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458B1 -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458B1
KR100816458B1 KR1020037007591A KR20037007591A KR100816458B1 KR 100816458 B1 KR100816458 B1 KR 100816458B1 KR 1020037007591 A KR1020037007591 A KR 1020037007591A KR 20037007591 A KR20037007591 A KR 20037007591A KR 100816458 B1 KR100816458 B1 KR 100816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trunk
microwave
cover
heat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0053A (ko
Inventor
노자키다쓰야
엔도겐이치
모리사코다케시
고사카도모히로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80276A external-priority patent/JP46599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877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00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400074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00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119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00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120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002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028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00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02858A external-priority patent/JP46599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2218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805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87242A external-priority patent/JP4660022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053A/ko
Publication of KR100816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 B65D3/12Flanged discs permanently secured, e.g. by adhesives or by heat-sealing
    • B65D3/14Discs fitting within container end and secured by bending, rolling, or fold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assembling separat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5/002Making box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s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5/0022Making boxes from tubular webs or blanks, e.g. with separate bottoms, including tube or bottom form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공한다. 종이컵은 통형의 몸통부(11)와, 이 몸통부의 상단측을 구부려 형성된 톱 컬부(12)와, 이 몸통부의 하단을 내측으로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13)를 가지는 몸통 부재(1)와, 바닥면부(20)와, 이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를 구부려 형성된 굴곡부(22)를 가지는 바닥 부재(2)를 구비하고 있다. 몸통부(11)와 되접어 꺾기부(13) 사이에 굴곡부(22)가 끼워져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가 서로 접합된다. 바닥면부(20)가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이컵, 몸통부, 톱 컬부, 바닥면부, 굴곡부.

Description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및 그 제조 방법{MICROWAVE OVEN-COMPATIBLE PAPER CU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PER CUP}
본 발명은 전자 레인지에서 사용하는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 판매기 등에서 판매되는 뜨거운 음료나 즉석 식품의 용기로서 종이컵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음료나 반찬 등이 들어간 종이컵을 직접 전자 레인지에 걸어 가열 조리하는 것도 실행되고 있다. 도 5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반적인 종이컵(P)은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를 구비하고 있다. 몸통 부재(1)는 주로 몸통부(11)를 형성한다. 몸통 부재(1)의 상단은 외측으로 컬되어 톱 컬부(top curl portion)(12)가 형성되고, 하단이 내측으로 되접어 꺾여 되접어 꺾기부(1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바닥 부재(2)는 주로 바닥면부(21)를 형성한다. 바닥 부재(2)의 외주 에지부는 하방으로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굴곡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는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를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와 몸통부(11)의 하단부에서 끼워 가열 압착함으로써 상호 접합된다.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를 끼워 넣어 접합한 부분은 실굽부(Z)라고 불려진다. 실굽부(Z)에 의해 바닥면부(21)는 높임 바닥이 된다.
일반 형상의 종이컵(P)에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한 경우, 종이컵 바닥의 실굽부(Z)에 눌음을 생기게 하는 경우가 있다. 그 원인은 다음과 같이 생각된다. 종이 재료인 펄프의 셀룰로스는 기본적으로는 전자 레인지의 마이크로파를 흡수한다. 따라서, 종이가 겹쳐 종이 두께가 늘어나고 있는 실굽부(Z)에서는 발열량이 증가한다. 한편, 실굽부(Z)의 표면적은 종이 두께가 늘어나도 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열의 방출량은 종이 두께가 증가해도 일정하다. 따라서, 발생한 열이 축적되어 온도가 상승하여 눌음이 발생한다. 다만, 종이컵(1)의 내용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눌음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것은 종이에 발생하여 축적된 열이 내용물에 빼앗기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즉, 통상의 종이컵(P)은 도 5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의 접합 부위로서 실굽부(Z)를 가지고 있으며, 이 실굽부(Z)는 겉쪽과 뒤쪽의 양면으로부터 마이크로파의 조사(照射)를 받고, 또한 내용물에 접촉하지 않아 축열(畜熱)되기 쉽다. 이 때문에, 실굽부에 눌음이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한편, 단열성을 가지는 컵으로서는 발포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특히 발포 폴리스티렌 수지를 원료로 하는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 종이컵의 전체 둘레에 파형상(波形狀) 등의 종이제 전대가 형성된 것, 내측과 외측의 2층 구조로 하고 층 사이에 단열 공간이 형성된 것, 및 종이의 양면이 폴리에틸렌 수지층으로 적층된 재료를 사용한 종이컵 표면의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발포(發泡)시킨 것 등이 단열 용기로서 알려져 있다.
발포 폴리스티렌 수지에 의한 컵은 발포제를 가한 수지를 성형 가공함으로써 제조되므로 단열성의 면에서 우수하다. 그러나, 발포 스티렌 수지제의 컵은 사용 후에 폐기물로서 처리하기 어려워, 환경 대응 및 위생 상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 표면의 평활성(平滑性)이 낮아 인쇄 적성(適性)이 떨어지는 등의 결점도 있다.
전체 둘레에 파형상 등의 종이제 전대를 한 형태의 종이컵, 또는 내측 컵과 외측 컵의 2층 구조를 가지는 종이컵은 단열성, 및 환경 대응의 점에서는 우수하다. 그러나, 재료, 및 제조 상의 코스트가 높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단열성을 가지며, 제조 코스트가 낮고, 또한 전자 레인지에서 사용하여 실굽부에 눌음이 발생하지 않는 종이컵은 종래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단열 효과가 충분히 있는 발포층를 가지는 단열 종이컵으로서, 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가열 후에 내용물을 식히지 않는 바닥면부에 단열성을 가지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몸통부에 단열 커버를 장착한 단열성을 가지는 단열 종이컵으로서, 그 단열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단열성이 있는 종이컵으로서,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가열 후에 평면 상에 놓아도 내용물이 식기 어렵고, 바닥면부를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은 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측을 구부린(bending) 톱 컬부(top curl portion)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을 내측으로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를 가지는 몸통 부재와,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린 굴곡부를 가지는 바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와 상기 되접어 꺾기부 사이에 상기 굴곡부가 끼워져 서로 접합된 종이컵으로서, 상기 바닥면부가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이다. 또 상기 바닥면부가 하면부와 벽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면부와 상기 벽면부 사이에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컵의 바닥면부 형상이 하방으로 오목 형상이기 때문에,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제조 방법은 몸통 부재를 통형으로 두루 감아 몸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를 구부려 톱 컬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바닥 부재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려 형성된 굴곡부의 선단이 상기 몸통부의 하단측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를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와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굴곡부를 끼워 넣고, 상기 몸통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를 서로 접합하여 종이컵을 성형하는 종이컵 성형 공정과, 상기 종이컵의 상기 바닥 부재의 내면측을 가압하여 하방으로 오목 형상의 바닥면부를 형성하는 바닥면부 성형 공정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2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은 몸통 부재를 통형으로 두루 감아 몸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몸통부의 상단측을 구부려 톱 컬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바닥 부재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려 형성된 굴곡부의 선단이 상기 몸통부의 하단측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를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와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굴곡부를 끼워 넣고, 상기 몸통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를 서로 접합한 종이컵의 상기 바닥 부재와 바닥면부를 내면측을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들 제조 방법 및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의하면, 종이컵의 바닥 부재 형상을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한 형상으로 할 수 있어,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종이컵 성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되접어 꺾기부의 폭을 2mm 이상으로 하되 상기 굴곡부의 폭의 3/4 이하로 해도 된다. 상 기 몸통부와 상기 굴곡부를 접착하는 폭을 상기 굴곡부의 선단으로부터 2mm 이상으로 하되 상기 굴곡부의 폭의 3/4 이하로 해도 된다.
또 제2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있어서는, 상기 되접어 꺾기부의 폭을 2mm 이상으로 하되 상기 굴곡부의 폭의 3/4 이하로 해도 되며, 또는 상기 굴곡부와 상기 몸통부 및 상기 되접어 꺾기부를 접착하는 접합부의 폭을 상기 굴곡부의 선단으로부터 2mm 이상으로 하되 상기 굴곡부의 폭의 3/4 이하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제조 방법은 바닥 부재를 가압하여 오목 형상의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에 굴록부를 형성하는 바닥 부재 성형 공정과, 몸통 부재를 통형으로 두루 감아 몸통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몸통부의 상단측을 구부려 톱 컬부를 형성하는 공정 내에서, 상기 바닥 부재 굴곡부의 선단이 상기 몸통부의 하단측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몸통부의 하단측을 되접어 꺾어 상기 굴곡부를 끼워 넣고, 상기 몸통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를 서로 접합하여 종이컵을 성형하는 종이컵 성형 공정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종이컵 바닥면부의 형상을 오목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어,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제조 방법은 바닥 부재 블랭크를 가압하여 상방으로 볼록 형상의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면부와, 상기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에 접합부를 형성하는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 성형 공정과, 몸통 부재를 통형으로 두루 감아 몸통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몸통부의 상단측을 구부려 톱 컬부를 형성하는 공정 내에서, 상기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의 접합부 선단이 상기 몸통부의 하단측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몸통부의 하단측을 되접어 꺾어 상기 접합부를 끼워 넣고, 상기 몸통 부재와 상기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를 서로 접합하여 종이컵을 성형하는 종이컵 성형 공정과, 상기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면부를 하방으로 반전하여 하방으로 오목 형상의 바닥면부를 형성하는 바닥 부재 성형 공정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종이컵의 바닥면부 형상을 용이하게 오목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어,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은 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측을 구부린 톱 컬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을 내측으로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를 가지는 몸통 부재와,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린 굴곡부를 가지는 바닥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몸통부와 상기 되접어 꺾기부 사이에 상기 굴곡부가 끼워져 서로 접합된 종이컵의 상기 바닥면부를 오목 형상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으로서, 상기 종이컵은 적어도 외면측으로부터 열가소성(熱可塑性) 수지의 발포층과, 종이를 주체로 하는 기재층(基材層)과, 열가소성 수지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의하면, 단열 효과가 충분히 있고, 미끄럼 방 지 효과가 있고, 그리고 디자인적으로 독특한 감촉을 가지는 발포층을 가지는 단열 종이컵으로서, 종이컵의 바닥면부 형상이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됨으로써,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서는 상기 몸통 부재가 상기 발포층을 가져도 된다. 상기 바닥 부재가 상기 발포층을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몸통 부재 및 상기 바닥 부재가 상기 발포층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제4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은 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를 구부린 톱 컬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를 가지는 몸통 부재와,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린 굴곡부를 가지는 바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와 상기 되접어 꺾기부 사이에 상기 굴곡부가 끼워져 서로 접합된 종이컵의 상기 바닥면부가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바닥면부의 외면에 단열 부재가 접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의하면, 종이컵의 바닥면부 형상을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하고, 바닥면부의 외면에 단열 부재를 접착함으로써,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가열 후에 하면에 놓았을 때 내용물이 식기 어려운 바닥면부에 단열성을 가지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서는 상기 단열 부재가 골판지, 또는 엠보싱 가공 종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제5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은 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를 구부린 톱 컬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를 가지는 몸통 부재와,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린 굴곡부를 가지는 바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와 상기 되접어 꺾기부 사이에 상기 굴곡부가 끼워져 서로 접합된 종이컵 본체의 상기 몸통부 외주에 단열 커버를 장착하고, 상기 바닥면부를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의하면, 몸통부에 단열 커버를 장착한 단열성을 가지는 단열 종이컵으로서, 본체인 종이컵의 바닥면부 형상이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열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전자 레인지 컵에서는 상기 단열 커버의 상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상 컬부, 또는 내측으로의 커버 상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단열 커버의 하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하 컬부, 또는 내측으로의 커버 하 굴곡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단열 커버의 상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상 컬부, 또는 내측으로의 커버 상 굴곡부가 형성되고, 또한 하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하 컬부, 또는 내측으로의 커버 하 굴곡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단열 커버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세로홈과 상기 세로홈 사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광폭의 평판부를 가지는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단열 커버가 파형(波形)으로 가공된 파형 가공지, 골판지, 또는 엠보싱 가공지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6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은 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를 구부린 톱 컬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를 가지는 몸통 부재와,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린 굴곡부를 가지는 바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와 상기 되접어 꺾기부 사이에 상기 굴곡부가 끼워져 서로 접합된 종이컵 본체의 상기 몸통부 외주에 단열 커버를 장착하고, 상기 바닥면부를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바닥면부의 외면에 단열 부재를 접착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의하면, 몸통부에 단열 커버를 장착한 단열성을 가지는 종이컵으로서, 본체인 종이컵의 바닥면부 형상이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단열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바닥면부에 단열 부재를 접착함으로써, 가열 후에 평면 상에 놓아도 내용물이 식기 어려운 보온성을 가지며, 또한 바닥면부를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서는 상기 단열 부재가 골판지, 또는 엠보싱 가공지라도 된다.
상기 단열 커버의 상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상 컬부, 또는 내측으로의 커버 상 굴곡부가 형성되어도 되며, 상기 단열 커버의 하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하 컬부, 또는 내측으로의 커버 하 굴곡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단열 커버의 상단부에 상기 커버 상 컬부, 또는 상기 커버 상 굴곡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단열 커버의 하단부에 상기 커버 하 컬부, 또는 상기 커버 하 굴곡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단열 커버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세로홈과 상기 세로홈 사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광폭의 평판부를 가지는 형상이라도 된다.
상기 단열 커버가 파형으로 가공된 파형 가공지, 골판지, 또는 엠보싱 가공지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7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은 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측을 구부린 톱 컬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을 내측으로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를 가지는 몸통 부재와,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린 굴곡부를 가지는 바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와 상기 되접어 꺾기부 사이에 상기 굴곡부가 끼워진 실굽부에서 서로 접합된 종이컵으로서, 상기 바닥면부가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굽부가 내측으로 넘어져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의하면, 종이컵의 바닥면부 형상을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하고, 그리고 실굽부를 내측으로 넘어뜨려 바닥면부에 근접시킴으로써,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 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지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바닥 부재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몸통 부재 블랭크 및 바닥 부재 블랭크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조하는 또 하나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변형 전의 제1 종이컵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변형 전의 제2 종이컵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종이컵을 변형시켜 제조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제조 방법에 의해 제 조한 변형 전의 제3 종이컵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종이컵을 변형시켜 제조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제조 방법의 종이컵 성형기로 성형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제조 방법의 바닥 부재를 변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몸통 부재 및 바닥 부재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제조 방법의 바닥 부재를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바닥 부재를 다른 양태로 제작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반전(反轉) 전의 바닥 부재의 단면도 및 반전 전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제조 방법에 의해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를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제조 방법에 의해 반전 전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제조 방법에 의해 반전 전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으로 반전 후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몸통 부재 및 바닥 부재의 재료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나타내는 일부를 절삭 단면으로 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바닥 부재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제3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27은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바닥 부재 형상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8은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단열 커버 형상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종이컵 본체에 단열 커버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종이컵 본체에 단열 커버를 장착하는 또 하나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32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33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34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35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37은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바닥 부재 형상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8은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종이컵 본체에 단열 부재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9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40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41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42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43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45는 제6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바닥 부재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6은 제6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7은 제6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제6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단열 커버를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삭 단면도이다.
도 49는 제6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단열 커버를 감은 상태의 몸통부의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1은 종래의 종이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첨부 도면에서, 상이한 도면의 동일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부분 단면도이다.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은 도 1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를 구비하고 있다. 몸통 부재(1)는 몸통부(11)와, 그 몸통부(11)의 상단을 외측으로 컬(curl)하여 형성된 톱 컬부(12)와, 몸통부(11)의 하단을 내측으로 되접어 꺾어 형성된 되접어 꺾기부(13)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바닥 부재(2)는 내면으로부터 보아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된 바닥면부(21U)와, 그 바닥면부(21U)의 외주 에지부를 하방으로 대략 직각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굴곡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는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를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와 몸통부(11)의 하단부에서 끼워 가열 압착함으로써 서로 접합되어 있다.
도 1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닥 부재(2)의 바닥면부(21U)는 내면으로부 터 보아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된 U자 형상을 하고 있다. 바닥면부(21U)는 도 1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면부(21Ua)와 벽면부(21Ub)로 이루어지는 트레이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 하면부(21Ua)는 평면 형상으로 하고, 또한 벽면부(21Ub)는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에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면부(21Ua)와 벽면부(21Ub) 사이에는 곡면부(R)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면부(R)는 곡률 반경이 3∼10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8mm의 범위이다. 곡률 반경이 3mm 미만의 경우에는 핀 홀이 발생하여 누출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한편, 곡률 반경이 1Omm를 넘는 경우에는 실굽부(Z)에 눌음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바닥면부(21U)의 최대 깊이(d)는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의 상단으로부터 되접어 꺾기부(13)의 폭의 70% 이상이 바람직하다. 70% 이상으로 함으로써, 전자 레인지 내에서 실굽부(Z)의 뒤쪽으로부터의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실굽부(Z)의 눌음의 발생을 충분히 막을 수 있다. 70% 미만의 경우에는, 실굽부(Z)가 눌을 우려가 있다.
몸통부(11)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는 하단면(X)과 하면부(21Ua)와의 거리(x)(도 2 참조)는 상방으로 8mm 미만, 하방으로 2mm 미만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방으로 0∼3mm의 범위이다. 도 2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거리(x)가 상방으로 8mm를 넘어 확대된 경우에는 실굽부(Z)의 뒤쪽으로부터의 마이크로파를 차폐하는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도 2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거리(x)가, 하방으로 2mm를 넘어 확대된 경우에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이 그 안정성을 잃을 우려가 있다.
다음에,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몸통부 블랭크(10)와 바닥부 블랭크(20)로 제조된다. 그 제조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의 방법에서는, 도 4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먼저 일반적인 종이컵과 동일한 형상의 종이컵(a)을 제작한다. 바닥 부재(2)의 변형 전의 종이컵(a) 제조는 종이컵 성형기로 일반적인 종이컵과 동일하게 성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몸통부 블랭크(10)는 미리 전(前)공정에서 펀칭된 것이 사용된다. 바닥부 블랭크(20)는 종이컵 성형기 상에서 펀칭된다. 바닥면부(21)가 바닥 높임으로 되어 있는 종이컵을 다음의 공정에서 도 4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닥면부(21)를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여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를 형성한다.
또 하나의 방법에서는, 도 5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미리 몸통 부재(1a)와 바닥 부재(2b)가 다른 공정에서 제조된다. 그리고, 다음의 공정에서 도 5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형으로 성형한 몸통 부재(1a)와,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를 가지는 바닥 부재(2b)를 바닥 부재(2b)의 굴곡부(22)를 몸통 부재(1a)의 되접어 꺾기부(13)와 몸통부(11)의 하단부에서 끼워 접합한다.
도 4에 나타낸 제조 방법은 변형 전의 종이컵 상태에 따라 다시 몇개인가의 양태로 나눌 수 있다. 이하, 각 양태를 도 6∼도 10에 의해 설명한다.
도 6은 바닥 부재를 변형하기 전의 제1 종이컵(a)의 부분 단면도이다. 변형 전의 종이컵(a)은 일반적인 종이컵과 마찬가지로,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를 구비하고 있다. 몸통 부재(1)는 주로 몸통부(11)를 형성한다. 몸통 부재(1)의 상단이 외측으로 컬되어 톱 컬부(12)가 형성되고, 몸통 부재(1)의 하단이 내측으로 되접어 꺾여 되접어 꺾기부(13)가 형성된다. 한편, 바닥 부재(2)는 주로 바닥면부(21)를 형성한다. 바닥 부재(2)의 외주 에지부가 하부으로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굴곡부(22)가 형성된다.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를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와, 몸통부(11)의 하단부에서 끼워 가열 압착 하고, 접합부(S, S)에서 접착함으로써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가 서로 접합된다. 종이컵(a)의 바닥 부재(2)를 도 4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변형시킴으로써,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종이컵(a)이 얻어진다.
도 7은 바닥 부재를 변형하기 전의 제2 종이컵(b)의 부분 단면도이다. 종이컵(b)은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와의 접합부(S, S)를 규정하는 되접어 꺾기부(13)의 폭(m)이 2mm 이상, 또한,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의 폭(n)의 3/4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의 폭을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의 폭의 3/4 이하로 함으로써, 바닥 부재(2)를 오목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되접어 꺾기부(13)의 폭을 2mm 미만으로 하면,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를 접합하는 실 폭이 너무 좁아, 접합 강도가 저하되어 내용물이 누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되접어 꺾기부(13)의 폭은 2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되접어 꺾기부(13)의 폭을 2mm 이상 확보하기 위해, 굴곡부(22)의 폭은 적어 도 2mm의 4/3배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도 8은 종이컵(b)으로 제조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B)의 단면도이다.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B)에서는 변형 전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b)의 바닥면부(21)를 내면측으로부터 보아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여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 되접어 꺾기부(13)의 폭(m)을 굴곡부(22)의 폭(n)의 3/4 이하로 좁게 함으로써, 굴곡부(22)의 되접어 꺾기부(13)와 겹치지 않는 부분을 하방으로 되접어 꺾을 수 있다. 따라서,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U자 형상으로 한 바닥면부(21U)는, 바람직하게는, 하면부(21Ua)와 벽면부(21Ub)로 이루어지는 트레이 형상으로 한다. 하면부(21Ua)는 평면 형상으로 하고, 벽면부(21Ub)는 실굽부(Z)에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바닥 부재를 변형하기 전의 제3 종이컵(c)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 종이컵(c)에서는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와의 접합에서,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및 몸통부(11)와,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 양면을 전체면에 걸쳐 열접착하는 것이 아니라, 도 9 (b)의 부분 확대 단면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를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와 몸통부(11)에서 끼워 넣고,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 하부의 양면에서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 하부와 몸통부(11)를 폭(o, o)의 접합부(S, S) 부분에서 가열 접착함으로써,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를 서로 접합하고 있다.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c)은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 하부와 몸통부(11)와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 하부의 양면과의 접합부(S, S)의 폭(o, o) 을 2mm 이상, 또한,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의 폭(n)의 3/4 이하로 한 점이 특징이다. 이 접합부(S, S)의 폭(o, o)을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의 폭(n)의 3/4 이하로 함으로써, 바닥 부재(2)를 오목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접합부(S, S)의 폭(o, o)을 2mm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제2 종이컵(b)의 예와 동일하다.
도 10은 종이컵(c)으로 제조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단면도이다.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C)에서는, 변형 전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c)의 바닥면부(21)를 내면측으로부터 보아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여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에서, 상부가 몸통 부재(1)의 몸통부(11)및 되접어 꺾기부(13)와 미접착 상태이기 때문에, 바닥면부(21)를 오목 형상으로 변형할 때, 굴곡부(22)의 미접착 부분도 변형되어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를 형성한다. 따라서,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는 가공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종이컵(b 및 c)으로 제조되는 종이컵(B 및 C)에 있어서, 하면부(21Ua)와 몸통부(11)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는 하단면(X)과의 거리(x)(도 2 참조)는 도 2의 예 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도 6∼도 10에 나타낸 각 양태에서는, 바닥 부재(2)를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시키기 전의 종이컵에 있어서,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와의 접합 부분, 또는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의 폭의 설정이 상이하다. 그러나, 각각의 양태는 종이컵 성형 공정과 바닥면부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제조 방법이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몸통부 블랭크(10)와 바닥부 블랭크(20)를 사용하여, 이들의 블랭크(10 및 20)를 종이컵 성형기에 의해 일반적인 종이컵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한다. 일반적으로, 몸통부 블랭크(10)로서는, 미리 전 공정에서 펀칭된 것이 사용되며, 바닥부 블랭크(20)는 종이컵 성형기 상에서 펀칭된다.
몸통 부재 블랭크(10)와 바닥 부재 블랭크(20)를 사용하여 종이컵을 제작하는 종이컵 성형 공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변형 전의 종이컵(a, b, c)을 성형하는 종이컵 성형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성형기(100)는 일반적인 종이컵을 성형하는 성형기와 동일하며, 전대 성형부(A), 바닥 컬부(실굽부) 성형부(B), 톱 컬 성형부(C)의 3개의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종이컵 성형기(100)에 의한 성형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피더로부터 보내진 몸통 부재 블랭크(10)는 그 통형에 붙여지는 부분이 온풍(101)으로 예열 가공되어 표면의 수지가 용융된 상태로 전대 성형부(A)로 보내진다. 전대 성형부(A)에서는 블랭크(10)가 전대형(102)으로 흡인되면서 감겨져 전대 종이의 열 실이 실행된다. 통형으로 열 실된 전대 종이는 바닥 컬 성형부(B)에 보내진다. 바닥 컬 성형부(B)에서는, 형(110)의 위치에서, 먼저, 펀칭된 바닥 부재 블랭크(20)가 흡인 고정된다. 다음에, 형(111)의 위치에서, 전대 종이가 삽입된다. 계속하여, 형(112), 형(113), 형(114)의 위치에서, 몸통 부재(1)와 바닥부 블랭크(20)를 접착하는 부분이 온풍으로 예열 가공되어 형(115)의 위치에서, 몸통 부재의 하단이 내측으로 되접어 꺾이면서 압착된다. 이에 따 라,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가 일체화된다. 이 컵 형상으로 성형된 중간품이 톱 컬 성형부(C)에 주고 받게된다. 톱 컬 성형부(C)에서는 중간품이 형(120)의 금형 내에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윤활유가 도포되고, 형(121), 형(122), 형(123)의 위치에서 몸통 부재(1)의 상단이 외측으로 컬되어 톱 컬부(12)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성형품이 형(124)에서 배출되어 종이컵이 완성된다.
다음에, 높임 바닥이며 또한 평면 형상의 바닥면부(21)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되어 U자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 바닥면부 성형 공정에서는, 도 12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면부에 볼록부(201a)를 가지는 맨드릴(201)에 종이컵이 끼워 맞춰진 후, 하면부에 오목부(202a)를 가지는 헤드(202)에 의해 바닥면부(21)가 U자 형상으로 성형된다. 성형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미리 바닥 부재(2)를 가열해 두는 방법, 헤드(202)를 가열하는 방법, 또는 헤드(202)를 초음파 진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 도 12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맨드릴(202)을 회전시키면서 회전 롤러(203)를 강하게 눌러 바닥면부(21)를 성형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미리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된 바닥면부(21U)와, 외주 에지부가 하방으로 대략 직각으로 굴곡된 굴곡부(22)를 구비한 바닥 부재(2)와, 몸통 부재(1)를 서로 다른 공정에서 제작하고, 양자를 후속 공정에서 접합하는 경우, 그 바닥 부재(2)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작할 수 있다. 즉,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를 접합하기 전에 바닥 부재 성형 공정이 형성되고, 그 바닥 부재 성형 공정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형(211)과 하형(212)으로 이루어지는 금형(210)을 사용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바닥 부재(2)가 성형된다. 이 가공에 의해 평면 형상의 바닥부 블랭크(20)가 바닥 부재(2)에 성형된다. 이 공정은 전술한 종이컵 성형기의 바닥 컬 성형부(B)의 바닥 부재 블랭크의 공급부에 직결하여 실행해도 된다. 또는 미리 종이컵 성형기 밖에서 성형된 바닥 부재(2)를 전술한 종이컵 성형기의 바닥 컬 성형부(B)의 바닥 부재 블랭크의 공급부로부터 공급해도 된다.
바닥 부재(2)를 다른 공정에서 제작하는 경우에는, 도 15∼도 18에 나타낸 양태로 종이컵(A)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 양태의 제조 방법에서는, 먼저, 도 15 (a)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반전(反轉) 전의 바닥 부재(2')가 제작된다.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2')는 상방으로 볼록 형상으로 변형된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면부(21U')와, 외주 에지부를 하방으로 대략 수직의 접합부(22)를 구비하고 있다. 그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면부(21U')의 형상은 상면이 평면 형상인 반원호 형상이다. 또, 도 15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면부(21U')의 최대 높이(h)는 실굽부(Z)의 내측의 폭을 z로 했을 때, 「2 × z + 2 > h > 2 × z - 8」의 식을 만족시키는 값으로 한다.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2')의 성형 공정은 몸통 부재(1)와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2')를 접합하기 전에 형성한다. 그 성형 공정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형(221)과 하형(222)으로 이루어지는 금형(220)을 사용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2')를 성형할 수 있다. 이 가공에 의해, 평면 형상의 바닥 부재 블랭크(20)로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2')가 성형된다. 이 공정은 전술한 종이컵 성형기의 바닥 컬 성형부(B)의 바닥 부재 블랭크(20) 공 급부에 직결하여 실행해도 된다. 또는 미리 종이컵 성형기 밖에서 실행한 성형 후의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2')를 전술한 종이컵 성형기의 바닥 컬 성형부(B)의 바닥 부재 블랭크(20) 공급부로부터 공급해도 된다.
다음에, 몸통 부재(1)의 하방, 또는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방으로부터 미리 성형된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2')가 몸통 부재(1)에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2')의 접합부(22)가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와 몸통부(11)의 하단부에서 끼워져 가열 압착됨으로써, 몸통 부재(1)와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2')가 접합된다. 이에 따라 반전 전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이 제조된다.
계속해서,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방으로 볼록 형상의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면부(21U')가 하방으로 반전되어 하방으로 오목 형상의 바닥면부(21U)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의 몸통 부재(1)및 바닥 부재(2)에 사용하는 재료는 종이를 주강도재(主强度材)로 하고, 최내층(最內層)에 열가소성 수지를 배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주강도재가 되는 종이로서는, 종이컵 성형 적성이 양호한 컵 원지(原紙)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로서의 종이의 평량(坪量)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종이컵에의 성형 적성으로부터 보아 15O∼3OOg/㎡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최내층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내용물의 보호, 특히 액상(液狀)의 물질을 넣어도 누출되지 않는 기능, 또, 열 실에 의해 몸통부의 접합, 그리고 몸통 부 재(1)와 바닥 부재(2)의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에틸렌 비닐 알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두께로서는 15∼6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압출 가공 또는 래미네이트 가공에 의해 최내층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구체적인 재료의 구성으로서는, 표면측으로부터 종이층/폴리에틸렌 수지층, 폴리에틸렌 수지층/종이층/폴리에틸렌 수지층, 발포 폴리에틸렌 수지층/종이층/폴리에틸렌 수지층, 종이층/폴리프로필렌 수지층, 폴리프로필렌 수지층/종이층/폴리프로필렌 수지층, 종이층/폴리에스테르 수지층,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종이층/폴리에스테르 수지층, 종이층/나일론 수지층, 나일론 수지층/종이층/나일론층, 종이층/에틸렌 비닐 알콜층, 에틸렌 비닐 알콜층/종이층/에틸렌 비닐 알콜층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닥 부재(2)의 재료는 요철(凹凸) 형상으로 변형할 때 변형하기 쉽고, 변형 시에, 균열이나 핀 홀이 생기지 않는 구성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나일론 수지층을 가지는 구성이 바닥 부재(2)의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은 인스턴트 라면, 반찬류 등을 따뜻하게 하는 즉석 식품용의 용기, 또는 커피, 홍차, 스프 등을 따뜻하게 하는 음료용의 용기로서 유효하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설명한다. 이 종이컵은 단열성을 부여하기 위해 몸통 부재 및 바닥 부재를 발포시키는 것이다. 소재를 발포시키기 전의 종이컵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종이컵(A)과 동일하다. 단, 몸통 부재 및 바닥 부재의 재료 구성이 상이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의 몸통 부재(1), 또는 바닥 부재(2)의 발포하기 전 상태에서의 재료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도 19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표면측으로부터 표면 열가소성 수지층(5), 기재층(基材層)으로서의 종이층(3), 그리고 이면(裏面) 열가소성 수지층(6)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발포한 후에는 도 19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표면측으로부터 발포층(5a), 기림층으로서의 종이층(3), 그리고 이면 열가소성 수지층(6)으로 되어 있다. 종이층(3)의 표면측에는 인쇄층(4)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층(4)은 표면 열가소성 수지층(5)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인쇄층(4)은 표면 열가소성 수지층(5)의 표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종이층(3)과 이면 열가소성 수지층(6) 사이에는 배리어성 등을 올리기 위해 알루미늄박층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기재층이 되는 종이층(3)의 평량은 100∼400g/㎡의 범위가 종이컵의 제조 상 바람직하다. 종이층(3)의 함수율은 3∼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8%의 범위에서 안정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종이 안의 수분을 증발시켜, 그 증기압의 힘으로 표면 열가소성 수지층(5)이 발포됨으로써 발포층(5a)이 형성된다.
인쇄층(4)은 종이층(3)의 표면 또는 표면 열가소성 수지층(5)의 표면에 형성 된다. 인쇄층(4)은 부분적으로 착색 잉크로 인쇄되는 경우와, 전면적으로 착색 잉크로 인쇄되는 경우가 있다. 인쇄의 위치, 인쇄 면적의 대소, 인쇄의 방법, 사용되는 잉크 등은 종래 공지의 기술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열가소성 수지층(5)및 이면 열가소성 수지층(6)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 염화 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등이다. 이 열가소성 수지를 종이층(3)의 겉과 뒤의 양면에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수지를 열용융하여 도포하는 압출 코팅법, 또는 필름이 된 것을 접착하는 래미네이트법 등이 있다. 발포하기 전의 표면 열가소성 수지층(5)의 두께는 15∼5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너무 두꺼워도, 너무 얇아도 발포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이면 열가소성 수지층(6)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이면 열가소성 수지층(6)을 발포시키지 않고 , 표면 열가소성 수지층(5)만을 발포시키기 위해서는 이면으로부터의 수증기의 증발을 막을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은 방법으로서는, 종이층(3)과 이면 열가소성 수지층(6) 사이에 알루미늄박 등의 층을 형성하는 방법, 또는 이면 열가소성 수지층(6)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표면 열가소성 수지층(5)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연화점(軟化點)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에틸렌 비닐 알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층의 두께는 15∼6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가 압출 가공 또는 래미네이트 가공됨으로써 이면 열가소성 수지층(6)이 형성된다. 이면 열가소성 수지층(6)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내용물의 보호, 특히 액상의 물질을 넣어도 누출되지 않는 기능, 또, 열 실에 의해 몸통 부재(1)의 접착, 그리고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의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특히, 바닥 부재(2)의 재료는 바닥면부(21)를 오목 형상으로 변형할 때, 변형하기 쉽고, 변형 시에, 균열이나 핀 홀이 생기지 않는 구성을 선정할 필요가 있어,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나일론 수지층을 가지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의 표면 열가소성 수지층(5)을 발포시켜 발포층(5a)을 형성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D)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D)에서는 몸통 부재(1)및 바닥 부재(2)의 양 부분을 발포층(5a)으로 했지만, 발포층(5a)은 몸통 부재(1)만, 또는 바닥 부재(2)에만 형성해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D)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표면 열가소성 수지층(5)을 발포하기 전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제작한다. 이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몸통부 블랭크(10)와 바닥부 블랭크(20)로 제조된다. 단, 그들 블랭크(10, 20)는 인쇄가 실시된 종이층(3)의 겉쪽에 표면 열가소성 수지층(5)이, 뒤쪽에 이면 열가소성 수지층(6)이 각각 적층된 적층체를 펀칭 가공으로 펀칭하여 얻어진 것이다. 블랭크(10,20)로부터의 종이컵의 제조 방법에는, 전술한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2개의 방법이 있다.
도 4 또는 도 5의 방법에 의해 성형된 발포 전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을 가열 함으로써, 종이 안의 수분이 증발되어 그 증기압과 공기의 열팽창이 가해지고 표면 열가소성 수지층(5)에 발포 구조가 생성되어 발포층(5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표면에 발포층(5a)을 가지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D)을 제조할 수 있다.
발포 전의 종이컵(a) 가열 방법으로서는 열풍, 적외선, 원적외선, 마이크로파, 고주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정치(靜置)하여 가열하는 방법, 또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하면서 가열하는 방법이 있다. 가열 온도는 100∼200˚C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가열 시간은 10초∼5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D)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것과 같이, 종이컵의 바닥면부(21)를 오목 형상으로 하여 바닥면부(21U)로서 발포 전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을 성형하고, 다음의 공정에서 발포하여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D)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반적인 종이컵의 형상에서 미리 발포해 두고, 다음의 공정에서 바닥면부(21)를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여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로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을 제조하는 방법도 있다.
또는 도 2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미리 통형으로 성형한 발포한 몸통 부재(1a)와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를 가지는 발포한 바닥 부재(2b)를 다른 공정에서 가공해 둔다. 그리고, 다음의 공정에서, 바닥 부재(2b)의 굴곡부(22)를 몸통 부재(1a)의 되접어 꺾기부(13)와 몸통부(11)의 하단부에서 끼우고 접합하여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D)을 제조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용도으로서는 커피, 홍차, 스프 등 따뜻하게 하여 사용하는 음료용의 용기, 또는 인스턴트 라면, 반찬 등 따뜻하게 하는 즉석 식품용의 용기가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설명한다. 도 23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E)은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와 단열 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몸통 부재(1)및 바닥 부재(2)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종이컵(A)과 동일하다. 바닥 부재(2)의 바닥면부(21U) 외면에는 단열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열 부재(7)가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바닥면부(21U)는 도 23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면으로부터 보아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된 U자 형상을 하고 있다. 바닥면부(21U)는, 바람직하게는, 도 23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면부(21Ua)와 벽면부(21Ub)로 이루어지는 트레이 형상이며, 하면부(21Ua)는 평면 형상으로 하고, 벽면부(21Ub)는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에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면부(Ua)를 평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단열 부재(7)를 접착하기 쉽게 된다. 바닥면부(21U)의 최대 깊이(d)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몸통부(11)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는 하단면(X)과 단열 부재(7)의 표면(하면)과의 거리(x)(도 24 참조)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2에 나타낸 거리(x)와 동일한 범 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 부재(7)는 바닥 부재(2)의 바닥면부(21U) 하면부(21Ua)의 외면에 접착된다. 단열 부재(7)는 반드시 하면부(21Ua)의 전체면에 접착될 필요는 없다. 단열 부재(7)를 하면부(21U)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접착해도 괜찮다. 단열 부재(7)의 형상은 원형, 다각형, 성형(星形) 등으로 괜찮으며,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열 부재(7)를 하면부(21Ua)에 접착 함으로써,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E) 내에 뜨거운 내용물을 넣은 상태로 종이컵(E)을 테이블 등의 표면에 놓았을 때에도, 단열 부재(7)가 그 표면에 접촉해도 열의 전도가 방해되어 내용물이 식기 어려워진다. 또, 내용물의 뜨거움을 느끼지 않아, 손으로 단열 부재(7)에 접촉하여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E)을 잡을 수 있다.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E)의 몸통 부재(1)및 바닥 부재(2)에 사용하는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종이컵(A)의 경우와 동일하다.
단열 부재(7)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단열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재료이면 되며, 예를 들면, 골판지, 발포 시트, 발포 가공지, 에어 캡 시트(air cap sheet), 엠보싱 가공지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단열 효과, 가공성, 환경 대응 등의 점으로부터, 골판지, 엠보싱 가공지가 바람직하다.
골판지에는 A단, B단, E단, F단 등의 종류가 있지만, 단열 부재(7)의 재료인 골판지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E)의 크기에 적합한 종류의 골판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한면의 라이너가 없는, 이른바 한면 골판지라도 단열 부재(7)로 사용할 수 있다. 단(段)가공한 중심(中芯)을 외면으로 내놓아 단열 부재(7)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파형으로 단가공을 한 골판지도 단열 부재(7)로 사용할 수 있다.
엠보싱 가공지는 통상의 골판지와는 달라, 중심지(core paper)에 점형(点形) 모양, 격자 모양 등의 1∼2mm 깊이의 엠보싱 가공을 실행하여 라이너지(紙)와 접착한 것이다. 라이너지는 한면 또는 양면에 접착한다. 단열 효과가 있어, 단열 부재(7)로서 사용할 수 있다. 중심지는 1OO∼18Og/㎡의 범위에서, 라이너지는 200∼27Og/㎡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E)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열 부재(7)가 접착되기 전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종이컵(A)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과 단열 부재(7)를 각각 따로 따로 제조하고, 도 2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의 바닥면부(21U) 외면에 단열 부재(7)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한다.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계,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우레탄계, 에폭시계, 아미노 수지계, 고무계, 디엔계, 기타를 비히클의 주성분으로 하는 용제형, 에멀젼형, 핫멜트형, 기타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접착제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뜨거운 물 등의 뜨거운 내용물을 넣어도, 열에 의해 벗겨져 버리지 않는, 내열성이 있는 타입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E)은 인스턴트 라면, 반찬류 등을 따뜻하게 하는 즉석 식품용의 용기, 또는 커피, 홍차, 스프 등을 따뜻하게 하는 음료용의 용기로서 유효하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설명한다. 도 26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은 종이컵 본체(Fa)와, 그 종이컵 본체(Fa)의 외주에 장착된 단열 커버(Fb)를 구비하고 있다. 종이컵 본체(Fa)는 제1 실시 형태의 종이컵(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를 구비하고 있다.
종이컵 본체(Fa)의 바닥면부(21U)는 도 26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된 U자 형상을 하고 있다. 바닥면부(21U)의 형상은 도 26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면부(21Ua)와 벽면부(21Ub)로 이루어지는 트레이 형상이 바람직하며, 하면부(21Ua)는 평면 형상으로 하고, 벽면부(21Ub)는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에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바닥면부(21U)의 최대 깊이(d)는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 상단으로부터 되접어 꺾기부(13)[엄밀하게는 되접어 꺾기부(13)의 폭에 바닥 부재(2)의 두께를 더한 것]의 폭(Y)의 70%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도 27에 나타낸, 몸통부(11)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는 하단면(X)과 하면부(21Ua)와의 거리(x)에 대해서는,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의 종이컵(a)의 거리(x)와 동일하게 설정하면 된다.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의 몸통 부재(1)및 바닥 부재(2)에 사용하는 재 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종이컵(A)의 경우와 동일하다.
단열 커버(Fb)는 주로 커버 몸통부(31)로 이루어지며,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 외주에 장착된다. 단, 단열 커버(Fb)는 몸통부(11)의 외주 전체면에 장착될 필요는 없다.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단열 커버(Fb)를 몸통부(11)의 외면 상부에 장착해도 된다.
단열 커버(Fb)는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 외면에 밀착하여 장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도 28 (a) 또는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열 커버(Fb)의 커버 몸통부(31) 상단부를 내측으로 컬하여 커버 상 컬부(32a)를 형성 하고, 또는 커버 몸통부(31)의 상단부를 내측으로 되접어 꺾어 커버 상 굴곡부(32b)를 형성한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 28 (c) 또는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열 커버(Fb)의 커버 몸통부(31) 하단부를 내측으로 컬하여 커버 하 컬부(33a)를 형성하고, 또는 하단부를 내측으로 되접어 꺾어 커버 하 굴곡부(33b)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단열 커버(Fb)의 커버 몸통부(31) 상단부에 커버 상 컬부(32a) 또는 커버 상 굴곡부(32b)를 형성하는 동시에, 하단부에 커버 하 컬부( 33a) 또는 커버 하 굴곡부(33b)를 형성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형상으로 함으로써,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와 단열 커버(Fb)의 커버 몸통부(31) 사이에, 커버 상 컬부(32a) 또는 커버 하 컬부(33a)의 직경, 또는 커버 상 굴곡부(32b) 또는 커버 하 굴곡부(33b)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을 가지는 공간(void portion)(35)이 형성되므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의 상하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단열 커버(Fb)에 사용하는 재료는 단열성을 가지며, 종이컵 본체(Fa)에 감는 것이 가능한 재료 이며, 예를 들면, 판지, 편(片)골판지, 골판지, 엠보싱 가공지, 발포 가공지등을 사용할 수 있다.
주로 사용하는 판지는, 주로 코트 볼, 마닐라 볼, 아이보리 등 표면이 평활한 판지이며, 두께는 200∼400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골판지는 A단(段), B단, E단, F단 등의 종류가 있지만, 종이컵 본체(Fa)를 감는다고 하는 점에서, 유연성이 있는 F단 또는 E단이 바람직하다. 또, 한면의 라이너가 없는, 이른바 한면 골판지라도 되며, 단가공한 중심을 외면으로 내어 사용해도 된다. 또한 파형으로 단가공을 한 골판지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엠보싱 가공지는 통상의 골판지와는 달리, 중심지에 점형 모양, 격자 모양 등의 1∼2mm 깊이의 엠보싱 가공을 하여 라이너지와 접착한 것이다. 라이너지는 한면 또는 양면에 접착할 수 있다. 중심지는 100∼18Og/㎡의 범위에서, 라이너지는 2OO∼27Og/㎡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골판지와 동일하게 단열 효과가 있으며, 표면의 라이너지에 그림 등의 인쇄를 실행함으로써,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종이컵 본체(Fa)를 제작하지만, 이 종이컵 본체(Fa)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몸통 부재 블랭크(10)와 바닥 부재 블랭크(20)로 제조된다. 블랭크(10, 20)로의 종이컵 본체(Fa) 제조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종이컵(A)에 관한 도 4 또는 도 5 중 어느 하나의 제조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제작된 종이컵 본체(Fa)의 외주에는 단열 커버(Fb)가 장착된다. 그 장착 방법으로서는, 미리, 종이컵 본체(Fa)에 대응하는 통형의 단열 커버(Fb)를 형성해 두고, 도 29 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통형의 단열 커버(Fb)를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에 끼워 넣어 장착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도 3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이컵 본체(Fa)에 단열 커버(Fb)의 단열 커버 블랭크(30)를 말려들게 하면서 단열 커버 블랭크(30)의 양단 에지를 접착하여 장착하는 방법이라도 된다.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와 단열 커버(Fb)는 부분적으로 접착(부착)해도 된다. 그 접착은 단열 커버(Fb)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1개소에서 실행해도 되고, 상단부와 하단부 등의 복수 개소에서 실행해도 된다. 종이컵 본체(Fa)와 단열 커버(Fb)의 접착은 핫멜트 접착제 내지는 에멀젼 타입 접착제를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은 인스턴트 라면, 반찬류 등을 따뜻하게 하는 즉석 식품용의 용기, 또는 커피, 홍차, 스프 등을 따뜻하게 하는 음료용의 용기로서 유효하다.
그리고, 도 31∼도 35는 제4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설명한다. 도 36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은 종이컵 본체(Ga)와, 종이컵 본체(Ga)의 외주에 장착된 단열 커버(Gb)와,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에 접착된 단열 부재(Gc)를 구비하고 있다. 종이컵 본체(Ga)는 제1 실시 형태의 종이컵(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를 구비하고 있다. 단열 부재(Gc)는 도 23에 나타낸 제3 실시 형태의 종이컵(E) 단열 부재(7)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단열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된다. 그 단열 부재(Gc)는 바닥 부재(2)의 바닥면부(21U) 외면에 접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바닥면부(21U)는 도 36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면으로부터 보아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된 U자 형상을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6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면부(21Ua)와 벽면부(21Ub)로 이루어지는 트레이 형상이며, 하면부(21Ua)는 평면 형상으로 하고, 벽면부(21Ub)는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에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면부(21U)의 최대 깊이(d)에 대해서는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단열 부재(Gc)의 표면과 몸통부(11)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는 하단면(X)과의 거리(x)(도 37 참조)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2에 나타낸 거리(x)와 동일한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의 몸통 부재(1)및 바닥 부재(2)에 사용하는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종이컵(A)과 동일하다. 또, 단열 커버(Gb)는 제4 실시 형태의 종이컵(F)에서의 단열 커버(Fb)와 동일하게 구성하면 된다. 단열 커버(Gb)의 형상은 도 28 (a)∼(d)에 나타낸 단열 커버(Fb)와 동일한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단열 커버(Gb)에 사용하는 재료도 제4 실시 형태의 단열 커버(Fb)와 동일하다.
또한 단열 부재(Gc)의 형상 및 크기에 대해서는 도 23에 나타낸 제3 실시 형태의 종이컵(E) 단열 부재(7)와 동일하다. 단열 부재(Gc)의 작용 효과도,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내용물이 식기 어려워져, 손으로 단열 부재(Gc)에 접촉하여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을 잡을 수 있게 된다. 단열 부재(Gc)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단열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재료이면 되며, 단열 커버(Gb)의 재료와 동일하게, 예를 들면, 판지, 골판지, 엠보싱 가공지, 발포 가공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이외에도, 발포 시트, 에어 캡 시트, 판, 세라믹판, 유리판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단열 효과, 가공성, 환경 대응 등의 점에서 골판지, 엠보싱 가공지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종이컵 본체(Ga)는 제1 실시 형태의 종이컵(A)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면 된다. 또, 단열 커버(Gb)에 대해서는 제4 실시 형태의 종이컵(F) 단열 커버(Fb)와 동일하게 제작하여 종이컵 본체(Ga)와 접합하면 된다.
또한 도 38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열 커버(Gb)를 장착한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 외면에, 다른 공정에서 제작한 단열 부재(Gc)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한다.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계,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우레탄계, 에폭시계, 아미노 수지계, 고무계, 디엔계, 기타를 비히클의 주성분으로 하는 용제형, 에멀젼형, 핫멜트형, 기타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접착제는 한정되지 않지만, 뜨거 운 물 등의 뜨거운 내용물을 넣어도, 열에 의해 벗겨져 버리지 않는, 내열성이 있는 타입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단열 부재(Gc)의 바닥면부(21U)에의 접착은 종이컵 본체(Ga)에 단열 커버(Gb)를 장착하기 전의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 외면에 접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은 인스턴트 라면, 반찬류 등을 따뜻하게 하는 즉석 식품용의 용기, 또는 커피, 홍차, 스프 등을 따뜻하게 하는 음료용의 용기로서 유효하다.
그리고 도 39∼도 43은 제5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설명한다. 도 44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H)은 몸통 부재(1)와 바닥 부재(2)를 구비하고 있다. 몸통 부재(1)및 바닥 부재(2)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 형태의 종이컵(H)은 실굽부(Z)가 내측으로 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44 (b)에 나타낸 바닥면부(21U)의 형상, 도 44 (c)에 나타낸 곡면부(R)의 곡률 반경, 바닥면부(21U)의 최대 깊이(d)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의 종이컵(A) 대응 부분과 동일하다. 도 45에 나타낸, 몸통부(11)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는 하단면(X)과 하면부(21Ua)와의 거리(x)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종이컵(A)과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H)에서는, 실굽부(Z)를 내측으로 넘어뜨려 바닥면부(21U)의 가로면부(21Ub)에 근접시키고 있다. 이 실굽부(Z)의 내면과 바닥면부(21U)의 가로면부(21Ub) 외면과의 최대 거리(v)를 3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거리가 3mm를 넘으면 실굽부(Z)에 눌음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H)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H)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몸통 부재 블랭크(10)와 바닥 부재 블랭크(20)로 제조된다. 먼저, 제1 실시 형태에 관해 도 4 및 도 5에 의해 설명한 것과 같은 2개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도 46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닥 부재(2)의 바닥면부(21U)가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을 제조한다. 다음에, 제조된 종이컵(A)의 실굽부(Z)를, 도 46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측으로 넘어뜨려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H)를 제조한다.
이 실굽부(Z)를 내측으로 넘어뜨리는 방법의 일례로서는, 도 47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종이컵(A)을 그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원추형의 외주면을 가지는 누름형(型)(40)을 실굽부(Z)에 대하여 그 외측으로부터 강하게 눌러 실굽부(Z)를 내측으로 넘어뜨리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H)의 몸통 부재(1) 및 바닥 부재(2)에 사용하는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종이컵(A)의 예와 동일하다.
전술한 구성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H)을 전자 레인지에서 사용했을 때, 내용물이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직접 손으로 잡기 어렵워, 보다 단열성이 우수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단열성을 부여하기 위해, 전술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H)의 몸통부 외주에 단열 커버(Hb)를 말려들게 한 형태의 도 48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HA)으로 할 수도 있다.
단열 커버(Hb)의 형상으로서는, 상기와 같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H)의 몸통부(11) 외면에 밀착하여 장착한 형상으로 하는 외에, 도 49 (a) 또는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열 커버(Hb)의 커버 몸통부(31) 상단부를 내측으로 컬하여 커버 상 컬부(32a)를 형성하고, 또는 상단부를 내측으로 되접어 꺾어 커버 상 굴곡부(32b)를 형성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도 49 (c) 또는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열 커버(Hb)의 커버 몸통부(31) 하단부를 내측으로 컬하여 커버 하 컬부(33a)를 형성하고, 또는 하단부를 내측으로 되접어 꺾어 커버 하 굴곡부(33b)를 형성한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단열 커버(Hb)의 커버 몸통부(31) 상단부에 커버 상 컬부(32a) 또는 커버 상 굴곡부(32b)를 형성하는 동시에, 하단부에 커버 하 컬부(33a) 또는 커버 하 굴곡부(33b)를 형성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형상으로 함으로써,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H)의 몸통부(11)와 단열 커버(Hb)의 커버 몸통부(31) 사이에, 커버 상 컬부(32a) 또는 커버 하 컬부(33a)의 직경, 또는 커버 상 굴곡부(32b) 또는 커버 하 굴곡부(33b)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을 가지는 공간(35)이 형성되므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HA)의 상하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단열 커버(Hb)에 사용하는 재료는 전술한 제4 또는 제5 실시 형태의 단열 커버(Fb 또는 Gb)의 재료와 동일하게, 단열성을 가지는 재료이며, 예를 들면, 판지, 편골판지, 골판지, 엠보싱 가공지, 발포 가공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발포 가공지의 구성은 발포하는 열가소성 수지층/종이층/열가소성 수지층이라고 하는 구성이 기본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포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층/코트지/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의 혼합 수지층 구성의 적층체 등이 사용된다.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H)에 말려들게 하는 경우에는, 발포한 수지층을 표면으로 해도 되고, 또는 발포하지 않는 수지층을 표면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용도는 인스턴트 라면, 반찬류 등을 따뜻하게 하는 즉석 식품용의 용기, 또는 커피, 홍차, 스프 등을 따뜻하게 하는 음료용의 용기로서 유효하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ㆍ제1 실시예의 1
몸통 부재(1)의 재료로서 표면으로부터 컵 원지 28Og/㎡/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25㎛의 구성 재료를 사용하고, 바닥 부재(2)의 재료로서 표면으로부터 컵 원지 255g/㎡/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25㎛의 구성 재료를 사용했다. 먼저, 도 3과 같은 몸통부 블랭크(10)를 펀칭하고, 이 몸통부 블랭크(10)를 맨드릴에 감아 통형 의 몸통 부재(1)를 형성했다. 다음에,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은 공정에서, 몸통 부재(1)의 하방으로부터 바닥부 블랭크(20)를 끼워 넣어 접착 부분을 열풍으로 가열하고, 몸통 부재(1)의 하단을 내측으로 되접어 꺾어 되접어 꺾기부(13)를 형성했다. 계속해서, 몸통 부재(1)의 상단을 외측으로 컬하여 톱 컬부(12)를 형성했다. 제작한 종이컵(a)의 바닥면부(21)를 다음의 공정에서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여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를 형성함으로써, 도 1에 대응하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을 제조했다. 또 하면부(21Ua)와 벽면부(21Ub) 사이의 곡면부(R)의 곡률 반경이 6mm, 몸통부(11)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는 하단면(X)과 하면부(21Ua)와의 거리(x)가 1mm로 된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를 가지는 도 50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를 아울러 제작했다.
ㆍ제1 실시예의 2
제1 실시예의 1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고, 동일 순서에 의해 도 7에 나타낸 종이컵(b)을 성형했다. 성형된 종이컵(b)에서,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의 폭(m)을 5mm,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의 폭(n)을 10mm로 하고, 되접어 꺾기부(13)의 폭을 굴곡부(22)의 폭의 1/2로 했다. 또한 바닥 부재(2)를 도 12에 나타낸 방법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시켜,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를 구비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B)(도 8)을 제조했다. 되접어 꺾기부(13)의 폭(m)이 굴곡부(22)의 폭(n)의 3/4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 부재(2)를 오목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었다.
ㆍ제1 실시예의 3
제1 실시예의 1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 하고, 동일 순서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종이컵(c)을 성형했다. 성형된 종이컵(c)에서는,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를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와 몸통부(11)에서 끼워 넣었다. 10mm 폭의 굴곡부(22) 하부의 양면에서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 하부와 몸통부(11)를 굴곡부(22)의 하단으로부터 6mm 폭의 부분에서 가열 접착하여 접합했다. 또한 바닥 부재(2)를 도 12에 나타낸 방법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시켜,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를 가지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C)(도 10)을 제조했다. 바닥 부재(2)의 굴곡부(22)에서, 상부의 4mm가 몸통 부재(1)의 몸통부(11) 및 되접어 꺾기부(13)와 미접착 상태이기 때문에, 이 미접착 부분도 변형되어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로 되어, 바닥 부재(2)를 오목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었다.
ㆍ제1 실시예의 4
제1 실시예의 1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고, 다음의 순서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종이컵(A)을 제조했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바닥 부재 블랭크(20)를 펀칭하고,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은 금형(210)을 사용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바닥 부재(2)를 성형했다. 동일하게 몸통 부재 블랭크(10)를 펀칭하고, 이 몸통 부재 블랭크(10)를 맨드릴에 감아 통형의 몸통 부재(1)로 형성했다. 다음에,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은 공정에서, 몸통 부재(1)의 하방으로부터 미리 성형한 바닥 부재(2)를 끼워 넣어 접착 부분을 열풍으로 가열하고, 몸통 부재(1)의 하단을 내측으로 되접어 꺾어 되접어 꺾기부(13)로 했다. 계속해서, 몸통 부재(1)의 상단을 외측으로 컬하여 톱 컬부(12)를 형성하고 전자 레 인지 대응 종이컵(A)을 제조했다.
ㆍ제1 실시예의 5
제1 실시예의 1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다음의 순서에 의해 도 18에 나타낸 종이컵(A)을 제조했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바닥 부재 블랭크(20)를 펀칭하고,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은 금형(220)을 사용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도 15 (a)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2')를 성형했다. 동일하게 몸통 부재 블랭크(10)를 펀칭하고, 이 몸통 부재 블랭크(10)를 맨드릴에 감아 통형의 몸통 부재(1)로 형성했다. 다음에,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은 공정에서, 몸통 부재(1)의 하방으로부터 미리 성형한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2')를 끼워 넣고,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2')의 접합부(22)를 몸통 부재(1)의 되접어 꺾기부(13)와 몸통부(11)의 하단부에서 끼우고 가열 압착하여 몸통 부재(1)와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2')를 접합하고, 몸통 부재(1)의 상단을 외측으로 컬하여 톱 컬부(12)를 형성해서 반전 전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도 18)을 제조했다. 또한 도 18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방으로 볼록 형상의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면부(21U')를 하방으로 반전하여 하방으로 오목 형상의 바닥면부(21U)를 가지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을 제조했다.
[제2 실시예]
몸통 부재(1)의 재료로서, 표면으로부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층 40㎛/인쇄층/컵 원지 28Og/㎡/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의 혼합 수지층 25㎛의 구성 재료를 사용하여 바닥 부재(2)의 재료로 하고, 표면으로부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3O㎛/컵 원지 220g/㎡/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25㎛의 구성 재료를 사용했다. 먼저, 도 3과 같은 몸통 부재 블랭크(10)를 펀칭하고, 이 몸통 부재 블랭크(10)를 맨드릴에 감아 통형의 몸통 부재(1)를 형성했다. 다음에, 도 12도에 나타낸 공정에서, 몸통 부재(1)의 하방으로부터 바닥부 블랭크(20)를 끼워 넣어 접착 부분을 열풍으로 가열하고, 몸통 부재(1)의 하단을 내측으로 되접어 꺾어 되접어 꺾기부(13)를 형성했다. 계속해서, 몸통 부재(1)의 상단을 외측으로 컬하여 톱 컬부(12)를 형성했다. 제작한 종이컵의 바닥면부(21)를 다음의 공정에서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고,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를 형성하여 발포 전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을 제조했다. 또한 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을 120˚C의 건조기 안에서 3분간 가열하여 표면 열가소성 수지층(5)을 발포시키고, 도 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표면에 발포층(5a)을 가지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D)을 얻었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의 1과 동일한 재료 및 순서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종이컵(A)을 제조했다. 다음에, 재료로서 E 골판지를 사용하여,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의 하단 원주보다 약간 작은 면적의 원형 단열 부재(7)를 블랭킹 가공으로 펀칭하여 제작했다. 이 단열 부재(7)를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 바닥면부(21U)의 하면부(21Ua) 외면에 폴리아크릴계 수지의 에멀젼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해서 도 23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E)을 제작했다.
[제4 실시예]
ㆍ제4 실시예의 1
제1 실시예의 1과 동일 재료 및 동일 순서에 의해 도 31의 종이컵 본체(Fa)를 제작했다. 다음에, 재료로서, 골판지(F 세로홈)를 사용하여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 외면 전체에 대응한 통형의 단열 커버(Fb1)를 제작하고, 이 통형의 단열 커버(Fb1)에 종이컵 본체(Fa)를 끼워 넣고 부분적으로 접착하여 고정하고, 도 3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1)을 제작했다.
이 제4 실시예의 1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1)에서는,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에 골판지를 재료로 한 단열 커버(Fb1)를 장착함으로써, 단열성을 가지며, 또 종이컵 본체(Fa)의 바닥면부(21U)가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을 넣어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었다.
ㆍ제4 실시예의 2
제4 실시예의 2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2)은 도 32에 나타낸 것과 같다. 이 실시예의 컵(F2)은 제4 실시예의 1의 컵(F1)과 기본적인 구성을 동일하게 한다. 그러나,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 외주에 장착되어 있는 단열 커버(Fb2)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종이컵 본체(Fa)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하여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 외면의 상부에 장착하고 있는 점에서 상위하다.
이 제4 실시예의 2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2)에서는, 도 3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열 커버(Fb2)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재료 코스트를 낮게 할 수 있었다.
ㆍ제4 실시예의 3
제4 실시예의 3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3)은 도 33에 나타낸 것과 같다. 이 실시예의 컵(F3)은 제4 실시예의 1의 컵(F1)과 기본적인 구성을 동일하게 한다. 그러나, 단열 커버(Fb3)는 재료로서 판지(코트 볼 270g/㎡)를 사용하고,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 외면의 상하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단열 커버(Fb3)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컬하여 커버 하 컬부(33a)가 형성되어, 종이컵 본체(a)의 몸통부(11) 하단부에 접촉하여 고정되고, 단열 커버(Fb3)의 상단부 내면을 종이컵 본체(Fa) 몸통부(11)의 톱 컬부(12) 하측 위치에서 접착하여 단열 커버(Fb3)가 종이컵 본체(Fa)에 장착되고,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 외면과 단열 커버(Fb3)의 커버 몸통부(31) 내면 사이에 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4 실시예의 3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3)에서는, 도 3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와 단열 커버(Fb3)의 커버 몸통부(31) 사이에, 하부에서는 커버 하 컬부(33a)의 직경에 상당하는 간격을 가지는 공간(3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3)의 하부에서 높은 단열성을 가지고 있다.
ㆍ제4 실시예의 4
제4 실시예의 4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4)은 도 34에 나타낸 것과 같다. 이 실시예의 컵(F4)은 제4 실시예의 1의 컵(F1)과 기본적인 구성을 동일하게 한다. 그러나, 단열 커버(Fb4)는 재료로서 판지(코트 볼 270g/㎡)를 사용하고,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 외면의 상하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부에 내향으로 커버 하 컬부(33a)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상 굴곡부(32b)가 형성된 단열 커버(Fb4)가 종이컵 본체(Fa)의 톱 컬부(12) 하측 위치에서,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 외면과 단열 커버(Fb4) 상단부의 커버 상 굴곡부(32b)의 내면이 접착되어,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 외면과 단열 커버(Fb4)의 커버 몸통부(31) 내면 사이에 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실시예의 4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4에서는, 도 3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와 단열 커버(Fb4)의 커버 몸통부(31) 사이에, 하부에서는 커버 하 컬부(33a)의 직경에 상당하는 간격을 가지고, 상부에서는 커버 상 굴곡부(32b)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을 가지는 공간(35)이 형성된다. 상부에서의 공간(35)은 하부에서의 공간(35)보다 약간 작아지지만,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4)의 상하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높은 단열성을 가지고 있다.
ㆍ제4 실시예의 5
제4 실시예의 5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5)은 도 35에 나타낸 것과 같다. 이 실시예의 컵(F5)은 제4 실시예의 1의 컵(F1)과 기본적인 구성을 동일하게 하지만, 단열 커버(Fb5)는 재료로서 판지(코트 볼 270g/㎡)를 사용하고,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 외면의 상하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부에 내향으로 커버 하 컬부(33a)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내향으로 커버 상 컬부(32a)가 형성된 단열 커버(Fb5)가 종이컵 본체(Fa)의 톱 컬부(12) 하측 위치에서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 외면에 접착되어 있다.
이 제4 실시예의 5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5)에서는, 도 3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이컵 본체(Fa)의 몸통부(11)와 단열 커버(Fb5)의 커버 몸통부(31) 사이에, 하부에서는 커버 하 컬부(33a)의 직경에 상당하는 간격을 가지며, 상부에서는 커버 상 컬부(32a)의 직경에 상당하는 간격을 가지는 공간(35)이 형성된다.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F5)의 상하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넓은 간격을 가지는 공간(35)이 형성되므로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고 있다.
[제5 실시예]
ㆍ제5 실시예의 1
제1 실시예의 1과 동일 재료 및 동일 순서에 의해 도 39의 종이컵 본체(Ga)를 제작했다. 다음에, 재료로서 골판지(F 세로홈)를 사용하여 종이컵 본체(Ga)의 몸통부(11) 외면 전체에 대응한 통형의 단열 커버(Gb1)를 제작하고, 이 통형의 단열 커버(Gb1)에 종이컵 본체(Ga)를 끼워 넣고 부분적으로 접착하여 고정하고, 도 39에 나타낸 것과 같은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1)을 제작했다.
또한 골판지(E 세로홈)를 사용하여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의 하면부(21Ua)와 대략 동일한 면적의 원형 단열 부재(Gc)를 제작하고, 이 단열 부재(Gc)를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 외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했다.
이 제5 실시예의 1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1)에서는, 종이컵 본체(Ga)의 몸통부(11)에 골판지를 재료로 한 단열 커버(Gb1)를 장착함으로써, 단열성을 가지며, 또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가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을 넣어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 생시키는 일이 없었다. 또한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 외면에 단열 부재(Gc)를 접착함으로써, 가열한 내용물이 식기 어렵고, 또 내용물의 뜨거움을 느끼지 않아, 손으로 단열 부재(Gc)에 접촉하여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1)을 잡을 수 있었다.
ㆍ제5 실시예의 2
제5 실시예의 2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2)은 도 40에 나타낸 것과 같다. 이 실시예의 종이컵(G2)은 제5 실시예의 1의 컵(G1)과 기본적인 구성을 동일하게 한다. 그러나, 종이컵 본체(Ga)의 몸통부(11) 외주에 장착되어 있는 단열 커버(Gb2)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종이컵 본체(Ga)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되어, 그 커버(Gb2)가 종이컵 본체(Ga)의 몸통부(11) 외면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점에서 상위하다.
이 제5 실시예의 2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2)에서는, 도 4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열 커버(G2)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으므로, 재료 코스트를 낮게 할 수 있었다.
ㆍ제5 실시예의 3
제5 실시예의 3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3)은 도 41에 나타낸 것과 같다. 이 실시예의 종이컵(G3)은 제5 실시예의 1의 컵(G1)과 기본적인 구성을 동일하게 한다. 그러나, 단열 커버(Gb3)는 재료로서 판지(코트 볼 270g/㎡)를 사용하며, 종이컵 본체(Ga)의 몸통부(11) 외면의 상하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단열 커버(Gb)3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컬하여 커버 하 컬부(33a)가 형성되고, 그 커버 하 컬부(33a)가 종이컵 본체(Ga)의 몸통부(11) 하단부에 접촉하여 고정되고, 단열 커버(Gb3)의 상단부 내면을 종이컵 본체(Ga) 몸통부(11)의 톱 컬부(12) 하측 위치에서 접착하여 단열 커버(Gb3)가 종이컵 본체(Ga)에 장착되며, 종이컵 본체(Ga)의 몸통부(11) 외면과 단열 커버(Gb3)의 커버 몸통부(31) 내면 사이에 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의 1과 동일하게, 골판지(E 세로홈)를 사용한 단열 부재(Gc)를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 외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했다.
이 제5 실시예의 3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3)에서는, 도 4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이컵 본체(Ga)의 몸통부(11)와 단열 커버(Gb3)의 커버 몸통부(31) 사이에, 하부에서는 커버 하 컬부(33a)의 직경에 상당하는 간격을 가지는 공간(3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3)의 하부에서 높은 단열성을 가지고 있다.
또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가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었다. 또한,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 외면에 단열 부재(Gc)를 접착함으로써, 가열한 내용물이 식기 어렵고, 또 내용물의 뜨거움을 느끼지 않아, 손으로 단열 부재(Gc)에 접촉하여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3)을 잡을 수 있었다.
ㆍ제5 실시예의 4
제5 실시예의 4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4)은 도 42에 나타낸 것과 같다. 이 실시예의 종이컵(G4)은 제5 실시예의 1의 컵(G1)과 기본적인 구성을 동일하게 한다. 그러나, 단열 커버(Gb4)는 재료로서 판지(코트 볼 270g/㎡)를 사용하며, 종이컵 본체(Ga)의 몸통부(11) 외면의 상하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부에 내향으로 커버 하 컬부(33a)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상 굴곡부(32b)가 형성된 단열 커버(Gb4)가 종이컵 본체(Ga)의 톱 컬부(12) 하측 위치에서, 종이컵 본체(Ga)의 몸통부(11) 외면과 단열 커버(Gb4) 상단부의 커버 상 굴곡부(32b)의 내면이 접착되고, 종이컵 본체(Ga) 몸통부(11)의 외면과 단열 커버(Gb4)의 커버 몸통부(31) 내면 사이에 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의 1과 동일하게, 골판지(E 세로홈)를 사용한 단열 부재(Gc)를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 외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했다.
이 제5 실시예의 4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4)에서는, 도 4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이컵 본체(Ga)의 몸통부(11)와 단열 커버(Gb4)의 커버 몸통부(31) 사이에, 하부에서는 커버 하 컬부(33a)의 직경에 상당하는 간격을 가지고, 상부에서는 커버 상 굴곡부(32b)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을 가지는 공간(35)이 형성된다. 상부에서의 공간(35)은 하부에서의 공간(35)보다 약간 작아지지만,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4)의 상하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높은 단열성을 가지고 있다.
또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가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을 넣어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었다. 또한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 외면에 단열 부재(Gc)를 접착함으로써, 가열한 내용물이 식기 어렵고, 또 내용물의 뜨거움을 느끼지 않아, 손 으로 단열 부재(Gc)에 접촉하여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4)을 잡을 수 있었다.
ㆍ제5 실시예의 5
제5 실시예의 5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5)은 도 43에 나타낸 것과 같다. 종이컵 본체(Ga)의 형상은 제5 실시예의 1과 동일하지만, 단열 커버(Gb5)는 재료로서 판지(코트 볼 270g/㎡)를 사용하며, 종이컵 본체(Ga)의 몸통부(11) 외면의 상하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부에 내향으로 커버 하 컬부(33a)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내향으로 커버 상 컬부(32a)가 형성된 단열 커버(Gb5)가 종이컵 본체(Ga)의 톱 컬부(12) 하측 위치에서 종이컵 본체(Ga)의 몸통부(11) 외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의 1과 동일하게, 골판지(E 세로홈)를 사용한 단열 부재(Gc)를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 외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했다.
이 제5 실시예의 5의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5)에서는, 도 4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이컵 본체(Ga)의 몸통부(11)와 단열 커버(Gb5)의 커버 몸통부(31) 사이에, 하부에서는 커버 하 컬부(33a)의 직경에 상당하는 간격을 가지고, 상부에서는 커버 상 컬부(32a)의 직경에 상당하는 간격을 가지는 공간(35)이 형성되므로,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5)의 상하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넓은 간격을 가지는 공간(35)이 형성되므로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고 있다.
또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가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을 넣어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었다. 또한 종이컵 본체(Ga)의 바닥면부(21U) 외면에 단열 부재(Gc)를 접 착함으로써, 가열한 내용물이 식기 어렵고, 또, 내용물의 뜨거움을 느끼지 않아, 손으로 단열 부재(Gc)에 접촉하여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G5)을 잡을 수 있었다.
[제6 실시예]
제1 실시예의 1과 동일 재료 및 동일 순서에 의해, 도 6의 종이컵(a)을 제작했다. 제작한 종이컵(a)의 바닥면부(21)를 다음의 공정에서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고, 하면부(21Ua)와 가로면부(21Ub) 사이에 곡면부(R)의 곡률 반경이 6mm, 몸통부(11)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는 하단면(X)과 하면부(21Ua)와의 거리(x)가 1mm인 U자 형상의 바닥면부(21U)로 하여, 도 50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A')을 제조했다. 또한 실굽부(Z)를 내측으로 넘어뜨리고, 도 4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굽부(Z)를 바닥면부(21U)의 가로면부(21Ub)에 근접시켜, 그 사이의 최대 거리가 2mm가 되는 본 발명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H)을 제조했다.
[비교예]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컵 몸통 부재(1)의 몸통부(11) 외경, 높이 등 몸통 부재(1)의 형상을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고, 바닥 부재(2)의 바닥면부(21)가 평면 형상이 되는 종래의 형상에 따라 비교예의 종이컵을 제조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제3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와, 이들 실시예와 동일한 바깥 치수인 비교예의 종이컵에 각각 물 200ml를 넣고, 전자 레인지(NEC사제, 전자 레인지 MC-E2 가정용 고주파 출력 : 500W)로 가열 조리를 실행했다. 그 결과, 실시예에서는 종이컵의 어느 부분에도 눌음의 발생은 보이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에서는 가열 조리 2분 후에 실굽부가 약간 갈색으로 변색되고, 5분 후에는 실굽부에 눌음이 발생했다.
또 가열 조리한 내용물이 들어간 상태에서 손으로 잡았을 때, 본 발명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제2 실시예에서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뜨거움을 느끼기 어려워 잡기 쉬웠다. 또 뜨거운 내용물이 들어간 상태에서 테이블 등의 표면에 종이컵을 놓았을 때, 제3 실시예의 종이컵에서는 단열 부재가 표면에 접촉했지만, 내용물은 급격하게 식지 않고, 또한 뜨거움을 느끼지 않아 단열 부재의 면을 손으로 눌러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잡을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의하면, 종이컵의 바닥면 형상이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된 U자 형상이므로,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어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종이컵의 바닥면 형상을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여 U자 형상으로 할 수 있어,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어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에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또 몸통 부재의 되접어 꺾기부의 폭을 바닥 부재 굴곡부의 폭의 3/4 이하로 하는 것, 또는 바닥 부재 굴곡부의 상부가 몸통 부재의 몸통부 및 되접어 꺾기부와 미접착 상태로 함으로써, 바닥 부재를 U자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종이컵의 바닥면부 형상을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어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에,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제조 방법에서는, 먼저, 상방으로 볼록 형상으로 변형된 반전 시키기 전의 바닥면부를 형성하고, 다음에, 반전하여 하방으로 오목 형상의 바닥면부로 하는 방법이며,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함으로써, 바닥면부의 형상이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된 종이컵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바닥면부의 형상이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은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어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의하면, 발포층에 의해 단열 효과가 충분히 있고, 미끄럼 방지 효과가 있고, 디자인적으로 독특한 감촉을 가지며, 그리고 제조 코스트가 낮은 단열 종이컵으로서, 종이컵의 바닥면 형상이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되어 U자 형상이므로,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의하면, 종이컵의 바닥면부 형상이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된 U자 형상으로 하고, 바닥면부의 외면에 단열 부 재를 접착함으로써,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가열 후에 내용물을 하면에 놓았 때 내용물을 식히기 어려운 바닥면부에 단열성을 가지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의하면, 몸통부에 단열 커버를 장착한 단열성을 가지는 단열 종이컵으로서, 본체인 종이컵의 바닥면부 형상이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열지 컵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의하면, 몸통부에 단열 커버를 장착한 단열성을 가지는 단열지 컵으로서, 본체인 종이컵의 바닥면부 형상이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열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에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의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에 의하면, 종이컵의 바닥면 형상을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한 U자 형상으로 하고, 그리고, 실굽부를 내측으로 넘어뜨려 바닥면부의 가로면부에 근접시킴으로써, 종이컵 안에 음료나 즉석 식품 등의 내용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 실굽부에 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을 얻을 수 있다.

Claims (36)

  1. 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측을 구부려(bending) 형성된 톱 컬부(top curl portion)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을 내측으로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를 가지는 몸통 부재와;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려 형성한 굴곡부를 가지는 바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와 상기 되접어 꺾기부 사이에 상기 굴곡부가 끼워져 서로 접합된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으로서,
    상기 바닥면부가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부가 하면부와 벽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면부와 상기 벽면부 사이에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3. 몸통 부재를 통형으로 두루 감아 몸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를 구부린 톱 컬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바닥 부재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려 형성된 굴곡부의 선단이 상기 몸통부의 하단측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를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와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굴곡부를 끼워 넣고, 상기 몸통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를 서로 접합하여 종이컵을 성형하는 종이컵 성형 공정과,
    상기 종이컵의 상기 바닥 부재의 내면측을 가압하여 하방으로 오목 형상의 바닥면부를 형성하는 바닥면부 성형 공정
    을 구비하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 성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되접어 꺾기부의 폭을 2mm 이상으로 하되 상기 굴곡부의 폭의 3/4 이하로 하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 성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굴곡부를 접착하는 폭을 상기 굴곡부의 선단으로부터 2mm 이상으로 하되 상기 굴곡부의 폭의 3/4 이하로 하는 전지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제조 방법.
  6. 몸통 부재를 통형으로 두루 감아 몸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를 구부려 톱 컬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바닥 부재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려 형성된 굴곡부의 선단이 상기 몸통부의 하단측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를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와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굴곡부를 끼워 넣고, 상기 몸통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를 서로 접합한 종이컵의 상기 바닥 부재와 바닥면부를 내면측을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에 있어서, 상기 되접어 꺾기부의 폭을 2mm 이상으로 하되 상기 굴곡부의 폭의 3/4 이하로 하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와 상기 몸통부 및 상기 되접어 꺾기부를 접착하는 접합부의 폭을 상기 굴곡부의 선단으로부터 2mm 이상으로 하되 상기 굴곡부의 폭의 3/4 이하로 하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9. 바닥 부재를 가압하여 오목 형상의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에 굴곡부를 형성하는 바닥 부재 성형 공정과,
    몸통 부재를 통형으로 두루 감아 몸통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몸통부의 상단측을 구부려 톱 컬부를 형성하는 공정 내에서, 상기 바닥 부재 굴곡부의 선단이 상기 몸통부의 하단측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몸통부의 하단측을 되접어 꺾어 상기 굴곡부를 끼워 넣고, 상기 몸통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를 서로 접합하여 종이컵을 성형하는 종이컵 성형 공정
    을 구비하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제조 방법.
  10. 바닥 부재 블랭크를 가압하여, 상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반전시키기 전의 바닥면부와, 상기 반전시키기 전의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에 접합부를 형성하는, 반전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 성형 공정과,
    몸통 부재를 통형으로 두루 감아 몸통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몸통부의 상단측을 구부려 톱 컬부를 형성하는 공정 내에서, 상기 반전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의 접합부 선단이 상기 몸통부의 하단측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몸통부의 하단측을 되접어 꺾어 상기 접합부를 끼워 넣고, 상기 몸통 부재와 상기 반전시키기 전의 바닥 부재를 서로 접합하여 종이컵을 성형하는 종이컵 성형 공정과,
    상기 반전시키기 전의 바닥면부를 하방으로 반전하여 하방으로 오목 형상의 바닥면부를 형성하는 바닥 부재 성형 공정
    을 구비하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의 제조 방법.
  11. 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측을 구부려 형성된 톱 컬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을 내측으로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를 가지는 몸통 부재와,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려 형성된 굴곡부를 가지는 바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와 상기 되접어 꺾기부 사이에 상기 굴곡부가 끼워져 서로 접합된 종이컵의 상기 바닥면부를 오목 형상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으로서,
    상기 종이컵은 적어도 외면측으로부터 열가소성(熱可塑性) 수지의 발포층과, 종이를 주체로 하는 기재층(基材層)과, 열가소성 수지층을 구비하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부재가 상기 발포층을 가지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부재가 상기 발포층을 가지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부재 및 상기 바닥 부재가 상기 발포층을 가지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15. 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를 구부려 형성된 톱 컬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를 가지는 몸통 부재와,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려 형성된 굴곡부를 가지는 바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와 상기 되접어 꺾기부 사이에 상기 굴곡부가 끼워져 서로 접합된 종이컵의 상기 바닥면부가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바닥면부의 외면에 단열 부재가 접착되어 형성되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가 골판지로 이루어지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가 엠보싱 가공 종이로 이루어지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18. 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를 구부려 형성된 톱 컬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를 가지는 몸통 부재와,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려 형성된 굴곡부를 가지는 바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와 상기 되접어 꺾기부 사이에 상기 굴곡부가 끼워져 서로 접합된 종이컵 본체의 상기 몸통부 외주에 단열 커버를 장착하고, 상기 바닥면부를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의 상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상 컬부, 또는 내측으로의 커버 상 굴곡부가 형성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의 하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하 컬부, 또는 내측으로의 커버 하 굴곡부가 형성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의 상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상 컬부, 또는 내측으로의 커버 상 굴곡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단열 커버의 하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하 컬부, 또는 내측으로의 커버 하 굴곡부가 형성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세로홈과 상기 세로홈 사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광폭의 평판부를 가지는 형상인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가 파형(波形)으로 가공된 파형 가공지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가 골판지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가 엠보싱 가공지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26. 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를 구부려 형성된 톱 컬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를 가지는 몸통 부재와,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려 형성된 굴곡부를 가지는 바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와 상기 되접어 꺾기부 사이에 상기 굴곡부가 끼워져 서로 접합된 종이컵 본체의 상기 몸통부 외주에 단열 커버를 장착하고, 상기 바닥면부를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바닥면부의 외면에 단열 부재를 접착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가 골판지로 이루어지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가 엠보싱 가공지로 이루어지는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의 상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상 컬부, 또는 내측으로의 커버 상 굴곡부가 형성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의 하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하 컬부, 또는 내측으로의 커버 하 굴곡부가 형성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의 상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상 컬부, 또는 내측으로의 커버 상 굴곡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단열 커버의 하단부에 내측으로의 커버 하 컬부, 또는 내측으로의 커버 하 굴곡부가 형성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세로홈과 상기 세로홈 사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광폭의 평판부를 가지는 형상인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가 파형으로 가공된 파형 가공지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가 골판지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3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가 엠보싱 가공지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 이컵.
  36. 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측을 구부려 형성된 톱 컬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을 내측으로 되접어 꺾은 되접어 꺾기부를 가지는 몸통 부재와,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주 에지부를 구부려 형성된 굴곡부를 가지는 바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와 상기 되접어 꺾기부 사이에 상기 굴곡부가 끼워진 실굽부에서 서로 접합된 종이컵으로서,
    상기 바닥면부가 하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굽부가 내측으로 넘어져 형성되는 단열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KR1020037007591A 2000-12-14 2001-12-14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및 그 제조 방법 KR100816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80276 2000-12-14
JP2000380110 2000-12-14
JP2000380012 2000-12-14
JPJP-P-2000-00380012 2000-12-14
JP2000380276A JP4659975B2 (ja) 2000-12-14 2000-12-14 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の製造方法
JPJP-P-2000-00380110 2000-12-14
JPJP-P-2000-00387762 2000-12-20
JP2000387762A JP4770018B2 (ja) 2000-12-20 2000-12-20 断熱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
JPJP-P-2000-00400074 2000-12-28
JP2000400074A JP4770022B2 (ja) 2000-12-28 2000-12-28 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
JPJP-P-2001-00011916 2001-01-19
JP2001012010A JP4770026B2 (ja) 2001-01-19 2001-01-19 断熱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
JP2001011916A JP4770025B2 (ja) 2001-01-19 2001-01-19 断熱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
JPJP-P-2001-00012010 2001-01-19
JP2001102823A JP4770047B2 (ja) 2000-12-14 2001-04-02 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
JP2001102858A JP4659999B2 (ja) 2001-04-02 2001-04-02 電子レンジ用紙カップの製造方法
JPJP-P-2001-00102823 2001-04-02
JPJP-P-2001-00102858 2001-04-02
JPJP-P-2001-00122188 2001-04-20
JP2001122188A JP4580581B2 (ja) 2001-04-20 2001-04-20 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
JP2001187242A JP4660022B2 (ja) 2000-12-14 2001-06-20 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1-00187242 2001-06-20
PCT/JP2001/010988 WO2002047523A1 (fr) 2000-12-14 2001-12-14 Gobelet en papier compatible avec les fours a micro-onde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053A KR20030070053A (ko) 2003-08-27
KR100816458B1 true KR100816458B1 (ko) 2008-03-26

Family

ID=2758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591A KR100816458B1 (ko) 2000-12-14 2001-12-14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816458B1 (ko)
CN (1) CN1320870C (ko)
HK (2) HK1111664A1 (ko)
WO (1) WO20020475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1720U1 (ru) * 2023-09-12 2023-11-21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термос с внешним держателем капсул с защитой от снятия со стакан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1227042E (pt) 2001-01-30 2004-08-31 Seda Spa Recipiente de cartao para bebidas e processo para o mesmo
DE20319691U1 (de) * 2003-12-18 2005-05-04 Seda S.P.A., Arzano Zuschnitt für einen Behälter und aus dem Zuschnitt hergestellter Behälter
BRPI0601188B1 (pt) 2005-04-15 2018-06-26 Seda S.P.A. Recipiente isolado; método de fabricar o mesmo e aparelho para a fabricação
DE202005014177U1 (de) 2005-09-08 2005-11-17 Seda S.P.A., Arzano Doppelwandiger Becher
DK1785370T3 (da) 2005-11-11 2008-07-07 Seda Spa Isoleret bæger
EP1785265A1 (en) 2005-11-14 2007-05-16 SEDA S.p.A. Device for producing a stacking projection on a container wall and container with same
DE202006018406U1 (de) 2006-12-05 2008-04-10 Seda S.P.A. Verpackung
CN102615859A (zh) * 2011-01-31 2012-08-01 康士达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纸制容器的制造方法
JP2013237480A (ja) * 2012-05-17 2013-11-28 Toppan Printing Co Ltd カップ型紙容器
CN103622416A (zh) * 2012-08-24 2014-03-12 杨仕宇 纸制容器
EP2965898A1 (fr) * 2014-07-07 2016-01-13 Anthony Jenner Procédé de fabrication du fond d'un gobelet en carton ou équivalent
US11174063B2 (en) 2018-04-30 2021-11-16 Westrock Mwv, Llc Coated paperboard container, method of manufacturing a coated paperboard container, and cup bottom forming apparatus
EP3845371A4 (en) * 2018-08-30 2022-05-11 Tokan Kogyo Co., Ltd. PAPER COVER MANUFACTURING METHOD
WO2020189548A1 (ja) * 2019-03-19 2020-09-24 マクセル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調理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603916B (zh) * 2022-03-16 2023-10-10 浙江新德宝机械有限公司 纸杯机供料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1542A (ja) * 1987-10-26 1989-04-28 Yazaki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H01111541A (ja) * 1987-10-26 1989-04-28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0279320A (ja) * 1999-03-30 2000-10-10 Snow Brand Milk Prod Co Ltd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3866U (ko) * 1986-06-18 1987-12-26
JP2522355B2 (ja) * 1988-08-18 1996-08-07 東洋製罐株式会社 マイクロ波加熱用容器
JPH0726950Y2 (ja) * 1991-02-12 1995-06-21 宗三郎 植村 食品加工器
JPH04116916U (ja) * 1991-03-30 1992-10-20 凸版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紙カツプ容器
JP3923562B2 (ja) * 1996-04-18 2007-06-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紙カップの製造方法
JPH1111542A (ja) * 1997-06-20 1999-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紙カップ
JP3953584B2 (ja) * 1997-06-20 2007-08-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紙カップ
US5985343A (en) * 1997-07-30 1999-11-16 Ryt-Way Industries, Inc. Microwave popcorn package
JP3908384B2 (ja) * 1998-05-20 2007-04-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断熱容器
JPH11334771A (ja) * 1998-05-21 1999-12-07 Morinaga Milk Ind Co Ltd 電子レンジ加熱用液状食品容器
JP2001122242A (ja) * 1999-10-20 2001-05-08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断熱紙カップ
JP2001122243A (ja) * 1999-10-20 2001-05-08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断熱紙カップ
JP2001145563A (ja) * 1999-11-19 2001-05-29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断熱紙カッ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1542A (ja) * 1987-10-26 1989-04-28 Yazaki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H01111541A (ja) * 1987-10-26 1989-04-28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0279320A (ja) * 1999-03-30 2000-10-10 Snow Brand Milk Prod Co Ltd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1720U1 (ru) * 2023-09-12 2023-11-21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термос с внешним держателем капсул с защитой от снятия со стакана
RU224003U1 (ru) * 2023-12-24 2024-03-12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ый стакан-термос -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одной капсулы, оборудованный крышкой кольцевой части и кольцевой полко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34475A1 (en) 2010-04-30
WO2002047523A1 (fr) 2002-06-20
KR20030070053A (ko) 2003-08-27
CN1481225A (zh) 2004-03-10
CN1320870C (zh) 2007-06-13
HK1111664A1 (en) 200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35615B2 (en) Insulating cup wrapper and insulated container formed with wrapper
KR100816458B1 (ko)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및 그 제조 방법
US20050236468A1 (en) Insulating cup wrapper and insulated container formed with wrapper
CN101117163B (zh) 微波炉用纸杯
KR20140065372A (ko) 개선된 종이컵
KR101019528B1 (ko) 전자레인지용 종이컵, 전자레인지 대응 종이컵 및 그 제조 방법
JP3953584B2 (ja) 電子レンジ用紙カップ
JP2004090929A (ja) 断熱性紙製容器
JP4736214B2 (ja) 電子レンジ用紙カップ
JP2001232734A (ja) 断熱性積層シートと該積層シートを用いた断熱カップ
JP4770018B2 (ja) 断熱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
JP4090563B2 (ja) 断熱性紙カップ
JP4770026B2 (ja) 断熱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
JP4770025B2 (ja) 断熱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
JP4736248B2 (ja) 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
JP2003128161A (ja) 電子レンジ用発泡紙カップ
JP2003054654A (ja) 電子レンジ用紙カ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26141A (ja) 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224500B (en) Microwave oven-compatible paper cu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per cup
JP4770022B2 (ja) 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
JPH0958656A (ja) 断熱カップ
JP2001162756A (ja) 断熱包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断熱容器
JP2003276775A (ja) 電子レンジ対応紙カップ
JP2007168819A (ja) 断熱複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