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040B1 -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040B1
KR100433040B1 KR1019960033672A KR19960033672A KR100433040B1 KR 100433040 B1 KR100433040 B1 KR 100433040B1 KR 1019960033672 A KR1019960033672 A KR 1019960033672A KR 19960033672 A KR19960033672 A KR 19960033672A KR 100433040 B1 KR100433040 B1 KR 100433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ntrol
control unit
case
cov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147A (ko
Inventor
다카오 다니구치
노부아키 미키
다케노리 카노
도시야 모리시타
나오토 오가와와라
나오타카 무라카미
켄 키야마
Original Assignee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196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4779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6196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025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6197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7678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6196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76778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1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2Application transmission, e.g. for sensing the position of a gear selector or automa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스위치부와 전자제어장치를 완전하게 분리시키면서, 위치검출장치와 전자제어장치를 콤펙트하게 일체화한다.
전자제어장치와 위치검출장치를 케이스(10) 내의 별도의 실(室)에 떨어져 간격을 두게 배치하고 위치검출장치의 가동부재(40) 양측에 스위치부(SW1), (SW2)를 분할배치해서 장치를 콤펙트화한다. 또, 전자제어장치기판(50)에 들여놓을 필요가 있는 신호계의 회로와 그럴 필요가 없는 동력계(스터모터시동 및 리버슬램프점등)의 회로를 가동부재(40)를 끼우고 양면으로 나누고, 각각 케이스(10)측과 커버(20)측에 독립시켜 동력계의 회로를 신호계의 회로 및 전자제어장치로부터 완전하게 떨어져 간격을 두게 하여 전기적인 영향도 차단한다.

Description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와 운전자의 선택적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레인지(Range)위치를 검출해서 전자제어장치에 출력하는 위치검출장치를 일체화한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변속기는 그 본체 내에 조립된 유압제어장치를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제어해서 운전조작에 의해 선택된 레인지 내에서 자동적으로 변속을 행하는구성으로 되어 있고, 자동변속기 본체와 전자제어장치는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떨어져 탑재되어 있었다.
이러한 양측 장치는 단체부품으로서 각각 충분한 품질관리가 행해지나, 양자는 최종적으로 연결되었을 때에 소기의 성능을 발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접속 상태로서의 품질관리도 또 필요하다.
그런데, 자동변속기 본체와 전자제어장치의 접속은 차량탑재시에 행해지므로 그 시점까지 조립될 자동변속기 본체와 전자제어장치를 1 대 1의 대응관계로 특정한 관리를 행할 수가 없고, 차량으로의 탑재후에 양자를 정합(整合)시키기 위한 조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하여, 자동변속기의 총합적인 품질관리는 공정수를 필요로 하는 곤란한 것이었다.
그래서, 자동변속기 본체와 전자제어장치를 일체화하고 차량탑재 전에 양자를 1 대 1의 대응관계로 하여 품질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시험도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예로서 일본국 특허 평5-70023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에서는 차량운전자의 선택적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레인지위치를 전기신호로써 전자제어장치에 출력하기 위해서 종래로부터 자동변속기 케이싱에 장착된 뉴트럴 스타트 스위치의 케이스 내에 전자제어장치를 조립하므로써 자동변속기 본체와 전자제어장치를 일체화하고 있다.
그런데, 자동변속기가 배치되는 차량의 엔진룸 내에는, 엔진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기구가 근접해서 아주 많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자동변속기의 케이싱 외부에 대형의 부품을 장착하면 다른 기구와 간섭하고 만다.
따라서, 다른 기구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자동변속기의 케이싱 외부에 부착되는 부품은 콤펙트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위치검출장치의 케이싱 내에 전자제어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엔진룸 내의 스페이스에 관한 상기 과제에 대해서 각별한 고려를 행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전자제어장치와 위치검출장치를 일체화하는데 있어서 장치를 전체적으로 콤펙트(Compact)하게 구성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 전자제어장치는 그 기판상에 전류의 흐름 등에 의해 발열하는 각 소자가 배치된 것이다.
그리고, 각 소자는 각각 발열량이 다르므로 발열체로서 작용하는 각 소자로부터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없으면, 특정의 소자주변이 고온으로 되면서 그 기능이 저하되어 전자제어장치 전체로서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우려된다.
한편, 뉴트럴 스타트 스위치는, 상기와 같이 자동변속기의 케이싱 외부에 부착되는 것이므로 전자제어장치의 냉각을 행하기 위하여 뉴트럴 스타트 스위치의 케이스에 큰 팬을 설치할 경우, 장치의 사이즈가 커져서 상기와 같은 과제가 생기고 만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장치의 콤펙트화를 꾀하면서 전자제어장치기판상의 각 소자의 냉각을 유효하게 행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시프트레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장치와, 차량주행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가 일체화되고 자동변속기 케이싱에 장착가능하게 된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장치(NSW)가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에 고착된 제 1 커버(20)와,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제 1 커버(20)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제 1 공간(S1) 내에, 운전자의 시프트레버조작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설된 가동부재(41)와, 상기 가동부재(41)와 이 제 1 커버(2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시프트레버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 1 커버(20)에 설치된 소정의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1 스위치부(SW1)와, 상기 가동부재(41)와 상기 케이스(10)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시프트레버의 위치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스위치부(SW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자제어장치(ECU)는 상기 케이스(10)와 그 케이스(10)에 고착된 제 2 커버(30)와,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제 2 커버(30)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 2 공간(S2) 내에 있어서, 다수의 소자를 배열하고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된 전자제어장치 기판(5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위치부(SW1)에 의해 접속되는 회로는, 상기 제 1 커버(20)에 일체화된 접속선(24)을 통해서 상기 제 1 커버(2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넥터(22)의 단자(28)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스위치부(SW2)는 상기 케이스(10)에 일체화된 접속선(17)을 통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기판(50)에 접속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검출장치와 전자제어장치가 일체화된 장치에 있어서,위치검출장치에 관해서 그 스위치부가 가동부재의 양면을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동부재의 편면(片面)만을 사용해서 스위치부를 구성할 경우에 비해 위치검출장치는 콤펙트한 것이 되고, 이로 인해,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전체도 콤펙트한 것이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스위치부가 가동부재의 양면을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이용해서, 그 한편의 제 1 스위치부를 시프트레버가 소정 위치에 있을 때에 소정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위치부로 하고, 다른 한편의 제 2 스위치부를 시프트레버의 위치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로 하는 분배가 가능해지므로, 그에 따라 전자제어장치와 신호전달상 관계가 없는 상기 회로를 독립된 회로로서 케이스와는 별체의 제1 커버에 일체화시키고, 신호의 전달을 필요로 하는 제 2 스위치부와 전자제어장치 기판을 케이스에, 그것도 케이스와 일체화시킨 접속선으로 접속해서 배설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로와 제 1 스위치부 및 전자제어장치와 제 2 스위치부 모두, 케이스 및 제 1 커버에 걸친 결선(結線)이나 접점의 접합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연결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가공공수를 필요로 하는 결선(結線)작업을 삭감하고, 결선불량이나 접촉불량의 발생을 회피하고, 그리고 장치의 분해·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 에 기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스위치부에 의해 접속되는 회로에 흐르는 대전류가 제 2 스위치부 및 그에 접속된 전자제어장치에 흐르는 전류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어져 전자제어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전자제어장치기판이 위치검출장치의 가동부재의 회전궤도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중합하는 오버랩부를 가지고, 전자제어장치기판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소자중에,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것은 오버랩부에 배치되고, 또 상대적으로 키가 큰 것은 오버랩부 이외의 기판상에 배치되므로, 키가 작은 소자가 배치된 오버랩부를 가동부재에 근접배치하므로써, 가동부재의 회동궤도면과 전자제어장치기판의 판면과의 간격을 작게 하고, 어셈블리(Assembly)로서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콤펙트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변속기 본체로의 외부부착 부품으로서, 엔진룸에 있어서 다른 기기와의 간섭으로 인한 제약을 받지 않는 장치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전자제어장치기판의 양면에 소자를 배치하므로써 기판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장치를 전체적으로 더욱 콤펙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위치검출장치의 고정접점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전자제어장치기판이 열전도성에 뛰어난 재질로 형성되고, 고정 접점과 전자제어장치기판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선이 전열선의 역할도 겸하므로, 전자제어장치기판상의 각 소자로부터 발생한 열이 기판전체에 퍼져 접속선을 통해서 고정접점으로 도달하고, 시프트 위치검출장치측에서 고정접점을 히트싱크로 하는 방열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서 냉각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고, 각 소자주변에 열이고이지 않고 전자제어장치로서의 소기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제 2 공간을 둘러싸는 케이스 또는 제 2 커버로 구성되는 적어도 한쪽의 벽은 열전도성에 뛰어난 수지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기판과 한쪽의 벽과의 사이의 제 3 공간에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수지가 충진되어 있으므로, 전자제어회로가 작동하므로써 발생하는 열은 제 3 공간에 충전되어 있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수지를 통해서 벽으로 전해진다.
이와 같이, 기판에 발생한 열이 공기중에서 효율적으로 방열부재인 한쪽의 벽에 전달되므로, 종래의 기술과 비교해서 보다 전자제어장치의 방열효과를 높이고 그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전자제어장치기판을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하므로써, 기판 전체에 열을 확산시켜 넓은 전열면적을 통해서 수지, 또는 벽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더욱 열전도성이 향상되고 전자제어장치의 방열효과가 높아진다.
또, 청구항 8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한쪽의 벽을 자동변속기 케이싱에 대향하는 측의 벽 이외의 벽으로 하므로써, 고온이 된 자동변속기 본체로부터 멀리 있는 저온부에 케이스의 방열면을 위치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방열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청구항 9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기판의 양면에 배치된 소자중, 발열량이 많은 소자를 갖는 기판에 있어서 제 3 공간을 형성하는 면에 배치하므로써 발열소자로부터 케이스로의 열전달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0 에 기재한 구성에 의하면, 기판의 제 3 공간을 형성하는 면에 배치된 소자의 높이에 따라, 제 2 커버에 있어서의 제 3 공간을 형성하는 면을 기판에 가능한 한 근접시켰으므로, 기판과 제 2 커버의 면간격이 짧아지고, 열전도율이 좋은 도전체()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되는 수지를 통한 열전도 거리를 짧게 해서, 보다 효율적으로 기판 및 발열소자로부터 케이스로의 열전도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따라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도에 단면을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는, 전자제어장치(ECU)가 위치검출장치인 뉴트럴 스타트 스위치(NSW)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자동변속기 케이싱(C)에 장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케이스(10)와, 제 1 커버(20)와, 제 2 커버(30)와, 가동부재(로터;Rotor)(40)와 전자제어장치기판(50)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들의 구성요소와 그들의 상호의 연관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케이스(10)는 전기절연성이 양호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제 2 도 및 제 3 도에 정면 및 배면을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측의 제 1 공간(S1)을 둘러싸는 부채형상의 스위치실(11)과 정면측의 제 2 공간(S2)을 둘러싸는 직방체형의 전자제어장치실(12)을 조립하고, 양실의 사이를 격벽(13)(제 1 도 참조)으로 떨어뜨려 간격을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10)의 스위치실(11)은 그 부채형의 협소한 부분이 전자제어장치실(12)에 대해서 어긋나게 배치되고, 협소한 부분의 위치에가동부재(40)의 슬리브 축부(43)(제 1 도 참조)를 끼워 삽입하고 또한 그 주위를 실링(Sealing)하는 오일실(6)(제 1 도 참조)을 끼워 삽입하기 위한 단붙이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자제어장치실(12)측에는 그 직방체형의 2변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신호 수수용(授受用)의 일체성형된 커넥터(14), (15)가 형성되어 있다. 전자제어장치실(12)의 거의 대각선위치에는 케이스(10)를 자동변속기 케이싱(C)(제 1 도 참조)으로 고정하기 위한 볼트 삽입관통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장착플랜지(1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스위치실(11)측의 커버인 제 1 커버(20)는 케이스(10)와 동일한 종류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 4 도에 내부면을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스위치실(11)의 외형과 부호하는 부채형으로 되고, 소켓삽입이음(Soket and spigot joint)결합으로 케이스(10)에 끼워 결합하여 위치결정되는 형상으로 되어있다.
케이스(10)와 동일하게 제 1 커버(20)의 부채형의 협소한 부분에도 가동부재(40)의 슬리브축부(43)를 삽입하고, 그 주위를 실링하는 오일실(6)을 끼워 삽입하기 위한 단붙이구멍(21)이 형성되고, 일체성형된 커넥터(22)가 돌출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스위치실(11)과의 결합면 가장자리에는 주위가장자리를 일주하는 오링끼움용의 실링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자동변속기 케이싱(C)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벽(K)을 구성하는 제 2 커버(30)는 열전도성이 양호한 알루미늄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직방체판형상으로구성되고, 제 5 도에서 제 7 도에 외부면, 내부면, 측부면을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면에는 여러 가닥으로 병행하는 방열핀(31)이, 또 내부면에는 열전도성이 양호한 커버벽(K)을 기판(50)에 가급적 적은 간격을 유지하면서 대치시키기 위한 돌출부인 전열돌기(32)가 일체성형되어서 돌출설치되고, 또한 내부면측 케이스(10)의 전자제어장치실(12)과의 결합면 가장자리에는 주위가장자리를 일주하는 오링끼움용의 실링홈(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위가장자리를 따라 간헐적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장착플랜지부(34)를 나사고정으로 케이스(10)의 정면측에 죄어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동부재(40)는, 케이스(10)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판형상의 암부(41)의 일단부에 매뉴얼샤프트를 삽입통관하는 구멍(42)을 가지는 슬리브축부(43)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멍(42)은 그 축길이의 거의 반의 길이부분이 원통형이고, 나머지 반의 길이가 원통의 상반된 둘레면을 병행하여 도려낸 2면폭을 가지는 구멍으로 되어있다.
제 9 도는 제 1 스위치부(SW1)를 형성하는 면의 도면, 제 11 도는 제 2 스위치부(SW2)를 형성하는 면의 도면, 제 10 도는 가동부재(40)의 단면도이다.
가동부재(40)는 암부(41)의 고정접점(Pp, Ps, Ps', Pr)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44)을 가지고 있고, 상기 구멍(44)에 스프링(45) 및 가동접점(Pm1, Pm2)이 배치된다.
또, 가동부재(40)는 케이스(10)의 단붙이구멍(19)과 제 1 커버(20)의 단붙이구멍(21)에 슬리브축부(43)를 회전자재케 삽입결합시켜 암부(41)를 케이스(10)와 제 1 커버(20)로 끼우는 형태이고, 그로 인해 둘러싸이는 제 1 공간(S1) 내에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브축부(43)의 축주위와 양단붙이구멍(19), (21)의 사이는 한쌍의 오일실(6)로 실링된다.
또, 공간 내에는 전기절연성의 그리스가 봉입되고, 제 1 및 제 2 스위부(SW1), (SW2)의 마찰, 즉, 고정접점(Pp, Ps, Ps', Pr)과 가동부재(로터;Rotor)(40)에 설치된 가동접점(Pm1, Pm2)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윤활제로서 작용한다.
또, 그리스가 윤활제로서 제 1 및 제 2 스위치부(SW1), (SW2)를 덮고 있으므로, 만약 공간 내에 물이나 먼지의 침입이 있어도 접점사이의 단락은 발생하지 않는다.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재(40)와 제 1 커버(20)의 사이에는 제 1 스위치부(SW1)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스위치부(SW1)는 제 1 커버(20) 내에 매립된 띠판(帶板)형상의 접속선(24)으로부터 바깥으로 드러나게 형성되고,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커버(20)의 내부면에 노출된 2쌍의 스타터모터회로용 접점(Ps, Ps')과 한쌍의 리버스램프 점등회로 접점(Pr)과 가동부재(40)의 암부(41)에 고정되고, 이들 쌍을 이루는 접점을 서로 접속하는 가동접점(Pm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접속선(24)은 그대로 커넥터(22)의 내부에 인도되고 단자(28)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접속선(24)은 제 1 커버(20) 내에 있어서 커넥터단자(28)로부터 동일단자로 되돌아가는 회로, 즉, 케이스(10)와는 독립하여 그 자체의 제 1 커버(20)만으로 완결하는 회로를 구성한다.
또, 가동부재(40)와 케이스(10)와의 사이에는 제 2 스위치부(SW2)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스위치부(SW2)는 케이스(10)의 스위치실(11) 내부면에 고정된 폭이 넓은 원호띠판형상의 금속판, 예를 들면 동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속선(17)(동시에 방열면이기도 하다)으로부터 일부를 선형상으로 바깥으로 드러나게 융기시킨 다수의 접점(Pp)과 가동부재(40)의 암부(41)에 고정된 가동접점(Pm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점(Pp)과 일체의 접속선(17)은 케이스(10)의 격벽(13)을 통해서 제 2 공간(S2) 내의 기판접속용패드부(12a)에 도출(導出)되어 있고, 그래서 와이어본딩 등의 수단을 이용해서 전자제어장치기판(50)(제 2 도에 상상선을 나타낸다)의 단자(50c)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선(17)은 케이스(10) 내에 있어서 위치검출장치(NSW)와 전자제어장치(ECU)를 직접 접속하는 기능을 다함과 동시에 열적으로 접속하는 전열선으로서의 기능도 겸한다.
전자제어장치기판(50)은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질, 예를 들면 세라믹 등으로 혹은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질(세라믹스등) 위에 종래로부터의 기판의 재질인 글래스에폭시수지(Glass epoxy 樹脂)를 얹은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자제어장치기판(50)는 주지의 바와 같이 그 판면에 형성된 프린트 회로에 대해서 마이크로컴퓨터칩, 트랜지스터, 저항, 콘덴서 등의 각종 회로소자를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제 2 공간(S2) 내의 단부에 맞닿게 위치결정시켜 배치되고, 패드부에 있어서 2개의 커넥터(14), (15)의 단자접속선군(18)에 동일한 와이어본딩 등의 수단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접속선군(18)은 케이스(10) 내를 통해서 커넥터(14), (15) 내로 도출(導出)되고, 그들의 접속단자로 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14), (15)는 자동변속기 본체에 배설된 유압제어장치의 솔레노이드밸브 및 각종 센서 및 차량 각 부의 센서 및 엔진제어장치에 접속된다.
또, 전자제어장치기판(50)의 판면은, 가동부재(로터;Rotor)(40)의 회동궤도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가동부재(40)의 회전중심축방향 즉, 판면 및 회전궤도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중합하는 오버랩부(50a)를 가진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이 오버랩부(50a)의 레이디얼(Radial)방향의 길이를 R, 판 폭방향의 길이를 W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배치된 전자제어장치기판(50)에 대해서 다수의 소자(51) 내의 저항 등의 키가 작은 소자(51a)는 오버랩부(50a)의 표리양면에 배치되고 콘덴서 등의 상대적으로 키가 큰 소자(51b)는 오버랩부(50a) 이외의 기판부분(50b)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검출장치 및 전자제어장치 어셈블리로서의 사이즈가 작아져서 콤펙트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외부부착부품을 장착한 자동변속기는 차량탑재시에 엔진룸에 있어서 다른 기기와의 간섭에 의해 배치상의 제약을 안받게 된다.
또, 제 2 공간(S2) 내에 장착된 기판(50)과 제 2 커버(30)와의 사이에는 제 3 공간(S3)이 형성되는데, 이 제 3 공간(S3)에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수지(J)가 충전된다.
이 수지(J)는 열전도율이 예를 들면 1.0X10-3cal/(cm·sec·℃)이상의 것을 사용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기판(50)과 제 2 커버(30)와의 떨어진 간격은 수지(J)로 채워지고 도중에 공기층이 없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기판의 제 3 공간(S3)측의 면에 발효소자(52)를 배치하므로써, 발효소자(52)가 제 2 커버(30)에 의해 가까워지고 발열소자(52)로부터 케이스로의 열전달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커버(30)의 내부면에 형성된 전열돌기(32)의 표면이 기판(50)의 표면에 회로의 단락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지극히 근접한 상태로 놓이게 되므로, 공기층에 비해 열전도성이 좋다고 할 수 있고, 양열전도성(良熱傳導性)의 금속에는 뒤떨어지는 수지 (J)충을 통한 열전달을 보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변속기 케이싱(C)에 고정된, 제 8 도에 조작기구와의 관련을 대략 나타낸 바와 같이, 시프트장치측의 시프트레버(L)의 축(X)주위의 회전을 콘트롤 와이어(T)를 통해서 자동변속기 본체측의 아우터레버(A)에 전달되고, 매뉴얼샤프트(S)가 회전한다.
그리고, 이 매뉴얼샤프트(S)의 회전이 거기에 장착한 가동부재(40)(도면에 상상선을 나타낸다)를 회전시킨다.
도면은 시프트레버(L)가 뉴트럴레인지"N"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이 상태로부터 레버(L)를 전방 즉, 리버스레인지"R" 또는 파킹레인지"P" 위치방향으로 밀면, 와이어(T)에 의해 밀려서 아우터레버(A)는 도면에 나타낸 흰색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고, 마찬가지로 레버L을 후방, 즉, 드라이브레인지"D", 서드레인지"3", 세컨드레인지"2", 로우레인지"L"위치방향으로 당기면, 와이어(T)의 인장력에 의해 아우터레버(A)는 도면에 나타낸 검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조작에 따라 위치검출장치의 스위치부의 절환과 함께 유압제어장치의 밸브바디(B) 내의 매뉴얼밸브(M)의 접동(摺動)절환작동이 생긴다.
이러한 작동시에 위치검출장치측에서는 뉴트럴레인지"N", 파킹레인지"P"위치에 있어서, 제 4 도에 나타낸 스타터용접점(Ps), (Ps')이 닫히고 리버스레인지 "R"위치에 있어서 리버스접점(Pr)이 닫히고, 병행해서 제 2 스위치부(SW2)는 동일한 접점이 닫히므로써, 대응하는 뉴트럴레인지"N", 파킹레인지"P"위치신호 또는 리버스레인지"R"위치신호를 전자제어장치기판(50)에 출력한다.
또, 드라이브레인지"D"위치 외의 각 레인지"3", "2", "L"위치에서는 제 2 스위치부(SW2)만이 작동하고, 그들 고정접점(Pp)이 닫히므로써 대응하는 포지션신호가 접속선(17)을 통해서 전자제어장치기판(50)에 출력된다.
이상 다시 말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제어장치(ECU)와 위치검출장치(NSW)를 케이스(10)내의 별도의 실에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배설하고, 케이스(10)외부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가동부재(40)를 수용하므로 먼지나 물 등의 침입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쉬운 위치검출장치로부터의 영향이 전자제어장치에 미치지 않도록 가동부재(40)의 양측에 제 1 스위치부(SW1), (SW2)를 분할배치하므로써 위치검출장치의 직경방향 치수를 축소하고 위치검출장치와 전자제어장치의 외형적인 특징을 이용해서 이들을 축방향 및 직경방향으로 겹쳐지게하므로서 장치를 콤펙트화하고 있다.
또, 전자제어장치는 들여놓을 필요가 있는 신호계의 회로와 그럴 필요가 없는 동력계(스터모터시동 및 리버슬램프점등)의 회로를 가동부재(40)를 끼우고 양면으로 나누므로써, 각각 케이스(10)측 및 제 1 커버(20)측으로 독립시키고, 그로 인해 동력계의 회로를 커넥터(15)도 포함해서 위치검출장치의 신호계 회로 및 전자제어장치로부터 완전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예를 들면, 동력계의 회로는 50암페어의 전류를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해, 신호계의 회로는 0.05암페어 뿐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양회로는 그 필요전류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회로를 분리시키므로써 동력계의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전자제어장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전자제어장치(ECU)와 위치검출장치(NSW)를 케이스(10) 내의 별도의 실(室)에 간격을 두고 떨어뜨려 배설하고 전자제어장치 배설측의 제 2 커버(30)를 떼어도 위치검출장치측에 영향을 주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전자제어장치기판(50)의 교환이 용이해질 수 있으므로, 각종의 사양에 따른 기판의 교체로 위치검출장치를 공통으로 하는 장치의 범용화가 가능하게 된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점은 또한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의 자동변속기 케이싱(C)으로의 장착양상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0)를 자동변속기 케이싱(C)에 장착한 대로 커버(30)의 제어에 의해 조작가능한 케이스(10)의 정면측 제 2 공간(S2)에 전자제어장치기판(50)를 배설하므로써 보다 현저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주로 전기적인 합리성으로부터, 키가 큰 소자와 키가 작은 소자가 판면상에 혼재해서 배치되어 있는 전자제어장치 회로기판의 소자배치를 소자의 집약화면에서 재검토하고, 키가 작은 소자(51a)는 가능한한 오버랩부(50a)에 모아 키가 큰 소자(51b)는 그것을 피하도록 배설했으므로 면적면으로나 두께면으로나 콤펙트성을 추구할 수 있다.
또, 고정접점(Pp)이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기판(50)이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되고, 고정접점(Pp)와 기판의 소자(50a)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선(17)이 전열선의 역할도 겸하므로, 기판(50)상의 각 소자(51)로부터 발생한 열이 기판(50)전체에 퍼져 접속선(17)을 따라 고정접점(Pp)에 도달하고, 위치검출장치(NSW)측에 고정접점(Pp)을 히트싱크로 하는 방열이 행해진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서 냉각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고, 각 소자(51)주변에 국부적으로 열이 고이는 일이 없고 전자제어장치(ECU)로서의 소기의 성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 전자제어장치(ECU)가 케이스(10), 제 2 커버(30), 케이스(10) 및 제 2 커버(30)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공간(S2) 내에 배치된 열전도성이 좋은 기판(50)으로 이루어지고, 제 2 공간(S2)을 형성하는 케이스(10) 및 제 2 커버(30)의 자동변속기의 케이싱(C)에 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제 2 커버(30)로 이루어지는 벽(K)은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기판(50)과 벽(K) 사이의 공간(S3)에는 열전도성이 좋은 수지(J)가 충전되고 또한, 전열돌기(32)부에서 기판(50)과 벽(K)과는 지극히 접근해 있고, 특히 발열소자(52)는 벽(K)에 면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자제어회로가 작동하므로서 발하는 열, 특히, 발열소자(52)의 열은 기판(50)전체에 분산되고 기판(50)전체의 넓은 전열면적을 열정도성이 좋은 수지(J)의 지극히 얇은 층을 통해서 벽(K)에 전해진다.
따라서, 기판(50)에서 발생한 열이 보다 효율적이고, 방열부재인 벽(K)에 전해져 종래로부터의 기술과 비교하여 방열효과를 보다 유효하게 이용한 전자제어 장치의 냉각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을 각 실시형태에 근거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개시내용만으로 한정됨이 없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사항의 범위 내에서 각종의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구성을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특히, 제 2 스위치부 즉, 포지션스위치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사용하는 스위치의 형식에 따라 각종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스위치를 광학적센서로할 경우 케이스측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배설하고 가동부재에 반사면을 설치하는 구성이 되고, 스위치를 케이스측에 배설한 자기센서로 할 경우, 가동 부재측의 대향면은 자성체, 갭등으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 2 도는 상기 제 1 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 정면도,
제 3 도는 상기 제 2 도와 케이스의 배면도,
제 4 도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커버 내면도,
제 5 도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커버 외면도,
제 6 도는 상기 제 2 커버의 내면도,
제 7 도는 상기 제 2 커버의 측면도,
제 8 도는 상기 실시형태의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의 자동변속기 본체 및 시프트장치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배치설명도,
제 9 도는 상기 가동부재의 제 1 스위치부측에서 본 정면도,
제 10 도는 상기 가동부재의 단면도,
제 11 도는 상기 가동부재의 제 2 스위치부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NSW : 위치검출장치 ECU : 전자제어장치
C : 자동변속기 케이싱(Casing) L : 시프트레버
10 : 케이스 14;15;22 : 커넥터
17;24 : 접속선 20 : 제 1 커버
28 : 단자 30 : 제 2 커버
32 : 돌출부 40 : 가동부재
50 : 전자제어장치기판 50a : 오버램(Overlap)부
51a : 키가 작은 소자 51b : 키가 큰 소자
S1 : 제 1 공간 S2 : 제 2 공간
S3 : 제 3 공간 SW1 : 제 1 스위치부
SW2 : 제 2 스위치부 J : 수지
Pp;Ps;Ps';Pr : 고정접점 Pm1;Pm2: 가동접점

Claims (10)

  1.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시프트레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장치와 차량주행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가 일체화되고, 자동변속기 케이싱에 장착가능하게 된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장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고착된 제 1 커버와, 상기 케이스와 제 1 커버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 1 공간 내에 운전자의 시프트레버조작에 따라 회동가능하게 배설된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와 상기 제 1 커버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시프트레버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 1 커버에 설치된 소정의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1 스위치부와,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시프트레버의 위치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스위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고착된 제 2 커버와, 상기 케이스와 제 2 커버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 2 공간 내에 있어서, 다수의 소자를 배열하고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전자제어장치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스위치부에 의해 접속되는 회로는 상기 제 1 커버에 일체화된 접속선을 통해서 상기 제 1 커버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넥터의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스위치부는 상기 케이스에 일체화된 접속선을 통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기판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부에 의해 접속되는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상기 전자제어장치기판에 흐르는 전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가동부재의 회전궤도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에 있어서 중합(重合)하는 오버랩부를 가지고 상기 다수의 소자는 그들중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소자가 상기 오버랩부에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키가 큰 소자가 상기 오버랩부 이외의 기판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기판은 그 표리양면에 상기 다수의 소자가 재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장치는 상기 가동부재에 설치된 가동 접점과 이 가동접점의 궤도에 대응해서 고정부재에 설치된 고정접점을 가지고, 상기 전자제어장치기판은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접점은 금속부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방열면을 가지고 상기 접속선은 상기 기판의 단자로부터 고정접점으로의 열의 전달을 행하는 전열선의 역할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을 둘러싸는 적어도 한편의 벽부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기판과 상기 한편의 벽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공간에는 열전달성이 뛰어난 수지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7. 제 6 항예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기판은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편의 벽부는 상기 자동변속기의 케이싱에 대향하는 측의 벽 이외의 벽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기판은 그 표리양면에 상기 다수의 소자가 배치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기판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공간을 형성하는 면에는 발열소자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편의 벽부는 상기 제 2 커버이고, 상기 제 2 커버의 상기 제 3 공간을 형성하는 면은 상기 기판에 있어서 상기 제 3 공간을 형성하는 면에 가급적 적게 떨어져 간격을 두며 대치하는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KR1019960033672A 1995-09-18 1996-08-14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KR100433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61969 1995-09-18
JP95-261967 1995-09-18
JP95-261968 1995-09-18
JP95-261970 1995-09-18
JP26196995A JP3477947B2 (ja) 1995-09-18 1995-09-18 電子制御装置
JP26196895A JP3802591B2 (ja) 1995-09-18 1995-09-18 電子制御装置
JP26197095A JPH0976785A (ja) 1995-09-18 1995-09-18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6196795A JP3376778B2 (ja) 1995-09-18 1995-09-18 位置検出装置付電子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147A KR970015147A (ko) 1997-04-28
KR100433040B1 true KR100433040B1 (ko) 2004-08-09

Family

ID=2747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672A KR100433040B1 (ko) 1995-09-18 1996-08-14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11747A (ko)
EP (1) EP0763677B1 (ko)
KR (1) KR100433040B1 (ko)
DE (1) DE6961141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7491A1 (de) * 1995-05-12 1996-11-1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Kühlung für eine Getriebesteuerung
KR100433040B1 (ko) * 1995-09-18 2004-08-09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EP0845620B1 (en) * 1996-11-29 2007-01-10 Aisin Aw Co., Ltd. Shift selector with electronic unit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3956433B2 (ja) * 1997-07-31 2007-08-08 松下電工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JP3687303B2 (ja) * 1997-09-08 2005-08-2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ニュートラルスタートスイッチ
JP3345356B2 (ja) * 1998-08-31 2002-11-18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インヒビタスイッチ
JP3248878B2 (ja) * 1998-08-31 2002-01-21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インヒビタスイッチの構造
US6144273A (en) * 1998-08-31 2000-11-07 Niles Parts Co., Ltd. Inhibitor switch having magnetic contact portion
US6544138B2 (en) * 2001-05-08 2003-04-08 Borg-Warner Automotive, Inc. Electro-hydraulic module for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ES2185489B1 (es) * 2001-06-18 2004-01-16 Valeo Sist Seguridad Y Cierre Interruptor de arranque de baja corriente para vehiculos, y equipo de arranque dotado de dicho interruptor.
JP4288871B2 (ja) * 2001-06-26 2009-07-0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回転スイッチ
DE10213763A1 (de) * 2002-03-26 2003-10-16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Schalt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Gangwahl eines Kraftfahrzeuggetriebes
CN101216100B (zh) * 2002-03-27 2011-02-09 爱信艾达株式会社 带换档位置检测装置的控制装置
EP2256374A3 (en) * 2002-03-27 2014-01-08 Aisin AW Co., Ltd. Control apparatus with shift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power train provided therewith
JP3838641B2 (ja) * 2002-09-27 2006-10-25 ナイルス株式会社 旋回摺動スイッチ
JP4374617B2 (ja) * 2004-09-29 2009-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変速機
JP4613564B2 (ja) * 2004-09-29 2011-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変速機
JP2006134580A (ja) * 2004-11-02 2006-05-25 Niles Co Ltd ロータリ式切換えスイッチ
US7075022B1 (en) * 2005-01-25 2006-07-11 Sensata Technologies, Inc. Position sensor responsive to gear selection of vehicular transmission
KR20090061369A (ko) * 2007-12-11 2009-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
KR101386451B1 (ko) * 2013-04-18 2014-04-21 김철범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3763U (ko) * 1973-07-23 1975-04-11
DE2340135C2 (de) * 1973-08-08 1975-04-30 Fa. Leopold Kostal, 5880 Luedenscheid Anlaßsperr- und Rückfahrlichtschalter für automatische Kraftfahrzeuggetriebe
US4604506A (en) * 1985-07-10 1986-08-05 Switches, Inc. Self-adjusting switch mechanism
JPH023741A (ja) * 1988-06-20 1990-01-09 Jatco Corp 電子制御式自動変速機
US5023414A (en) * 1989-03-28 1991-06-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ical switch for detecting positions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n automobile
US5101677A (en) * 1991-07-29 1992-04-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mounted range selector
US5679937A (en) * 1994-08-22 1997-10-21 Toyodenso Kabushiki Kaisha Switching device
JP3331423B2 (ja) * 1995-05-12 2002-10-0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変位検出スイッチ装置
KR100433040B1 (ko) * 1995-09-18 2004-08-09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147A (ko) 1997-04-28
EP0763677B1 (en) 2001-01-03
DE69611410T2 (de) 2001-06-21
DE69611410D1 (de) 2001-02-08
US5811747A (en) 1998-09-22
EP0763677A1 (en) 199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040B1 (ko)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JP4320688B2 (ja) 電動機と電子モジュールからなる電気駆動ユニット
JP4908729B2 (ja) 自動車用に好適な電気空気加熱装置
US7178419B2 (en) Control device with shift position detector, and power train with the control device
US6180880B1 (en) Electronic control unit with a contact pi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control unit
US20090122501A1 (en) Control Device
US7983054B2 (en) Compact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900003398Y1 (ko) 소형 모터
US8059407B2 (en)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10966330B2 (en) Control unit
GB2352092A (en) Cooling motor vehicle control modules.
JP6685252B2 (ja) 電子制御装置
CN111907317A (zh) 具有功率电子模块的变速器
KR100441186B1 (ko) 전기장치
JP3470532B2 (ja) ニュートラルスタートスイッチ一体型電子制御ユニット
KR100458927B1 (ko) 뉴트럴스타트스위치일체형 전자제어유닛
JP3802591B2 (ja) 電子制御装置
JP3477947B2 (ja) 電子制御装置
US6057519A (en) Transmission electronic control unit including neutral start switch
JPH0976785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3264386A (ja) 電子制御機器
JP3894287B2 (ja) 電子制御装置を備えた自動変速機
JP3376778B2 (ja) 位置検出装置付電子制御装置
KR20010042272A (ko) 압력 센서 유닛
JPH0774657A (ja) 屋外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