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103B1 - 중통 낚싯대 - Google Patents

중통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103B1
KR100822103B1 KR1020020024164A KR20020024164A KR100822103B1 KR 100822103 B1 KR100822103 B1 KR 100822103B1 KR 1020020024164 A KR1020020024164 A KR 1020020024164A KR 20020024164 A KR20020024164 A KR 20020024164A KR 100822103 B1 KR100822103 B1 KR 100822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e
oriented
fitting
reinforcing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823A (ko
Inventor
키요히코 마츠모토
유키노부 시오타니
노부요시 우츠노
아키라 오오타
쇼타로 타니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2008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대의 강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내부에 고인 물을 양호하게 배수할 수 있는 중통 낚싯대를 제공한다.
이 중통 낚싯대의 중간(3)은,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소재로 구성되고, 가장 내면에 위치하고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제1 층(11)과, 제1 층(11)의 외측에 적층되고 축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제2 층(12)과, 제2 층(12)의 외측에 적층되고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제3 층(13)과, 제3 층(13)의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에 적층되고 축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제4 층(14)을 포함한다. 이 제2 층(12)은 제4 층(14)이 적층되는 장대 기단측 단부부터 일정 범위에서 그 두께가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얇아지고, 제4 층(14)은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며 장대 기단측 단부부터 일정 범위가 다른 부분보다 대경화(大俓化)한 감합 웅부(3a)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감합 웅부(3a)를 형성하는 제4 층(14)에는, 절삭 홈(15)이 그 깊이가 제3 층(13)에 도달하지 않도록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중통 낚싯대, 배수, 중간, 프리프레그, 프리프레그층

Description

중통 낚싯대 {HOLLOW FISHING R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중통 낚싯대의 전체도.
도 2는 도 1의 중통 낚싯대에 있어서 원상간(2; 元上竿)과 중간(3; 中竿)의 연결 부분 부근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중간(3)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중간(3)의 IV-IV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도 1의 중간(3)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원상간
3 : 중간
11 : 제1 층
12 : 제2 층
13 : 제3 층
14 : 제4 층
15 : 절삭 홈
31 : 돌기 형성용 프리프레그
32 : 박리용 테이프
41 : 제1 프리프레그 테이프
42 : 메인 프리프레그
43 : 제2 프리프레그 테이프
44 : 보조 프리프레그
본 발명은 낚시질에 이용하는 낚싯대, 특히, 장대 내부에 낚싯줄을 삽통하는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중통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낚싯대 중에서, 중통 낚싯대로 불리는 형태의 낚싯대는, 릴에서 나온 낚싯줄을 삽통할 수 있는 낚싯줄 통로를 장대 내부에 가지는 타입의 낚싯대이다. 이런 종류의 낚싯대는, 릴을 장착하기 위한 릴 시트의 수선측(穗先側)에 낚싯줄을 장대 내로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를 가진다. 그리고 릴에서 나온 낚싯줄을 이 도입구로부터 장대 내로 삽입하고, 순차적으로 수선측으로 안내하고, 선단측 단부로부터 외부로 도출한다.
한편,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연결 방법으로서, 진출(振出) 형식이라 불리는 낚싯대가 있다. 이 진출 형식의 연결 방법이라는 것은, 직경이 큰 장대와, 그 수선측에 직경이 큰 장대 내에 수납 가능하게 연결된 직경이 작은 장대에 있어서, 직경이 큰 장대는 수선측 단부 내주에 감합 자부(嵌合 雌部)를 가지고, 직경이 작은 장대는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에 감합 웅부(嵌合 雄部)를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낚시를 할 때에는 각 장대를 순차적으로 수선측으로 잡아 빼고 감합 웅부와 감합 자부를 서로 감합 고정하여 한 자루의 장대로서 이용한다. 한편, 수납시에는 수선측의 장대를 순차적으로 장대 기단측의 장대 내에 수납하여 컴팩트한 상태로 만든다.
이러한 중통 낚싯대에 있어서 크게 문제가 되는 점은 물이 고이는 경향이 있다고 하는 것이다. 낚싯줄이 장대 내부를 삽통하는 중통 낚싯대에 있어서는, 수중에 투하하는 낚싯줄과 함께 물이 낚싯줄에 부착하여 장대 내부로 들어오고 장대 내에 물이 고이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장대의 내주면에 발수(撥水) 도료를 도포하는 등의 가공을 시행하고, 낚싯대를 강하게 흔드는 등의 작업에 의해 내부에 고인 물을 차례로 수선측을 향해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안도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중통 낚싯대 중에서도, 특히 복수의 장대를 진출 형식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경우, 각 장대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 수선측에 위치하는 장대의 내경과 장대 기단측에 위치하는 내경과의 직경의 차이가 장벽이 되어 배수를 방해하는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장대들의 연결 부분의 직경의 차이를 고려한 후에, 장대 내부에 고인 물을 원활히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 점에서, 이 장대들의 연결 부분에 배수 구멍 등을 형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진출 형식으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는 낚싯대에 있어서는, 이들 장대 들의 연결 부분은 손잡이측 장대로서 수선측에 위치하는 장대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충분한 강도의 담보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불필요하게 구멍 등을 형성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장대의 강도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내부에 고인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는 중통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한 낚싯대는, 내부에 낚싯줄을 삽통할 수 있는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복수 개의 장대를 진출 형식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중통 낚싯대에 있어서, 수선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테이퍼진 관상체(管狀體)이고 수선측 단부 내주에 다른 부분보다 소경화한 감합 자부를 가지는 직경이 큰 장대와, 직경이 큰 장대의 수선측에 직경이 큰 장대 내에 수납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선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테이퍼진 관상체이고 장대 기단측 단부로부터 일정 범위에 다른 부분보다 대경화한 감합 웅부를 가지는 직경이 작은 장대를 구비한다.
이 직경이 작은 장대는,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Prepreg) 소재로 구성되고, 가장 내면에 위치하고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제1 층과, 제1 층의 외측에 적층되고 축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제2 층과, 제2 층의 외측에 적층되고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제3 층과, 제3 층의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에 적층되고 축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제4 층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이 제2 층은 제4 층이 적층되는 장대 기단측 단부로부터 일정 범위 에서 그 두께가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얇아진다. 한편 제4 층은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고, 장대 기단측 단부로부터 일정 범위가 다른 부분보다 대경화한 감합 웅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감합 웅부를 형성하는 제4 층에는 복수 개의 절삭 홈이 장대 기단측 단부로부터 감합 자부와의 끼워 맞춤 범위를 넘어 수선측에 도달하도록 축 방향으로 연장하고, 한편 그 깊이는 제3 층에 도달하지 않도록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낚싯대에서는, 수납시에는 직경이 작은 장대를 직경이 큰 장대 내에 삽입하여 수납함으로써 컴팩트한 상태로 만든다. 그리고 연장시에는 직경이 작은 장대를 직경이 큰 장대 내로부터 잡아 빼서, 직경이 작은 장대의 감합 웅부를 직경이 큰 장대의 감합 자부에 감합시켜 고정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한 자루의 낚싯대로서 낚시질에 이용하게 된다. 이 감합 웅부와 감합 자부가 끼워 맞춤되먼, 감합 웅부에 형성된 절삭 홈이 배수 홈을 제공한다. 이 중통 낚싯대를 캐스팅 등을 할 때에 흔들면, 직경이 큰 장대 내에 고인 물이 그 힘으로 수선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직경이 큰 장대의 수선측 부분에 물이 도달하면, 이 물은 직경이 작은 장대의 감합 웅부의 절삭 홈을 통하여 직경이 작은 장대의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이 직경이 작은 장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감합 웅부는 축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되는 제4 층으로 구성되어, 축 방향으로 절삭 홈이 형성되어도 이 절삭 홈의 형성에 의해 강화 섬유가 파단되지 않고 그 강도의 저하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 직경이 작은 장대의 감합 웅부 부근에서는, 후술하는 바에 의하여, 절삭 홈에 의해 제3 층이 파손되지 않고 장대의 찌그러짐 강도가 충분히 담보되어 있다.
직경이 작은 장대의 감합 웅부 부근에서는, 제2 층이 장대 기단측으로 소경화하고, 이것에 대신하여 제4 층이 제3 층의 외주측에서 장대 기단측으로 대경화하는 형태로 각종 프리프레그층이 형성되어 있고, 절삭 홈을 감합 웅부에 형성하여도 이 절삭 홈이 제3 층에 거의 도달하지 않는다. 즉, 수선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테이퍼진 장대에서 각종 층을 일정한 두께로 적층해 두고, 장대 기단측 단부에서 절삭 홈을 축 방향으로 형성하면, 절삭 홈은 장대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가공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장대 기단측에서 절삭 홈의 깊이가 깊어져 절삭 홈이 제3 층에 도달하기 쉽다. 그리고 제3 층은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장대의 찌그러짐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층이고, 이 부분의 파손은 장대의 강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이에 반하여, 이 직경이 작은 장대는 제2 층을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하고 제4 층을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제3 층이 장대 주위면으로부터 깊은 위치에 배치되게 되어, 절삭 홈을 형성해도 제3 층이 파손되기 힘든 것이다.
수선측에 위치하는 직경이 작은 장대는 이 감합 웅부에서 장대 기단측에 위치하는 직경이 큰 장대에 지지되는 것으로, 걸리는 부분의 찌그러짐 강도는 충분히 유지해야만 한다. 이 낚싯대에서는, 걸리는 부분의 찌그러짐 강도가 제1 층 및 파손되지 않는 제3 층에 의해 충분히 유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중통 낚싯대는, 원간(1; 元竿)과 원간(1)의 수선측에 진출 형식으로 연결된 원상간(2)과 원상간(2)의 수선측에 진출 형식으로 연결된 중간(3) 및 초릿대(4; 穗先竿)를 가지고 있다.
각 장대는 각각, 수선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테이퍼진 관상체이고, 내부에 장대 수납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러한 각 장대는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를 소성(燒成)하여 이루어지는 부재이다. 각 장대에는 각각 진출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감합 웅부나 감합 자부가 형성되어 있다.
원간(1)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내주면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암나사부로 되어 있고, 이 암나사부에 마개(1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원간(1)의 주위면에는 릴(도시하지 않음)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릴 시트(5)가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원간(1)의 수선측 주위면에는 릴에서 나온 낚싯줄을 장대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낚싯줄 도입구(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낚싯줄 도입구(6) 위에는 낚싯줄 도입 가이드(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초릿대(4)의 수선측 단부에는 톱 가이드(8)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릴(도시하지 않음)에서 나온 낚싯줄은 낚싯줄 도입 가이드(7)로 안내되어 낚싯줄 도입구(6)로부터 장대 내부로 삽입되고, 그 후 각 장대의 내부를 삽통하고 순차적으로 수선측의 장대로 유도되어 톱 가이드(8)로부터 수선측으로 도출된다.
이어서, 각 장대의 연결 부분의 구조에 대해서 원상간(2)과 중간(3)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 내지 4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원상간(2)은 수선측 단부의 내주면에 다른 부분보다 부분적으로 소경화(小俓化)되고 두꺼워진 감합 자부(2a)를 가지고 있다. 이 부분은 보조 프리프레그를 별도로 적층하여 부분적으로 두꺼워진 부분이다.
중간(3)은 장대 기단측 단부의 외주면에 다른 부분보다 부분적으로 대경화되고 두꺼워진 감합 웅부(3a)를 가지고 있다. 이 감합 웅부(3a)가 상기 감합 자부(2a)에 끼워 맞춤되는 부분이다.
이 중간(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의 강화 섬유에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소재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가장 내면에 위치하고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配向)된 프리프레그 소재로 된 제1 층(11)과, 제1 층(11)의 외측에 적층되고 축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프리프레그 소재로 된 제2 층(12)과, 제2 층(12)의 외측에 적층되고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프리프레그 소재로 된 제3 층(13)과, 제3 층(13)의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에 적층되고 축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프리프레그 소재로 된 제4 층(14)을 구비한다. 도 3에서는 각층이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각 프리프레그층은 소성되어 일체화하고 있다. 각 프리프레그층의 구체적인 적층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중간(3)의 제조 방법에서 명확해진다.
또한 이 제2 층(12)은 제4 층(14)이 적층되는 장대 기단측 단부부터 일정 범위에서 그 두께가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얇아지고 있다. 한편, 제4 층(14)은 장대 기단측으로 두꺼워진다. 그리고 이 제4 층(14)에 의해 장대 기단측 단부로부터 일정한 범위가 다른 부분보다 대경화하는 감합 웅부(3a)가 형성되게 된다. 이 결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중간(3)은 장대 기단측으로 대경화하는 테이퍼가 구현되면서 제2 층(12)이 얇아지고 제4 층이 두꺼워지고 있어, 장대 기단측에 도달함에 따라 제3 층이 상대적으로 중간(3)의 주위면(상세하게는 감합 웅부(3a)의 주위면)보다 깊은 위치에 적층되게 된다.
게다가 이 감합 웅부(3a)(제4 층(14)의 적층된 부분)에는 절삭 홈(15)이 장대 기단측 단부로부터 감합 자부와의 끼워 맞춤 범위를 넘어 수선측에 도달하도록 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절삭 홈(15)은 그 가장 깊은 부분이 대략 중간(3)의 축 방향에 평행이 되도록 중간(3)의 주위면을 절삭하여 형성되어 있고, 중간(3)의 테이퍼와의 관계에 의해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그 깊이가 깊어진다. 무엇보다 이 절삭 홈(15)은 제4 층(14)의 범위에서만 형성되어 있어, 제3 층(13)에 도달하지 않는다. 또한, 절삭 홈(15) 자체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여러 곳에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중간(3)의 제1 층(11)의 내주면(가장 내면)에는 낚싯줄 지지 돌기(20)를 형성하여 두어도 괜찮다. 이 낚싯줄 지지 돌기(20)는 중간(3)의 내부를 삽통하는 낚싯줄과 장대 내주면과의 접촉 면적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끈 형상 프리프레그를 나선 모양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 가능 하다.
또한 이러한 감합 웅부와 감합 자부의 구조는 다른 장대 사이에 있어서도 그 연결 부분에서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절삭 홈(15)의 갯수는 수선측의 장대로 갈수록 적게, 예를 들어, 초릿대(4)의 감합 웅부에 형성하는 절삭 홈은 네 곳 정도로, 원상간(2)에 형성하는 경우는 여덟 곳 정도 설치하는 등의 차이를 두어도 좋다.
다음으로, 중간(3)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선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테이퍼진 소정의 심재(100: mandrel)를 준비하고, 필요에 따라서 그 주위면에 이형제를 도포해 둔다. 그 후에 이 심재에 나선 형상의 돌기 형성용 프리프레그(31)와 박리용 테이프(32)를 나선 모양으로 권회(卷回)한다. 돌기 형성용 프리프레그(31)는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꼰 다음에 에폭시 수지 등을 함침시킨 끈 형상의 소재이다. 이것을 심재(100)에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다. 그리고 그 돌기 형성용 프리프레그(31)의 틈새에는 박리용 테이프(32)가 감겨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박리용 테이프(32)는 박리되고 돌기 형성용 프리프레그(31)만이 잔존하여 낚싯줄 지지 돌기(20)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에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각 소재의 외주에 나선 모양으로 틈새 없이 제1 프리프레그 테이프(41)를 권회한다. 이 제1 프리프레그 테이프(41)는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가 배향된 다음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소재이다. 이 제1 프리프레그 테이프(41)가 상술한 제1 층(11)을 형성 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권회한 제1 프리프레그 테이프(41)의 외주에는 메인 프리프레그(42)가 권회된다.
이 메인 프리프레그(42)는 심재(100)의 축 방향으로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가 배향된 다음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소재로서 이것을 시트 모양으로 가공한 것이다. 메인 프리프레그(42)는 심재(100)의 테이퍼에 맞춰서 권회폭(卷回幅)이 장대 기단측으로 커지는 대략 사다리꼴 형태가 되면서, 장대 기단측 부분에서는 크게 부분적으로 재단되어 권회폭이 작아지도록 가공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메인 프리프레그(42)의 장대 기단측 부분을 크게 재단함으로써(특히,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권회폭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권회할 때에 장대 기단측 단부가 부분적으로 얇아지게 된다(특히,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얇아진다). 이 메인 프리프레그(42)가 제2 층(12)을 형성한다.
그 후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에 더하여 메인 프리프레그(42)의 외주에 제2 프리프레그 테이프(43)를 나선 모양으로 틈새 없이 권회한다. 이 제2 프리프레그 테이프(43)는 상술한 제1 프리프레그 테이프(41)와 같은 것이고,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되어 있다. 이 제2 프리프레그 테이프(43)가 상술한 제3 층(13)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2 프리프레그 테이프(43)를 권회한 장대 기단측 단부에(상술한 메인 프리프레그(42)를 특히 얇게 권회한 범위에), 보조 프리프레그(44)를 권회한다. 이 보조 프리프레그(44)는 메인 프리프레그(42)와 같이 축 방향으로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가 배향된 소재이다. 상술한 메인 프리 프레그(42)가 얇아진 것을 보충하면서 전체적으로 장대 기단측으로 대경화하도록,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보조 프리프레그(44)는 권회된다. 이 보조 프리프레그(44)가 상술한 제4 층(14) 내지 감합 웅부(3a)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각 소재를 권회한 후, 그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그 외주에 보호용 테이프를 권회한 다음, 이들을 노(爐)내에서 소성하여 각 소재를 일체화시킨다. 그 후, 심재(100)를 빼내고 내주면측으로부터 박리용 테이프(32)를 박리하고, 외주면측으로부터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고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표면을 연마하는 등의 가공을 시행하고 직경을 조정한다. 그리고 감합 웅부(3a)에 절삭 홈을 절삭하여 형셩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중간(3)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장대도 동일하게 제조 가능하다.
이러한 각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중통 낚싯대에서는, 수납시에는 초릿대(4)로부터 순차적으로 손잡이측의 각 장대에 개개의 장대를 삽입하여 수납함으로써 컴팩트한 상태로 만든다. 한편 연장시에는 초릿대(4)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선측으로 잡아 빼서, 수선측에 위치하는 각 장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감합 웅부를 그 장대 기단측에 위치하는 장대의 감합 자부에 감합시켜 고정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한 자루의 낚싯대로서 낚시질에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장대를 연결하는 경우, 예를 들어, 중간(3)과 원상간(2)을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합 웅부(3a)와 감합 자부(2a)를 끼워 맞출 때에는 감합 웅부(3a)에 형성된 절삭 홈(15)이 배수 홈을 제공한다. 이 중통 낚싯대 를 캐스팅 등을 할 때에 흔들면, 원상간(2)에 고인 물이 그 힘으로 수선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원상간(2)의 수선측 부분에 물이 도달하면, 이 물은 원상간(2)과 중간(3)과의 내경 차이에 의해 수선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해되지 않고, 감합 웅부(3a)의 절삭 홈(15)을 통하여 중간(3)의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다른 장대들의 연결 부분에 있어도 동일하다.
여기서 중간(3)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감합 웅부(3a)는 축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되는 제4 층(14)으로 구성되어, 축 방향으로 절삭 홈(15)이 형성되어도 이 절삭 홈(15)의 형성에 의해 강화 섬유가 파단되지 않고 그 강도의 저하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축 방향의 강화 섬유는 굽힘 강성(flexural rigidity)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고, 절삭 홈(15)의 형성에 의해 장대의 굽힘 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감합 웅부(3a) 부근에서는, 이하와 같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층(12)이 장대 기단측으로 소경화하고 이것에 대신하여 제4 층(14)이 제3 층(13)의 외주측에 있어서 장대 기단측으로 대경화하는 형태로, 각종 프리프레그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절삭 홈(15)을 감합 웅부(3a)(즉, 제4 층(14))에 형성하여도, 이 절삭 홈(15)이 제3 층(13)에 도달하지 않고 절삭 홈(15)을 형성하여도 제3 층(13)이 거의 파손되지 않는다. 제3 층(13)은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되어 있는 층이어서 장대의 찌그러짐 강도를 담보한다. 그리고 중간(3)은 이 감합 웅부(3a)에서 원상간(2)에 지지되는 것이고, 걸리는 부분의 찌그러짐 강도는 충분히 유지해야만 한다. 이 낚싯대에서는 걸리는 부분의 찌그러짐 강도가 제1 층(11)및 파손되지 않는 제3 층(13)에 의해 충분히 유지되어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 형태]
(a) 절삭 홈 내에 친수성 도료를 도포해도 괜찮다. 이러한 친수성 도료의 도포에 의해 물이 한층 더 순조롭게 배수된다.
(b)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결하는 장대의 개수를 네 개로 하고 있지만 이 설정은 임의적이다. 또한 중통 낚싯대에 있어서, 손잡이측으로부터 두번째의 장대에 낚싯줄 도입구를 형성하는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은 배수 구조는 이 낚싯줄 도입구를 형성한 장대보다 수선측에 배치되는 각 장대에 채용하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대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중통 낚싯대의 장대의 내부에 고인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다.

Claims (1)

  1. 내부에 낚싯줄을 삽통할 수 있는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복수 개의 장대를 진출 형식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중통 낚싯대에 있어서, 
    수선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테이퍼진 관상체(管狀體)이고 수선측 단부 내주에 다른 부분보다 소경화한 감합 자부(嵌合 雌部)를 가지는 직경이 큰 장대와,
    상기 직경이 큰 장대의 수선측에, 상기 직경이 큰 장대 내에 수납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선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테이퍼진 관상체이고 장대 기단측 단부부터 일정 범위에서 다른 부분보다 대경화한 감합 웅부(嵌合 雄部)를 가지는 직경이 작은 장대를 포함하고,
    상기 직경이 작은 장대는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Prepreg) 소재로 이루어지고, 가장 내면에 위치하고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외측에 적층되고 축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제2 층과, 상기 제2 층의 외측에 적층되고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제3 층과, 상기 제3 층의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에 적층되고 축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향된 제4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4 층이 적층되는 장대 기단측 단부부터 일정 범위에 서 그 두께가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얇아지고,
    상기 제4 층은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져서 장대 기단측 단부부터 일정 범위가 다른 부분보다 대경화한 상기 감합 웅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감합 웅부를 형성하는 제4 층에는 절삭 홈이, 장대 기단측 단부로부터 감합 자부와의 끼워 맞춤 범위를 넘어 수선측에 도달하도록 축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깊이는 제3 층에 도달하지 않도록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
KR1020020024164A 2001-05-02 2002-05-02 중통 낚싯대 KR100822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34805 2001-05-02
JP2001134805 2001-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823A KR20020084823A (ko) 2002-11-11
KR100822103B1 true KR100822103B1 (ko) 2008-04-15

Family

ID=1898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164A KR100822103B1 (ko) 2001-05-02 2002-05-02 중통 낚싯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22103B1 (ko)
CN (1) CN1273014C (ko)
TW (1) TW5233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4511A1 (ja) * 2003-01-24 2004-08-05 Shimano Inc. 釣竿
JPWO2004064509A1 (ja) * 2003-01-24 2006-05-18 株式会社シマノ 竿体及び釣竿
WO2004064510A1 (ja) * 2003-01-24 2004-08-05 Shimano Inc. 釣竿の製造方法
JP4463203B2 (ja) * 2003-06-17 2010-05-19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EP3874945A4 (en) * 2018-10-29 2022-07-27 Globeride, Inc. FISHING ROD INCLUDING MULTIPLE CONNECTED ROD BODI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842A (ja) * 1995-09-22 1997-03-31 Bridgestone Sports Co Ltd 管材の製造方法
JPH1084820A (ja) * 1996-09-15 1998-04-07 Daiwa Seiko Inc 中通し釣竿
JPH11215936A (ja) * 1998-01-30 1999-08-10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0236782A (ja) * 1998-12-25 2000-09-05 Daiwa Seiko Inc 釣 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842A (ja) * 1995-09-22 1997-03-31 Bridgestone Sports Co Ltd 管材の製造方法
JPH1084820A (ja) * 1996-09-15 1998-04-07 Daiwa Seiko Inc 中通し釣竿
JPH11215936A (ja) * 1998-01-30 1999-08-10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0236782A (ja) * 1998-12-25 2000-09-05 Daiwa Seiko Inc 釣 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3014C (zh) 2006-09-06
KR20020084823A (ko) 2002-11-11
TW523397B (en) 2003-03-11
CN1383717A (zh)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629B2 (en) Pass-through fishing r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830246B (zh) 钓鱼竿用竿体
KR100822103B1 (ko) 중통 낚싯대
TWI451839B (zh)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od-like base member having a rod-like tip ro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od-like rod-front member in a tip rod of a fishing rod
KR100902555B1 (ko) 장대의 제조 방법
JP3904146B2 (ja) 中通し竿
KR20070011067A (ko) 초릿대
US5713151A (en) Pass-through fishing rod
KR100947810B1 (ko) 낚싯대
KR100970862B1 (ko) 낚싯대 및 이를 구성하는 장대의 제조방법
EP2926651B1 (en) Casting rod and method of fabricating tip rod of casting rod
JP3949467B2 (ja) 釣竿
JP4053373B2 (ja) 竿体の製造方法
US6189255B1 (en) Hollow telescopic fishing rod
KR20030040132A (ko) 장대의 제조 방법
KR20030013251A (ko) 낚시용 장대
JP4636972B2 (ja) 釣り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3957285B2 (ja) 釣竿の製造方法
JPH11225626A (ja) 釣竿、及び竿体の製造方法
JP2002084929A (ja) 竿 体
JP2005160323A (ja) インロー継ぎ形式の釣竿、及びこれを構成するインロー芯の製造方法。
KR100842166B1 (ko) 중통 낚싯대
JPH0731335A (ja) 中通し竿
JP2000139278A (ja) 中通し竿
JP2001238576A (ja) 竿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