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541B1 - 구축물용 구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축물용 구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541B1
KR100727541B1 KR1020030068574A KR20030068574A KR100727541B1 KR 100727541 B1 KR100727541 B1 KR 100727541B1 KR 1020030068574 A KR1020030068574 A KR 1020030068574A KR 20030068574 A KR20030068574 A KR 20030068574A KR 100727541 B1 KR100727541 B1 KR 100727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member
reinforcement
longitudinal direction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652A (ko
Inventor
미노루 히라가키
Original Assignee
미노루 히라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노루 히라가키 filed Critical 미노루 히라가키
Publication of KR20040038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distribution in cross section
    • E04C2003/0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distribution in cross section the hollow cross-sec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nclosed cav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4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circular- or oval-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65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square- or rectangular-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과제) 기둥(柱)체나 들보(梁)체 등의 구축물용 구성체의 의해 구축되는 철골구조물에 있서, 간단한 구조로 양호한 시공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또한, 높은 강도와 정도(精度)를 얻을 수 있는 구축물용 구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강관부재(1)와 그 강관부재에 있어서의 내부의 중공부(1a)에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를 횡단하게 마련한 보강체(2)를 가지고, 강관부재와 보강체를 용접접합한 구축물용 구성체(A)에 있어, 강관부재는, 그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보강체의 설치위치에, 그 보강체의 폭치수에 걸맞는 폭에 형성한 이 보강체의 삽입공(20)을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이 삽입공은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부까지 일련으로 마련되어, 보강체를, 삽입공에 있어서,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내부로 향한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시킨다.
구축물용 구성체

Description

구축물용 구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A Construt for Building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구축물용 구성체를 분해하여, 일부를 파단하여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를 보이는 단면도로, (a), (b)는 용접접합 전을, (c), (d)는 용접접합 후를 각각 보이는 그림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의 보강체를 보이는 것으로, (a)는 사시도를, (b), (c), (d)는 계지체(係止體)부를 각각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의 보강체의 조지(弔持)상태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의 삽입상태를 보이는 돌부재(突部材)부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 내에 보강충전재를 충전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에 접속부재를 마련하여 들보체(梁 體)와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요부의 정면도를, (b)는 요부의 평면도를 각각 보인다.
도 8은,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를 구둥체(柱體)에 이용한 예로, 이 기둥체 내에 보강충전재를 충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의 보강체(補强體)부에 발생하는 기체 등을 도피시키는 수단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의 타의 사용의 각 예를 보이는 것으로, (a)는 기둥체에, (b)는 들보체(교량 등)에 이용한 예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의 단면원형상의 강관부재에의 보강체의 삽입상태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에 의해 구축한 골조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의 보강체를 조지(弔持)한 때의 힘의 전달상태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에 의해 구축한 기둥체와 들보체의 접합구조에 있어, 고층건조물의 보강체(강성이 높은 개소)와 공동부(강성이 낮은 개소)의 관계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에 이용한 보강체에 있어서의 돌부재의 각 예를 보이는 요부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에 이용한 보강체에 있어서의 돌부재의 타의 예를 보이는 것으로, (a)는 사시도를, (b)는 후크체를 설치한 상태의 요부의 설명도를, (c)는 암나사체의 타의 형성상태를 보이는 요부의 단면도를 각각 보인다.
도 17은, 도 1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의 보강체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체를 보이는 것으로, (a)는 설치전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b)는 설치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단면도를 각각 보인다.
도 18은, 도 17에 있어서의 구축물용 구성체의 보강체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체에 있어서, 그 안내체를 둘 설치한 상태를 보이는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A : 구축물용 구성체 1 : 강관부재
1a : 중공부 c : 들보체
2 : 보강체 3 : 접합공
4 : 용접접합 5 : 조지(弔持)수단
6 : 계지체(係止體) 7 : 돌부재(突部材)
8a : 경사면 20 : 삽입공
21 : 보강충전재 30 : 접속부재.
본 발명은, 기둥체나 들보체 등의 구축물용 구성체의 의해 구축되는 철골구조물에 있서, 간단한 구조로 양호한 시공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또한, 높은 강도와 정도(精度)를 얻을 수 있는 구축물용 구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철골건조물에 있어, 강관 내부에 다이어프램을 삽입하고, 이 다이어프램에 의해서 강관이 보강된 강관구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특개2002-146921호 공보
이 기술은, 동 문헌에 있어서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은 강관의 횡단면으로부터 그 강관 내에 삽입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이 다이어프램을 보지하여 정화하게 강관 내로 밀어넣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 작업성이 대단히 나쁜 것이었다.
또, 일단, 이 강관 내로 다이어프램을 삽입한 후는, 그 다이어프램의 자세가 강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바른 상태가 아닌 경우, 간단히 이 다이어프램의 자세를 수정할 수가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강관부재와, 그 강관부재에 있어서의 내부의 중공부에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를 횡단하게 마련한 보강체를 가지고, 강관부재와 보강체를 용접접합한 구축물용 구성체(A)에 있어, 강관부재는, 그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보강체의 설치위 치에, 그 보강체의 폭치수에 걸맞는 폭에 형성한 이 보강체의 삽입공을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이 삽입공은,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부까지 일련으로 마련되어, 보강체를, 삽입공에 있어서,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내부에 향한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시킴에 의해, 기둥체나 들보체 등의 구축물용 구성체의 의해 구축되는 철골구조물에 있서, 간단한 구조로 양호한 시공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또한, 높은 강도와 정도(精度)를 얻을 수 있는 구축물용 구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내부가 중공인 장척상(長尺狀)의 강관부재와, 이 강관부재에 있어서의 내부의 중공부에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를 횡단하게 마련한 보강체를 가지고,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천설(穿設)한 복수개의 접합공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와 상기 보강체를 용접접합한 구축물용 구성체에 있어,
상기 강관부재는, 그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의 설치위치에, 그 보강체의 폭치수에 걸맞는 폭에 형성한 이 보강체의 삽입공을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이 삽입공은,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부까지 일련으로 마련되어,
상기 보강체를, 상기 삽입공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 기 강관부재의 내부에 향한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삽입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체는, 판상(板狀)으로 형성하여, 강관부재의 내부에 있어서의 중공부를 횡단한 횡단면보다 작은 측면을 가지고, 또한, 그 측면과 대략 직교하여 상기 강관부재의 내벽면에 대응하는 외주면을 가지고 있어,
상기 주면의 일측부에, 조지(弔持)수단이 계합(係合)하는 계지체(係止體)를 부설(付設)시키어 있고,
상기 보강체의 계지체는, 그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과 평행시키어 마련하고 있고,
이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부에, 조지(弔持)수단의 계합체가 계합하는 계지부재를 각각 형성하고,
그 계지부재는,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 상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그의 양외측방향에 각각 퍼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계지체의 상부에는, 그 보강체의 긴쪽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단면한 형상이 삼각형 또는 원호상(圓弧狀)형이나 사각형이나의 어느 것에 형성된 구축물용 구성체의 구성에 있다.
내부가 중공인 장척상(長尺狀)의 강관부재와, 이 강관부재에 있어서의 내부의 중공부에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를 횡단하게 마련한 보강체를 가지고,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천설(穿設)한 복수개의 접합공에 있어서, 상 기 강관부재와 상기 보강체를 용접접합한 구축물용 구성체에 있어,
상기 강관부재는, 그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의 설치위치에, 그 보강체의 폭치수에 걸맞는 폭에 형성한 이 보강체의 삽입공을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이 삽입공은,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부까지 일련으로 마련되어,
상기 보강체를, 상기 삽입공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강관부재의 내부에 향한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삽입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체는, 판상(板狀)으로 형성하여, 강관부재의 내부에 있어서의 중공부를 횡단한 횡단면보다 작은 측면을 가지고, 또한, 이 측면과 대략 작교하여 상기 강관부재의 내벽면에 대응하는 외주면을 가지고 있어,
상기 외주면의 일측부에, 이 보강체를 조지(조持)하는 조지(弔持)수단이 계합하는 계지체를 부설(付設)시키어 있고,
이 계지체와는 타측의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천설한 접합공에 대응하는 돌부재(突部材)를 마련하고 있고,
상기 보강체의 계지체는, 그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과 평행시키어 마련하고 있고,
이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부에, 조지(弔持)수단의 계합체가 계합하는 계지부재를 각각 형성하고,
그 계지부재는,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 상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그의 양외측방향에 각각 퍼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계지체의 상부에는, 그 보강체의 긴쪽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단면한 형상이 삼각형 또는 원호상(圓弧狀)형이나 사각형이나의 어느 것에 형성된 구축물용 구성체의 구성에 있다.
내부가 중공인 장척상(長尺狀)의 강관부재와, 이 강관부재에 있어서의 내부의 중공부에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를 횡단하게 마련한 보강체를 가지고,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천설(穿設)한 복수개의 접합공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와 상기 보강체를 용접접합한 구축물용 구성체에 있어,
상기 강관부재는, 그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의 설치위치에, 그 보강체의 폭치수에 걸맞는 폭에 형성한 이 보강체의 삽입공을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이 삽입공은,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부까지 일련으로 마련되어,
상기 보강체를, 상기 삽입공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강관부재의 내부에 향한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삽입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천설한 하부의 상기 접합공 내에 안내체를 끼워맞춰 있어,
이 안내체는, 상기 접합공의 내벽에 맞닿는 멈춤부재와, 이 멈춤부재로부터 연설시켜 상기 강관부재의 공간부 내에 내어다는 가이드부재를 가지고,
그 가이드부재는, 상기 강관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접합공을 끼고 양측으로 확개(擴開)하여,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하부단 연부(緣部)가 미끄러질 수 있는 경사면을 마련한 구축물용 구성체의 구성에 있다.
강관부재의 내부에 마련한 보강체는, 간격적으로 복수장을 설치하고, 이들 보강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주입후에 고화하는 보강충전재를 충전시킨다.
보강체를 그의 내부에 마련한 강관부재는, 그의 긴쪽 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게 입설(立設)한 기둥체나, 구축물에 설치한 수평상이나 경사상으로 되는 들보체나의 어느 것이다.
보강체를 그의 내부에 마련한 강관부재는, 그의 긴쪽 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게 입설(立設)한 기둥체로서,
상기 강관부재와 상기 보강체를 용접접합한 용접접합부위에, 구축물에 있어서의 들보체의 단부와 접합하는 접속부재를 용접접합한 것이다.
내부가 중공인 장척상(長尺狀)의 강관부재와, 이 강관부재에 있어서의 내부의 중공부에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를 횡단하게 마련한 보강체를 가지고,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천설(穿設)한 복수개의 접합공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와 상기 보강체를 용접접합한 구축물용 구성체에 있어,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상기 보강체의 설치위치에 삽입공을 천설하여, 그 강관부재를 상기 삽입공이 상방에 향하게 대략 수평으로 재치(載置)하 고,
그 삽입공의 상방에 있어서, 조지(弔持)수단에 의해 상기 보강체의 상부에 돌설(突設)시킨 계지체를, 이 보강체의 두께 방향인 외주부가 하방으로 향하게 조지(弔持)하고, 이 보강체를 그 보강체의 자중에 의해 연직상태로 드리워서 상기 삽입공 내로 강하시켜,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강관부재의 내부에 향한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시키어,
상기 보강체의 하측외주면을 상기 강관부재의 중공부의 하부내면에 지지시키고, 그 보강체의 양측부의 외주면을 상기 강관부재의 중공부의 내측면에 대응시키어,
상기 삽입공과 상기 복수개의 접합공에 있어서, 상기 광관부재와 상기 보강체의 외주부를 용접접합시키어 일체적으로 형성시킨 구축물용 구성체의 제조방법에 있다.
조지(弔持)수단에 의한 보강체의 조지(弔持)에 있어,
보강체의 계지체는, 그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과 평행시켜 마련하고 있고, 이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부에, 조지(弔持)수단의 계합체가 계합하는 계지부재를 각각 형성하고, 그 계지부재는,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 상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그이 양외측방향에 각각 퍼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계지체의 상부에는, 상기 조지(弔持)수단의 압압(押壓)부재에 계합하는 상기 보강체의 긴쪽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단면한 형상이 삼각형상 또는 원호상형이나 사각형이나의 어느 것에 형성되 고,
상기 보강체의 계지체에 있어서의 하부에,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천설된 접합공에 대응하는 돌부재(突部材)를 돌설하고 있어, 이 돌부재는, 상기 보강체의 긴쪽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단면한 형상이 삼각형상 또는 원호상형이나 사각형이나의 어느 것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보강체에 있어서의 계지체의 계지부재를 상기 조지(弔持)수단에 의해 붙잡은 때, 이들 경사면에 의해 상기 보강체가 상방에 들어 올려지는 동시에, 이 계지체의 상부가 상기 조지(弔持)수단의 압압(押壓)부재에 계합하여 압축하중을 받아, 그 보강체가 연직상태로 지지되어,
상기 보강체에 있어서의 돌부재가 접합공에 위치하는 때, 그 삼각형상 또는 원호상형이나 사각형이나의 어느 것에 형성된 돌부재의 외측면이 상기 접합공의 주연(周緣)에 맞닿으면서 안내되어서, 상기 보강체의 연직방향의 자세를 수정시키면서 삽입시킨 것이다.
(실시예)
다음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구축물용 구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의 실시의 일례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6 ∼ 도 10, 도 12, 도 14에 있어서 A는 구축물용 구성체로, 예를 들어, 철골구조물이나 타의 구조물을 구축하는 수직재로 되는 기둥체나 수평재나 경사재로 되는 들보체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의 내부가 중공으로 연속한 장척상(長尺狀)의 강관부재(1)와, 이 강관부재(1)에 있어서 의 내부의 중공부(1a)에 그 강관부재(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를 횡단하게 마련한 보강체(2)를 가지고, 강관부재(1)의 외주부에 천설한 복수개의 접합공(3)에 있어서, 강관부재(1)와 보강체(2)를 용접접합(4)에 의해 고착하여 있다.
상기한 강관부재(1)는, 금속에 의해 성형돼 있서, 내부가 일련상(一連狀)의 중공으로 장척상(長尺狀)이고, 그의 길이 방향을 횡단한 단면은, 사각형(정방형이나 장방형)이나 원형(타원을 포함)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강관부재(1)의 외주부에, 그 강관부재(1)의 중공부(1a)에 관통하는 복수개의 접합공(3)을 천설하여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그 강관부재(1)의 단면이 각형(角形)이면, 일측면을 제외한 타의 삼방에 대하여 마련되고, 남어지의 일방에 있어서는, 후기하는 삽입공(20)이 형성된다.
게다가, 이 접합공(3)의 형상은, 원형이나 각형 등의 임의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그의 천설하는 개수도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보강체(2)는, 금속에 의해 판상(板狀)에 형성하여, 강관부재(1)의 내부에 있어서의 중공부(1a)를 횡단한 횡단내면보다 작은 표면과 이면으로 되는 측면(2a, 2a)을 가지고, 또한, 그 측면(2a, 2a)과 대략 직교하여 강관부재(1)의 내벽면에 대응하는 외주면(2b)을 가지는 말하자면 중공부(1a)에 있어서의 내주부에 근사한 치수를 가지고 있어, 이 강관부재(1)의 중공부(1a)에 들어간 때, 강관부재(1)의 내벽면과 보강체(2)의 외주면(2b)의 사이에 그 보강체(2)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될 수 있는 대로 극간(隙間)을 형성하지 않게 배려된다.
또, 그 보강체(2)의 외주면(2b)의 일측부(조지수단 5에 의해 조지된 때의 상 부위치)에, 후기하는 조지(弔持)수단(5)이 계합하는 계지체(6)(상부로 돌출시킨 부재)를 부설시켜 있다.
또한, 이 계지체(6)와는 타측(조지수단 5에 의해 조지된 때의 하부위치)의 보강체(2)의 외주면(2b)에 있어서, 강관부재(1)의 외주부에 천설한 접합공(3)에 대응하는 돌부재(7)(하부에 돌출시킨 부재)를 마련하여 있다. 더구나, 이 계지체 (6)와 돌부재(7)는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중, 상기한 계지체(6)는, 도 3의 각 그림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보강체(2)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과 평행시킨 길이와 평행한 상면(上面)를 가지도록, 또한, 이 긴쪽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마련하여 있고, 이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부에, 조지(弔持)수단(5)의 계합체(15, 15)가 계합하는 계지부재(8, 8)를 각각 형성하여 있다.
그 계지부재(8, 8)는, 보강체(2)의 외주면(2b)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보강체 (2)의 외주면(2b)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그의 양외측방향에 각각 퍼지는 경사면(8a, 8a)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도 3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 경사면 (8a, 8a)의 각도 θ는, 예를 들어, 30°∼60°정도로, 바람직하게는 45°로 형성된다.
또한, 이 계지체(6)의 상부에는, 그 계지체(6)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단면한 형상(8b)이, 도 3 (c)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의 정점이 상방으로 향하는 삼각형 또는 도 3 (d)에 보이는 바와 같이, 원호면이 상방으로 향하는 원호상형이나, 도 3 (e)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의 정부(頂部)변이 저부변보다 짧 은 사다리꼴이나, 도시하지 않은 사각형으로 되는 입방체 또는 장방체상이나의 어느 것에 형성된다.
또, 도시하여 있지 않으나, 단면한 형상(8b)에 있어서의 저변은, 보강체(2)의 판두께보다 짧게 형성하여도 좋다(참고로, 도 15 (d), (e), (f)에 보이는 돌부재 7의 단면한 형상 7a와 같이 형성된다.).
게다가,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그의 각도 β는, 예를 들어, 60°∼ 120°정도로, 바람직하게는, 90°로 형성된다.
더구나, 상기한 조지(弔持)수단(5)은,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조하(弔下)부재(9)의 하단부에 지축(支軸)(10)에 의해 그의 일단부를 설치한 한쌍의 링크(11, 11)의 타단부에, 지축(12, 12)에 의해 접속하여 그의 중간부를 설치축(13)에 의해서 교차상(交叉狀)으로 연결한 파지(把持)암(14, 14)을 마련하여 있는 것으로, 이 파지암(14, 14)의 하단부에는, 계합체(15, 15)를 각각 설치하여 있다.
이들 계합체(15, 15)는 계지체(6)에 있어서의 계지부재(8, 8)의 경사면(8a, 8a)에 계합하는 계합면을 가지고 있다.
또, 설치축(13)에 그의 기부를 회전자재하게 설치하여 선단부에 압압부재 (16)를 마련한 압압체(17)를 드리우고 있다. 이 압압부재(16)의 내단면은, 계지체(6)의 상부의 형상(8b)에 밀착하게, 도 4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 형상(8b)과 대략 동일한 내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 4 (a) 및 도 13 (a),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조지(弔持)수단 (5)에 있어서의 계합체(15, 15)에 의해 보강체(2)에 있어서의 계지체(6)의 계지부 재(8, 8)를 붙잡으면, 동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의 붙잡는 힘 p, p(p' +p' +p' …)는 경사면(8a, 8a)에 대하여 내방으로 집어대는 힘(도 13 (a)에 있어서 보이는 화살표 n방향)이 각각 걸린다.
이 붙잡는 힘(p, p)에 의해서, 계합체(15, 15)와 경사면(8a, 8a)은 미끄러져서, 그 경사면(8a, 8a)으로부터의 분력(m')이 발생하며, 이에 의해 보강체(2)를 화살표 m방향에 보강체(2)의 중량몫(W)을 들어 올린다.
한편, 계지체(6)의 상부는, 도 4 (a) 및 (b), 도 13 (a),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조지(弔持)수단(5)의 압압부재(16)에 의해 화살표 m1 방향의 누르는 힘(압축력)이 발생하고, 또, 수직방향에 대하여서는 위치결정되어 있으므로, 보강체(2)는 그의 자중(自重)작용과 함께, 좌우방향 및 이 좌우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항상, 연직방향으로 수정된 바른 자세에 보지된다.
이때, 보강체(2)에 주어지는 힘은,
(p' +p' +p' …)×2 = 2p = m
= (m' +m' +m' …)×2 = m1 = w
로 되기 때문에, 계합체(15, 15)의 붙잡는 힘은, 모두 보강체(2)를 화살표로 보이는 m방향에 들어 올려지는 힘으로 변환된다.
즉, 압압부재(16)의 내면은 대략 수평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내면에 맞닿는 계지체(6)의 상부는 압압부재(16)의 내면에 따르고, 이에 상응하여, 보강체 (2)의 상부외주부(2b)도 대략 수평상태로 되어서, 보강체(2) 전체가 연직상태로 조 지(弔持)수단(5)에 의해 드리워지는 것이다.
게다가, 상기한 보강체(2)의 자중이란, 그 보강체(2) 바로 그것의 무게로서, 인력(引力)에 의해 지면측에 끌어 당겨지는 중력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또, 보강체(2)의 하부에 마련한 돌부재(7)는, 그 보강체(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단면한 형상(7b)이, 도 15 (a), (d)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의 정점이 하방으로 향하는 삼각형 또는, 도 15 (b), (e)에 보이는 바와 같이, 원호면이 하방으로 향하는 원호상형이나, 도 15 (c), (f)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의 정부(頂部)변(외측변)이 저부변보다 짧은 사다리꼴이나,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각형으로 되는 입방체 또는 장방체상이나의 어느 것에 형성된다.
더구나, 이들 단면한 형상(7b)에 있어서의 저부변(내측변)은, 도 15 (d), (e), (f)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보강체(2)의 판두께보다 짧게 형성하기도 하는 것이이기 때문에, 이에 의해, 보강체(2)의 하측 주연부에는, 강관부재(1)의 내벽 하부에 형성된 접합공(3)의 내벽측의 외주연부에 맞닿아 계합하는 계지단부(7b)가, 이 저부변(내측변)의 양측부 또는 일측부에서 형성된다.
또,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의 단면한 형상(7b)에 있어서의 각도(r)는, 예를 들어, 60°∼120°정도로, 바람직하게는, 90°로 형성된다. 이 돌부재(7)는, 보강체(2)의 상부에 마련한 계지체(6)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도 상관이 없기 때문에, 조지(弔持)시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따라서, 조지수단(5)에 의해 조지된 보강체(2)는, 강관부재(1)의 삽입공(20)으로부터 그의 중공부(1a)에 삽입된 때에, 예를 들어, 도 5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보강체(2)가 조지된 그의 연직방향에 바르게 향한 상태가 아니어도, 돌부재(7)의 경사면이 접합공(3)의 내주연(3a)을 미끄러지면서 안내돼, 이 접합공(3) 내로 이 돌부재(7)가 확실히 중력방향 즉 자동적으로 연직방향으로 삽입된다.
더구나, 상기한 강관부재(1)의 삽입공(20)은, 그 강관부재(1)의 외주부에 있어서 보강체(2)의 설치위치에, 그 보강체(2)의 폭치수에 걸맞는 폭으로 형성하여 있어, 즉, 강관부재(1)의 외주부로부터 보강체(2) 전체가 이 강관부재(1)의 중공 부(1a)에 삽입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하여 있다.
이 삽입공(20)은, 강관부재(1)의 외주면으로부터 강관부재(1)의 내경폭(중공부 1a)까지 일련으로 마련돼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보강체(2)는, 강관부재(1)의 외주면으로부터 이 강관부재(1)의 내부로 향한 그 강관부재(1)의 긴쪽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된다.
보강체(2)의 삽입에 있어서는, 조지수단(5)에 의해 조지된 그 보강체(2)를 강관부재(1)의 상방으로부터 그의 강하에 의해서 행하기 때문에, 이 삽입공(20)의 천공위치는, 강관부재(1)의 상면부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한 강관부재(1)와 보강체(2)는 강관부재(1)의 외주부에 천설한 복수개의 접합공(3)에 있어서 용접접합(4)이 행해지는 것으로, 이 중 접합공(3)은, 보강체(2)의 판두께 만큼의 내경으로 좋은 것이지나, 설계상, 그 용접강도를 감안하여 적당한 내경크기를 선정할 수도 있는 것이고, 또 반드시 원형만이 아니라, 장공상(長孔狀)의 것이어도 좋다.
또, 이 강관부재(1)의 복수개의 접합공(3)을 잇는 전주부(全周部)에 있어서는, 간격적으로 마련한 그 접합공(3)과 이 접합공(3)이 뚫려있지 않은 접속부(36)가 혼재하는 상태로서, 적어도, 이 접합공(3)부분에 있어서 강관부재(1)가 길이 방향에 대하여 분단돼 있지 않은 일련의 접속상태이다.
이 용접접합(4)은, 관용(慣用)의 용재와 강관부재(1) 및 보강체(2)를 용융시키는 접합에 의해 행하는 것이지만, 용재를 이용하지 않는 압접·저항용접이나 이 압접·저항용접과 아크용접을 병행하는 방법 등의 소정 접합강도가 얻어지는 수단이라면 임의의 용접접합(4)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축물용 구성체(A) 및 구축물용 구성체의 제조방법은, 이하에 기술하는 작용을 성취한다.
우선, 예를 들어,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긴쪽 방향을 횡단한 그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소정의 길이에 성형한 일련의 하나로 된 강관부재(1)를 준비하고, 이 강관부재(1)에 있어서의 보강체(2)를 고착하는 부위(일개소 또는 복수개소)에 있어서, 그의 외주부의 3면에 접합공(3, 3, 3)을, 그들의 1면에 있어서 일개소 또는 복수개소에 걸쳐 천설한다.
또, 상기 강관부재(1)의 3면의 나머지의 1면에, 이 광관부재(1)의 중공부 (1a)의 내경 치수만큼의 삽입공(20)을, 상기 접합공(3, 3, 3)과 동일의 환상위치(강관부재 1의 긴쪽 방향을 횡단한 그의 단면위치가 동일)로 되게 천설한다.
그리고, 강관부재(1)을 지지대(도시하지 않음)에 대략 수평으로 얹고, 또 호이스트나 크레인 등에 접속시킨 조지수단(5)에 있어서의 계합체(15, 15)에 의해 보 강체(2)에 있어서의 계지체(6)의 계지부재(8, 8)를 붙잡으면, 도 4 (a)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의 붙잡는 힘(p, p)은 경사면(8a, 8a)에 대하여 내방으로 각각 걸린다.
이 붙잡는 힘(p, p)에 의해서, 계합체(15, 15)와 경사면(8a, 8a)은 미끌어져서 보강체(2)를 화살표 m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한편, 계지체(6)의 상부는, 도 4 (a) 및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주지수단(5)의 압압부재(16)에 의해 눌리어 압축하중을 받으면서 위치정해지고 있으므로, 보강체(2)는 그의 자중작용과 중력작용에 의해서 연직방향으로 방향잡히는 동시에, 좌우방향 및 이 좌우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항상, 연직방향에 수정된 바른 자세로 보지된다.
이 상태로, 조지수단(5)에 조지된 보강체(2)를 강하시키고, 강관부재(1)의 상부에 천설된 삽입공(20) 내에 똑바로 삽입시켜, 강관부재(1)의 중공부(1a)에 들어가, 도 2 (a),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중공부(1a)에 보강체(2)가 지리잡는다.
이때, 강관부재(1)의 삽입공(20)으로부터 그의 중공부(1a)에 삽입된 때,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보강체(2)가 조지된 그의 연직방향으로 바르게 향한 상태가 아닌 경사상태로 되어도, 보강체(2)의 강하가 진행하는 중에, 돌부재(7)의 경사면이 접합공(3)의 내주연(3a)을 미끄러지면서 안내되어서, 보강체(2)는, 동도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해 그의 경사자세를 자동적으로 수정하여, 이 접합공(3) 내에 이 돌부재(7)가 정확한 연직상태로 삽입된다.
또, 보강체(2)는 그의 하측 외주면(2b)이 강관부재(1)의 중공부(1a)의 하부 내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또한, 양측부의 외주면(2b, 2b)이 강관부재(1)의 중공부(1a)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그대로의 상태로 안정적으로 보지된다.
다음, 강관부재(1)의 접합공(3, 3)과 보강체(2)의 양측 외주부(2b)나 접합공(3)과 보강체(2)의 하부 외주부(2b)와 더불어 돌부재(7) 및 삽입공(20)과 보강체(2)의 상부 외주부(2b)와 더불어 계지체(6)를, 도 2 (c), (d)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각각 용접접합(4)을 행하여 구축물용 구성체(A)가 제조된다.
이 구축물용 구성체(A)는, 골조건조물의 기둥체나 들보체에 이용함으로써, 큰 강도를 발휘할 수가 있다.
또, 이 구축물용 구성체(A)에 있어, 강관부재(1)의 중공부(1a)에 간격적으로 복수의 보강체(2)를 고착한 경우에는, 이들 보강체(2, 2…)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부(2g)에 보강충전재(21)를 충전하여, 또한, 그 구축물용 구성체(A)를 보강할 수가 있다.
이 보강충전재(21)는, 고화후, 및 하중이 걸린 때 체적감축이 생기지 않는 소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반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상(狀)의 것, 또는 이들 조성물에 대신하는 불연(不燃)경화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또, 보강체(2)의 공간부(2g)에의 충전에 있어서는, 유동성이 양호한 상태가 바람직하여, 예를 들어, 페이스트상(狀) 등으로 조제하여 둔다.
그리고, 그 보강충전재(21)의 충전에 있어서는,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강관부재(1)에 용착된 보강체(2)의 공간부(2g)에 대응시키어 강관부재(1)의 외주부 적소에 천설된 주입공(22)으로부터 압입 또는 중량충전시켜, 이 공간부(2g) 내에 극간(隙間)이나 기포를 발생시킴이 없이 구석구석까지 도달시킨다.
이 주입공(22)은 일개소 또는 복수개소에 마련하여 있어, 보강충전재(21)의 충전정도에 따라서, 불량한 경우에는 이 복수개소의 주입공(22)으로 행한다.
또, 보강체(2)가 3장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는, 그의 중간부에 해당하는 보강체(2)에 유동공(23)을 일개소 또는 복수개소에 천설하여 공간부(2g) 내의 보강충전재(21)의 이동성을 촉진시키어, 보강체(2)의 내부전체에 보강충전재(21)를 충전시킨다. 이 주입공(22)은 보강충전재(21)의 충전후 뚜껑을 하여도 좋다.
또한, 강관부재(1) 내로의 보강충전재(21)의 충전은, 보강체(2)의 공간부 (2g) 이외에도 그 강관부재(1)의 중공부(1a) 전체에 이 보강충전재(21)를 충전할 수도 있는 것으로, 강관부재(1)나 구조물의 필요강도에 따라 적의 선택적으로 보강충전재(21)의 충전을 행하는 것이며, 이 경우, 도시하여 있지 않은 보강충전재 (21)의 주입공을 강관부재(1)의 적소에 마련하여 두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 실시예에 관계되는 구축물용 구성체(A)를, 철골구조물에 있어서의 기둥체와 들보체(c)의 접합에 제하여, 그의 긴쪽 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되게 입설한 기둥체에 이용하는 예를, 도 7∼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구축물용 구성체(A)인 기둥체에 있어서는, 강관부재(1)와 보강체(2)를 용접접합(4)을 행한 용접접합부위에, 구축물(철골구조물)에 있어서의 들보체(c)의 단부와 접합하는 접속부재(30)를 용접접합(31)에 의해 접속한다.
즉, 상기한 들보체(c)는, H형강이나 T형 형강, 각형 형강, 환형 형강 등에 성형된 것이 이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 7 (a),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들보체(c)에 H형 강을 사용한 경우에는, 중간부에 있어서 수직상(狀)의 웨브(c1)의 상하에 마련한 수평상(狀)(이 웨브 c1과 직교하는 방향)의 두변의 상플랜지(c2)와 하플랜지(c3)으로 이루어진다.
즉, 강관부재(1)에 대하여 그의 보강체(2)의 용착된 위치(용접접합 4의 부위)에 접속부재(30)의 단면이 맞닿여, 이 용접접합(4)의 부위와 접속부재(30)에 용접접합(31)이 행해진다.
이 때, 접속부재(30)의 상플랜지(30b)와 하플랜지(30c)의 단부는,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접속부재(30)의 높이치수에 따라, 미리 강관부재(1)에 용착된 각각의 보강체(2)의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것으로, 접속부재(30)의 상플랜지 (30b) 및 하플랜지(30c)와 각각의 보강체(2)의 설치위치는 수평방향에 있어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차이를 일으킴이 없이 대략 일직선상(狀)으로 마련된다.
그리하여, 강관부재(1)와 접속부재(30)의 필요개소(맞닿은 주연부)에 용접접합(31)을 행하여, 강관부재(1)와 접속부재(30)를 고정시킨다.
이상의 작업에 있어서, 강관부재(1) 내에 보강체(2)를 삽입하고 이 강관부재(1)와 보강체(2)를 용착하는 공정 및 접속부재(30)의 용착공정은, 작업성이나 안전성이 양호한 공장등에 있어서 행해진다.
상기한 공정을 마친 접속부재(30) 붙이의 구축물용 구성체(A)는, 철골건조물의 건설형장으로 반송되어, 설계에 기초하여 정해진 위치에 입설되는 것으로, 들보체(c)의 접속에 있어서는, 강관부재(1)에 용착된 접속부재(30)를 사이에 하여, 들 보체(c)를 접속부재(30) 및 들보체(c)의 통공을 통한 볼트·너트 등의 연결부재 (32)에 의해 고정시킨다.
이 경우, 들보체(c)와 접속부재(30)에 놓아 건넨 접속플레이트(33, 34, 35)를, 그 들보체(c)의 웨브(c1) 및 접속부재(30)의 웨브(30a)와, 들보체(c)의 상플랜지(c2) 및 접속부재(30)의 상플랜지(30b)와, 또, 들보체(c)의 하플랜지(c3) 및 접속부재(30)의 하플랜지(30c)에 있어 맞대어, 다수의 연결부재(32)에 의해 조여 그 들보체(c)와 접속부재(30)를 고정함으로써, 들보체(c)의 상플랜지(c2) 및 하플랜지 (c3)와 각각의 보강체(2)의 설치위치는 수평방향에 있어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차이를 일으킴이 없이 대략 일직선상(狀)으로 마련된다.
이 구축물용 구성체(A)인 기둥체와 상기 들보체(c)의 접합에 있어서는, 들보체(c)의 단면형상은 상기한 바와 같이 T형 형강이나 각형 형강, 환형 형강 등을 이용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또, 이 기둥체에 사용한 구축물용 구성체(A)는,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보강체(2, 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2g)에 보강충전재(21)를 충전하여 또한, 그 구축물용 구성체(A)를 보강할 수가 있고, 그의 충전방법은 전술한 수단(도 6 참조)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도 9에 있어서, 이 보강체(2)에 있어서의 공간부(2g) 내에 보강충전 재(21)를 충전한 경우, 화재 등으로 강관부재(1) 또는 보강충전재(21)의 가열에 수반하는 연기나 가스가 발생한 때는, 강관부재(1)와 보강체(2)의 용접고정에 있어, 보강체(2)의 외주면(2b, 2b, 2b)에 대하여, 도 9(용접접합 4의 부위에서 절단하여 보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접합공(3)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행해지고 있으므로, 이 이웃하는 접합공(3, 3)과의 사이의 근소한 극간(36a)으로 상기 발생기체 등을 도피시킬 수가 있어, 공간부(2g) 내의 압력증가나 보강충전재(21)의 팽창 등에 기인하는 보강충전재(21)의 또는 공간부(2g)의 폭발파열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이 보강체(2)에 있어서의 공간부(2g) 내에의 보강충전재(21)의 충전에 있어, 강관부재(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도 14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보강충전재(21)가 충전된 각 보강체(2, 2, 2…)의 강성이 높은 개소(17)와, 이 보강충전재(21)를 가지는 개소에 비해 상기 보강충전재(21)를 가지고 있지 않는 강성이 낮은 개소(50)(강관부재 1의 중공부 1a)를 교호로 마련함으로써, 고층구조물(b) 또는 초고층구조물(b)의 경우에는, 높은 면진(免震)효과를 발휘한다.
즉, 도 14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강관부재(1)의 공간부(50)(1a(도 1 참조))에 끼워넣어 용착된 보강체(2, 2, 2…)에 대하여, 각각 보강충전재(21)를 충전한 개소(17)와, 이 보강충전재(21)가 충전돼 있지 않는 개소, 말하자면, 하부의 들보체(c)로부터 상부의 들보체(c)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강관부재(1)의 중공부(1a)가 전적으로 공동부로 돼 있는 개소(50)가 교호로 마련돼 있어, 필요에 따라, 공동부(50) 내도 역시 임의로 보강체(2)를 맞추기도 한다.
그리하여, 이 보강체(2)의 부분이 강성이 높은 개소이고, 강관부재(1)의 중공부(1a)가 전적으로 공동부로 돼 있는 개소(50)가 강관부재(1)에 있어서 강성이 낮은 개소로 된다.
이에 의해, 지진시에 발생한 진동에 의해서 강관부재(1)에 걸리는 하중은, 이 강성이 높은 개소와 강성이 낮은 개소에 각각 걸리는 데, 강관부재(1)의 흔들림정도는, 도시하여 있지 않았으나, 그 강성이 높은 개소와 강성이 낮은 개소에 있어서 강성의 강약에 의해 다른 흔들림 방향을 일으키거나, 또는 이 현상을 반복함으로써 진폭을 감소시키는 등에 의해 면진효과를 발휘한다.
게다가, 이 경우, 보강체(2)에 대하여 보강충전재(21)를 주입하지 않는 때도 있음으로, 강관부재(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이 강관부재(1)의 내부에 보강체(2)를 짜넣은 강성이 높은 개소와, 강관부재(1)의 내부에 보강체(2)를 마련하지 않은 상기 강성이 높은 개소보다 강성이 낮은 개소를 교호로 마련한 구성으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관계되는 구축물용 구성체(A)는, 수직재로 되는 기둥체나 수평재(경사제도 포함)로 되는 들보체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또한, 채용하는 구축물은, 예를 들어, 도 10 (a)에 보이는 바와 같이, 구축물(d)에 있어서의 측방으로의 내어달음체(40)를 가지는 것으로, 이 내어달음체 (40)의 수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강관부재(1) 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보강체(2, 2…)를 설치한 구축물용 구성체(A)를 이용한다.
또한, 이 구축물용 구성체(A)를 들보체(c)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0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 들보체(c)를 구축물(e)에 있어서의 교량 등을 구성할 수가 있다.
도 11에 있어서는 단면 원형상의 강관부재(1)의 중공부(1a)에 보강체(2)를 삽입하는 예를 보이는 것으로, 이 경우, 강관부재(1)에 천설되는 삽입공(20)은, 그 개구폭을 강관부재(1)의 내경치수 이상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발명 실시예에 관계되는 구축물용 구성체(A)를 기둥체로 이용하는 때는, 도 1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복수층을 가지는 철골구조물(b)이 일련상(狀)으로 한개의 강관부재(1)를 도중에서 분할하여 단척(短尺)에 형성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각 층마다 기둥체를 다이어프램으로 연결한 공법에 비해, 수직하중이나 수평하중에 대한 강도가 대폭 향상하고, 또, 그의 시공기간이나 코스트가 경감되어, 작업성이 향상하는 큰 장점이 있다.
도 16에 있어서 보이는 보강체(2)는, 또한, 타의 계지체(6)의 예를 보이는 것으로, 이 보강체(2)의 계지체(6)는, 그 보강체(2)의 외주면(2b)에 있어서의 상부에 마련하여 있고, 그 계지체(6)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단면한 형상(8b)이, 도 3 (c)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의 정점이 상방으로 향하는 삼각형 또는 도 3 (d)에 보이는 바와 같이, 원호면이 상방으로 향하는 원호상형이나, 도 3 (e)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의 정부(頂部)변이 저부변보다 짧은 사디리꼴이나, 도시하지 않으나 사각형으로 되는 입방체 또는 장방체상이나의 어느 것에 형성된다. 또는, 도 16 (c)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보강체(2)의 상부에는 전혀 상기의 단면한 형상(8b)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 도시하여 있지 않으나, 단면한 형상(8b)에 있어서의 저변은, 보강체(2)의 판두께보다 짧게 형성하여도 좋다(참고로 도 15 (d), (e), (f)에 보이는 돌부재(7)의 단면한 형상 7a 처럼 형성된다.).
그리고, 도 16 (a),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 계지체(6)의 상부에는, 도 16 (c)에 보이는 바와 같이, 또는 보강체(2)의 외주면(2b)에 직접,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등의 조지수단(5)에 접속되는 후크체(45)의 수나사체(46)를 나사맞춤시키는 암나사체(47)을 나사내어 있다.
따라서, 보강체(2)의 암나사체(47)의 나사낸 위치는, 그 보강체(2)를 조지수단(5)에 의해 달아올린 때, 그 달아올림 자세가, 이 보강체(2)가 거의 연직방향에 향한 밸런스 잡힌 위체에 마련된다. 또, 이 암나사체(47)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개소에 마련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 경우, 이 암나사체(47)에 나사맞춰지는 후크체(45)도 그 암나사체(47)의 수에 따라서 마련된다.
도 17 (a), (b)에 있어서 48은 안내체로, 강관부재(1)의 외주부에 천설한 하부의 접합공(3) 내에 끼워맞춰 있어, 강관부재(1)의 외주부에 천설한 상부의 삽입공(20)으로부터 보강체(2)를 삽입하는 때에, 그 보강체(2)에 있어서의 하부의 상기 접합공(3)에의 바른 대응을 안내시키는 것이다. 이 안내체(48)를 이용한 경우에는, 보강체(2)의 외주면(2b)에 있어서의 하부에는, 반드시 돌부재(7)의 형성을 행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므로, 따라서, 보강체(2)의 외주면(2b)는 평활상(狀)으로 된다.
이 안내체(48)는 도 17 (a),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접합공(3)의 내벽면(3b, 3b)에 맞닿는 멈춤부재(48a, 48a)와, 이 멈춤부재(48a, 48a)의 일단부(내단부측)에서 연설시켜 강관부재(1)의 중공부(1a) 내로 내어다는 가이드부재(48b, 48b)를 가지고, 멈춤부재(48a, 48a)의 타단부(외단부측)는 연결부재(48c)에 의해 연결하여, 이 연결부재(48c)와는 타측이 되는 가이드부재(48b, 48b)는 내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가이드부재(48b, 48b)는, 강관부재(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접합공(3)을 사이에 두어 양측에 확개(擴開)하여, 보강체(2)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하부단 연부(緣部)(2e, 2e)가 맞닿아 미끄러질 수 있는 하향경사의 사면(49)을 마련하고 있다.
게다가, 이 안내체(48)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 예를 들어, 스프링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해 형성하면, 상기 접합공(3)에의 설치, 가고정이 좋아진다. 또한, 강관부재(1) 내로의 보강체(2)의 삽입후에는, 그 안내체(48)는 상기 접합공(3)에서 꺼내어도 좋다. 또는, 용융가능한 소재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 구축물용 구성체(A)로서의 구조역학상이나 강도상 등의 문제가 없는 때는, 상기 접합공(3)에 있어서 강관부재(1)와 보강체(2)의 용접접합(4)을 행하는 때에, 그 안내체(48)를 함께 용융시켜 일체화시키어도 좋다.
그 안내체(48)는, 강관부재(1)에 형성된 접합공(3)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도 18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복수개를 소정간격으로 마련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하는 개수는 임의로 선정한다.
그리고, 이 안내체(48)의 전폭치수는, 예를 들어, 접합공(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의 약 1/3정도 이내가 적당하지만, 임의의 치수에 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안내체(48)를 이용하여 구축물용 구성체(A)를 제조하려면, 강관부재(1)의 길이 방향을 옆으로 한 상태에서, 그 강관부재(1)의 상부에 위치하는 삽입공(20)으로부터, 보강체(2)를 그의 중공부(1a)로 향해 삽입하면, 이 보강체(2)는, 조지수단(5)과 후크체(45)를 거쳐 보강체(2) 자체의 자중과의 연직보지작용에 의해, 연직으로 중공부(1a) 내를 강하한다.
그리하여, 강관부재(1)의 하부에 천설한 접합공(3)에 이 보강체(2)는 정확하게 대응한다. 이 때, 만약, 조지수단(5)에 드리워져 있는 보강체(2)의 보지자세가 연직상태가 아닌 경우, 즉, 보강체(2)의 하부가 접합공(3)보다 조금 옆으로 엇갈려 있는 경우에는, 그 보강체(2)의 외주면(2b)에 있어서의 하부단 연부(2e, 2e)가 안내체(48)에 있어서의 가이드부재(48b, 48b)의 경사면(49)에 맞닿아, 보강재(2)의 강하와 함께, 그 경사면(49)을 따라서 이 하부단 연부(2e, 2e)가 미끄러져 접헙공(3) 측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보강체(2)의 보지자세가 바른 연직방향에의 위치로 수정되어, 접합공(3)에 확실히 대응함으로써, 보강체(2)는 강관부재(1)의 중공(1a) 내에 정확히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접합공(3, 3, 3)과 삽입공(20)에 있어서 용접접합(4)을 행하면, 강관부재(1)와 보강체(2)는 용착융합하여 일체화된다.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관부재의 중공부에의 보강체의 설치를정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고, 강관부재의 외주부에의 임의위치에 접합공과 삽입공을 내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특히, 보강체는, 조지수단에 의해 드리워 내려지기 때문에 그의 보지된 자세가 항상 연직방향으로 위치되어, 삽입공에의 삽입이 확실하게 행해지며, 그의 삽입 중에 보강체의 자세가 망동하지 않는다.

Claims (8)

  1. 내부가 중공인 장척상(長尺狀)의 강관부재와, 이 강관부재에 있어서의 내부의 중공부에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를 횡단하게 마련한 보강체를 가지고,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천설(穿設)한 복수개의 접합공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와 상기 보강체를 용접접합한 구축물용 구성체에 있어,
    상기 강관부재는, 그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의 설치위치에, 그 보강체의 폭치수에 걸맞는 폭에 형성한 이 보강체의 삽입공을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이 삽입공은,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부까지 일련으로 마련되어,
    상기 보강체를, 상기 삽입공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강관부재의 내부에 향한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삽입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체는, 판상(板狀)으로 형성하여, 강관부재의 내부에 있어서의 중공부를 횡단한 횡단면부다 작은 측면을 가지고, 또한, 그 측면과 대략 작교하여 상기 강관부재의 내벽면에 대응하는 외주면을 가지고 있어,
    상기 주면의 일측부에, 조지(弔持)수단이 계합하는 계지체를 부설(付設)시키어 있고,
    상기 보강체의 계지체는, 그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과 평행 시키어 마련하고 있고,
    이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부에, 조지(弔持)수단의 계합체가 계합하는 계지부재를 각각 형성하고,
    그 계지부재는,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 상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그의 양외측방향에 각각 퍼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계지체의 상부에는, 그 보강체의 긴쪽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단면한 형상이 삼각형 또는 원호상(圓弧狀)형이나 사각형이나의 어느 것에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용 구성체.
  2. 내부가 중공인 장척상(長尺狀)의 강관부재와, 이 강관부재에 있어서의 내부의 중공부에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를 횡단하게 마련한 보강체를 가지고,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천설(穿設)한 복수개의 접합공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와 상기 보강체를 용접접합한 구축물용 구성체에 있어,
    상기 강관부재는, 그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의 설치위치에, 그 보강체의 폭치수에 걸맞는 폭에 형성한 이 보강체의 삽입공을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이 삽입공은,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부까지 일련으로 마련되어,
    상기 보강체를, 상기 삽입공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 기 강관부재의 내부에 향한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삽입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체는, 판상(板狀)으로 형성하여, 강관부재의 내부에 있어서의 중공부를 횡단한 횡단면보다 작은 측면을 가지고, 또한, 이 측면과 대략 작교하여 상기 강관부재의 내벽면에 대응하는 외주면을 가지고 있어,
    상기 외주면의 일측부에, 이 보강체를 조지(弔持)하는 조지수단이 계합하는 계지체를 부설(付設)시키어 있고,
    이 계지체와는 타측의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천설한 접합공에 대응하는 돌부재(突部材)를 마련하고 있고,
    상기 보강체의 계지체는, 그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과 평행시키어 마련하고 있고,
    이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부에, 조지수단의 계합체가 계합하는 계지부재를 각각 형성하고,
    그 계지부재는,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 상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그의 양외측방향에 각각 퍼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계지체의 상부에는, 그 보강체의 긴쪽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단면한 형상이 삼각형 또는 원호상(圓弧狀)형이나 사각형이나의 어느 것에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용 구성체.
  3. 내부가 중공인 장척상(長尺狀)의 강관부재와, 이 강관부재에 있어서의 내부의 중공부에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를 횡단하게 마련한 보강체를 가지고,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천설(穿設)한 복수개의 접합공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와 상기 보강체를 용접접합한 구축물용 구성체에 있어,
    상기 강관부재는, 그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의 설치위치에, 그 보강체의 폭치수에 걸맞는 폭에 형성한 이 보강체의 삽입공을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이 삽입공은,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부까지 일련으로 마련되어,
    상기 보강체를, 상기 삽입공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강관부재의 내부에 향한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삽입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천설한 하부의 상기 접합공 내에 안내체를 끼워맞춰 있어,
    이 안내체는, 상기 접합공의 내벽에 맞닿는 멈춤부재와, 이 멈춤부재로부터 연설시켜 상기 강관부재의 공간부 내에 내어다는 가이드부재를 가지고,
    그 가이드부재는, 상기 강관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접합공을 끼고 양측으로 확개(擴開)하여,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하부단 연부(緣部)가 미그러질 수 있는 경사면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용 구성체.
  4.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강관부재의 내부에 마련한 보강체는, 간격적으로 복수장을 설치하고, 이들 보강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주입후 고화하는 보강충전재를 충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용 구성체.
  5.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보강체를 그의 내부에 마련한 강관부재는, 그의 긴쪽 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게 입설한 기둥체나, 구축물에 부착한 수평상이나 경사상으로 되는 들보체나의 어느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용 수성체.
  6.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보강체를 그의 내부에 마련한 강관부재는, 그의 긴쪽 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게 입설한 기둥체로서,
    상기 강관부재와 상기 보강체를 용접접합한 용접접합부위에, 구축물에 있어서의 들보체의 단부와 접합하는 접속부재를 용접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용 구성체.
  7. 내부가 중공인 장척상(長尺狀)의 강관부재와, 이 강관부재에 있어서의 내부의 중공부에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를 횡단하게 마련한 보강체 를 가지고,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천설(穿設)한 복수개의 접합공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와 상기 보강체를 용접접합한 구축물용 구성체에 있어,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상기 보강체의 설치위치에 삽입공를 천설하여, 그 강관부재를 상기 삽입공이 상방으로 향하게 대략 수평으로 재치(載置)하고,
    그 삽입공의 상방에 있어서, 조지수단에 의해 상기 보강체의 상부에 돌설시킨 계지체를, 이 보강체의 두께 방향인 외주부가 하방으로 향하게 조지(弔持)하고, 이 보강체를 이 보강체의 자중에 의해 연직상태로 드리워서 상기 삽입공 내로 강하시켜, 상기 강관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강관부재의 내부로 향한 그 강관부재의 긴쪽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시키어,
    상기 보강체의 하측외주면을 상기 강관부재의 중공부의 하부 내면에 지지시키고, 그 보강체의 양측부의 외주면을 상기 강관부재의 중공부의 내측면에 대응시키어,
    상기 삽입공과 상기 복수개의 접합공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재와 상기 보강체의 외주부를 용접접합시켜 일체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용 구성체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조지(弔持)수단에 의한 보강체의 조지(弔持)에 있어,
    보강체의 계지체는, 그 보강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과 평행시켜 마련하고 있고, 이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부에, 조지수단의 계합체가 계합하는 계지부재를 각각 형성하고, 그 계지부재는,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 상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보간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그의 양외측방향에 각각 퍼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계지체의 상부에는, 상기 조지수단의 압압부재에 계합하는 상기 보강체의 긴쪽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단면한 형상이 삼각형상 또는 원호상형이나 사각형이나의 어느 것에 형성되고,
    상기 보강체의 계지체에 있어서의 하부에, 강관부재의 외주부에 천설된 접합공에 대응하는 돌부재를 돌설하고 있어, 이 돌부재는, 상기 보강체의 긴쪽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단면한 형상이 삼각형상 또는 원호상형이나 사각형이나의 어느 것에 형성되어 있어,
    싱기 보강체에 있어서의 계지체의 계지부재를 상기 조지수단에 의해 붙잡은 때, 이들의 경사면에 의해 상기 보강체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동시에, 이 계지체의 상부가 상기 조지수단의 압압부재에 계합하여 압축하중을 받아, 그 보강체가 연직상태로 지지되어,
    상기 보강체에 있어서의 돌부재가 접합공에 위치하는 때, 그 삼각형상 또는 원호상형이나 사각형이나의 어느 것에 형성된 돌부재의 외측면이 상기 접합공의 주연에 맞닿으면서 안내되어, 상기 보강체의 연직방향의 자세를 수정시키면서 삽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용 구성체의 제조방법.
KR1020030068574A 2002-10-29 2003-10-02 구축물용 구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27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4296A JP3447009B1 (ja) 2002-10-29 2002-10-29 構築物用構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2-00314296 2002-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652A KR20040038652A (ko) 2004-05-08
KR100727541B1 true KR100727541B1 (ko) 2007-06-14

Family

ID=2867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574A KR100727541B1 (ko) 2002-10-29 2003-10-02 구축물용 구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57519B2 (ko)
EP (1) EP1415757B1 (ko)
JP (1) JP3447009B1 (ko)
KR (1) KR100727541B1 (ko)
CN (1) CN1328448C (ko)
BR (1) BR0304605A (ko)
CA (1) CA2440924A1 (ko)
DE (1) DE60309116T2 (ko)
TW (1) TWI2334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8021B2 (en) * 2004-03-12 2006-03-07 Richard Schultz Interior weld and improved sling
JP4970827B2 (ja) * 2005-05-24 2012-07-11 株式会社アークリエイト 鉄骨構造物柱梁接合部の梁と内ダイアフラム直結工法
US8865743B2 (en) 2006-01-06 2014-10-21 Acelrx Pharmaceuticals, Inc. Small volume oral transmucosal dosage forms containing sufentanil for treatment of pain
JP4562677B2 (ja) * 2006-03-30 2010-10-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溶接構造閉断面フレーム
KR101134057B1 (ko) * 2006-10-16 2012-04-13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파이프의 보강 구조 및 이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의 캡
JP5171135B2 (ja) 2007-07-09 2013-03-27 東光東芝メータ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漏洩検知装置とその方法
KR101306216B1 (ko) * 2007-09-27 2013-09-0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캡 및 건설 기계
US9394035B2 (en) * 2010-11-04 2016-07-19 University Of Maine System Board Of Trustees Floating wind turbine platform and method of assembling
JP5950923B2 (ja) 2010-11-04 2016-07-13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メイン システム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風力タービンプラットフォーム
US8991029B2 (en) * 2011-09-26 2015-03-31 Caterpillar Inc. Beam structure
JP5330487B2 (ja) * 2011-11-25 2013-10-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ブレース材
CN103669587B (zh) * 2012-08-29 2016-12-21 艾克利维特股份有限公司 钢骨构造物制造方法
CN103669573B (zh) * 2013-11-25 2015-11-18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冰壶钢结构构造及其施工方法
KR101520002B1 (ko) * 2015-01-05 2015-05-14 (주)세종알앤디 조립식 플레이트와 정착 채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CN106736279A (zh) * 2016-12-15 2017-05-31 共享钢构有限责任公司 一种箱型钢结构及其制作方法
CN107780530B (zh) * 2017-10-23 2020-08-07 南京市第八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装配式预制柱的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865376B1 (ko) * 2017-11-14 2018-06-07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일체형 다이아프램이 내장된 cft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cft기둥
CN108086593B (zh) * 2018-01-10 2020-04-17 中国建筑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构造装饰柱的施工方法
CN108952202A (zh) * 2018-08-30 2018-12-07 安徽省建筑科学研究设计院 一种网架杆件加固结构及加固方法
JP6773747B2 (ja) * 2018-10-18 2020-10-2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機台
CN110552464B (zh) * 2019-09-05 2021-11-05 上海欧本钢结构有限公司 一种柱及其制造方法
KR102149486B1 (ko) * 2020-04-14 2020-08-31 씨엔에스이엔지주식회사 절점부 좌굴 방지 트러스
KR102383646B1 (ko) * 2020-05-11 2022-04-07 주식회사 씨티티 탄소섬유파이프의 보강수리방법
CN115194274A (zh) * 2021-04-09 2022-10-18 株式会社神户制钢所 加强管的制造方法及加强管
CN113309293A (zh) * 2021-06-07 2021-08-27 四川大学 一种复合筋增强ecc-十字型加劲肋方钢管空心柱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9598A (en) * 1930-02-15 1933-12-12 Budd Edward G Mfg Co Sheet metal truss structure
FR1540294A (fr) * 1967-01-27 1968-09-27 Procédé pour la fabrication de segments tubulaires, tube obtenu par ce procédé et son application à la réalisation d'objets complexes
US3694990A (en) * 1970-06-09 1972-10-03 Mcneil Corp Welded box-type structural member
US3989396A (en) * 1972-05-30 1976-11-02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box-column for steel structures
JPS49118512A (ko) 1973-03-15 1974-11-13
US3858374A (en) * 1973-10-09 1975-01-07 Int Environmental Dynamics Triaxially prestressed polygonal concrete members
US3930265A (en) 1974-06-07 1975-12-30 Vrc California High density magnetic storage system
US4215051A (en) * 1979-08-29 1980-07-29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Formation, purification and recovery of phthalic anhydride
US4376110A (en) * 1980-08-04 1983-03-08 Hybritech, Incorporated Immunometric assays using monoclonal antibodies
US4873191A (en) * 1981-06-12 1989-10-10 Ohio University Genetic transformation of zygotes
JPS58148091A (ja) * 1982-03-01 1983-09-03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タブ材を使用する溶接方法
DE3301833A1 (de) * 1983-01-20 1984-07-26 Gesellschaft für Biotechnologische Forschung mbH (GBF), 3300 Braunschweig Verfahren zur simultanen synthese mehrerer oligonocleotide an fester phase
US4713326A (en) * 1983-07-05 1987-12-15 Molecular Diagnostics, Inc.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solid support by photochemical methods
US4594595A (en) * 1984-04-18 1986-06-10 Sanders Associates, Inc. Circular log-periodic direction-finder array
US4631211A (en) * 1985-03-25 1986-12-23 Scripps Clinic & Research Foundation Means for sequential solid phase organic synthesis and methods using the same
EP1186660A3 (fr) * 1985-03-30 2002-03-20 KAUFFMAN, Stuart A. Procédé d'obtension d'ADN, ARN, peptides, polypeptides ou protéines, par une technique de recombination d'ADN
US5700637A (en) * 1988-05-03 1997-12-23 Isis Innovation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polynucleotide sequences and method of generating oligonucleotide arrays
US5272057A (en) * 1988-10-14 1993-12-21 Georgetown University Method of detecting a predisposition to cancer by the use of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of the gene for human poly (ADP-ribose) polymerase
US5555695A (en) * 1989-06-05 1996-09-17 Patsy, Jr.; Glorio J. Extrusions providing for low deformability
US5143854A (en) * 1989-06-07 1992-09-01 Affymax Technologies N.V. Large scale photolithographic solid phase synthesis of polypeptides and receptor binding screening thereof
US5744101A (en) * 1989-06-07 1998-04-28 Affymax Technologies N.V. Photolabile nucleoside protecting groups
US5424186A (en) * 1989-06-07 1995-06-13 Affymax Technologies N.V. Very large scale immobilized polymer synthesis
US4964778A (en) * 1989-07-27 1990-10-23 Kidde Industries, Inc. Forklift truck having a telescopic auxiliary boom articulated to a telescopic main boom
US5252743A (en) * 1989-11-13 1993-10-12 Affymax Technologies N.V. Spatially-addressable immobilization of anti-ligands on surfaces
JPH03176526A (ja) 1989-12-04 1991-07-31 Kajima Corp 鋼管柱と鉄骨梁との柱・梁接合部構造
CN2066467U (zh) * 1989-12-15 1990-11-28 北京市建筑工程研究所 带高度调节装置的金属支承梁
US6075181A (en) * 1990-01-12 2000-06-13 Abgenix, Inc. Human antibodies derived from immunized xenomice
US6150584A (en) * 1990-01-12 2000-11-21 Abgenix, Inc. Human antibodies derived from immunized xenomice
JPH03228938A (ja) 1990-02-01 1991-10-09 Kajima Corp 柱・梁接合部構造
US5264618A (en) * 1990-04-19 1993-11-23 Vical, Inc. Cationic lipids for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logically active molecules
US5877397A (en) * 1990-08-29 1999-03-02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of various isotypes
JPH04285231A (ja) * 1991-03-13 1992-10-09 Kajima Corp 柱・梁接合部構造
JPH04285232A (ja) 1991-03-13 1992-10-09 Kajima Corp 柱・梁接合部構造
JPH0551999A (ja) 1991-08-21 1993-03-02 Ohbayashi Corp 部分充填型鋼管コンクリート柱
US5837458A (en) * 1994-02-17 1998-11-17 Maxyge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ellular and metabolic engineering
US6117679A (en) * 1994-02-17 2000-09-12 Maxygen, Inc. Methods for generating polynucleotides having desired characteristics by iterative selection and recombination
US5605793A (en) * 1994-02-17 1997-02-25 Affymax Technologies N.V. Methods for in vitro recombination
WO1996002634A1 (en) * 1994-07-15 1996-02-01 Cephalon, Inc. Active calpain expressed by baculovirus
US5908635A (en) * 1994-08-05 1999-06-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 for the liposomal delivery of nucleic acids
US5556752A (en) * 1994-10-24 1996-09-17 Affymetrix, Inc. Surface-bound, unimolecular, double-stranded DNA
US5948767A (en) * 1994-12-09 1999-09-07 Genzyme Corporation Cationic amphiphile/DNA complexes
JPH08309511A (ja) * 1995-05-16 1996-11-26 Sumitomo Metal Ind Ltd 中空断面構造物のダイヤフラム形成方法
US5817479A (en) * 1996-08-07 1998-10-06 Incyte Pharmaceuticals, Inc. Human kinase homologs
JPH1193259A (ja) * 1997-09-19 1999-04-06 Kumagai Gumi Co Ltd 建築物の柱梁の接合構造及びこの接合構造を有する建築物
JP2001288823A (ja) * 2000-04-06 2001-10-19 Nippon Steel Corp 柱梁の接合部補強構造
JP3483203B2 (ja) * 2000-11-09 2004-01-06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鋼管構造
US20020124520A1 (en) * 2001-02-08 2002-09-12 Arcmatic Integrated Systems, Inc. Moment resisting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CN2494403Y (zh) * 2001-04-05 2002-06-05 袁丰新 插接式圆型电线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652A (ko) 2004-05-08
EP1415757A3 (en) 2004-11-24
EP1415757A2 (en) 2004-05-06
CN1499023A (zh) 2004-05-26
DE60309116D1 (de) 2006-11-30
TWI233458B (en) 2005-06-01
JP2004150071A (ja) 2004-05-27
US6957519B2 (en) 2005-10-25
EP1415757B1 (en) 2006-10-18
CA2440924A1 (en) 2004-04-29
BR0304605A (pt) 2004-09-21
CN1328448C (zh) 2007-07-25
US20050072106A1 (en) 2005-04-07
DE60309116T2 (de) 2007-05-16
TW200427904A (en) 2004-12-16
JP3447009B1 (ja) 200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541B1 (ko) 구축물용 구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5463B1 (ko)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JP5946041B2 (ja) 柱梁接合構造、柱梁接合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の柱頭部材
KR20160035135A (ko) 프리캐스트 src기둥과 프리캐스트 src보의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JP2017031719A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接合構造
JP2003082770A (ja) ユニット工法
JP4413763B2 (ja) 橋梁用ウエブユニットおよびそのウエブユニットを使用した主桁の製造方法
JPH08135017A (ja) 柱・梁の接合部材
KR20220035752A (ko) 철근콘크리트와 강판콘크리트의 이음 구조 및 이음 방법
KR101685632B1 (ko) 강도와 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단 접합부
JP2017008603A (ja) 型枠
JPS63268834A (ja) 多階建築物の躯体構築方法とこれに使用する鉄筋連結筒
JP7365818B2 (ja) プレキャスト部材及び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
JP7174879B1 (ja) プレキャスト合成床版パネル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合成床版パネルの接合方法
JP7314467B2 (ja) 柱梁接合構造
JPH07252884A (ja) プレキャスト部材による架構の構築方法
JP6932348B2 (ja) 布基礎、布基礎施工方法、べた基礎施工方法、及び当該施工方法に用いられる型枠
JP6775327B2 (ja) 柱仕口部の構造
JP6807157B2 (ja) 仕口部材と仕口構造
JP2023127674A (ja) 柱プレキャスト部材と仕口部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方法
JP2006057402A (ja) X型配筋を有す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柱梁接合部の施工方法
JP2021165511A (ja) 壁体形成用壁部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壁体の構築方法
JPH11172689A (ja) 鉄骨柱の脚部定着法
JP2023149166A (ja) 既存骨組み部材の補強用連結部構造
JP2023112579A (ja) 柱の補強構造及び柱の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