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451B1 -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 - Google Patents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451B1
KR101386451B1 KR1020130042622A KR20130042622A KR101386451B1 KR 101386451 B1 KR101386451 B1 KR 101386451B1 KR 1020130042622 A KR1020130042622 A KR 1020130042622A KR 20130042622 A KR20130042622 A KR 20130042622A KR 101386451 B1 KR101386451 B1 KR 101386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fishing boat
pole holder
close contact
ai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범
Original Assignee
김철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범 filed Critical 김철범
Priority to KR1020130042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1Mooring bars, yokes, or the like, e.g. comprising articulations on both e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낚시보트에 텐트나 천막을 설치하기가 용이하면서 노를 젓기 편리하고, 아울러 낚시보트의 주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보트형 에어튜브(T)의 양쪽 외측면 상에 서로 대칭적으로 한 쌍이 설치되고 에어튜브(T)를 정박시키기 위해 수중바닥에 박는 폴(P)이 삽입 장착되는 폴홀더(200)와, 상기 에어튜브(T)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홀(110)이 형성된 고정부(100)와, 상기 폴홀더(200)의 상부에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노걸이(300)와, 상기 폴홀더(20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핀홀(110)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핀(500) 및 상기 폴홀더(200)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튜브(T)의 상부 외측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착프레임(600)을 포함하는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POLE HOLDER UNIT FOR ANCHORING FISHING BOAT}
본 발명은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보트에 텐트를 설치하기가 용이하면서 노를 젓기도 편리하고, 아울러 낚시보트의 주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저 및 스포츠(여가생활, 취미생활)로 즐기는 민물낚시의 경우 낚시꾼들은 보트형 에어튜브(낚시보트)를 타고 이동하다가 낚시포인트 등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낚시보트를 정박시키고 각자의 취향 등 다양한 조건에 맞도록 여러 개의 낚싯대를 수면과 일정한 각도로 거치대에 걸어두고 조용히 앉아 편안하게 낚시를 즐기는 추세이다.
이러한 낚시보트를 타고 이동하다가 특정 위치에서 정박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보트의 측면 상에 구비된 폴홀더(53)(5)로 폴(60)(60)을 삽입하면서 그 하부를 수중바닥에 박은 다음 별도의 클램프(10) 등으로 조이면 고정 상태를 유지하여 낚시보트를 지탱하기 때문에 물결 및 물살에 의한 요동이나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폴홀더(53) 중 낚시보트에 탈부착하는 구조의 경우 그 장착부(52)가 에어튜브(51)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시에는 그 내측으로 에어튜브(51) 부분을 먼저 위치시킨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해야 하는 상당한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는 데다 폴홀더(53)의 하부가 낚시보트의 주행 중에 물보라 등을 일으켜 주행속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낚시보트는 노걸이가 에어튜브(51)의 상면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적 특성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10)를 칠 경우 그 노걸이 부분이 텐트(10)의 가장자리 부분과 접촉 간섭을 일으키거나 텐트(10)의 내부로 위치됨으로 인해 노를 젓기가 매우 어려울 수밖에 없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즉, 대부분의 낚시꾼은 우천 시에 비를 막고 강렬한 햇볕이나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해 또는 야간에 낚시를 할 때 잠시 수면을 취하거나 밤이슬과 바람을 막고 뱀의 침입이나 모기 등의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낚시보트에 텐트(10)를 치고 낚시를 즐기고 있는데, 이때 노걸이 부분이 텐트(10) 안쪽으로 위치되거나 혹은 바깥쪽으로 위치되어 노를 장착하는 것은 물론 젓기도 불편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4260호(2009.04.2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1643호(2003.05.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3996호(2003.11.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981호(2003.08.0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125호(2003.07.23)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낚시보트에 텐트를 설치하기가 용이하면서 노를 젓기 편리하고, 아울러 낚시보트의 주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을 개발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낚시보트에 텐트를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노를 젓기 편리하고 수월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낚시보트의 주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보트형 에어튜브의 양쪽 외측면 상에 서로 대칭적으로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에어튜브를 정박시키기 위해 수중바닥에 박는 폴이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에어튜브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폴이 삽입 장착되고 외측 둘레면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폴홀더와, 상기 폴홀더의 상부에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노걸이와, 상기 폴홀더의 나사구멍과 나사 결합되어 조임 조작 시 상기 폴의 외측 둘레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폴홀더에 대한 상기 폴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제1손잡이볼트와, 상기 폴홀더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핀홀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핀 및 상기 폴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튜브의 상부 외측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을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낚시보트에 노를 장착하기 위한 노걸이의 설치 위치를 임의로 자유로이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낚시보트 상에 텐트를 설치하기가 훨씬 용이하면서 노를 젓기가 편리하고 수월할 뿐만 아니라 기존과 달리 낚시보트의 주행 중 폴홀더에 의해 발생하는 접촉 간섭을 최소화 및 방지하여 낚시보트의 주행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밀착프레임의 일측에 연결길이의 신축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싯대 거치대를 고정하는 횡바와, 상기 밀착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구멍과 나사 결합되어 조임 조작 시 상기 횡바의 외측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밀착프레임에 대한 상기 횡바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제2손잡이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낚싯대 거치대를 한층 간편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노걸이는, 상기 폴홀더를 회전축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노에 삽입 결합되는 노핀 및 상기 노핀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노의 이탈을 방지하는 노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폴홀더에 노걸이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어 낚시보트에 노걸이를 설치하는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자유로이 변경 가능하고, 이로 인해 낚시보트 상에 텐트를 설치하기가 훨씬 용이하면서 노를 젓기가 한층 편리하고 수월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를 낚시보트에 부착한 후 이에 삽입 결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기존과 달리 낚시보트의 주행 중 폴홀더에 의해 발생하는 접촉 간섭을 최소화하여 낚시보트의 주행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의 국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보트형 에어튜브의 전방 좌우 외측면 상에 서로 대칭적인 형태로 배치 및 장착되며, 고정부(100)(100'), 폴홀더(200)(200'), 노걸이(300)(300'), 제1손잡이볼트(400)(400'), 결합핀(500)(500') 및 밀착프레임(600)(6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횡바(700) 및 제2손잡이볼트(800)(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는 에어튜브(T)의 외측면에 밴드형 테이프 등의 부착용 부재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면접촉 형태로 밀착 고정되고, 그 외측면에는 상하로 개구된 형태의 핀홀(110)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부(100)는 에어튜브(T)의 외측면 상에 다수 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폴홀더(200), 노걸이(300), 제1손잡이볼트(400), 결합핀(500) 및 밀착프레임(600)을 포함하는 구성의 에어튜브(T)에 대한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폴홀더(200)는 에어튜브(T)를 정박시키기 위해 수중바닥에 박는 폴(P)이 삽입 장착되고, 그 폴(P)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치 원통형 파이프처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 둘레면에는 중공부와 통하는 나사구멍(210)이 형성되어 있다.
노걸이(300)는 노를 결합 및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폴홀더(200)의 상부에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노걸이(300)는 회전링(310), 노핀(320) 및 노캡(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폴홀더(200)의 외측 둘레면을 회전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링(310)이 구비되어 있고, 이 회전링(310)의 일측에는 노에 삽입 결합되는 노핀(320)이 고정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핀(320)의 단부에는 노의 결합상태를 유지 및 이탈을 방지하는 노캡(330)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노캡(300)을 노핀(320)에서 분리하고 노핀(320)을 노의 결합구멍으로 끼워넣은 후 다시 노캡(300)을 노핀(320)에 체결함으로써 노가 노걸이(300)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손잡이볼트(400)는 조임 조작 시 폴홀더(200)에 삽입된 폴(P)의 외측 둘레면과 밀착되면서 폴홀더(200)에 대한 폴(P)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고, 풀림 조작 시 폴홀더(200)에 삽입된 폴(P)과 접촉 간섭이 해제되면서 폴(P)의 자유로운 승강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폴홀더의 나사구멍(210)과 나사 결합되어 있다.
즉, 제1손잡이볼트(400)는 수심에 따라 폴(P)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 및 그 조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결합핀(500)은 고정부의 핀홀(110)에 삽입 결합되도록 폴홀더(200)의 하부 양측에 그 핀홀(110)과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있다.
밀착프레임(600)은 에어튜브(T)의 상부 외측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폴홀더(200)에 고정되어 있고, 최외측 상단부는 마치 사각통형 파이프처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중공부로 통하는 나사구멍(61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밀착프레임(600)은 에어튜브(T)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그 일사분면 또는 이사분면 상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밀착프레임(6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튜브(T)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별도의 돌기(S)에 걸어서 하방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밀착프레임(600)은 돌기(S)에 의해 걸림되고, 폴홀더(200)의 하부는 결합핀(500)과 고정부의 핀홀(110)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바(700)는 별도의 낚싯대 거치대를 간편하게 고정하기 위해 밀착프레임(600)의 일측에 밀착프레임(600) 내로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되면서 연결길이의 신축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횡바(700)는 에어튜브(T) 상에 서로 마주하도록 장착된 한 쌍의 밀착프레임(600)(600') 중공부에 양단부가 삽입 결합된 상태로 에어튜브(T)의 상면을 좌우 방향으로 가로질러 안착되어 있다.
제2손잡이볼트(800)는 조임 조작 시 횡바(700)의 외측면과 밀착되면서 밀착프레임(600)에 대한 횡바(700)의 연결길이 조절을 위해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고, 풀림 조작 시 밀착프레임(600)에 삽입된 횡바(700)와 접촉 간섭이 해제되면서 밀착프레임(600)에 대한 횡바(700)의 자유로운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밀착프레임(600)의 나사구멍(610)과 나사 결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폴(P)을 폴홀더(200)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써 나사구멍(210)과 제1손잡이볼트(400)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예시(10)처럼 레버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프링 탄지력 또는 캠에 의한 가압 밀착력이 발생하거나 해제되면서 인접하는 다른 것의 이동을 구속하는 이른바 스토퍼 방식 혹은 브레이크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은 폴홀더(200)의 상부에 노를 장착할 수 있는 노걸이(300)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임의로 낚시보트 상에 노걸이(300)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보트에 텐트를 설치 시 노걸이(300)로 인한 접촉 간섭 등을 방지하여 텐트를 설치하기가 훨씬 용이하면서 텐트와 간섭이 없는 위치에 노를 장착할 수 있어 노를 젓기가 한결 편리하고 수월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0)를 낚시보트의 에어튜브(T) 측면 상에 부착한 후 이에 폴홀더(200)와 노걸이(300)가 형성된 부재의 결합핀(500) 부분을 삽입 결합하고 밀착프레임(600) 부분은 에어튜브(T)의 상부 외측 둘레면 일부에 안착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기존과 달리 낚시보트가 주행할 때 폴홀더(200)나 이를 에어튜브(T)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등에 의한 접촉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낚시보트의 주행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은 낚시보트에서 분리 및 해체가 간편하고 용이하기 때문에 낚시보트를 이동 및 휴대 시 편의성은 물론 공간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아울러 노걸이가 없는 낚시보트에 장착할 경우 자연스럽게 노걸이 기능을 겸비할 수 있어 낚시보트의 사용에 따른 편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고정부 110: 핀홀
200: 폴홀더 210: 나사구멍
300: 노걸이 400: 제1손잡이볼트
500: 결합핀 600: 밀착프레임
610: 나사구멍 700: 횡바
800: 제2손잡이볼트

Claims (3)

  1. 보트형 에어튜브(T)의 양쪽 외측면 상에 서로 대칭적으로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에어튜브(T)를 정박시키기 위해 수중바닥에 박는 폴(P)이 각각 삽입 장착되는 폴홀더(200)(200');
    상기 에어튜브(T)의 양쪽 외측면 상에 서로 대칭적으로 한 쌍이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홀(110)(110')이 각각 형성된 고정부(100)(100');
    상기 폴홀더(200)(200')들의 상부에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노걸이(300)(300');
    상기 폴홀더(200)(200')들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들의 핀홀(110)(110')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결합핀(500)(500'); 및
    상기 폴홀더(200)(200')들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에어튜브(T)의 상부 외측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착프레임(600)(600');
    을 포함하는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걸이(300)(300')는,
    상기 폴홀더(200)(200')를 회전축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는 회전링(310);
    상기 회전링(310)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노에 삽입 결합되는 노핀(320); 및
    상기 노핀(32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노의 이탈을 방지하는 노캡(330);
    을 포함하는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프레임(600)(600')들의 일측에 연결길이의 신축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싯대 거치대가 고정되는 횡바(700); 및
    상기 밀착프레임(600)(600')들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구멍(610)과 각각 나사 결합되어 조임 조작 시 상기 횡바(700)의 외측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밀착프레임(600)(600')들에 대한 상기 횡바(700)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제2손잡이볼트(800)(800');
    를 더 포함하는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
KR1020130042622A 2013-04-18 2013-04-18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 KR101386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622A KR101386451B1 (ko) 2013-04-18 2013-04-18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622A KR101386451B1 (ko) 2013-04-18 2013-04-18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451B1 true KR101386451B1 (ko) 2014-04-21

Family

ID=5065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622A KR101386451B1 (ko) 2013-04-18 2013-04-18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4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201B1 (ko) * 2015-09-07 2016-02-11 (주)미래해양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KR200485103Y1 (ko) * 2016-06-08 2017-12-28 박웅순 보트용 다용도 홀딩장치
KR101903292B1 (ko) * 2017-09-14 2018-11-13 강정모 간편 조립식 레저용 보트
KR200490965Y1 (ko) * 2019-04-25 2020-03-02 김웅규 낚시보트용 고정구
KR20200032835A (ko) * 2018-09-19 2020-03-27 강정모 조립식 레저보트의 에어튜브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147A (ko) * 1995-09-18 1997-04-28 모리 하루오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KR20000001175U (ko) * 1998-06-22 2000-01-25 권호택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147A (ko) * 1995-09-18 1997-04-28 모리 하루오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KR20000001175U (ko) * 1998-06-22 2000-01-25 권호택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결합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201B1 (ko) * 2015-09-07 2016-02-11 (주)미래해양 고무보트용 음향측심기 거치대
KR200485103Y1 (ko) * 2016-06-08 2017-12-28 박웅순 보트용 다용도 홀딩장치
KR101903292B1 (ko) * 2017-09-14 2018-11-13 강정모 간편 조립식 레저용 보트
KR20200032835A (ko) * 2018-09-19 2020-03-27 강정모 조립식 레저보트의 에어튜브 고정장치
KR102095648B1 (ko) * 2018-09-19 2020-03-31 강정모 조립식 레저보트의 에어튜브 고정장치
KR200490965Y1 (ko) * 2019-04-25 2020-03-02 김웅규 낚시보트용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451B1 (ko) 낚시보트 정박용 폴홀더유닛
KR200447541Y1 (ko) 선상 낚시대 받침대
US6672559B1 (en) Fishing pole holder
US7984686B1 (en) Canopy for kayak and canoe
CN205155499U (zh) 一种便于摄影的支架
US7685960B1 (en) Movable shade assembly for watercraft
US10477930B2 (en) Portable sun shade
KR101839928B1 (ko) 낚시대 거치구
KR101423001B1 (ko) 폴대 연결 웨빙
KR20140001659U (ko) 선상 낚싯대 받침대
KR20080003534U (ko)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KR100792228B1 (ko) 낚싯대용 받침대
KR20080105954A (ko) 전동모터 롤러 회전식 갈치잡이 낚시대
KR200458590Y1 (ko) 갯바위용 파라솔받침대
KR102070226B1 (ko) 낚시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
KR20080093647A (ko) 부력을 갖는 좌대
US10328998B2 (en) Dinghy support arrangement
KR100911333B1 (ko) 의자용 다용도 낚싯대 받침틀 지지장치
KR20110122392A (ko) 낚시용 좌대
JP3130303U (ja) 組合せ式多機能釣竿フレームの構造
KR20210104303A (ko) 의자에 장착되는 차양장치
KR20090035334A (ko) 낚싯대용 받침대
CN214786337U (zh) 一种景观亭
KR200311644Y1 (ko) 낚시보트용 텐트
KR102616586B1 (ko) 낚시의자용 가림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