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903B1 -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및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 - Google Patents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및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903B1
KR100756903B1 KR1020010007262A KR20010007262A KR100756903B1 KR 100756903 B1 KR100756903 B1 KR 100756903B1 KR 1020010007262 A KR1020010007262 A KR 1020010007262A KR 20010007262 A KR20010007262 A KR 20010007262A KR 100756903 B1 KR100756903 B1 KR 100756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ol
wire enamel
metal oxide
silicon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627A (ko
Inventor
키쿠치히데유키
테쓰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히다찌 케이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케이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히다찌 케이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82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B3/38 or H01B3/302
    • H01B3/305Polyamides or polyesteram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metallic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B3/38 or H01B3/302
    • H01B3/306Polyimides or polyesterim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535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with additional, spatially distinct nonmetal component
    • Y10T428/12583Component contains compound of adjacent metal
    • Y10T428/1259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535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with additional, spatially distinct nonmetal component
    • Y10T428/12611Oxide-containing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66O, S, or organic compound in metal component
    • Y10T428/12667Oxide of transition metal or 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674Ge- or Si-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7Rod, strand, filament or fiber includ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ulate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10T428/2942Plural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10T428/2942Plural coatings
    • Y10T428/2947Synthetic resin or polymer in plural coatings, each of different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10T428/2942Plural coatings
    • Y10T428/2949Glass, ceramic or metal oxide in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10T428/2951Metal with weld modifying or stabilizing coating [e.g., flux, slag, producer, etc.]
    • Y10T428/2955Silicic material in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10T428/2958Metal or metal compound in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과 실리콘 산화물 미세입자졸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입자졸이 분산되고, 금속산화물 미세입자 및 실리콘 산화물 미세입자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입자의 3 내지 100 중량부가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마다 포함된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무기 미세입자의 우수한 분산성을 갖는 그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얻을 수 있다.
내부분 방전성, 에나멜합성물, 마그넷 와이어, 미세입자졸, 윤활 도포층

Description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및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PARTIAL DISCHARGING-RESISTANT WIRE ENAMEL COMPOSITION AND PARTIAL DISCHARGING-RESISTANT MAGNET WIRE}
도 1은 종래의 무기 절연물 위에 도포된 폴리아미드이미드-분산 마그넷 와이어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무기 절연물 아래에 도포된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무기 절연물 위에 도포된 폴리아미드이미드-분산 마그넷 와이어의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내부분 방전성 에나멜 와이어 단면도,
도 4는 실시예 3의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 위에 도포된 윤활(lubricant) 폴리아미드이미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체
2 : 하부 폴리아미드이미드 도포층
3 : 무기 절연물-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
4 : 상부 폴리아미드이미드 도포층
10 : 실리카-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
11 : 상부 윤활 폴리아미드이미드 도포층
본 발명은 내부분 방전성(partial discharging-resistant)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및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 절연물의 부분 방전 열화 메카니즘은, 부분 방전에 의해 발생된 충전 입자들이 절연물과 충돌하고, 이 충돌로 그 절연물의 폴리머 사슬이 절단되고, 스퍼터링 및 국부 온도로 인한 열분해가 일어나고, 또한, 부분 방전에 의해 발생된 오존(ozone)으로 절연물의 화학적 열화 등이 일어나며, 결국 이들 열화의 진행으로 전기 기계 코일의 절연 파괴가 일어난다고 가정한다.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버터 제어장치에서의 부분 방전 열화는, 고전압 서지가 스위치 펄스로서 첨가되는 현상이 일어나서, 인버터 제어장치 코일의 열화를 일으킨다고 가정한다.
이와 반대로, 몰드 절연 또는 층간절연층 절연으로 처리된 범용 고전압 변환기에서의 부분 방전 열화는, 절연층에서 발생된 미세한 공동에 의해 일어난다.
부분 방전에 의해 쉽게 열화되지 않는 절연물로서, 산화물, 질화물, 유리, 운모 등과 같은 무기 절연물이 알려져 있다.
또한, 우수한 내부분 방전 열화성(partial discharge deterioration-resistance)을 갖는 마그넷 와이어로서, 실리카(silica), 알루미나, 티타늄 산화물 등과 같은 무기 절연물 미세 분말을 분산시켜서 준비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도포하여서 생산한 것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에 있어서, 절연물 도포에서 무기 절연물 미세 분말의 함량이 크면 클수록, 내부분 방전 열화성의 개선이 커진다.
그러나, 절연물 도포에서 대량의 무기 절연물 미세 분말을 함유한 마그넷 와이어에서, 가요성(flexibility), 유연성(softening property), 굴곡성(winding property), 연신성(extensibility) 등이 저하된다. 이 열화된 가요성, 유연성, 굴곡성, 연신 등을 갖는 마그넷 와이어에 의해 전기 기계 코일을 형성할 경우, 많은 크랙이 마그넷 와이어의 도포시에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분 방전 열화성을 개선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수 없다.
다층 구조를 갖는 무기 절연물-분산 마그넷 와이어는 내부분 방전 열화성의 개선 및 가요성, 유연성, 굴곡성, 연신 등의 개선을 만족시키는데 사용된다.
도 1 및 2는 다층 구조를 갖는 무기 절연물-분산 마그넷 와이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2에서, 1은 도체(conductor)를 나타내고, 2는 하부 폴리아미드이미드 도포층(polyamideimide under coating layer)을 나타내고, 3은 무기 절연물-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나타내고, 4는 상부 폴리아미드이미드 도포층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다층 구조를 갖는 무기 절연물-분산 마그넷 와이어는 도체(1), 도체(1) 위에 형성된 무기 절연물-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3), 이 무기 절연물-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3) 위에 형성된 상부 폴리아미드이미드 도포층(4)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다층 구조를 갖는 무기 절연물-분산 마그넷 와이어는, 도체(1), 도체(1) 위에 형성된 하부 폴리아미드이미드 도포층(2), 이 하부 폴리아미드이미드 도포층(2) 위에 형성된 무기 절연물-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3) 및 그 무기 절연물-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3) 위에 형성된 상부 폴리아미드이미드 도포층(4)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기 마그넷 와이어에서, 대량의 무기 절연물은 무기 절연물-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3)에 분산되고나서, 가요성, 유연성, 굴곡성, 연신 등은 일반 에나멜 와이어의 것들보다 당연히 못하다. 예를 들면, 이들 마그넷 와이어를 10% 연장 후 감을 경우, 크랙이 그 무기 절연물-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3)에 형성된다.
또한, 대량의 무기 절연물이 분산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 있어서, 무기 절연물의 침전 또는 표백의 결과로서, 마그넷 와이어의 표면 매끄러움 저하의 우려가 나타나고, 내전기 절연성 및 기계적 특성에서 감소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의거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무기 절연물의 우수한 분산성을 갖는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과 가요성 및 내부분 방전 열화성을 갖는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은,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sol)과 실리콘 산화물 미세입자졸의 군(group)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입자졸이 분산되고, 상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이 와이어 에나멜수지의 100중량부와 금속산화물 미세입자 및 실리콘 산화물 미세입자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입자의 3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는, 도체 위에 직접 또는 다른 도포층을 통하여 도포 및 베이킹하여서 얻어지되,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과 실리콘 산화물 미세입자졸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입자졸이 분산된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이 와이어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와 금속산화물 미세입자 및 실리콘 산화물 미세입자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입자의 3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마그넷 와이어이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산화물 미세입자 및 실리콘 산화물 미세입자의 군에서 선택된 미세입자의 함량이,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의 와이어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 당 3 내지 100 중량부가 있다. 그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부분 방전 열화를 향상시키는 효과는 불충분할 것이고, 100 중량부를 넘을 경우는, 가요성 및 내연신성이 저하할 것이다.
본 발명의 미래는, 와이어 에나멜합성물과 우수한 상용성을 갖는 분산 매질과 이에 분산된 금속산화물 미세입자 및 실리콘 산화물 미세입자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투명한 또는 유백광을 내는 콜로이드(이 콜로이드를 졸이라 칭함)는,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 분산되어 미세입자의 균일한 분산을 이룬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평균 입자 크기가 100nm(100×10-9mm) 또는 그 이하인 금속산화물 미세입자 또는 실리콘 산화물 미세입자의 사용이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의 매끄러움 또는 가요성을 실현하는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그넷 와이어에 있어서,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 및 실리콘 산화물 미세입자졸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입자졸이 분산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로 구성된 도포층을 최외각층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마그넷 와이어의 다른 국면은, 마그넷 와이어에게 있어서 우수한 활주성을 나타내는 윤활 도포층을 본 발명의 와이어 에나멜합성물로 이루어진 도포층 둘레에 형성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및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의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서는, 구리선, 알루미늄선, 니켈선 등을 도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와이어 에나멜 재료는, 예를 들면, 포르말(formal)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폴리에스테르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폴리에스테르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폴리아미드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폴리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등을 포함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모든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은,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의 우수한 분산성을 갖고 내부분 방전성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되, 예를 들면, 알루미나 미세입자졸, 지르코니아(zirconia) 미세입자졸, 티타니아(titania) 미세입자졸, 이트리아(yttria) 미세입자졸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 실리콘 산화물 미세입자졸은, 예를 들어, 실리카 미세입자졸이 있다. 또한, 이들 졸은 용매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 또는 실리콘 산화물 미세입자졸용 분산 매질은,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 우수한 용해도를 지닌 것으로, 예를 들면, 물, 메탄올,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메틸 에틸 이소부틸 케톤, 크실렌/부탄올 혼합 용매 등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금속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이 미세입자 조건에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로 분산되는 경우, 금속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이 그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서 와이어 에나멜수지 함량의 50 중량부 또는 그 이상의 100 중량부 마다의 양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에나멜 와이어의 내부분 방전 열화성은 개선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금속산화물 미세입자 또는 실리콘 산화물 미세입자의 양이 3 중량부일지라도 내부분 방전 열화성을 향상시키는데 현저한 영향을 준다. 그 이유는,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 또는 실리콘 산화물 미세입자졸을 와이어 에나멜합성물로 분산하여서, 균일한 분산성을 나타낸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얻고, 도체 위에 이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도포하여서 우수한 연신과 내부분 방전 열화성을 갖는 내부분 방전성 에나멜 와이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는, 우수한 연신 및 내부분 방전 열화성에 추가하여 외관, 밀착성(close adherence), 가요성 등과 같은 우수한 여러 가지 특성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에 있어서, 하부 도포층 또는 상부 도포층은 없어도 된다. 물론,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 아래 또는 위에 하부 도포층 또는 상부 도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에서 자체 윤활 도포층(self lubricating coating layer)을 최외각층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비교예와 함께 본 발명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겠다.
(실시예 1)
실리카 졸(분산 매질 : 크실렌/부탄올, 실리카의 평균 입자 크기 : 12nm)을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변성 폴리에스테르 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 첨가하고, 교반하고 혼합하여 와이어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 당 실리카 미세입자의 20 중량부를 포함한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얻었다.
그 결과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7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서 1.0mm의 직경인 구리 도체 위에 첨가하여 35㎛ 두께의 실리카 미세입자졸-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도 3은 상기와 같이 얻어진 실시예 1의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 1은 도체를 나타내고, 10은 미세입자졸-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나타낸다.
(실시예 2)
실리카 졸(분산 매질 : 크실렌/부탄올, 실리카의 평균 입자 크기 : 12nm)을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변성 폴리에스테르 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 첨가하고, 교반하고 혼합하여 와이어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 당 실리카 미세입자의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얻었다.
그 결과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7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 1.0mm의 직경인 구리 도체 위에 첨가하여, 35㎛ 두께의 실리카 미세입자졸-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실시예 3)
실리카 졸(분산 매질 : 크실렌/부탄올, 실리카의 평균 입자 크기 : 12nm)을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변성 폴리에스테르 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 첨가하고, 교반하고 혼합하여 와이어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 당 실리카 미세입자의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얻었다.
그 결과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7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 1.0mm의 직경인 구리 도체 위에 첨가하여, 32㎛ 두께의 실리카 미세입자졸-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또한, 윤활 폴리아미드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히타치 화학 주식회사에서 제조한 HI-406SL)을, 도포 및 베이킹하여서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 상에 첨가하여 3㎛ 두께의 자체 윤활 도포층을 얻었다.
도 4는 실시예 3의 윤활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1은 도체를 나타내고, 10은 실리카 졸-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 및 11은 도층층 상부의 윤활 폴리아미드이미드를 나타낸다.
(실시예 4)
실리카 졸(분산 매질 :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실리카의 평균 입자 크기 : 30nm)을 폴리아미드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 첨가하고, 교반하고 혼합하여 와이어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 당 실리카 미세입자의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얻었다.
그 결과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7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 1.0mm의 직경인 구리 도체 위에 첨가하여, 35㎛ 두께의 실리카 미세입자졸-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실시예 5)
실리카 졸(분산 매질 :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실리카의 평균 입자 크기 : 30nm)을 폴리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 첨가하고, 교반하고 혼합하여 와이어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 당 실리카 미세입자의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얻었다.
그 결과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7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 1.0mm의 직경인 구리 도체 위에 첨가하여, 35㎛ 두께의 실리카 미세입자졸-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실시예 6)
지르코니아 졸(분산 매질 : 물, 지르코니아의 평균 입자 크기 : 70nm)을 폴리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 첨가하고, 교반하고 혼합하여 와이어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 당 실리카 미세입자의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얻었다.
그 결과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7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 1.0mm의 도체 직경인 구리 도체 위에 첨가하여, 35㎛ 두께의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실시예 7)
알루미나 졸(분산 매질 : 물, 알루미나의 평균 입자 크기 : 10 내지 20nm)을 폴리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 첨가하고, 교반하고 혼합하여 와이어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 당 실리카 미세입자의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얻었다.
그 결과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7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 1.0mm의 직경인 구리 도체 위에 첨가하여, 35㎛ 두께의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실시예 8)
폴리아미드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4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 1.0mm의 직경인 구리선 위에 첨가하여 20㎛ 두께의 폴리아미드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실리카 졸(분산 매질 :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알루미나의 평균 입자 크기 : 12nm)을 폴리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 첨가하고, 교반하고 혼합하여 와이어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 당 실리카 미세입자의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얻었다.
그 결과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2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 폴리아미드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 위에 첨가하여 10㎛ 두께의 실리카 미세입자졸-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또한, 폴리아미드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도포 및 베이킹하여 실리카 미세입자졸-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 상에 첨가하여 5㎛ 두께의 폴리아미드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이 실시예 8의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는, 하부 폴리아미드이미드 도포층, 내부분 방전성 중간(intermediate)층 및 상부 폴리아미드이미드 도포층을 갖는 3층 구조 마그넷 와이어이다.
(비교예 1)
실리카 졸(분산 매질 : 크실렌/부탄올, 실리카의 평균 입자 크기 : 12nm)을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변성 폴리에스테르 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 첨가하고, 교반하고 혼합하여 와이어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 당 실리카 미세입자의 2 중량부를 포함한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얻었다.
그 결과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7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서 1.0mm의 직경인 구리 도체 위에 첨가하여 35㎛ 두께의 실리카 미세입자졸-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비교예 2)
실리카 졸을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변성 폴리에스테르 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 첨가하고, 교반하고 혼합하여 와이어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 당 실리카 미세입자의 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얻었다.
그 결과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7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 1.0mm의 직경인 구리 도체 위에 첨가하여, 35㎛ 두께의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비교예 3)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변성 폴리에스테르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4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 1.0mm 직경의 구리 도체 위에 첨가하여 20㎛두께의 폴리에스테르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층을 얻었다.
실리카 미세입자(졸의 형태가 아닌, 평균 입자 크기 : 50nm)의 65 중량부를,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변성 폴리에스테르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에 첨가하고, 교반하고 혼합하여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얻었다.
그 결과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2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 위에 첨가하여 10㎛ 두께의 실리카 미세입자-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층을 얻었다.
또한, 폴리아미드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실리카 미세입자-분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 위에 첨가하여 5㎛두께의 폴리아미드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이 비교예 3의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는, 하부 폴리에스테르이미드 도포층, 내부분 방전성 중간층 및 상부 폴리아미드이미드 도포층을 갖는 3층 구조 마그넷 와이어이다.
(비교예 4)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변성 폴리에스테르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7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 1.0mm 직경의 구리 도체 위에 첨가하여 35㎛두께의 폴리에스테르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비교예 5)
폴리아미드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7회 도포 및 베이킹하여서 1.0mm 직경의 구리 도체 위에 첨가하여 35㎛ 두께의 폴리아미드이미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을 얻었다.
표 1 내지 5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마그넷 와이어 구조 및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 마그넷 와이어의 일반적인 특성을 JIS-C3003에 따라 검사하였다. 정상 조건하에서의 V-t 특성 검사(전압-부분 방전 존속 기간 특성 검사), 10% 연신 후 V-t 특성 검사(전압-부분 방전 존속 기간 특성 검사), 20% 연신 후 V-t 특성 검사(전압-부분 방전 존속 기간 특성 검사)에 대해 샘플 마그넷 와이어 그들 자체를 대상으로 하여서 내부분 방전성을 평가하였다. 표 1 내지 5에서, 트리스-(하이 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를 THEIC로 약칭한다.
Figure 112001003170668-pat00001

Figure 112001003170668-pat00002

Figure 112001003170668-pat00003
Figure 112001003170668-pat00004
Figure 112001003170668-pat00005
실리카 함량의 2 중량부의 양으로만 실리카 졸을 분산한 비교예 1의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에 있어서는 표 1 내지 5에 기재된 것과 같다. 정상 조건하에서 및 연신 후 V-t 특성(내부분 방전성)은 1.0 내지 1.5 시간만큼 매우 빈약하다.
그러나, 실리카 함량의 120 중량부의 양으로 실리카 졸을 분산한 비교예 2의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에 있어서, 정상 조건하에서의 내부분 방전성은 우수하고, 연신 후 내부분 방전성은 0.13 내지 2.9시간만큼 매우 빈약하다.
비교예 3의 종래 형태의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에 있어서, 연신 후 내부분 방전성은 0.10 내지 0.20 시간만큼 매우 빈약하다. 비교예 4의 폴리에스테르이미드 마그넷 와이어에 있어서, 연신 후 내부분 방전성은, 0.28 내지 0.30 시간만큼 매우 빈약하다. 비교예 5의 폴리아미드이미드 마그넷 와이어에 있어서, 정상 조건하 및 연신 후 내부분 방전성은, 0.17 내지 0.18 시간만큼 매우 빈약하다.
그러나, 실시예 1 내지 8의 내부분 방전성 에나멜 와이어에 있어서, 외관, 가요성, 도포 경도, 유전체 파괴 전압 등과 같은 일반적인 여러 가지 특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내연신성 및 우수한 내부분 방전 열화성을 동시에 만족한다.
본 발명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은, 우수한 균일 분산성과 투명성을 가짐과 아울러, 본 발명의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을 도전선 위에 도포 및 베이킹하는 경우, 우수한 내연신성 및 우수한 내부분 방전 열화성을 동시에 갖는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얻어진 본 발명의 내부분 방전성 에나멜 와이어는, 외관, 가요성, 막 경도, 유전체 파괴전압 등과 같은 일반적인 여러 가지의 특성에서 우수하고, 산업상 유용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이 우수한 균일 분산성과 투명성을 가질 수 있고, 또한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가 가요성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특성에서 우수하고 내부분 방전 열화성에서 우수하다.

Claims (5)

  1.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과 실리콘산화물 미세입자졸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입자졸이 분산되고,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이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와 금속산화물 미세입자 및 실리콘산화물 미세입자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입자의 3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과 실리콘산화물 미세입자졸은, 와이어 에나멜합성물과 우수한 상용성을 갖는 분산매질 중에서 평균입자경 100nm(100×10-9mm) 이하의 금속산화물 미세입자 또는 실리콘산화물 미세입자를 포함한 투명하거나 유백색 콜로이드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3. 도체 위에 직접 또는 다른 도포층을 통하여 도포 및 베이킹하여서 얻어지되,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과 실리콘산화물 미세입자졸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입자졸이 분산된 와이어 에나멜합성물이, 에나멜수지의 100 중량부와 금속산화물 미세입자 및 실리콘산화물 미세입자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입자의 3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과 실리콘산화물 미세입자졸은, 와이어 에나멜합성물과 우수한 상용성을 갖는 분산매질 중에서 평균입자경 100nm(100×10-9mm) 이하의 금속산화물 미세입자 또는 실리콘산화물 미세입자를 포함한 투명하거나 유백색 콜로이드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
  5. 도체 위에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 위에 윤활도포층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도포층은 금속산화물 미세입자졸과 실리콘산화물 미세입자졸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입자졸이 분산되어 얻어진 내부분 방전성 에나멜 와이어.
KR1020010007262A 2000-02-16 2001-02-14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및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 KR100756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43566 2000-02-16
JP2000043566 2000-02-16
JP2000352559A JP3496636B2 (ja) 2000-02-16 2000-11-15 耐部分放電性エナメル線用塗料及び耐部分放電性エナメル線
JP2000-352559 2000-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627A KR20010082627A (ko) 2001-08-30
KR100756903B1 true KR100756903B1 (ko) 2007-09-07

Family

ID=2658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262A KR100756903B1 (ko) 2000-02-16 2001-02-14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및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11875B2 (ko)
JP (1) JP3496636B2 (ko)
KR (1) KR100756903B1 (ko)
CN (1) CN1198889C (ko)
MY (1) MY124388A (ko)
SG (1) SG998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7630B2 (en) 2011-12-20 2015-01-06 Sejong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Inorganic nanofiller, partial discharge resistant enameled wire including the same, and preparing method of the enameled wi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3354A1 (de) * 2002-05-25 2003-12-04 Bosch Gmbh Robert Teilentladungsbeständiger Draht
JP2004055185A (ja) 2002-07-17 2004-02-19 Toshiba Aitekku Kk エナメル線
JP4617634B2 (ja) * 2003-02-20 2011-01-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気機器の製造方法
JP4542463B2 (ja) * 2005-04-25 2010-09-15 日立マグネットワイヤ株式会社 耐部分放電性絶縁塗料、絶縁電線、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4584014B2 (ja) 2005-04-25 2010-11-17 日立マグネットワイヤ株式会社 耐部分放電性絶縁塗料、絶縁電線、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20070264527A1 (en) * 2005-09-26 2007-11-15 Sykes Melvin C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bond strength between a structural material and its reinforcement
DE102006041738A1 (de) * 2006-09-04 2008-03-06 Leibniz-Institut Für Neue Materialien Gemeinnützige Gmbh Zusammensetzung zur Beschichtung elektrischer Leit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Zusammensetzung
JP2008251295A (ja) * 2007-03-29 2008-10-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絶縁電線
EP1983022A1 (en) * 2007-04-16 2008-10-22 Altana Electrical Insulation GmbH Nano-modified wire enamels and enamelled wires thereof
JP4473916B2 (ja) 2008-01-09 2010-06-02 日立マグネットワイヤ株式会社 ポリアミドイミド樹脂絶縁塗料及びそれを用いた絶縁電線
JP2009212034A (ja) * 2008-03-06 2009-09-17 Hitachi Magnet Wire Corp 耐部分放電性エナメル線用塗料及び耐部分放電性エナメル線
JP2009277580A (ja) * 2008-05-16 2009-11-26 Hitachi Cable Ltd 水中モータ用電線
JP5365899B2 (ja) * 2008-06-04 2013-12-11 日立金属株式会社 ポリアミドイミド樹脂絶縁塗料及びそれを用いた絶縁電線
US20100009185A1 (en) * 2008-07-14 2010-01-14 Ta Y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Enameled wire containing a nano-filler
JP5243880B2 (ja) * 2008-08-05 2013-07-24 日立電線株式会社 絶縁電線
WO2010018762A1 (ja) * 2008-08-11 2010-02-18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具
JP2010108843A (ja) 2008-10-31 2010-05-13 Hitachi Cable Ltd 絶縁被覆電線
US8182880B2 (en) * 2009-01-28 2012-05-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flexible insulated wires
JP5438332B2 (ja) * 2009-02-05 2014-03-12 昭和電線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高電圧電子機器用ケーブル
KR100941772B1 (ko) * 2009-06-15 2010-02-11 (주)대경나노텍 마그네트 와이어 제조용 압출성형장치
JP5419211B2 (ja) * 2009-07-29 2014-02-19 日立金属株式会社 エナメル被覆絶縁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49171B1 (ko) * 2009-09-11 2010-03-24 이삼종 가공송전선의 고정형 현수애자
JP5540671B2 (ja) 2009-11-30 2014-07-02 日立金属株式会社 絶縁電線
JP5397819B2 (ja) 2010-03-30 2014-01-22 日立金属株式会社 絶縁塗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絶縁電線
JP5889290B2 (ja) * 2010-06-22 2016-03-22 エー ビー ビー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包囲電気絶縁体を有する導電体
WO2012040180A2 (en) 2010-09-24 2012-03-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ating composition for metal conductors
US20120211258A1 (en) * 2011-02-18 2012-08-23 Hitachi Cable, Ltd. Polyamide-imide resin insulating coating material and insulated wire using the same
KR20120106076A (ko) * 2011-03-17 2012-09-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내 코로나 방전성 절연 도료 조성물 및 이를 도포하여 형성된 절연 피막을 포함하는 절연 전선
US10253211B2 (en) 2011-05-12 2019-04-09 Elantas Pdg, Inc. Composite insulating film
US10406791B2 (en) 2011-05-12 2019-09-10 Elantas Pdg, Inc. Composite insulating film
JP5854930B2 (ja) * 2011-08-25 2016-02-09 日東電工株式会社 絶縁フィルム
JP5521121B2 (ja) * 2012-03-07 2014-06-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ワイヤ、電気機器及び絶縁ワイヤの製造方法
CN104185879A (zh) 2012-12-28 2014-12-03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绝缘电线、电气设备及绝缘电线的制造方法
JP5972375B2 (ja) * 2013-02-07 2016-08-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電線及びモータ
JP2013151686A (ja) * 2013-02-27 2013-08-08 Hitachi Magnet Wire Corp 耐部分放電性エナメル線用塗料及び耐部分放電性エナメル線
WO2014162959A1 (ja) * 2013-04-02 2014-10-09 日立金属株式会社 低電圧インバータ駆動モータ用コイル
DE102013106529A1 (de) * 2013-06-21 2015-01-08 Schwering & Hasse Elektrodrah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ickelkörpers
JP6001014B2 (ja) * 2014-07-03 2016-10-0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耐熱性絶縁電線とその絶縁層の形成に用いる電着液
JP6426068B2 (ja) * 2015-08-10 2018-11-2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及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6661993B2 (ja) * 2015-11-19 2020-03-11 日立金属株式会社 耐部分放電性塗料および絶縁電線
CN108475562B (zh) 2015-12-16 2021-01-08 三菱综合材料株式会社 耐热性绝缘电线与用于形成其绝缘层的电沉积液
CN106653164A (zh) * 2016-11-25 2017-05-10 陈建学 多股镀锡铜绞线及其生产工艺
CN106782781A (zh) * 2016-11-25 2017-05-31 陈建学 一种漆包线及其生产工艺
US10923887B2 (en) * 2017-03-15 2021-02-16 Tenneco Inc. Wire for an ignition coil assembly, ignition coil assembly,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wire and ignition coil assembly
CN107958729B (zh) * 2017-11-16 2019-10-25 安徽天大铜业有限公司 一种双层抗锈电磁线及其制备方法
WO2019151488A1 (ja) * 2018-02-05 2019-08-08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絶縁膜、絶縁導体、金属ベース基板
JP6562147B2 (ja) * 2018-02-05 2019-08-2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絶縁膜、絶縁導体、金属ベース基板
EP3848946A4 (en) 2018-09-03 2022-09-07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CONDUCTOR LAMINATE AND INSULATING FILM, COIL, ROTATING ELECTRICAL MACHINE, INSULATING CLADDING AND INSULATING FILM
JP7144316B2 (ja) * 2018-12-28 2022-09-29 愛知電機株式会社 電動機および電動圧縮機
CN113614853A (zh) 2019-05-31 2021-11-05 昭和电工材料株式会社 电绝缘树脂组合物及电绝缘体
CN110718341A (zh) * 2019-10-18 2020-01-21 江苏弘银合金科技有限公司 导线表面电阻可调绝缘层的制作方法
MX2021015517A (es) * 2020-12-23 2022-06-24 Weg Equipamentos Eletricos S A Alambre aislante con alta resistencia termica y resistencia a descargas parciales y proceso de trefilado de alambre.
CN115960514A (zh) * 2022-12-22 2023-04-14 老虎表面技术新材料(苏州)有限公司 一种绝缘粉末涂料组合物及其涂层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361A (en) * 1980-05-02 1982-01-07 Gen Electric Corona resistant resin composition and use
JPH02106812A (ja) * 1988-08-30 1990-04-18 Asea Brown Boveri Ab 取り巻く絶縁体を有する導電体
JPH11191325A (ja) * 1997-12-26 1999-07-13 Optec Dai Ichi Denko Co Ltd 絶縁電線と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3806A (en) * 1978-04-03 1981-06-16 Stechler Bernard G Method of forming electrical insulation by extruding polymeric compositions containing hollow microspheres
US4760296A (en) * 1979-07-30 1988-07-26 General Electric Company Corona-resistant insulation, electrical conductors covered therewith and dynamoelectric machines and transformers incorporating components of such insulated conductors
US4537804A (en) * 1982-05-05 1985-08-27 General Electric Company Corona-resistant wire enamel compositions and conductors insulated therewith
US5654095A (en) 1995-06-08 1997-08-05 Phelps Dodge Industries, Inc. Pulsed voltage surge resistant magnet wire
US5861578A (en) 1997-01-27 1999-01-19 Rea Magnet Wire Company, Inc. Electrical conductors coated with corona resistant, multilayer insulation system
US5780525A (en) * 1997-02-14 1998-07-14 Reliance Electric Industrial Company Photocurable composition for electrical insul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361A (en) * 1980-05-02 1982-01-07 Gen Electric Corona resistant resin composition and use
JPH02106812A (ja) * 1988-08-30 1990-04-18 Asea Brown Boveri Ab 取り巻く絶縁体を有する導電体
JPH11191325A (ja) * 1997-12-26 1999-07-13 Optec Dai Ichi Denko Co Ltd 絶縁電線と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7630B2 (en) 2011-12-20 2015-01-06 Sejong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Inorganic nanofiller, partial discharge resistant enameled wire including the same, and preparing method of the enameled w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627A (ko) 2001-08-30
SG99884A1 (en) 2003-11-27
MY124388A (en) 2006-06-30
CN1198889C (zh) 2005-04-27
JP3496636B2 (ja) 2004-02-16
CN1310144A (zh) 2001-08-29
US20030232144A1 (en) 2003-12-18
JP2001307557A (ja) 2001-11-02
US6811875B2 (en) 2004-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903B1 (ko) 내부분 방전성 와이어 에나멜합성물 및 내부분 방전성 마그넷 와이어
JP3992082B2 (ja) 多層絶縁電線及びそれを用いた変圧器
US20090226720A1 (en) Varnish for partial discharge resistant enameled wire and partial discharge resistant enameled wire
WO2013133334A1 (ja) 絶縁ワイヤ、電気機器及び絶縁ワイヤの製造方法
WO1999019885A1 (fr) Fil isole a plusieurs couches et transformateurs fabriques avec ledit fil
KR20140099352A (ko) 내부분방전성 및 부분방전 개시전압 특성이 우수한 절연 전선
JP2017531296A (ja) 向上した絶縁破壊強度を有する誘電材料
US20160163421A1 (en) Insulating winding wire having corona resistance
JP2000331539A (ja) 耐インバータサージエナメル線
CN108666023A (zh) 耐电晕扁平铜电磁线及其制备方法
JP2010123389A (ja) 絶縁電線
JP2008251295A (ja) 絶縁電線
KR20070087919A (ko) 부분 방전에 대한 내성을 갖는 절연 전선 및 그 제조용조성물
AU2011269066B2 (en) Electrical conductor with surrounding electrical insulation
CN106916527B (zh) 有机-无机混合多孔绝缘涂层组合物的制备方法
JP2005112908A (ja) 無機フィラー分散絶縁塗料および絶縁電線
JPH11297128A (ja) 耐火電線
JPH11130993A (ja) 絶縁塗料及び絶縁電線と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2005239765A (ja) 無機フィラー分散絶縁塗料および絶縁電線
JPH11191325A (ja) 絶縁電線と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2013151686A (ja) 耐部分放電性エナメル線用塗料及び耐部分放電性エナメル線
JP4061981B2 (ja) 耐インバータサージ性コイル絶縁ワニス及び耐インバータサージ性コイル
WO2022196736A1 (ja) 導体と絶縁被膜の積層体、コイル、及び回転電機
JPH10172354A (ja) 絶縁電線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2002025344A (ja) 絶縁塗料及びエナメル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