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704B1 - 견인차용 드로우바 장치 - Google Patents

견인차용 드로우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704B1
KR100816704B1 KR1020060097546A KR20060097546A KR100816704B1 KR 100816704 B1 KR100816704 B1 KR 100816704B1 KR 1020060097546 A KR1020060097546 A KR 1020060097546A KR 20060097546 A KR20060097546 A KR 20060097546A KR 100816704 B1 KR100816704 B1 KR 100816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bar
lever
pin
hood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8897A (ko
Inventor
아키라 모치즈키
다카노리 미즈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7003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2Bolt or shackle-type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2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remote control, e.g. for rele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체 및 상기 차체의 후부 상면을 덮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게 조작되는 후드를 구비한 견인차의 드로우바 장치는 드로우바 브래킷, 드로우바 핀, 조작 레버 및 링크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우바 브래킷은 상기 차체에 설치된다. 상기 드로우바 핀은 상기 드로우바 브래킷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후드에 수동으로 조작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드로우바 핀을 위로 이동시키도록 조작 가능하다.

Description

견인차용 드로우바 장치 {DRAWBAR DEVICE FOR TOW VEHICLE}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차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차의 드로우바 장치 주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차의 드로우바 장치 주변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차의 드로우바 장치의 체결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차의 후드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드로우바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차의 후드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드로우바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차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지지 구조와 함께 연동 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차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지지 구조와 함께 연동 기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견인차의 후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견인차 2 : 차체
15 : 후드 30 : 드로우바 장치
32 : 드로우바 브래킷 35 : 드로우바 핀
38 : 조작 레버 40 : 링크 기구
42 : 좌측의 레버 브래킷(후드 측의 고정 부재)
44 : 연동 기구
50 : 외측의 실린더(드로우바 핀 측의 작동 부재)
51 : 연동측 플레이트(맞닿음 부)
53 : 내측의 실린더 (조작 레버 측의 연동 부재)
54 : 작동측 플레이트(맞닿음 부) 62 : 위치 조정 기구
본 발명은 소형 견인차, 견인 트랙터 등과 같은 견인차용 드로우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견인차용 드로우바 장치는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9 는 견인차로서 견인차의 후방부의 우측면도이다. 견인차 (101) 는, 차체 (102) 의 후방부(또는 후방 프레임 (105))의 상면을 덮기 위해서 개폐할 수 있는 배터리 후드로서 후드 (115) 가 장착된 배터리 타입 소형 견인차이다. 후드 (115) 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 (105)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축 (116) 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고, 따라서 도 9 의 2 점 쇄선에 의해 도시된 기립상태에서 개방될 수 있다. 후드 (115) 상에 운전자가 앉기 위한 운전석 (118) 이 제공된다.
드로우바 장치 (130) 는, 트레일러 등과 같은 견인되는 차량(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하기 위해서 차체 (102) 의 후방 프레임 (105) 의 후방에 제공된다. 드로우바 장치 (130) 는, 후방 프레임 (105) 의 후면에 제공되는 드로우바 브래킷 (132), 상하로 이동가능 하도록 드로우바 브래킷 (132) 에 제공되는 드로우바 핀 (135), 및 조작 레버 (138) 의 조작에 따라 드로우바 핀 (135) 을 이동하게 하는 링크 수단 (140) 을 포함한다. 조작 레버 (138) 는, 지지 핀 (143) 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후방 프레임의 후단에 위치한 레버 브래킷 (142) 에 의해서 지지된다. 링크 수단 (140) 은, 조작 레버 (138) 의 선단부에 일체로 제공된 드로우바 레버 (146), 및 드로우바 레버 (146) 를 드로우바 핀 (135) 에 연결하는 드로우바 링크 (147) 를 포함한다. 드로우바 링크 (147) 는, 상단에서 연결 핀 (148) 을 통해서 드로우바 레버 (146), 그리고 하단에서 연결 핀 (149) 을 통해서 드로우바 핀 (135) 의 링크 연결부 (137)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견인차 (101) 의 드로우바 장치 (130) 에서, 그 기립 위치에서 조작 레버 (138) 는, 손잡이 (139) 를 전후로, 즉 도 9 에서 화살표 (Y) 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해 도 9 의 2 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수동으로 경사가 조작된다. 따라서, 드로우바 핀 (135) 은 링크 수단 (140) 을 통해서 조작되거나, 상방으로 이동 된다. 이 상태에서, 트레일러 등과 같은 견인되는 차량 (도시되지 않음) 의 연결부 (170) 는 드로우바 브래킷 (132) 으로부터 제거되거나, 드로우바 브래킷 (132) 에 삽입될 수 있다. 드로우바 브래킷 (132) 에 삽입된 견인되는 차량의 연결부 (170) 에 의해, 조작 레버 (138) 는 조작력이 해제되고, 드로우바 핀 (135) 이 그 자체 중량 때문에 하방으로 이동한다. 조작 레버 (138) 가 링크 수단 (140) 을 통해서 기립 상태로 재조절되는 동안, 견인되는 차량의 연결부 (170) 는 드로우바 핀 (135) 을 통해서 드로우바 브래킷 (132) 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견인차의 상기 드로우바 장치가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 56-73608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드로우바 장치 (130) 에서는, 조작 레버 (138) 가 수동으로 조작되도록 차체 (102) 의 후방 프레임 (105) 상에 제공되고, 후드 (115) 의 후방에 제공된다. 도 9 에서 2 점 쇄선으로 표시된 후드의 개방을 예상하여, 조작 레버 (138) 는 운전석 (118) 으로부터 떨어져 후방에 배치되어야 한다. 조작 레버 (138) 가 운전석 (118) 에 가깝게 배치되면, 개방된 후드 (115) 가 조작 레버 (138) 와 충돌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후드 (115) 의 개방이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 (138) 는, 후드 (115) 를 완전히 개방하기 위해서, 도 9 에서 2 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118) 으로부터 떨어져 후방에 배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운전자가 운전석 (118) 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된 조작 레버 (138) 를 조작하기가 어렵고, 조작 레버 (138) 의 조작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조작 레버의 조작성을 개선하는 견인차용 드로우바를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및 그 차체의 후부 상면을 덮는 개폐 가능하게 조작되는 후드를 구비한 견인차의 드로우바는, 드로우바 브래킷, 드로우바 핀, 조작 레버 및 링크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우바 브래킷은 차체 상에 설치된다. 드로우바 핀은, 상기 드로우바 브래킷에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조작 레버는 수동으로 조작가능하게 상기 후드 상에 설치된다. 링크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드로우바 핀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가능하다.
본 발명의 원리를 예를 통해 설명하고 있는 첨부 도면과 결부하여 이하의 설명을 받아들인다면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이점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견인차로서, 배터리식이며 또한 입석형의 소형 견인차를 예시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견인차의 개요를 설명한 뒤에 드로우바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 견인차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견인차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방", " 후방", "좌", "우" 이라는 용어는 견인차에 탑승하여, 그 견인차의 전방을 향하고 있는 운전자가 보았을 때의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견인차 (1) 는 전방 프레임 (3), 후방 프레임 (5), 그리고 전방 프레임 (3) 을 후방 프레임 (5) 에 연결하는 플로어 프레임 (4) 을 포함한 차체 (2) 를 가지고 있다. 전방 프레임 (3) 상에는 T-바형 스티어링 핸들 (7) 이 구비되어 있다. 스티어링 핸들 (7) 의 우측 그립 부근에는 주행 조작 레버 (8) 가 구비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 (3) 의 상부에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미도시)의 브레이크 레버 (9) 가 구비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 (3) 의 하부에는, 스티어링 핸들 (7) 에 의해 조향되는 조향륜인 전륜(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플로어 프레임 (4) 위에 운전실 (10) 이 형성되어 있다. 운전실 (10) 은, 착석형 운전석이 없이 운전자가 그 안에서 선 자세로 견인차 (1) 를 운전하도록 되어 있는 운전실이다. 운전실 (10) 에는 운전자가 견인차에 타고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양측 개구가 있다. 발로 조작하는 브레이크 페달 (12) 이 플로어 프레임 (4) 의 전방부에 제공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 (5) 은 그 상면에 구멍을 가지며, 그 안에 배터리 (도시 안 됨), 구동 장치 (도시 안 됨) 등을 수용하는 박스 형태로 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 (5) 에는 구동륜으로서 한 쌍의 후륜이 설치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 (5) 의 상면은 배터리 후드로서 후드 (15) 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덮여 있다. 상기 후드 (15) 의 후방 단부는, 후방 프레임 (5) 에 힌지 축 (16) (도 6 참조) 을 통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후드 (15) 는 힌지 축 (16) 을 중심으로 도 6 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기립 상태에서 개방되게 된다. 후방 프레임 (5) 의 상면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체의 후방부의 상면에 대응한다. 후방 프레임 (5) 과 후드 (15) 사이에는 댐퍼 장치 (도시 안 됨) 가 개재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의 운전 자세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 상기 운전실 (10) 내에는 상기 후드 (15) 의 전방부에 시트 (18) 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트 (18) 는 파이프로 이루어진 시트 프레임 (19), 그 시트 프레임 (19) 에 제공되어 운전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침 패드 (20), 및 상기 시트 프레임 (19) 에 제공되어 운전자가 그의 엉덩이를 걸칠 수 있는 시트 패드 (21) 를 포함한다. 시트 프레임 (19) 은 후드 (15) 상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 부재 (23) 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시트 프레임 (19) 은 시트 패드 (21) 가 후방을 향해 위치하도록 지지 부재 (23) 에 부착될 수 있다. 견인차 (1) 의 후방 프레임 (5) 의 후방부에는, 거기에 트레일러 등과 같은 피견인차 (도시 안 됨) 를 연결하기 위한 드로우바 장치 (30) 가 제공되어 있다.
다음으로, 견인차 (1) 의 드로우바 장치 (3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 은 드로우바 장치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견인차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로우바 장치 (30) 는, 상기 차체 (2) 의 후방 프레임 (5) 의 후면에 설치된 드로우바 브래킷 (32), 그 드로우바 브래킷 (32) 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드로우바 핀 (35) 및 조작 레버 (38) 의 조작에 따라 상기 드로우바 핀 (35) 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위쪽으로 움직이게 하는 링크 기구 (40) 를 포함한다. 드로우바 브래킷 (32) 은, 상기 후방 프레임 (5) 의 후면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된 부착 플레이트 (mounting plate, 33), 그 부착 플레이트 (33) 의 상하 양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연결 플레이트 (34) 를 포함한다. 각각의 연결 플레이트 (34) 는 구멍 (34a) 을 갖고 있다. 두 연 결 플레이트 (34) 의 구멍 (34a) 은 서로 동축상에 있다. 하측 연결 플레이트 (34) 에 있는 하나의 구멍 (34a) 만이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상측 연결 플레이트 (34) 의 구멍 (34a) 이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드로우바 핀 (35) 은, 상측 연결 플레이트 (34) 위에서부터 드로우바 핀 (35) 을 구멍 (34a) 에 삽입함으로써 (도 4 참조) 상기 드로우바 브래킷 (32) 의 상측 연결 플레이트 (34) 의 구멍 (34a) 에 장착된다. 드로우바 핀 (35) 은 그 하단부가 하측 연결 플레이트 (34) 의 구멍 (34a) 에 삽입되고, 그로부터 제거되도록 이동가능하다. 드로우바 핀 (35) 의 상단부에는 상측 연결 플레이트 (34) 와 접촉가능한 플랜지 (36) 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 (36) 가 상측 연결 플레이트 (34) 와 접촉하면, 드로우바 핀 (35) 의 하단부가 하측 연결 플레이트 (34) 의 구멍 (34a) 에 삽입되어, 더 이상의 하방 이동이 방지된다. 드로우바 핀 (35) 은 플랜지 (36)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링크 연결부 (37) 를 갖고 있다.
조작 레버 (38) 는 상기 후드 (15) 의 후방부에 배치된 한 쌍의 레버 브래킷 (42R 및 42L) 에 의해 지지 핀 (43) 을 통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조작 레버 (38) 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손잡이부 (39) 가 있다. 조작 레버 (38) 가 도 3 에서 2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전방 및 하방으로 또는 도 3 의 화살표 (Y1)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조작 레버 (38) 가 후드 (15) 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조작 레버 (38) 는 굽은 형태 (dogleg shape) 로 전방으로 굽어 있다. 다음으로, 우측 레버 브래킷 (42R) 에 대한 조작 레버 (38) 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링크 기구 (40) 는 조작 레버 (38) 를 드로우바 핀 (35) 에 연결시킨다. 링크 기구 (40) 는 조작 레버 (38) 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연동 기구 (44) 와, 이 연동 기구 (44) 를 통해 작동되는 드로우바 레버 (46), 및 이 드로우바 레버 (46) 를 드로우바 핀 (35) 에 연결시키는 드로우바 링크 (47) 를 포함한다. 드로우바 링크 (47) 는 그의 상단에서 연결 핀 (48) 을 통해 드로우바 레버 (46) 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하단에서는 연결 핀 (49) 을 통해 드로우바 핀 (35) 의 링크 연결부 (37) 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드로우바 링크 (47) 는 대칭적으로 위치된 두 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이들 플레이트 사이에는 드로우바 레버 (46) 및 드로우바 핀 (35) 의 링크 연결부 (37) 가 있다.
이하, 레버 브래킷 (42R, 42L) 에 대한 조작 레버 (38) 의 지지구조 및 연동기구 (44) 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8 은 조작 레버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연동 기구 주위의 견인차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레버 브래킷 (42R, 42L) 은 볼트 등으로 후드 (15) 의 후방부에 고정된다. 지지 핀 (43) 은 레버 브래킷 (42R, 42L) 을 관통하여 이들 사이에 위치해 있고, 제 2 실린더 (50) 및 제 1 실린더 (53) 가 지지 핀 (43)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2 실린더 (50) 는 부분적으로 제 1 실린더 (53) 주위에 배치된다. 제 2 실린더 (50) 는 제 1 실린더 (53) 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레버 브래킷 (42R, 42L) 사이의 좌측에 지지된다. 제 1 실린더 (53) 의 우측 부분은 레버 브래킷 (42R, 42L) 사이의 우측에서 제 2 실린더 (50) 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드로우바 레버 (46) 는 제 2 실린더 (50) 의 좌측단에 고정된다. 제 2 실린더 (50) 의 외주면 에는 플레이트 (51) 가 고정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 (51) 는 제 2 실린더 (50) 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조작 레버 (38) 는 제 1 실린더 (53) 의 우측단에 인접하여 그 실린더에 고정되어 있다. 노출된 제 1 실린더 (53) 의 우측 부분의 외주면에는 플레이트 (54) 가 고정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 (54) 는 제 1 실린더 (53) 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플레이트 (54) 는 플레이트 (51) 의 우측 부분의 하면과 대향하도록 돌출된 스토퍼 (55) 를 갖고 있다. 도 7 에서 화살표 (A) 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54) 의 좌측단 표면과 제 2 실린더 (50) 의 우측단 표면 간의 접촉으로 인해 제 2 실린더 (50) 와 제 1 실린더 (53) 는 더 이상 축방향 좌우측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제 2 실린더 (50) 는 좌측 레버 브래킷 (42L) 에 의해 축방향 좌측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제 1 실린더 (53) 는 우측 레버 브래킷 (42R) 에 의해 축방향 우측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다시 말해, 제 2 실린더 (50) 와 제 1 실린더 (53) 는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지만, 지지 핀 (43)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레버 브래킷 (42R, 42L) 사이에 제공된다. 플레이트 (51, 54) 는 본 발명의 연동 기구의 접촉부에 해당한다.
조작 레버 (38) 가 기립 위치에서 앞쪽 하방, 즉 도 8 의 화살표 (Y1)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플레이트 (54) 의 스토퍼 (55) 는 플레이트 (51) 와 접촉하여 제 2 실린더 (50) 가 제 1 실린더 (53) 와 연동하게 되고, 이리하여 제 1 실린더 (53) 는 제 2 실린더 (50) 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드로우바 레버 (46) 는 동일 방향, 즉 도 8 의 화살표 (Y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조 작 레버 (38) 가 기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드로우바 레버 (46) 에 회전력이 가해져 드로우바 레버 (46) 가 시계 방향, 즉 도 8 의 화살표 (Y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2 실린더 (50) 의 플레이트 (51) 는 제 1 실린더 (53) 의 플레이트 (54) 의 스토퍼 (55) 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제 2 실린더 (50) 와 제 1 실린더 (53) 의 연동이 차단된다. 제 1 실린더 (53) 는 본 발명의 조작 부재에 해당한다. 제 2 실린더 (50) 는 본 발명의 연동 부재에 해당한다. 플레이트 (51, 54) 는 연동 기구 (44) 를 구성한다 (도 7 참조).
도 7 를 참조하면, 스토퍼 플레이트 (57) 가 제 1 실린더 (53) 의 우측단 부근에서 그 실린더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 스토퍼 플레이트 (57) 는 제 1 실린더 (53) 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조작 레버 (38) 가 기립 위치에 있을 때는 뒷쪽 하방으로 돌출된다 (도 8 참조). 우측 레버 브래킷 (42R) 의 후방부에는 좌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재 (58) 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59) 가 지지 부재 (58) 의 상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있다. 6 각 머리의 조절 나사 (60) 가 지지 부재 (58) 의 너트 내에 조여져 있다. 조작 레버 (38) 를 그 똑바른 위치로부터 전방 및 하방으로 또는 도 8 의 화살표 (Y1) 방향으로 기울일 경우, 스토퍼 플레이트 (57) 는 도 8 의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나사 (60) 의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 플레이트 (stopper plate) (57) 가 조절 나사 (60) 의 단부와 접촉할 때의 조작 레버 (38) 의 위치로서 한정되는 조작 완료 위치 이상으로 조작 레버 (38) 가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조작 레버 (38) 의 조작 완료 위치는 드로우바 핀 (35) 의 상방 이동이 완료되는 드로우바 핀 (35) 의 조작 완료 위치에 대응한다. 너트 (59) 내에서 조절 나사 (60) 를 전후방으로 조임으로써 스토퍼 플레이트 (57) 가 조절 나사 (60) 와 접촉하는 위치가 조정되고 이에 따라 조작 레버 (38) 의 조작 완료 위치가 조정된다. 스토퍼 플레이트 (57), 지지 부재 (58) 및 조절 나사 (60) 는 위치 조정 기구 (62) 를 구성하고 있다. 우측 레버 브래킷 (42R) 은 본 발명의 고정 부재에 대응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 (64) 는 그 좌측으로 돌출해 있는 우측 레버 브래킷 (42R) 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어있다. 조작 레버 (38) 를 후방으로 또는 도 8 의 화살표 (Y3) 방향으로 기울일 경우, 조작 레버 (38) 는 스토퍼 부재 (64) 에 접촉하고, 이에 따라 조작 레버 (38) 가 최후방 기울임 위치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견인차 (1) 의 드로우바 장치 (30) 에 있어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15) 가 닫힌 상태로 조작 레버 (38) 가 똑바른 위치에 있을 경우, 드로우바 핀 (35) 은 그것의 가장 낮은 위치 또는 그것의 연결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드로우바 브래킷 (32) 의 연결 플레이트 (34) 의 구멍 (34a) 에 삽입된다. 연결 기구 (44) 에 있어서, 플레이트 (51) 및 플레이트 (54) 의 스토퍼 (55) 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손잡이부 (39) 를 전방 및 하방으로 또는 도 3 의 화살표 (Y1)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도 3 의 2 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조작 레버 (38) 가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조작 레버 (38) 가 기울어져 있는 동안, 제 1 실린더 (53) 는 플레이트 (51) 와 접촉하고 있는 플레이트 (54) 의 스토퍼 (55) 와 함께 회전하여, 제 2 실린더 (50) 가 연결되어 제 1 실린더 (53) 와 함께 회전한다. 제 2 실린더 (50) 가 회전할 때, 드로우바 레버 (46) 는 도 8 의 화살표 (Y2)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와 같이, 드로우바 링크 (47) 는 상방으로 이동되는 한편 드로우바 핀 (35) 은 상방으로 조작 또는 이동된다. 드로우바 핀 (35) 의 하단부가 드로우바 브래킷 (32) 의 상부 연결 판 (34) 의 구멍 (34a) 에 닿을 경우, 드로우바 핀 (35) 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조작 완료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실린더 (53) 의 스토퍼 플레이트 (57) 가 조절 나사 (60) 와 접촉하게 되는 경우, 도 8 에서 2 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 (38) 는 그 조작 완료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드로우바 장치 (30) 의 연결 해제 상태에 대응한다. 도 4 는 드로우바 장치 (30) 의 연결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우바 장치 (30) 의 연결 해제 상태에 있어서, 트레일러 등의 피견인차에 제공되어 있는 견인봉, 힛치 (hitch) 등의 연결부 (70) 가 드로우바 브래킷 (32) 의 연결 플레이트 (34) 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그 사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피견인차을 견인하는 동안, 피견인차의 연결부 (70) 를 먼저 드로우바 브래킷 (32) 에 삽입하여, 연결부 (70) 의 구멍 (70a) 을 연결 판 (34) 의 구멍 (34a) 에 일치하도록 위치시킨다. 그 다음, 조작 레버 (38) 가 해제되고, 드로우바 핀 (35) 이 자중으로 인해 하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드로우바 핀 (35) 은 드로우바 브래킷 (32) 의 하부 연결 플레이트 (34) 의 구멍 (34a) 에 피견인차의 연결부 (70) 의 구멍 (70a) 을 통해 삽입되고, 플랜지 (36) 는 상부 연결 플레이트 (34) 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견인차의 연결부 (70) 는 드로우바 브래킷 (32) 에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우바 핀 (35) 을 통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핀 (35) 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작 레버 (38) 는 링크 기구 (40) 를 통하여 상부 위치로 이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 핀 (35) 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 링크 (47) 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연결 레버 (46) 는 하방으로 선회하며, 제 2 실린더 (50) 는 회전된다. 상기 제 2 실린더 (50) 가 플레이트 (54) 의 스토퍼 (55) 와 접촉하여 제 2 실린더 (50) 의 플레이트 (51) 와 함께 회전됨에 따라, 제 1 실린더 (53) 는 잠금되며 제 2 실린더 (50) 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 (38) 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 위치 또는 본래의 위치로 선회된다. 조작 레버 (38) 는, 이 조작 레버 (38) 가 우측 레버 브래킷 (42R) 의 스토퍼 부재 (64) 와 접촉함으로써 상방 우측 위치 또는 가장 후방으로 경사진 위치를 넘어 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이하, 조작 레버 (38) 가 상방 우측 위치에 있으며, 배터리 및 구동장치의 유지를 위하여 개방되도록, 후드 (15) 가 도 6 의 화살표 (Y4) 방향으로 힌지 축선 (16) 에 대하여 선회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 은 개방된 후드를 갖는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로 하면, 후드 (15) 가 개방됨에 따라, 조작 레버 (38) 와, 후드 (15) 의 레버 브래킷 (42R, 42L) 과, 지지 핀 (43) 과, 제 2 및 제 1 실린더 (50, 53) 는 힌지 축선 (16) (도 6 참조) 에 대하여 이동된다. 이러한 움직임 동안에, 제 2 실린더 (50) 는, 제 2 실린더 (50) 의 플레이트 (51) 가 제 1 실린더 (53) 의 플레이트 (54) 의 스토퍼 (55) 로부터 분리되어, 제 2 및 제 1 실린더 (50, 53) 의 잠금이 중단되도록 제 1 실린더 (53) 에 대하여 선회된다. 이에 따라, 연결 레버 (46) 를 연결 핀 (35) 에 연결시키는 연결 링크 (47) 는, 도 6 에서 연결 레버 (46) 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연결 핀 (48) 에 대하여 선회되며, 도 6 에서 연결 핀 (35) 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연결 핀 (49) 에 대하여 선회되어, 연결 핀 (35) 에 대한 연결 레버 (46) 의 움직임을 흡수시킨다. 따라서, 연결 핀 (35) 은 작동되지 않거나 또는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연결 플레이트 (34) 의 구멍 (34a) 에 삽입된다. 후드 (15) 가 개방 상태로부터 닫혀질 때, 상기 움직임에 대하여 반대로 실행된다.
견인차 (1) 의 드로우바 장치 (30) 에 따르면, 수동으로 조작되도록 조작 레버 (38) 에는 후드 (15) 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후드 (15) 는 개방될 때, 조작 레버 (38) 와 부딛히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조작 레버 (38) 는 후드 (15) 의 개방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래서, 조작 레버 (38) 는 운전실 (10) 주위에 위치되며, 이는 운전자가 조작 레버 (38) 를 쉽게 수동으로 조작가능하도록 해주며, 그래서, 조작 레버 (38) 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조작 레버 (38) 가 후드 (15) 가 닫혀진 상태로 수동으로 조작될 때, 제 2 실린더 (50) 는, 잠금 기구 (44) (도 7 참조) 의 접촉부와 같이, 플레이트 (51) 및 플레이트 (54) 에 의해 제 1 실린더 (53) 와 잠금된다. 그래서, 연결 핀 (35) 은, 조작 레버 (38) 의 조작에 따라 링크 기구 (40) 를 통하여 조작될 수 있다. 후드 (15) 가 개방될 때, 잠금 기구 (44) 의 플레이트 (51) 와 플레이트 (54) 가 서로 분리되기 때문에, 제 2 및 제 1 실린더 (50, 53) 의 잠금은 해제된다. 그래서, 후드 (15) 가 개방될 때, 연결 핀 (35) 의 원치 않는 조작이 방지된다.
조작 레버 (38) 의 완전 조작 위치는 우측 레버 브래킷 (42R) 과 제 1 실린더 (53) (도 7 및 도 8 참조) 사이에 제공된 위치 조정 기구 (62) 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드로우바 장치 (30) 는 소형 견인차용 연결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토잉 트랙터 (towing trackor) 등과 같은 다른 견인차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로우바 장치 (30) 는 배터리 식 견인차용 연결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원으로서 내연 기관을 가지는 내연 기관식 견인차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로우바 장치 (30) 는 입식 견인차용 연결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좌식 운전자 시트를 가지는 견인차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예 및 실시형태는 이로써 한정되지 않으며, 설명을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세부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레버의 조작성을 개선하는 견인차용 드로우바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차체 및 상기 차체의 후부 상면을 덮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게 조작되는 후드를 구비한 견인차의 드로우바 (drawbar) 장치로서,
    상기 차체에 설치된 드로우바 브래킷;
    상기 드로우바 브래킷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드로우바 핀;
    상기 후드에 수동으로 조작되도록 설치된 조작 레버; 및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드로우바 핀을 위로 이동시키도록 조작 가능한 링크 기구를 포함하는, 견인차의 드로우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에 연결되어 조작되는 조작 부재, 상기 드로우바 핀에 연결되어 조작되는 연동부재, 및 상기 조작 부재와 연동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서로 접촉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를 구비한 연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후드의 폐쇄상태로 수동으로 조작될 때, 상기 접촉부들의 상호 접촉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와 연동되고,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연동부재의 연동은, 상기 후드가 개방될 때, 상기 접촉부들의 상호 분리에 의해 차단되는, 견인차의 드로우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에 설치된 고정부재; 및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완료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 사이에 설치된 위치 조정기구를 더 포함하는, 견인차의 드로우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기구는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돌출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체결된 너트에서 나사 결합된 조절 나사, 및
    상기 조작 부재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조절 나사와 접촉 가능한 스토퍼 플레이트 (stopper plate) 를 포함하는, 견인차의 드로우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앞뒤로 기울어져 있고,
    정지 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조작 레버가 뒤로 더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 레버와 접촉 가능한, 견인차의 드로우바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후드에 설치된 지지 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실린더이고,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지지 핀에 회전 가능하기 지지되고 상기 제 1 실린더 주위에 일부가 위치된 제 2 실린더인, 견인차의 드로우바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의 접촉부는
    상기 조작 부재로부터 돌출한 플레이트 (plate) 와 상기 연동부재로부터 돌출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견인차의 드로우바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연동부재에 연결된 드로우바 레버와, 상기 드로우바 레버를 상기 드로우바 핀에 연결하는 드로우바 링크를 포함하는, 견인차의 드로우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우바 링크는 한쪽 단부가 연결 핀을 통하여 상기 드로우바 레버에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가 연결 핀을 통하여 드로우바 핀에 피봇 연결되는, 견인차의 드로우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우바 레버는 상기 연동부재에 체결되는, 견인차의 드로우바 장치.
KR1020060097546A 2005-10-07 2006-10-04 견인차용 드로우바 장치 KR100816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95392A JP4710533B2 (ja) 2005-10-07 2005-10-07 牽引車両のドローバー装置
JPJP-P-2005-00295392 2005-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897A KR20070038897A (ko) 2007-04-11
KR100816704B1 true KR100816704B1 (ko) 2008-03-27

Family

ID=3789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546A KR100816704B1 (ko) 2005-10-07 2006-10-04 견인차용 드로우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47036B2 (ko)
JP (1) JP4710533B2 (ko)
KR (1) KR100816704B1 (ko)
DE (1) DE10200604740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0657A1 (en) * 2008-03-11 2009-09-17 David Miller Hitching Mechanism
EP2254905B1 (en) * 2008-03-14 2016-12-14 Novo Nordisk A/S Protease-stabilized insulin analogues
WO2009115469A1 (en) 2008-03-18 2009-09-24 Novo Nordisk A/S Protease stabilized, acylated insulin analogues
JP4737561B2 (ja) * 2008-05-12 2011-08-03 日本輸送機株式会社 かご台車牽引用アタッチメント
US8079614B1 (en) * 2010-06-28 2011-12-2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owmotor secondary lock
GB201014235D0 (en) * 2010-08-26 2010-10-13 Agco Sa Tractor rear hitch
AU2014333979B2 (en) 2013-10-07 2018-02-15 Novo Nordisk A/S Novel derivative of an insulin analogue
JP6402742B2 (ja) * 2016-04-28 2018-10-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牽引車
HUE055231T2 (hu) 2016-12-16 2021-11-29 Novo Nordisk As Inzulint tartalmazó gyógyászati készítmények
CN110466291A (zh) * 2019-07-12 2019-11-19 安徽江淮银联重型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插销找平调节功能的半自动牵引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08U (ja) * 1993-07-07 1995-02-03 日本輸送機株式会社 バッテリ式トーイングトラクタの牽引装置
JPH07276937A (ja) * 1994-04-04 1995-10-24 Toyota Motor Corp ピントルフック
JPH09315118A (ja) * 1996-05-31 1997-12-09 Nissan Motor Co Ltd 牽引装置
JPH10309915A (ja) * 1997-05-08 1998-11-2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トーイングトラクタの牽引装置
KR19990019842A (ko) * 1997-08-30 1999-03-25 양재신 차량용 견인장치의 토우잉핀 고정구조
JP2003088203A (ja) * 2001-09-19 2003-03-25 Shinji Nunohata 代掻用整地板の牽引機構
JP2005119406A (ja) * 2003-10-15 2005-05-12 Honda Motor Co Ltd 牽引フック取付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4704A (en) * 1974-01-10 1975-04-01 Thomas C Williams Trailer hitch
US4015855A (en) * 1976-02-27 1977-04-05 Murray Clarence R Implement hitch
JPS5924565Y2 (ja) * 1979-11-10 1984-07-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ト−イングトラクタのドロ−バ−脱着装置
US4389058A (en) * 1981-04-15 1983-06-21 Cadwell Vyrl E Hitch assembly
US4431207A (en) * 1981-12-30 1984-02-14 Westendorf Manufacturing Company, Inc. Automatic hitch device
JPS62110503A (ja) * 1985-11-07 1987-05-21 Nissan Motor Co Ltd けん引車のけん引装置
JP2669027B2 (ja) * 1989-01-25 1997-10-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トーイングトラクタのドローバー
JPH03243409A (ja) * 1990-02-22 1991-10-3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トーイングトラクタ
US5286050A (en) * 1992-03-11 1994-02-15 Unlimited Solutions, Inc. Hitch for trailers
JPH09315119A (ja) * 1996-05-31 1997-12-09 Nissan Motor Co Ltd 牽引装置
JP3780936B2 (ja) * 2001-12-25 2006-05-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トーイングトラクタの牽引装置
US7429057B2 (en) * 2004-02-20 2008-09-30 Fedex Corporation Lifting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a hitch mechanis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08U (ja) * 1993-07-07 1995-02-03 日本輸送機株式会社 バッテリ式トーイングトラクタの牽引装置
JPH07276937A (ja) * 1994-04-04 1995-10-24 Toyota Motor Corp ピントルフック
JPH09315118A (ja) * 1996-05-31 1997-12-09 Nissan Motor Co Ltd 牽引装置
JPH10309915A (ja) * 1997-05-08 1998-11-2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トーイングトラクタの牽引装置
KR19990019842A (ko) * 1997-08-30 1999-03-25 양재신 차량용 견인장치의 토우잉핀 고정구조
JP2003088203A (ja) * 2001-09-19 2003-03-25 Shinji Nunohata 代掻用整地板の牽引機構
JP2005119406A (ja) * 2003-10-15 2005-05-12 Honda Motor Co Ltd 牽引フック取付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47405B4 (de) 2010-02-25
JP4710533B2 (ja) 2011-06-29
US7547036B2 (en) 2009-06-16
US20070096431A1 (en) 2007-05-03
DE102006047405A1 (de) 2007-04-19
JP2007099232A (ja) 2007-04-19
KR20070038897A (ko)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704B1 (ko) 견인차용 드로우바 장치
DE102007045994B4 (de) Parkbremssystem
JP2007084000A (ja) 小型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構造
US2798568A (en) Cab-over engine truck having a lift-type cab thereon
JP2693336B2 (ja) トラクタと作業機の装着装置
US4350359A (en) Side car attachment for a motorcycle
JP3818555B2 (ja) 小型車両用トレーラー
JP3626293B2 (ja) 揺動式3輪車の牽引構造
GB2425336A (en) Overrun brake coupling
JP6097010B2 (ja) 車両
JP3930105B2 (ja) 小型車両用トレーラー
JPS6242848Y2 (ko)
JP4093360B2 (ja) スクータ型車両
JP4107557B2 (ja) 鞍乗型車両における折り畳み式ハンドル装置
JP3882033B2 (ja) 乗用ゴルフカートのカウル開閉構造
JP3961801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H02249782A (ja) 折り畳み式自動二輪車
JPS6136413Y2 (ko)
JPH10297498A (ja) 小型車両用牽引装置
JPH10297558A (ja) 小型車両用トレーラー
JP2002144896A (ja) ミニクローラ式旋回ダンプ車両
JPH11318105A (ja) 乗用作業車の作業部連結構造
JPH037219Y2 (ko)
JP3873378B2 (ja) トラクタのロプス
JP4465800B2 (ja) 作業車両の安全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