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518A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518A
KR20240053518A KR1020230089889A KR20230089889A KR20240053518A KR 20240053518 A KR20240053518 A KR 20240053518A KR 1020230089889 A KR1020230089889 A KR 1020230089889A KR 20230089889 A KR20230089889 A KR 20230089889A KR 20240053518 A KR20240053518 A KR 20240053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reel seat
main body
grip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타카하라
토모유키 코자와
유키 마츠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300462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4059060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40053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51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릴 시트를 파지(把持)하는 손으로의 진동 전달 효율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릴 시트(2)와, 중공(中空)의 제1 장대(11)와, 제2 장대(12)를 구비한다. 릴 시트(2)에는 낚시용 릴이 취부(取付)된다. 제1 장대(11)는, 제1 본체부(20)와 제1 그립부(21)를 가진다. 제1 본체부(20)는, 릴 시트(2)보다도 장대 초리 쪽에 설치된다. 제1 그립부(21)는, 제1 본체부(20)와 릴 시트(2)와의 사이에, 제1 본체부(20)와 일체(一體)로 설치된다. 제2 장대(12)는, 제1 연결부(30)와 삽통부(揷通部)(31)와 제1 장착부(32)를 가진다. 제1 연결부(30)는, 제1 본체부(20)의 내주면(內周面)에 연결된다. 삽통부(31)는, 제1 그립부(21)의 경(徑)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삽통부(31)는, 제1 연결부(30)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에 설치된다. 제1 장착부(32)의 외주면(外周面)에 릴 시트(2)가 장착된다. 제1 장착부(32)는, 삽통부(31)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에 설치된다.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
본 발명은, 릴 시트를 구비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릴 시트의 전측(前側)이나 후측(後側)에는, 그립이 설치된다. 그립은, EVA나 코르크 등으로 구성된다. 그립은, 장대의 외주면(外周面)에 장착되거나, 혹은, 릴 시트에 장착되거나 한다. 그렇지만, 그립이 EVA 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장대를 따라 전해지는 진동이 그립에 전해지기 어렵고, 그립으로부터 손에 전해지기 어렵다. 특히, 릴 시트의 근방 부분은, 낚시꾼의 손이 항상 닿고 있는 부분이다. 그 때문에, 릴 시트의 근방 부분의 진동 전달 특성은, 낚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7-209020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22-85176호
본 발명은, 릴 시트를 파지(把持)하는 손으로의 낚싯대로부터 전해지는 진동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낚싯대는, 릴 시트와, 중공(中空)의 제1 장대와, 제2 장대를 구비한다. 릴 시트에는 낚시용 릴이 취부(取付)된다. 제1 장대는, 제1 본체부와 제1 그립부를 가진다. 제1 본체부는, 릴 시트보다도 장대 초리 쪽에 설치된다. 제1 그립부는, 제1 본체부와 릴 시트와의 사이에, 제1 본체부와 일체(一體)로 설치된다. 제2 장대는, 제1 연결부와 삽통부(揷通部)와 제1 장착부를 가진다. 제1 연결부는, 제1 본체부의 내주면(內周面)에 연결된다. 삽통부는, 제1 그립부의 경(徑)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삽통부는, 제1 연결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에 설치된다. 제1 장착부의 외주면에 릴 시트가 장착된다. 제1 장착부는, 삽통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릴 시트보다도 장대 초리 쪽에 제1 그립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그립부는, 중공의 제1 장대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물고기의 입질 등의 진동은, 제1 본체부로부터 제1 그립부에 순조롭게 또한 고감도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1 그립부로부터 릴 시트를 파지하는 손에 고감도로 전달되게 된다. 한편, 제2 장대는 제1 연결부에 있어서 제1 장대와 연결된다. 제1 연결부는, 제1 그립부보다도 장대 초리 쪽에 위치한다. 즉, 제1 본체부를 장대 초리 쪽으로부터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게 하여 전달되는 진동은, 제1 그립부보다도 장대 초리 쪽에 있어서, 제1 본체부로부터 제1 연결부를 통하여 제2 장대로 전달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제1 장대로부터 제2 장대에 진동이 고감도로 전달된다. 그리고, 진동은, 제2 장대의 제1 장착부로부터 릴 시트에 전달되고, 릴 시트로부터 손에 전달되게 된다.
제1 측면에 따르는 제2 측면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제1 그립부의 내주면과 삽통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제1 공간이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공간이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제1 그립부와 삽통부가 각각 독립하여 진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그립부의 내주면과 삽통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다른 부재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제1 그립부를 전달하는 진동과 삽통부를 전달하는 진동이 각각 감쇠하기 어렵다. 또한, 제1 공간에 있어서도 진동이 전달되고, 진동의 공진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제3 측면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제1 그립부는,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확경(擴徑)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공간이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커져 가기 때문에, 혼(horn)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고감도로 진동이 손에 전달된다.
제2 측면 또는 제3 측면에 따르는 제4 측면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제1 그립부는, 연장부를 가진다. 연장부는, 릴 시트의 경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연장부는, 릴 시트의 장대 초리 쪽의 단부(端部)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으로 연장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그립부에, 릴 시트의 장대 초리 쪽의 단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릴 시트를 파지하는 손이 제1 그립부의 연장부에 접촉하기 쉽다. 또한, 제1 그립부의 넓은 면적에 손을 접촉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진동이 손에 고감도로 전달되게 된다.
제4 측면에 따르는 제5 측면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연장부는, 릴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연장부와 릴 시트와의 사이에는, 제2 공간이 설치된다. 제2 공간은, 릴 시트의 경방향 외측에 설치된다. 제2 공간은, 제1 공간과 연속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릴 시트의 경방향 외측에 제2 공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부에 있어서의 진동이 릴 시트에 의하여 저해되기 어렵고, 진동이 연장부를 고감도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공간과 제2 공간이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제1 공간의 진동이 제2 공간으로 순조롭게 전달된다.
제5 측면에 따르는 제6 측면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릴 시트는, 한 쌍의 제1 중합부를 가진다. 한 쌍의 제1 중합부는, 서로 둘레 방향으로 떨어져 설치된다. 연장부는, 둘레 방향의 양 단부에, 한 쌍의 제2 중합부를 가진다. 한 쌍의 제2 중합부는, 한 쌍의 제1 중합부에, 릴 시트의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겹친다. 제2 공간은, 연장부와 릴 시트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2 공간은, 한 쌍의 제1 중합부의 사이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제1 중합부의 사이에 있어서 제2 공간이 릴 시트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제2 공간을 용이하게 확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공간이 단면으로부터 볼 때 환상(環狀)이고 둘레 방향으로 무단상(無端狀)인 한편, 제2 공간은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유한의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1 공간에 있어서의 진동이 제2 공간에 집약되어 전달하게 된다.
제4 측면 내지 제6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따르는 제7 측면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연장부는, 소정의 둘레 방향 길이를 가진다. 둘레 방향 길이는,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짧아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장부의 둘레 방향 길이가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짧아지기 때문에, 릴 시트의 부분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경방향의 과도의 비대화를 방지할 수 있고, 그립감과 연장부에 의한 진동 전달 효과를 용이하게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공간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공간의 둘레 방향 길이도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짧아진다. 그 때문에, 제2 공간을 전달하는 진동이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집약되어 가게 된다.
제6 측면 또는 제7 측면에 따르는 제8 측면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릴 시트는, 다리 재치부(載置部)를 가진다. 다리 재치부에는, 낚시용 릴의 다리가 재치된다. 연장부는, 다리 재치부에 대하여, 릴 시트의 경방향 반대 측에 위치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장부를 장대 손잡이 쪽으로 용이하게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릴 시트에 스피닝 릴을 취부하였을 때에, 스피닝 릴이 릴 시트의 하측에 위치하고, 연장부가 릴 시트의 상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릴 시트를 파지한 손이 연장부에 용이하게 닿는다.
제8 측면에 따르는 제9 측면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릴 시트는, 후드를 가진다. 후드는, 다리 재치부보다도 장대 초리 쪽에 설치된다. 후드는, 다리의 장대 초리 쪽의 단부를 보지(保持)한다. 연장부는, 후드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으로 연장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장부가 후드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릴 시트를 파지하는 손을 연장부에 용이하게 댈 수 있다.
제1 측면 내지 제9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따르는 제10 측면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제1 그립부는, 연장부를 가진다. 연장부는, 릴 시트의 장대 초리 쪽의 단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으로 연장된다. 연장부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한다. 릴 시트는, 제2 지지부와 제3 지지부를 가진다. 제2 지지부는, 제1 지지부를 릴 시트의 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제3 지지부는, 제1 지지부를 릴 시트의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릴 시트의 연장부의 제1 지지부가, 제2 지지부 및 제3 지지부에 의하여, 릴 시트의 경방향 내측 및 경방향 외측의 쌍방으로부터 지지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제1 장대와 릴 시트와의 사이에서 단단한 결합 상태가 확보된다. 특히, 낚싯대가 크게 구부러지는 것과 같은 상태에 있어서도, 제1 장대와 릴 시트가 분리하기 어렵다.
제1 측면 내지 제10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따르는 제11 측면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제2 장대는, 제2 본체부를 더 가진다. 제2 본체부는, 제1 장착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릴 시트로부터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제2 본체부가 연신(延伸)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릴 시트를 파지하는 손의 팔을 제2 본체부에 댈 수 있다. 제2 본체부에 의하여 팔이 지지되기 때문에, 낚싯대를 단단히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일방(一方)의 손으로 릴 시트를 파지하고, 타방(他方)의 손으로 제2 본체부를 파지할 수도 있고, 더블 핸드 캐스트(cast)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측면의 낚싯대는, 릴 시트와 제3 장대와 제4 장대를 구비한다. 릴 시트에는, 낚시용 릴이 취부된다. 제3 장대는, 제2 장착부와, 제3 본체부와, 중공의 제2 그립부를 가진다. 제2 장착부의 외주면에 릴 시트가 장착된다. 제3 본체부는, 제2 장착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에 설치된다. 제2 그립부는, 제3 본체부의 외주면과 일체로 설치된다. 제4 장대는, 제2 연결부와 제4 본체부를 가진다. 제2 연결부는, 제3 본체부에 연결된다. 제4 본체부는, 제2 연결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에 설치된다. 제2 그립부는, 개구(開口) 단부를 가진다. 개구 단부는, 제2 그립부의 장대 초리 쪽의 단부에 설치된다. 개구 단부는, 제3 본체부에 대하여, 제3 본체부의 경방향 외측으로 이간(離間)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그립부가 제3 본체부의 외주면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그립부가 제3 본체부의 외주면과 별체(別體)인 경우에 비하여, 제2 그립부에 진동이 고감도로 전달한다.
제12 측면에 따르는 제13 측면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제3 장대와 상기 제4장대는 일체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3 장대로부터 제4 장대로 순조롭게 진동이 전달되고, 또한, 낚싯대의 후육화(厚肉化)를 방지할 수 있어 낚싯대를 경량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그립부가 본체부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이 그립부에 고감도로 전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要部)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동(同)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동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의 (a)는 도 5의 A-A 단면도, (b)는 도 5의 B-B 단면도.
도 7의 (a)는 도 5의 C-C 단면도, (b)는 도 5의 D-D 단면도.
도 8의 (a)는 도 5의 E-E 단면도, (b)는 도 5의 F-F 단면도.
도 9는 동 낚싯대의 블랭크(blank)를 도시하는 분해도.
도 10은 동 낚싯대의 분해도.
도 11은 동 낚싯대의 분해도.
도 12는 동 낚싯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
도 13은 동 낚싯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동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요부 확대도.
도 17은 도 16의 요부 확대도.
도 18은 동 낚싯대의 블랭크를 도시하는 분해도.
도 19는 동 낚싯대의 분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1은 동 낚싯대의 분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3은 동 낚싯대의 분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5는 동 낚싯대의 분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7은 도 26의 요부 확대도.
도 28은 동 낚싯대의 블랭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9는 도 28의 요부 확대도.
도 30의 (a) 내지 (d)는, 동 블랭크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블랭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2는 도 31의 요부 확대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릴 시트의 요부 단면도.
도 35는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6의 (a)는 도 35의 G-G 단면도, (b)는 도 35의 H-H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대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덧붙여, 낚싯대의 축선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장대 초리 쪽을 전측(제1 축선 방향), 장대 손잡이 쪽을 후측(제2 축선 방향)으로 한다. 낚싯대는, 장대 본체(1)(블랭크)와, 장대 본체(1)에 장착된 릴 시트(2)와, 장대 본체(1)의 후단부(後端部)에 장착된 뒷마개(3)를 구비하고 있다.
<장대 본체(1)>
장대 본체(1)에는, 도시하지 않은 낚시줄 가이드가 설치된다. 장대 본체(1)는, 섬유 강화 수지제이다. 강화 섬유는 카본 섬유나 유리 섬유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의 장대 본체(1)는, 제1 장대(11)와 제2 장대(1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장대(11)>
제1 장대(11)는, 제2 장대(12)의 전측에 위치한다. 제1 장대(11)는, 제2 장대(12)의 전측에 역(逆)꽂기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장대(11)는, 메인 블랭크이다. 제1 장대(11)는, 릴 시트(2)보다도 전측에 위치한다. 제1 장대(11)는, 낚싯대의 초리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제1 장대(11)의 전측에 하나 또는 복수의 중공 혹은 중실(中實)의 장대가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제1 장대(11)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중공이다. 제1 장대(11)는, 제1 본체부(20)와 제1 그립부(21)를 가진다. 제1 본체부(20)는, 릴 시트(2)에 대하여 전측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제1 본체부(20)는, 제1 장대(11)의 전체 길이 중 릴 시트(2)보다도 전측의 부분이다. 제1 본체부(20)는, 제1 장대(11)의 주요부이다. 제1 본체부(20)는, 제1 그립부(21)를 제외한 제1 장대(11)의 전체 길이를 구성한다. 제1 본체부(20)는, 제1 장대(11)의 전단부(前端部)를 가진다. 제1 본체부(20)는, 원통상(圓筒狀)이다. 제1 본체부(20)는, 제1 구배로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고 있다. 제1 구배는, 일반적인 블랭크의 구배이면 되고, 예를 들어, 1/1000 내지 5/1000 정도이다. 제1 본체부(20)는, 그 후단부에, 제2 장대(12)가 연결되는 제3 연결부(22)를 가진다. 제3 연결부(22)는, 제1 그립부(21)의 전측에 인접하고 있다. 제3 연결부(22)는, 제1 그립부(21)와 같은 길이이거나 그것보다도 짧다. 제3 연결부(22)는, 후술의 그립 주부(主部)(23)와 같은 길이이거나 그것보다도 길다. 덧붙여, 제3 연결부(22)는,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지 않는 실질상 직경이 일정한 스트레이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즉, 제3 연결부(22)의 구배는 0이어도 무방하다.
제1 그립부(21)는, 제1 본체부(20)와 릴 시트(2)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 그립부(21)는, 제1 장대(11)의 전체 길이 중 제1 본체부(20)보다도 후측의 부분이다. 제1 그립부(21)는, 제1 본체부(20)의 후측으로 연속하고, 제1 본체부(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그립부(21)의 후단부는 제1 장대(11)의 후단부이다. 제1 그립부(21)는, 제1 본체부(20)보다도 대경(大徑)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본체부(20)의 후단부보다도 대경이다. 제1 그립부(21)는, 제1 구배보다도 큰 제2 구배로 후측을 향하여 확경한다. 제1 그립부(21)의 후단부는, 제1 장대(11)의 후단 개구부이다. 제1 장대(11)의 후단 개구부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지 않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제1 장대(11)의 후단 개구부는 릴 시트(2)에 의하여 폐색(閉塞)된다. 제1 장대(11)의 후단 개구부는, 도 3이나 도 10과 같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만곡(彎曲)하면서 연장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직선상(直線狀)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제1 장대(11)의 후단 개구부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후단 개구부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한 평면이 된다.
제1 그립부(21)는, 그립 주부(23)와, 그립 주부(23)의 후측으로 연속하는 연장부(24)(오버랩부)로 구성된다. 그립 주부(23)는, 단면 원형상(圓形狀)이고,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는 통상(筒狀)이다. 그립 주부(23)는, 제1 그립부(21)의 전체 길이 중 릴 시트(2)의 전단부보다도 전측의 영역이고, 즉, 제1 본체부(20)의 후단부로부터 릴 시트(2)의 전단부에 대응한 부분까지의 영역이다.
연장부(24)는, 제1 그립부(21)의 전체 길이 중 릴 시트(2)의 전단부보다도 후측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연장부(24)는, 릴 시트(2)의 경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릴 시트(2)의 일부를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연장부(24)는, 릴 시트(2)의 전체 둘레를 덮어도 무방하고, 릴 시트(2)의 전체 둘레 중의 일부만을 덮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장부(24)는, 그립 주부(23)의 후측으로 연속하는 환상부(25)와, 환상부(25)의 후측으로 연속하는 만곡편부(彎曲片部)(26)로 구성된다. 환상부(25)는, 단면으로부터 볼 때 원형상이고,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고 있다. 환상부(25)는, 그립 주부(23)와 함께 하나의 원뿔대 형상의 통부(筒部)를 구성하고 있다. 환상부(25)는, 릴 시트(2)를 전체 둘레에 걸쳐 덮는다. 만곡편부(26)는, 릴 시트(2)의 전체 둘레 중의 일부만을 덮는다. 만곡편부(26)는, 릴 시트(2)의 중심선(장대 본체(1)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한 단면으로부터 볼 때 원호상(圓弧狀)이고, 둘레 방향 길이를 가진다. 만곡편부(26)의 둘레 방향 길이는,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짧아지고, 만곡편부(26)의 후단부에 있어서 최소가 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0이 된다. 만곡편부(26)는, 정상부(26a)를 중심으로 한 좌우 대칭 형상이고, 상측을 향하여 만곡한 형상이다. 따라서, 만곡편부(26)는, 릴 시트(2)의 상부를 덮는다. 만곡편부(26)의 둘레 방향의 양 단부(26b)는,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상측이 된다. 만곡편부(26)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후측으로 뾰족한 앞쪽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다.
연장부(24)는, 후술하는 릴 시트(2)의 제1 중합부(57)에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겹치는 제2 중합부(27)를 가진다. 제2 중합부(27)는, 만곡편부(26)의 둘레 방향의 양 단부(26b)에 각각 설치된다. 좌우 한 쌍의 제2 중합부(27)는, 만곡편부(26)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중합부(27)는, 제1 장대(11)의 후단 개구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다.
<제2 장대(12)>
제2 장대(12)는, 제1 장대(11)에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장대(12)는, 서브 블랭크이다. 제2 장대(12)는, 릴 시트(2)보다도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장대(12)는, 낚싯대의 장대 손잡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장대(12)의 후단부에 뒷마개(3)가 장착되어 있다. 다만, 제2 장대(12)의 후측에 하나 또는 복수의 장대가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제2 장대(12)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중공이다. 제2 장대(12)는, 제1 연결부(30)와 삽통부(31)와 제1 장착부(32)와 제2 본체부(33)를 가진다. 제1 연결부(30)는, 제2 장대(12)의 전단부로부터 후측에 소정 길이 범위의 부분이다. 제1 연결부(30)는, 제1 장대(11)의 제1 본체부(20)에 연결된다. 제1 연결부(30)는, 제2 장대(12)의 전체 길이 중 제1 장대(11)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1 연결부(30)는, 제1 본체부(20)의 제3 연결부(22)에 연결된다. 제1 연결부(30)의 길이는 제3 연결부(22)의 길이에 대응하고 있다. 제1 연결부(30)의 외주면이 제3 연결부(22)의 내주면에 접착 고정된다. 제1 연결부(30)는, 원통상이다. 제1 연결부(30)는, 제3 구배로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고 있다. 제3 구배는, 제1 구배와 실질적으로 같다. 덧붙여, 제1 연결부(30)는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지 않는 스트레이트 형상이어도 무방하고, 즉, 제3 구배는 0이어도 무방하다.
삽통부(31)는, 제1 연결부(30)의 후측에 인접한다. 삽통부(31)는, 제1 연결부(30)와 연속하고 있다. 삽통부(31)는, 원통상이다. 삽통부(31)는,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여도 무방하고, 스트레이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삽통부(31)는, 제1 그립부(21)의 경방향 내측을 삽통한다. 상세하게는, 삽통부(31)는, 제1 그립부(21)의 그립 주부(23)의 경방향 내측을 삽통한다. 삽통부(31)의 길이는 그립 주부(23)의 길이에 대응하고 있다. 삽통부(31)는, 제2 장대(12)의 전체 길이 중 제1 연결부(30)보다도 후측이고 또한 릴 시트(2)보다도 전측의 부분이다.
제1 장착부(32)는, 삽통부(31)의 후측에 인접한다. 제1 장착부(32)는, 삽통부(31)와 연속하고 있다. 제1 장착부(32)는 원통상이다. 제1 장착부(32)의 외주면에 릴 시트(2)가 장착된다. 즉, 릴 시트(2)는, 제2 장대(12)에 장착된다. 제1 장착부(32)에는, 릴 시트(2) 중 후술하는 릴 시트 본체(40)가 취부된다. 제1 장착부(32)는, 제2 장대(12)의 전체 길이 중 후술의 릴 시트 본체(4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제1 장착부(32)의 길이는, 릴 시트 본체(40)의 길이에 대응하고 있다. 제1 장착부(32)는,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고 있어도 무방하지만, 스트레이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본체부(33)는, 제1 장착부(32)의 후측에 인접한다. 제2 본체부(33)는, 제1 장착부(32)와 연속하고 있다. 제2 본체부(33)는, 원통상이지만, 그 일부나 전부가 단면으로부터 볼 때 비원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제2 본체부(33)는, 릴 시트(2)보다도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본체부(33)는, 제2 장대(12)의 후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본체부(33)의 후단부가 제2 장대(12)의 후단부이다. 제2 장대(12)의 후단부에 뒷마개(3)가 장착된다. 제2 본체부(33)는, 제2 장대(12)의 전체 길이 중 릴 시트 본체(40)보다도 후측의 부분이다.
제2 본체부(33)는, 그 후단부까지 스트레이트 형상이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 후부(後部) 소정 길이 영역에 제3 그립부(35)를 일체로 가지는 구성이다. 즉, 제2 본체부(33)는, 제2 본체 주부(34)와 제3 그립부(35)로 구성된다. 제2 본체 주부(34)는, 제2 본체부(33)의 전부(前部)를 구성하고, 제3 그립부(35)는, 제2 본체부(33)의 후부를 구성한다. 제2 본체 주부(34)는, 제1 장착부(32)의 후측에 인접한다. 제2 본체 주부(34)는, 제1 장착부(32)와 연속하고 있다. 제2 본체 주부(34)는, 원통상이다. 제2 본체 주부(34)는, 스트레이트 형상이지만,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제3 그립부(35)는, 제2 장대(1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3 그립부(35)는, 제2 본체 주부(34)의 후측에 인접하고 있다. 제3 그립부(35)는, 제2 본체 주부(34)의 구배보다도 큰 구배로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고 있다. 제3 그립부(35)는, 제2 본체 주부(34)보다도 대경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본체 주부(34)의 후단부보다도 대경이다. 제3 그립부(35)의 단면 형상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형상이지만, 비원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그립부(35)가 제2 장대(12)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지만, 제3 그립부(35)가 제2 장대(12)와는 별체의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릴 시트(2)>
릴 시트(2)는, 제2 장대(12)에 장착된다. 릴 시트(2)에는, 릴이 취부된다. 본 실시 형태의 릴 시트(2)는, 스피닝 릴을 취부하는 것에 적합하다. 스피닝 릴은, 사용 상태에 있어서 낚싯대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하, 상하 방향은, 낚싯대의 사용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한다.
릴 시트(2)는, 전체적으로 통상이다. 릴 시트(2)의 경방향 내측을 장대 본체(1)가 관통한다. 릴 시트(2)는, 릴 시트 본체(40)와 가동 후드(41)와 고정 너트(42)를 구비한다. 릴 시트 본체(40)는, 통상이고, 그 경방향 내측을 장대 본체(1)가 관통한다. 릴 시트 본체(40)는, 장대 본체(1)의 외주면에 직접 혹은 통상의 스페이서(43)를 통하여 취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릴 시트 본체(40)는, 장대 본체(1)의 외주면에 스페이서(43)를 통하여 취부되어 있다. 릴 시트 본체(40)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이고, 수지 성형품이다. 릴 시트 본체(40)는, 다리 재치부(50)와 고정 후드(51)와 수(雄)나사부(52)를 가진다. 다리 재치부(50)는, 릴 시트 본체(40)의 하면(下面)에 설치된다. 다리 재치부(50)에는, 릴의 다리(200)가 재치된다. 고정 후드(51)는, 다리 재치부(50)의 전측에 위치한다. 고정 후드(51)는, 릴의 다리(200)의 전단부(201)를 보지한다. 고정 후드(51)는, 릴 시트 본체(4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52)는, 릴 시트 본체(40)의 후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도 3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시트 본체(40)는, 주통부(主筒部)(53)(제1 통부)와 연신 통부(54)(제2 통부)로 구획된다. 주통부(53)는, 릴 시트 본체(40)의 주요부이고, 릴 시트 본체(40)의 전체 길이 중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주통부(53)에, 고정 후드(51), 다리 재치부(50) 및 수나사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연신 통부(54)는, 주통부(53)의 전측에 인접하고 있다. 연신 통부(54)는, 릴 시트 본체(40)의 전단부를 포함하는 소정 길이 영역에 설치된다. 연신 통부(54)는, 직경이 대략 일정한다. 연신 통부(54)와 주통부(53)와의 사이의 경계부(55)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직교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다. 경계부(55)는, 하측일수록 전측으로 되어 있다. 경계부(55)의 전체 둘레 중, 경계부(55)의 최하부가 가장 전측에 위치하고, 경계부(55)의 최상부가 가장 후측에 위치한다. 경계부(55)는, 도 3과 같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만곡하면서 연장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경계부(55)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경우, 제1 장대(11)의 후단 개구부도 그것에 대응하여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된다. 즉, 제1 장대(11)의 후단 개구부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한 평면이 된다. 연신 통부(54)의 길이(축 방향의 길이)는, 둘레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연신 통부(54)의 길이는, 전체 둘레 중, 최하부에 있어서 가장 짧고, 최하부로부터 최상부까지 서서히 길어지고, 최상부에 있어서 가장 길다. 연신 통부(54)의 최하부는, 고정 후드(51)보다도 전측에 위치한다.
경계부(55)에는 단차부(段差部)(56)가 설치되어 있다. 단차부(56)는, 경계부(55)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단차부(56)는, 연신 통부(54)의 외주면에 대하여 주통부(53)의 외주면의 쪽이 경방향 외측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56)는, 2단의 계단상으로 되어 있고, 그 1단째에는, 좌우 한 쌍의 제1 중합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제1 중합부(57)는, 서로 좌우 대칭이고, 또한, 서로 연속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중합부(57)는, 전체적으로, 경계부(55)를 주회(周回)하고, 경계부(55)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다. 제1 중합부(57)의 외주면은, 연신 통부(54)의 외주면보다도 일단(一段) 대경이고, 주통부(53)의 외주면보다도 일단 소경(小徑)이다.
제1 중합부(57)의 경방향 내측에는 경계 오목부(58)가 설치되어 있다. 경계 오목부(58)는, 전측으로 개구하고, 경계부(55)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다. 경계 오목부(58)는, 주통부(53)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경계 오목부(58)는, 경계부(55)의 최하부를 제외하여, 경계부(55)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연신 통부(54)의 외주면은, 경계 오목부(58)의 경방향 내측의 벽면과 동일면(同一面)이다.
연신 통부(54)는, 제1 장대(11)의 내부에 진입한다. 연신 통부(54)의 외주면은, 제1 장대(11)의 내주면으로부터 경방향 내측으로 이간하고 있다. 제1 장대(11)의 제2 중합부(27)의 내주면은, 제1 중합부(57)의 외주면에 당접(當接)한다. 제1 중합부(57)는, 제1 장대(11)의 후단 개구부를 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제1 장대(11)의 후단면(後端面)은, 주통부(53)의 전단면(前端面)에 전측으로부터 당접한다.
고정 너트(42)는, 수나사부(52)에 나합(螺合)한다. 본 실시 형태의 릴 시트(2)는, 그 후부에 고정 너트(42) 및 가동 후드(41)를 구비한 구성이다. 가동 후드(41)는, 고정 너트(42)의 전측에 위치한다. 고정 너트(42)는, 가동 후드(41)를 전후로 이동시킨다. 가동 후드(41)는, 릴의 다리(200)의 후단부(202)를 보지한다. 가동 후드(41)는, 통상이고, 릴 시트 본체(40)의 경방향 외측에 씌워진다.
<공간>
제1 장대(11)의 그립 주부(23)는, 제2 장대(12)의 삽통부(31)에 대하여 경방향 외측으로 이간하고 있다. 그립 주부(23)의 내주면은, 삽통부(31)의 외주면으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이간하고 있다. 그립 주부(23)의 내주면과 삽통부(31)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제1 공간(61)이 설치된다. 제1 공간(61)은, 환상이다. 그립 주부(23)는, 삽통부(31)보다도 큰 구배로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공간(61)을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적은,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커진다. 제1 공간(61)의 단면적은, 그립 주부(23)의 후단부에 있어서 최대가 된다.
제1 장대(11)의 연장부(24)는, 제2 중합부(27)를 제외하여, 릴 시트 본체(40)의 연신 통부(54)에 대하여 경방향 외측으로 이간하고 있다. 연장부(24)의 내주면은, 연신 통부(54)의 외주면으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이간하고 있다. 연장부(24)의 내주면과 연신 통부(5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제2 공간(62)이 설치된다. 제2 공간(62)은, 연장부(24)의 환상부(25)의 경방향 내측에 있어서는,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설치된다. 제2 공간(62)은, 연장부(24)의 만곡편부(26)의 경방향 내측에 있어서는, 만곡편부(26)의 둘레 방향의 양 단부(26b)까지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제2 공간(62)은, 전체 둘레 중 주로 상측에 편중하여 설치된다. 제2 공간(62)은, 제1 공간(61)과 연속하고 있다. 제2 공간(62)은, 제1 공간(61)의 후단부로부터 제2 중합부(27)까지 전후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나아가, 제2 공간(62)의 후측에는, 경계 오목부(58)에 의하여 제3 공간(63)이 설치된다. 제3 공간(63)은, 제2 중합부(27)의 경방향 내측에 설치된다. 제3 공간(63)은, 제2 공간(62)과 연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간은, 제1 장대(11)를 후측으로 넘어, 릴 시트 본체(40)의 주통부(53)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2와 도 13에 낚싯대를 오른손으로 파지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12에서는, 집게손가락(302)과 가운뎃손가락(303)을 릴의 다리(200)보다도 전측에 위치시키고, 약손가락(304)과 새끼손가락(305)을 릴의 다리(200)보다도 후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즉, 가운뎃손가락(303)과 약손가락(304)의 사이에 릴의 다리(200)를 위치시키고 있지만, 파지의 방법은 임의이고, 릴의 다리(200)를 집게손가락(302)과 가운뎃손가락(303)의 사이에 위치시키거나, 약손가락(304)과 새끼손가락(305)의 사이에 위치시키거나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엄지손가락(301)을 낚싯대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있다. 전측을 향하는 엄지손가락(301)은, 제1 그립부(21)의 상면에 당접한다. 또한, 연장부(24)의 만곡편부(26)의 상면에는, 엄지손가락(301)의 붙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모지구(300)가 당접한다. 또한, 만곡편부(26)의 측면에는, 집게손가락(302)의 붙어 있는 부분 부근으로부터 손바닥이 당접한다.
도 13에서는, 엄지손가락(301)을 낚싯대의 좌측면에 위치시키는 것과 함께 가운뎃손가락(303)을 낚싯대의 우측면에 위치시켜, 주로 엄지손가락(301)과 가운뎃손가락(303)으로 좌우로부터 낚싯대를 협지(挾持)한다. 그리고, 집게손가락(302)을 낚싯대의 상면에 위치시켜 전측으로 펴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파지하는 경우에는, 집게손가락(302)을 제1 그립부(21)의 상면에 당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집게손가락(302)의 붙어 있는 부분 부근을 만곡편부(26)의 상면에 당접시킬 수 있다. 또한, 엄지손가락(301)과 가운뎃손가락(303)을 만곡편부(26)의 좌우 측면에 당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릴 시트(2)의 직전에 설치된 제1 그립부(21)가 중공이고 또한 제1 장대(11)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고기의 입질 등의 진동이 제1 그립부(21)로부터 손에 다이렉트로 전해진다. 제1 그립부(21)가 제1 본체부(20)의 후측으로 연속하고 있어 제1 본체부(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본체부(20)를 따라 전해져 오는 진동이 제1 그립부(21)에 고감도로 전달된다. 그 때문에, 제1 그립부(21)로부터 손에 고감도로 진동이 전달되게 된다.
특히, 연장부(24)가 후측을 향하여 연신하고 있기 때문에, 연장부(24)에 손을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연장부(24)로부터 손에 진동이 용이하게 전해진다. 나아가, 연장부(24)가 낚싯대의 상면에 있어서 후측으로 연신하는 만곡편부(26)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손바닥의 큰 면적을 만곡편부(26)에 당접시킬 수 있고, 고감도로 진동을 캐치할 수 있다. 특히, 만곡편부(26)가 고정 후드(51)보다도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손바닥에 만곡편부(26)를 용이하게 당접시킬 수 있다. 만곡편부(26)의 둘레 방향 길이가 후측을 향하여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릴 시트 본체(40)의 형상에 큰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만곡편부(26)를 후측을 향하게 하여 용이하게 연장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그립부(21)의 경방향 내측이 공동(空洞)이 되어 있어 제1 그립부(21)와 삽통부(31)의 사이에 제1 공간(61)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공간(61)에서 공명이 생기기 쉽고, 제1 그립부(21)로부터 손에 고효율로 진동이 전달된다. 제1 공간(61)이 후측을 향하여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후측을 향하는 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장부(24)의 경방향 내측, 특히는 만곡편부(26)의 경방향 내측에는 제1 공간(61)과 연통하는 제2 공간(62)이 릴 시트 본체(40)와의 경방향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공간(61) 내를 공명하는 진동이 제2 공간(62)으로 전달되는 것과 함께 공간의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공진 효과가 높아지고, 또한, 연장부(24)를 따라 전해지는 진동이 감쇠하기 어렵다. 제2 공간(62)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도 13과 같은 파지의 방법에 있어서는 엄지손가락(301)이나 가운뎃손가락(303)에도 고효율로 진동이 전달된다. 나아가서는, 릴 시트 본체(40)에 경계 오목부(58)가 형성되어 있어 제3 공간(63)이 설치되어 있고, 그 제3 공간(63)이 제2 공간(62)과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한층 더 증가하는 것과 함께, 릴 시트 본체(40)로부터도 손바닥에 진동이 효율 좋게 전달되게 된다.
한편, 제1 장대(11)의 제1 본체부(20)를 후측을 향하게 하여 전해져 온 진동은, 제1 본체부(20)로부터 제1 연결부(30)에 전달되게 된다. 제1 연결부(30)가 제1 그립부(21)보다도 전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 그립부(21)보다도 전측의 위치에서, 제1 장대(11)로부터 제2 장대(12)로 진동이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장대(11)의 진동이 효율 좋게 제2 장대(12)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2 장대(12)의 제1 장착부(32)로부터 릴 시트 본체(40)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과 함께, 릴 시트(2)보다도 후측으로 제2 본체부(33)가 연신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본체부(33)에 타방의 손, 예를 들어 왼손을 대는 것으로 진동이 왼손에도 효율 좋게 전달되게 된다. 특히, 제2 본체부(33)에 일체로 제3 그립부(35)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3 그립부(35)를 왼손으로 파지하는 것에 의하여, 진동이 고감도로 왼손에도 전해지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9에, 제2 실시 형태의 낚싯대를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5 등에 있어서, 가동 후드(41)와 고정 너트(42)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장대(11)의 제1 그립부(21)는, 그립 주부(23)와 연장부(24)를 가지고 있다. 연장부(24)는, 환상부(25)만을 가지고, 만곡편부(26)를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1 장대(11)의 후단 개구부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형상이다. 릴 시트 본체(40)는 스페이서(43)를 통하지 않고 제2 장대(12)의 외주면에 직접 접착 고정되어 있다.
제2 장대(12)는, 도 1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장대로 구성된다. 즉, 제2 장대(12)는, 후(後) 장대(15)와 접속 장대(16)로 구성된다. 후 장대(15)는, 제2 장대(12)의 주요부를 구성한다. 후 장대(15)는, 제1 장착부(32)와 제2 본체부(33)로 구성된다. 릴 시트 본체(40)는, 후 장대(15)의 전부에 장착된다. 릴 시트 본체(40)의 전단부와 후 장대(15)의 전단부는, 전후 방향의 위치가 같고 동일면이다. 릴 시트 본체(40)의 전단부와 후 장대(15)의 전단부가 전후로 위치 어긋나 있어도 무방하다.
접속 장대(16)는, 후 장대(15)의 전단부의 내주면에 연결된다. 접속 장대(16)는, 후 장대(15)의 전측에 꽂기로 접속된다. 접속 장대(16)는, 중공이지만, 중실이어도 무방하다. 후 장대(15)는 제1 이음 결합부(71)를 가지고, 접속 장대(16)는, 제1 이음 결합부(71)의 경방향 내측에 접속하는 제2 이음 결합부(72)를 가진다. 접속 장대(16)는, 릴 시트 본체(40)의 경방향 내측에 있어서, 후 장대(15)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이음 결합부(72)는, 제1 장착부(32)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이음 결합부(72)의 길이는, 제1 장착부(32)의 길이보다도 짧지만, 제1 장착부(32)의 길이와 같아도 무방하고 그것보다도 길어도 무방하다.
접속 장대(16)는, 후 장대(15)의 전단부로부터 전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한다. 접속 장대(16)는, 제1 연결부(30)와 삽통부(31)를 가진다. 접속 장대(16)의 전체 길이 중 제2 이음 결합부(72)를 제외한 부분, 즉, 접속 장대(16)의 전체 길이 중 후 장대(15)로부터 전측으로 돌출한 부분은, 제1 연결부(30)와 삽통부(31)에 의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장대(11)에는 제2 장대(12)의 접속 장대(16)가 연결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접속 장대(16)의 강화 섬유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한 섬유여도 무방하고, 서로 교차한 두 방향의 섬유여도 무방하다. 접속 장대(16)의 강화 섬유가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고 또한 서로 교차한 두 방향의 섬유이면, 접속 장대(16)가 구부러지기 쉽고, 게다가, 비틀림 강도가 향상한다. 접속 장대(16)가 구부러지기 쉬우면 제1 장대(11)의 구부러짐에 추종할 수 있고, 낚싯대의 버트(butt)부까지 깔끔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덧붙여, 제1 장대(11)와 같은 구배로 접속 장대(16)가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고 있으면, 접속 장대(16)가 구부러지기 쉽다. 반대로, 접속 장대(16)가 스트레이트 형상이면, 접속 장대(16)가 구부러지기 어려워지고, 버트부가 그다지 구부러지지 않는 장대의 휨새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 장대(16)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버트부의 휨새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20 및 도 21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대를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가동 후드(41)와 고정 너트(42)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는, 제2 실시 형태의 낚싯대와는, 릴 시트(2)의 취부 개소만이 다르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릴 시트 본체(40)는, 후 장대(15)에 취부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속 장대(16)에 취부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장착부(32)는 접속 장대(16)에 설치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22 및 도 23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대를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가동 후드(41)와 고정 너트(42)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는, 제2 및 제3 실시 형태의 낚싯대와는, 제2 장대(12)의 구성이 다르다.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속 장대(16)가 후 장대(15)의 경방향 내측에 연결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 장대(16)가 후 장대(15)의 경방향 외측에 연결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속 장대(16)는 후 장대(15)의 전측에 역꽂기로 접속된다. 릴 시트 본체(40)는, 후 장대(15)에 취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 장대(16)가 후 장대(15)의 전측에 역꽂기로 접속되면, 버트부가 구부어지기 어려워지고, 강인한 장대 본체(1)를 제작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24 및 도 25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대를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가동 후드(41)와 고정 너트(42)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는, 제4 실시 형태의 낚싯대와는, 릴 시트(2)의 취부 개소만이 다르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릴 시트 본체(40)는, 후 장대(15)에 취부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속 장대(16)에 취부되어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26 내지 도 30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대를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는, 양 베어링 릴을 취부하는 것에 적합한 낚싯대이다. 다리 재치부(50)는, 릴 시트 본체(40)의 상면에 설치되고, 양 베어링 릴은, 사용 상태에 있어서 낚싯대의 상측에 위치한다. 릴 시트 본체(4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하는 트리거(trigger)(59)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후드(51)는, 다리 재치부(50)의 후측에 설치되고, 가동 후드(41) 및 고정 너트(42)는, 릴 시트 본체(40)의 전측에 설치된다.
도 28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장대 본체(1)는, 제3 장대(13)를 구비하고 있다. 제3 장대(13)는, 주(主)장대부(80)와 제2 그립부(81)를 가진다. 주장대부(80)는, 메인 블랭크이다. 주장대부(80)에, 릴 시트(2)가 장착되고, 또한, 외측 가이드의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낚시줄 가이드가 장착된다. 주장대부(80)는, 릴 시트(2)보다도 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주장대부(80)는, 낚싯대의 초리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주장대부(80)의 전측에 하나 또는 복수의 중공 혹은 중실의 장대가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주장대부(80)는, 원통상이다. 주장대부(80)는, 제5 본체부(82)와 제2 장착부(83)와 제3 본체부(84)를 가진다. 제5 본체부(82)는, 릴 시트(2)보다도 전측에 위치한다. 제5 본체부(82)는, 제3 장대(13)의 주장대부(80)의 전체 길이 중 릴 시트(2)보다도 전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이다. 제5 본체부(82)는, 주장대부(80)의 주요부이다. 제5 본체부(82)는, 바람직하게는 주장대부(80)의 전단부를 가진다. 제5 본체부(82)는,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고 있다.
제2 장착부(83)는, 제5 본체부(82)의 후측으로 연속하고, 제5 본체부(8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장착부(83)에 릴 시트 본체(40)가 장착된다. 제2 장착부(83)는, 제3 장대(13)의 주장대부(80)의 전체 길이 중 릴 시트 본체(4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제2 장착부(83)는, 스트레이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본체부(84)는, 제2 장착부(83)의 후측으로 연속하고, 제2 장착부(8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3 본체부(84)는, 원통상이다. 제3 본체부(84)는, 제2 장착부(83)의 후측으로 연속하고 있다. 제3 본체부(84)는, 제3 장대(13)의 주장대부(80)의 전체 길이 중 릴 시트 본체(40)로부터 후측으로 돌출한 부분이고 또한 제2 그립부(81)의 후단부까지의 범위이다.
제2 그립부(81)는, 제3 본체부(84)의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그립부(81)는, 중공이고, 제3 본체부(84)보다도 대경이다. 제2 그립부(81)는, 제3 본체부(84)의 전체 길이를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제2 그립부(81)는, 그 후단부에 있어서 제3 본체부(84)의 외주면과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제2 그립부(81)의 후단부의 내주면이 제3 본체부(84)의 후단부의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그립부(81)의 내주면은, 제2 그립부(81)의 후단부를 제외하여, 제3 본체부(84)의 외주면에 대하여 경방향 외측으로 이간하고 있다. 제2 그립부(81)와 제3 본체부(84)에 의하여, 제3 장대(13)는, 부분적으로 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다. 제2 그립부(81)는, 전측을 향하여 확경하고 있다. 제2 그립부(81)의 내주면과 제3 본체부(8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환상의 제4 공간(64)이 설치된다. 제2 그립부(81)는, 그 전단부에, 전측으로 개구하는 개구 단부(81a)를 가진다. 개구 단부(81a)는, 제3 본체부(84)에 대하여 경방향 외측으로 이간하고 있다. 제2 그립부(81)의 개구 단부(81a)는, 릴 시트 본체(40)의 후단부의 후측으로 대향하고 있다. 제2 그립부(81)의 전단부는 개구하고, 제2 그립부(81)의 후단부는 닫혀 있다.
릴 시트(2)는, 제2 그립부(81)의 전단부의 내주면을 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진다. 지지부는, 릴 시트 본체(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릴 시트 본체(40)와는 별체의 구성이다. 지지부는, 제2 그립부(81)를 전체 둘레에 걸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7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릴 시트(2)는, 연결통(90)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통(90)은, 릴 시트 본체(40)와는 별체이다. 릴 시트 본체(40)의 후단부에는, 후단면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정되는 환상 오목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 오목부(100)는, 트리거(59)의 경방향 내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과 함께, 고정 후드(51)의 경방향 내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릴 시트 본체(40)의 후단부는, 환상 오목부(100)의 외측에 설치된 외통부(101)와, 환상 오목부(100)의 내측에 설치된 내통부(102)를 가진다. 내통부(102)는, 외통부(101)보다도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통(90)은, 제1 취부 통부(91)와, 제2 취부 통부(92)와, 지지부로서의 지지 통부(93)와, 격벽부(94)를 가진다. 제1 취부 통부(91)는, 그 내주면이 릴 시트 본체(40)의 내통부(102)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제1 취부 통부(91)는, 격벽부(94)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취부 통부(92)는, 그 외주면이 릴 시트 본체(40)의 외통부(101)의 내주면에 취부된다. 제2 취부 통부(92)는, 격벽부(94)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 통부(93)는, 제2 그립부(81)의 전단부의 내주면에 취부되어 제2 그립부(81)의 전단부를 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 통부(93)의 외주면이 제2 그립부(81)의 내주면에 경방향으로 겹친다. 지지 통부(93)는, 격벽부(94)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 통부(93)는, 제1 취부 통부(91)보다도 대경이고, 제1 취부 통부(91)에 대하여 경방향 외측으로 이간하고 있다. 지지 통부(93)는, 제1 취부 통부(91)보다도 길고, 제1 취부 통부(91)보다도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격벽부(94)는, 릴 시트 본체(40)와 제2 그립부(81)의 사이에 위치한다. 격벽부(94)는, 릴 시트 본체(40)의 외통부(101)의 후단면과 제2 그립부(81)의 전단면에 의하여 전후로 끼워 넣어진다. 연결통(90) 중, 격벽부(94)의 외주면만이 외부로 노출한다. 연결통(90)에 의하여, 제2 장착부(83) 및 제3 본체부(84)의 경방향 외측에 있어서, 릴 시트 본체(40)와 제2 그립부(81)가 전후로 연결된다.
도 28과 같이, 장대 본체(1)는, 제4 장대(14)를 구비한다. 제4 장대(14)는, 제3 장대(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장대(13)와 제4 장대(14)는, 전후로 연속하고 있어, 1개의 장대 관을 구성하고 있다. 주장대부(80)가 제2 그립부(81)의 후단부보다도 후측으로 연신되고, 그 연신부가 제4 장대(14)를 구성하고 있다.
제4 장대(14)는, 제2 연결부(110)와 제4 본체부(111)를 가진다. 제2 연결부(110)는, 제3 본체부(84)의 후측으로 연속하는 부분이다. 제2 연결부(110)는, 제3 본체부(84)의 후측으로 연속하고, 제3 본체부(84)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29와 같이 제2 연결부(110)에는, 후육부(厚肉部)(11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육부(114)는, 제2 그립부(81)의 후단부의 직후에 위치한다. 후육부(114)는 환상이고, 즉,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육부(114)의 두께는, 제3 본체부(84)의 두께보다도 두껍고, 제4 본체부(111)의 두께, 특히는 후술의 제4 본체 주부(112)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덧붙여, 후육부(114)는, 제2 그립부(81)의 후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후육부(114)를 설치하면, 제2 그립부(81)와 제3 본체부(84)와의 접합 개소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후육부(114)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3 본체부(84)로부터 제4 장대(14)에 걸쳐, 카본 섬유 등의 강화 섬유가 사행(蛇行)하기 어려워지고, 강도가 안정된다.
제4 본체부(111)는, 제2 연결부(110)의 후측으로 연속하고 있다. 제4 본체부(111)는, 상술의 제2 본체부(33)와 마찬가지의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제4 본체부(111)는, 그 후단부까지 스트레이트 형상이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 후부 소정 길이 영역에 제4 그립부(113)를 일체로 가지는 구성이다. 즉, 제4 본체부(111)는, 제4 본체 주부(112)와 제4 그립부(113)로 구성된다. 제4 본체 주부(112)는, 제4 본체부(111)의 전부를 구성하고, 제4 그립부(113)는, 제4 본체부(111)의 후부를 구성한다. 제4 본체 주부(112)는, 제3 본체부(84)의 후측으로 연속한다. 제4 본체 주부(112)는, 스트레이트 형상이지만,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제4 그립부(113)는, 제4 본체부(1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4 그립부(113)는, 제4 본체 주부(112)의 후측에 인접하고 있다. 제4 그립부(113)는, 제4 본체 주부(112)의 구배보다도 큰 구배로 후측을 향하여 확경하고 있다. 제4 그립부(113)는, 제4 본체 주부(112)보다도 대경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4 본체 주부(112)의 후단부보다도 대경이다. 제4 그립부(113)의 단면 형상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형상이지만, 비원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4 그립부(113)가 제4 본체부(111)에 일체로 설치되고, 즉, 장대 본체(1)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지만, 제4 그립부(113)가 장대 본체(1)와는 별체의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제4 그립부(113)의 후단부에 뒷마개(3)가 장착되어 있다.
도 30에 장대 본체(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30 (a)와 같이, 주장대 관(120)을 형성한다. 덧붙여, 주장대 관(120)에는 다수의 도트(dot)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주장대 관(120)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제1 맨드릴에 프리프레그(prepreg)를 권회(卷回)하고, 가열 소성(燒成)한 후, 제1 맨드릴을 뽑아, 주장대 관(120)을 형성한다. 주장대 관(120)에 의하여, 제3 장대(13)의 주장대부(80)와 제4 장대(14)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30 (b), (c)와 같이, 주장대 관(120)의 외주면에 제2 맨드릴(121)을 장착한다. 그리고, 제2 맨드릴(121)에 프리프레그를 권회하고, 가열 소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2 그립부(81)를 주장대 관(12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한다. 그 후, 도 30 (d)와 같이, 제2 그립부(81)로부터 제2 맨드릴(121)을 전측으로 뽑아낸다. 이것에 의하여 장대 본체(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릴 시트(2)의 직후에 위치하는 제2 그립부(81)가 메인 블랭크인 주장대부(8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그립부(81)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불필요하게 되고 경량화할 수 있다. 게다가, 주장대부(80)를 따라 전해지는 진동이, 접착제층에 의하여 감쇠하는 것 없이, 주장대부(80)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 그립부(81)로 순조롭게 또한 고감도로 전달된다. 제2 그립부(81)는 릴 시트(2)의 직후에 위치하고 있다. 릴 시트(2)의 트리거(59)에 손가락을 걸어 릴 시트(2)를 파지하면, 그 손바닥이 제2 그립부(81)에 당접한다. 즉, 제2 그립부(81)는 릴 시트(2)와 함께 일체로 파지된다. 그 때문에, 제2 그립부(81)로부터 순조롭게 손바닥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에 의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손바닥으로 캐치할 수 있고, 신속하게 후킹(hooking)에 들어갈 수 있다. 게다가, 제2 그립부(81)의 경방향 내측이 공동이고 제4 공간(6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3 본체부(84)를 전달하는 진동이 제4 공간(64)에서 공명하고, 그것에 의하여 제2 그립부(81)도 크게 진동하게 된다. 특히, 제4 공간(64)의 단면적이 전측을 향하여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혼 효과에 의하여 전측으로 진동이 증폭되어, 제2 그립부(81)의 특히 전부를 파지하고 있는 손에 효과적으로 진동이 전달되게 된다.
한편, 주장대부(80)와 제2 그립부(81)가 이중관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3 본체부(84)로부터 제4 장대(14)로 순조롭게 진동이 전달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4 장대(14)가 제3 본체부(84)와 연속하고 있어 1개의 장대 관을 구성해 있기 때문에, 진동이 순조롭게 제4 장대(14)에 전달된다. 또한, 제4 장대(14)에 제4 그립부(1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4 그립부(113)에도 제3 장대(13)로부터 다이렉트로 진동이 전달된다.
또한, 제3 장대(13)와 제4 장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장대(13)의 외주면이나 내주면에 제4 장대(14)가 접착 고정된 구성에 비하여, 제4 장대(14)를 구부러지기 쉽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 장대(14)를 구부러지기 쉽게 설정하면, 예를 들어 지깅(jigging) 시에, 제4 장대(14)가 적도(適度)로 휘어, 고패질 조작이 행하기 쉬워진다. 제4 장대(14)가 적도로 휘는 것으로, 낚싯대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낚시꾼의 부담이 경감된다.
<제7 실시 형태>
도 31 및 도 32에,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대의 장대 본체(1)를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3 장대(13)와 제4 장대(14)는 서로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4 장대(14)는, 제3 장대(13)의 후측에 접속되어 있다. 제4 장대(14)의 전단부의 외주면이, 제3 장대(13)의 후단부의 내주면에 접착에 의하여 접속된다. 즉, 제4 본체의 제2 연결부(110)의 외주면이, 제3 장대(13)의 제3 본체부(84)의 내주면에 연결된다.
<제8 실시 형태>
덧붙여, 도 33과 같이, 릴 시트(2)(릴 시트 본체(40))의 전측에 제1 그립부(21)를 위치시켜도 무방하다. 제1 그립부(21)는,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그립부(81)와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된다. 이 낚싯대는, 스피닝 릴의 장착에 적합하다. 제1 그립부(21)의 후단 개구부는, 후측으로 개구하고 있어, 릴 시트 본체(40)의 전단부와 대향하고 있다. 제1 그립부(21)는, 제1 장대(11)에 일체로 설치되고, 제1 본체부(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9 실시 형태>
도 34 내지 도 36에,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대를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낚싯대와는, 연장부(24) 및 릴 시트(2)의 구성이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장부(24)는, 제1 지지부(131)를 가진다. 제1 지지부(131)는, 연장부(24)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연장부(24)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다.
릴 시트(2)는, 제2 지지부(132)와 제3 지지부(133)를 가진다. 도 34와 같이, 제2 지지부(132)와 제3 지지부(133)는, 릴 시트 본체(4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부(132)와 제3 지지부(133)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지만,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제2 지지부(132)는, 제3 지지부(133)보다도 경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제2 지지부(132)와 제3 지지부(133)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서로 경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제2 지지부(132)는, 경계 오목부(58)의 경방향 외측에 설치되고, 경계 오목부(58)의 경방향 외측의 벽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2 지지부(132)는, 전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3 지지부(133)는, 제2 지지부(132)에 대하여, 경방향 외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제3 지지부(133)는, 전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2 지지부(132)와 제3 지지부(133)의 경방향의 사이의 간극(間隙)은, 계합 오목부(134)를 구성한다. 도 35 및 도 36과 같이, 계합 오목부(134)에, 연장부(24)의 제1 지지부(131)가 후측을 향하여 걸리게 하여 삽입한다. 계합 오목부(134)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즉, 환상의 홈이다. 계합 오목부(134)는, 전측으로 개구하고, 후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다. 계합 오목부(134)의 경방향의 치수는, 제1 지지부(131)의 두께에 대응하고 있다. 제2 지지부(132)는, 계합 오목부(134)에 걸리게 하여 삽입된 제1 지지부(131)를 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제3 지지부(133)는, 제1 지지부(131)를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즉, 제2 지지부(132)와 제3 지지부(133)는, 제1 지지부(131)를 경방향으로 협지한다.
이와 같이, 제1 지지부(131)가 제2 지지부(132)와 제3 지지부(133)에 의하여 경방향 양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부(24)와 릴 시트 본체(40)가 단단히 안정되어 결합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제1 장대(11)가 만일 크게 구부러졌다고 하여도, 연장부(24)와 릴 시트(2)가 이간하지 않고 강고한 결합 상태가 확보된다. 특히, 제2 지지부(132)와 제3 지지부(133)가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장대(11)가 어느 방향으로 구부러져도 제1 지지부(131)가 단단히 지지된다. 또한, 제2 지지부(132)와 제3 지지부(133)가 서로 둘레 방향으로 이간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제2 지지부(132)와 제3 지지부(133)가 서로 경방향으로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지지부(131)가 보다 한층 확실히 지지된다.
덧붙여, 제2 지지부(132)와 제3 지지부(133)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여도 무방하고, 서로 달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132)보다도 제3 지지부(133)의 쪽이, 전후 방향의 길이가 길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35에 있어서는, 제3 지지부(133)의 외주면과 연장부(2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단차가 생기고 있지만, 이 단차를 없애도록, 제3 지지부(133)의 외주면이 연장부(24)의 외주면과 대략 동일면으로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나아가, 제3 지지부(133)가 릴 시트 본체(4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었지만, 릴 시트 본체(40)와는 별체의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3 지지부(133)가 릴 시트 본체(40)와는 별체로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링 형상의 제3 지지부(133)가 릴 시트 본체(40)의 외주면에 접착 고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1: 장대 본체
2: 릴 시트
3: 뒷마개
11: 제1 장대
12: 제2 장대
13: 제3 장대
14: 제4 장대
15: 후 장대
16: 접속 장대
20: 제1 본체부
21: 제1 그립부
22: 제3 연결부
23: 그립 주부
24: 연장부
25: 환상부
26: 만곡편부
26a: 정상부
26b: 양 단부
27: 제2 중합부
30: 제1 연결부
31: 삽통부
32: 제1 장착부
33: 제2 본체부
34: 제2 본체 주부
35: 제3 그립부
40: 릴 시트 본체
41: 가동 후드
42: 고정 너트
43: 스페이서
50: 다리 재치부
51: 고정 후드(후드)
52: 수나사부
53: 주통부
54: 연신 통부
55: 경계부
56: 단차부
57: 제1 중합부
58: 경계 오목부
59: 트리거
61: 제1 공간
62: 제2 공간
63: 제3 공간
64: 제4 공간
71: 제1 이음 결합부
72: 제2 이음 결합부
80: 주장대부
81: 제2 그립부
81a: 개구 단부
82: 제5 본체부
83: 제2 장착부
84: 제3 본체부
90: 연결통
91: 제1 취부 통부
92: 제2 취부 통부
93: 지지 통부
94: 격벽부
100: 환상 오목부
101: 외통부
102: 내통부
110: 제2 연결부
111: 제4 본체부
112: 제4 본체 주부
113: 제4 그립부
114: 후육부
120: 주장대 관
121: 제2 맨드릴
131: 제1 지지부
132: 제2 지지부
133: 제3 지지부
134: 계합 오목부
200: 릴의 다리
201: 다리의 전단부
202: 다리의 후단부
300: 모지구
301: 엄지손가락
302: 집게손가락
303: 가운뎃손가락
304: 약손가락
305: 새끼손가락

Claims (13)

  1. 낚시용 릴이 취부(取付)되는 릴 시트와,
    상기 릴 시트보다도 장대 초리 쪽에 설치되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릴 시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1 본체부와 일체(一體)로 설치되는 제1 그립부를 가지는, 중공(中空)의 제1 장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내주면(內周面)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그립부의 경(徑)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에 설치되는 삽통부(揷通部), 및, 외주면(外周面)에 상기 릴 시트가 장착되도록 상기 삽통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에 설치되는 제1 장착부를 가지는 제2 장대
    를 구비하는,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의 내주면과 상기 삽통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제1 공간이 설치되는, 낚싯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는,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확경(擴徑)하는, 낚싯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는, 상기 릴 시트의 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릴 시트의 장대 초리 쪽의 단부(端部)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낚싯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릴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연장부와 상기 릴 시트와의 사이에는, 상기 릴 시트의 경방향 외측에 상기 제1 공간과 연속하는 제2 공간이 설치되는, 낚싯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릴 시트는, 서로 둘레 방향으로 떨어져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중합부를 가지고,
    상기 연장부는, 둘레 방향의 양 단부에, 상기 한 쌍의 제1 중합부에 상기 릴 시트의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겹치는 한 쌍의 제2 중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한 쌍의 제1 중합부의 사이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릴 시트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낚싯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소정의 둘레 방향 길이를 가지고,
    상기 둘레 방향 길이는,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짧아지는, 낚싯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릴 시트는, 상기 낚시용 릴의 다리가 재치(載置)되는 다리 재치부를 가지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다리 재치부에 대하여, 상기 릴 시트의 경방향 반대 측에 위치하는, 낚싯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릴 시트는, 상기 다리 재치부보다도 장대 초리 쪽에 상기 다리의 장대 초리 쪽의 단부를 보지(保持)하는 후드를 가지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후드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으로 연장되는, 낚싯대.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는, 상기 릴 시트의 장대 초리 쪽의 단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으로 연장되고,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릴 시트는, 상기 제1 지지부를 상기 릴 시트의 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를 상기 릴 시트의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제3 지지부를 가지는, 낚싯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대는, 상기 제1 장착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에 설치되는 제2 본체부를 더 가지는, 낚싯대.
  12. 낚시용 릴이 취부되는 릴 시트와,
    외주면에 상기 릴 시트가 장착되는 제2 장착부, 상기 제2 장착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에 설치되는 제3 본체부, 및, 상기 제3 본체부의 외주면과 일체로 설치되는 중공의 제2 그립부를 가지는, 제3 장대와,
    상기 제3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에 설치되는 제4 본체부를 가지는, 제4 장대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제2 그립부의 장대 초리 쪽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제3 본체부의 경방향 외측으로 이간(離間)하는 개구(開口) 단부를 가지는, 낚싯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장대와 상기 제4 장대는 일체로 형성되는, 낚싯대.
KR1020230089889A 2022-10-17 2023-07-11 낚싯대 KR202400535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66194 2022-10-17
JP2022166194 2022-10-17
JPJP-P-2023-004621 2023-01-16
JP2023004621A JP2024059060A (ja) 2022-10-17 2023-01-16 釣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518A true KR20240053518A (ko) 2024-04-24

Family

ID=9088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889A KR20240053518A (ko) 2022-10-17 2023-07-11 낚싯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351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9020A (ja) 2016-05-23 2017-11-3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装飾キャップを備えたリールシート
JP2022085176A (ja) 2020-11-27 2022-06-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9020A (ja) 2016-05-23 2017-11-3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装飾キャップを備えたリールシート
JP2022085176A (ja) 2020-11-27 2022-06-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8786A (ko) 낚싯대
KR102620330B1 (ko) 낚싯대
KR20240053518A (ko) 낚싯대
JP2009039011A (ja) 船竿用の穂先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050745A (ja) 釣竿
JP2013094090A (ja) 釣竿
JP5525941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CN117898266A (zh) 钓竿
JP2024059060A (ja) 釣竿
JP5570178B2 (ja) 釣り竿
US10383319B2 (en) Casting rod and method of fabricating tip rod of casting rod
JP2003102344A (ja) 穂先竿
EP0880891B1 (en) Fishing rod
CN112806334A (zh) 钓竿
KR100902558B1 (ko) 릴 시트
JP5199027B2 (ja) 釣竿
JP6578235B2 (ja) 改善された魚信伝達性を有するグリップ及び当該グリップを備えた釣竿
KR20030084679A (ko) 낚싯대
JP4052448B2 (ja) 釣竿
JP3925913B2 (ja) 釣竿
KR20240036444A (ko)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JP2004129569A (ja) 釣竿及び釣竿用尻栓
JP2011211906A (ja) 釣竿
JP6694361B2 (ja) 釣竿
JP2004016032A (ja) 釣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