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168B1 - 축결재봉틀 - Google Patents

축결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168B1
KR100809168B1 KR1020020011474A KR20020011474A KR100809168B1 KR 100809168 B1 KR100809168 B1 KR 100809168B1 KR 1020020011474 A KR1020020011474 A KR 1020020011474A KR 20020011474 A KR20020011474 A KR 20020011474A KR 100809168 B1 KR100809168 B1 KR 100809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condensation
data
amoun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712A (ko
Inventor
이시바시지로
카마쿠라신지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20Control devices responsive to the number of stitches mad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8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uching, gathering, casing, or filling lace, ribbons, or bindings; Pleating devices; Cuttlers; Gathering feet; Crimpers; Curlers; Ruffl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제 1봉제물용의 제 1축결(縮結)데이터를 반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칭인 제 2봉제물을 축결봉제할 때 스타트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축결재봉틀은 제 1봉제물에 적용하는 봉제의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봉제범위를 여러개로 분할한 봉제구간마다 축결량 및 이송량을 각각 할당한 구성의 제 1축결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기억수단(22)과, 제 1축결데이터의 상기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데이터의 배열순서를 반전시켜 반전 축결데이터를 작성하고, 또한 그 임의의 배열개소를 시점으로 설정하여 제 2축결데이터를 작성하며, 제 2기억수단(26)에 기억하는 제 2데이터 작성수단(24)과, 이 데이터를 시점으로부터 순차로 읽어내어 제 1봉제물과 대칭인 제 2봉제물을 봉제하는 축결제어수단(28)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축결재봉틀{EASING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 1실시예의 축결재봉틀의 요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상기 축결재봉틀의 전체의 개요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제 1축결데이터의 구성의 이미지를 도시하는 선도.
도 4는 제 1축결데이터의 수치로 도시한 도표.
도 5는 실시형태의 작용의 요부를 나타내는 개략 플로우챠트.
도 6은 축결데이터 작성시에 표시되는 모니터화면의 이미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제 1축결데이터를 반전한 반전 축결데이터의 구성의 이미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반전 축결데이터로부터 작성되는 제 2축결데이터의 구성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제 2실시예에 적용되는 제 1축결데이터의 구성의 이미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10은 동 실시예에 적용되는 반전 축결데이터의 구성의 이미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11은 바늘 수를 단위로 스타트위치를 변경한 후의 반전 축결데이터를 도시 하는 설명도.
도12는 제 4실시예에 적용되는 제 1축결데이터의 구성의 이미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재봉틀 제어부 12: 재봉틀 본체
14: 조작패널 20: 제1데이터 작성수단
22: 제 1기억수단 24: 제2데이터 작성수단
26: 제 2기억수단 28: 축결제어수단
30; 스타트위치 설정수단 32: 프로그램 데이터 편집수단
본 발명은 좌우의 진동봉제와 같이 좌우 한쪽의 소매(제 1봉제물)와, 이에 대칭인 다른쪽의 소매(제 2봉제물)에 대해 각각 대응한 한쌍의 봉제프로그램 데이터를 번갈아 사용하여 축결봉제하는 축결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복의 진동봉제와 같이 밑천의 이송량보다 위천의 이송량을 크게 하는 이른바 "축결(縮結)"을 넣으면서 봉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같은 봉제에 이용되는 축결재봉틀에 의해 진동을 달 경우 예를들면 오른쪽 소매이면 봉제의 시점에서 종점까지 동안의 봉제범위를 여러개로 분할한 봉제구 간마다 축결량이 각각 할당된 구성의 오른쪽 소매용의 축결데이터(봉제프로그램 데이터)를 사용하여 봉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 후 동 재봉틀로 좌측의 진동을 달 경우에는 상기 오른쪽 소매용 축결데이터의 시점과 종점을 반전시킨 구성의 왼쪽 용의 축결데이터를 사용하여 오른쪽 소매 경우의 종점을 시점으로 하여 반대방향으로부터 봉제하는 것이 행해졌다.
일본국 특공평 1-319175호 공보에는 이와같은 좌우대칭인 가공천에 대해 축결봉제하는 재봉틀로서 한쪽(제 1)의 가공천에 대해 각 봉제에어리어 A~F까지의 각각의 솔기수 데이터 및 축결량 데이터를 작성하는 제 1데이터 작성수단과, 다른쪽(제 2)의 가공천을 봉제할 때에는 반전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상기 제 1데이터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를 역순으로 읽어내는 연산을 행하는 제 2데이터 작성수단을 구비한 것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술한 진동봉제에서는 오른쪽 소매·왼쪽 소매의 봉제를 번갈아 반복하여 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좌우의 진동과 함께 품질이 좋은 진동봉제를 실현하기 위해 수 많은 연구를 기울이고 있다. 예를들면 봉제할 때의 축결량은 통상 옷 뒷길천의 봉제길이와 소매천의 봉제길이의 차로서 나타나지만 봉제하는 스타트위치는 데이터상 반드시 좌우의 진동에서 같은 위치로 하지 않는 경우가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그 이유는 봉제패턴이나 옷감 등에 따라서는 좌우의 진동에 의해 봉제의 스타트위치를 바꾸는 편이 깨끗하게 마감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으로 그 때문에 축결봉제의 스타트위치를 좌우의 소매천(제 1,제 2봉제물)상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요망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축결재봉틀에서는 제 1봉제물과 대칭인 제 2봉제물을 봉제할 경우 상기와 같이 제 1봉제물에 사용하는 제 1데이터를 반전시키고, 그 봉제시점에 대응하는 축결량으로부터 역순으로 데이터를 에어리어마다 읽어내어 순차 설정하는 연산을 행하여 제 2데이터를 작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 2봉제물을 축결봉제할 때 옷감위의 스타트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제 1봉제물을 축결봉제할 때 사용하는 제 1축결데이터를 반전하여 작성되는 축결데이터를 사용하고, 제 1봉제물과 대칭인 위치에 있는 제 2봉제물을 축결봉제할 때 제 1봉제물과는 다른 옷감 위의 위치로부터 용이하게 봉제를 스타트할 수 있는 축결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이송량과 하이송량을 다르게 하도록 함으로써 봉제물에 축결(縮結)을 형성하면서 봉제하는 축결봉제가 가능한 축결재봉틀로서, 제 1봉제물의 축결봉제에 적용하는 봉제의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봉제범위를 여러개로 분할한 봉제구간마다 소정의 축결량을 각각 할당한 구성의 제 1축결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기억수단과, 상기 제 1축결데이터에 대해 상기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데이터의 배열순서를 반전시켜 반전 축결데이터를 작성하는 반전 처리수단과, 반전하여 배열된 상기 반전 축결데이터의 임의의 배열개소를 시점에 설정하여 제 2축결데이터를 작성하는 시점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축결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시점으로 부터 순차 소정의 축결량으로 상기 제 1봉제물과 대칭인 제 2봉제물의 축결봉제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이송량과 하이송량을 다르게 하도록 함으로써 봉제물에 축결을 형성하면서 봉제하는 축결봉제가 가능한 축결재봉틀로서, 제 1봉제물의 축결봉제에 적용하는 봉제의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봉제범위에 배열된 각 이송량에 대해 소정의 축결량을 각각 할당한 구성의 제 1축결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기억수단과, 상기 제 1축결데이터에 대해 상기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데이터의 배열순서를 반전시켜 반전 축결데이터를 작성하는 반전처리수단과, 반전하여 배열된 상기 반전 축결데이터의 임의의 배열개소를 시점에 설정하여 제 2축결데이터를 작성하는 시점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축결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시점으로부터 순차 소정의 축결량으로 상기 제 1봉제물과 대칭인 제 2봉제물의 축결봉제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봉제물의 봉제에 이용하는 제 1축결데이터의 봉제순서를 반전하여, 대칭인 제 2봉제물을 역방향으로부터 봉제가능한 반전 축결데이터를 작성함과 동시에 데이터상의 임의의 이송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반전 축결데이터의 배열을 변경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제 2봉제물을 옷감위의 임의의 스타트위치로부터 축결봉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 1실시예의 축결재봉틀의 요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2는 이 축결재봉틀 전체의 개요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축결재봉틀은 상이송량과 하이송량을 다르게 하도록 함으로써 봉제물에 축결봉제가 가능하고, 도 2와 같이 각 종의 연산·제어를 행하는 재봉틀 제어부(10)와, 봉제동작을 행하는 재봉틀 본체(12)와, 오퍼레이터가 봉제시에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패널(1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재봉틀 제어부(10)에는 후술하는 데이터 작성 등의 각종 연산처리를 행하는 CPU(100), 각종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는 ROM(102), 각종 처리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RAM(104), 상기 재봉틀 본체(12)로부터 재봉틀 제어부(10)로의 각종 신호의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신호 제어회로(106), 재봉틀 제어부(10)로부터 재봉틀 본체(12)로의 각종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신호 제어회로(18)가 내장된다.
또 상기 재봉틀 본체(12)에는 바늘위 위치검출센서(120), 스텝변환 스위치(122), 재봉틀 기동페달(124), 재봉틀 회전수 검출센서(126), 재봉틀 주축을 회전시키는 재봉틀 모터(128), 윗천을 보내기 위한 상이송 모터 (130), 밑천을 보내기 위한 하이송 모터(132), 재봉틀 회전수 설정부(13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패널(14)은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부(14a)를 구비하고, 표시부(14a)는 데이터 작성모드의 선택, 스타트위치의 설정, 데이터의 편집, 제 1·제 2데이터의 선택 등에 따라 화면을 변환하고, 화면상을 터치하는 것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본 실시예의 축결재봉틀은 요부구성으로서 도 1과 같이 제 1봉제물의 축결봉제에 적용하는 봉제의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봉제범위를 여러개로 분할한 봉제구간마다 소정의 축결량 및 이송량의 양자를 각각 할당한 구성의 제 1축결데이터를 작성하는 제 1데이터 작성수단(20)과, 작성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기억수단(22)과,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축결데이터를 읽어내고, 상기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데이터의 배열순서를 반전시켜 반전 축결데이터를 작성하는 반전처리수단 및 반전하여 배열된 상기 반전 축결데이터의 임의의 배열개소를 시점으로 설정하여 제 2축결데이터를 작성하는 시점설정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제 2데이터 작성수단(24)과, 작성된 상기 반전 축결데이터 또는 제 2축결 데이터를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제 1봉제물과 대칭인 제 2봉제물을 축결봉제할 때 재봉틀 구동을 제어하는 재봉틀 제어부(10)의 CPU(100)에 의해 구성되는 축결 제어수단(28)에, 이 제 2축결데이터를 상기 시점으로부터 순차 출력하는 제 2기억수단(2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데이터 작성수단(20), 제 2데이터 작성수단(24)은 상기 축결제어수단(28)과 마찬가지로 상기 CPU(10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 2기억수단(22)(26)을 갖는 데이터 기억수단은 상기 RAM(104)에 의해 구성된다.
또 상기 축결재봉틀에는 상기 제 2축결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해 스타트위치(시점)를 설정(변경)할 때 사용하는 스타트위치 설정수단(30)과, 축결데이터를 미세조정하는 등의 편집의 지시를 행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편집수단(32)이 상기 조작패널(14)에 설치된다. 즉 중복하는 부분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구항에 기재되는 반전처리수단은 CPU(100)에 의해, 시점설정수단은 스타트위치 설정수단(30) 및 CPU(100)에 의해, 편집수단은 프로그램데이터 편집수단(32) 및 CPU(100)에 의해, 변환수단은 스텝변환 스위치(122) 및 CPU(100)에 의해 각각 구성된다.
다음 본 실시예의 작용을 오른쪽 소매용의 축결봉제를 행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로서 도 3의 그래프와, 도 4의 표에 이미지를 나타내는 제 1축결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도 5의 플로우챠트에 따라 설명한다.
이 제 1축결데이터는 오른쪽 소매천 1둘레분에 상당하는 봉제의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봉제범위가 도 3과 같이 바늘수(이송량)를 이송단위로서 A 부터 F의 6개의 봉제구간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각 구간에는 축결량 0(상하이송량이 모두 예를들면 2.0mm로 같다)의 구간 F를 기준으로, 예를들면 0.2mm 단위의 레벨수로 설정되도록 되어있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늘수 6의 봉제구간 A의 레벨 7은 이 경우에는 축결량 1.4mm가 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축결데이터는 여러개의 봉제구간마다 축결량 및 바늘수가 각각 할당된 구성이 된다.
우선 상기 제 1축결데이터 작성수단(20)에서는 축결량 데이터 작성수단과 솔기수(바늘 수)데이터 작성수단에 의해 봉제의 시점인 구간 A의 제 1솔기(배열개소)로부터 순차 봉제하는 구간의 순번에 따라 축결량 데이터와 바늘수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 1축결데이터를 작성하여 그것을 제 1기억수단(22)에 기억한다(스텝 1). 그 때 도 6의 표시부(14a)에 도시하는 화면의 좌측화면(14aL)에, 도 3, 도 4의 데이터 중 최소한 한쪽이 표시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제 1축결데이터 작성수단(20)으로부터 제 1축결데이터가 제 1기억수단(22)에 입력됨과 동시에 이 데이터는 읽혀져 상기 제 2데이터 작성수단(24)에 의해 반전처리되고(스텝 2), 도 7에 이미지를 나타내는 반전 축결데이터가 작성되어 이 데이터가 제 2기억수단(26)에 기억된다(스텝 3). 이 반전 축결데이터는 상기 제 1축결데이터의 순서를 역으로 한 것으로서 작성된다. 이 반전 축결데이터를 그래프화한 도 7은 도시는 생략하지만 마찬가지로 상기 도 6의 화면상의 우측화면(14aR)에 표시되도록 되어있다. 이상과 같은 제 1축결데이터와 그 반전 축결데이터의 작성은 여러개의 봉제대상물에 대해 각각 실행하고, 그것들을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제 2기억수단에 기억해 둘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왼쪽소매 천(제 2봉제물)의 축결봉제를 행할 경우, 봉제의 스타트위치를 변경할 지를 상기 조작패널(14)에 의해 선택할 수 있게 된다(스텝 4). 스타트위치를 변경하지 않을 경우는 (스텝 4에서 N), 상기 제 2기억수단(26)에 기억되는 반전 축결데이터가 왼쪽 소매 봉제용의 제 2축결데이터로서 그 대로 상기 축결제어수단(28)에 입력되고, 축결량 제어수단(28A), 바늘수 제어수단(28B)에 의해 축결량 및 바늘수 등이 제어되며, 반전했을 뿐인 축결데이터를 따라 축결봉제를 행할 수 있다.
한편 봉제의 스타트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는(스텝 4에서 Y), 오퍼레이터는 조작패널(14)상에 있는 스타트위치 설정수단(30)을 사용하여 스텝위치 지시스위치(30B)에 의해 스타트위치로 설정하고자 하는 스텝(봉제구간)을 지시입력한다(스텝 5).
구체적으로는 표시부(14a)에 표시된 도 7의 그래프 안, 스타트위치로 설정한 스텝에 닿음으로써 지정이 행해지고, 지정한 부분은 예를들어 다른 스텝과 분별할 수 있도록 반전표시된다. 또한 지정을 취소하는 데는 반전표시된 스텝에 닿아 반전표시를 없애고, 또 다른 스텝으로 변경하는 데는 다른 스텝에 닿아 당초의 스텝 의 반전표시를 없앰과 동시에 새롭게 지정된 스텝을 반전표시한다. 그리고 지정이 완료한 후 도 5에 도시하는 스타트위치 설정보턴에 닿으면 상기 제 2데이 작성수단(24)에서는 상기 제 2기억수단(26)으로부터 반전 축결데이터를 읽어내고, 지시된 스텝이 최초(선두)의 배열이 되도록 그 직전의 스텝이 최종의 배열이 되도록 배열의 변경처리가 행해진다(스텝 6).
이와같이 배열을 변경한 반전 축결데이터는 왼쪽소매 봉제용의 제 2축결데이터로서 재차 제 2기억수단(26)에 기억된다(스텝 7). 도 8은 이와같은 순서에 따라 상기 도 7에 도시한 반전 축결데이터의 최초의 스텝(봉제구간) RF로부터 2개의 스텝 RE(제 1솔기)를 데이터상의 스타트위치(시점)로 설정변경한 경우의 제 2축결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제 2축결데이터가 작성되면 도 8에 대응하는 화상이 상기 도 6의 화면우측에 표시되는 상기 도 7의 데이터 대신에 다시 표시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패널(14)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상기 편집수단(32)에 의해 축결데이터에 대해 각 스텝마다의 데이터편집을 선택하여 행할 수도 있게 된다. 즉 편집수단(32)의 프로그램번호 선택수단(32A)에 의해 미리 작성되어 제 1, 제 2기억수단(22)(26)에 기억되는 원하는 봉제물의 축결데이터에 대응하는 프로그램번호를 선택하고, 데이터 선택수단(32B)에 의해 제 1이나 제 2축결데이터를 대상으로서 선택하여 다시 스텝번호 선택수단(32C)에 의해 편집대상으로 하는 축결데이터의 스텝번호를 선택한다. 이와같이 스텝번호가 선택되면 그 스텝에 할당되는 축결량 데이터나 바늘수 데이터는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게 되고, 이와같이 편집한 축결데이터는 다시 상기 제 1기억수단(22) 또는 제 2기억수단(26)에 보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 2축결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편집을 행하여 작성되고, 보존된 후 오퍼레이터는 조작패널(14)상에서 봉제대상에 해당하는 봉제프로그램 데이터를 선택하며, 이어서 재봉틀 기동스위치(페달)(124)를 누르면 재봉틀 본체(12)는 봉제를 개시하여 작성된 제 2축결데이터를 순차 읽어내고 축결봉제를 실행한다. 따라서 이 때의 데이터상의 스타트위치는 상기 스타트위치 설정수단(30)에 의해 설정된 스텝이 되고, 좌우 다른 옷감위의 위치로부터 각각 축결봉제를 스타트시킬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좌우의 소매로 반드시 같은 위치로부터 봉제를 스타트시키지 않는 편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예를들면 옷감의 「짜는 방향」이 비스듬히 들어가므로 봉제진행방향에 의해 축결의 가감이 변하게 되므로 마무리가 같은 축결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좌우로 반전시키고자 하는 축결데이터를 그 대로 사용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한 등의 이유에 의한다. 그 때문에 봉제데이터(통상 축결량이나 봉제길이 등)를 좌우로 다르게 설정하여 봉제해야 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종래는 이들의 요구에 응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상 상술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좌우의 진동을 달 때 양자로 축결봉제의 스타트위치를 설정변경할 수 있음으로써 종래에 비해 일단과 고품질인 소매진동봉제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편집수단(32)에 의해 좌우의 소매에서 각각 다른 데이터를 작성하고,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고품질인 진동봉제를 실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도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축결데이터를 봉제구간마다 축결량과 함께 바늘수(이송량)를 할당한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바늘 수에 의한 축결량의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축결봉제를 자동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제 2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도 3, 도 4에 도시한 것에 상당하는 제 1축결데이터를, 도 10은 마찬가지로 상기 도 8에 도시한 것에 상당하는 제 2축결데이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축결데이터는 축결량을 1바이트의 데이터로 기술하고, 이를 1바늘마다의 시퀀스 데이터로서 각 봉제구간의 길이마다 기억한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상기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와같은 데이터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분할구간(봉제구간)을 단위로 하여 그 경계포인트의 배열개소밖에 스타트위치로서 설정할 수 없었던 것에 대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스타트위치에 예를들면 어느 특별한 코드명을 이용함으로써 경계포인트 이외의 임의의 배열개소도 데이터상의 스타트위치(시점)에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1에는 이 경우의 예로서 반전 축결데이터상에 스타트위치 코드로서 80을 설정한 것을 나타내고, 이 80의 위치로부터 봉제를 개시할 수 있게 된다.
코드 80의 위치를 지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스타트위치 설정수단(30)의 스타트위치 지시스위치(30A)를 이용하고,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7의 그래프화된 반전 축결데이터의 소정위치에 닿음으로써 스타트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제 1실시예에서는 지정한 봉제구간이 반전표시되도록 했지만 제 2실시 예에서는 지정한 시점에 지표가 표시되도록 한다. 취소하고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상기 제 1 또는 제 2실시예에서는 축결데이터가 여러개의 봉제구간마다 소정의 축결량 데이터와 바늘수(이송량 데이터)를 각각 할당한(설정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도시했지만 전자 즉 축결량만을 봉제구간마다 할당한 축결데이터를 사용하는 제 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축결재봉틀은 상기 도 2에 병기한 것과 같이 변환수단으로서의 스텝변환 스위치(122)를 구비하고, 오퍼레이터는 봉제시에 봉제물에 배치되는 V노치 등의 표적(도시하지 않음)를 보면서 그 표적에 맞춰 이 스위치(122)를 누름으로써 순차 스텝이 바뀌어 각 스텝에 대응하는 축결량에 의해 봉제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이외는 상기 제 1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오퍼레이터의 판단으로 각 봉제구간의 길이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물의 특징에 맞추어 더욱 적절한 축결봉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 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축결재봉틀은 제 1봉제물의 축결봉제에 적용하는 봉제의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봉제범위에 배열된 각 바늘수(이송량)에 대해 소정의 축결량을 각각 할당한 구성의 제 1축결데이터가 상기 제 1기억수단(22)에 기억되도록 한 이외는 상기 제 1실시예의 재봉틀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 3에 상당하는 도 12(a)나 상기 도 9에 상당하는 도 12(b)와 같이 상술과 같은 봉제구간이라는 개념이 없고, 1바늘마다 소정의 축결 량을 설정한 구성의 제 1축결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임의의 배열개소가 시점에 설정된 제 2축결데이터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축결재봉틀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했지만 본 발명의 축결재봉틀은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송량이 바늘수(솔기수)로 나타내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길이(mm)로 나타내도 좋다.
또 반전 축결데이터의 작성은 제 1축결데이터를 모두 입력한 후에 일괄하여 반전시켜 작성해도 좋고, 하나의 봉제구간이 입력되는 옆부터 순차로 반전 축결데이터를 작성하도록 해도 좋다. 후자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축결데이터의 처음의 봉제구간에서의 데이터의 입력이 종료하면 바로 이 데이터를 반전 축결데이터의 최후의 봉제구간의 데이터로서 기억하고, 이를 최후의 봉제구간이 입력될 때 까지 반복함으로써 반전 축결데이터를 작성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2축결데이터를 제 2기억수단에 기억해 두고, 그것으로부터 읽어내어 봉제하는 경우를 도시했지만 기억해 두지 않고 봉제시에 반전 축결데이터로부터 직접 읽어내도록 해도 또한 제 1봉제데이터를 순차로 반전변환하면서 읽어내도록 해도 좋다.
또 시점위치가 정해지는 봉제물의 경우이면 미리 시점위치를 설정해 둠으로 써 제 1축결데이터를 반전처리할 때 자동적으로 제 2축결데이터가 작성되도록 해도좋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봉제물을 축결봉제할 때 사용하는 제 1축결데이터를 반전하여 작성되는 축결데이터를 사용하여 제 1봉제물과 대칭인 관계에 있는 제 2봉제물을 축결봉제할 때 제 1봉제물과는 다른 위치로부터 용이하게 봉제를 스타트할 수 있다.

Claims (6)

  1. 상이송량과 하이송량을 다르게 하도록 함으로써 봉제물에 축결(縮結)봉제가 가능한 축결재봉틀로서,
    제 1봉제물의 축결봉제에 적용하는 봉제의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봉제범위를 여러개로 분할한 봉제구간마다 소정의 축결량을 각각 할당한 구성의 제 1축결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기억수단과,
    상기 제 1축결데이터에 대해 상기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데이터의 배열순서를 반전시켜 반전 축결데이터를 작성하는 반전처리수단과,
    반전하여 배열된 상기 반전 축결데이터의 임의의 배열개소를 시점에 설정하여 제 2축결데이터를 작성하는 시점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축결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시점으로부터 순차 소정의 축결량으로 상기 제 1봉제물과 대칭인 제 2봉제물의 축결봉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결재봉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데이터는 상기 봉제구간마다 상기 축결량과 함께 이송량을 할당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결재봉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축결데이터 또는 제 2축결데이터를 선택하는 수단과, 선택된 축결데이터를 봉제구간마다 데이터를 미세조정하는 편집을 행하는 편집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결재봉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축결데이터로부터 읽어내는 축결량과, 다음의 봉제구간의 축결량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결재봉틀.
  5. 상이송량과 하이송량을 다르게 하도록 함으로써 봉제물에 축결을 형성하면서 봉제하는 축결봉제가 가능한 축결재봉틀로서,
    제 1봉제물의 축결봉제에 적용하는 봉제의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봉제범위에 배열된 각 이송량에 대해 소정의 축결량을 각각 할당한 구성의 제 1축결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기억수단과,
    상기 제 1축결데이터에 대해 상기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데이터의 배열순서를 반전시켜 반전 축결데이터를 작성하는 반전처리수단과,
    반전하여 배열된 상기 반전 축결데이터의 임의의 배열개소를 시점에 설정하 여 제 2축결데이터를 작성하는 시점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축결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시점으로부터 순차 소정의 축결량으로 상기 제 1봉제물과 대칭인 제 2봉제물의 축결봉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결재봉틀.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봉제물은 옷감위의 봉제스타트위치와 봉제종료위치가 실질상 동일한 통모양의 소매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결재봉틀.
KR1020020011474A 2001-03-09 2002-03-05 축결재봉틀 KR100809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67569 2001-03-09
JP2001067569A JP4530557B2 (ja) 2001-03-09 2001-03-09 いせ込み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712A KR20020075712A (ko) 2002-10-05
KR100809168B1 true KR100809168B1 (ko) 2008-02-29

Family

ID=1892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474A KR100809168B1 (ko) 2001-03-09 2002-03-05 축결재봉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30557B2 (ko)
KR (1) KR100809168B1 (ko)
CN (1) CN100410439C (ko)
DE (1) DE1021029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893B1 (ko) * 2002-09-05 2004-08-02 김태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누비기 및 자수기의 디자인 무늬직접 입력방법 및 그 장치
CN104862881A (zh) * 2015-05-22 2015-08-26 广东名鼠股份有限公司 一种袖衩自动缝制系统及方法
JP2017046830A (ja) * 2015-08-31 2017-03-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099A (ko) * 1990-10-26 1992-05-27 라이싱어,바르츠 감소된 연기밀도를 갖는 내염성 연질 폴리우레탄 포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목적을 위한 멜라민/발포가능한 흑연/폴리에테르-폴리올 분산액
KR19990060560A (ko) * 1997-12-31 1999-07-26 김현택 재봉틀의 봉재물 이송장치
JP2001017755A (ja) * 1999-07-05 2001-01-23 Brother Ind Ltd 千鳥縫い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62042B (it) * 1978-02-21 1987-03-18 Necchi Spa Macchina per cucire elettronica comandata da un microcalcolatore
US4509443A (en) * 1983-03-01 1985-04-09 Microdynamics, Inc. Automatic sewing machine and method for jacket sleeve attachment
DE3490775T1 (de) * 1984-10-25 1987-01-29 Tokyo Juki Industrial Co Ltd Verkürzungssteuervorrichtung zum Zusammennähen zweier Tuchstücke mit unterschiedlichen Nählängen
US4616584A (en) * 1985-02-19 1986-10-14 The Singe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ewing mitered corners of box type articles
JPS62266095A (ja) * 1986-10-07 1987-1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ためのデ−タ作成装置
JPH0444795A (ja) * 1990-06-12 1992-02-14 Yoshiaki Tsuchioka 工業用縫製ミシンに連結する布送り量制御装置
US5114056A (en) * 1990-09-07 1992-05-19 Mim Industries, Inc. Pleating method and apparatus
JP2871384B2 (ja) * 1993-04-13 1999-03-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上下送りミシンの制御装置
JPH0768067A (ja) * 1993-08-31 1995-03-14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における長尺縫製物の送り制御装置
JPH08191967A (ja) * 1995-01-18 1996-07-30 Juki Corp ステッチ長さ制御装置
CN1134477A (zh) * 1995-04-24 1996-10-30 重机公司 自动缝纫机
DE19913000C1 (de) * 1999-03-23 2000-10-26 G M Pfaff Ag I K Verfahren und Näheinheit zum Einarbeiten von Mehrwei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099A (ko) * 1990-10-26 1992-05-27 라이싱어,바르츠 감소된 연기밀도를 갖는 내염성 연질 폴리우레탄 포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목적을 위한 멜라민/발포가능한 흑연/폴리에테르-폴리올 분산액
KR19990060560A (ko) * 1997-12-31 1999-07-26 김현택 재봉틀의 봉재물 이송장치
JP2001017755A (ja) * 1999-07-05 2001-01-23 Brother Ind Ltd 千鳥縫い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30557B2 (ja) 2010-08-25
JP2002263387A (ja) 2002-09-17
DE10210294A1 (de) 2002-09-19
CN100410439C (zh) 2008-08-13
KR20020075712A (ko) 2002-10-05
DE10210294B4 (de) 2006-07-06
CN1375591A (zh) 200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388B1 (ko) 미싱의 봉제데이타 작성장치
KR100809168B1 (ko) 축결재봉틀
KR920003667B1 (ko)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및 장치
JP2007195807A (ja) 差動送りミシン
JPS6159755B2 (ko)
US5960727A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JPH10179963A (ja) 刺繍データ処理装置
JP2005318930A (ja) 差動送りミシン
JP2940230B2 (ja) 刺繍データ作成装置
JP4625367B2 (ja) 差動送りミシン
JP3819280B2 (ja) いせ込みミシン
JPS638228B2 (ko)
JP3144070B2 (ja) 刺繍データ作成装置
JP3904245B2 (ja) 模様の拡大縮小機能を備えたミシン
JP2884844B2 (ja) 刺繍ミシン用データ処理装置
JP2006034695A (ja) 差動送りミシン
US5762011A (en) Embroidering sewing machine
JPH10165676A (ja) ボタンホール縫い機能を備えたミシン
JP3553641B2 (ja) パッチワーク縫い補助装置及び該補助装置を備えたミシン
JP4093418B2 (ja) 組み合わせ模様データ生成装置及びその装置を備えたミシン
JP2984453B2 (ja) 模様縫いにおける自動ブロック縫いミシン
JPS6146155B2 (ko)
JPH06210081A (ja) 電子サイクルミシン
JPH10165675A (ja) ボタンホール縫い機能を備えたミシン
JP3907067B2 (ja) パッチワーク縫い表示機能を備えた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