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410B1 -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410B1
KR100799410B1 KR1020060023849A KR20060023849A KR100799410B1 KR 100799410 B1 KR100799410 B1 KR 100799410B1 KR 1020060023849 A KR1020060023849 A KR 1020060023849A KR 20060023849 A KR20060023849 A KR 20060023849A KR 100799410 B1 KR100799410 B1 KR 100799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hysical quantity
power supply
state
stat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247A (ko
Inventor
히데오 오케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102Function is a user written program, separate from res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43Detection of abnormal temperat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44Operating time test for over or under condi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46Current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5Pl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15093For each module a power supp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는 버스 라인에 의해 접속된 I/O 유닛 및 CPU 유닛을 구비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CPU 유닛은 유저 프로그램의 명령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유저 액세스 영역을 갖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 유닛은 그 온도 등의 상기 전원 유닛에 관련된 상태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전송 경로는 상기 CPU 유닛과 상기 전원 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유저 액세스 영역에 상기 상태 데이터를 전송한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Description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PROGRAMMABLE CONTROLLE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전원 유닛의 전기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전체로서 PLC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CPU 유닛의 메모리 맵.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전원 유닛(장치 번호 0 내지 N) 및 CPU 유닛 사이에서 실행된 초기화 공정의 플로우 챠트.
도 7, 도 8, 및 도 9는 다른 PLC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본 동작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1은 전원의 수명(lifetime)을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
도 12A 및 도 12B는 전원을 교체하기 위한 시간에 관한 보고 방법의 실시예.
도 13A 및 도 13B는 전원의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은 제어 기판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의 실시예.
도 14는 전체로서 종래 기술의 PLC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본 발명은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5-072342호(2005년 3월 15일 출원)의 우선권 주장출원이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버스 라인을 통해 CPU 유닛을 하나 이상의 I/O 유닛과 접속함에 의해 형성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으로 구성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PLC)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도 14는 종래기술의 PLC의 구성을 전체로서 도시하는 블럭도로서, 상기 종래기술의 PLC는, 메인 바디 유닛(50a), 제1의 확장 유닛(50b-1), 전원 유닛(1A), CPU 유닛(2), I/O 유닛(3), 전용 기능(SF) 유닛(4), 외부 접속을 위해 메인 바디 유닛에 마련된 버스 커넥터(6), 외부 접속 및 병렬 버스 라인(PB)을 위해 상기 제1의 확장 유닛에 마련된 버스 커넥터(7, 8)를 포함한다. 간단히 말해서, 이러한 PLC 시스템은 커넥터 버스 라인(PB')를 통해 단일한 메인 바디 유닛(50a)과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50b-1 내지 50b-n)을 접속함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 바디 유닛(50a)은 CPU 유닛(2)과 하나 이상의 I/O 유닛(3)과 병렬 버스 라인(PB)을 통해 접속된 전용 기능 유닛(4), 및 PLC 메인 바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1A)을 결합함에 의해 형성되는 PLC 메인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의 확장 유닛(50b-1)은 상기 유닛 어레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병렬 버스 라인(PB) 및 전원 유닛(1A)을 통해 하나 이상의 I/O 유닛(3)과 전용 기능 유닛(4)을 접속함에 의해 형성된 내부 유닛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PLC 시스템은 또한 소위 빌딩 블럭형(building block type)이라고 하는 것으로서, 배면상에 마련된 병렬 버스 라인(PB)을 구비한 구성과 개별적인 유닛들 중의 하나의 유닛에 직접 접속되고 각각 마련된 분할된 병렬 버스 라인(PB)을 갖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즉, CPU 유닛(2), 하나 이상의 I/O 유닛(3) 및 병렬 버스 라인(PB)을 통해 접속된 전용 기능 유닛(4), PLC 메인 바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1A)으로 형성된 PLC 메인 바디로 구성된 타입의 PLC 장치가 종래에 공지되어 있다.
메인 유닛(50a) 또는 제1의 확장 유닛(50b-1)에 포함된 전원 유닛(1A)은 메인 바디 유닛(50a)의 PLC 바디 또는 제1의 확장 유닛(50b-1)의 유닛 어레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만일 전원 공급이 실패하면, 메인 바디 유닛(50a) 및 제1의 확장 유닛(50b-1)은 부적격하게 되고 제어 목적 대상에 대한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타입의 전원 유닛은 전해 커패시터 등의 유효 수명이 제한된 구성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기능 악화에 기인한 불량은 불가피하다.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일본국 특개 2003-243269호 공보는 전원 장치내에 포함된 전해 커패시터의 온도르 측정하고, 측정의 결과에 기초한 장치의 수명을 평가하고, 전원 장치의 외부면에 부착된 7-분할 표시 장치(7-segment display 디바이스)상에 평가 결과를 표시하거나 또는 수명이 지정값 보다 더 작은 경우에 스위칭을 위한 외부 출력 접점을 제공하기 위해, 채택된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PLC 장치는 I/O 유닛(3)과 전용 기능 유닛(4)을 포함하는 PLC 메인 바디와 전원 유닛(1A)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이터 전송 경로를 포함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만일, 수명을 평가하는 기능이 전원 유닛(1A)내에 구현된다면, 전원 유닛(1A)으로부터 획득 가능한 수명 데이터는, 전용 외부 배선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PLC 메인 바디에 의해 활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 유닛(1A)으로부터 획득 가능한 수명 데이터가 CPU 유닛(2)의 메모리 내의 지정 영역에 수취된다면(유저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커맨드 워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다면), 상기 데이터를 유저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 프로그램에 사용함에 의해 여러 의미 있는 응용이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배선 등을 마련함이 없이 PLC 메인 바디의 측상에서 수명 데이터 등의 전원 유닛 내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직접 사용할 수 있는 PLC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효과는 이하의 설명을 참조함에 의해 본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보다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는 버스 라인에 의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I/O 유닛 및 CPU 유닛을 구비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메인 바디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메인 바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CPU 유닛은 유저 프로그램의 명령(커맨드 언어)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유저 액세스 영역을 갖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유닛은 그 자체에 관련된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액세스"라는 용어는 데이터가 기록 및/또는 판독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유저 프로그램"은 유저에 의해 요구되는 제어가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CPU 유닛과 상기 전원 유닛 사이에,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태 데이터를 상기 유저 액세스 영역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경로가 마련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상기 전원 유닛에 마련된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태 데이터는 상기 CPU 유닛에 마련된 메모리의 유저 액세스 영역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유닛 및 상기 CPU 유닛을 특정 배선에 접속하거나 또는 전원 유닛으로부터의 출력이 PCT 메인 바디에 의해 I/O 유닛을 통해 수취되는 상이한 구조를 채택할 필요가 없다.
상기 전원 유닛과 상기 CPU 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데이터 전송 경로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PLC 메인 바디를 형성하는 CPU 유닛 및 I/O 유닛(또는 I/O 유닛들)이 병렬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면, 전용 직렬 버스 라인은 데이터 전송 경로로서 사용될 수 있다. PLC 메인 바디를 형성하는 CPU 유닛 및 I/O 유닛(또는 I/O 유닛들)이 직렬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면, 상기 직렬 버스 라인은 데이터 전송 경로를 형성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PLC 메인 바디를 형성하는 CPU 유닛 및 I/O 유닛(또는 I/O 유닛들)이 병렬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면, 데이터 전송 경로는 직렬-병렬 컨버터를 통해 전용 직렬 버스 라인을 병렬 버스 라인에 접속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PLC 메인 바디를 형성하는 CPU 유닛 및 I/O 유닛(또는 I/O 유닛들) 이 직렬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면, 데이터 전송 경로는 게이트 회로를 통해, 전용 직렬 버스 라인을 직렬 버스 라인에 접속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라인은 버스 라인 접속을 통해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에 접속되고, 상기 유저 액세스 영역은 상기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에 개별적으로 할당된 전용 영역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여, 메인 바디의 전원 유닛으로부터의 데이터 뿐만 아니라 확장 유닛의 전원 유닛으로부터의 데이터 역시 PLC 메인 바디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유저 액세스 영역에 전송된 상태 데이터를 계산 파라미터로 사용함에 의한 지정 계산을 실행하는 전용 명령은 유저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명령으로서 사용가능하고, 또는 상기 유저 프로그램은 유저 액세스 영역에 전송된 상태 데이터를 계산 파라미터로 사용함에 의해 지정 계산의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경우에, 상기 전용 커맨드는 유저 프로그램에서 사용되어 유저가 복작한 프로그램을 구현하지 않고서도. 여러 유용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시스템은, 전원 유닛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이라고 여겨지는 기능들을 미리 준비할 수 있고, 이러한 의도된 유용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유저는 단지 대응하는 전용 커맨드를 유저 프로그램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전원 유닛에 관련된 지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측정된 물리량을 상기 상태 데이터로서 출력하여, 측정된 물리량은 CPU 유닛의 내부 메모리의 유저 액세스 영역속에 직접 기억된다. 따라서, 전원 유닛의 내부 상태는 직접 파악되고 여러 계산 및 판정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전원 유닛에 관련된 지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측정된 물리량에 기초한 지정 상태량과 공지의 상관 관계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태량을 상기 상태 데이터로서 출력하여, PLC 메인 바디는 계산 유닛 그 자체를 구현함이 없이도 전원 유닛의 상태를 직접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전원 유닛에 관련된 지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측정된 물리량에 기초한 지정 상태량과 공지의 상관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측정된 물리량 또는 획득된 상태량을 지정 기준량과 비교함에 의해 상태 판정을 실행하고, 상기 상태 판정의 결과를 상기 상태 데이터로서 출력하여, PLC는 전원 유닛의 상태를 더욱 직접 파악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전원 유닛의 전류 수신측상에서 전압 및/또는 전류 등이 물리량으로서 고려될 수 있어서, PLC 메인 바디상에서 경험한 장애가 전원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상의 전원에 기인하는 것인지 또는 전원 그 자체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인가 용이하게 판정될 수 있다. 상기 지정 물리량이 상기 전원 유닛의 전류 수신측상의 전압 및/또는 전류라면, PLC 메인 바디상에서 경험한 장애가 전원 그 자체의 문제에서 기인하거나 또는 전원 유닛과 PLC 메인 바디 사이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용이하게 판정될 수 있다.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 내측 온도로서 선택될 수 있다. 공기 배출용 팬이 마련된 협소한 제어 기판에 포함된 전원 유닛과 PLC 메인 바디를 갖는 구조의 경우에, 상기와 같은 온도 데이터는 팬을 제어하는데 이용되어 전원 유닛의 수명이 과열 조건에 의해 블량한 영향을 받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상기 전원 유닛의 내부 온도가 기준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어떤 커맨드를 출력하는 전용 커맨드는 유저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명령으로서 사용되어, 전용 커맨드는 유저 프로그램에서 구현될 수 있고 공기 배출 팬의 제어는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의 누적 파워-온 시간(cumulative power-on time)을 포함할 수 있고, 비교 커맨드 등과 같은 유저 커맨드를 통해 기준값과 비교되어, 예를 들면 프로그램 가능한 표시 장치상에 표시를 하거나 또는 알람 버저의 출력에 의해 적절한 대응책이 취해질 수 있다.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 내에 전해 커패시터의 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량은 상기 전원 유닛의 교체를 위한 잔여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의해, 전원 유닛의 교체를 위한 잔여 시간이 PLC 메인 바디측상에서 적절히 파악될 수 있고, 기준값과 비교되면, 예를 들면 프로그램 가능한 표시 장치상에서 표시하거나 또는 알람 버저의 출력에 의해 대응책이 취해질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상태 데이터인 교체용 잔여 시간이 정상 기준 레벨 보다 더 낮게 되는 경우에 일정한 커맨드를 출력하는 전용 커맨드는 유저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명령일 수 있고, 이러한 전용 커맨드는 유저 프로그램에서 사용될 수 있고, 교체 시간은 전원 유닛이 그 유효 수명에 도달하기 전에 신뢰성 있게 파악될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관해 기술된 본 발명의 특징은 하나의 메인 바디 및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을 포함하는 PLC 시스템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은, 하나의 메인 바디와,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과, 상기 메인 바디를 상기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과 접속하는 버스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는, 버스 라인에 의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I/O 유닛 및 CPU 유닛을 구비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메인 바디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메인 바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CPU 유닛은 유저 커맨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별개의 유닛들에 대한 유저 액세스 영역을 갖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유닛은 상기 전원 유닛에 관련된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 유닛 각각은,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확장 I/O 유닛과, 상기 하나 이상의 확장 I/O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 자체에 관련된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추가의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확장 전원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은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 및 추가의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태 데이터를 상기 유저 액세스 영역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CPU 유닛과 상기 전원 유닛의 사이 및 상기 CPU 유닛과 확대 전원 유닛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 바디의 전원 유닛으로부터의 상태 데이터 뿐만 아니라 확장 유닛의 전원 유닛으로부터의 상태 역시 PLC 메인 바디 에 의해 활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원 유닛에 관련된 전체 시스템의 상태는 전체로서 제어될 수 있다. 전원 유닛에 마련된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태 데이터는 전원 유닛을 PLC 메인 바디와 별도로 접속할 필요가 없이 CPU 유닛의 메모리의 유저 액세스 영역에 직접 전송될 수 있어서, 상기와 같은 상태 데이터는 유저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 프로그렘에서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이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전원 유닛(1)의 전기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유닛(1)은 외부로부터의 상용 AC 전원(AC 100V 및 AC 200V 등)으로부터의 전원을 수신하는 전원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PLC 메인 바디에 대해 내부 출력 전원선(PWR)에 내부에서 생성된 안정화된 DC 전원을 전송하는 전송 단자로서 기능하는 단자 테이블(terminal table)(101)을 포함한다. 도면 번호 103은 상기 전원 유닛(1)의 장치 번호(N)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번호 설정 스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딥 스위치(dip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번호 104는 단자 테이블(101)로부터 획득된 AC를 정류하고 그 후에 상기 DC를 지정 주파수를 갖는 AC로 변환하도록 스위칭하는 기능을 갖는 입력 회로를 나타낸다. 즉, 상기는 AC-DC 및 DC-AC 양쪽 모두의 전환 기능을 갖는 회로이다.
도면 번호 105는 변환된 전압을 출력 회로(106)에 공급하기 위해 입력 회로(104)로부터 획득된 AC 전압을 변환하는 트랜스포머를 나타낸다. 상기 출력 회로 (106)는 트랜스포머(105)로부터 획득된 AC를 정류 및 안정화함에 의해 안정화된 DC 전원을 획득하고, 상기 안정화된 전원을, 전원 전송 단자로서 기능하는 커넥터(102)로부터 PLC 메인 바디까지의 전원 경로가 되는 내부 출력 전원 라인(PER)에, 출력한다. 따라서, 전원 유닛(1) 내의 전원 회로는 입력 회로(104), 트랜스포머(105), 및 출력 회로(106)를 포함한다.
전원 유닛(1)의 내부는, 전원 유닛(1)의 전류 수신측상의 전류 및/또는 전원을 검출하는 제1의 전압-전류 검출기(107)와, 전원 유닛(1) 내측 온도 (또는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전원 회로내에 구현된 전해 커패시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기(108), 및 전원 유닛(1)의 전류 전송측상의 전류 및/또는 전압을 검출하는 제2의 전압-전류 검출기(109) 등의 그 자체에 관련된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검출기("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검출기(107, 108, 109)에 의해 검출된 물리량의 값은 물리량의 검출된 값에 기초하여 전원 유닛(1)의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10)(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으로 기능함)에서 판독된다.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10)에 의해 실행된 프로세스는 제1의 상태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 제2의 상태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 및 제3의 상태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로서, 이후에 참조되는 것들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의 상태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는 상태 데이터로서 이러한 전원 유닛 그 자체에 관한 지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검출기(107, 108, 109))에 의해 측정된 물리량을 생성 및 측정하는 프로세스이다. 제2의 상태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는 전원 유닛에 관한 지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물리양에 기초한 지정 상태량과 공지의 상관 관계를 획득하고, 상태 데이터로서 획득된 상태량을 출력하기 위한 계산을 포함한다. 제3의 상태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는 전원 유닛에 관한 지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물리량에 기초한 지정 상태량과 공지의 상관 관계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태량을 지정 기준량과 비교함에 의해 상태 판정을 실행하고, 상기 상태 판정의 결과를 상기 상태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계산을 포함한다.
상태 판정에 필요한 상기 "지정 기준량"은 비휘발성 내부 메모리(111)에 미리 저장된다. 이러한 내부 메모리(111)로의 기록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CPU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알람 출력 설정값이 내부에 기록되는 마이크로컴퓨터(110)에 의해 수신되어 달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치 번호(N)는 전원 유닛(1)에 설정될 수 있다. 장치 번호의 설정은 장치 번호 설정 스위치(SW)(103)로부터 획득된 설정 데이터를 기억함에 의해 달성되고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110)를 통해 비휘발성 내부 메모리에서 CPU 통신을 위한 시리얼 버스(SB)로부터 수신된다.
전원 유닛(1)은 커넥터(102)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내부 출력 전원선(PWR), 및 데이터 통신용 시리얼 버스(SB)까지 뿐만 아니라, 장치 번호를 수신하는 신호선(NL)까지 접속 가능하다.
도 2는 전체로서 PLC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상기 도면은 단 일한 메인 바디 장치(10a) 및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100b-1, 100b-2, ...)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예시로서 도시된다. 메인 바디 장치(10a)는 하나의 CPU 유닛(2), 하나 이상의 I/O 유닛(3), 전용 기능(SF) 유닛(4), 및 PLC 메인 바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1)으로 구성된 PLC 메인 바디를 포함한다. 도면 번호 103은 딥 스위치(dip switch)를 포함하는 장치 번호 설정 스위치(SW)를 나타낸다. PLC 시스템이 버스선이 마련된 배면상에 함께 접속된 확장 유닛 및 메인 바디 장치를 갖는 형태라면, 장치 번호 설정 스위치(103)는 상기 배면상의 지정 위치에 배치된 점퍼 핀(jumper pin) 등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PLC 메인 바디를 형성하는 CPU 유닛(2), I/O 유닛(3), 및 전용 기능 유닛(4)은 병렬 버스 라인(PB)을 통해 공통으로 함께 접속된다. 상기 예에서, 메인 바디 장치(10a)의 전원 유닛(1)의 장치 번호는 0으로 설정된다.
각각의 확장 유닛(10b-1, 10b-2, ...)은 하나 이상의 I/O 유닛(3), 전용 기능 유닛(4), 및 메인 바디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1)으로 구성된 메인 바디 부품을 포함한다. 편의상, 도면 번호 103은, 장치 번호 설정 스위치를 나타낸다. 메인 바디 부품을 형성하는 I/O 유닛(3)과 전용 기능 유닛(4)은 병렬 버스 라인(PB)을 통해 공통으로 함께 접속된다. 이 예에 있어서, 제1의 확장 유닛(10b-1)의 전원 유닛(1)의 장치 번호는 1로 설정되고 제2의 확장 유닛(10b-2)의 전원 유닛(1)의 장치 번호는 2로 설정된다.
메인 바디 장치(10a) 및 확장 유닛(10b-1, 10b-2)은 직렬 버스 라인(SB) 및 장치 번호 라인(NL)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라 각각 제공된다. 메인 바디 장치(10a) 및 확장 유닛(10b-1, 10b-2) 각각의 세개의 라인(PB, SB, NL)은 라인(PB', SB', NL')의 순서대로의 접속을 통해 접속된다. 따라서, 메인바디 장치의 CPU 유닛(2), 메인 바디 장치의 전원 유닛(1) 및 각각의 확장 유닛의 전원 유닛(1)은 직렬 버스 라인(SB)의 시스템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메인 바디 장치의 전원 유닛(1) 및 각각의 확장 유닛의 전원 유닛(1)은 장치 번호 라인(NL)상에서 공통으로 함께 접속된다. 도면 번호 5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번호가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접속된 유닛들에 대해 할당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접속된 각각의 유닛의 어드레스에 1을 가산하는 가산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접속에 의해, 데이터 전송 경로는 CPU 유닛(2)과 메인 바디 장치(10a)의 전원 유닛(1)의 사이, 및 메인 바디 장치(10a)의 CPU 유닛(2)과 각각의 확장 유닛(10b-1, 10b-2)의 전원 유닛(1) 사이에 제공되어, 확장 유닛의 전원 유닛에 마련된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태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전원 유닛(1)에 마련된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형성됨)에 의해 생성된 모든 상태 데이터를, 메인 바디 장치(10a)의 CPU 유닛(2)의 메모리의 유저 액세스 영역에 대해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도 2의 도면 번호 6, 7, 8, 9, 및 10 각각은 외부 접속용 쌍방향 버스 커넥터를 나타낸다.
CPU 유닛(2)의 내부 구성은 간단하게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CPU 유닛(2)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ASIC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성분이 적절이 동작하여 공통 프로세스, 입출력 프로세스, 커맨드 실행 프로세스, 및 시스템 서비스 프로세스를 주기적으로 실행함에 의해 PLC의 기능을 실행하게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 실행의 상세는 본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프로세스의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될 것이다.
도 3은 CPU 유닛의 메모리 맵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CPU 유닛의 내부 메모리는 시스템 메모리 영역(A1), 작업 메모리 영역(A2), 유저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A3), 시스템 설정 영역(A4), I/O 데이터 영역(A5), 및 전원 상태 영역(A6)을 포함한다. 상기 영역 중에서, I/O 데이터 영역(A5) 및 전원 상태 영역(A6)은 유저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명령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유저 액세스 영역으로 간주된다.
전원 상태 영역(A6)은 메인 바디 장치 영역과 각각의 확장 장치 영역으로 분할된다. 도 3에 전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 장치 영역은 잔여 시간 데이터 영역(A600), 누적 파워-온 시간 데이터 영역(A601), 출력 전류 데이터 영역(A602), 출력 전압 데이터 영역(A603), 내부 온도 데이터 영역(A604), 잔여 시간 알람 출력 설정 영역(A605), 파워-온 시간 알람 출력 설정 영역(A606), 출력 전류 알람 출력 설정 영역(A607), 출력 전압 알람 출력 설정 영역(A608), 및 내부 온도 알람 출력 설정 영역(A609)을 포함한다. 영역(A600 내지 A604)은 데이터가 유저 프로그램의 명령에 의해서 판독만 될 수 있는 판독 전용 영역으로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원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를 기억한다. 영역(A605 내지 A609)은 데이터가 유저 프로그램의 명령에 의해 기록될 수 있는 판독-기록 영역으로서, 통신에 의해 전원 유닛에 대해 설정될 설정치를 기억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판독 전용 및 판독-기록 영역은 유사한 데이터가 기억되는 확장 유닛 의 각각에 또한 마련된다. 도 3의 메모리 맵의 판독-기록 영역에 기록된 알람 출력 설정 데이터는 전원 유닛(1)의 상기 내부 메모리(111)에 기억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CPU 유닛과 전원 유닛(장치 번호 0 내지 N) 각각 사이에서 실행되는 초기화 프로세스의 플로우 챠트이다. 상기 초기화 프로세스는 전원이 도 4에서 온으로 전환됨에 따라 시작된다. 이 예시에서, 장치 번호는 메인 바디 장치의 전원에 대해서는 0이고, 제1의 확장 유닛의 전원 유닛과 제2의 확장 유닛의 전원 각각에 대해서는 1 및 2이다. 디바이스(0, 2)는 본 발명의 통신 프로세스를 지원하고, 디바이스(1)은 통신 프로세스를 지원하지 않는 종래의 방식이라고 가정할 것이다.
CPU 유닛이 초기화 프로세스(스텝 101)를 시작함에 따라, 디바이스(1)을 제외한 각각의 전원 유닛은 장치 번호 설정 스위치(103) 또는 장치 번호 라인(NL)으로부터 획득된 장치 번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자신의 장치 번호를 체크한다(스텝 201, 스텝 401). 그에 따라, 각각의 전원 유닛은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상태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에 대응함)를 반복하고, 상기 모니터링 프로세스의 결과를 비휘발성 내부 메모리(111)에 기억한다(스텝 202, 스텝 402).
그 동안에, CPU 유닛은 적절한 타이밍에 디바이스(0)에 대해 요구 커맨드를 전송하고(스텝 102), 응답을 위해 그 이후에 대기 기간을 입력한다(스텝 103). 이러한 요구 커맨드가 수신됨에 따라, 디바이스(0)는 커맨드를 판독하고(스텝 203), 응답을 CPU 유닛에 다시 전송하고(스텝 204), 그 후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메모리(111)에 상기 상태를 기억하는 프로세스를 시작한다(스텝 205). CPU 유닛은 디 바이스(0)으로부터의 응답을 체크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메모리의 대응 영역에 기억한다(스텝 104).
그 후 CPU 유닛에 의해 어드레스를 디바이스(1), 디바이스(2), 디바이스(3), ..., 디바이스(N)으로 순차 변경함에 의해, 유사한 프로세스가 반복된다(스텝 105, 113). 디바이스(1)을 제외한 각각의 전원 유닛은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상태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억하는 프로세스를 연속적으로 반복한다(스텝 402).
모든 장치 번호에 대한 요구 커맨드의 전송이 완료됨에 따라, CPU 유닛은 통신한 전원 유닛이 디바이스(0, 2)라는 것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은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등록된다(스텝 114). 그 이후, 요구 커맨드는 상기 전원 유닛에만 전송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유닛(장치 번호 0 내지 N)의 각각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정규의 프로세스의 플로우 챠트이다.
정규의 프로세스가 시작됨에 따라, CPU 유닛은 공통 프로세스, 입출력 업 데이트 프로세스, 커맨드 실행 프로세스, 시스템 서비스 프로세스 등의 기본적인 프로세스를 실행하고(스텝 501), 그 동안에 상태 데이터용 디바이스(0)에 대해 요구 커맨드를 전송한다(스텝 502).
디바이스(0)에 있어서, 디바이스(0)는 CPU 유닛으로부터 그 자신에 대해 번지가 지정된 커맨드의 도달을 대기하고,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태 데이터를 비휘발 메모리에 기억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스텝 601). 그 자신에 대해 번지가 지정된 커맨드가 CPU 유닛으로부터 수신됨에 따라(스텝 602), 커맨드에 의해 요 구된 데이터는 내부 메모리(111)로부터 판독되고 전송 데이터가 준비되어 CPU 유닛에 대해 응답으로서 전송된다(스텝 603).
이러한 응답이 수신됨에 따라, CPU 유닛은 상기 응답을 인식하고(스텝 503), 상기 응답이 도 3에 도시된 메모리 맵의 영역(A600 내지 A604)에 대응하는 CPU 내부 데이터 영역에 반영되도록 한다(스텝 504).
다음에, CPU 유닛은 도 3에 도시된 메모리 맵의 영역(A605 내지 A609)에 대응하는 CPU 내부 데이터 설정 영역의 변경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505). 상기는 유저가 어떤 설정치를 변경했는지를 체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CPU 내부 데이터 설정 영역의 변경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면(스텝 505의 YES), 데이터 설정 커맨드는 디바이스(0)에 전송된다(스텝 506). 그 자신에 대해 번지가 지정된 이러한 커맨드가 수신됨에 따라(스텝 604), CPU로부터의 참조된 데이터는 그 자신의 내부 메모리(111)에 기록되고(스텝 605), 이러한 작용에 대한 응답은 CPU에 전송된다(스텝 606).
이러한 응답이 수신됨에 따라, CPU는 상기 응답을 인식하고(스텝 507), 그 후 디바이스(2)에 액세스함에 의해 유사한 프로세스를 반복하여(스텝 508), 다음의 동작 사이클로 진행한다(스텝 509).
도 4, 5, 및 6에 도시된 초기화 및 정규의 프로세스에 의해 디바이스(0, 2)에 의해 생성된 상태 데이터(본 실시예에서, 잔류 시간 데이터, 누적 파워-온 시간 데이터, 출력 전류 데이터, 출력 전압 데이터, 및 내부 온도 데이터 등)는 도 3의 메모리 맵에 도시된 바와 같은 CPU내의 메모리의 전원 상태 영역(A6)에 전송 및 기 억된다. 상기 상태 데이터는 그 후 유저 커맨드를 통해 참조되어 PLC 메인 바디에 의한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설정치가 영역(A605 내지 A609)에서 변경되면, 신규의 설정치가 CPU 유닛으로부터 각각의 전원 유닛에 전송되고 도 3의 메모리 맵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전원 유닛의 내부 메모리(111)에 유사하게 기억된다. 각각의 전원 유닛은 상태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의 어떠한(제1, 제2, 또는 제3의)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고, 측정, 상태 데이터 생성 및 판정 프로세스의 결과는 CPU 유닛에 적절히 전송되어, 그들이 유저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기 위해 전원 상태 영역(A6)의 I/O 데이터 영역(A5)의 적합한 부분에 기억되도록 한다.
도 2에 있어서, 직렬 버스 라인(SB) 및 장치 번호 라인(NL)은 전원 유닛에 마련된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태 데이터를, CPU 유닛의 메모리의 액세스 영역에 대해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경로로서 도시되고, 상기 구성은 단지 예시라는 것을 말할 필요가 없다.
도 7은 다른 PLC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유사 또는 등가의 구성 성분에는 동일한 번호가 부여되며 반복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예에서, PLC 메인 바디를 형성하는 CPU 유닛(2) 및 I/O 유닛(3)은 직렬 버스 라인(SB)에 의해 접속된다. 이러한 예시와 같은 상황에서, 전원 유닛(1)과 CPU 유닛(2) 사이의 데이터 전송 경로는 직렬 버스 라인(SB)을 연장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PLC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유사 또는 등가 의 구성 성분에는 동일한 번호가 부여되며 반복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예에서, PLC 메인 바디를 형성하는 CPU 유닛(2) 및 I/O 유닛(3)은 병렬 버스 라인(PB)에 의해 접속된다. 이러한 예시와 같은 상황에서, 전원 유닛(1)과 CPU 유닛(2) 사이의 데이터 전송 경로는 직-병렬 컨버터(SP CON)(11)을 통해 병렬 버스 라인(PB)까지 전용 직렬 버스 라인(SB)을 접속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버스에 의해 제어 가능한 인에이블 레지스터가 상기 직-병렬 컨버터(11)에 장착되면, CPU 유닛이 액세스하기 원하는 확장 유닛의 전원 유닛만을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장치 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 및 제어 신호는 불필요하게 된다. 전원 유닛 전용의 버스도 필요 없게 된다.
도 9는 또 다른 PLC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유사 또는 등가의 구성 성분에는 동일한 번호가 부여되며 반복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예에서, PLC 메인 바디를 형성하는 CPU 유닛(2) 및 I/O 유닛(3)은 직렬 버스 라인(SB)에 의해 접속된다. 이러한 예시와 같은 상황에서, 전원 유닛(1)과 CPU 유닛(2) 사이의 데이터 전송 경로는 게이트 회로(12)를 통해 직렬 버스 라인(SB)까지 전용의 직렬 버스 라인(SB-1)을 접속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회로(12)는 전용 버스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또한 여분의 스위치 및 버스가 없어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동작의 개념을 설명하는데 이하에서 참조될 것이다. 유사 또는 등가의 구성 성분에는 동일한 번호가 부여되며 반복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면 번호 1a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나타내고, 도면 번호 1b 는 전원 내부 회로를 나타내고, 도면 번호 2a는 CPU 유닛용 마이크로 컴퓨터를 나타내고 도면 번호 2b는 내부 메모리를 나타낸다.
도 10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내부 회로(1b)의 내부 상태는 전원 유닛(1)의 마이크로 컴퓨터(1a)에 의해 끊임없이 모니터링된다. 수명 데이터는 전원 유닛(1)과 CPU 유닛(2) 사이에서 교환된다. 수명 데이터가 CPU 유닛(2)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수명 데이터는 내부 메모리(2b)에 기억된다. 즉, 전원 유닛의 내부 상태는 CPU 유닛(2)의 내부 메모리(2b)에 항상 반영된다. 따라서, 내부 메모리(2b)가 유저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참조됨에 따라 다양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도 11은 전원의 수명에 대한 보고 방법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변 번호 10은 PLC를 나타내고, 도면 번호 20은 모니터를 나타내고, 도면 번호 201은 표시 장치를 나타내고, 도면 번호 202는 버저(buzzer)를 나타내고 도면 번호 203은 램프(lamp)를 나타낸다.
상기 예에 있어서, 도 10의 내부 메모리(2b)의 상태는 유저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참조되어 다양한 형태로 전원의 수명에 대해 보고한다. PLC(10)는 원격 위치에서 이서넷 라인(Ethernet line)을 통해 모니터(20)와 접속 가능하다. CPU 유닛의 내부 메모리(2b)의 상태에 기초하여, 전원의 수명이 지정된 기준값 보다 더 짧다는 것이 판정되고 이러한 결과에 대한 보고가 모니터(20)에 대해 이루어지면, 비록, 조작자에게 표시 장치(201)상에 상기 보고를 표시하고 버저(202)를 울리고 및/또는 램프(203)를 스위칭함에 의해 상기 상태가 알려진다는 것 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모니터(2)에 대한 보고를 하기 위해, 유저는 PLC(10)의 위치에 있을 필요가 없다.
도 12는 전원을 대체하는 시간에 대한 보고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 의하면, 메인 바디 장치상의 전원이 1년 이하 남아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OUTPUT1(303)"을 온으로 스위칭하기 위해, 전용 커맨드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 이러한 전용 커맨드(301)가 사용되면, 교체를 위한 시간을 보고하는 기능은 MOV 또는 COMP 커맨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유저 프로그램의 명령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만일, 전원 유닛(305), CPU 유닛(304), 및 I/O 유닛(306)과의 접속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알람 램프(308)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OUTPUT1"에 대응하는 I/O 유닛(306)의 신호 출력 단자에 접속되면, 알람 램프(308)는 대체를 위한 잔여 시간이 1년 이하인 경우에 온으로 스위칭 될 수 있다.
도 13은 전원의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제어 기판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의 한 예를 도시한다. 상기 예에서도, 전용 커맨드(401)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 상기 전용 커맨드(401)는, 메인 바디 장치상의 전원 유닛의 온도가 항상 50℃ 이하가 되도록, "OUTPUT1(403)을 온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전용 커맨드(401)를 사용함에 의해, 유저는 전원 유닛의 수명이 과열에 의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유닛(406), CPU 유닛(405), 및 I/O 유닛(407)이 밀봉된 제어 기판(404) 내측에 포함되는 상태를 고려해보자. 상기 제어 기판(404)에는 공기 방출을 위한 외부팬(F08)이 마련되고 그 모터는 I/O 유닛의 OUTPUT1(403)에 대응하는 신호 출력 단자를 통해 구동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구조에 있어서, 외부팬(408)은 전워 유닛의 내부 온도 데이터가 50℃ 이상을 초과하는 동안에만 MOV 또는 COMP 커맨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어 기판(404)의 내부를 강제로 냉각하도록 동작이 가능하고, 과열에 기인한 전원 유닛(406)의 수명 단축이 방지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전원 유닛용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태 데이터를 CPU 유닛의 메모리의 유저 액세스 영역에 대해 전송하는 특징을 갖고, 상기 상태 데이터는 유저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유용한 기능이 CPU 유닛과 전원 유닛을 접속하는 왜부 배선을 사용함이 없이 전원 유닛의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원 유닛용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태 데이터를 CPU 유닛의 메모리의 유저 액세스 영역에 대해 전송하는 특징을 갖고, 상기 상태 데이터는 유저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유용한 기능이 CPU 유닛과 전원 유닛을 접속하는 왜부 배선을 사용함이 없이 전원 유닛의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Claims (40)

  1.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있어서,
    버스 라인에 의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I/O 유닛 및 CPU 유닛을 구비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메인 바디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메인 바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CPU 유닛은 상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유저 프로그램의 명령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유저 액세스 영역을 갖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유닛은 상기 전원 유닛에 관련된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태 데이터를 상기 유저 액세스 영역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경로는 상기 CPU 유닛과 상기 전원 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U 유닛 및 상기 하나 이상의 I/O 유닛은 병렬 버스 라인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는 전용 직렬 버스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U 유닛 및 상기 하나 이상의 I/O 유닛은 직렬 버스 라인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는 상기 직렬 버스 라인을 연장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U 유닛 및 상기 하나 이상의 I/O 유닛은 병렬 버스 라인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는 전용 직렬 버스 라인을 직렬-병렬 컨버터를 통해 상기 병렬 버스 라인에 접속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U 유닛 및 상기 하나 이상의 I/O 유닛은 직렬 버스 라인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는 전용 직렬 버스 라인을 게이트 회로를 통해 상기 직렬 버스 라인에 접속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라인은 버스 라인 접속에 의해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에 접속되고,
    상기 유저 액세스 영역은 상기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에 개별적으로 할당된 전용 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프로그램은 유저 액세스 영역에 전송된 상태 데이터를 계산 파라미터로 사용함에 의해 지정 계산의 수행용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전원 유닛에 관련된 지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측정된 물리량을 상기 상태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의 전류 수신측상에서 전압과 전류로 구성된 군(group)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전원 유닛에 관련된 지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측정된 물리량을 상기 상태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의 전류 수신측상에서 전압과 전류로 구성된 군(group)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전원 유닛에 관련된 지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측정된 물리량에 기초한 지정 상태량과 공지의 상관 관계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태량을 상기 상태 데이터로서 출력하게 하고,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의 전류 전송측상에 전압과 전류로 구성된 군(group)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전원 유닛에 관련된 지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측정된 물리량에 기초한 지정 상태량과 공지의 상관 관계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태량을 상기 상태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의 전류 전송측상에 전압과 전류로 구성된 군(group)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전원 유닛에 관련된 지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측정된 물리량에 기초한 지정 상태량과 공지의 상관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측정된 물리량 또는 획득된 상태량을 지정 기준량과 비교함에 의해 상태 판정을 실행하고, 상기 상태 판정의 결과를 상기 상태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 내측 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전원 유닛에 관련된 지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측정된 물리량에 기초한 지정 상태량과 공지의 상관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측정된 물리량 또는 획득된 상태량을 지정 기준량과 비교함에 의해 상태 판정을 실행하고, 상기 상태 판정의 결과를 상기 상태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 내측 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프로그램은 상기 유저 액세스 영역에 전송된 상기 지정 물리량인 상기 전원 유닛 내측 온도가 지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전용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프로그램은 상기 유저 액세스 영역에 전송된 상기 지정 물리량인 상기 전원 유닛 내측 온도가 지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전용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전원 유닛에 관련된 지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측정된 물리량을 상기 상태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의 누적 파워-온 시간(cumulative power-on tim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2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전원 유닛에 관련된 지정 물리량을 측정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측정된 물리량을 상기 상태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의 누적 파워-온 시간(cumulative power-on tim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 내에 전해 커패시터의 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량은 상기 전원 유닛의 교체를 위한 잔여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 내에 전해 커패시터의 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량은 상기 전원 유닛의 교체를 위한 잔여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 내에 전해 커패시터의 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량은 상기 전원 유닛의 교체를 위한 잔여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물리량은 상기 전원 유닛 내에 전해 커패시터의 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량은 상기 전원 유닛의 교체를 위한 잔여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2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량은 상기 전원 유닛의 교체를 위한 잔여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유저 프로그램은 상기 유저 액세스 영역에 전송된 상기 지정 물리량인 상기 전원 유닛의 교체를 위한 잔여시간이 지정 기준값보다 더 낮은 경우에 전용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2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량은 상기 전원 유닛의 교체를 위한 잔여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유저 프로그램은 상기 유저 액세스 영역에 전송된 상기 지정 물리량인 상기 전원 유닛의 교체를 위한 잔여시간이 지정 기준값보다 더 낮은 경우에 전용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060023849A 2005-03-15 2006-03-15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KR100799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72342 2005-03-15
JP2005072342 2005-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247A KR20060100247A (ko) 2006-09-20
KR100799410B1 true KR100799410B1 (ko) 2008-01-30

Family

ID=3657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849A KR100799410B1 (ko) 2005-03-15 2006-03-15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56278B2 (ko)
EP (1) EP1703347B1 (ko)
KR (1) KR100799410B1 (ko)
CN (1) CN100442202C (ko)
TW (1) TWI2981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12923B (zh) * 2007-07-06 2013-10-21 Hon Hai Prec Ind Co Ltd 電源測試系統
JP4507125B2 (ja) * 2007-09-10 2010-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5446239B2 (ja) * 2008-12-16 2014-03-19 ソニー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
TWI451215B (zh) * 2009-04-03 2014-09-01 Foxnum Technology Co Ltd 可編程控制器的參數設定系統及方法
KR101442934B1 (ko) 2009-12-17 2014-09-2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초기화 방법
US8511397B2 (en) * 2010-01-12 2013-08-20 Kidde Technologies, Inc. Highly integrated data bus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JP5473817B2 (ja) * 2010-07-23 2014-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およびバス変換器
WO2012059983A1 (ja) * 2010-11-02 2012-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TWI459774B (zh) 2011-04-29 2014-11-01 Ind Tech Res Inst 非同步主從式串列通訊系統及應用其之資料傳輸方法與控制模組
JP5079168B1 (ja) * 2011-12-27 2012-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WO2013168280A1 (ja) * 2012-05-11 2013-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DE102013105097A1 (de) * 2013-05-17 2014-11-2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teuer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Umschalten von Ein-/Ausgabeeinheiten einer Steuerungseinrichtung
CN103345211B (zh) * 2013-06-07 2016-11-16 广东菲柯特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家居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4422806B (zh) * 2013-08-21 2018-08-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侦测电路
JP6211860B2 (ja) * 2013-09-13 2017-10-11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電源ユニット、電子装置、および、方法
JP6393513B2 (ja) * 2014-04-30 2018-09-19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及び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
KR20170078787A (ko) * 2014-12-03 2017-07-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CN105204423B (zh) * 2015-09-25 2018-04-20 深圳市合信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plc扩展总线的终端电阻自动匹配系统及方法
KR102004115B1 (ko) * 2017-07-18 2019-07-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유닛의 수명 산출 방법 및 시한 수명 부품 탑재 유닛
US11609845B2 (en) * 2019-05-28 2023-03-2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Configurable memory device connected to a microprocesso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2802A (ja) * 1990-06-15 1992-02-20 Sharp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0736503A (ja) * 1993-06-25 1995-0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085693A (ja) * 1994-06-17 1996-01-12 Nippon Steel Corp 電源監視装置
KR960038532A (ko) * 1995-04-14 1996-11-21 이종수 피엘씨(plc)의 전원안정화장치
KR19980087752A (ko) * 1998-09-15 1998-12-05 임희길 무정전 전원장치 자율관리 씨피유보드 및 관리프로그램(소프트웨어)
KR20000008581A (ko) * 1998-07-14 2000-02-07 윤종용 전원 관리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JP2003243269A (ja) 2002-02-21 2003-08-29 Omron Corp 残存寿命予測報知方法、温度検出構造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4889A (en) * 1975-12-24 1978-11-07 Computer Automation, Inc. Distributed input/output controller system
US4251883A (en) * 1979-04-16 1981-02-17 Allen-Bradley Company Fault detection apparatus for a programmable controller
GB2104685B (en) * 1981-08-24 1985-12-18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Programmable controller
US4688172A (en) 1984-11-13 1987-08-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itialization apparatus for a data processing system with a plurality of input/output and storage controller connected to a common bus
US5327435A (en) * 1992-11-13 1994-07-05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Method for testing a processor module in a computer system
JP3341061B2 (ja) 1993-05-26 2002-11-05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5754798A (en) * 1994-02-18 1998-05-19 Kabushiki Kaisha Toshiba Computer system with function for controlling system configuration and power supply status data
JPH07234707A (ja) 1994-02-24 1995-09-05 Fuji Electric Co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アドレス管理方法
JPH07281719A (ja) 1994-04-13 1995-10-27 Toshiba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及びその拡張ユニット
US5809311A (en) * 1994-07-14 1998-09-15 Dell U.S.A.,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entralized backup power in a computer system
JPH0830339A (ja) * 1994-07-15 1996-02-02 Hitachi Ltd 電圧変動補償機能付電力供給装置
US5659705A (en) * 1994-12-29 1997-08-19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Serial access memory cartridge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JPH09204209A (ja) 1996-01-26 1997-08-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5896534A (en) * 1996-01-26 1999-04-20 Dell Usa, L.P. Operating system independ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input/output devices unsupported by executing programs
TW424196B (en) 1997-04-08 2001-03-01 Primax Electronics Ltd Computer system with programmable peripheral control device
JP3340358B2 (ja) 1997-09-08 2002-11-05 株式会社東芝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3493441B2 (ja) 1998-01-26 2004-02-03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におけるcpu装置およびi/o増設装置
JP3133031B2 (ja) * 1998-09-01 2001-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0203134A (ja) 1999-01-11 2000-07-25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遠隔診断システム
JP2000222025A (ja) 1999-01-29 2000-08-11 Toyo Glass Kikai Kk 機械制御盤及び電力変換器の自己診断装置
DE29915862U1 (de) * 1999-09-09 2001-01-25 Moeller Gmbh Speicherprogrammierbares Steuerungssystem
US6421215B1 (en) * 1999-10-08 2002-07-16 Sun Microsystems, Inc. Power overload protection for a system unit
US6539486B1 (en) * 1999-10-08 2003-03-25 Sun Microsystems, Inc. Processing and alarm circuitries each having different power supply unit(s) requirement and powering the respective device when the corresponding requirements is met
JP4338354B2 (ja) 2001-05-21 2009-10-07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レーブ
JP3466172B2 (ja) 2001-07-06 2003-11-10 株式会社フジクラ 電源管理ユニット
JP2003032906A (ja) * 2001-07-11 2003-01-31 Osaka Gas Co Ltd 電源装置
JP4157317B2 (ja) 2002-04-10 2008-10-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状態検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各種装置
CN2587000Y (zh) * 2002-12-03 2003-11-19 北京安控科技发展有限公司 远程终端单元主控电路
JP4214467B2 (ja) 2003-06-03 2009-01-28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周波数変換装置
JP2005032039A (ja) * 2003-07-07 2005-02-03 Sony Corp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電源管理制御方法、並びに電源装置
US7185212B2 (en) * 2003-07-21 2007-02-27 Silicon Integrated Systems Corp. Method for PCI express power management using a PCI PM mechanism in a computer system
JP3711559B2 (ja) * 2003-08-08 2005-11-02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2802A (ja) * 1990-06-15 1992-02-20 Sharp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0736503A (ja) * 1993-06-25 1995-0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085693A (ja) * 1994-06-17 1996-01-12 Nippon Steel Corp 電源監視装置
KR960038532A (ko) * 1995-04-14 1996-11-21 이종수 피엘씨(plc)의 전원안정화장치
KR20000008581A (ko) * 1998-07-14 2000-02-07 윤종용 전원 관리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KR19980087752A (ko) * 1998-09-15 1998-12-05 임희길 무정전 전원장치 자율관리 씨피유보드 및 관리프로그램(소프트웨어)
JP2003243269A (ja) 2002-02-21 2003-08-29 Omron Corp 残存寿命予測報知方法、温度検出構造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03347B1 (en) 2018-10-17
TW200639603A (en) 2006-11-16
US7856278B2 (en) 2010-12-21
EP1703347A2 (en) 2006-09-20
CN100442202C (zh) 2008-12-10
TWI298119B (en) 2008-06-21
KR20060100247A (ko) 2006-09-20
US20060236013A1 (en) 2006-10-19
CN1834834A (zh) 2006-09-20
EP1703347A3 (en)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410B1 (ko)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EP1811350B1 (en) Slave unit, node unit, controllers and network system
US7774073B2 (en) Modular programmable automation controller with multi-processor architecture
JP4129648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装置
CN101901178A (zh) 电脑系统开关机测试装置及方法
RU2431858C2 (ru) Способ тест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нного блока
CN105571690A (zh) 数字称重传感器及传感器网络
JP6138376B2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の中央演算処理ユニット
US6937962B2 (en) Predictive diagnostic system in a programmable automaton
JP2003015746A (ja) ヒータ制御方式
JP6119224B2 (ja) 診断装置、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診断方法。
JP2024513371A (ja) 電池管理装置および方法
JP4171260B2 (ja) マルチドロップ配線故障検知方法およびマルチドロップ配線システム
EP2624085A1 (en) Programmable control system
US7173543B2 (en) Measuring transducer
JP2004239871A (ja) 多点環境監視装置
KR20100107947A (ko) 반도체 제조설비용 히터 제어장치 및 방법
JP5560216B2 (ja) 監視システム
US20230369659A1 (en) Configuration of battery management device for temperature measurement of micro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304344B2 (en) Scalable universal sensor data acquisition with predictable timing
US2024016171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fault detection for input/output modules of industrial systems
KR100912444B1 (ko) PMBus 모드 및 PSMI 모드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한시스템 관리장치 및 그 방법
WO20161831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iagnostics and monitoring a dc subsystem
JP4923790B2 (ja) 静電容量方式を用いたスイッチの制御装置
KR101476128B1 (ko) 산업용 분산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슬레이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