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040A -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 - Google Patents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040A
KR20200144040A KR1020190141456A KR20190141456A KR20200144040A KR 20200144040 A KR20200144040 A KR 20200144040A KR 1020190141456 A KR1020190141456 A KR 1020190141456A KR 20190141456 A KR20190141456 A KR 20190141456A KR 20200144040 A KR20200144040 A KR 20200144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lamp
fishing rod
fix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5695B1 (ko
Inventor
이수진
Original Assignee
이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진 filed Critical 이수진
Publication of KR20200144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이나 방파제 등에 구비되어 있는 난간에 고정하는 고정클램프 또는 낚시가방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지지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걸고리 타입 받침부재의 구성을 개선하여 방아쇠 타입 클램프를 조립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한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선박이나 방파제에 구비되어 있는 난간에 고정하는 고정클램프와, 고정클램프에 안치되도록 바디의 하측으로 고정돌부가 형성되고, 바디의 전방으로 낚싯대가 안착되는 받침구가 형성되며, 바디의 후방으로는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바디에 고정되며, 일측이 트여 있는 들림방지구를 마련한 구성의 받침부재와, 고정클램프에 받침부재를 고정시키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낚싯대 받침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바디와 들림방지구의 결합구성으로, 클램프조립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디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들림방지구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바디축지부와; 상기 바디축지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들림방지구에 형성한 방지구축지부와; 상기 바디축지부와 방지구축지부에 횡설됨과 아울러 양측 바디축지부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과; 상기 양측 바디축지부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에는 낚싯대에 고정된 상태의 방아쇠 타입 클램프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Fishing rod support with trigger type clamp}
본 발명은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이나 방파제 등에 구비되어 있는 난간에 고정하는 고정클램프 또는 낚시가방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지지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걸고리 타입 받침부재의 구성을 개선하여 방아쇠 타입 클램프를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한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선박이나 방파제 등에 구비되어 있는 난간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의 낚싯대 받침이 제공되고 있다.
이들 낚싯대 받침은 크게 2가지 분류로 제공되고 있으며, 첫째는 받침구와 들림방지구를 대칭으로 형성한 구성이며, 둘째는 받침구와 방아쇠 타입 클램프를 대칭으로 구성한 것이다.
전자에 해당하는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354317호(2004.06.29.)의 낚싯대 받침대 등이며, 후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447541호(2010.02.03.)의 선상 낚시용 받침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U)20-2014-0001659호(2014003.20.)의 선상 낚시용 받침대 등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받침구와 들림방지구를 대칭으로 형성한 구성이면서 방아쇠 타입 클램프의 적용이 불가능하여 2가지 제품을 별도 구매해 사용하는 경제적 부담이 있었던바, 업계에서는 이들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낚싯대 받침이 요구되고 있었다.
KR 200354317 Y1 2004.06.29. KR 200447541 Y1 2010.02.03. KR 2020140001659 U 2014003.20.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걸고리 타입 받침부재와, 방아쇠 타입 클램프 결합형 받침부재를 별개로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걸고리 타입 받침부재의 구성을 개량하여 방아쇠 타입 클램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받침부재의 하측에 커넥터를 조립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낚시가방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지지대에도 걸고리 타입 받침부재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선박이나 방파제에 구비되어 있는 난간에 고정하는 고정클램프와, 고정클램프에 안치되도록 바디의 하측으로 고정돌부가 형성되고, 바디의 전방으로 낚싯대가 안착되는 받침구가 형성되며, 바디의 후방으로는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바디에 고정되는 들림방지구를 마련한 구성의 받침부재와, 고정클램프에 받침부재를 고정시키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낚싯대 받침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바디와 들림방지구의 결합구성으로, 클램프조립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디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들림방지구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바디축지부와; 상기 바디축지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들림방지구에 형성한 방지구축지부와; 상기 바디축지부와 방지구축지부에 횡설됨과 아울러 양측 바디축지부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과; 상기 양측 바디축지부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에는 낚싯대에 고정된 상태의 방아쇠 타입 클램프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낚시가방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결합되며, 바디의 전방으로 낚싯대가 안착되는 받침구가 형성되며, 바디의 후방으로는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바디에 고정되는 들림방지구를 마련한 구성의 받침부재와, 지지대에 받침부재를 고정시키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낚싯대 받침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받침부재의 결합은, 파이프 구성의 지지대 상단에 끼움 결합하는 결합구가 하측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바디의 하측에 형성한 고정돌부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중심에 볼트부재가 나사결합되는 커넥터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재의 바디와 들림방지구의 결합구성으로, 클램프조립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디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들림방지구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바디축지부와; 상기 바디축지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들림방지구에 형성한 방지구축지부와; 상기 바디축지부와 방지구축지부에 횡설됨과 아울러 양측 바디축지부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과; 상기 양측 바디축지부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에는 낚싯대에 고정된 상태의 방아쇠 타입 클램프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낚시가방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결합되며, 바디의 전방으로 낚싯대가 안착되는 받침구가 형성되며, 바디의 후방으로는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바디에 고정되는 들림방지구를 마련한 구성의 받침부재와, 지지대에 받침부재를 고정시키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낚싯대 받침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받침부재의 결합은, 파이프 구성의 지지대 상단에 끼움 결합하는 결합구가 하측으로 형성되며, 바디의 하측에 형성한 한 쌍의 브래킷 사이에 끼워져 고정핀으로 결합하는 고정부가 상측으로 형성되며, 고정부에는 볼트결합구를 일체 형성하여 받침부재에 형성한 받침구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지지볼트를 결합하여 구성한 커넥터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재의 바디와 들림방지구의 결합구성으로, 클램프조립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디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들림방지구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바디축지부와; 상기 바디축지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들림방지구에 형성한 방지구축지부와; 상기 바디축지부와 방지구축지부에 횡설됨과 아울러 양측 바디축지부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과; 상기 양측 바디축지부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에는 낚싯대에 고정된 상태의 방아쇠 타입 클램프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받침구의 아래쪽에는 고정핀을 중심으로 받침부재가 회동되는 것에 부합하여 지지볼트가 지지하도록 고정핀 쪽에서 받침구 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가이드패널을 결합하되; 상기 가이드패널에는 지지볼트의 상단에 형성된 패널끼움홈이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상기 방지구축지부 바깥쪽으로 밀착상태로 위치하도록 클램프고정핀에 고정한 패킹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을 사용하는 경우 받침부재의 바디에 구비되어 있는 받침구 및 들림방지구를 이용하여 낚싯대를 받치거나, 들림방지구를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낚싯대의 손잡이에 결합한 방아쇠 타입 클램프를 양측 바디축지부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바, 하나의 구성품으로 2가지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병은 방지구축지부 바깥쪽으로 밀착상태로 위치하도록 클램프고정핀에 패킹부재를 고정하고 있는 바, 낚시채비를 정비할 때 방지구축지부와 패킹부재 사이에 낚싯줄을 끼워 고정할 수 있어 낚싯줄이 엉키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로 받침구 및 들림방지구를 이용하여 낚싯대를 받친 상태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로 받침구 및 방아쇠 타입 클램프를 이용하여 낚싯대를 받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정면도로 받침구 및 들림방지구를 이용하여 낚싯대를 받친 상태도
도 8은 도 5의 정면도로 받침구 및 방아쇠 타입 클램프를 이용하여 낚싯대를 받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방지구축지부와 패킹부재 사이에 낚싯줄을 끼워 고정하는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의 또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서의 지지대와 받침부재의 결합상태를 발췌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0의 정면도로 받침구 및 들림방지구를 이용하여 낚싯대를 받친 상태도
도 14는 도 10의 정면도로 받침구 및 방아쇠 타입 클램프를 이용하여 낚싯대를 받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로 받침구 및 들림방지구를 이용하여 낚싯대를 받친 상태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로 받침구 및 방아쇠 타입 클램프를 이용하여 낚싯대를 받친 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5)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1)은 선박이나 방파제에 구비되어 있는 난간에 결합하여 낚싯대(100)를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선박이나 방파제에 구비되어 있는 난간에 설치하는 고정클램프(2)와, 고정클램프(2)에 안치되는 받침부재(3)와, 고정클램프(2)에 받침부재(3)를 결합하는 볼트부재(4), 그리고 받침부재(3)에 결합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클램프(2)는 'ㄷ'형상의 내입공간(21)이 형성된 본체(22)와, 내입공간(21)에 위치하는 가압구(23) 및 가압구(23)를 승강시키는 가압나사(2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22)의 상부면에는 고정홈(25)을 형성하고, 이 고정홈(25)의 중심에는 나사공(26)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3)는 바디(31)의 하측으로 고정돌부(32)가 형성되고, 바디(31)의 전방으로 낚싯대(100)가 안착되는 받침구(33)가 회돌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디(31)의 후방으로는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바디(31)에 고정되며, 일측이 트여 있는 들림방지구(34)를 마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재(4)는 상단에 손잡이(41)가 형성된 구성으로 고정홈(25)의 중심에 형성한 나사공(26)에 결합하여 고정클램프(2)에 안치된 받침부재(3)를 가압 고정하게 한다.
한편 상기 고정클램프(2)의 고정홈(25) 및 받침부재(3)의 고정돌부(32)에는 서로 대향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조립상태에서 슬립 없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바디(31)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받침구(33)는 바디(31)에 결합되어 있는 높이조절나사(35)를 이용하여 받침구(3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일반적인 낚싯대 받침(1)과 동일하며, 본 발명에서는 받침부재(3)의 구성을 개량하여, 방아쇠 타입 클램프(5)를 조립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받침부재(3)의 바디(31)와 들림방지구(34)의 결합 구성을 개선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받침부재(3)의 바디(31)와 들림방지구(34)의 결합구성으로, 클램프조립공간(36)이 형성되도록 바디(31)에 서로 마주보게 바디축지부(31a)를 형성하되, 바디축지부(31a)에는 들림방지구(34)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31b)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며, 상기 들림방지구(34)에는 바디축지부(31a)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방지구축지부(34a)를 형성한다.
상기 바디축지부(31a)와 방지구축지부(34a)에는 클램프고정핀(37)을 횡설하여 양측 바디축지부(31a)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36)에 노출되게 하며, 방지구축지부(34a) 바깥쪽으로는 패킹부재(38)를 밀착상태로 위치하도록 클램프고정핀(37)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양측 바디축지부(31a)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36)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37)에는 낚싯대(100)에 고정된 상태의 방아쇠 타입 클램프(5)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정면도로 받침구 및 들림방지구를 이용하여 낚싯대를 받친 상태도, 도 8은 도 5의 정면도로 받침구 및 방아쇠 타입 클램프를 이용하여 낚싯대를 받친 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상기와 같은 받침부재(3)를 살림통이나 미밥통 등의 낚시가방(200)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지지대(6)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받침부재(3)와 볼트부재(4) 등의 구성은 상시 일 실시례와 동일하며, 지지대(6)와 받침부재(3) 사이에 커넥터(7)를 적용하여 지지대(6)에 받침부재(3)를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 지지대(6)의 경우 파이프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바, 커넥터(7)의 경우 지지대(6)의 상단에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결합구(71)를 하측으로 형성하며, 상측으로 바디(31)의 하측에 형성한 고정돌부(32)가 결합되는 고정홈(72)을 형성하고, 그 중심에 볼트부재(4)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73)을 형성한 구성이다. 이때 지지대(6)와 결합구(71)는 키이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결합상태에서 임의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커넥터(7)를 적용하는 경우 도 1 내지 4와 같이 고정클램프(2)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받침부재(3)를 커넥터(7)에 결합하면 되므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디축지부(31a)와 방지구축지부(34a)에는 클램프고정핀(37)을 횡설하여 양측 바디축지부(31a)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36)에 노출되게 하며, 방지구축지부(34a) 바깥쪽으로는 패킹부재(38)를 밀착상태로 위치하도록 클램프고정핀(37)에 고정하고 있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지구축지부(34a)와 패킹부재(38) 사이에 낚싯줄(300)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바, 낚시채비를 보수하거나 미끼를 끼우거나, 어획물을 처리할 때 낚싯줄(300)이 엉키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 받침부재(3)의 바디(31)에 구비되어 있는 받침구(33) 및 들림방지구(34)를 이용하여 낚싯대(100)를 받치거나, 들림방지구(34)를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낚싯대(100)의 손잡이(41)이 결합한 방아쇠 타입 클램프(5)를 양측 바디축지부(31a)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36)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37)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낚시채비를 정비할 때 방지구축지부(34a)와 패킹부재(38) 사이에 낚싯줄(300)을 끼워 고정할 수 있어 낚싯줄(300)이 엉키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의 또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서의 지지대와 받침부재의 결합상태를 발췌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0의 정면도로 받침구 및 들림방지구를 이용하여 낚싯대를 받친 상태도, 도 14는 도 10의 정면도로 받침구 및 방아쇠 타입 클램프를 이용하여 낚싯대를 받친 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상기와 같은 받침부재(3)를 살림통이나 미밥통 등의 낚시가방(200)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지지대(6)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지지대(6)와 받침부재(3)의 결합을 고정핀(74)에 의해 회동식으로 결합되는 커넥터(7)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7)는 파이프 구성의 지지대(6) 상단에 끼움 결합하는 결합구(71)가 하측으로 형성되며, 바디(31)의 하측에 형성한 한 쌍의 브래킷(39) 사이에 끼워져 고정핀(74)으로 결합하는 고정부(75)가 상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75)에는 볼트결합구(76)를 일체 형성하여 받침부재(3)에 형성한 받침구(33)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지지볼트(77)를 결합한다.
이때 받침구의 아래쪽에는 고정핀(74)을 중심으로 받침부재(3)가 회동되는 것에 부합하여 지지볼트(77)가 지지하도록 고정핀(74) 쪽에서 받침구(33) 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가이드패널(8)을 결합하되, 상기 가이드패널(8)에는 지지볼트(77)의 상단에 형성된 패널끼움홈(77a)이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홈(8a)을 형성한다. 가이드패널(8)은 얇은 금속으로 형성하여 받침부재(3)에 인서트 결합하거나 또는 끼움 결합하는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7)를 구성하는 경우 도 14에서와 같이 받침구(33) 및 방아쇠 타입 클램프(5)를 이용하여 낚싯대(100)를 받친 상태에서 방아쇠 타입 클램프(5)를 가압하더라도 받침부재(3)가 고정핀(74)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지지볼트(77)의 상단에 형성된 패널끼움홈(77a)이 가이드패널(8)에 형성된 가이드홈(8a)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지지볼트(77)를 회동하는 방법으로 받침부재(3)의 경사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것은 물론이고, 방아쇠 타입 클램프(5)를 가압할 때 지지볼트(77)가 받침부재(3)를 클램핑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낚싯대 받침(1)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낚싯대 받침 2:고정클램프
21:내입공간 22:본체
23:가압구 24:가압나사
25:고정홈 26:나사공
3:받침부재 31:바디
31a:바디축지부 32:고정돌부
33:받침구 34:들림방지구
34a:방지구축지부 35:높이조절나사
36:클램프조립공간 37:클램프고정핀
38:패킹부재 39:브래킷
4:볼트부재 41:손잡이
5:방아쇠 타입 클램프 6:지지대
7:커넥터 71:결합구
72:고정홈 73:나사공
74:고정핀 75:고정부
76:볼트결합구 77:지지볼트
77a:패널끼움홈 8:가이드패널
8a:가이드홈 100:낚싯대
200:낚시가방 300:낚싯줄

Claims (5)

  1. 선박이나 방파제에 구비되어 있는 난간에 고정하는 고정클램프(2)와, 고정클램프(2)에 안치되도록 바디(31)의 하측으로 고정돌부(32)가 형성되고, 바디(31)의 전방으로 낚싯대(100)가 안착되는 받침구(33)가 형성되며, 바디(31)의 후방으로는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바디(31)에 고정되는 들림방지구(34)를 마련한 구성의 받침부재(3)와, 고정클램프(2)에 받침부재(3)를 고정시키는 볼트부재(4)를 포함하는 낚싯대 받침(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3)의 바디(31)와 들림방지구(34)의 결합구성으로, 클램프조립공간(36)이 형성되도록 바디(31)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들림방지구(34)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31b)가 형성된 바디축지부(31a)와;
    상기 바디축지부(31a)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들림방지구(34)에 형성한 방지구축지부(34a)와;
    상기 바디축지부(31a)와 방지구축지부(34a)에 횡설됨과 아울러 양측 바디축지부(31a)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36)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37)과;
    상기 양측 바디축지부(31a)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36)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37)에는 낚싯대(100)에 고정된 상태의 방아쇠 타입 클램프(5)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
  2. 낚시가방(200)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지지대(6)와; 지지대(6)에 결합되며, 바디(31)의 전방으로 낚싯대(100)가 안착되는 받침구(33)가 형성되며, 바디(31)의 후방으로는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바디(31)에 고정되는 들림방지구(34)를 마련한 구성의 받침부재(3)와, 지지대(6)에 받침부재(3)를 고정시키는 볼트부재(4)를 포함하는 낚싯대 받침(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6)와 받침부재(3)의 결합은, 파이프 구성의 지지대(6) 상단에 끼움 결합하는 결합구(71)가 하측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바디(31)의 하측에 형성한 고정돌부(32)가 결합되는 고정홈(72)이 형성되고 중심에 볼트부재(4)가 나사결합되는 커넥터(7)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재(3)의 바디(31)와 들림방지구(34)의 결합구성으로, 클램프조립공간(36)이 형성되도록 바디(31)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들림방지구(34)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31b)가 형성된 바디축지부(31a)와;
    상기 바디축지부(31a)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들림방지구(34)에 형성한 방지구축지부(34a)와;
    상기 바디축지부(31a)와 방지구축지부(34a)에 횡설됨과 아울러 양측 바디축지부(31a)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36)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37)과;
    상기 양측 바디축지부(31a)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36)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37)에는 낚싯대(100)에 고정된 상태의 방아쇠 타입 클램프(5)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
  3. 낚시가방(200)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지지대(6)와; 지지대(6)에 결합되며, 바디(31)의 전방으로 낚싯대(100)가 안착되는 받침구(33)가 형성되며, 바디(31)의 후방으로는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바디(31)에 고정되는 들림방지구(34)를 마련한 구성의 받침부재(3)와, 지지대(6)에 받침부재(3)를 고정시키는 볼트부재(4)를 포함하는 낚싯대 받침(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6)와 받침부재(3)의 결합은, 파이프 구성의 지지대(6) 상단에 끼움 결합하는 결합구(71)가 하측으로 형성되며, 바디(31)의 하측에 형성한 한 쌍의 브래킷(39) 사이에 끼워져 고정핀(74)으로 결합하는 고정부(75)가 상측으로 형성되며, 고정부(75)에는 볼트결합구(76)를 일체 형성하여 받침부재(3)에 형성한 받침구(33)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지지볼트(77)를 결합하여 구성한 커넥터(7)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재(3)의 바디(31)와 들림방지구(34)의 결합구성으로, 클램프조립공간(36)이 형성되도록 바디(31)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들림방지구(34)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31b)가 형성된 바디축지부(31a)와;
    상기 바디축지부(31a)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들림방지구(34)에 형성한 방지구축지부(34a)와;
    상기 바디축지부(31a)와 방지구축지부(34a)에 횡설됨과 아울러 양측 바디축지부(31a)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36)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37)과;
    상기 양측 바디축지부(31a) 사이에 형성된 클램프조립공간(36)에 노출되는 클램프고정핀(37)에는 낚싯대(100)에 고정된 상태의 방아쇠 타입 클램프(5)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5)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
  4. 청구항 3에 있어서;
    받침구(33)의 아래쪽에는 고정핀(74)을 중심으로 받침부재(3)가 회동되는 것에 부합하여 지지볼트(77)가 지지하도록 고정핀(74) 쪽에서 받침구(33) 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가이드패널(8)을 결합하되; 상기 가이드패널(8)에는 지지볼트(77)의 상단에 형성된 패널끼움홈(77a)이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홈(8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구축지부(34a) 바깥쪽으로 밀착상태로 위치하도록 클램프고정핀(37)에 고정한 패킹부재(38)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
KR1020190141456A 2019-06-17 2019-11-07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 KR102335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1351 2019-06-17
KR1020190071351 2019-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040A true KR20200144040A (ko) 2020-12-28
KR102335695B1 KR102335695B1 (ko) 2021-12-06

Family

ID=7408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456A KR102335695B1 (ko) 2019-06-17 2019-11-07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6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618A (ko) * 2019-12-31 2021-07-08 김무중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KR102368702B1 (ko) * 2021-08-20 2022-02-28 임재영 낚시대 고정 보조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8689U (ko) * 1977-11-14 1979-06-04
KR970007799U (ko) * 1995-08-30 1997-03-27 김무남 다목적 낚시대 받침구
KR200354317Y1 (ko) 2004-03-19 2004-06-29 정좌용 낚싯대 받침대
JP2008301756A (ja) * 2007-06-07 2008-12-18 Daiichi Seiko Co Ltd 釣竿支持具
KR200447541Y1 (ko) 2009-05-08 2010-02-03 차영란 선상 낚시대 받침대
KR20110103543A (ko) * 2010-03-15 2011-09-21 양재두 파이프형 난간에 설치되는 낚시대 고정 장치
KR20140001659U (ko) 2012-09-12 2014-03-20 이광민 선상 낚싯대 받침대
KR20140140403A (ko) * 2013-05-29 2014-12-09 남창희 낚시대용 지지대
KR101852366B1 (ko) * 2016-05-18 2018-04-27 이수진 낚시가방 결합형 낚싯대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8689U (ko) * 1977-11-14 1979-06-04
KR970007799U (ko) * 1995-08-30 1997-03-27 김무남 다목적 낚시대 받침구
KR200354317Y1 (ko) 2004-03-19 2004-06-29 정좌용 낚싯대 받침대
JP2008301756A (ja) * 2007-06-07 2008-12-18 Daiichi Seiko Co Ltd 釣竿支持具
KR200447541Y1 (ko) 2009-05-08 2010-02-03 차영란 선상 낚시대 받침대
KR20110103543A (ko) * 2010-03-15 2011-09-21 양재두 파이프형 난간에 설치되는 낚시대 고정 장치
KR20140001659U (ko) 2012-09-12 2014-03-20 이광민 선상 낚싯대 받침대
KR20140140403A (ko) * 2013-05-29 2014-12-09 남창희 낚시대용 지지대
KR101852366B1 (ko) * 2016-05-18 2018-04-27 이수진 낚시가방 결합형 낚싯대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618A (ko) * 2019-12-31 2021-07-08 김무중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KR102368702B1 (ko) * 2021-08-20 2022-02-28 임재영 낚시대 고정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695B1 (ko)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44040A (ko)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
FR2511942A1 (fr) Support de poignet pour une machine de bureau a clavier
US6446917B2 (en) Bracket for fastening the support pipe of a joint arm awning
FR2618836A1 (fr) Charniere perfectionnee pour portes
WO1994018491A1 (en) Christmas tree stand
US20050193520A1 (en) Door stop
GB2459468A (en) Wall mounting for central heating radiators
US20080253071A1 (en) Support arm for a flatscreen
IT201900008382A1 (it) Kit di supporto e di inclinazione.
BE905390A (fr) Dispositif d'escalade.
FR2798970A1 (fr) Structure de couplage d'un panneau a un autre
JP2003125967A (ja) 浴槽手すり
FR3023866B1 (fr) "charniere"
EP2025842A1 (fr) Serrure multipoints pour portillon de porte de garage sectionnelle
FR2729511A1 (fr) Dispositif universel de soutien d'un cable rayonnant
FR2830072A1 (fr) Dispositif de serrage pour balancoire d'interieur
FR2516117A3 (fr) Support pour douche a tube flexible
FR2476198A1 (fr) Articulation de coin pour fenetre a la fois du type classique et du type a soufflet, pour portes presentant les memes possibilites d'ouverture ou pour elements du meme genre
FR2619001A1 (fr) Systeme de reglage des elements frontaux d'appareils electromenagers
FR2731339A1 (fr) Appareil electromenager avec panneau frontal decoratif
KR200275438Y1 (ko) 낚시 의자 장착용 낚시 받침대 각도 조절 장치
FR2550588A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mat sur un plateau muni d'une ouverture
FR2524256A1 (fr) Fixe-tuteur
FR2699221A1 (fr) Dispositif adaptable sur échelle autorisant la pose des papiers peints et produits similaires.
FR2473863A1 (fr) Ferrure de pietement reglable en haute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