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667B1 -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667B1
KR920003667B1 KR1019890020006A KR890020006A KR920003667B1 KR 920003667 B1 KR920003667 B1 KR 920003667B1 KR 1019890020006 A KR1019890020006 A KR 1019890020006A KR 890020006 A KR890020006 A KR 890020006A KR 920003667 B1 KR920003667 B1 KR 920003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eedle position
input
sewing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925A (ko
Inventor
가쓰노리 시게다
하루유끼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1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8Arrangements for inputting stitch or pattern data to memory ; Editing stitch or pattern data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461Digitizing, menu tablet, penci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216Replace entered position data with previous if difference less than toler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227Assist operator to calculate unknown points, cont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195Sew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 2 도는 본원 발명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본원 발명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 5 도는 장치의 기본구성도.
제 6 도는 종래의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7 도는 재봉땀의 모양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 8 도는 종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 9 도는 데이터메모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태블릿디지타이저 (11) : 메뉴부
(11a) : SAME POINT 키 (12) : 커서
(13) : 모양입력부
본원 발명은 바늘위치데이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XY 테이블을 구비한 이른바 전자미싱을 위한 봉제데이터작성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업용 전자미싱에 있어서는 기억장치내에 미리 프로그램되어 기억되어 있는 재봉방법 정보에 의거하여 천 또는 바늘을 구동하여 소요의 재봉모양으로 자동적으로 천을 재봉하는 자동미싱이 실용화되고 있다. 상기의 재봉정보는 기억장치내의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으며, 이 기억매체를 교체함으로써 상이한 재봉모양의 봉제가 용이하게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기억매체로서는 일반적으로 반도체메모리, 자기카드 등이 사용되며, 이 안에 재봉의 동작순서에 따라 미싱의 동작의 제어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제어정보의 구성은 통상 재봉모양을 형성하는 미싱의 1침(針)마다의 바늘과 천의 상대변위량과 재봉속도, 기타의 동작의 제어지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재봉모양의 제어정보는 이들 1침마다의 제어지령의 집합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자동미싱으로 희망하는 재봉모양의 자동재봉을 행하기 위해서는 그 재봉모양에 대응한 제어데이터를 작성하고, 이것을 소정의 기억매체에 기억시킬 필요가 있다.
제 6 도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0(1985)-148582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장치의 앞면에는 입력을 위한 메뉴부(11) 및 모양입력부(13)를 가진 태블릿디지타이저(10)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장치의 동작을 제 5 도의 구성도에 대해 설명한다. 커서(cursor)(12)에 의해서 태블릿디지타이저(10)상에 소망의 재봉모양을 그림으로써, CPU(14)의 제어에 의해서 게이트(44)를 통해 PROM 기입회로(16)로부터 소정의 모양데이터를 형성하는 PROM에 재봉모양 데이터신호로서 기입시켜, 이것을 PROM 카세트(42)로서 미싱제어장치(40)에 장착하고, 미싱(38)을 구동시킨다. 상기 PROM은 제 6 도에 도시한 PROM 소켓(18)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 입력시의 각종 모드, 조작수순은 I/O 데이터로서 게이트(44)를 통해 LED 표시패널(20)에 표시된다. 상기 CPU(14)에 의해서 태블릿디지타이저(10)로부터의 게이트(48)를 통한 입력데이터를 PROM에 기입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시스템프로그램 ROM(22)에 기입되어 있으며, CPU(14)는 이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행하고, 또 태블릿디지타이저(10)로부터의 입력데이터는 RAM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메모리 RAM(24)에 일단 기억되고, 이 기억치는 태블릿디지타이저(10)의 XY 좌표데이터를 각 재봉땀의 XY 변화량으로 표시하는 상대치데이터로서 기억하고 있다.
상기 태블릿디지타이저(10)의 입력데이터를 PROM에 기입할 때의 데이터를 모니터하기 위해서 모니터표시용 CRT(26)가 설치되어 있으며, CPU(14)에 의해서 데이터메모리 RAM(24)의 데이터를 화상용 데이터로 변환하여 게이트(32)를 통해서 화상용 데이터메모리 RAM(28)에 기억시키고, DMA 콘트롤러(30)에 의해 D/A 콘버터(34),(36)에서 디지탈치를 아날로그치(전압)로 변환한 후, CRT 제어회로(46)에 의해 CRT(26)위에 재봉땀모양 도형을 표시하고, 조작자가 화상에 의해 확인하면서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제 7 도는 재봉땀모양의 일예이며, 샤쓰의 라벨을 재봉하여 박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커서(12)에 의해 재봉개시점 P1을 태블릿디지타이저(10)상에 지시하고, 이하 P2→P3→…P13→P24→P25로 지시하여 소정의 재봉땀모양의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때, 점 P1,P2,P3과 점 P23,P24,P25가 같은 위치에서 겹치게 되는데, 이것은 봉제품의 마무리를 예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흔히 행해지고 있다.
제 8 도는 상술한 데이터작성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며, S1에서 커서(12)의 스위치가 "ON"되었을때, S2에서 P1점의 XY 좌표치를 독해하여, S3에서 데이터메모리 RAM(24)에 격납하고, 다시 그 값을 S4에서 미싱의 재봉땀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메모리 RAM(24)에 격납한다. 이하, P2, P3,P4…P25에 대해서도 같은 동작을 행한다.
제 9 도는 제 7 도에 도시한 재봉땀모양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메모리 RAM(24)의 내용을 나타내는 일예이다. 도면에 있어서, X1, Y1…X25, Y25는 태블릿디지타이저(10)로부터 독해한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부분이며, X1a, Y1a…X25a, Y25a는 미싱의 재봉땀데이터로 변환된 후의 데이터이며, 변환전후의 데이터는 각각 바늘의 위치인 P1, P2, …,P25에 대응해서 작성되어 있다.
종래의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들면 제 7 도에 도시한 P23, P24, P25의 바늘위치를 P1, P2, P3의 위치에 겹쳐서 입력하는 경우, 커서(12)를 앞서 입력한 P1, P2, P3의 위치에 정확하게 지시할 필요가 있으며, P1, P2, P3의 점의 크기 또는 수동조작의 불확실성에 의해 P23, P24, P25의 위치데이터를 P1, P2, P3에 일치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앞서 입력한 바늘위치에 겹쳐서 바늘위치를 입력하는 경우, 앞서 입력한 위치데이터와 완전히 동일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및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관한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및 장치는 입력된 바늘위치데이터가 기입력(旣入力) 바늘위치데이터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내에 있을 때는, 이 입력 바늘위치데이터를 기입력 바늘위치 데이터와 동일 데이터로 하여 치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입력 바늘위치데이터가 기입력 바늘위치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지 여부가 비교되고, 범위내에 있으면 기입력 바늘위치데이터와 치환된다. 또한, 동일하게 하여 선택하는 지령을 했을 때에 이 데이터치환이 행하여진다.
이하,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5 도의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장치의 구성도에 나타내는 태블릿디지타이저(10)를 제 2 도에 도시하며, 이 태블릿디지타이저(10)의 메뉴부(11)에 "SAME POINT" 키(11a)를 배설한 것이며, 이하 제 7 도에 도시한 재봉땀모양을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 제 1 도의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SAME POINT" 키(11a)라는 것은 이 스위치인 키가 눌린 후에 입력된 점 A(예를들면 제 7 도의 P23)의 좌표데이터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점 B(예를들면 제 7 도의 P1)의 좌표데이터의 근방에 있으면, 점 B의 좌표를 점 A의 좌표로 치환하는 기능을 행하기 위한 지령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근방이라는 것은 점 A가 모양입력부(13)에 그려진 점 B의 위치로부터 어떤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가리키며, 그 값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먼저, S1에서는 종래와 같이 커서(12)에 의해 P1점이 지시된다. 이 시점에서는 "SAME POINT" 키(11a)가 "ON"되어 있지 않으므로, S2, S3, S4와 종래와 같은 처리가 되어 데이터가 작성된다. 이하, P2, P3, P4,…,P22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와 같은 처리가 되어 각각의 대응데이터가 작성된다.
다음에, P23의 점은 P1의 점과 동일점으로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해, 커서(12)에 의해 메뉴부(11)의 "SAME POINT" 키(11a)를 조작한 후, P23점의 "근방"을 커서(11a)로 지시하면, S5에 의해 "SAME POINT"가 YES로 되고, S2a에서 P23의 점의 좌표가 독해된 후 S6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S6에서 P23의 점의 좌표데이터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어느 한 점 즉 P1의 "근방"(예를들면 P23의 X좌표|P23X-P1X|<1mm, P23의 Y좌표|P23y-P1y|<1 mm가 동시에 충족되어 있음)에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만일 "근방"에 있으면 S7에서 P23의 좌표치를 기입력점 P1의 좌표로 치환해서 RAM(24)에 격납한다. 그리고, 만일 "근방"에 없으면 S8에서 지금 입력된 P23의 좌표를 무효로 하여 재차 P23의 점의 입력을 촉구한다.
이상과 같이하여 P23의 처리가 종료되면, P24, P25에 대해서도 같은 처리를 행함으로써 P23, P24, P25의 위치데이터를 이미 입력된 P1, P2, P3과 동일한 데이터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데이터의 전체수나 기입력데이터와 신규 입력데이터가 겹치는 수는 상기 데이터수(P1-P2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으로써 앞서 입력된 바늘위치에 겹쳐서 바늘위치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나중에 입력하는 바늘위치는 앞서 입력된 바늘위치의 "근방"이면 되므로, 봉제데이터작성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제 2 도, 제 3 도에 있어서, (10)은 태블릿디지타이저, (13)은 모양입력부, (11)은 메뉴부로서 태블릿디지타이저상에 배설되어 있는 메뉴부중의 하나의 메뉴 예를들면(11a)에 표시하는 "SAME POINT"의 부분에 커서(12)의 좌표독해부(12a)를 두고 스위치(12b)를 누르면 그 부분의 좌표가 독해되도록 되어 있다. 독해된 좌표치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에서는 커서스위치(12b)의 ON시에 (S11) 좌표데이터를 독해하고, S13에서는 독해된 좌표치가 모양입력부(13)인지 메뉴부(11)인지를 판단한다. 그 결과 메뉴부의 좌표치이면 S15에서 메뉴부중의 어느 키가 눌렸는가를 판단하고, S16에서는 그 선택된 메뉴에 대응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부(11)에는 조작수순을 지시하는 많은 좌표가 정해져 있으며, 커서스위치에 의해 독해를 하여 조작이 행하여지는 동시에, 모양입력부에서는 역시 커서스위치에 의해 모양데이터를 좌표데이터연산처리(S4)를 향하여 봉제데이터의 작성, LED 표시패널(20)에의 표시(S17), CRT 화면(26)에의 표시, PROM에의 기입(S18)이 순차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해 제 7 도에 도시하는 일반적으로 라벨재봉박기 등 봉제품질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제 1 도의 스텝 S6에 있어서 기입력좌표의 근방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있으나, 이것은 재봉땀을 예쁘게 맞추는 범위이면 되는 것이며, 봉제내용에 따라서 1mm라는 수치를 변경하면 된다.
또, 스텝 S8에서는 만일 입력좌표가 기입력 좌표의 근방에 없으면 무효로 하고 있으나, 이때 이 무효로 된 위치를 모니터표시용 CRT(26)상에서 다른 데이터와 기호를 바꾸어 표시하면 오퍼레이터에 주위를 환기하여 다시 동일 포인트에 접근시키는 조작을 계속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한 데이터작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동일위치로 하는지 여부를 "SAME POINT" 키를 눌러 지령하는 예를 태블릿디지타이저(10)상의 메뉴부(11)의 키(11a)로 설명하였으나, 따로 스위치를 배설하여 일정 작업동안 이 키를 연속적으로 살리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 이 "SAME POINT" 키를 한번 동작시켜 두면 동일 위치의 선택이 행해질 때까지, 즉 무효화가 계속되고 있는 동안 작업을 계속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예를 제 4 도의 플로차트에 나타낸다.
상술한 일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즉 제 1 도에서는 S2a에 있어서 P23의 점의 좌표가 독해된 후 S6의 처리에서 P23의 점의 좌표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점 P1의 근방에 없었을 때, S8에서 지금 입력된 P23의 좌표치를 무효로 하고, 재차 "SAME POINT"키를 누르고나서 다시 P23의 점을 입력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에 대해, 한번 "SAME POINT" 키를 누르면 목적하는 동일점이 발견될 때까지 "SAME POINT"키가 눌린 상태로 유지해 두도록 한 것이 제 4 도이며, 이하 제 4 도에 대해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S25에 있어서 "SAME POINT" 키가 눌렸을 때, S29에서 "SAME POINT" 플래그를 세워서 키가 눌렸다는 것을 기억한다.
다음에, S22a, S26에서는 제 1 도의 실시예와 같은 처리를 행하고, 만일 목적하는 바늘위치의 근방이면 S30에서 S29에 있어서 세운 "SAME POINT" 플래그를 소거하여 S27 및 S24에서 제 1 도의 실시예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한편, S22a에서 독해한 P23의 좌표치가 목적하는 바늘위치의 근방이 아니면 S28에 있어서 지금 독해한 P23의 좌표치를 무효로 하여 재차 S22a에서 새로운 P23의 좌표치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한번 "SAME POINT" 키가 눌리면 목적하는 동일점이 발견될 때까지 몇번이고 찾을 수가 있으므로 제 1 도의 실시예에 비하여 보다 효율이 좋은 조작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입력 바늘위치데이터가 기입력 바늘위치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는 기입력 바늘위치데이터와 동일 데이터로서 치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종래 매우 곤란했던 입력 바늘위치데이터를 기입력 바늘위치데이터의 바늘위치와 완전히 동일 위치에 작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봉제품질의 대폭적인 향상이 도모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및 장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좌표입력장치로부터 순차 입력되는 좌표치를 연산하여 미싱의 바늘위치데이터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바늘위치데이터가 기입력(旣入力) 바늘위치데이터로부터 이미 설정된 범위내에 있을 때, 이 바늘위치데이터를 상기 기입력 바늘위치데이터와 동일 데이터로 하여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2. 좌표입력장치로부터 순차 입력되는 좌표치를 연산하여 미싱의 바늘위치데이터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에 있어서, 미싱의 바늘위치를 동일하게 하여 선택하는 지령을 행하는 제 1 의 스텝과, 입력된 바늘위치데이터가 기입력 바늘위치데이터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내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제 2 의 스텝과, 상기 제 1 의 스텝에서 동일하게 하여 선택하는 지령이 행해지고, 상기 제 2 의 스텝에서 설정된 범위내에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입력된 바늘위치데이터를 상기 기입력 바늘위치데이터와 동일하게 하여 치환하는 제 3 의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력 바늘위치데이터와 동일 데이터로 하여 치환된 바늘위치데이터를 기억하여 자동봉제미싱의 제어데이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입력장치가 도형독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력바늘위치데이터와 동일데이터로 하여 치환된 바늘위치데이터를 표시장치상에 상이한 종류의 기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스텝에서 동일하게 하여 선택하는 지령이 행해지고, 상기 제 2 의 스텝에서 입력된 바늘위치가 설정된 범위 외에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입력된 바늘위치 데이터를 무효로 하는 제 4 의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의 스텝에서 입력된 바늘위치테이터가 무효로 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의 스텝에서 행해진 미싱의 바늘위치를 동일하게 하여 선택하는 지령이 그대로 유지되는 제 5 의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스텝에서 동일하게 하여 선택하는 지령이 행해지고, 상기 제 2 의 스텝에서 입력된 바늘위치가 설정된 범위 외에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입력된 바늘위치를 표시장치상에서 무효를 나타내는 기호로 표시하는 제 6 의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9. 좌표치를 입력하는 좌표입력장치와, 상기 좌표입력장치로부터 순차 입력되는 좌표치를 연산하여 미싱의 바늘위치데이터로 하는 연산수단과, 입력된 바늘위치데이터가 기입력 바늘위치데이터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내인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 이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바늘위치데이터를 상기 기입력 바늘위치데이터와 동일 데이터로 하여 치환하는 변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 및/ 또는 상기 변환수단의 작동을 지령하여 데이터의 치환을 동작시키는 동일 위치선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위치선택수단이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입력장치가 도형독해장치이며, 상기 동일 위치선택수단이 태블릿디지타이저의 모양입력부에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력 바늘위치데이터와 동일데이터로 하여 치환된 바늘위치데이터를 기억하여 자동봉제미싱의 제어데이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입력장치가 도형독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력 바늘위치데이터와 동일 데이터로 하여 치환된 바늘위치데이터를 표시상에 상이한 종류의 기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KR1019890020006A 1989-01-24 1989-12-29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및 장치 KR920003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80989 1989-01-24
JP89-14809 1989-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925A KR900011925A (ko) 1990-08-02
KR920003667B1 true KR920003667B1 (ko) 1992-05-06

Family

ID=1187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006A KR920003667B1 (ko) 1989-01-24 1989-12-29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09176A (ko)
JP (1) JPH0815512B2 (ko)
KR (1) KR920003667B1 (ko)
DE (1) DE4002031C2 (ko)
GB (1) GB2228591B (ko)
TW (1) TW1991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31484B (it) * 1987-07-22 1991-12-07 Tokai Ind Sewing Machine Macchina per ricamare atta a svolgere operazioni di esecuzione e di controllo dell'operazione di ricamo in accordo con i dati memorizzati
JPH0397489A (ja) * 1989-09-11 1991-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ミシンの縫製データ作成装置
JPH03275097A (ja) * 1990-03-23 1991-1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ミシンの縫製データ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
US5319566A (en) * 1991-02-15 1994-06-07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Embroidering data production system
JP2624005B2 (ja) * 1991-03-29 1997-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ミシンの縫製データ作成装置
US5839382A (en) * 1994-09-15 1998-11-24 Tice Engineering And Sales, Inc. Electronically geared sewing machine
US5458075A (en) * 1994-09-15 1995-10-17 Tice Engineering And Sales, Inc. Electronically geared sewing machine
EP1734166A1 (de) * 2005-06-17 2006-12-20 Fritz Gegauf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Nähdaten
JP5438482B2 (ja) * 2009-12-03 2014-03-12 Juki株式会社 ミシン、ミシンの縫製データ編集装置及びミシンの縫製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CN104005180B (zh) * 2014-06-12 2016-06-22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缝纫的视觉定位方法及系统
JP2023000299A (ja) * 2021-06-17 2023-01-04 株式会社ジャノメ 座標データ作成装置、ミシン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000297A (ja) 2021-06-17 2023-01-04 株式会社ジャノメ 座標データ作成装置、ミシン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000298A (ja) * 2021-06-17 2023-01-04 株式会社ジャノメ 座標データ作成装置、ミシン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1179A (en) * 1977-07-13 1980-09-09 Sharp Kabushiki Kaisha Button size control in an automatic electronic sewing machine
US4446520A (en) * 1980-07-30 1984-05-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rocess of preparing and processing sewing data for an automatic sewing machine
JPS6055148B2 (ja) * 1981-04-10 1985-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工業用模様縫いミシン
JPS60148583A (ja) * 1984-01-13 1985-08-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ミシン用縫製デ−タ作成装置
JPS60148584A (ja) * 1984-01-13 1985-08-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ミシン用縫製デ−タ作成装置
JPS60148582A (ja) * 1984-01-13 1985-08-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ミシン用縫製デ−タ作成装置
JPS6131377U (ja) * 1984-07-31 1986-02-25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入力装置
JPS6137285A (ja) * 1984-07-31 1986-02-22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002031A1 (de) 1990-08-09
JPH02277488A (ja) 1990-11-14
DE4002031C2 (de) 1993-12-16
GB9001612D0 (en) 1990-03-21
KR900011925A (ko) 1990-08-02
GB2228591A (en) 1990-08-29
US5009176A (en) 1991-04-23
TW199191B (ko) 1993-02-01
JPH0815512B2 (ja) 1996-02-21
GB2228591B (en) 199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9364A (en) Sewing machine-pattern data processor
KR940010385B1 (ko) 자수기
US4388883A (en) Stitch pattern sewing machine
KR920003667B1 (ko)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및 장치
JPH10137467A (ja) 模様縫製装置、模様縫製方法及び模様表示方法
US6173665B1 (en) Sewing machine control system
JP3434075B2 (ja) 刺繍データ処理装置
KR930008388B1 (ko) 미싱의 봉제데이타 작성장치
JPS6057358B2 (ja) ミシンの自動プログラミング装置
US5379226A (en) Sewing data forming device for sewing machining
JP2015104442A (ja) ミシン
JPH10113483A (ja) 刺繍データ編集方法並びに刺繍データ編集装置
US5896822A (en) Embroidery data processing device
KR20030015137A (ko) 재봉틀 프로그램 작성 장치
KR920008099B1 (ko) 미싱의 봉제데이타 작성장치
JP2015093126A (ja) ミシン
KR840000780B1 (ko) 재봉기의 자동프로그래밍장치(自動 Programing 裝置)
US5875725A (en) Embroidery data processing device
JP3525679B2 (ja) 自動ミシン
JP2597506B2 (ja) 自動刺繍機
EP0418643A2 (en) Apparatus for creating stitching data for automatic sewing machines
JP2748154B2 (ja) ミシンの刺しゅう模様入力装置
JP2001038078A (ja) 刺繍縫いミシン
JPS62253098A (ja) ミシン用縫い模様デ−タ作成装置
JP3324869B2 (ja) 自動ミシンの縫製データ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