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568U -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 - Google Patents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5568U KR20140005568U KR2020130004483U KR20130004483U KR20140005568U KR 20140005568 U KR20140005568 U KR 20140005568U KR 2020130004483 U KR2020130004483 U KR 2020130004483U KR 20130004483 U KR20130004483 U KR 20130004483U KR 20140005568 U KR20140005568 U KR 2014000556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ixed
- horizontal
- fishing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1282110 Pagrus major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514 dolom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9 dolom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44—Article supports adapted to be stuck into the groun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2—Fishing rod hold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갯바위낚시에 있어서 갯바위를 훼손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낚싯대를 받쳐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하여 갯바위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갯바위 자립형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갯바위 자립형 받침틀을 구성함에 있어서, 낚싯대받침대(9,9')가 탈착결합되는 지주봉(11,11')이 형성된 받침부(1)와; 상단 나사봉(21)이 수평다리(3,3')의 결합공(33)을 통해 상기 받침부(1)의 나사공(12,12')에 나사결합되는 수직다리(2,2')와; 상기 받침부(1)와 수직다리(2,2')에 연결되고 수평지지대(31)와 경사지지대(32)가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받침부(1)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다리(3,3')로 갯바위 자립형 받침틀을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본 고안은, 갯바위 자립형 받침틀을 구성함에 있어서, 낚싯대받침대(9,9')가 탈착결합되는 지주봉(11,11')이 형성된 받침부(1)와; 상단 나사봉(21)이 수평다리(3,3')의 결합공(33)을 통해 상기 받침부(1)의 나사공(12,12')에 나사결합되는 수직다리(2,2')와; 상기 받침부(1)와 수직다리(2,2')에 연결되고 수평지지대(31)와 경사지지대(32)가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받침부(1)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다리(3,3')로 갯바위 자립형 받침틀을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갯바위낚시에 있어서 갯바위를 훼손시키지 않는 친환경적인 구조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낚싯대를 받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자립형 받침틀'은 갯바위에 지주봉 등을 타설하거나 콘크리트몰탈 등으로 고정시키지 않고 갯바위에서 낚시대를 받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받침틀을 의미한다.)
바다낚시 중에서도 돌돔, 참돔 등의 대상어를 공략하는 낚시는 대개 갯바위에서 이루어지는 데 갯바위에서 행하는 낚시를 흔히 갯바위낚시라 칭한다. 이러한 갯바위낚시에는 전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돌돔, 참돔 등의 원투낚시에 중량의 낚싯대가 사용되고 이러한 낚싯대를 갯바위에서 받쳐서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장비(받침대)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갯바위낚시에는 낚싯대를 받치는 받침대를 고정시키기 위해 갯바위에 받침대를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박아 고정설치(이하, 타정이라 함.)하거나 콘크리트몰탈, 저융점 합금조성물 등으로 고정시켜 사용하게 됨으로써 심각한 자연파괴 및 환경훼손과 오염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하에 이를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갯바위낚시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299호 등에 개시된 낚시받침대 등에서와 같이 갯바위에 지주봉을 타정하여 사용하고 있어 갯바위가 파괴되는 등의 환경훼손과 오염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7763호와 같이 받침대를 갯바위에 타정하는 불편을 해소하고자 콘크리트몰탈, 저융점 합금조성물 등을 갯바위에 굳혀서 지주봉을 고정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갯바위의 훼손과 심각한 환경오염의 요인이 되고 있다.
상기한 환경훼손과 오염의 문제를 방지하면서 보다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갯바위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즉, 받침대의 지주봉을 갯바위에 타정하거나 콘크리트몰탈 등으로 고정시키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갯바위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갯바위낚시를 위한 받침대에 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하에 이를 살펴본다.
참고문헌1에는 낚시받침대를 전/후방받침대로 분리 구성하고, 각 받침대에는 안착홈과 지면에 박지 않고도 세워 사용할 수 있는 다리를 형성하여 갯바위에서 낚싯대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낚시받침대가 개시되어 있고 참고문헌2에도 전/후방프레임 및 받침부재 등으로 구성되어 갯바위 등에서 지면에 박지않고도 고정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낚시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또, 참고문헌3에는 받침대 하부를 일정 넓이로 벌려 갯바위의 틈새에 탄력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바위 등 융기된 부분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갯바위 낚시용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참고문헌4, 참고문헌5에는 낚시밑밥통에 받침대를 장착하여 낚싯대를 올려놓을 수 있게 함으로써 갯바위에 지주봉을 타설하거나 콘크리트몰탈 등으로 고정시키지 않고 갯바위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바다낚시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 참고문헌6 등에서 같이 허리에 벨트로 착용하여 낚싯대를 허리에 착용한 벨트에 거치시킴으로써 갯바위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한 갯바위낚시용 벨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참고문헌1 내지 참고문헌6에 개시된 낚시받침대는 낚싯대를 거치시키기 위해 갯바위에 지주봉을 타정하거나 콘크리트몰탈 등으로 고정시키기 않아 갯바위가 훼손되지 않고 환경오염 우려가 없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참고문헌1,2의 낚시받침대는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낚싯대를 받치는 낚시받침대를 갯바위에 견고히 설치하지 못함으로써 중량의 낚싯대를 거치시키면 대상어의 입질 등에 의해 낚싯대를 받치고 있는 낚시받침대 전체가 유동되는 경우가 많고 부피가 커서 휴대 및 보관도 용이치 않은 등의 단점이 있다. 또, 참고문헌3의 갯바위낚시용 받침대는 부피는 소부피이나 그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구성부품수가 많아 내구성이 취약한 등의 단점이 있어 실용성이 낮다.
그 밖에 참고문헌4,5에 개시된 밑밭통을 활용한 받침대는 밑밥통을 중량물(물 등)로 채워 고정시켜야 하므로 사용성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밑밭통 본연의 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참고문헌6에 개시된 벨트형으로 된 낚시받침대는 사용자의 신체를 사용하게 되므로 당연히 불편이 따를 뿐만 아니라 낚싯대를 신체에 고정시키는 이유로 피로감이 빠르고 하나의 낚싯대만을 거치시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불편이 있는 등으로 장점보다 단점이 많아 실용성이 적다.
이에 본 고안은 갯바위를 훼손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구조로 갯바위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낚시대를 받쳐서 사용할 수 있는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갯바위에 타정하거나 콘크리트몰탈 등으로 고정시키지 않아 갯바위를 훼손시키지 않게 함으로써 자연을 보호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는 갯바위낚시를 위한 친환경적인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간편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고 견고한 고정구조를 갖추어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 및 보관시에는 소부피로 접어서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고안은 주로 갯바위는 물론 방파제의 콘크리트바닥 등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장소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1]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낚싯대받침대가 탈착결합되는 지주봉이 형성된 받침부와; 상단 나사봉이 수평다리의 결합공을 통해 상기 받침부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수직다리와; 상기 받침부와 수직다리에 연결되고 수평지지대와 경사지지대가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받침부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다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다리의 경사지지대 끝단에는 둔각으로 절곡된 몸체로 되고 끝단에 뾰족한 첨부를 형성한 고정발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의 조립편에 치차가 형성된 고정축을 결합하고, 수평지지대의 조립편에는 상기 고정축의 치차에 대응하는 치차를 갖는 조립공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되게 하되, 상기 경사지지대의 조립편의 조립공은 수평지지대의 고정축 보다 큰 직경으로 구성하여 경사지지대의 조립편이 고정축 외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회전상태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고정축의 치차에 대응하는 조립공의 치차는 일부만 형성하여 상기 조립공의 치차를 고정축의 치차에 맞물려 결합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로 체결시켜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에 조절노브을 갖는 워엄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지지대에는 수평지지대의 워엄에 맞물려 결합되는 워엄기어를 형성하여 조절노브로 워엄을 회전시켜서 워엄기어로 결합된 경사지지대를 임의 각도로 조절하고 수평지지대 측으로 접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 갯바위에 고정시킨 캐밍 디바이스에 연결된 자일을 고정시키는 고정노브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노브는 받침부에 결합된 브라켓에 축핀으로 편심회동되게 고정캠을 결합하고 상기 고정캠에는 누름편과 요철부를 형성하여 고정캠으로 브라켓에 삽입된 자일을 압박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갯바위에 타정하거나 콘크리트 등으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갯바위를 훼손하지 않으므로 자연보호 및 환경오염 방지 등에 일조하는 친환경적인 갯바위낚시를 위한 자립형 받침틀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간편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고 견고한 고정구조를 갖추어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소부피로 접어서 용이하게 휴대, 보관할 수 있는 갯바위 낚시를 위한 자립형 받침틀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고정발톱의 채용으로 갯바위에서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고정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 바닥인 방파제 등에서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여 기존 낚싯대받침대 설치가 곤란한 갯바위, 방파제 등 다양한 장소에서 편리하게 낚시대를 받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발췌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중 고정노브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중 고정노브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중 각도조절부의 요부 발체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중 각도조절부의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중 각도조절부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11, 12는 본 고안중 워엄기어장치를 이용한 일부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13, 14는 본 고안중 워엄기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요부 발췌 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발췌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중 고정노브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중 고정노브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중 각도조절부의 요부 발체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중 각도조절부의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중 각도조절부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11, 12는 본 고안중 워엄기어장치를 이용한 일부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13, 14는 본 고안중 워엄기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요부 발췌 확대도.
본 고안은 갯바위에 타정하거나 콘크리트몰탈 등으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갯바위를 훼손하지 않으므로 자연보호 및 환경오염 방지 등에 일조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구조와 간편하고 견고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갯바위 자립형 받침틀을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낚싯대받침대가 탈착결합되는 수개의 지주봉이 형성된 받침부와, 받침부를 갯바위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직다리 및 수평다리로 대분되고, 상기 수직다리는 받침부 직하방에서 받침부를 수직으로 받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 및 수직다리와 연결되어 수평으로 받침부를 지지하는 수평다리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는 지주봉에 고정설치되는 데 상기 지주봉은 통상의 낚싯대받침대를 갯바위에 타정하는 설치하는 지주봉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지주봉의 하단의 뾰족한 첨부를 없애고 받침부 상에 고정형성하여 받침부를 구성한다.
상기 받침부의 지주봉에는 낚싯대받침대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지주봉이 형성된 받침부 하부에는 수직다리와 수평다리가 결합된다.
수직다리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단에 나사봉이 형성되어 받침부의 하부의 나사조립공에 조립되어 결합되고, 또 수직다리의 나사봉에 수평다리가 결합되어 받침부에 결합된다.
상기 수평다리는 수평지지대와 경사지지대로 구성되고, 경사지지대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수평지지대와 경사지지대는 각도조절부 또는 워엄기어장치부로 연결구성되어 경사지지대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고 또 경사지지대를 수평지지대측으로 접어서 소부피로 휴대, 보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수평다리의 경사지지대 끝에는 갯바위나 방파제 바닥의 틈새, 홈 등에 끼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발톱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발톱은 경사지지대와 나란히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로부터 굴곡지게 형성되고 갯바위 등의 지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와 몸체의 수직부 끝단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첨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받침부에는 갯바위의 홈 등에 끼워 고정시키는 캐밍 디바이스(Spring Load Caming Device, 일명 암벽등반 캠)에 연결된 자일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는 는 고정노브가 형성되어 캐밍 디바이스를 갯바위의 요철 틈새 등에 끼워 고정시키고 그에 연결된 자일 끝을 받침부의 고정노브에 당겨 고정시킴으로써 받침틀 전체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갯바위 등에 고정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발췌 확대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갯바위 자립형 받침틀은 낚싯대받침대(9,9')가 탈착결합되는 수개의 지주봉(11,11')이 형성된 받침부(1)와, 받침부(1)를 갯바위 등에 고정시키기 위해 받침부(1)를 직하방에서 수직으로 받치는 수직다리(2,2')와, 상기 받침부(1) 및 수직다리(2,2')와 연결되어 수평으로 받침부(1)를 지지하는 수평다리(3,3')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1)에는 낚싯대받침대(9,9')를 결합하기 위한 지주봉(11,11')을 형성한다. 상기 지주봉(11,11')은 일반적으로 갯바위에 타정하여 설치하는 지주봉 하단의 뾰족한 첨부를 없애고 도시한 예와 같이 상부만을 받침부(1)상에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받침부(1)에 형성된 지주봉(11,11')에는 낚싯대받침대(9,9')를 결합한다. 상기 지주봉(11,11')에 결합되는 낚싯대받침대(9,9')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 고안(실용신안등록 제20-0458744호)과 동일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낚싯대받침대(9,9')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지주봉(11,11')이 형성된 받침부(1)에는 받침부(1)를 갯바위 등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직다리(2,2')와 수평다리(3,3')를 조립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다리(2,2')는 도시한 예와 같이 조절공(부호생략)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하단에는 갯바위나 콘크리트 바닥의 요철홈에 끼어져 고정되도록 뾰족한 첨부(22)를 형성하여 받침부(1) 양측에서 결합한다.
상기 수직다리(2,2')는 상단에 나사봉(21)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봉(21)에 후술하는 수평다리(3,3')의 결합공(33)을 통해 받침부(1)의 나사공(12,12')에 나사결합으로 조립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평다리(3,3')는 수직다리(2,2')의 나사봉(21)에 후술하는 수평지지대(31)의 결합공(33)을 관통 결합하여 수직다리(2,2')의 나사봉(21)에 결합된 결합공(33)을 중심으로 좌우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갯바위의 지형 등에 따라 받침부(1) 양측 수평다리(3,3')를 원하는 각도로 자유롭게 벌려서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직다리(2,2')와 함께 받침부(1)에 결합되는 수평다리(3,3')는 받침부(1) 양측에서 전방으로(낚시방향으로) 전개되어 후술하는 고정발톱(5)으로 받침부(1)를 전방에서 강하게 지지함으로써 낚싯대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게 하고 대상어의 바늘털이 등에 의해 받침부(1)가 끌려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직다리(2,2')의 나사봉(21)에 결합되는 수평다리(3,3')는 수평지지대(31)와 경사지지대(32)로 구성하고, 수평지지대(31)와 경사지지대(32)는 각운동 가능한 각도조절부(4)로 연결하여 받침부(1)에 결합된 수평지지대(31)로부터 경사지지대(32)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또 경사지지대(32)를 수평지지대(31)측으로 접을 수 있게 하고 전개시켜서 전방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다리(3,3')는 수평지지대(31)와 경사지지대(32)로 구성하고 경사지지대(32)는 수직다리(2,2')의 경우와 동일한 길이조절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며 수평지지대(31)측으로 접어서 소부피로 휴대,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수평지지대(31)의 결합공(3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다리(2,2')의 나사봉(21)에 결합하여 결합공(33)을 중심으로 수평지지대(31)를 원하는 좌우 각도로 벌려서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수직다리(2,2')의 길이조절구조와 수평다리(3,3')의 경사지지대(32) 길이조절구조는 도시한 예 외의 다양한 길이조절구조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다리(3,3')의 경사지지대(32) 끝단에는 갯바위의 틈새나 콘크리트 바닥의 틈새, 홈 등에 끼워 고정시키는 고정발톱(5)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발톱(5)은 경사지지대(32) 끝단에 둔각으로 절곡된 몸체(51)로 형성하고 몸체(51)의 끝단에 뾰족한 첨부(52)를 형성하여 갯바위의 틈새, 홈 등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둔각으로 절곡된 몸체(51) 끝단에 형성된 첨부(52)는 경사지지대(32)의 경사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갯바위 등의 틈새, 홈 등에 대하여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세워져 갯바위의 틈새 등에 끼여 강하게 고정되므로 전방으로 (낚싯대받침대(9,9')가 설치된 받침부(1)를 대상어가 당기는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강하게 작용하더라도 이로인해 끌려들어가는 힘을 제지하여 받침부(1)와 수직다리(2,2') 등이 갯바위에 고정된 자세를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다리(3,3')의 수평지지대(31)와 경사지지대(32)는 각도조절부(4)로서 수평지지대(31)와 경사지지대(32)간의 각도를 원하는 임의 각도로 조절하 전개시키고 또 경사지지대(32)를 수평지지대(31)에 접을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하 이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각도조절부(4)는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수평지지대(31)의 일단에 조립편(41)을 형성하고 조립편(41)에는 치차(43)가 형성된 고정축(42)을 형성하여 경사지지대(32)의 조립편(44)을 각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수평지지대(31)의 조립편(41)에 형성된 고정축(42)에 대응하는 경사지지대(32)의 조립편(44)에는 조립공(45)을 형성하고 상기 조립공(45)에는 상기 연결편(32)의 고정축(42)에 형성된 치차(43)에 대응하는 치차(46)를 형성하여 이들 서로의 맞물림결합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경사지지대(32)의 조립편(44)의 조립공(45)은 도시한 예와 같이 수평지지대(31)의 고정축(42) 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구성하여 경사지지대(32)의 조립편(44)을 고정축(42) 외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자유회전상태로 결합되도록 하고, 조립공(45)에는 도시한 예와 같이 고정축(42)의 치차(43)에 대응하는 치차(46)를 일부만 형성하여 상기 조립공(45)의 치차(46)를 고정축(42)의 치차(43)에 맞물려 결합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47)로 체결고정시켜 경사지지대(32)를 수평지지대(31)에 원하는 각도로 각운동시켜 그 각도로 조절,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볼트(47)는 조립편(44)을 통해 고정축(42)에 결합되어 조립편(44)을 고정축(42)에 고정시킴으로써 경사지지대(32)를 수평지지대(31)에 조절 완료된 경사도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경사지지대(32)의 각도조절은 갯바위의 경사도 등에 따라 경사지지대(32)를 임의의 적절한 각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경사지지대(32)를 이용하여 받침부(1)를 지지, 고정시킴으로써 받침부(1)에 설치되는 낚싯대받침대(9,9')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 절첩부(4)는 경사지지대(32)를 수평지지대(31) 측으로 완전히 접어서 절첩할 수 있으므로 휴대, 이동시에 간편하게 소부피로 접을 수 있다.
도 10은 절첩부(4A)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수평지지대(31)와 경사지지대(32)를 경사조절편(48)으로 연결하고 체결볼트(49)로 고정시키도록 하여 경사지지대(32)를 각운동시켜 경사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또 절첩시킬 수 있게 구성한 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수평지지대(31)와 경사지지대(32)를 서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4)(4A)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다양한 절첩구조로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수평지지대(31)와 경사지지대(32)에 워엄기어장치(6)를 채용하여 각도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예를 도 11 내지 도 14와 함께 이하에 살펴본다.
워엄기어장치(6)는 수평지지대(31)에 케이싱(61)을 고정하여 워엄(62)을 내장하고 워엄(62)의 회전축에 조절노브(64)를 형성하며, 경사지지대(32)에는 워엄기어(63)를 형성하여 상기 수평지지대(31)의 워엄(62)에 맞물려 결합함으로써 조절노브(64)로 워엄(62)을 회전시켜서 경사지지대(32)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수평지지대(31)측으로 접을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간단한 워엄기어장치(6)를 통해 결합된 수평지지대(31)와 경사지지대(32)는 조절노브(64)의 회전으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고 조절된 각도로 바로 고정되므로 더욱 간편하게 수평다리(3,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워엄(62)의 회전으로 워엄기어(63)를 회전시켜 경사지지대(32)를 미세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불규칙한 갯바위의 틈새와 홈 등에 맞추어 미세한 각도로 조절하여 수평다리(3,3')의 설치각도를 조절, 선택함으로써 받침부(1)를 더욱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 워엄(62)의 회전만으로 각도조절과 동시에 조절된 각도로 매우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각도조절 등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에는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갯바위의 틈새, 홈 등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캐밍 디바이스(8)에 연결된 자일(81)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노브(7,7')를 형성한다. 상기 캐밍 디바이스(8)는 도시한 예와 같이 스프링장치가 결합된 캠으로 구성되어 암벽등반 등에서 크랙에 캠을 끼워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캐밍 디바이스(8)는 등가의 여러 수단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캐밍 디바이스(8)에 연결된 자일(81)은 받침부(1)의 고정노브(7,7')에 고정시켜 받침부(1)를 갯바위 등에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이하에 이를 살펴본다.
상기 고정노브(7,7')는 브라켓(71)을 조립축(72)으로 받침부(1)상에 회전작동가능하게 결합하거나 용접 등으로 결합하고 브라켓(71) 내측에 축핀(73)으로 고정캠(74)을 결합한다.
상기 고정캠(74)은 일측에 누름편(75)을 형성하고 축핀(73)으로 편심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누름편(75)으로 축핀(63)에 결합된 고정캠(74)을 브라켓(71) 사이에 형성된 끼움부(76)에 눌러서 끼움부(76)에 삽입된 자일(81)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캠(74)에는 끼움부(76)에 삽입된 자일(81)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형상의 요철부(74a)를 형성하며, 상기 요철부(74a)는 자일(81)이 당겨지는 방향(고정캠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여 요철부(74a)에 의해 자일이 더욱 견고하게 끼여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캐밍 디바이스(8)는 갯바위의 틈새, 홈 등에 끼워 고정시키고 그에 연결된 자일(81) 끝을 받침부(1)의 고정노브(7,7')에 당겨 고정시킴으로써 받침부(1)를 수직다리(2,2') 및 수평다리(3,3')와 함께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은 수직다리(2,2')로 받침부(1)를 세워서 고정시키고, 또 수직다리(2,2')와 함께 받침부(1)에 결합된 수평다리(3,3')를 갯바위의 지형조건 등에 따라 임의의 좌우 각도로 벌려서 낚시대받침대(9,9')가 결합되는 받침부(1)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수평다리(3,3')는 갯바위의 지형조건에 따라 수평지지대(31)와 경사지지대(32)의 각도조절부(4)(4A)와 워엄기어장치(6)를 이용하여 최적의 각도로 조절하고 또 길이 등을 조절함으로써 최상의 설치구조로 받침부(1)를 갯바위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서 낚싯대받침대(9,9')를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수평다리(3,3')의 경사지지대(32) 끝단에 형성되는 고정발톱(5)은 갯바위의 틈새, 홈 등에 끼여 고정되어 강력한 고정력과 접지력을 발휘하여 대상어의 움직임 등에 의해 받침틀이 끌려들어가지 않도록 지탱하는 힘을 발휘하여 받침틀 전체를 갯바위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캐밍 디바이스(8)를 사용하여 갯바위의 틈새, 홈 등에 끼워 고정시킨 다음 여기에 연결된 자일(81)을 받침부(1)의 고정노브(7,7')에 끼우고 팽팽히 당겨서 고정캠(73)을 눌러 고정시키게 되면 받침부(1)를 자일(81)로 연결된 캐밍 디바이스(8)를 이용해 갯바위에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캐밍 디바이스(8)는 갯바위나 방파제의 특성 등에 의해 수직다리(2,2') 및 수평다리(3,3')만으로 받침부(1)를 견고히 고정시키기에 매우 열악한 환경일 경우나 바람이 쎈 기후 등, 그 여건이 좋지 않는 경우에 부가적으로 자일(81)을 이용하여 갯바위에 고정시키도록 사용하면 더욱 견고하고 바람직한 설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도면에 사용한 부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받침부 11,11':지주봉
12,12':: 나사공 2,2':수직다리
21:나사봉 22:첨부
3,3':수평다리 4,4A:절첩부
31:수평지지대 32:경사지지대
33:조립공
5:고정발톱 6:워엄기어장치
61:케이싱 62:워엄
63:워엄기어 64:조절노브
7,7':고정노브 71:브라켓
72:조립축 73:축핀
74:고정캠 74a:요철부
75:누름편 76:끼움부
8:캐밍 디바이스 81:자일
9,9':낚싯대받침대
상기한 부호의 설명을 비롯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의 기재 등에 사용된 용어는 본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고안의 목적과 구성 및 첨부 도면 등을 포함한 전체 기재내용을 통해 종합적이고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여야 하는 것이지 사전적 의미에만 한정함으로써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개념을 불분명하게 하여서는 아니될 것이다.
1:받침부 11,11':지주봉
12,12':: 나사공 2,2':수직다리
21:나사봉 22:첨부
3,3':수평다리 4,4A:절첩부
31:수평지지대 32:경사지지대
33:조립공
5:고정발톱 6:워엄기어장치
61:케이싱 62:워엄
63:워엄기어 64:조절노브
7,7':고정노브 71:브라켓
72:조립축 73:축핀
74:고정캠 74a:요철부
75:누름편 76:끼움부
8:캐밍 디바이스 81:자일
9,9':낚싯대받침대
상기한 부호의 설명을 비롯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의 기재 등에 사용된 용어는 본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고안의 목적과 구성 및 첨부 도면 등을 포함한 전체 기재내용을 통해 종합적이고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여야 하는 것이지 사전적 의미에만 한정함으로써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개념을 불분명하게 하여서는 아니될 것이다.
Claims (5)
- 낚싯대받침대(9,9')가 탈착결합되는 지주봉(11,11')이 형성된 받침부(1)와;
상단 나사봉(21)이 수평다리(3,3')의 결합공(33)을 통해 상기 받침부(1)의 나사공(12,12')에 나사결합되는 수직다리(2,2')와;
상기 받침부(1)와 수직다리(2,2')에 연결되고 수평지지대(31)와 경사지지대(32)가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받침부(1)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다리(3,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다리(3,3')의 경사지지대(32) 끝에는 둔각으로 절곡된 몸체(51)로 되고 끝단에 뾰족한 첨부(52)를 갖는 고정발톱(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31)의 조립편(41)에 치차(43)가 형성된 고정축(42)을 결합하고, 수평지지대(31)의 조립편(44)에는 상기 고정축(42)의 치차(43)에 대응하는 치차(46)를 갖는 조립공(45)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되게 하되,
상기 경사지지대(32)의 조립편(44)의 조립공(45)은 수평지지대(31)의 고정축(42)보다 큰 직경으로 구성하여 경사지지대(32)의 조립편(44)이 고정축(42) 외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회전상태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고정축(42)의 치차(43)에 대응하는 조립공(45)의 치차(46)는 일부만 형성하여 상기 조립공(45)의 치차(46)를 고정축(42)의 치차(43)에 맞물려 결합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47)로 체결시켜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31)에 조절노브(64)을 갖는 워엄(62)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지지대(32)에는 수평지지대(31)의 워엄(62)에 맞물려 결합되는 워엄기어(61)를 형성하여 조절노브(64)로 워엄(62)을 회전시켜서 워엄기어(61)로 결합된 경사지지대(32)를 임의 각도로 조절하고 수평지지대(31)측으로 접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에 갯바위에 고정시킨 캐밍 디바이스(8)에 연결된 자일(81)을 고정시키는 고정노브(7,7')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노브(7,7')는 받침부(1)에 결합된 브라켓(71)에 축핀(73)으로 편심회동되게 고정캠(74)을 결합하고 상기 고정캠(74)에는 누름편(75)과 요철부(74a)를 형성하여 고정캠(74)으로 브라켓(71)에 삽입된 자일(81)을 압박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4483U KR20140005568U (ko) | 2013-06-04 | 2013-06-04 |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4483U KR20140005568U (ko) | 2013-06-04 | 2013-06-04 |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5568U true KR20140005568U (ko) | 2014-10-28 |
Family
ID=5245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4483U KR20140005568U (ko) | 2013-06-04 | 2013-06-04 |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5568U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13960A (zh) * | 2018-05-10 | 2018-09-11 | 天津中德应用技术大学 | 钓竿支座 |
KR20220017257A (ko) * | 2020-08-04 | 2022-02-11 | 김종훈 | 낚시받침대 지지대 |
US20230329210A1 (en) * | 2022-04-13 | 2023-10-19 | Kip Lee Murphy | Fishing rod holder |
KR20230166055A (ko) * | 2021-04-15 | 2023-12-06 | 유성옥 | 낚싯대의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낚싯대 고정장치 |
-
2013
- 2013-06-04 KR KR2020130004483U patent/KR20140005568U/ko unkno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13960A (zh) * | 2018-05-10 | 2018-09-11 | 天津中德应用技术大学 | 钓竿支座 |
KR20220017257A (ko) * | 2020-08-04 | 2022-02-11 | 김종훈 | 낚시받침대 지지대 |
KR20230166055A (ko) * | 2021-04-15 | 2023-12-06 | 유성옥 | 낚싯대의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낚싯대 고정장치 |
US20230329210A1 (en) * | 2022-04-13 | 2023-10-19 | Kip Lee Murphy | Fishing rod hol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05568U (ko) | 갯바위낚시용 자립형 받침틀 | |
US7594353B2 (en) | Fishing rod holder | |
US20180106062A1 (en) | Ground Anchoring Umbrella Stand | |
JP2001020849A (ja) | 水上風力発電装置 | |
KR200468566Y1 (ko) | 낚시용 좌대 | |
KR20140001659U (ko) | 선상 낚싯대 받침대 | |
US7774950B2 (en) | Leveling device | |
KR20170004640A (ko) | 낚시 받침틀 지지장치 | |
US4479636A (en) | Fence post construction | |
KR102138806B1 (ko) | 부유식 수상 지지장치 | |
JP3459592B2 (ja) | 釣用座台装置 | |
KR20160096558A (ko) | 해먹 시스템 | |
KR200480146Y1 (ko) | 낚시 좌대 | |
CN210492261U (zh) | 一种用于防波堤垂钓的渔具存放装置 | |
CN211091028U (zh) | 树木二杆支撑机构 | |
KR200490275Y1 (ko) | 낚시대용 다용도 거치대 | |
KR20110008444U (ko) | 낚싯대 받침구 | |
JP3530242B2 (ja) | 釣り用スタンド装置 | |
KR20110035078A (ko) | 낚싯대용 받침대 | |
US5819874A (en) | Foot platform device | |
JP5024804B1 (ja) | 腰掛け | |
KR960009562Y1 (ko) | 아이스 박스에 설치된 낚시대 받침 장치 | |
KR101149086B1 (ko) | 낚싯대받침대와 탈착하는 낚시가방 | |
KR101414765B1 (ko) | 낚시용 좌대의 다리 및 그를 포함한 낚시용 좌대 | |
KR200476417Y1 (ko) | 낚시 수상좌대용 위치 고정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