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5078A - 낚싯대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5078A
KR20110035078A KR1020090092634A KR20090092634A KR20110035078A KR 20110035078 A KR20110035078 A KR 20110035078A KR 1020090092634 A KR1020090092634 A KR 1020090092634A KR 20090092634 A KR20090092634 A KR 20090092634A KR 20110035078 A KR20110035078 A KR 20110035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shing rod
support
pedest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도영
Original Assignee
조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도영 filed Critical 조도영
Priority to KR102009009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5078A/ko
Publication of KR20110035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대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낚싯대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가 다수 구비된 프레임을 연결하여 다수의 낚싯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석축이나 제방 및 경사지 등의 지면이 불규칙한 곳에서도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받침대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받침대 및 낚싯대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치대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지면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낚싯대, 받침대, 대물낚시, 앵커부재, 연결 브라켓, 보조 지지대

Description

낚싯대용 받침대{Supporter for a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낚싯대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가 다수 구비된 프레임을 연결하여 다수의 낚싯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석축이나 제방 및 경사지 등의 지면이 불규칙한 곳에서도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받침대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받침대 및 낚싯대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낚시는 크게 민물낚시와 바다낚시로 구분하는데 요즈음은 그 밖에도 관리형 유료 낚시터에서 낚시를 즐기는 사람도 늘고 있다. 이러한 낚시의 종류와 낚고자 하는 어종의 특성상 다양한 도구와 낚싯대용 받침대가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받침틀 여러 개를 연결하여 하나의 받침대에 다수의 낚싯대를 거치시킬 수 있는 낚싯대용 받침대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낚시대용 받침대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낚시를 하는 다양한 지형에 따른 적용 가능 여부이다. 즉, 지면이 평탄한 지형에서의 낚시대용 받침대의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해야 함은 물론, 경사진 곳이나 석축 또는 제방과 같이 받침대의 설치가 어려운 곳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석축 또는 제방과 같은 경사지에서 낚싯대용 받침대를 설치하기 위해 미리 준비한 모래주머니를 사용한다 하여도 경사각 때문에 미끄러짐 현상이 생기기 마련이고, 핀이나 팩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도 경사면의 전,후,좌,우가 일정치 않고, 돌틈 또한 불규칙하므로 설치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면이 불규칙한 상황을 배제하고 낚싯대용 받침대를 설치한다 하여도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바람의 저항에 의해 낚싯대는 물론 받침대가 설치 위치를 벗어나게 되거나 받침대의 수평이 틀어지게 되어 낚싯대가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물낚시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종래에는 지면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저수지와 같은 곳에서도 출조시 다수 개의 앞받침대, 받침틀, 뒤꽂이, 총알 등 많은 장비를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러한 장비들을 설치하거나 철수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고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대물장비들은 접어서 부피를 줄인다고 하더라도 그 구성이 복잡하여 여전히 큰 부피와 중량이 문제점으로 남고 있는 실정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낚시도중 낚싯대의 무게와 낚싯대보다 무거운 앞받침대의 무게로 인해 발생되는 장비의 수중함몰이다. 종래의 낚싯대용 받침대는 물속에 설 치되는 앞받침대를 수정하려면 사람이 물속으로 들어가 조정하거나, 다수 개의 낚싯대를 접은 후 받침틀을 물에서 꺼내어 조정한 후 재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앞받침대의 무게로 인해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쏠리게 되므로 석축 경사지와 같이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석축이나 제방 및 경사지 등의 지면이 불규칙한 곳에서도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지면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받침대 및 낚싯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부피와 중량 및 설치 및 해체시간을 줄일 수 있는 낚싯대용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낚시 도중 받침대가 변형되거나 수중으로 함몰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위치를 이탈하는 일이 없으며, 다수의 낚싯대를 거치할 수 있는 여러 개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가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낚시대용 받침대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거치대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지면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 다수의 거치대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여러 개의 프레임을 연결 설치할 수 있도 록 하는 연결 브라켓과, 상기 연결 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프레임 또는 연결 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는 앵커고리와, 상기 앵커고리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줄 앵커 및 상기 줄 앵커의 하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삼각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줄 앵커의 중간부에는 줄 앵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삼각뿔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삼각뿔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강철팩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는 보조프레임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프레임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의 내측면에는 고무패킹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의 하부에는 프레임 상에서 보조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은 고정수단이 삽입 결합되는 고정수단 결합부와, 상기 앵커부재가 연결 설치되는 앵커부재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일측면에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레버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볼트공의 외주연에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프레임 또는 연결 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는 주지지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다단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조 지지대 및 상기 보조 지지대의 전방으로 연결 설치되는 전방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에 의해 석축이나 제방 및 경사지 등의 등의 지면이 불규칙한 곳에서도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지면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대 및 낚싯대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전체적인 장비의 중량 및 부피를 줄여 포인트의 이동 및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대의 후방으로 앵커부재를 설치하여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을 여러 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방 지지대 및 보조 지지대와 함께 받침대의 전,후,좌,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낚시 도중 외부의 힘에 의해 받침대의 위치가 이탈되거나 수중함몰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앵커부재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거치대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의 (a) ~ (c)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 중 보조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와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보조프레임의 사용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보조지지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프레임과 보조지지대 사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세부 상세도이며, 도 9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 중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0의 (a) ~ (c)는 도 9에 나타낸 연결 브라켓의 다양한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낚싯대(10)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200)가 다수 구비된 프레임(20)을 연결하여 다수의 낚싯대(10)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석축이나 제방 및 경사지 등의 지면이 불규칙한 곳에서도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받침대(1)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받침대(1) 및 낚싯대(10)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싯대용 받침대(1)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거치대(200)가 구비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을 지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30) 및 앵커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프레임(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수단(30)에 의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다수의 낚싯대(10)를 안치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거치대(2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200)는 종래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일자형의 거치대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물고기가 잡혔을 때 낚싯대(10)를 재빨리 잡아챌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릴이 구비된 낚싯대(10)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거치대(210), 제2거치대(220) 및 프레임 연결부재(230)로 구성된 거치대(2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거치대(210)는 낚싯대(10)가 안치되는 제1낚싯대 안치부(212)와, 상기 제1낚싯대 안치부(212)의 하측으로 만곡되어 제2거치대(220)와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21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거치대(220)는 연결부재(214)에 의해 제1거치대(210)와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낚싯대(10)가 안치되는 제2낚싯대 안치부(222)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낚싯대 안치부(212) 및 제2낚싯대 안치부(222)의 내측 하면에는 고무판과 같은 완충부재(미도시)가 부가 설치되어 거치대(200)의 상부에 거치된 낚싯대(10)가 전방으로 끌리거나 후방으로 잡아당겨질 때 발생하는 거치대(200)와의 마찰에 의해 낚싯대(10)의 표면에 흡집이 생기는 일을 방지하고, 낚싯대(10)가 거치대(200) 위에서 잘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제2낚싯대 안치부(222)의 내측 상면에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영구자석(미도시)을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거치된 낚싯대(1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866996호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한편, 상기 제2거치대(220)는 제1거치대(210)의 연결부재(214) 후방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데, 상기 제2거치대(220)와 제1거치대(210)의 힌지 결합부에는 고정용 볼트(216)가 체결되어 제2거치대(220)와 제1거치대(210) 사이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거치대(210)와 제2거치대(220) 사이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치대(200)에 거치되는 낚싯대(10)의 종류에 따라 제1낚싯대 안치부(212)와 제2낚싯대 안치부(2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을 때 거치대(200)에 안치된 낚싯대(10)와 연결부재(214)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사용자가 손을 집어 넣어 재빨리 낚싯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공간부로 인해 릴이 부가된 낚싯대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 연결부재(230)는 제2거치대(220)와 프레임(2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제1연결부재(232)와 제2연결부재(234)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연결부재(232)는 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제2연결부재(234)가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234)는 일측 단부가 제2거치대(22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연결부재(232)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됨으로써 거치대(200)를 프레임(2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재(232)의 외측에는 회동제어부재(232a)가 설치되는데, 상기 회동제어부재(232a)는 제1연결부재(232)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된 제2연결부재(234)의 좌,우 방향 회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동제어부재(232a)를 꽉 조임으로써 제2연결부재(234) 및 제2연결부재(234)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 제1 및 제2거치대(210)(220)가 좌,우로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낚시 도중 낚싯대(10)의 좌,우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회동제어부재(232a)를 적당히 풀은 상태에서 제2연결부재(234)를 회전시키면 제2연결부재(234)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 제1 및 제2거치대(210)(220)가 회전하게 되어 낚싯대(10)의 좌,우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234)의 전방에는 처짐방지볼트(234a)가 구비되는데, 상기 처짐방지볼트(234a)는 제2연결부재(234)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거치대(220)가 일정 각도 이상 하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낚싯대(10)를 거치대(200)의 상부에 거치시킨 상태에서는 낚싯대(10)의 무게로 인해 거치대(200)가 전방으로 처지게 되거나,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을 때 물고기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거치대(200)가 전방으로 처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낚싯대(10)를 거치대(200)의 상부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처짐방지볼트(234a)를 적절히 풀어 전방으로 돌출시켜 제2거치대(220)의 하부를 받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거치대(20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200)의 하부에 중공 형상의 보조프레임(50)이 연결 설치될 수도 있는데, 상기 보조프레임(50)은 프레임(20)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낚시 도중 거치대(200)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보조프레임(50)은 도 5의 (a) 내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치대(200)의 프레임 연결부재(230)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프레임(20)의 측면방향으로부터 프레임(20)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와 같이 보조프레임(50)을 이용할 경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 도중 낚싯대(10)의 투척 포인트에 따라서 거치대(200)의 위치이동을 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낚싯대(10)를 사용할 경우 낚싯대(10) 사이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50)의 내측면에는 고무패킹(52)이 설치되는데, 상기 고무패킹(52)은 보조프레임(50)을 프레임(20)에 끼움 결합시킬 때나, 낚시 도중 프레임(20) 상에서 보조프레임(50)을 이동시킬 경우 프레임(20)의 표면에 마찰에 의한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후술할 고정볼트(56) 결합시 프레임(20)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고무패킹(52)은 보조프레임(50)의 내측면 전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50)의 좌,우 이동을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보조프레임(50)의 상부면 내측과 고정볼트(56)가 끼움 결합되는 하부면 중앙부 내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50)의 아래쪽 중앙부에는 고정볼트(56)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볼트(56)는 보조프레임(50)의 하부에 형성되는 볼트결합공(54)을 통해 삽입 결합되어 프레임(20) 상에서 보조프레임(5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프레임(20) 상에 보조프레임(50)을 끼움 결합한 후 낚싯대(10)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보조프레임(50)의 위치를 결정한 후 볼트결합공(54)을 통해 고정볼트(56)를 삽입 결합하여 조여주면 거치대(200)와 연결 설치된 보조프레임(50)이 프레임(20) 상에 설치완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50)은 거치대(200)의 프레임 연결부재(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보조프레임(50)을 프레임(20) 상에 위치시킨 후 고정볼트(56)를 이용하여 단단히 조이더라도 보조프레임(50)의 내측면에 구비된 고무패킹(52)에 의해 프레임(20) 상에는 흠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낚시 도중 낚싯대(10)의 투척 포인트에 따라 거치대(200)를 이동시키거나 낚싯대(10) 사이의 간격 조절이 필요한 경우 보조 프레임(50)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볼트(56)를 적절히 풀고, 보조 프레임(5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다시 고정볼트(56)를 조임으로써 낚싯대(1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고정수단(30)은 거치대(200)가 구비된 프레임(20)을 지면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 단부가 프레임(2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어 낚싯대용 받침대(1)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주지지대(300)와, 프레임(2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주지지대(300)와 함께 낚싯대용 받침대(1)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보조 지지대(400) 및 낚싯대(10)의 무게에 의해 받 침대(1)가 전방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받침대(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전방 지지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주지지대(300)는 프레임(20)의 전방측 하부에 설치되어 낚싯대(1)의 중량에 의해 프레임(20) 및 거치대(200)가 전방으로 처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상기 주지지대(300)는 연결 브라켓(70)에 의해 다수 개의 프레임(20)을 연결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상측 단부가 연결 브라켓(70)에 연결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지지대(400)는 받침대(1)가 설치되는 장소의 지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구성되어 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지지대(410)와 각도조절부재(420) 및 제2지지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대(410)는 프레임(2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20)의 하면에 조인트 볼트(2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대(410)의 상단부 내측에는 나사홀(412)이 형성되어 제1지지대(410)가 조인트 볼트(21)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20)과 제1지지대(410) 사이의 결합부 내측에는 오링(414)이 삽입 설치되는데, 상기 오링(414)은 프레임(20)에 구비된 조인트 볼트(21)에 제1지지대(410)를 회전 조립시킬 때, 제1지지대(410)의 풀림을 방지하고 프레임(20)과 제1지지대(410) 사이의 접지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 상기 각도조절부재(420)는 제1지지대(410)와 제2지지대(43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보조 지지대(400)의 지지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제1지지대(410)와 제2지지대(430)의 전,후방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받침대(1)의 설치 이후에도 프레임(20)과 거치대(200)의 전,후 방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각도조절부재(420)와 제1지지대(410) 사이의 연결부에는 제1각도조절수단(422)이 구비되고, 각도조절부재(420)와 제2지지대(430) 사이의 연결부에는 제2각도조절수단(424)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각도조절수단(422)(424)은 받침대(1)가 설치된 상태에서 낚시를 할 때에는 제1 및 제2지지대(410)(430)를 고정시켜 프레임(20)과 거치대(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낚시 도중 포인트 이동을 하거나 낚싯대(1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지지대(410)(430)의 고정상태를 해지하여 전,후방향으로 제1 및 제2지지대(410)(430)의 각도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받침대(1) 전체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설치 상태 그대로 프레임(20)과 거치대(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대(430)는 각도조절부재(420)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어 프레임(20) 및 거치대(200)를 지지함과 동시에 받침대(1)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부재(432)와 고정부재(43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432)는 각도조절부재(420)의 하단에 힌지 결합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프레임(20) 및 거치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각도조절수단(424)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고정부재(434)는 지지부재(432)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어 받침대(1)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34)는 다시 제1고정부재(436)와 제2고정부재(438)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고정부재(436)는 지지부재(432)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432)와 제1고정부재(436) 사이의 연결부에는 제1길이조절수단(435)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길이조절수단(435)의 작동에 의해 제1고정부재(436)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받침대(1)가 설치되는 지형에 따라 보조 지지대(400)의 형상을 보다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받침대(1)를 어느 장소에서나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재(438)는 일측 단부가 제1고정부재(436)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첨단부(438a)가 형성되어 보조 지지대(400)를 지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제1고정부재(436)와 제2고정부재(438) 사이의 연결부에는 제3각도조절수단(437)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3각도조절수단(437)은 제2고정부재(438)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 지지대(400)를 지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제3각도조절수단(437)을 꽉 조임으로써 제2고정부재(438)를 고정시키고, 낚시 도중 보조 지지대(400)의 설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3각도조절수단(437)을 적당히 풀어 제2고정부재(438)가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후 보조 지지대(40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재(438)는 다양한 실시예로 지면에 설치될 수 있는데, 그 중 한 예로 제2고정부재(438)를 지면에 수평으로 접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팩(미도시)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고정부재(438)에는 결합홀(438b)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전방 지지대(500)는 낚싯대(10)의 무게에 의해 받침대(1)가 전방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받침대(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 단부가 주지지대(300) 또는 보조 지지대(400)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보통 물 속으로 삽입되어 경사진 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지지대(500)는 제1전방부재(510)와 제2전방부재(520)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전방부재(510)는 일측 단부가 주지지대(300) 또는 보조 지지대(400)의 전면에 나사 결합 등의 방법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것이고, 제2전방부재(520)는 상기 제1전방부재(510)의 타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물 속의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물가의 경사를 고려하여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1전방부재(510)와 제2전방부재(520) 사이의 연결부는 별도의 잠금장치가 없는 마찰경첩(512)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제1전방부재(510)와 제2전방부재(520) 사이의 연결부가 전방에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낚시 도중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제1전방부재(510)와 제2전방부재(520) 사이의 각도를 수정하기가 어려우므로 물 속의 지면의 경사에 따라 제1전방부재(510)와 제2전방부재(520) 사이의 각도가 자연스럽게 변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2전방부재(520)에는 제2길이조절수단(522)이 부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길이조절수단(522)은 물 속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전방 지지대(500)가 받침대(1)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전방부재(52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전방부재(520)의 하단부에는 반원 형상의 지지부(524)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부(524)는 무게중심이 후방쪽으로 치우치도록 구성되어 전방 지지대(500)를 설치하였을 때 물 속 지면의 경사에도 전방 지지대(500)가 미끄러지지 않고 받침대(1)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앵커부재(60)는 프레임(20) 또는 후술할 연결 브라켓(70)과 지면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받침대(1)의 고정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20) 또는 연결 브라켓(70)의 후면 측에 연결 설치되어 받침대(1)의 후방으로 지면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전방 지지대(500)에 대응되어 받침대(1)를 전체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고, 프레임(20)의 상부에 다수 거치되는 낚싯대(10)의 중량에 의해 받침대(1)가 전체적으로 앞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앵커부재(6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1)의 후방으로 지면에 고정 설치되므로 석축 또는 제방과 같은 경사가 심한 곳에서도 받침대(1)가 전방으로 쏠리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1)를 어느 장소에서나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앵커부재(6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앵커 고리(62)와 줄 앵커(64) 및 삼각뿔(6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앵커고리(62)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앵커부재(60)가 프레임(20) 또는 연결 브라켓(70)에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줄 앵커(64)는 앵커고리(62)와 삼각뿔(66)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앵커고리(62)와 줄 앵커(64)는 노끈이나 가죽끈(Webbing)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삼각뿔(66)은 줄 앵커(64)의 하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 설치하거나 돌틈이나 석축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함으로써 앵커부재(60)를 지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돌틈 등의 공간부에 삽입 설치된 경우 잘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상단부가 좁고 하단부가 넓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앵커부재(60)의 줄 앵커(64) 중간부에는 줄 앵커(6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65)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65)는 받침대(1)가 설치되는 장소의 지면 형상에 따라 줄 앵커(64)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장소에서나 상기 앵커부재(6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삼각뿔(66)에는 관통홀(66a)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66a)에는 강철팩(68)이 결합되어 앵커부재(60)를 지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즉, 받침대(1)를 설치하는 지형이 석축이나 제방과 같이 돌이 많은 경우에는 삼각뿔(66)을 돌틈에 끼워 넣어 고정시키면 되지만, 받침대(1)를 설치하기 위한 지 면이 통상의 흙이나 모래로 이루어진 지형일 경우에는 삼각뿔(66)을 지면에 삽입하더라도 고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물고기가 낚싯대(10)에 걸리거나 외부로부터 받침대(1)에 힘이 작용하는 경우 삼각뿔(66)이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앵커부재(60)가 받침대(1)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삼각뿔(66)을 지면에 일부 삽입되도록 설치한 후 삼각뿔(66)에 형성된 관통홀(66a)을 통해 강철팩(68)을 지면에 박음으로써 앵커부재(66)가 지면에 견고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양측 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 브라켓(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연결 브라켓(70)은 다수 개의 낚싯대(10)를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대(200)가 구비된 프레임(20)을 여러 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 프레임(20)의 양측 단부에는 브라켓 결합홀(22)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결합홀(22)에 연결 브라켓(70)의 일측을 결합시킨 후 연결 브라켓(70)의 타측에 다른 프레임(20)을 결합시킴으로써 여러 개의 프레임(20)을 연결시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 브라켓(70)의 일측면에는 도 9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공(71)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레버볼트공(72)이 형성되는데, 프레임(20)의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 결합홀(22)에 상기 볼트공(71)을 위치시키고 볼트(22a)에 의해 연결 브라켓(70)을 프레임(20)에 결합시킨 후, 상기 레버 볼트공(72)의 상부에 연결할 프레임(20)에 형성된 브라켓 결합홀(22)을 위치시키고 레버볼트(22b)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면 별도의 공구 등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프레임(20)을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레버볼트공(72)의 외주연에는 요홈(72a)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상기 요홈(72a)은 프레임(20)의 연결 사용시 많은 하중이 걸리더라도 레버볼트(22b)의 하부면이 상기 요홈(72a)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프레임(20)과 연결 브라켓(70) 사이의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결 브라켓(70)에 의해 프레임(20)이 연결 설치된 경우 받침대(1)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고정수단(30)은 받침대(1)의 균형을 위해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연결 브라켓(70)에는 고정수단 결합부(7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 결합부(74)에 고정수단(30)을 끼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0)으로는 받침대(1)를 전체적으로 고정 및 지지시키기 위한 주지지대(300)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거치대(200)의 상부에 낚싯대(10)가 거치되는 경우 받침대(1) 전체의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쏠리게 되므로 상기 고정수단 결합부(74)는 연결 브라켓(70)의 전방에 형성되어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수단(30)의 주지지대(300)가 받침대(1)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 결합부(74)의 외측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74a)이 구비되어 고정수단 결합부(74)에 삽입 결합된 고정수단(30)의 주지지대(300)가 흔들 림 없이 지면에 확실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결 브라켓(70)에는 앵커부재(60)가 연결 설치되는 앵커부재 결합부(76)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앵커부재 결합부(76)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앵커부재(60)의 앵커고리(62)가 용이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앵커부재(60)는 받침대(1)의 뒷쪽으로 설치되어 고정수단(30)과 함께 받침대(1)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받침대(1)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앵커부재 결합부(76)는 연결 브라켓(70)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1)의 다양한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1)는 보관 및 운반의 편의를 위해 각 구성요소들을 착탈 및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받침대(1)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 구성요소들을 결합하여야 하는데, 먼저 설치할 낚싯대(10)의 개수에 따라서 프레임(20)의 크기를 결정한다.
즉, 최근에 사용되는 프레임(20)은 3단 내지 6단 프레임이 사용되고 있는데, 설치할 낚싯대(10)의 개수에 따라 상기 프레임(20)들을 조합하여 연결 브라켓(70)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대로 프레임(20)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일예로 만약, 사용자가 15개의 낚싯대(10)를 사용하기 위해 프레임(20)을 15단으로 구성할 경우,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5단 프레임(20)의 일측면에 형성된 브라켓 결합홀(22)에 연결 브라켓(70)의 일측에 형성된 볼트공(71)을 위치시킨 후 볼트(22a)에 의해 체결 고정한다.
그 후, 연결 브라켓(70)의 타측에 형성된 레버볼트공(72)에 연결할 다른 5단 프레임(20)의 측면에 형성된 브라켓 결합홀(22)을 위치시킨 후 레버볼트(22b)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레버볼트공(72)의 외주면에는 요홈(72a)이 형성되어 있어 레버볼트(22b)의 저면이 상기 요홈(72a)의 내측으로 일부 삽입되므로 연결 브라켓(70)과 프레임(20)은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5단 프레임(20) 2개를 연결 설치하면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0)을 10단으로 구성할 수 있고, 위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10단으로 구성된 프레임(20)의 일측면에 연결 브라켓(70)을 이용하여 다른 5단 프레임(20)을 결합시키면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15단 프레임(20)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20)을 조립한 후에는 프레임(20)을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30)을 프레임(20)에 결합시키는데 먼저, 연결 브라켓(70)의 전방에 형성된 고정수단 결합부(74)의 내부에 주지지대(300)를 삽입 설치한 후 체결수단(74a)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그 후, 연결 브라켓(70)의 후방에 형성된 U자 형상의 앵커부재 결합부(76)에 앵커고리(62)를 걸어 앵커부재(60)가 연결 브라켓(70)에 연결 설치되도록 한다.
다음, 프레임(20)에 다수 형성된 보조지지대 결합홀(23)에 선택적으로 보조지지대(4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보조 지지대(400)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낚시를 하고자 하는 곳의 지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먼저, 프레임(20)에 형성된 보조지지대 결합홀(23) 중 보조 지지대(400)를 결합하고자 하는 곳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볼트(21)를 볼트부가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그 후, 제1지지대(410)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된 나사홀(412)을 이용하여 보조 지지대(400)가 조인트 볼트(21)에 끼움 결합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보조 지지대(400)를 프레임(20)에 결합시킨다. 이때, 프레임(20)과 보조 지지대(400) 사이의 결합부 내측에는 오링(414)이 삽입 설치되어 프레임(20)과 보조 지지대(40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 후, 보조 지지대(400)의 전방으로 전방 지지대(500)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상기 전방 지지대(500)는 프레임(20)에 보조 지지대(400)를 결합시키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조 지지대(400)의 각도조절부재(420) 전방으로 전방지지대 결합부(미도시)를 형성시키고, 상기 전방지지대 결합부의 내측에 조인트 볼트를 볼트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한 후, 전방 지지대(50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조인트 볼트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 지지대(400)의 각도조절부재(420) 전방에 전방 지지대(500)가 일체로 연결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20)의 아래쪽으로 주지지대(300) 및 보조 지지대(400)를 결합시킨 후, 프레임(20)의 상단부에 낚싯대(10)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거치 대(200)를 설치하게 되는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거치대(210)와 제2거치대(220)를 결합하고, 제2거치대(220)의 하부에 제2연결부재(234)를 결합한 후, 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제1연결부재(232)의 내측으로, 제2연결부재(234)를 삽입 설치하고 회동제어부재(232a)를 조임으로써 거치대(200)를 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보조프레임(5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거치대(200)를 보조프레임(50)의 상부에 체결 고정시키거나, 거치대(00)가 일체로 구비된 보조프레임(250)을 준비한 후, 프레임(20)의 측면으로부터 보조프레임(50)을 끼움 결합시키고, 낚싯대(10)의 위치를 고려하여 고정볼트(54)를 체결시킴으로써 거치대(00)를 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1)를 결합한 후 낚시할 곳의 지형에 맞추어 거치대(200)와 전방 지지대(500) 및 보조 지지대(4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여 받침대(1)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 설치하게 되는데, 먼저, 전방 지지대(500)의 제2전방부재(520)에 구비된 제2길이조절수단(522)을 적절히 풀고, 물 속의 지형, 즉 지면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제2전방부재(52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제2길이조절수단(522)을 조임으로써 더 이상 제2전방부재(520)의 길이가 조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그 후, 주지지대(300)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시켜 받침대(1)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보조 지지대(400)의 고정부재(434)에 구비된 제1길이조절수단(435)을 적절히 풀어 제1고정부재(436)의 길이를 조절한 후 제1길이조절수단(435)을 조임으로써 제1고정부재(436)를 고정시킨 후 전방 지지대(500)가 받침대(1)의 전방에 위치하는 물 속의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제3각도조절수단(437)을 이용하여 제2고정부재(438)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여 제2고정부재(438)가 지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받침대(1)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재(438)는 받침대(1)를 설치하는 지형에 따라 설치 각도를 조절하여 수평방향으로 지면에 밀착시킨 후 제2고정부재(438)에 형성된 결합홀(438b)을 통해 고정팩(미도시)을 지면에 박음으로써 받침대(1)의 좌,우방향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제2고정수단(438)을 직접 지면에 박아 넣음으로써 받침대(1)를 고정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1)를 조립한 후, 보조 지지대(400)와 전방 지지대(500)를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주지지대(300)를 지면에 고정시킴으로써 받침대(1)를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수단(30)을 이용하여 받침대(1)를 지면에 고정 설치한 후, 연결 브라켓(70)의 후면에 연결 설치된 앵커부재(60)를 지면에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받침대(1)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면에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는데, 받침대(1)를 설치하는 지형이 석축이나 제방과 같은 돌이 많은 지형인 경우에는 돌틈으로 앵커부재(60)의 삼각뿔(66)을 단면적이 넓은 쪽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삽입 설치하고, 받침대(1)를 설치하는 지형이 흙이나 모래로 이루어진 지형인 경우에는 상기 삼각뿔(66)을 지면에 일부 삽입되도록 설치한 후 삼각뿔(66)에 형성된 관통홀(66a)을 통해 강철팩(68)을 박음으로써 앵커부재(60)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부재(60)에 형성된 스토퍼(65)를 이용하여 줄 앵커(64)의 길이를 조정하여 앵커부재(60)가 최대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받침대(1)의 전방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1)를 하향 경사가 심한 곳에서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낚싯대용 받침대(1)를 설치한 후 거치대(200)의 상부에 낚싯대(10)를 거치시킨 후 거치대(200)의 프레임 연결부재(230)에 구비된 처짐방지볼트(234a)를 적절히 풀어 전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거치대(200)가 낚싯대(10)의 무게로 인해 일정 각도 이상으로 하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하면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1)는 단순한 구성에 의해 어떠한 지형에서도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며, 주지지대(300), 전방 지지대(500) 및 보조 지지대(400)로 구성되는 고정수단(30)과 받침대(1)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는 앵커부재(60)에 의해 지면에 대한 고정력도 강하므로 낚시 도중 프레임(20)이 변형되거나 위치가 이탈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1)에 의하면 한 세트의 받침대(1)로 바다낚시, 민물낚시, 관리형 유료 낚시터 등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싯대용 받침대(1)의 전체적인 부피와 중량을 줄여 제조비용이 대폭 경감되고, 설치 및 해체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낚시 도중 장비를 철거하는 일이 없이도 포인트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낚싯대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낚싯대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가 다수 구비된 프레임을 연결하여 다수의 낚싯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석축이나 제방 및 경사지 등의 지면이 불규칙한 곳에서도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받침대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받침대 및 낚싯대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앵커부재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거치대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5의 (a) ~ (c)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 중 보조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와 평면도 및 저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보조프레임의 사용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보조지지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프레임과 보조지지대 사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세부 상세도.
도 9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 중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0의 (a) ~ (c)는 도 8에 나타낸 연결 브라켓의 다양한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받침대 10 : 낚싯대
20 : 프레임 21 : 조인트 볼트
22 : 브라켓 결합홀 23 : 보조 지지대 결합홀
30 : 고정수단 50 : 보조프레임
52 : 고무패킹 54 : 볼트결합공
56 : 고정볼트 60 : 앵커부재
62 : 앵커고리 64 : 줄 앵커
65 : 스토퍼 66 : 삼각뿔
66a : 관통홀 68 : 강철팩
70 : 연결 브라켓 71 : 볼트공
72 : 레버볼트공 72a : 요홈
74 : 고정수단 결합부 76 : 앵커부재 결합부
200 : 거치대 210 : 제1거치대
212 : 제1낚싯대 안치부 214 : 연결부재
220 : 제2거치대 222 : 제2낚싯대 안치부
230 : 프레임 연결부재 232 : 제1연결부재
232a : 회동제어부재 234 : 제2연결부재
234a : 처짐방지볼트 300 : 주지지대
400 : 보조 지지대 410 : 제1지지대
412 : 나사홀 414 : 오링
420 : 각도조절부재 422 : 제1각도조절수단
424 : 제2각도조절수단 430 : 제2지지대
432 : 지지부재 434 : 고정부재
435 : 제1길이조절수단 436 : 제1고정부재
437 : 제3각도조절수단 438 : 제2고정부재
438a : 첨단부 438b : 결합홀
500 : 전방 지지대 510 : 제1전방부재
512 : 마찰경첩 520 : 제2전방부재
522 : 제2길이조절수단 524 : 지지부

Claims (10)

  1. 상부에 다수의 거치대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지면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
  2. 상부에 다수의 거치대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여러 개의 프레임을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브라켓과,
    상기 연결 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프레임 또는 연결 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는 앵커고리와, 상기 앵커고리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줄 앵커 및 상기 줄 앵커의 하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삼각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줄 앵커의 중간부에는 줄 앵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뿔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삼각뿔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강철팩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는 보조프레임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프레임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의 내측면에는 고무패킹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의 하부에는 프레임 상에서 보조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은 고정수단이 삽입 결합되는 고정수단 결합부와, 상기 앵커부재가 연결 설치되는 앵커부재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의 일측면에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레버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볼트공의 외주연에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프레임 또는 연결 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는 주지지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다단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조 지지대 및 상기 보조 지지대의 전방으로 연결 설치되는 전방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
KR1020090092634A 2009-09-29 2009-09-29 낚싯대용 받침대 KR20110035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34A KR20110035078A (ko) 2009-09-29 2009-09-29 낚싯대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34A KR20110035078A (ko) 2009-09-29 2009-09-29 낚싯대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078A true KR20110035078A (ko) 2011-04-06

Family

ID=4404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634A KR20110035078A (ko) 2009-09-29 2009-09-29 낚싯대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50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9543A (zh) * 2018-09-05 2019-01-11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非涉水式鱼类早期资源采集装置及方法
KR102418842B1 (ko) * 2022-01-26 2022-07-07 이근훈 어신 감지 기능을 갖는 낚시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9543A (zh) * 2018-09-05 2019-01-11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非涉水式鱼类早期资源采集装置及方法
KR102418842B1 (ko) * 2022-01-26 2022-07-07 이근훈 어신 감지 기능을 갖는 낚시 받침대
WO2023146158A1 (ko) * 2022-01-26 2023-08-03 이근훈 어신 감지 기능을 갖는 낚시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356B1 (ko)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US10015957B1 (en) Leveling hunting stand system
EP2366438B1 (fr) Montant auto-stable
US9107518B2 (en) Apparatus for hanging plants
KR200452790Y1 (ko) 낚싯대 받침대
US7735166B1 (en) Hammock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KR101839928B1 (ko) 낚시대 거치구
KR20110035078A (ko) 낚싯대용 받침대
US20100299988A1 (en) Rod holder
EP1981601A1 (fr) Dispositif amovible permettant la nage stationnaire dans une piscine hors sol ou piscine autoportante
KR100792228B1 (ko) 낚싯대용 받침대
KR20160096558A (ko) 해먹 시스템
KR20110035064A (ko) 낚싯대용 받침대
KR19980043152A (ko) 낚시 받침대
KR20130127084A (ko) 광고용 배너 거치대
KR200490275Y1 (ko) 낚시대용 다용도 거치대
JP2007000134A (ja) 防波堤用の竿保持具
US20050035250A1 (en) Support bracket
KR102542487B1 (ko) 낚시용 좌대
KR100866996B1 (ko) 낚싯대용 받침대
KR100665890B1 (ko) 낚시대 받침구
CA2811655A1 (en) Hitch-mounted hammock support
KR200355358Y1 (ko) 낚싯대 받침틀
JP3111373U (ja) 組立式釣竿受
KR20090035324A (ko) 낚싯대용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