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353B1 - 중통낚시대 - Google Patents

중통낚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353B1
KR100361353B1 KR1019950013493A KR19950013493A KR100361353B1 KR 100361353 B1 KR100361353 B1 KR 100361353B1 KR 1019950013493 A KR1019950013493 A KR 1019950013493A KR 19950013493 A KR19950013493 A KR 19950013493A KR 100361353 B1 KR100361353 B1 KR 100361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line support
fishing
support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559A (ko
Inventor
우쯔노노부요시
도꾸다이사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960003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A01K87/005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comprising internal line gu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 줄이 낚시대의 내면 또는 낚시대의 내면에 묻은 물 등과의 접촉을 회피하여 원할 한 실의 풀림 및 당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낚시 줄을 지지하는 낚시 줄 지지부(6D)의 낚시 줄 지지피치(P2)를, 낚시 줄 지지부(6D)를 낚시 대 본체(1)내면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에서 유지하는 유지체(9)의 유지피치(P1)보다 작게 하고있다.

Description

중통 낚시대
본 발명은 중통(中通)낚시 대에 관한 것이다.
중통 낚시 대에 있어서는, 낚시대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경로에 실을 통과시켜 낚시 줄을 풀거나 감는 것을 행하는 것으로서, 경로 벽면과 낚시줄의 접촉에 의해 낚시줄의 움직임에 저항이 발생된다. 특히, 그 경로 내에 물 등이 묻어있는 경우 낚시줄이 물 등에 접촉하여 그 미끄럼저항은 크게되어 낚시 줄을 풀거나 감을 때의 조작성을 저하시키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낚시줄의 미끄럼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 낚시대 본체 내부의 경로에 나선상의 낚시줄 지지체를 장착하고, 그 나선상 낚시줄 지지체의 내면에서의 상향 부분을 낚시줄 지지부로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들면,일본국 특개평 1-304836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과 같이 나선 체를 낚시줄 지지체로 한 것에 있어서는 낚시 줄 지지체를 낚시 대의 내부경로에 끼워 넣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코일 지름(徑)이 정해지고, 이 코일 지름의 제약을 받아 소선 지름(素線徑)을 크게 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으며 결국은 소선 지름을 크게 채택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나선 체의 내면과 낚시 대 본체의 내면과의 간격을 크게 하는 것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나선의 내면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도, 인접하는 낚시 줄 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낚시줄은 긴장 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느슨해지거나 혹은 낚시줄의 권취시 등에 있어서도 낚시 대의 휨에 의해 내면에 근접하므로 낚시 대의 내면에 묻은 물 등에 접촉하는 일도 있어 낚시줄의 풀림을 속하게 행할 수 없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줄과 낚시 대 내면에 묻은 물 등과의 접촉을 극력 회피하여 낚시줄의 풀림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중통 낚시 대를 제공하는 점 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중통 낚시 대의 특징구성은 낚시 줄 지지체에 축심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낚시 줄을 지지하는 복수의 낚시 줄 지지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낚시 줄 지지부에 의한 낚시 줄지지 피치를 그 낚시줄 지지체가 낚시대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간(離間)된 상태에서 상기 낚시대 본체 내에서 유지되는 피치보다 작게하고 있는 점에 있으며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낚시줄 지지체를 낚시 대 본체 내면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낚시대 본체의 내면에서 유지하는 것에 의해 낚시줄을 지지하는 낚시줄 지지부 자체를 낚시 대 본체 내면으로부터 이간시킬 수가 있고, 그에 따라서 낚시줄 지지부로서 지지하는 낚시 줄을 낚시대 본체 내면으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낚시 줄과 낚시 대 본체의 내면에 묻은 물 등이 접촉할 기회를 극력 적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낚시 줄지지 피치를 유지 피치보다 작게 하고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낚시 줄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낚시 줄에 있어서도 느슨해지는 양을 억제하여 낚시 대 본체내면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용에 의해서 인접하는 낚시 줄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실에 대해서도 낚시 줄 지지피치를 유지 피치 보다 작게 한 구성에 의해서 물 등과의 접촉할 기회를 적게 할 수 있어 실의 풀림시 등의 미끄럼저항을 저감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1).청구 항 2에서의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에서의 발명의 목적과 동일하며, 이를 위해 채택된 구성은 낚시 줄 지지체에 축심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낚시 줄을 지지하는 복수의 낚시 줄 지지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낚시 줄 지지체의 외면을 낚시 대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그 낚시 줄 지지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유지체를 축심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낚시 줄 지지부의 낚시 줄지지 피치를 상기 유지체의 유지피치 보다 작게 하고있는 점에 있으며,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낚시 줄 지지체를 낚시 대 본체 내면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에서 유지체에 의해 유지하는 것에 의해 낚시 줄 지지부를 낚시 대 본체 내면으로 부터 이간시키고 그에 따라 낚시 줄 지지부로서 지지하는 낚시 줄을 낚시대 본체 내면으로 부터 이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낚시줄을 낚시 대 본체의 내면에 묻은 물 등과의 접촉 할 기회를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낚시 줄 지지피치를 유지피치보다 작게하고 있으므로 인접하는 낚시 줄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낚시줄에 있어서도 느슨해지는 양을 억제하여 낚시 대 본체 내면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서 인접하는 낚시 줄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실에 대해서도 낚시 줄 지지부와 유지체의 설치 피치에 대해 고안해 내는 것에 의해서 물 등과의 접촉할 기회를 회피할 수 있어 낚시줄의 풀림시 등의 미끄럼저항을 저감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2).청구항3에서의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2의 발명의 목적과 동일하며, 이를 위해 채택된 구성은 낚시대내 공간에 낚시대 길이방향으로 긴 낚시 줄 지지체를 위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낚시 줄 지지체를 낚시줄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낚시 줄 지지부와 인접하는 낚시 줄 지지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하고, 낚시 줄 지지부 중의 일부에 작용하여 낚시 줄 지지체를 낚시대 내면과의 간격을 설정하는 복수개의 유지체를 설치하고, 상기 인접하는 유지체의 간격을 인접하는 유지체 사이에 위치하는 인접 낚시 줄 지지부들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는 점이며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복수개의 유지체가 낚시 줄 지지부의 일부에 작용하여 낚시 줄 지지체를 유지하므로 낚시 줄 지지체는 낚시대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되며, 낚시 줄 지지부에서 지지되는 낚시 줄도 이간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유지체의 간격을 인접하는 낚시 줄 지지부의 간격보다 크게 하므로 인접하는 낚시 줄 지지부의 간격보다 느슨해진 낚시 줄의 느슨한 상태를 적게 할 수 있으며 그만큼 낚시 줄과 낚시대 내면의 물 등과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어 낚시 줄의 풀림 등을 원할 하게 행할 수 있다.
(3).청구항4에서의 발명의 목적은, 내부의 지름(徑)으로서 대경 화할 수 없는 초리에 있어서도 유지기능을 발휘시키는 유지 체의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으며, 이를 위해 채택된 구성은 청구항1,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지 체가 낚시대 본체의 대경 측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점이며,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끼워 넣기 쉬운 대경측 부분에 유지체를 끼워 넣는 것에 의해서 낚시 줄지지체를 낚시대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낚시줄의 미끄럼 저항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유지체의 끼워넣는 일도 용이하게 행해지므로 조립도 쉽게 행해진다.
(4).청구항 5에서의 발명은 청구항 1, 2, 3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가 낚시대 본체의 대경 측 부분과 소경 측 부분의 적어도 2개소에 위치하고 있는 점에 있으며, 그 목적, 작용 효과는 청구항 4와 기본적으로 동일 하지만, 특히 2개소 이상에서 지지하는 구조를 채택하므로 낚시 줄 지지체를 적정 스판(span)으로 지지할 수 있어 초리 대에 있어서도 후단 측 만이 아닌 선단 측에 있어서도 낚시 줄지지 체의 끼워 넣는 일이 가능한 비교적 대경(大徑) 대의 초리 구조에 채용할 수 있다.
(5)청구항 6에서의 발명의 목적은 낚시 줄 지지체로서 유지체로 지지하기 쉬운 것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이를 위해 채택된 구성은 청구항 1, 2, 3, 4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낚시 줄 지지체가 나선체인 점에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나선체이므로 낚시 줄 지지부가 연속된 일련의 나선체내에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복수의 낚시 줄 지지부를 일체로 하여 취급할 수가 있고 유지체로 지지하는데 대해서도 용이하다.
또, 낚시줄 지지체를 낚시대 본체 내에 끼워넣는 데 도 복수의 낚시줄 지지부가 일련의 것으로서 일체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6).청구항 7에서의 발명의 목적은 보다 초리 대에 끼워 넣기에 유리한 낚시줄 지지체를 구성하는 점에 있다. 이를 위해 채택된 구성은 청구항 1, 2, 3, 4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낚시 줄 지지체가 나선체와 그 나선체에 끼운 두께가 얇은 박육(薄肉)통체로 구성하고 있는 점이며,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나선 체를 박육 통체로 강화하는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나선체로서 소경(小徑)으로 강도가 너무 높지 않은 것으로 형성하여도 소경인 초리 대의 내부에도 끼워 넣기가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가 있는 동시에 나선 체만으로는 소경이므로 강도 면에서는 약하나 그것을 통체로 강화하면서 그 통체 자체에 대해서는 두께가 얇은 박육(薄肉)구조로 하여 유연성의 저하 및 중량의 증가 등을 방지하고 있다.
(7).청구항 8에서의 발명의 목적은 낚시 줄 지지체로서 끼워 넣는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이를 위해 채택된 구성은 청구항 1, 2, 3, 4, 5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낚시 줄 지지체가 링 형상의 낚시줄 지지부와 그 낚시줄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부로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낚시줄 지지부가 링 형상으로 독립된 것이면서 연결 로드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낚시줄 지지부를 낚시대 본체 내에 끼워 넣을 때에 일체로 취급할 수가 있어 작업성이 양호한 동시에 낚시 줄 지지부의 설치위치의 위치결정 및 낚시줄 지지 피치의 설정을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다.
(8).청구항 9에서의 발명의 목적은 낚시대 내에 함께 유입된 물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낚시대 밖으로 배출하기 쉬운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이를 위해 채택된 구성은 청구항 1, 2, 3, 4, 5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에 물을 통과시키는 전후 관통공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낚시대내에 함께 유입된 물은 전후 관통공을 통해 낚시대의 선단 측 등의 배출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할 수가 있어 낚시대 내에 잔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있다.
(9).청구항 10에서의 발명의 목적은, 초리대 구조에 적합한 지지체의 유지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으며, 이를 위해 채택된 구성은 낚시줄 지지체의 전단부를 낚시대 본체의 내면으로 또한 상기 낚시줄 지지체의 후단부를 유지체로 각각 유지하여 낚시줄 지지체의 전단부 보다 후방 부분을 상기 낚시대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간시키고 있는 점에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유지 체를 끼워넣는 것이 곤란한 전단부에 있어서는 낚시 대의 내면을 유지체로 겸용하는 동시에 비교적 전단 부 보다 대경의 후단 부에 있어서는 유지체를 장착하여 낚시줄 지지체를 낚시대 본체내면으로부터 이간시켜 실과 낚시대 본체 내면과의 접촉을 저지하도록 하고있다.
제1도는 낚시 줄 지지체, 유지체, 내장체를 장착하기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낚시줄 지지체와 유지체의 낚시대 내부로의 끼워 넣은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3도는 내장 체의 장착상태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한 낚시 줄 지지체와 유지 체의 다른 실시구조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제5도는 유지 체의 종단정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구조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7도는 제5도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구조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8도는 제5도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구조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9도는 낚시줄 지지체의 다른 실시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0도는 낚시줄 지지체의 다른 실시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낚시줄 지지체의 다른 실시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2도는 낚시줄 지지체의 다른 실시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3도는 낚시줄 지지체의 다른 실시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4도는 낚시줄 지지체의 다른 실시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5도는 낚시줄 지지체와 유지체를 연결 로드부로서 일체화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16도는 낚시줄 지지체의 다른 실시구조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17도는 낚시줄 지지체의 다른 실시구조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18도는 제2도에서의 낚시줄 지지체를 나선체와 열 수축 튜브를 일체화한 것으로 변경한 것을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19도는 낚시 줄 지지체를 낚시 대 내면으로부터 이간하기 위해 낚시대 내면을 팽출시켜 낚시 줄 지지체를 지지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낚시대 본체 6 : 낚시 줄 지지체
6A : 나선체 6B : 박육(薄肉)통체
6D : 낚시 줄 지지부 6E : 연결부
9 : 유지체 P1: 유지피치
P2: 낚시줄 지지피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낚시대 본체로서 루어(Lure) 로드(1)를 사용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어 로드(1)를 초리 측에 위치하는 제1대부(2)와, 제1대부(2)보다 원대 측에 위치하는 제2대부(3)를 병계(竝繼)식으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제2대부(3)에 있어서는 전단 부에 낚시줄 도입부(3D)로서 형성된 폭이 넓은 부분에 릴(4)로 부터의 낚시 줄을 삽입하는 낚시줄 도입공(3A)과 그 후방에 릴 시트(3B)및 손잡이부(3C)를 가지며, 제1대부(2)에 있어서는 낚시 줄 도입공(3A)을 통해 선단 개구(2A)로 통하는 낚시줄 삽입용의 내부경로(b)를 구비하며, 이 내부 경로(b)에 제1대부(2)의 후단개구(2B)를 통해 낚시줄 삽입 경로(a)를 형성하는 내장체(5)를 끼워 넣도록 하고있다.
다음에 폭이넓게 형성된 낚시줄 도입부(3D)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낚시줄 도입부(3D)는 제1대부(2)의 후단에 대해 병계 식으로 연결해제 가능하며, 제1대부(2)의 후단보다도 폭이 넓은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낚시 줄 도입부(3D)의 전후 중간 위치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장공 형의 낚시줄 도입공(3A)을 형성함과 동시에 낚시줄 도입부(3D)의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낚시줄 도입공(3A)보다 전방위치에 상기 내부경로(b)로 통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로의 후단은 낚시줄 도입공(3A)의 전단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잠입되어 낚시줄 도입공(3A)의 바깥쪽을 통해 시인(視認)할 수 있다. 이 내부경로(b)의 후단과 낚시줄 도입공(3A)과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낚시줄 도입공(3A)을 통해 도입된 낚시 줄을 내부경로(b)의 후단(낚시줄 삽입용 내부공간)에 안내하는 연통공간(C)으로 한다.
내외 관통공(3E)은 낚시줄 도입부(3D)의 하면에 형성되어 낚시줄 도입공(3A)과 대략 180°대칭 위치에 있으며, 그 형상은 전후방향으로 뻗은 장공형이며, 전후 길이 및 폭 모두 낚시줄 도입공(3A)보다 작다. 그리고 낚시줄 삽입경로(a)에 잠입된 이물질 등은 낚시줄에 부착되어 연통공간(C)까지 운반되어 그 연통공간(C)으로 낙하 했을 때에는 내외 관통공(3E)을 통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릴(4)에 감기는 낚시 줄에 부착되는 이 물질 등을 적게 한다.
내장체(5)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내장체(5)는 제1대부(2)의 후반부(後半部)에 설치되며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택한다. 즉, 낚시 줄 지지체(6)를 갖춘 통형부(5A)와, 이 통형부(5A)보다 편지지(片支持)대 형으로 후방을 향해 연장된 연결 로드부(5B)로 되는 것을 제1유니트로하고, 복수의 유니트를 도시한 바와같이, 접착연결하여 일체의 낚시대 본체에 상당하는 길이를 형성한다. 통형부(5A)에 있어서는, 중심위치에 낚시줄 지지체(6)를 삽입하는 관통공(5a)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관통공(5a)의 축심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편위(偏位)시킨 위치로부터 상기한 연결 로드부(5B)가 연장된다.
이 연결로드부(5B)가 위쪽에 있으므로, 낚시 대 내에 유입되어진 물이 이 연결 로드부(5B)의 영향을 받지 않고 흐를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 통형부(5A)에 전후 관통공(5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낚시대 내에 유입되어진 물을 물 빼기용 내외 관통 공(3E)까지 안내하고, 이 내외 관통공(3E)을 통해 외부로 배출 할 수 있다. 이 연결 로드부(5B)는 통형 벽의 대부분을 제거 한 것으로 대략 초승달의 단면을 나타낸다. 내장체(5)는 강화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지만, 고무 등도 사용가능하며 낚시대 본체(1)에 비해서 가요 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열 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이론 ABS 등이 사용되며 발수 성이 높은 것이면 특히 좋다.
한편, 통형부(5A)에 수납되는 낚시 줄 지지체(6)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형체의 전면에 낚시줄 삽입용 작은 구멍(6a)을 형성하고, 이 낚시 줄 삽입용 작은 구멍(6a)의 개구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점점 넓어지는 테이퍼형의 낚시줄유도면(6b)을 설치하여 링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낙시줄 지지체(6)의 재질로서는 세라믹, 서멧트(소결재)등의 경질재가 사용되나, 수지 등의 가요성 재료이어도 괜찮다. 이 낚시줄 지지체(6)를 제 3도 및 제 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형부(5A)의 관통공(5a)내에 설치하고, 그리고 전방에 위치하는 연결로드부(5B)의 후단을 관통공(5a)내에 끼워넣어 낚시줄 지지체(6)에 닿게하여 낚시 줄 지지체(6)의 위치를 결정한 상태에서 연결 로드부(5B)와 통형부(5A)를 접착고정하고, 내장체(5)에 낚시줄 지지체(6)를 조립하면서 내장체(5)자체를 짜 맞춘다. 이와 같이 복수의 유니트가 연결되어 내장체(5)가 형성되면 낚시줄 삽입용 작은구멍(6a)및 낚시줄 유도면(6b) 그리고 연결 로드부(5B)의 축심에 상당하는 위치에 낚시줄 삽입경로(a)가 형성된다.
각 유니트의 연결고정 구조로서는 끼워 넣어 고정하거나 볼트 고정 등 각종고정 구조가 사용 가능하다.
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대부(2)의 전단에는 톱 가이드(7)를 장착하고, 이 톱가이드(7)에는 선단에 낚시를 안내용 링(8)을 장착하는 동시에 이 링(8)의 후방에 물 빼기구멍(7A)(7A)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제1대부(2)에서의 초리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내장체(5)의 전방 측에는 낚시줄 지지체(6)와 이 낚시줄 지지체(6)를 유지하는 유지체(9)를 내장하고 있다.
낚시줄 지지체(6)는 낚시 대의 축 심에 연하는 길이가 긴 나선 체(6A)이며, 이 나선체(6A)의 하측 내면을 실질적으로 실을 지지하는 낚시줄 지지부(6a)로한다.이것에 의해서 낚시 줄 지지부(6a)의 피치로 배치 할 수 있다.
한편, 나선체(6A)의 축 심을 따라 복수의 유지체(9)를 설치하고, 이 복수의 유지체(9)로 낚시줄 지지체(6)를 유지(지시)하도록 하고 있다. 유지체(9)는 원통형이며, 중심위치의 관통공(9A)에서 낚시 줄 지지체(6)를 유지한다. 이들 유지체(9)는 소정의 피치(P1)로 배치되며, 낚시줄 지지부(6a)의 낚시줄 지지피치(P2)보다 큰 피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낚시 줄 지지피치(P2)를 좁게 하여 낚시줄이 인접하는 낚시줄 지지부(6a)의 사이를 조밀하게 하여 낚시 대의 내면에 접촉하려 하는 물과의 접촉을 회피시킬 수 있다. 유지체(9)와 낚시줄 지지체(6)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별도의 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
다음에 제1대부(2)에서의 초리의 다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내장체(5)의 전방 측에는 낚시줄 지지체(6)와 이 낚시줄 지지체(6)를 유지하는 유지체(9)를 내장하고 있다. 낚시줄 지지체(6)는 낚시대의 축을 따라 길이가 긴 형상의 나선체(6A)와 이 나선체(6A)에 끼워져서 이 나선체(6A)를 체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박육 통체(6B)로 되며, 나선체(6A)의 소선 지름을 소경으로 하여 비교적 유연성이 높은 나선체(6A)를 채택하며, 한편 박육 통체(6B)로서는 열 수축 튜브를 이용하여 나선체(6A)에 밀착되게 끼워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초리 대가 작은 직경인 것에 대하여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한 나선체(6A)의 보형성(保形性)을 높이고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나선체(6A)는 전 길이에 걸쳐 일정한 외경을 갖는 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두께가 얇은 박육통체(6B)의 후단에 개구용구(6C)를 부착함과 동시에 이 개구 용구(6C)에 끼워져서 낚시줄 지지체(6)를 유지하는 통형의 유지체(9)를 제1대부(2)내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낚시줄 지지체(6)의 전단은 테이퍼 형으로 선단이 좁아지게 되는 제1대부(2)의 내면에 직접 접촉하여 그 내면에서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낚시줄 지지체(6)의 전단으로부터 후방부분에 있어서는 제1대부(2)의 내주 면으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다른 실시예)
A. 본 발명의 구성에서의 유지체(9)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도 괜찮다.
(1)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한 원통형의 것이어도 괜찮다.
(2)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것을 기본으로 하여 그 외주 면으로부터 2개의 결합부(9a)(9a)를 돌설하고 있다. 이 결합부(9a)(9a)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대부(2)의 내면에 결합부(9a)(9a)를 결합하는 결합 요홈을 제1대부(2)의 축심 방향을 따라 설치하고, 유지체(9)를 제1대부(2)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소정위치에서 결합부(9a)(9a)의 외단과 결합 요홈의 저면이 끼워 맞추어져서 유지체를 위치고정 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
(3)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결합부(9a)를 요입부(9b)로 형성 하여도 괜찮다. 그렇게 하면 요입부(9b)로서 물을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4)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형의 본체 축심 위치에 낚시줄 지체(6)를삽입하기 위해 삽통공(9d)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삽통공(9d)의 한쪽 개구부에 유도경사면(9e)을 설치하고 있다.
B.본 발명의 구성에서의 낚시 줄 지지체(6)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도 괜찮다.
(1)낚시줄 지지부(6D)를 다음과 같이 하여도 괜찮다.
①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형의 낚시줄 지지부(6D)를 복수 개 배치하여 그들 낚시줄 지지부(6D)를 연결 로드부(6E)로 연결하여 일체화한 것이 괜찮다. 도면중 부호 6A는 낚시줄 지지부(6D)를 연결 로드부(6E)로 일체화 한 것을, 열 수축 튜브 등의 두께가 얇은 박육 통체(6B)로 에워싸서 구성한 낚시줄 지지체(6)이다.
②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링형의 낚시 줄 지지부(6D)와 연결 로드부(6E)를, 한 개의 봉형 소재로 구성한 것으로 하여도 괜찮다.
③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구성에 있어서 낚시줄 지지부(6D)를 복수로 감아 링 형상으로 구성하여도 괜찮다.
④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줄 지지부(6D)의 링 형상으로서는 반드시 폐 루프(閉 loop)를 형성할 필요는 없고, 연결 로드부(6E)의 연결위치에서 열리는 개 루프(開 loop)형으로 하여도 괜찮다.
(2)연결 로드부(6E)로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괜찮다.
①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3개소에 배치하여도 괜찮다.
②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2개소에 배치하여도 괜찮다.
(3)낚시줄 지지체(6)의 전체구성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하여도 괜찮다.
①제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벨로우즈(bellows)형으로 내부에 요철면을 가지며 철면(凸面)을 낚시줄 지지부(6D)로한 것으로도 괜찮다.
②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형 본체의 둘레면에 다수의 작은 구멍을 설치한 것으로도 괜찮다. 통형의 본체로서 펀칭메탈(Punching metal)을 이용한 것으로도 괜찮다.
③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지 섬유 등을 그물형으로 짜 엮은 것을 사용하여도 괜찮다.
C. 그외 다른 실시예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1)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 줄 지지체(6)를 유지하는 지지체(9)를 제1대부(2)의 대경 측 부분과 소경 측 부분의 2개소를 포함하는 복수개소에 배치하고, 낚시줄 지지체(6)를 유지하는 구성을 채택하여도 괜찮다. 이 경우에 낚시줄 지지체로서는 나선체(6A)를 열 수축 튜브(6B)로 일체화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한 각 낚시줄 지지체(6)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 줄 지지체(6)로서는 상기한 나선체 단본(單本)의 것으로도 괜찮다.
(2)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소경 링체와 대경 링체를 동일 축심 상으로 인접한 상태에서 교대로 배치하여 이들 링체를 연결로드로 연결하여 일체화하여도 괜찮다. 이것에 있어서는 소경 링체는 내부에 낚시줄을 삽입시키는 낚시줄 지지부(6D)를 형성하고 대경 링체는 제 1대부(2)의 내주 면에 접촉하는 유지체(9)를 형성한다.
(3)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상의 낚시줄 지지체(6)를 낚시 대 내면으로부터 이간시켜 지지하기 위해 낚시 대의 후단 측에 있어서는 유지체(9)로 지지함과 동시에 낚시 대의 전단 측에 있어서는 낚시 대의 내면 일부를 내부를 향해 팽창시킨 팽출부(2a)를 형성하여 이 팽출부(2a)로 받치도록 한다.
(4)상기한 모든 실시예는 초리대 이외의 중간대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서 인접하는 낚시 줄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낚시줄에 대해서도 낚시줄 지지피치를 유지피치 보다 작게 한 구성에 의해, 물 등과의 접촉할 기회를 적게 하여, 낚시줄의 풀림시 등의 미끄럼저항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특허청구의 범위에 한에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부호를 기재하였으나, 이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은 첨부도면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0)

  1. 낚시 줄 지지체(6)에 축심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낚시 줄을 지지하는 복수의 낚시 줄 지지부(6D)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낚시줄 지지부(6D)에 의한 낚시 줄 지지피치(P2)를, 그 낚시 줄 지지체(6)가 낚시대 본체(1)의 내면으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상기 낚시대 본체(1)내에서 유지되는 유지피치(P1)보다 작게 하고 있는 중통 낚시 대.
  2. 낚시 줄 지지체(6)에 축심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낚시 줄을 지지하는 복수의 낚시 줄 지지부(6D)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낚시 줄 지지체(6)의 외면을 낚시대 본체(1)의 내면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에서 그 낚시줄 지지체(6)를 지지하는 복수의 유지체(9)를 축심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낚시줄 지지부(6D)의 낚시줄 지지피치(P2)를 상기 유지체(9)의 유지피치(P1)보다 작게 하고 있는 중통 낚시 대.
  3. 낚시 대 내부 공간에 낚시대 길이방향으로 긴 낚시줄 지지체(6)를 위치 시킴과 동시에, 낚시 줄 지지체(6)를 낚시 줄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낚시줄 지지부(6D)와 인접하는 낚시 줄 지지부(6D)들을 연결하는 연결부(6E)로 형성하고, 상기 낚시 줄 지지부(6D)중의 일부에 작용하여 낚시 줄 지지체(6)와 낚시대 내면과의 간격을설정하는 복수개의 유지체(9)를 설치하고, 상기 인접하는 유지체(9)의 간격을 상기 인접하는 유지체(9)사이에 위치하는 인접 낚시 줄 지지부들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는 중통 낚시 대.
  4.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9)가, 상기 낚시대 본체(1)의 대경측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중통 낚시 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9)가 상기 대체(1)의 대경 측 부분과 소경측 부분의 적어도 2개소에 위치하고 있는 중통 낚시 대.
  6. 제1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지지체(6)가 나선체인 중통 낚시대.
  7. 제1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지지체(6)가 나선 체(6A)와 그 나선 체(6A)에 끼워진 박육 통체(6B)로 구성하고 있는 중통 낚시대
  8. 제 1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 줄 지지체(6)가 링형의 낚시 줄 지지부(6D)와 그 낚시 줄 지지부(6D)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부(6E)로 구성하고 있는 중통 낚시대.
  9. 제 1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9)에 물을 통과시키는 전후 관통공(9b)을 형성하고 있는 중통 낚시대.
  10. 낚시줄 지지체(6)의 전단부를 낚시대 본체(1)의 내면에서, 상기 낚시줄 실지지체(6)의 후 단부를 유지체(9)로 각각 유지하여 상기 낚시 줄 지지체(6)의 전단 부보다 후방부분을 상기 낚시대 본체(1)의 내면으로부터 이간시키고 있는 중통 낚시대.
KR1019950013493A 1994-07-01 1995-05-26 중통낚시대 KR100361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074294A JP3590094B2 (ja) 1994-07-01 1994-07-01 中通し竿
JP94-150742 1994-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559A KR960003559A (ko) 1996-02-23
KR100361353B1 true KR100361353B1 (ko) 2003-01-29

Family

ID=1550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493A KR100361353B1 (ko) 1994-07-01 1995-05-26 중통낚시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5704157A (ko)
JP (1) JP3590094B2 (ko)
KR (1) KR100361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9103A (en) * 1993-09-03 1999-11-09 Daiwa Seiko, Inc. Fishing rod with pre-inserted fishing line guide mem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351918U (en) * 1994-02-25 1999-02-01 Shimano Kk Hollow fishing rod and its insert
TW315598U (en) * 1994-03-25 1997-09-11 Shimano Kk Hollow fishing rod having fishing thread passing there through
EP0885562B1 (en) * 1995-09-07 2003-08-20 Daiwa Seiko Inc. Inter-line fishing rod
US6192615B1 (en) * 1998-01-28 2001-02-27 Daiwa Seiko, Inc. Intraline fishing rod
JP4514348B2 (ja) * 2001-03-06 2010-07-28 株式会社シマノ トップガイド
US7007425B2 (en) * 2001-10-18 2006-03-07 Daniel E. Morken Tangle free fishing pole
US6931781B2 (en) * 2003-06-25 2005-08-23 Eagle Mountain Brokers, Inc. Fishing rod
US6971203B1 (en) * 2003-07-01 2005-12-06 Foor Darryl F Spring loaded fishing rod
US7089700B2 (en) * 2004-02-26 2006-08-15 David Craig Timbes Shock suppression system for a fishing rod
US7533484B2 (en) * 2004-06-21 2009-05-19 Eagle Mountain Brokers, Inc. Fishing pole, anti-wrap line guide for a fishing pole, and fishing rod
JP5047870B2 (ja) * 2008-04-17 2012-10-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スタ管理システム、マスタ管理方法、およびマスタ管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4646A (en) * 1942-12-10 1943-11-16 Russell C Price Guideless jointed cane fishing pole
US2777239A (en) * 1954-07-01 1957-01-15 Maurice E Cushman Fishing rods
FR1192924A (fr) * 1957-01-28 1959-10-29 Cannes à pêche à longueur réglable, à emmanchement cylindrique et à rattrapagede jeu automatique
FR1374960A (fr) * 1961-08-03 1964-10-16 Canne à pêche
FR1385014A (fr) * 1964-01-24 1965-01-08 Guide-fil de pêche
FR1541807A (fr) * 1967-09-01 1968-10-11 Perfectionnements aux cannes à pêche à parcours de fil intérieur
FR2080174A5 (en) * 1970-02-25 1971-11-12 Carabasse Andre Lightweight fishing rod - with telescopic sections of wound reinforce or polyolefin tapes lined with aluminium
US3862509A (en) * 1973-05-30 1975-01-28 Jr John W Petersen Eyeless fishing pole
US4212126A (en) * 1978-09-19 1980-07-15 Barnett David L Fishing rod
DE3246801A1 (de) * 1982-12-17 1984-06-20 Eduard Schrankler Schnurinnenfuehrung bei teleskopangelruten
JPH078194B2 (ja) * 1988-06-02 1995-02-0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竿用釣糸案内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666721B1 (fr) * 1990-09-17 1994-05-06 Jacques Dupuy Guide fil demontable et autobloquant pour canne a peche telescopique a brins tronco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34005A (en) 1999-08-10
KR960003559A (ko) 1996-02-23
JPH089840A (ja) 1996-01-16
JP3590094B2 (ja) 2004-11-17
US5704157A (en) 1998-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1353B1 (ko) 중통낚시대
US20020133170A1 (en) Medical retrieval instrument
US6266913B1 (en) Intra-line fishing rod with fishing line guide members
JP3027318B2 (ja) 中通し釣竿
US5419075A (en) Fishing line guide
KR100361349B1 (ko) 중통용초리대
JP3765423B2 (ja) 中通し竿
US5283973A (en) Fishing line guide
KR20030084679A (ko) 낚싯대
JPH07274775A (ja) 中通し竿
JP3526083B2 (ja) 中通し竿
EP0673602B1 (en) Fishing rod and guide element for same
JP3171334B2 (ja) 中通し釣竿
KR100842166B1 (ko) 중통 낚싯대
JP4040771B2 (ja) 釣竿
JP2002335818A (ja) 中通し竿
JPH11103722A (ja) 中通し竿
JPH08308440A (ja) 中通し釣竿
KR200176842Y1 (ko) 릴낚시대
JP2835486B2 (ja) 中通し構造
JP2002171869A (ja) 中通し竿
CN114946787A (zh) 钓竿头保护器及包括钓竿头保护器的钓竿
JP2004173562A (ja) 釣竿
JP3657349B2 (ja) 口栓付き中通し竿
JPH1052194A (ja) 釣り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