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392A - 낚시용 좌대 - Google Patents

낚시용 좌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392A
KR20110122392A KR1020100041865A KR20100041865A KR20110122392A KR 20110122392 A KR20110122392 A KR 20110122392A KR 1020100041865 A KR1020100041865 A KR 1020100041865A KR 20100041865 A KR20100041865 A KR 20100041865A KR 20110122392 A KR20110122392 A KR 20110122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coupled
coupling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계환
Original Assignee
차덕영
강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덕영, 강계환 filed Critical 차덕영
Priority to KR1020100041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2392A/ko
Publication of KR20110122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2Platforms or seat-boxes specially adapted for angling, e.g. tackle boxes for use as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6Means to protect against w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05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hunting or f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는 중심부가 힌지 결합되어 접힐 수 있는 복수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들 사이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개의 좌대 커넥터 및 상기 프레임들 상에 안착되며, 프레임들 각각에 마련된 클립들에 의하여 고정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좌대부와, 상기 좌대부의 좌대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 또는 수면 상에서 상기 좌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좌대부의 프레임 상에 수직 배치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대부 내 일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좌대부와, 지지부와, 결합부 및 덮개부가 모두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조립에 의해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하여 휴대하기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강 중간 부근 등 수심이 깊은 곳에서 낚시를 하고자 할 경우에도 별도의 보트가 필요없이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를 이용하면 좌대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보트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편의적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좌대{SEAT SUPPORT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좌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낚시를 하고자 하는 사람이 수면 위에 앉아 낚시질을 할 수 있게 하는, 또한 수면 상에서 이동하면서 낚시질을 할 수 있게 하는 낚시용 좌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좌대는 강가 등 수심이 낮은 곳에 설치하여 소위 낚시꾼들이 그 위에 의자 등을 놓고 낚시를 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낚시용 좌대는 낚시대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좌대 본체 및 상기 좌대 본체에 고정되거나 결합되어 좌대 본체를 받쳐주고,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장에서 직접 설치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조립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낚시 좌대를 휴대하기 어려우며, 다른 장소로 옮기거나 재 설치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좌대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좌대 본체 및 지지대가 서로 결합된 구조이므로 좌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거나 조절한다고 하여도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있다.
한편, 낚시 좌대는 강가 주위 지면 부분에 고정 설치되므로, 수위의 증감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재설치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지만, 고정식 낚시 좌대는 이동이 불가능하여 이러한 수위 변동에 따른 장소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가 주변에 서식하는 물고기와 강 중심에 서식하는 물고기가 다르고, 낚고자 하는 대상어가 다르기 때문에 보트를 이용하여 강 중심으로 가서 낚시를 즐기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보통 보트를 타고 나가 낚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보트는 흐르는 물에서는 수면 상에 고정되지 않고, 또한 좌대로서 이용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하여 쉽게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고, 수심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며, 수면 상에서 이동이 자유로운 낚시용 좌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는 중심부가 힌지 결합되어 접힐 수 있는 복수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들 사이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개의 좌대 커넥터 및 상기 프레임들 상에 안착되며, 프레임들 각각에 마련된 클립들에 의하여 고정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좌대부와, 상기 좌대부의 좌대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 또는 수면 상에서 상기 좌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좌대부의 프레임 상에 수직 배치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대부 내 일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좌대 커넥터들 각각에 일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지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들 각각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는 복수개의 지지 커넥터와, 일단부가 상기 지지 커넥터들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서브 지지바와, 상기 서브 지지바들 각각의 타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들 각각에 형성된 프레임홀에 중첩 배치되는 지지홀을 가진 복수개의 서브 지지 커넥터 및 상기 서브 지지 커넥터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중첩된 상기 프레임홀들 및 상기 지지홀들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서브 지지 커넥터들 각각이 상기 프레임들 각각에 고정되게 하는 복수개의 지지핀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좌대부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면 상에서 상기 좌대부가 뜨게 하는 한 쌍의 부력체 및 일측이 상기 부력체들 각각의 전방 및 후방 외주면에 각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좌대 커넥터 각각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며, 부력 홀을 가진 복수개의 부력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들 중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가운데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바 및 상기 결합바들 각각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부에 복수개의 서브 결합홈을 가진 결합판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 및 상기 서브 결합홈에는 상기 덮개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폴대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폴대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차양막이 상기 좌대부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에 의하면, 좌대부와, 지지부와, 결합부 및 덮개부가 모두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조립에 의해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하여 휴대하기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가 용이하고, 일단 설치한 후 그 설치 위치의 이동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좌대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프레임이 반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이고, 복수개의 플레이트들이 서로 암수 배치되어 평판을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분해 시 각각이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며, 지지부 또한 각각을 분해할 수 있으므로, 분해 보관 시 그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가 지면 또는 수면 상에서 상기 좌대부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강가 근처나 보트로 이용하여 먼 곳에서의 낚시를 가능하게 해 주는 장점이 있다.
즉, 강 중간 부근 등 수심이 깊은 곳에서 낚시를 하고자 할 경우에도 별도의 보트가 필요없이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를 이용하면 좌대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보트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편의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좌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좌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좌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의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좌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좌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좌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 및 도 2의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100)는 좌대부(110)와, 지지부(120)와, 결합부(140) 및 덮개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좌대부(110)는 프레임(111)과, 좌대 커넥터(115) 및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1)은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4개가 구비되며, 상기 좌대 커넥터(115)를 매개로 서로 결합되어 4각의 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1)은 가운데 부분이 힌지 결합된 힌지 결합부(112)를 구비하며, 상기 힌지 결합부(112)를 중심으로 양측의 상기 프레임(111)을 서로 마주보는 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반으로 접어 그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112)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결합부(112)를 중심으로 양측의 프레임(111)을 편 후 상기 홀에 삽입되어 길게 펼쳐진 프레임의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핀(11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1)의 일면에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의 프레임 꽂이(11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꽂이(117)에는 낚시대(미도시)를 안착 지지하기 위한 지지 폴대(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1)의 양 측부에는 각각 프레임홀(11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111)의 일 측부에는 수평으로 회전 가능한 클립(118)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1)의 타면, 즉 상기 좌대 커넥터(115)에 의하여 4개의 프레임(111)이 서로 결합된 경우,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안착판(119)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119)들에는 단지 힌지 결합부(112)만 구비되어 반으로 접을 수 있는 서브 프레임(111a)들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좌대 커넥터(115)는 "ㄴ"자와 유사한 형태로, 양 단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11)의 단부와 암수 결합되되, 상기 좌대 커넥터(115)에 대해 상기 프레임(111)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ㄴ"자와 유사한 형태의 좌대 커넥터(115)에서 굴절된 부분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굴절된 부분의 외면 상에는 상기 덮개부의 끈이 결합되기 위하여 돌출된 끈 걸이(11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30)는 상기 프레임(111)들 및 상기 서브 프레임(111a)들 상에 안착되어 상기 좌대부(110)가 평판 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클립(118)이 상기 플레이트(130) 상으로 회전되어 상기 플레이트(130)가 상기 프레임(111)들 및 상기 서브 프레임(111a)들 상에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1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구비된 경우, 상기 플레이트(130)의 단부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플레이트(130)의 단부를 서로 중첩시키게 되면 암수 결합이 이루어져 상면에 돌출되는 부분이 없는 평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좌대부(110)를 지면이나 수면 상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좌대부(110) 중 좌대 커넥터(115)의 굴절된 부분에 형성된 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120)는 도 1과 같은 구조(이하 "제1 지지부"라 한다)일 수 있고, 도 2와 같은 구조(이하 "제2 지지부"라 한다)일 수 있다.
먼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부는 지지바(121)와, 지지 커넥터(123)와, 서브 지지바(122)와, 서브 지지 커넥터(124) 및 지지핀(125)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121)는 상기 좌대 커넥터(115)와 동일한 수가 구비되어 상기 좌대 커넥터(115)의 굴절된 부분에 형성된 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좌대부(11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커넥터(123)는 상기 좌대 커넥터(115)와 유사한 형태로, 굴절된 부분에 홀이 형성되고, 양 단부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홀 부분으로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나사 결합된 스토퍼가 구비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굴절된 부부의 홀에는 지지바(121)가 삽입 결합되는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지지 커넥터(123)는 상기 지지바(121) 상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으며, 조절된 높이 상에서 상기 지지 커넥터(123)가 고정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지지바(121)를 가압하면서 상기 지지 커넥터(123)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서브 지지바(122)는 일측단부가 상기 지지 커넥터(123)의 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부에는 지지핀(125)을 가진 서브 지지 커넥터(124)가 결합된다.
상기 서브 지지바(122)는 상기 좌대부(110)의 중심 부분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11)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111) 및 상기 지지바(121)와의 결합에 의해 삼각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지지바(122)는 상기 서브 지지 커넥터(124)에 대해(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서브 지지 커넥터(124)에도 홀이 형성되어 상기 서브 지지 커넥터(124)의 홀과 상기 프레임(111)에 형성된 프레임홀(114)의 중첩 및 상기 중첩된 부분에 상기 지지핀(125)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서브 지지바(122)를 상기 프레임(1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좌대부(110)를 수면 상에서 떠 있도록 부력체(126) 및 부력 커넥터(127)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체(126)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로켓 형상일 수 있으며,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좌대부(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력 커넥터(127)는 일측이 상기 부력체(126)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좌대 커넥터(115)의 굴절된 부분의 홀에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암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력 커넥터(127)의 타측에는 부력홀(12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부력홀(128)로는 상기 낚시용 좌대(100)가 수면 상에서 위치 고정되도록 고정바(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0)는 결합바(141) 및 결합판(143)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바(141)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마주하는 프레임(111)의 가운데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바(141)는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프레임(111) 각각의 프레임 꽂이(117)에 결합되며, 상부에 결합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판(143)은 상기 결합바(141)의 외측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복수개의 서브 결합홈(144)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판(143)은 원판 형태로, 일면이 상기 결합바(141)의 상부에 결합되고, 원주면에 복수개의 서브 결합홈(144)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60)는 일반적인 텐트와 유사한 것으로, 상기 좌대부(110)의 일부분을 덮어 차양하도록 폴대(162) 및 덮개막(161)을 포함한다.
상기 폴대(162)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3개가 구비되며, 1개는 상기 한 쌍의 결합바(141) 각각에 형성된 결합홈(142)에 각 단부가 삽입 결합되고, 나머지 2개는 한 쌍의 결합판(143) 각각에 형성된 서브 결합홈(144)에 각 단부가 삽입 결합되어 아치형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개의 폴대(162)는 서로 이격 배치되되,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홈(142)에 결합되는 폴대(162)는 상기 좌대부(11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서브 결합홈(144)에 결합되는 폴대(162) 중 하나는 상기 좌대부(110)에 근접하여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폴대(162)는 상기 수직 및 수평으로 배치된 폴대(162)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덮개막(161)은 상기 폴대(162)와 결합되어 상기 좌대부(110)의 일부분을 덮기 위한 것으로, 상기 폴대(16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140)에 결합 시 그 형태는 반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덮개막(161)이 반원 형태를 형성하게 하는 이유는 낚시꾼의 전방이 개방되어야 낚시대를 놓고 낚시질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낚시용 좌대(100)는 4개의 접을 수 있는 프레임(111)이 4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프레임(111) 사이에 좌대 커넥터(115)가 개재되어 4개의 프레임(111)을 결합시킨다.
상기 4개의 프레임(111)에 의하여 형성된 4각형의 내부 공간이 채워지도록 플레이트(130)를 프레임(111) 상에 안착시키고, 클립(118)에 의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낚시꾼이 직접 앉거나 앉을 의자 등을 놓을 수 있는 판상의 좌대부(110)가 완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좌대부(110)가 위치될 장소에 따라 제1 지지부나 제2 지지부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좌대부(110)를 강가 얕은 곳이나 강가 상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좌대부(110)에 상기 제1 지지부를 결합시킴에 의해 상기 좌대부(110)를 지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좌대부(110)를 강가의 중간 지점이나 강가로부터 떨어진 지점에 위치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제2 지지부를 상기 좌대부(1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보트처럼 노를 젓는 등의 방법으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고정바를 수면 아래의 지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좌대부(110)를 수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프레임(111) 상에 덮개부(160)를 결합시킴으로써, 기상 조건 등에 따라 바람이나 햇빛 등을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낚시용 좌대(100)에 의하면, 좌대부(110)와, 지지부(120)와, 결합부(140) 및 덮개부(160)가 모두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조립에 의해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하여 휴대하기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가 용이하고, 일단 설치한 후 그 설치 위치의 이동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좌대부(110)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프레임(111)이 반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이고, 복수개의 플레이트(130)들이 서로 암수 배치되어 평판을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분해 시 각각이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며, 지지부(120) 또한 각각을 분해할 수 있으므로, 분해 보관 시 그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20)가 지면 또는 수면 상에서 상기 좌대부(110)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강가 근처나 보트로 이용하여 먼 곳에서의 낚시를 가능하게 해 주는 장점이 있다.
즉, 강 중간 부근 등 수심이 깊은 곳에서 낚시를 하고자 할 경우에도 별도의 보트가 필요없이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100)를 이용하면 좌대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보트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편의적인 장점이 있다.
100...낚시용 좌대 110... 좌대부
111... 프레임 112... 힌지 결합부
113... 프레임 핀 114... 프레임홀
115... 좌대 커넥터 116... 끈 걸이
117... 프레임 꽂이 118... 클립
119... 안착판 120... 지지부
121... 지지바 122... 서브 지지바
123... 지지 커넥터 124...서브 지지 커넥터
125... 지지핀 126... 부력체
127... 부력 커넥터 128... 부력홀
130... 플레이트 140... 결합부
141... 결합바 142...결합홈
143... 결합판 144... 서브 결합홈
160... 덮개부 161... 덮개막
162... 폴대

Claims (4)

  1. 중심부가 힌지 결합되어 접힐 수 있는 복수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들 사이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개의 좌대 커넥터 및 상기 프레임들 상에 안착되며, 프레임들 각각에 마련된 클립들에 의하여 고정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좌대부;
    상기 좌대부의 좌대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 또는 수면 상에서 상기 좌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좌대부의 프레임 상에 수직 배치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대부 내 일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낚시용 좌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좌대 커넥터들 각각에 일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지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지지바;
    상기 지지바들 각각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는 복수개의 지지 커넥터;
    일단부가 상기 지지 커넥터들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서브 지지바;
    상기 서브 지지바들 각각의 타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들 각각에 형성된 프레임홀에 중첩 배치되는 지지홀을 가진 복수개의 서브 지지 커넥터; 및
    상기 서브 지지 커넥터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중첩된 상기 프레임홀들 및 상기 지지홀들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서브 지지 커넥터들 각각이 상기 프레임들 각각에 고정되게 하는 복수개의 지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좌대부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면 상에서 상기 좌대부가 뜨게 하는 한 쌍의 부력체; 및
    일측이 상기 부력체들 각각의 전방 및 후방 외주면에 각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좌대 커넥터 각각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며, 부력 홀을 가진 복수개의 부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들 중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가운데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바; 및
    상기 결합바들 각각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부에 복수개의 서브 결합홈을 가진 결합판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 및 상기 서브 결합홈에는 상기 덮개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폴대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폴대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차양막이 상기 좌대부의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
KR1020100041865A 2010-05-04 2010-05-04 낚시용 좌대 KR20110122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865A KR20110122392A (ko) 2010-05-04 2010-05-04 낚시용 좌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865A KR20110122392A (ko) 2010-05-04 2010-05-04 낚시용 좌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392A true KR20110122392A (ko) 2011-11-10

Family

ID=4539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865A KR20110122392A (ko) 2010-05-04 2010-05-04 낚시용 좌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23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945A (ko) * 2015-02-13 2016-08-23 박현철 낚시용 보트
KR200487140Y1 (ko) * 2017-12-12 2018-08-09 최용석 이동식 수상 낚시 좌대
KR20220012527A (ko) * 2020-07-23 2022-02-04 (주)동일레저 낚시 좌대용 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945A (ko) * 2015-02-13 2016-08-23 박현철 낚시용 보트
KR200487140Y1 (ko) * 2017-12-12 2018-08-09 최용석 이동식 수상 낚시 좌대
KR20220012527A (ko) * 2020-07-23 2022-02-04 (주)동일레저 낚시 좌대용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9147B1 (en) Underwater attachment system
US6571403B2 (en) Poolside accessory attachment system
US4883016A (en) Collapsible marine privacy chamber
US20070079434A1 (en) Device for lifting a spa cover
KR20110122392A (ko) 낚시용 좌대
KR100957874B1 (ko) 레저용 보트
US1575131A (en) Portable toilet
KR200468499Y1 (ko) 탈착이 용이한 수납부를 갖는 낚시용 좌대
KR101876083B1 (ko) 조립식 스탠딩 해먹장치
US5950256A (en) Foldable hot tub seat
US20030042390A1 (en) Floating bookstand
KR101282156B1 (ko) 수상 인공 수영장
KR200436313Y1 (ko) 절첩형 낚시 받침틀
KR20110115682A (ko) 낚시용 좌대
KR200444030Y1 (ko) 의자 장착용 낚시 거치대
KR101710836B1 (ko) 낚시용 좌대
US9015874B2 (en) Foldable hot tub seat
KR200437388Y1 (ko) 접이식 책 받침대
CN209489746U (zh) 一种新型可折叠卷式便携椅
KR20120008608U (ko) 야전침대용 받침대
KR101695643B1 (ko) 낚시용 좌대
KR20170002936U (ko) 낚시용 좌대
CN207803868U (zh) 一种可折叠式便携座椅
KR200462403Y1 (ko) 낚시도구의 앞 받침대 고정 조립체
CN210842324U (zh) 一种多功能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