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339B1 - 사뜨기 재봉틀 - Google Patents

사뜨기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339B1
KR100801339B1 KR1020020018375A KR20020018375A KR100801339B1 KR 100801339 B1 KR100801339 B1 KR 100801339B1 KR 1020020018375 A KR1020020018375 A KR 1020020018375A KR 20020018375 A KR20020018375 A KR 20020018375A KR 100801339 B1 KR100801339 B1 KR 100801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thread
sewing
thread
cutting
pu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459A (ko
Inventor
사카이카츠아키
닛토타카시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05B3/08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for buttonholes with eyelet en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밑실절단시의 밑실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소정의 동작에 의해 밑실(38)을 끌어당긴 후 초기상태로 되돌리는 것으로 밑실(38)을 느슨하게 하는 밑실당김수단(80a)을 구비하는 밑실당김장치(80)와, 원점위치와 봉제위치사이를 이동하는 이송대(13)와, 고정메스(44)와, 이동메스(50)와, 밑실절단시에 밑실을 협지하는 협지부재와, 밑실절단 전후에 협지부재를 밑실이 삽통가능하게 또는 해방가능한 상태로 하는 실잡는 오프너(64)로 이루어지는 밑실절단장치(37)를 구비하는 사뜨기 재봉틀(10)에 있어서, 밑실(38)을 절단할 때 밑실당김수단(80a)을 초기상태로부터 상기 소정의 동작을 행하게 한 후 협지부재에 의해 밑실(38)이 협지된 상태에서 밑실절단장치(37)에 의해 밑실을 절단하고 이어서 실잡는 오프너(64)에 의한 밑실(38)의 해방전에 밑실당김수단(80a)을 초기상태로 되돌린다.

Description

사뜨기 재봉틀{A SEWING MACHINE FOR OVERLOCKING}
도 1은 본 발명의 사뜨기 재봉틀의 일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a)는 전체 사시도이며, (b)는 베드부를 파단하여 도시하는 일부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사뜨기 재봉틀의 밑실절단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밑실절단장치의 밑실절단시의 모양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밑실절단장치의 고정수단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루퍼부 및 루퍼지지부를 정면에서 본 평면도.
도 6은 윗실절단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1의 사뜨기 재봉틀의 제어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사뜨기 봉제를 위해 설정가능한 데이터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1의 사뜨기 재봉틀에서 형성되는 솔기를 설명하기 위해 보턴구멍 및 사뜨기봉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조작패널을 도시하는 도면.
도11은 보턴 사뜨기봉제의 일련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12는 (a)는 메모리스위치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메모리스위치 설정내용을 도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13은 메모리스위치 설정모드에서의 설정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뜨기 재봉틀 11: 바늘봉
12: 베드부 13: 이송대
14: 암부 18: 재봉바늘
20,70: 루퍼부, 루퍼지지부(루퍼장치)
37: 밑실절단장치 38: 밑실
44: 고정메스 50: 이동메스
55: 고정수단
56,58,60: 고정판, 심사(芯絲)잡는 판, 밑실잡는 판(협지부재)
64: 실잡는 오프너 65: 작동부
80: 밑실당김장치
80a: 밑실당김수단
92: 에어실린더(윗실절단 에어실린더)
F: 봉제물 110: 제어회로
150: 조작패널(선택수단) 200: 조작패널(선택수단)
본 발명은 보턴구멍 등의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구멍 둘레에 오버록을 실시하는 사뜨기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뜨기 재봉틀에서는 윗실이 통과하여 상하이동 및 좌우로 요동하는 재봉바늘과, 재봉바늘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밑실이 지나가는 루퍼와의 협동에 의해 구멍 둘레에 솔기를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또 이런 종류의 사뜨기 재봉틀에는 일본국 특개 2000-300885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밑실절단장치가 배치된다. 도 2에는 상기 공보에서 기재되는 밑실절단장치(37)를 도시했다. 밑실절단장치(37)는 고정메스(44)를 향하도록 이동메스(50)를 수평회전구동하고 양자 사이에서 밑실(38)과 심사(芯絲)(34)를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밑실절단장치(37)에는 고정수단(55)이 배치되어 절단전에 고정수단(55)에 의해 밑실(38)과 심사(34)를 클램프하여 각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절단하기 쉬워짐과 동시에 절단후도 실을 계속하여 협지하는 것으로 다음의 봉제가 스무스하게 시작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고정수단(55)은 고정판(밑실클램프 고정판)(56)의 상하에 심사잡는 판(58) 및 밑실잡는 판(60)을 배치하여 고정판(56)과 심사잡는 판(58)사이에서 심사(34)를, 고정판(56)과 밑실잡는 판(60) 사이에서 밑실(38)을 클램프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동메스(50) 근방에 실잡는 오프너(64)가 배치된다. 실의 절단직전에 이동메스(50)와 함께 이 실잡는 오프너(64)가 회전하면 그 선단의 작동부(65)가 고정수단(55)의 실잡는 핀(62)을 아래쪽으로 누르고, 이에 따라 밑실잡는 판(60)이 아래쪽으로 밀려내려가 고정판(56)과 밑실잡는 판(60)과의 사이가 벌어지고, 밑실(38)은 확실하게 이들 사이에 협지되도록 되어있다.
덧붙여서 상기 공보에 기재되지 않지만 절단시에는 어느 정도 실이 소비된다. 거기서 상기 루퍼의 아래쪽에는 밑실을 끌어당겨 느슨하게 하는 밑실당김장치가 배치되어 실절단전에 실절단에 소비하는 정도를 미리 끌어당겨 놓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끌어당기겨 두는 것으로 절단시에 어느 정도 실은 팽팽한 상태에서 또한 실절단후의 밑실에는 그다지 장력이 걸리지 않도록 되어있다.
실을 절단할 때에는 우선 실절단전에 밑실당김장치에 의해 실이 끌어당겨지고, 이어서 이동메스(50)가 오목부(50a)에 의해 심사(34)를, 또 오목부(50b)에 의해 밑실(38)을 각각 포착한 상태에서 고정메스(44)를 향해 회전한다. 이 때 실잡는 오프너(64)도 함께 회전하여 절단직전에 실잡는 오프너(64)의 작동부(65)에 의해 고정수단(55)이 개방된 상태가 되고, 이동메스(50)에 유도되어 온 심사(34) 및 밑실(38)이 각각 클램프된다. 이어서 이동메스(50)가 고정메스(44)와 접촉하는 것으로 심사(34)와 밑실(38)이 절단된다. 그 후 이동메스(50), 실잡는 오프너(64)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원래 위치로 되돌아 온다.
이 실잡는 오프너(64)의 역회전에 의해 작동부(65)는 다시 실잡는 핀(62)을 통해 고정판(56)과 밑실잡는 판(60)과의 사이를 벌린다. 이 때 이미 밑실(38)에는 본래는 장력이 걸려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공보의 제 25단락에 기재된 것과 같이 밑실(38)이 빠지는 경우는 별로 없다.
그러나 밑실이 스판사 등의 미끄럼이 좋지 않은 재질의 실종류인 경우나, 밑실공급원의 나머지 양이 적어지는 등의 경우에는 밑실공급원측의 부하가 높아져 밑실공급원으로부터 밑실당김장치까지의 경로도중의 밑실이 뻗어 줄어들고, 절단전의 실제의 끌어당기는 양은 줄어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절단되어 클램프된 밑실에는 장력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절단후에 고정판(56)과 밑실잡는 판(60)사이에 개방되면 밑실(38)이 풀려 빠져버리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밑실이 빠져버리게 되면 다음의 봉제시에 봉제시작의 올이 튀거나 실마감의 불량 등이 발생하여 양호한 솔기를 형성할 수 없어 문제였다.
그래서 실절단 전의 밑실당김장치에 의한 실당김량을 꽤 많게 하면 상기와 같은 밑실의 풀림은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실당김량을 너무 많게 하면 밑실이 헐거워진 상태가 되어 절단전의 심사와 밑실이 나눠지기 어렵게 되고, 절단시의 이동메스의 동작에 의해 느슨해진 만큼을 흡수할 수 없어 고정메스와의 합치시에 밑실이 팽팽하지 않기 때문에 절단불량이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확실하게 밑실을 절단할 수 있고 또한 절단시의 밑실의 풀림을 방지하여 양호한 사뜨기 솔기를 형성하는 데에 있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예를들면 도 1, 도 5, 도 6과 같이,
재봉틀 프레임의 암부(14)에 배치된 바늘 봉(11)에 대향하도록 베드부(12)에 배치되어, 상기 바늘봉과 동기하여 동작하는 루퍼장치(루퍼부(20) 및 루퍼지지부(70))와,
밑실(38)을 끌어당긴 후에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으로 밑실을 느슨하게 하는 밑실당김수단(80a)과, 밑실당김수단을 구동하는 밑실당김 구동수단(윗실절단 에어실린더(92))으로 이루어지는 밑실당김장치(80)와,
베드부의 윗면부에 배치되고, 봉제물(F)이 놓여져 최소한 원점위치와 봉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이송대(13)와,
상기 이송대에 배치되어 밑실을 절단하는 이동메스(50)와, 밑실절단전부터 절단후 까지 밑실을 협지하는 협지부재(실클램프 고정판(56), 심사잡는 판(58), 밑실잡는 판(60))와, 밑실절단전후에 협지부재를 밑실이 삽통가능 또는 해방가능한 상태로 하는 해방부재(실잡는 오프너(64))로 이루어지는 밑실절단장치(37)를 구비하고,
바늘봉과 루퍼장치의 협동에 의해 사뜨기 봉제를 행하고, 그 후 밑실절단장치에 의해 밑실을 절단하는 사뜨기 재봉틀(10)에 있어서,
밑실을 절단할 때 밑실당김 구동수단을 통해 밑실당김수단에 동작을 행하게 한 후 협지부재에 의해 밑실이 협지된 상태에서 밑실절단장치에 의해 밑실을 절단하고, 이어서 해방부재에 의해 협지부재가 밑실을 해방가능한 상태가 되기 전에 밑실당김 구동수단을 통해 밑실당김수단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우선 밑실당김수단이 초기상태로부터 상기 소 정의 동작을 행하여 밑실을 끌어당기고, 이 상태에서 협지부재에 의해 밑실이 협지되어 그 후 밑실절단장치에 의해 밑실이 절단되며, 이어서 밑실당김수단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 밑실을 느슨하게 하고 나서 해방부재에 의해 협지부재가 밑실을 해방가능하게 상태가 된다. 이 시점에서 밑실은 느슨해지는 것으로 협지부재로터 벗어나는 경우는 없다.
즉 고정수단의 해방상태 전에 밑실은 느슨해 지므로 밑실의 종류나 실공급측의 부하가 큰 경우에도 협지부재로부터 밑실은 풀리지 않고 다음 고정의 봉제에 있어서, 올이 튀거나 하지 않아 스무스하게 양호한 사뜨기 솔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단전에는 밑실당김장치에 의해 밑실은 끌어당겨진 상태이므로 밑실에는 어느 정도 장력이 걸려 있어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밑실당김 구동수단이 ON이 되면 밑실당김수단이 상기 소정의 동작을 하고, OFF가 되면 초기상태로 되돌아 가 실이 느슨해지는 것이라도 좋고, 소정의 동작시도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때도 각각 밑실당김 구동수단이 ON 및 OFF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밑실당김 구동수단으로서는 실린더, 솔레노이드, 모터 등을 들고 있고 밑실당김장치 전용의 구동원이라도 좋으며 그 외 동작의 구동원을 겸용해도 좋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예를들면 도 10, 도 12와 같이,
이송대는 봉제종료후 밑실절단전에 봉제위치로부터 원점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밑실절단전에 밑실당김장치에 의해 밑실을 끌어당길지 또는 느슨하게 할 지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조작패널(150)(200))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밑실절단전의 이송대의 봉제위치로부터 원점위치로의 이동량이 길면 이송대위의 봉제물에 이어지는 밑실도 많이 소비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선택수단에 의해 밑실절단전에 밑실당김장치에 의해 밑실을 끌어당길지 또는 느슨하게 할 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밑실소비량이 많을 때에는 선택수단에 의해 밑실당김을 선택하는 것으로 이송대 이동시에 밑실에 무리한 장력이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동량이 짧고 밑실의 소비량이 적을 때에는 선택수단에 의해 끌어당겨지지 않도록 선택하면 필요없는 밑실당김은 행해지지 않아 밑실이 필요이상으로 느슨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이송대는 봉제종료후 밑실절단전에 봉제위치로부터 원점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있고,
밑실절단직전에 밑실당김장치에 의해 밑실을 끌어당길지 또는 느슨하게 할 지를 봉제위치로부터 원점위치로의 이동길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더욱 편리성이 높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예를들면 도 10, 도 12와 같이,
봉제개시시에 이송대는 원점위치로부터 봉제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있고, 밑실절단후에 다음의 봉제개시시의 이송대의 이동을 위해 밑실당김장치에 의해 밑실을 끌어당길지 또는 느슨하게 할 지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조작패널(150)(200))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봉제개시시의 원점위치로부터 봉제위치로의 이송대의 이동량이 길면 이송대상의 밑실절단장치의 고정수단에 협지된 밑실도 많이 소비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선택수단에 의해 다음의 봉제를 위해 밑실당김장치로 밑실을 끌어당길지 또는 느슨하게 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봉제개시시의 이동에 의한 밑실소비량이 많을 때에는 선택수단에 의해 밑실당김을 선택하는 것으로 미리 실이 끌어당겨져 다음 봉제의 이송대 이동시에 밑실에 무리한 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밑실에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는다는 것은 협지부재에 의한 클램프힘이 약해도 되고, 협지부재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동량이 짧아 밑실의 소비량이 적을 때에는 선택수단에 의해 당겨지지 않도록 선택하면 불필요한 밑실당김은 행해지지 않아 밑실이 필요이상으로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개시시에 이송대는 원점위치로부터 봉제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있고, 밑실절단후에 다음의 봉제개시시에 있어 이송대의 이동을 위해 밑실당김장치에 의해 밑실을 끌어당길 지 또는 느슨하게 할 지를 다음 봉제의 원점위치로부터 봉제위치 로의 이동길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4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으로부터 더욱 편리성이 높다.
또한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이동길이에 따라서」라 함은 실제의 이동길이를 기초로 결정해도 좋고, 이동길이에 관련된 봉제 길이 등을 기초로 결정해도 좋다.
다음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b)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예인 사뜨기 재봉틀(10)은 도 9에 도시하는 아일릿부(h1)와 평행부(h2)로 이루어지는 보턴구멍(H)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보턴구멍(H)의 주위에 오버록(W)을 실시하는 것이다. 오버록(W)은 우측봉제부(w1), 아일릿 봉제부(w2), 좌측봉제부(w3), 직선빗장 봉제부(w4)로 이루어진다.
사뜨기 재봉틀(10)은 대략 직사각형의 상자체인 베드부(12)와, 이 베드부(12)상에 입설하는 암부(14)로 구성되고, 재봉틀 테이블(도시하지 않음)상에 보텀커버(16)를 통해 올려놓여진다. 암부(14)의 앞부에는 하단부에 재봉바늘(18)을 구비한 바늘봉(11)이 상하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좌우방향(도 1(b)의 지면 수직방향)으로 바늘진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 베드부(12)에는 바늘봉(11)에 대향하여 루퍼부(20)를 상부에 구비한 루퍼지지부(70)가 배치된다. 바늘봉(11)과 루퍼부(20)는 동기하여 동작함으로써 양자의 협동에 의해 사뜨기 봉제가 형성된다. 또 보턴구멍(H)의 아일릿부(h1)를 방사 모양으로 사뜨기 봉제할 때에는 바늘봉(11)과 루퍼지지부(70)가 동기하여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루퍼부(20) 및 루퍼지지부(7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루퍼부(20)의 근방에 실공급원(도시생략)으로부터 인출된 심사(34)(도 2, 도 3)를 , 재봉바늘(18)의 좌우의 바늘진동위치 사이에 도출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심사안내기구가 배치되고, 심사(34)를 솔기안에 봉입함으로써 솔기를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루퍼부(20)의 뒤쪽에 위치하는 천절단 메스(도시하지 않음)와, 이 천절단 메스의 위쪽에서 접리하는 메스받이대(33)(도 1(b))로 이루어지는 천절단 장치가 배치되고, 이 천절단 장치를 소요 타이밍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봉제물(F)(도 3)에 보턴구멍(H)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베드부(12)의 윗면에는 봉제물(F)이 올려놓여지는 이송대(13)가 배치되고, 이 이송대(13)에는 봉제물(F)을 보턴구멍의 양측에서 누르는 천누름부(36)가 배치된다.
이송대(13)는 전체로서 얇은 직사각형의 상자체를 이루고, X축 펄스모터(119) 및 Y축 펄스모터(123)(도 7)에 의해 구동되며 좌우(X)방향 및 전후(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있다.
이 이송대(13)는 소정의 원점위치에 위치결정되는 상태에서 그 윗면에 놓여진 봉제물(F)에서의 보턴구멍의 형성예정위치의 상하에, 상기 천절단 메스와 메스받이대(33)가 향하도록 설정된다. 봉제시에는 우선 이 위치에서 보턴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대(13)는 스타트 스위치(134)의 조작에 의해 원점위치보다 앞쪽의 봉제개시위치로 이동하고, 이송대(13)에 올려놓여진 봉제물(F)이 재봉바늘(18)의 바로 밑의 필요위치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보턴구멍(H)주위의 사뜨기 봉제는 도 9(a)에서 우측 봉제부(w1)의 하단부로부터 시작하고, 아일릿 봉제부(w2)를 거쳐 좌측 봉제부(w3)까지 봉제하여 최후에 직선빗장 봉제(w4)의 순서로 봉제된다. 이와같은 순서로 봉제하기 위해 이송대(13)는 Y방향에 있어서 상기 봉제개시위치부터 이동하기 시작하여 보턴구멍(H)의 정점(아일릿 구멍(h1)의 선단부)이 재봉바늘(18)에 대응하는 상태가 될 때 까지 앞쪽으로 이동하며, 그 후 뒤쪽을 향해 봉제개시위치와 거의 같은 봉제종료위치로 되돌아 오도록 되어있다.
이송대(13)의 원점위치로 부터 보턴구멍(H)의 정점이 재봉바늘(18)에 대응하는 상태가 될 때의 이송대(13)의 위치(종점위치라고 함)까지의 이동거리는 일정한 값, 예를들면 64mm로 설정된다. 따라서 봉제개시(종료) 위치까지의 이동거리는 보턴구멍(H)의 봉제길이(도 9(a)의 m1값)에 의해 달라 긴만큼 짧고, 짧은 만큼 길어진다.
봉제가 종료하면 이송대(13)는 봉제종료위치로부터 원점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봉제물(F)을 셋트할 때는 이송대(13)가 소정의 셋트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사뜨기 재봉틀(10)에는 도 2와 완전 동일한 밑실절단장치가 배치된다. 다음에서는 도 2 ~ 도 4를 기초로 사뜨기 재봉틀(10)에 배치되는 밑실절단장치(37)에 대해 설명한다.
즉 이송대(13)에, 고정메스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보조대(40)가 고정되어 이 부착보조대(40)의 좌단부에 고정메스 부착판(42)이 배치된다. 이 고정메스 부착판(42)의 후단부에, 고정메스(44)가 나사고정되고 그 자유단은 밑실(38) 및 심사(34)를 향하도록 뻗어나오고 있다. 밑실(38) 및 심사(34)를 끼워 이송대(13)위에 축핀(46)을 통해 고정팔(48)이 자유롭게 수평요동하도록 지지된다.
이 고정팔(48)에는 고정메스(44)와 대향하도록 이동메스(50)가 나사고정되고, 그 자유단은 밑실(38) 및 심사(34)를 향하도록 뻗어나오고 있다. 이동메스(50)의 자유단에는 상하로 2개의 오목부(50a)(50b)가 형성되고, 고정팔(48)의 요동에 의해 이동메스(50)가 고정메스(44)를 향해 이동할 때 상측의 오목부(50a)에 심사(34)를, 하측의 오목부(50b)에 밑실(38)을 포착하여 밑실(38) 및 심사(34)를 확실하게 분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고정축(48)은 이송대(13)의 밑면에 배치되는 밑실절단 실린더(30)(도 7)에 의해 구동되고, 축핀(46)을 중심으로 하여 도 2와 같이 대기위치와 도 3에 도시하는 절단위치와의 사이를 요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메스(50)는 고정팔(48)이 대기위치로부터 절단위치로 요동하는 과정에서 오목부(50a)(50b)에 의해 심사(34)와 밑실(38)을 포착하면서 고정메스(44)의 자유단에 이동메스(50)의 측면(뒤쪽을 향하는 면)이 접촉하여 밑실(38) 및 심사(34)를 절단하도록 되어있다.
또 부착보조대(40)에는 고정판(밑실클램프 고정판)(56) 등으로 구성되는 고정수단(55)이 배치된다. 즉 부착보조대(40)에는 가늘고 긴 판인 고정판(56)이 전 후방향으로 길어지도록 배치된다.
이 고정판(56)의 윗면에는 심사잡는 판(58)이 나사고정되고, 고정판(56)과의 사이에 심사(34)를 탄성적으로 고정한다. 또 고정판(56)의 밑면에는 밑실잡는 판(56)이 나사고정되고, 고정판(56) 사이에 밑실(38)을 탄성적으로 고정한다.
밑실잡는 판(60)에는 고정판(56) 및 심사잡는 판(58)을 관통하여 위쪽으로 뻗어나오는 실잡는 핀(62)이 돌설되고, 이 실잡는 핀(62)을 밀어내림으로써 고정판(56)에 대해 밑실잡는 판(60)의 후단이 개방된다.
이상의 고정판(56)과 심사잡는 판(58) 및 밑실잡는 판(60)에 의해 협지부재가 구성된다.
또한 고정팔(48)에는 절단직전에 밑실잡는 판(60)의 실잡는 핀(62)에 결합·이탈하여 밑실잡는 판(60)의 개폐를 행하는 실잡는 오프너(해방부재)(64)가 배치된다. 실잡는 오프너(64)는 그 기부(66)가 축핀(46)의 상부에 중간부가 장공(67)(67)에서 고정나사(68)(68)에 의해 고정팔(48)에 지지됨과 동시에 기부(66)로부터 이동메스(50)의 연출(延出)방향으로 작동부(65)가 뻗어나오고 있다.
작동부(65)의 밑면 레벨은 밑실잡는 판(60)이 닫힌 상태에서의 실잡는 핀(62)의 상단보다도 낮도록 설정되고, 이 작동부(65)의 밑면에 실잡는 핀(62)의 상단이 접촉한 상태에서 밑실잡는 판(60)이 개방되도록 되어있다(도 4). 이 개방에 의해 밑실(38)은 고정판(60)과 밑실잡는 판(60)과의 사이에 원활히 삽입되고 또 역으로 밑실(38)이 크램프되고 있는 상태에서 해방되면 밑실(38)은 해방가능하게 된다.
작동부(65)의 이동메스(50)와 대향하는 측면에는 이동메스(50)가 절단위치에 도래하기 직전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 실잡는 핀(62)과 대향하는 오목부(65a)가 형성된다. 즉 작동부(65)에 밀려 밑실잡는 판(60)을 개방한 실잡는 핀(62)은 실잡는 오프너(64)의 이동에 의해 오목부(65a)와 대응하는 위치에 도래하면 실잡는 오프너(64)의 밑면에서 이탈하여 밑실잡는 판(60)을 닫도록 되어있다. 이에 따라 고정판(56)과 밑실잡는 판(60)사이에 밑실(38)이 절단전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루퍼장치를 구성하는 루퍼부(20) 및 루퍼지지부(70)에 대해 도 5, 도 6을 기초로 설명한다. 루퍼지지부(70)는 둥근고리부(71a)와, 부착판(71b)과, 지지틀(71c)과, 축부(71d)가 일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기체(71)에 각 부재를 배치하여 구성된다.
베드부(12)에는 원형구멍을 갖는 지지부(12a)가 배치되고, 원형구멍에 둥근고리부(71a)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끼워지며 루퍼지지부(70)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둥근고리부(71a)의 상부에 부착판(71b)이 배치되고, 둥근고리부(71a)의 하부에 상하로 긴 대략 직사각형 틀모양의 지지틀(71c)이 배치된다. 지지틀(71c)의 하부에 축부(71d)가 배치된다. 축부(71d)에는 플리 등이 배치되고 이 플리에는 루퍼지지부(70)를 바늘봉(25)과 동기하여 수직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타이밍벨트(도시생략)가 걸려있다. 루퍼지지부(70) 및 루퍼부(20)는 봉제시에 초기회전위치를 0도로 하면 0도부터 180도까지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부착판(71b)에는 루퍼부(20)가 배치된다. 그리고 루퍼부(20)는 루퍼(26)(26), 이 루퍼(26)(26)를 보조하는 스프레더(27)(27), 바늘 구멍을 갖는 혀모양부(22), 윗실절단메스(28) 등을 구비한다.
지지틀(71c)의 내부에는 루퍼구동축(23) 및 스프레더 구동축(24) 등으로 이루어지는 루퍼·스프레더 구동수단이 배치된다. 즉 루퍼지지부(70)의 회전중심선을 따르도록 관모양의 루퍼구동축(23)이 배치됨과 동시에 루퍼구동축(23)안에 관모양의 스프레더 구동축(24)이 배치된다. 또한 스프레더 구동축(24)은 루퍼구동축(23)보다 위쪽으로 뻗어나와있다.
또 스프레더 구동축(24)안에는 도시하지 않은 실공급원으로부터 혀모양부(22)의 바늘 구멍을 향하는 밑실(38)(굵은 점선으로 나타냄)이 스프레더 구동축(24)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지나고 있다. 또 루퍼구동축(23) 및 스프레더 구동축(24)의 하부는 축부(71d)안을 지나 루퍼지지부(70)의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도시하지 않은 하축에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구를 통해 연결되고 있다.
루퍼구동축(23)에는 루퍼구동축 가이드(23a)를 통해 루퍼구동로드(23b)의 하단부가 접속된다. 루퍼구동로드(23b)의 상단부는 루퍼부착대(23c)에 연결되고 이 루퍼부착대(23c)에 연결되고, 이 루퍼부착대(23c)가 부착된다. 이에 따라 루퍼구동축(23)의 상하이동이 소정의 왕복요동운동으로 변환되어 루퍼(26)(26)에 전달된다.
스프레더 구동축(24)의 상단부에는 스프레더 구동축 가이드(24a)를 통해 스프레더 구동로드(24b)의 하단부가 접속된다. 스프레더 구동로드(24b)의 상단부는 스프레더(27)(27)를 작동시키는 스프레더 작동캠(24c)이 접속되고 이에 따라 스프 레더 구동축(24)의 상하이동이 소정의 왕복요동운동으로 변환되어 스프레더(27)(27)에 전달된다.
또 지지틀(71c)안에는 스프레더 구동축(24)의 상단부로부터 나와 혀모양부(22)의 바늘구멍측을 향하는 밑실(38)을 이끄는 밑실경로부(76)와 밑실경로부(76)의 중간에서 밑실(38)을 끌어당기는 밑실당김장치(80)가 배치된다.
밑실경로부(76)는 지지틀(71c)의 앞측에 부착된 프레임부(76a)와, 이 프레임부(76a)에 부착된 각 부재, 비틀림 스프링인 밑실잡는 스프링(76b), 텐션디스크방식의 실텐션부(76c), 제 1실거는 부(76d) 및 제 2실거는 부(76e)등으로 이루어진다.
밑실잡는 스프링(76b)은 코일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프레임부(76a)에 지지되어 그 일단부가 프레임부(76a)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위쪽으로 길게 뻗으며 중간에서 규제부재(76g)에 의해 부세방향(도 5 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됨과 동시에 선단이 링모양으로 형성된다.
밑실(38)은 스프레더 구동축(24)의 상단부로부터 뻗어나와 제 1실거는 부(76d)의 외측부분에 걸려 하측을 향한다. 이어서 밑실(38)은 제 2실거는 부(76e)의 외측부분에 걸려 걸쳐진 후 실텐션부(76c)를 구성하는 2장의 텐션접시 사이에 걸려 회전한다. 이어서 밑실(38)은 제 2실거는 부(76e)의 내측부분에 걸리고 또한 제 1실거는 부(76d)의 내측부분에 걸려 걸쳐진다. 그리고 밑실(38)은 밑실잡는 스프링(76b)의 링부분을 지나 둥근고리부(71a)에 부착된 실통과관(76f)을 지나고, 루퍼지지부(70)의 위쪽을 향하며 루퍼(26)를 경유하여 혀모양부(22)의 바 늘구멍을 지나며, 또한 바늘판(19)위의 피봉제물을 향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실텐션부(76c)는 닫힌 상태에서 밑실(38)에 장력을 걸고 후술하는 밑실당김판(84)에 고정된 띄움 판(74)의 띄움 편(74b)이 텐션접시 사이에 들어가는 것으로 밑실(38)을 개방하도록 되어있다.
밑실당김장치(80)는 밑실당김판(84)이나 작동루퍼(85) 등으로 이루어지는 밑실당김수단(80a)과, 밑실당김 구동수단인 윗실절단을 행하기 위한 에어실린더(92)(후술함)로 구성된다. 밑실당김장치(80)는 봉제이외에 있어서 밑실(38)을 소비할 때 미리 밑실(3)을 느슨하게 하는 것으로 이송대(13)의 이동이나 밑실절단동작에 있어 밑실(38)이 소비되기 전에 밑실(38)을 끌어당기도록 되어있다. 실당김의 타이밍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밑실당김판(84)은 베이스부(84a)와, 베이스부(84a)의 위쪽으로 뻗어나오는 연출부(84c)와, 밑실(38)이 걸리게 되는 밑실당김부(84b)로 구성된다.
베이스부(84a)는 지지틀(71c)의 하단부의 베어링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받혀지고 있는 회전축(86)에 결합되어 함께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베이스부(84a)에는 원호모양의 장공(84e)이 배치되고, 이 장공(84e)에 있어서 고정나사(87)에 의해 회전축(86)이 관통하는 작동레버(85)가 체결되며, 베이스부(84a)에 대해 작동레버(85)가 고정된다. 즉 밑실당김판(84)과 작동레버(85)는 회전축(8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축(86)과 함께 일체적으로 도 5의 지면에 평행하는 면 안에 있어 회동하도록 되어있다.
작동레버(85)의 선단부(85a)는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루퍼지지부(70)의 회전 궤도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되어있다.
작동레버(85)에는 일단부가 윗실절단 작동팔(28a)에 걸린 복귀스프링(밑실당김 복귀스프링)(81)의 타단부가 걸려있다. 복귀스프링(81)은 밑실당김판(84) 및 작동레버(85)를 도 5의 지면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되돌아 오도록 부세하고 있다.
또 밑실당김부(84b)에는 제 1실거는 부(76d)와 실통과관(76f) 사이에 있어서 밑실잡는 스프링(76b)을 경유하여 펼쳐진 밑실(38)이 통과하는 장공(84d)이 형성된다.
접시띄움 판(74)은 상기 회전축(86)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되고 또한 밑실당김판(84)의 베이스부(84a)에 장공(74c)을 통해 고정되는 기부(74a)와, 이 기부(74a)로부터 뻗어나오는 접시띄움 편(74b)으로 이루어진다. 접시띄움 편(74b)은 그 선단부가 실텐션부(76c)의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복귀스프링(81)에 맞서 밑실당김판(8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접시띄움 편(74b)은 위쪽으로 이동하고, 접시띄움 편(74b)이 실텐션부(76c)의 밑실(38)을 끼우는 2장의 접시 사이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밑실(38)에 걸린 장력이 해제된다.
도 5의 초기상태로부터 후술과 같이 구동전달부(99)에 의해 작동레버(85)의 선단부(85a)가 아래쪽으로 밀리면 작동레버(85)와 함께 밑실당김판(84)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밑실당김부(84b)의 장공(84d)에 걸린 밑실(38)이 우측으로 인장된다. 또한 이 때 상술과 같이 실텐션부(76c)에 의한 장력이 해제되므로 실공급원측으로부터 밑실(38)이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레버(85)의 선단부(85a)를 아래쪽으로는 미는 힘이 풀리면 복귀스프링(81)에 의해 밑실당김판(84) 및 작동레버(85)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 밑실(38)이 헐거워진다.
다음에 윗실절단장치(90)에 대해 설명한다. 윗실절단장치(90)는 루퍼부(20)에 배치되는 윗실절단메스(28), 윗실절단 작동팔(28a)등과, 베드부(12)안에 있어 전후방향으로 각 부재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윗실절단 구동수단(91)으로 구성된다.
도 5와 같이 윗실절단 작동팔(28a)은 부착판(71b)에 대해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부착되고, 이 윗실절단 작동팔(28a)의 상부에 윗실절단메스(28)가 부착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윗실절단장치(90)의 일부를 생략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는 루퍼지지부(70) 등을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베드부(12)는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윗실절단 작동팔(28a)에는 밑실당김 복귀스프링(81)의 일단부가 걸리게 되고, 이 복귀스프링(81)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부세되며 윗실절단메스(28)가 소정의 절단대기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있다.
윗실절단 작동팔(28a)에는 돌부(28c)가 배치되고, 돌부(28c)가 윗실절단 구동수단(91)에 의해 아래쪽으로 밀려 윗실절단 작동팔(28a)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윗실절단메스(28)가 윗실절단동작을 행하도록 되어있다.
윗실절단 구동수단(91)은 윗실절단을 위한 에어실린더(윗실절단 에어실린더)(92)와, 윗실절단 링크(93)와, 윗실절단 구동축(94)과, 압착부(95) 등 으로 구성된다.
복귀스프링(92)은 그 기단측에 있어서 베드부(12)에 대해 고정나사(96a)(96a)에 의해 고정되는 실리더 브라켓(96)에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지지된다. 또 복귀스프링(92)은 그 앞부에 부착되는 로드부(92a)를 진퇴시키도록 되며 로드(92a)의 추출량은 늘 일정하게 된다.
로드(92a)의 선단부에는 실린더 너클(97)을 통해 회동가능하도록 대략 T자모양으로 형성된 윗실절단링크(93)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윗실절단링크(93)의 중간부는 회전축(93a)에 의해 베드부(12)에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지지된다. 한편 대략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는 윗실절단 구동축(94)에, 이 구동축(94)이 삽통한 상태에서 봉감싸는 부(94a)가 고정되고, 윗실절단링크(93)의 타단부는 이 봉감싸는 부(94a)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윗실절단링크(93)는 도 6에서의 뒤쪽에서 윗실절단 구동축(94)을 지지하게 된다. 윗실절단 구동축(94)의 상단부에는 압착부(95)가 배치된다. 또한 루퍼지지부(70)가 180도의 회전각도에 위치하고 있으면 압착부(95)와 윗실절단메스(28)의 돌부(28c)가 겹치도록 압착부(95)가 배치된다.
윗실절단 구동축(94)의 하부에는 윗실절단 구동축(94)을 삽통한 상태에서 축고정부재(98)가 나사(98a)(98a)에 의해 고정되고, 축고정부재(98)에 대해 판모양의 부재인 구동전달부(99)가 윗실절단 구동축(94)을 삽통한 상태에서 고정된다.
윗실절단 구동수단(91)에 의하면 복귀스프링(92)의 구동력에 의한 윗실절단 구동축(94)의 상하이동과 함께 압착부(95)가 동작한다.
즉 도 6과 같이 복귀스프링(92)이 Off상태에서는 로드(92a)가 밀려나오고, 이 때 압착부(95)는 상사점에서 멈춘 상태가 된다. 한편 복귀스프링(92)이 On이 되면 로드(92a)가 인입되고, 윗실절단링크(93)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압착부(95)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하사점에서 멈춘 상태가 된다. 이 때 루퍼지지부(70)가 180도의 회전위치에 있으면 압착부(95)에 의해 상기 돌부(28c)가 아래쪽으로 밀려 절단대기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윗실절단메스(28)가 작동하여 윗실이 절단된다. 다시 복귀스프링(92)이 Off상태가 되면 압착부(95)가 상사점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윗실절단메스(28)의 상기 복귀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윗실절단메스(28)가 절단대기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있다.
구동전달부(99)는 판모양의 부재로서 루퍼지지부(70)의 회전축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작동레버(85)의 선단부(85a)의 위쪽에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구동전달부(99)의 밑면과 작동레버(85)의 선단부(85a)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벌려 대향하고 있다.
구동전달부(99)는 상하방향에서 보아 루퍼지지부(7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초생달 모양(대략 C자모양)의 형상을 갖고, 그 내측의 원호모양의 테두리부에 의해 루퍼지지부(7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그 내측테두리부가 이루는 원호의 중심과, 루퍼지지부(70)의 회전중심이 거의 일치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루퍼지지부(70)의 회전에 따른 작동레버(85)의 선단부(85a)의 회전궤적은 구동전달부(99)의 내측테두리부보다도 외측으로, 외측테두리부보다도 내측에 있는 원호를 따르도록 되어있다.
루퍼지지부(70)는 봉제가 개시할 때에는 거의 0도의 회전위치에 있고, 봉제 종료시에는 거의 180도가 된다. 이 동안 작동레버(85)의 선단부(85a)와 구동전달부(99)와는 늘 상하방향으로 겹치고 있다.
그리고 윗실절단 구동축(94)이 상하로 이동하면 구동전달부(99)도 함께 상하로 이동하고, 작동레버(85)의 선단부(85a)에 대해 접리이동하며, 구동전달부(99)가 복귀스프링(92)의 On시에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반드시 선단부(85a)를 밀게 된다. 즉 루퍼지지부(70)의 회전각도에 관계없이 구동전달부(99)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반드시 작동레버(85)의 선단부(85a)를 밀게 된다. 선단부(85a)가 아래쪽으로 밀리게 되면 상술과 같이 밑실당김이 행해진다. 즉 에어실린더(92)는 본 발명에서의 밑실당김 구동수단을 겸하고 있다.
도 7에는 재봉틀(10)의 제어회로(110)를 나타냈다. 제어회로(110)는 CPU(111), ROM(112), RAM(113) 및 인터페이스(114)(15) …, 각종 구동회로, 조작패널(150), 스타트 스위치(134) 등으로 구성된다.
ROM(Read Only Memory)(112)에는 사뜨기 봉제를 행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이나 제어데이터가 기입된다.
RAM(Random Access Memory)(113)는 여러개의 패턴데이터(사뜨기 제어데이터)를 기억함과 동시에 조작패널(150)을 통해 선택된 하나의 패턴데이터를 기억하고, 또 패턴데이터안의 데이터항목의 값이 변경된 경우에는 그 값도 기억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RAM(113)은 봉제중의 각종처리시에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메모리 에어리어로서도 기능한다. 또 패턴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솔기데이터(후술함)도 기억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11)는 ROM(112)의 제어프로그램이나 제어데이터에 따라 사뜨기 봉제에 관한 일련의 처리를 제어한다.
CPU(111)는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조작패널(150)에 접속되고, 조작패널(150)상의 표시를 제어함과 동시에 조작패널(150)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받아 각종 설정의 선택·변경등을 행하도록 되어있다. 작업자는 조작패널(150)을 통해 도 8에 도시한 패턴데이터를 선택하거나 선택한 패턴데이터의 각 데이터항목의 숫자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조작패널(15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CPU(111)는 인터페이스(115)를 통해 주축 서보모터 구동회로(116)에 접속되고, 주축 서보모터(117)의 회전을 구동제어한다. 주축 서보모터(117)는 재봉바늘(18)을 상하로 구동하는 상축(도시하지 않음)이나 루퍼·스프레더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하축(도시하지 않음)을 구동한다.
또 CPU(111)는 인터페이스(118)를 통해 X축 펄스모터 구동회로(120)에 접속됨과 동시에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Y축 펄스모터 구동회로(122)에 접속되어 X축 펄스모터(119)와 Y축 펄스모터(123)를 구동제어하면서 이송대(13)를 소정방향으로 구동한다.
CPU(111)는 인터페이스(124)를 통해 Z축 펄스모터 구동회로(125)에 접속되고 Z축 펄스모터(126)를 제어구동한다.
사뜨기 재봉틀(10)에 있어서는 주축 서보모터(117)의 회전이 바늘봉(18)과, 루퍼·스프레더 구동수단에 전달되는 것으로 바늘봉(11)의 상하이동 및 바늘진동운 동과 동기하여 루퍼(26)(26) 및 스프레더(27)(27)가 작동하고, 이로써 이송대(13)상에 올려놓은 봉제물(F)에 솔기를 형성한다.
또 바늘봉(11) 및 루퍼지지부(70)는 Z축 펄스모터(126) 및 타이밍 벨트(31)나 전달샤프트(32)(도 1(b)) 등을 구비한 회전기구에 접속된다. 아일릿 봉제부(w2)의 주위를 방사모양으로 사뜨기할 때에는 이 회전기구에 의해 구동되고, 재봉바늘(18) 및 루퍼부(20)가 동기하여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CPU(111)는 인터페이스(127)를 통해 밑실절단 실린더 구동회로(128)에 접속되어 밑실절단 실린더(30)를 제어구동한다. 또 인터페이스(129)를 통해 윗실절단 실린더 구동회로(130)에 접속되어 윗실절단 실린더(92)를 구동하고, 상술과 같이 윗실절단이나 밑실당김을 행하도록 한다.
CPU(111)는 인터페이스(131)를 통해 천절단모터 구동회로(132)에 접속되고 천절단 모터(133)를 제어구동한다.
또한 CPU(111)는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스타트 스위치(134)에 접속되고, 스타트 스위치(134)로부터 기동신호가 입력되면 주축 서보모터(117) 등을 소정의 타이밍으로 구동하여 사뜨기 봉제, 천절단 처리 및 윗실·밑실절단처리 등을 행하게 한다.
RAM(113)에 기억되는 데이터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 8(a)에는 보턴 사뜨기봉제를 행할 때의 패턴데이터를 도시하는 테이블(t1)을 나타냈다. 여기서는 9종류의 패턴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으며, 하나의 패턴데이터는 1~9의 데이터항목을 갖는다.
데이터항목 1은 아일릿부(h1)의 형상을 설정하는 것이다. 도 9(b)와 같이 아일릿부(h1)의 크기를 가로폭(ew)과 세로길이(el)에 의해 규정하고, 이들 ew와 el의 조합을 도 8(b)와 같이 미리 테이블(t2)로서 기억하고 있다. 데이터항목 1에서는 테이블(t2)의 No.1 ~ No. 5로부터 숫자를 선택하여 설정하도록 되어있다.
도 8(a)의 데이터항목 2 ~ 6은 도 9(a)와 같이 보턴 사뜨기를 구성하는 각 부의 바늘 수나 길이에 관한 데이터이다. 즉 데이터항목 2는 사뜨기봉제의 전 길(m1), 데이터항목 3은 평행부(h2) 양측의 바늘 수(ln), 데이터항목 4는 아일릿부(h1)의 둘레의 바늘 수(en), 데이터항목 5는 평행부(h2)의 메스스페이스(도 9의 ls), 데이터항목 6은 아일릿부(h1)의 메스스페이스(도 9의 es)이다.
데이터항목 7은 직선빗장봉제(w4)의 크기에 대해서이다. 직선빗장봉제(w4)의 크기를 가로 폭(cl)과 세로길이(cw)에 의해 규정하고, cl과 cw의 조합을 도 8(c)과 같이 미리 테이블(t3)로서 기억하고 있다. 데이터항목 7에서는 테이블(t3)의 No.1~No.n으로부터 숫자를 선택하도록 되어있다.
데이터항목 8은 후술의 도 11에서 도시하는 2번째의 밑실당김을 행할 지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 데이터항목 9는 4번째의 밑실당김을 행할 지 여부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들에 대해서는 뒤에 상술한다.
사뜨기 재봉틀(10)에서는 형성하고자 하는 사뜨기 봉제의 크기나 형상에 대해 조작패널(150)상에서 불러내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수단인 조작패널(150)은 도 10과 같이 준비키(151), 패턴넘버 선택부(152), 데이터항목 선택부(153), 데이터값 설정부(154), 데이터설정 스위치(155)로 구성된다.
패턴넘버 선택부(152)는 패턴넘버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패턴표시부(152a)에 현재 선택하고 있는 패턴넘버가 표시된다(도 10에서는 「1」). 패턴표시부(152a)하의 +키(152b), -키(152c)에 의해 숫자를 1 ~ 9의 범위 안에서 하나씩 변경함으로써 다른 패턴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항목 선택부(153)는 패턴넘버 선택부(152)에서 선택한 패턴데이터안의 데이터항목을 선택하는 것이다. 항목표시부(153a)에 현재 선택하고 있는 데이터항목이 표시된다(도 10에서는 「1」). 항목표시부(153a)하의 +키(153b), -키(153c)에 의해 숫자를 1 ~ 9의 범위안에서 하나씩 변경함으로써 다른 데이터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항목 선택부(153)에 있어 데이터항목을 선택하면 데이터값 설정부(154)의 값표시부(154a)에 그 데이터항목에 대해 미리 설정되는 숫자가 표시된다. 값표시부(154a)하의 +키(154b), -키(154c)에 의해 값표시부(154a)의 숫자를 소정의 범위안에서 소정간격씩 증감함으로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데이터설정 스위치(155)는 데이터 설정작업을 행할 때 조작하는 스위치이다. 즉 데이터 설정스위치(155)를 누르면 그것에 의해 데이터값의 변경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각 항목이나 숫자의 선택이나 변경은 다시 데이터 설정스위치(155)를 누르는 것으로 확정한다.
준비키(151)는 설정작업의 종료 후 설정한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솔기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사뜨기 재봉틀(10)의 동작을 도 11의 플로우챠트를 기초로 설명한다.
이 제너럴 플로우는 예를들면 재봉틀(10)의 주 전원(도시하지 않음)이 ON되었을 때 개시한다. 또 봉제물(F)은 미리 소정의 셋트위치에 있어서 셋트되어 있다고 하자.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준비키(151)가 조작되었는 지를 판정한다. 조작되지 않으면 이 판정을 반복하고, 조작되었으면 스텝 S2에 있어 솔기데이터를 작성한다. 이 솔기데이터의 작성은 선택되고 있는 패턴데이터의 데이터내용을 기초로 주축 서보모터(117) 등의 구동원을 구동하기 위해 생성되는 데이터로서 재봉바늘(18)의 바늘낙하위치를 정하는 바늘낙하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어서 스텝 S3에 있어서 이송대(13)를 셋트위치로부터 원점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스텝 S4에 있어서 스타트스위치(134)가 ON상태가 되었는 지를 감시하여 ON이 되면 스텝 S5로 이행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천절단모터(133)에 의해 메스받이대(33)를 구동하는 처리를 행하여 보턴구멍(H)을 형성하고, 이어서 스텝 S6에 있어 봉제개시위치로 이송대(13)를 이동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어서 스텝 S7에 있어서 상기 솔기데이터를 기초로 주축서보모터(117), X축 펄스모터(119), Y축 펄스모터(123), Z축 펄스모터(126)를 구동하여 보턴 사뜨기 봉제를 행하고, 스텝 S8에 있어서 사뜨기가 종료한다. 이 때 이송대(13)는 봉제개시위치와 거의 같은 봉제종료위치에 있다.
이 사뜨기봉제가 종료한 단계에서는 복귀스프링(92)은 Off상태가 되고 루퍼지지부(70)는 원점위치로부터 180도 회전하며, 윗실절단메스(28)의 돌부(28c)에 대해 압착부(95)가 상하방향으로 겹치고 있다.
이어서 스텝 S9에 있어서 복귀스프링(92)이 On이 되고, 윗실절단링크(93), 윗실절단 구동축(94)을 통해 압착부(95)가 돌부(28c)를 아래쪽으로 밀어내려 윗실절단메스(28)에 의해 윗실이 절단된다. 동시에 상술과 같이 복귀스프링(92)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레버(85)가 밀리게 되고, 밑실당김판(84)이 회동한다. 이에 따라 접시띄움 판(74)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접시띄움 편(74b)이 실텐션부(76c)의 2장의 접시 사이로 들어가고 밑실(38)에 장력이 걸리지 않은 상태가 되며, 밑실당김판(84)의 밑실당김부(84b)에 의해 실감는 측으로부터 밑실(38)이 끌어당겨진다(첫번째의 끌어당김).
그리고 밑실(38)이 끌어당겨진 후 복귀스프링이 OFF가 되고, 복귀스프링(81)의 부세력에 의해 윗실절단메스(28)가 절단대기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구동전달부재(99)가 초기상태의 상사점으로 복귀하며, 복귀스프링(81)의 부세력에 의해 밑실당김장치(80)가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에 스텝 S10에 있어서, 이송대(13)가 봉제종료위치로부터 원점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 이송대(13)의 이동은 후술의 스텝 S15의 밑실절단조작의 바로 앞까지 시간이 걸린다.
또한 스텝 S11에 있어서 180도의 회전위치에 있는 루퍼지지부(70)가 원점방향으로 45도 복귀한다. 이에 따라 밑실의 절단을 행하기 위해 밑실(38)과 심사(34)가 바늘판(19)의 단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하로 나눠지게 된다.
이어서 스텝 S12에 있어서 테이블(t1)의 데이터항목 8의 설정에 따라 밑실절단전에 2번째의 밑실당김을 할 지를 판정한다.
데이터항목 8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설정가능하게 된다. 상술과 같이 원점위치로부터 봉제종료위치까지의 이송대(13)의 이동량은 보턴구멍(H)의 길이(상기 ml값)에 의해 달라, 긴 만큼 짧고, 짧은 만큼 길어진다. 따라서 스텝 S10부터 시작하는 이송대(13)의 원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이동은 보턴구멍(H)의 길이(상기 ml값)에 의해 거리가 바뀐다. 또 이송대(13)의 이동에 의해 천누름부(36)에 고정된 상태의 봉제물(F)과 함께 밑실(38)도 인장된다. 그러나 스텝 S9에 있어서 밑실(38)이 풀려나오므로 이송대(13)의 이동량이 그 만큼 길지 않은 경우에는 밑실(38)이 연결된 봉제물(F)이 이동해도 밑실(38)에 의해 천이 오므라 드는 경우가 없다. 덧붙여서 이동량이 짧으면 스텝 S15에서의 밑실절단시의 밑실(38)의 소비량도 공급되어 절단후에 밑실(38)에 강하게 인장이 발생하거나 천측이 인장되거나 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이송대(13)의 이동량이 많은 경우 즉 스텝 S7의 봉제에서의 상기 ml값이 짧은 경우에는 스텝 S10부터 시작하는 이송대(13)의 이동량이 길어져 스텝 S9의 끌어당기는 양으로는 부족하게 된다. 그래서 작업자는 봉제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항목 8의 밑실당김에 대해 「있음」을 설정해 둔다. 그리고 스텝 S12에서 데이터항목 8에 대해 「있음」이면 스텝 S13에 있어 복귀스프링(92)이 ON하는 것으로 밑실(38)이 밑실당김장치(80)에 의해 끌어당겨지고, 계속해서 OFF하는 것으로 느슨해져 스텝 S14로 이행한다. 이와같이 스텝 S13에서 밑실(38)을 끌어당겨 두는 것으로 이송대(13) 이동시및 다음 공정에서의 밑실절단시의 소비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송대(13)의 이동량이 그 만큼 많지 않고 데이터항목 8에 대해 「없음」이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 S12부터 스텝 S13으로는 이행하지 않고 즉 밑실당김을 행하지 않고 스텝 S14로 이행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는 복귀스프링(92)을 ON하고, 밑실당김판(84)을 도 5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며, 이에 따라 밑실(38)이 끌어당겨져 인장된다. 이 인장된 상태에서 스텝 S15로 이행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는 도 2의 대기상태에 있는 밑실절단장치(37)에 있어서 밑실절단 실린더(30)가 ON하고, 이에 따라 이동메스(50)는 오목부(50a)(50b)에 각각 심사(34), 밑실(38)을 포착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동메스(50)가 고정메스(44)로 근접해 오면 이동메스(50)와 함께 회전해 온 실잡는 오프너(64)의 작동부(65)가 실잡는 핀(62)을 아래쪽으로 밀어내리고 이에 따라 고정수단(55)에 의해 심사(34)와 밑실(38)은 각각 클램프된다. 클램프직후, 이동메스(50)는 고정메스(44)와 접촉하고, 심사(34) 및 밑실(38)이 절단된다.
계속해서 스텝 S16에 있어서 복귀스프링(92)이 OFF가 되고, 여기서 밑실(38)을 인장했던 밑실당김판(84)이 대기위치로 복귀하며, 이에 따라 밑실(38)은 느슨해진다(3번째). 이 후 스텝 S17에 있어서 밑실절단 실린더(30)가 OFF가 되고, 이동메스(50) 및 실잡는 오프너(6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 작동부(65)는 재차 실잡는 핀(62)을 밀어내려 고정수단(55)(협지부재)은 한순간 밑실(38)을 해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되지만 밑실(38)은 느슨해지므로 고정수단(55)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다음에 스텝 S18에 있어서 봉제물(F)을 이송대(13)에 밀어부치고 있는 천누름부(36)가 상승하고, 또 루퍼지지부(70)를 거의 135도만큼 역선회시킴으로써 회전각도가 0으로 복귀한다.
또한 스텝 S19에서 다음회의 봉제를 위해 이송대(13)를 셋트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밑실(38)은 이송대(13)상에 고정된 고정수단(55)에 클램프되는 것으로 이송대(13)와 함께 이동하고, 이 때 루퍼부(20)측으로부터 밑실(38)은 인장되게 되지만 스텝 S16에서 느슨해 지므로 밑실(38)에 무리한 장력이 걸리거나 고정수단(55)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이어서 스텝 S20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항목 9의 설정내용에 따라 4번째의 밑실당김을 행할 지를 판정한다. 데이터항목 9가 「있음」이면 스텝 S21로 이행하고 여기서 복귀스프링(92)을 구동하여 밑실당김을 행하고 나서 이 처리를 종료한다. 또 스텝 S20에서 데이터항목 9가 「없음」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그대로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이 데이터항목 9는 다음회의 봉제시의 이송대(13)의 이동량을 고려하여 밑실당김을 행할 지를 설정하는 것이다. 즉 봉제개시시에는 셋트위치로부터 원점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 원점위치로부터 봉제개시위치로 이동한다(도 11의 스텝 S3,S6). 셋트위치로부터 원점위치로의 이동량은 기본적으로는 일정하지만 원점위 치로부터 봉제시작위치로의 이동은 데이터항목 8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봉제길이(ml값)에 의해 바뀌고 이송대(13)상의 고정수단(55)에 클램프된 밑실(38)이 인장되는 정도도 바뀐다. 그래서 작업자는 다음 공정을 고려하여 봉제길이가 짧고 이동량이 길면 데이터항목 9에 대해 「있음」으로 하고, 역으로 봉제길이가 길고 이동량이 짧으며 스텝 S16의 끌어당긴 만큼으로 충분할 때는 「없음」으로 설정한다.
또한 스텝 S13, S14, S21에 있어서 복귀스프링(92)을 ON하여 밑실당김을 행하지만 스텝 S11에서 루퍼지지부(70)가 45도로 회전하여 이 이후는 루퍼지지부(70)가 180도의 회전위치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윗실절단메스(28)는 윗실절단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또한 스텝 S12에서의 판별은 데이터항목 8의 설정내용에 따르는 것이 아닌 스텝 S10의 이송대(13)의 이동량의 근원이 되는 값으로서 봉제길이(ml)값을 기초로 CPU(111)에서 자동적으로 판별해도 좋다. 이 경우 기준치 A를 미리 설정해 두고 봉제길이 ml값과 비교하여 ml< A이면 2번째의 밑실당김을 행하도록한다.
또 스텝 S20에서의 판별은 데이터항목 9의 설정내용에 따르는 것이 아닌 다음 공정개시시의 이송대(13)의 원점위치로부터 봉제개시위치로의 이동량의 근원이 되는 값으로서 봉제길이(ml)값을 기초로 CPU(111)에서 자동적으로 판별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기준치 B를 미리 설정해 두고 봉제길이(ml)값과 비교하여 ml<B이면 4번째의 밑실당김을 행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자동적으로 판별하도록 구성하면 편리성이 높다.
이상의 사뜨기 재봉틀(10)에 의하면 도 11과 같이 우선 스텝 S14에 있어서 밑실당김판(84)에 의해 밑실(38)을 끌어놓고, 이 상태에서 밑실절단장치(37)에 의해 밑실(38)을 절단하며, 그 후 밑실당김판(84)을 원래로 되돌려 밑실(38)을 느슨하게 하여 밑실절단장치(37)를 OFF하여 이동메스(50) 및 실잡는 오프너(64)를 원래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이 때 작동부(65)에 의해 밑실(38)의 클램프는 일 순간 해방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밑실(38)은 느슨해지기 때문에 고정수단(55)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는 없다.
즉 밑실절단후의 클램프 해방전에 밑실(38)은 느슨해 지므로 밑실의 종류나 실공급측의 부하가 커지는 경우에도 고정수단(55)(협지부재)으로부터 밑실(38)은 풀리지 않고 다음 공정의 봉제에 있어서 올이 튀거나 하지 않으며 스무스하게 양호한 사뜨기 솔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단전에는 밑실당김판(84)에 의해 밑실(38)은 인장된 상태이므로 밑실(38)에는 어느 정도 장력이 걸려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 스텝 S13, S21의 밑실당김에 대해서는 이송대(13)의 이동량을 고려하여 조작패널(150)을 통해 설정된 데이터항목 8, 데이터항목 9의 내용을 기초로 행해지므로 이동량에 따라 충분히 밑실(38)이 끌어당겨지고, 이송대(13) 이동시에 밑실(38)에 무리한 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스텝 S13에 의해 밑실(38) 절단전에 무리한 장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절단 후의 고정수단(55) 해방시에도 확실하게 밑실(38)이 느슨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스텝 S21에 의해 고정수단(55)에 의해 클램프되는 밑실(38)에 무리한 힘이 가해 지지 않는다는 것은 고정수단(55)의 클램프힘이 약해도 되고 고정수단(55)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실시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항목 8,9에 대해 패턴데이터의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한 패턴데이터안의 데이터로서 설정·선택하도록 되어있지만 도 12, 도 13과 같이 패턴에 관계없는 봉제조건으로서 설정되는 메모리 스위치로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어도 좋다.
도 12(a)에는 본 발명에 관한 사뜨기 재봉틀의 조작패널의 다른 예로서의 조작패널(선택수단)(200)을 나타냈다. 도 12(b)에는 조작패널(200)에 의해 설정되는 메모리 스위치번호의 내용을 나타내는 테이블(t4)을 나타냈다. 이 테이블(t4)은 예를들면 ROM(112)에 기억된다.
조작패널(200)은 준비키(201), 메모리 스위치번호 선택부(202), 데이터값 설정부(203)로 구성된다.
준비키(201)는 메모리스위치 설정모드에 넣기 위한 스위치임과 동시에 메모리스위치 설정모드에서 설정한 내용을 기억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메모리 스위치번호 선택부(202)는 메모리 스위치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메모리 스위치번호 표시부(202a)에 현재 선택되고 있는 메모리 스위치번호가 표시된다. 메모리 스위치번호 표시부(202a)하의 +키(202b), -키(202c)에 의해 숫자를 1 ~ 8안에서 하나씩 변경함으로써 다른 메모리 스위치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값 설정부(203)는 메모리 스위치번호(202)에서 선택한 메모리 스위치 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값표시부(203a)에 현재 설정되고 있는 데이터값이 표시된다. 값표시부(203a)하의 +키(203b), -키(203c)를 조작함으로써 값표시부(203a)의 숫자를 소정의 범위안에서 소정 간격씩 증감하는 것으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메모리스위치의 내용은 예를들면 실절단시의 Y이송방향으로의 이동의 속도나 이동량에 대해서이지만 No. 1~ No. 6에 대해서는 종래 주지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 스위치 No.7은 상기 테이블(t1)의 데이터항목 8과 마찬가지로 2번째의 밑실당김(도 11, 스텝 S13)을 행할 지를 설정하는 것으로 메모리 스위치 No.8은 상기 데이터항목 9와 마찬가지로 4번째의 밑실당김(도 11, 스텝 S21)을 행할 지를 설정하는 것이다. 어느 쪽도 행하는 것이면 「1」을, 행하지 않는 것이면「0」을 설정하도록 되어있다.
도 13에 메모리스위치 설정모드에서의 설정처리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했다. 이 처리는 준비키(201)를 누르면서 전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개시한다.
이 처리가 개시하면 스텝 J1에 있어서 메모리스위치 번호표시부(202a)에 있어서 「1」을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 J2에 있어서 +키(202b), -키(202c)가 조작되었는 지를 판정하여 조작되었으면 스텝 J3에 있어서 그 조작에 따라 메모리스위치 번호표시부(202a)의 표시내용을 하나씩 갱신하여 스텝 J4로 이행한다. 스텝 J2에서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스텝 J4로 이행한다. 또한 메모리스위치 번호표시부(202a)의 표시에 따라 그 번호마다의 표준치가 데이터값 설정부(203)의 값표시부(203a)에 표시된다.
스텝 J4에서는 데이터값 설정부(203)의 +키(203b), -키(203c)가 조작되었는 지를 판정한다. 조작되어있으면 스텝 J5에 있어서 스텝 J4의 조작에 따라 값표시부(203a)의 표시내용을 소정의 단위마다 갱신하여 스텝 J6으로 이행한다. 스텝 J4에서 조작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스텝 J6으로 이행한다.
스텝 J6에 있어서는 준비키(201)가 조작되었는 지를 판정하여 조작되어있지 않으면 스텝 J2로 복귀하고, 조작되면 스텝 J7에 있어서 스텝 J2~J5에서 설정된 메모리 스위치의 내용을 도시하지 않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Read Only Memory)에 기입하여 이 처리를 마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형상·구조 등은 적절히 변경가능하다.
예를들면 실텐션부(76c)는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이른바 액티브 텐션으로서 구성해도 좋고 그 때에는 도 11의 플로우챠트에서 도시하는 스텝 S8의 봉제종료시에 개방상태로 하여 다음의 봉제가 개시할 때 까지 개방한 상태로 해도 좋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우선 밑실당김수단이 초기상태로부터 상기 소정의 동작을 행하여 밑실을 끌어당기고, 이 상태에서 협지부재에 의해 밑실이 협지되고, 그 후 밑실절단장치에 의해 밑실이 절단되며, 이어서 밑실당김수단을 원래 상태로 되돌려 밑실을 느슨하게 하고 나서 해방부재에 의해 협지부재가 밑실을 해 방가능하게 상태가 된다. 이 시점에서 밑실은 느슨해지는 것으로 협지부재로터 풀리는 경우는 없다.
즉 고정수단의 해방상태 전에 밑실은 느슨해 지므로 밑실의 종류나 실공급측의 부하가 큰 경우에도 협지부재로부터 밑실은 풀리지 않고 다음 고정의 봉제에 있어서, 올이 튀거나 하지 않아 스무스하게 양호한 오버록 솔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단전에는 밑실당김장치에 의해 밑실을 끌어당겨진 상태이므로 밑실에는 어느 정도 장력이 걸려 있어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선택수단에 의해 밑실절단전에 밑실당김장치에 의해 밑실을 끌어당길지 또는 느슨하게 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밑실소비량이 많을 때에는 선택수단에 의해 밑실당김을 선택하는 것으로 이송대 이동시에 밑실에 무리한 장력이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동량이 짧아 밑실의 소비량이 적을 때에는 선택수단에 의해 끌어당겨지지 않도록 선택하면 필요없는 밑실당김은 행해지지 않아 밑실이 필요이상으로 느슨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더욱 편리성이 높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봉제개시시의 원점위치로부터 봉제위치로의 이송대의 이동량이 길면 이송대 상의 밑실절단장치의 고정수단에 협지된 밑실도 많이 소비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선택수단에 의해 다음의 봉제를 위해 밑실당김장치에 의해 밑실을 끌어당길지 또는 느슨하게 할 지를 선택할 수 있 다. 따라서 다음의 봉제개시시의 이동에 의한 밑실소비량이 많을 때에는 선택수단에 의해 밑실당김을 선택하는 것으로 미리 실이 끌어당겨지고, 다음 봉제의 이송대 이동시에 밑실에 무리한 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밑실에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는 다는 것은 협지부재에 의한 클램프힘이 약해도 되고, 협지부재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동량이 짧아 밑실의 소비량이 적을 때에는 선택수단에 의해 끌어당겨지지 않도록 선택하면 필요없는 밑실당김은 행해지지 않아 밑실이 필요이상으로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4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으로부터 더욱 편리성이 높다.


Claims (5)

  1. 재봉틀 프레임의 암부에 배치된 바늘 봉에 대향하도록 베드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늘봉과 동기하여 동작하는 루퍼장치와,
    밑실을 끌어당긴 후에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으로 밑실을 느슨하게 하는 밑실당김수단과, 밑실당김수단을 구동하는 밑실당김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밑실당김장치와,
    베드부의 윗면부에 배치되고, 봉제물이 놓여져 최소한 원점위치와 봉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에 배치되어 밑실을 절단하는 이동메스와, 밑실절단전부터 절단후 까지 밑실을 협지하는 협지부재와, 밑실절단전후에 협지부재를 밑실이 삽통가능 또는 해방가능한 상태로 하는 해방부재로 이루어지는 밑실절단장치를 구비하고,
    바늘봉과 루퍼장치의 협동에 의해 사뜨기 봉제를 행하고, 그 후 밑실절단장치에 의해 밑실을 절단하는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밑실을 절단할 때 밑실당김 구동수단을 통해 밑실당김수단에 동작을 행하게 한 후 협지부재에 의해 밑실이 협지된 상태에서 밑실절단장치에 의해 밑실을 절단하고, 이어서 해방부재에 의해 협지부재가 밑실을 해방가능한 상태가 되기 전에 밑실당김 구동수단을 통해 밑실당김수단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뜨기 재봉틀.
  2. 제 1항에 있어서,
    이송대는 봉제종료후 밑실절단전에 봉제위치로부터 원점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밑실절단전에 밑실당김장치에 의해 밑실을 끌어당길지 또는 느슨하게 할 지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뜨기 재봉틀.
  3. 제 1항에 있어서,
    이송대는 봉제종료후 밑실절단전에 봉제위치로부터 원점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있고,
    밑실절단직전에 밑실당김장치에 의해 밑실을 끌어당길지 또는 느슨하게 할 지를 봉제위치로부터 원점위치로의 이동길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뜨기 재봉틀.
  4. 제 1항에 있어서,
    봉제개시시에 이송대는 원점위치로부터 봉제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있고, 밑실절단후에 다음의 봉제개시시의 이송대의 이동을 위해 밑실당김장치에 의해 밑실을 끌어당길지 또는 느슨하게 할 지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뜨기 재봉틀.
  5. 제 1항에 있어서,
    봉제개시시에 이송대는 원점위치로부터 봉제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있고, 밑실절단후에 다음의 봉제개시시에 있어 이송대의 이동을 위해 밑실당김장치에 의해 밑실을 끌어당길 지 또는 느슨하게 할 지를 다음 봉제의 원점위치로부터 봉제위치로의 이동길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뜨기 재봉틀.
KR1020020018375A 2001-04-13 2002-04-04 사뜨기 재봉틀 KR100801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15722A JP4799752B2 (ja) 2001-04-13 2001-04-13 穴かがりミシン
JPJP-P-2001-00115722 2001-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459A KR20020079459A (ko) 2002-10-19
KR100801339B1 true KR100801339B1 (ko) 2008-02-05

Family

ID=1896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375A KR100801339B1 (ko) 2001-04-13 2002-04-04 사뜨기 재봉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99752B2 (ko)
KR (1) KR100801339B1 (ko)
CN (1) CN1277971C (ko)
DE (1) DE1021501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5813B3 (de) * 2004-03-31 2005-05-19 Dürkopp Adler AG Augen-Knopfloch-Nähmaschine
JP4650172B2 (ja) * 2005-08-31 2011-03-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ルーパー土台への給油装置
JP4899792B2 (ja) * 2006-10-30 2012-03-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鳩目穴かがりミシン及び、鳩目穴かがりミシンプログラム
DE102012205049A1 (de) * 2012-03-29 2013-10-02 Dürkopp Adler AG Faden-Schneid-Baugruppe für eine Schnürloch-Nähmaschine
CN105113147B (zh) * 2015-08-18 2017-09-01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剪线机构
CN105113148B (zh) * 2015-08-18 2017-11-14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剪线和夹线机构
CN105133214B (zh) * 2015-09-19 2017-08-25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一种平缝机的防鸟巢结构
DE102017207626A1 (de) * 2017-05-05 2018-11-08 Dürkopp Adler AG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Naht-Endunterfadens mit vorgegebenem Soll-Nahtüberstand
CN111074444B (zh) * 2020-02-18 2021-08-27 陈天龙 一种绣花机面线线头长度可控的剪线控制方法及装置
DE102021128687A1 (de) 2021-11-04 2023-05-04 Bundesdruckerei Gmbh Klemmvorrichtung für einen Hinter- oder Unterfaden einer Nähmaschi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4078U (ko) * 1988-09-21 1990-03-27
KR910014022A (ko) * 1984-09-14 1991-07-31 가부시기가이샤 스즈끼 세이사꾸쇼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DE29811472U1 (de) * 1997-11-12 1998-09-24 Ku, Fei-Lung, Tainan Fadenschneidvorrichtung für eine Nähmaschine für Kettenstichnäharbeiten
JPH11276736A (ja) * 1998-02-24 1999-10-12 Duerkopp Adler Ag ボタン孔かがりミシン
DE20017708U1 (de) * 2000-09-20 2000-12-14 Ku Fei Lung Fadenschneidvorrichtung für eine Nähmaschine
DE102005042420A1 (de) * 2004-09-07 2006-03-30 Juki Corp., Chofu Nadelfadenhaltevorrichtung einer Näh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0530C (de) * 1949-11-01 1951-11-12 Pfaff Ag G M Knopflochnaehmaschine
JP2000300885A (ja) * 1999-04-22 2000-10-31 Juki Corp ミシンの下糸切り装置
JP4510949B2 (ja) * 1999-05-06 2010-07-28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下糸手繰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4022A (ko) * 1984-09-14 1991-07-31 가부시기가이샤 스즈끼 세이사꾸쇼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JPH0244078U (ko) * 1988-09-21 1990-03-27
DE29811472U1 (de) * 1997-11-12 1998-09-24 Ku, Fei-Lung, Tainan Fadenschneidvorrichtung für eine Nähmaschine für Kettenstichnäharbeiten
JPH11276736A (ja) * 1998-02-24 1999-10-12 Duerkopp Adler Ag ボタン孔かがりミシン
DE20017708U1 (de) * 2000-09-20 2000-12-14 Ku Fei Lung Fadenschneidvorrichtung für eine Nähmaschine
DE102005042420A1 (de) * 2004-09-07 2006-03-30 Juki Corp., Chofu Nadelfadenhaltevorrichtung einer Näh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459A (ko) 2002-10-19
DE10215011A1 (de) 2002-11-21
JP2002306876A (ja) 2002-10-22
CN1381628A (zh) 2002-11-27
CN1277971C (zh) 2006-10-04
JP4799752B2 (ja) 2011-10-26
DE10215011B4 (de)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8842B2 (en)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capable of embroidery sewing
JPH10328462A (ja) 糸切り装置を用いて縫い糸を切断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ミシン
KR100801339B1 (ko) 사뜨기 재봉틀
JP4292507B2 (ja) 自動ニット用前立て縫いミシン
JP4698862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JP4913292B2 (ja) 下糸糸巻き装置付き刺繍ミシン
JP3508371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JP2006102399A (ja) ミシン
JP2006191967A (ja) ボタン付けミシン
KR20020090143A (ko)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
JP4800072B2 (ja)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及びボタン付け方法
JP6099378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JP4722274B2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H088782Y2 (ja) ミシンのボタンホール用糸保持押え
JP3737748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JP4294435B2 (ja) ミシン
JPH0343919B2 (ko)
JP2877030B2 (ja) パターン縫いミシン
JP2877032B2 (ja) パターン縫いミシン
JPH0740381Y2 (ja) 二本針ミシンにおける針糸供給装置
JPS58133289A (ja) 水平カマ形糸切りミシン
JP2000116971A (ja) 単糸環縫いミシンおよび縫目
JPH10192582A (ja) ミシンにおける糸処理方法
JPH04300581A (ja) ミシンの布挟持装置
JPH07155490A (ja) 自動糸切り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