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408B1 -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 Google Patents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408B1
KR100342408B1 KR1020000043453A KR20000043453A KR100342408B1 KR 100342408 B1 KR100342408 B1 KR 100342408B1 KR 1020000043453 A KR1020000043453 A KR 1020000043453A KR 20000043453 A KR20000043453 A KR 20000043453A KR 100342408 B1 KR100342408 B1 KR 100342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lider
contact
switch
pow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898A (ko
Inventor
박운택
Original Assignee
박재범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범,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재범
Priority to KR1020000043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40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01H13/32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one end of spring being fixedly connected to the stationary or movable part of the switch and the other end reacting with a movable or stationary rigid member respectively through pins, cams, toothed, or other shaped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Landscapes

  • Slide Switch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각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의 개폐를 단속하는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의 조립과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에 작동로드를 갖고 힌지 결합되는 레버를 갖는 모듈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접점판이 연결되도록 하는 각각의 터미널이 결합되고, 지지돌기 및 고정돌기가 각각 쌍을 이루며 설치되어 작동판이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레버의 하부에 형성된 작동로드가 결합되는 요홈을 갖고, 양측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작동판의 상부에 접촉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동작에 따라 승하강 동작하는 누름단과; 상기 가이드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누름단이 인출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 고정되는 커버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모듈스위치는 하나의 조립 부품으로 형성하여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 내에 고정 설치를 하도록 함으로서 파워윈도우의 스위치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모듈스위치에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불량이 발생된 모듈스위치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A Moduale switch of Dower Window}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각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을 단속하는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듈스위치의 조립과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는 4도어로 이루어져 있고, 4도어는 운전석과 조수석 및 뒷좌석 좌우 양측의 도어 상부측에 유리재로 형성된 창문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조수석과 뒷좌석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도어의 일정 부위에 도어의 창문을 단속하는 각각의 모듈스위치를 형성하고 있고, 운전석의 도어의 일정 부위에는 운전석과 조수석 및 뒷좌석의 창문 전체를 단속할 수 있는 모듈스위치를 내장 설치하는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파워윈도우 스위치의 일예인 회로도로써, 20암페어 이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직접부하 방식의 모듈스위치에 대한 일반적인 파워윈도우 스위치의 일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M)에서 인출되는 전선이 모듈스위치의 제 1작동부 스위치(210)와 제 2작동부 스위치(211)에 연결이 된다.
상기 제 1, 2 작동부 스위치(210, 211)의 모터(M)로부터 연결되는 전선측으로 제 1, 2 작동판(231, 232)이 결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2 작동판(231, 232)과 접점되는 제 1, 3 접점(221, 223)과 제 2, 4 접점(222, 224)이 각각 쌍을 이루며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3 접점(221,223)은 어스선에 연결되어 있고, 제 2, 4 접점(222, 224)은 배터리의 +극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된 제 1 작동부 스위치(210)에 +전류가 흐르면 모터(M)가 정회전하고, 제 2 작동부 스위치(211)에 +전류가 흐르면 모터(M)가 역회전을 하게 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모듈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는 상태일 때에는 제 1, 2 작동부 스위치(210, 211)의 제 1, 2 작동판(231,232)이 제 1, 3 접점(221,223)에 접하여져 있는 상태가 되어 모터(M)에는 -전류만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모터(M)는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이 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작동부 스위치(210)의 제 1 작동판(231)을 이동시켜 제 2 접점(222)과 접하도록 하면 제 1 작동부 스위치(210)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제 2 작동부 스위치(211)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모터(M)가 정회전하게 된다.
제 1 작동부 스위치(210)는 제 1 작동판(231)이 제 1 접점(221)과 접점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2 작동부 스위치(211)의 제 2 작동판(232)을 이동시켜 제 4 접점(224)과 접하도록 하면 제 2 작동판(232)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제 1 작동판(231)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모터(M)는 역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모터(M)가 정회전과 역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모터(M)의 일측으로 설치하는 승하강 레버(미도시됨)에 의해 창문이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로 설명은 일예로 설명한 것으로 제 1, 2 작동판이 어스단자와 배터리(부호 미표시)측으로 결합 설치하는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로로 구성된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은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로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됨)을 내장 설치하고, 상부에 4쌍의 지지돌기(201)를 형성하는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200)와; 상기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지지돌기(201)의 양측으로 각각 4도어의 창문을 단속하도록 4쌍을 고정 설치하는 접점단자(202)와; 상기 접점단자(202)에 각각 결합 설치하는 작동판(203)과; 상기 작동판(203)의 일측과 접점되고, 상하로 한 쌍을 고정 설치하는 접점단자(204)와; 상기 작동판(203)의 상부에 접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는 누름판(205)과; 상기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200)의 상부에 결합 고정하고, 상기 작동판(203)의 상부에 접하는 누름판(205)을 슬라이드 결합하는 슬라이드공(206)을 형성하는 커버(207)와; 상기 커버(207)의 상부로 인출되는 상기 지지돌기(201)에 결합하고, 상기 누름판(205)의 상부를 누르도록 하는 시소 방식의 누름버튼(20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의 작용 및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200)는 상부로 각각의 접점단자(202, 204)와 작동판(203)을 노출이 되도록 하는 상태로 결합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판(203)의 사이에 각각 한 쌍씩의 지지돌기(201)를 상기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200) 상부에 일체로 형성한다.
커버(207)는 상기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200)의 상부로 결합하고, 슬라이드공(206)과 상기 지지돌기(201)가 결합하여 인출되는 결합공(209)을 형성한다.
누름판(205)은 상기 슬라이드공(206)에 삽입 결합하여 상기 작동판(203)의 상부에 접하도록 설치한다.
누름버튼(208)은 커버(207)의 상부로 인출된 지지돌기(201)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누름판(205) 상부에 접하게 되고, 누름판(205)을 하부로 누르게 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각각의 접점단자(202, 204)와 작동판(203)을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200)의 상부에 노출되는 상태로 조립한 후 납땜을 하여 고정 설치하여야만 하였고, 조립 후에 접점단자(202, 204)나 작동판(203)중 하나가 불량을 일으키게 되면 불량이 발생된 접점단자(202, 204)나 작동판(203)을 교체할 때에는 파워윈도우 스위치에 작으나마 소손을 일으키게 되었다.
그러므로 결합 고정한 접점단자(202, 204)나 작동판(203)에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불량이 발생된 접점단자(202, 204)나 작동판(203)을 제거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200) 전체를 버리게 되었으며, 이로 인한 자원의 낭비는 물론, 제품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커버(207)의 슬라이드공(206)과 결합공(209)이 외부로 노출이 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슬라이드공(206)과 결합공(209)을 통하여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200)와 커버(207)의 사이인 내부로 침투하게 되었으며, 침투한 이물질에 의해 각각의 작동부인 접점단자(202, 204)와 작동판(203)이 오염이 되어 접점불량을 일으키게 되었다.
또한 상기 개방되어 있는 슬라이드공(206)과 결합공(209)을 통하여 수분이 침투하게 되었고, 수분의 침투로 인하여 접점단자(202, 204)와 작동판(203)이 침투한 수분에 의해 녹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상기와 같이 녹의 발생으로 작동판(203)과 접점단자(202, 204)간에 접점불량을 일으키는 등의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자동차의 문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을 단속하는 파워윈도우 스위치인 모듈스위치를 슬라이드 방식인 별도의 조립품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듈스위치의 접점단자와 작동판을 외부로부터 밀폐가 되도록 하여 이물질과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며, 파워윈도우 스위치의 조립시 또는 사용 중에 불량이 발생된 모듈스위치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파워윈도우 스위치의 모듈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파워윈도우 스위치의 일예인 회로도.
도 2 는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박스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도 3 의 A - A선 종단면도.
도 6 은 도 3 의 B - B선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베이스 플레이트 2 : 제 1 터미널 3 : 제 2 터미널
4 : 제 1 작동판 5 : 제 2 작동판 6 : 제 4 터미널 8 : 커버
9 : 슬라이더 35 : 제 3 터미널 82 : 가이드홈 91 : 가이드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에 작동로드를 갖고 힌지 결합되는 레버를 갖는 모듈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접점판이 연결되도록 하는 각각의 터미널이 결합되고, 지지돌기 및 고정돌기가 각각 쌍을 이루며 설치되어 작동판이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레버의 하부에 형성된 작동로드가 결합되는 요홈을 갖고, 양측에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하부에 작동돌기를 갖고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일측이 상기 작동판의 상부에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더에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동작에 따라 승하강 동작하는 누름단과; 상기 가이드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누름단이 인출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 고정되는 커버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을 보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는 도 3 의 A - A선 종단면도이고, 도 6 은 도 3 의 B - B선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는 전방에 한 쌍의 제 1 결합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결합공(12)의 사이에는 제 2 결합공(13)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후측면에 각각 한 쌍의 결합돌기(11)를 형성한다.
제 1 터미널(2)은 상기 제 2 결합공(13)에 결합 고정하는 제 1 접점단자(22)를 일측으로 형성하고, 타측의 양측으로 제 1, 2 접점판(23, 24)을 고정 설치하는 고정판(21)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전방 상부면에 접하도록 형성한다.
제 2, 3 터미널(3, 35)은 배면 일측으로 제 2, 3 접점단자(31, 36)를 각각 형성하는 상부의 배면으로 제 1, 2 고정돌기(32, 37)를 각각 형성하고, 전방 상부로 제 1, 2 지지돌기(33, 38)를 각각 형성한다.
제 4 터미널(6)은 일측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제 1 결합공(12)에 결합 고정하는 고정다리(62)와 제 4 접점단자(63)를 형성하고, 타측으로접점판(61)을 형성한다.
제 1, 2 작동판(4, 5)은 일측이 상기 제 2, 3 터미널(3, 35)의 제 1, 2 고정돌기(32, 37)에 결합 고정하고, 상기 제 1, 2 지지돌기(33, 38)에 지지 결합하는 탄지판(42, 52)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제 1 터미널(2)과 제 4 터미널(6)에 접점되는 제 3, 4 접점판(41, 51)을 각각 형성한다.
제 1, 2 누름단(7,75)은 상기 제 1, 2 고정돌기(32, 37)와 제 1, 2 지지돌기(33, 38)의 사이인 제 1, 2 작동판(4, 5)의 상부에 접하고, 상부측으로 각각 돌기(71, 76)를 형성한다.
커버(8)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결합돌기(11)와 결합하는 결합공(81)을 전,후측면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 양측으로 가이드홈(82)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2 누름단(7, 75)의 상부측이 인출되도록 결합하는 통공(83, 84)을 형성한다.
슬라이더(9)는 하부의 일측에는 상기 통공(84)의 내측벽에 걸리어 멈추도록 하는 걸림돌기(94)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누름단(75)을 단속하는 경사면(96)을 갖는 제 2 작동돌기(9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94)가 형성된 타측에는 제 1 누름단(7)을 단속하는 경사면(98)을 갖는 제 1 작동돌기(97)를 형성하고, 그 전방으로 제 1 누름단(7)의 일측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99)를 형성한다.
즉, 상기 슬라이더(9)의 제 1 및 제 2 누름단(7, 75)이 접촉되는 부분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각 누름단(7, 75)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각각의걸림돌기(94, 99)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9)가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양측으로 상기 커버(8)의 가이드홈(82)과 슬라이드 결합하는 가이드돌기(91)를 형성하고, 상부 일측으로 요홈(93)을 갖는 연장돌기(92)를 형성하여 모듈스위치(10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모듈스위치(100)를 파워윈도우 스위치(300)에 설치한 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도 7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스위치(100)를 파워윈도우 스위치(300)의 내부에 설치하는 인쇄회로기판(302)의 상부에 각각 결합 설치를 하고, 상기 모듈스위치(100)를 고정 설치한 위치인 커버(303)의 상부에 레버(304)를 힌지(부호 미표시) 설치한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302)을 안착한 베이스 플레이트(301)의 상부로 커버(303)를 결합한다.
이때, 슬라이더(9)의 연장돌기(92)에 형성한 요홈(93)에 레버(304)의 작동로드(305)가 삽입 설치 되도록 하여 파워윈도우 스위치(30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파워윈도우 스위치(300)에 힌지 설치되어 있는 레버(304)를 누르면 작동로드(305)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로드(305)가 이동하며, 이때 슬라이더(9)가 가이드홈(82) 상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9)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우측 하부에 형성한 제 2 작동돌기(95)의 경사면(96)을 따라 제 2 누름단(75)이 눌려지게 되고, 제 2누름단(75)이 눌려지면서 제 2 누름단(75)의 하부면에 의해 제 2 작동판(5)의 상부를 누르게 된다.
상기 제 2 누름단(75)에 의해 눌려지는 제 2 작동판(5)의 일측으로 형성한 제 4 접점판(51)이 제 4 터미널(6)과는 이격 되면서 제 1 터미널(2)의 고정판(21) 상부에 접점 된다.
그러면 제 2 터미널(3)과 제 3 터미널(35)에는 상호 다른 극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창문을 단속하는 모터(M)가 회동을 하여 창문을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파워윈도우 스위치(300)의 레버(304)를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레버(304)가 상승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고, 작동로드(305) 또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면 작동로드(305)에 의해 커버(8) 상부에서 슬라이더(9)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고, 제 2 작동돌기(95)에 의해 눌려져 있던 제 2 누름단(75)이 경사면(96)에서 이탈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제 2 누름단(75)과 제 2 작동판(5)이 탄지판(52)의 복원력에 의해 제 4 접점판(51)과 함께 상승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 4 접점판(51)은 제 1 터미널(2)과는 이격 되면서 제 4 터미널(6)과 접점 된다.
그러므로 제 2 터미널(3)과 제 3 터미널(35)이 동일한 극을 갖는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창문을 단속하는 모터(M)가 구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파워윈도우 스위치(300)에 힌지 설치되어 있는 레버(304)를 위로 올리면 작동로드(305)의 하부가 전방으로 회동하고, 작동로드(305)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9)가 가이드홈(82) 상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9)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좌측 하부에 형성한 제 1 작동돌기(97)의 경사면(98)을 따라 제 1 누름단(7)이 눌려지게 되고, 제 1 누름단(7)이 눌려지면서 제 1 누름단(7)의 하부면에 의해 제 1 작동판(4)의 상부를 누르게 된다.
제 1 누름단(7)에 의해 눌려지는 제 1 작동판(4)의 일측으로 형성한 제 3 접점판(41)이 제 4 터미널(6)과는 이격이 되면서 제 1 터미널(2)의 고정판(21) 상부에 접점 된다.
그러면 제 2 터미널(3)과 제 3 터미널(35)에는 상호 다른 극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창문을 단속하는 모터(M)가 회동을 하여 창문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파워윈도우 스위치(300)의 레버(304)를 올리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레버(304)의 전방이 하강하여 기존의 상태로 복원되고, 레버(304)가 하강하면 작동로드(305) 또한 후방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작동로드(305)에 의해 커버(8) 상부에서 슬라이더(9)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고, 제 1 작동돌기(97)에 의해 눌려져 있던 제 1 누름단(7)이 경사면(98)에서 이탈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제 1 누름단(7)과 제 1 작동판(4)이 탄지판(42)의 복원력에 의해 제 3 접점판(41)과 함께 상승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 3 접점판(41)은 제 1 터미널(2)과는 이격 되면서 제 4 터미널(6)과 접점 된다.
그러므로 제 2 터미널(3)과 제 3 터미널(35)이 동일한 극을 갖는 전류가 흐름으로 창문을 단속하는 모터(M)가 구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파워윈도우 스위치(300)의 커버(303)에 설치하는 레버(304)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에 따라 슬라이더(9)가 전후방으로 커버(8)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제 1, 2 누름단(7, 75)을 누르거나 해제를 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제 1, 2 누름단(7, 75)에 의해 단속하는 제 1, 2 작동판(4, 5)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제 2 터미널(3)과 제 3 터미널(35)에 흐르는 전류의 극성을 바꾸어 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창문을 단속하는 모터(M)의 구동을 정회전과 역회전을 하게 함으로써 창문을 올리거나 내리게 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9)는 제 1 누름단(7)이 제 1 작동돌기(97)의 최고의 정점을 지나면 걸림돌기(94)가 제 2 누름단(75)의 후방 상부에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더(9)가 더 이상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9)의 제 2 누름단(75)이 제 2 작동돌기(95)의 최고의 정점을 지나면 걸림돌기(99)가 제 1 누름단(7)의 전방 상부에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더(9)가 더 이상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제 1, 2, 3, 4 터미널(2, 3, 6, 35)과 제 1, 2 작동판(4, 5)을 상부에 설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의 상부로 커버(8)를 결합 고정시킴으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접점불량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작용하는 본 발명인 모듈스위치(100)를 별도의 조립된 제품으로 생산을 하게 함으로써, 모듈스위치(100)의 불량이 확인되면 불량 확인된 모듈스위치(100)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가 하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작용하는 본 발명은 파워윈도우 스위치에 결합 설치하는 모듈스위치를 하나의 조립 부품으로 생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모듈스위치를 파워윈도우 스위치에 조립이 용이하며, 모듈스위치의 작동부인 각각의 터미널과 작동판을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의 사이에 내장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과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터미널과 작동판 간이 이물질에 의한 접점불량 발생과 수분에 의한 녹의 발생으로 접점불량 발생을 방지하고, 파워윈도우 스위치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조립공정을 줄이며, 이로 인한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하부에 작동로드를 갖고 힌지 결합되는 레버를 갖는 모듈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접점판이 연결되도록 하는 각각의 터미널이 결합되고, 지지돌기 및 고정돌기가 각각 쌍을 이루며 설치되어 작동판이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레버의 하부에 형성된 작동로드가 결합되는 요홈을 갖고, 양측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하부에 작동돌기를 갖고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일측이 상기 작동판의 상부에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더에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동작에 따라 승하강 동작하는 누름단과;
    상기 가이드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누름단이 인출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 고정되는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걸림돌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단에 접촉되는 상기 슬라이더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파워윈도우 모듈스위치.
KR1020000043453A 2000-07-27 2000-07-27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KR100342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453A KR100342408B1 (ko) 2000-07-27 2000-07-27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453A KR100342408B1 (ko) 2000-07-27 2000-07-27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898A KR20020009898A (ko) 2002-02-02
KR100342408B1 true KR100342408B1 (ko) 2002-07-02

Family

ID=1968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453A KR100342408B1 (ko) 2000-07-27 2000-07-27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2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463A (ko) 2015-06-23 2017-01-03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759B1 (ko) * 2008-09-01 2014-10-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460533Y1 (ko) * 2010-10-07 2012-05-2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KR101486914B1 (ko) * 2013-11-20 2015-01-29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스위치 모듈 조립구조
KR101879652B1 (ko) * 2017-03-08 2018-08-16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KR200488488Y1 (ko) * 2017-12-21 2019-05-21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463A (ko) 2015-06-23 2017-01-03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898A (ko) 200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3339A (en) Control apparatus for pivotal-sliding roof panel assembly
KR100719688B1 (ko) 복합 스위치장치
KR100342408B1 (ko)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US5016140A (en) Switch arranged for being mounted on a circuit board
CN201298476Y (zh) 一种密合式按键开关装置
KR100364431B1 (ko) 자동차용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US5601183A (en) Two-pole make-before-break switch
KR200450668Y1 (ko) 차량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FR2604849A1 (fr) Commutateur electrique, notamment pour la commande d'equipements et accessoires automobiles
JPH1069838A (ja) トリガースイッチ
KR100342409B1 (ko) 파워윈도우의 락 스위치
KR200471127Y1 (ko)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CN104425170B (zh) 动力车窗开关以及带有自动开闭功能的开关模块
KR0135641Y1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구조
KR200344649Y1 (ko) 차량용 스위치장치
CN220672424U (zh) 一种无边框墙面开关
CN211605025U (zh) 一种断路器的操作机构及断路器
KR19980085409A (ko) 자동차의 푸시풀식 스위치
CN215770951U (zh) 双开自动复位开关
KR200346433Y1 (ko) 차량용 스위치장치
KR200211735Y1 (ko)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KR100346068B1 (ko)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 스위치
KR20030047596A (ko)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
KR20070034791A (ko) 파워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0288383B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