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166B1 - 중통 낚싯대 - Google Patents

중통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166B1
KR100842166B1 KR1020020030336A KR20020030336A KR100842166B1 KR 100842166 B1 KR100842166 B1 KR 100842166B1 KR 1020020030336 A KR1020020030336 A KR 1020020030336A KR 20020030336 A KR20020030336 A KR 20020030336A KR 100842166 B1 KR100842166 B1 KR 100842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thickness increasing
pole
fish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216A (ko
Inventor
시오타니유키노부
마츠모토키요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20092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A01K87/005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comprising internal lin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고기가 걸렸을 때에도 원활하게 휘어지는, 이른바 장대의 상태가 우수한 중통 낚싯대를 제공한다.
이 중통 낚싯대의 손잡이대(1)는, 초리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형상의 부재이고, 그 양단에 연결되는 부분에 비해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1 두께 증대 부분 X와, 제1 두께 증대 부분 X의 장대 손잡이 쪽에 형성되고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2 두께 증대 부분 Y와, 제1 두께 증대 부분 Y의 초리 쪽에 형성되고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3 두께 증대 부분 Z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제1 두께 증대 부분 X에 낚싯줄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낚싯줄 도입 가이드(10)는 제2 두께 증대 부분 Y와 제3 두께 증대 부분 Z에 각각 고정된다.
낚시, 중통 낚싯대, 두께 증대 부분, 휨새, 낚싯줄 도입구

Description

중통 낚싯대{HOLLOW FISHING R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중통 낚싯대의 전체도.
도 2는 도 1의 손잡이대(1)의 낚싯줄 도입구(6) 부근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중통 낚싯대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중통 낚싯대의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대
6 : 낚싯줄 도입구
10, 20 : 낚싯줄 도입 가이드
X : 제1 두께 증대 부분
Y : 제2 두께 증대 부분
Z : 제3 두께 증대 부분
본 발명은 낚시에 이용되는 낚싯대, 특히, 장대 내부에 낚싯줄을 삽통하기 위한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중통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중통 낚싯대는 일반적으로 초리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복수 개의 통 형상의 장대로 구성되고, 가장 손잡이 쪽에 위치하고 릴을 장대 주위면에 장착할 수 있는 릴 시트를 가지는 손잡이대와, 손잡이대의 초리 쪽에 진출(振出) 형식 등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 윗대, 중간대 및 초릿대로 구성된다. 손잡이대 또는 손잡이 윗대 등 낚싯대의 손잡이 쪽에 위치하는 장대 중의 하나에는 릴에서 나온 낚싯줄을 장대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낚싯줄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초릿대의 초리 쪽 단부에는 톱 가이드(top guide)가 장착된다. 그리고 릴에서 나온 낚싯줄은 낚싯줄 도입구로부터 장대 내에 도입된 후에 순차적으로 초리 쪽으로 안내되고 톱 가이드로부터 외부로 도출되게 된다.
이러한 중통 낚싯대의, 예를 들어 손잡이대는,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의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시트(sheet) 내지 테이프 형상의 프리프레그(prepreg)로 불리는 소재로부터 소성(燒成)된다. 그리고 낚싯줄 도입구를 장대 주위면에 형성하기 때문에, 그 낚싯줄 도입구 부근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프리프레그를 여분으로 돌려감기하여 낚싯줄 도입구 부근의 두께를 두껍게 한다. 또한 릴에서 나온 낚싯줄을 낚싯줄 도입구로 원활히 안내하도록, 이른바 낚싯줄 도입 가이드를 낚싯줄 도입구 부근에 장착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종래의 중통 낚싯대에서는 이른바 낚싯줄 도입 가이드를 장대의 낚싯줄 도입구 부근의 두꺼워진 부분에 고정하여 장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낚싯줄 도입구 부근의 두꺼워진 부분은 낚싯줄 도입구의 형성에 의한 강도 저하를 보충하는 것으로서 존재하는 것이지만, 한편으로는 장대의 부분적인 강성의 변화를 초래하는 결과가 되어 장대의 원활한 휨새를 연출한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낚싯줄 도입 가이드도 이 두꺼운 부분에 고정하기 위하여 이 두꺼운 부분을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면, 장대가 원활하게 휘어지는 것을 저해하는 부분이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버린다.
또한 이 두꺼워진 부분을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그 위에 낚싯줄 도입 가이드를 고정한 경우,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낚싯줄 도입 가이드를 장대에 고정함에 의하여 장대의 휘는 정도가 부분적으로 더욱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고기가 걸렸을 때에도 원활히 휘어지는, 이른바 장대의 상태가 우수한 중통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한 중통 낚싯대는, 내부에 낚싯줄을 삽통하기 위한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초리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형상의 부재이고, 그 양단에 연결되는 부분에 비해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1 두께 증대 부분과, 제1 두께 증대 부분의 장대 손잡이 쪽에 형성되고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2 두께 증대 부분과, 제1 두께 증대 부분의 초리 쪽에 형성되고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3 두께 증대 부분을 가지며, 이 제1 두께 증대 부분에 낚싯줄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장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장대의 제2 두께 증대 부분에 고정되는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와, 장대의 제3 두께 증대 부분에 고정되는 초리 쪽 고정부와, 낚싯줄 도입구를 넘어 걸치도록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 및 초리 쪽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고정된 가이드 링을 가지는 낚싯줄 도입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이 중통 낚싯대에서는, 제1 두께 증대 부분이 낚싯줄 도입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생길 수 있는 부분적인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고 있다. 이 제1 두께 증대 부분은 낚싯줄 도입구 주변으로 한정되어, 축 방향으로 불필요하게 길게 형성되지 않으며 장대의 휨새를 저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제1 두께 증대 부분의 초리 쪽 및 장대 손잡이 쪽에는 제1 두께 증대 부분과는 별도로 형성되는 제2 두께 증대 부분 및 제3 두께 증대 부분이 있고, 이 부분에 낚싯줄 도입 가이드의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와 초리 쪽 고정부가 고정된다. 이러한 제2 두께 증대 부분과 제3 두께 증대 부분을 별도로 설정함으로써, 장대 주위면으로부터의 낚싯줄 도입 가이드의 높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제1 두께 증대 부분, 제2 두께 증대 부분, 제3 두께 증대 부분의 두께를 각각 미묘하게 조정하거나 각각의 두꺼워지는 부분의 소재를 변화시키는 것으로써, 장대의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조정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한 중통 낚싯대는, 내부에 낚싯줄을 삽통하기 위한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초리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형상의 부재이고, 그 양단에 연결되는 부분에 비해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1 두께 증대 부분과, 제1 두께 증대 부분의 장대 손잡이 쪽에 형성되고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2 두께 증대 부분을 가지며, 제1 두께 증대 부분에 낚싯줄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장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장대의 제2 두께 증대 부분에 고정되는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와, 장대의 낚싯줄 도입구의 초리 쪽의 주위면에 고정되는 초리 쪽 고정부와, 낚싯줄 도입구를 넘어 걸치도록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 및 초리 쪽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고정된 가이드 링을 가지는 낚싯줄 도입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이 중통 낚싯대도,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중통 낚싯대와 마찬가지로, 제1 두께 증대 부분이 낚싯줄 도입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생길 수 있는 부분적인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동시에 장대의 휨새를 저해하는 것도 방지하고 있다. 한편, 별도로 형성되는 제2 두께 증대 부분에 의해, 장대 주위면으로부터의 낚싯줄 도입 가이드의 높이를 임의로 조정하고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한 중통 낚싯대는, 내부에 낚싯줄을 삽통하기 위한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초리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형상의 부재이고, 그 양단에 연결되는 부분에 비해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1 두께 증대 부분과, 제1 두께 증대 부분의 초리 쪽에 형성되고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3 두께 증대 부분을 가지며, 제1 두께 증대 부분에 낚싯줄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장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장대의 제3 두께 증대 부분에 고정되는 초리 쪽 고정부와, 장대의 낚싯줄 도입구의 장대 손잡이 쪽의 주위면에 고정되는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와, 낚싯줄 도입구를 넘어 걸치도록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 및 초리 쪽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고정된 가이드 링을 가지는 낚싯줄 도입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이 중통 낚싯대도,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중통 낚싯대와 마찬가지로, 제1 두께 증대 부분이 낚싯줄 도입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생길 수 있는 부분적인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동시에 장대의 휨새를 저해하는 것도 방지하고 있다. 한편, 별도로 형성되는 제3 두께 증대 부분에 의해, 장대 주위면으로부터의 낚싯줄 도입 가이드의 높이를 임의로 조정하고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도 커진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한 중통 낚싯대는, 내부에 낚싯줄을 삽통하기 위한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초리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형상의 부재이고, 그 양단에 연결되는 부분에 비해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1 두께 증대 부분을 가지며, 이 제1 두께 증대 부분에 낚싯줄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장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장대의 낚싯줄 도입구의 장대 손잡이 쪽에 고정되는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와, 장대의 낚싯줄 도입구의 초리 쪽의 주위면에 고정되는 초리 쪽 고정부와, 낚싯줄 도입구를 넘어 걸치도록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 및 초리 쪽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고정된 가이드 링을 가지는 낚싯줄 도입 가이드를 포함한다. 이 낚싯줄 도입 가이드의 초리 쪽 고정부 및/또는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는, 제1 두께 증대 부분 이외의 장대의 주위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 중통 낚싯대에서는, 제1 두께 증대 부분이 낚싯줄 도입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생길 수 있는 부분적인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고 있다. 이 제1 두께 증대 부분은 낚싯줄 도입구 주변으로 한정되어, 축 방향으로 불필요하게 길게 형성되지 않으며 장대의 휨새를 저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채용한 중통 낚싯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대(1)와, 손잡이대(1)의 초리 쪽에 순차적으로 진출 형식으로 연결되는 손잡이 윗대(2)와, 중간대(3) 및 초릿대(4)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대(1) 내지 초릿대(4)는 각각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소재로 구성되고 초리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형상의 부재이다.
손잡이대(1)는 낚싯대 중 가장 손잡이 쪽에 위치하는 직경이 큰 장대이고, 장대 손잡이 쪽의 주위면에 릴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릴 시트(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장대 손잡이 쪽 단부 내주면에는 암 나사부가 형성되고 여기에 마개가 탈착 가능하게 나합(螺合)하고 있다. 한편, 이후에 상세하게는 설명하는 바와 같이, 릴 시트(5)의 초리 쪽에는 낚싯줄 도입구(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낚싯줄 도입구(6)를 축 방향으로 넘어 걸치도록 낚싯줄 도입 가이드(1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릴에서 나온 낚싯줄은 낚싯줄 도입 가이드(10)를 거쳐 낚싯줄 도입구(6)로부터 장대 내부로 도입되고, 순차적으로 초리 쪽으로 안내되어 초릿대(4)의 초리 쪽 단부에 장착된 톱 가이드(7)로부터 외부로 도출되게 된다.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대(1)의 초리 쪽 부분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제1 두께 증대 부분 X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두께 증대 부분 X의 길이는, 예를 들어, 축 방향 길이로서 20 ~ 60 mm 정도이다. 손잡이대(1)을 제조할 때에, 별도로 두께를 증대하기 위한 프리프레그를 부분적으로 중복하여 돌려감기하고 소성(燒成)하여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 별도로 돌려감기하는 두께 증대용 프리프레그로는, 예를 들어, 전술한 각 장대를 생성하기 위한 프리프레그와 같은 종류의 프리프레그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 제1 두께 증대 부분 X에 낚싯줄 도입구(6)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두께 증대 부분 X의 장대 손잡이 쪽에는 제1 두께 증대 부분 X로부터 10~20 mm정도의 간격을 두고 10 ~ 20 mm 정도의 축 방향 길이의 제2 두께 증대 부분 Y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두께 증대 부분 Y도, 손잡이대(1)를 제조할 때에, 별도로 두께 증대용 프리프레그를 부분적으로 중복하여 돌려감기하고 소성하여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 별도로 돌려감기하는 두께 증대용 프리프레그로서는, 제1 두께 증대 부분 X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한 탄소 섬유 등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를 예로 들 수 있지만, 제1 두께 증대 부분 X를 형성하는 프리프레그와는 다른 프리프레그를 이용하여 제2 두께 증대 부분 Y를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제1 두께 증대 부분 X를 형성하기 위한 프리프레그보다 탄성률이 낮은 프리프레그를 이용하여 제2 두께 증대 부분 Y를 형성하거나, 제1 두께 증대 부분 X에는 손잡이대(1)의 축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열된 것을 이용하고 제2 두께 증대 부분 Y에는 직경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배열된 것을 이용하여, 장대의 가요성 등을 미묘하게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 두께 증대 부분 X의 초리 쪽에는 제3 두께 증대 부분 Z가 형성되지만, 제2 두께 증대 부분 Y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들 제 1 두께 증대 부분 X 내지 제3 두께 증대 부분 Z의 두께를 각각 달리하여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두께 증대 부분 X보다 제2 및 제3 두께 증대 부분 Y, Z의 두께를 각각 두껍게 설정하면, 후술하는 낚싯줄 도입 가이드(10)의 설치 높이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낚싯줄 도입 가이드(10)는 릴에서 나온 낚싯줄을 낚싯줄 도입구(6)로 이끌어 장대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낚싯줄 가이드이다. 낚싯줄 도입구(6)를 넘어 걸쳐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부(연결부; 11)를 가지고, 그 연결부(11)의 양단이 각각 제2 두께 증대 부분 Y상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12)와 제3 두께 증대 부분 Z상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초리 쪽 고정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연결부(11) 내지 양고정부(12, 13)는 일체적으로 금속 또는 합성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연결부(11)는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12)로부터 기립한 후에 되접어 꺾여 완만하게 초리 쪽으로 연장하면서 낚싯줄 도입구(6)를 넘어 걸치도록 초리 쪽 고정부(13)에 도달한다. 이 연결부의 장대 손잡이 쪽의 기립한 부분에는 관통공(貫通孔)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세라믹스 등의 가이드 링(14)이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1)의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12)와 초리 쪽 고정부(13)는 각각 권사(卷絲)에 의해 손잡이대에 고정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합성 수지로 권사를 코팅해도 괜찮다. 그리고 낚싯줄 도입구(6)의 통로에는 별도 세라믹스제의 개구 링(15)을 끼워 넣어 두어도 괜찮다.
손잡이 윗대(2) 내지 초릿대(4)는 각각 장대 손잡이 쪽의 장대에 진출 고정할 수 있도록 장대 손잡이 쪽 단부 외주면에 감합 웅부(嵌合 雄部)를 가짐과 동시에, 초리 쪽 단부 내주면이 감합 자부(嵌合 雌部)로 되어 있다(초릿대(4)를 제외한다). 장대 내부가 낚싯줄 도입구(6)로부터 도입된 낚싯줄이 삽통하는 낚싯줄 통로가 되어 있기 때문에, 내주면에는 낚싯줄과의 접촉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낚싯줄 지지 돌기를 장대와 일체로 또는 별개로 형성하는 것도 괜찮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중통 낚싯대에서는, 제1 두께 증대 부분 X가 낚싯줄 도입구(6)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손잡이대(1)의 부분적인 강도 저하를 억제하고 있다. 이 제1 두께 증대 부분 X는 낚싯줄 도입구(6) 주변에만 형성되어 있어, 축 방향으로 불필요하게 길게 형성되지 않고 손잡이대(1)가 휘어지는 것을 크게 저해하지 않는다. 한편, 제1 두께 증대 부분 X와는 별도로 형성되는 제2 두께 증대 부분 Y 및 제3 두께 증대 부분 Z가 있어, 이 부분에 낚싯줄 도입 가이드(10)의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12)와 초리 쪽 고정부(13)가 고정된다. 이 제2 두께 증대 부분 Y와 제3 두께 증대 부분 Z를 별도로 설정함으로써, 장대 주위면으로부터의 낚싯줄 도입 가이드(10)의 높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게다가 제1 두께 증대 부분 X, 제2 두께 증대 부분 Y, 제3 두께 증대 부분 Z의 두께를 각각 미묘하게 조정하거나 각각의 두께 증대 부분의 소재를 변화시킴으로써, 장대의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조정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두께 증대 부분 Y와 제3 두께 증대 부분 Z의 쌍방을 형성하고 있지만, 어느 한쪽만을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어느 한쪽만 형성하면, 낚싯줄 도입 가이드(10)를 축 방향에 있어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하여 높이의 조정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고,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도 한층 더 커지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채용한 중통 낚싯대의 손잡이대(1)의 초리 쪽 주위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도입구(6)가 형성되어 있어 이 낚싯줄 도입구(6)를 축 방향으로 넘어 걸치도록 하여 낚싯줄 도입 가이드(20)가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대(1)의 초리 쪽 부분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제1 두께 증대 부분 X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두께 증대 부분 X의 축 방향 길이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20 ~ 60 mm 정도이다. 손잡이대(1)를 제조할 때에, 별도로 두께 증대용 프리프레그를 부분적으로 중복하여 돌려감기하고 소성하여 형성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 제1 두께 증대 부분 X에 낚싯줄 도입구(6)가 형성된다.
낚싯줄 도입 가이드(20)는, 릴에서 나온 낚싯줄을 낚싯줄 도입구(6)로 인도하여 장대 내로 안내하기 위한 낚싯줄 가이드이다. 낚싯줄 도입구(6)를 넘어 걸쳐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부(연결부; 21)를 가지고, 그 연결부(21)의 양단은 각각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22) 및 초리 쪽 고정부(23)이고, 제1 두께 증대 부분 X 이외의 장대 손잡이 쪽 및 초리 쪽에서 손잡이대(1)에 고정된다. 고정 방법은,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권사로 고정하는 것 등이 있다.
연결부(21)는,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22)로부터 기립한 후에 되접어 꺾여 완만하게 비스듬히 초리 쪽으로 연장하면서 낚싯줄 도입구(6)를 넘어 걸쳐서 초리 쪽 고정부(23)에 도달한다. 이 연결부의 장대 손잡이 쪽의 기립한 부분에는 관통 공이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세라믹스 등의 경질 가이드 링(24)이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낚싯줄 도입 가이드(20)에서는, 연결부(21)의 길이 방향 중앙 부근에 다른 경질 가이드 링(25)이 더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줄 도입 가이드(20)를 제1 두께 증대 부분 X 이외의 곳에서 손잡이대(1)에 고정하고 있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두께 증대 부분 X를 다소 축 방향으로 길게 설정하여, 예를 들어, 초리 쪽 고정부만을 제1 두께 증대 부분 X상에서 손잡이대(1)에 고정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중통 낚싯대에 있어서도, 낚싯줄 도입구 부근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원활한 장대의 휨새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도 커진다.
<다른 실시 형태>
(a)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낚싯줄 도입구를 손잡이대에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그 외의 장대, 예를 들면, 손잡이 윗대에 형성하고 두께 증대 부분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장대의 개수도 임의적이다.
(b) 낚싯줄 도입 가이드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주지의 낚싯줄 도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원활히 휘어지는, 장대의 상태가 뛰어난 중통 낚싯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내부에 낚싯줄을 삽통하기 위한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초리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형상의 부재이고, 그 양단에 연결되는 부분에 비해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1 두께 증대 부분과, 상기 제 1 두께 증대 부분의 장대 손잡이 쪽에 형성되고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2 두께 증대 부분과, 상기 제 1 두께 증대 부분의 초리 쪽에 형성되고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3 두께 증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두께 증대 부분에 낚싯줄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장대와,
    상기 장대의 제2 두께 증대 부분에 고정되는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와, 상기 장대의 제3 두께 증대 부분에 고정되는 초리 쪽 고정부와, 상기 낚싯줄 도입구를 넘어 걸치도록 상기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 및 상기 초리 쪽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고정된 가이드 링을 포함하는 낚싯줄 도입 가이드를 포함하는, 중통 낚싯대.
  2. 내부에 낚싯줄을 삽통하기 위한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초리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형상의 부재이고, 그 양단에 연결되는 부분에 비해 축 방향으로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1 두께 증대 부분과, 상기 제 1 두께 증대 부분의 장대 손잡이 쪽에 형성되고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2 두께 증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두께 증대 부분에 낚싯줄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장대와,
    상기 장대의 제2 두께 증대 부분에 고정되는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와, 상기 장대의 낚싯줄 도입구의 초리 쪽의 주위면에 고정되는 초리 쪽 고정부와, 상기 낚싯줄 도입구를 넘어 걸치도록 상기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 및 상기 초리 쪽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고정된 가이드 링을 포함하는 낚싯줄 도입 가이드를 포함하는, 중통 낚싯대.
  3. 내부에 낚싯줄을 삽통하기 위한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초리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형상의 부재이고, 그 양단에 연결되는 부분에 비해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1 두께 증대 부분과, 상기 제 1 두께 증대 부분의 초리 쪽에 형성되고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3 두께 증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두께 증대 부분에 낚싯줄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장대와,
    상기 장대의 제3 두께 증대 부분에 고정되는 초리 쪽 고정부와, 상기 장대의 낚싯줄 도입구의 장대 손잡이 쪽의 주위면에 고정되는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와, 상기 낚싯줄 도입구를 넘어 걸치도록 상기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 및 상기 초리 쪽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고정된 가이드 링을 포함하는 낚싯줄 도입 가이드를 포함하는, 중통 낚싯대.
  4. 내부에 낚싯줄을 삽통하기 위한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낚싯대에 있어서,
    초리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형상의 부재이고, 그 양단에 연결되는 부분에 비해 축 방향의 일정 범위가 두꺼워진 제1 두께 증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두께 증대 부분에 낚싯줄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장대와,
    상기 장대의 낚싯줄 도입구의 장대 손잡이 쪽에 고정되는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와, 상기 장대의 낚싯줄 도입구의 초리 쪽의 주위면에 고정되는 초리 쪽 고정부와, 상기 낚싯줄 도입구를 넘어 걸치도록 상기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 및 상기 초리 쪽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고정된 가이드 링을 포함하는 낚싯줄 도입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낚싯줄 도입 가이드의 초리 쪽 고정부 및/또는 장대 손잡이 쪽 고정부는, 상기 제 1 두께 증대 부분 이외의 상기 장대의 주위면에서 고정되어 있는, 중통 낚싯대.
KR1020020030336A 2001-05-31 2002-05-30 중통 낚싯대 KR100842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63679 2001-05-31
JP2001163679A JP2002354966A (ja) 2001-05-31 2001-05-31 中通し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216A KR20020092216A (ko) 2002-12-11
KR100842166B1 true KR100842166B1 (ko) 2008-06-27

Family

ID=1900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336A KR100842166B1 (ko) 2001-05-31 2002-05-30 중통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354966A (ko)
KR (1) KR100842166B1 (ko)
CN (1) CN1214711C (ko)
TW (1) TW528575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190A (ko) * 1994-10-12 1996-05-22 시마노 요시죠 중통형(中通形) 낚싯대용 낚시줄 도입가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190A (ko) * 1994-10-12 1996-05-22 시마노 요시죠 중통형(中通形) 낚싯대용 낚시줄 도입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54966A (ja) 2002-12-10
KR20020092216A (ko) 2002-12-11
TW528575B (en) 2003-04-21
CN1214711C (zh) 2005-08-17
CN1389106A (zh)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6120B1 (en) Controlled collapse teatcup liner
KR20000062435A (ko) 낚싯대용 라인가이드와 낚싯대
KR100842166B1 (ko) 중통 낚싯대
JP5155101B2 (ja) 釣竿
EP2926651B1 (en) Casting rod and method of fabricating tip rod of casting rod
KR100356027B1 (ko) 줄관통형낚싯대용낚시줄도입가이드
KR100947810B1 (ko) 낚싯대
KR100361349B1 (ko) 중통용초리대
KR100937114B1 (ko)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갖춘 낚시대
JP5199027B2 (ja) 釣竿
US6351909B1 (en) Fishing rod with fishline laid through it
JP4053400B2 (ja) アウターガイド竿
US5283973A (en) Fishing line guide
US5806230A (en) Fishing rod and guide element for same
KR100937115B1 (ko) 낚싯대
EP0880891B1 (en) Fishing rod
JP3691038B2 (ja) 釣糸補助ガイド装置
JPH0750924Y2 (ja) イカ釣針
JP4064231B2 (ja) 中通し竿
CN212624755U (zh) 钢琴低音弦
KR200328920Y1 (ko) 낚시대 케이스용 낚시 줄 걸이대
JP3347307B2 (ja) 釣糸案内具
KR20230029501A (ko) 초릿대 잡이장대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싯대
JP2001314139A (ja) 竿 体
KR20240053518A (ko) 낚싯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