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349B1 - 중통용초리대 - Google Patents

중통용초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349B1
KR100361349B1 KR1019950012632A KR19950012632A KR100361349B1 KR 100361349 B1 KR100361349 B1 KR 100361349B1 KR 1019950012632 A KR1019950012632 A KR 1019950012632A KR 19950012632 A KR19950012632 A KR 19950012632A KR 100361349 B1 KR100361349 B1 KR 100361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fishing
connector
line support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마야스노리오
시모노마꼬도
마쯔모도기요히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349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 줄이 낚시 대 내면과의 접촉을 회피하여 원활한 낚시 줄의 풀림 및 권취를 행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 그 회피를 위한 안내 링을 낚시대 내에 장착하는데 대해서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초리대 구조를 채택한 점에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선단측 대부분(1A)과 후단측 대부분(1B)을 연결구(8)로 연결하여 초리대(1)를 형성함과 동시에 연결구(8)에 안내 링의 낚시줄 지지체(6)을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중통용 초리대
본 발명은 중통용(中通用) 초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중통용 초리대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실개소 63-173065 호의 공보의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초리대의 내면에서는 낚시 대 소재를 성형한 상태 그대로이며, 낚시 줄은 직접 낚시대의 내면에 접촉하는 기회가 많고, 낚시 줄의 풀림시 등의 슬라이드저항이 크다. 따라서 낚시 줄의 슬라이드저항을 완화하는 관점으로부터 낚시 줄이 슬라이드저항이 커지는 초리대의 선단부에 슬라이드저항을 저감하는 낚시줄 지지체로서의 경질의 낚시 줄 안내 링들을 부여한 것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초리대의 선단부에 낚시줄 안내 링들을 부여한 것이라도 설치부위가 선단부에 만 한정되므로 초리대 내에서의 낚시 줄은 낚시대의 중간부에서 낚시 대의 내면에 접촉하게 되고, 특히 고기가 걸려 낚시대가 휜 경우에는 그 경향이 강하고 그 부분에서의 슬라이드저항은 피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리대의 중간부에서도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하여 초리 대에서의 낚시줄의 슬라이드저항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특징 구성은 복수 개의 낚시 대 부분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중통용 초리대에 있어서, 그 연결 부위 근방의 내면에 낚시 줄을 지지하는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하는 점에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초리대를 복수본의 낚시대 부분으로 분할 한다. 그러면 낚시대부분 전후단에서 연결부위가 되는 부분은 개구 부분의 근방이 되므로 종래와 마찬가지로 연결부위근방에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할 수 있다.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한 상태에서 낚시대부분 끼리를 연결하여 초리대를 형성하면 그 연결 부위 근방에 배치한 낚시줄 지지체가 초리대로서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초리대를 분할하는 구성을 새롭게 채택함에 의해 종래와 마찬가지로 배치히기 쉬운 개구부근방위치에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하면서 초리대로서는 중간부에도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할 수 있고, 낚시줄의 슬라이드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1) 특허청구의 범위 제 2항에서의 발명의 목적은 초리대의 중간부에서도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하여 초리대에서의 낚시줄의 슬라이드저항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고, 이를 위해 채택된 구성은 제 1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부분 끼리를 연결함과 동시에 이 낚시대 부분의 연결부 근방의 내면에 상기 낚시줄 지지체를 설치한 점에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초리대를 복수 개의 낚시대 부분으로 분할한다. 그러면 낚시대 부분 전후단에서 연결부위가 되는 개구부분의 근방이 되므로 종래와 마찬가지로 그 낚시대 부분의 연결부위근방에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할 수 있다.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한 상태에서 낚시 대부분 끼리를 연결하여 초리대를 형성하면 그 연결부위근방에 배치한 낚시줄 지지체가 초리대로서의 중간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초리대를 분할하는 구성을 새롭게 채응함에 의해 종래와 마찬가지로 배치하기 쉬운 개구부 근방 위치에 낚시줄 지지체를 재치하면서 초리대로서는 중간부에도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할 수 있으며, 낚시줄의 슬라이드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낚시줄지지체의 배치위치를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하기 위한 특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2)제3항에서의 발명의 목적은 초리대의 중간부에서도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하여 초리대에서의 낚시 줄의 슬라이드저항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고, 이를 위해 채택된 구성은 제 1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부분 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구를 설치하고, 이 연결구의 내면에 상기 낚시줄 지지체를 설치하는 점에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1항의 작용효과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과 동시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낚시줄 지지체의 설치위치를 연결구로 정하고 있으므로 형상이 정해져 있는 낚시대 자체에 낚시줄 지지체를 설치하기 위한 부착 구조를 새롭게 형성할 필요는 없고, 새롭게 설치되는 연결구에 낚시대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와 함께 낚시줄 지지체를 부착하기 위한 가공을 실시하면 좋다.
(3)제4항에서의 발명의 목적은 초리대의 중간부에서도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하여 초리 대에서의 낚시줄의 슬라이드 저항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고,이를 위해 채택된 구성은 제 1항 또는 제 3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부분 끼리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설치하고 이 연결구의 내면에서 그 전후반부에 상기 낚시줄 지지체를 설치하는 점에 있으며,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3항의 작용효과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과 동시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연결구의 전후단부는 낚시줄 지지체를 장착하기 쉬운 부위이기 때문에 종래와 마찬가지의 양호한 작업성으로 낚시줄 지지체의 장착이 가능하며, 게다가 초리대의 중간부에 두 개의 낚시줄 지지체를 설치할 수 있으며, 초리대에 있어서 낚시줄 지지체의 설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고, 낚시줄이 초리대 내면에 접촉하는 기회를 적게 할 수 있다.
(4)제5항에서의 발명의 목적은 낚시줄 지지체를 복수개 설치하여 그 설치피치를 작게 하면서 낚시줄의 슬라이드 저항을 저감함에 있고, 이를 위해 채택된 구성은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지지체를 장착한 상기 연결구를 복수개소에 걸쳐서 설치하는 점에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연결구를 복수개소에 걸쳐 설치함에 의해 연결구에 부착된 났기줄 지지체를 복수개 설치할 수 있으며, 그만큼 낚시줄 지지체 끼리의 설치피치를 짧게 할수 있으며, 낚시줄이 초리대의 내면에 접촉하는 기회를 적게 할 수 있으며, 낚시 줄의 슬라이드 저항이 경감한다.
제1a도는 초리대와 중간대를 제2상태로 설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b도는 초리대와 중간대를 신장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초리대와 중간대를 제1상태로 설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대응하는 초리대와 중간대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4도는 초리대를 연결구로 연결하고, 그 연결구에 낚시줄 지지체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5도는 연결구를 외부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6도는 연결구를 복수개 사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7도는 연결구에 위치 결정용의 돌출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 8도는 연결구에 물 빼기 구멍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 9도는 연결구로부터 낚시 줄 지지체를 지지하는 지지간을 연장형성한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 10도는 낚시 대 부분 끼리를 연결하여 그 사이에 낚시 줄 지지체를 끼워 넣은 종단측면도,
제 11도는 연결구로서 나선체를 사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 12도는 낚시 줄 지지체의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1C : 낚시 대 부분 6 : 낚시 줄 지지체
8: 연결구 a: 낚시 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 1a 도 및 제 1b동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리대(1), 제1중간대(2) 및 제2중간대(3), 이들 초리대(1) 및 제 1중간대(2), 제 2중간대(3)를 진출식(振出式)으로 장착하는 원대(4)를 배치하여 진출형 중통 낚시대를 구성한다. 원대(4)의 중간위치에 형성한 릴다리 장착부(4B)에 릴(7)을 부착하고, 이 릴(7)로부터 풀어진 낚시 줄(a)을 원대(4)의 외면에 형성한 긴 원형상의 낚시줄 도입구(4A)를 통하여 초리대(1) 및 제1중간대(2), 제2중간대(3)에 삽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중간대(2)(3)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중간대(2), 제 2중간대(3)에 있어서는 후단의 개구부(2A) 에 낚시줄(a)의 슬라이드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낚시줄(a)을 지지하는 낚시줄 지지체(6)으로서의 경질의 낚시줄 안내 링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서 후술하는 낚시줄 도입구(4A)로부터 제2중간대(3)로 들어가는 낚시줄(a)이 제2중간대(3)의 후단에 접촉하여 방향을 바꿀 때에 그 후단에 압접하여 슬라이드 저항이 커지는 점을 낚시줄 지지체(6)을 설치함에 의해 낚시줄(a)의 슬라이드저항을 저감한다.
원대(4)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도 내지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대(4)에 릴(7)로 부터의 낚시줄(a)을 도입하는 낚시줄 도입구(4A)와 릴(7)을 부착하는 릴다리 장착부(4B)를 설치하고, 후단으로부터 낚시줄 도입구(4A)까지의 간격을 제1,제2중간대(2)(3)의길이에 상당하는 간격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제 2중간대(2)(3)를 선단으로부터 낚시줄도입구(4A)의 사이에서 돌출함 없이 수납할 수 있다. 낚시줄 도입구(4A)로부터 릴다리 장착부(4B)까지의 간격은 선단으로부터 낚시줄 도입구(4A)까지의 간격이상의 길이로 설정하며, 이에 다라서낚시줄 도입구(4A)에서의 낚시줄(a)은 릴(7)에 권취될 때, 또는 릴(7)로부터 나온 경우에 양 베어링 릴이면 레벨 와인드 기구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거나 스피닝 릴이면 나선형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본국 실개소 50-89886 호 공보에 기재한 바와 같이 릴다리 장착부(4B)와 낚시줄 도입구(4A)를 근접상태로 설정하면 좌우로 흔들린 낚시줄(a)이 낚시 도입구(4A)의 좌우 연부에 압접하게 되며, 그곳에서의 낚시줄(a)의 슬라이드저항이 커진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릴다리 장착부 (4B)와 낚시줄 도입구(4A)의 간격을 제1,제2중간대(2)(3)의 길이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릴(7)에서의 좌우 흔들림 또는 나선형상의 직경이 동일하여도 간격이 커진 만큼 낚시줄 도입구(4A)에서의 좌우 흔들림은 작아지고 이에 따라서 낚시줄(a)이 낚시줄 도입구(4A)의 좌우연부에 접촉하는 압력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이곳에서의 낚시줄(a)의 슬라이드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릴(7)로부터 나온 낚시줄(1)에 대하여 그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낚시줄 도입구(4A)와 릴다리 장착부(4B)의 사이에 두 개의 낚시줄 가이드(9)(9)를 입설한다. 또한 낚시줄 도입구(4A)에 경질의 링형상 가이드(4a)를 설치하여 낚시 줄의 슬라이드 저항을 경감하는 구성을 채택해도 된다.
선단으로부터 낚시줄 도입구(4A)의 간격을 제1, 제2 중간대(2)(3)에 상당하는 길이로 하고, 아울러 낚시줄 도입구(4A)로부터 릴다리 장착부(4B)까지의 간격을 선단부터 낚시줄 도입구(4A)까지의 간격이상으로 설정하므로 선단으로부터 릴다리장착부(4B)까지의 간격이상으로 설정하므로 선단으로부터 릴다리 장착부(4B)까지가 길게 되며, 전체 낚시 대로서도 길게 되므로 다음과 같은 취급상의 이점이 있다.낚시대 전체 중에 낚시대의 직경이 큰 원대가 가장 길기 때문에 들어서 무거운 느낌이 경감되어, 바늘에 걸린 고기가 옆으로 움직일 때 낚시 대의 탄성력을 이용하면서 고기의 당김에 저항할 때 손잡이 측의 강성이 높은 원대가 길기 때문에 강성이 높고 튼튼한 부분을 길게 채택할 수 있으며, 고기의 당김에 의한 손잡이 측의 동요 등이 적고 그만큼 취급하기 쉬운 면이 있다.
다음으로 초리대(1), 제1,제2중간대(2)(3)의 후단개구부(1D)(2A)(3A)를 수납상태에서 낚시줄 도입구(4A)의 근방에 위치시키는 위치 결정수단(P)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중간대(3)의 선단에 나사부(3B)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나사부(3B)에 나합하는 캡 너트형상의 캡(11)을 설치하고, 이 캡(11)의 일단을 원대(4)의 선단에 당접 함에 의해 제 2중간대(3)의 후단 개구부(3A)를 낚시줄 도입구의 근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중간대(2)에 대하여는 제1중간대 (2)의 후단을 제2중간대(3)의 후단 개구부(3A)에 설치한 개구 용구(3C)에 끼우고, 제 1중간대(2)의 후단 개구부(2A)를 낚시줄 도입구(4A)의 근방에 위치시킨다. 이상과 같이 캡(11)과 원대(4)의 선단 및 제 1중간대(2)의 후단개구부(2A)와 제2중간대 (3)의 후단 개구부(3A)의 플랜지부를 위치결정수단(P)이라고 칭한다.
이상과 같이 초리대(1), 제1중간대(2), 제2중간대(3), 원대(4)에 있어서, 제1중간대(2)와 제2중간대(3)는 대략 동일 길이이며, 초리대(1)가 중간대(2)(3)보다 길며, 원대(4)를 초리대(1)보다 더 길게 한다. 이와 같이 초리대(1)를 중간대 (2)(3)보다도 길게 함으로써, 본래 슬라이드저항이 적은 초리대(1)쪽을 길게 하고,슬라이드 저항이 큰 중간대(2)(3)의 길이를 짧게 하였으므로 상대적으로는 종래에 비하여 전체적인 슬라이드 저항을 저감할수 있음과 동시에 초리대(1)를 길게 하였으므로 초리대(1)가 보다 많이 휘기 쉽게 되며, 이에 따라서 초리대(1)의 선단이 매달려 올려지는 낚시 줄과 대략 일치하는 상태로 되며, 낚시 줄과 초리대(1)의 내면과의 접촉정도가 작게 되고 슬라이드 저항이 작게 된다.
또한 제 2도 및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리대(1), 제 1중간대(2), 제2중간대(3)는 위치결정수단(P)에 의해 후단 개구부(1D)(2A)(3A)가 낚시줄 도입구 (4A)의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를 제 1상태라고 하며, 초리대(1)의 선단은 원대(4)의 선단보다 상당히 나와 있다. 이 상태에서 캡(11)을 떼어내고 초리대(1), 제 1중간대(2), 제 2중간대(3)를 제 1상태로부터 원대(4)의 안쪽으로 수납하도록 하여 낚시대로서의 전 길이를 콤팩트하게 하고 운반시의 편의를 꾀하도록 한다. 이 상태를 제2상태라고 한다. 이 제2상태에서는 초리대(1)의 선단에 설치된 톱 가이드 (5)만이 원대(4)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고, 초리대(1)를 톱 가이드(5)를 잡아서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초리대(1)를 인출하면 진출식이므로 제1중간대(2), 제2중간대(3)의 전단부 내면이 제1중간대(2)와 초리대(1)의 선단부 내면에 압접하여 제1중간대(2) 제2중간대(3)를 인출할 수 있다.
초리대(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리대(1)를 선단측 낚시대 부분(1A)과 후단측 낚시대 부분(1B)으로 분할하고, 이들 낚시대 부분 (1A)(1B)을 연결구(8)로 연결하도록 한다. 이 연결구(8)는 원통형상의 것으로 낚시대 부분(1A)(1B)의 내면에 접촉하여 양자를 연결한다. 연결고정 구조는 접착해도좋지만 끼우는 것만에 의한 고정구조를 채택해도 좋다.
이 연결구(8)의 전후단에 있어서는 경질 링 형상의 낚시줄 지지체(6)(6)를 장착하며, 선단측 낚시대부분(1A)의 전단과 후단측 낚시대 부분(1B)의 후단에 장착된 낚시줄 지지체(6)(6)와 함께 낚시줄(a)을 지지하여 그 낚시줄(a)을 낚시 대 부분에 내면으로부터 이간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낚시대부분(1A)(1B)의 연결부위근방에 있어서 낚시줄 지지체(6)를 설치할 수 있다.
[별도의 실시예]
(1)초리대(1)의 다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a)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 낚시대 부분(1A)과 후단측 낚시대부분 (1B)을 연결하는 연결구(8)를 그 낚시대부분(1A)(1B)에 외감한다. 이에 따라서 낚시대 부분(1A)(1B)의 내측에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낚시대 부분(1A)(1B)의 내부경로(b)내에 경로를 좁히는 것을 설치하는 일이 없으므로 좁은 경로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링 형상의 낚시줄 지지체(6)를 선단측 낚시대부분(1A)의 후단내면에 장착하고, 선단측 낚시대부분(1A)의 선단과 후단측 낚시대 부분(1B)의 후단에 장착하거나 링 형상 낚시줄 지지체(6)로 낚시줄(a)을 지지한다. 이 경우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낚시줄 지지체(6)의 부착 위치는 후단 측 낚시대 부분(1B)의 선단이라도 좋고, 또한 전후측 낚시대 부분(1A)(1B)의 양쪽에 있더라도 좋다.
(b)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리대(a)를 선단 측 낚시대 부분(1A), 후단측 낚시대부분(1B), 그리고 그 사이에 중간 낚시대 부분(1C)을 설치하여, 이들을 두 개의 연결구(8)(8)로 연결하는 구성을 채택하여도 좋다.
그리고 연결구(8)의 선단부에 링 형상의 낚시줄 지지체(6)를 설치하여 낚시줄(a)의 슬라이드 저항을 저감하는 구성을 채택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낚시줄 지지체(6)의 배치 갯수를 많게 할 수 있으며, 그만큼 낚시줄 지지체 (6)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어, 낚시줄(a)이 낚시대부분의 내면에 접촉하는 기회를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낚시줄 지지체(6)를 각 연결구(8)의 전후단에 설치하여도 좋다.
(c)제 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8)의 외주 면에서의 길이 방향 중점위치에 외향 돌출부(8a)를 설치하고 이 연결구(8)로 선단측 낚시대부분(1A)과 후단측 낚시대 부분(1B)을 연결하였을 때, 상기 돌출부(8a)가 선단측 낚시대부분(1A)과 후단측 낚시대부분(1B)사이의 간격 내에 들어가도록 한다. 이런 구성에 의해 상기 돌출부(8a)를 선단측 낚시대 부분(1A)과 연결구(8) 및 후단측 낚시대 부분(1B)과 연결구(8)의 겹침 부를 규정하는 위치 결정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d)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8)에 물 빼기구멍(8A)을 형성하고, 이 물빼기 구멍(8A)의 위치를 연결구(8)로 선단측 낚시대부분(1A)과 후단측 낚시대 부분(1B)을 연결했을 때, 상기 돌출부(8a)가 선단측 낚시 대부분(1A)와 후단 측 낚시 대부분(1B)사이의 간격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 연결구(8)내로 들어간 물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e)제 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줄 지지체(6)를 장착한 연결구(8)로 양 낚시대 부분(1A)(1B)를 연결함과 동시에 보조적으로 연결구(8)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간(10)을 연장형성하고 이 지지간(10)의 선단에 낚시줄 지지체(6)를 장착한 것을 부착하여 연결구(8)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도 낚시줄 지지체(6)를 설치할 수 있다. 게다가 지지간(10)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지지간 내면에도 낚시줄 지지체(6)를 부착할 필요는 없다.
(f)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8)를 이용하지 않고 연결하는 구성을 채택하여도 좋다. 즉 선단 측 낚시대부분(1A)의 후단과 후단측 낚시대부분(1B)의 선단을 서로 감합하는 구성으로서, 그 접점위치에 낚시줄 지지체(6)를 끼워 넣는 구성을 채택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결구(8)를 필요로 하지 않아 불필요한 연결구(8)만큰 부품수가 적어져 낚시대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낚시줄 지지체(6)의 부착 형태로는 양 낚시대부분(1A)(1B)으로 끼워 넣는 형태뿐만 아니라 낚시를 지지체(6)를 어느 하나의 낚시대 부분(1A)(1B)에 부착하는 구성을 채택하여도 좋다.
(g)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낚시대부분(1A)(1B)를 연결하는 연결구 (8)로서는 나선 체를 이용하여도 좋다. 즉 나선 체로되는 연결구(8)로서 맞춘 나사홈을 양 낚시대부분(1A)(1B)에 형성하고, 이 나선체로 되는 연결구(8)로서 양 낚시대 부분(1A)(1B)을 연결하는 구성을 채택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의해 나선체로 되는 연결구(8)가 낚시줄 지지체(6)의 기능도 발휘할 수 있어, 낚시줄 지지체(6)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게다가 나선체로 되는 연결구(8)가 양 낚시대부분(1A)(1B)의 간격부분에 위치하므로 물빼기 기능도 갖는다.
(2)낚시줄 지지체(6)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어도 좋다.
(a)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형상 본체의 일단면에 낚시줄의 삽통로(6a)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낚시줄 삽통로(6a)로부터 반대측의 타단면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개구하는 유도로(6b)를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면 낚시줄의 삽통 작업을 행할때에 테이퍼상의 유도로(6b)가 낚시줄 삽통경로(6a)로의 낚시 줄의 유도를 용이하게 한다.
(b)낚시줄 지지체(6)로서는 링 형상을 나타내는 경우라도 그 단면은 원이 아니고 타원이어도 좋다.
(c) 낚시줄 지지체(6)로서는 완전한 링형상이 아니어도 좋고, 링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어도 좋으며, 그리고 그 절결부를 크게 한 C형이어도 좋다.
(d) 낚시줄지지체(6)의 재질로서는 세라믹, 금속 등의 경질재를 주로 하지만 수지와 고무 등의 연질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의 낚시줄지지체(6)의 표면에 낚시줄의 미끄럼을 좋게 하는 코팅재를 부여하여도 좋다.
(3) 연결구(8)로서의 그 외의 구조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어도 좋다.
(a) 연결구(8)로서는 완전한 원통형상이 아니어도 좋으며, 원주방향의 일개소에 축심 방향을 따라서 절결부를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원통형상의 연결구 (8)에 다수의 물 빼기용 관통공을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b) 연결구(8)의 재질로서는 프리 프레그를 사용하여 그 프리프레그를 권취하여 통상의 부재를 형성하여도 좋고 또는 경량의 금속, 수지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리대를 분할하는 구성을 새롭게 채택함에 의해 종래와 마찬가지로 배치하기 쉬운 개구부근방위츠에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하면셔 초리대로서는 중간부에도 낚시줄 지지체를 배치할 수 있고, 낚시줄의 슬라이드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에 도면과의 참조를 편리하게 하기위하여 부호를 기재하지만 이 기입에 의해 본 발명의 첨부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복수 개의 낚시대 부분(1A)(1B)(1C)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중통용 초리대로서, 그 연결부위 근방의 내면에 낚시줄(a)을 지지하는 낚시줄 지지체(6)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통용 초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부분(1A)(1B)(1C)끼리를 연결함과 동시에 그 낚시대 부분(1A)(1B)(1C)의 연결부위근방의 내면에 상기 낚시줄 지지체(6)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통용 초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부분(1A)(1B)(1C)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8)의 내면에 상기 낚시줄 지지체(6)를 설치하는 것을 징으로 하는 중통용 초리대.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부분(1A)(1B)(1C)끼리를 연결하는 연결구(8)를 설치하고, 이 연결구(8)의 내면에서 그 전후단부에 상기 낚시줄 지지체(6)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통용 초리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지지체(6)를 장착한 상기 연결구(8)를 복수개소에 걸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통용 초리대.
KR1019950012632A 1994-07-01 1995-05-19 중통용초리대 KR100361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074394A JP3590095B2 (ja) 1994-07-01 1994-07-01 中通し用穂先竿
JP94-150743 1994-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1349B1 true KR100361349B1 (ko) 2003-01-29

Family

ID=1550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632A KR100361349B1 (ko) 1994-07-01 1995-05-19 중통용초리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90095B2 (ko)
KR (1) KR100361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981B2 (ja) * 1995-02-03 2001-02-1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釣竿
US6192615B1 (en) * 1998-01-28 2001-02-27 Daiwa Seiko, Inc. Intraline fishing rod
JP4623532B2 (ja) * 2000-10-25 2011-02-02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5997983B2 (ja) * 2012-08-31 2016-09-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US20170303521A1 (en) * 2016-04-20 2017-10-26 Jay Arbetter Fishing Rod Line Threading Device
JP6932027B2 (ja) * 2017-05-12 2021-09-08 株式会社シマノ 振り出し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90095B2 (ja) 2004-11-17
JPH089841A (ja) 1996-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1349B1 (ko) 중통용초리대
KR100361353B1 (ko) 중통낚시대
JP3892695B2 (ja) 釣竿
KR100356027B1 (ko) 줄관통형낚싯대용낚시줄도입가이드
KR20030084679A (ko) 낚싯대
US4893429A (en) Top guide for a fishing rod
KR20030047863A (ko)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갖춘 낚시대
US5598657A (en) Inter-line fishing rod
JP3675580B2 (ja) 釣り竿
JP2002354970A (ja) 釣 竿
KR100842166B1 (ko) 중통 낚싯대
JP2005117931A (ja) 釣竿
KR20240036062A (ko)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JP3346527B2 (ja) 中通し釣竿
JP4251625B2 (ja) 釣竿
JP3119345B2 (ja) 中通し釣竿
JP2002262723A (ja) トップガイド
JP4053400B2 (ja) アウターガイド竿
KR100211300B1 (ko) 중통 대
KR200328920Y1 (ko) 낚시대 케이스용 낚시 줄 걸이대
JP2004290202A (ja) 中通し用穂先竿
JP3765423B2 (ja) 中通し竿
JP2004105006A (ja) 中通し竿
JP4476512B2 (ja) 釣竿
KR200265180Y1 (ko) 낚싯대용 예비톱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