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졸계 화합물들은 배추좀나방의 유충 및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을 대상으로 한 살충 실험에서 지속적이며 시간 의존적인 살충 현상을 나타내며, 배추좀나방의 유충 및 복숭아혹진딧물의 성충들이 먹이를 기피하는 현상을 보임으로, 농산물 재배시 살충 효과뿐만 아니라 여러 해충으로부터 농산물을 보호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아졸계 화합물들은 해충의 유충, 진드기, 선충, 온실가루이를 방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해충은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희불나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진드기는 복숭아혹진딧물, 양딸기 수염진딧물, 파 혹진딧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선충은 오이 뿌리혹선충, 벼이삭선충, 벼뿌리선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아졸계 화합물을 살충제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아졸계 화합물 자체 또는 그의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아졸계 화합물은 통상 고체 담체, 액체 담체, 기체 담체 또는 유인물(bait)과 혼합하거나, 염기성 물질, 예로 다공질 세라믹 플레이트 또는 부직포에 흡수시킨 후, 계면활성제 및 필요한 경우, 기타 보조제들을 첨가하여, 이를 각종 형태들, 예로 오일 스프레이, 유화 가능한 농축물, 습윤성 분말, 유동물, 과립, 더스트, 에어로졸, 훈연제 (예 : 포깅), 증기화 가능한 제형물, 스모킹 제형물, 독성 유인물, 진드기방지용 시이트 또는 수지 제형물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상기 각 제형물들은 통상 유효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0.01 내지 95 중량 %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물에 사용될 수 있는 고체 담체로는 카올린 점토, 규조토, 합성 수화된 산화규소, 벤토나이트, 푸바사미 점토 및 산점토 등의 점토 물질의 미세 분말 또는 과립; 각종 탈크, 세라믹 및 기타 무기 물질, 예로 견운모, 석영, 황, 활성탄, 탄산칼슘 및 수화된 실리카; 및 화학적 비료, 예로 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우레아 및 염화암모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형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액체 담체로는 물; 알콜, 예로 메탄올 및 에탄올; 케톤, 예로 아세톤 및 메틸 에틸 케톤; 방향족 탄화수소, 예로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및 메틸나프탈렌; 지방족 탄화수소, 예로 헥산, 시클로헥산, 케로신 및 라이트 오일; 에스테르, 예로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 니트릴, 예로 아세토니트릴 및 이소부티르니트릴; 에테르, 예로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및 디옥산; 산 아미드, 예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할로겐화 탄화수소, 예로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에탄 및 사염화탄소; 디메틸 술폭시드; 및 식물성 오일, 예로 대두유 및 면실유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형물에 사용될 수 있는 기체 담체 또는 추진제(propellant)로는 프레온 가스, 부탄 가스, LPG (액화 석유 가스), 디메틸 에테르 및 이산화탄소가 포함될 수 있다.
독성 유인물에 사용되기 위한 염기 물질로는 유인물 물질, 예로 그레인 분말, 식물성 오일, 슈거 및 결정성 셀룰로스; 산화방지제, 예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보존제, 예로 데히드로아세트산; 비식음 방지용 물질, 예로 고추 분말; 및 유인성 풍미, 예로 치즈 풍미 및 양파 풍미가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술페이트,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아릴술포네이트, 알킬 아릴 에테르 및 그것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다가 알콜 에스테르 및 당 알콜 유도체가 포함될 수 있다.
접착제 또는 분산제와 같은 보조제로는 카세인, 젤라틴; 다당류, 예로 전분, 아라비아검, 셀룰로스 유도체 및 알긴산; 리그닌 유도체, 벤토나이트, 슈거 및 합성 수용성 중합체, 예로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 아크릴산이 포함될 수 있다.
안정화제로는 PAT (이소프로필 산 포스페이트), BHT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BHA (2-tert-부틸-4-메톡시페놀 및3-tert-부틸-4-메톡시페놀의 혼합물), 식물성 오일, 미네랄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및 그것의 에스테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졸계 화합물이 농업용 살충제, 살진드기제 또는 살 선충제로 사용될 경우, 이들의 적용량은 통상 10 에이커 당, 0.1 내지 100 g이다. 물로 희석할 후 사용되는 유화 가능한 농축물, 습윤성 분말, 유동물 및 기타 유사 제형물들의 경우, 본 발명의 아졸계 화합물의 적용 농도는 통상 1 내지 1,000 ppm의 범위이 다. 과립, 더스트 또는 기타 유사 제형물의 적용은 희석하지 않은 제형물로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아졸계 화합물을 유행병 예방을 위한 살곤충제, 살진드기제 또는 살선충제로서 사용할 경우, 이들은 유화 가능한 농축물, 습윤성 분말, 유동물 또는 기타 유사 제형물의 경우, 물로 농도 0.1 내지 500 ppm으로 희석하거나, 그것들을 오일 스프레이, 에어로졸, 훈연제, 독성 유인물, 진드기방지용 시이트 또는 기타 유사 제형물의 경우에는 그대로 적용된다. 상기 적용 양 및 농도는 제형물의 형태, 적용 시기, 장소 및 방법, 해충의 종류, 손해 정도 및기타 요인들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증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아졸계 화합물을 소 및 돼지 등의 가축, 또는 고양이 및 개 등의 애완동물의 기생충 방제를 위한 살곤충제 또는 살진드기제로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아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공지된 수의학적 방법들, 예로서 계통적 방제를 위한 정제, 캡슐, 침액용 용액, 볼리(boli), 먹이 혼입, 좌약 또는 주사제; 또는 유성 또는 수성 용액의 분무, 주입(붓기 또는 점적) 처리로써, 또는 비계통적 방제를 위해 칼라 및 귀 태그(꼬리표)와 같은 적절한 모양으로 만든 성형품을 이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아졸계 화합물은 통상 숙주 체중 kg 당, 0.01 내지 100 mg의 양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아졸계 화합물은 다른 살곤충제, 살선충제, 살진드기제, 살세균제, 살진균제, 제초제, 식물 성장 조절제, 시너지스트, 비료, 토양 컨디셔너 및/또는 동물 사료와 함께, 혹은 그것들과 순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살충제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곤충에게 분무 또는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의 유효량은 0.001 ~ 9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용시 조절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아졸계 화합물 1의 합성
2-(4-아다만탄-1-일-페녹시메틸)-벤족사졸-5-카르복시 산(30.1 mg, 0.08 mmol), 퍼퓨릴아민(11.0 mg, 0.12 mmol, 0.01 ml), EDC (21.7 mg, 0.12 mmol), HOBt(15.4 mg, 0.12 mmol)을 DMF 3.0 mL에 넣고, DIPEA(14.2 mg, 0.12 mmol, 0.02 ml)을 첨가하였다. 교반시킨 후, EtoAC와 10% HCl로 분리시켰다. 유기층을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MgSO4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n-Hexane:EtOAc:MeOH=6:3:1)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32.9 mg, 90.9% 수득율). 구조는 하기와 같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54376051-pat00003
2-(4-아다만탄-1-일-페녹시메틸)-벤조옥사졸-5-카르복시산(퓨란-2-일메틸)-아마이드(2-(4-Adamantan-1-yl-phenoxymethy)-benzooxazole-5-carboxylic acid (furan-2-ylmethyl)-amide)
1H-NMR (CDCl3, 300 Hz) 8.15 (1H, m, aromatic-H), 7.86 7.89 (1H, m, aromatic-H), 7.59 (1H, d, J = 8.7 Hz, aromatic-H), 7.39 (1H, m, aromatic-H), 7.28 7.31 (2H, m, aromatic-H), 6.99 7.01 (2H, m, aromatic-H), 6.42 (1H, s, NH), 6.32 6.37 (2H, m, aromatic-H), 5.31 (2H, s, CH2), 4.67 (2H, d, J = 5.7 Hz, CH2), 2.08 (3H, m, adamantly-H), 1.87 (6H, m, adamantly-H), 1.76 (6H, m, adamantly-H).
< 실시예 2> 아졸계 화합물 2의 합성
2-(4-아다만탄-1-일-페녹시메틸)-1H-벤조이미다졸-5-카르복시산(50 mg, 0.124 mmol), 퍼퓨릴아민(18 mg, 0.186 mmol), DMAP(22.78 mg, 0.186 mmol)을 DMF 1.0 mL에 넣고, PyBOP(97 mg, 0.186 mmol)을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교반시킨 후, 물 150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MeOH:MC (10%)로 추출하고, 염화나트륨 수용액,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물로 세척하고, 무수 MgSO4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PLC(MeOH:MC=0.5:9.5)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43.2 mg, 72% 수득율).
<화학식 3>
Figure 112007054376051-pat00004
2-(4-아다만탄-1-일-페녹시메틸)-1H-벤조이미다졸-5-카르복시산(퓨란-2-일메틸)-아마이드(2-(4-Adamantan-1-yl-phenoxymethyl)-1H-benzoimidazole-5-carboxylic acid(furan-2-ylmethyl)-amide)
1H NMR (CDCl3, 300 MHz) 8.08 (1H, s, CONH), 7.59 (1H, d, J = 8.4 Hz, furan), 7.46 (1H, d, J = 8.7 Hz, furan), 7.29 (1H, s, aromatic), 7.15 (2H, d, J = 8.4 Hz, aromatic), 7.07 (1H, m, furan), 6.79 (2H, d, J = 8.4 Hz, aromatic), 6.24 (2H, d, J =12.3 Hz, aromatic), 5.21 (2H, s, OCH2), 4.59 (2H, d, J = 4.8 Hz, furan-CH 2 NH), 2.02 (3H, s, adamantyl), 1.76-1.65 (12H, m, adamantyl), benzoimidazole NH not detected.
<실험예 1> 배추좀나방( Plutella xylostella L.)유충에 대한 활성시험
본 발명에 사용된 시험곤충으로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으로 2006년 9월 충청북도 청주시 충북대학교 농업생물환경대학 농생물과에서 살충실험을 하였다. 본 발명의 살충활성을 가진 아졸계 화합물 1 및 2는 10 mg 정도를 정밀하게 무게를 측정하여 아세톤 적정량에 녹여 농도가 10 mg/10 ml로 조제하여 화합물을 녹인 후 triton X-100 100 ppm 수용액 9배와 혼합하여 순차적으로 희석(1:10, 1:100, 1:1000)하고 처리할 활성검색물질 용액을 조제하였다. 배추좀나방 유충의 먹이는 균일한 발육상태의 양배추잎을 잎 디스크(지름 3.0 ㎝)로 잘라 준비된 활성검색물질 용액에 30초간 충분히 잠길 정도로 침적한 후 꺼내 후드 내에서 60분간 건조하였다. 증류수로 적신 여과지가 깔린 페트리디쉬(55×20 mm)에 활성검색물질이 처리된 잎을 올려놓고, 배추 좀나방 2령 유충을 충체가 상하지 않도록 부드러운 붓으로 유충을 이동시켜 10마리씩 3회 반복 접종하였다. 활성검색물 질이 처리된 배추좀나방 유충은 항온실(25 ± 1℃, 상대습도 40-45%, 16L:8D)에서 사육하며 24, 48시간의 살충율을 조사하였다. 무처리구는 처리된 추출물을 제외한 아세톤 10 % 용액에 triton X-100 100 ppm 수용액 9배를 처리하여 활성검색물질 처리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활성검색실험은 3회 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1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한 아졸계 화합물 1 및 2의 농도를 1, 10 및 100 ppm씩 배추좀나방 유충에 처리하고 1일 간격으로 살충정도를 측정하였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지속적인 살충현상이 나타났으며, 시간 의존적으로 살충효과가 나타났으며, 각각의 화합물들은 고농도에서 유충들이 먹이를 기피하여 대조군에 비하여 먹이를 기피하는 유충에 기피 효과를 나타났다.
아졸계 화합물 1 및 2의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유충에 대한 살충시험
약제 농도 (ppm) 반복 N 살충율 3일 살충율(%)±SD
1일 2일 3일
아졸계 화합물 1 100 1 10 5 9 10 98.3±4.1
2 10 7 7 10
3 10 8 8 10
4 10 1 6 10
5 10 2 5 10
6 10 1 7 9
10 1 10 6 6 10 88.3±18.3
2 10 5 5 6
3 10 6 6 7
4 9 6 6 9
5 9 1 5 9
6 10 7 7 10
1 1 10 10 10 8 90.0±12.6
2 10 7 7 10
3 10 7 7 10
4 10 0 1 9
5 10 0 10 10
6 10 0 9 7
아졸계 화합물 2 100 1 10 8 8 10 100.0±0.0
2 10 9 8 10
3 10 10 9 10
4 10 2 10 10
5 9 3 9 9
6 10 1 9 10
10 1 10 9 10 10 94.8±8.5
2 10 5 9 8
3 10 10 8 10
4 9 0 10 8
5 10 0 6 10
6 10 1 6 10
1 1 10 6 5 10 98.3±4.1
2 10 7 6 9
3 8 6 9 8
4 10 0 6 10
5 9 4 6 9
6 8 2 8 8
무처리구 1 9 0 0 0 1.7±4.1
2 10 0 0 0
3 8 0 0 0
4 10 0 0 0
5 10 0 0 1
6 10 0 0 0
< 실험예 2 >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 성충에 대한 살충활성시험
본 발명에 사용된 시험곤충은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로 2006년 9월 충청북도 청주시 충북대학교 농업생물환경대학 농생물과에서 살충실험을 하였다. 본 발명의 살충활성을 가진 아졸계 화합물 1 및 2는 10 mg 정도를 정밀하게 무게를 측정하여 아세톤 적정량에 녹여 원액의 농도를 10 mg/10 ml로 조제하였는데 triton X-100 100 ppm 수용액 9배와 혼합하여 순차적으로 희석(1:10, 1:100, 1:1000)하고 처리할 활성검색물질 용액을 조제하였다.
활성검색물질이 처리된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은 항온실(25-28℃, 상대습도 50-60%, 16L:8D)에서 사육하며 24 및 48시간의 살충율을 조사하였다. 무처리구는 처리된 추출물을 제외한 아세톤 10 % 용액에 triton X-100 100 ppm 수용액 9배를 처리하여 활성검색물질 처리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시험 살충제를 각 농도로 희석하여 약액에 배추 잎 절편(직경 5 cm)을 30초간 침지 후 응달에서 건조시켜 1회용 페트리디쉬(5.5×2 cm)에 솜과 여과지(Φ5.5 cm)를 깔고 응달에서 건조시킨 배추 잎을 올렸다.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을 10마리씩 접종하고 약액 처리 1일, 2일, 3일 후에 살충율을 조사하였으며, 실험은 3회 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은 사육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표2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한 아졸계 화합물 1 및 2의 농도를 1, 10 및 100 ppm씩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에 처리하고 1일 간격으로 3일간 살충 정도를 측정하였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지속적인 살충현상이 나타났으며 시간 의존적으로 살충효과가 나타났으며, 각 화합물들은 고농도에서 유충들이 먹이를 기피하여 대조군에 비하여 먹이를 기피하는 유충에 기피 효과가 나타났다.
아졸계 화합물 1 및 2의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의 살충활성
약제 농도 (ppm) 반복 N 살충율 3일 살충율(%)±SD
1일 2일 3일
아졸계 화합물 1 100 1 10 0 5 7 80.0±17.3
2 10 1 4 7
3 10 0 7 10
10 1 12 0 5 12 100.0±0.0
2 10 0 5 10
3 10 0 5 10
1 1 9 0 5 9 97.0±5.2
2 10 0 3 10
3 11 0 5 10
아졸계 화합물 2 100 1 11 1 9 10 90.3±10.0
2 10 0 6 8
3 10 0 5 10
10 1 10 0 6 10 96.7±5.8
2 11 0 9 11
3 10 0 5 9
1 1 9 0 6 9 100.0±0.0
2 10 0 2 10
3 9 0 5 9
무처리구 1 13 0 0 1 2.6±4.4
2 10 0 0 0
3 10 0 0 0
도 1은 본 발명의 아졸계 화합물의 구조이다.

Claims (7)

  1. 하기의 화학식 구조를 가지는 아졸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54376051-pat00005
    A = O 또는 NR 이고, 이때 R은 H 또는 C1~C4 직쇄 또는 측쇄 알킬
  2. 제 1항에 있어서, 살충제는 해충의 유충, 진드기, 선충을 방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해충은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흰불나방으로 이루어 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진드기는 복숭아혹진딧물, 양딸기 수염진딧물, 파 혹진딧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선충은 오이 뿌리혹선충, 벼이삭선충, 벼뿌리선충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6. 제 1항의 살충제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곤충 또는 서식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충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처리 방법은 곤충에게 분무 또는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방법.
KR1020070074995A 2007-07-26 2007-07-26 아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KR100836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995A KR100836172B1 (ko) 2007-07-26 2007-07-26 아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PCT/KR2007/006501 WO2009014287A1 (en) 2007-07-26 2007-12-13 The composition for killing insects comprising azole compounds as an effe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995A KR100836172B1 (ko) 2007-07-26 2007-07-26 아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172B1 true KR100836172B1 (ko) 2008-06-09

Family

ID=3977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995A KR100836172B1 (ko) 2007-07-26 2007-07-26 아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6172B1 (ko)
WO (1) WO200901428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843B1 (ko) 2012-12-18 2015-08-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우르솔릭 산을 포함하는 살충제
CN108866233A (zh) * 2018-08-23 2018-11-23 中国农业科学院郑州果树研究所 用于鉴定桃树对南方根结线虫的抗病/感病性状的标记位点、引物对、试剂盒及应用
CN112602729A (zh) * 2020-12-28 2021-04-06 新疆农业科学院海南三亚农作物育种试验中心 用于制备防治南方根结线虫的非洲角瓜提取物制剂及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061A (ja) 1999-04-30 2001-01-16 Ube Ind Ltd ベンゾオキサゾール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除草剤
JP2002155063A (ja) 2000-09-08 2002-05-28 Ube Ind Ltd ベンゾオキサゾール化合物,その製法及び除草剤
JP2002161094A (ja) 2000-09-13 2002-06-04 Ube Ind Ltd ベンゾオキサゾール誘導体,その製法及び除草剤
KR20060015530A (ko) * 2003-04-30 2006-02-17 에프엠씨 코포레이션 살충성 (다이할로프로펜일) 페닐알킬 치환된 벤족사졸 및벤조싸이아졸 유도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301587A (en) * 1986-04-30 1987-11-24 Fmc Corporation Photoactive azole pesticides
KR100312683B1 (ko) * 1999-09-01 2001-11-03 김순택 전계 방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DE10154313A1 (de) * 2001-11-05 2003-05-15 Bayer Cropscience Ag Halogen-nitro-butadiene
EP1913815A4 (en) * 2005-07-27 2012-09-19 Mitsui Chemicals Agro Inc PESTICID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061A (ja) 1999-04-30 2001-01-16 Ube Ind Ltd ベンゾオキサゾール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除草剤
JP2002155063A (ja) 2000-09-08 2002-05-28 Ube Ind Ltd ベンゾオキサゾール化合物,その製法及び除草剤
JP2002161094A (ja) 2000-09-13 2002-06-04 Ube Ind Ltd ベンゾオキサゾール誘導体,その製法及び除草剤
KR20060015530A (ko) * 2003-04-30 2006-02-17 에프엠씨 코포레이션 살충성 (다이할로프로펜일) 페닐알킬 치환된 벤족사졸 및벤조싸이아졸 유도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843B1 (ko) 2012-12-18 2015-08-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우르솔릭 산을 포함하는 살충제
CN108866233A (zh) * 2018-08-23 2018-11-23 中国农业科学院郑州果树研究所 用于鉴定桃树对南方根结线虫的抗病/感病性状的标记位点、引物对、试剂盒及应用
CN108866233B (zh) * 2018-08-23 2021-06-25 中国农业科学院郑州果树研究所 用于鉴定桃树对南方根结线虫的抗病/感病性状的标记位点、引物对、试剂盒及应用
CN112602729A (zh) * 2020-12-28 2021-04-06 新疆农业科学院海南三亚农作物育种试验中心 用于制备防治南方根结线虫的非洲角瓜提取物制剂及应用
CN112602729B (zh) * 2020-12-28 2021-12-21 新疆农业科学院海南三亚农作物育种试验中心 用于制备防治南方根结线虫的非洲角瓜提取物制剂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14287A1 (en)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6085B2 (ja) 新規な5―アミノ―3―シアノ―4―エチルスルフィニル―1―フェニル―ピラゾール化合物及びその農薬としての使用
KR100784746B1 (ko) 피라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유효성분으로하는 유해생물 방제제
JP4583934B2 (ja) アシルCoA:コレステロールア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の阻害活性を有する化合物またはその塩を有効成分とする殺虫剤
EA028392B1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контроля нематод
KR100943983B1 (ko) 피리피로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살충제 조성물
DD299963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4-substituierter 3-cyano-5-alkoxy-1-arylpyrazole und deren verwendung als pesticide
EA020923B1 (ru) Производные димерного 1-арилпиразола
JP3248943B2 (ja) 1−アリール−5−(置換アルキリデンイミノ)ピラゾール
KR101074212B1 (ko) 4-퀴놀린온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목용 살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충방법
JPH03118369A (ja) 殺虫剤としてのn―フェニルピラゾール誘導体
BG64128B1 (bg) 1-арил-3-иминопиразоли като пестициди
RU2077201C1 (ru) Производные 1-фенилимидазола,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вредителями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естицидной обработки
DD272298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nitro-n-phenylpyrazolderivaten und diese enthaltende zusammensetzungen
JP2002529483A (ja) 昆虫を防除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KR100724321B1 (ko) 피라졸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유해생물방제제 그리고 그 제조방법
KR100836172B1 (ko) 아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JP4864269B2 (ja) 農薬としての3−チオメチルピラゾール
JPH0267270A (ja) N‐フェニルピラゾール‐4‐イルエーテル誘導体
WO2001000027A1 (fr) Composition insecticide et procede visant a detruire les insectes
ES2875880T3 (es) Método de fabricación de clorhidrato de tiociclam
NO314261B1 (no) Pesticide 1-arylpyrazoler og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derav, pesticidblanding omfattende slike forbindelser samt fremgangsmåte for åkontrollere skadedyr
CN109336879B (zh) 一种3-吡啶基-1,2,4-噁二唑类化合物及其应用
KR101614095B1 (ko) 담쟁이의 용매 추출물의 살충제 조성물
JP3625012B2 (ja) 殺虫殺菌組成物
KR100769708B1 (ko) 살충활성을 갖는 설포닐 나프토퀴논류 화합물들의유기합성방법과 살충제 이용 기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