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874B1 - 레저용 보트 - Google Patents

레저용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874B1
KR100957874B1 KR1020090035947A KR20090035947A KR100957874B1 KR 100957874 B1 KR100957874 B1 KR 100957874B1 KR 1020090035947 A KR1020090035947 A KR 1020090035947A KR 20090035947 A KR20090035947 A KR 20090035947A KR 100957874 B1 KR100957874 B1 KR 100957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boat
bar
recreational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양일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전양일
이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양일, 이종구 filed Critical 전양일
Priority to KR1020090035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2Awnings, including rigid weather protection structures, e.g. sunroofs; Tarpaulins; Accessories for awnings or tarpaul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8Rafts, i.e. free floating waterborne vessels, of shallow draft, with little or no freeboard, and having a platform or floor for supporting a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수의 사람들이 탑승하여 식사를 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레저용 보트에 관한 기술로서, 부력을 갖추어 물에 뜰 수 있으며 내부에는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시트부가 형성되고 외부 둘레는 육각 형태를 이루는 6개의 평면독킹면이 구비되는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동일한 보트를 서로 접촉시켜 집단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저용, 레저, 보트, 루프, 테이블, 바디, 육각형, 차양막, 시트부

Description

레저용 보트{Leisure boat}
본 발명은 소수의 사람들이 탑승하여 식사를 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레저용 보트에 관한 기술이다.
레저 문화가 발달되면서 사람들은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들과 보다 많은 시간을 갖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외식횟수 및 비용도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다. 주로 자동차를 이용하여 여행을 가거나 이름난 레스토랑과 같은 맛집을 찾아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가장 빈번하다.
하지만 점차 사람들은 보다 특별하며 독립적인 공간에서 색다른 경험을 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이런 경향에 따라 육상이 아닌 물 위에서 여가를 즐기고자 하는 사람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주로 규모가 있는 유람선이나 개인용 요트와 같은 것을 이용하게 되지만 이러한 것들은 비용부담이 높아 일반 서민들이 이용하는데 제약이 많았다.
따라서 소형이면서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레저용 보트의 필요성이 있었으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미국특허등록번호 제7404371호의 "플로팅 레져 플랫폼"이 있었다.
첨부되는 도1은 플로팅 레져 플랫폼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넛 형상의 바디를 갖추며 그 내부에 테이블과 같은 것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바디의 내면을 함몰되어 노치부가 구비되도록 하여 의자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햇빗을 가릴 수 있는 햇빛가리개(sun shade)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로서의 플로팅 레져 플랫폼은 둥근 도넛 형상의 바디를 갖추게 됨으로써 오로지 하나의 플랫폼만을 개별적으로 이용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인원이 많은 경우에는 서로 의사소통이나 이웃한 다른 플랫폼으로의 이동이 어렵게 되는 불편함이 많았다. 또한, 햇빛가리개는 고정된 형식이라 사용치 않거나 차량을 이용한 육로이송의 경우에 상당한 불편함과 위험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대의 보트를 쉽게 연결시켜서 집단화를 이룰 수 있는 구조로 제공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서로 이웃한 보트로 왕래가 자유롭도록 하여 편리함을 갖춘 레저용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한다.
또한, 이동이나 보관시에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바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루프(roof)가 쉽게 조립 분해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레저용 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레저용 보트로서 부력을 갖추어 물에 뜰 수 있으며 내부에는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시트부가 형성되고 외부 둘레는 육각 형태를 이루는 6개의 평면독킹면이 구비되는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동일한 보트를 서로 접촉시켜 집단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레저용 보트로서, 부력을 갖추어 물에 뜰 수 있으며 내부에는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시트부가 형성되는 바디와; 돔 형상을 이루며 2개 이상이 서로 평행하도록 양단부가 상기 바디의 상단 가장자리에 회동되면서 접힐 수 있게 설치되는 메인바아들과; 상기 메인바아들과 교차되면서 설치되되 클램프가 구비되어 위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의 보조바아들과; 상기 보조바아 상측으로 설치되는 루프(roof);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는 그 외부 둘레가 육각 형태를 이루는 6개의 평면독킹면이 구비되어 동일한 보트를 서로 접촉시켜 집단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는 각각의 평면독킹면 상단 부근에 돌출된 연결매개체가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는 보트를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는, 기본적인 골격을 이루는 뼈대과; 상기 뼈대를 감싸 외형을 이루어 부력을 형성하게 되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의 내부면을 따라 결합되며 등받이, 좌판 및 다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판 하측에는 보관함이 설치될 수 있는 보관함공간부가 형성되는 호형의 시트단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시트단위체들이 연이어 설치되어 둥근 시트부를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루프(roof)는 접힐 수 있는 차양막이거나 돔 형상으로 일정한 형태를 갖는 판상루프로서 상기 판상루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를 제안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판상루프는 태양광을 받아 에너지화할 수 있는 집광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프는 메인바아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한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좌우측으로는 보조바아 연결구가 구비되는 클램프 블럭과; 상기 클램프 블럭 내부에서 회동핀에 의해 연결되며 클램프 블럭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조정핸들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동핀을 기준으로 개폐동작됨으로써 삽입홈에 안치되는 메인바아를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 아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루프는 메인바아를 따라서 루프의 설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거나 상기 루프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는 시트부보다 안쪽으로 바디의 중심부에 테이블이나 취사기구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평면독킹면 중 어느 한곳은 사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낮게 함몰된 출입부가 형성되며, 또 다른 한면에는 추진용 엔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보관함공간부에는 배터리, 냉장고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저용 보트는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대를 집단화시켜서 안정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물위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레저용 보트는 여러대를 연결시켜서 집단화시키게 되면 사람들이 이웃한 다른 보트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집단화됨으로써 전복될 위험도 줄여줄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저용 보트는 루프(roof)가 자유롭게 위치조정이 될 수 있고 쉽게 조립 분해되어 보관이나 차량을 이용한 이동시 편리하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레저용 보트에 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을 전개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련도면을 첨부하도록 한다.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구체화될 수 있는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것임을 지적해두며, 타인에 의한 단순한 변형 실시예들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보트는 물에 뜰 수 있는 바디를 갖추며 상기 바디 내부에 다수의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특히 사람들이 바디 내부에 구비되는 시트부에 원을 이루면서 앉아 음식을 먹거나 담소를 나눌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즉, 바디 내부는 시트부가 둥글게 배치되며 상기 바디의 외면은 원형이나 다각형일 수 있다.
그리고 바디 상부로는 기본적으로 햇빛을 가려줄 수 있는 루프(roof)가 형성되는데, 특히 본 발명의 루프는 그 위치조정이 용이하고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이동시나 보관시에는 루프를 포함한 메인바아 및 보조바아를 접거나 분리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제1실시예>
첨부되는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보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3은 평면도에 해당되고, 도4는 도3에서 A-A선 단면도에 해당된다. 그리고 도5는 바디의 골조를 이루는 뼈대를 보야주는 사시도이며, 도6은 바디를 프레임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7은 프레임에 설치되는 시트단위체의 사시도에 해당된다. 한편, 도8은 개개의 보트를 집단화시킨 경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레저용 보트의 실사용 상태도를 보여주고, 도10은 본 레저용 보트를 이동하기 위해 루프 등을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업 예시도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의 레저용 보트는 기본적으로 바디(100)를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바디(100)는 부력을 갖추어 물에 뜰 수 있는 것이며 내부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시트부(110)에 앉아서 여가를 보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바디(100)의 형상으로는 하나의 보트를 중심으로 여러개의 보트를 접촉시킨 상태로 연결하여 집단화시킬 수 있도록 바디(100)의 외부 둘레는 6개의 평면독킹면(120)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평면독킹면(120)은 이웃하는 보트끼리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매끈하게 형성되는 부위를 의미하며 대략 육각형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8에 보이듯이 6개의 평면독킹면(120)을 갖는 본 발명의 보트는 여러 대를 서로간 이격공간이 넓지 않게 하면서 연속적으로 연결시켜서 집단체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여러 대의 보트를 연결함에 있어서는 상기 평면독킹면(120)에 해당되는 부위 상단부에 돌출된 연결매개체(121)를 두어서 로프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보트들끼리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매개체(121)로 문고리 형상과 같이 돌출된 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외에도 이웃하는 보트끼리 구속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얼마든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바디(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바디(100)의 전체적인 외형은 6개의 평면독킹면(120)을 갖추어 집단화시킬 수 있는 것이되, 상기 바디(100)는 더욱 세분하여 뼈대(100a), 프레 임(100b) 및 시트단위체(10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뼈대(100a)는 바디(100)의 기본적인 골격을 이루는 것이며 중량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뼈대(100a)를 감싸게 되며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어 부력을 갖도록 하는 프레임(100b)이 상기 뼈대(100a)와 일체화되게 성형된다. 상기 프레임(100b)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토록 하는데 대표적으로 폴리에틸렌(PE), 폴리우레탄(PU), 폴리프로필렌(PP)와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금형에서 뼈대(100a)를 감싸도록 성형하도록 한다. 도6은 내부에 뼈대를 갖는 프레임을 보여주며 그 내부는 둥근 원형을 이루고 외부는 육각형 형태나 원형 혹은 그 외 다각형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한편, 바디(100)를 이루는 또 다른 요소로 시트단위체(100c)가 있으며 상기 시트단위체(100c)는 여러 개가 서로 인접되어 프레임(100) 내부에 장착이 되는 것이다. 도7은 하나의 시트단위체를 보여주는데 각각의 시트단위체(100c)는 최소한 한 사람이 앉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좌판(100c-1)을 갖는 것으로 하되, 등받이(100c-2), 다리부(100c-3) 및 좌판(100c-1) 하측에는 보관함공간부(100c-4)가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수의 시트단위체(100c)가 프레임(100b) 내부에 장착되면 원형을 이루는 시트부(110)가 형성되는데 따라서 각각의 시트단위체(100c)는 호형을 이루는 형태로 제작된다.
시트단위체(100c)를 구성하는 등받이(100c-2)는 그 상단부가 프레임(100b)의 내측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다리부(100c-3)는 좌판(100c-1)의 하측으로 연장되면서 프레임(100b)의 바닥부와 접촉되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2명 정도의 성인이 앉을 수 있는 좌판(100c-1)을 갖는 사이즈로 하나의 시트단위체(100c)를 구성하고 있는데, 다리부(100c-3)는 전후좌우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트단위체(100c)의 하부면인 좌판(100c-1)의 아래쪽에는 다리부(100c-3)의 사이사이로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곳을 보관함공간부(100c-4)라 부르기로 한다. 상기 보관함공간부(100c-4)는 서랍과 같은 보관함을 삽입시킬 수 있는 곳으로 상기 보관함에 탑승자의 물품이나 각종 필요장비들을 넣어둘 수 있도록 한다. 후술하겠지만 시트단위체의 하부측에는 배터리나 소형 냉장고와 같은 필수물품들이 장착되는 장소로 활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 및 형태의 바디에 햇빛을 가려줄 수 있는 루프(roof)(20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루프(200)의 설치를 위해서는 메인바아(300) 및 보조바아(400)가 활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바디(100)의 형상은 평면독킹면(120)을 갖는 육각형의 외형을 갖는 것이 될 수도 있지만, 이하 서술되는 루프(200) 및 이를 위한 설치구조가 결합되는 보트에 있어서는 상기 바디는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즉, 루프(200)가 결합되는 보트의 경우 바디(100)는 원형이 될 수도 있고, 육각형 외에 다각형으로서 구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루프(roof) 및 이것의 설치구조는 그 자체로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인 바, 보트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상기 루프(roof)(200) 및 이를 위한 메인바아(300) 그리고 보조바아(400)의 구체적인 형태 및 설치상태는 이미 설명한 육각형의 바디(100)를 갖는 보트에 결합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2, 도3, 도4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상단 가장자리에 돔 형상을 이루는 2개의 메인바아(300)가 서로 평행하면서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각각의 메인바아(300)는 그 하단부가 연결브라켓(130)에서 회동샤프트(131)로 구속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130)에는 메인바아(3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핀(133)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고정핀홀(132)이 구비된다. 따라서 메인바아(300)를 직립되게 세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내측 혹은 외측으로 회전시켜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물론 이동 등을 위해 메인바아(300)를 완전히 접히게 하는 경우에는 두개의 메인바아(300)가 서로 겹치면서 포개어지게 최대로 회전되게 하면 된다.
상기 메인바아(300)와 교차되면서 다수의 보조바아(400)들이 결합되며 상기 보조바아(400) 상측에 루프(roof)(200)가 연결된다. 상기 보조바아(400)로 본 실시예의 경우 3개의 보조바아(400)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메인바아(300)들과 교차되게 설치되는데, 보조바아(400)와 메인바아(300)간의 연결은 상기 보조바아(400)에 구비되는 클램프(410)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즉, 상기 클램프(410)는 보조바아(400)의 일부를 이루는 요소로서 도11은 상기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12는 클램프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램프(410)는 크게 클램프 블럭(410a)과 클램프 아암(410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 블럭(410a)은 대략 사각형태를 취하고 상부 면은 오목하게 함몰된 삽입홈(411)이 구비되어 메인바아(300)가 삽입홈(411)에 놓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 블럭(410a)의 좌우측으로 보조바아 연결구(412)가 형성되어 길다란 바아를 조립시켜 하나의 보조바아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보조바아 연결구(412)에 봉상의 바아가 연결된 전체가 보조바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 블럭(410a) 내부에 회동 동작되면서 삽입홈(411)에 위치한 메인바아(300)를 잡아 고정시킬 수 있는 클램프 아암(410b)이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 아암(410b)은 도11 또는 도12에 보이듯이 클램프 블럭(410a)의 좌우 측면을 통해 내부로 삽입된 형태로 조정핸들(413)의 조작에 따라 회동동작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클램프 아암(410b)은 대략 ㄷ 자 형태를 이루고 있되, 하단부 근처에서 클램프 블럭(410a)과 회동핀(414)으로 구속되며 내측으로 구부러진 하측 절곡부는 조정핸들(413)과 연결된다. 상기 조정핸들(413)은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조정핸들의 이동방향에 따라 클램프 아암(410b)은 회동핀(414)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방향 혹은 외측방향으로 개폐동작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정핸들(413)의 위치가 가장 하방에 있을 때 상기 클램프 아암(410b)은 닫히게 되어 삽입홈(411)에 위치되는 메인바아(300)를 구속시켜주게 되며, 조정핸들(413)을 상방으로 이동되게 하면 점차 클램프 아암(410b)은 열리게 되어 삽입홈(411)으로부터 메인바아(30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바아(300)와 보조바아(400)를 두는 목적은 적당한 루프(roof)(200)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루프(200)는 기본적으로 햇빛을 가려주거나 우천시 비를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루프(200)는 크게 두가지 타입의 것이 활용될 수 있는데, 먼저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루프(200)는 볼록한 돔 형상으로 일정한 형태를 갖는 판상루프(200a)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 다른 형태인 차양막 구조는 이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정한 형태를 갖는 판상루프(200a)는 비교적 경질상태로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볼록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판상루프(200a)를 보조바아(400)에 연결하는 것은 여러 방식이 적용될 수 있겠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조바아(400)에 구비되는 클램프(410)의 클램프 블럭(410a)과 판상루프(200a)를 나사와 같은 수단으로 체결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판상루프(200a) 역시 보조바아(400)와 결합되게 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준비된 보조바아(400)에 판상루프(200a)를 먼저 연결시킨 후 직립되게 세워진 메인바아(300)에 보조바아(400)의 클램프(410)를 구속시킴으로써 루프(200)의 설치를 완료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메인바아(300)에 탈부착될 수 있는 보조바아(400)는 클램프(410)의 조작으로 메인바아(300)에 느슨하게 보조바아(400)를 연결시킨 후 원하는 위치에서 보조바아(400)를 고정 연결시키도록 한다. 즉, 태양의 위치에 따라 루프(200)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햇빛을 가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루프(200)로서 일정한 형태를 갖는 판상루프(200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태양광을 수광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다수의 집광판(210)을 더 결합시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 자체 는 공지의 것인 바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보트는 상업적 목적으로 대량으로 특정 유원지 등에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인이 보트를 구입하여 차량에 싣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관성이나 이동성이 좋아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메인바아(300), 보조바아(400) 및 루프(200)는 개별적으로 분리시켜서 간편하게 바디 위에 쌓아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루프(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보조바아(400)에 연결된 루프(200)를 분리시키도록 한 후 보조바아(400)를 메인바아(30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직립되게 세워졌던 메인바아(300)를 회전시켜서 두개가 포개어지는 형태가 되게 접도록 한다. 그런 다음 분리된 보조바아(400) 및 루프(200)를 바디(100) 위에 포개어 놓게 되면 전체적인 보트의 높이가 낮아져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100) 내부 중심부에는 시트부(110)보다 안쪽으로 테이블(T)이나 취사기구(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6에 보이듯이 바디(100)를 이루는 프레임(100b) 중심부에 테이블(T)과 같은 것을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설치좌대(101)를 두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원형 테이블이나 바베큐 등을 요리할 수 있는 취사도구를 연결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레저용 보트는 바디(100)에 구비되는 6개의 평면독킹면(120) 중 어느 한 곳은 사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낮게 함몰되어 출입부(102)를 구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또 다른 한 면에는 소형의 추진용 엔진(103)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트에 사용되는 추진용 엔진(103)은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받아 동작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친환경 정책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루프(200)에 설치되는 집광판(210)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적합하다. 이를 위해 바디(100)를 구성하는 시트부(110)의 보관함공간부(100c-4)에는 배터리를 보관하여 두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관함공간부에는 탑승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소형 냉장고를 설치하여 두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레저용 보트로서 제2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3은 제2실시예에 의한 레저용 보트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14는 루프가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15는 레저용 보트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에서의 레저용 보트는 이미 설명한 제1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나 루프에 차이점을 두고 있다. 즉, 본 제2실시에에서 사용되는 루프(200)는 차양막(200b) 형태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 차양막의 폭을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도13에 보이듯이 차양막(200b)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14 또는 도15와 같이 썬텐을 하고자 하거나 햇빛이 강하지 않는 날에는 차양막을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실시예에서의 루프로서 판상루프(200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조바아(400)의 클램프 블럭(410a)에 대해 차양막(200b)을 결합시키면 되며 클램프(410)의 조정으로 전체적인 위치를 조정하거나 메인바아(300)로부터 보조바아(4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레저용 보트는 이동성이나 보관성이 좋고 루프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대의 보트를 연결시켜서 집단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상업적으로 활용되기에 적합하여 그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술이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로팅 레져 플랫폼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보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3은 평면도.
도4는 도3에서 A-A선 단면도.
도5는 바디의 골조를 이루는 뼈대를 보야주는 사시도.
도6은 바디를 프레임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7은 프레임에 설치되는 시트단위체의 사시도.
도8은 개개의 보트를 집단화시킨 경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레저용 보트의 실사용 상태도.
도10은 본 레저용 보트를 이동하기 위해 루프 등을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업 예시도.
도11은 클램프의 사시도.
도12는 클램프의 단면도.
도13은 제2실시예에 의한 레저용 보트의 사시도.
도14는 루프가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15는 레저용 보트의 측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바디 110 : 시트부
120 : 평면독킹면 121 : 연결매개체
130 : 연결브라켓 131 : 회동샤프트
132 : 고정핀홀 133 : 고정핀
100a: 뼈대 100b: 프레임
100c: 시트단위체 100c-1:좌판
100c-2:등받이 100c-3:다리부
100c-4:보관함공간부 200 : 루프
200a: 판상루프 200b: 차양막
210 : 집광판 300 : 메인바아
400 : 보조바아 410 : 클램프
410a: 클램프 블럭 410b: 클램프 아암
411 : 삽입홈 412 : 보조바아연결구
413 : 조정핸들 414 : 회동핀 101 : 설치좌대 102 : 출입부
103 : 추진용 엔진 T : 테이블

Claims (12)

  1. 삭제
  2. 레저용 보트로서,
    부력을 갖추어 물에 뜰 수 있으며 내부에는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시트부가 형성되는 바디와;
    돔 형상을 이루며 2개 이상이 서로 평행하도록 양단부가 상기 바디의 상단 가장자리에 회동되면서 접힐 수 있게 설치되는 메인바아들과;
    상기 메인바아들과 교차되면서 설치되되 클램프가 구비되어 위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의 보조바아들과;
    상기 보조바아 상측으로 설치되는 루프(roof);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그 외부 둘레가 육각 형태를 이루는 6개의 평면독킹면이 구비되어 동일한 보트를 서로 접촉시켜 집단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각각의 평면독킹면 상단 부근에 돌출된 연결매개체가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는 보트를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기본적인 골격을 이루는 뼈대과;
    상기 뼈대를 감싸 외형을 이루어 부력을 형성하게 되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면을 따라 결합되며 등받이, 좌판 및 다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판 하측에는 보관함이 설치될 수 있는 보관함공간부가 형성되는 호형의 시트단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시트단위체들이 연이어 설치되어 둥근 시트부를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roof)는,
    접힐 수 있는 차양막이거나 돔 형상으로 일정한 형태를 갖는 판상루프로서 상기 판상루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루프는,
    태양광을 받아 에너지화할 수 있는 집광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메인바아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한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좌우측으로는 보조바아 연결구가 구비되는 클램프 블럭과;
    상기 클램프 블럭 내부에서 회동핀에 의해 연결되며 클램프 블럭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조정핸들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동핀을 기준으로 개폐동작됨으로써 삽입홈에 안치되는 메인바아를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 아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메인바아를 따라서 루프의 설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거나 상기 루프를 분 리시킬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시트부보다 안쪽으로 바디의 중심부에 테이블이나 취사기구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독킹면 중 어느 한곳은 사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낮게 함몰된 출입부가 형성되며, 또 다른 한면에는 추진용 엔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공간부에는,
    배터리, 냉장고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KR1020090035947A 2009-04-24 2009-04-24 레저용 보트 KR100957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947A KR100957874B1 (ko) 2009-04-24 2009-04-24 레저용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947A KR100957874B1 (ko) 2009-04-24 2009-04-24 레저용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874B1 true KR100957874B1 (ko) 2010-05-13

Family

ID=4228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947A KR100957874B1 (ko) 2009-04-24 2009-04-24 레저용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87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806B1 (ko) * 2011-12-21 2014-02-27 김은주 레저용 수상열차
KR101559490B1 (ko) 2014-04-11 2015-10-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잠수장비 거치장치
WO2016017955A1 (ko) * 2014-07-31 2016-02-04 주식회사 고션 반잠수형 레저보트
KR20160019162A (ko) * 2014-08-11 2016-02-19 공성민 수상 레저용 보트
WO2016170201A1 (es) * 2015-04-24 2016-10-27 Darzal Arquitectura Y Construcción, S.L.U Plataforma flotante para uso recreativo en entornos acuáticos
KR102005697B1 (ko) * 2019-04-02 2019-10-02 주식회사 무빙보트 수질 개선 기능을 갖는 수상 레저 보트
KR20230135325A (ko) 2022-03-16 2023-09-25 박동진 수상 레저용 보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8478A1 (en) * 2002-06-07 2004-02-12 David Lekhtman Modular dock system
US7404371B2 (en) * 2003-10-02 2008-07-29 Sebastian Schmitt Floating leisure platfor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8478A1 (en) * 2002-06-07 2004-02-12 David Lekhtman Modular dock system
US7404371B2 (en) * 2003-10-02 2008-07-29 Sebastian Schmitt Floating leisure platfor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806B1 (ko) * 2011-12-21 2014-02-27 김은주 레저용 수상열차
KR101559490B1 (ko) 2014-04-11 2015-10-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잠수장비 거치장치
WO2016017955A1 (ko) * 2014-07-31 2016-02-04 주식회사 고션 반잠수형 레저보트
KR20160019162A (ko) * 2014-08-11 2016-02-19 공성민 수상 레저용 보트
KR101650237B1 (ko) * 2014-08-11 2016-08-22 공성민 수상 레저용 보트
WO2016170201A1 (es) * 2015-04-24 2016-10-27 Darzal Arquitectura Y Construcción, S.L.U Plataforma flotante para uso recreativo en entornos acuáticos
KR102005697B1 (ko) * 2019-04-02 2019-10-02 주식회사 무빙보트 수질 개선 기능을 갖는 수상 레저 보트
KR20230135325A (ko) 2022-03-16 2023-09-25 박동진 수상 레저용 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874B1 (ko) 레저용 보트
US5004296A (en) Floating lounge chair
US20150059637A1 (en) Standup Paddle Board Station
US7404371B2 (en) Floating leisure platform
US10272976B1 (en) Floating bar apparatus
CN108583777A (zh) 一种便携手提箱式自回正水上娱乐艇
US20230132394A9 (en) Modular system for a room, for a living, work or storage area, or for other three-dimensional spaces
US7789459B1 (en) Octagonal patio picnic table with accessories
KR20180091574A (ko) 수륙양용 보트 밴
CN104494790A (zh) 一种海上休闲垂钓设施
CN201164161Y (zh) 五栖运动魔方旅行箱
US8196988B1 (en) Toolbox camper
US10494067B1 (en) Melloship: personal watercraft for relaxation
US3471875A (en) Portable fishing float
CN111267710A (zh) 带游艇的房车
CN213594475U (zh) 可集成于房车中的多功能游艇
CN108583776A (zh) 一种可自动缩涨的便携式水上自平衡娱乐船
CN208393587U (zh) 可自动缩涨的便携式水上自平衡娱乐船
CN111267709A (zh) 可集成在房车中的游艇
CN215904392U (zh) 一种自带游艇的通勤旅居两用房车
CN210063310U (zh) 一种分体式游乐钓鱼船
KR20110122392A (ko) 낚시용 좌대
CN211844214U (zh) 可集成在房车中的游艇
CN218163704U (zh) 景观树池组件
CN113771725A (zh) 一种自带游艇的通勤旅居两用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