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174B1 - 하나의 케이지 내에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들을 포함하는,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나의 케이지 내에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들을 포함하는,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174B1
KR100714174B1 KR1020057008262A KR20057008262A KR100714174B1 KR 100714174 B1 KR100714174 B1 KR 100714174B1 KR 1020057008262 A KR1020057008262 A KR 1020057008262A KR 20057008262 A KR20057008262 A KR 20057008262A KR 100714174 B1 KR100714174 B1 KR 100714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istance
elevator system
safety
c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821A (ko
Inventor
군터 로이터
볼프강 메이스너
헬무트 슈렉커
발터 뉘브링
게르하르트 쓰훔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3092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1417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05007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66B11/009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where multiple cars drive in the same hoist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카가 공통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와, 또한 전기적 안전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카의 위치 및 속도를 판정하기 위한 샤프트 정보 시스템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카 충돌을 신뢰적으로 방지하면서 높은 처리 용량이 구조적으로 간단한 수단에 의해 성취될 수 있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제1 카와 제2 카 또는 이동 경로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선택 가능한 임계 거리보다 낮아지면 적어도 하나의 카의 비상 정지가 안전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 유닛에 무관하게 트리거링 가능하고, 이 카가 이웃하는 카 또는 이동 경로의 단부로부터 취하는 거리가 미리 선택된 최소 거리보다 낮아지면 적어도 하나의 카의 안전 기어가 트리거링 가능하고, 하나의 이동 경로의 적어도 모든 카의 제어 유닛은 서로 접속되어 함께 그룹 제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다.

Description

하나의 케이지 내에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안전 시스템{SAFETY SYSTEM FOR ELEVATOR SYSTEM, COMPRISING SEVERAL ELEVATOR CARS IN A CAGE}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카(car)가 공통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를 갖고, 카들은 각각 안전 기어를 포함하고 카들은 각각 관련 제어 유닛, 구동부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며, 또한 전기적 안전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카들의 위치 및 속도를 판정하기 위한 샤프트 정보 시스템을 또한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최소의 가능한 전체 체적을 갖는 높은 처리 용량을 성취하기 위한 노력에서, 적어도 2개의 카가 공통 이동 경로를 따라 샤프트 내에서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사람 및/또는 화물이 하나의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단시간 내에 운송될 수 있다. 그러나, 공통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카는 카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부가의 예방 조치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EP 0 769 469 A1호에는 충돌 위험이 존재할 때뿐만 아니라 정상 작동시에도 카의 가속 및 제동 거동을 제어하는 안전 모듈을 포함하는 관련 제어 유닛을 각각 의 카에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응답될 각각의 카의 위치, 속도 및 호출 할당이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안전 모듈에 전송되며, 이 안전 모듈은 각각의 카의 미리 선택된 이동 곡선에 기초하여 필요 가속 및 제동 거동을 산출하고 카가 정지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카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된 이웃 카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적외선 센서가 각각의 카에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샤프트 내에 배치되고 광 배리어의 형태의 카 센서에 의해 스캐닝될 수 있는 측정 스트립과 같은 샤프트 정보 시스템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는 모든 카의 속도 및 위치를 산출하고 이들의 제동 거동을 제어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모든 카의 안전 모듈에 이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카 충돌의 회피를 갖는 높은 용량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이러한 카의 제어에 의해 성취될 수 있지만, 제어는 매우 복잡하고 비교적 고비용을 수반한다. 또한, 제어의 복잡성은 더욱이 고장에 더 민감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 충돌을 신뢰적으로 방지하면서 높은 처리 용량이 구조적으로 간단한 수단으로 성취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의 카는 관련된 제어 유닛, 구동부 및 브레이크를 갖는다. 안전 디바이스는 각각 카와 관련된 제어 유닛에 부가하여 사용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상 작동시, 카는 안전 거리를 유지하면서, 안전 디바이스에 무관하게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안전 디바이스는 이 카가 이웃하는 카로부터 또는 이동 경로의 단부로부터 취하는 거리가 미리 선택 가능한 임계 거리보다 낮아지면, 그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카의 비상 정지를 트리거링한다. 임계 거리는 카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카를 정지하기 위한 비상 정지의 경우에 요구되는 제동 거리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미리 선택될 수 있다. 안전 디바이스가 임계 거리와 실제 존재 거리의 비교에 의해 실제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낮다고 설정하고 이에 따라 카 충돌의 위험이 존재하면, 안전 디바이스는 카의 비상 정지를 트리거링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안전 디바이스의 고장의 경우 또는 비상 정지의 트리거링 후에 부적절한 제동의 경우에 카 충돌이 신뢰적으로 규제되는 것을 또한 보장해야 한다는 사상을 통합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카가 이웃하는 카로부터 또는 이동 경로의 단부로부터 취하는 거리가 미리 선택된 최소 거리보다 낮아지면 카의 안전 기어가 트리거링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 최소 거리는 상술한 임계 거리보다 낮도록 선택되지만, 언 경우든 카 충돌의 발생 없이 안전 기어의 트리거링으로부터 초래되는 제동 거리를 제공하도록 치수 설정된다. 따라서 안전 디바이스의 고장의 경우에도, 카가 이웃하는 카 또는 이동 경로의 단부에 계속 접근하고 이와 같이 최소 거리보다 낮아지면, 안전 기어가 트리거링되어 이에 따라 카 충돌이 회피되는 것이 보장된다.
부가의 안전 이득은 서로 접속되고 함께 그룹 제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하나의 이동 경로의 적어도 모든 카의 제어 유닛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경우에 성취된다. 공통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모든 카의 이동은 그룹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그룹 제어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부선 방식으로 서로 접속되어 이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모든 카를 제어하는 카와 관련된 각각의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이는 하나의 이동 경로의 카를 위한 더 높은 레벨의 중앙 유닛을 생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 유닛은 BUS 시스템을 경유하여 서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개별 접속 라인이 사용될 수 있다. 광 가이드를 경유한 접속이 또한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접속은 예를 들면 무선 또는 광에 의해 무선 방식일 수도 있다. 더 높은 레벨의 중앙 유닛의 배제는, 개별 제어 유닛의 고장이 단지 이 제어 유닛과 관련된 카가 더 이상 사용될 수 없지만 나머지 카의 작동이 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되는 결과를 갖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특히 고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게 한다.
임계 거리가 속도 및/또는 이동 방향에 의존하는 경우 장점을 갖는다. 그 결과, 카의 속도에 의존하는 제동 거동이 임계 거리를 치수 설정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으므로 더 큰 임계 거리가 낮은 이동 속도의 경우보다 높은 속도의 경우에 미리 선택될 수 있다. 이는 비교적 큰 임계 거리가 공칭 속도에서 이동을 위해 미리 선택되면서 비상 정지가 트리거링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점검 또는 시운전의 경우에 저속으로 이동하면서 카들을 서로 매우 접근시키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동 방향에서의 임계 거리의 의존성은 각각 요구되는 카의 제동 거리에 대한 임계 거리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동 경로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위치를 포함하는 샤프트 내의 특정 배치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안전 디바이스를 위해 미리 선택될 수 있고, 비상 정지는 카가 미리 선택된 샤프트 위치로부터 취하는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낮아지면 안전 디바이스에 의해 트리거링 될 수 있다.
임계 거리가 또한 제1 카가 접근하는 제2 카의 속도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이동 방향에 의존하면 특히 장점이 있다. 다음, 예를 들면 2개의 카가 이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보다 동일 방향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후방에서 이동할 때 임계 거리를 더 작게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상이한 이동 경로에 배치된 카의 제어 유닛이 서로 접속되어 그룹 제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가능한 한 높은 처리 용량을 성취하도록 다수의 카의 이동을 등록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모든 카의 제어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접속되어 그룹 제어 디바이스를 형성하므로, 모든 카의 이동이 조정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이, 속도 의존성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카가 이웃하는 카로부터 또는 이동 경로의 단부로부터 및 또한 유리하게는 미리 선택된 샤프트 위치로부터 취하는 이동 방향 의존성 거리를 유지하면서 각각의 관련 카를 제어하기 위해 샤프트 정보 시스템에 접속되면 장점이 있다. 이 유형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경로의 위치 및 속도가 샤프트 정보 시스템을 경유하여 모든 제어 유닛, 즉 그룹 제어 디바이스에 입력되어 카의 거리가 산출되어 제어 유닛에 의해 속도 의존성 안전 거리와 비교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높은 처리 용량을 보장한다. 거리가 비상 정지의 트리거링을 위해 제공된 임계 거리보다 크게 선택될 수 있는 안전 거리보다 낮아지면, 적어도 하나의 카의 속도는 제어 유닛에 의해 변화될 수 있고 안전 거리가 그 결과로서 재설정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따라서 높은 처리 용량을 성취하기 위해 관련 카를 최적으로 작동시키는 기능을 착수할 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카로부터 및 미리 선택된 샤프트 위치로부터, 특히 이동 경로의 단부로부터의 각각의 생성 거리가 모니터링되고 적절하다면 카의 이동이 안전 거리를 유지하도록 제어되는 방식으로 제1 안전 단계를 미리 제시한다.
제어 유닛에 의해, 각각의 관련 카의 구동부가 바람직하게 스위칭 오프되어 그의 브레이크가 작동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따라서 속도 의존성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이동 거리 의존성 안전 거리가 유지되는 정도로 카를 제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브레이크에 직접 작용할 수 있다. 2개의 카가 승인 불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접근하면, 이동 방향에 의존하는 하나의 구동부 또는 양 구동부가 스위칭 오프되어 카가 제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대향된 이동 방향의 경우에, 양 구동부가 스위칭 오프되어 양 브레이크가 작동될 수 있지만, 공통 방향에서의 이동의 경우에 이동 방향에서의 후방 카의 구동부만이 스위칭 오프되어 그의 브레이크가 작동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처리 용량의 부가의 개량을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이동 행선지의 입력을 위해 카의 외부에 배치되고 제어 유닛에 접속된 행선지 입력 유닛을 포함하면 장점이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사용자는 모든 제어 유닛, 즉 그룹 제어 디바이스에 대해 카의 외부에서 자신이 원하는 이동 행선지를 미리 선택할 수 있다. 다음, 요구되는 안전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그룹 제어 디바이스는 원하는 이동 행선지로 가능한 한 단시간에 사용자를 운송하고, 이는 가능한 한 소수의 중간 정지가 발생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개별 카 또는 카와 관련된 다른 부품의 가장 균일한 가능한 이동 성능 또는 에너지 소비와 같은 다른 기준이 또한 가장 유리한 카의 선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행선지 입력 유닛이 사용될 카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디바이스를 포함하면 장점이 있다. 그 결과, 자신에 의해 사용될 카가 행선지 입력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지시될 수 있다.
안전 디바이스가 카와 각각 관련된 다수의 안전 유닛을 포함하면 특히 유리하다. 이 관점에서, 각각의 안전 유닛이 카 상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제공될 수 있다. 안전 유닛은 무선에 의해 BUS 시스템 등을 경유하여 예를 들면 광 가이드를 경유하여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안전 유닛의 고장이 이 안전 유닛과 관련된 카가 더 이상 사용될 수 없지만 나머지 카의 모니터링 및 따라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체 작동이 그 결과로서 영향을 받지 않는 결과만을 갖기 때문에 안전 디바이스가 특히 고장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유리한 실시예의 경우에, 안전 디바이스는 카가 이웃하는 카 또는 이동 경로로부터 및 바람직하게는 미리 선택된 샤프트 위치로부터 취하는 거리를 판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 판정 유닛을 포함하고, 이 거리는 카의 위치에 의해 판정 가능한 것이 제공된다. 이 유형의 실시예의 경우, 거리는 샤프트 정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위치로부터 자동으로 산출된다. 이를 위해, 이웃하는 카의 위치가 거리 판정 유닛에 입력될 수 있다. 더욱이, 특정 샤프트 배치의 위치, 특히 이동 경로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위치는 거리 판정 유닛을 위해 미리 선택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리 판정 유닛은 샤프트 배치의 위치가 저장될 수 있는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특정 카가 이웃하는 카 또는 이동 경로의 단부 및 바람직하게는 미리 선택된 샤프트 위치로부터 취하는 거리를 판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를 포함하고, 거리 센서는 안전 디바이스에 접속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거리 센서는 이를 위해 사용된 상술한 위치를 갖지 않고 거리의 직접적인 판정을 가능하게 한다.
거리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바닥 및 이들의 천정의 구역에서 다른 카에 배치된다.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가 예를 들면 거리 센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안전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속도 의존성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이동 방향 의존성 임계 거리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유닛을 포함한다. 서두에 언급된 바와 같이, 비상 정지는 카가 이웃하는 카로부터 또는 이동 경로의 단부로부터 취하는 실제 존재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낮아지면 안전 디바이스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판정 유닛은 이 임계 거리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유닛은 속도 의존성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이동 방향 의존성 임계 거리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유닛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 각각의 관련 카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적어도 직접 이웃하는 카의 이동 방향 및 속도는, 각각의 속도 및 각각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임계 거리값이 호출될 수 있도록 메모리 유닛에 입력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판정 유닛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미리 선택된 특징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속도 및 바람직하게는 특정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임계 거리값을 산출하는 것이 제공된다.
안전 디바이스는 카와 이웃하는 카 또는 이동 경로의 단부 사이의 실제, 즉 실제로 존재하는 거리를 바람직하게는 속도 및 적절하다면 이동 방향에 의존하는 미리 선택 가능한 임계 거리와 비교하고 실제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낮아지면 비상 정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비교 유닛을 포함하면 장점이 있다.
비교 유닛은, 비교 유닛에 의해 제공된 비상 정지 신호가 그에 입력될 수 있고 이어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하류측 브레이크 제어부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카의 속도를 확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속도 확인 유닛을 포함한다. 이 관점에서, 각각의 카가 관련 개별 속도 확인 유닛을 가지면 유리하다. 특히, 각각의 관련 속도 확인 유닛이 카 상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속도 확인 유닛이 안전 디바이스 내에 일체화되고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경유하여 카에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특히 고장에 매우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써 구별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적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의 경우, 샤프트 정보 시스템이 카 상에 또는 샤프트 내에 배치된 판독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다수의 마킹을 갖는 샤프트 내에 및/또는 카 내에 배치된 마킹 시스템을 포함하고, 판독기가 안전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마킹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샤프트 내에 배치되고, 마킹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기가 각각의 카에 배치된다.
판독 프로세스는 무접촉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특히 마킹 시스템의 자기 및/또는 광학 판독이 제공될 수 있다.
판독기는 코딩된 형태의 카의 위치 및 바람직하게는 속도 및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안전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안전 디바이스에서, 이 신호의 디코딩이 카의 위치, 이동 방향 및/또는 속도 데이터의 부가의 처리를 위해 디코더 유닛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마킹 시스템은 예를 들면 캐리어 상에 배치된 바코드 심벌을 포함할 수 있고, 판독기는 바코드 판독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코드 판독기는 레이저 스캐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 상에 배치된 바코드는 바코드 판독기에 의해 광학적으로 판독될 수 있다. 이 경우 바코드는 현재 위치를 나타내고, 단위 시간당 위치 데이터의 변화는 그 상부에 바코드 판독기가 장착되어 있는 카의 속도의 측정을 나타낸다. 카의 이동 방향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위치 데이터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바코드 판독기는 각각의 관련 카의 위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판정하기 위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안전 디바이스 및 카의 제어 유닛에 제공한다. 고장 없는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제1 바코드 판독기가 안전 디바이스에 접속되고 제2 바코드 판독기가 제어 유닛에 접속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서두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안전 기어의 트리거링은 2개의 카가 서로 승인 불가능한 방식으로 접근하는 경우에 비상 정지를 트리거링하는 것에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안전 기어는 기계적으로 트리거링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각 카가 이웃하는 카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관련된 요소를 가지고, 또한, 안전 기어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정지 요소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가 두 이웃하는 카 사이의 거리가 최소 거리 미만이 되는 경우 안전 기어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정지 요소상에 작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관련된 카로부터의 돌출 요소의 거리 및 카상의 정지 요소의 위치설정은 두 카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선택된 최소 거리에 대응하는 경우, 하나의 카의 돌출 요소가 다른 카의 정지 요소와 충돌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관련 카로부터의 돌출 요소의 거리가 가변적이면, 이는 각각 제공된 카의 작동 조건에, 특히 그의 공칭 속도에 거리를 적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다라서, 제1 카의 안전 기어가 이웃하는 제2 카의 정지 요소에 대하여 충돌하는 이 카와 관련된 돌출 요소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 목적을 위해, 제1 카의 돌출 요소는 상기 카의 안전 기어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로서, 제1 카가 정지한 제2 카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거리가 최소 거리 미만이될 때, 제1 카의 돌출 요소가 제2 카의 정지 요소에 대하여 충돌하고, 이는 이동하는 카의 안전 기어가 트리거링되고 상기 카가 급격히 제동되어 정지되는 결과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제2 카에 대한 제1 카의 부가의 접근을 신뢰성있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2 카의 정지 요소에 대하여 충돌하는 제1 카와 관련된 돌출 요소에 의해 제2 카의 안전 기어가 트리거링될 수 있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카의 정지 요소는 상기 카의 안전 기어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로서, 카가 승인 불가능한 방식으로 정지한 카에 접근하면, 정지한 카의 돌출 요소는 이동하는 카의 정지 요소에 대하여 충돌하고, 그에 의해, 이동하는 카의 안전 기어가 트리거링되어, 짧은 제동 거리 이후 정지하게 된다.
돌출 요소가 강성 연결 요소를 경유하여 관련 카에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저비용으로 구성될 수 있는 실시예의 경우에, 돌출 요소는 로드를 경유하여 관련 카에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돌출 요소는 유리하게는 기다란 작동 요소로서 형성된다.
카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안전 연동 장치를 경유하여 각각의 안전 기어에 연결된 관련 동시 운전 속도 조절기 케이블을 각각의 경우에 갖는다. 이 관점에서, 돌출 요소가 속도 조절기 케이블 상에 장착되면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그의 속도 조절기 케이블 상에서 카에 미리 선택된 거리로 고정되어 승인 불가능한 접근의 경우에 이웃하는 카의 정지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칼라(collar) 또는 슬리브가 예를 들면 제공될 수 있다.
돌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속도 조절기 케이블 상에 변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는 예를 들면 활주와 같은 돌출 요소의 변위에 의해 상이한 거리를 미리 선택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점검 운전 또는 시운전의 경우에 2개의 카가 의도적으로 서로 작은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정지 요소는 이웃하는 카의 돌출 요소가 정지 요소에 대해 타격할 수 있는 정지 위치와 이웃하는 카의 돌출 요소가 정지 요소를 통과할 수 있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다른 카의 돌출 요소가 하나의 카의 정지 요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카가 의도적으로 접근될 때 하나의 카의 정지 요소가 그의 해제 위치로 전달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는 따라서 2개의 카가 의도적으로 서로 매우 접근될 때 안전 기어가 트리거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정지 요소는 예를 들면 피벗 또는 활주할 수 있도록 카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정지 요소는 2개의 부품이 이격 요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른 카의 돌출 요소가 정지 요소의 2개의 부분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다부품 구조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및/또는 안전 기어의 기계적 트리거링에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안전 기어가 안전 디바이스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낮아질 때 비상 정지를 트리거링하는 그의 기능에 부가하여, 안전 디바이스는 거리가 부가의 거리, 즉 최소 거리보다 낮아지면 적어도 하나의 카의 안전 기어를 트리거링하는 부가의 기능을 착수한다.
이 관점에서, 안전 디바이스가 속도 의존성 및 유리하게는 또한 이동 방향 의존성 최소 거리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유닛을 포함하면 유리하다. 이 유형의 구조는 2개의 카가 서로 저속으로 접근할 때 카가 서로 빠르게 접근할 때보다 더 작은 최소 거리가 안전 기어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카의 매우 저속을 갖는 점검 또는 시운전의 경우에 최소 거리가 값 0으로 판정 유닛에 의해 미리 선택될 수 있어 2개의 카가 안전 기어를 트리거링하지 않고 서로 정확하게 직면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기어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거리가 판정 유닛에 의해 전자적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판정 유닛은, 예를 들면 다양한 속도 의존성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이동 방향 의존성 최소 거리값이 저장되어 각각의 적용 가능한 속도 및 각각의 적용 가능한 이동 방향에 의존하여 관련 최소 거리값이 호출될 수 있는 메모리 유닛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최소 거리값이 판정 유닛에 의해 산출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최소 거리와 실제 존재 거리의 비교는 바람직하게는 실제 거리가 최소 거리보다 낮아지면 안전 기어 트리거 신호를 제공하는 안전 디바이스의 비교 유닛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이하의 설명은 도면과 연관하여 부가의 설명을 위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3 실시예의 개략도.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실시예가 매우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되고 전체로서 도면 부호 10으로 제공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샤프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공통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2개의 카(12, 14)를 포함한다. 카(12)는 서스펜션 케이블(15)을 경유하여 평형추(16)에 연결된다. 카(14)는, 더 양호한 개요를 성취하기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평형추를 갖는 서스펜션 케이블(15)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서스펜션 케이블(17) 상에 유지된다.
각각의 카(12, 14)는 각각 전기 구동 모터(20, 22)의 형태의 관련 개별 구동부 및 각각의 경우에 개별 브레이크(23, 24)를 각각 갖는다. 구동 모터(20, 22)는 각각의 경우에, 그 상부에 서스펜션 케이블(15, 17)이 유도되는 관련 구동 시브(traction sheave)(25, 26)를 각각 갖는다.
공통 이동 경로를 따른 수직 방향에서의 카(12, 14)의 안내는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안내 레일에 의해 수행된다.
각각의 카(12, 14)는 카(12, 14)를 제어하기 위한 관련 개별 제어 유닛(28, 30)을 각각 갖는다. 제어 유닛(28, 30)은 각각의 관련 구동 모터(20, 22)와 또한 관련 브레이크(23, 24)의 각각 제어 라인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게다가, 제어 유닛(28, 30)은 접속 라인(32)을 경유하여 서로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구동 모터(20, 22) 및 제어 유닛(28, 30)에 의해, 카(12, 14)는 사람 및/또는 화물의 운송을 위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의 승강로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정지될 각각의 층에서 카(12, 14)의 외부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원하는 행선지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는 행선지 입력 유닛(34)을 포함한다. 더 양호한 개요를 성취하기 위해, 단지 하나의 행선지 입력 유닛(34)만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들은 이동 행선지의 입력을 위해서만 기능하고, 이들은 또한 그에 의해 제어 유닛(28, 30)에 의해 사용을 위해 선택된 카가 사용자에게 지시될 수 있으며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예를 들면 스크린과 같은 지시 유닛을 부가적으로 갖는다. 행선지 입력 유닛(34)은 쌍방향 전송 라인(36)을 경유하여 제어 유닛(28, 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들은 예를 들면 소위 터치 스크린의 형태의 터치 감응식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는 이동 행선지의 간단한 입력 및 사용될 카의 간단한 지시를 가능하게 한다.
카(12, 14)와 각각 관련 제어 유닛(28, 30)은 함께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전자 그룹 제어 디바이스를 형성하고, 그룹 내의 각각의 제어 유닛(28, 30)은 관련 카(12 또는 14)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의 외부에 배치된 행선지 입력 유닛(34)을 경유하여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행선지 입력과 관련하여, 그룹 제어는 매우 신속한 카 정렬을 실행할 수 있고 최적화 이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매우 높은 처리 용량을 극단적으로 안전하게 성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카(12, 14)에 각각 배치된 바코드 판독기(42, 44)에 의해 광학적으로 판독될 수 있는 바코드 심벌(40)을 가지며 전체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바코드 캐리어(38)의 형태의 샤프트 정보 시스템을 갖는다. 바코드 심벌(40)은 코딩된 형태의 위치 표시를 나타내고 바코드 판독기(42, 44)에 의해 판독된다. 이에 따라 무접촉 방식으로 등록되는 위치 표시는 바코드 판독기(42, 44)에 의한 전기 신호로서 출력된다.
카(12 또는 14)가 샤프트 내에서 이동하면, 카(12, 14)의 각각의 위치는 관련 바코드 판독기(42, 44)에 의해 등록된다. 더욱이, 카(12, 14)의 속도는 단위 시간당 위치 데이터의 변화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게다가, 바코드 심벌(40)의 스캐닝은 연속적인 표시로부터 카(12, 14)의 이동 방향을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카(12 또는 14)와 각각 관련되고 사용되는 카(12 또는 14)의 수에 이들의 수가 대응하는 다수의 안전 유닛(48, 49)을 갖는 안전 디바이스(47)를 포함한다. 안전 유닛(48, 49)은 동일하게 구성되고, 각각의 경우에 위치 평가 유닛(51), 이동 방향 평가 유닛(52) 및 속도 평가 유닛(53)을 포함한다. 안전 유닛(48)의 위치, 이동 방향 및 속도 평가 유닛(51, 52, 53)은 데이터 라인(55)을 경유하여 카(12)의 바코드 판독기(4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안전 유닛(49)의 위치, 이동 방향 및 속도 평가 유닛(51, 52, 53)은 대응 데이터 라인(57)을 경유하여 카(14)의 바코드 판독기(44)에 접속된다. 상기 평가 유닛(51, 52, 53)은 위치, 이동 방향 또는 속도 신호를 제공하도록 관련 바코드 판독기(42, 44) 각각에 의해 제공된 전기 신호를 갖는다. 제어 유닛(28, 30)은 또한, 입력 라인(59, 61)을 경유하여 데이터 라인(55, 57)에 각각 접속된 대응 위치, 이동 방향 및 속도 평가 유닛을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카(12, 14)의 위치, 이동 방향 및 속도와 각각 관련하여 바코드 판독기(42, 44)에 의해 제공된 정보는 안전 디바이스(47)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각각의 관련 제어 유닛(28, 30)에 이용 가능하다.
안전 유닛(48, 49)은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안전 유닛(48, 49)의 위치 평가 유닛(5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2개의 카(12, 14)가 서로로부터 갖는 실제 거리를 2개의 위치 평가 유닛(51)의 위치 신호로부터 산출하는 거리 판정 유닛(63)을 갖는다. 실제 거리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는 이어서 안전 유닛(48, 49)의 거리 판정 유닛(63)으로부터 비교 유닛(65)으로 통과된다. 비교 유닛(65)은 2개의 입력을 갖는다. 제1 입력에 제공된 것은 2개의 카(12, 14) 사이의 실제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 판정 유닛(63)의 전기 신호이다. 비교 유닛(65)의 제2 입력은, 이동 방향 평가 유 닛(52) 및 속도 평가 유닛(53)의 출력에 입력측에서 접속된 판정 유닛(67)에 접속된다. 판정 유닛(67)은 판독-기록 메모리로서 구성된다. 프로그래밍 상태 동안, 속도 의존성 및 이동 방향 의존성 임계 거리값이 판정 유닛(67) 내에 입력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이동 작동 중에 호출될 수 있다. 이동 중에, 속도 및 이동 방향 신호가 판정 유닛(67)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이들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미리 선택된 임계 거리가 호출되어 비교 유닛(65)으로 통과될 수 있다.
각각의 카(12 또는 14)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대응하는 임계 거리는, 각각의 관련된 카가 이웃하는 카로부터 취하는 실제 거리와 비교 유닛(65)에서 비교된다. 실제 거리가 임계값 이하로 내려가면, 비상 정지 신호가 비교 유닛(65)에 의해 출력되고, 비교 유닛(65)의 하류측에 접속된 브레이크 제어 유닛(69)이 각각의 카(12, 14)와 관련 브레이크(23 또는 24)를 작동시키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 판독기(42, 44)에 의해 제공된 전기 신호는 또한 입력 라인(59, 61)을 경유하여 제어 유닛(28, 30)으로 전송되고, 이들은 함께 그룹 제어 디바이스를 형성한다. 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정상 작동 중에 안전 거리를 유지하면서 제어 유닛(28, 30)에 의해 카(12, 14)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 유닛(28, 30) 및 안전 디바이스(47)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카(12 및/또는 14)의 제동이 비상 정지의 트리거링 후에 적절하지 않는 경우 및 카(12, 14)가 서로 계속 접근하는 경우, 카(12 및/또는 14)의 이동은 부가의 안전 단 계에서 기계적 수단에 의해 제동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카는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어 도면에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는 안전 기어(72, 74) 및 속도 조절기 케이블(speed governor cable)(76, 78)을 각각 포함한다. 통상적이고 따라서 도면에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는 방식으로, 속도 조절기 케이블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단부에 배치된 편향 풀리 상부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단부에 배치된 속도 조절기(79, 81) 상부로 유도되고, 각각의 경우에 관련 카(12, 14)의 각각의 안전 기어 연동 장치에 고정된다. 카(12, 14)의 최대 속도가 초과되면, 속도 조절기(79, 81)는 속도 조절기 케이블(76, 78) 및 각각의 안전 기어 연동 장치(80, 82)를 경유하여 각각 안전 기어(72, 74)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각각의 카(12 또는 14)로부터 미리 선택된 거리에서 속도 조절기 케이블(76, 78) 상에 장착된 것은 각각의 경우에 작동 슬리브(84 또는 86)의 형태로 이웃하는 카의 방향으로 돌출된 요소이고, 이 작동 슬리브는 각각의 안전 기어(72 또는 74)에 연결된 피벗 아암(88 또는 90)의 형태의 관련 정지 요소를 다른 카 상에 각각 갖는다. 속도 조절기 케이블(76)을 경유하여 카(12)에 연결된 작동 슬리브(84)는 카(14)에 대면하는 카(12)의 하단부를 지나 카(14)의 방향으로 돌출된다. 대응 방식으로, 속도 조절기 케이블(78)을 경유하여 카(14)에 연결된 작동 슬리브(86)는 카(12)에 대면하는 카(14)의 상단부를 지나 카(12)의 방향으로 돌출된다.
카(12, 14)가, 예를 들면 안전 디바이스(47)의 고장의 경우 등 또는 비상 정지 후에 카(12 및/또는 14)의 부적절한 제동의 경우에 승인 불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계속 접근하면, 작동 슬리브(84, 86)는 카(12, 14)를 지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각각의 피벗 아암(90, 88)에 직면하게 된다. 각각의 관련 피벗 아암(88, 90)에 대한 작동 슬리브(84, 86)의 타격은 작동력이 안전 기어(72, 74) 각각에 작용하여 안전 기어가 트리거링되는 결과를 갖는다. 이는 카(12, 14)가 통상의 방식으로 갑자기 제동되어 매우 짧은 거리 이내에서 정지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2개의 카(12, 14)의 충돌은 따라서 기계적 수단에 의해 신뢰적으로 방지된다.
각각의 안전 기어(72 또는 74)에 연결된 피벗 아암(88, 90)은 이들이 수평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각각의 카(12 또는 14)에 장착된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정지 위치와, 각각의 경우에 피벗 아암(88, 90)의 자유 단부가 관련 속도 조절기 케이블(78, 76) 각각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들을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피벗 아암(88, 90)이 이들의 해제 위치로 이동되면, 이는 작동 슬리브(88, 86)가 관련 피벗 아암(88, 90)에 직면하지 않게 되고 2개의 카(12, 14)가 서로 매우 접근하게 될지라도 안전 기어가 트리거링될 수 없는 결과를 갖는다. 이는 예를 들면 점검 또는 시운전의 경우에 2개의 카(12, 14)가 저속으로 서로 접근하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안전 유닛(47, 49)의 판정 유닛(67)은, 그 이하의 값에서 2개의 카 사이의 거리가 이들이 서로 매우 접근하게 될 때에도 지나치지 않는 매우 작은 임계값을 제공한다. 따라서 비상 정지의 트리거링은 안전 기어의 트리거링이 회피되는 것과 같이 회피된다. 소정의 낮은 이동 속도에 관련한 정보가 제어 유닛(28, 30)으로부터 판정 유닛(67)으로 출력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2 실시예는 도 2에 매우 개략적인 형 태로 도시되고 전체로서 도면 부호 110이 제공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10)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엘리베이터 시스템(10)과 대부분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동일 부품은 도 1과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부품의 구성 및 기능과 관련하여 상기의 전체 내용을 참조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10)은 2개의 카(12, 14)가 서로로부터 취하는 실제 거리가 바코드 판독기(42, 44)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 판정 유닛에 의해 전자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대신에 이들 사이의 거리가 카(12, 14)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배치된 무접촉 거리 센서(111, 113)에 의해 바코드 판독기(42, 44)에 무관하게 등록된다는 점만이 엘리베이터 시스템(10)과 상이하다. 각각의 카(12, 14)의 거리 센서(111, 113)가 개별 데이터 라인(115)을 경유하여 각각 관련 안전 유닛(48, 49)의 비교 유닛(65)에 접속된다. 바코드 판독기(42, 44)에 의해 제공된 정보는 각각의 카(12, 14)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거리 판정은 거리 센서(111, 113)의 보조하에 이와 무관하게 수행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시스템(110)의 안전 유닛(48, 49)의 경우에서의 위치 평가 유닛(51)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차, 2개의 카(12, 14)가 서로로부터 취하는 실제 거리는, 각각의 관련 카(12 또는 14)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의존하는 임계 거리와 비교된다. 적절하다면, 비상 정지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 유닛(48 또는 49)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이에 의해 야기된 카(12 및/또는 14)의 제동이 충돌의 신뢰적인 방지에 적절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의 안전 기어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시스템(110)의 경우에도 기계적 수단에 의해 트리거 링된다.
거리 센서(111, 113)는 또한 이동 경로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로부터의 각각의 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고 전체로서 도면 부호 210이 제공되어 있다. 이는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엘리베이터 시스템(10)과 대부분 동일하게 구성된다. 동일 부품은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도 1과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부품의 구성 및 기능에 관련한 상기의 전체 내용을 마찬가지로 참조한다.
도 3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시스템(210)은 카(12, 14)의 각각의 안전 기어(72, 74)의 트리거링이 작동 슬리브 및 속도 조절기 케이블에 고정된 관련 피벗 아암에 의해 기계적으로 수행되지 않고, 대신에 2개의 카(12, 14)가 승인 불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접근되는 경우 안전 기어(72, 74)가 각각의 관련 안전 유닛(48, 49)에 의해 전자적으로 트리거링되는 점만이 엘리베이터 시스템(10)과 상이하다. 이를 위해, 안전 유닛(48, 49)은 판정 유닛(67)에 부가하여 부가의 판정 유닛(223)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각각의 관련 카(12 또는 14)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의존하는 최소 거리가 판정될 수 있고 2개의 카(12, 14) 사이에 실제로 존재하는 거리와 부가의 비교 유닛(225)에서 비교될 수 있다. 이동 방향 평가 유닛(52) 및 속도 평가 유닛(53)의 이동 방향 및 속도 데이터는 판정 유닛(223) 내에 입력되고, 판정 유닛(223)은 프로그래밍 단계 동안 입력되어 이어서 실제 거리값과 비교될 수 있는 관련 최소 거리값을 입력값에 기초하여 출력한다. 판정 유닛(223)은 마찬가지로 판 독-기록 메모리로서 구성된다. 판정 유닛(223)에 의한 이동 방향 및 속도에 의존하는 최소 거리값의 제공은 2개의 카(12, 14)가 예를 들면 점검 또는 시운전 중에 매우 저속으로 의도적으로 서로 접근할 때 안전 기어(72 또는 74)가 트리거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카(12 및/또는 14)가 더 높은 속도를 가지면, 이는 승인 불가능한 접근의 경우에 충돌이 각각의 안전 기어의 트리거링에 의해 신뢰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대응의 높은 최소 거리값의 제공에 의해 보장된다.

Claims (25)

  1. 제1카(12) 및 제2카(14)가 공통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 및 전기적 안전장치(47)에 접속된, 제1카(12) 및 제2카(14)의 위치 및 속도를 판정하기 위한 샤프트 정보 시스템;을 구비한 엘리베이트 시스템으로서, 제1카(12) 및 제2카(14)는 각각 안전기어를 포함하고, 제1카(12) 및 제2카(14)는 각각 관련 제어유닛(28,30), 구동부(20,22) 및 브레이크(23,24)를 구비한 엘리베이트 시스템에 있어서,
    제1카(12)가 이웃하는 제2카(14)로부터 또는 상기 이동경로의 단부로부터 취하는 거리가 미리 선택가능한 임계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제1카(12)의 비상정지가 안전장치(47)에 의해 제어유닛(28,30)과 독립적으로 트리거링 가능하고; 제1카(12)가 이웃하는 제2카(14)로부터 또는 상기 이동경로의 단부로부터 취하는 거리가 미리 선택된 최소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제1카(12)의 안전기어가 트리거링 가능하고; 하나의 이동경로의 모든 카들의 제어유닛(28,30)은 서로 접속되어 함께 그룹 제어장치를 형성하고; 및 상기 카들은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정상 작동시 제어유닛(28,30)에 의해 안전장치(47)와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선택가능한 임계거리는 속도, 이동방향, 또는 속도 및 이동방향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이동경로와 다른 이동경로에서 이동하는 카들이 구성되고, 상기 다른 이동경로에 배치된 상기 카들의 제어유닛은 서로 접속되며 그룹 제어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28,30)은 제1카(12)와 제2카(14) 또는 상기 이동경로의 단부 사이의 속도 의존성 거리를 유지하면서 각각의 관련 제1카(12) 및 제2카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샤트프 정보 시스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28,30)에 의해, 각각의 관련 제1카(12) 및 제2카(14)의 구동부(20,22)가 스위칭 오프되어 그것의 브레이크(23,24)가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10;110;210)은 이동 행선지의 입력을 위한 행선지 입력유닛(34)을 포함하고, 상기 행선지 입력유닛(34)은 제1카(12) 및 제2카(14)의 외부에 배치되고 제어유닛(28,30)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행선지 입력유닛(34)은 사용될 카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47)는 제1카(12) 및 제2카(14)와 각각 관련된 다수의 안전유닛(48,49)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47)는 제1카(12)가 이웃하는 제2카(14) 또는 상기 이동경로의 단부로부터 취하는 거리를 판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거리판정유닛(63)을 포함하고, 상기 거리는 제1카(12) 및 제2카(14)의 위치에 의해 판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110)은 제1카(12)가 이웃하는 제2카(14) 또는 상기 이동경로의 단부로부터 취하는 거리를 판정하기 위한 거리센서(111,113)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센서(111,113)는 안전장치(47)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47)는 제1카(12) 및 이웃하는 제2카(14) 또는 상기 이동경로의 단부 사이의 임계거리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유닛(67)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47)는, 제1카(12) 및 이웃하는 제2카(14) 또는 상기 이동경로의 단부 사이의 실제거리와 상기 임계거리를 비교하고 상기 실제거리가 상기 임계거리보다 가까워지면 비상정지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비교유닛(65)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12) 및 제2카(14)는 제1카(12) 및 제2카(14)의 속도를 확인하기 위한 관련 속도확인유닛(5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정보 시스템은 샤프트에, 카들에, 또는 샤프트 및 카들에 배치된 마킹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마킹 시스템은 제1카(12) 및 제2카(14)에 또는 샤프트에 배치된 판독기(42,44)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복수의 마킹(40)을 가지며, 상기 판독기(42,44)는 안전장치(4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시스템은 샤프트에 배치되고, 상기 판독기(42,44)는 제1카(12) 및 제2카(14)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시스템은 캐리어(38)에 배치된 바코드 심벌(40)을 포함하고, 상기 판독기(42,44)는 바코드 판독기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어(72,74)는 기계적으로 트리거링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12)는 제2카(14) 쪽으로 돌출한 제1돌출요소(84) 및 안전기어(72)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정지요소(88)를 포함하고, 상기 제2카(14)는 제1카(12) 쪽으로 돌출한 제2돌출요소(86) 및 안전기어(74)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정지요소(90)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돌출요소(84), 제2돌출요소(86), 또는 제1 및 제2돌출요소(84,86)는 제1카(12)와 제2카(14) 사이의 거리가 상기 최소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안전기어(72,74)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정지요소(88,90)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12)의 안전기어(72)는 이웃하는 제2카(14)의 정지요소(90)에 대해 타격하는 제1카(12)의 돌출요소(84)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요소(84,86)의 각각의 관련 제1카(12) 및 제2카(14)로부터의 거리가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12) 및 제2카(14)는 각각 속도 조절기 케이블(76,78)을 포함하고, 상기 제1카(12)의 속도 조절기 케이블(76)은 제1카(12)와 동일한 속도를 가지며 제1카(12)의 안전기어(72)에 연결되고, 상기 제2카(14)의 속도 조절기 케이블(78)은 제2카(14)와 동일한 속도를 가지며 제2카(14)의 안전기어(74)에 연결되며, 여기서 제1카(12)의 돌출요소(84)는 제1카(12)의 속도 조절기 케이블(76)에 장착되고, 제2카(14)의 돌출요소(86)는 제2카의 속도 조절기 케이블(76)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12)의 정지요소(88)는 제2카(14)의 돌출요소(86)가 정지요소(88)에 대해 타격할 수 있는 정지위치와 돌출요소(86)가 정지요소(88)를 통과할 수 있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카(14)의 정지요소(90)는 제1카(12)의 돌출요소(84)가 정지요소(90)에 대해 타격할 수 있는 정지위치와 돌출요소(84)가 정지요소(90)를 통과할 수 있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어(72,74)는 안전장치(47)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47)는 속도 의존성 최소거리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유닛(223)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47)는, 제1카(12)와 이웃하는 제2카(14) 또는 상기 이동경로의 단부 사이의 실제거리를 상기 최소거리와 비교하고 상기 실제거리가 상기 최소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안전기어 트리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비교유닛(225)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057008262A 2002-11-09 2003-11-05 하나의 케이지 내에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들을 포함하는,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안전 시스템 KR100714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2/012538 WO2004043841A1 (de) 2002-11-09 2002-11-09 Sicherheitseinrichtung für aufzugssystem mit mehreren aufzugskabinen in einem schacht
EPPCT/EP02/12538 2002-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821A KR20050072821A (ko) 2005-07-12
KR100714174B1 true KR100714174B1 (ko) 2007-05-02

Family

ID=3230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262A KR100714174B1 (ko) 2002-11-09 2003-11-05 하나의 케이지 내에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들을 포함하는,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353912B2 (ko)
EP (1) EP1562848B1 (ko)
JP (1) JP4358747B2 (ko)
KR (1) KR100714174B1 (ko)
CN (1) CN100469675C (ko)
AT (1) ATE352509T1 (ko)
AU (1) AU2003286152A1 (ko)
BR (1) BRPI0316105B1 (ko)
DE (1) DE50209397D1 (ko)
ES (1) ES2281572T3 (ko)
MX (1) MXPA05004900A (ko)
RU (1) RU2325315C2 (ko)
TW (1) TWI295270B (ko)
WO (2) WO2004043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3090A1 (ja) * 2003-03-18 2004-09-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WO2006009542A1 (en) * 2004-06-21 2006-01-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including multiple cars in a hoistway
DE102004037486B4 (de) * 2004-07-27 2006-08-10 ThyssenKrupp Aufzüge GmbH Signalband und System zum Bestimmen eines Bewegungszustandes eines bewegten Körpers sowie diese verwendende Vorrichtung zur Geschwindigkeitsbegrenzung des bewegten Körpers, insbesondere eines Aufzugfahrkorbes
WO2006065241A2 (en) * 2004-12-16 2006-06-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a hoistway
JP4833225B2 (ja) * 2004-12-29 2011-12-0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1つの昇降路に複数のかごを有す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補償
EP1679279B2 (de) * 2005-01-07 2011-03-30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sanlage mit einer Steuervorrichtung
CN101111443B (zh) * 2005-02-04 2011-06-08 奥蒂斯电梯公司 指示一电梯轿厢在等待同一电梯井中另一电梯轿厢的通知
CN100584725C (zh) * 2005-02-04 2010-01-27 奥蒂斯电梯公司 向电梯井内两轿厢之一下达产生在其一的延迟最小化指令
CN100554120C (zh) * 2005-02-17 2009-10-28 奥蒂斯电梯公司 将轿厢去往底坑或者顶部的运行告知电梯乘客的方法
JP5191743B2 (ja) * 2005-02-17 2013-05-08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2つのエレベータが走行する昇降路内での干渉の防止
CN101128383B (zh) * 2005-02-25 2010-10-13 奥蒂斯电梯公司 具有成角度设置的下悬式挂绳布置的电梯轿厢
DE502005000701D1 (de) 2005-03-05 2007-06-21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Aufzuganlage
JP2006290575A (ja) * 2005-04-13 2006-10-26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装置
JP2007076909A (ja) * 2005-09-16 2007-03-29 Toshiba Elevator Co Ltd マルチかご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1146411B1 (ko) * 2005-10-25 2012-05-1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다수의 카 승강기 안전 시스템 및 방법
EP2041015B2 (en) 2006-06-07 2018-06-27 Otis Elevator Company Operating less than all of multiple cars in a hoistway following communication failure between some or all cars
ES2702973T3 (es) * 2006-06-07 2019-03-06 Otis Elevator Co Garantía de separación de hueco de ascensor de múltiples cabinas
EP1882670B1 (de) * 2006-07-25 2017-10-25 Inventio AG Verfahren zur Modernisierung einer Aufzugsanlage
IL184194A (en) * 2006-07-25 2012-02-29 Inventio Ag Method of modernizing a lift installation
EP1894874A1 (de) 2006-08-31 2008-03-05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anlage
EG24538A (en) 2006-09-08 2009-09-03 Inventio Ag Method of operating a lift installation, a lift installation operable by this method and safety equipment for this lift installation
ZA200710597B (en) 2006-12-21 2008-11-26 Inventio Ag Method of preventing collision of two lift cages movable in the same shaft of a lift installation and corresponding lift installation
GB2458250B (en) * 2006-12-22 2011-04-06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a single hoistway
WO2009024853A1 (en) 2007-08-21 2009-02-26 De Groot Pieter J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 control system
US8434599B2 (en) 2007-09-18 2013-05-07 Otis Elevator Company Multiple car hoistway including car separation control
RU2456225C2 (ru) * 2007-09-18 2012-07-20 Отис Элевейтэ Кампэни Способ поддержания разделительной дистанции в многокабинной лифтовой шахте и лифтовая система
EP2039642A1 (en) * 2007-09-19 2009-03-25 Mac Puar, S.A. Trigger device for the end positions of an elevator and operating procedure thereof
DE102007048684B4 (de) * 2007-10-10 2010-09-09 Polysius Ag Laborsystem
ES2384063T3 (es) 2007-11-30 2012-06-29 Otis Elevator Company Coordinación de múltiples cabinas de ascensor en un hueco de ascensor
ES2393133T3 (es) * 2007-12-05 2012-12-18 Otis Elevator Company Estrategia de control para el funcionamiento de dos cabinas de ascensor en un único hueco
AU2008340463A1 (en) 2007-12-21 2009-07-02 Inventio Ag Elevator system with distance control
EP2250114A1 (de) 2008-03-06 2010-11-17 Inventio AG Aufzugsanlage und verfahren zur wartung einer solchen aufzugsanlage
US8813919B2 (en) 2008-12-23 2014-08-26 Inventio Ag Elevator safety system preventing collision of cars
CN102256885B (zh) * 2008-12-26 2016-11-02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设备的电梯控制装置
DE102010030436A1 (de) * 2010-06-23 2011-12-29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US8430210B2 (en) 2011-01-19 2013-04-30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US8925689B2 (en) 2011-01-19 2015-01-06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elevator cabs and counterweights that move independently in different sections of a hoistway
US9394139B2 (en) * 2011-04-08 2016-07-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ulti-car elev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EP2607282A1 (de) 2011-12-23 2013-06-26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n Aufzug mit mehreren Kabinen
WO2013157070A1 (ja) * 2012-04-16 2013-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カー式エレベータ
CN103496624A (zh) * 2013-09-09 2014-01-08 费传华 新型高效节能垂直升降电梯
DE102013110790A1 (de) * 2013-09-30 2015-04-02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JP6265057B2 (ja) * 2014-06-17 2018-0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16062686A1 (de) * 2014-10-21 2016-04-28 Inventio Ag Aufzug mit einem dezentralen elektronischen sicherheitssystem
DE102014017486A1 (de) 2014-11-27 2016-06-02 Thyssenkrupp Ag Aufzuganlage mit einer Mehrzahl von Fahrkörben sowie einem dezentralen Sicherheitssystem
DE102014017487A1 (de) 2014-11-27 2016-06-02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anlage sowie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ausgebildete Aufzugsanlage
CN107531451B (zh) * 2015-04-28 2020-06-09 奥的斯电梯公司 用来确保预定电梯竖井间隙的用于电梯系统的监测系统
AU2016231585B2 (en) 2015-09-25 2018-08-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mponent separation assur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AU2016355978B9 (en) * 2015-11-19 2019-09-12 Inventio Ag Method for determining information relating to lift components received in a lift shaft
CN105540363A (zh) * 2015-12-16 2016-05-04 中冶南方(武汉)自动化有限公司 一种多轿厢电梯群控系统及其安全控制方法
CN105668365A (zh) * 2016-03-22 2016-06-15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智能识别防撞及自动紧急制动系统及实施方法
DE102016205236A1 (de) * 2016-03-30 2017-10-05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anlage sowie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ausgebildete Aufzuganlage
CN106629315A (zh) * 2017-02-27 2017-05-10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施工升降机梯笼智能防碰撞缓冲系统及实施方法
DE102017205353A1 (de) * 2017-03-29 2018-10-04 Thyssenkrupp Ag Aufzuganlage mit mehreren eine Kennung aufweisenden Aufzugkabin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Aufzuganlage
US10501286B2 (en) 2017-05-12 2019-12-10 Otis Elevator Company Simultaneous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safety actuation
US11059701B2 (en) * 2018-12-06 2021-07-13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Methods and apparatuses for lifting elevator cars during installation
DE102019104339A1 (de) * 2019-02-20 2020-08-20 Thyssenkrupp Ag Auslösesystem für eine Fangvorrichtung, Aufzug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CN110436304A (zh) * 2019-09-03 2019-11-12 菱电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缓冲辅助装置
US20220033217A1 (en) * 2020-07-30 2022-02-03 Otis Elevator Company Multi-car elevator system with autonomous car movers configured for collision avoidance
DE102022118101A1 (de) 2022-07-20 2024-01-25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Aufzugsanlage sowie Verfahren zum Erkennen von Fehlerzuständen
DE102022119470A1 (de) 2022-08-03 2024-02-08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Aufzugsanlage mit zwei übereinander angeordneten Fahrkörben in einem Aufzugschach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9469A1 (de) * 1995-10-17 1997-04-23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bei Multimobil-Aufzugsgruppen
WO2001079101A2 (en) * 2000-04-18 2001-10-25 Otis Elevator Company Boarding hall call registration method and its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628A (en) * 1909-04-27 1912-05-28 Martin C Schwab Elevator.
US1896776A (en) 1928-02-17 1933-02-07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Multiple elevator system
US1805227A (en) * 1929-05-27 1931-05-12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Multiple-car elevator
US1896777A (en) * 1930-12-27 1933-02-07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Elevator safety system
US1911834A (en) * 1931-02-26 1933-05-30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US1976495A (en) * 1933-08-05 1934-10-09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Safety apparatus for multiple car elevators
ES2024581B3 (es) * 1987-07-13 1992-03-01 Inventio Ag Instalacion de direccion para instalaciones de ascensores
US5135081A (en) * 1991-05-01 1992-08-04 United States Elevator Corp. Elevator position sensing system using coded vertical tape
JP2835206B2 (ja) * 1991-06-06 1998-12-14 株式会社東芝 自走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732730B2 (ja) * 1991-08-27 1998-03-30 株式会社東芝 自走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HU213428B (en) 1992-10-27 1997-06-30 Inventio Ag Self propelled device mainly for passanger carriing
FR2698624B3 (fr) * 1992-11-27 1994-10-07 Rene Ficheux Dispositif de contrôle pour ascenseurs.
US5360085A (en) * 1993-08-20 1994-11-0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b position sensing with reduced operating noise
JPH07187525A (ja) * 1993-11-18 1995-07-25 Masami Sakita 複数ばこ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5419414A (en) * 1993-11-18 1995-05-30 Sakita; Masami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the same hoistway
JP3252575B2 (ja) 1993-12-17 2002-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A2165247C (en) * 1995-01-20 2006-05-23 Bernhard Gerstenkorn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production of shaft information data of a lift shaft
FR2736722B1 (fr) 1995-07-12 1997-08-29 Otis Elevator Co Dispositif a fourche optique pour la mesure de la vitesse, notamment d'une cabine d'ascenseur
US5865274A (en) * 1995-10-24 1999-02-02 Kabushiki Kaisha Toshiba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and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method
JPH1045347A (ja) * 1996-07-31 1998-02-17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US5925859A (en) * 1997-08-06 1999-07-20 Interface Products Co., Inc. Landing control system
JP4326618B2 (ja) * 1999-02-03 2009-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DE19929984C1 (de) 1999-06-30 2000-10-26 Schmersal K A Gmbh & Co Einrichtung zur Positionserfassung
DE19946204A1 (de) 1999-09-27 2001-03-29 Siemens Ag Meßeinrichtung zur Positionsbestimmung von Lastaufnahmemitteln bei Hebezeugen
JP4505901B2 (ja) * 1999-11-05 2010-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1240318A (ja) * 2000-02-28 2001-09-04 Toshiba Corp 昇降機システム
EP1142814A1 (de) 2000-03-31 2001-10-10 Inventio Ag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Position und der Bewegung einer Kabine in dem Schacht eines Aufzugs
US6364095B1 (en) * 2000-04-13 2002-04-02 Span Tech Llc Modular conveyor system with side flexing belt having roller support
JP2002167133A (ja)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US6439349B1 (en) * 2000-12-21 2002-08-27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new hall calls to one of a plurality of elevator cars
DE20103158U1 (de) * 2001-02-22 2001-09-27 Müller, Wolfgang T., 78315 Radolfzell Mehrstufiger, positionsgesteuerter, reaktionsschnell und präzise auslösender Geschwindigkeitsbegrenzer für Aufzüge
US6554107B2 (en) * 2001-09-27 2003-04-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system
JP2004002020A (ja) * 2002-05-27 2004-01-08 Inventio Ag 数台の自走式かごと少なくとも3つの隣接配置されたエレベータ昇降路と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9469A1 (de) * 1995-10-17 1997-04-23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bei Multimobil-Aufzugsgruppen
WO2001079101A2 (en) * 2000-04-18 2001-10-25 Otis Elevator Company Boarding hall call registration method and it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2848B1 (de) 2007-01-24
ES2281572T3 (es) 2007-10-01
BRPI0316105B1 (pt) 2017-01-24
CN100469675C (zh) 2009-03-18
MXPA05004900A (es) 2005-11-17
TWI295270B (en) 2008-04-01
ATE352509T1 (de) 2007-02-15
AU2003286152A1 (en) 2004-06-03
WO2004043841A1 (de) 2004-05-27
RU2005114484A (ru) 2006-12-20
WO2004043842A1 (de) 2004-05-27
JP4358747B2 (ja) 2009-11-04
JP2006505473A (ja) 2006-02-16
US20050279584A1 (en) 2005-12-22
KR20050072821A (ko) 2005-07-12
TW200415106A (en) 2004-08-16
CN1694839A (zh) 2005-11-09
BR0316105A (pt) 2005-09-27
RU2325315C2 (ru) 2008-05-27
DE50209397D1 (de) 2007-03-15
US7353912B2 (en) 2008-04-08
EP1562848A1 (de)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174B1 (ko) 하나의 케이지 내에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들을 포함하는,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안전 시스템
KR100905445B1 (ko) 엘리베이터 설비
US7946393B2 (en) Safety evaluation and control system for elevator units
TWI388492B (zh) 升降設備之安全裝置及具有此安全裝置之升降設備
JP6120977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2578526B1 (en) Electronic safety elevator
CA2540082C (en) Elevator rail joint detecting device, and elevator apparatus
KR102301454B1 (ko) 멀티-케이지 리프트 시설 및 멀티-케이지 리프트 시설을 동작시키는 방법
CN104276474B (zh) 电梯的安全系统
JP2005126240A (ja) エレベータ設備のための安全システムおよび安全システムを用いてエレベータ設備を運転する方法
WO2004083091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WO2005115902A1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20130036324A (ko) 속도 및 위치 검출 시스템
EP3587323A1 (en) Elevator system
CN104797516A (zh) 具有可调节的缓冲器长度的电梯
WO2014136200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かご位置検出方法
US7398864B2 (en) Elevator controller
EP3878788A1 (en) Elevator safety systems
CN112850402A (zh) 用于电梯的紧急停止系统
KR102265012B1 (ko) 가변속도 엘리베이터의 강제 감속 제어장치 및 방법
CN115402901A (zh) 电梯系统
CN114104911A (zh) 电梯系统
KR20070029181A (ko) 엘리베이터의 레일 조인트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