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492B1 -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파워트레인 - Google Patents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파워트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492B1
KR100807492B1 KR1020037016935A KR20037016935A KR100807492B1 KR 100807492 B1 KR100807492 B1 KR 100807492B1 KR 1020037016935 A KR1020037016935 A KR 1020037016935A KR 20037016935 A KR20037016935 A KR 20037016935A KR 100807492 B1 KR100807492 B1 KR 10080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position
position detecting
detecting device
boar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530A (ko
Inventor
무라까미나오따까
오가사와라나오또
스즈끼겐지
후꾸다아쯔시
다까마쯔쥰
Original Assignee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8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16H61/0006Electronic control units for transmission control, e.g. connectors, casings or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82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ssion control units, e.g. gearbox cont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변위하는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와, 차량의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A/T(2)를 제어하는 ECU(5)와, 케이싱(4) 외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8, 9)가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 기판(14)에 의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및 커넥터(8, 9)와 전자 제어 장치(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ECU(5) 및 커넥터(8, 9)를 자유롭게 레이아웃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시프트 위치 검출, 파워트레인, 운전자의 조작, 주행 상태, 접속 기판

Description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워트레인 {CONTROL DEVICE WITH SHIFT POSITION DETECTOR, AND POWER TRAIN WITH TH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변위하는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적어도 차량의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트레인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이하, ECU라고도 표기한다)와, 케이싱 외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부가 일체화된 파워트레인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파워트레인은 구동 장치로서의 엔진, 발진 조작과 변속 조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자동 변속기(이하, A/T라고도 표기한다), 발진 조작을 자동화하고, 변속단의 전환을 수동으로 행하는 반자동 변속기, 변속단의 변속도비를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무단 변속기, 하이브리드 차를 구동하는 내연 기관과 전동 모터, 전기 자동차를 구동하는 모터이다.
파워트레인의 하나로서, 차량에 탑재되는 A/T는 그 유압 제어 장치를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시프트 장치와 차량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A/T를 제어하는 ECU에 의해 조작함으로써 제어된다. ECU는 차실내 또는 엔진룸내에 탑재되 고, 제어를 위한 전기 기기인 뉴트럴 스타트 스위치(이하, N스위치라고도 표기한다)와 포지션 센서는 A/T 케이스의 외측에, 또 회전수와 유온도의 각 센서, 및 솔레노이드 등은 일반적으로는 A/T 케이스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경우, 각 전기 기기와 ECU는 차량 배선인 와이어 하네스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15는 종래의 A/T에서의 이와 같은 전기 기기와 ECU와의 전기적 접속을 개념적이고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A/T 케이스내의 각종 센서류의 배선은 A/T 케이스내 배선인 와이어 하네스(a)에 의해 통합되어 A/T 케이스 밖으로 유도된다. 또한, A/T 케이스내의 밸브 바디에 부가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류의 배선(b)는 각각에 A/T 케이스 밖으로 유도되고, A/T 케이스 외벽면에 부착되는 N스위치 일체형의 포지션 센서(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c)의 배선(d)는, 차량 배선인 와이어 하네스(e)에 의해 ECU(f)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배선 구조를 채용하면, 전기적 접속을 위한 다수의 와이어 하네스와 커넥터가 필요하게 되어, 중첩이 증대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증대되고, 나아가 탑재 설계 공수 및 차량 조립 공수가 증대한다.
이와 같은 점에서,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를 일체화함으로써, 배선 구조를 간략화하는 것이 일본 특허 공개 1993-196130호 공보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 이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배선 구조에 의하면, 복잡한 하네스 배선을 배제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탑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시트프 위치 검출 센서와 ECU는 A/T마다 그 탑재 위치와 커넥터 위치 가 다르므로, 그들의 레이아웃을 탑재되는 A/T에 맞추어 간단하고 유연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함이 요구된다.
그러나, 전술한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와의 일체화 구조에서는,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해 각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아, 레이아웃을 탑재되는 A/T에 맞추어 간단하고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전술한 공개공보의 일체화 구조에서는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의 고정 접점과 ECU의 기판이 한장의 공통의 기판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레이아웃을 탑재되는 A/T에 맞추어 간단하고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은 극히 어려운 일이었다.
또한, 이와 같은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가 일체로 부착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ECU는 A/T 케이스의 외면에 결합 고정되나, A/T가 엔진룸내에 배치되므로, 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ECU도 엔진룸내에 배치된다. 이 엔진룸에는 엔진을 비롯해 다른 다양한 기기가 수용되어 있으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ECU가 고정된 ECU의 설치 공간이 매우 좁게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ECU는 엔진룸내의 다른 기기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컴팩트하게 형성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전술한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와의 일체화 구조에서는,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해서도 각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ECU의 컴팩트화가 충분히 고려되었다고는 할 수 없다. 특히, 전술한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ECU의 컴팩트화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는 각각 그들의 형상이 각기 다르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를 일체화할 경우,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와의 일체화 구조를 그들 형상에 맞추어 간단하고 유연하게 변경가능하도록 하여, 가능한 한 컴팩트화를 도모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전술한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와의 일체화 구조에서는,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해서 각별한 고려가 이루어져있지 않아서,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와의 일체화 구조를,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의 각 형상에 맞추어 간단하고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은 어렵다. 특히, 전술한 공개공보의 일체화 구조에서는,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의 고정 접점과 ECU의 기판이 한장의 공통의 기판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이 일체화 구조를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의 각 형상에 맞추어 간단하고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게다가,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가 일체화된 장치를, 예를 들면, 엔진룸내의 A/T 케이스의 외면 또는 A/T 케이스의 밸브 바디내에 결합하는 경우, 이 엔진룸내의 가혹한 열 또는 ECU의 제어 기판에 탑재된 복수의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로부터 ECU를 보호하여 이 ECU가 정확하게 작동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므로, ECU의 제어 기판에는 방열성 및 내열성이 높은 재질을 이용해야만 한다.
그러나, 전술한 공개공보의 일체화 구조에서는, 이들 방열성 및 내열성이 높은 재질을 이용하지 않을 수 없는, 즉, 가공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의 고정 접점과 ECU의 기판이 부득이하게 한장의 공통의 기판에 재질을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공이 용이하지 않은 재질을 전술한 일체화 구조의 기판에 이용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의 각 형상에 맞추어 간단하고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은 극히 어렵다. 이 때문에,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를 수용하는 케이싱내에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한장의 공통의 기판의 형상을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의 각 형상에 맞추는 것이 극히 어려우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형상 또는 제어 장치의 형상에 따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제어 장치와의 전기적 접속이 유연하고 확실하게 수행되기 어렵다.
또한, 엔진룸에는 엔진을 비롯하여 다른 다양한 기기가 수용되어 있으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ECU가 고정된 ECU의 설치 공간이 매우 좁게 한정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가 일체로 설치된 시트프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ECU가 엔진룸내에 배치되는 경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ECU는 엔진룸내의 다른 기기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컴팩트하게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전술한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시프트 위치 검출 센서와 ECU와의 일체화 구조에서는,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해서도 각별한 고려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ECU의 컴팩트화를 충분히 도모하였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전자 제어 유닛 및 커넥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자유롭게 레이아웃 가능하도록 하여, 탑재되는 파워트레인에 맞추어 간단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형상에 전자 제어 유닛의 기판을 간단하고 유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전자 제어 유닛 및 커넥터부의 각 형상의 적어도 하나에 간단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워트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들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파워트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변위하는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적어도 차량의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트레인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과, 외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부를 구비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접속 기판에 의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상기 커넥터부의 적어도 한쪽과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이 복수의 소자가 배치된 제어 기판을 갖고,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는 상기 접속 기판을 통하여 상기 제어 기판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기판이 상기 접속 기판보다 방열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기판이 상기 접속 기판보다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접속 기판이 상기 제어 기판보다 가격이 저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제6항의 발명은, 상기 제어 기판이 세라믹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접속 기판이 가요성을 갖는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접속 기판이 유리포 에폭시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비접촉식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비접촉식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매뉴얼 샤프트에 설치되고, 발생하는 자계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변화하는 자계 발생 수단과, 그 변위하는 자계에 대해서 출력이 변화하는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부를 갖고, 그 출력 회로부와 상기 접속 기판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출력 회로부와 상기 접속 기판이 동일 평면상에 있어서 오버랩하는 오버랩부를 갖고, 그 오버랩부에서 상기 출력 회로부와 상기 접속 기판이 납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매뉴얼 샤프트에 설치되고,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이동하는 가동 접점과 고정대에 설치된 고정 접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이 접촉 또는 비접촉이 됨으로써,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부를 갖고, 그 출력 회로부와 상기 접속 기판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출력 회로부와 상기 접속 기판이 동일 평면상에 있어서 오버랩하는 오버랩부를 갖고, 그 오버랩부에서 상기 출력 회로부와 상기 접속 기판이 납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기 판과 상기 접속 기판이 상기 제어 기판의 배치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하는 오버랩부를 갖고, 그 오버랩부에서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접속 기판이 납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접속 기판이 상기 제어 기판의 배치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제어 기판이 동일 평면상에 있어서 오버랩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제어 기판이 상기 제어 기판의 배치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제어 기판이 케이싱에 수용되어,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접속 기판과의 높이 조정 및 상기 접속 기판과 상기 제어 기판과의 높이 조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평면 조정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케이싱이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상기 제어 기판이 각각 설치되는 부분에 요철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케이싱이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제어 기판과의 사이에 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벽이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포위하는 제1 벽과, 상기 제어 기판을 포위하는 제2 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케이싱이 바디부와 커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는 바디부와 커버부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커버부와의 사이가 밀봉(seal)되어 있고, 그 밀봉(seal)은 동일 평면에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상기 케이싱과 상기 제1 벽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변위하는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적어도 차량의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트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소자를 배열한 제어 기판을 구비한 전자 제어 유닛이 케이싱에 수납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이 가공하기 쉬운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제어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기판이 방열성 및 내열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유리포 에폭시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기판이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형상으로 정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축 방향, 예컨대, A/T의 매뉴얼 샤프트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면의 단면 원형상이며,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단면 원형상으로 정합된 곡면을 갖는 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시프트 장치의, 그 조작에 따라서 변위하는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적어도 차량의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트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소자를 배열한 제어 기판을 구비한 전자 제어 유닛이 일체화되어, 케이싱에 수납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또는 상기 제어 기판이 가공하기 쉬운 접속 기판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접속 기판이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형상에 정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의 형상에 정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시프트 장치의, 그 조작에 따라서 변위하는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적어도 차량의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트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소자를 배열한 제어 기판을 구비한 전자 제어 유닛이 일체화되어, 케이싱에 수납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그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형상에 정합된 접속 기판에 접속되어 있거나, 및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이 그 전자 제어 유닛의 형상에 정합된 접속 기판에 접속되어 있거나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의 단면 원형상이며,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단면 원형상에 정합된 곡면을 갖는 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시프트 장치의, 그 조작에 따라서 변위하는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적어도 차량의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트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소자를 배열한 제어 기판을 구비한 전자 제어 유닛이 일체화되어, 케이싱에 수납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또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이 접속 기판에 접속되어, 상기 케이싱 내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 및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배치되는 스페이스 이외의 스페이스가 상기 접속 기판에 의해서 거의 점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접속 기판이 상기 제어 기판보다도 가공하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상기 접속 기판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이 일체화된, 상기 케이싱의 외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그 커넥터부는 상기 접속 기판을 통하여 상기 제어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커넥터부가 파워트레인 내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제1 커넥터부와, 파워트레인 외부의 차량 시스템과 접속되는 제2 커넥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기판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제어 기판의 사각 형상에 정합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이 일체화된, 상기 케이싱 외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상기 접속 기판을 통하여 접속되고, 또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커넥터부가 상기 접속 기판과는 다른 제2 접속 기판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접속 기판이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제어 기판을 접속하는 제1 접속 기판과,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어 기판을 접속하는 제2 접속 기판과, 상기 제2 커넥터부와 상기 제어 기판을 접속하는 제3 접속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접속 기판 중 적어도 2개의 접속 기판이 공통의 단일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시프트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접속 기판이 상기 출력부의 단자수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접속 기판이 제1 커넥터부 및 상기 제2 커넥터부 중 적어도 한쪽 단자수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기판의 장변과 단변을 갖는 장방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변과 근접하여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상기 제1 커넥터부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단변에 근접하여 상기 제2 커넥터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닛과의 접속부가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측에 서로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출력부가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있으며, 그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단면 형상이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지는 타원 형상 또는 거의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장축과 상기 제어 기판의 장변이 평행 또는 거의 평행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변위하는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적어도 차량의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트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소자를 배열한 제어 기판으로 이루어진 전자 제어 유닛이 일체화되어, 케이싱에 수납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부를 갖고, 상기 제어 기판의 1변에 근접하여,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커넥터부가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기판이 사각형의 세라믹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기판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파워트레인 내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제1 커넥터부와, 파워트레인 외부의 차량 시스템과 접속되는 제2 커넥터부를 갖고, 상기 사각형의 1변에 근접하여,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제1 커넥터부 및 상기 제2 커넥터부 중 어느 한쪽이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부 및 상기 제2 커 넥터부 중 어느 다른쪽이 상기 사각형의 다른 1변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상기 접속 기판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접속 기판이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제어 기판을 접속하는 제1 접속 기판과,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어 기판을 접속하는 제2 접속 기판과, 상기 제2 커넥터부와 상기 제어 기판을 접속하는 제3 접속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접속 기판 중 적어도 2개의 접속 기판이 공통의 단일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시프트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출력부의 단자수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접속 기판이 상기 제1 커넥터부 및 상기 제2 커넥터부 중 적어도 한쪽 단자수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기판의 사각형은 장방형이며, 상기 장방형의 장변과 근접하여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상기 제1 커넥터부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장방형의 단변에 근접하여 상기 제2 커넥터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어 장치와의 접속부가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측에 서로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출력부가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있으며, 그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단면 형상이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지는 타원 형상 또는 거의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장축과 상기 제어 기판의 장변이 평행 또는 거의 평행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상기 케이싱 외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부가 응력 흡수 완화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워트레인은 전술한 각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중 어느 것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커넥터부 중 적어도 한쪽을 접속 기판에 의해서 제어 장치와 접속하고 있으므로, 케이싱내에 있어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제어 장치및 커넥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자유롭게 레이아웃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접속 기판을 통하여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제어 기판에 접속하고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제어 장치의 제어 기판과의 접속을 자유롭게 레이아웃할 수 있어 범용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어 기판을 방열성이 높은 기판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제어 기판에 탑재되어 있는 소자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어 기판을 내열성이 높은 기판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제어 기판에 탑재되어 있는 소자의 열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접속 기판을 제어 기판보다 저렴한 기판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비용 상승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소자가 배치되는 제어 기판에, 보다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기판을 이용함으로써, 제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어 기판을 세라믹 기판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방열성 및 내열성을 모두 향상할 수 있게 하면서, 비용 상승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접속 기판에 가요성을 갖는 기판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기판재의 가요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의 부품마다의 오차(부품의 제조 오차 또는 부품의 결합 오차 등)를 흡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예를 들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가 엔진룸 등의 극히 혹독한 열적 환경하에 있어서, 그 열에 의해 접속 기판에 접속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커넥터부 중 적어도 한쪽이 신축(伸縮)하더라도 기판재의 가요성에 의해 그 신축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접속 기판을 유리포 에폭시 기판(이하, 유리 에폭시 기판이라고도 한다)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접속 수단을 저가로 할 수 있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의 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비접촉식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접촉식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에 비하여, 각각의 시프트 위치마다 접점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비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매뉴얼 샤프트에 설치되어, 발생하는 자계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변화하는 자계 발생 수단과, 이 변위하는 자계에 대해서 출력이 변화하는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계 발생 수단의 자계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변위함으로서 센서의 출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므로, 시프트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센서로부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부를 접속 기판에 접속하고 있으므로, 센서와 접속 기판을 간단히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출력 회로부와 접속 기판과의 동일 평면상에서의 오버랩부에서, 출력 회로부와 접속 기판을 납땜 접합하고 있으므로, 센서와 접속 기판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게다가 접합 표면 상태를 엄밀히 관리할 필요가 있는 와이어 본딩 등에 비해 저가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로 하고 있으므로, 종래부터 파워트레인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달성할 수 있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저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출력 회로부를 접속 기판에 접속하고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접속 기판을 간단히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출력 회로부와 접속 기판과의 오버랩부에서, 출력 회로부와 접속 기판을 납땜 접합하고 있으므로, 센서와 접속 기판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게다가 접합 표면 상태를 엄밀히 관리할 필요가 있는 와이어 본딩 등에 비해 저가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수직 방향의 오버랩부에서,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을 납땜 접합하고 있으므로,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게다가 접합 표면 상태를 엄밀히 관리할 필요가 있는 와이어 본딩 등에 비해 저가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이 제어 기판의 배치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으므로,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속 부분을 얇게 할 수 있어, 그 만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제어 기판이 동일 평면상에 있어서 오버랩되지 않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전체적으로 박형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다양한 위치에 탑재할 때에, 다른 기기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제어 기판이 제어 기판의 배치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전체적으로 박형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다양한 위치에 탑재할 때에, 다른 기기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높이와 제어 기판의 높이가 다른 경우더라도, 평면 조정부에 의해 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그 높이 조정에 의해 접속 기판에 의한 접속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케이싱 의 요철면에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제어 기판을 각각 설치하고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높이와 제어 기판의 높이가 다른 경우라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제어 기판을 요철면에 의해 동일 면상에 배열할 수 있으며, 이들 동일 면상 배열에 의해 접속 기판에 의한 접속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제어 기판과의 사이의 케이싱에 벽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벽을 근간으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제어 기판을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벽에 의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제어 기판의 케이싱에 대한 수평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에서 발생하는 미세 먼지 등의 이물은 벽에 의해 차단되므로, 이 같은 이물에 의한 제어 기판으로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제어 기판을 각각의 제1 및 제2 벽을 근간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각각의 벽에 의해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제어 기판의 케이싱에 대한 수평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케이싱의 바디부와 커버부에 의해 끼움 지지하고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케이싱에 대한 수직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재를 별도 설치하지 않더라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케이싱에 고정할 수 있고, 그 결과 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바디부와 커버부와의 사이의 밀봉을 동일 평면에서 행하므로, 밀봉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밀봉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밀봉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케이싱과 제1 벽에 접착하고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제1 벽에 의해서 케이싱에 대해서 수평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접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케이싱에 의해서 기판에 대해서 수직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접착할 수 있다. 즉,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서로 직교하는 2방향으로부터의 접착에 의한 상승 효과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접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어 장치의 제어 기판에 가공이 용이한 재질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제어 기판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형상에 따라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형상이 어떠한 형상이더라도, 전기적 접속을 유연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기판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어 기판에 방열성 및 내열성이 높은 유리포 기판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세라믹 기판 등 보다도 저가이며,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어 기판의 형상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형상에 정합시키고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형상이 어떠한 형상이더라도, 제어 기판의 형상을 유연히 대응할 수 있어, 제어 기판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접속을 유연하고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접속 기판의 외형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단면 원형상으로 정합시킴으로써, 접속 기판에 의해서 케이싱내의 데드 스페이스를 보다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또는 제어 장치에 가공하기 쉬운 접속 기판을 접속하고 있으므로, 접속 기판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형상 또는 제어 장치의 형상에 따라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또는 제어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형상 또는 제어 장치의 형상이 어떠한 형상이더라도 전기적 접속을 유연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에 정합된 접속 기판에 의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을 접속하고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의 형상이 각각 어떠한 형상이더라도, 접속 기판에 의한 접속을 유연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케이싱내에 있어서 제어 기판 및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배치되는 스페이스 이외의 스페이스를 접속 기판에 의해서 거의 점유시킴으로써, 케이싱내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어 기판보다도 가공하기 쉬운 접속 기판으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또는 제어 장치를 접속하고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또는 제어 장치의 형상이 각각 어떠한 형상이더라도, 접속 기판의 형상을 이들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또는 제어 장치의 형상에 정합하도록 가공함으로써,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또는 제어 장치와의 접속을 이들 형상에 따라서 보다 한층 유연하고 보다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어 기판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접속 기판을 통하여 접속하고 있으므로, 접속 기판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또는 제어 기판에 이들 형상에 맞추어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외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부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제어 장치와 일체화하고, 또한 이 커넥터부를 접속 기판을 통하여 제어 기판에 접속하고 있으므로, 접속 기판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제어 장치 및 커넥터부의 레이아웃에 대응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 레이아웃이 어떠한 것이더라도, 접속 기판에 의해 제어 장치와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커넥터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보다 한층 유연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파워트레인 내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제1 커넥터부와, 파워트레인 외부의 차량 시스 템과 접속되는 제2 커넥터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어 장치 및 커넥터부의 레이아웃에 대응한 접속 기판에 의해, 제어 장치를 통한 파워트레인 내부의 전기 기기와 파워트레인 외부의 차량 시스템과와 사이의 통신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고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접속 기판의 형상을 제어 기판의 사각 형상에 정합시키고 있으므로, 제어 기판을 사각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발생하는 케이싱내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어 기판 및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접속하는 접속 기판과, 제어 기판 및 커넥터부를 접속하는 접속 기판을 달리하고 있으므로, 제어 기판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전기적 접속 및 제어 장치와 커넥터부의 전기적 접속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제어 장치 및 커넥터부의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보다 한층 유연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제어 기판을 접속하는 접속 기판, 제1 커넥터부와 제어 기판을 접속하는 제2 접속 기판, 및 제2 커넥터부와 제어 기판을 접속하는 제3 접속 기판 중, 적어도 2개의 접속 기판을 공통의 단일 기판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접속 기판의 부품 점수를 삭감 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접속 기판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출력부에서의 단자수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접속 기판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출력부의 단자수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어, 이 출력부의 단자수에 의해 발생하는 케이싱내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접속 기판을 더욱이 제1 커넥터부 및 제2 커넥터부 중 적어도 한쪽 단자수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접속 기판을 이들 커넥터부의 단자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이들 단자수에 의해 발생되는 케이싱내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제1 커넥터부를 장방 형상의 제어 기판의 장변에 근접하여 배치하고, 또 제어 기판의 단변에 근접하여 제2 커넥터부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제1 및 제2 커넥터부를 스페이스상,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1 커넥터부와 제어 장치의 접속부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측에 서로 중첩시키고 있으므로, 이 접속부와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접속부 연장 설치 방향의 배치를 짧게 할 수 있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보다 한층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돌출부 를 포함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단면 형상의 장축과 제어 기판의 장변을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하도록 배열하고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제어 장치를 스페이스상,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1 및 제2 커넥터부를 사각형의 제어 기판의 변에 정합시켜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의 외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부가 응력 흡수 완화부를 갖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A/T의 열에 의한 열응력 등의 응력이 커넥터부의 접속 단자에 가해졌을 때에, 이 응력을 응력 흡수 완화부에서 흡수 완화할 수 있어, 응력 집중 등의 과대한 응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워트레인에 의하면, 전술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중 어느 것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제어 장치 및 커넥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자유롭게 레이아웃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제어 장치 및 커낵터부의 각 형상이 어떠한 형성이더라도, 또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제어 장치 및 커넥터부의 레이아웃이 어떠한 것이더라도, 전기적 접속을 유연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범용성이 높은 파워트레인을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의 실시 형태 의 제1 예가 채용된 파워트레인의 하나인 A/T에서의 전기적 접속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2 도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에서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제1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나타내고, (a)는도2에서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b)는 (a)에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5는 제1 예에서의 A/T 접속용 커넥터 부분을 나타내고, (a)는 그 단면도, (b)는 (a)에서의 ⅤB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6은 도5에서의 암커넥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의 실시 형태의 제2 예를 나타내며, (a)는 그 평면도, (b)는 (a)에서의 ⅦB-Ⅶ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3 예를 모식적이고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9는 제3 예의 제어 기판의 패드와 접속 기판의 스루홀과의 접합부를 나타내며, (a)는 제어 기판과 접속기판의 접합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b)는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회로 기판과 배선 기판과의 접합부를 나타내고, (a)는 도9의 (b)의 XA부의 확대도, (b)는 남땜한 상태를 나타내는 (a)와 같은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4 예를 모식적이고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a)는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9의 (a)와 같은 도면, (b)는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9의 (b)와 같은 도면, (c)는 납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10의 (b)와 같은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5 예를 모식적이고 부분적으로 나타내며, (a)는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11의 (a)와 같은 도면, (b)는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합 상태를 나타낸 도11의 (b)와 같은 도면, (c)는 납땜한 상태를 나타낸 도11의 (c)와 같은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6 예를 모식적이고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a)는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11의 (a)와 같은 도면, (b)는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합 상태를 나타낸 도11의 (b)와 같은 도면, (c)는 납땜한 상태를 나타낸 도11의 (c)와 같은 도면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의 실시 형태의 제7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5는 종래의 자동 변속기에서의 이와 같은 전기 기기와 ECU와의 전기적 접속을 개념적이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의 실시 형태 의 제1 예가 채용된 파워트레인의 하나인 A/T에서의 전기적 접속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는 제1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도2에서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4는 제1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나타내고, (a)는 도2에서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b)는 (a)에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시프트 위치란, 예를 들면, 파킹(P), 리버스(R), 뉴트럴(N), 드라이브(D) 등이다. 또한, 도4의 (a) 및 (b)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의 배치 구조가, 도3(b)에 도시한 그들 배치 구조와 다른 예를 나타내나, 도4의 (a) 및 (b)에 나타낸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의 기능은 도3의 (b)에 나타낸 영구 자석과 자기 센서의 기능과 전체적으로 같으며, 또한 이 배치 구조는 그 자체, 본 발명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1 예의 A/T에서의 전기적 접속 구조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에, 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에 의해 제어되는 A/T(2)와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에 차량의 주행 정보를 공급함과 동시에, A/T(2)와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로부터 A/T의 시프트 위치 신호, 마스터 구동 신호, 리버스 점등 신호가 공급되는 차량 시스템(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조이다.
도2 및 도3의 (a) 및 (b)에 상세히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는 케이싱(4)을 구비하며, 이 케이싱(4)내에 A/T를 변속 제어하는 ECU(5)와, 운전자의 시프트 레버 조작과 시프트 스위치 조작과 시프트 다 이얼 조작 등에 의해 조작되어, 이 조작에 따라서 변위하는 A/T의 매뉴얼 샤프트(본 발명의 시프트 장치에 상당)(6)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가 설치된다. 또한, 매뉴얼 샤프트(6)의 삽입 방향과 동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A/T내의 솔레노이드와 센서 등과 접속되는 A/T 접속용 커넥터(본 발명의 제1 커넥터부에 상당)(8)과, 예를 들면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ECU 등으로부터 엔진 회전수, 엔진 냉각수 온도 등의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와, 스피드 센서용 커넥터(22)는 케이싱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외부의 전기 기기란 A/T내의 솔레노이드와 센서, A/T 밖에 배치되는 엔진 E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이다.
ECU(5)는 내환경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해, 후술하는 접속 기판(14)보다도 내열성 및 방열성이 모두 높은, 예를 들면 세라믹 기판 등의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구형상의 제어 기판(10)을 구비한다. 이 제어 기판(10)상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하는 복수의 회로칩(소자)(23)가 배치되어 있고, 각 회로 칩은, 예를 들면, 제어 기판(10)의 2변을 따라서 집약 배치된 단자군(10a, 10b, 10c)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 기판(10)은 전면을 접착제로 케이싱(4)에 고정되어 있다. 제어 기판 (10)을 볼트로 케이싱(4)에 고정한 경우에는, 진동 등에 의해 볼트 고정 부분 세라믹 기판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나, 이와 같이 전면 접착에 의함으로써, 이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자(23)에서 발생한 제어 기판(10)으로부터 접착제를 통하여 케이싱(4)으로 방열할 수 있어, 방열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본발명에서 말하는 일변이란, 직선 또는 대략 직선이 되는 일변을 말한다. 또한, 제 어 기판(10)은 절연물과, 이 기판(10)에 설치된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재질은 절연물의 재료이다.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는 매뉴얼 샤프트(6)에 고정되어 이 매뉴얼 샤프트(6)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가동자(11)와, 가동자(11)에 고정되어 이 가동자(11)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영구 자석(본 발명의 자계 발생 수단에 상당)(12)과, 이 영구 자석(12)의 회전으로 그 자계가 변위하는 것을 영구 자석(12)과 비접촉으로 검출하고, 예를 들면 기전력을 발생하는 홀 소자(홀 IC)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기 센서(13)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해 수행된 시프트 조작에 대응하여 매뉴얼 샤프트(6)가 회전하면, 영구 자석(12)과 자기 센서(13)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는, 즉 영구 자석(12)의 자계가 변위하므로, 자기 센서(13)가 이 자계의 변위에 따른 전압치를 출력한다. 이 전압치는 운전자의 시프트 조작으로 설정된 변속 레인지 위치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이 전압치에 의해 변속 레인지 위치를 검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에는 자기 센서 (13)로부터의 전압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회로부(7a, 본 발명에서는 출력부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으며, 출력 회로부(7a)는 도선을 갖는 기판으로 구성되어, 이 도선이 접속 기판(14)의 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출력 회로부(7a)로부터 접속 기판(14)으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경우, 출력 회로부(7a) 및 접속 기판(14)은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그들의 서로 대항하는 단끝은 출력 회로부(7a) 및 접속 기판(14)의 배치면에 수직 방향{도2에 있어서 도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 도3의 (a) 및 (b)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오버랩되어 있지 않고,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의 두께룰 얇게 하도록 되어 있다. 접속 기판(14)은 볼트로 케이싱(4)에 고정되어 있으며, 전술한 제어 기판(10)의 고정과는 고정 방법이 다르다. 이와 같이 접속 기판(14)을 볼트로 고정하는 것은, 이 볼트를 사용하여 접지(어스)를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속 기판에는 제어 기판(10)과 달리 소자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방열성을 그다지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는 케이싱(4)에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를 둘러싸도록 세워 설치된 제1 벽(4a)을 근간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1 벽(7)에 접착되어 있어, 이 제1 벽(4a)에 의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케이싱(4)에 대한 수평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케이싱(4)는 바디부(4e)와 바디부(4e)의 상단 개구부를 막는 커버부 (4f)로 이루어지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은 바디부(4e)와 커버부(4f)와의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케이싱(4)에 대한 수직 방향{도4의 (a)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바디부(4e)와 커버부(4f)와의 사이는 밀봉 부재(21)에 의해 동일 평면에서 밀봉되어 있다.
케이싱(4)내에는 ECU(5)의 제어 기판(10) 및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배치면을 제외한 케이싱(4)의 부분을 대략 덮는 형상을 갖고, 소정의 배선 회로(미도시)가 형성된 접속 기판(14)이 배치되어 있다. 그 경우, 케이싱(4)내에 있어서 제어 기판(10) 및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가 배치되는 스페이스 이외의 스페이스가 접속 기판(14)에 의해서 거의 점유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기판(10) 및 접속 기판(14)은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그들의 서로 대향하는 단끝은 제어 기판(10) 및 접속 기판(14)의 배치면에 수직 방향(전술과 동일)으로 오버랩되어 있지 않고,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의 두께를 얇게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접속 기판(14)은 가공이 세라믹 기판보다 용이함과 동시에 가요성을 갖는 기판으로 구성되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변 및 단변으로 이루어지는 장방 형상(장방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형상이어도 된다)의 제어 기판(10)의 한쪽 장변과 한쪽 단변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정합되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단면 원형상의 원호 형상으로 정합된 곡면을 갖는 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기판(1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기판(10)의 장변에 근접하여 설치된 A/T 접속용 커넥터(8) 및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출력 회로부(7a)의 단자군(미도시), 도한 제어 기판(10)의 단변에 근접하여 설치된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에 각각 접속되는 회로 단자군(14a, 14b)의 각 단자수에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는 즉 각 커넥터(8, 9)의 각 단자수에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접속 기판(14)은 제어 기판(10)보다 가공하기 쉽고 저가인 재질, 예를 들면 유리포 에폭시 기판(이하, 유리 에폭시 기판이라고도 한다)과 플렉시블 기판 등의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공하기 쉬운 재료란 한장의 기판으로 취할 때에, 직선이 아니라, 곡선 또는 굴곡선으로 이루어지는 형상 등의 복잡한 형상이더라도 절단하는 것이 용이한 것임과 동시에, 가공하기 쉬운 재료의 조성이 유연한 것이다. 이 가공하기 쉬운 재질이 정의는 후술하는 가공하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어 기판(10)에도 해당되는 것이다.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와 제어 기판(14)이 제1 벽(4a)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또한, 접속 기판(14)에는 3개의 회로 단자군(14a, 14b, 14c)이 제어 기판(10)의 3개의 회로 단자군(10a, 10b, 10c)에 대응하고, 또 제어 기판(10)의 장변 및 단변의 2변을 따라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회로 단자군(14a, 14b, 14c)의 각 회로 단자는 각각 접속 기판(14)의 배선을 통하여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자기 센서(13), A/T 접속용 커넥터(8) 및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다수의 입출력 단자 중 어느 것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 기판(14)은 비교적 유연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가공하기 쉬운 기판으로 구성됨으로써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며, 이에 따라 ECU(5),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A/T 접속용 커넥터(8) 및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레이아웃에 따라서 유연하고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케이싱(4)내에 데드 스페이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케이싱(4)내를 보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4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4)에는 제어 기판(10) 및 접속 기판(14)의 결합 부분에,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어 기판(10)이 설치되는 부분은 오목부(4b)로 되고, 또 접속 기판(14)이 설치되는 부분은 볼록부(4c)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기판(10) 및 접속 기판(14)이 각각의 두께에 따라서 요철의 크기를 조정하여 설정함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기판(10)의 상면과 접속 기판(14)의 상면을 대략 동일면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접속 기판(14)이 설치되는 볼록부(4c)의 높이를 자기 센서(13)와 접속 기판(14)의 배선을 대략 동일면에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4b) 및 볼록부(4c)에 의해 케이싱(4)에 기판의 높이를 대략 동일면으로 조정하는 평면 조정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어 기판(10)의 상면, 접속 기판(14)의 상면 및 자기 센서(13)를 대략 동일면으로 함으로써, 제어 기판(10)의 회로 단자와 접속 기판(14)의 회로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 및 자기 센서(13)와 접속 기판(14)의 배선과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목부(4b)와 볼록부(4c)와의 사이의 단부는 L차상으로 형성되어, 제어 기판(10)의 일부를 포위하는 제2 벽(4d)를 구성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1 벽(4a) 및 이 제2 벽(4d)과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와 제어 기판(10)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본 발명의 벽을 구성한다.
도3의 (b) 및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A/T 접속용 커넥터(8)는, 케이싱(4)에 설치된 커넥터 커버(8a)와, 이 커넥터 커버(8a)내를 통하여 접속 기판(14)에 접속되는 커넥터부(8b)로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부(8b)는 도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22개의 암커넥터를 갖고 있으며, 이들 암커넥터는 모두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5의 (a)에는 1개의 암커넥터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암커넥터(8c)는 커넥터 커버(8a)에 고정되는 커넥터 본체(8d)와, 이 커넥터 본체(8d)의 상단에 고정된 접속 단자(8e)와, 커넥터 본체(8d)에 고정된 도 전성 띠모양 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접점부(8f)와, 커넥터 본체(8d)에 제1 접점부(8f)와 소정 간격을 갖고 고정된 도전성 띠모양 판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접점부(8g)와, 접속 단자(8e)와 제1 접점부(8f)를 접속하는 도선(8h)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경우, 도선(8h)에는 U자상으로 만곡된 응력 흡수 완화부(8h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응력 흡수 완화부(8h1)는, 예를 들면 A/T의 열에 의한 열응력 등의 응력이 접속 단자(8e)에 가해졌을 때에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휘어져, 접속 단자(8e)를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변위시켜 응력을 흡수 완화함으로써, 응력 집중 등의 과대한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응력 흡수 완화부(8h1)를 포함하는 A/T 접속용 커넥터(8)의 전술한 구성은, 다른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 및 스피드 센서용 커넥터(22)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A/T 접속용 커넥터(8)는 시일(밀봉)성 향상을 위한, 수지제의 커넥터 커버(8a)가 볼트(24)로 게이싱(4)에 그 양측에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 기판(14)은 수지제의 커넥터 커버(8a)를 덮도록 설치되어, 볼트(25)로 케이싱(4)에 고정되는데, 그 밀봉재를 위해, 그 외의 회로 부분에서는 케이싱(4)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뜨게하여 설치되어 있다.
스피드 센서용 커넥터(22)는 A/T 케이스의 외면에 설치된 스피드 센서(도시 않음)와의 접속 커넥터이며, A/T 케이스내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A/T 접속용 커넥터(8)에 일괄하여 설치할 수 없으므로, A/T 접속용 커넥터(8)가 스피드 센서용 커넥터(22)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A/T 접속용 커넥터(8)는 도시하지 않은 A/T 케이스에 결합 고정된 숫 커넥터인 A/T측 커넥터(15)에 전기적, 직접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A/T측 커넥터(15)의 커넥터 커버(15a)가 A/T 접속용 커넥터(8)의 커넥터 커버(8a)에 밀봉되면서 끼움 결합하여 연결된다. 이 때, 도5의 (b)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A/T 측 커넥터(15)의 접속 단자(15b)가 암커넥터(8c)의 이 접속 단자(15b)에 대응하는 커넥터 본체(8d)의 삽입공(8i)을 관통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접점부(8f, 8g)와의 사이에 이들 제1 및 제2 접점부(8f, 8g)의 간극을 밀어 넓히면서 진입한다. 따라서, A/T측 커넥터 (15)의 접속 단자(15b)가 제1 및 제2 접점부(8f, 8g)에 끼워져 압력을 받아, A/T측 커넥터(15)의 접속 단자(15b)와 A/T 접속용 커넥터(8)의 접속 단자(8e)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A/T측 커넥터(15)에는 A/T 케이스내의 각종 센서류(16)의 배선 및 A/T 케이스내의 밸브 바디에 부가되어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류(17)의 배선을 각각 통합한 와이어 하네스(18)가 접속되어 있다.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는 케이싱(4)에 설치된 커넥터 커버(9a)와, 이 커넥터 커버(9a)내를 통하여 접속 기판(14)에 접속되는 커넥터부(9b)로 구성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커넥터부(9b)는 차량 시스템(3)에 접속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ECU 등으로부터 엔진 회전 수, 엔진 냉각수 온도 등의 차량의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 제1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A/T 접속용 커넥터(8) 및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를 접속 기판(14)에 의해서 ECU(5)와 접속하고 있으므로, 케이싱(4)내에 있어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양 커넥터(8), 차량 접속용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 및 ECU(5)를 자유롭게 레이아웃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자유롭게 레이아웃할 수 있으므로, ECU(1)의 배선 패턴, 회로 패턴을 A/T의 종류마다 재설계할 필요가 없고, 비용 상승을 방지함과 동시에, 범용성이 높아진다.
또한, 제어 기판(10)이 방열성이 높은 기판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어 기판(10)에 탑재된 소자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판(10)이 내열성이 높은 기판으로 이루어지므로, 소자의 열 및 엔진룸내의 열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기판(14)을 제어 기판(10)보다 저가로 함으로써, 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소자가 배치되는 제어 기판(10)에 보다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는 기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소자가 배치되는 제어 기판에만 세라믹 기판을 이용함으로써, 방열성 및 내열성을 모두 향상할 수 있도록 하면서, 비용 상승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기판(14)에 가요성을 갖는 기판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기판의 가 요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의 부품마다의 오차(부품의 제조 오차 또는 부품의 결합 오차 등)를 흡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예를 들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가 엔진룸 등의 극히 혹독한 열적 환경하에 있어, 그 열에 의해 접속 기판에 접속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커넥터부 중 적어도 한쪽이 신축하더라도, 기판재의 가요성에 의해 그 신축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기판(14)을 유리 에폭시 기판으로 구성했으므로, 접속 수단을 저가로 할 수 있으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의 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를 비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로 구성했기 때문에, 종래부터 이용되는 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에 비해, 각각의 시프트 위치마다 접점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비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이점으로서, 접점에 도포되는 그리스, 접촉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금속분 등의 발생이 없으므로, 제어 기판(10)에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12)의 자계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변위함으로써 자기 센서(13)의 출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므로, 시프트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센서(13)로부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부(7a)를 접속 기판 (14)에 접속하고 있으므로, 자기 센서(13)와 접속 기판을 간단히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판(10)과 접속 기판(14)이 제어 기판(10)이 배치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어 기판(10)과 접속 기판(14)과의 접속 부분을 얇게할 수 있어, 그 만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와 제어 기판(10)이 동일 평면상에 있어서 오버랩되어 있지 않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를 전체적으로 박형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를 다양한 위치에 탑재할 때에, 다른 기기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기판(10)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와 오버랩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어 기판 (10)의 교환이 용이하다.
또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와 제어 기판(10)이 제어 기판(10)의 배치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있지 않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을 전체적으로 박형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를 다양한 위치에 탑재할 때, 다른 기기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높이와 제어 기판(10)의 높이 및 접속 기판(14)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도, 평면 조정부를 구성하는 요철부(4, 4c)에 의해 각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이 높이 조정에 의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와 제어 기판(10) 및 접속 기판(14)을 동일 평면상에 배열할 수 있어, 접속 기판(14)에 의한 접속이 용이해진다.
또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와 제어 기판(10)와의 사이이 케이싱(4)에 벽(4a, 4d)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벽(4a ,4d)를 근간으로 하여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및 제어 기판(10)을 배치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벽(4a, 4d)에 의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및 제어 기판(10)의 케이싱(4)에 대한 수평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에서 발생하는 미세 먼지 등의 이물이 벽(4a, 4d)에 의해 차폐되므로, 이 같은 이물에 의한 제어 기판(10)으로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를 케이싱(4)의 바디부(4e)와 커버부(4f)에 의해 끼움 지지하고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케이싱(4)에 대한 수직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재를 별도 설치하지 않더라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를 케이싱(4)에 고정할 수 있고, 그 결과 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4e)와 커버부(4f)와의 사이의 밀봉을 동일 평면에서 수행하므로, 밀봉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밀봉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용이하게 밀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4의 (b)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를 제1 벽(4a)에 의해 케이싱(4)에 대해서 수평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접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케이싱(4)에 의해 기판에 대해서 수직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접착할 수 있다. 즉,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서로 직교하는 2방향으로부터의 접착에 의한 상승 효과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접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및 ECU(5)에 가공하기 쉬운 접속 기판(14)을 접속하고 있으므로, 접속 기판(14)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형상 또는 ECU(5)의 형상에 따라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및 ECU(5)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형상 또는 ECU(5)의 형상이 어떠한 형상이더라도 전기적 접속을 유연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기판(14)의 외형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단면 원형상으로 정합시킴으로써, 접속 기판(14)에 의해서 케이싱(4)내의 데드 스페이스(예를 들면, 도2에 있어서 A부분)를 보다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싱(4)내에 있어서 제어 기판(10) 및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가 배치되는 스페이스 이외의 스페이스를 접속 기판(14)에 의해서 거의 점유시키고 있으므로, 케이싱(4)내의 다른 데드 스페이스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판(10)보다도 가공하기 쉬운 접속 기판(14)으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또는 ECU(5)를 접속하고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또는 ECU(5)의 형상이 각각 어떠한 형상이더라도, 접속 기판(14)의 형상을 이들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또는 ECU(5)의 형상에 정합하도록 가공함으로써,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또는 ECU(5)와의 접속을 이들 형상에 따라서 보다 한층 유연하고 보다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판(10)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를 접속 기판(14)을 통하여 접속하고 있으므로, 접속 기판(14)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또는 제어 기판(10)에 이들 형상에 맞추어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싱(4)의 외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A/T 접속용 커넥터(8) 및 차량 시스템 접속용 접속용 커넥터(9)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및 ECU(5)와 일 체화하고, 또한 이들 커넥터(8, 9)를 접속 기판(14)을 통하여 제어 기판(10)에 접속하고 있으므로, 접속 기판(14)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ECU(5) 및 양 커넥터(8, 9)의 레이아웃에 대응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 레이아웃이 어떠한 것이더라도, 접속 기판(14)에 의해 ECU(5)와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및 양커넥터(8, 9)와의 전기적 접속을 보다 한층 유연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A/T 내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A/T 접속용 커넥터(8)와, A/T 외부의 차량 시스템(3)과 접속되는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를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ECU(5) 및 양 커넥터(8, 9)의 레이아웃에 대응한 접속 기판(14)에 의해, ECU(5)를 통한 A/T 내부의 전기 기기와 A/T 외부의 차량 시스템(3)과와 사이의 통신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고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기판(14)의 형상을 제어 기판(10)의 장방 형상으로 정합시키고 있으므로, 제어 기판(10)을 장방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발생하는 케이싱(4)내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와 제어 기판(10)을 접속하는 접속 기판, A/T 접속용 커넥터(8)와 제어 기판(10)을 접속하는 접속 기판, 및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와 제어 기판(10)을 접속하는 접속 기판을 공통의 단일 기판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 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기판(14)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출력 회로부(7a)에서의 단자수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접속 기판(14)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출력 회로부(7a)의 단자수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어, 이 출력 회로부(7a)의 단자수에 의해 발생하는 케이싱(4)내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단자(14a)에 대해서는, A/T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수와 센서수에 따라서 단자수가 증감하는데, 다양한 A/T에 대해서 범용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설계 단계에서 중첩부에 대해서 단자(14a)의 마진을 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기판(14)을 더욱이 A/T 접속용 커넥터(8) 및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각 단자수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접속 기판(14)을 이들 커넥터(8, 9)의 단자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이들 단자수에 의해 발생되는 케이싱(4)내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및 A/T 접속용 커넥터(8)를 장방 형상의 제어 기판(10)의 장변에 근접하여 배치하고, 또 제어 기판(10)의 단변에 근접하여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와 양 커넥터(8, 9)를 스페이스상,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1)를 갖는 제어 장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의 A/T(2)에 의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ECU(5) 및 양 커넥터(8, 9)의 각 형상이 어떠한 형상이더라도, 또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ECU(5) 및 양 커넥터(8,9)의 레이아웃이 어떠한 것이더라도, 전기적 접속을 유연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은 A/T(2)를 얻을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의 실시 형태의 제2 예를 나타내며, (a)는 그 평면도, (b)는 (a)에서의 ⅦB-ⅦB선에 따른 단면도이 다. 이하의 실시 형태의 각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보다 이전 예의 구성 요소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제1 예에서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가 비접촉식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이나, 도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2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는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로서 이용되고 있는 주지의 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를 구비한다(전술한 공개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도 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이다). 이 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는 소정수의 고정 접점(19)과, 이들 고정 접점(19) 중 몇개에 시프트 위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비접촉하는 가동 접점(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제2 예에서는 접속 기판(14)이 서로 다른 2매의 접속 기판(14d, 14e)으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한쪽 접속 기판(14d)에는 A/T 접속용 커넥터(8), ECU(5)의 회로 단자군(14a, 14c) 및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고정 접점(19)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 접속 기판(14e, 본발명의 제2 접속 기판에 상당)에는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 및 ECU(5)의 회로 단자(14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 접속 기판(14d)에는 고정 접점(19)과 회로 단자군(14a)의 단자를 접속하여, 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출력을 송출하는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출력 회로부(19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속 기판(14)에는 A/T 접속용 커넥터(8)와 ECU(5)의 제어 기판(10)과의 접속부(회로 단자군(10c)과 회로 단자군(14c)과의 접속부)가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측{(도7의 (a)에 있어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우측}에 서로 중첩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에 의하면, 종래부터 A/T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를 저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판(10) 및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를 접속하는 접속 기판(14d)과, 제어 기판(10) 및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를 접속하는 접속 기판(14e)을 달리하고 있으므로, 제어 기판(10)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전기적 접속 및 제어 기판(10)과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전기적 접속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ECU(5) 및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보다 한층 유연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A/T 접속용 커넥터(8)와 ECU(5)와의 접속부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측에 서로 중첩시키고 있으므로, 이 접속부와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접속부 연장 설치 방향{도7의 (a)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배치를 짧게할 수 있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를 보다 한층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 제2 예의 다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1 예와 실질적으로 같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3 예를 모식적이고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또한 도9는 제3 예의 제어 기판의 패드와 접속 기판 의 스루홀과의 접합부를 나타내며, (a)는 제어 기판과 접속기판의 접합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b)는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0은 회로 기판과 배선 기판과의 접합부를 나타내고, (a)는 도9의 (b)의 XA부의 확대도, (b)는 남땜한 상태를 나타내는 (a)와 같은 도면이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3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으로 이루어지는 접속 기판(14)을 구비한다. 이 접속 기판(14)은 절연성을 갖는 플렉시블 기판(14′)에 프린트되어 서로 절연되어 지지된 소정수의 도선(14f, 14g, 14h,…)으로 이루어진 회로 패턴과, 또한 이 회로 패턴의 각 도선(14f, 14g, 14h,…)의 일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전성을 갖는 소정 수의 커넥터측 스루홀(14i, 14j, 14k,…)과, 각 도선(14f, 14g, 14h,…)의 타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전성을 갖는 소정수의 제어 기판측 스루홀(14m, 14n, 14o,…)과, 각 제어 기판측 스루홀(14m, 14n, 14o,…)에 인접하여 각각 펀칭에 의해 천공 설치되어 있는 소정 수의 확인공(14p, 14q, 14r,…){제어 기판측 스루홀(14m, 14n, 14o,…) 및 확인공(14p, 14q, 14r,…)에 대해서는 도9의 (a)에 확대하여 나타낸다}을 갖고 있다.
그리고,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각 단자(9a, 9b, 9c,…)가 각각 대응하는 각 커넥터측 스루홀(14i, 14j, 14k,…)에 납땜으로 접합된다.
한편, 전술한 제1 및 제2 예에서는 접속 기판(14)와 제어 기판(10)이 제어 기판(10)의 배치면에 수직 방향{도8의 (b)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있지 않으나, 도8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3 예의 접속 기판(14)은 그 일부가 제어 기판(10)에 이 제어 기판(10)의 배치면에 수직 방향{도8의 (b)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버랩에 있어서, 각 제어 기판측 스루홀(14m, 14n, 14o,…)이 각각 제어 기판(10)의 대응하는 단자군(10b)의 각단자(10b1, 10b2, 10b3,…)에 위치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도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첩되어 접합된다.
그 경우, 도10의 (a)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확인공(14p, 14q, 14r,…)은 대응하는 단자(10b1, 10b2, 10b3,…)가 각각 노출되어 있다. 즉, 접속 기판(14)과 제어 기판(10)이 부분적으로 중첩되더라도, 확인공(14p, 14q, 14r,…)을 통하여 단자(10b1, 10b2, 10b3 ,…)가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9의 (b)에 나타낸 상태에서 각 제어 기판측 스루홀(14m, 14n, 14o,…)와 각 단자(10b1, 10b2, 10b3 ,…)가 제어 기판측 스루홀(14m, 14n, 14o,…)을 통하여 납땜으로 접합된다. 이 때,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확인공 (14p, 14q)의 경우와 같이, 땜납이 흘러나온 것을 확인하면 제어 기판측 스루홀(14p)의 이면까지 납땜이 충분히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확인공(14q, 14r)의 경우와 같이, 땜납이 흘러나오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제어 기판측 스루홀(14q)의 이면까지 납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이웃하는 납땜이 서로 접합되지 않은 것, 즉 납땜 브릿지가 발생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각 단자(9a, 9b, 9c,…)와 제어 기판(10)의 각 단자(10b1, 10b2, 10b3,…)가 접속 기판(14)의 회로 패턴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 제3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의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및 제2 예와 같다.
이와 같이, 이 제3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에 의하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속 기판(14)을 이용하여,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각 단자(9a, 9b, 9c,…) 및 제어 기판(10)의 각 단자(10b1 , 10b2, 10b3,…)와 접속 기판(14)의 스루홀(14i, 14j, 14k,…, 14m, 14n, 14o,…)을 각각 납땜하여 접합하고 있으므로, 큰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어, 접합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각 단자(9a, 9b, 9c,…)의 표면 상태 및 제어 기판(10)의 각 단자(10b1, 10b2, 10b3,…)의 표면 상태에서의, 예를 들면 표면으로의 오물 부착 방지, 표면의 산화 방지, 또는 표면 거칠기 등의 품질 관리를 와이어 본딩과 같이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각 단자(9a, 9b, 9c,…)와 제어 기판(10)의 각 단자(10b1 , 10b2, 10b3,…)의 전기적 접속 작업에 드는 노력을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자동 변속기와 전자 제어 장치가 엔진룸내의 엔진 진동과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진동 등에 의한 가혹한 환경하에 배치되더라도,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각 단자(9a, 9b, 9c,…)와 제어 기판(10)의 각 단자(10b1, 10b2, 10b3,…)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히 할 수 있으므로, 노력 삭감 및 비용 저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확인공(14p, 14q, 14r,…)에 의해 납땜이 충분히 이루어졌는지 어떤지, 즉 납땜의 양불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각 단자(9a, 9b, 9c,…) 및 제어 기판(10)의 각 단자(10b1, 10b2, 10b3,…)와 접속 기판(14)의 스루홀(14i, 14j, 14k,…, 14m, 14n, 14o,…)과의 접합 강도를 확실히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제어 장치가 전술한 가혹한 환경하에 배치되더라도,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각 단자(9a, 9b, 9c,…)와 제어 기판(10)의 각 단자(10b1, 10b2, 10b3,…)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스루홀을 형성하는 펀칭부에 땜납이 유입되므로, 인접하는 접합부 사이에서 땜납끼리 서로 직접 접촉하기 어렵고, 땜납 브릿지의 발생이 억제되어 인접하는 접합부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
이 제3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의 다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제1 및 제2 예와 같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4 예를 모식적이고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a)는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9의 (a)와 같은 도 면, (b)는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9의 (b)와 같은 도면, (c)는 납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10의 (b)와 같은 도면이다.
전술한 제3 예에서는 접속 기판(14)에 소정수의 제어 기판측 스루홀(14m, 14n, 14o,…)을 형성하여, 이들 제어 기판측 스루홀(14m, 14n, 14o,…)과 제어 기판(10)의 각 단자(10b1, 10b2, 10b3,…)를 전기적으로 접합했으나,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4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에서는 접속 기판(14)의 도선(14f, 14g, 14h,…)을 각각 플렉시블 기판(14′)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하여 돌출시켜, 이들 돌출부에 각각 소정수(도시 예에서는 4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속 기판(14)의 도선수만큼 설치할 수 있다)의 단자(14f1, 14g1, 14h1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기판(14)의 각 단자(14f1, 14g1, 14h1,…)와 대응하는 제어 기판(10)의 각 단자(10b1, 10b 2, 10b3,…)를 위치 일치시켜, 도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기판(14)과 제어 기판(10)을 맞붙인다. 또한, 도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자(14f1, 14g1, 14h1,…)와 대응하는 제어 기판(10)의 각 단자(10b1, 10b2, 10b3,…)를 각각 납땜하여 서로 접합한다.
이 제4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의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3 예와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4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각 단자(14f1, 14g1, 14h1,…)를 전술한 스루홀에 비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납땜을 직접 단자에 실시함과 동시에, 단자끼리 면접촉시키고 있으므로, 각 단자의 접합 강도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 제4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의 다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제3 예와 같다.
또한, 커넥터측에 있어서도 스루홀을 대신하여, 전술한 각 단자(14f1, 14g1, 14h1,…)와 같은 단자를 이용하여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의 각 단자(9a, 9b, 9c,…)와 접합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5 예를 모식적이고 부분적으로 나타내며, (a)는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11의 (a)와 같은 도면, (b)는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합 상태를 나타낸 도11의 (b)와 같은 도면, (c)는 납땜한 상태를 나타낸 도11의 (c)와 같은 도면이다.
전술한 제3 예에서는 접속 기판(14)에 소정수의 제어 기판측 스루홀(14m, 14n, 14o,…)을 형성하여, 이들 제어 기판측 스루홀(14m, 14n, 14o,…)과 제어 기판(10)의 각 단자(10b1, 10b2, 10b3,…)를 전기적으로 접합했으나,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5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에서는 접속 기판(14)에 제어 기판측 스루홀(14m, 14n, 14o,…)을 대신하여 소정수(도시 예에서는 두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수로 형성할 수 있다)의 랜드(14s, 14t)를 형성했으며, 이들 랜드(14s, 14t)에는 펀칭에 의한 스루홀(본 발명의 펀칭부에 상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기판(10)의 각 단자(10b1, 10b2)에는 소정수(랜드(14s, 14t)의 수와 동수)의 핀(10b11, 10b21)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기판(14)의 각 랜드(14s, 14t)와 대응하는 제어 기판(10)의 각 핀(10b11, 10b21)을 위치 정합하여, 도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랜드(14s, 14t)의 스루홀에 대응하는 각 핀(10b11, 10b21 )을 관통시켜, 접속 기판(14)과 제어 기판(10)을 맞붙인다. 또한, 도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랜드(14s, 14t)와 대응하는 제어 기판(10)의 각 핀(10b11, 10b21) 및 각 랜드(14s, 14t)를 각각 납땜하여 서로 접합한다.
이 제5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의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3 예와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5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에 의하면, 랜드(14s, 14t)의 스루홀에 핀(10b11, 10b21)을 각각 관통시킨 상태에서 납땜을 실시하므로, 각 랜드(14s, 14t)와 각 단자(10b1, 10b2)를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이 제5 예의 ECU(1)의 다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제3 예와 같다.
또한, 랜드(14s, 14t)를 형성하지 않고, 단지 도전성 스루홀만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측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랜드(14s, 14t)와 같은 랜드를 접속 기판(14)에 형성함과 동시에, 전술한 각 핀(10b11, 10b21)과 같은 핀을 커넥터에 형성하여, 이들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이 제5 예에도 전술한 제3 예의 확인공(14p, 14q)와 같은 확인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6 예를 모식적이고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a)는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11의 (a)와 같은 도면, (b)는 제어 기판과 접속 기판의 접합 상태를 나타낸 도11의 (b)와 같은 도면, (c)는 납땜한 상태를 나타낸 도11의 (c)와 같은 도면이다.
전술한 제3 예에서는 접속 기판(14)에 소정수의 제어 기판측 스루홀(14m, 14n, 14o,…)을 각각 전주 형성했으나,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6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에서는 이들 제어 기판측 스루홀(14m, 14n(도시 예에서는 제어 기판측 스루홀(14m, 14n)은 2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수 형성할 수 있다))가 반원상으로 절반 잘려져 있다. 즉, 접속 기판(14)의 가장 자리에는 도전성의 반원상의 오목부(14m′, 14n′)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4m′, 14n′)는 반원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소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스루홀의 일부를 절취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기판(14)의 각 오목부(14m′, 14n′)와 대응하는 제어 기판(10)의 각 단자(10b1, 10b2)를 위치 정합하여, 도13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기판(14)와 제어 기판(10)을 맞붙인다. 또한, 도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오목부(14m′, 14n′)와 대응하는 제어 기판(10)의 각 단자(10b1, 10b2)와 각각 납땜하여 서로 접합한다.
이 제6 예의 ECU(1)의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3 예와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6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에 의하면, 각 오목부(14m′, 14n′)와 각 단자(10b1, 10b2)를 각각 납땜함으로써, 각 오목부(14m′, 14n′)의 땜납이 서로 섞이게 되므로, 각 오목부(14m′, 14n′)와 각 단자(10b1, 10b2)를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스루홀을 해프 컷하여 각 오목부(14m′, 14n′)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14m′, 14n′)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이 제6 예의 ECU(1)의 다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제3 예와 같다.
또한, 커넥터측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오목부(14m′, 14n′)와 같은 오목부를 접속 기판(14)에 형성하고, 이를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접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제6 예에도 전술한 제3 예의 확인공(14p, 14q)과 같은 확인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14는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의 실시 형태의 제7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전술한 제1 예에서는 제어 기판(10)과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와의 사이에 접속 기판(14)을 배치하고 있으나,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7 예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는 접속 기판(14)가 생략되어 있으며, 제어 기판(10)이 제1 예의 접속 기판(14)의 배치 부분에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기판(10)은, 예를 들면, 방열성 및 내열성이 높은 유리포 에폭시 기판 등의 가공하기 쉬운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기판(10)의 형상의 일부 α가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외형의 일부 β로 정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싱(4) 내부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배치 부분 이외의 대략 전면을 점유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싱(4) 내부가 제1 예와 마찬가지로 데드 스페이스를 없애 유효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 제7 예에서는 제어 기판(10)에 특히 방열성 및 내열성이 높은 유리포 에폭시 기판을 이용함으로써, 세라믹 기판 등보다도 저가이며,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기판(14)을 생략했으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7 예의 다른 구성 및 다른 작용 효과는 제1 예와 실질적으로 같다.
또한, 전술한 제1 및 제2 예에서는 모두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ECU(5) 및 커넥터부(A/T 접속용 커넥터(8),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가 일체화되는 것으로 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 및 ECU(5) 제어 장치가 일체화되어 있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및 제2 예에서는 접속 기판(14)이 제어 기판(10)의 형상 및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단면 형상 모두에 정합되어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적어도 이들 형상 중 어느 한쪽에 접속 기판(14)의 형상이 정합되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그 경우, 접속 기판(14)을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출력 회로부(7a)의 복수의 단자수에 따른 형상으로 정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2 예에서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와 제어 기판(10)을 접속하는 접속 기판과, A/T 접속용 커넥터(8)와 제어 기판(10)을 접속하는 접속 기판이 공통의 하나의 접속 기판(14d)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들 접속 기판은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요약하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와 제어 기판(10)을 접속하는 접속 기판과, A/T 접속용 커넥터(8)와 제어 기판(10)을 접속하는 접속 기판과, 차량 시스템 접속용 커넥터(9)와 제어 기판(10)을 접속하는 접속 기판을, 모두 따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들 접속 기판중 적어도 2개의 접속 기판을 공통의 단일 기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접속 기판을 공통의 단일 기판으로 구성하여, 접속 기판을 공통화함으로써, 접속 기판의 수를 삭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예를 들면 접속 기판을 볼트로 케이싱(4)에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볼트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전혀 반대로, 접속 기판을 수율 억제를 위해, 분할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예에서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가 단면 원형상으로 형 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출력 회로부(7a)가 도시되지 않은 돌출부를 갖고,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단면 형상이 이 돌출부를 포함하여,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지는 타원 형상 또는 거의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경우 장축과 제어 기판(10)의 장변이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돌출부를 포함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단면 형상의 장축과 제어 기판(10)의 장변이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하게 되므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와 ECU(5)를 스페이스상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를 보다 효과적으로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적인 접합 수단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납땜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적절한 전기적 접합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납땜이 간단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 기판(14)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한정되지 않고, 도전성 회로 패턴을 갖는, 예를 들면 전술한 유리 에폭시 기판 등의 다른 어떠한 기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3 예 내지 제6 예에서는 모두 접속 기판(14)이 제어 기판(10)에 대략 동일 평면내에서 이 제어 기판(10)의 배치면에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있으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의 출력 회로부(7a, 19a)와 접속 기판(14)을 제3 예 내지 제6 예와 같은 방법으로 대략 동일 평면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출력 회로부(7a, 19a)와 접속 기판(14)에 있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예에서는 본 발명은 A/T에 적용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1)는 전술한 다른 파워트레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변위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7)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터 등의 가동자의 회전 운동으로부터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슬라이더 등의 직선 운동으로부터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전자 제어 장치 및 커넥터부 중 적어도 하나가 자유롭게 레이아웃 가능하며, 또는 제어 장치의 기판이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형상에 간단하고 유연하게 대응가능하며, 또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제어 장치 및 커넥터부의 각 형상의 적어도 하나에 간단하고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는 탑재되는 파워트레인에 맞추어 간단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9)

  1.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변위하는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적어도 차량의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트레인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과, 외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부를 구비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접속 기판에 의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상기 커넥터부의 적어도 한쪽과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복수의 소자가 배치된 제어 기판을 갖고,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는 상기 접속 기판을 통하여 상기 제어 기판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접속 기판보다 방열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접속 기판보다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를 갖는 제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제어 기판보다 가격이 저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은 세라믹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판은 가요성을 갖는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판은 유리포 에폭시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는 비접촉식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의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는, 매뉴얼 샤프트에 설치되며, 발생하는 자계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변화하는 자계 발생 수단과, 그 변위하는 자계에 대해서 출력이 변화하는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부를 갖고, 그 출력 회로부와 상기 접속 기판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회로부와 상기 접속 기판이 동일 평면상에 있어서 오버랩하는 오버랩부를 갖고, 그 오버랩부에서 상기 출력 회로부와 상기 접속 기판이 납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는 매뉴얼 샤프트에 설치되고,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이동하는 가동 접점과 고정대에 설치된 고정 접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이 접촉 또는 비접촉이 됨으로써,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부를 갖고, 그 출력 회로부와 상기 접속 기판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회로부와 상기 접속 기판이 동일 평면상에 있어서 오버랩하는 오버랩부를 갖고, 그 오버랩부에서 상기 출력 회로부와 상기 접속 기판이 납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제어 기판의 배치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하는 오버랩부를 갖고, 그 오버랩부에서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접속 기판이 납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제어 기판의 배치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18. 제2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제어 기판은, 동일 평면상에 있어서 오버랩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제어 기판의 배치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제어 기판이 케이싱에 수용되며,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접속 기판과의 높이 조정 및 상기 접속 기판과 상기 제어 기판과의 높이 조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평면 조정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상기 제어 기판이 각각 설치되는 부분에 요철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제어 기판과의 사이에 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를 갖는 제어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포위하는 제1 벽과, 상기 제어 기판을 포위하는 제2 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바디부와 커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는 바디부와 커버부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커버부와의 사이가 밀봉되어 있고, 그 밀봉은 동일 평면에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는 상기 케이싱과 상기 제1 벽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운전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시프트 장치의, 그 조작에 따라서 변위하는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적어도 차량의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트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소자를 배열한 제어 기판을 구비한 전자 제어 유닛이 일체화되고, 케이싱에 수납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그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형상으로 정합된 접속 기판에 접속되어 있거나, 및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이 그 전자 제어 유닛의 형상으로 정합된 접속 기판에 접속되어 있거나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는 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의 단면 원형상이며,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단면 원형상으로 정합된 곡면을 갖는 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35. 운전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시프트 장치의, 그 조작에 따라서 변위하는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적어도 차량의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트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소자를 배열한 제어 기판을 구비한 전자 제어 유닛이 일체화되고, 케이싱에 수납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또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이 접속 기판에 접속되며,
    상기 케이싱 내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 및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배치되는 스페이스 이외의 스페이스가 상기 접속 기판에 의해서 점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변위하는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적어도 차량의 주행 상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트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소자를 배열한 제어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제어 유닛이 일체화되고, 케이싱에 수납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부를 갖고, 상기 제어 기판의 1변에 근접하여,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커넥터부가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은 사각형의 세라믹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파워트레인 내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제1 커넥터부와, 파워트레인 외부의 차량 시스템과 접속되는 제2 커넥터부를 갖고, 상기 사각형의 1변에 근접하여,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제1 커넥터부 및 상기 제2 커넥터부 중 어느 한쪽이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부 및 상기 제2 커넥터부 중 어느 다른쪽이 상기 사각형의 다른 1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51.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가 상기 접속 기판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제어 기판을 접속하는 제1 접속 기판과,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어 기판을 접속하는 제2 접속 기판과, 상기 제2 커넥터부와 상기 제어 기판을 접속하는 제3 접속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접속 기판 중 적어도 2개의 접속 기판이 공통의 단일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출력부의 단자수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제1 커넥터부 및 상기 제2 커넥터부 중 적어도 한쪽 단자수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55. 제53항 또는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의 사각형은 장방형이며, 상기 장방형의 장변과 근접하여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 및 상기 제1 커넥터부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장방형의 단변에 근접하여 상기 제2 커넥터부가 배치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의 접속부가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측으로 서로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있으며, 그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의 단면 형상이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지는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장축과 상기 제어 기판의 장변이 평행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5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외부의 전기 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부는, 응력 흡수 완화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59. 제1항에 기재된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트레인.
KR1020037016935A 2002-03-27 2003-03-27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파워트레인 KR100807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90012 2002-03-27
JPJP-P-2002-00090011 2002-03-27
JP2002090011 2002-03-27
JPJP-P-2002-00090012 2002-03-27
PCT/JP2003/003865 WO2003081087A1 (fr) 2002-03-27 2003-03-27 Dispositif de commande comprenant un detecteur de changement de position et groupe motopropulseur associe audit dispositif de command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780A Division KR20070122582A (ko) 2002-03-27 2003-03-27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파워트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530A KR20040108530A (ko) 2004-12-24
KR100807492B1 true KR100807492B1 (ko) 2008-02-25

Family

ID=2845631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353A KR20080048091A (ko) 2002-03-27 2003-03-27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파워트레인
KR1020087027513A KR100914373B1 (ko) 2002-03-27 2003-03-27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워트레인
KR1020077028780A KR20070122582A (ko) 2002-03-27 2003-03-27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파워트레인
KR1020037016935A KR100807492B1 (ko) 2002-03-27 2003-03-27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파워트레인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353A KR20080048091A (ko) 2002-03-27 2003-03-27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파워트레인
KR1020087027513A KR100914373B1 (ko) 2002-03-27 2003-03-27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워트레인
KR1020077028780A KR20070122582A (ko) 2002-03-27 2003-03-27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파워트레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78419B2 (ko)
EP (4) EP2256374A3 (ko)
JP (3) JP4273325B2 (ko)
KR (4) KR20080048091A (ko)
CN (1) CN100425884C (ko)
AU (1) AU2003220823A1 (ko)
DE (1) DE60329908D1 (ko)
WO (1) WO2003081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0926B4 (de) * 2005-05-04 2007-01-18 Siemens Ag Steuergerät für ein Kraftfahrzeuggetriebe
ATE528549T1 (de) * 2004-09-16 2011-10-1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euergerät für ein kraftfahrzeuggetriebe
JP2008537772A (ja) * 2005-04-15 2008-09-25 コンティ テミック 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ッ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制御装置
CN100400936C (zh) * 2006-05-29 2008-07-09 长沙航空工业中南传动机械厂 机械自动变速器换档执行机构
US7539571B2 (en) * 2006-06-05 2009-05-26 Cnh America Llc Non-contact neutral sensing with directional feedback
DE102006047187B3 (de) * 2006-10-05 2008-04-10 Siemens Ag Steuervorrichtung
DE102007014354A1 (de) 2007-03-26 2008-10-02 Robert Bosch Gmbh Steuergerät eines automatischen Getriebes mit einer Wählhebelstellungs-Detektoreinrichtung
DE102007032139A1 (de) 2007-06-30 2009-01-02 Robert Bosch Gmbh Steuervorrichtung mit Positionssensor
KR100857076B1 (ko) * 2007-08-08 2008-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제어장치
JP2009083573A (ja) * 2007-09-28 2009-04-23 Aisin Aw Co Ltd 電気装置収納ユニット
CN101680538A (zh) * 2007-09-28 2010-03-24 爱信艾达株式会社 自动变速器控制单元
JP2009154564A (ja) * 2007-12-25 2009-07-16 Fujikura Ltd レバーシャフトポジション検出装置
US7767920B1 (en) * 2009-03-04 2010-08-03 Niles America Wintech, Inc. Switch and welding method of same
FR2960378B1 (fr) * 2010-05-21 2014-11-21 Valeo Vision Assemblage d'au moins deux cartes electriques
JP5459090B2 (ja) * 2010-06-14 2014-04-02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DE102011088037A1 (de) * 2011-12-08 2013-06-13 Robert Bosch Gmbh Anordnung eines Elektronikmoduls zwischen Getrieberaum und Motorraum
JP5863106B2 (ja) * 2012-01-27 2016-02-16 ミネベア株式会社 モーター制御装置
DE102012206783A1 (de) * 2012-04-25 2013-10-31 Zf Friedrichshafen Ag Steuergerät, Zusatzsteuergerät sowie Steuersystem für ein Getriebe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m Zusammensetzen eines Steuersystems für ein Getriebe eines Fahrzeugs
CN104633077A (zh) * 2013-11-12 2015-05-20 陕西国力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amt系统的选档主核控制cpu
CN104132808B (zh) * 2014-07-15 2016-08-24 重庆山青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换挡换位组件检测装置
CN107110341B (zh) 2015-01-14 2019-04-19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电子控制装置
CN106321819B (zh) * 2015-06-25 2018-06-0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位置传感器及位置感测系统
DE102015219571A1 (de) * 2015-10-09 2017-04-13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Sensordom-Anordnung
WO2019065423A1 (ja) * 2017-09-29 2019-04-0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CN108072342B (zh) * 2017-11-23 2020-06-09 无锡合壮智慧交通有限公司 一种手动挡机动车档位的自动检测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688A (ko) * 1996-11-19 1998-08-05 모리 하루오 위치검출장치
KR19980042227A (ko) * 1997-11-08 1998-08-17 모리하루오 자동변속기용 위치검출스위치 일체형 전자제어유닛
KR20010089237A (ko) * 2000-03-10 2001-09-29 스즈키 다케토시 인히비터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9795A (ja) 1984-12-29 1986-07-19 マスプロ電工株式会社 電子機器
US4790204A (en) * 1987-07-16 1988-12-13 Automotive Products, Plc Electric shift apparatus
JPH023741A (ja) * 1988-06-20 1990-01-09 Jatco Corp 電子制御式自動変速機
US5042133A (en) * 1989-03-15 1991-08-27 Automotive Products (Usa) Inc. Testing method for electric shift control apparatus
US5064975A (en) * 1990-09-10 1991-11-12 Caterpillar Inc. Electrical transmission control mechanism
US5161422A (en) * 1991-07-12 1992-11-10 Prince Corporation Universal control for electrically controlled vehicle transmission
US5101677A (en) * 1991-07-29 1992-04-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mounted range selector
JPH0595175A (ja) 1991-10-01 1993-04-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ト基板の配線装置
JPH0851019A (ja) 1994-08-08 1996-02-20 Nok Corp 電装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JPH08289505A (ja) * 1995-04-17 1996-11-01 Mitsubishi Electric Corp 制御装置内蔵形電動機
JP3601170B2 (ja) 1995-04-19 2004-12-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の操舵制御装置
DE19515622C2 (de) * 1995-04-28 2000-06-08 Telefunken Microelectron Steuermodul von Kraftfahrzeugen
JPH08320064A (ja) * 1995-05-25 1996-12-03 Aisin Aw Co Ltd 位置検出装置
JPH0976785A (ja) * 1995-09-18 1997-03-25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3802591B2 (ja) * 1995-09-18 2006-07-2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KR100433040B1 (ko) * 1995-09-18 2004-08-09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US5847344A (en) * 1996-07-08 1998-12-0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Position sensor for transmission gear selector switch
US5823071A (en) * 1996-10-31 1998-10-20 Borg-Warner Automotive, Inc. Integrated transmission control system
JP3478029B2 (ja) * 1996-11-22 2003-12-1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位置検出スイッチ一体型電子制御ユニット
JP3470532B2 (ja) * 1996-11-29 2003-11-2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ニュートラルスタートスイッチ一体型電子制御ユニット
EP0845620B1 (en) * 1996-11-29 2007-01-10 Aisin Aw Co., Ltd. Shift selector with electronic unit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3616980B2 (ja) * 1997-04-22 2005-02-02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制御ユニット
JPH10315797A (ja) * 1997-05-15 1998-12-02 Hitachi Ltd 自動変速機用制御装置及び自動変速機
JPH1131890A (ja) 1997-07-10 1999-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路基板
DE19745537B4 (de) * 1997-10-15 2006-04-20 Siemens Ag Elektronisches Steuergerät zur Unterbringung in einem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
JP3269449B2 (ja) * 1998-02-24 2002-03-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スバーインサート樹脂板
JP2000052895A (ja) * 1998-08-07 2000-02-22 Anden 車両用負荷制御装置
US6144273A (en) 1998-08-31 2000-11-07 Niles Parts Co., Ltd. Inhibitor switch having magnetic contact portion
JP3248880B2 (ja) * 1998-08-31 2002-01-21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インヒビタスイッチ
JP3456426B2 (ja) * 1998-11-24 2003-10-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制御ユニット
JP3038656B1 (ja) * 1998-12-16 2000-05-08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インヒビタスイッチ
JP3767844B2 (ja) * 1999-04-30 2006-04-19 株式会社リコー 機能拡張用制御装置
KR100316883B1 (ko) * 1999-05-10 2001-12-22 이계안 전자 공압식 변속장치의 변속 충격 저감 제어방법
JP2001135202A (ja) * 1999-10-29 2001-05-18 Denso Corp プリント基板の装着機構
JP2001214773A (ja) 2000-02-01 2001-08-10 Toyota Motor Corp 触媒保護装置
JP2001214776A (ja) * 2000-02-03 2001-08-10 Hitachi Ltd 自動車用制御装置
JP3899873B2 (ja) * 2000-09-27 2007-03-2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電子制御ユニット付自動変速機
JP3799270B2 (ja) * 2001-12-21 2006-07-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の駆動状態を切り換える為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688A (ko) * 1996-11-19 1998-08-05 모리 하루오 위치검출장치
KR19980042227A (ko) * 1997-11-08 1998-08-17 모리하루오 자동변속기용 위치검출스위치 일체형 전자제어유닛
KR20010089237A (ko) * 2000-03-10 2001-09-29 스즈키 다케토시 인히비터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6374A2 (en) 2010-12-01
JP2009074698A (ja) 2009-04-09
JP4273325B2 (ja) 2009-06-03
EP2006579B1 (en) 2014-12-17
US20050028624A1 (en) 2005-02-10
KR20080106480A (ko) 2008-12-05
DE60329908D1 (ko) 2009-12-17
EP1489339A4 (en) 2006-08-09
JPWO2003081087A1 (ja) 2005-08-25
EP1489339A1 (en) 2004-12-22
AU2003220823A1 (en) 2003-10-08
KR20040108530A (ko) 2004-12-24
KR100914373B1 (ko) 2009-08-28
EP1489339B1 (en) 2009-11-04
US7178419B2 (en) 2007-02-20
JP4998751B2 (ja) 2012-08-15
WO2003081087A1 (fr) 2003-10-02
CN1554001A (zh) 2004-12-08
CN100425884C (zh) 2008-10-15
EP2017500A3 (en) 2009-10-14
KR20080048091A (ko) 2008-05-30
KR20070122582A (ko) 2007-12-31
JP2009074699A (ja) 2009-04-09
EP2006579A2 (en) 2008-12-24
JP4973884B2 (ja) 2012-07-11
EP2006579A3 (en) 2009-10-14
EP2256374A3 (en) 2014-01-08
EP2017500A2 (en)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492B1 (ko) 시프트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파워트레인
US7679914B2 (en) Electronic controller
US7621367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5355161B2 (ja) 変速機用油圧制御装置
US6892699B2 (en) Throttle body and air intake equipmen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080575B2 (en) Mechatronic transmission control
EP1353066A2 (en)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6086296A (ja) 電子制御装置
JP6450853B2 (ja) 電子装置
JP2001073829A (ja) エンジン一体型制御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回路体
JP3849477B2 (ja) 自動変速機のコネクタシール装置
JP2001267022A (ja) 電子制御装置
JP7469969B2 (ja) パワーモジュール
WO2023127079A1 (ja) 電子制御装置
JP6698563B2 (ja) 電子制御装置
JP6508004B2 (ja) 車両用電子装置
US10314169B2 (en) Electronic device
WO2021180660A1 (en) Power module
JP2007116015A (ja) 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