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659U - 선상 낚싯대 받침대 - Google Patents

선상 낚싯대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659U
KR20140001659U KR2020120008140U KR20120008140U KR20140001659U KR 20140001659 U KR20140001659 U KR 20140001659U KR 2020120008140 U KR2020120008140 U KR 2020120008140U KR 20120008140 U KR20120008140 U KR 20120008140U KR 20140001659 U KR20140001659 U KR 201400016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pedestal
support
fixe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민
Original Assignee
이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민 filed Critical 이광민
Priority to KR2020120008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659U/ko
Publication of KR201400016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65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상 낚싯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선상의 난간 봉체(A)를 감싸서 한쌍의 고정쇠(100, 100')와; 상기 고정쇠(100, 100') 상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낚싯대 받침대를 지지하는 직육면체 상의 지지대(200)와; 하부가 'ㄷ'자상 홈을 이루고 상부 윗면 가장자리에 방사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회전베이스(300)와; 상기 회전베이스(300)에 결합되는 낚싯대 받침대(400)와; 상기 회전베이스(300)와 낚싯대 받침대(400)를 결합 고정하는 결합수단(500)과; 상기 낚싯대 받침대(400)의 전방 선단에 설치되어 낚싯대(F)가 거치되는 'Y'자형 거치대(600)와; 상기 낚싯대 받침대(400)의 후방 선단에 설치되는 받침대 브라켓(700) 및; 상기 받침대 브라켓(700)에 결합되어 낚싯대(F) 후방을 고정하는 낚싯대 고정부재(800)로 구성되어 선상 난간의 봉체에 설치하기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낚싯대 받침대로부터 낚싯대의 탈착이 용이하며, 낚싯대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변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비 사용시 낚싯대 받침대로부터 낚싯대를 분리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세워 놓을 수 있으면서 구조가 단순하고 간단하여 제품의 가격 저렴으로 경제성이 탁월한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선상 낚싯대 받침대 {Stay bar for a fishing rod on the ship}
본 고안은 선상 낚싯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아진 물고기의 무게에 의해 발생할 낚싯대의 손상을 방지해줌과 동시에 선상 난간에 설치 고정이 견고하고 낚싯대의 거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시의 거치와 비 사용시의 임시적인 세움 사이의 변환을 손쉽게 할 수 있어 선상에서 편하게 낚시를 할 수 있는 선상 낚싯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정신적인 안정을 얻기 위해 자연과 친화될 수 있는 다양한 취미활동을 많이 하고 있는바, 그 중 낚시는 호수, 강, 바다 등에서 낚싯대를 이용하여 고기를 낚는 야외활동으로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취미활동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낚시는 흔히 강가나 호숫가 또는 방파제 등에서 하나 또는 다수개의 낚싯대를 펼쳐놓고 하게 되는데, 이때, 대부분이 낚싯대를 걸쳐놓을 수 있는 낚싯대용 받침대를 사용하여 낚시를 즐기게 된다.
최근에는 강물을 가로질러 설치된 다리 위에서 하거나 선상에서 낚시를 즐기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일반적인 낚싯대 받침대는 주로 갯바위의 바위 틈새나 모래사장 등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침봉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 래치기어 등의 회전가능 수단을 구비하여 높낮이와 방향조절 기능만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낚싯대 받침대들은 선상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선상에서 이용하기 어려워 그 효율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2338호(낚싯대 받침장치)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는 낚싯대 지지간의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낚싯대 받침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다리의 가드레일이나 방파제의 난간 또는 선상의 난간에 하나 또는 다수의 낚싯대를 받쳐 놓고 낚시를 하는 경우, 다리나 방파제 또는 선상의 난간을 구성하는 가드레일 같은 구조물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낚싯줄이 드리워지는 물의 깊이나 찌의 높이 등 제반 낚시조건에 따라 낚싯대의 받침높이와 기울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나, 받침대로부터 낚싯대를 이탈시키는 것이 불편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고, 비 사용시에 받침대에 낚싯대를 세워두기 곤란한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4088호(낚싯대 받침대)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는 설치대상물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와 낚싯대를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대가 구비되어 있는 낚싯대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주로 방파제나 선상(船上)의 난간 등과 같은 구조물 등에 간편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조임쇠로 선상의 난간을 이루는 파이프에 고정 설치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4686호(진공 흡착 고정식 낚시 받침대)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는 낚시 받침대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진공 흡착판을 구비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낚시 받침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낚시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낚시 받침대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진공 흡착판을 구비하여 낚시용 아이스박스, 자동차 표면, 낚시용품 등 매끄러운 표면에 부착, 고정함으로써 갯바위, 절벽, 배 갑판 등 다양한 환경에서 낚시 받침대를 고정시킬 수 있고, 거치대의 각도와 길이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최소한의 부피로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는 것이지만, 이 또한 진공 흡착판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어서, 선상의 난간을 이루는 원통상 파이프에 고정 설치할 수 없거나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7541호로서 "선상 낚싯대 받침대"가 등록실용신안공보에는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7541호의 "선상 낚싯대 받침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 받침대에 있어서, 개구가 위를 향하는 ㄷ자형상을 이루어 선상에 설치되는 외부케이스(10); 상기 외부케이스(10)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개구가 위를 향하는 ㄷ자형상을 이루어 일측이 회전되게 외부케이스(10)의 내부에 끼움 설치되며, 타측에는 외부케이스(10)와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된 내부케이스(20); 선단에 낚싯대(1)의 중간을 끼워 안치할 수 있는 U자형의 안치부를 갖고, 상기 내부케이스(20)의 타측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30); 및 상기 내부케이스(20)의 일측에 탈착되게 설치되어 받침부재에 안치되는 낚싯대의 손잡이를 잡아 고정하도록 조임너트(42)와 고정부재(45) 및 트리거(49)를 구비하는 손잡이 고정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 하부에는 난간(2)에 조임너트(73)로 탈착하기 위해 나사를 조여 개곡선을 폐곡선으로 형성하는 고정쇠부재(71)가 설치되어 낚아진 물고기의 무게에 의해 발생될 낚싯대의 손상을 방지해줌과 동시에 선상에서 편하게 낚시를 할 수 있도록 간편히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상 낚싯대 받침대는 난간(2)에 설치한 상태에서 낚싯대의 앞 선단의 방향을 좌우로 회전시켜 조절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고, 비 사용시 낚싯대를 선상 낚싯대 받침대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는 받침대에 낚싯대를 세워둘 수 없는 불편함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선상 낚싯대 받침대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선상 난간의 봉체에 설치하기 간편하면서 낚싯대 받침대로부터 낚싯대의 탈착이 용이한 선상 낚싯대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낚싯대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변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비 사용시 낚싯대 받침대로부터 낚싯대를 분리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세워 놓을 수 있으면서 구조가 단순하고 간단하여 제품의 가격 저렴으로 경제성이 탁월한 선상 낚싯대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선상 낚싯대 받침대는 선상의 난간 봉체(A)를 감싸서 한쌍의 고정쇠(100, 100')와; 상기 고정쇠(100, 100') 상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낚싯대 받침대를 지지하는 직육면체 상의 지지대(200)와; 하부가'ㄷ'자상 홈을 이루고 상부 윗면 가장자리에 방사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회전베이스(300)와; 상기 회전베이스(300)에 결합되는 낚싯대 받침대(400)와; 상기 회전베이스(300)와 낚싯대 받침대(400)를 결합 고정하는 결합수단(500)과; 상기 낚싯대 받침대(400)의 전방 선단에 설치되어 낚싯대(F)가 거치되는 'Y'자형 거치대(600)와; 상기 낚싯대 받침대(400)의 후방 선단에 설치되는 받침대 브라켓(700) 및; 상기 받침대 브라켓(700)에 결합되어 낚싯대(F) 후방을 고정하는 낚싯대 고정부재(8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선상 난간의 봉체에 설치하기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낚싯대 받침대로부터 낚싯대의 탈착이 용이하며, 낚싯대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변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비 사용시 낚싯대 받침대로부터 낚싯대를 분리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세워 놓을 수 있으면서 구조가 단순하고 간단하여 제품의 가격 저렴으로 경제성이 탁월한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선상 낚싯대 받침대를 선상 난간의 봉체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선상 낚싯대 받침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선상 낚싯대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고정부재가 받침대 브라켓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고정부재가 받침대 브라켓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 선상 낚싯대 받침대를 선상 난간의 봉체에 설치한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선상 낚싯대 받침대의 비 사용시 낚싯대를 세워 놓은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선상 낚싯대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선상 낚싯대 받침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선상 낚싯대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고정부재가 받침대 브라켓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고정부재가 받침대 브라켓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 선상 낚싯대 받침대를 선상 난간의 봉체에 설치한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선상 낚싯대 받침대의 비 사용시 낚싯대를 세워 놓은 사용 상태도로서, 본 고안 선상 낚싯대 받침대는 선상의 난간 봉체(A)를 감싸서 한쌍의 고정쇠(100, 100')와; 상기 고정쇠( 100, 100') 상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낚싯대 받침대를 지지하는 직육면체 상의 지지대(200)와; 하부가 'ㄷ'자상 홈을 이루고 상부 윗면 가장자리에 방사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회전베이스(300)와; 상기 회전베이스(300)에 결합되는 낚싯대 받침대(400)와; 상기 회전베이스(300)와 낚싯대 받침대(400)를 결합 고정하는 결합수단(500)과; 상기 낚싯대 받침대(400)의 전방 선단에 설치되어 낚싯대(F)가 거치되는 'Y'자형 거치대(600)와; 상기 낚싯대 받침대(400)의 후방 선단에 설치되는 받침대 브라켓(700) 및; 상기 받침대 브라켓(700)에 결합되어 낚싯대(F) 후방을 고정하는 낚싯대 고정부재(8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쇠(100, 100') 각각은 상기 지지대(200)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쇠(101)와; 상기 고정부쇠(101)의 좌우 단부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설치되는 고리쇠(102, 102')와; 상기 고리쇠(102, 102')를 결합하는 나비볼트(103)와; 상기 고리쇠(102, 102')를 관통하여 선상 난간 봉체(A)에 고정쇠(100, 100')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0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베이스(300)는 하부 'ㄷ'자상 홈에 상기 지지대(200)가 삽입되어 볼트(301a)로 고정되는 하부 결합부(301)와; 중심부에 너트(302a)가 형성되고 윗면 가장자리에 방사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302b)가 형성된 원판(30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낚싯대 받침대(40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401)와; 상기 파이프(401)에 끼워져 고정되는 직사각 통체(402)와; 상기 파이프(401)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직사각 통체(402)에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원통체(403) 및; 상기 원통체(403)의 하면 가장자리에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40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체(403)의 내부는 재료 절감을 위해 방사상의 격자판으로 구획되는 공간부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500)은 상기 회전베이스(300)와 낚싯대 받침대(400)를 결합시키는 손잡이 볼트로서,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돌기(501a)를 갖는 원판상의 손잡이부(501)와; 상기 손잡이부(501)의 하면 중앙에 수직 하향으로 고정된 볼트(50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 브라켓(700)은 상기 파이프(401)의 선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용접으로 고정된 수직대(401a)의 좌우측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고정편(701, 701')과; 상기 고정편(701)과 고정편(701') 사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걸이(70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낚싯대 고정부재(800)는 낚싯대(F)의 상반부를 감싸는 상부 고정부재(801)와; 낚싯대(F)의 하반부를 감싸는 하부 고정부재(802)와; 상기 상부 고정부재(801)의 수평방향 양단 연장부 중앙에 각각 연결되는 볼트(803, 803')와; 상기 하부 고정부재(802)의 수평방향 일단 연장부에 일부가 절개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803)가 삽입되는 절개 볼트공(804)과; 상기 하부 고정부재(802)의 수평방향 타단 연장부에 형성되어 볼트(803')가 삽입되는 볼트공(804')과; 상기 볼트(803, 803')에 체결되는 나비너트(805)와; 상기 하부 고정부재(802)의 하면 길이방향 중앙부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중앙에 사각의 공간부를 갖는 결합편(806)과; 상기 결합편(806)의 전방 하단부가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807)와; 상기 결합편(806)의 후방 하단부가 하향 연장되어 전방으로 절곡되고 그 단부가 상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리(808)와; 상기 사각의 공간부에 상하로 고정 설치된 축 하부에 끼워지는 이동원판(809) 및; 상기 이동원판(809) 위의 축에 끼워지는 스프링(809')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선상 낚싯대 받침대의 사용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그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 선상 낚싯대 받침대는 사용하고자 하면, 먼저 고정쇠(100, 100')의 분리된 고리쇠(102, 102') 사이에 선상의 난간 봉체(A)를 끼운후 나비볼트(103)로 고리쇠(102, 102')를 결합한 다음 고정볼트(104)로 선상 난간 봉체(A)에 고정쇠(100, 100')를 고정한다.
이어서 상기 결합수단(500)의 손잡이부(501)를 회전시켜 볼트(502)를 풀어 낚싯대 받침대(400)를 들어올려 좌우로 회전시켜 낚싯대(F)의 전방 선단이 향할 방향을 조절한 후 다시 상기 결합수단(500)의 손잡이부(501)를 회전시켜 볼트(502)로 회전베이스(300)에 낚싯대 받침대(400)를 결합 고정한다.
다음에는 낚싯대(F)의 후단부에 낚싯대 고정부재(800)를 고정하는 데 이때에는 상부 고정부재(801)와 하부 고정부재(802)의 사이에 낚싯대의 후단부를 위치시켜 나비너트(805)를 조여 고정부재(801)와 하부 고정부재(802)의 사이에 낚싯대(F)의 후단부를 고정한다.
이어서 낚싯대 받침대(400)에 낚싯대(F)를 거치할 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 고정부재(800)의 가이드(807)의 선단을 고정편(701, 701') 사이의 걸이(702) 위를 향하도록 하여(도 4의 (a))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넣어면, 고정편(701, 701')의 우 상단 곡선부에 의해 이동원판(809)이 위로 밀리면서 스프링(809')이 압축되고(도 4의 (b)), 이 상태에서 완전히 밀어 넣으면, 도 4의 (c)와 같이 되어 스프링(809')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원판(809)이 하향으로 밀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고리(808)가 상향으로 밀려 고리(808)에 걸이(702)가 걸린 상태(도 4의 (d))로 되어 이 상태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 받침대(400)에 낚싯대(F)가 거치된 상태로 낚시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낚시를 하다가 휴식 등 필요에 따라 낚싯대 받침대(400)에서 낚싯대(F)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낚시를 하지 않을 때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이(702)를 축으로 하여 낚싯대(F)를 낚싯대 고정부재(800)와 함께 회전시켜 낚싯대를 세워둔다.
또한, 낚시를 종료하여 낚싯대 받침대(400)에서 낚싯대(F)를 분리하고자 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낚싯대와 함께 낚싯대 고정부재(800)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도 5의 (a)), 고정편(701, 701')의 상단부에 의해 이동원판(809)이 위로 밀리면서 스프링(809')이 압축되어 고리(808)의 홈 위에 걸이(702)가 위치하게 되고(도 5의 (b)), 이 상태에서 도 5의 (c)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낚싯대 고정부재(800)와 함께 낚싯대를 잡아당기면, 낚싯대 받침대(400)로 부터 낚싯대가 분리된다(도 5의 (d)).
지금까지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안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100' : 고정쇠 101 : 고정부쇠
102, 102' : 고리쇠 103 : 나비볼트
104 : 고정볼트 200 : 지지대
300 : 회전베이스 301 : 하부 결합부
301a : 볼트 302 : 원판
302a : 너트 302b : 돌기부
400 : 낚싯대 받침대 401 : 파이프
401a : 수직대 402 : 직사각 통체
403 : 원통체 404 : 돌기
500 : 결합수단 501 : 손잡이부
501a : 돌기 502 : 볼트
600 : 'Y'자형 거치대 700 : 받침대 브라켓
701, 701' : 고정편 702 : 걸이
800 : 낚싯대 고정부재 801 : 상부 고정부재
802 : 하부 고정부재 803, 803' : 볼트
804 : 절개 볼트공 804' : 볼트공
805 : 나비너트 806 : 결합편
807 : 가이드 808 : 고리
809 : 이동원판 809' : 스프링

Claims (8)

  1. 선상의 난간 봉체(A)를 감싸서 한쌍의 고정쇠(100, 100')와; 상기 고정쇠(100, 100') 상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낚싯대 받침대를 지지하는 직육면체 상의 지지대(200)와; 하부가 'ㄷ'자상 홈을 이루고 상부 윗면 가장자리에 방사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회전베이스(300)와; 상기 회전베이스(300)에 결합되는 낚싯대 받침대(400)와; 상기 회전베이스(300)와 낚싯대 받침대(400)를 결합 고정하는 결합수단(500)과; 상기 낚싯대 받침대(400)의 전방 선단에 설치되어 낚싯대(F)가 거치되는 'Y'자형 거치대(600)와; 상기 낚싯대 받침대(400)의 후방 선단에 설치되는 받침대 브라켓(700) 및; 상기 받침대 브라켓(700)에 결합되어 낚싯대(F) 후방을 고정하는 낚싯대 고정부재(800)로 구성된 선상 낚싯대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쇠(100, 100') 각각은 상기 지지대(200)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쇠(101)와; 상기 고정부쇠(101)의 좌우 단부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설치되는 고리쇠(102, 102')와; 상기 고리쇠(102, 102')를 결합하는 나비볼트(103)와; 상기 고리쇠(102, 102')를 관통하여 선상 난간 봉체(A)에 고정쇠(100, 100')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0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상 낚싯대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베이스(300)는 하부 'ㄷ'자상 홈에 상기 지지대(200)가 삽입되어 볼트(301a)로 고정되는 하부 결합부(301)와; 중심부에 너트(302a)가 형성되고 윗면 가장자리에 방사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302b)가 형성된 원판(30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상 낚싯대 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 받침대(40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401)와; 상기 파이프(401)에 끼워져 고정되는 직사각 통체(402)와; 상기 파이프(401)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직사각 통체(402)에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원통체(403) 및; 상기 원통체(403)의 하면 가장자리에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40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상 낚싯대 받침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403)의 내부는 재료 절감을 위해 방사상의 격자판으로 구획되는 공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상 낚싯대 받침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500)은 상기 회전베이스(300)와 낚싯대 받침대(400)를 결합시키는 손잡이 볼트로서,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돌기(501a)를 갖는 원판상의 손잡이부(501)와; 상기 손잡이부(501)의 하면 중앙에 수직 하향으로 고정된 볼트(50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상 낚싯대 받침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브라켓(700)은 상기 파이프(401)의 선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용접으로 고정된 수직대(401a)의 좌우측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고정편(701, 701')과; 상기 고정편(701)과 고정편(701') 사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걸이(70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상 낚싯대 받침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 고정부재(800)는 낚싯대(F)의 상반부를 감싸는 상부 고정부재(801)와; 낚싯대(F)의 하반부를 감싸는 하부 고정부재(802)와; 상기 상부 고정부재(801)의 수평방향 양단 연장부 중앙에 각각 연결되는 볼트(803, 803')와; 상기 하부 고정부재(802)의 수평방향 일단 연장부에 일부가 절개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803)가 삽입되는 절개 볼트공(804)과; 상기 하부 고정부재(802)의 수평방향 타단 연장부에 형성되어 볼트(803')가 삽입되는 볼트공(804')과; 상기 볼트(803, 803')에 체결되는 나비너트(805)와; 상기 하부 고정부재(802)의 하면 길이방향 중앙부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중앙에 사각의 공간부를 갖는 결합편(806)과; 상기 결합편(806)의 전방 하단부가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807)와; 상기 결합편(806)의 후방 하단부가 하향 연장되어 전방으로 절곡되고 그 단부가 상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리(808)와; 상기 사각의 공간부에 상하로 고정 설치된 축 하부에 끼워지는 이동원판(809) 및; 상기 이동원판(809) 위의 축에 끼워지는 스프링(809')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상 낚싯대 받침대.
KR2020120008140U 2012-09-12 2012-09-12 선상 낚싯대 받침대 KR201400016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140U KR20140001659U (ko) 2012-09-12 2012-09-12 선상 낚싯대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140U KR20140001659U (ko) 2012-09-12 2012-09-12 선상 낚싯대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659U true KR20140001659U (ko) 2014-03-20

Family

ID=5244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140U KR20140001659U (ko) 2012-09-12 2012-09-12 선상 낚싯대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659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337B1 (ko) 2017-11-06 2019-03-18 엘케이솔루션(주)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
KR20200144040A (ko) 2019-06-17 2020-12-28 이수진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
KR102222206B1 (ko) * 2020-05-06 2021-03-02 김문규 선상받침틀
KR102290897B1 (ko) * 2021-04-07 2021-08-19 주식회사 굿시아컴퍼니 선상 갈치 낚시용 자동 채비 회수기
KR20220001017U (ko) * 2020-10-30 2022-05-09 임종환 낚시용품 지지대
KR20230000605U (ko) * 2021-09-14 2023-03-21 김주영 파이프형 난간에 설치되는 선박용 낚시대 받침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337B1 (ko) 2017-11-06 2019-03-18 엘케이솔루션(주)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
KR20200144040A (ko) 2019-06-17 2020-12-28 이수진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
KR102222206B1 (ko) * 2020-05-06 2021-03-02 김문규 선상받침틀
KR20220001017U (ko) * 2020-10-30 2022-05-09 임종환 낚시용품 지지대
KR102290897B1 (ko) * 2021-04-07 2021-08-19 주식회사 굿시아컴퍼니 선상 갈치 낚시용 자동 채비 회수기
KR20230000605U (ko) * 2021-09-14 2023-03-21 김주영 파이프형 난간에 설치되는 선박용 낚시대 받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1659U (ko) 선상 낚싯대 받침대
KR200447541Y1 (ko) 선상 낚시대 받침대
KR100940356B1 (ko)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US20060277814A1 (en) Fishing rod holder
US20070151803A1 (en) Offset treestand mounting bracket
US20140290115A1 (en) Universal system for holding fishing rods
US9161523B2 (en) Floatable, universally mountable fishing rod holder
US20080185493A1 (en) Fishing Pole Tender System
US10736308B2 (en) Ice fishing tip up fishing line system
US20100299988A1 (en) Rod holder
CA2603910A1 (en) Fishing pole tender system
US20030230024A1 (en) Marine mounted fishing pole holder
CA2524963A1 (en) Fishing rod support stand
US6467110B1 (en) Dock post supported hammock
KR101745768B1 (ko)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KR101357831B1 (ko)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SE1050216A1 (en) Parasol foot Device
KR200444431Y1 (ko) 의자 장착용 낚시 지지장치
KR19990088664A (ko) 낚시받침대
US3033503A (en) Fisherman's pole rest and a holder therefor
KR20140005568U (ko)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
JP3130303U (ja) 組合せ式多機能釣竿フレームの構造
US20100078396A1 (en) Towel holder
KR20090035334A (ko) 낚싯대용 받침대
JP2007000134A (ja) 防波堤用の竿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