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439B1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439B1
KR100776439B1 KR1020060037564A KR20060037564A KR100776439B1 KR 100776439 B1 KR100776439 B1 KR 100776439B1 KR 1020060037564 A KR1020060037564 A KR 1020060037564A KR 20060037564 A KR20060037564 A KR 20060037564A KR 100776439 B1 KR100776439 B1 KR 10077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processed
processing
work proce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235A (ko
Inventor
마사시 구로시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2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Facilitating exception or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e.g. fault, media or consumables deple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06F3/1215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increased printing speed, i.e. reducing the time between printing start and printing e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06F3/1262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by grouping or ganging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6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local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작업 티켓에 기재된 작업 공정들에 기초하여 묘화 데이터를 인쇄하는 방법은, 작업 티켓과 묘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 상황에 기초하여 작업 공정들이 변경되는지 판정하는 단계;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와는 다른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 및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외부 장치가 작업 공정들을 실행하도록 작업 티켓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화상 처리 장치가 인쇄 작업 처리중에 작업 공정을 변경시킬 수 없어, 처리 스케줄에서 중대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한다.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은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 상황에 따라 변경된다.
작업 티켓, JDF, EFM, 작업 분산, 작업 대행, 피니셔, 인쇄후 처리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시스템{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인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처리 수순 관리부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디지털 인쇄부의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후처리부의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작업 티켓에 기초한 작업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JDF(job definition format)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
도 7은 종래의 JDF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
도 8은 종래의 피니셔에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구성도.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MFP의 상세한 블록도.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EFM(Embedded Finishing Manager)의 블록도.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MFP 제어부의 블록도.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작업의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작업 대행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작업 대행을 요청하는 때의 JDF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흐름도.
도 1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흐름도.
도 1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3 흐름도.
도 1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4 흐름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작업의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작업 분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작업 분산을 요청하는 때의 JDF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제2 실시예에 따라 작업 분산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지에 관한 결정과 JDF 버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a 및 도 24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작업 분산 처리를 MIS 서버에 통지하기 위한 JDF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제2 실시예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흐름도.
도 26은 제2 실시예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흐름도.
도 27은 제2 실시예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3 흐름도.
도 28은 제2 실시예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4 흐름도.
도 29는 제2 실시예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5 흐름도.
도 30은 본 발명의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클라이언트 PC 3: POD 사이트 환경
4: 공정 관리부 5: 디지털 인쇄부
6: 포스트프레스부
20: MIS 서버 21: 수주 서버
22: 파일 서버 30: 인쇄 서버
40: 포스트프레스 서버 46: 니어라인 피니셔
51: JDF 생성 어플리케이션 64: JDF 데이터
53: JDF 파서 54: PDL 컨트롤러
55: 프린터/피니셔 인터페이스 56: MFP
57: 용지 출력 58: 인라인 피니셔
64: JDF 92: 임베디드 피니싱 관리부
92: MFP 본체 93: 인라인 피니셔
101: 입력 화상 처리부 102: FAX 부
103: NIC 부 104: 전용 I/F 부
105: USB I/F 부 92: EFM 부
106: 조작부 107: RIP 부
108: 출력 화상 처리부 100: MFP 제어부
109: 프린터부 93: 인라인 피니셔
120: 작업 관리부 121: 통신부
122: 입력 장치 제어부 123: 프로토콜 해석부
124: 작업 생성부 125: 작업 해석부
126: 바인더 해석부 127: 문서 해석부
128: 페이지 해석부 129: 작업 설정 정보
10a: 압축/확장부 10b: 메모리부
10c: 리소스 관리부 12a: 바인더 설정 정보
12b: 문서 설정 정보 12c: 페이지 설정 정보
12f: 페이지 화상 정보
본 발명은, 예컨대 포대 처리(wrapping binding process)와 같은 제본 처리를 수행하는 피니셔(finisher) 장치, 및 복수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업적 인쇄 업계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소망하는 인쇄물을 작성하기 위하여, 제3자(고객 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인쇄물(잡지, 신문, 카탈로그, 광고, 그라비어(gravure) 등)을 작성하기 위한 요청들이 수주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보수를 받아, 인쇄물이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납품된다. 현재, 상업적 인쇄 업계에서는 주요 제판 방법으로서 아직도 오프셋 제판 인쇄기와 같은 대규모의 인쇄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인쇄 업계에 있어서, 원고 수신, 디자인 및 레이아웃, 종 합 레이아웃(프린터 출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프리젠테이션), 교정(레이아웃 수정 및 색수정), 교정 인쇄, 레이아웃 용지 작성, 인쇄, 후처리 가공, 및 발송을 포함하는 다양한 처리 공정에 의해 이러한 작업이 수행되어 왔다.
한편, 최근에는, 전자 사진 방식의 인쇄 장치 또는 잉크젯 인쇄 장치의 고속화 및 고품질화에 수반하여, "프린트 온 디맨드(이하, POD라 함)"라고 하는, 인쇄물의 고속 전달을 제공하는 시장이 개발되어 있다. POD는 인쇄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작업에 비하여 비교적 소량의 작업을 위해 설계되었다.
POD 시장에서는, 전술한 대규모의 인쇄 장치 또는 시스템 대신에, 예컨대 디지털 복사기 또는 디지털 복합기 등의 디지털 화상 처리 장치가 최대 한도로 활용되어, 전자 데이터를 사용한 디지털 인쇄를 실현하여 제품을 생산한다. 이러한 POD 시장에서는, 종래의 인쇄 업계와 비해 디지털화가 진행되어, 컴퓨터화된 관리 및 제어가 널리 퍼져 있다.
종래의 다른 화상 처리 장치에 연결된 피니셔 장치를 사용하는 기술은, 통상 복수의 피니셔 장치를 사용하는 분산 배지 처리 기술이라고 한다. 분산 배지 처리기술은 일본 특허공개 제2003-29482호 "화상 출력 관리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배지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시스템, 화상 처리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로는,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연결된 피니셔 장치 중에서 사용자가 분산 배지 처리를 행하는 장치를 선택하여, 인쇄 작업이 실행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미리 사용자에 의해 분산 목적지로서 피니셔 장치가 선택되고, 분산 배지 처리의 실행 지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인쇄 작업 처리가 개시된 후에 어떠한 변경도 이루어질 수 없다. 이 때문에, 일단 인쇄 작업이 개시되면, 작업 처리에 소모되는 시간이 예상보다 길어진다. 인쇄 동작이 스케줄보다 뒤로 처지더라도, 작업 실행 자체가 종료되지 않으면, 피니싱 처리의 작업 분산 및 작업 대행 등을 통해 동작 처리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작업 동작 지시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하의 상황에서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사용중인 화상 처리 장치가 다음의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스케줄링되어 있는데, 다음의 인쇄 작업이 수행되는 시각이 경과하더라도, 현재 처리중인 인쇄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는 아무런 대응책도 사용될 수 없다.
또한, 스테이플러의 침이 부족하는 등의 에러가 발생하여 처리가 중단되는 경우, 에러가 해소될 때까지는 처리가 중단된다는 문제점이 또한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처리 수행중에서도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장치들이 동작 부하의 작업 분산 또는 작업 대행을 수용하도록 하여, 전체 시스템의 작업 효율을 증가시키고, 또한 작업 분산 또는 작업 대행을 수용한 외부 장치가 당초의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의 성능, 사용 상황, 작업 스케줄을 취득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인쇄 처리가 개시된 후에도, 다른 장치가 전술한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는 작업 대행을 통해 작업 효율을 향상시켜야 하는지, 및 작업 효율의 향상이 실제로 성취될 수 있는지를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화상 처리 장치의 결정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장치에 작업 분산 또는 작업 대행을 통해 할당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본 인쇄 처리가 지정된 인쇄 작업을 화상 처리 장치가 수행하고 있는 중에, 처리 상황에 따라서 인쇄 작업의 출력 목적지가 소정의 배지부(예컨대, 제본 처리용의 배지부)에서 또 다른 배지부로 변경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처리중의 인쇄 작업이 인쇄된 후, 인쇄후 처리가 화상 처리 장치와는 다른 후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개시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타이밍에서 화상 처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된 임의의 외부 장치로 작업 분산 또는 작업 대행 처리가 개시된 후일지라도,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작업 대행 또는 분산 처리가 수행된다는 메시지, 작업 대행 또는 작업 처리를 수행하는 외부 장치의 명칭, 또는 작업 분산 또는 작업 대행을 통해 할당된 처리의 수순, 또는 작업 대행 또는 작업 처리를 수행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구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작업중 유저가 조작 에러를 일으킬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에 장착된 피니셔 장치에 임의의 에러 또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또는 복수의 니어라인 피니셔(nearline finisher) 장치가 작업을 대신 수행하도록 하여, 에러로 인해 인쇄 작업을 중지하지 않고 전체 시스템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작업 티켓에 기재된 작업 공정들에 기초하여 묘화 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작업 티켓 및 묘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이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 상황에 기초하여 변경되는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수단; 제1 판정 수단이 화상 처리 장치의 작업 공정들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와는 다른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수단; 및 제2 판정수단이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외부 장치가 상기 작업 공정들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작업 티켓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전체를 통해 동일 참조부호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는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의 POD 시스템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은 POD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인쇄 시스템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블록도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엔드 유저 환경(1 및 2), 및 인터넷을 통해 엔드 유저 환경에 접속된 POD(Print On Demand) 사이트 환경(3)으로 구성된다.
엔드 유저 환경(1 및 2)은, 인쇄의 주문 요청을 발행하는 주문자들을 포함한다. 해당 엔드 유저 환경으로부터(이 경우, 엔드 유저 환경 A 및 엔드 유저 환경 B), 예컨대 클라이언트 PC들을 사용하여 작업의 현황 및 인쇄 작업에 대한 요청을 체크할 수 있다.
한편, POD 사이트 환경(3)은 일반적으로 공정 관리부(4) 및 디지털 인쇄부(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복사기 또는 디지털 복합기 등의 디지털 화상 처리 장치에 접속된 피니싱 장치의 기능과 용량이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 공정 관리부(4)와 디지털 인쇄부(5)에 포스트프레스부(6)를 추가하여 3개의 구성요소로 POD 사이트 환경(3)이 구성될 수도 있다.
공정 관리부(4)는 POD 사이트 환경에서 공정 관리부(4), 디지털 인쇄부(5), 포스트프레스부(6)의 각 공정들의 동작을 지시하여, 컴퓨터 및 각종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작업 흐름을 관리한다. 또한, 공정 관리부(4)는 전술한 엔드 유저로부터 작업을 수신하고, 엔드 유저로부터의 작업을 보관하고, 엔드 유저로부터의 작업의 지정에 따라 각 공정들에서의 동작을 작업 흐름으로 구성하여, 효율적인 스케줄에서 각 디바이스의 동작과 오퍼레이터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디지털 인쇄부(5)는 공정 관리부(4)로부터 수신된 작업의 동작 지시들에 따라 단색 MFP, 컬러 MFP, 등에 의해 엔드 유저로부터 수신된 종이 원고의 카피를 생성한다. 또한, 디지털 인쇄부(5)는 클라이언트 PC로부터 프린터 드라이버 또는 호 스트 홀더를 경유하여, 엔드 유저로부터 수신된 텍스트/화상 파일 또는 스캔 디바이스에 의한 스캐닝을 통해 생성된 화상 파일 또는 이들 파일들을 편집하여 생성된 텍스트/화상 파일을 단색 MFP 또는 컬러 MFP 등의 인쇄 장치에 인쇄 출력한다. 여기서, MFP는 Multi Function Peripherals 의 약어로서, 본원에서는 이하 MFP라고 표현한다.
포스트프레스부(6)는 공정 관리부(4) 또는 디지털 인쇄부(5)에 의해 수신된 포스트 프레스 작업의 동작 지시에 따라서, 지절기(paper folding machine), 중철 제본기, 포대 제본기, 재단기, 봉입기(inserting machine), 장합기(collating machine) 등의 후처리 장치를 제어한다. 또한, 디지털 인쇄부(5)로부터 출력된 인쇄 원고에 대하여, 접기(紙折, paper folding), 중철 제본(saddle stitching binding), 포대 제본(wrapping binding), 재단(trimming), 봉입(inserting), 장합(collating) 등의 피니싱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인쇄 시스템에서 공정 관리부(4)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공정 관리부(4)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관리 정보 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서버(20), 수주 서버(21), 파일 서버(22), 클라이언트 PC(23),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MIS 서버(20)는 수주에서부터 배송까지 전체 시스템의 작업 흐름을 관리하기 위한 서버이며, 또한, 각종 사업 정보와 판매 정보의 총괄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에서의 서버이다.
수주 서버(21)는 인터넷을 경유하여 엔드 유저 환경으로부터 작업을 수신하는 서버이다. 수신된 작업은 작업 ID 번호에 기초하여 관리된다. 관리에 필요한 정보와 ID 번호가 MIS 서버(20)에 전송된다. 수주 서버(21)는 MIS 서버(20)의 지시에 따라 필요한 정보와 함께 묘화 데이터 등의 기타의 정보를 후속 공정들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파일 서버(22)는 엔드 유저로부터 동일 원고에 대한 재수주가 있는 경우 엔드 유저로부터 수신된 작업을 보관하기 위한 텍스트 관리 서버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데이터와 앞서 출력된 작업(작업 티켓)의 설정 정보는 함께 저장된다.
공정 관리부(4)에서의 MIS 서버(20), 수주 서버(21), 파일 서버(22), 클라이언트 PC(23) 간에는, 작업의 동작 지시들이 기술되어 있는, 소위 작업 정의 포맷(JDF: Job Definition Format) 등의 작업 티켓을 사용하여 정보가 교환된다. 공정 관리부(4)는 작업을 전송하고, 제어 커맨드를 발행하여, 공정 관리부(4)를 중심으로 디지털 인쇄부(5), 포스트프레스부(6) 등과 연계하여 작업 흐름의 총괄적인 자동화를 제공한다.
도 3은 인쇄 시스템에서 디지털 인쇄부(5)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 인쇄 서버(30), 클라이언트 PC들(31 및 32), 컬러 MFP들(35, 36, 37), 및 단색 MFP들(33 및 34) 각각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로 존재한다.
인쇄 서버(30)는 두 개의 역할을 갖는다. 첫번째 역할은 디지털 인쇄부(5)의 외부 측과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다. 인쇄 서버에는 입력 작업 화상 정보, 설정 정보 등이 먼저 입력된다. 인쇄 서버(30)는 작업이 종료되는 때에 현황에 관한 정보를 외부에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두번째 역할은 디지털 인쇄부(5)의 내부를 관리 및 제어하는 것이다. 외부로부터 입력된 작업과 디지털 인쇄부(5)에서 작성된 작업은 인쇄 서버(30)에서 관리되어, 디지털 인쇄부(5) 내의 모든 디바이스들의 현황과 모든 작업들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을 일시 정지하거나, 설정을 변경하거나, 인쇄 처리를 재개하거나, 작업의 복사, 전달, 또는 삭제를 포함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인쇄 서버(3)가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PC들(31 및 32)은 입력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편집하거나, 인쇄를 지시하거나, 인쇄 준비 파일을 도입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인쇄 서버(30)에서 관리되는 작업들과 장치들의 제어 및 감시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컬러 MFP들(35, 36, 37) 및 단색 MFP들(33, 34) 각각은 스캔, 인쇄, 및 복사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컬러 MFP 및 단색 MFP는 속도 및 비용에 있어서 다르므로, 컬러 MFP와 단색 MFP는 각각 해당 목적에 따라서 사용된다. 컬러 MFP(37)에는 피니셔 장치가 접속된다.
도 4는 인쇄 시스템의 포스트프레스부(6)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포스트프레스부(6)는 포스트프레스 서버(40), 클라이언트 PC들(41, 42), 및 지절기(43), 재단기(44), 중철 제본기(45), 포대 제본기(46)로 대표되는 후처리 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포스트프레스 서버(40)는 후처리 단계의 총괄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컴 퓨터이다. 포스트프레스 서버(40)는, 수주 서버에 의해 수신된 작업의 지시 또는 MIS 서버(20)로부터 출력된 작업의 지시에 따라 포스트프레스부(6)가 인쇄 처리를 추후에 종료할 수 있는 후처리 조건을 생성하며, 엔드 유저의 요구에 따라 후처리단계(피니싱 처리)에 대한 지시를 행한다. 일반적으로, 포스트프레스 서버(40)는 포스트프레스부(6)의 외부와 정보를 교환한다. 포스트프레스부(6)의 현황 및 내부 커맨드는 각각의 후처리 공정 기기과의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후처리 공정 기기는 아래 정의된 바와 같이 주로 세 개의 형태로 분류된다.
인라인(Inline) 피니셔: 용지 경로가 물리적으로 MFP에 접속되며, 또한, 조작 지시 및 상황 체크도 MFP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후처리 장치. 이하, 단지 피니셔 장치라고만 하면, 인라인 피니셔 장치를 지칭한다.
니어라인(Nearline) 피니셔: 용지 경로가 MFP에 물리적으로 접속되지 않으며, 작업자가 출력물의 운반을 행하지만, 조작 지시 및 상황 체크에 관한 정보는 네트워크 등의 통신 수단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는 후처리 장치.
오프라인(Offline) 피니셔: 용지 경로 및 조작 지시와 상황 체크와 같은 통신 수단이 MFP에 전혀 접속되어 있지 않으며, 작업자가 출력물의 운반, 출력물의 설정, 수작업에 의한 조작 입력, 장치 자체로부터의 상황 보고를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하는 후처리 장치.
또한, 후처리 공정 기기는, 재단 공정, 중철 제본 공정, 포대 제본 공정, 지절 공정, 펀칭 공정, 봉입 공정, 장합 공정을 포함하는, 출력 원고에 대한 시트(sheet) 가공 처리와 같은 후처리 공정을 MFP 등의 화상 처리 장치에서 인쇄된 출 력 원고지에 대하여 실행하며, 엔드 유저에 제공되는 제본 포맷으로 가공하도록 제어한다.
포스트프레스 서버(40)에 의해 관리되는 니어라인 피니셔(어떤 경우에는, 오프라인 피니셔도 포함함)는 도 4에 도시된 지절기(43), 재단기(44), 중철 제본기(45), 포대 제본기(46) 이외에, 스테이플러, 펀칭기, 봉입기, 및 장합기(collator)를 포함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포스트프레스 서버(40)는 이러한 니어라인 피니셔와 함께 소정의 프로토콜에 기초한 폴링(polling)을 통해 디바이스 상황 및 작업 상황을 포착하여, 작업의 실행 상황을 관리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복수의 인쇄후 처리(피니싱 처리)는 개별적인 인쇄후 처리 장치들(피니셔 장치) 각각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또는 복수 종류의 피니싱 처리가 단일의 피니싱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복수의 피니싱 처리 장치들 중에서, 피니싱 처리 장치들 중 임의의 것이 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인쇄후 처리, 포스트프레스 처리, 및 피니싱 처리는 동일한 처리를 의미한다.
다음, POD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 인쇄 작업의 인쇄후 처리 공정이 포스트프레스부(6)에 의해 반드시 수행될 필요는 없다. 피니셔 장치를 갖는 화상 처리 장치(예컨대, 컬러 MFP(37) 등) 또한 후처리 공정을 실행하여도 된다. 또한, 피니셔 장치는 전술한 화상 처리 장치의 인라인 피니셔에 상당한다.
도 2의 공정 관리부(4) 및 도 4의 포스트프레스부(6)는 본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도9의 구성이 채용될 것이다. 또한, 도 3 의 디지털 인쇄부(5)와 관련하여, 인쇄 서버(30)는 필요치 않으며, 인쇄 서버(30)에 제공되는 디지털 인쇄부(5)의 외부와의 정보 송수신 기능 및 인쇄 작업의 관리 및 제어 기능은 MFP 자체가 소지한다. 구체적으로, EFM(Embedded Finishing Manager)부가 상기 기능을 가지나, 상세는 이후에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작업 티켓은 작업 지시의 내용이 기술된 동작 지시이다.
또한, 종래의 상업 인쇄 분야에 있어서, 작업 스케줄을 사용한 상업 인쇄 워크 플로우(work flow)가 제안되어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종래의 상업 인쇄의 분야에서의 POD 시스템에 따른 "티켓에 기초한 워크 플로우"와 작업 티켓에 대하여 일례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작업 티켓에 기초하여 실현되는 워크 플로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MIS 서버(20)는 수주로부터 납품까지의 시스템 전체의 워크 플로우를 관리하며, 또한 각종 사업 정보 또는 판매 정보에 대한 총괄적인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MIS 서버(20)는 워크 플로우의 동작 지시가 기술된 작업 티켓에 상당하는 JDF(Job Definition Format)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JDF 작성 어플리케이션(51)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업 분산 또는 작업 대행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되는 경우, 후술하는 EFM(92)이 작업 분산을 위한 JDF 또는 작업 대행을 위한 JDF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그러나, EFM(92)으로부터의 요청이 접수되는 경우, MIS 서버(20)가 작업 분산을 위한 JDF 또는 작업 대행을 위한 JDF를 작성하는 것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인쇄 서버(30)는 디지털 인쇄부(5)에 입력된 작업을 수신하고, 디지털 인쇄 부(5) 전체를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서버이다. 인쇄 서버(30)는 JDF 데이터(64)를 해석하기 위한 JDF 파서(Parser)(53), PDF/PS와 같은 각종 PDL(프린터 기술 언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PDL 컨트롤러(54), MFP(56)와 같은 프린터 엔진에 피니셔 장치(예컨대, 인라인 피니셔(58))를 접속하기 위한 프린터/피니셔 인터페이스(55))로 구성된다.
작업 티켓에 기초한 워크 플로우는 이하의 방법으로 실현된다. MIS 서버(20)가 수주 작업(50)(오더(order)라고도 함)을 수신하는 경우, MIS 서버(20)에 인스톨된 JDF 작성 어플리케이션(51)은 워크 플로우의 동작 지시가 기술된 작업 티켓에 상당하는 JDF 데이터(64)를 생성한다.
생성된 JDF 데이터(64)가 인쇄 서버(30)에 운반되는 경우, 인쇄 서버(30)의 JDF 파서(53)가 JDF 데이터(64)를 해석하여, 디지털 인쇄부에 대한 작업을 실행한다. 예컨대, JDF 데이터에는 출력용지 사이즈, 양면 또는 단면 인쇄, 및 N-up 등의 속성들이 지정되어 있다. JDF 데이터의 내용에 기초하여, PDL 컨트롤러(54)가 JDF 데이터(64)에 의해 참조된 PDF/PS 등의 PDL 데이터를 처리하고, 프린터/피니셔 인터페이스(55)를 통해 MFP(56)에 대하여 인쇄를 실행한다.
인쇄 실행에 의해 출력된 출력 원고(57)는 인라인 피니셔(58)에 운반된다. JDF 데이터(64)에 포대 제본, 중철 제본, 또는 재단 등의 인쇄후 처리가 지정되어 있으면, JDF 데이터의 내용에 기초하여 프린터/피니셔 인터페이스(55)가 피니셔-A(예컨대, 인라인 피니셔(58))에 대하여 후처리를 실행할 것을 지시한다.
도 6은 POD 시스템의 작업 티켓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JDF(64)는 JDF 데이터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프리프레스 처리 지시(61)는 PDF 등의 인쇄 내용 데이터(묘화 데이터)를 어떻게 화상 처리하고, 어떻게 지시들이 배치되는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리프레스 지시 그룹들을 기술한다. 프레스 처리 지시(62)는 프리프레스 처리(61)에 의해 작성된 화상 데이터가 어떻게 인쇄 원고로 출력되는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스 처리 지시 그룹을 기술한다. 포스트프레스 처리 지시(63)는 프레스 처리(62)의 지시에 따라 출력된 인쇄 원고를 포대 제본과 같이 어떻게 후처리되는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포스트프레스 처리 지시 그룹을 기술한다. 컴바인드 처리(Combined Process)(60)는 프리프레스 처리(61)와 프레스 처리(62)와 포스트프레스 처리(63)가 통합되는 컴바인드 처리를 나타낸다.
통상, 디지털 인쇄를 제어하기 위한 화상 처리 장치(본 명세서에서, 컬러 MFP(37) 등)는, 일회의 인쇄 작업 입력에 응답하여 프리프레스 처리로부터 포스트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의 실행 종료후 얻어진 결과를 출력한다. 한 번의 데이터 입력에 응답하여 프리프레스 처리, 프레스 처리, 및 포스트프레스 처리가 실행되고, 출력 결과가 출력되는 이러한 지시가 발행되는 경우에는, 컴바인드 처리가 사용된다. 컴바인드 처리는 프리프레스/프레스/포스트프레스 처리 중 적어도 2 개 이상을 실행할 수 있는 MFP 등의 화상 처리 장치가 지시를 받는 경우에 사용된다.
여기서, 프리프레스 처리는 인쇄전 처리, 프레스 처리는 인쇄 처리, 포스트프레스 처리는 인쇄후 처리 및 피니싱 처리를 지칭한다.
도 7은 POD 시스템의 작업 티켓의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에서 작업 티켓을 나타내는 JDF는 XML 포맷으로 기술되며, 노드 계층 구조(node hierarchy)의 형태로 표현된다. 도 7은 제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JDF의 일례를 나타낸 계층도이다. 한편, 도 6에서는 JDF 구조가 실행 프로세스의 형태로 나타내어져 있다.
"북(book)"(71)을 작성하기 위하여, 표지(72)가 만들어지고, 내용물(73)이 만들어지고, 표지와 내용물을 접합한 후, 작성된 "북"(71)이 엔드 유저에게 전달된다.
JDF에는, 출력물을 구성하는 경우에, 물리적인 출력물을 작성하는 단계를 프로덕트(Product) 노드, 프로덕트 노드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 단계를 프로세스(Process) 노드, 프로덕트 노드를 생성하기 위한 중간적 단계인 일부 프로세스 노드 세트들을 프로세스 그룹 노드로 지칭하여 구분이 이루어진다.
도 6의 프리프레스 처리(61)는 컬러 페이지의 RIP 처리(7a)와 단색 페이지의 RIP 처리(7c)에 상응한다. 프레스 처리(62)는 참조 번호 78의 표지 출력의 프로세스-1, 표지의 라미네이트 처리(79), 컬러 페이지 인쇄 처리를 위한 인쇄 처리(7b), 및 단색 페이지 인쇄 처리를 위한 인쇄 처리(7d)에 상응한다. 포스트프레스 처리는 포대 제본을 위한 제본 처리(7e), 및 재단 처리(7f)에 상응한다.
종래의 피니싱 장치의 "포대 제본" 시의 인쇄 원고의 운반 경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후처리 시스템의 단면도로서, 인라인 피니셔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먼저, 피니셔 장치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한다.
프린터부의 고정부로부터 배출된 인쇄 원고는 인라인 피니셔(58)에 고정부가 접속되는 경우에는 인라인 피니셔부에 들어간다. 인쇄부는 도 8의 디바이스 본체 (56)를 지칭한다. 이하, 도 8에 관련된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인라인 피니셔부는 샘플 트레이(83) 및 스택 트레이(85)를 포함하며, 인쇄 작업의 형태와 배출되어야 할 인쇄 원고의 수에 따라서 원고가 배출된다. 출력되어야할 인쇄 출력물에 대하여 스테이플(staple) 모드가 설정된 경우, 스테이플러(8a)에 의해 원고가 스테이플링된 후, 스택 트레이(85)에 원고가 배출되도록 제어가 수행된다. 또한, 전술한 두 개의 트레이에 도달하기 전에, 용지를 Z 형태로 접는 Z-지절기(80), 파일링을 위해 두 개 또는 세 개의 홀을 만드는 펀칭기(84)가 배치되어 있고, 작업 형태에 기초하여 해당 작업들이 적절하게 수행된다. 또한, 중철기(8e)는 두 위치에서 인쇄 원고의 중앙을 묶은 후, 인쇄 원고의 중앙이 롤러를 통해 반으로 접혀져, 브로슈어(brochure)처럼 책자(booklet) 형태가 된다(제본 처리). 중철기(8e)에서 제본된 인쇄 원고는 책자 트레이(8d)에 배출된다.
인서터(Inserter)(81)를 사용하여, 인서트 트레이(82)에 세트된 인쇄 원고는 프린터부의 개입없이 샘플 트레이 등의 배출 트레이와 스택 트레이(85)중 하나에 운반된다. 인서터(81)는 인라인 피니셔부에 운반된 인쇄 원고들(프린터부에서 인쇄된 인쇄 원고들) 사이에 인서터 트레이(82)에 셋트된 인쇄 원고를 삽입할 수 있다.
다음, 트리머(재단기)(88)를 설명한다. 중철기(8e)에 의해 중철된 책자로 만들어진 출력 결과물은 트리머(88)에 들어간다. 이 때, 먼저, 책자의 출력 결과물이 롤러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길이로 급지되고, 커터부(8c)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책자 내의 복수의 페이지 중의 불균일한 끝 부분이 단정하게 정리된다. 그 후, 책자 유지부(8b)에 책자가 보관된다.
최종적으로, 포대 제본 처리의 경우와 인쇄 원고의 운반 경로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문을 구성하는 인쇄 원고가 프린터부로부터 배출되어, 일차 트레이(86)가 하나의 책자분(제본 인쇄를 구성하는 하나의 책자분의 페이지 수 별로)의 인쇄 원고들을 유지한다(운반 경로 1). 하나의 책자분의 원고들이 축적된 후에, 원고들이 정렬된 상태로 접착 처리부(87)에 운반되고(운반 경로 2), 원고들의 책등(spine)으로 형성되는 표면이 접착된다. 접착 처리와 동시에, 프린터부로부터 표지 원고가 배출되어, 포대 제본 처리부(89)에 셋트된다(운반 경로 3). 원고들에 대한 접착 처리가 종료되고, 표지 원고가 셋트된 후에, 접착된 원고들이 포대 제본 처리부(89)에 운반되어(운반 경로 3), 표지 원고가 원고들을 감싼다. 포대 제본을 거친 원고들은 커터부(8c)에 운반되어(운반 경로 4), 원고들의 끝 부분들이 절단된다. 그 후, 책자 유지부(8b)에 원고들이 보관된다(운반 경로 5). 종래의 화상 처리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원고 용지는 피니싱 장치에 의해 제본 처리(스테이플링, 펀칭, 중철 제본, 포대 제본, 등)를 거치게 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제1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 전체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필요한 부분만을 남기기 위해 도 1의 인쇄 시스템 전체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중에서 불필요한 요소들을 생략하여 얻어진 블록도이다. 이하, 도 9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MIS 서버(20), 발주 서버(21), 및 파일 서버(22)가 인쇄 시스템의 공정 관리부(4)를 구성한다. 또한, 디지털 인쇄부(5)는 컬러 MFP(37)로 구성되며, 내부 구성은 JDF 의 지시 내용에 따라 묘화 데이터가 출력되는 인쇄 원고의 출력까지의 단계들을 처리하는 MFP 본체부(91), 및 MFP 본체부(91)로부터 출력되는 인쇄 원고에 대한 후처리를 실행하는 인라인 피니셔(93)을 포함한다. 또한, 컬러 MFP 본체부(91)는 임베디드 피니싱 관리부(92, 이하 EFM(Embedded Finishing Manager)이라 함)를 포함한다.
EFM(92)는 MIS 서버(20)와 JDF의 송수신, MIS 서버(20)로의 처리 현황의 통지, MIS 서버(20)의 현황 또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MFP 또는 니어라인 피니셔의 현황의 취득 등을 수행한다. 포스트프레스부는 포스트프레스 서버(40)와 니어라인 피니셔(46)(예컨대, 포대 제본기)로 구성된다. 포스트프레스 서버(40)는 MIS 서버(20) 및 EFM(92)에 포스트프레스부의 각 데이터의 현황을 송신하고, EFM(92)으로부터 JDF를 수신한다. MIS 서버(20), 컬러 MFP(37), 포스트프레스 서버(40)와 같은 기기들은 LAN 등의 네트워크(90)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MIS 서버(20)는 수주에서부터 배송까지의 전체 시스템의 작업 흐름을 관리한다. 공정 관리부의 구체적인 처리 내용은, 수주 서버(21)로부터 MIS 서버(20)에 수주된 오더의 송신 및 오더의 저장을 포함한다. 다음, MIS 서버(20)는 전체 인쇄 시스템의 인쇄 작업의 처리 스케줄을 관리하는 기능을 가져, 수주 서버(21)로부터 송신된 오더에 기초하여 JDF가 생성되고, 인쇄 시스템에서 처리되어야할 JDF로서 처리 스케줄 정보에서 관리된다. 또한, MIS 서버(20)는 상기 처리 스케줄에 따라 서 JDF를 디지털 인쇄부(5)에 송신하여 인쇄 작업의 개시를 지시하고, 디지털 인쇄부로부터 현재의 처리 스케줄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MIS 서버(20)는 디지털 인쇄부(5)로부터 인쇄 작업의 종료의 통지를 수신하여, 포스트프레스부(6)에 디지털 인쇄부(5)에서 출력된 인쇄 원고의 피니싱 처리를 지시하는 JDF를 송신한다. 그 후, MIS 서버(20)는 포스트프레스부(6)로부터 피니싱 처리의 현황 정보 또는 피니싱 처리의 종료 통지를 수신한다. 그 후, 상기 각종 수신된 정보를 MIS 서버(20)에 접속된 CRT 또는 클라이언트 PC(23)에 접속된 CRT를 통해 오퍼레이터에 통지한다.
도 10은 컬러 MFP(37)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MFP는 장치 자체에 복수의 인쇄 작업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기억부(10b)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스캐너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기억부를 통해 인쇄부에서 인쇄할 수 있는 카피 기능과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기억부(10b)를 통해 인쇄부에서 인쇄할 수 있는 인쇄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인쇄 작업은 MFP 외부의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작업의 흐름이 있는 경우 JDF에 상당하며, MFP 내부에서 처리되는 인쇄 작업은 MFP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포맷이다. 예컨대, 인쇄 작업이 JDF와 인쇄 내용 데이터로 이루어진 경우, 인쇄 내용 데이터는 JDF에 따라 처리된다.
MFP는 풀컬러 기기와 단색 기기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 9의 MFP(37)는 컬러 MFP로서 취급된다. 또한, 인쇄 시스템의 구성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MFP가 복수의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그 구성은 인쇄 기능과 피니싱 기능만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 또는 인쇄 기능만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일 수 있다. 그 구성은 임의의 유형의 복수의 기기들을 가질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제어가 실현될 수 있는 구성인 한, 임의의 구성이 허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MFP는 원고 용지 등의 화상을 판독하여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수행하는 입력 화상 처리부(101), 팩시밀리로 대표되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화상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FAX부(102),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화상 데이터 및 기기 정보를 교환하는 NIC(Network Interface Card)부(103), 외부 장치와 화상 데이터 등의 정보를 교환하는 전용 인터페이스부(104)를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이에 더하여, MFP는 USB 기기를 대표하는, 범용 시리얼 버스(이하, USB 라 하며, 본원에서 USB라 함은 착탈식 매체의 일종을 일컫는다) 메모리, 및 화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는 USB 인터페이스부(105)를 포함한다. 다음, MFP 제어부(100)는, 예컨대 화상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고, 데이터 용의 경로가 판정되도록, MFP의 용도에 따라서 트래픽을 제어한다.
다음, 기억부(10b)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메모리이다. 예컨대,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부(예를 들면, MFP 제어부(100))는 이하의 처리를 수행하는 주체가 된다. 여기서, MFP 제어부(100)는 도시가 생략된 프로세서로서, 예컨대, 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사용하여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MFP 제어부(100)는 기억부(10b)에 입력 화상 처리부(10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FAX부(102)를 통해서 입력되는 팩시밀리 작업의 화상 데이터, 컴퓨터와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NIC 부(103)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 및 전용 I/F 부(104) 및 USB I/F 부(105)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 종류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MFP 제어부(100)는 기억부(10b)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적절하게 판독하여, 데이터를 프린터부(109) 등의 출력부에 송신하며, 프린터 부에 의해 인쇄 작업 등의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MFP 제어부(100)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기억부(10b)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컴퓨터와 같은 외부 기기 또는 다른 화상 처리 장치에 전송한다. MFP 제어부(100)는 필요에 따라서 압축을 통해 기억부(10b)에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반대로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원본의 화상 데이터로 신장시켜 압축 및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압축/신장부(10a)를 제어한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JPEG, JBIG, ZIP 등의 압축 데이터가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FP에 데이터가 입력된 후, 데이터는 압축/신장부(10a)에 의해 압축해제(신장)된다. 또한, MFP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는 리소스 관리부(10c)는 폰트, 컬러 프로파일, 감마 테이블 등의 공통으로 취급되는 각종 파라미터 테이블들을 저장한다. 리소스 관리부(10c)는 필요에 따라 각종 파라미터 테이블들을 호출하고, 새로운 파라미터 테이블들을 저장하고, 갱신을 위해 테이블들을 정정할 수 있다.
다음, PDL 데이터가 입력되는 때에, MFP 제어부(100)에서는 RIP부(107)가 래스터 화상 프로세서(이하, RIP)로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인쇄 대상의 화상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출력 화상 처리부(108)가 인쇄를 위한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한다. 또한, 그 때에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의 중간 데이터 또는 인쇄 대기(Print Ready) 데이터(인쇄를 위한 비트맵 데이터 또는 이를 압축한 데이터)가 필요에 따라 기억부(10b)에 다시 저장될 수 있다. 다음, 처리된 데이터는 화상 형성을 위해 프린터부(109)에 송신된다.
프린터부(109)에서 인쇄된 인쇄 원고는 후처리부로 기능하는 인라인 피니셔에 운반되어, 소팅 처리 및 피니싱 처리가 수행된다.
여기서, MFP 제어부(100)는 작업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여, MFP의 사용에 따라 경로를 절환한다. 이하의 예는,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압축 신장부 또는 후처리부에 의한 처리, 또는 전체 시스템의 코어인 MFP 제어부에 의한 처리는 생략되어, 대체적인 흐름을 이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팩스 수신 기능: FAX 부 → 출력 화상 처리부 → 프린터부
네트워크 인쇄: NIC 부 → RIP 부 → 출력 화상 처리부 → 프린터부
외부 기기로부터의 인쇄: 전용 I/F 부 → 출력 화상 처리부 → 프린터부
외부 메모리로부터의 인쇄: USB I/F 부 → RIP 부 → 출력 화상 처리부 → 프린터부
박스 인쇄 기능: 기억부 → 프린터부
여기서, 박스 인쇄는 기억부(10b)를 사용한 MFP의 처리 기능이다. 본 기능은, 작업 별로 또는 유저 별로 기억부(10b) 내의 메모리를 분할하고,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고, 유저 ID 또는 패스워드를 조합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조작부(106)는 전술한 다양한 흐름들과 기능들을 선택하여 조작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조작부의 표시장치 내의 고 해상도화에 수반하여, 기억부 (10b)의 화상 데이터가 프리뷰된 후, 데이터가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것을 체크한 때에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FP는 EFM부(92)를 포함한다. MFP 제어부(100)는 MFP 내부에서 처리되어야할 인쇄 작업을 제어하며, EFM 부(92)는 MIS 서버 및 포스트프레스 서버(40) 등의 외부 기기와의 JDF의 송수신을 제어하여, JDF의 분석, MFP 제어부(100)에 대한 지시 처리, 등을 실행한다.
도 11은 EFM 부(92)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EFM는 외부 장치와의 JDF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인쇄 시스템의 각각의 장치에 EFM에 의해 관리되는 MFP의 현황을 송신하고, 역으로 외부 장치의 현황을 수신하고, 수신된 JDF를 MFP 제어부(100)에 보내어, 인쇄 작업의 개시를 지시한다. 다음, EFM(92)는 MIS 서버로부터의 지시 및 EFM(92) 자신의 판정을 통해 MFP 제어부(100)에 인쇄 작업의 처리의 중단 또는 중지를 지시하고, MIS 서버로부터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인쇄 작업을 편집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EFM(92)은 외부 장치와의 JDF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모듈로서, 수신된 JDF의 지시에 따라 인쇄해야 할 인쇄 내용 데이터(예컨대, PDL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파일 서버(22)로부터 수신하여, 전체 MFP 장치를 관리하면서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모듈이다.
도 11의 EFM(92)은 EFM 부 전체이며, 참조 번호 116은 NIC 부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내용 데이터 또는 JDF의 송수신 및 현황의 송수신이 수행된다. 작업 송수신 처리부(110)는 NIC 부(116)에 지시함으로써 JDF 또는 인쇄 내용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현황 송수신부(111)는 NIC 부(116)에 지시함으로써 외부 장치의 현황을 취득하여, MFP 장치(37)의 현황을 MIS 서버(20)와 같은 외부 장치에 송신한다. 통신부(114)는 MFP 제어부(100)와의 JDF와 인쇄 내용 데이터의 송수신, 현황의 취득, 및 인쇄 작업을 위한 지시를 발행한다. 내부 작업 관리부(113)는 MFP(37)에서 처리중인 인쇄 작업을 관리하고, 통신부(114)를 통해 MFP 제어부(100)에 인쇄 작업의 처리 지시를 전송하는 내부 작업 관리부이다. 인쇄 작업 제어부(115)는 JDF에 기술된 지시를 해석하거나, JDF의 기재를 변경하거나, JDF의 기재를 생성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인쇄 작업 처리부(115)가 MIS 서버로부터 수신된 JDF를 해석하는 경우, MFP 제어부(100)상에서 인쇄 처리의 지시가 수행되어, 이번에 처리되어야 하는 인쇄 내용 데이터가 인식될 수 있다. 인쇄 작업 제어부(115)가 인식된 인쇄 내용 데이터를 후술하는 EFM 제어부(112)에 전송하고, EFM 제어부(112)가 작업 송수신 처리부(110)를 제어하는 경우, 처리 대상으로서 인쇄 내용 데이터가 파일 서버로부터 취득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EFM(92)은 인쇄 내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상정되었지만, 그 구성은 상기에 한하지 않는다. EFM(92)에 의해 해석되는 JDF의 기재를 MFP 제어부(100)에 통지함으로써, MFP 제어부(100)가 파일 서버로부터 인쇄 내용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EFM 제어부(112)는 EFM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EFM 제어부로서, EFM의 각 제어부에 처리 지시를 전송한다.
도 12는 MFP 제어부(10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개략적으로 이하의 5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 치 제어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입력 작업을 분석하기 위한 입력 작업 제어부, 작업의 설정 정보를 정리하기 위한 출력 작업 제어부, 출력 장치를 할당하기 위한 출력장치 제어부, 및 EFM(92)으로부터의 지시를 MFP 제어부(100)에 전달하여, 인쇄 작업을 제어하는 작업 관리부.
입력장치 제어부는 도 10에 도시된 해당 입력부(101 ~ 105)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을 정리하고, 절환의 순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 장치 제어부의 입력장치 제어부(112)는 전술한 역할을 입력 장치 제어부가 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입력 신호로는 파일 서버(22)로부터의 PDL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작업 관리부(120)로부터의 JDF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EFM(92)으로부터 MFP 제어부(100)에 의해 수신되는 JDF는 EFM(920)에 의해 MFP 제어부(100)에 의해 해석되는 JDF 커맨드로 변환된다.
다음, 입력작업 처리부는 프로토콜 해석부(123) 및 작업 생성부(124)로 구성된다. 입력장치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일련의 조작 지시들은 커맨드(프로토콜)라고 하는 커맨드 신호의 형태로 수신된다. 프로토콜 해석부(123)에 의해 조작 지시의 개요가 해석되고, MFP 내부에서 이해되는 조작 수순으로 변환된다. 한편, 작업 생성부(124)는 MFP 내에서 처리가 어떻게 수행되는지 기술하는 내부 작업을 생성한다. 생성된 내부 작업에 있어서, MFP에서 어떻게 처리가 수행되는지와 작업이 어디로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기술하기 위한 시나리오가 정의되어 있고, 시나리오에 따라서 MFP에서 작업이 이루어진다.
출력작업 제어부에서는, 작업 해석부(125), 바인더 해석부(126), 문서 해석 부(127), 및 페이지 해석부(128)가, 작업의 설정 정보와 화상 정보를 작성한다. 작업 해석부(125)는 인쇄되어야 하는 문서명, 인쇄 부수, 출력 목적지에서 배지 트레이의 지정, 및 복수 바인더로 구성되는 작업의 바인딩 순서 등의 작업 전체에 관한 작업 설정 정보(129)의 상세를 해석한다. 바인더 해석부(126)는 제본 방식의 설정, 스테이플의 위치, 복수의 문서로 구성되는 바인더의 문서 순서 등의 바인더 전체에 관한 바인더 설정정보(12a)의 상세를 해석한다. 문서 해석부(127)는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문서의 페이지 순서, 양면 인쇄의 지정, 표지 또는 합지의 부가 등의 문서 전체에 관한 문서 설정정보(12b)의 상세를 해석한다. 페이지 해석부(128)는 화상의 해상도, 화상의 방향(Landscape/Protrait) 등의 각종 페이지 설정 전체에 관한 페이지 설정정보(12c)의 상세를 해석하고, PDL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RIP부(107)가 호출되어 래스터라이즈(rasterize) 처리를 수행한다. 즉, 화상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RIP 부(107)가 호출되어, 래스터라이즈 처리를 통해 페이지 화상 정보(12f)가 생성된다. 화상 정보(12f)는 압축/신장부(10a)에서 압축된 후, 기억부(10b)에 설정정보와 관련되어 진다.
출력장치 제어부는 출력장치 제어부(12d)로 구성된다. 기억부(10b)에 저장된 화상 정보는 압축/신장부(10a)에 의해 신장되어, 관련 설정 정보와 함께 판독된다. 설정정보와 화상정보는 한 쌍으로서 출력 장치부에 전송된다. 출력 장치 제어부(12d)는 프린터부, 인라인 피니셔 등의 MFP 내의 어떠한 장치가 이용되는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MFP 내부 처리의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통신부(121)는 EFM(92)과 JDF 또는 인쇄 내용 데이터의 송수신, 및 인쇄 현 황의 송수신과 같은 인쇄 작업의 처리 지시들을 수신한다.
작업 관리부(120)는 통신부(121)를 통해서 EFM(92)로부터 JDF를 수신하고, 인쇄 처리의 개시, 중단, 또는 중지, 또는 처리 내용의 변경의 지시들을 수신한다. EFM(92)로부터의 지시 내용에 따라서, 인쇄 작업 처리를 변경하는 지시가 MFP 내부의 각 제어부에 송신되고, MFP 에서 실행중인 인쇄 작업의 현황이 EFM(92)에 송신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작업이 공정 관리부로부터 디지털 인쇄부에 의해 최초에 수신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MIS 서버는 인쇄 시스템에서의 작업 처리의 스케줄을 소지한다. 스케줄에는, 인쇄 작업의 납기 및 납품 기일에 관한 정보 및 인쇄 시스템의 운영 스케줄에 따라 어느 장치가 어떠한 작업을 언제부터 언제까지 처리해야 하는지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MIS 서버가 자동적으로 스케줄을 생성할 수도 있다. MFP(37)에서 처리되어야할 작업은 JDF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한 것이며, JDF는 MIS 서버에 의해 작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실제 처리되어야 할 인쇄 내용 데이터(PDF 데이터 등)는 파일 서버에 기록되어 있다. JDF 데이터 및 인쇄 내용 데이터는 고객으로부터 전송된 인쇄 수주에 관한 데이터(오더)에 기초하여 작성된다. 이러한 작성 처리는 일반적으로 상업 인쇄 업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처리이며, 또한 본 발명의 어떠한 처리와도 무관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MIS 서버는 작업 큐(130)를 소유하여, 스케줄에 따라 처리 개시 시기가 도래한 JDF의 작업 큐를 셋트한다. 또한, 스케줄에 따라서 작업 큐로부터 JDF(64)가 디지털 인쇄부 내의 EFM에 송신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인쇄 내용 데이터(131)는 파일 서버에 기록되어 있으며, JDF(64)를 수신한 EFM(92)이 JDF(64)를 해석함으로써, 당해 JDF(64)와 관련되는 인쇄 내용 데이터가 인식되어, 파일 서버(22)로부터 MFP 본체에 송신되는 구성을 상정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인쇄 내용 데이터는 기록 매체에 묘화되는 데이터이므로, 몇몇 경우 묘화 데이터라고 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MFP(37)에 의해 수신되는 JDF의 지시 내용에 따라서 인쇄 내용 데이터가 처리되는 경우, MFP(37)에 제공되는 인라인 피니셔로부터 니어라인 피니셔에 피니싱 처리의 대행 요청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MIS 서버(20)가 스케줄에 따라 처리 개시 예정 시간이 도래한 것을 인식하면, MFP(37)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큐에 셋트된 JDF(140)가 MFP(37)에 송신된다. 그러나, 도 14에서는, MFP(37)에서 전회의 JDF에 대응하는 인쇄 작업이 처리중이므로, MIS 서버 내의 작업 큐로 인해 JDF(140)가 EFM(92)에 송신되지 않고, 이에 따라 대기 상태임이 나타내어 진다.
JDF(141)는, MFP(37)의 인라인 피니셔로부터 니어라인 피니셔(46)로 피니싱 처리의 작업 대행을 수행하기 위하여, EFM(92)에 의해 작업 대행 처리를 위해 생성(또는 변경)되어, 포스트프레스 서버(40)에 송신된다. JDF(141)는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조번호 142는 MFP(37)에서 출력되는 인쇄 원고이며, 니어라인 피니셔(46)에 의해 피니싱 처리되는 인쇄 원고 전체를 나타낸다. JDF 식별 원고(143)는 인쇄 원고(142)의 최상부에 오퍼레이터가 식별하기 쉬운 위치에서 출력된다. JDF 식별 원고(143)는 식별 정보(바코드)를 통해 JDF(141)를 지시되는 정보를 기재하고 있으며, 그 이외에 JDF 식별 원고는 인쇄 내용 데이터와 JDF에 기초하여 출력된 인쇄 원고 출력물을 포함한다. JDF 식별 원고(143)에 기재된 식별 정보(도 14의 바코드에 해당함)는 네트워크에 통해 포스트프레스 서버(40)에 송신된 JDF(141)와, JDF(141)에 의해 지시되어 있는 내용인 인쇄 원고(142)를 관련시킨다. 니어라인 피니셔(46)에 의해 처리가 개시되는 경우, 오퍼레이터는 먼저 JDF 식별 원고(143)에 기재된 바코드가 스캐닝 처리 등에 의해 식별되도록 하여, 니어라인 피니셔(46)에 의해 인쇄후 처리되는 인쇄 원고(142)가 포스트프레스 서버(40)가 EFM(92)로부터 수신한 JDF(141)와 관련되도록 한다. 그 결과, 오퍼레이터가 인쇄 원고를 니어라인 피니셔(46)에 셋트하는 것만으로 니어라인 피니셔(46)는 JDF(141)에 기술된 동작 지시에 기초하여 인쇄후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바코드에 따른 링크 처리(관련 처리)는 본 발명의 범위외이며, 이미 실시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MFP(37)로부터 니어라인 피니셔로의 작업 대행 요청을 위하여 포스트프레스 서버에 송신되는 JDF(14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MIS 서버로부터 MFP에 지시된 JDF(64)에 관하여, 종래의 예로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여기서는, 도 6에 나타낸 JDF(64)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JDF(64)에 따르면, 프리프레스 처리 지시(61)와 프레스 처리 지시(62)와 포스트프레스 처리 지시(63)가, 컴바인드 처리(60)내에서 지시되어 있다. 이는 MFP가 프리프레스 처리 지시(61)로부터 포스트프레스 처리(63)까지가 한번에 처리되도록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MFP(37)는 JDF(63)의 내용을 따르는 경우, 포스트프레스 처리까지를 처리한다. 먼저, MFP(37)는 수신된 JDF(64)에 기재된 지시에 따라서 작업의 처리를 개시한다.
그러나, 다음 작업의 처리 개시 시간이 도래하거나, 피니셔의 스테이플러의 부족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MFP(37) 자체가 인쇄전 처리로부터 인쇄후 처리까지의 처리를 계속 진행한다면, 스케줄에 있어서 중대한 지연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MFP(37)는 인쇄 처리 전까지의 처리를 실행하고, 피니싱 처리는 MFP(37)를 대신하여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해 수행되어, 처리 지연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때, MFP(37)는 인쇄후 처리를 요청하는 경우, JDF에 기재된 동작 지시의 구성이 변경된다(또는 작성된다). 이러한 상황은 도 15의 JDF(141)에 나타나 있다.
도 15에 기재된 JDF(141)는 기재 내용에 있어서 JDF(64)와는 다르며,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다른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JDF(141)의 프리프레스 처리지시(151)는 프리프레스 처리가 실행되는 때에 사용되는 지시이며, 프레스 처리지시(152)는 프레스 처리가 실행될 때에 사용되는 지시이다. 도 15에 있어서, 프리프레스 처리 지시(151)와 프레스 처리 지시(152)에는 양측의 지시 모두가 MFP(37)에서 완료되기 때문에 처리의 종료를 나타내는 마크 "완료(Completed)"가 부가되어 있다. 이어서, 두 개의 지시는 컴바인드 처리(150)내에 잔류되고, 포스트프레스 처리 지시는 컴바인드 처리(150) 외부로 이동된다. 그 결과, 포스트프레스 서버는 JDF(141)에 기재되어 있는 작업 지시를 참조하는 경우, 포스트프레스 처리 지시(153)에 기초한 처리가 미처리된 것이 인식되어, 상기 포스트프레스 처리 지시(153)에 기초한 처리가 외부 장치에서 실행되는 처리 대상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작업 대행의 대상이 되는 외부 장치에서, 대행 작업 공정들이 수행되므로, 처리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가 변경되어도 출력 결과에 변경은 생기지 않는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후 처리를 니어라인 피니셔에 작업 대행을 요청하는 EFM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흐름도에 따른 각 단계는, MFP 내의 MFP 제어부(100)에 의해 처리된다.
단계 S1에서, EFM(92)은 MIS 서버로부터 JDF를 수신한다. 이 때의 JDF의 이동이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 S1에서 수신된 JDF는 기억부(10b)에 저장된다.
다음, 단계 S2에서, EFM(92)은 JDF에 기재된 지시에 따라 MFP 제어부(100)에 JDF 및 인쇄 내용 데이터를 송신하고, 처리 개시를 지시한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EFM(92)에 의해 수신된 JDF는 인쇄 작업 제어부(115)에 의해 해석된다. 그 결과, EFM(92)은 처리 대상이 되는 인쇄 내용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고, 인쇄 내용 데이터가 파일 서버로부터 수신된다. 다음, EFM(92)의 인쇄 작업 제어부(115)에 의해 해석된 JDF 데이터 및 인쇄 내용 데이터가 MFP 제어부(100)에 송신되어, MFP에서의 처리를 개시한다. MFP 제어부(100)에 송신된 JDF 및 인쇄 내용 데이터는 MFP 제어부 내에서 처리 및 관리되지만, 그 상세에 대하여는 도 17에 나타낸 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EFM(92)은 인쇄 작업의 처리를 MFP 제어부 (100)에 맡기고, EFM(92) 내의 EFM 제어부(112)가 인쇄 작업의 처리를 MFP(37)에 의해 EFM(92) 자체에서 최종까지 실행할지, 또는 다른 장치에의 작업 대행이 수행될지를 감시하는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S3에서, EFM(92)은 JDF에 의해 지시된 내용에 따라 전체 부수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상세하게는, EFM(92) 내의 내부 작업 관리부(113)가 통신부(114)를 통해 MFP의 처리 상황을 인식하여, S3의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단계 S3에서는, EFM(92)이 전체 부수의 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단계 S15로 진행하고, EFM(92)이 전체 부수의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단계 S4로 진행한다.
단계 S4에서는, EFM(92)이 MIS 서버의 작업 큐 내에 EFM(92) 자체의 MFP(37)에서 처리되어야 할 JDF가 대기(standby)의 상태로 큐잉되어 있는지를 조회한다. 단계 S5에서는, EFM(92) 자체의 MFP(37)에 의해 처리 개시되어야 하는 시간이 경과한 JDF가 아직도 큐잉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JDF가 큐잉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으로 복귀되고, 큐잉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즉, EFM(92)이 MIS 서버로부터 취득된 MFP(37)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JDF의 스케줄 정보를 해석하는 때에, 스케줄에 지연이 발생하는지를 판정한다. 상세하게는, EFM(92) 내의 현황 송수신부(111)가 NIC부(116)를 통해서 MIS 서버와 통신가능하게 되며, MIS 서버로부터 수신된 스케줄 정보를 EFM 제어부(112)가 해석하여, 단계 S3 및 S5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S4 및 S5의 판정에 기초하여, EFM(92)은 화 상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이 변경되어야할지를 판정한다.
단계 S5에서, EFM(92)이 그 처리 개시 시간이 도래한 JDF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작업 공정이 변경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단계 S6에서, EFM(92)은 MFP(37)에 의해 현재 처리되어야 하는 인쇄 작업에서 피니싱 처리가 지시되었는지, 즉, JDF에 포스트프레스 지시가 기재되어 있었는지를 판정한다. 상세하게는, 현재 처리중인 JDF는 기억부(10b)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처리 단계 S6는 기억부(10b)를 참조하여 EFM 제어부(11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단계 S6에서, EFM(92)이 피니싱 처리가 지시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니어라인 피니셔에 작업 대행을 요청할 수는 없다. 따라서, MFP(37)의 처리 의 실행을 계속하기 위하여, 단계 S3으로 복귀한다. 또한, 피니싱 처리가 지시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단계 S7로 진행한다. EFM(92)은 현재 처리중인 인쇄 작업이 MFP(37)에서 피니싱 처리중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MFP(37)에서의 처리 상황의 인식은 전술한 단계 S3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7에서, EFM(92)이 현재 처리중인 인쇄 작업이 피니싱 처리중인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단계 S8로 진행한다. 현재 처리중인 xx번째의 카피의 피니싱 처리가 최종까지 실행되고, 단계 S3으로 복귀하여 전체 부수의 처리가 종료되었는지를 다시 판정한다. 여기서, 또한 처리되어야 하는 부수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9로 진행하게 된다. 즉, 현재 처리중인 xx번째 카피의 피니싱 처리는, 인쇄후 처리까지 실행되는 한편, 나머지의 실행되어야 하는 부수에 대하여, 후술하는 단계 S9에서의 판정 처리가 수행된다.
단계 S7에서, EFM(92)이 현재 처리중인 인쇄 작업이 피니싱 처리중이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또는 단계 S8로 진행하여 전체 부수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단계 S9의 처리가 수행된다. 단계 S9에서, EFM(92)는 JDF에 기술되어 있는 피니싱 처리가 다른 외부 장치(예컨대,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단계 S9의 처리는 MIS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외부 장치의 처리 능력의 수신을 통해서 EFM(92)의 판정에 기초한 것이다. 즉, MFP(37)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있는지를 판정하는 처리이지만, 그 세부사항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10에서, 외부 장치가 작업 대행의 피니싱 처리를 취급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단계 S8로 진행하여 피니싱 처리를 실행한다. 이어서, 전체 부수의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전술한 경로의 단계 S3 --> 단계 S10 --> 단계 S8의 처리가 계속된다.
단계 S10에서, EFM(92)이 작업 대행의 피니싱 처리를 취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 단계 S11에서 EFM(92)은 나머지 처리해야할 부수의 출력 결과를 작업 대행 대상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작업 대행 대상인 피니싱 처리는 MFP(37) 내의 인라인 피니셔를 이용하지 않고 실행되므로, EFM(92)은 MFP 제어부(100)에 대하여 인쇄 원고의 운반 경로를 인라인 피니셔(93)로의 운반 경로에서 배지 트레이로 변경하도록 지시한다. 이 지시에 응답하여, MFP 제어부(100)는 작업이 처리되는 경우라도 피니싱 처리를 하지 않고서 용지를 배출한다. 예컨대, 피니싱 처리로서 MFP(92) 내의 인라인 피니셔인, 포대 처리부(89)를 이용하여 포대 제본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먼저 도 8의 일차 트레이(86)에 하나의 책자(booklet)분의 인쇄 원고가 유지된다. 여기서부터의 원고의 운반 목적지는, 인라인 피니셔용의 운반 경로(2)에 설정되지 않고, 배지 트레이(예컨대, 스탁 트레이(85))로 목적지를 변경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그 결과, 시초에는 일차 트레이(86)로부터 포대 제본 처리부(89)로 인쇄 원고가 운반될 예정일지라도, 인쇄 원고는 스택 트레이(85)로 배출된다. 다음, EFM(92)는 미처리된 인쇄 부수 전체에 대하여 대체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피니싱 처리의 직전에 작업 처리를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작업 ID 번호를 나타내는 바코드가 표시되는 JDF 식별 원고가 인쇄되어, 작업 처리를 종료한다. 즉, MFP(92)는 피니싱 처리만을 수행하지 않고, 미처리된 부수의 인쇄 처리를 실행하여, 그 후에 작업 ID 번호가 바코드 형태로 인쇄된다.
그 후, 단계 S12로 진행하여, EFM(92)는 외부 장치(예컨대, 니어라인 피니셔(46))에 작업을 대신하여 수행하도록 요청하기 위하여 포스트프레스 서버(40)에 작업 대행용의 JDF를 생성(또는 변경)한다. 즉, 본 처리에서, 외부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작업 공정들을 외부 장치가 실행하도록 작업 티켓이 생성(또는 변경)된다. 여기서, JDF의 생성은 JDF를 변경하는 처리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도 11에 나타낸 인쇄 작업 제어부(115)가 MIS 서버로부터 수신된 JDF의 기재사항을 변경시킨다. 기재사항 변경이 이루어진 JDF가 도 15에 나타내어져 있다. 작업 대행용의 JDF가 생성되는 경우, EFM(92)가 대신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으로서 피니싱 처리를 인식한다. 또한, JDF의 생성은, 대신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피니싱 공정 에 기초하여 작업 대행용의 JDF를 새롭게 생성하는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생성된 작업 대행용의 JDF는 단계 S13에서 송신된다.
단계 S13으로 진행하여, EFM(92)은 단계 S12에서 변경(또는 생성)된 JDF를 포스트프레스 서버(40)에 송신한다. 다음, 단계 S14에서, EFM(92)은 MIS 서버(20)에 대하여 MFP(37)에 요청된 JDF에 기초한 처리가, 니어라인 피니셔(46)에 전달된다는 정보를 통지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15에서, EFM(92)은 MIS 서버(20)의 작업 큐에 큐잉되어 있는 JDF가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MFP(37)는 MIS 서버(20)에 처리중인 인쇄 작업이 없는 레디(Ready) 상태를 통지한다.
도 16a 및 도 16b에 기재된 처리에 의해, MIS 서버(20)에 의해 수신된 스케줄을 기준으로 지연이 발생한 것을 EFM(92)이 인식하는 경우, 피니싱 처리를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를 찾기 위해 검색이 행해진다. 여기서, 피니싱 처리를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검출된 경우, EFM(92)는 피니싱 처리를 대신하여 수행하여 JDF를 변경(또는 생성)하여 스케줄의 지연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EFM(92)을 이용함으로써 처리중에 작업 대행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어도, 처리를 중지하지 않고, 작업 대행을 실행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니싱 처리를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로서 니어라인 피니셔를 예로 들었지만, 본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하지 않는다. 피니싱 처리를 대신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는 한, 아무런 문제가 없다. 예컨대, 피니싱 처리를 대신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MFP 장치가 작업 대행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15의 S4 및 S5에 있어서, 처리 시간을 경과한 JDF가 있는 지에 기초하여 작업 대행 처리를 수행하도록 MIS 서버에 요청되는 것으로 기재하였다. 그러나, 처리중에 MFP(37)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는 피니싱 처리가 실제로 MFP(37)에 의해 실행될 수 없는 경우(예컨대, MFP(37)에 제공되는 스테이플러의 침이 없는 경우), EFM(92)이 MFP 제어부(100)로부터 피니싱 처리가 수행될 수 없음을 인식하기 때문에, 작업 대행 처리에 대하여 S6의 처리와 후속 처리가 실행되어도 된다.
도 16b에 도시된 흐름도의 단계 S13의 처리는 변경(또는 생성)된 대행용의 JDF가 포스트프레스 서버에 전송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본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EFM(92)이 작업 대행이 요청되어야 하는 니어라인 피니셔에 대하여 변경(또는 생성)된 작업 대행용의 JDF를 송신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작업 대행 처리를 실행하는 니어라인 피니셔는 JDF를 해석하는 기능(EFM)을 포함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작업을 처리중인 MFP 인쇄부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a의 단계 S2에서 JDF 및 인쇄 내용 데이터가 MFP 제어부(100)에 송신되어, 처리 개시가 지시되는 경우, 도 17의 단계 20이 개시된다.
단계 S20에서, MFP 제어부(100)는 MFP 내부 처리용의 내부 작업을 생성하여, 내부 작업에 기초하여 처리를 개시한다. 상세하게는, EFM(92)에 의해 MFP 제어부(100)용으로 해석된 JDF는 MFP 제어부(100) 내의 입력 작업 제어부에 의해 내부 작업으로 변경된다. 변경된 내부 작업은 기억부(10b)에 유지된다.
단계 S21에서, MFP 제어부(100)는 EFM(92)으로부터 송신된 JDF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그 처리 내용은 도 12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상세하게는, EFM(92)으로부터 송신된 JDF에 기초한 내부 작업이 기억부(10b)에 유지되므로, MFP 제어부(100)가 기억부(10b)를 참조하는 때에, 처리 내용이 식별될 수 있다. 다음, MFP 제어부(100)는 식별된 처리 내용에 따라서 작업 처리를 실행하도록, MFP 내의 각 모듈을 제어한다.
다음, 단계 S22로 진행하여, MFP 제어부(100)는 EFM(92)로부터 작업의 중단 지시가 전송되는지를 판정한다. 상세하게는, MFP 제어부(100)내의 작업 관리부가 EFM(92)으로부터의 지시 내용을 수신하기 때문에, 입력 작업 제어부가 작업 관리부를 참조하는 때에, 단계 S22의 판정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22에서, MFP 제어부(100)가 중단 지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정한 경우, 단계 S23으로 진행하여, EFM으로부터의 지시 내용에 따라서 중단 처리가 실행된다. 예컨대,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행중인 피니싱 처리는 끝까지 실행되고, 미처리된 부수에 대하여는 인쇄 처리만이 실행된다. 마지막으로, 인쇄 작업 ID를 나타내는 JDF 식별 원고를 인쇄하기 위한 지시가 EFM으로부터 발행되어, 이 처리가 실행된다. 즉, 작업 대행 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EFM(92)으로부터 중단 지시가 발행된 경우, 단계 S23에 기재된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 단계 S25로 진행한다. 여기서, 단계 S22에서 중단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24로 진행하여, 현재 MFP(37)에서 처리중인 인쇄 작업이 종료되었는지가 판정된다. 처리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1로 복귀하여, 인쇄 작업의 처리가 진행된 다. 처리가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25로 진행한다.
단계 S25에서, MFP 제어부(100)는 EFM(92)에 작업의 종료를 통지하여, MFP 제어부의 현황의 클리어링(clearing)과 같은 종료 처리를 수행한다.
도 17에 기재된 흐름도에 기초하여, MFP는 EFM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른 처리를 계속할지, 처리를 중단할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6a의 단계 S9의 피니싱 처리가 외부 장치(예컨대,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해 작업 대행에서 취급될 수 있는지 판정되는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EFM(92)이 MIS 서버로부터 외부 장치(니어라인 피니셔)의 처리 용량을 나타내는 외부 장치 용량 정보를 수신하여, 작업 대행 가능성을 판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MIS 서버는 인쇄 시스템 내의 각 장치의 처리 성능을 나타내는 외부 장치 용량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본 흐름도는 작업 대행 대상으로서 니어라인 피니셔가 검색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본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EFM(92)에 의해 관리되는 MFP 이외에 어떠한 외부 장치라도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단계 S30에서 EFM(92)는 MIS 서버(2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시스템에 접속된 니어라인 피니셔에서, 처리중이 아닌 장치 및 이후에 아무런 처리를 행하도록 스케줄링되어 있지 않은 니어라인 피니셔의 전체 리스트와, 전술한 니어라인 피니셔의 외부 장치 용량 정보를 취득한다. 상세하게는, MIS 서버가 니어라인 피니셔에 관한 정보(예컨대 장치의 성능, 처리 상황, 접속 상황, 스케줄링 정보 등)을 MIS 서버의 기억부에서 관리하고 있다. EFM(92)는 MIS 서버(20)에 대하여 외부 장 치 용량 정보를 취득할 것을 요청하여, EFM(92)이 MIS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니어라인 피니셔 정보를 통지받는다. EFM(92)은 MIS 서버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따라 단계 S30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 단계 S31에서, EFM(92)은 취득된 니어라인 피니셔에 관한 정보로부터 현재 MFP(37)에서 현재 처리중인 인쇄 작업에 대응한 JDF에 기재되어 있는 포스트프레스 처리 지시에 필요한 기능을 대신 수행할 수 있는 니어라인 피니셔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상세하게는, EFM(92)에 의해 취득된 니어라인 피니셔에 관한 정보 및 JDF에 기재된 포스트프레스 처리 내용은 기억부(10b)에 저장되기 때문에, 기억부(10b)를 참조하여 니어라인 피니셔의 정보와 포스트프레스 처리 내용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단계 S31의 판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32에서, JDF에 기재된 포스트프레스 처리 내용을 소유하는(또는, 대신 수행할 수 있는) 니어라인 피니셔가 있는 경우, EFM(92)이 작업 대행을 수행할 수 있는 니어라인 피니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여, 도 16b의 단계 S11의 처리와 후속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필요 기능을 전부 소유하는 니어라인 피니셔가 없는 경우, EFM(92)는 작업 대행을 수행할 수 있는 니어라인 피니셔가 없다고 판정하여, 도 16a의 단계 S8의 처리가 개시된다. 도 18에서는 포스트프레스 처리를 대신 수행할 수 있는 니어라인 피니셔가 탐색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복수의 니어라인 피니셔를 조합함으로써 포스트프레스 처리를 대신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본기의 대표적인 역할로는 "스티칭(stitching) 처리" 및 "폴딩(folding) 처리"를 포함하나, 스티칭 기기 및 폴딩 기기가 조합되어 제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6a의 단계 S9의 피니싱 처리가 니어라인 피니셔에서 대행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판정하는 처리의 두번째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EFM(92)이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해 관리되는 포스트프레스 서버에 작업 대행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문의하는 판정 방법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스트프레스 서버는 인쇄 시스템 내에 접속된 전체 장치(니어라인 피니셔)의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본 흐름도에서도 작업 대행 목적지로서 니어라인 피니셔를 상정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본 구성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EFM(92)에 의해 관리되는 MFP 이외의 어떠한 외부 장치이어도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단계 S40에서, EFM(92)은 도 16의 단계 S1에서 MIS 서버로부터 수신된 JDF에 기초하여 작업 대행 처리용의 JDF를 생성(또는 변경)한다. 상세하게는, EFM(92) 내의 인쇄 작업 제어부(115)가 작업 대행용의 JDF의 설정을 변경시킨다. EFM(92)은 작업 대행용의 JDF를 인쇄 시스템 내의 포스트프레스 처리 서버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포스트프레스 처리 서버(40)만이 인쇄 시스템에 존재한다.
다음, 단계 S41에서, EFM(920)은 포스트프레스 처리 서버로부터 처리 가능성에 관하여 응답을 기다린다. 다음, 포스트프레스 서버는 포스트프레스 처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니어라인 피니셔 가운데, 현재 처리중에 있지 않고, 작업 처리의 수행 스케줄에 있지도 않으며, 또한 전송된 작업 대행용의 JDF에 기술되어 있는 포스트프레스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니어라인 피니셔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그 정보는 EFM(92)에 리턴된다.
다음, 단계 S42에서, EFM(92)은 응답이 아직 없는 경우에는, 단계 S41로 복귀하고,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43으로 진행하여, 작업 대행이 수행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도 18 및 도 19에 기재된 구성 이외에, 미리 MFP의 기억부에 니어라인 피니셔 기능 정보(외부 장치 용량 정보)를 저장하여 둠으로써, 작업 대행이 가능한지가 판정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EFM(92)이 MIS 서버로부터 스케줄 정보를 취득하여 처리 지연에 대하여 판정하였지만, 본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하지 않는다. MIS 서버에 문의하여, MIS 서버가 처리 지연에 대하여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EFM(92)에 통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스케줄의 지연 등이 발생한 경우, 작업 대행 처리를 요청해하기 위해 JDF를 변경 또는 생성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전술한 구성에 한하지 않는다. 현재 인쇄 작업을 처리중인 MFP(37)의 처리 상황에 기초하여, EFM(92)이 MFP(37)에서 처리되어야 할 작업 공정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MFP(37)가 인쇄전 처리(프리프레스 처리), 인쇄 처리(프레스 처리), 및 인쇄후 처리(포스트프레스 처리 또는 피니싱 처리)를 수행하도록 명령을 받는다. 그러나, 처리 상황에 따라서(예컨대, MIS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MFP(37)의 스케줄에 지연이 발생한 경우 또는 MFP(37)에서 실행되어야 할 피니싱 처리가 실행될 수 없는 경우 등), EFM(92)이 MFP 제어부(100)에 대하여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을 변경하도록 지시한다. 예컨대, EFM(92)이 MFP(37)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는 포스트프레스 처리를 대신 수행하도록 포스트프레스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예컨대, 니어라인 피니셔)에 대하여 요청한다. 그 결과, MFP(37)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은 프리프레스 처리, 프레스 처리, 및 포스트프레스 처리의 3개의 작업 공정으로부터 프리프레스 처리 및 프레스 처리를 포함하는 2개의 작업공정으로 변경되어, 스케줄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외부 장치(예컨대, 니어라인 피니셔)에 포스트프레스 처리를 대신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MFP(37)의 인쇄 작업 처리가 조기에 종료되고, 다음의 인쇄 작업 처리가 조기에 개시되는 처리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로서, 인쇄 시스템 내의 MFP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과 다음의 인쇄 작업이 조기에 개시되는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제2 실시예에 따라서 인쇄 작업을 공정 관리부로부터 디지털 인쇄부가 최초에 수신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인쇄 시스템 내에 두 개의 MFP(MFP(37) 및 MFP(203))가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항목 및 처리에 관하여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특히 설명하지 않는 한,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예에서 기재된 MFP(37) 및 MFP(203)의 기능은 제1 실시예에 기재된 MFP와 마찬가지로 인라인 피니셔 및 EFM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처리 스케줄에 따라서 MIS 서버(20)로부터 EFM(92)에 JDF(64)가 맨 먼저 송신되고, EFM(92)이 JDF(64) 내의 지시를 해석 후에, 파일 서버로부터 인쇄 내용 데이터(예컨대, PDL)(131)가 수신된다.
도 2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작업 처리에서 프레스 처리와 포스트프레스 처리의 작업 분산 요청이 MFP(37)로부터 MFP(203)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에 나타낸 JDF(210)는 EFM(92)으로부터 EFM(201)에 전송되는 작업 분산 처리용의 JDF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프리프레스 처리만이 MFP(37)에 의해 실행되고, 프레스 처리와 포스트프레스 처리의 작업 분산 요청은 MFP에 대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JDF(210)의 상세에 관하여 도 2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프리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가 실행됨에 따라, 프리프레스 처리를 거친 래스터 데이터(211)가 JDF(210)와 함께, MFP(37)로부터 MFP(203)에 송신되도록 구성이 채택된다. 이 래스터 데이터(211)를 사용하여 MFP(203)은 프레스처리를 실행한다.
도 22는 도 21의 EFM(92)으로부터 EFM(201)에 송신된 JDF(21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는 MFP(37)에 의해 프리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가 실행되고, 프레스 처리와 포스트프레스 처리는 분산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JDF(210)는 EFM(92)이 EFM(210)에 대하여 작업 분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기재사항이다. 프리프레스 처리 지시(220)는 프리프레스 처리의 지시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처리의 종료를 나타내는 마크 "완료(Completed)"가 부가되어 있다. 프레스 처리 지시(222)에 기초한 프레스 처리와 포스트프레스 처리 지시(223)에 기초한 포스트프레스 처리는, 컴바인드 처리 지시(22) 내에 기술되어 있고, MFP(203)은 마크 "완료(Completed)"가 부가된 프리프레스 처리 이외의 컴바인드 처리 지시(221)의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를 실행한다.
도 23은 작업 분산 처리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작업 분산 처리의 요청이 이루어지는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하기의 두 기준을 이용하여 판정한다. 먼저 하나는, 인쇄 시스템 내에 속하는 외부 장치가 작업 분산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지이다. 또 다른 하나는, 외부 장치가 요청된 JDF의 기재를 이해할 수 있는지이다. 그 상세는 도 2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작업 분산 처리의 표기 체계, 작업 분산 가능성의 판정, 및 작업 분산 요청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초기 상태의 JDF(230)는 MIS 서버로부터 송신된 직후의 JDF를 나타낸다. 배경이 회색 표시된 처리는 아직도 그 처리가 미처리인 것을 나타낸다. 초기 상태의 JDF (230)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프레스 처리, 프레스처리, 및 포스트프레스 처리가 지시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참조번호 231은 프리프레스 처리가 종료된 JDF의 일례를 나타낸다. 프리프레스 처리의 배경은 백색이다. 이 시점에서, 인쇄 작업의 작업 분산 처리가 요구되는 경우, 작업 분산 대상으로서의 EFM(201)이 JDF(231)의 프레스 처리 및 포스트프레스 처리에 기재된 JDF의 버전을 지원한다면(즉, EFM(201)이 JDF(231)를 해석할 수 있다면), 프레스 처리와 포스트프레스 처리에 대한 작업 분산 처리가 요청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스 처리에 기재되어 있는 JDF의 버전이 EFM(201)에 의해 지원될 수 없다면, 포스트프레스 처리에 대한 작업 분산 처리만이 가능하다. 이는 일례(232)에 해당한다. 즉, JDF(232)에서는 프리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가 MFP(37)에서 실행되고, 프레스 처리 및 포스트프레스 처리에 대한 작업 분산 처리의 요청은 EFM(201)에 송신된다. 그러나, 프레스 처리의 기재 내용이 작업 분산 대상으로서의 EFM(201)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버전이 아니며(즉, 지원 불가능한 버전), 작업 분산에 대하여 요청되는 처리가 포스트프레스 처리 공정에 한정된다. 따라서, 요청이 전송된 JDF(232)에서는 프리프레스 처리 및 프레스 처리가 백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이러한 처리들이 실행되었음을 나타낸다. 한편, 포스트프레스 처리는 회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처리가 실행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포스트프레스 처리는 MFP(203)에 의한 작업 분산 대상이다.
포스트프레스 처리에 기재된 JDF의 기재 방법의 버전이 EFM(201)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경우, MFP(203)는 끝까지 작업을 처리할 수 없어, EFM(92)은 작업 분산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는 일례 233에 해당한다. 상세하게는, MFP(203)에 의해 프레스 처리만이 실행될 수 있을지라도, 그 후 실행되어야 하는 포스트프레스 처리는 MFP(203)에 의해 실행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프레스 처리에 대한 작업 분산 처리만이 MFP(203)에 요청되고, 포스트프레스 처리는 종국적으로 MFP(37)에 의해 실행될 필요는 없으므로, 불요한 처리가 생긴다. 따라서, EFM(92)은 작업 분산 처리가 수행될 수 없는 것으로 판정한다.
도 24a 및 도 24b는 각 EFM이 MIS 서버에 인쇄 작업이 분산된 인쇄 처리임을 통지하는 JDF의 일례를 나타낸다.
JDF(240)는 작업 분산 처리가 요청된 EFM(201)으로부터 JDF에 통지하는 JDF의 일례를 나타낸다. JDF(240)는 MFP(203)에 의해 어떠한 처리가 실행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감사(Audit) 정보(241)는 인쇄 작업에 관한 각종의 정보들을 기록한다. 작업 ID(242)는 인쇄 작업을 식별하는 정보이며, 작업 분산의 수(243)는 MFP(203)에 의해 실행되어야 할 작업 분산 부수를 나타낸다. JDF(240)는 MFP(203)가 프리프레스 처리(244)를 실행하지 않지만, 프리프레스 및 포스트프레스 처리는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JDF 구조를 채택한다.
JDF(246)는 MFP(37)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JDF이며, 작업 ID(248)은 작업 ID(242)와 동일한 정보를 기록한다. 따라서, MIS 서버에 의해, JDF(240)와 JDF(246)가 동일한 인쇄 작업에 대한 JDF라는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작업 분산 부수(249)는 MFP(37)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전체 부수를 나타낸다. 작업 분산의 수(243)와 작업 분산 부수의 수(249)의 총합이 작업 분산 처리 전의 JDF에 기술된, 처리되어야 하는 전체 부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MIS 서버는 다른 작업 분산 대상이 있다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다음, JDF(246)는 프리프레스 처리, 프레스 처리, 및 포스트프레스 처리가 컴바인드 처리에 기재되어 있고, 세 개의 처리가 MFP(37)에서 실행됨을 나타낸다. 덧붙여, 작업 분산 처리가 MFP(203)에 대하여 요청되므로, MFP(37)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부수는 감소된다.
도 25는 제2 실시예의 인쇄 작업이 외부 장치(예컨대, MFP(203))로 분산 처리되는 EFM(92)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50에서, EFM(92)은 MIS 서버로부터 JDF를 수신한다. 다음, 단계 S51에서, EFM(92)은 MFP 제어부(100)에 대하여 수신된 JDF의 지시에 따라 인쇄 작업의 처리를 개시할 것을 지시한다. 단계 S52에서, EFM(92)은 전체 부수에 대한 처리가 종료하였는지를 판정한다. 처리가 완료된 경우, 단계 S59로 진행하고,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단계 S53으로 진행한다. 단계 S50 내지 S52에 기재된 처리는 도 16a의 단계 S1 내지 S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므로, 그 처리의 상세는 생략한다.
단계 S53에서, EFM(92)은 MFP(37)가 작업 분산 인쇄 처리를 실행하여야 하는지를 판정한다. 작업 분산 처리가 수행되어야 하는지의 판정에 관하여, EFM(92)은 MIS 서버(20)와 통신하여, 예컨대, MIS 서버(20)에 의해 관리되는 스케줄이 MFP(37)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는 처리의 지연을 포함하는지가 판정되어, 작업 분산 처리의 필요성을 판정한다. 즉, 전술한 처리는 도 16a의 단계 S4에 기재된 처리와 유사하다.
단계 S53의 판정 처리에 기초하여, EFM(92)이 작업 분산 처리가 불요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예컨대, MIS 서버(20)에 의해 관리되는 스케줄이 아무런 지연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단계 S52로 복귀한다. EFM(92)이 작업 분산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예컨대, MIS 서버(20)에 의해 관리되는 스케줄이 지연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단계 S55로 진행한다. 덧붙여, 처리의 상세는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계 S55에서, EFM(92)은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지에 대하여 판정한다. 즉, 단계 S55의 처리가 도 16a의 단계 S9 및 도 18 에 기재된 바와 거의 동일하므로, 처리의 세부사항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MFP는 작업 분산 처리 대상으로서 기재되어 있지만, 예컨대, 니어라인 피니셔가 작업 분산 처리 목적지로서 설정될 수도 있으며, 피니싱 처리만이 작업 분산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S55의 처리의 세부사항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음, 단계 S56에서, EFM(92)은 단계 S55에서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존재하는지 판정하고, 단계 S57로 진행한다. EFM(92)이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단계 S52로 복귀하여, 작업 분산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다.
단계 S57에서, EFM(92)이 MIS 서버(20)에 작업 분산 처리가 외부 장치로 실행됨을 통지한다. 이 시점에서, 도 24a 및 도 24b는 MIS 서버가 통지 받는 JDF의 일례를 나타낸다. 상세하게는, EFM(92)의 인쇄 작업 제어부(115)는 도 24b에 나타낸 JDF(246)을 생성(또는 변경)하여 MIS 서버에 JDF를 통지한다.
다음, 단계 S58로 진행하여, EFM(92)은 포스트프레스 처리만이 작업 분산 처리에 해당하는지를 판정한다. 포스트프레스 처리만이 작업 분산 처리되는 경우, 분기 2로 진행한다. 이 경우의 처리는 도 2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포스트프레스 처리 단계와는 다른 프레스 처리 단계 등이 또한 작업 분산 처리되면, 분기 3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의 처리는 도 2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59에서, EFM(92)은 MIS 서버에 인쇄 작업의 종료를 통지한다.
도 25에 기재된 처리를 사용함으로써, EFM(92)는 인쇄 시스템에 접속된 장치 의 처리 기능을 파악한다. 작업 분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장치가 검출되는 경우, 작업 분산 처리용의 JDF가 생성(또는 변경)되어 작업 분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JDF에 기재된 설정이 유지되는 한편 처리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EFM(92)을 사용함으로써, 처리 도중 작업 분산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라도, 처리를 중지하지 않고서 작업 분산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도 26은 도 25에서 포스트프레스 처리만이 작업 분산 처리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흐름도이다. 즉, 도 23의 JDF(2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프리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가 MFP(37)에서 완료되고, 프레스 처리 및 포스트프레스 처리는 작업 분산 처리하고자 하지만, 프레스 처리는 작업 분산 방식으로 수행될 수 없는 경우의 처리 흐름의 예가 기재되어 있다.
단계 S60에서, MIS 서버로부터 수신된 JDF에 기초하여, EFM(92)은 MFP(203)에 대하여 작업 분산 처리를 요청하기 위한 JDF(210)를 생성한다. 여기서, 단계 S60의 생성 처리는 JDF에 대한 변경 처리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EFM(92)은 포스트프레스 처리만이 작업 변경 처리되는지 판정하고, EFM(92)의 인쇄 작업 제어부(115)는 포스트프레스 처리에 대한 작업 분산 처리를 요청하기 위한 JDF(210)을 변경한다. 또한, JDF가 생성되는 경우, EFM(92)는 분산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을 인식하여, 분산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에 기초한 작업 분산용 JDF를 새롭게 생성한다.
다음, 단계 S61에서, EFM(92)은 단계 S60에서 생성(또는 변경)된 JDF를 작업 분산 처리 요청 대상으로서 기능하는 외부 장치에 의해 소유되는 EFM(201)에 전송하여, 인쇄 작업에 대한 작업 분산 처리를 요청한다. 도 21은 이러한 경우의 일례 를 나타낸다. 도 26에서, 포스트프레스 처리만이 작업 분산 처리되고, 도 2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래스터 데이터(211)의 전송은 수행되지 않는다.
다음, 단계 S62에서, EFM(92)은 MFP(37)의 MFP 제어부(100)에 대하여 작업 분산 처리를 위해 작업 공정이 변경되도록 지시한다. 즉, 도 26에서, MFP 제어부(100)는 포스트프레스 처리 바로 전의 처리를 실행할 것을 지시받는다. 단계 S62의 처리를 기술하기 위하여, 이하의 일례가 주어진다. 도 25의 단계 S50에서 MIS 서버로부터 MFP(37)의 MFP 제어부(100)에 의해 수신되는 JDF는 10부에 대하여 프리프레스 처리로부터 포스트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가 MFP(37)에서 실행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포스트프레스 처리에 대하여 작업 분산 처리가 수행되며, 처리 부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EFM(92)은 MFP(37)에 10부에서 포스트프레스 처리에 대하여 작업 분산이 요청되는 부수를 감산한 부수에 대하여 처리를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EFM(92)으로부터의 작업 공정의 변경 지시에 따라서, MFP 제어부(100)는 포스트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와 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와의 교대 실행을 통해 MFP(37)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을 관리한다. EFM(92)은 MFP(203)에 대하여 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가 실행된 인쇄 작업의 포스트프레스 처리를 실행할 것을 요청한다. 그 후, MFP(37)의 MFP 제어부(100)는 EFM(92)에 의해 변경되는 작업 공정을 전술한 바와 같이 해석하고, 지시 내용에 따른 처리(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부수에 대한 포스트프레스 처리 바로 전의 처리)가 수행된다.
다음, 단계 S63에서, MFP 제어부(100)는 처리되어야 하는 인쇄 작업에서 MFP(37)에 의해 포스트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 또는 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가 수 행되어야 하는지를 판정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카피에 대한 절환 처리가 채택되어, 프레스 처리 전까지의 처리가 작업 분산 처리 개시 시부터 계수하여 홀수 부수에 대하여 수행되고, 포스트프레스 처리 전까지의 처리가 짝수 부수에 대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지시가 발행된다. 그 결과, 인쇄후 처리로부터 생기는 처리 부담을 분산시킬 수 있다. 즉, 단계 S63의 판정으로, 단계 S62에서 변경되는 작업 공정은 MFP 제어부(100)의 작업 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며, 그 내용은 기억부(10b)에 저장된다. MFP 제어부(100)에 저장된 작업 분산용 작업 공정을 참조함으로써, 포스트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의 실행과 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의 실행을 절환시킬 수 있다. 인쇄 원고가 출력될 때마다 MFP 제어부(100)에 의해 페이지를 계수함으로써 현재 어느 페이지가 처리중인지가 인식될 수 있다.
단계 S63에서, MFP 제어부(100)는 포스트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가 MFP(37)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판정하여, 단계 S64로 진행하고, 포스트프레스 처리까지의 인쇄 작업이 처리된다. MFP 제어부(100)가 포스트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가 MFP(37)에 의해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단계 S65로 진행한다.
단계 S65에서, MFP 제어부(100)가 인쇄 원고를 배지 트레이에 설정하는 지시를 발행한다.
다음, 단계 S66으로 진행하여, MFP 제어부(100)는 MFP(37)의 조작 패널상에 배지 트레이의 원고가 작업 분산 처리 대상으로 지정된 MFP(203)에 설정됨을 표시한다. 상세하게는, 작업 분산 처리 대상으로 설정된 정보(MFP(203)는 본 실시예에서 작업 분산 처리 대상으로 설정됨)가 기억부(10b)에 저장된다. 따라서, MFP 제 어부(100)가 기억부(10b)를 참조하는 때에, MFP(37)의 조작 패널상에 표시되어야 하는 작업 분산 처리 대상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에 표시된 지시에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MFP(37)의, 배지 트레이에 배출되는 인쇄 원고를 MFP(203)에 설정하여, MFP(37)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포스트프레스 처리가 MFP(203)의 인라인 피니셔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MFP(203)는 MFP(37)에 의해 처리되어야 했던 지시 내용을 포함하는 JDF를 수행하므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주문 내용을 반영하여 인쇄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67로 진행하여, EFM(92)은 전체 부수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처리가 완료된 경우, 단계 S69로 진행하여, 작업 종료를 MIS 서버에 통지한다. 전체 부수에 대한 처리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 단계 S68로 진행하여, 다음 카피에 대한 처리가 실행된다.
도 27은 포스트프레스 처리외의 처리가 또한 도 25의 작업 분산 처리에 대하여 포함되는 경우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즉, 도 23의 예 2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작업의 처리는 MFP(37)에서 프리프레스까지 종료되고, 프레스 처리 및 포스트프레스 처리가 작업 분산 처리되는 경우의 처리 흐름의 예를 설명한다. 흐름도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작업 분산 요청 발신자가 MFP(37)로 설정되며, 작업 분산 대상은 MFP(203)로 설정되지만, 본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하지 않는다.
먼저, 단계 S70에서, EFM(92)은 전술한 도 25의 단계 S55 및 S56의 처리에 기초하여 작업 분산 대상을 MFP(203)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EFM(92)은 작업 분산 대상이 후속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요청되는 MFP(203)에 대하여 분산 인쇄 요청 바 로 직전까지의 처리로 진행하도록 MFP(37)의 MFP 제어부(100)에 지시한다. 제2 실시예에서, MFP(37)는 프리프레스 처리까지의 처리를 실행하고, 프레스 처리와 포스트프레스 처리가 작업 분산 처리된다. 따라서, MFP(37)는 인쇄 내용 데이터인 PDL(131)로부터 프리프레스 처리를 거친 래스터 데이터(211)를 생성한다. 예컨대, 프리프레스 처리로서, 컬러 변환 처리와 조판(imposition) 처리를 예로 들 수 있다. MFP(37) 및 MFP(203)에서도 래스터 데이터가 사용되므로, 래스터라이즈된 후에, 래스터 데이터가 MFP(37)의 기억부(10b)에 저장되며, 래스터 데이터의 카피 데이터가 MFP(203)에 전송된다.
다음, 단계 S71에서, EFM(92)은 MFP(203)에 작업 분산을 요청하기 위하여 작업 분산 처리용의 JDF를 생성한다. 단계 S72에서, 단계 S71에서 생성된 JDF가 MFP(203)의 EFM(201)에 전송된다. 단계 S72에서, 분산 처리용으로 JDF를 생성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분산 처리용 JDF를 변경시키는 처리를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처리는 전술한 S60에 기재된 처리와 거의 동일하므로, 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단계 S71에서 전송된 작업 분산 처리용의 JDF의 일례는 도 22의 JDF(210)에 해당한다. 즉, JDF(210)에 기술된 바와 같이, 프리프레스 처리 지시는 "완료"이고, 컴바인드 처리 지시 내의 프레스 처리 지시와 포스트프레스 처리 지시를 포함하는 JDF가 생성되어, EFM(201)에 전송된다. 다음, EFM(201)이 JDF(210)를 해석하는 경우, MFP(203)의 MFP 제어부에는 MFP(37)로부터 수신된 래스터 데이터(211)를 사용하여 프레스 처리와 포스트프레스 처리를 실행하도록 지시된다. 또한, 단계 S72에서 MIS 서버로부터 수신된 JDF를 EFM(92)이 작업 분산 처리 를 요청하도록 변경시키는 것으로 기재되었지만, 본 그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하지 않는다. EFM(92)은 분산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을 인식하여 분산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에 기초한 JDF를 새롭게 생성할 수도 있다.
단계 S73에서, EFM(92)은 자기의 MFP(37)의 설정을 MFP(203)와 수행되는 작업 분산 처리용으로 변경한다. 예컨대, MFP(37)의 처리 성능이 MFP(203)의 것과 동일한 경우, 나머지 부수의 처리의 절반을 수행하도록 MFP(203)에 요청한다. MFP(37)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부수는 작업 분산 처리에 해당하는 부수만큼 감소된다. 작업 분산 대상의 처리 성능은 MIS 서버에 저장되므로, EFM(92)이 MIS 서버와 통신하는 때에 처리 성능이 취득될 수 있다. 작업 분산 대상으로 기능하는 외부 장치의 취득된 성능에 대비한 처리 성능에 기초하여 작업 분산 비율이 자동적으로 판정될 수도 있다. 당연히, 유저가 분산 비율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S74에서, MFP 제어부(100)가 현재 프레스 처리 또는 포스트프레스 처리중인 카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이러한 카피의 작업 처리는 끝까지 완료될 것이다. 상세하게는, MFP 제어부(100)의 통신부는 MFP(37)의 처리 상황을 파악하여, 현재 처리중인 인쇄 작업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단계 S75에서, MFP 제어부(100)는 작업 분산 요청후에 MFP(37)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부수(部數) 분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처리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단계 S76으로 진행하여, 다음 xx번째 카피의 처리를 수행한다. 그 후, 전체 부수에 대한 처리가 종료된 경우, 단계 S77로 진행한다. 또한, MFP 제어부(100)가 전체 부수에 대한 처리가 종료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MFP 제어부 (100)는 EFM(92)에 처리의 종료를 통지한다.
단계 S77에서, EFM(92)이 MFP 제어부(100)로부터 수신된 처리 종료의 통지를 확인한 후에, EFM(92)는 인쇄 요청 소오스인 MIS 서버(20)에 MFP(37)의 인쇄 작업 처리의 종료를 통지한다.
종료 통지를 접수한 MIS 서버(20)는 다음에 처리되어야 하는 JDF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처리되어야 하는 JDF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MIS 서버는 JDF를 EFM(92)에 전송하여 다음의 처리를 실행한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처리들을 사용함으로써, MFP의 처리를 중단함이 없이, 작업 분산 대상의 처리 능력에 따라 동적으로 분산 처리의 요청 내용을 변경 작업(분산 대상의 MFP가 포스트프레스 처리만을 행할지, 또는 프레스 및 포스트프레스 처리를 행할지)할 수 있다.
도 28은 도 25의 흐름도의 단계 S53에서 EFM(92)이 MFP(37)에서 현재 처리중인 인쇄 작업에 작업 분산 처리를 적용할지를 판정하는 처리 흐름을 나타낸다.
먼저, 단계 S80에서, EFM(92)은 MIS 서버로부터 작업 큐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81에서, EFM(92)은 MFP(37)에서 다음 처리될 것으로 예정된 JDF가 작업 큐에 이미 큐잉되어 있는 상황에서 스케줄링된 인쇄 작업 개시 시간 후일지라도 처리가 개시되지 않은 JDF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상세하게는, MIS 서버의 기억부는 처리되어야 할 JDF의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EFM 제어부(112)가 EFM(92)의 현황 송수신부(111) 및 NIC 부(116)를 통해서 수신된 스케줄 정보를 해석하는 경우, EFM(92)은 단계 S81에서 판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81에서, EFM(92)이 MIS 서버에 그 처리 개시 시간이 도래한 JDF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단계 S82로 진행한다. EFM(92)이 그 처리 개시 시간이 도래한 JDF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작업 분산 처리는 불요하며, 도 25의 단계 S54에서 작업 분산 처리가 수행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정된다.
다음, 단계 S82에서, EFM(82)이 MFP(37)의 작업 처리 정보를 취득하여, 피니싱 처리 대기가 발생하는지를 인식한다. 단계 S82에서의 판정 처리의 일례로서, MFP 제어부(100)가 MFP(37) 본체의 처리 속도(한 부의 인쇄 원고가 인쇄 출력되어, 피니셔에 운반될 때까지의 처리 시간)가 피니셔의 처리 속도(인쇄원고를 후처리하는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피니싱 처리 대기가 발생하는지를 체크한다. EFM(92)은 MFP(37)의 처리 상황에 대한 정보를 MFP 제어부(100) 내의 통신부(121)를 통하여 취득할 수 있다. 다음, MFP 제어부(100)에 의해 취득된 정보(MFP 본체의 처리 속도가 피니셔의 처리 속도를 초과하고, 피니싱 처리 대기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EFM(92)에 대하여 통지함으로써 단계 S82의 처리가 실현된다.
단계 S82의 처리에 따르면, 단계 S83에서 EFM(92)이 피니싱 처리 대기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 MFP(37)에서 처리중인 인쇄 작업은 작업 분산 처리되어야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단계 S83에서 EFM(92)이 피니싱 처리 대기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작업 분산 처리는 수행되지 않는다. 도 28에서 작업 분산 처리의 실행은 피니싱 처리 대기가 발생하는지에 의존하지만, 도 2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MIS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스케줄 지연의 발생이 실현되어, 이에 의해 작업 분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은 작업 분산 처리의 실행을 판정하는 예들이지만, 본 구성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도 29는 도 25의 흐름도의 단계 S55에서 EFM(92)이 현재 처리중인 인쇄 작업을 대신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있는지를 판정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다. 본 흐름도에서도 분산 처리 대상로서 MFP를 상정하고 있지만, 본 구성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먼저, 단계 S90에서, EFM(92)은 MIS 서버로부터 MFP(37)가 속하는 인쇄 시스템 내에 있는 다른 MFP(본 실시예에서는 MFP(203))에 의해 어떠한 처리가 실행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외부장치 용량정보를 취득한다. 상세하게는, MIS 서버(20)는 인쇄 시스템 내에 속하는 디바이스의 정보(외부장치 용량정보)를 저장하므로, EFM(92)이 MIS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단계 S90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단계 S91에서, EFM(92)은 MFP(37)에서 처리중인 작업 공정 중에 MFP(203)에서 작업 분산 처리될 수 있는 작업 공정이 있는지를 판정한다. 상세하게는, EFM(92)은 JDF로부터의 해석 내용을 기억부(10b)에 저장하며, 처리중인 인쇄 작업이 실행되어야 할 작업 공정이 파악된다. 따라서, 단계 S90에서 취득된 외부장치 용량정보와 파악된 작업 공정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단계 S91의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일례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EFM(92)이 JDF에 기술된 포스트프레스 처리로서 "한 부 단위로 스테이플 처리"라는 정보를 파악하고 있는 경우, 외부장치 용량정보로서 "스테이플 처리 가능"이라는 정보가 기술된 디바이스가 있으면, 작업 분산 처리될 수 있는 작업 공정으로 판정한다.
이어서, 단계 S92에서는, 단계 S91에서의 판정 결과에 따라, EFM(92)이 작업 분산 처리될 수 있는 작업 공정이 없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작업 분산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가 없는 것으로 판정된다. 한편, EFM(92)이 작업 분산 처리될 수 있는 작업 공정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93으로 진행한다.
다음, 단계 S93에서는, EFM(92)이 MFP(203)에 작업 분산 처리를 요청하기 위한 JDF를 생성(또는 변경)한다. 그 방법은 단계 S91에서 체크된 작업 분산 처리 대상으로 기능하는 MFP에서 대신 수행될 수 있는 작업 공정 가운데, 최후의 공정으로부터 연속하여 공정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된다. 상세하게는, EFM(92)은 현재 처리중인 인쇄 작업의 작업 공정을 파악한다. 상기 작업 공정 가운데, 최후의 작업 공정으로부터 연속하여 작업 분산 처리 대상으로 기능하는 MFP에서 대신 수행될 수 있는지가 판정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MFP(37)에서 최후에 처리되는 작업 공정은 포스트프레스이다. 따라서, EFM(92)은 포스트프레스 처리가 MFP(203)에서 처리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EFM(92)이 단계 S90에서 취득한 MFP(203)의 외부장치 용량정보와 현재 처리중인 인쇄 작업에서의 포스트프레스 처리에서 필요한 기능을 비교한다. 그 결과, EFM(92)이 MFP(203)가 소유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포스트프레스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 포스트프레스 처리가 분산처리를 위해 요청될 수 있다고 판정하여, 일시적으로 기억부(10b)에 저장된다. 이 판정 처리를 프레스 및 프리프레스와 연속하여 수행함으로써, 분산되어야 할 작업 공정을 연속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리프레스 처리와 포스트프레스 처리가 작업 분산 처리될 수 있는 작업 공정에 해당하고, 프레스 처리가 작업 분산 처리될 수 없는 작업 공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포스트프레스 처리로부터 프리프레스 처리까지 연속하여 될 수는 없으며, 포스트프레스 처리만이 작업 분산 처리될 수 있는 작업 공정에 해당한다. 따라서, EFM(92)은 포스트프레스 처리만이 작업 분산이 요청되는 작업 공정으로 설정되도록 JDF를 생성(또는 변경)한다.
다음, 단계 S94로 진행하여, EFM(92)은 작업 분산 처리용의 JDF에 기술되어 있는 작업 공정이 EFM(201)에 의해 지원되는 JDF 버전의 범위 내인지를 체크한다. 즉, EFM(92)이 EFM(201)과 통신하여, EFM(20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버전의 정보를 취득하여, 단계 S94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단계 S95로 진행하여, 단계 S94의 체크 결과에 기초하여, EFM(92)이 EFM(201)의 지원가능한 버전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즉, 요청 대상인 EFM(201)이 작업 분산 처리용의 JDF에 기술되어 있는 작업 공정의 지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 MFP(203)는 디바이스가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고 판정한다. 한편, 요청되어야 할 JDF의 지시 내용의 버전이 EFM(201)에 의해 지원될 수 없는 것으로 EFM(92)이 판정하는 경우, MFP(203)는 작업 분산을 취급할 수 없는 디바이스로 판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JDF를 변경 또는 생성하는 처리는 소정의 조건에서 작업 대행/분산 처리를 요청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현재 인쇄 작업을 처리중인 MFP(37)의 처리 상황에 따라, EFM(92)이 MFP(37)에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FP(37)가 인쇄전 처리(프리프레스 처리), 인쇄 처리(프레스 처리), 인쇄후 처리(포스트프레스 처리 또는 피니싱 처리)를 실행하도록 명령된 다. 그러나, 처리 상황에 따라, EFM(92)이 MFP 제어부(100)에 대하여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을 변경하도록 지시한다. 이하, 구체적인 예로서 설명한다. EFM(92)은, MFP(37)에 의해 실행되어야 할 프레스 처리 및 포스트프레스 처리에 작업 분산을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스 처리 및 포스트프레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예컨대, MFP(203))에 대하여 작업 분산 요청을 발행한다. 그 결과, MFP(37)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이 작업 분산 처리되는 작업 공정으로 변경된다.
본 명세서에서, MFP와 EFM이 각각 NIC부를 갖도록 구성되었지만, NIC 부를 공유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JDF 내에는 프리프레스 처리, 프레스 처리, 및 포스트프레스 처리의 3종류의 처리가 기록되었지만, 다른 종류의 작업 공정이 기록될 수도 있다. 또한, 프리프레스 처리에서, 내부 처리로서 컬러 변환 처리 및 조판(imposition) 처리 등의 복수의 작업 공정이 기록될 수 있으며, 기타의 처리들도 마찬가지인 것은 두 말할 필요 없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EFM과 포스트프레스 서버가 작업 대행 가능성을 판정하는 처리를 수행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MIS 서버가 작업 대행 가능성을 판정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도 18의 단계 S30에서의 니어라인 피니셔 등의 외부 장치의 용량 정보의 취득은, 인쇄 시스템의 부팅시에 MIS 서버로부터 EFM에 정보의 송신을 통해 EFM에 의해 관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처리중에서도 작업 분산 또는 작업 대행을 통해 작업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 시스템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라 EFM에 의해 실행 될 수 있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수신부(3001)는 작업 공정을 포함하는 작업 티켓 및 묘화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3001)는 묘화 데이터 및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을 포함하는 인쇄 처리 정보를 수신한다.
제1 판정부(3002)는 화상 처리 장치에서의 처리 상황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이 변경되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제1 판정부(3002)는 수신된 묘화 데이터의 처리 상황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이 변경되는지를 판정한다.
제2 판정부(3003)는, 제1 판정부가 화상 처리 장치에서의 작업 공정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작업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와는 다른 외부 장치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제2 판정부(3003)는, 제1 판정부가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작업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생성부(3004)는, 제2 판정부가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외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작업 공정을 외부 장치에서 수행하도록 작업 티켓을 생성한다.
송신부(3005)는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작업 티켓을 송신한다.
배출부(3006)는 작업 티켓에 기초한 처리를 통해 묘화 데이터가 인쇄되는 인쇄 원고를 배출한다.
변경부(3007)는,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 중에 적어도 하나의 작업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외부 장치가 외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작업 공정을 수행하도록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을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처리 장치는 인쇄 처리 상황 및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장치에 관한 정보(예컨대, 니어라인 피니셔 또는 그 외의 MFP 등)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처리가 개시된 후에도, 그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피니싱 작업 등의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을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른 디바이스가 대신 수행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지 판정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처리 장치의 원고에 인쇄가 이미 수행된 인쇄 작업에 대하여, 원고의 운반 대상이 배지 트레이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처리중인 인쇄 작업으로부터 작업 대행 처리가 개시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타이밍에서 화상 처리 장치로부터 네크워크 에 접속된 외부 장치(예컨대, 니어라인 피니셔 또는 기타의 MFP)에 작업 분산 또는 작업 대행 처리가 개시되는 경우, 작업 대행/분산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표시하고, 작업 대행/분산 처리 대상의 디바이스 명을 표시하고, 작업 대행/분산 처리의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표시하고, 작업 대행/분산 처리의 수순을 표시함으로써 조작자에 의한 작업에 있어서 조작 실수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 요청이 발행된 화상 처리 장치에 탑재된 인쇄후 처리 장치(인라인 피니셔)에서 에러 또는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또는 복수의 인쇄후 처리 장치(니어라인 피니셔)가 피니싱 작업 부담을 대신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에러로 인해 처리를 중단함이 없이 인쇄 작업이 계속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기재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제공하여, 그 시스템 및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가 기억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성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실시예들에 기재된 기능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에 의해 실현되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 기재된 기능은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드며,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 기재된 기능들은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 상에서 운영되는 운영체제(OS)에 의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또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카드 또는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된 기억 매체에 기입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기능 확장 카드 또는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된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하여,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기재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가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되어 시스템 또는 장치의 하드 디스크 또는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 CD-RW, CD-R 등의 기억매체에 저장되고,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가 상기 기억 유닛 또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균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 최광의(最廣意)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0)

  1. 작업 티켓에 기재된 작업 공정들에 기초하여 묘화 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작업 티켓 및 묘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 상황에 기초하여 변경되는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수단;
    상기 제1 판정 수단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작업 공정들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와는 다른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수단; 및
    상기 제2 판정수단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상기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작업 공정들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작업 티켓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판정 수단은, 상기 스케줄 정보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상기 처 리 상황을 비교하여,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가 지연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와 통신가능하며,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작업 티켓의 작업 공정들을 취득할 수 있는 인쇄후(postprint) 처리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작업 티켓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티켓에 기초한 처리를 통해 상기 묘화 데이터가 인쇄된 인쇄 원고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수단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 우, 상기 인쇄 원고들 중 나머지의 배출 목적지가 변경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인쇄 원고를 배출하며, 상기 인쇄 원고에 실행되는 인쇄후 처리의 내용이 기재된 작업 티켓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도 배출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수단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에 대하여 상기 화상 처리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 티켓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수단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을 계속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 티켓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수단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인쇄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하도록 모든 부수의 인쇄 원고의 배출 목적지를 변경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
  11. 묘화 데이터 및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을 포함하는 인쇄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묘화 데이터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상기 묘화 데이터 및 처리되어야 하는 상기 작업 공정들을 포함하는 인쇄 처리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묘화 데이터의 처리 상황에 따라 변경되는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수단;
    상기 제1 판정 수단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수단; 및
    상기 제2 판정 수단이 상기 작업 공정들을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작업 공정들을 실행하도록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는 작업 공정들을 변경시키는 변경 수단
    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스케줄을 나타내는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판정 수단은 상기 스케줄 정보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 상황을 비교하여,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가 지연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득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묘화 데이터가 인쇄된 인쇄 원고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15. 상기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수단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배출 원고들 중 나머지의 배출 목적지가 변경되는 화상 처리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인쇄 원고를 배출하고, 상기 인쇄 원고 상에서 실행되는 인쇄후 처리의 내용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도 배출하는 화상 처리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수단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을 상기 화상 처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 공정들로 변경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수단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을 상기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변경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수단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인쇄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하도록 모든 부수의 인쇄 원고의 배출 목적지를 변경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
  20. 작업 티켓에 기재된 작업 공정들에 기초하여 묘화 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작업 티켓과 묘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 상황에 기초하여 변경되는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
    상기 제1 판정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작업 공정들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와는 다른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 및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상기 제2 판정 단계에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작업 공정들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작업 티켓을 생성 하는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판정 단계는, 상기 스케줄 정보를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 상황과 비교하여,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가 지연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작업 티켓의 작업 공정들을 취득할 수 있는 인쇄후 처리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작업 티켓을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티켓에 기초한 처리를 통해 상기 묘화 데이터가 인쇄된 인쇄 원고를 배출하는 배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인쇄 원고들 중 나머지의 배출 목적지가 변경되는 화상 처리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단계는, 상기 인쇄 원고를 배출하는 것과, 상기 인쇄 원고 상에 실행되는 인쇄후 처리의 내용이 기재된 작업 티켓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를 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에 대하여 상기 화상 처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 티켓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 티켓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인쇄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하도록 모든 부수의 인쇄 원고의 배출 목적지를 변경시키는 화상 처리 방법.
  30. 묘화 데이터 및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을 포함하는 인쇄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묘화 데이터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묘화 데이터 및 처리되어야 하는 상기 작업 공정들을 포함하는 인쇄 처리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수신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수신되는 상기 묘화 데이터의 처리 상황에 따라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이 변경되는 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
    상기 제1 판정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 및
    상기 제2 판정 단계에서 상기 작업 공정들을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작업 공정들을 실행하도록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는 작업 공정들을 변경시키는 변경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스케줄을 나타내는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판정 단계는, 상기 스케줄 정보를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상기 처리 상황과 비교하여,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가 지연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득할 수 있는 화상 처리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묘화 데이터가 인쇄된 인쇄 원고를 배출하는 배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인쇄 원고들 중 나머지의 배출 목적지가 변경되는 화상 처리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단계는 상기 인쇄 원고를 배출하고, 상기 인쇄 원고에 실행된 인쇄후 처리의 내용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를 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 우,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을 상기 화상 처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 공정들로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을 계속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 공정들을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인쇄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가 작업 분산 처리를 수행하도록 모든 부수의 인쇄 원고의 배출 목적지를 변경시키는 화상 처리 방법.
  39. 묘화 데이터 및 처리되어야 하는 복수의 작업 공정들을 포함하는 인쇄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묘화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쇄 처리 장치 및 외부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묘화 데이터 및 처리되어야 하는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들을 포함하는 상기 인쇄 처리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에 따라서 상기 묘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 및
    상기 화상 처리 장치와는 다른 외부 장치가 상기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는 상기 작업 공정들을 변경시키는 변경 수단
    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40. 묘화 데이터 및 처리되어야 하는 복수의 작업 공정들을 포함하는 인쇄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묘화 데이터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묘화 데이터 및 처리되어야 하는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들을 포함하는 상기 인쇄 처리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들에 따라 상기 묘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단계; 및
    상기 화상 처리 장치와는 다른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작업 공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는 작업 공정들을 변경시키는 변경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KR1020060037564A 2005-04-26 2006-04-26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시스템 KR100776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27899 2005-04-26
JP2005127899A JP4533228B2 (ja) 2005-04-26 2005-04-26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235A KR20060112235A (ko) 2006-10-31
KR100776439B1 true KR100776439B1 (ko) 2007-11-16

Family

ID=3669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564A KR100776439B1 (ko) 2005-04-26 2006-04-26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68238B2 (ko)
EP (1) EP1717692B1 (ko)
JP (1) JP4533228B2 (ko)
KR (1) KR100776439B1 (ko)
CN (1) CN18549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3235B2 (ja) * 2006-12-04 2012-07-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315167B2 (ja) * 2006-05-17 2009-08-1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080158599A1 (en) * 2006-12-27 2008-07-03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 support system, print support program, and print support method
US20080180745A1 (en) * 2007-01-30 2008-07-3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operational control method
US20080186528A1 (en) * 2007-02-01 2008-08-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 statistics reporting
EP2040164B1 (en) * 2007-03-23 2017-06-21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Operation control program, operation control method, image formation device, and memory resource allocation method
US20080307296A1 (en) * 2007-06-08 2008-12-11 Jose Elwin Simon Maglanque System and method for pre-rendering of combined document pages
JP2009151672A (ja) 2007-12-21 2009-07-09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797562B2 (en) * 2008-03-05 2014-08-05 Ricoh Production Print Solutions LLC Page level recovery on print jobs for production printing systems
US8159688B2 (en) * 2008-03-05 2012-04-17 Xerox Corporation Autom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epress workflow processing
JP5043745B2 (ja) 2008-05-08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164663B2 (ja) * 2008-05-09 2013-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ジョブ管理装置、印刷ジョブ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368921B2 (en) * 2008-05-09 2013-02-05 Ricoh Company, Ltd. JDF processing in a printing system
US8848232B2 (en) * 2008-09-29 2014-09-30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performing prepress operations using a shell document
JP5506245B2 (ja) * 2009-05-28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0051952B4 (de) * 2009-12-11 2022-01-20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Analyse Farbauszüge
JP2011165009A (ja) * 2010-02-10 2011-08-25 Canon Inc 印刷ジョブ管理装置及び印刷ジョブ管理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BR112012029164A2 (pt) * 2010-05-17 2017-02-21 Hewlett Packard Indigo Bv sistema de impressão, sistema de linha de acabamento e método para imprimir com acabamento em linha
JP5782725B2 (ja) * 2011-02-03 2015-09-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
JP5333508B2 (ja) * 2011-04-22 2013-11-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ジョブ実行方法およびジョブ実行プログラム
JP5721530B2 (ja) 2011-05-12 2015-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を制御する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82848B2 (ja) * 2011-06-14 2015-09-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DE102011112076A1 (de) * 2011-09-01 2013-03-07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Druckproduktes
DE102012103679A1 (de) * 2012-04-26 2013-10-31 Manroland Web Systems Gmbh Produktionsplanungs- und Produktionssteuerungssystem einer Digitaldruckmaschine und mindestens einer der Digitaldruckmaschine nachgelagerten Weiterverarbeitungseinrichtung
US8797604B2 (en) * 2012-08-24 2014-08-05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structural documents
WO2014202138A1 (en) * 2013-06-19 2014-12-24 Hewlett-Packard Indigo B.V. Ranking print jobs based on transfer media healthy area
EP3182272A1 (en) * 2015-12-15 2017-06-21 Ricoh Company, Ltd. Service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6880896B2 (ja) * 2017-03-24 2021-06-0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7095423B2 (ja) * 2018-06-11 2022-07-05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印刷工程管理装置及び印刷工程管理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045A (ko) * 2001-07-06 2003-01-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 제어 장치, 인쇄 방법, 및 인쇄 제어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634A (ja) * 1992-07-17 1994-02-10 Canon Inc 印刷装置
JPH07168482A (ja) * 1993-12-15 1995-07-04 Ricoh Co Ltd 複写管理装置
JP3462926B2 (ja) * 1995-03-09 2003-11-05 株式会社リコー 複写管理システム
JP3462925B2 (ja) * 1995-03-09 2003-11-05 株式会社リコー 複写管理システム
JP3639685B2 (ja) * 1997-01-31 2005-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
JP2000001008A (ja) 1998-06-18 2000-01-07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通信装置
US6549299B1 (en) * 2000-03-17 2003-04-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Integrated document creation and finishing using standalone finishing devices
US20020194245A1 (en) * 2001-06-05 2002-12-19 Simpson Shell S. Job ticket service
JP2003029482A (ja) 2001-07-17 2003-01-29 Canon Inc 画像出力管理装置、画像形成装置、排紙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3288200A (ja) * 2002-03-28 2003-10-10 Canon Inc 印刷システム
JP3894303B2 (ja) * 2002-03-29 2007-03-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プリント注文受け付けシステム
US7567360B2 (en) * 2003-03-27 2009-07-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JP4819317B2 (ja) * 2003-03-27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ジョブ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045A (ko) * 2001-07-06 2003-01-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 제어 장치, 인쇄 방법, 및 인쇄 제어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54918B (zh) 2012-09-05
US20060238803A1 (en) 2006-10-26
JP4533228B2 (ja) 2010-09-01
CN1854918A (zh) 2006-11-01
EP1717692B1 (en) 2018-07-04
KR20060112235A (ko) 2006-10-31
US8068238B2 (en) 2011-11-29
EP1717692A2 (en) 2006-11-02
JP2006309319A (ja) 2006-11-09
EP1717692A3 (en)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439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시스템
JP5164663B2 (ja) 印刷ジョブ管理装置、印刷ジョブ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599431B2 (en) Print-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int-data processing method
US8368922B2 (en) Job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and program
JP4566679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6893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10302B2 (ja) 印刷システム、工程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7248398B2 (ja) 印刷管理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476406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
US200702335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rkflow generating method, and workflow generating program
JP5210208B2 (ja) 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52513A (ja) 印刷制御プログラム、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5587145B2 (ja) クライアント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製本システム
US8711387B2 (e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int management program, print management device, print management method, and print system
JP4047031B2 (ja) 印刷制御装置及び方法
JP2010049345A (ja) 印刷システム
JP200621575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111862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5264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後処理装置ならびに印刷処理システム
JP2007164319A (ja)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ジョブ処理方法、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