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618A -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 Google Patents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618A
KR20210085618A KR1020190178865A KR20190178865A KR20210085618A KR 20210085618 A KR20210085618 A KR 20210085618A KR 1020190178865 A KR1020190178865 A KR 1020190178865A KR 20190178865 A KR20190178865 A KR 20190178865A KR 20210085618 A KR20210085618 A KR 20210085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ble
camera
fish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451B1 (ko
Inventor
김무중
Original Assignee
김무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중 filed Critical 김무중
Priority to KR1020190178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45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01K79/02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by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수면으로 뜨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납을 포함한 중량체를 구비한 중량구를 포함하고 외면은 물고기형상을 하고 있어, 가짜 미끼, 추,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고정축,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외주면에 케이블이 권취되는 드럼, 및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릴몸체부; 수중에서 영상촬영을 위한 광원제공 및 어군의 집어기능을 할 수 있는, 적외선 조명 및 가시광선 조명을 포함하는 조명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수면으로 뜨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납을 포함한 중량체를 구비한 중량부, 영상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케이블과 카메라부를 연결할 수 있는 내경단자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일단은 릴몸체부와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외경단자부를 구비하여 몸체부와 연결할 수 있어 카메라부 및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어부에 송신하는 케이블부; 일단은 몸체부와 결합하여 고정되며 타단은 낚시바늘을 결합할 수 있는 편대부; 및 몸체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케이블부에 결합되어 몸체부가 특정수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제공부를 포함하는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Fishing equipment with integrated underwater camera}
본 발명은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수면으로 뜨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납을 포함한 중량체를 구비한 중량구를 포함하고 외면은 물고기형상을 하고 있어, 가짜 미끼, 추,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에 관한 것이다.
루어낚시는 인조미끼(lure)를 이용하여 고기를 낚는 방법을 말한다. 루어란 털, 플라스틱, 나무, 금속 등으로 만든 인공미끼로써, 이를 얼마만큼 살아 있는 미끼처럼 보이게 하느냐가 관건이다. 루어낚시는 루어 전용 낚싯대에 릴을 장착하여 릴의 스풀에 감긴 원줄을 낚싯대의 각 가이드를 통하여 인출한 후 원 줄에 루어를 달아 예상 포인트에 던져 넣고, 릴을 감아 들이거나(retrieve), 낚싯대를 강하고 짧게 끌어당기고 멈추는 동작을 반복(jerking)하는 액션을 가하여 루어에 살아있는 미끼와 같은 움직임을 연출함으로써 대상어를 유혹하여 미끼를물도록 하는 방법으로 구현된다.
한편, 강이나 바다에서 활동이 늘어나고, 관련 산업활동이 증대되고 있는 바, 조난사고 등도 급증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강이나 바다의 내부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데, 아직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정비되지 못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낚시장비에 영상시스템을 구비하여 수중의 환경을 외부에서 관찰하면서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낚시장비 및 수중영상 촬영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영상시스템을 구비한 낚시장비 및 수중영상 촬영시스템은 어떠한 형태이건 수중에서 촬영한 영상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고 이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경로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런데, 유·무선방식을 막론하고 특정부위 즉, 유선의 경우에는 추와 - 찌 - 낚싯대 사이를, 무선의 경우에도 추와 송신용 찌 사이는, 전선과 같은 선을 통해 상호 연결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선은 낚싯줄과 같이 가늘고, 잘 끊어지지 않으면서도 유연성을 겸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영상 촬영시스템에 적용되어 온 종래의 전선은, 낚싯줄에 비해 유연성 및 내구성이 떨어져 쉽게 끊어질 뿐만 아니라, 그 직경이 약 3㎜ 내지 5㎜에 이르렀다. 그 때문에, 상기 전선을 영상시스템이 구비된 낚시장비에 적용할 경우, 수중의 물고기가 전선을 쉽게 식별하여 회피하게 되어 사용자가 물고기를 제대로 낚기 어려우며, 또 사용자가 직접 수중에 입수하여 수중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경우에는 유연성이 떨어져 수중활동의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루어의 기능을 발휘하면서 수중촬영이 가능한 수단과 낚시장비에 적용할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1773686호(2017.09.0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수면으로 뜨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납을 포함한 중량체를 구비한 중량구를 포함하고 외면은 물고기형상을 하고 있어, 가짜 미끼, 추,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는 드럼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고정축,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외주면에 케이블이 권취되는 드럼, 및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릴몸체부; 수중에서 영상촬영을 위한 광원제공 및 어군의 집어기능을 할 수 있는, 적외선 조명 및 가시광선 조명을 포함하는 조명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수면으로 뜨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납을 포함한 중량체를 구비한 중량부, 영상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케이블과 카메라부를 연결할 수 있는 내경단자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일단은 릴몸체부와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외경단자부를 구비하여 몸체부와 연결할 수 있어 카메라부 및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어부에 송신하는 케이블부; 일단은 몸체부와 결합하여 고정되며 타단은 낚시바늘을 결합할 수 있는 편대부; 및 몸체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케이블부에 결합되어 몸체부가 특정수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부의 외경단자부와 몸체부의 내경단자부가 서로 결합되었을때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외경단자부가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와 나사이음결합을 하여 케이블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의 전면에 햇빛에 의한 난반사를 방지하지 위하여 렌즈후드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의 전면에 몸체부와 나사이음으로 결합할 수 있는 렌즈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부를 이용하여 수중의 물고기를 모을수 있고, 편대부를 이용하여 낚시바늘이 항상 카메라의 정면에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부력제공부를 이용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수심과 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촬영하고자하는 각도를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수중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부력제공부 및 케이블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부력제공부가 케이블부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항 도면,
도 4는 몸체부, 케이블부, 편대부 및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고정부가 몸체부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몸체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부력제공부 및 케이블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부력제공부가 케이블부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항 도면, 도 4는 몸체부, 케이블부, 편대부 및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고정부가 몸체부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몸체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릴몸체부, 카메라부(30), 조명부(20), 몸체부(10), 케이블부(40), 고정부(90), 편대부(50), 부력제공부(60), 전원공급부(71), 제어부(70), 사용자단말기(80), 렌즈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의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릴몸체부는 드럼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고정축,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외주면에 케이블이 권취되는 드럼, 및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릴몸체부 내부에는 전원공급부와 무선통신부를 포함한 제어부가 위치하고, 드럼에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부(40)와 전원공급부(71)와 무선통신부(72)가 연결되어 있어 케이블부(40)를 이용하여 몸체부(10)에 전원을 공급하고, 몸체부(10)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조명부(20)는 수중에서 영상촬영을 위한 광원제공 및 어군의 집어기능을 할 수 있는, 적외선 조명 및 가시광선 조명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30), 수면으로 뜨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납을 포함한 중량체를 구비한 중량부, 영상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케이블부(40)과 카메라부(30)를 연결할 수 있는 내경단자부(11) 및 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4을 참조하면, 몸체부(10)의 외면은 물고기 형상을 하고 있어, 수중에서 물고기를 유인하는 루어(Lure)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납을 포함한 중량체를 구비하여 수면으로 뜨는 것을 방지하여 추의 기능도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의 하단에는 낚시추를 결합할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어 있어 추가적인 중량체가 필요한 경우 몸체부 하단의 고리에 낚시추를 추가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에는 수온측정센서 및 방위센서를 포함한 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현재 수온 및 카메라부에서 촬영하고 있는 영상의 방향을 케이블부를 이용하여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케이블부(40)는 일단은 릴몸체부와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외경단자부(41)를 구비하여 몸체부(10)와 연결할 수 있어 카메라부(30) 및 조명부(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카메라부(3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어부(70)에 송신할 수 있다.
외경단자부(41)의 둘레는 낚시대의 낚시줄가이드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얇게 형성되어 있어 낚시줄가이드를 통과하여 몸체부와 결합될 수 있다.
외경단자부의 둘레가 낚시줄 가이드를 통과하는 경우 여분의 몸체부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몸체부의 교체가 가능하다.
외경단자부(14)가 낚시대의 낚시줄가이드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낚시대의 낚시줄가이드의 가이드 내부에 스프링을 보함한 탄력부재를 구비하여 가이드의 요면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가이드의 일부분이 합입되어 케이블을 가이드 안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케이블부(40)는 릴몸체부의 드럼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으며 케블라(kevlar)섬유 및 자이론(zylon)섬유가 혼입되어 있어 케이블의 인장력을 향상시키고, 케이블의 파단을 방지한다.
또한, 케이블부 및 몸체부가 낚시대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챔칠에 의해서 케이블부와 몸체부의 결합부위가 단락이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부와 몸체부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를 포함한 금속재질의 와이어를 케이블부의 특정위치와 몸체부에 결합시켜, 와이어에 인장력이 작용하도록하여 케이블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 및 와이어와 결합하는 부분의 케이블부를 8자매듭을 형성한 후 몸체부 및 와이어에 결합하게 하여 케이블부에 작용되는 인장력을 절반으로 감소시켜 케이블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편대부(50)는 일단은 몸체부와 결합하여 고정되며 타단은 낚시바늘을 결합할 수 있다.
편대부(50)의 몸체부(10)와 결합하는 부분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몸체부(10)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며, 낚시바늘이 카메라부(30)의 정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하여 낚시바늘 주위에 있는 어군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부력제공부(60)는 몸체부(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케이블부(40)에 결합되어 몸체부(10)가 특정수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부력제공부(60)는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부력체가 경첩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부력체사이에 케이블이 위치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케이블부(40)에는 부력제공부(60)를 고정시키기위하여 매듭장치를 포함한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촬영하고자하는 수심에 따라 고정부를 조절하여 부력제공부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전원공급부(71) 및 무선통신부(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원공급부(71)는 릴몸체부 내부에 위치하며 조명부(20) 및 카메라부(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무선통신부(72)는 카메라부(3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송신받아 사용자단말기(80)로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80)는 카메라부(3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어부(70)에 구비된 무선통신부(72)로부터 전송받아 영상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으며, 현재 카메라부가 비추고 있는 방위와 수온을 포함한 수중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재(90)는 케이블부(40)의 외경단자부(41)와 몸체부(10)의 내경단자부(11)가 서로 결합되었을때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외경단자부(41)가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10)와 나사이음결합을 하여 케이블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90)는 몸체부(10)의 내경단자부(11)와 케이블부(40)의 외경단자부(41)가 결합된 후, 몸체부(10)와 나사이음결합을 하는 바, 고정부재(90)에 케이블통과 홈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된 후에도 고정부재(90)를 이용하여 내경단자부(11)와 외경단자부(41)가 결합되었을 때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후드는 몸체부의 전면에 햇빛에 의한 난반사를 방지하지 위하여 렌즈후드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의 전면에 몸체부와 나사이음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의 동작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10)의 후면의 내경단자부(11)에 케이블부(40)의 외경단자부(41)를 결합하고, 몸체부(10)의 전면에 편대부(50)를 결합시킨다.
몸체부(10)의 내경단자부(11)와 케이블부(40)의 외경단자부(41)가 결합된 후, 내경단자부(11)와 외경단자부(41)가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재(90)로 고정시킨다.
몸체부(10)에 구비된 카메라부(30)로 촬영하고자 하는 수심에 맞게 케이블부(40)에 부력제공부(60)를 고정시킬수 있는 고정부를 조절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 조절 후, 부력체 사이의 홈에 케이블부(40)가 위치할 수 있도록하여, 부력제공부(60)를 몸체부(10)와 고정부사이의 케이블에 결합한다.
몸체부(10)의 외면 상부에는 제1각도조절홈(12) 및 제2각도조절홈(13)을 포함한 각도조절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블부(40)로 매듭을 형성하여 도래를 포함한 클립형고정부재(42)를 이용하여 제1각도조절홈(12) 및 제2각도조절홈(13)을 포함한 각도조절홈에 케이블부(40)와 결합시킬수 있고, 제1각도조절홈(12)에 케이블부(40)를 결합시키는 경우 몸체부(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2각도조절홈(13)에 케이블부(40)를 결합시키는 경우 몸체부(10)가 소정의 각도만큼 수면방향으로 향할 수 있어 수중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각도에 따라 각도조절홈에 케이블을 결합시켜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케이블부(40)에 부력제공부(6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이용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수심을 조절할 수 있고, 몸체부(10)에 형성되어 있는 각도조절홈을 이용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촬영 수심 및 각도를 조절 후, 몸체부(10)를 수중으로 투입시킨다.
조명부(20)를 이용하여, 어두운 수중도 촬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명부(20)는 집어등 기능을 수행하여 수중에서 물고기를 모을 수 있고, 몸체부(10)의 외면이 물고기 형상을 하고 있어 가짜미끼(Lure)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몸체부(10)를 통하여도 물고기를 모을 수 있다.
몸체부(10)의 전면에는 편대부(50)가 결합되고 편대부(50)에는 낚시바늘을 결합시킬 수 있어, 카메라부(30)는 항상 낚시바늘 쪽을 촬영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몸체부 20 - 조명부
30 - 카메라부 40 - 케이블부
50 - 편대부 60 - 부력제공부
70 - 제어부 80 - 사용자단말기

Claims (3)

  1. 드럼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고정축,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외주면에 케이블이 권취되는 드럼, 및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릴몸체부;
    수중에서 영상촬영을 위한 광원제공 및 어군의 집어기능을 할 수 있는, 적외선 조명 및 가시광선 조명을 포함하는 조명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수면으로 뜨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납을 포함한 중량체를 구비한 중량부, 영상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케이블과 카메라부를 연결할 수 있는 내경단자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일단은 릴몸체부와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외경단자부를 구비하여 몸체부와 연결할 수 있어 카메라부 및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어부에 송신하는 케이블부;
    일단은 몸체부와 결합하여 고정되며 타단은 낚시바늘을 결합할 수 있는 편대부; 및
    몸체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케이블부에 결합되어 몸체부가 특정수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제공부
    를 포함하는,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부의 외경단자부와 몸체부의 내경단자부가 서로 결합되었을때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외경단자부가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와 나사이음결합을 하여 케이블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부
    을 더 포함하는,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의 전면에 햇빛에 의한 난반사를 방지하지 위하여 렌즈후드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의 전면에 몸체부와 나사이음으로 결합할 수 있는 렌즈후드
    를 더 포함하는,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KR1020190178865A 2019-12-31 2019-12-31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KR102486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65A KR102486451B1 (ko) 2019-12-31 2019-12-31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65A KR102486451B1 (ko) 2019-12-31 2019-12-31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618A true KR20210085618A (ko) 2021-07-08
KR102486451B1 KR102486451B1 (ko) 2023-01-06

Family

ID=7689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865A KR102486451B1 (ko) 2019-12-31 2019-12-31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4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475Y1 (ko) * 2000-10-10 2001-03-15 코아실업주식회사 낚시용 수중카메라
KR200329256Y1 (ko) * 2003-07-25 2003-10-08 김무중 휴대폰과 루어형 무게추 케이스를 이용한 영상시스템이구비된 낚시장비
KR20050051784A (ko) * 2003-11-28 2005-06-02 김무중 영상시스템이 구비된 낚시장비용 릴과 커넥터
KR20180002318U (ko) * 2018-07-11 2018-07-31 박태종 선상 낚시용 낚싯대 받침구용 홀더
KR20200144040A (ko) * 2019-06-17 2020-12-28 이수진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475Y1 (ko) * 2000-10-10 2001-03-15 코아실업주식회사 낚시용 수중카메라
KR200329256Y1 (ko) * 2003-07-25 2003-10-08 김무중 휴대폰과 루어형 무게추 케이스를 이용한 영상시스템이구비된 낚시장비
KR20050051784A (ko) * 2003-11-28 2005-06-02 김무중 영상시스템이 구비된 낚시장비용 릴과 커넥터
KR20180002318U (ko) * 2018-07-11 2018-07-31 박태종 선상 낚시용 낚싯대 받침구용 홀더
KR20200144040A (ko) * 2019-06-17 2020-12-28 이수진 방아쇠 타입 클램프 사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451B1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0650B2 (en) Video fishing rod with underwater observation gear
JP4808205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型釣具
US5414951A (en) Fishing tackle having fiber optic image transmission
US20130107031A1 (en) Underwater Digital Video Camera Recorder for Fishing
KR20190022886A (ko) 수중 낚시 카메라, 스마트 낚시 카메라 시스템, 및 자동 화상 회전 및 안정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1349799B (zh) 宽动态全方位视觉传感器
JP2005528774A (ja) 多機能ケーブルとこれを用いた映像システムを備える釣り装備及び水中映像撮影システム
WO2013186576A1 (en) Combination fishing float and video capture system
CN102948405A (zh) 无线可视渔具
KR102486451B1 (ko)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EP0993192A2 (en) Underwater imaging system
US20110162252A1 (en) System & method for fishing
JP2001094851A (ja) 水中撮影装置
JP2001258445A (ja) 画像モニタ付き釣具
JP3120979B2 (ja) 水中撮影装置
KR200217475Y1 (ko) 낚시용 수중카메라
JP2009128894A (ja) 水中撮影用手持ちクレーン
TWI838161B (zh) 無線釣魚監視器
TW202202934A (zh) 水下鏡頭之機械式生物附著防止裝置
JP2009260801A (ja) 撮像装置
KR100426966B1 (ko) 무선 영상시스템을 구비한 낚시장비
JP7387827B2 (ja) 観察及び誘導用カメラシステム
CN110933269B (zh) 一种相机及其控制方法
CN218848452U (zh) 一种微光夜视装置
KR200329256Y1 (ko) 휴대폰과 루어형 무게추 케이스를 이용한 영상시스템이구비된 낚시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