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083B1 - 프린터 장치 및 정착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 장치 및 정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083B1
KR100792083B1 KR1020010082525A KR20010082525A KR100792083B1 KR 100792083 B1 KR100792083 B1 KR 100792083B1 KR 1020010082525 A KR1020010082525 A KR 1020010082525A KR 20010082525 A KR20010082525 A KR 20010082525A KR 100792083 B1 KR100792083 B1 KR 100792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eating roller
rotating belt
fix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872A (ko
Inventor
사메이마사히로
마츠오가즈노리
노구치도모유키
하라유키노리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90091A external-priority patent/JP4832637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51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03G15/2057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relating to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heat element and layer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Structural details or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sure elements and layer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03G2215/2025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rotating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 G03G2215/2032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rotating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the belt further entrained around additional rotating belt support memb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48Surface layer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프린터 장치는, 토너를 피기록재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에 있어서, 자성 금속을 포함하는 가열 롤러와, 상기 가열 롤러와 그 축이 평행하게 배치된 정착 롤러와, 상기 가열 롤러와 상기 정착 롤러에 걸쳐지고, 자성 금속을 포함하는 회전 벨트와, 상기 회전 벨트와 함께, 피기록재를 끼운 상태로 피기록재를 가압하는 압접 롤러와, 상기 가열 롤러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 롤러와 회전 벨트의 양쪽의 자성 금속이 발열하도록 자장을 형성하는 자장 형성 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프린터 장치 및 정착 장치{Printer apparatus and fix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프린터 장치의 실시예의 개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프린터 장치의 실시예에서의 정착 장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프린터 장치의 실시예에서의 여자 코일의 배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프린터 장치의 실시예에서의 유도 가열 수단의 여자 코일의 배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프린터 장치의 실시예에서의 교번 자계와 과전류의 발생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프린터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정착 장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열 롤러 2 : 정착 롤러
3 : 벨트 4 : 가압 롤러
5 : 온도 검출 수단 6 : 유도 가열 수단
7 : 여자 코일 8 : 코일 가이드판
9 : 여자 코일 코어 10 : 여자 코일 코어 지지부재
11 : 기록재
본 발명은 프린터 장치 또는 복사기나 팩시밀리, 프린터 장치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린터·복사기·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에너지 절약화·고속화에 대해서 시장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이들 요구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정착 장치의 열효율의 개선이 중요하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전자 사진 기록·정전 기록·자기 기록 등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화상 전사 방식 또는 직접 방식에 의해 미정착 토너 화상이 기록재 시트·인쇄지·감광지·정전 기록지 등의 기록재에 형성된다. 미정착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 장치로서는 「열 롤러 방식」,「필름 가열 방식」,「전자(電磁) 유도 가열 방식」등의 접촉 가열 방식의 정착 장치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먼저, 「열 롤러 방식의 정착 장치」는 내부에 할로겐 램프 등의 열원을 갖고 소정의 온도로 온도 조절되는 정착 롤러와, 이것에 압접된 가압 롤러와 회전 롤러 쌍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들 회전 롤러 쌍의 접촉부 말하자면 정착 닙부에 기록재를 도입하여 반송시키고, 정착 롤러 및 가압 롤러로부터의 열 및 압력 에 의해 미정착 토너 화상을 용융시켜서 정착시킨다.
다음에, 「필름 가열 방식의 정착 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3-313182호 공보와 일본국 특개평 1-263679호 공보 등에 제안되어 있다.
이 장치는, 지지부재에 고정 지지된 가열체에 내열성을 갖는 얇은 정착 필름을 통해서 기록재를 밀착시키고, 정착 필름을 가열재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가열체의 열을 필름재를 통해서 기록재에 공급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자 유도 가열 방식의 정착 장치」로서, WO 00/52534 A1 공보에서는 교번 자계에 의해 자성 금속 부재에 발생한 과전류로 주울 열을 발생시키고,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가열체를 전자 유도 발열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은 전자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 롤러를 가열하여 열전도에 의해 얇은 내열 수지제의 가열 매체를 가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토너 화상의 정착을 위한 온도 제어가 안정한 프린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린터 장치는
화상 정보에 따른 광을 발생하는 노광 수단과,
상기 노광 수단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받아서, 그 위에 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 수단과,
상기 감광체 상의 잠상을 토너에 의해서 가시화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가시화된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벨트 수단과,
상기 벨트 수단 상의 토너 화상을 피기록재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착 수단은 자성 금속을 포함하는 가열 롤러와, 상기 가열 롤러와 그 축이 평행하게 배치된 정착 롤러와, 상기 가열 롤러와 상기 정착 롤러에 걸쳐진 회전 벨트와, 상기 회전 벨트와 함게, 피기록재를 끼운 상태로 피기록재를 가압하는 압접 롤러와, 상기 가열 롤러의 근방에 배치되어, 자장을 형성하는 자장 형성 수단을 갖는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벨트는 자성 금속을 포함하거나, 또는 전기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되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자장 형성 수단이 가열 롤러와 회전 벨트의 양쪽을 발열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갖는 프린터를 예로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고, 또, 중복한 설명은 생략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는 4개의 화상 스테이션(1a, 1b, 1c, 1d)이 배치되어 있다. 각 화상 스테이션(1a, 1b, 1c, 1d)은 화상 담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감광체)(2a, 2b, 2c, 2d)을 각각 갖고, 그 주위에는 감광체 드럼(2a, 2b, 2c, 2d)의 표면을 똑같이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3a, 3b, 3c, 3d), 정전 잠상을 현상화하는 현상 수단(4a, 4b, 4c, 4d),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5a, 5b, 5c, 5d)이 배치되어 있다. 주사 광학계의 노광 수단(6a, 6b, 6c, 6d)은 화상 정보에 따른 광을 각각의 감광체 드럼(2a, 2b, 2c, 2d)에 조사한다. 전사 수단(7)은 중간 전사 벨트(전사재)(12)와, 그것에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수단(8a, 8b, 8c, 8d)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 스테이션(1a, 1b, 1c, 1d)에서는 각각 옐로우 화상, 마젠타 화상, 시안 화상, 블랙 화상이 형성된다. 노광 수단(6a, 6b, 6c, 6d)으로부터는 옐로우 화상, 마젠타 화상, 시안 화상, 블랙 화상에 대응한 노광광(9a, 9b, 9c, 9d)이 출력된다.
각 화상 스테이션(1a, 1b, 1c, 1d)의 아래쪽에는 롤러(10, 11)에 의해 지지된 무단 벨트형상의 중간 전사 벨트(12)가 배치되어 있고, 화살표 A방향으로 둘레를 회동한다.
또, 중간 전사 벨트(12)에 대면하여 레지스트 패턴 발생 수단(13)으로부터의 레지스트 패턴을 검출하는 패턴 검출 수단(14)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패턴 검출 수단(14)으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각 색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는 위치 어긋남 보정 수단(15)이 설치되어 있다. 패턴 검출 수단(14)은 중간 전사 벨트(12)의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급지 카세트(16)에 수납되어 있는 시트재(17)는 급지 롤러(18a)에 의해 급지되고, 시트재 전사 롤러(18b), 정착 수단(19)을 거쳐서 용지 배출 트레이(도시하지 않음)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먼저 화상 스테이션(1d)에 있어서, 대전 수단(3d) 및 노광 수단(6d) 등을 이용한 공지의 전자 사진 프로세스 수단에 의해 감광체 드럼(2d) 상에 블랙 성분색의 잠상이 형성된다. 그 후, 현상 수단(4d)으로 블랙 토너를 갖는 현상재에 의해 블랙 토너 화상으로서 가시 화상으로 되고, 전사 수단(8d)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2)에 블랙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한편, 블랙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12)에 전사되고 있는 사이에, 화상 스테이션(1c)에서 시안 성분색의 잠상이 형성되고, 현상 수단(4c)에 의해 시안 토너에 의한 시안 토너 화상이 가시 화상으로 되고 이것이 전사 수단(8c)에서 전사되어, 먼저 중간 전사 벨트(12) 상에 전사된 블랙 토너 화상과 겹쳐진다.
이하, 마젠타 토너 화상, 옐로우 토너 화상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해서 화상 형성이 행해지고, 중간 전사 벨트(12) 상에 4색의 토너 화상의 겹침이 종료하면, 급지 롤러(18a)에 의해 급지 카세트(16)로부터 급지된 종이 등의 시트재(17) 상에 시트재 전사 롤러(18b)에 의해서 4색의 토너 화상이 일괄 전사 반송되며, 정착 수단(19)으로 가열 정착되고, 시트재(17) 상에 풀 컬러 화상이 얻어진다.
또한, 전사가 종료한 각각의 감광체 드럼(2a, 2b, 2c, 2d)은 클리닝 수단(5a, 5b, 5c, 5d)으로 잔류 토너가 제거되고, 계속해서 행해지는 다음의 화상 형성에 준비되어 인자 동작은 완료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컬러 화상을 정착시키는 과정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6을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의 정착 장치는, 유도 가열 수단(26)의 전자 유도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 롤러(21)와, 가열 롤러(21)와 평행하게 배치된 정착 롤러(22)와, 가열 롤러(21)와 정착 롤러(22)에 걸쳐지고 가열 롤러(21)에 의해 가열되는 동시에 적어도 이들 어느 하나의 롤러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는 무단 띠형상의 내열성 벨트(토너 가열 매체)(23)와, 이 벨트(23)를 통해서 정착 롤러(22)에 압접되는 동시에 벨트(23)에 대해서 순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압 롤러(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 롤러(21)는 예를 들면, 철, 코발트, 니켈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 등의 중공 원통형상의 자성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고, 외경 20㎜, 두께 0.3㎜으로서, 저열 용량으로 승온이 빠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정착 롤러(22)는 예를 들면 스텐레스 스틸 등의 금속제의 코어(22a)와, 내열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를 솔리드형상 또는 발포형상으로 코어(22a)를 피복한 탄성 부재(22b)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열 롤러(24)로부터의 가압력으로 이 가압 롤러(24)와 정착 롤러(22)의 사이에 소정폭의 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외경을 30㎜ 정도로 하여 가열 롤러(21)보다 크게 하고 있다. 탄성 부재(22b)는 그 두께를 3∼8㎜ 정도, 경도를 15∼50°(Asker 경도 : JIS A의 경도에서는 6∼25°에 의한) 정도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가열 롤러(21)의 열용량은 정착 롤러(22)의 영용량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가열 롤러(21)가 급속하게 가열되어 웜업 시간이 단축된다.
가열 롤러(21)와 정착 롤러(22)에 걸쳐진 벨트(23)는 유도 가열 수단(26)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 롤러(21)와의 접촉 부위(W1)에서 가열된다. 그리고, 롤러(21, 22)의 회전에 의해서 벨트(23)의 내면이 연속적으로 가열되며, 결과로서 벨트 전체 에 걸쳐서 가열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23)는 철, 코발트, 니켈 등의 자성을 갖는 금속 또는 이들을 기재로 하는 합금을 기재로 한 발열층(23a)과, 그 표면을 피복하도록 하여 설치된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부재와, 그 탄성 부재의 상측에 불소 수지 등의 이형(離型) 부재로 이루어지는 표층(23b)으로 구성된 복합층 벨트이다. 따라서, 상기 벨트는 발열층, 탄성 부재, 이형 부재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복합층 벨트를 사용하면, 가령 어떠한 원인으로 예를 들면 벨트(23)와 가열 롤러(21)의 사이에 이물질이 혼입하여 갭이 생겼다 해도, 벨트(23)의 발열층(23a)의 전자 유도에 의한 발열로 벨트(23) 자체가 발열하기 때문에, 온도 얼룩이 적고 정착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발열층(23a)의 두께는 20㎛ 내지 50㎛ 정도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30㎛ 정도로 되어 있다.
발열층(23a)의 두께가 50㎛보다 큰 경우에는, 벨트 회전시에 발생하는 변형 응력이 커져서, 전단력에 의한 균열의 발생이나 기계적 강도의 극단적인 저하를 일으킨다. 또, 발열층(23a)의 두께가 20㎛보다 작은 경우에는, 벨트 회전시의 사행(蛇行)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벨트 단부로의 스러스트 부하에 의해 복합층 벨트에 균열이나 분열 등의 파손이 발생한다.
한편, 표층(23b)의 두께로서는 100㎛ 내지 300㎛ 정도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200㎛ 정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기록재(17)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T)을 벨트(23)의 표층부가 충분히 둘러싸기 때문에, 토너 화 상(T)을 균일하게 가열 용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표층(23b)의 두께가 100㎛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벨트(23)의 열용량이 작아져서 토너 정착 공정에서 벨트 표면 온도가 급속히 저하하여, 정착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또, 표층(23b)의 두께가 300㎛보다도 큰 경우에는, 벨트(23)의 열용량이 커져서 웜업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토너 정착 공정에서 벨트 표면 온도가 저하하기 어렵게 되어, 정착부 출구에서의 용해한 토너의 응집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벨트의 이형성(離型性)이 저하하여 토너가 벨트에 부착되는 말하자면 핫 오프셋이 발생한다.
발열층(23a)의 내측 표면은 금속의 산화 방지, 가열 롤(21)과의 접착성 개량의 목적으로, 수지 코트해도 좋다.
또한, 벨트(23)의 기재로서,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발열층(23a) 대신에, 불소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PEEK 수지, PES 수지, PPS 수지 등의 내열성을 갖는 수지층을 이용해도 좋다.
기재가 내열성이 높은 수지 부재인 수지층으로 구성되면, 벨트(23)가 가열 롤러(21)의 곡률에 따라서 밀착하기 쉽기 때문에, 가열 롤러(21)가 보유하는 열이 이 벨트(23)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이 경우, 수지층의 두께로서는 20㎛ 내지 150㎛ 정도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75㎛ 정도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층의 두께가 20㎛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벨트 회전시의 사행에 대한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없고, 또, 수지층의 두께가 150㎛보다 큰 경우에는, 수지의 열전도율이 작기 때문 에, 가열 롤러(21)로부터 벨트(23)의 표층(23b)으로의 열전파 효율이 저하하여, 정착 성능의 저하가 발생한다.
벨트 기재로서는 전자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되는 도전성 복합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또, 이 도전성 복합 수지의 수지 재료로서는 내열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있어서, 가압 롤러(24)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제의 원통 부재로 구성되는 코어(24a)와, 이 코어(24a)의 표면에 설치된 내열성 및 토너 이형성이 높은 탄성 부재(24b)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24a)에는 상기 금속 이외에 SUS를 사용해도 좋다.
가압 롤러(24)는 벨트(23)를 통해서 정착 롤러(22)를 가압하여 정착 닙부(N)를 형성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롤러(24)의 경도를 정착 롤러(22)에 비해서 단단하게 함으로써, 가압 롤러(24)가 정착 롤러(22)(및 벨트(23))로 파고 들어가는 형태로 되어, 이 침투에 의해 기록재(17)는 가압 롤러(24) 표면의 원주 형상을 따르기 때문에, 기록재(17)가 벨트(23) 표면으로부터 박리하기 쉽게 되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이 가압 롤러(24)의 외경은 정착 롤러(22)와 동일 30㎜ 정도이지만, 두께는 2∼5㎜ 정도로 정착 롤러(22)보다 얇고, 또 경도는 20∼60°(Asker 경도 : JIS A의 경도에서는 6∼25°에 의한) 정도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정착 롤러(22)보다 강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은 유도 가열 수단(26)의 단면도의 일부이고, 도 4는 이 유도 가열 수단(26)의 측면도의 일부이다.
전자 유도에 의해 가열 롤러(21)를 가열하는 유도 가열 수단(2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계 발생 수단인 여자 코일(27)과, 이 여자 코일(27)이 감겨진 코일 가이드판(28)을 갖고 있다. 코일 가이드판(28)은 가열 롤러(21)의 외주면의 근방에 배치된 반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자 코일(27)은 긴 한개의 여자 코일 선재(線材)를 이 코일 가이드판(28)을 따라서 가열 롤러(21)의 축 방향으로 교대로 감은 것이다. 코일을 감은 길이는 벨트(23)와 가열 롤러(21)가 접하는 영역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도 가열 수단(26)에 의해 전자 유도 가열되는 가열 롤러(21)의 영역이 최대가 되고, 발열하고 있는 가열 롤러(21) 표면과 벨트(23)가 접하는 시간도 최대가 되기 때문에, 벨트(23)로의 열 전도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여자 코일(27)은 발진 회로가 주파수 가변의 구동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여자 코일(27)의 외측에는, 페라이트 등의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반원통 형상의 여자 코일 코어(29)가 여자 코일 코어 지지부재(20)에 고정되어 여자 코일(27)에 근접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여자 코일 코어(29)는 비투자율이 2500인 것을 사용하고 있다.
여자 코일(27)에는 구동 전원으로부터 10㎑∼1㎒의 고주파 교류 전류, 바람직하게는 20㎑∼800㎑의 고주파 교류 전류가 급전되고, 이것에 의해 교번 자계를 발생한다. 그리고, 가열 롤러(21)와 내열성 벨트(23)의 접촉 영역(W1) 및 그 근방부에서 이 교번 자계가 가열 롤러(21) 및 벨트(23)의 발열층(23a)에 작용하고, 이 들의 내부에서는 교번 자계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B)으로 과전류(Ⅰ)가 흐른다.
이 과전류(Ⅰ)가 가열 롤러(21) 및 발열층(23a)의 저항에 따라서 주울 열을 발생시키고, 주로 가열 롤러(21)와 벨트(23)의 접촉 영역 및 그 근방부에서 가열 롤러(21) 및 발열층(23a)을 갖는 벨트(23)가 전자 유도 가열된다.
이와 같이 해서 가열된 벨트(23)는 정착 닙부(N)의 입구측 근방에서 벨트(23)의 내면측에 맞닿아서 배치된 서미스터 등의 열 응답성이 높은 온도 감지 소자로 이루어지는 온도 검출 수단(25)에 의해 벨트 내면 온도가 검지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온도 검출 수단(25)이 벨트(23)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정착성능이 계속적으로 확보되는 동시에, 벨트(23)의 정착 닙부(N)에 들어가기 직전의 온도가 검지된다. 그리고, 이 온도 정보를 토대로 나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유도 가열 수단(26)으로의 투입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벨트(23)의 온도가 예를 들면 180℃로 안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도 가열 수단(26)으로 가열된 가열 롤러(21)로 가열되는 벨트(23)와 가압 롤러(24)로 정착 닙부(N)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부(도시하지 않음)에서 기록재(17)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T)이 정착 닙부(N)에 도입될 때에는, 벨트(23)는 그 표면 온도와 안쪽면 온도의 차이가 작아진 상태에서 정착 닙부(N)로 보내진다. 그 때문에, 벨트 표면 온도가 설정 온도에 대해서 과도하게 높아지는, 말하자면 「오버 슈트」가 억제되어, 토너 가열 매체인 벨트(23)의 온도 제어를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정착 공정에서는 일정 온도로 유지된 벨트(23)가 토너 화상(T)과 접 촉하게 되어 안정한 정착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제2 정착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정착 장치에 있어서, 유도 가열 수단(32)은 여자 코일(33)과, 이 여자 코일(33)이 감겨진 코일 가이드판(34)과, 여자 코일 코어 지지부재(36)에 고정되고, 여자 코일(33)의 외측에 근접 배치된 여자 코일 코어(35)로 구성되어 있다.
본 장치에 있어서는 가열 영역은, 유도 가열 수단(32)은 대략 4분의 1 원통 형상으로서, 반원통 형상의 경우의 접촉 영역보다도 짧은 대략 반분의 영역(W2)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정착 장치 외의 구성 요소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착 롤러(22)와 가열 롤러와, 여자 코일(33), 코일 가이드판(34), 여자 코일 코어(35)의 중심은 거의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유도 가열 수단(32)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착 장치가 소형이 되어 부품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도 가열 수단으로 가열된 가열 롤러로 가열되는 토너 가열 매체와 가압 롤러로 정착 닙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토너 가열 매체는 그 표리면 온도의 차이가 적어진 상태에서 정착 닙부로 보내짐으로써, 토너 가열 매체의 온도 제어를 안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유효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안정적인 인자 품질의 프린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2)

  1. 화상 정보에 따른 광을 발생하는 노광 수단과,
    상기 노광 수단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받고, 그 위에 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 수단과,
    상기 감광체 상의 잠상을 토너에 의해서 가시화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 가시화된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벨트 수단과,
    상기 벨트 수단 상의 토너 화상을 피기록재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착 수단은,
    자성 금속을 포함하는 가열 롤러와,
    상기 가열 롤러와 그 축이 평행하게 배치된 정착 롤러와,
    상기 가열 롤러와 상기 정착 롤러에 걸쳐진 회전 벨트와,
    상기 회전 벨트와 함께, 피기록재를 끼운 상태에서 피기록재를 가압하는 압접 롤러와,
    상기 가열 롤러의 근방에 배치되어, 자장을 형성하는 자장 형성 수단을 갖는 프린터 장치에서,
    상기 회전 벨트는 자성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자장 형성 수단이 상기 가열 롤러와 상기 회전 벨트의 양쪽을 발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착 롤러와 압접 롤러의 접촉점의 근방에는, 상기 회전 벨트의 온도 검지를 행하는 온도 검지 수단이 상기 회전 벨트와 맞닿아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벨트는, 상기 자성 금속 상에 내열성을 갖는 수지 부재를 포함하고, 피기록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벨트는, 도전성 복합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벨트의 표면이,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100㎛ 내지 300㎛의 두께의 표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은 이형성(離型性)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장 형성 수단은, 상기 가열 롤러와 상기 회전 벨트의 접촉 영역과 대략 동일 길이에 걸쳐서 상기 가열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장 형성 수단은, 상기 가열 롤러와 상기 회전 벨트의 접촉 영역보다 짧은 길이에 걸쳐서 상기 가열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롤러의 외경은 상기 정착 롤러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 롤러는, 그 표면이 탄성 실리콘 수지에 의해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 롤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정착 롤러의 표면이 패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2. 자성 금속을 포함하는 가열 롤러와,
    상기 가열 롤러와 그 축이 평행하게 배치된 정착 롤러와,
    상기 가열 롤러와 상기 정착 롤러에 걸쳐지고, 자성 금속을 포함하는 회전 벨트와,
    상기 회전 벨트와 함께 피인쇄체를 끼운 상태에서 피인쇄체를 가압하는 압접 롤러와,
    상기 가열 롤러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 롤러와 회전 벨트의 양쪽의 자성 금속이 발열하도록 자장을 형성하는 자장 형성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정착 롤러와 압접 롤러의 접촉점의 근방에는, 상기 회전 벨트의 온도 검지를 행하는 온도 검지 수단이 상기 회전 벨트와 맞닿아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벨트는, 상기 자성 금속 상에 내열성을 갖는 수지 부재를 포함하고, 피기록재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벨트는, 도전성 복합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벨트의 표면이,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100㎛ 내지 300㎛의 두께의 표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은 이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장 형성 수단은, 상기 가열 롤러와 상기 회전 벨트의 접촉 영역과 대략 동일 길이에 걸쳐서 상기 가열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장 형성 수단은, 상기 가열 롤러와 상기 회전 벨트의 접촉 영역보다 짧은 길이에 걸쳐서 상기 가열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롤러의 외경은 상기 정착 롤러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20. 삭제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 롤러는, 그 표면이 탄성 실리콘 수지에 의해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 롤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정착 롤러의 표면이 패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KR1020010082525A 2000-12-22 2001-12-21 프린터 장치 및 정착 장치 KR100792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90091A JP4832637B2 (ja) 1999-12-22 2000-12-22 定着装置
JPJP-P-2000-00390091 2000-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872A KR20020051872A (ko) 2002-06-29
KR100792083B1 true KR100792083B1 (ko) 2008-01-04

Family

ID=1885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525A KR100792083B1 (ko) 2000-12-22 2001-12-21 프린터 장치 및 정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591082B2 (ko)
KR (1) KR100792083B1 (ko)
CN (1) CN1200323C (ko)
HK (1) HK1046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84626B1 (en) * 1999-03-02 2013-03-20 Panasonic Corporation Image hea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248065C (zh) * 2000-09-29 2006-03-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像加热装置以及影像形成装置
CN1200323C (zh) * 2000-12-22 2005-05-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打印装置及定影装置
JP2003223063A (ja) 2002-01-30 2003-08-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定着装置
US6864461B2 (en) * 2002-03-28 2005-03-08 Minolta Co., Ltd. Fix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3966239B2 (ja) 2002-07-11 2007-08-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定着装置
JP4206841B2 (ja) * 2003-06-30 2009-01-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WO2005013014A1 (ja) * 2003-07-30 2006-09-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784790B2 (ja) * 2003-09-16 2006-06-14 シャープ株式会社 定着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定着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7257360B2 (en) * 2003-12-30 2007-08-14 Xerox Corporation Induction heated heat pipe fuser with low warm-up time
US6875966B1 (en) 2004-03-15 2005-04-05 Nexicor Llc Portable induction heating tool for soldering pipes
US7433637B2 (en) * 2004-04-08 2008-10-07 Kabs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circuit using the same
US7205513B2 (en) * 2005-06-27 2007-04-17 Xerox Corporation Induction heated fuser and fixing members
JP4717566B2 (ja) * 2005-09-13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JP4933161B2 (ja) * 2006-06-08 2012-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JP4266027B2 (ja) * 2006-11-29 2009-05-20 シャープ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925185B2 (en) * 2006-11-30 2011-04-12 Kabushiki Kaisha Toshiba Fix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9102137B2 (en) * 2013-02-07 2015-08-11 Canon Kabushiki Kaisha Transfer image forming method, transf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to be used therei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06A (ja) * 1994-07-08 1996-01-23 Canon Inc 加熱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0106739A (ja) * 1996-08-28 1998-04-24 Canon Inc 励磁コイル、加熱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819150A (en) * 1996-06-28 1998-10-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JPH11297462A (ja) * 1998-04-09 1999-10-29 Canon Inc 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250338A (ja) * 1999-03-02 2000-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像加熱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6886B2 (ja) 1987-06-16 1996-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JP2673959B2 (ja) 1988-04-15 1997-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US6026273A (en) * 1997-01-28 2000-02-15 Kabushiki Kaisha Toshiba Induction heat fixing device
JPH1124486A (ja) * 1997-06-27 1999-01-29 Nitto Kogyo Co Ltd 定着装置
JP3711764B2 (ja) * 1997-10-29 2005-11-0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この定着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11219051A (ja) * 1998-02-04 1999-08-10 Minolta Co Ltd 定着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284626B1 (en) 1999-03-02 2013-03-20 Panasonic Corporation Image hea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3553830B2 (ja) * 1999-08-23 2004-08-11 シャープ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JP3492303B2 (ja) * 1999-09-30 2004-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527442B2 (ja) * 1999-10-27 2004-05-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像加熱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GB2357461B (en) * 1999-12-22 2002-05-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ixing device
JP2001318546A (ja) * 2000-05-11 2001-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定着装置
CN1200323C (zh) * 2000-12-22 2005-05-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打印装置及定影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06A (ja) * 1994-07-08 1996-01-23 Canon Inc 加熱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819150A (en) * 1996-06-28 1998-10-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JPH10106739A (ja) * 1996-08-28 1998-04-24 Canon Inc 励磁コイル、加熱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1297462A (ja) * 1998-04-09 1999-10-29 Canon Inc 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250338A (ja) * 1999-03-02 2000-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像加熱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02827A1 (en) 2003-10-30
US20020085867A1 (en) 2002-07-04
US6591082B2 (en) 2003-07-08
KR20020051872A (ko) 2002-06-29
US6792238B2 (en) 2004-09-14
CN1360229A (zh) 2002-07-24
CN1200323C (zh) 2005-05-04
HK1046740A1 (en)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3752B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92083B1 (ko) 프린터 장치 및 정착 장치
JP5299690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10058865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fixing device
KR100531541B1 (ko) 전자유도발열롤러, 가열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KR100886280B1 (ko) 화상 가열 장치
JP2007322975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13069B2 (ja) 加熱装置
JP2003122152A (ja) 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3223063A (ja) 定着装置
US6888113B2 (en) Heating device and fuser utiliz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JP2008299288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61727B2 (ja) 像加熱装置
JP3912874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74004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定着装置
JP2011039397A (ja) 画像加熱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708171B1 (ko) 정착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H11297463A (ja) 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02121A (ja) 定着装置
JP4512990B2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115137B2 (ja) 定着装置
JP4329468B2 (ja) 定着装置
JP2011053598A (ja) 像加熱装置
JP6071351B2 (ja) 画像加熱装置
JP2009025571A (ja) 定着部材、加圧部材、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