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501A - 초릿대 잡이장대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싯대 - Google Patents

초릿대 잡이장대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501A
KR20230029501A KR1020220063454A KR20220063454A KR20230029501A KR 20230029501 A KR20230029501 A KR 20230029501A KR 1020220063454 A KR1020220063454 A KR 1020220063454A KR 20220063454 A KR20220063454 A KR 20220063454A KR 20230029501 A KR20230029501 A KR 20230029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layer
rod
diamet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키 미야마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3002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낚시의 종류에 적합한 초릿대를 구비할 수 있는 초릿대 잡이장대,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싯대를 제공한다.
[수단] 초릿대가 접속되는 초릿대 잡이장대(3)이고,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확경(擴徑)하고, 외주면(外周面)에 설치된 제1 테이퍼부(12)와,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축경(縮徑)하고, 내주면(內周面)에 설치된 제2 테이퍼부(20)를 가지고 있는 초릿대 잡이부(10)를 구비하고, 초릿대 잡이부(10)는, 외주면에 제1 테이퍼부(12)가 설치된 제1층(31)과, 제1층(31)의 경(徑)방향 내측에 설치된 제2층(32)과, 내주면에 제2 테이퍼부(20)가 설치된 제3층(33)을 가진다.

Description

초릿대 잡이장대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싯대{TOP HOLDING ROD AND FISHING RO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초릿대가 접속되는 초릿대 잡이장대(허리 장대 또는 몸통 장대)와, 그것을 구비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중실상(中實狀)의 초릿대를 구비한 낚싯대가 기재되어 있다. 초릿대가 중실상인 경우, 초릿대가 중공상(中空狀)인 경우에 비하여, 부드럽고, 초리가 유연하게 구부러진다고 하는 특성이 있다. 그 때문에, 섬세한 낚시에는 적합하지만, 반대로, 초리에 반발력이 요구되는 낚시에는 적합하지 않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5701734호
본 발명은, 낚시의 종류에 적합한 초릿대를 접속할 수 있는 초릿대 잡이장대,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초릿대 잡이장대는, 초릿대가 접속되는 초릿대 잡이장대에 있어서,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확경(擴徑)하고, 외주면(外周面)에 설치된 제1 테이퍼부와,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축경(縮徑)하고, 내주면(內周面)에 설치된 제2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는 초릿대 잡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초릿대 잡이부에 초릿대를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공상의 초릿대를 초릿대 잡이부의 제1 테이퍼부에 접속할 수 있다. 중공상의 초릿대는, 튜블러(tubular) 초리라고도 칭하여진다. 이 튜블러 초리를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초리에 팽팽하게 땅김이 생겨, 낚싯대가 몸통휨새가 되고, 초리에 큰 반발력이 요구되는 낚시, 예를 들어 라이트 지깅(light jigging) 등의 낚시에 적합한 낚싯대가 된다. 한편, 예를 들어, 중실상의 초릿대를 초릿대 잡이부의 제2 테이퍼부에 접속할 수 있다. 중실상의 초릿대는, 솔리드 초리라고도 칭하여진다. 이 솔리드 초리를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초리에 유연함을 얻을 수 있어, 낚싯대가 초리휨새가 되고, 초리에 섬세함이 요구되는 낚시, 예를 들어 타이라바나 메탈슷테, 팁 런 에깅(tip run eging) 등의 낚시에 적합한 낚싯대가 된다. 이와 같이, 낚시의 종류에 따른 초릿대를 접속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릿대 잡이부는, 외주면에 제1 테이퍼부가 설치된 제1층과, 제1층의 경(徑)방향 내측에 설치된 제2층을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층과는 다른 층인 제1층에 제1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초릿대 잡이부의 외주면에 제1 테이퍼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층에 의하여 초릿대 잡이장대의 휨 강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층은, 제2층보다도 축 방향을 따른 휨 강성이 작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층에 의하여 초릿대 잡이장대의 휨 강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초릿대 잡이장대에 접속된 초릿대가 구부러질 때에, 제1층에 의하여 초릿대 잡이부의 갈라짐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층은, 둘레 방향을 따른 제1 강화 섬유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초릿대 잡이장대에 접속된 초릿대가 구부러질 때에, 초릿대 잡이부의 갈라짐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층은, 축 방향을 따른 제2 강화 섬유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층에 의하여 초릿대 잡이장대의 휨 강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강화 섬유 및 제2 강화 섬유의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은, 탄소 장섬유(長纖維)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초릿대 잡이장대를 용이하게 경량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릿대 잡이부는, 내주면에 제2 테이퍼부가 설치된 제3층을, 더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3층에 의하여 제2 테이퍼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층의 장대 손잡이 방향의 단부(端部)는, 제3층의 장대 손잡이 방향의 단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초릿대 잡이장대에 접속된 초릿대가 구부러졌을 때에, 초릿대 잡이부에 생기는 응력을 축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초릿대 잡이부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을 방지할 수 있고, 초릿대 잡이장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테이퍼부에 초릿대가 접속되었을 때의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층은, 제3 강화 섬유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초릿대 잡이부의 내주면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제2 테이퍼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강화 섬유는, 일 방향을 따른 제1 유리 섬유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테이퍼부에 초릿대가 접속되었을 때에, 초릿대로부터 초릿대 잡이장대에 걸쳐 부드러운 벤딩 커브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강화 섬유는, 제1 유리 섬유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제2 유리 섬유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초릿대로부터 초릿대 잡이장대에 걸쳐 보다 한층 부드러운 벤딩 커브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테이퍼부는, 최대 직경의 제1 피크부를 가지고, 제2 테이퍼부는, 최소 직경의 제2 피크부를 가지고, 제1 피크부와 제2 피크부는, 서로 축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초릿대 잡이부에 접속된 초릿대가 구부러질 때에, 초릿대 잡이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축 방향으로 분산할 수 있고, 초릿대 잡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피크부는, 제2 피크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초릿대 잡이부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을 효율 좋게 방지할 수 있고, 초릿대 잡이부의 파손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릿대 잡이부는, 제1 피크부로부터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서서히 축경하고, 외주면에 설치된 축경부와, 제2 피크부로부터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서서히 확경하고, 내주면에 설치된 확경부를 가지고, 축경부의 축경의 비율은, 확경부의 확경의 비율보다도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초릿대로부터 초릿대 잡이장대에 걸쳐 부드러운 벤딩 커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상술의 초릿대 잡이장대와, 제1 테이퍼부에 접속되는 제1 초릿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상술의 초릿대 잡이장대와, 제2 테이퍼부에 접속되는 제2 초릿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상술의 초릿대 잡이장대와, 제1 테이퍼부에 접속되는 제1 초릿대와, 제1 초릿대와 교환 가능하고 제2 테이퍼부에 접속되는 제2 초릿대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초릿대는, 중실 장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초릿대 잡이장대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싯대는, 낚시의 종류에 따라 초릿대를 교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동(同) 낚싯대의 일부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동 낚싯대의 요부(要部)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a)는 제1 초릿대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는 제2 초릿대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동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a)는 제1 초릿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는 제1 초릿대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동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a)는 제2 초릿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는 제2 초릿대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동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a)는 제1 초릿대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는 제2 초릿대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동 낚싯대의 초릿대 잡이장대의 초릿대 잡이부를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
도 8은 동 낚싯대의 초릿대 잡이장대의 초릿대 잡이부를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
도 9는 동 낚싯대의 초릿대 잡이장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은 동 낚싯대의 초릿대 잡이장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대에 관하여 도 1 ~ 도 10을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는, 3개 이음의 구성이지만, 장대의 개수는 임의이다. 또한, 낚싯대는, 장대의 외주면에 복수의 낚시줄 가이드(5)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는, 양 베어링 릴에 적합한 것이지만, 스피닝 릴에 적합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도 1에, 장대 초리 방향을 화살표 A로 나타내고, 장대 손잡이 방향을 화살표 B로 나타내고 있다.
낚싯대는, 제1 초릿대(1)와 제2 초릿대(2)와 초릿대 잡이장대(3)와 손잡이대(4)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손잡이대(4)와 초릿대 잡이장대(3)의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대를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초릿대 잡이장대(3)와 손잡이대(4)가 일체(一體)여도 무방하다. 손잡이대(4)에 릴 시트(6)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대(4)와 초릿대 잡이장대(3)는, 중공상이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의 손잡이대(4)에는 낚시줄 가이드(5)가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손잡이대(4)에도 낚시줄 가이드(5)가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제1 초릿대(1)와 제2 초릿대(2)와 초릿대 잡이장대(3)에는, 각각 복수의 낚시줄 가이드(5)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손잡이대(4)의 장대 초리 단부(4a)에 초릿대 잡이장대(3)가 착탈(着脫) 가능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초릿대 잡이장대(3)의 장대 초리 단부(3a)에는, 제1 초릿대(1)와 제2 초릿대(2)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즉, 초릿대 잡이장대(3)의 장대 초리 단부(3a)에, 제1 초릿대(1)가 접속되거나, 혹은, 제2 초릿대(2)가 접속되거나 한다. 제1 초릿대(1)와 제2 초릿대(2) 중 어느 일방을 초릿대 잡이장대(3)의 장대 초리 단부(3a)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초릿대 잡이장대(3)는, 장대 초리 단부(3a)에 초릿대 잡이부(10)를 가지고 있다. 초릿대 잡이부(10)에, 제1 초릿대(1)와 제2 초릿대(2)가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초릿대 잡이장대(3)의 낚시줄 가이드(5)는, 초릿대 잡이부(10)로부터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도 3(a), 도 4 및 도 6(a)는, 초릿대 잡이부(10)에 제1 초릿대(1)가 접속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b), 도 5, 및 도 6(b)는, 초릿대 잡이부(10)에 제2 초릿대(2)가 접속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초릿대(1)는, 초릿대 잡이부(10)의 외주면에 접속되고, 제2 초릿대(2)는, 초릿대 잡이부(10)의 내주면에 접속된다. 즉, 제1 초릿대(1)는, 초릿대 잡이장대(3)에 역(逆)꽂기로 접속되고, 제2 초릿대(2)는, 초릿대 잡이장대(3)에 꽂기로 접속된다. 덧붙여, 제1 초릿대(1)의 초릿대 잡이장대(3)로의 접속 길이 J1은, 제2 초릿대(2)의 초릿대 잡이장대(3)로의 접속 길이 J2와 대략 동일하지만, 달라도 무방하다.
제1 초릿대(1)는, 튜블러 초리라고 칭하여지는, 중공상의 것(중공 장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솔리드 초리라고 칭하여지는, 중실상의 것(중실 장대)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초릿대(1)는, 중공상의 것이다. 제2 초릿대(2)는, 중실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중공상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초릿대(2)는, 중실상이다. 제2 초릿대(2)는, 제1 초릿대(1)보다도 부드럽고 구부러지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초릿대(1)와 제2 초릿대(2)의 축 방향의 길이는, 서로 대략 같은 길이여도 무방하고, 서로 다른 길이여도 무방하다. 초릿대 잡이장대(3)에 제1 초릿대(1)가 접속되었을 때의 낚싯대의 전체 길이와, 초릿대 잡이장대(3)에 제2 초릿대(2)가 접속되었을 때의 낚싯대의 전체 길이는, 서로 대략 같아도 무방하고, 서로 달라도 무방하다.
제1 초릿대(1)의 낚시줄 가이드(5)의 수와, 제2 초릿대(2)의 낚시줄 가이드(5)의 수는, 서로 동일하지만, 달라도 무방하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제1 초릿대(1)의 낚시줄 가이드(5)와 제2 초릿대(2)의 낚시줄 가이드(5)는, 서로 같은 것, 같은 사양의 것이어도 무방하지만, 서로 달라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초릿대(1)에는 튜블러 초리에 적합한 낚시줄 가이드(5)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초릿대(2)에는, 솔리드 초리에 적합한 낚시줄 가이드(5)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초릿대(1)의 낚시줄 가이드(5)는, 제2 초릿대(2)의 낚시줄 가이드(5)보다도, 장대 초리 방향으로 경사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7에, 초릿대 잡이부(10)의 단면도를 모식도로 도시하고 있다. 초릿대 잡이부(10)는, 외주면에, 장대 초리 개구단(開口端)(11)으로부터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확경하는 제1 테이퍼부(12)와, 제1 테이퍼부(12)의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연속하고 초릿대 잡이부(10)의 외주면에 있어서 최대 직경의 제1 피크부(13)와, 제1 피크부(13)의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연속하고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축경하는 축경부(14)를 가지고 있다. 초릿대 잡이부(10)의 외주면에 제1 테이퍼부(1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초릿대 잡이부(10)의 경방향 외측에 제1 초릿대(1)를 순조롭고 또한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제1 피크부(13)의 직경 D2는, 초릿대 잡이부(10)에 있어서 최대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피크부(13)는, 축 방향에 소정의 길이 L2를 가지고 있다. 다만, 제1 피크부(13)가, 실질적으로 축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어도 무방하다. 축경부(14)의 축경의 비율(구배 θ3)은, 제1 테이퍼부(12)의 확경의 비율(구배 θ1)보다도 크다. 축경부(14)의 구배 θ3은, 제1 테이퍼부(12)의 구배 θ1보다도 급하다. 축경부(14)의 장대 손잡이 단부(장대 손잡이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의 직경 D3은, 장대 초리 개구단(11)에 있어서의 외경(外徑) D1보다도 작다. 축경부(14)의 축 방향의 길이 L3은, 제1 테이퍼부(12)의 축 방향의 길이 L1보다도 짧다. 축경부(14)의 장대 손잡이 방향에는, 초릿대 잡이장대(3)의 주(主) 외주면(15)이 연속하고 있다. 주 외주면(15)는,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확경하고 있다. 주 외주면(15)의 구배 θ4는, 제1 테이퍼부(12)의 구배 θ1보다도 작다. 주 외주면(15)의 구배 θ4는, 초릿대 잡이장대(3)의 외주면의 기본 구배이다.
초릿대 잡이부(10)는, 내주면에, 장대 초리 개구단(11)으로부터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축경하는 제2 테이퍼부(20)와, 제2 테이퍼부(20)의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연속하고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확경하는 확경부(21)를 가지고 있다. 제2 테이퍼부(20)의 축 방향의 길이 L4는, 제1 테이퍼부(12)의 축 방향의 길이 L1보다도 짧다. 제2 테이퍼부(20)의 축경의 비율(구배 θ2)은, 제1 테이퍼부(12)의 구배 θ1과 같아도 무방하고, 달라도 무방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같다. 제2 테이퍼부(20)의 구배 θ2는, 축경부(14)의 구배 θ3보다도 작다. 초릿대 잡이부(10)의 내주면에 제2 테이퍼부(2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초릿대 잡이부(10)의 경방향 내측에 제2 초릿대(2)를 순조롭고 또한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제2 테이퍼부(20)의 장대 손잡이 단부가, 초릿대 잡이부(10)에 있어서 최소 직경인 제2 피크부(22)가 되어 있다. 제2 피크부(22)는, 실질적으로 축 방향의 길이를 가지지 않지만, 축 방향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제2 피크부(22)는, 제1 피크부(13)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피크부(13)보다도 장대 초리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확경부(21)는, 초릿대 잡이장대(3)의 주(主) 내주면이다. 확경부(21)는, 축경부(14)보다도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확경부(21)의 구배 θ5는, 초릿대 잡이장대(3)의 내주면의 기본 구배이다. 제2 테이퍼부(20)의 구배 θ2보다도 작다. 또한, 확경부(21)의 구배 θ5는, 축경부(14)의 구배 θ3보다도 작다.
초릿대 잡이부(10)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초릿대 잡이부(10)의 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초릿대 잡이부(10)는, 제1층(31)과, 제1층(31)의 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2층(32)과, 제2층(32)의 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3층(33)을 가지고 있다. 제1층(31)은, 초릿대 잡이부(10)의 최외층(最外層)이고, 제1층(31)에 초릿대 잡이부(10)의 외주면이 설치되어 있다. 제3층(33)은, 초릿대 잡이부(10)의 최내층(最內層)이고, 제3층(33)에 초릿대 잡이부(10)의 내주면이 설치되어 있다. 제1층(31)과 제3층(33)은, 초릿대 잡이장대(3)의 전체 길이 중 장대 초리 단부에만 설치된다. 즉, 초릿대 잡이부(10)에만 설치되고, 제2층(32)은, 초릿대 잡이장대(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제2층(32)은, 단층이어도, 복수층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층(32)은 단층이다. 제2층(32)은, 제1층(31)과 제3층(33)의 경방향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층(32)의 외주면에 제1층(31)이 설치되고, 제2층(32)의 내주면에 제3층(33)이 설치되어 있다.
제1층(31)과 제2층(32)과 제3층(33)은, 장대 초리 개구단(11)으로부터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층(31)의 축 방향의 길이 LL1은, 제3층(33)의 축 방향의 길이 LL3보다도 길다. 제1층(31)의 장대 손잡이 단부(31a)는, 제2 피크부(22)보다도 장대 손잡이 방향에 위치하고, 또한, 제3층(33)의 장대 손잡이 단부(33a)보다도 장대 손잡이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제3층(33)의 장대 손잡이 단부(33a)는, 제2 피크부(22)보다도 장대 손잡이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제3층(33)의 장대 손잡이 단부(33a)는, 제1 피크부(13)보다도 장대 손잡이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제1층(31)과 제2층(32)과 제3층(33)의 각각의 장대 초리 개구단(11)에 있어서의 두께는 임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장대 초리 개구단(11)에 있어서의 제3층(33)의 두께는, 제2층(32)의 그것보다도 얇고, 제1층(31)의 그것보다도 얇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장대 초리 개구단(11)에 있어서의 제2층(32)의 두께는, 장대 초리 개구단(11)에 있어서의 제1층(31)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제1 테이퍼부(12) 및 제2 테이퍼부(20)는, 바람직하게는, 절삭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1층(31)에, 제1 테이퍼부(12)와 제1 피크부(13)와 축경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제3층(33)에, 제2 테이퍼부(20)와 제2 피크부(22)와 확경부(21)의 일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2층(32)에, 주 외주면(15)과 확경부(21)의 대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제1층(31)은, 장대 초리 개구단(11)으로부터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두께가 두껍게 되는 제1 통부(筒部)(41)와, 제1 통부(41)의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연속하고 두께가 대략 일정한 제2 통부(42)와, 제2 통부(42)의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연속하고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두께가 얇게 되는 제3 통부(43)를 가지고 있다. 제1 통부(41)의 외주면이 제1 테이퍼부(12)이고, 제2 통부(42)의 외주면이 제1 피크부(13)이고, 제3 통부(43)의 외주면이 축경부(14)이다. 제1층(31)의 두께는, 제2 통부(42)에 있어서 최대가 되어 있다. 제1층(31)의 장대 손잡이 단부(31a)는 축경부(14)의 장대 손잡이 단부이고, 제1층(31)의 장대 손잡이 단부(31a)에 있어서 제1층(31)의 두께는 0이 되어 있다. 덧붙여, 초릿대 잡이부(10)의 두께는, 제1 피크부(13)에 있어서 최대가 되어 있다.
제2층(32)은, 장대 초리 개구단(11)으로부터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두께가 대략 일정한 제4 통부(44)와, 제4 통부(44)의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연속하고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두께가 두껍게 되는 제5 통부(45)와, 제5 통부(45)의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연속하고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여 두께가 대략 일정 혹은 서서히 두께가 두껍게 되는 제6 통부(46)를 가지고 있다. 제4 통부(44) 및 제5 통부(45)의 내주면에 제3층(33)이 위치하고 있다. 제6 통부(46)의 내주면에는 제3층(33)은 위치하고 있지 않다. 제4 통부(44)의 축 방향의 길이 LL2는, 제1층(31)의 축 방향의 길이 LL1보다도 짧고, 제3층(33)의 축 방향의 길이 LL3보다도 짧다. 제4 통부(44)의 장대 손잡이 단부(44a)(제5 통부(45)의 장대 초리 단부)보다도, 제1 피크부(13)는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5 통부(45)는, 주로, 그 내주면이 축경하는 것에 의하여,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여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다. 제6 통부(46)는, 초릿대 잡이장대(3)의 장대 손잡이 단부(3b)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3층(33)은, 장대 초리 개구단(11)으로부터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두께가 두껍게 되는 제7 통부(47)와, 제7 통부(47)의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두께가 대략 일정한 제8 통부(48)와, 제8 통부(48)의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연속하고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두께가 얇게 되는 제9 통부(49)를 가지고 있다. 제7 통부(47)의 내주면이 제2 테이퍼부(20)이다. 제8 통부(48) 및 제9 통부(49)의 내주면과, 제2층(32)의 제6 통부(46)의 내주면이, 확경부(21)이다. 제3층(33)의 장대 손잡이 단부(33a)는, 제1층(31)의 장대 손잡이 단부(31a)보다도 장대 초리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초릿대 잡이장대(3)는, 각종의 강화 섬유를 가지는 프리프레그(prepreg)를 맨드릴(mandrel)(50)에 권회(卷回)하고 가열 소성(燒成)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의 초릿대 잡이장대(3)의 제조에 사용되는 프리프레그의 일례를 도 9에 모식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맨드릴(50)에는, 순서대로, 제3층(33)을 형성하기 위한 제3 프리프레그(53)과, 제2층(32)을 형성하기 위한 제2 프리프레그(52)와, 제1층(31)을 형성하기 위한 제1 프리프레그(51)가 권회된다. 각 프리프레그의 길이나 감기 수, 매수는, 다양하게 설정된다.
제1 프리프레그(51)는 제1 강화 섬유(61)를 가지고, 제2 프리프레그(52)는 제2 강화 섬유(62)를 가지고, 제3 프리프레그(53)는 제3 강화 섬유(63)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강화 섬유는, 모두 장섬유이다. 제3 강화 섬유(63)의 축 방향의 휨 강성은, 제2 강화 섬유(62)의 축 방향의 휨 강성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제1 강화 섬유(61)의 축 방향의 휨 강성은, 제2 강화 섬유(62)의 축 방향의 휨 강성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강화 섬유(61)는, 둘레 방향을 따른, 이른바 역목(逆目)의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강화 섬유(61)는, 바람직하게는, 카본 섬유이다. 덧붙여, 제1 강화 섬유(61)는, 축 방향을 따른 것이나 축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한 방향을 따른 것 등이어도 무방하고, 제2 강화 섬유(62)보다도 저탄성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2 강화 섬유(62)는, 초릿대 잡이장대(3)의 휨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고, 초릿대 잡이장대(3)의 주요한 강화 섬유이다. 제2 강화 섬유(62)는, 축 방향을 따른, 이른바 순목(順目)의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강화 섬유(62)는, 바람직하게는, 카본 섬유이다.
제3 강화 섬유(63)는, 유리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섬유끼리가 교차한 크로스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3 강화 섬유(63)는, 일 방향을 따른 제1 유리 섬유(63a)와, 제1 유리 섬유(63a)와 교차하는 제2 유리 섬유(63b)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유리 섬유(63a)와 제2 유리 섬유(63b)는, 예를 들어, 축 방향을 따라 0도(평행) 방향, 이른바 순목 방향과, 축 방향을 따라 90도(수직) 방향, 이른바 역목 방향을 따라 가지런히 될 수 있다. 또한, 소정 각도 경사한 방향을 따라 가지런히 하여도 무방하고, 그 경우, 제1 유리 섬유(63a)와 제2 유리 섬유(63b)는, 각각 축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45도로 각각 섬유끼리가 교차한다.
도 10에 초릿대 잡이장대(3)의 가열 소성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초릿대 잡이장대(3)의 초릿대 잡이부(10)는, 이 후, 절삭 가공되어 제1 테이퍼부(12)와 제2 테이퍼부(20)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하는 이점쇄선은, 절삭 가공 전의 초릿대 잡이부(10)의 외주면과 내주면이다. 이와 같이, 제1층(31)이 절삭 가공되는 것에 의하여 제1 테이퍼부(12)가 형성되고, 제3층(33)이 절삭 가공되는 것에 의하여 제2 테이퍼부(20)가 형성된다. 한편, 축경부(14)는, 제1 프리프레그(51)에 의하여 형성되고, 확경부(21)는, 맨드릴(50)의 외주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초릿대 잡이부(10)의 외주면에 제1 테이퍼부(1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테이퍼부(12)에 제1 초릿대(1)를 역꽂기의 상태로 접속할 수 있다. 제1 초릿대(1)가 튜블러 초리이면, 초리에 팽팽하게 땅김이 생겨, 낚싯대가 몸통휨새가 된다. 그 때문에, 초리에 큰 반발력이 요구되는 낚시, 예를 들어 라이트 지깅 등의 낚시에 적합한 낚싯대가 된다. 한편, 초릿대 잡이부(10)의 내주면에 제2 테이퍼부(2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테이퍼부(20)에 제2 초릿대(2)를 꽂기의 상태로 접속할 수 있다. 제2 초릿대(2)가 솔리드 초리이면, 초리에 유연함을 얻을 수 있어, 낚싯대가 초리휨새가 된다. 그 때문에, 초리에 섬세함이 요구되는 낚시, 예를 들어 타이라바나 메탈슷테, 팁 런 에깅 등의 낚시에 적합한 낚싯대가 된다.
이와 같이, 낚시의 종류나 낚시꾼의 취향, 상황에 따라, 제1 초릿대(1)와 제2 초릿대(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초릿대 잡이장대(3)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 낚시에 있어서, 지참하는 낚싯대가 한 개여도, 제1 초릿대(1)와 제2 초릿대(2)의 쌍방을 지참하는 것에 의하여, 라이트 지깅과 같은 비교적 격렬한 낚시에 대응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타이라바와 같은 비교적 슬로이고 섬세한 낚시에도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낚시의 전반과 후반에서 대상어나 낚시하는 방법이 다른 것과 같은 경우여도, 제1 초릿대(1)와 제2 초릿대(2)를 적의(適宜) 교환하는 것에 의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대응할 수 있다. 한 개의 낚싯대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릴은 하나로 되고, 릴을 갈아 끼울 필요도 없어진다. 다만, 예비의 릴로 갈아 끼워도 무방하다. 나아가, 도시하지 않는 휨새가 같지 않은 다른 초릿대를 준비하면, 낚시의 적용 범위는 보다 한층 넓어진다.
초릿대를 교환하여도, 초릿대 잡이장대(3)는 그대로 같기 때문에, 낚싯대의 벨리(몸통)의 부분의 파워감은 공통되어 있다. 그 때문에, 물고기의 당김에 대한 낚싯대의 대항력은 그만큼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또한, 초릿대를 교환하여도, 손잡이대(4)는 그대로 같기 때문에, 손잡이대(4) 부근의 사용감이나 그립감도 공통되어 있다. 애착이 있는 익숙해진 한 개의 낚싯대로 복수 종류의 낚시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1층(31)에 제1 테이퍼부(1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층(32)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초릿대 잡이부(10)의 외주면에 제1 테이퍼부(1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2층(32)에 의하여 초릿대 잡이장대(3)의 휨 강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층(33)에 제2 테이퍼부(2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층(32)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초릿대 잡이부(10)의 내주면에 제2 테이퍼부(2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2층(32)에 의하여 초릿대 잡이장대(3)의 휨 강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1층(31)이 제2층(32)보다도 축 방향을 따른 휨 강성이 작으면, 제2층(32)에 의하여 초릿대 잡이장대(3)의 휨 강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게다가, 초릿대 잡이장대(3)에 접속된 제1 초릿대(1)나 제2 초릿대(2)가 구부러질 때에, 제1층(31)에 의하여 초릿대 잡이부(10)의 갈라짐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층(31)이 둘레 방향을 따른 제1 강화 섬유(61)를 가지고 있으면, 초릿대 잡이부(10)의 갈라짐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 강화 섬유(61)가 카본 섬유이면, 초릿대 잡이부(10)를 경량화할 수 있다.
제2층(32)이 축 방향을 따른 제2 강화 섬유(62)를 가지고 있으면, 제2층(32)에 의하여 초릿대의 휨 강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2 강화 섬유(62)가 카본 섬유이면, 초릿대 잡이장대(3)를 용이하게 경량화할 수 있다.
제3층(33)이 제3 강화 섬유(63)를 가지고 있으면, 초릿대 잡이부(10)의 내주면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제2 테이퍼부(2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3 강화 섬유(63)가 서로 교차한 제1 유리 섬유(63a)와 제2 유리 섬유(63b)를 가지고 있으면, 제2 테이퍼부(20)에 제2 초릿대(2)가 접속되었을 때에, 제2 초릿대(2)로부터 초릿대 잡이장대(3)에 걸쳐 부드러운 벤딩 커브를 얻을 수 있다. 축경부(14)의 구배 θ3이 확경부(21)의 구배 θ5보다도 크면, 제1 초릿대(1)나 제2 초릿대(2)로부터 초릿대 잡이장대(3)에 걸쳐 부드러운 벤딩 커브를 얻을 수 있다.
제1층(31)의 장대 손잡이 단부(31a)가 제3층(33)의 장대 손잡이 단부(33a)보다도 장대 손잡이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면, 제1 초릿대(1)나 제2 초릿대(2)가 구부러졌을 때에, 초릿대 잡이부(10)에 생기는 응력을 축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초릿대 잡이부(10)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을 방지할 수 있고, 초릿대 잡이장대(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테이퍼부(20)에 제2 초릿대(2)가 접속되었을 때에, 초릿대 잡이부(10)의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초릿대 잡이장대(3)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피크부(13)와 제2 피크부(22)가 서로 축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으면, 제1 초릿대(1)나 제2 초릿대(2)가 구부러질 때에, 초릿대 잡이부(10)에 발생하는 응력을 축 방향으로 분산할 수 있고, 초릿대 잡이부(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테이퍼부(20)에 제2 초릿대(2)가 접속되었을 때의 초릿대 잡이부(1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피크부(13)가 제2 피크부(22)보다도 장대 손잡이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면, 초릿대 잡이부(10)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고, 초릿대 잡이부(10)의 파손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다.
1: 제1 초릿대
2: 제2 초릿대
3: 초릿대 잡이장대
3a: 장대 초리 단부
3b: 장대 손잡이 단부
4: 손잡이대
4a: 장대 초리 단부
5: 낚시줄 가이드
6: 릴 시트
10: 초릿대 잡이부
11: 장대 초리 개구단
12: 제1 테이퍼부
13: 제1 피크부
14: 축경부
15: 주 외주면
20: 제2 테이퍼부
21: 확경부
22: 제2 피크부
31: 제1층
31a: 장대 손잡이 단부
32: 제2층
33: 제3층
33a: 장대 손잡이 단부
41: 제1 통부
42: 제2 통부
43: 제3 통부
44: 제4 통부
44a: 장대 손잡이 단부
45: 제5 통부
46: 제6 통부
47: 제7 통부
48: 제8 통부
49: 제9 통부
50: 맨드릴
51: 제1 프리프레그
52: 제2 프리프레그
53: 제3 프리프레그
61: 제1 강화 섬유
62: 제2 강화 섬유
63: 제3 강화 섬유
63a: 제1 유리 섬유
63b: 제2 유리 섬유

Claims (18)

  1. 초릿대가 접속되는 초릿대 잡이장대에 있어서,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확경(擴徑)하고, 외주면(外周面)에 설치된 제1 테이퍼부와,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축경(縮徑)하고, 내주면(內周面)에 설치된 제2 테이퍼부
    를 가지고 있는 초릿대 잡이부를 구비한, 초릿대 잡이장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릿대 잡이부는,
    외주면에 상기 제1 테이퍼부가 설치된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경(徑)방향 내측에 설치된 제2층을 가지는, 초릿대 잡이장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제2층보다도 축 방향을 따른 휨 강성이 작은, 초릿대 잡이장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둘레 방향을 따른 제1 강화 섬유를 가지고 있는, 초릿대 잡이장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축 방향을 따른 제2 강화 섬유를 가지고 있는, 초릿대 잡이장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화 섬유 및 제2 강화 섬유의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은, 탄소 장섬유(長纖維)인, 초릿대 잡이장대.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릿대 잡이부는,
    내주면에 상기 제2 테이퍼부가 설치된 제3층을 더 가지는, 초릿대 잡이장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장대 손잡이 방향의 단부(端部)는, 상기 제3층의 장대 손잡이 방향의 단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초릿대 잡이장대.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은, 제3 강화 섬유를 가지고 있는, 초릿대 잡이장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강화 섬유는, 일 방향을 따른 제1 유리 섬유를 가지고 있는, 초릿대 잡이장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강화 섬유는, 상기 제1 유리 섬유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제2 유리 섬유를 가지고 있는, 초릿대 잡이장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부는, 최대 직경의 제1 피크부를 가지고,
    상기 제2 테이퍼부는, 최소 직경의 제2 피크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피크부와 상기 제2 피크부는, 서로 축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는, 초릿대 잡이장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크부는, 상기 제2 피크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초릿대 잡이장대.
  14.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초릿대 잡이부는,
    상기 제1 피크부로부터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서서히 축경하고, 외주면에 설치된 축경부와,
    상기 제2 피크부에서로부터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서서히 확경하고, 내주면에 설치된 확경부를 가지고,
    상기 축경부의 축경의 비율은, 상기 확경부의 확경의 비율보다도 큰, 초릿대 잡이장대.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초릿대 잡이장대와,
    상기 제1 테이퍼부에 접속되는 제1 초릿대
    를 구비한, 낚싯대.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초릿대 잡이장대와,
    상기 제2 테이퍼부에 접속되는 제2 초릿대
    를 구비한, 낚싯대.
  17.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초릿대 잡이장대와,
    상기 제1 테이퍼부에 접속되는 제1 초릿대와,
    상기 제1 초릿대와 교환 가능하고, 상기 제2 테이퍼부에 접속되는 제2 초릿대를 구비한, 낚싯대.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초릿대는, 중실(中實) 장대인, 낚싯대.
KR1020220063454A 2021-08-24 2022-05-24 초릿대 잡이장대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싯대 KR202300295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36231A JP2023030858A (ja) 2021-08-24 2021-08-24 穂持竿及びそれを備えた釣竿
JPJP-P-2021-136231 2021-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501A true KR20230029501A (ko) 2023-03-03

Family

ID=8541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454A KR20230029501A (ko) 2021-08-24 2022-05-24 초릿대 잡이장대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030858A (ko)
KR (1) KR20230029501A (ko)
CN (1) CN115918620A (ko)
TW (1) TW2023085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34B2 (ko) 1978-06-26 1982-01-12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34B2 (ko) 1978-06-26 1982-01-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08510A (zh) 2023-03-01
JP2023030858A (ja) 2023-03-08
CN115918620A (zh)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8558A (en) Fishing rod
JP4784968B2 (ja) 釣り竿用の竿体
JP4326467B2 (ja) 釣竿
JP5701734B2 (ja) 釣竿
KR20230029501A (ko) 초릿대 잡이장대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싯대
JP4726112B2 (ja) 穂先竿
CN110934115B (zh) 钓竿及竿体
JPH08126451A (ja) 中通し釣竿
JP5155083B2 (ja) 釣竿
EP0880891B1 (en) Fishing rod
EP2926651B1 (en) Casting rod and method of fabricating tip rod of casting rod
CN110934114B (zh) 钓竿及竿体
JP6433331B2 (ja) 釣竿及び穂先竿
JP2000217472A (ja) 中実竿杆を使用した継式釣竿
JP2000300123A (ja) インロー継ぎ釣竿
JP2023023418A (ja) ブランク及び玉の柄
JP4040771B2 (ja) 釣竿
JP6691014B2 (ja) 改善された剛性プロファイルを有する穂先竿を備えた釣り竿
JP2003319740A (ja) 釣 竿
KR20240053518A (ko) 낚싯대
JP2005160323A (ja) インロー継ぎ形式の釣竿、及びこれを構成するインロー芯の製造方法。
JP3016877U (ja) フライフィッシング用ロッドセット
JP2002345365A (ja) 外ガイド付き釣竿
JP2000201587A (ja) 中実竿杆を使用した継式釣竿
JP2000295946A (ja) 竿体の連結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