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489B1 - 레일차량 - Google Patents

레일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489B1
KR100737489B1 KR1020060020885A KR20060020885A KR100737489B1 KR 100737489 B1 KR100737489 B1 KR 100737489B1 KR 1020060020885 A KR1020060020885 A KR 1020060020885A KR 20060020885 A KR20060020885 A KR 20060020885A KR 100737489 B1 KR100737489 B1 KR 100737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plate
conditioning duct
bracke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248A (ko
Inventor
세이지로 도도리
야스노리 다니이
간지 니시야마
신고 히로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60101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0Windmills; Other toys actuated by air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0Tops with figure-like features; with movable objects, especiall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2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차량의 객실을 크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레일차량의 지붕 구조체(30)와 측면 구조체(50)와의 연결부(숄더부)에 공조용 덕트(220), 조명기구(250), 스피커(260) 등으로 이루어지는 멀티펑션 모듈(200)이 설치되어 있다. 지붕 구조체(30)로부터 짐선반 브래킷(310) 및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이 관통하여 내려뜨려져 있다. 양 브래킷(310, 350)을 상부에서 연결하고, 또한 공조 덕트(220)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편이, 지붕 구조체(20)에 체결된다. 멀티펑션 모듈(200)은 지붕 구조체(30)에만 고정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용이하다. 공조 덕트(220)는 숄더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폭 방향 중앙부의 차내 공간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멀티펑션 모듈(200)의 외관을 좋게 하는 내장판(210)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레일차량{RAIL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레일차량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차량의 실내에서 천정을 본 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 단면도,
도 6은 공조용 덕트 유닛의 설명도,
도 7은 도 1의 오른쪽 숄더부의 멀티펑션 모듈의 설명도,
도 8은 도 1의 오른쪽 숄더부의 멀티펑션 모듈의 사시도,
도 9는 공조용 덕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0은 공조용 덕트 유닛의 하면판(223, 223)의 접속부의 종단면도,
도 11은 공조용 덕트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힌지부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힌지부의 조립시의 종단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예의 공조 덕트부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10 : 언더 프레임
30 : 지붕 구조체 100 : 공조 유닛
110 : 송풍기 120 : 열교환기
200 : 멀티펑션 모듈 210 : 내장판
211, 212 : 차폐판 220 : 공조 덕트
221 : 상면판 222 : 접속 덕트
223 : 하면판 230 : 서브 덕트
250 : 조명기구 260 : 스피커
290 : 메인 덕트 310 : 짐선반 브래킷
312 : 연결편(압출형재) 314, 315, 372, 373 : T볼트
316 : L 형상 금속 고정구 320 : 짐선반의 앞 가장자리부
330 : 짐선반 340 : 핸드 홀드
350 : 핸드 스트랩 브래킷 360 : 핸드 스트랩
362 : 커튼 레일 376 : 지지자리
381, 382 : 비스
본 발명은 객실 내의 유효 스페이스를 확대하여 여객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하는 레일차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레일차량이란, 철도차량, 모노레일 카 등을 말한다.
레일차량의 객실 내에는, 좌석이나 핸드 스트랩, 짐선반 등의 승객이 직접 이용하는 설비품에 더하여, 공조 덕트나 팬 등의 공조설비, 조명이나 스피커 등의 기기, 광고가 장비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1-222125호 공보
특허문헌 1과 같이, 종래의 레일차량에 있어서는 차체의 천정부에는 공조 덕트, 팬이나 스피커, 조명기구나 천정걸이 광고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객실 내의 폭 방향의 중앙부의 천정부에는 여러 가지의 기기가 설치되어, 승객의 머리 위의 공간 스페이스가 제약되어 있었다. 천정걸이 광고나 디스플레이 단말 등의 설치공간도 충분하게 취할 수 없는 상황의 차체 구조도 볼 수 있다.
또, 특허문헌 1에서는 숄더 내장 패널은, 차체의 기본적인 구조물인 측면 구조체, 지붕 구조체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길이가 길고, 또한 폭이 넓은 측면 구조체와 지붕 구조체에 걸쳐 상기 숄더 내장 패널을 고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측면 구조체, 지붕 구조체의 제작 오차 및 양자의 결합 오차에 의하여 상기 숄더 내장 패널과 측면 구조체 및 지붕 구조체와의 각 고정위치가 잘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숄더 내장 패널의 설치작업에 막대한 시간을 요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실내 공간을 창조할 수 있는 레일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체의 객실 내의 숄더부나 천정부에 장비되는 여객에 대한 서비스 기기의 구조나 레이아웃을 개량하여 멀티펑션을 집약하는 것을 여러 가지 검토하여 객실 내의 머리 위 스페이스 확대를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조용 덕트를 구비하는 레일차량에 있어서, 상기 공조용 덕트를 포함하는 내장 조립체가 상기 레일차량의 차내 숄더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내장 조립체는 상기 레일차량의 지붕 구조체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장 조립체는 지붕 구조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를 구성하는 각 블럭의 제작 오차, 체결 오차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적어, 양자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일차량의 개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체를 부호 1로 나타내는 레일차량의 차체는, 언더 프레임(10), 측면 구조체(20), 지붕 구조체(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면 구조체(20)에는 창유리(40)나 출입구용 도어(5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언더 프레임(10), 측면 구조체(20), 지붕 구조체(30)에 의하여 객실(R1)이 형성된다. 또 측면 구조체(20)의 안쪽에는 좌석(60)이 설치되어 여객(P1)의 서비스에 제공된다. 또한 객실(R1)의 차체 길이 방향 끝부는, 박공 구조체 또는 객실 칸막이 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도면에 대한 부호기입을 생략하였다.
지붕 구조체(30)의 상부에는 공조 유닛(100)이 탑재된다. 측면 구조체(20)나 지붕 구조체(30)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중공 압출형재로 제작된다. 공조 유닛 (100)은 차체의 지붕 위로서, 차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지붕 구조체(30)의 안쪽에는 천정판(32)이 설치되고, 천정판(32)과 측면 구조체(20)의 내장판의 연결부인 차내 숄더부에 멀티펑션 모듈(200)이 설치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내장 조립체는 멀티펑션 모듈(200)로서 구체화되어 있다.
공조 유닛(100)은, 송풍기(110)나 실내측의 열교환기(120)를 구비한다. 본 공조 유닛(100)은, 차체의 지붕 위에 설치되어, 1대로 객실의 공조를 행하는 소위 집중식 공조장치의 예이다. 레일차량에 사용되는 공조장치로서는, 상기 공조 유닛(100) 이외에 복수의 공조장치를 1량의 지붕 위에 설치하는 분산방식의 것도 있다.
멀티펑션 모듈(200)은, 공조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조화 공기를 객실(R1) 내로 유도하는 공조 덕트(220)를 주요 구성부재로 하고 있다. 멀티펑션 모듈(200)은 공조 덕트(220) 외에, 간접 조명용 조명기구(250), 스피커(260), 전선 홈통(도시 생략) 등의 내장품을 구비한다. 멀티펑션 모듈(200)의 객실(R1)에 면한 부분에는 내장판(210)이 설치되어 있다. 공조 덕트(220)는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내장품은 공조 덕트(22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스피커에 대해서는 측면이 아니라 하면에 설치할 수 있다. 내장판(210)은 공조 덕트(220)의 바깥쪽, 즉 도 3에서는 하면에 있다. 내장판(210)은 공조 덕트(220)의 폭보다도 크고, 내장판(210)의 폭방향의 양쪽 끝측에 있어서 간접 조명용 조명기구(250)의 아래쪽을 덮고 있다. 내장판(210)은 조명기구(250) 등의 덮개로서의 멀티펑션을 구비하고 있어, 겉보기를 좋게 한다. 스피커(260)는 공조 덕트(220) 내에 설치된다. 스피커(260)의 음성 방사부는 내장판(210)[공조 덕트(220)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에 개구하고 있다.
내장판(210)은 멀티펑션 모듈(200)의 하면을 덮는 판이다. 내장판(210)은 메인 덕트(290)의 하면, 실내 중앙부측의 서브 덕트(230)(도 6 참조)를 덮는 판도 포함하고 있다.
좌우의 멀티펑션 모듈(200, 200) 사이[객실(R1)의 천정부분으로서, 차체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길이가 긴 내장품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멀티펑션 모듈(200, 200) 사이의 천정부분에 설치되는 내장품으로서는 천정걸이 광고(K1)(도 5참조)를 들 수 있다. 천정걸이 광고(K1)는 지붕 구조체(30)[천정판(32)]로부터 매달아 내려져 있다. 각 멀티펑션 모듈(200)은, 차체 폭 방향의 폭 치수가 지붕 구조체(30)의 폭 치수의 대략 4분의 1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각 멀티펑션 모듈(200)의 폭 치수는, 지붕 구조체(30)의 폭 치수의 절반보다 좁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멀티펑션 모듈(200)을 차내 숄더부에 설치함으로써 멀티펑션 모듈(200, 200) 사이의 천정부의 높이 치수를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 멀티펑션 모듈(200)은 짐선반 브래킷(310)과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을 구비하고 있다. 짐선반 브래킷(310)은, 짐선반(330)을 지지하고 있다. 짐선반(330)은 소정의 폭 치수로 형성된 짐받이 면이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있고, 그 양쪽 끝을 짐선반 브래킷(310)이 지지하고 있다.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은, 짐선반 브래킷(310)보다도 차체 폭 방향의 차체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고, 핸드 스트랩(360)을 지지하고 있다. 이들 부재는, 멀티펑션 모듈(200)의 부분 조립체로서 미리 제조된다. 짐선반 브래킷(310)과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은, 지붕 구조체(30)의 내면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매달려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연결편(312)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짐선반 브래킷(310)과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은, 전체로서 역 U자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연결편(312)의 상면에 있어서 지붕 구조체(30)에 고정되어 있다. 짐선반 브래킷(310),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은 내장판(210)을 관통하고 있다. 짐선반(330)의 안 길이 방향의 한쪽 끝은 짐선반 브래킷(310)에 고정되어 있으나, 다른쪽 끝[측면 구조체(20)에 가까운 쪽의 끝부]은 지지되어 있지 않다. 짐선반(330)은 짐선반 브래킷(310)만으로 지지되는 캔틸레버 지지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차체(1)의 객실(R1)에 있어서, 천정판(32)의 방향을 본 상태의 천정부분의 하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 단면도이다.
천정부의 대략 중앙 부근, 즉 차체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위치에서, 또한 차체 폭 방향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에어필터(130)(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 환류 팬(라인 플로우 팬, 도 2, 도 5 참조)(90)은 차체 폭 방향의 대략 중앙위치에서 차체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들 상부(차 바깥측)에 공조 유닛(100)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객실(R1)로부터 공조 유닛(100)으로 되돌아가는 리턴 공기의 입구인 리턴구(180)(도 2 참조)가 천정부 중앙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환류 팬(90)은 그 회전축을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 1, 도 3, 도 5에서는 왼쪽의 멀티펑션 모듈(200)에는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만을 설치하고, 짐선반 브래킷(310)을 설치하고 있지 않다. 왼쪽의 멀티펑션 모듈(200)의 핸드 스트랩(360)과 오른쪽의 멀티펑션 모듈(200)의 핸드 스트랩(360)의 길이를 바꾼 구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짐선반(330), 핸드 스트랩(360) 등의 내장품은, 각각의 사양을 임의로 바꿀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공조 유닛(100)은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리턴구(180)의 윗쪽부분이 실내 기기실에 상당한다. 리턴구(180)보다도 왼쪽의 부분은 공조 유닛(100)의 실외 기기실에 상당한다.
도 4는 차체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위치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공조 유닛(100)은 실내측 송풍기(110), 실내측 열교환기(120), 에어 필터(130)를 가지고 있다. 객실(R1) 내의 리턴 공기(A2)는 에어 필터(130)를 통하여 열교환기(120)로 냉각된다. 또한 난방운전의 경우에는 리턴 공기(A2)는 열교환기(120)에 의하여 따뜻해진다.
냉각된 조화 공기(A1)는, 접속 덕트(222)를 통하여 공조 덕트(220)를 구성하는 메인 덕트(290)에 보내진다. 메인 덕트(290)에 보내진 조화 공기(A1)는 뒤에서 설명하는 형태로 정압실을 구성하는 서브 덕트를 통하여 객실(R1) 내에 공급된다.
도 1에 있어서, 멀티펑션 모듈(200)은, 지붕 구조체(30)의 차내 숄더부에 객실(R1) 내의 아래쪽으로부터 들어 올려 객실(R1)의 안쪽부터 고정한다. 또는 차체(1)를 반전시켜 지붕 구조체(30)가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고, 천정부가 윗쪽을 향한 반전의장의 상태에서는 멀티펑션 모듈(200)을 하강시켜 객실(R1)의 안쪽부터 고정 한다. 이 멀티펑션 모듈(200)의 고정은, 지붕 구조체(30)에 설치한 커튼 레일에 대하여 T 볼트(314)를 사용하여 행하여진다. T 볼트(314)의 머리부가 상기 커튼 레일에 삽입되어 있고, 커튼 레일로부터 T 볼트(314)(도 1, 도 8 참조)의 나사부분이 돌출되어 있다. 이 나사부분에 멀티펑션 모듈(200)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편(312)에 형성한 구멍을 통과시켜 아래쪽으로부터 너트를 조여 체결한다. 상기 너트는 그 좌우의 공간(H) 또는 공조 덕트를 관통한 작업구멍으로부터 삽입한 공구에 의하여 조일 수 있다. 상기 너트는 연결편(312)의 하면에 위치한다. 공간(H)은 객실(R1)의 중앙부측에 있어서, 내장판(210)의 최상단과 연결편(312)의 하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공간(H)이 있기 때문에, 그 왼쪽으로부터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너트를 조일 수 있다. 오른쪽(창에 가까운 쪽) 너트의 조임은, 수직편(233) 또는 전선 홈통(370) 등이 설치된(도 1, 도 7 참조) 부분에 아래쪽으로부터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작업구멍을 설치하여 행하여진다. 연결편(312)의 지붕 구조체(30)에의 고정 부분은, 종단면형상이 역 U자형상이고, 평행한 수직편의 사이에 상기 너트가 위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편(312)의 하면」이란, 너트가 접촉하는 면이다. 또한 짐선반 브래킷(310)에 T 볼트(314)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및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작업구멍을 형성하여도 좋다.
도 8에 있어서 공조 덕트(220)를 구성하는 수직편의 상부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있고, 이 수평편으로 공조 덕트(220)와 연결편(312)은 비스(31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지붕 구조체(30)에 설치된 상기 커튼 레일은 피체결체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있다. 이 커튼 레일은 그 단 면형상이 역 U자형상이다. 체결 금속 고정구인 T 볼트의 머리부를 상기 역 U자형상 단면의 홈에 삽입하여 커튼 레일에 의해 T 볼트를 지지할 수 있다. T 볼트는 커튼 레일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원하는 위치에서 피체결체를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짐선반 브래킷(310)과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을 연결하는 연결편(312)이 지붕 구조체(30)의 아래쪽에서 또한 공조용 덕트의 윗쪽에 있어서 T 볼트(314) 및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용 금속 고정구에 의하여 지붕 구조체(30)측(상세하게는 커튼 레일)에 체결되어 있다. 멀티펑션 모듈(200)은 이와 같이 연결편(312)을 고정함으로써 지붕 구조체(30)에 체결되어 있다.
도 5는 객실 내의 공기를 환류하는 환류 팬(90)의 설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낸다. 환류 팬(90)은 공조 덕트(220)로부터 내뿜어진 조화 공기를 객실 내에 강제 송풍하기 위한 설비품이다. 따라서 공조 덕트로부터의 분출로 충분히 객실 내에 송풍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레일차량에 있어서는 환류 팬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천정부의 차체 폭 방향 중앙부분에는 천정걸이 광고(K1) 등도 필요에 따라 설치된다. 이 천정걸이 광고(K1) 대신에 화상 표시의 디스플레이 단말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어째든, 본 발명의 레일차량에 있어서는 차체의 폭 방향 중앙부의 천정부분의 스페이스가 넓기 때문에, 천정걸이 광고(K1) 또는 디스플레이 단말 등을 여객과의 간섭을 극력 피하면서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멀티펑션 모듈(200)을 구성하는 공조 덕트(22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다.
내장판(210)을 하면에 설치한 공조 덕트(220)는 접속 덕트(222)를 거쳐 공조 유닛의 실내 송풍기와 연통된다. 공조 덕트(220)는 메인 덕트(290)와 서브 덕트(230)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덕트(290)에 인접하여 서브 덕트(230)가 설치된다. 서브 덕트(230)는 메인 덕트(290)와의 사이의 벽에, 적절한 간극으로 설치되는 연통구멍에 의해 메인 덕트(290)에 연통되어 있다. 조화 공기는 메인 덕트(220)로부터 상기 연통구멍을 거쳐 서브 덕트(230)에 공급된다.
서브 덕트(230)는 정압실을 형성하고 있고, 서브 덕트(230)의 객실측에 형성된 슬릿(232)으로부터 조화 공기를 객실 내에 공급한다. 접속 덕트(222)를 제외하는 공조 덕트(220)는 알루미늄 합금제 압출형재로 제작되고, 그것에 접속 덕트(222)를 적절하게 체결하고 있다. 내장판(210)은 공조 덕트(220)와 일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공기유로가 되는 메인 덕트(290), 서브 덕트(230) 및 접속 덕트(222)의 내면에는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멀티펑션 모듈(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짐선반 브래킷(310)과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주물제이다. 짐선반 브래킷(310),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의 상단은 연결편(312)으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편(312)은 지붕 구조체(30)의 커튼 레일(도시 생략)에 체결된다. 짐선반 브래킷(310),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의 수직편은 내장판(210)을 관통하고 있다. 공조 덕트(220)의 상면판(221)은 짐선반 브래킷(310), 핸드 스트랩 브래킷 (350)의 연결편(312)에 비스(313)로 체결되어 있다. 비스(313)는 연결편(312)의 측으로부터 상면판(221)을 향하여 체결되어 양자를 체결하고 있다. 공조용 덕트(220)를 구성하는 메인 덕트(290)는 짐선반 브래킷(310)과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과의 사이를 통하여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공조 덕트(220)의 양쪽에 설치되는 조명기구(250)는 압출형재로 내장판(210)과 일체로 설치한 수직편(233)(도 7참조)의 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또 차체 폭 방향의 중앙측 위치에 설치되는 조명기구(250)는 서브 덕트(230)의 측면에 체결되어 있다.
핸드 스트랩(360)을 지지하는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도, 공조 덕트(220)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이 서브 덕트(230)를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설명과 같이 메인 덕트(290)로부터 연통구멍을 거쳐 조화 공기가 서브 덕트(230)에 공급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의 존재가 서브 덕트(230)에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짐선반(330)의 앞 가장자리부(차체 폭방향의 중앙부측)(320)는 짐선반 브래킷(310)에 고정되어 있고, 짐선반 브래킷(310)의 하단부는 앞 가장자리부(320)보다도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있다. 짐선반 브래킷(310)은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짐선반 브래킷(310)의 하단부에는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핸드 홀드(340)가 설치되어 있다. 핸드 홀드(340)는 복수의 짐선반 브래킷(310)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핸 드 홀드(340)는 승객이 잡는 것이다. 핸드 홀드(340)에 핸드 스트랩을 설치할 수 있다. 짐선반(330)은 짐선반 브래킷(310)에 고정되어 있다. 짐선반(330)은 그 짐받이부[앞 가장자리부(320)와 뒷 가장자리부(322) 사이]가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짐받이부는 측면 구조체측으로 신장되어 있고, 소정의 폭 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짐받이부는 예를 들면 금속제 망 또는 합성수지제 판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짐선반(330)의 뒷 가장자리부(322)는 측면 구조체(20)에 대하여 고정되지 않고, 간극을 유지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짐선반(330)은 캔틸레버 지지구조이기 때문에 앞 가장자리부(320)의 결합부 강도가 염려되는 경우에는 짐선반 브래킷(310)의 상부 위치와의 사이에 지지부재를 추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멀티펑션 모듈(200)은 지붕 구조체(30)에만 고정되기 때문에 지붕 구조체와 측면 구조체에 걸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 즉, 멀티펑션 모듈(200)은 지붕 구조체(30)와 측면 구조체(20)에 걸쳐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지붕 구조체(30)와 측면 구조체(20)의 접합에 의해 생기는 변형 및 제작 오차의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멀티펑션 모듈(200)의 지붕 구조체(30)에 대한 설치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공조 덕트(220)와 조명기구(250)를 구비한 멀티펑션 모듈(200)은, 차체의 폭 방향 양쪽의 차내 숄더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천정부분의 차체 폭 방향 중앙부에는 내장품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바닥면으로부터 천정부까지의 높이 치수를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높게 할 수 있다. 또 천정부분의 겉보기가 향상된 다. 상기 천정부분에 천정걸이 광고(K1) 등을 설치하여도 된다.
멀티펑션 모듈(200)은 미리 차체의 밖에서 도 8과 같이 조립한 후, 차체의 안으로 반입하여 차내 숄더부에 설치한다.
공조 유닛(100)을 장기간 사용함으로써, 공조 유닛(100), 공조 덕트(220)의 청소가 필요하게 된다. 공조 유닛(100)의 청소는 주지와 같이 행하여진다.
공조 덕트(220)의 청소는 공조 덕트(220)를 천정판(32)에 설치한 상태, 또는 천정으로부터 떼어 낸 상태에서 행하여진다. 도 9에 있어서 메인 덕트(290)의 객실측을 향한[공조 덕트(220)의 하면측을 구성한다] 하면판(223)은 아래쪽으로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면판(223)의 차체 폭 방향의 바깥쪽 끝부는 힌지(225)에 의해 메인 덕트(290)의 측면판에 고정하고 있다. 하면판(223)의 다른쪽 끝(차체 폭 방향의 중앙 근처의 끝부)은 메인 덕트(290)의 다른쪽 측면판에 고정한 단면 L 자형상의 브래킷(224)에 체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면판(223)의 다른쪽 끝부가 브래킷(224)의 수평편에 비스(228)로 체결되어 있다. 브래킷(224)의 수직편과 메인 덕트(290)의 측면판은 비스(228)로 체결되어 있다. 힌지(225)는 그 힌지(225)의 양쪽의 판을 메인 덕트(290)의 측면판 및 하면판(223)에 비스(226)로 고정하고 있다. 브래킷(224)은 메인 덕트(290)와 일체로 알루미늄 합금제 압출형재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비스(226)는 리벳이어도 된다.
작업원은 접사다리에 올라 서서 비스(228)를 풀어 하면판(223)을 아래쪽으로 개방하고 메인 덕트(290) 내를 청소한다. 하면판(223)의 개방이란, 하면판(223)이 힌지(225)를 중심으로 하여 수직방향으로 아래로 드리워지는 것을 말한다. 하면판 (223)은 측면 구조체측을 향하여 회동하기 때문에, 하면판(223)보다도 차체 폭 방향의 차체 중앙 근처에 선 작업원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수직방향으로 아래로 드리워지면 가장 큰 개구가 얻어지나, 수직위치까지 개방할 필요는 없다.
메인 덕트(290) 내에는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으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하면판(223)은 짐선반 브래킷(310)과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과의 사이에 있기 때문에, 하면판(223)의 개방, 청소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하면판(223)은 그 한쪽 끝을 힌지(225)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메인 덕트(290)의 내부를 청소할 때에 하면판(223)을 떼어 낼 필요가 없어 작업이 용이하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하면판(223, 223)의 접속부는 조화 공기의 흐름의 하류측 하면판이 상류측 하면판의 끝부에 아래쪽으로부터 겹쳐져 있다. 이 겹침부를 아래쪽으로부터 비스로 고정하여도 된다.
도 11, 도 12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힌지(225)를 메인 덕트(290)와 다른 부재로 하지 않고, 일체로 구성한 것이다. 힌지(225)의 중심 핀(241)을 메인 덕트(290)의 구멍(242)에 삽입하고 있다. 구멍(242)은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구멍(242)은 메인 덕트(290)를 제작할 때에 알루미늄 합금제 압출형재로 제작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핀(241)은 하면판(223)의 핀 지지부(243)에 고정되어 있다. 핀 지지부(243)에는 차체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잘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잘림부에 중심 핀(241)이 설치되어 있 다. 메인 덕트(290)에 형성된 힌지 받이부와 상기 핀 지지부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끼워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 받이부에는 중심 핀(241)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242b)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42b)는 중심 핀(241)의 바깥 지름부분에 대향하여 형성한 잘림부(241b)의 부분이 삽입되는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면판(223)이 대략 수직한 위치에 있을 때에 개구부(242b)에 대하여 중심 핀(241)을 삽입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2는 메인 덕트(290) 내에 설치되는 단열재(235)를 제외하고 나타내고 있다. 중심 핀(241)을 지지하는 핀 지지부(243)와 힌지 받이부는,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있다. 하면판(223)과 메인 덕트(290)는 중심 핀(241)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13에 있어서 하면판(223)이 수직하게 되었을 때의 중심 핀(241)의 양 면에는 잘림부(241b, 241b)가 형성되어 있다. 잘림부(241b, 241b)는 중심 핀(241)을 개구부(242b)에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잘림부(241b, 241b)의 부분에 있어서의 중심 핀(241)의 폭은, 개구부(242b)의 폭보다도 작다. 하면판(223)의 중심 핀(241)은, 메인 덕트(290)의 힌지 받이부의 윗쪽으로부터 삽입된다. 잘림부(241b, 241b)는 각 면이 잘려져 있기 때문에, 중심 핀(241)을 구멍(242)에 삽입하기 쉽다. 상기 중심 핀(241)을 힌지 받이에 삽입한 후, 하면판(223)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상상선으로 나타낸다).
이때 중심 핀(241)의 잘림부(241b, 241b)는 수평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중심 핀(241)이 구멍(242)의 개구부(242b)로부터 빠져 나오지는 않는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판(223)의 상면에는 단열재(235)가 부착되어 있고, 그 오른쪽 끝은 메인 덕트(290)의 수직면에 접하고 있다. 단열재(235)는 가요성이다. 단열재(235)의 오른쪽 끝은 중심 핀(241)보다도 오른쪽에 있고, 왼쪽 끝은 브래킷(224)의 오른쪽 끝보다도 오른쪽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단열재(235)가 브래킷(224)과 하면판(223)의 사이에 끼워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브래킷(224)은 메인 덕트(290)와 일체로 구성하여도 좋다.
하면판(223)의 상면에 단열재(235)가 부착되어 있고, 그 오른쪽 끝은 메인 덕트(290)의 수직면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중심 핀(241) 주위의 간극이 폐쇄되어 공조 공기가 누출되기 어렵다. 또 객실 안쪽으로부터 메인 덕트(290) 내가 잘 보이지 않는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를 도 14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있어서 연결편(312)은 짐선반 브래킷(310),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과는 다른 부재로 되어 있다. 연결편(312)은 알루미늄 합금제 중공 압출형재로 이루어진다. 연결편(312)은 복수의 형재를 하나의 부재가 되도록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양쪽의 연결편부분(312g, 312h)을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연결수단은 리벳, 또는 용접으로 좋다.
연결편(312)은 폭 방향(차체의 폭방향)의 양쪽 끝측에서 차체의 지붕 구조체(30)의 하면에 설치한 커튼 레일(362, 362)에 T 볼트(314, 314)로 아래쪽으로부터 체결하고 있다. 단, 창측 끝부는 T 볼트(314)로 L자 형상 금속 고정구(316)를 고정하고 있다. L자 형상 금속 고정구(316)의 L자 형상은 필수의 요건으로, 일부를 더욱 연장하여 U자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L자 형상 금속 고정구(316)의 L자 형상, U자 형상의 개방단은 차체 폭 방향의 중앙측(왼쪽을 향하고 있다.)에 있다. 금속 고정구(316)의 공간에 중앙측으로부터 연결편(312)의 오른쪽 끝부를 밀어 넣어 고정하고 있다. L자 형상(U자 형상) 금속 고정구(316)를 설치한 것은, 아래쪽으로부터의 T 볼트(314)를 체결하는 너트의 회전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T 볼트(314)와 조임용 너트(315)는 체결용 금속 고정구를 구성하고 있다. L자 형상(U자 형상) 금속 고정구(316)는 중앙측으로부터 너트를 회전할 수 있다. 커튼 레일(362)은 L자 형상(U자 형상) 금속 고정구 외에 인접하는 화장판(33)을 고정하고 있다.
연결편(312)은 공조 덕트(220)를 구성하고 있고, 덕트 상면을 연결편(312)으로 구성하고 있다. 창측의 측면판(312b)과, 실내 중앙측의 측면판(312c)을 양측의 연결편(312)으로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 중앙측의 측면판(312c)은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보다도 창측에 있다. 핸드 스트랩 브래킷(350)은 연결편(312)의 측면판(312c)보다도 중앙측에 있어서, 연결편(312) 상면의 커튼 레일에 T 볼트(374, 375)로 체결되어 있다. T 볼트(374, 375)는 차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 2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짐선반 브래킷(310)은 창측의 측면판(312b)에 창측으로부터 상하 2개소에 있어서 볼트(372, 373)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T 볼트(374, 375)를 지지하는 지지자리(376)는 연결편(312)과는 다른 부재이어도 된다. 지지자리(376)는 연결편(312)의 오목부에 놓여져 있다. 이에 의하여 지지자리(376)는 연결편(312)과 일체가 된다.
공조 덕트(220)를 구성하는 하면판(223)은 창측의 측면판(312b)의 하단부(312bb)에 걸려 있다. 하단부(312bb)는 단면이 원형으로 하면판(223)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이 부분은 힌지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면판(223)의 다른쪽 끝(중앙측의 끝부)은 중앙측의 측면판(312c)으로부터 중앙측으로 돌출한, 즉, 공조 덕트의 폭보다도 차내의 중앙측으로 돌출한 수평한 판(312d)에 대하여 아래 쪽으로부터 비스(381)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다. 비스(381)는 접시나사이다. 비스(381)의 체결/해제로, 하면판(223)을 창측의 측면판(312b)의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다. 하면판(223)은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부터 끝부(312bb)에 끝부(312bb)를 상하로부터 끼우도록 삽입할 수 있다. 끼운다는 것은, 이 부분에서 차폐판(211)과 하면판(223)은 걸어 맞춰져 있다는 것이다.
공조 덕트(220)의 중앙측 측면판(312c)에 설치한 구멍(231)은 공조 공기의 분출구이다. 구멍(231)은 측면판(312c)보다도 중앙측으로부터[즉, 공조 덕트(220)의 바깥쪽으로부터] 개구한다. 구멍(231)을 통과한 공조 공기는 차폐판(211, 212), 단열재(235)의 겹침부에 설치한 슬릿(232)[도 14에는 도시 생략)을 통하여 실내로 분출된다. 비스(381, 382)는 슬릿(232)이 없는 부분에 있다.
하면판(223)의 창측 측면판(312b)의 창측 끝부에는 브래킷(310)의 압출형재 인 연결편(312)이나 측면판(312b)과의 체결부를 덮는 차폐판(211)이 착탈 자유롭게 끼워 넣어져 있다. 차폐판(211)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브래킷(310)이 관통한 차폐판(211)의 부분(그 주위를 포함한다)은 잘려져 있다. 차폐판(211)은 브래킷(310)의 체결이 종료되고 나서 창측으로부터 수평으로 동작시켜 하면판(223) 의 끝부에 끼워 넣는다.
브래킷(350)의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연결편(312)이나 측면판(312c)과의 체결부는 차폐판(212)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덮여져 있다. 차폐판(212)의 상단은 연결편(312)의 중앙측 끝부(312e)에 걸려 있다. 걸린다는 것은, 걸어 맞춰져 있다는 것이다. 차폐판(212)의 하단부는 수평한 판(312d)에 아래쪽으로부터 비스(382)로 체결되어 있다. 비스(381)와 비스(382)의 폭 방향 위치는 동일 부분이나 축방향 위치는 다르다. 비스(382)는 접시나사이다. 차폐판(212)에는 공조 공기를 차내로 분출하는 개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또 차폐판(212)에는 실내 조명(250) 등을 설치하고 있다.
공조 공기가 접하는 압출형재의 상면판(221), 창측의 측면판(312b), 중앙측의 측면판(312c), 하면판(223), 차폐판(212)에는 단열재를 붙이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비스(382, 381)의 체결을 해제하여 하면판(223)을 아래쪽으로 회전시키면, 공조 덕트 내로 손이 들어가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또 브래킷(310, 350)의 체결부는 차폐판(211, 212)으로 차폐되어 있어 겉보기의 저하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점은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조 덕트를 구비하는 레일차량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는 내장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내장 조립체는 상기 차체를 구성하는 지붕 구조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장 조립체는 그 폭 치수가 지붕 구조체의 폭 치수의 절반보다도 좁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장 조립체는 차내 숄더부의 위치에서 상기 지붕 구조체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 본 발명의 특징점은 상기 특징에 더하여 상기 내장 조립체는, 차체 폭 방향의 2부분에서 지붕 구조체에 고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상에 의하면 본 발명은 레일차량의 객실 내의 유효 스페이스를 확대하여 여객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1)

  1.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조용 덕트를 구비하는 레일차량에 있어서,
    상기 공조용 덕트, 짐선반 브래킷 및 핸드 스트랩 브래킷을 포함하는 내장 조립체가 상기 차체의 차내 숄더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내장 조립체는 상기 레일차량의 지붕 구조체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짐선반 브래킷과 상기 핸드 스트랩 브래킷은 수직방향으로 매달려 있고, 상기 공조용 덕트가 상기 양 브래킷의 사이를 통하여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짐선반 브래킷에는 짐선반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짐선반 브래킷과 상기 핸드 스트랩 브래킷은 상기 지붕 구조체의 아래 쪽에서 또한 상기 공조용 덕트의 윗쪽에 있어서 금속 고정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금속 고정구는 상기 지붕 구조체에 아래쪽으로부터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의 하면판은, 그 차체 폭 방향의 창측 끝부를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상기 공조 덕트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면판의 객실 중앙 근처의 끝부는 상기 공조 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차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는 압출형재로 구성되고,
    상기 압출형재의 상기 창측 끝부는 상기 차체의 상기 지붕 구조체의 커튼 레일에 체결한 금속 고정구에 차체 폭 방향 중앙측으로부터 걸어 멈춰져 있고,
    상기 압출형재의 중앙측은 상기 차체의 상기 지붕 구조체에 체결되어 있고,
    상기 압출형재에 상기 짐선반 브래킷, 상기 핸드 스트랩 브래킷이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차량.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의 하면판은 상기 공조 덕트의 창측 및 중앙측의 측면판을 포함하는 다른 3면의 판과는 다른 부재이고,
    상기 하면판의 한쪽 끝은 상기 창측의 측면판의 하단부에 걸려 있고,
    상기 하면판의 다른쪽 끝은 상기 공조 덕트의 폭보다도 차내의 중앙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중앙측 측면판으로부터 중앙측으로 돌출한 판에 아래쪽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차량.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의 상기 하면판의 창측에는, 상기 짐선반 브래킷과 상기 압출형재와의 체결부를 덮는 차폐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폐판은 상기 하면판의 창측 끝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차량.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의 상기 하면판의 차량 중앙측에는, 차량 중앙측의 상기 핸드 스트랩 브래킷과 상기 압출형재와의 체결부를 덮는 차폐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폐판은 차내의 중앙측으로 돌출한 판에 아래쪽으로부터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차량.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의 상단은 상기 압출형재에 걸어 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차량.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60020885A 2005-03-17 2006-03-06 레일차량 KR100737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78152 2005-03-17
JP2005078152 2005-03-17
JP2005303020 2005-10-18
JPJP-P-2005-00303020 2005-10-18
JPJP-P-2006-00035715 2006-02-13
JP2006035715A JP4286258B2 (ja) 2005-03-17 2006-02-13 軌条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248A KR20060101248A (ko) 2006-09-22
KR100737489B1 true KR100737489B1 (ko) 2007-07-09

Family

ID=3660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885A KR100737489B1 (ko) 2005-03-17 2006-03-06 레일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07471A1 (ko)
EP (1) EP1702825A3 (ko)
JP (1) JP4286258B2 (ko)
KR (1) KR100737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6258B2 (ja) 2005-03-17 2009-06-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軌条車両
JP4266024B2 (ja) * 2006-03-28 2009-05-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軌条車両、その製作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中空形材
JP2010167833A (ja) * 2009-01-20 2010-08-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車両用照明システム
US8403734B2 (en) * 2009-02-20 2013-03-26 Deere & Company Vent control system
DE102009059091A1 (de) * 2009-12-18 2011-06-22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10785 Anordnung zur Befestigung an einer Wagenkasten-Decke eines Großraum-Fahrzeuges zur Personenbeförderung
US9334054B2 (en) * 2010-04-20 2016-05-10 Be Intellectual Property, Inc. Use of aircraft cabin surfaces to guide airflow and sound
CN102030012B (zh) * 2010-12-10 2012-05-30 南京南车浦镇城轨车辆有限责任公司 地铁车辆客室屏风扶手支座快捷定位安装装置
JP5759712B2 (ja) * 2010-12-14 2015-08-0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内装品取付構造
JP5643660B2 (ja) * 2011-01-13 2014-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
JP5787610B2 (ja) * 2011-05-11 2015-09-30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鉄道車両の天井構造
AT12785U1 (de) * 2011-06-01 2012-11-15 Siemens Ag Oesterreich Schienenfahrzeugleuchtenmodul
US8955805B2 (en) 2012-02-14 2015-02-17 C&D Zodiac, Inc. Pivot bin assembly
US10029794B2 (en) 2012-02-14 2018-07-24 C&D Zodiac, Inc. Outboard rotating pivot bin assembly
US9365291B2 (en) 2012-02-14 2016-06-14 C&D Zodiac, Inc. Passenger service unit pod assembly
US9789963B2 (en) 2012-02-14 2017-10-17 C&D Zodiac, Inc. Pivot bin assembly with minimal force required for closing
US9162617B2 (en) 2012-02-14 2015-10-20 C&D Zodiac, Inc. Pivot bin assembly
US9499179B2 (en) * 2012-02-23 2016-11-22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Railroad vehicle provided with low roof structure
DE102012214156A1 (de) * 2012-08-09 2014-02-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ienenfahrzeug mit einem luftdichten Versorgungskanal enthaltend geklebte Bauteile
USD784905S1 (en) 2013-02-12 2017-04-25 C&D Zodiac, Inc. Storage bin for aircraft
JP6251480B2 (ja) * 2013-02-12 2017-12-2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ダクト及び鉄道車両
EP3418088B1 (en) * 2013-10-18 2020-09-09 Hitachi, Ltd. Moving vehicle
US9440661B2 (en) * 2014-03-06 2016-09-13 Siemens Industry, Inc. Integrated ceiling assembly for railcars
JP6151656B2 (ja) * 2014-03-18 2017-06-21 Jr東日本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鉄道車両の設計方法、鉄道車両の製造方法及び鉄道車両
JP6203699B2 (ja) * 2014-10-09 2017-09-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軌条車両構体へのモジュールユニット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取り付け方法
WO2016072016A1 (ja) * 2014-11-07 2016-05-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軌条車両
USD875641S1 (en) 2015-02-02 2020-02-18 C&D Zodiac, Inc. Personal service unit
USD784904S1 (en) 2015-02-02 2017-04-25 C&D Zodiac, Inc. Aircraft passenger service unit
ES2540924B1 (es) * 2015-03-04 2016-02-12 Rolen Technologies & Products, S.L. Bloque de techo para trenes, con instalaciones de aire integradas
EP3296179B1 (en) * 2015-05-12 2020-08-19 Hitachi, Ltd. Railway vehicle provided with ceiling module
CN105291763A (zh) * 2015-11-19 2016-02-03 衡阳泰豪通信车辆有限公司 一种方舱车用多功能的空调风道
CN105936281B (zh) * 2016-06-20 2018-08-28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防脱落灯具
JP7231377B2 (ja) * 2018-10-22 2023-03-01 株式会社総合車両製作所 鉄道車両
DE102018128573B4 (de) 2018-11-14 2020-06-18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Haltevorrichtung
DE102019205595A1 (de) * 2019-04-17 2020-10-22 Siemens Mobility GmbH Schienenfahrzeugwagen mit Behälter zur Unterbringung von Elektrogeräten
JP6921906B2 (ja) * 2019-08-07 2021-08-18 日立交通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軌条車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471860B2 (ja) 2020-02-27 2024-04-22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鉄道車両
DE102020107639A1 (de) * 2020-03-19 2021-09-23 Man Truck & Bus Se Fahrzeug zur Personenbeförderung mit einer Gepäckablage
CN112249053B (zh) * 2020-10-09 2023-07-18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内装车顶骨架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4112U (ko) 1981-04-28 1982-11-02
EP0529263A1 (de) 1991-08-27 1993-03-03 Mercedes-Benz Ag Deckenkanalanordnung für Grossraumfahrzeuge
KR200267858Y1 (ko) 2001-12-10 2002-03-09 김종열 버스용 에어컨 구조
JP2002120541A (ja) 2000-10-16 2002-04-23 Hino Motors Ltd 荷物棚付きバスのクーラダクトの取付構造
EP1702825A2 (en) 2005-03-17 2006-09-20 Hitachi, Ltd. Passenger cabin of a railway vehicle
KR20190000940U (ko) * 2017-10-12 2019-04-22 김태연 이탈방지구를 갖는 볼체인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0619A (en) * 1939-05-01 1941-07-29 Yellow Truck & Coach Mfg Co Combined package rack and air duct
US2502320A (en) * 1946-08-24 1950-03-28 Marmon Herrington Co Inc Vehicle body structure
US3577903A (en) * 1969-12-30 1971-05-11 Budd Co Handrail and air-conditioning duct support
US4387415A (en) * 1979-04-30 1983-06-07 Transmatic, Inc. Cornice lighting fixture
JPS6177559A (ja) * 1984-09-26 1986-04-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の車体構造
JPH0332458Y2 (ko) * 1985-03-06 1991-07-10
DE4236411A1 (de) * 1992-10-28 1994-05-05 Soltanmoradi Hossein Einrichtung zur Komfort-Versorgung von Fahrgastplätzen in Fahrzeugen
US5441326A (en) * 1993-01-22 1995-08-15 Transmatic, Inc. Combined air conditioning duct, luggage compartment and lighting fixture for mass transit vehicles
US5857758A (en) * 1996-12-17 1999-01-12 Transmatic, Inc. Lighting system for mass-transit vehicles
GB9721360D0 (en) * 1997-10-08 1997-12-10 Transmatic Europ Limited Rack unit
JP3675630B2 (ja) * 1998-02-06 2005-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
DE19831880C1 (de) * 1998-07-17 1999-08-12 Happich Fahrzeug & Ind Teile Luftkanal für Großraumfahrzeuge
JP3678013B2 (ja) * 1998-08-19 2005-08-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の内装材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内装構造
DE19951659C2 (de) * 1999-10-26 2002-07-25 Arvinmeritor Gmbh Fahrzeugdach, insbesondere Kraftfahrzeugdach
JP3626891B2 (ja) * 1999-12-06 2005-03-09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鉄道車両用構体
JP4446363B2 (ja) * 1999-12-22 2010-04-07 近畿車輌株式会社 鉄道車輛の側天井ユニット
JP3503058B2 (ja) * 2000-07-27 2004-03-02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鉄道車両の天井構造
DE10152659A1 (de) * 2001-10-16 2003-04-17 Happich Fahrzeug & Ind Teile Deckenverkleidungs- und Luftleitsystem
US6991276B2 (en) * 2003-05-20 2006-01-31 Mccauley Alvin D Luggage loft assembly
JP4281958B2 (ja) * 2004-06-14 2009-06-17 近畿車輌株式会社 鉄道車両の吊手棒受けの取り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4112U (ko) 1981-04-28 1982-11-02
EP0529263A1 (de) 1991-08-27 1993-03-03 Mercedes-Benz Ag Deckenkanalanordnung für Grossraumfahrzeuge
JP2002120541A (ja) 2000-10-16 2002-04-23 Hino Motors Ltd 荷物棚付きバスのクーラダクトの取付構造
KR200267858Y1 (ko) 2001-12-10 2002-03-09 김종열 버스용 에어컨 구조
EP1702825A2 (en) 2005-03-17 2006-09-20 Hitachi, Ltd. Passenger cabin of a railway vehicle
US20060207471A1 (en) 2005-03-17 2006-09-21 Seijiro Todori Railway vehicle
KR20190000940U (ko) * 2017-10-12 2019-04-22 김태연 이탈방지구를 갖는 볼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86258B2 (ja) 2009-06-24
JP2007137405A (ja) 2007-06-07
US20060207471A1 (en) 2006-09-21
EP1702825A2 (en) 2006-09-20
KR20060101248A (ko) 2006-09-22
EP1702825A3 (en)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489B1 (ko) 레일차량
US20050236523A1 (en) Internal arrangement of the walls of the fuselage of an aircraft
US6966682B2 (en) Light bar mounting arrangement
JP3626891B2 (ja) 鉄道車両用構体
US6991276B2 (en) Luggage loft assembly
JP2005329865A (ja) 鉄道車両の天井構造
JP2011207459A (ja) 軌条車両
CN211468117U (zh) 安全可靠的公交车风道结构
JP3709963B2 (ja) 鉄道車両用車体構造
JP5869381B2 (ja) 鉄道車両構体
JP3575943B2 (ja) ダクト用換気扇
JPH04334654A (ja) 車両用空調ダクト
US20030173056A1 (en) Mass transit vehicle air distribution assembly
CN1833936A (zh) 有轨车辆
JP3330318B2 (ja) 鉄道車両の製造方法と鉄道車両の構造
JP6176989B2 (ja) 鉄道車両構造
JP4281958B2 (ja) 鉄道車両の吊手棒受けの取り付け構造
JP7141187B2 (ja) 鉄道車両の壁パネル構造及び鉄道車両
KR930008667B1 (ko) 차량용 냉방 덕트겸용 선반구조
JP3519033B2 (ja) 鉄道車両の製造方法とこれに用いる内装ユニット
JP2000135922A (ja) 車両用エアコンユニット
JP2001001946A (ja) ステアリングメンバの取付構造
CN211468115U (zh) 一体式公交车风道铝型材
KR0115787Y1 (ko) 천정 장식판넬 설치용 고정부재
CN115257838A (zh) 车厢顶板、车厢及轨道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