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369A -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 - Google Patents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369A
KR20090061369A KR1020070128358A KR20070128358A KR20090061369A KR 20090061369 A KR20090061369 A KR 20090061369A KR 1020070128358 A KR1020070128358 A KR 1020070128358A KR 20070128358 A KR20070128358 A KR 20070128358A KR 20090061369 A KR20090061369 A KR 20090061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hift lever
terminal
lever set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조승규
조양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1369A/ko
Priority to JP2008065521A priority patent/JP2009144899A/ja
Priority to CNA2008100920766A priority patent/CN101456357A/zh
Priority to DE102008015695A priority patent/DE102008015695A1/de
Priority to US12/107,245 priority patent/US7531763B1/en
Publication of KR20090061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는, 상기 시프트 레버에 의해서 움직이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와 인접하게 장착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터미널 전극 및 상기 이동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터미널 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쉬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전극은 은(Ag)으로 형성된다.
시프트, 레버, 오토, 매뉴얼, 터미널, 전극, 브러쉬

Description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VEHICLE EQUIPPED WITH SHIFT LEVER SET}
본 발명은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및 수동 기능을 구비한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프트 레버의 작동에 의해서 컨트롤 핑거(control finger), 시프트 러그(shift lug), 시프트 레일(shift rail), 및 시프트 포크(shift fork)가 작동하여 차량의 변속이 수동/자동으로 수행된다.
시프트 레버는 슬라이딩 방식을 사용하여 매뉴얼(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매뉴얼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서 시프트 레버 세트에는 여러 개의 터미널 전극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 전극은 그라운드, 업, 다운 및 노말 등의 운전 조건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한다.
여러 개의 터미널 전극들은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를 움직임에 따라서 변속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 전극들에 인접해서 브러쉬 전극이 형성된다. 상기 브러쉬 전극이 상기 터미널 전극들이 형성된 면을 슬라이딩한다.
즉, 상기 브러쉬 전극이 업 기능을 갖는 전극과 연결되면 변속이 업되고 상기 브러쉬 전극이 다운 기능을 갖는 전극과 연결되면 변속기 다운된다.
한편, 상기 터미널 전극들은 서로 인접해서 설치되기 때문에 전기적인 노이즈가 발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전극들이 구리로 만들어진 경우 쇼트 및 단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터미널 전극들과 각각 연결되는 상기 브러쉬 전극이 견고하게 조립되지 않아 상기 브러쉬 전극이 파손되거나 변속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터미널 전극들에 쇼트 및 단선이 발생하지 않는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브러쉬 전극이 견고한 결합 구조를 갖는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시프트 레버를 구비한 자동차는, 상기 시프트 레버에 의해서 움직이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와 인접하게 장착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터미널 전극 및 상기 이동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터미널 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쉬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전극은 은(Ag)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러쉬 전극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밀착되는 돌출부 및 상기 이동부에 형성된 홈 내부로 삽입된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한쪽은 상기 고정 부재의 한쪽에 융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 전극의 두께는 10 내지 14 ㎛ 일 수 있고, 상기 터미널 전극은, 접지(그라운드)되는 제1 전극, 변속 기어비를 낮추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제2 전극 및 변속 기어비를 높이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제3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 전극은, 오토 변속을 위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제4 전극 및 변속기를 오토에서 매뉴얼로 전환시키는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는 제5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에 의하면, 터미널 전극들이 은(Ag)으로 형성됨으로써 단선 및 쇼트가 저감된다.
또한 터미널 전극들이 은(Ag)으로 형성됨으로써 터미널 전극과 브러쉬 전극 사이에 마찰/마모가 저감된다.
또한 브러쉬 전극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파손 가능성이 저감되고 안정적인 변속을 수행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레버 세트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시프트 레버 세트는 이동 부재(100)와 고정 부재(105)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부재(100)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시프트 레버(미도시)에 의해서 앞뒤로 움직인다. 물론 상기 이동 부재(100)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 부재(105)가 상기 시프트 레버에 의해서 움직이고 상기 이동 부재(100)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부재(100)의 일면에는 터미널 전극(200, 도 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105)의 일면에는 상기 터미널 전극(200, 도 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쉬 전극(400, 도 4)이 장착된다.
물론 상기 고정 부재(105)에 상기 터미널 전극(200, 도 2)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100)에 상기 브러쉬 전극(400, 도 4)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전극(200, 도 2)과 상기 브러쉬 전극(400, 도 4)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전극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105)의 일면에는 터미널 전극(200)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 전극(200)은 제1 전극(202), 제2 전극(205), 제3 전극(210), 제4 전극(215) 및 제5 전극(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202)은 접지(그라우드)되고, 상기 제2 전극(205)은 변속기의 기어비를 상승시키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제3 전극(210)은 변속기의 기어비를 낮추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제4 전극(215)은 변속기가 노멀 기능을 갖도록 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제5 전극(220)은 변속기가 오토와 매뉴얼을 전환하는 전기적 인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터미널 전극(200)은 은(Ag)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202, 205, 210, 215, 220)의 단선이나 쇼트의 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은(Ag)은 자체적으로 윤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브러쉬 전극(400, 도 4)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파손되지 않는다.
은(Ag)은 상대적으로 구리와 비교해서 부식되지 않기 때문에 쇼트와 단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상기 제1 전극(202)과 상기 제2 전극(205) 사이에 폭을 줄일 수 있다. 즉, 시프트 레버 세트를 더욱 컴팩트 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전극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부재(105)에는 상기 터미널 전극(200)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 전극(200)의 두께는 12 ㎛ 이다.
제작조건 등에 따라서 상기 터미널 전극(200)의 두께는 10 ㎛ 내지 14 ㎛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105)의 일면에 상기 터미널 전극(20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 전극(200)은 상기 고정 부재(105)에 형성된 홈(미도시) 내측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 부재(105)의 일면에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전극의 일부 측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부재(100)에는 상기 브러쉬 전극(400)이 장착된다. 상기 브러쉬 전극(400)의 한쪽 단부에는 돌출부(405)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05)는 상기 터미널 전극(200)이 형성된 상기 고정 부재(105)의 일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 전극(400)과 상기 터미널 전극(200)은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연결된다.
상기 이동 부재(100)의 한쪽에는 홀(4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 전극(400)의 다른 쪽에는 삽입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420)는 상기 홀(415)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420)는 상기 브러쉬 전극(400)의 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420)의 단부는 상기 이동 부재(100) 즉, 상기 홀(415)의 내측면에 융착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420)와 상기 홀(415)에 인접해서 융착부(425)가 형성된다. 상기 융착부(425)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러쉬 전극(400)은 구리 또는 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레버 세트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전극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전극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전극의 일부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 부재
105: 고정 부재
200: 터미널 전극
400: 브러쉬 전극
405: 돌출부
410: 삽입부
415: 홀
420: 삽입부
425: 융착부

Claims (5)

  1. 시프트 레버를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버에 의해서 움직이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와 인접하게 장착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터미널 전극; 및
    상기 이동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터미널 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쉬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전극은 은(Ag)으로 형성되는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전극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밀착되는 돌출부; 및
    상기 이동부에 형성된 홈 내부로 삽입된 삽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한쪽은 상기 고정 부재의 한쪽에 융착된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전극의 두께는 10 내지 14 ㎛ 인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전극은,
    접지(그라운드)되는 제1 전극;
    변속 기어비를 낮추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제2 전극; 및
    변속 기어비를 높이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제3 전극;
    을 포함하는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전극은,
    오토 변속을 위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제4 전극; 및
    변속기를 오토에서 매뉴얼로 전환시키는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는 제5 전극;
    을 포함하는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
KR1020070128358A 2007-12-11 2007-12-11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 KR20090061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358A KR20090061369A (ko) 2007-12-11 2007-12-11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
JP2008065521A JP2009144899A (ja) 2007-12-11 2008-03-14 シフトレバーセットを備えた自動車
CNA2008100920766A CN101456357A (zh) 2007-12-11 2008-03-20 带有变速杆装置的车辆
DE102008015695A DE102008015695A1 (de) 2007-12-11 2008-03-26 Schalthebel eines Fahrzeuges
US12/107,245 US7531763B1 (en) 2007-12-11 2008-04-22 Vehicle equipped with shift lever 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358A KR20090061369A (ko) 2007-12-11 2007-12-11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369A true KR20090061369A (ko) 2009-06-16

Family

ID=4060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358A KR20090061369A (ko) 2007-12-11 2007-12-11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31763B1 (ko)
JP (1) JP2009144899A (ko)
KR (1) KR20090061369A (ko)
CN (1) CN101456357A (ko)
DE (1) DE102008015695A1 (k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8487Y2 (ko) * 1984-12-18 1992-09-09
JPH01140802U (ko) * 1988-03-18 1989-09-27
JPH04123038U (ja) * 1991-04-23 1992-1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ポジシヨンセンサ
GB9115603D0 (en) * 1991-07-19 1991-09-04 Black & Decker Inc Improvements in electrical arrangements in power tools and switches
JP2502129Y2 (ja) * 1991-10-16 1996-06-19 ホシデン株式会社 ロ―タリスイッチ
US5231254A (en) * 1991-12-11 1993-07-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tomobile transmission mode sensing apparatus
JP2574432Y2 (ja) * 1992-12-09 1998-06-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接点部材の取付構造
KR100433040B1 (ko) * 1995-09-18 2004-08-09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JP3458044B2 (ja) * 1996-10-30 2003-10-20 ナイルス株式会社 スライドスイッチ装置
JPH1125790A (ja) * 1997-06-27 1999-01-29 Tokai Rika Co Ltd ニュートラルスタートスイッチの接点面構造
US5902975A (en) * 1997-12-22 1999-05-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rnal transmission range switch system
US6064016A (en) * 1998-08-04 2000-05-1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Wiper switch terminal and contact
JP3727790B2 (ja) * 1998-11-19 2005-12-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3866461B2 (ja) * 1999-10-07 2007-01-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変速操作装置
DE20017527U1 (de) * 2000-10-12 2001-02-22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lenkrad
JP2003132753A (ja) * 2001-10-22 2003-05-09 Niles Parts Co Ltd スイッチ接点構造
JP4047034B2 (ja) * 2002-02-27 2008-02-13 ナイル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4143478B2 (ja) * 2002-10-02 2008-09-0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はんだ接続構造および電子部品のはんだ接続方法
KR100488740B1 (ko) * 2003-08-27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
US7030326B2 (en) * 2003-12-30 2006-04-18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Digital wake-up signal from analog signal transition
JP4451748B2 (ja) * 2004-09-17 2010-04-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ライド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56357A (zh) 2009-06-17
US7531763B1 (en) 2009-05-12
DE102008015695A1 (de) 2009-06-25
JP2009144899A (ja)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9340B2 (ja) スイッチ
KR101730893B1 (ko) 차량용 변속 레버
RU2469877C2 (ru) Испол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 рул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00219052A1 (en) Electrical switch for a motor vehicle
US7851714B2 (en) Switch
KR20090061369A (ko) 시프트 레버 세트를 구비한 자동차
JP4575849B2 (ja) シフトスイッチ
EP2386784B1 (en) Slide switch
JP4969343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KR100342408B1 (ko)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KR100634228B1 (ko) 자동차용 인히비터 스위치
JP2009064648A (ja) 車両用スイッチ
KR20160001310U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용 컨택터
JP363819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CN111911617B (zh) 用于车辆的换挡杆装置
KR100345118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CN103879380A (zh) 具有取决于位置的用于对下降的信号进行信号分析的切换装置的驱动装置
JP4380446B2 (ja) シーソースイッチ
KR102348086B1 (ko) 변속위치 검출장치
CN220381985U (zh) 一种载流性能好的触桥组件、隔离开关、供电系统
CN102691786B (zh) 自动变速器用控制开关
KR100718570B1 (ko) 자동차 와이퍼 스위치 장치
CN114424313B (zh) 高压功率开关的组件和相应高压功率开关
CN2921463Y (zh) 变速器换档拨叉
CN212161654U (zh) 触点机构及微动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