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810B1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810B1
KR100947810B1 KR1020030025542A KR20030025542A KR100947810B1 KR 100947810 B1 KR100947810 B1 KR 100947810B1 KR 1020030025542 A KR1020030025542 A KR 1020030025542A KR 20030025542 A KR20030025542 A KR 20030025542A KR 100947810 B1 KR100947810 B1 KR 100947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circumferential surface
fishing rod
fitt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4679A (ko
Inventor
키요히코 마츠모토
야스노리 호소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30084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 single direction, e.g. roofing or other paralle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7Parts immersed or impregnated in a matrix
    • B32B2305/076Prepre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낚시줄의 엉겨 붙음을 오랜시간에 걸쳐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이 낚싯대의 중간대(3)는, 통 모양의 본체부(11)과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본체부(11)보다 주위면이 대직경으로 두껍게 형성된 부분인 육성부(肉盛部)(12)와, 서로 이웃하는 육성부(肉盛部)(12)의 축방향 사이의 본체부(11)의 둘레면에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나선형태로 형성된 돌기(13)을 구비한다. 서로 이웃하는 육성부(肉盛部)(12)의 본체부(11)로부터의 높이 (ΔX)는 서로 이웃하는 육성부(肉盛部)(12)의 축방향 간의 돌기(13)의 본체부(11)로부터의 높이 (ΔY)보다 높다. 또한, 돌기(13)은 끈 모양으로 가공한 프리프레그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 중간대(3)에는 슬라이드 가이드(20)이 배치되어, 슬라이드 가이드(20)은, 중간대(3)가 관통한 상태로 장대 둘레면에 배치되는 파이프 모양의 고정부(21)을 가지고 있고,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20) 중의 하나의 슬라이드 가이드(20)의 고정부(21)의 내경이 대응하는 육성부(肉盛部)(12)의 외경에 합치하고 있다.
Figure R1020030025542
테이퍼, 육성부(肉盛部), 프리그레그, 감합자부(嵌合雌部), 감합웅부(嵌合雄部)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낚싯대의 전체도.  
도 2는 도 1의 중간대(3)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채용한 낚싯대의 손잡이대(31)와 손잡이 윗대(32)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손잡이대  2, 32: 손잡이 윗대 
7: 고정 가이드  11: 본체부 
12: 육성부(肉盛部) 13: 돌기 
20: 슬라이드 가이드  21: 고정부 
22: 다리부  23: 가이드 링
본 발명은 낚시에 이용하는 낚싯대, 특히, 낚싯대를 구성하는 장대의 주위면 에 슬라이드 가이드로 불리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낚시줄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 중에는, 이른바 뽑이식으로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한 낚싯대가 있다. 이런 종류의 낚싯대는, 대직경으로 설정된 낚싯대 손잡이 측의 장대 내에 순차로 초릿대 측에 연결되는 장대가 수납 가능하게 되어있다. 그리고, 낚시를 할 때에는 순차로 각 장대를 꺼내서 한 자루의 낚싯대로 구성하고, 낚시를 끝냈을 때에는 순차로 각 장대를 낚싯대 손잡이 측의 장대에 수납하여 컴팩트한 상태로 보관한다.
이와 같은 뽑이식의 낚싯대에 있어서도, 낚싯대 손잡이 측의 장대의 주위면에 배치되는 릴로부터 낚시줄을 초릿대 측에 차례차례 안내하기 위해서 낚시줄 가이드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장대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낚시줄 가이드는 장대를 뽑이식으로 수납할 때에 방해가 된다. 그리고, 장대 자체가 손잡이측의 장대 내에 차례차례 수납되는 뽑이식의 낚싯대에서는, 낚시줄 가이드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즉, 장대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설치되어 있고, 각 장대의 초릿대 측 끝부분에는 그 둘레면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가이드가 배치되고, 그 낚싯대 손잡이 측에는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가 배치된다. 이 슬라이드 가이드는 장대가 관통한 상태로 장대 주위면에 배치되는 파이프부를 구비하고, 이 파이프부가 장대의 임의의 축방향 위치에서 그 외경과 합치되어 고정된다. 장대를 뽑이식으로 수납할 때에는, 각 슬라이드 가이드를 고정 가이드까지 둘레면상에서 초릿대 측에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사용시에는, 각 슬라이드 가이드를 둘레면상에서 낚싯대 손잡이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한다.
그런데, 장대 둘레면에 낚시줄 가이드를 배치하는 「외통낚싯대」에 있어서는, 낚시줄의 장대 둘레면에 엉겨 붙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옥외, 특히 물가의 야외에서 이용하는 낚싯대에 있어서는 장대 둘레면에는 비나 물방울 등이 점착하기 쉽고, 더구나 물속에 던져진 낚시줄에도 물이 점착하게 된다. 이 때문에, 낚시줄 가이드와 낚시줄 가이드 사이에 있어서, 낚시줄이 장대 둘레면에 붙어 버려, 낚시줄의 원활한 내고 들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장대 둘레면에 스크린 인쇄를 설치해서 작은 요철(凹凸)을 마련하여 낚시줄의 엉겨붙음을 억제하는 등의 방법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스크린 인쇄에 의한 요철(凹凸) 형성은 내구성이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다. 또, 장대 둘레면을 슬라이드 가이드가 이동하는 방식과 같은 장대에서는, 슬라이드 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스크린 인쇄가 벗겨지거나 훼손되어 버릴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줄의 엉겨붙음을 오랜 시간동안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발명에 따른 낚싯대는, 복수의 장대가 뽑이식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초릿대 테이퍼가 설치된 통 모양체인 장대와 장대의 둘레면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편 소정의 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갖추고 있다. 상기 장대는, 통 모양의 본체부와, 축방향으로 간격을 떨어뜨려 형성되는, 본체부보다 둘레면이 대직경으로 두껍게 형성된 부분인 복수의 육성부(肉盛部, 둘레가 두껍게 형성된 부분)와, 서로 이웃하는 육성부(肉盛部)의 축방향 간의 본체부의 둘레면에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나선 모양으로 형성된 돌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육성부(肉盛部)의 본체부로부터의 높이는 서로 이웃하는 육성부(肉盛部)의 축방향 간의 돌기의 본체부로부터의 높이보다 높다. 한편,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는, 장대가 관통한 상태로 장대 둘레면에 배치되는 파이프 모양의 고정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하나의 슬라이드 가이드의 고정부의 내직경이 대응하는 육성부(肉盛部)의 외경에 합치되고 있다.
상기 낚싯대에서는, 수납 시에 있어서는, 각 슬라이드 가이드를 초릿대 측에 이동 시킨 후에, 각 장대를 낚싯대 손잡이 측의 장대내에 차례차례 뽑이식으로 수납해 컴팩트한 상태로 한다. 사용 시에 있어서는, 복수의 장대를 차례차례 초릿대 측으로 꺼내, 뽑이식으로 연결해 한 자루의 긴 낚싯대로 한다. 그리고, 각 장대의 둘레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차례차례 낚싯대 손잡이 측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켜, 각각의 슬라이드 가이드의 고정부를 대응하는 육성부(肉盛部)에 감착(끼워서 부재를 장착하는 것)시켜 고정한다.
이 낚싯대의 장대의 육성부(肉盛部) 사이의 본체부 둘레면에는 나선 모양으로 형성된 돌기가 있고, 육성부(肉盛部)상에 고정되어 이용되는 슬라이드 가이드와 이것에 인접하는 슬라이드 가이드와의 사이에서 낚시줄의 엉겨붙음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 자체는 그 고정부를 육성부(肉盛部)에 감착시키는 것이고, 육성부(肉盛部)의 높이는 돌기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에 의해, 돌기가 슬라이드 가이드의 슬라이드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와 돌기와의 접촉이 적고, 서로 훼손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따른 낚싯대는, 제1 발명의 낚싯대에 있어서, 돌기는 탄소섬유를 합성수지에 함침한 프리프레그 소재로 이루어지고, 탄소섬유를 끈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탄소섬유가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소재가 장대의 둘레면에 나선 모양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돌기가, 낚시줄의 장대 둘레면의 엉겨 붙음을 억제하는 것과 함께, 관 모양의 장대의 깨짐에 대한 강도나 강성 등의 보강도 완수한다. 일반적으로, 장대 자체도 프리프레그 소재로부터 구성되기 때문에, 돌기와 장대의 본체 자체가 일체적으로 형성 가능하고, 돌기의 강도도 우수하게 된다.
제3 발명에 따른 낚싯대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낚싯대에 있어서, 초릿대측 끝부분 내주면에 감합자부(嵌合雌部)를 가지는 대직경 장대와, 대직경 장대의 초릿대 측에 뽑이식으로 연결되고 낚싯대 손잡이 측 끝부분 외주면의 감합자부(嵌合雌部)에 감착 가능한 제1 감합웅부(嵌合雄部) 및 초릿대측의 외주면에 감합자부(嵌合雌部)에 감착 가능한 제2 감합웅부(嵌合雄部)를 가지는 소직경 장대를 갖추고 있다. 
이 낚싯대에서는, 대직경 장대와 소직경 장대를 뽑이식으로 꺼낸 연신(延伸)상태와, 대직경 장대 내에 소직경 장대를 뽑이식으로 수납한 수납 상태의 어느쪽에 있어서도 서로 고정시켜 이용해,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해서 낚시를 할 수 있다. 연신 상태에 있어서는, 낚시꾼은 소직경 장대의 제1 감합웅부(嵌合雄部)를 대 직경 장대의 감합자부(嵌合雌部)에 감착시켜 서로 장대를 연결 고정한다. 한편, 수납상태에 있어서는, 낚시꾼은 소직경 장대의 제2 감합웅부(嵌合雄部)를 대직경 장대의 감합자부(嵌合雌部)에 감착시켜 서로 장대를 연결 고정한다.
이와 같은 낚싯대에서도 낚시줄의 엉겨붙음, 특히 연신상태에 있어서의 소직경 장대 둘레면에의 낚시줄의 엉겨붙음이 문제가 되지만, 제1 감합웅부(嵌合雄部)와 제2 감합웅부(嵌合雄部)가 육성부(肉盛部)이고, 그 사이에 나선 모양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낚시줄의 엉겨붙음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돌기의 높이보다 제1 감합웅부(嵌合雄部) 및 제2 감합웅부(嵌合雄部)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소직경 장대의 내고 들일 때에 있어서의 돌기의 마모 파손도 적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낚싯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대(1)와 손잡이대(1)의 초릿대 측에 순차적으로 뽑이식으로 연결되는 손잡이 윗대(2), 중간대(3), 및 초릿대(4)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손잡이대(1), 손잡이 윗대(2), 중간대(3), 및 초릿대(4)는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 등에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로부터 형성되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모양부재로서, 손잡이 윗대(2), 중간대(3), 및 초릿대(4)는 초릿대 측으로부터 차례차례 낚싯대 손잡이 측의 장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자유 자재로 출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장대의 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손잡이대(1)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릴 (도시하지 않음)을 자유자재로 탈착할 수 있는 장착 가능한 릴 시트(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릴 시트(5)는 별도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 파이프 모양의 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고정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대(1)의 낚싯대 손잡이 측 끝부분 내주면에는 암나사부재 (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여기에 뒷 마개(6)이 탈착 가능하게 나합되어 있다. 또, 손잡이대(1)의 초릿대측 끝부분 외주면에는 고정식의 낚시줄 가이드도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이 손잡이대(1)의 초릿대측 끝부분 내주면은 손잡이 윗대(2)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감합자부(嵌合雌部)로 되어 있다.
손잡이 윗대(2), 중간대(3), 및 초릿대(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순차로 손잡이대(1)의 초릿대 측에 연결되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형성된 장대이다. 각각의 장대에는, 뽑이식으로 연결 가능하게, 초릿대측 끝부분 내주면에 감합자부(嵌合雌部)와 낚싯대 손잡이 측 끝부분에 감합자부(嵌合雌部)가 필요에 따라서 형성된다. 이러한 장대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같으므로, 중간대(3)를 예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대(3)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설치된 통 모양체인 본체부(11)과, 본체부(11)의 둘레면상에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육성부(肉盛部)(12)와, 이 육성부(肉盛部)(12)와 인접하는 육성부(肉盛部)(12)와의 사이의 본체부(11)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1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중간대(3)의 둘레면에는, 고정식의 고정 가이드(7)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20)이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소섬유 등의 강화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켜 이루어지는 프리프레그 소재로부터 이루어지는 통상체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설치된 심재(芯材, 중심이 되는 재료)에 테이프 모양 또는 시트 모양의 프리프레그 소재를 휘감아 적층(積層)하여, 이것들을 소성(燒成)하여, 심재(芯材)를 꺼내 제조한다. 
육성부(肉盛部)(12)는, 본체부(11)보다 둘레면이 대직경으로 두껍게 형성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의 본체부(11)을 형성할 때에, 같은 형태의 프리프레그 소재를 부분적으로 휘감아 적층(積層)하고 본체부(11)과 일체적으로 소성하여 형성한다. 이 육성부(肉盛部)(12)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가이드(20)이 고정되는 부분이고, 배치하는 슬라이드 가이드(20)의 수에 대응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육성부(肉盛部)(12)의 본체부(11) 둘레면으로부터의 높이 (도 2, ΔX 참조)는, 후술하는 돌기(13)의 본체부(11) 둘레면으로부터의 높이 (도 2, ΔY 참조)보다 높아지도록 설정한다. 즉, 필요한 높이를 담보할 수 있도록 프리프레그 소재를 부분적으로 적층(積層)하고 소성한 후에 둘레면을 연마한 후, 육성부(肉盛部)(12)는 소정의 높이로 조정된다.
돌기(13)은, 육성부(肉盛部)(12)와 이것에 서로 이웃하는 육성부(肉盛部)(12)와의 축방향 사이의 본체부(11) 둘레면에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나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본체부(11)을 형성할 때에, 끈 모양으로 가공한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정의 본체부(11)의 둘레면에 나선 모양으로 휘감아, 일체적으로 소성하여 형성된다. 이 나선의 축방향 간격 (피치)은 3∼4mm 정도의 간격이다. 돌기(13)의 높이는 0.1∼1mm 정도가 되도록, 끈 모양의 프리프레그를 가공하거나 또는 소성 후에 둘레면을 연마해서 설정된다. 또한, 상기 끈 모양 프리프레그는 탄소섬유를 그 끈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한 후에, 에폭시 수지 등의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끈 모양 프리프레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결과적으로 강화 섬유가 장대의 둘레방향으로 보강되게 되고, 장대의 깨짐에 대한 강도·강성의 보강에 이바지하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가이드(7)은 중간대(3)의 초릿대 측 끝부분 외주면에 형성되는 육성부(肉盛部)(12)상에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20)은 다수개이고, 이 고정 가이드(7)의 장대 손잡이 측에 배치된다. 양자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가 아닌가에 따라 달라지고, 그 구조는 같은 형태이므로, 슬라이드 가이드(20)을 이하에서 설명하겠다.
도 2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가이드(20)은, 파이프 모양의 고정부(21)과,
고정부(21)로부터 기립하는 다리부(22)와, 다리부(22)의 머릿단(頭端)에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축방향으로 향하여 개구(開口)하고 있는 가이드 링(23)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부(21)은, 중간대(3)가 관통한 상태에서 중간대(3)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파이프 모양의 부재이다. 합성수지 내지 금속 등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고무소재를 배치해도 좋다. 개개의 슬라이드 가이드(20)의 고정부(21)은, 각각 그 내경이 대응하는 상술의 육성부(肉盛部)(12)의 외경에 합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설치된 중간대(3)에 있어서는, 고정부(21)은 대응하는 육성부(肉盛部)(12)로 박힘 부착하면서 이 대응하는 육성부(肉盛部)(12)로부터 초릿대 측으로는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다리부(22)는 고정부(21)로부터 기립하는 부분으로, 고정부(21)과는 별도로 또는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그 머릿단(頭端)은 축방향을 향해 개구(開口)하고 있다. 그리고, 그 개구(開口)에 가이드 링(23)이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 링(23)은 세라믹 등의 경질부재로 이루어져, 낚시줄이 이 부분을 관통하게 된다.
덧붙여, 고정 가이드(7)도 이 슬라이드 가이드(20)과 같은 구조를 취하지만, 그 고정부가 접착제 등에 의해 초릿대 측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육성부(肉盛部)(12)에 고정되어,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내용은 중간대(3)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손잡이 윗대(2) 및 초릿대(4)도 같은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낚싯대에서는, 수납시에 있어서는, 손잡이 윗대(2), 중간대(3), 및 초릿대(4)에 있어서, 그 둘레면의 각 슬라이드 가이드(20)을 초릿대 측으로 이동 시킨 다음, 차례차례, 장대를 낚싯대 손잡이 측의 장대내에 뽑이식으로 수납해서 컴팩트한 상태로 한다. 사용시에 있어서는, 초릿대(4)로부터 차례차례, 초릿대 측으로 꺼내서, 뽑이식으로 서로 연결 고정하여 한 자루의 긴 낚싯대로 한다. 그리고, 손잡이 윗대(2), 중간대(3), 및 초릿대(4)의 각 둘레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20)을 차례차례 낚싯대 손잡이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각각의 슬라이드 가이드(20)의 고정부(21)을 대응하는 육성부(肉盛部)(12)로 박힘 부착시켜 고정한다.
사용 시에는, 릴 시트(5)에 릴을 장착한 다음, 이 릴로부터의 낚시줄을 순차로, 각 낚시줄 가이드의 가이드 링에 관통 시키면서, 초릿대 측에 그 낚싯줄을 안내한다. 이때, 육성부(肉盛部)(12)상에 고정되어 이용되는 슬라이드 가이드(20)과 이것에 인접하는 슬라이드 가이드(2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돌기(13)이, 슬라이드 가이드(20) 사이에 느슨해지는 등 되버린 낚시줄이 장대의 본체부(11)의 둘레면에 엉겨 붙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가이드(20)의 고정부(21)은 육성부(肉盛部)(12) (높이 ΔX)에 박힘 부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고정부(21)의 내경은 돌기(13)의 높이 (ΔY)보다 커진다. 따라서, 슬라이드 가이드(20)의 축방향 이동을 돌기(12)가 저해하지 않는다.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채용한 낚싯대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손잡이대(31), 손잡이 윗대(32), 중간대(33), 및 초릿대(34)를 구비한다. 중간대(33) 및 초릿대(34)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갖추고 있고, 손잡이대(31)와 손잡이 윗대(32)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대(31)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설치된 통모양체로 구성되고, 그 초릿대측 끝부분 내주면에 감합자부(嵌合雌部)(31a)를 구비하고 있다. 감합자부(嵌合雌部)(31a)는 다른 부분에 비해서 그 내경이 특히 소경화한 부분이고, 그 내주면이 손잡이 윗대(32)와 박힘 부착(嵌着)하는 부분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낚싯대 손잡이 측 끝부분 내주면에도, 동일한 형태의 감합자부(嵌合雌部)를 형성해도 좋다.
손잡이 윗대(32)는, 손잡이대(31)의 초릿대 측에 뽑이식으로 연결되어, 감합자부(嵌合雌部)(31a)에 박힘 부착(嵌着) 가능한 제1 감합웅부(嵌合雄部)(32a)를 낚싯대 손잡이 측 끝부분 외주면에 구비하고, 한편 감합자부(嵌合雌部)(31a)에 박힘 부착(嵌着) 가능한 제2 감합웅부(嵌合雄部)(32b)를 초릿대측의 외주면에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감합웅부(嵌合雄部)(32a) 및 제2 감합웅부(嵌合雄部)(32b)는 각각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육성부(肉盛部)에 상응한다. 즉, 손잡이 윗대(32)의 다른 부분보다 둘레면이 대경으로 두껍게 형성된 부분이다. 그리고, 각각의 감합웅부(嵌合雄部)(32a, 32b)를 손잡이대(31)의 감합자부(嵌合雌部)(31a)와 박힘 부착(嵌着)시켜, 수납상태와 연신상태에서 서로 연결고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손잡이 윗대(32)의 제1 감합웅부(嵌合雄部)(32a)와 제2 감합웅부(嵌合雄部)(32b)와의 사이의 둘레면에는, 나선 모양으로 연속해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기(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33)은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은 모양이고, 끈 모양으로 가공한 프리프레그 소재를 휘감아 소성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육성부(肉盛部)에 상당하는 제1 감합웅부(嵌合雄部)(32a) 및 제2 감합웅부(嵌合雄部)(32b)의 높이는 이 돌기(33)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된다.
이와 같은 낚싯대에서도 낚시줄의 엉겨붙음, 특히, 손잡이 윗대(32)를 손잡이대(31)의 초릿대 측으로 꺼내 고정하고 있는 연신상태에 있어서, 손잡이 윗대(32)에의 낚시줄의 엉겨붙음이 문제가 되지만, 이것을 돌기(33)이 가급적으로 억제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감합웅부(嵌合雄部)(32a)와 제2 감합웅부(嵌合雄部)(32b)가 육성부(肉盛部)에 있어서, 이 돌기(33)의 높이보다 제1 감합웅부(嵌合雄部)(32a) 및 제2 감합웅부(嵌合雄部)(32b)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손잡이 윗대(32)의 손잡이대(31)에의 내고 들일 때에 있어서의 돌기(33)과 손잡이대(31)와의 마모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낚싯대에서는,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장대 둘레면의 낚시줄의 엉겨붙음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복수의 장대를 뽑이식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낚싯대에 있어서,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설치된 통상체인 장대와, 상기 장대의 둘레면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소정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장대는, 통 모양의 본체부와,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본체부보다 둘레면이 큰 직경으로 두껍게 형성된 부분인 복수의 육성부(肉盛部)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육성부(肉盛部)의 축방향 사이의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에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나선 모양으로 형성된 돌기를 갖추며, 상기 서로 이웃하는 육성부(肉盛部)의 상기 본체부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육성부(肉盛部)의 축방향 간의 돌기의 상기 본체부로부터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는 상기 장대가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장대 둘레면에 배치되는 파이프 모양의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 중 하나의 슬라이드 가이드의 고정부의 내경이 대응하는 상기 육성부(肉盛部)의 외경과 합치하고 있는 낚싯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탄소섬유를 합성 수지에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소섬유를 상기 끈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시킨 낚싯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는, 초릿대 측 끝부분 내주면에 감합자부(嵌合雌部)를 갖는 대직경 장대와, 상기 대직경 장대의 초릿대 측에 뽑이식으로 연결되어, 낚싯대 손잡이 측 끝부분 외주면에 상기 감합자부(嵌合雌部)에 박힘 부착 가능한 제1 감합웅부(嵌合雄部)를 가지면서 초릿대 측의 외주면에 상기 감합자부(嵌合雌部)에 박힘 부착 가능한 제2 감합웅부(嵌合雄部)를 가지는 소직경 장대를 갖추고, 상기 복수의 육성부의 일부가 상기 제1 감합웅부(嵌合雄部)와 상기 제2 감합웅부(嵌合雄部)인 낚싯대.
KR1020030025542A 2002-04-22 2003-04-22 낚싯대 KR100947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19195 2002-04-22
JP2002119195A JP4026748B2 (ja) 2002-04-22 2002-04-22 釣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679A KR20030084679A (ko) 2003-11-01
KR100947810B1 true KR100947810B1 (ko) 2010-03-15

Family

ID=2926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542A KR100947810B1 (ko) 2002-04-22 2003-04-22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26748B2 (ko)
KR (1) KR100947810B1 (ko)
CN (1) CN1323584C (ko)
TW (1) TWI26427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056A (ko) 2016-12-21 2018-06-29 한국세라믹기술원 진사 문양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220021090A (ko) * 2020-08-13 2022-02-22 이정휴 조립 구조가 개선된 낚시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7528B2 (ja) * 2009-08-28 2014-06-11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用の竿体
JP5787815B2 (ja) * 2012-03-30 2015-09-3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CN103832006A (zh) * 2014-03-04 2014-06-04 昆山盛夏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碳纤维管
JP6967861B2 (ja) * 2017-03-09 2021-11-17 株式会社がまかつ 竿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6916A (ja) * 1988-07-26 1990-02-06 Nippon Chibagaigii Kk コイル部品またはトランスを封止するための低圧液状射出成形方法
JPH09154440A (ja) * 1995-12-07 1997-06-17 Ryobi Ltd 釣竿用管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56173A (ja) 1997-08-08 1999-03-02 Shimano Inc 糸付着防止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釣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9786A (en) * 1975-05-01 1976-11-11 Fuji Industries Co Ltd Line leading rings for fishing rods
JPH03126464U (ko) * 1990-04-04 1991-12-19
JP2548485Y2 (ja) * 1990-04-24 1997-09-24 株式会社シマノ 振出し竿
JP2987342B2 (ja) * 1997-04-24 1999-12-0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製造方法
JP4007432B2 (ja) * 1997-11-20 2007-11-1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
JP2000032880A (ja) * 1998-07-21 2000-02-02 Shimano Inc 振出竿
JP2000062032A (ja) * 1998-08-19 2000-02-29 Ryobi Ltd 積層管の製造方法及び積層管形成用加圧テー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6916A (ja) * 1988-07-26 1990-02-06 Nippon Chibagaigii Kk コイル部品またはトランスを封止するための低圧液状射出成形方法
JPH09154440A (ja) * 1995-12-07 1997-06-17 Ryobi Ltd 釣竿用管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56173A (ja) 1997-08-08 1999-03-02 Shimano Inc 糸付着防止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釣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056A (ko) 2016-12-21 2018-06-29 한국세라믹기술원 진사 문양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220021090A (ko) * 2020-08-13 2022-02-22 이정휴 조립 구조가 개선된 낚시대
KR102462069B1 (ko) 2020-08-13 2022-11-03 이정휴 조립 구조가 개선된 낚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3584C (zh) 2007-07-04
CN1452860A (zh) 2003-11-05
TWI264275B (en) 2006-10-21
JP2003310105A (ja) 2003-11-05
TW200306149A (en) 2003-11-16
JP4026748B2 (ja) 2007-12-26
KR20030084679A (ko) 200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810B1 (ko) 낚싯대
KR101133909B1 (ko) 낚싯대
JP4371562B2 (ja) 釣竿
KR100334368B1 (ko) 중통낚시대
KR100970862B1 (ko) 낚싯대 및 이를 구성하는 장대의 제조방법
EP2926651B1 (en) Casting rod and method of fabricating tip rod of casting rod
JP3613438B2 (ja) 継式釣竿
JP2006101779A (ja) 穂先竿及び穂先竿用竿体
KR100822103B1 (ko) 중통 낚싯대
CN113273551B (zh) 钓竿
JP3977777B2 (ja) 釣竿
US5829182A (en) Intra-line fishing rod
JP3618239B2 (ja) 中通し式釣竿
JP4514348B2 (ja) トップガイド
JP4671466B2 (ja) 竿体
EP0880891B1 (en) Fishing rod
JP3657349B2 (ja) 口栓付き中通し竿
JP4354095B2 (ja) 釣竿
JP4179603B2 (ja) 釣竿
JP4040771B2 (ja) 釣竿
JP2004016032A (ja) 釣竿
JP4064231B2 (ja) 中通し竿
KR100842166B1 (ko) 중통 낚싯대
JP4225535B2 (ja) 釣竿
KR20230029501A (ko) 초릿대 잡이장대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싯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