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430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430B1
KR100821430B1 KR1020050069934A KR20050069934A KR100821430B1 KR 100821430 B1 KR100821430 B1 KR 100821430B1 KR 1020050069934 A KR1020050069934 A KR 1020050069934A KR 20050069934 A KR20050069934 A KR 20050069934A KR 100821430 B1 KR100821430 B1 KR 100821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extension
socket
flat wiring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979A (ko
Inventor
야스히로 오노
아키요시 오시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Publication of KR20060048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bstract

소켓 바디에 제1 방향으로 긴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 컨택트가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플러그 바디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리세스 내로 끼워지게 되어 있다. 플러그 바디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에 갭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는, 제1 부재가 홈 내에 배치되고 제2 부재가 플러그 바디의 측벽의 외면에 배치되어 소켓 컨택트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평탄형 배선 부재는 복수의 단자가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단부 부분을 구비하며, 이 단부 부분은 각각의 단자가 플러그 컨택트 중 하나의 제1 부재에 대향하도록 제2 방향으로 상기 홈 내로 삽입된다. 가압 부재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를 구비하며, 이 수직 연장부가 상기 홈 내로 삽입되도록 플러그 바디에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평탄형 배선 부재의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가압한다.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상기 제3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어서, 상기 평탄형 배선 부재의 단부 부분, 상기 가압 부재의 수직 연장부 및 플러그 바디의 측벽이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클램핑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부재의 사시도로서, 평탄형 배선 부재가 플러그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며,
도 2는 전기 커넥터의 소켓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플러그 부재의 플러그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선 ⅢB-Ⅲ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플러그 부재의 플러그 컨택트의 사시도이고,
도 5a는 플러그 부재의 가압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선 ⅤB-Ⅴ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소켓 부재의 소켓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소켓 부재의 소켓 컨택트의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소켓 부재의 플러그 리테이너의 사시도이고,
도 9a는 평탄형 배선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9b는 평탄형 배선 부재의 저면도이고,
도 9c는 도 9b의 선 Ⅸ-Ⅸ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평탄형 배선 부재의 단면도로서, 평탄형 배선 부재가 연화 영역에서 절곡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11은 플러그 컨택트가 플러그 바디 상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a는 평탄형 배선 부재가 플러그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선 ⅦB-ⅦB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소켓 컨택트가 소켓 바디 상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FPC가 접속되어 있는 플러그 부재가 소켓 부재에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플러그 부재의 가압 부재가 소켓 부재의 플러그 리테이너에 끼워져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6a는 평탄형 배선 부재의 다른 예의 저면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평탄형 배선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6c는 도 16b의 선 ⅩⅥC-ⅩⅥ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 부재
4 : 소켓 부재
7, 9 : 평탄형 배선 부재(FPC)
10: 플러그 바디
20 : 플러그 컨택트
30 : 가압 부재
31 : 수직 연장부
32 : 측방향 연장부
40 : 소켓 바디
50 : 소켓 컨택트
75, 95 : 도전체 패턴
76, 96 : 도전체층
77, 97 : 연화 영역
본 발명은, (단부에 복수의 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 인쇄 배선 기판 및 플렉시블 평탄 케이블과 같은) 플렉시블 평탄 배선 부재를 인쇄 회로 기판이나 플렉시블 인쇄 배선 기판과 같은 회로 기판에 접속하기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소형화나 박형화가 진행하고 있는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얇고 가요성이 있으며 작은 피치로 도전체가 마련될 수 있는 평탄형 배선 부재(이하에서는 "FPC"라 칭함)가 배선 부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FPC를 인쇄 회로 기판(인쇄 배선 기판)과 같은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하나의 종래 기술의 방법에 따르면, 회로 기판상에 소켓 부재가 장착되고, FPC의 단 자부가 플러그 부재에 납땜되며, 이 플러그 부재는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소켓 부재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FPC를 납땜하는 데에 많은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므로,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개평 07-22127호 공보는 납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FPC와 플러그 부재를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 공보에 개시된 구조는, 대략 역전된 L 형상의 횡단면 또는 T 형상의 횡단면을 형성하도록 측방향 연장부와 수직 연장부를 갖는 플러그 부재와, 수직 연장부의 각 측면과 측방향 연장부의 하면에 대하여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는 플러그 컨택트 핀과, 플러그 부재의 측방향 연장부에 대하여 대향 관계로 배치된 플러그 커버를 구비한다. 플러그 부재의 수직 연장부가 소켓 부재 내로 삽입되고, FPC의 단자부는 플러그 부재의 측방향 연장부와 플러그 커버 사이에 유지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플러그 부재의 측방향 연장부는 플러그 컨택트 핀의 측방향 연장부의 대략 V 형상의 접촉부를 가압한다. 플러그 컨택트 핀의 측방향 연장부는 FPC의 단자부와 가압-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 컨택트 핀을 FPC의 단자부에 접속하는 작업은 납땜 작업과 같이 성가신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일본 특개평 08-195256A 및 09-283237A은 FPC의 단자부를 납땜할 필요 없이 전기 접속시킬 수 있는 다른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예에 따르면, 각 컨택트 핀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FPC의 단자부가 상기 간극에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가압 부재가 버팀대로서 기능하는 간극의 한쪽 측부를 중심으로 피벗되게 동작하 며, 그에 따라 단자부는 간극의 다른쪽 측부의 내면을 향하여 편향되고, 그 내면에 대하여 압박된다.
보다 컴팩트한 구조 및 고밀도의 구조로 형성되고 있는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이들 전자기기 내의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회로 기판을 FPC에 접속하는 구조를 보다 얇은(높이가 낮은) 구조 및 다극 구조(즉, FPC의 단자의 수를 증가시킨 구조)로 할 것이 점점더 요구되고 있다. 자연적으로, 이러한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고, 또한 심지어 다극 구조를 갖는 접속 구조도 얇은 구조의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일본 특개평 07-22127A에 개시된 예에 따르면, FPC와 플러그 부재의 접속(전기 접속)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플러그 컨택트 핀의 측방향 연장부의 대략 V형 접촉부의 탄성 변형의 결과로서 발생된 특정의 가압-접촉력(유지력)을 접속부에 부여할 필요가 있다. 소켓 컨택트 핀의 수와, 이에 대응하는 플러그 컨택트 핀의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즉, 다극 구조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모든 플러그 컨택트 핀에 의해 발생된 커넥터의 전체 가압-접촉력을 플러그 컨택트 핀의 수에 비례하여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극 형태에 있어서 전체 가압-접촉력이 증가하게 되면, 다극 구조의 결과로서 플러그 컨택트 핀의 배열 방향으로 보다 길게 되는 플러그 부재의 측방향 연장부에 작용하는 응력의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측방향 연장부는 전체 가압-접촉력의 반력을 받게 되며, 그 결과 뒤틀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플러그 커버와 유지 결합되는 플러그 부재의 부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방향 연장부의 중간 부분이 상승한다. 따라서, 플러그 컨택트 핀의 측방향 연장부에 인가되는, 플러그 부재의 측방향 연장부의 가압력이 감소하고, 이로써 가압-접촉에 의해 얻어지는 전기 접속이 불안정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는 간단한 방법은 플러그 부재의 측방향 연장부의 두께(즉, 측방향 연장부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측방향 연장부의 두께가 증가하면, 수직 방향으로 플러그 부재의 사이즈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기 커넥터가 전술한 얇은 구조의 요건을 만족시키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플러그 부재의 측방향 연장부와 플러그 커버 사이에 유지된 FPC에 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에 FPC가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능력은 일정한 마찰 계수와 상기 가압 접촉력을 곱함으로써 얻어지는 유지부의 마찰력과 상관 관계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수직 방향으로 플러그 부재의 측방향 연장부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상기 얇은 구조 요건을 만족시키는 데에 유리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플러그 부재의 측방향 연장부가 얇게 제조되면, 이 측방향 연장부의 강성이 낮아지고, FPC의 단자부와 가압-접촉하도록 플러그 컨택트 핀의 접촉부를 하향 유지하는 데 필요한 힘뿐 아니라, 이 힘과 관련한 마찰력이 감소한다. 감소된 마찰력은 FPC 유지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며, 접속 위치를 이탈하는 것과, FPC가 우발적으로 빠지는 것과 같이 접속 신뢰성에 악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얇은 구조를 갖고 접속 신뢰성이 우수한 다극 FPC 접속용 전기 커넥터를 구현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일본 특개평 08-195256A와 09-283237A에 개시된 예에 따르면, FPC의 단자부 는 버팀대로서 기능하는 간극의 한쪽 측부를 중심으로 피벗되는 가압 부재에 의해 인가된 힘에 의해 각 컨택트 핀의 간격의 다른쪽 측부의 내면에 대하여 맞닿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부를 컨택트 핀에 대하여 맞닿게 하는 힘은 특개평 07-22127A에 개시된 예에서와 같이 단자부의 배열 위치에 따라 변경되지 않는다. 그러나, 심지어 이들 예에서도, FPC 유지 능력이 단지 FPC의 단자부를 파지하는 힘에 대응하는 마찰력에만 의존하므로, 전체적으로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FPC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얇은 구조에도 불구하고 접속 신뢰성이 높은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방향으로 긴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는 소켓 바디와,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를 구비하는 소켓 부재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상기 리세스 내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플러그 부재로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 바디와, 사이에 갭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컨택트는, 제1 부재가 홈 내에 배치되고 제2 부재가 플러그 바디의 측벽의 외면에 배치되어 소켓 컨택트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인 플러그 부재와,
복수의 단자가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단부 부분을 구비하며, 이 단부 부분은 각각의 단자가 플러그 컨택트 중 하나의 제1 부재에 대향하도록 제2 방향으로 상기 홈 내로 삽입되는 것인 평탄형 배선 부재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를 구비하며, 이 수직 연장부가 상기 홈 내로 삽입되도록 플러그 바디에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평탄형 배선 부재의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인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상기 제3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어서, 상기 평탄형 배선 부재의 단부 부분, 상기 가압 부재의 수직 연장부 및 플러그 바디의 측벽이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클램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부재는 이 가압 부재의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연속해서 있고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연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평탄형 배선 부재는 이 배선 부재의 상기 단부 부분에 연속해서 있고 상기 가압 부재의 측방향 연장부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 부재는 도전성 부재이고,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측방향 연장부로부터 연속해서 있는 연장편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부재는, 플러그 부재가 소켓 부재에 끼워질 때에 가압 부재의 연장편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도전성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평탄형 배선 부재는 단자가 배열되어 있는 제1 측부와, 상기 가압 부재에 대향하며 상기 평탄형 배선 부재의 상기 단부 부분 및 연장부에 형성된 도전층을 포함하는 제2 측부를 갖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평탄형 배선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이 영역에서 도전층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7)가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 부재(1)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긴 플러그 바디(10)와, 이 플러그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예정된 피치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20)와, 양단 부분(33)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연장편(34)을 포함하며 FPC(7)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플러그 바디(10)의 상측에 부착되어 있는 가압 부재(30)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부재(4)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긴 소켓 바디(40)와, 플러그 부재(1)의 플러그 컨택트(20)의 배치와 상응하는 관계로 소켓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예정된 피치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50)와, 가압 부재(30)의 연장편(34)과 각각 대응하도록 소켓 바디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플러그 리테이너(60)를 구비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바디(10)에 형성되어 있는 홈(11)은 그 플러그 바디의 양단 근처의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홈(11)은 이 홈(11)의 바닥(15)을 상측으로부터 볼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되어 있다. 플러그 컨택트(20)를 예정된 피치로 배치하기 위한 위치 결정용 홈(14)이 플러그 바디(10)의 외면(13) 및 내벽(12)에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컨택트(20)는 도전성 및 스프링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으로부터 블랭킹 가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20)는 제1 부재(22), 제2 부재(23) 및 제3 부재(26)를 연결하는 빔부(21)를 포함한다. 제1 부재(22)와 제2 부재(23)의 말단에는 각각 돌기(24, 25)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24, 25)를 서로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제1 부재(22)와 제2 부재(23)는 서로 멀어지게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2개의 부재(22, 23)를 서로를 향해 각각 압박하는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가압 부재(30)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 박판의 편(片)을 블랭킹 가공하고, 이것을 예정된 형상으로 벤딩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30)는 측방향 연장부(32)와, 내면(37)의 수직면(38) 및 수평면(39)이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측방향 연장부(32)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31)를 구비한다. 수직 연장부(31)의 길이는 플러그 바디(10)의 홈(11)의 길이보다 약간 작다. 윈도우(36)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연장편(34)이 측방향 연장부(32)의 양단 부분(33)으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재(1)의 하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소켓 바디(40)에 형성되어 있는 긴 리세스는 이 리세스의 바닥(42)을 상측으로부터 볼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되어 있다. 플러그 컨택트(20)의 배열 피치와 대응하는 예정된 피치로 소켓 컨택트(50)를 배열하기 위한 위치 결정용 홈(44)이 긴 리세스(41)의 내면(43)에 형성되어 있다. 소켓 바디(40)의 양단에는 각각 장착 홈(45)이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 리테이너(60)가 이들 장착 홈(45)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소켓 컨택트(50)는 도전성 및 스프링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으로부터 블랭킹 가공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컨택트(50)는 탄성편(51)과 측방향 연 장 테일(52; tail)을 구비한다. 소켓 부재(4)가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테일(52)은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에 연결 및 고정된다.
플러그 리테이너(60)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 박판의 편을 블랭킹 가공하고, 이것을 예정된 형상으로 벤딩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리테이너(60)는 한 쌍의 대향하는 유지편(62)과 측방향 연장 테일(61)을 구비한다. 소켓 부재(4)가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있을 때, 테일(61)은 납땜 등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 및 고정된다(필요에 따라서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유지편(62) 사이의 거리는, 플러그 부재가 소켓 부재 내로 삽입되어 끼워질 때에 이들 유지편이 가압 부재(30)의 연장편(34)과 맞물릴 수 있도록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연장편(34)은 유지편(62)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7)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구성된 베이스층(78)과, 절연 재료로 제조된 커버층(79)과, 구리 포일로 구성된 도전체층을 포함한다.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도전체 패턴(75)이 FPC(7)의 단부 부분(71)의 제1 측부(73)에 형성되어 있고, 이 도전체 패턴은 플러그 부재(1)의 플러그 컨택트(20)의 배열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되어 있으며, 도전체층(76)은 실질적으로 그 전체 영역에 걸쳐서 제2 측부(74)에 적층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 부분(71)과 연장부(72) 사이에서 제2 측부(74)에 형성되어 있는 연화 영역(77)은 단부 부분(71)의 폭 방향(즉, 도 9b의 측방향)으로 대략 선형으로 연장된다. 연화 영역(77)에는, 도전체층의 도전성을 유지하면서 도전체층(76)을 관통하는 복수의 작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전체층(76)을 부분적으로 제거한다. 구리 포일 형성 영역이 작아서 연화로 인한 경도의 영향이 작기 때문에, 단부 부분(71)과 연장부(72)에 비하여 연화 영역(77)에서 FPC를 보다 쉽게 구부릴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7)는, 단부 부분(71)과 연장부(72)가 서로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벤딩부(82)로부터 FPC(7)의 말단(81)에 이르는 길이가 플러그 바디(10)의 홈(11)의 깊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는 방식으로 연화 영역(77)의 대략 중앙부에서 구부러져서 벤딩부(82)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벤딩부(82)는 FPC(7)의 임의의 부분에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20)는 플러그 바디의 측벽으로부터 플러그 바디(10)에 부착되어 있고, 그 결과 제1 부재(22)의 돌기(24)는 홈(11)의 제1 내벽(12)으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제2 부재(23)는 외면(13)으로부터 일부(25)가 노출되는 방식으로 위치 결정용 홈(14)에 의해 안내되며, 제2 부재(23)의 돌기(25)와 제3 부재(26)의 돌기(27)는 플러그 바디(10)를 클램핑한다. 이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돌기(24)와 제2 내벽(17) 사이의 거리(또는 간격)는 FPC(7)의 단부 부분(71)의 두께와 가압 부재(30)의 수직 연장부(31)의 두께의 합보다 약간 작다. 제1 부재(22)는 빔부(21)의 스프링 기능 때문에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7)의 단부 부분(71)은 홈의 상측으로부터 홈(11) 내로 삽입되고, 바닥(15)을 향하여 안내된다. 또한, 가압 부재(30)의 수직 연장부(31)는 홈의 상측으로부터 홈(11) 내로 삽입되고, 바닥(15)을 향하여 안내된다. 단부 부분(71)의 제2 측부(74)와 홈(11)의 제2 내벽(17) 사이의 간극에 삽입된 수직 연장부(31)는 플러그 컨택트(20)의 제1 부재(22)를 단부 부분(71)과 함께 측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단부 부분(71)은, 빔부(21)의 탄성 스프링 기능으로부터 유도된 제2 부재(23)의 압박력의 도움으로 수직 연장부(31)와 제1 부재(22) 사이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단부 부분(71)에 형성된 도전체 패턴(75)은 납땜 없이 플러그 컨택트(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단부 부분(71)에 형성된 도전체층(76)은 납땜 없이 가압 부재(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FPC(7)의 단부 부분(71)은 삽입된 수직 연장부(31)에 의해 각 플러그 컨택트(20)의 제1 부재(22)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가압력의 증대에 대처하기 위하여 측방향 연장부(32)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부재(1)의 두께(수직 방향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측방향 연장부(32)가 연장부(72)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장부(32)가 도 12b의 상측 방향으로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홈(11) 내에 삽입되어 있고, 단부 부분(71)과 연장부(72)가 가압 부재(30)의 내면에 대하여 인접하는 관계로 배치되도록 연화 영역(77)에서 구부러져 있는 FPC(7)에 우발적으로 외력(예컨대, 도 12b의 측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단부 부분(71)은 플러그 컨택트(20)의 제1 부재(22)의 돌기(24)와 제1 내벽(12)에 의해 구속되어, FPC(7)는 플러그 부재(1)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소켓 컨택트(50)는, 탄성편(51)의 말단에 형 성된 돌기(53)가 긴 리세스의 내면(43)으로부터 돌출하고 테일(52)이 소켓 바디(4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방식으로 소켓 바디(40)에 장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탄성편(51)의 돌기(53)는 측방향으로, 즉 탄성편(51)을 벌리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재(1)는 바닥(15)이 아래를 향하는 상태로 소켓 바디(40)의 긴 리세스 내로 삽입되고, 각 소켓 컨택트(50)의 탄성편(51)이 대응 플러그 컨택트(20)의 제2 부재(23) 및 제3 부재(26)를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소켓 부재(4) 내로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탄성편(51)의 돌기(53)는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어, 탄성편(51)의 탄성 스프링 기능에 의해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제2 부재(23)를 가압하므로, 플러그 컨택트(20)와 소켓 컨택트(50)는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플러그 부재(1)가 소켓 부재(4) 내에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수용되어 있는 이러한 체결 구조에 따르면,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100)의 상면으로부터 플러그 부재(1)의 상면에 이르는) 전기 커넥터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러한 체결 상태에서, 가압 부재(30)의 각 연장편(34)은 대응 플러그 리테이너(60)의 유지편(62) 사이에 개재되거나 그 유지편(62)에 맞물리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FPC(7)의 도전체층(76)은 가압 부재(30)를 매개로 플러그 리테이너(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전체층(76)이 실드층으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실드 기능을 활용하여 〔예컨대, 도전체 패턴(75)과 도전체층(76)에 대한 임피던스 특성을 제어하는 능력과 같은〕 양호한 전달 특성을 갖는 접속 형태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예컨대, 플러그 리테이너(60)의 테일(61)을 접지 회로에 연결함으로써, 도전체층(76)은 실드층으로서 기능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적절하게 사용되는 FPC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FPC(9)에 있어서는, 도 9b에 도시된 경우에서와 같이 제2 측부(94)에서 단부 부분(91)과 연장부(92) 사이에는 연화 영역(97)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92)에서, 제1 도전체층(96)은 도전성 접착제(87)에 의해(예컨대, 증착 등에 의해) 커버층(99)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매우 얇은 제2 도전체층(86)에 연결되어 있다.
상이한 유형의 2층의 도전체층이 함께 접속되어 있는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연장부(92)로부터 더욱 연장되는 FPC(9)의 부분의 (예컨대 가요성과 같은) 특성을 단부 부분(91)의 특성과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도전체층(86)의 두께가 도전체층(96)의 두께보다 작게 될 수 있어서, FPC(9)가 플러그 부재(1)에 접속되어 있을 때 강성이 큰 단부 부분(91)을 플러그 부재(1)에 의해 효율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FPC(9)는 FPC(9)가 설치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각종 사용 조건을 용이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 예컨대, FPC는, FPC가 많은 부분에서 벤딩되거나 구부러질 필요가 있어서, 고유연성으로 될 것이 요구되는 전자기기의 그러한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부재(30)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가압 부재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수직 연장부(31)와 측방향 연장부(32)에 의해 정해지는 가압 부재(30)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역전된 L 형상으 로 한정되지 않으며, 수직 연장부(31)가 원하는 강성을 갖는 한은 대략 T 형상과 같은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방향 연장부(32)는 연장부〔72; 즉 FPC(7)의 수직 벤딩부에 근접한 연장부(72)의 부분〕을 단지 부분적으로 덮을 필요가 있지만, 측방향 연장부(32)는 실질적으로 연장부(72) 전체를 덮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FPC(7, 9)에 연화 영역(77, 97)을 제공하도록 도전체층(76, 96)을 관통하는 복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전체층(76, 96)이 실드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FPC를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는 한은, 도전체층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슬롯을 이용하거나, 도전체층을 격자 또는 메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연화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교시 내용으로부터 각종의 변형 및 수정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및 가능성 내에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탄형 배선 부재는 가압 부재의 제2 부분의 두께가 크지 않은 경우에도 납땜 없이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으며, 접속된 평탄형 배선 부재를 유지하는 기능이 개선된다. 따라서, 제2 방향으로 전기 커넥터의 사이즈를 줄이면서도 전기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5)

  1. 제1 방향으로 긴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는 소켓 바디와,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를 구비하는 소켓 부재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상기 리세스 내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플러그 부재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 바디와, 사이에 갭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플러그 바디의 측벽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컨택트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인 플러그 부재와,
    복수의 단자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단부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단부 부분은 각각의 단자가 상기 플러그 컨택트 중 하나의 제1 부재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홈 내로 삽입되는 것인 평탄형 배선 부재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 연장부가 상기 홈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플러그 바디에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평탄형 배선 부재의 단부 부분을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인 가압 부재
    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상기 제3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어서, 상기 평탄형 배선 부재의 단부 부분, 상기 가압 부재의 수직 연장부 및 상기 플러그 바디의 측벽이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클램핑되는 것인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의 수직 연장부로부터 연속해서 있고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탄형 배선 부재는 상기 배선 부재의 단부 부분에 연속해서 있고 상기 가압 부재의 측방향 연장부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도전성 부재이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측방향 연장부로부터 연속해서 있는 연장편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부재는, 상기 플러그 부재가 상기 소켓 부재에 끼워질 때에 상기 가압 부재의 연장편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도전성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형 배선 부재는 상기 단자가 배열되어 있는 제1 측부와, 상기 가압 부재에 대향하며 상기 평탄형 배선 부재의 단부 부분 및 연장부에 형성된 도전층을 포함하는 제2 측부를 갖는 것인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형 배선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이 영역에서 도전층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것인 전기 커넥터.
KR1020050069934A 2004-07-30 2005-07-29 전기 커넥터 KR100821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2938A JP4260703B2 (ja) 2004-07-30 2004-07-30 電気コネクタ
JPJP-P-2004-00222938 2004-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979A KR20060048979A (ko) 2006-05-18
KR100821430B1 true KR100821430B1 (ko) 2008-04-10

Family

ID=3524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934A KR100821430B1 (ko) 2004-07-30 2005-07-29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59893B2 (ko)
EP (1) EP1628366B1 (ko)
JP (1) JP4260703B2 (ko)
KR (1) KR100821430B1 (ko)
CN (1) CN100403602C (ko)
DE (1) DE602005002422T2 (ko)
TW (1) TWI2799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1351B2 (ja) * 2005-10-17 2010-08-11 ホシデン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CN101098095B (zh) * 2006-06-28 2010-10-0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风扇
US7537463B1 (en) * 2006-11-08 2009-05-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echanically interconnected foil contact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7987594B1 (en) 2006-11-08 2011-08-0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connected foil contact array
JP2012003874A (ja) * 2010-06-15 2012-01-05 Fujitsu Ltd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
CN102035088B (zh) * 2010-10-25 2013-11-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连接器、柔性扁平线缆的连接结构
US8574002B2 (en) 2010-10-25 2013-11-0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Connector and connecting structure of flexible flat cable
JP5358615B2 (ja) * 2011-04-19 2013-12-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8535089B2 (en) 2011-07-25 2013-09-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US8430685B2 (en) * 2011-07-25 2013-04-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JP5896786B2 (ja) * 2012-03-02 2016-03-30 株式会社ヨコオ 電気コネクタ
RU2498449C1 (ru) * 2012-05-12 2013-11-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Н.Э. Баумана" (МГТУ им. Н.Э. Баумана) Контак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104641380A (zh) 2012-07-02 2015-05-20 吉田健治 镜头单元
JP5859938B2 (ja) * 2012-09-13 2016-02-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293431B2 (ja) * 2013-03-05 2018-03-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57068B2 (ja) * 2013-03-26 2014-07-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US9112302B2 (en) * 2013-05-02 2015-08-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JP6429263B2 (ja) * 2013-06-19 2018-11-28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コネクタ、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付フラットケーブル
JP6321528B2 (ja) * 2014-11-18 2018-05-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的接続装置
JP2016184505A (ja) * 2015-03-26 2016-10-20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及び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CN108933342A (zh) * 2017-05-26 2018-12-04 昆山宏致电子有限公司 线对板连接器组合及其板端连接器
JP2019137099A (ja) * 2018-02-06 2019-08-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KR102083912B1 (ko) * 2019-01-08 2020-03-0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고주파 전송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커넥터 장치
CN113348595B (zh) * 2019-03-29 2023-07-0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多极连接器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3626A (ja) * 1995-01-31 1996-08-09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可撓導通部材用コネクタ
JPH09129324A (ja) * 1995-10-31 1997-05-16 Whitaker Corp:The 電気コネクタ
JP2000067963A (ja) * 1998-08-20 2000-03-03 Jst Mfg Co Ltd 基板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2000106235A (ja) * 1998-09-30 2000-04-1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装置
JP2003017162A (ja) * 2001-06-26 2003-01-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7414224L (sv) * 1974-11-13 1976-05-14 Bertil Allvin Handapparat med vermekella for att astadkomma pressning av tyger
JPS61131382A (ja) * 1984-11-29 1986-06-19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電気コネクタ
US5240430A (en) * 1991-10-31 1993-08-31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 to circit board application
JP3158795B2 (ja) 1993-06-30 2001-04-2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172385B2 (ja) 1995-01-17 2001-06-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717380B2 (ja) * 1995-05-30 1998-0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型電子装置接続用コネクタ
JP3064232B2 (ja) 1996-04-09 2000-07-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841043B2 (ja) * 1996-04-15 1998-12-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451393B2 (ja) * 1998-01-30 2003-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US6129573A (en) * 1998-11-18 2000-10-1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ZIF FFC connector having a strain relief
JP2001052788A (ja) * 1999-08-05 2001-02-23 Molex Inc Fpcとプリント基板間の電気コネクタ装置
TW433638U (en) * 1999-10-01 2001-05-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424968U (en) 1999-11-25 2001-03-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 connector
JP2002252048A (ja) * 2001-02-23 2002-09-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端子及び同コネクタ端子の製造方法
TW531942B (en) 2001-03-15 2003-05-11 Sumitomo Wiring Systems Connector
TW534493U (en) * 2002-06-20 2003-05-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554822Y (zh) * 2002-06-25 2003-06-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3626A (ja) * 1995-01-31 1996-08-09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可撓導通部材用コネクタ
JPH09129324A (ja) * 1995-10-31 1997-05-16 Whitaker Corp:The 電気コネクタ
JP2000067963A (ja) * 1998-08-20 2000-03-03 Jst Mfg Co Ltd 基板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2000106235A (ja) * 1998-09-30 2000-04-1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装置
JP2003017162A (ja) * 2001-06-26 2003-01-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02422D1 (de) 2007-10-25
CN1734848A (zh) 2006-02-15
JP2006040832A (ja) 2006-02-09
CN100403602C (zh) 2008-07-16
KR20060048979A (ko) 2006-05-18
EP1628366B1 (en) 2007-09-12
EP1628366A1 (en) 2006-02-22
TW200608648A (en) 2006-03-01
TWI279945B (en) 2007-04-21
DE602005002422T2 (de) 2008-06-12
US7059893B2 (en) 2006-06-13
JP4260703B2 (ja) 2009-04-30
US20060025007A1 (en)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430B1 (ko) 전기 커넥터
KR100716401B1 (ko) 박형 시트 부재의 접속에 적합한 커넥터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CN101584086B (zh) 具有预载荷盖的边缘连接器
JP2018081869A (ja) コネクタ
KR20080007625A (ko) 커넥터 조립체
US7201584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hip module
JP5456925B1 (ja) 電気接続用端子
JP2008522386A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08059810A (ja) コネクタ
US7950952B2 (en) FPC connector with rotating latch
US6960094B2 (en) Flat and thin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hard board
US20100203747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embossed contact engaging portion
JP600263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端末接続具
JP3784019B2 (ja) コネクタ
JP2004296419A (ja) コネクタ
JP4837631B2 (ja) 電気接続部品
JP6770250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606482B1 (ko) 단자부재와 그 단자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단자부재의제조방법
CN211126151U (zh) 一种电路基板组件和柔性电路基板组件
JP4270451B2 (ja) コネクタ
JP2006302541A (ja) コネクタ
JP3024960U (ja) 端部に電極端子を設けた基板の端子接続クリップと端子接続構造
JP2005011533A (ja) コネクタ
JP2020013749A (ja)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電線を挿入するための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