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337B1 -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 - Google Patents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337B1
KR101959337B1 KR1020170146834A KR20170146834A KR101959337B1 KR 101959337 B1 KR101959337 B1 KR 101959337B1 KR 1020170146834 A KR1020170146834 A KR 1020170146834A KR 20170146834 A KR20170146834 A KR 20170146834A KR 101959337 B1 KR101959337 B1 KR 101959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trigger
cradle
groov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엘케이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케이솔루션(주) filed Critical 엘케이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170146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1/00Supports: r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에 설치되고, 선상의 거치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낚시대를 선상 거치대로부터 분리하여 들어 올릴 수 있게 하되, 거치대에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한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trigger for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에 설치되고, 선상의 거치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낚시대를 선상 거치대로부터 분리하여 들어 올릴 수 있게 하되, 거치대에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한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에 관한 것이다.
낚시는 대상 어종이나 장소에 따라 다양한 낚시장비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낚시 중 바다에 떠있는 배에서 물고기를 낚는 선상 낚시가 있고, 이 선상 낚시는 주로 배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난간대나 거치대(이하, “거치대”라 통칭함)에 낚시대를 거치한 상태에서 행해지고 있다.
이렇게 낚시대를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입질을 기다리가 입질이 오면 낚시대를 들어 올려 챔질을 하여 물고기를 낚고 있으며, 거치대에 거치시킨 낚시대가 견고하게 지지되면서도 챔질을 할 때는 낚시대를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낚시대 받침대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 예로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개구가 위를 향하는 ㄷ자형상을 이루어 선상에 설치되는 외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개구가 위를 향하는 ㄷ자형상을 이루어 일측이 회전되게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끼움 설치되며, 타측에는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된 내부케이스와, 선단에 낚시대의 중간을 끼워 안치할 수 있는 U자형의 안치부를 갖고, 내부케이스의 타측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와, 내부케이스의 일측에 탈착되게 설치되어 받침부재에 안치되는 낚시대의 손잡이를 잡아 고정하도록 한 손잡이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낚시대가 안착되는 거치부와, 거치부의 상부에는 낚시대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관형의 걸림구가 포함된 거치수단과, 거치수단 하부에 결합되어 거치수단을 지지하는 고정수단과, 거치부의 일단에는 걸림구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을 고정시켜 걸림구를 거치부에 탈부착하는 탈착수단으로 구성되되, 고정수단은 거치수단의 하부에 회전결합되고, 하측 내부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봉 형상의 연결부와, 연결부의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면으로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지그부가 포함되고, 탈착수단은 거치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홈이 형성된 삽입구와, 삽입구 내,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걸림턱을 고정시키는 볼 베어링 형상의 걸림편으로 구성된 고정유니트와, 고정유니트 일측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삽입구 외주면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걸림편을 작동시키는 클램프 및 일측은 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클램프를 상하로 이동되게 연결되는 방아쇠 및 클램프 내부에 구비되어 클램프의 위치를 원상 복귀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고정유니트 탈부착하는 체결유니트로 구성된 것이며,
특허문헌 3은 선상의 난간 봉체를 감싸는 한쌍의 고정쇠와; 고정쇠 상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낚싯대 받침대를 지지하는 직육면체 상의 지지대와; 하부가 'ㄷ'자형 홈을 이루고 상부 윗면 가장자리에 방사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회전베이스와; 회전베이스에 결합되는 낚싯대 받침대와; 회전베이스와 낚싯대 받침대를 결합 고정하는 결합수단과; 낚싯대 받침대의 전방 선단에 설치되어 낚싯대가 거치되는 'Y'자형 거치대와; 낚싯대 받침대의 후방 선단에 설치되는 받침대 브라켓; 및 받침대 브라켓에 결합되어 낚싯대 후방을 고정하는 낚싯대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받침대가 낚시대 받침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받침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낚시대를 쉽게 받침대로부터 분리하거나 거치하기 위한 트리거(일명 방아쇠)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낚시대 거치 트리거에는 다양한 것이 공지되어 있으나, 받침대에 쉽게 탈착시키는 것이 어렵고, 받침대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트리거의 간섭 및 오작동으로 인해 받침대 또는 거치대로부터 분리되어 낚시대를 잃어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즉, 거치대에 트리거를 설치할 때에는 손잡이를 회전시킨 후 트리거에 형성된 홈을 거치대에 끼워 넣어야 함에 따라 거치대에 장착이 번거롭고, 트리거의 간섭 및 오작동으로인해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물고기가 수중으로 들어가면 트리거가 거치대로부터 분리되어 낚시대를 물고기가 끌고 들어가 낚시대를 잃어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754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7831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165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거치대에 쉽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대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고, 필요할 때에는 트리거를 고정시켜 거치대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는 낚시대(100)의 손잡이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거치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대를 거치대에 올려놓음으로써 거치대에 장착되고 낚시대를 들어 올림으로써 거치대로부터 분리되는 트리거에 있어서, 하부에 호형 낚시대안치홈이 형성되고 낚시대안치홈의 양 가장자리에 결합날개가 형성되어 있어 낚시대안치홈이 낚시대의 상부를 눌러 고정시키는 상부고정부재; 상부에 호형 낚시대안치홈이 형성되고 낚시대안치홈의 양 가장자리에 결합날개가 형성되어 있어 낚시대안치홈이 낚시대의 하부를 지지하며, 하부에는 거치대가 끼워져 삽입되는 거치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삽입홈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방아쇠설치홈이 형성된 하부고정부재; 상기 하부고정부재에 상부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 상기 하부고정부재에 형성된 방아쇠설치홈에 힌지핀에 의해 고정되고,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기 거치대삽입홈을 향한 단부에는 거치대걸림턱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대걸림턱의 하부에는 거치대가 미끄러져 거치대삽입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미끄럼경사부가 형성된 방아쇠; 및 상기 힌지핀에 설치되어 방아쇠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방아쇠의 거치대걸림턱과 거치대삽임홈 내측 단부 사이에 거치대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하게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하부고정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날개에 힌지 고정된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조여지는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아쇠의 힌지핀이 설치된 부분의 일측 외주면에는 잠금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잠금돌부와 대향되는 하부고정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잠금돌부가 끼워질 수 있는 해제홈과 상기 잠금돌부가 걸려 방아쇠가 회동되지 못하게 하는 잠금부를 갖는 잠금부재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는 방아쇠의 일단에 미끄럼경사부를 형성함에 따라 거치대에 올린 후 누르는 동작만으로 트리거를 거치대에 장착할 수 있어 트리거의 장착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금부재를 구비하여 트리거가 장착된 낚시대를 거치대에 방치할 때 트리거의 방아쇠가 개방되지 않게 함에 따라 트리거가 거치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트리거는 물론 트리거에 설치된 낚시대를 분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를 거치대에 장착 및 분리하는 과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를 구성하는 방아쇠 및 잠금부재의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를 구성하는 방아쇠 및 잠금부재의 정면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트리거를 거치대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트리거를 거치대에 고정시켜 트리거가 거치대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함으로써 트리거에 의해 거치대에 장착된 낚시대가 불의로 거치대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방아쇠(40)의 거치대걸림턱(43)의 하단에 미끄럼경사부(44)를 형성하여 트리거를 거치대에 장착할 때 미끄럼경사부를 따라 거치대가 쉽게 미끄러져 거치대삽입홈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는 낚시대(100)의 손잡이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거치대(2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대를 거치대에 올려놓음으로써 낚시대를 거치대가 지지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트리거는 낚시대(100)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고정부재(10)와 하부고정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고정부재(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호형 낚시대안치홈(11)이 형성되고, 낚시대안치홈의 양 가장자리에 결합날개(12)가 형성되어 있어 낚시대안치홈이 낚시대의 상부를 눌러 고정되게 한다.
물론 상기 상부고정부재(10)에 형성된 낚시대안치홈(11)에 의해 눌리는 낚시대(100)의 하부는 상기 하부고정부재(20)의 상단에 형성된 낚시대안치홈(21)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고정부재(10)는 결합수단(30)에 의해 하부고정부재(20)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고정부재(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호형 낚시대안치홈(21)이 형성되고, 낚시대안치홈의 양 가장자리에 결합날개(22)가 형성되어 있어 낚시대안치홈이 낚시대의 하부를 지지한다.
또한 하부고정부재(20)는 거치대(200)와의 결합을 위해 하부에 거치대 결합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거치대가 끼워져 삽입되는 거치대삽입홈(23)과, 상기 거치대삽입홈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된 방아쇠설치홈(24)을 구비하고 있으며, 거치대삽입홈에 끼워진 거치대를 방아쇠설치홈에 설치된 방아쇠가 걸어 고정시킨다.
상기 방아쇠(40)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거치대삽입홈(23)에 끼워진 거치대(200)가 거치대삽입홈(23)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방아쇠(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부재에 형성된 방아쇠설치홈(24)에 힌지핀(42)에 의해 고정되고,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기 거치대삽입홈을 향한 단부에는 거치대걸림턱(43)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아쇠(40)에는 미끄럼경사부(44)가 형성되어 거치대가 쉽게 거치대삽입홈으로 미끄러져 삽입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미끄럼경사부(44)는 상기 거치대걸림턱(43)의 하부에는 형성되어 있으며,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거치대(200)를 대향되게 한 후에 트리거를 아래로 누르면 방아쇠가 회동하여 거치대가 경사면을 따라 밀려 올라가 거치대삽입홈(23)으로 이동하고(도 3(b)참조),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가 완전히 거치대삽입홈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방아쇠가 다시 원상태로 회동하여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가 거치대삽입홈의 안쪽벽과 방아쇠의 거치대걸림턱(43)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트리거를 거치대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방아쇠의 손잡이(41)를 위로 들어 올리면, 타단의 거치대걸림턱(43)이 거치대삽입홈으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되고(도 3(e)참조), 이 상태에서 트리거를 들어 올리면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삽입홈으로부터 거치대가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아쇠(40)에 형성된 거치대걸림턱(43)은 거치대삽입홈의 안쪽벽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고, 손잡이를 작동시키거나 미끄럼경사부가 눌리면 회동되어야 한다.
이렇게 방아쇠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프링(5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핀(42)에 설치되어 방아쇠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방아쇠의 거치대걸림턱(43)과 거치대삽임홈(23) 내측 단부 사이에 거치대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하게 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상부고정부재와 하부고정부재를 결합하여 두 고정부재 사이에 낚시대가 고정되게 하는 수단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고정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날개(22)에 힌지 고정된 고정볼트(31)와 고정볼트에 조여지는 너트(32)로 구성하는 것이다.
물론, 하부고정부재와 상부고정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날개를 힌지 결합하고 다른 단부의 결합날개에만 고정볼트와 너트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상대적으로 굵은 낚시대를 고정할 경우 일측이 힌지결합되면 낚시대가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양측 모두 고정볼트와 너트로 결합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이 트리거는 상기 방아쇠(40)의 힌지핀이 설치된 부분의 일측 외주면에는 잠금돌부(45)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잠금돌부와 대향되는 하부고정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잠금돌부가 끼워질 수 있는 해제홈(61)과 상기 잠금돌부가 걸려 방아쇠가 회동되지 못하게 하는 잠금부(62)를 갖는 잠금부재(60)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잠금부재(60)는 수평으로 이동시켜 해제홈(61)이 잠금돌부(45)와 대향된 위치에 놓이면 잠금돌부가 해제홈으로 끼워질 수 있어 방아쇠(40)가 회동될 수 있고, 잠금부(62)가 잠금돌부(45)와 대향된 위치에 놓이면 잠금돌부가 잠금부에 걸려 방아쇠가 회동되지 못하고 고정된다.
이렇게 방아쇠가 잠김에 의해 방아쇠의 거치대걸림턱(43)과 하부고정부재의 거치대삽입홈 사이에 끼인 거치대가 거치대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10: 상부고정부재
11: 낚시대안치홈
12: 결합날개
20: 하부고정부재
21: 낚시대안치홈
22: 결합날개
23: 거치대삽입홈
24: 방아쇠설치홈
30: 결합부재
40: 방아쇠
41: 손잡이부 42: 힌지핀
43: 거치대걸림턱 44: 미끄럼경사부
45: 잠금돌부
50: 스프링
60: 잠금부재
61: 해제홈 62: 잠금부
100: 낚시대
200: 거치대

Claims (3)

  1. 낚시대(100)의 손잡이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거치대(2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대를 거치대에 올려놓음으로써 거치대에 장착되고 낚시대를 들어 올림으로써 거치대로부터 분리되는 트리거에 있어서,
    하부에 호형 낚시대안치홈(11)이 형성되고, 낚시대안치홈의 양 가장자리에 결합날개(12)가 형성되어 있어 낚시대안치홈이 낚시대의 상부를 눌러 고정시키는 상부고정부재(10);
    상부에 호형 낚시대안치홈(21)이 형성되고, 낚시대안치홈의 양 가장자리에 결합날개(22)가 형성되어 있어 낚시대안치홈이 낚시대의 하부를 지지하며, 하부에는 거치대가 끼워져 삽입되는 거치대삽입홈(23)이 형성되고, 거치대삽입홈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방아쇠설치홈(24)이 형성된 하부고정부재(20);
    하부고정부재(20)에 상부고정부재(10)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30);
    하부고정부재(20)에 형성된 방아쇠설치홈(24)에 힌지핀(42)에 의해 고정되고, 힌지핀을 중심으로 거치대삽입홈(23)을 향한 단부에는 거치대걸림턱(43)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거치대걸림턱의 하부에는 거치대가 미끄러져 거치대삽입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미끄럼경사부(44)가 형성된 방아쇠(40);
    힌지핀(42)에 설치되어 방아쇠(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방아쇠의 거치대걸림턱(43)과 거치대삽입홈(23) 내측 단부 사이에 거치대(200)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하게 하는 스프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방아쇠(40)의 힌지핀(42)이 설치된 부분의 일측 외주면에는 잠금돌부(45)가 돌출 형성되고,
    잠금돌부(45)와 대향되는 하부고정부재(20)의 일측에는 잠금돌부가 끼워질 수 있는 해제홈(61)과 잠금돌부가 걸려 방아쇠가 회동하지 못하게 하는 잠금부(62)를 갖는 잠금부재(60)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는 하부고정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날개(22)에 힌지 고정된 고정볼트(31)와, 상기 고정볼트에 조여지는 너트(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
  3. 삭제
KR1020170146834A 2017-11-06 2017-11-06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 KR101959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834A KR101959337B1 (ko) 2017-11-06 2017-11-06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834A KR101959337B1 (ko) 2017-11-06 2017-11-06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337B1 true KR101959337B1 (ko) 2019-03-18

Family

ID=6594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834A KR101959337B1 (ko) 2017-11-06 2017-11-06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3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8912A (ko) * 2019-06-03 2020-12-11 김영구 스마트 지깅 시스템
KR20210001356A (ko) * 2019-06-27 2021-01-06 이만복 자동 고패질 장치
KR102222206B1 (ko) 2020-05-06 2021-03-02 김문규 선상받침틀
KR102368702B1 (ko) * 2021-08-20 2022-02-28 임재영 낚시대 고정 보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0654A (ja) * 1997-04-18 1998-11-04 Sunoo P-Ku:Kk 釣竿保持装置
KR200447541Y1 (ko) 2009-05-08 2010-02-03 차영란 선상 낚시대 받침대
KR101357831B1 (ko) 2011-12-06 2014-02-05 김정실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KR20140001659U (ko) 2012-09-12 2014-03-20 이광민 선상 낚싯대 받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0654A (ja) * 1997-04-18 1998-11-04 Sunoo P-Ku:Kk 釣竿保持装置
JP3542696B2 (ja) * 1997-04-18 2004-07-14 株式会社スノーピーク 釣竿保持装置
KR200447541Y1 (ko) 2009-05-08 2010-02-03 차영란 선상 낚시대 받침대
KR101357831B1 (ko) 2011-12-06 2014-02-05 김정실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KR20140001659U (ko) 2012-09-12 2014-03-20 이광민 선상 낚싯대 받침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8912A (ko) * 2019-06-03 2020-12-11 김영구 스마트 지깅 시스템
KR102235790B1 (ko) 2019-06-03 2021-04-02 김영구 스마트 지깅 시스템
KR20210001356A (ko) * 2019-06-27 2021-01-06 이만복 자동 고패질 장치
KR102236623B1 (ko) 2019-06-27 2021-04-06 이만복 자동 고패질 장치
KR102222206B1 (ko) 2020-05-06 2021-03-02 김문규 선상받침틀
KR102368702B1 (ko) * 2021-08-20 2022-02-28 임재영 낚시대 고정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337B1 (ko) 낚시대 거치용 트리거
US3246865A (en) Rod holder and mounting therefor
JP2003523642A (ja) 簡易取付システムを備えた伸縮自在摺動体
US4648516A (en) Adjustable gun rack
KR101887510B1 (ko) 베이트 캐스팅 릴의 커버 착탈장치
US5519959A (en) Mounting base for fishing rod holder
US20070136947A1 (en) Medical table clamp and accessory including same
US6492583B1 (en) Drum head tensioning apparatus and method
US2915276A (en) Boat holding apparatus
JP4206114B2 (ja) 背もたれの迅速連結装置を備えた椅子
JP2009195252A (ja) 釣竿受具の使用方法
US2604287A (en) Fishing rod holder
US3977637A (en) Utility implement holder
JP2006347675A (ja) 消防用ホースの巻取り機
JPH08100882A (ja) 支持体の上に装置を固定する機器
US4200905A (en) Detachable hinge mechanism for luminaire
US7419196B2 (en) Detachable hinging mechanism for access panel
KR20200093181A (ko) 낚싯대 받침용 방아쇠 타입 클램프
KR200495415Y1 (ko) 숯불 화구통의 이동용 안전집게
JPH055889Y2 (ko)
JP3150658U (ja) 竿の支持装置
CN215576063U (zh) 相机保护框
JP2957934B2 (ja) ボンベ装着装置
US11344019B1 (en) Hands free dehooking device
JPH054366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