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419B1 - 적층 벽 요소용 고정 장치, 적층 창유리로 구성된 벽 요소 및 상기 벽 요소로 구성된 벽 - Google Patents

적층 벽 요소용 고정 장치, 적층 창유리로 구성된 벽 요소 및 상기 벽 요소로 구성된 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419B1
KR100705419B1 KR1020027018088A KR20027018088A KR100705419B1 KR 100705419 B1 KR100705419 B1 KR 100705419B1 KR 1020027018088 A KR1020027018088 A KR 1020027018088A KR 20027018088 A KR20027018088 A KR 20027018088A KR 100705419 B1 KR100705419 B1 KR 100705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all
fixing
recess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1186A (ko
Inventor
울리히 크나크
우도 브뢰바움
디르크 슐테
울리히 헤르멘스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30021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36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volving holes or indentations in the p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 F16B11/006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by glu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4Non-metallic plugs or sleeves; Use of liquid, loose solid or kneadable material therefor
    • F16B13/141Fixing plugs in holes by the use of setta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 창유리로 이루어진 벽 요소(wall element)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빌딩측 상의 쉬트(sheet)는 관통 개구(through opening)를 가지며, 적층부에 마주하는 빌딩측 상의 쉬트의 뒷면에 압착되는 고정 요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빌딩측 상의 쉬트(1)에 있는 개구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이들 개구 쪽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개구(4)보다 더 큰 내경(內徑)을 갖는 리세스(recess)가 외부측 상의 쉬트(2)에 제공되며, 고정 요소(7, 16, 20, 23, 27)의 단부 부분은 리세스(5) 안으로 삽입되며,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리세스(5)의 벽과 고정 요소(7, 16, 20, 23, 27)의 단부 부분 사이에 형성된 중공 공간(hollow space)이 경화성 충전재(10)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층 벽 요소용 고정 장치, 적층 창유리로 구성된 벽 요소 및 상기 벽 요소로 구성된 벽{FIXING DEVICE FOR A LAMINATED WALL ELEMENT, WALL ELEMENT CONSISTING OF A LAMINATED PANE AND WALL CONSISTING OF THE WALL ELEMEN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금속으로 만들어진 하부구조에 프레임 없이 고정되어야 하는, 적층 벽(laminated wall) 요소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쉬트(sheet)들 중 벽측 상에 있는 쉬트가 예를 들면 보어와 같은 관통 개구를 갖는 여러 개의 쉬트로 형성된 적층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벽 요소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보어에는, 적층물과 마주보는, 빌딩측 상의 쉬트의 뒷면에 압착되는 고정 요소가 제공된다.
이러한 고정 장치는 접착제 층을 갖는 유리 쉬트로 이루어진 적층 플레이트뿐만 아니라, 유리/플라스틱 혼합 적층물 또는 다수 층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적층 플레이트에도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고정 장치는 석재, 세라믹 등과 같은 다른 적층 재료로 이루어진 플레이트에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적용예들은 반드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는 않더라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묵시적으로 포함되며, 특히 "벽 요소" 및/또는 "적층 플레이트"라는 용어 속에 묵시적으로 포함된다. 하지만, 적층 창유리를 이용하는 적용예는 특히 중요하다.
명료함을 목적으로, "벽측 상에" 또는 "빌딩측 상에"라는 문구는 항상, 예를 들면 외부 및/또는 내부 영역에서 빌딩 벽과 같은, 하부구조와 마주보는 적층 플레 이트의 측면 또는 쉬트를 지칭하는 반면, "외측 상에" 또는 "외측"이라는 문구는 하부구조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면 상의 자유 측면 또는 쉬트(free side or sheet)를 의미한다는 것이 또한 주지되어야 한다.
적층 창유리 용도의 이러한 유형의 고정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서 제EP-A2-0 277 535호에는 빌딩측 상의 유리 쉬트에 있는 보어가 접착제 쉬트 쪽으로 향해 있는 측면 상에서 언더컷 보어(undercut bore) 타입의 원뿔대 형상의 리세스를 갖는 고정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원뿔형 헤드를 갖는 스크류(screw) 형상을 갖는 고정 볼트가 플라스틱 소켓의 중간 삽입을 통해 확실히 맞물려짐으로써 이러한 보어 안으로 삽입되며, 원뿔형 헤드의 원형 표면은 빌딩측 상의 유리 쉬트의 편평한 표면과 동일 평면이 되게 밀착된다.
특허 문서 제EP-B1-0 340 089호에는 적층 창유리에 사용하기 위한 전술한 유형의 고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고정 장치에서는, 한편으로는 보어의 둘레 영역에서 빌딩측 상의 유리 쉬트의 표면에 압착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적층 창유리의 중간층에 의해서 외부 유리 쉬트에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디스크 형상의 유지부(retaining piece)가 빌딩측 상의 유리 쉬트의 보어 내에 위치한 고정 요소에 제공된다.
또한 특허 문서 제EP-A1-0 799 949호에도 특히 전술한 일반적인 유형의 고정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역시, 빌딩측 상의 유리 쉬트에는 리머 보어(reamed bore)가 제공되어 있다. 벽 요소에 장착되기 전에 나사부가 형성된 볼트가 체결되는 플랜지 너트(flanged nut)가 이러한 언더컷 보어 안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알려진 고정 장치에서, 외부 유리 쉬트의 무게는 오직 적층 창유리의 열가소성 접착층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커다랗고 무거운 외부 유리 쉬트를 갖는 벽 요소의 경우에, 정면 플레이트가 태양 복사 효과에 의해서 극심하게 가열될 때와 열의 영향을 받아 열가소성 접착층이 연화될 때 특히 장기적으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허 문서 제 DE-C1-197 51 124호에는 적층 유리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플레이트에서는 외부 유리 쉬트에, 빌딩측 상의 유리 쉬트 쪽으로 향해 있는 측면 상에, 빌딩측 상의 유리 쉬트에 있는 보어와 동심(同心)을 이루는 막힌 카운터싱크 보어(countersink bore)가 제공된다. 고정 요소는 강제 맞물림에 의해서 막힌 카운터싱크 보어에 고정되는 스페이서 요소(spacer element)를 갖는 카운터싱크 펙(peg)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외부 유리 쉬트의 하중이 더 이상 열가소성 접착층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고, 막힌 보어로 삽입되는 스페이서 요소에 의해서 지지된다. 하지만, 스페이서 요소는 카운터싱크 보어의 구멍 둘레에 엄청난 반경방향 및 축방향 힘을 가하며, 이는 쉬이 유리 쉬트가 부서지거나 혹은 깨지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쉬트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과 관련하여 특히 개선된, 적층 재료로 만들어진 벽 요소용 고정 장치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서 달성된다. 종속항인 청구항 2 내지 23은 이러한 목적에 대한 유익한 개선을 나타내는 한편, 청구항 24 이하는 이러한 고정 요소가 구비된 벽 요소 및 그러한 결과로 만들어진 벽에 대한 것이다.
그래서, 전술한 일반적인 유형의 고정 장치로부터, 적층 플레이트용의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는, 벽측 상의 쉬트에 있는 개구 또는 구멍 위로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이들 개구 또는 구멍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리세스(recess)가 적층 플레이트의 외부 쉬트에 제공되고, 고정 요소의 단부 부분이 리세스 안으로 삽입되며, 각각의 경우에 최소한 리세스의 벽과 고정 요소의 단부 부분 사이에 형성된 중공 공간(hollow space)에 경화 충전재(cured filler)가 충전된다는 사실에 의해 차별화된다. 그래서 고정 요소는 벽측 상의 쉬트 전체를 관통하지만, 외부 쉬트는 일부만 관통하게 된다.
그 결과, 적층물에 병합된 (유리) 쉬트 상의 고정 요소의 배치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은 강도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서, 외부 쉬트의 하중이 주로 고정 요소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러한 장치는 당연히 3개 이상의 쉬트를 갖는 적층 플레이트에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모든 구성에서, 리세스는 분명히 최외측(outermost) 개별 쉬트에 있는 반면, 하부구조에 가장 근접한 쉬트는 축방향으로 일치되며 고정 요소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 개구를 갖는다.
리세스는 관련된 개구의 내부 치수 또는 직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부 치수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리세스는 관련된 개구의 내부 치수 또는 직경보다 더 큰 내부 치수 또는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특히, 적층물 내부의 리세스의 바닥과 마주보는 하나의 면(face)까지 리세스는 완전히 충전재로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면은 적층물에 있는 빌딩측 상의 쉬트 표면의 일부에 의해서 혹은 달리 리세스 내부의 카운터싱크 홀의 벽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축방향 힘은 또한 고정 요소에 의해서도 흡수된다.
벽측 상의 쉬트를 관통하는 개구는 원형 보어(circular bore), 직사각형 또는 장방형 슬롯, 혹은 다른 횡단면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리세스도 또한 관련된 개구에 상응하게 원형의 막힌 구멍, 직사각형 또는 장방형 그루브 혹은 다른 적절한 형상과 횡단면(예를 들면, 원뿔대형, 더브테일)으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들 리세스는 각각의 쉬트를 완전히 관통하지는 않는다.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막힌 구멍, 또는 직사각형 그루브 등일 수 있지만, 이들 리세스는 또한 다소 원뿔형상의 카운터싱크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는데, 이는 이와 같은 다소 원뿔형상의 카운터싱크 횡단면은 특히 유리 쉬트의 경우에 일부 환경에서 제작하는데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또한, 최대의 내부 치수 또는 직경은 리세스의 내부에 있으며, 외부 쉬트의 표면상에 있는 리세스는 적어도 빌딩측 상의 쉬트에 있는 관련된 관통 개구와 동일한 내경을 가져야 한다.
그 결과, 적층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자유 횡단면(free cross section) 또는 중공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자유 횡단면 또는 중공 공간은 필요한 경우에 카운터싱크로 이루어지며 고정 요소를 수용하고 충전재로 충전될 수 있다. 동시에, 벽 요소의 외부 쉬트의 외측{가시(visible)}면은 구멍이 없는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최종적으로 충전재로 충전되는 비교적 작은 슬롯 혹은 자유 공 간만이 남아있을 때까지, 삽입되어야 하는 고정 요소로 쉬트에 있는 개구와 리세스에 미리 충전하는 것이 시도된다. 만약 개구와 리세스가 원형이라면, 원형 혹은 다각형 외주를 갖는 고정 요소, 예를 들어 볼트 또는 트러니언이 사용된다. 해당 개구와 리세스가 장방형이라면, 고정 요소도 또한 장방형, 예를 들어 필릿(fillet), 리브(rib), 핀(fin) 등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표면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그 종방향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중력에 횡방향으로 배향될 것이다.
리세스에 경화성 충전재를 충전함으로써, 리세스와 고정 요소의 단부 부분 사이에 이상적인 접착부가 얻어지며, 큰 무게 하중(weight load)의 경우에도 이러한 접착부에는 외부 쉬트를 통해서 구멍의 내부 표면에 힘의 최대값이 작용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구멍의 내부 표면의 벽은 균일하게 응력을 받지만, 부가적인 반경방향 혹은 축방향 응력은 없는 상태로 남아 있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세스 영역에서 외부 쉬트의 하중이 쉬트에 손상을 줄 위험없이 안전하게 지지되며; 적층물의 접착제 층은 본질적으로 응력이 없는 상태에 있게 된다.
적층 플레이트를 적소에 위치시킨 다음에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된 개구에 우선적으로 고정 요소가 삽입되어야 하며, 그리고 나서 충전재가 주입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알려진 일반적인 해법과 비교하여, 적층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과정이 예를 들면 돌출한 금속 부분으로 인한 어떠한 방해적인 영향도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고유한 개선에서, 빌딩측 상의 쉬트 상에서, 리세스의 벽과 고정 요소의 단부 부분 사이의 중공 공간이 리세스의 바닥과 마주보는 면까지 충전재로 충전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 요소가 빌딩측 상의 쉬트의 후부(後部)에 대해서 특히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지지되어, 고정 요소는 또한 상당한 양의 축방향 힘을 받아들일 수 있다. 게다가, 또한 고정 요소와 관통 개구 사이에 남아있는 중공 공간을 충전재로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그래서 또한 이러한 영역에서, 둘레 표면의 하중이 개구로부터 고정 요소로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게 된다.
영구적인 방식으로 적어도 고정 요소의 단부 부분을 충전재에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개선에서, 고정 장치를 축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능력은 더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영구적인 결합은 유익하게는 적어도 고정 요소의 단부 부분의 외주 표면상에, 충전재에 의해 고착되는 하나 이상의 노치를 제공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초기에 여전히 유동 상태에 있는 충전재로 중공 공간을 충전할 때, 충전재는 또한 노치로 침투된다. 정착되면, 충전재는 고정 요소와 확실하게 맞물려짐으로써 그곳에 고착된다.
유익한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에는 축방향의 관통 보어가 제공되며 ,이 관통 보어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리세스 안으로 충전재가 주입될 수 있다. 개선에 따르면, 축방향 보어와 통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개구, 예를 들면 횡방향 보어 또는 슬롯이 리세스 안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고정 요소의 단부 상에 또는 단부에 가까이에 제공된다. 고정 요소의 자유단부가 리세스의 바닥과 거의 접촉된 상태로 있게 되고 축방향 보어로부터의 출구는 폭이 매우 좁지만, 충전재 자체는 축방향 보어를 통해서 반경방향으로 리세스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는 고정 요소에 결합된 깊이 제한부(depth stop)를 가지며, 이 깊이 제한부는 적층 플레이트의 표면을 압착하며 고정 요소가 삽입되는 깊이를 한정한다. 깊이 제한부는 고정 요소에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깊이 제한부는 플레이트 또는 둘레의 편평한 리브 형태로, 또는 개별적으로 돌출한 돌기(projection)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깊이 제한부와 이에 마주하는 적층 플레이트의 표면 사이에 접착식으로 부착된 연결부가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연결부는 고정 요소를 통해서 큰 축방향 힘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엇보다도, 외부 쉬트가 투명한 재료, 예를 들면 유리로 이루어지면, 고정 지점 또는 주입되는 충전재는 바람직하게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고정 지점 또는 주입된 충전재가) 덮여져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디스크 또는 커버, 불투명 코팅 등과 같이, 리세스의 바닥 상에 안착되는 삽입물(insertion part)을 이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익한 구성 및 개선은, 도면에 도시되는 이하의 적층 창유리를 갖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 1은 외부 나사부를 갖는 중실형(solid)의 고정 볼트가 구비된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외부 나사부를 갖는 고정 볼트와 축방향 관통 보어가 구비된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내부 나사부를 갖는 고정 볼트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내부 나사부를 갖는 고정 볼트와 축방향 관통 보어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고정 요소 기능을 하며, 플레이트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폐쇄식 나사부 형성 소켓(closing threaded socket)이 구비된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플레이트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재료에 국한되지 않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각각의 경우에 유리 및/또는 플라스틱의 두 쉬트(sheet)로 이루어진 적층 창유리용의 고정 장치를 예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창유리는 또한 3개 혹은 그 이상의 플라스틱 및/또는 유리 쉬트의 적층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된다. 게다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구는 보어의 형태로 만들어지고 설명되며, 리세스는 막힌 구멍(blind hole)의 형태로 만들어지고 설명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벽 요소를 형성하는 적층 창유리는 빌딩측 상의 유리 쉬트(1)와, 외부 유리 쉬트(2), 및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로 이루어지며 두 유리 쉬트(1과 2)를 상호 결합하는 열가소성 접착제 층(3)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유리 쉬트(1, 2) 중 어느 하나 또는 가능케는 두 개의 유리 쉬트 모두에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은 투명 또는 불투명 표면 코팅, 예를 들면 열 복사를 반사하는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빌딩측 상의 유리 쉬트(1)는 특히, 화학 처리 또는 열처리에 의해서, 바람직하게는 열처리에 의해서 경화되거나 뜨임(tempering) 처리된 프리스 트레스 유리(prestressed glass)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리 쉬트는 프리스트레스 공정 이전에 만들어진 원통형 보어(4)를 갖는다. 이러한 보어(4)와 가능한 한 정확하게 축방향으로 정렬된 막힌 구멍(blind hole)(5)이 외부 유리 쉬트(2)에 만들어진다. 이들 막힌 구멍의 직경은 예를 들면, 보어(4)의 직경보다 몇 mm 더 크다. 열가소성 접착제 층(3)이 보어와 동심(同心)으로 보어 영역에 원형 방식으로 리세스(recess)로 형성되며, 이들 리세스의 직경은 막힌 구멍(5)의 직경에 일치한다. 막힌 구멍(5)과 보어(4) 사이의 직경의 차이로 인해, 빌딩측 상의 쉬트(1)의 면(面)의, 적층물과 마주하는, 측면 상에는 그 결과 원형의 환형 영역(annular area)이 존재한다. 이러한 점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모든 실시예는 동일한 특징을 가지며, 그래서 이러한 공통 특징은 상세한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 다시 언급되지 않을 것이다.
명료함이라는 이유로 인해, 적층 창유리가 부착되는 하부구조는 도시되지 않는다. 고정 요소에 의해서 형성되는 각각의 개별적인 고정 지점에 대해서 하부구조와 연결하기 위한 적절한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서로 가까이 배치되거나 아니면 서로 압착된 적층 플레이트의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여러 개의 고정 요소가, 그룹을 형성하고 함께 하부구조에 고정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나 다른 구조물에 의해서 조립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는 빌딩측 상의 유리 쉬트(1)로부터 튀어나오고 그 돌출 부분 상에 외부 나사부(external thread)(8)가 제공된 원통형 볼트(7)이다. 외부 나사부는 해당되는 알려진 방식으로 하부구조에 결합될 수 있다. 볼트(7)의 타단부에는 둘레 노치(peripheral notch)(9)가 제공된다.
적층 창유리가 편평하게 있는 상태로 볼트(7)를 적층 창유리에 고정하기 위해서, 막힌 구멍(5)이 실질적으로 충전되는 양만큼, 먼저 유동성 충전재(flowing filler)(10)가 보어(4)를 통해서 막힌 구멍(5)으로 주입된다. 적절한 유동성 충전재 또는 밀폐제(sealant)로는 예를 들면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HILTI HIT HY 50" 제품이 있다. 이 제품은 유리에 들러붙지 않으며 이 제품이 접촉하게 되는 접착제 층(3)에 대해서 중립적인 반응을 갖는다. 경화 혹은 정착된 후에, 충전재는 비탄성 성질을 갖는다.
충전재(10)가 막힌 구멍(5) 안으로 주입되고 난 후에, 볼트(7)가 보어(4) 안으로 삽입되고 또한 충전재(10) 속으로 몇 mm 밀려들어가며, 이때 충전재도 또한 노치(9)로 흘러 들어간다. 당연히, 볼트(7)의 삽입시에 충전재(10)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공기 제거 수단이 제공된다. 볼트(7)가 중앙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외경(外徑)이 대략적으로 보어(4)의 내경(內徑)과 일치하는 센터링 링(centering ring)(11)이 그 샤프트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 센터링 링도 쉬트(1)로부터 고정 요소로 하중을 또한 전달한다.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층(12)이 제공되며 깊이 제한부(depth stop) 기능을 하는 플레이트(13)가 볼트(7) 상에 배치되며, 플레이트의 위치는 접착제 층(12)에 의해서 유리 쉬트(1)에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플레이트와 너트(14)에 의해서 결정된다. 비접착식의 중간 탄성 층이 또한 접착제 층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볼트(7)의 삽입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너트(14)를 통해서 볼트의 샤프트를 따라 플레이트(13)를 조절함으로써 미리 설정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적층 플레이트와 충전재 안으로 삽입되는 볼트의 정확한 삽입 깊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볼트와 플레이트는 또한 단일체(one piece)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이용 가능한 리세스의 깊이의 경우에 엄격한 치수 순응성(compliance of dimension)을 갖는다.
충전재(10)가 경화되고 난 후에, 충전재는 적층물 내부의 보어(4)를 둘러싸는 유리 쉬트(1)의 원형의 환형 표면(15)을 가압하며, 그래서 장착된 상태에서 적층 유리 플레이트에 작용하는 흡인력이 - 가능케는 플레이트(13)와의 접착식 부착에 의해서 - 수용되어, 충전재(10) 또는 너트(14)에 의해서 볼트(7) 및 볼트를 유지시키는 하부구조로 전달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볼트(16)에는 축방향의 관통 보어(17)가 제공된다. 또한, 예를 들면 크롬 도금된 황동으로 만들어진 커버(18)가 막힌 구멍(5)에 배치되어 막힌 구멍(5)의 벽에 밀접하게 압착된다. 볼트(16)와 충전재(10)는 커버(18)에 의해서 그 외부가 덮여진다. 이 실시예에서, 장착시에, 플레이트(13)가 제공된 볼트(16)는 먼저 원하는 최종 위치까지 보어(4) 안으로 삽입된다. 이 위치에서, 플레이트(13)를 갖는 볼트(16)는 미리 정해진 삽입 깊이로 접착제 층(12)에 의해서 또는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유동성 충전재(10)가 보어(17)를 통해서 볼트(16)와, 커버(18) 및 보어(4)의 구멍의 내부 표면 사이의 중공 공간으로 주입되며, 이 공간은 또한 보어(4) 영역에도 완전히 충전된다. 충전재는 또한 필요한 경우에 가압 상태로 분사될 수 있다. 당연히, 이 경우에도 보어(4)의 둘레 표면과 볼트(16) 사이의 환형 슬롯을 따라서 그리고 접착제 층(12) 및/또는 플레이트(13)를 통해서 공기 제거 수단이 또한 제공되어야 한다. 충전재(10)가 경화되고 나면, 하부구조 상에 장착하기 위한 벽 요소는 사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다시 볼트(16)의 외부 나사부는 하부구조에 결합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실시예는 볼트(20)의 구조와 관련하여 도 1에서 설명된 예에 대응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 커버(18)는 다시금 막힌 구멍(5)에 배치된다. 볼트(20)에는 한편으로 너트(14)를 사용하여 플레이트(13)를 위치시키기 위한 외부 나사부(8)가 제공되며, 다른 한편으로 벽 요소를 하부구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내부 나사(21)가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빌딩측 상의 유리 쉬트 너머로 돌출한 부분에, 플레이트(13)를 위치시키기 위한 외부 나사부(8)와 벽 요소를 하부구조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다른 나사 체결 가능한 볼트(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나사(21)가 다시 제공된 고정 볼트(23)를 포함한다. 또한, 볼트(23)에는 적층 창유리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 축방향의 관통 보어(24)가 제공된다. 관통 보어는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 차례에 충전재(10)로 충전되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에, 커버 대신에 디스크(25)만이 막힌 구멍(5)의 바닥에 배치되며, 이 디스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커버(18)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충전재는 또한 바닥의 불투명 코팅에 의해서 그리고 가능케는 커버(18) 또는 디스크(25) 지점에서 막힌 구멍의 내부 벽에 의해서도 광학적으로 덮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다른 변형에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에, 고정 요소(27)는 내부 나사부(28)를 갖는 중공의 원통체(圓筒體)이다. 막힌 구멍(5) 또는 금속 커버(18)로 삽입되는 부분에서, 고정 요소(27)에는 다시금 충전재(10)에 고착되기 위한 노치(9)가 제공된다. 고정 요소(27)의 외부 정면은 유리 쉬트(1)의 표면(29)과 동일 평면으로 끝이 난다. 고정 요소(27)는 적층 유리 쉬트 안으로 삽입되며, 충전재로 충전하는 것은 이미 설명된 방법으로 행해진다. 이러한 예에서, 충전재(10)가 주입되어 경화되는 동안 고정 요소의 위치 설정 및 중심 잡기는, 고정 장치가 일시적으로 내부 나사부(28)에 나사 체결이 되고, 이 고정 장치는 유리 쉬트(1)의 표면을 가압하며, 뒤이어서 충전재(10)가 경화되고 나면 제거됨으로써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방형의 개구, 리세스 및 고정 요소를 사용할 때에도, 그 결과는 횡단면도로 도시된 고정 장치에서 설명된 도시(圖示)와 다르지 않을 거라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금속으로 만들어진 하부구조에 프레임 없이 고정되어야 하는, 적층 벽(laminated wall) 요소용 고정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28)

  1. 적층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벽 요소(wall element)용 고정 장치에 있어서, 빌딩측 상의 쉬트(sheet)는 관통 개구를 가지며, 상기 빌딩측 상의 상기 쉬트의 이들 개구에 적층물(laminate)에 마주하는 배면(rear face)을 가압하는 고정 요소가 제공되는, 고정 장치로서,
    외부측 상의 쉬트(2)에는 상기 빌딩측 상의 상기 쉬트(1)에 있는 상기 개구(4)의 위로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개구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리세스(5)가 제공되며,
    상기 고정 요소(7, 16, 20, 23, 27)의 단부 부분은 상기 리세스(5) 안으로 삽입되며,
    각각의 경우에 상기 리세스(5)의 벽과 상기 고정 요소(7, 16, 20, 23, 27)의 단부 부분 사이에 형성된 중공 공간(hollow space)은 경화성 충전재(filler)(10)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4)보다 더 큰 내경(內徑)을 갖는 상기 리세스(5)는 상기 적층물 내부의 상기 리세스(5)의 바닥과 마주하는 면(15)까지 상기 충전재(10)로 충전되며, 상기 면은 상기 적층물에 위치된 빌딩측 상의 상기 쉬트(1)의 실제 표면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리세스 내부에 카운터싱크 홀(countersink hole)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리세스 및 고정 요소는 서로 매치되는 길이 및 장방형(oblong shape)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원형 보어(round bore)(4)이며 상기 리세스는 상기 보어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막힌 구멍(blind hole)(5)이며,
    상기 막힌 구멍(5)의 벽과 상기 고정 요소(7, 16, 20, 23, 27)의 상기 단부 부분 사이의 중공 공간은 상기 빌딩측 상의 상기 쉬트(1)의 상기 막힌 구멍(5)과 마주보는 환형 표면(annular surface)(15)까지 상기 충전재(10)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4) 내에서 상기 고정 요소(7, 16, 20, 23, 27)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빌딩측 상의 상기 쉬트(1)를 통과하는 상기 개구(4)의 둘레 표면과 상기 고정 요소(7, 16, 20, 23, 27) 사이의 중공 공간에 지지 요소{센터링 링(centering ring: 11)}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측 상의 상기 쉬트(1)를 통과하는 상기 개구(4)의 둘레 표면과 상기 고정 요소(7, 16, 20, 23, 27) 사이의 중공 공간은 또한 부분 또는 전체가 상기 경화성 충전재(10)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7, 16, 20, 23, 27)의 상기 단부 부분은 확실한 맞물림에 의해서 상기 축방향으로 영구적인 방식으로 상기 충전재(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7, 16, 20, 23, 27)의 상기 단부 부분에는 그 둘레 표면에 상기 충전재(10)와 고착되기 위한 노치(notch)(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16, 23)는 축방향의 관통 보어(17, 2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의 상기 단부 부분에는 상기 축방향의 보어와 통해 있는 반경방향 개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7, 16, 20, 23)는 상기 빌딩측 상의 상기 유리 쉬트(1) 너머로 돌출하는 볼트이며 상기 고정 요소에는 외부 나사부(external thread)(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20, 23)는 상기 빌딩측 상의 상기 유리 쉬트(1) 너머로 돌출하는 볼트이며 내부 나사부(21)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7, 16, 20, 23)에 연결된 깊이 제한부(depth stop), 특히 상기 고정 요소를 둘러싸며 상기 빌딩측 상의 상기 적층 플레이트의 상기 표면에 접하는 플레이트(13)가 각각의 경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7, 16, 20, 23)의 삽입 깊이를 사전 한정(事前 限定)하기 위 한 상기 플레이트(13)는 상기 고정 요소에 {너트(14)에 의해서} 조절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의 삽입 깊이를 사전 한정하기 위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요소에 고정되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 요소와 단일체(one piece)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3)는 이에 마주하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의 상기 표면에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27)에는 내부 나사부(28)가 제공되며 상기 고정 요소는 상기 빌딩측 상의 상기 유리 쉬트(1)의 표면(29)과 동일한 평면으로 끝이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상기 외부측 상의 쉬트의 상기 리세스(5) 내에 투명하지 않은 재료의 형태로 상기 리세스의 바닥을 덮는 커버(18, 2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바닥, 및 가능케는 상기 리세스의 벽을 덮는 불투명 코팅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조립식 커버(18) 또는 디스크(2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10)는 상기 유리에 들러붙지 않는 비탄성 충전재(inelastic fill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플레이트의 상기 2개의 쉬트(1, 2)를 서로 결합하는 접착제 층(3)에는 상기 고정 요소(7, 16, 20, 23, 27) 영역에, 내경(內徑)이 상기 빌딩측 상의 상기 쉬트(1)를 관통하는 개구(4)의 폭과 일치하는 구멍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플레이트의 상기 2개의 쉬트(1, 2)를 서로 결합하는 접착제 층(3)에는 상기 고정 요소(7, 16, 20, 23, 27) 영역에, 내경(內徑)이 상기 외부측 상의 상기 유리 쉬트(2)에 있는 리세스(5)의 폭과 일치하는 구멍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4. 적층 창유리로 구성된 벽 요소에 있어서,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고정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요소.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창유리를 형성하는 상기 쉬트는 프리스트레스 유리 쉬트(sheet of prestressed gla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요소.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창유리를 형성하는 유리 쉬트(1, 2)는 표면 코팅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요소.
  27. 제 24항에 따른 벽 요소로서,
    서로 압착되는 벽 요소에 배치된 수 개의 매우 근접한 고정 요소가, 그룹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동시에 하부구조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에 의해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요소.
  28. 하부구조에 부착되는 벽 요소로 이루어진 벽으로서,
    제 24항에 기재된 벽 요소를 포함하는, 벽.
KR1020027018088A 2000-07-06 2001-07-05 적층 벽 요소용 고정 장치, 적층 창유리로 구성된 벽 요소 및 상기 벽 요소로 구성된 벽 KR100705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32383 2000-07-06
DE10032383.9 2000-07-06
DE10054816.4 2000-11-04
DE10054816A DE10054816B4 (de) 2000-07-06 2000-11-04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 Wandelement in Verbundbauweise und Wandelement
PCT/FR2001/002166 WO2002002899A1 (fr) 2000-07-06 2001-07-05 Dispositif de fixation pour un element de paroi feuille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186A KR20030021186A (ko) 2003-03-12
KR100705419B1 true KR100705419B1 (ko) 2007-04-10

Family

ID=2600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8088A KR100705419B1 (ko) 2000-07-06 2001-07-05 적층 벽 요소용 고정 장치, 적층 창유리로 구성된 벽 요소 및 상기 벽 요소로 구성된 벽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1297237B1 (ko)
JP (1) JP5043274B2 (ko)
KR (1) KR100705419B1 (ko)
CN (1) CN1265072C (ko)
AU (1) AU2002216767A1 (ko)
CZ (1) CZ305423B6 (ko)
DE (1) DE10054816B4 (ko)
DK (1) DK1297237T3 (ko)
HU (1) HU227768B1 (ko)
PL (1) PL206053B1 (ko)
PT (1) PT1297237E (ko)
SK (1) SK288092B6 (ko)
WO (1) WO2002002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24303D1 (de) * 2002-02-13 2008-02-07 System Spa Vorrichtung zum Verankern von Paneelen aus überlagerten keramischen Fliesen an einer Gebäudewand
ITMO20030065A1 (it) * 2003-03-13 2004-09-14 System Spa Dispositivo per l'ancoraggio di lastre ceramiche.
DE10328378B4 (de) * 2003-06-24 2005-05-19 Siemen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ormschlüssigen Verbindung
DE10336359B4 (de) * 2003-08-08 2007-01-04 Saint-Gobain Glass Deutschland Gmbh Plattenförmiges Verbundelement mit einer Lagesicherung für eine Klebeverbindung
DE10340720A1 (de) * 2003-09-04 2005-04-07 Fischerwerke Artur Fischer Gmbh & Co. Kg Befestigungsein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Verankerung in insbesondere aus Glas bestehenden Platten
DE102004003960B4 (de) * 2004-01-27 2005-11-03 Eckelt Glas Gmbh Verbindungsanordnung für Verbundscheiben
FR2886322B1 (fr) * 2005-05-27 2008-11-28 Saint Gobain Dispositif de fixation pour substrats, en particulier des substrats verriers
EP1908913A1 (fr) * 2006-10-05 2008-04-09 AGC Flat Glass Europe SA Fixation de vitrage
DE102006056501B4 (de) * 2006-11-30 2012-05-03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bundglasscheibe mit einer in ein Durchgangsloch eingesetzten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eine Antenne
ITPD20070418A1 (it) * 2007-12-19 2009-06-20 Fischer Italia S R L Uniperson Pannello in vetro multistrato migliorato, particolarmente del tipo vetro strutturale di sicurezza, e su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US8141829B2 (en) * 2009-06-12 2012-03-27 Physical Systems, Inc. Low profile adhesive mounted fixture button
SE535749C2 (sv) * 2011-05-09 2012-12-04 Akoustos Ab Infästande arrangemang med två delpartier för sammanhållning av två konstruktioner samt verktyg för arrangemanget
WO2014154207A1 (de) * 2013-03-27 2014-10-02 Wessendorf Systembeschichtungen GmbH Bauanordnung und verfahren zum festlegen eines gerüsts an einer gebäudewand
CH708611A1 (de) 2013-09-27 2015-03-31 Glas Trösch Holding AG Glaslaminat mit wenigstens einem Formteil aus Metall.
CN105220885A (zh) * 2015-09-11 2016-01-06 苏州水木清华设计营造有限公司 在已终饰的龙骨石膏板隔墙上锚固物件的微孔施工方法
CN105604193B (zh) * 2016-01-11 2017-11-03 北京城建设计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无弹性损失的弹性片材与硬质材料点式复合连接方法
US10562274B1 (en) 2016-02-22 2020-02-18 Apple Inc. Glass fastening and sealing systems
CN107676366A (zh) * 2016-08-02 2018-02-09 上海圣享科技股份有限公司 防盗螺丝
CN106333611A (zh) * 2016-11-03 2017-01-18 中山市和美电器燃具有限公司 一种烤箱挂架可拆卸的固定座
US10260414B2 (en) * 2016-11-29 2019-04-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am plug for engine cover fastener pocket
CN107237405B (zh) * 2017-08-07 2023-08-11 山东东恒重工有限公司 钢架结构连接组件及其施工方法
CN107401246A (zh) * 2017-09-12 2017-11-28 长春工程学院 一种装配式内墙隔板
CN107605911A (zh) * 2017-09-29 2018-01-19 湖州知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低刚度减震装置的螺栓机构
AT17028U1 (de) * 2020-05-07 2021-03-15 Volderauer Herbert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verbundsicherheitsglasscheib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763A (en) * 1886-09-07 Officec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01921U1 (de) * 1982-06-16 Kremo Werke Hermanns Gmbh & Co Kg, 4150 Krefeld Injektionsanker
GB340089A (en) * 1929-11-06 1930-12-24 Henry Ernest Hubbar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ddressing and like printing machines
DE933328C (de) * 1953-10-13 1956-05-03 Wilhelm Weghuber Verfahren zum Verbinden von Gesteinsschichten mittels Gesteinsanker im Bergbau und Mittel zur Ausuebung des Verfahrens
JPS4896357U (ko) * 1972-02-19 1973-11-15
DE2746482A1 (de) * 1977-10-15 1979-04-26 Fischer Artur Dr H C Verankerung eines befestigungselementes in einem bohrloch eines mauerwerks
DE8701693U1 (ko) * 1987-02-05 1987-04-02 Flachglas Ag, 8510 Fuerth, De
DE3737081A1 (de) * 1987-10-30 1989-05-11 Koller Metallbau Ag Fassadenkonstruktion fuer hochbauten
FR2630766B1 (fr) * 1988-04-28 1992-07-24 Saint Gobain Vitrage Element de vitrage pour facade rideau
EP0367908A1 (de) * 1988-10-28 1990-05-16 Josef Gartner & Co. Rahmenlose Verglasung
JPH0368531U (ko) * 1989-11-10 1991-07-05
JP2623040B2 (ja) * 1991-10-09 1997-06-25 株式会社フジタ 防火枠材
DE4311442C1 (de) * 1993-04-07 1994-07-07 Ver Glaswerke Gmbh Verfahren zur Schraubbefestigung eines Befestigungs- oder Halteelements an einer Verbundglasscheibe und Anwendung des Verfahrens
DE4342097A1 (de) * 1993-12-10 1995-06-14 Danz Robert Halterung für die biegemomentfreie Lagerung von Glasplatten
DE4406953A1 (de) * 1994-03-03 1995-09-07 Fischer Artur Werke Gmbh Durch Einschlagen verankerbares Befestigungselement
EP0682164A1 (de) * 1994-05-11 1995-11-15 Schmidlin AG Ganzglasfassade
JP3669026B2 (ja) * 1995-12-21 2005-07-06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の取付け構造体
JPH09183626A (ja) * 1995-12-28 1997-07-15 Central Glass Co Ltd 薄板強化ガラス
DK0799949T3 (da) * 1996-04-04 2002-02-04 Blanke Bohne J Prof Dr Naturstenelement
JPH1046135A (ja) * 1996-08-07 1998-02-17 Toagosei Co Ltd 紫外線遮蔽剤
JPH10184634A (ja) * 1996-12-26 1998-07-14 Kokusan Denki Co Ltd ボルト
DE19746822A1 (de) * 1997-10-23 1999-04-29 Upat Max Langensiepen Kg Befestigungselement zur Befestigung von Eisenbahnschienen auf einer festen Fahrbahn
DE29719720U1 (de) * 1997-11-06 1997-12-18 Arnold Gmbh Halteeinrichtung eines flächigen Verbundelements, insbesondere einer Treppenstufe
DE19751124C1 (de) * 1997-11-19 1999-04-15 Wendker & Selders Gmbh & Co Na Stein- und/oder Glas-Verbundelement mit Hinterschnittdübel
JP3103077B2 (ja) * 1999-01-08 2000-10-23 初雄 藤田 接合具及びそれを用いた柱、梁、桁等の接合装置並びに柱、梁、桁等の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763A (en) * 1886-09-07 Office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97237B1 (fr) 2013-09-04
PL359505A1 (en) 2004-08-23
JP5043274B2 (ja) 2012-10-10
HUP0301421A2 (en) 2003-09-29
AU2002216767A1 (en) 2002-01-14
SK192003A3 (en) 2003-09-11
PT1297237E (pt) 2013-12-11
CN1265072C (zh) 2006-07-19
DE10054816B4 (de) 2005-09-22
DE10054816A1 (de) 2002-01-31
WO2002002899A1 (fr) 2002-01-10
SK288092B6 (sk) 2013-06-03
JP2004502108A (ja) 2004-01-22
DK1297237T3 (da) 2013-12-02
HU227768B1 (hu) 2012-02-28
KR20030021186A (ko) 2003-03-12
EP1297237A1 (fr) 2003-04-02
CN1452684A (zh) 2003-10-29
PL206053B1 (pl) 2010-06-30
CZ200330A3 (cs) 2003-06-18
CZ305423B6 (cs)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5419B1 (ko) 적층 벽 요소용 고정 장치, 적층 창유리로 구성된 벽 요소 및 상기 벽 요소로 구성된 벽
US5398452A (en) Screwed fixing of a retaining or fixing member to a laminated glazing
KR101166100B1 (ko) 적층된 유리창을 조립하는 디바이스
US4056878A (en) Method of fixing a sandwich panel to a support
JPS61165462A (ja) めくら側修理パツチ・キツト
CA2144469A1 (en) Drive shaft tube and end fitting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150093539A1 (en) Glass laminate comprising at least one shaped part made of metal
DE202007016573U1 (de) Verbundelement mit einem Befestigungselement
EP1627125B1 (en) Internal glass holder
RU2752310C1 (ru) Удержива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поднимающегося и опускающегося бокового стекл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Z306168B6 (cs) Přípojný prvek pro vložení do vrtání, deska s přípojným prvkem, sestava obsahující dvě desky a způsoby upevňování přípojného prvku
WO1996022443A1 (en) Laminate assemblies
CN1833088B (zh) 用于粘合连接的具有位置固定装置的叠层板状件
EP0707153B1 (en) Glass panel attachment
KR100846825B1 (ko) 구멍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 조립체 요소를 갖는 판, 적어도 2개의 판 사이의 조립체, 적층 창유리, 적층 창유리를 위한 조립체 요소, 적층 창유리로 구성된 구조물, 및 조립체 요소를 고정하는 방법
KR200402351Y1 (ko) 건물내장재용 합성수지재 패널스페이서
JPH0428221B2 (ko)
JPH0319404B2 (ko)
KR20040054168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고인장 박판 고정구조 및 이를이용한 보강방법
JPH04270642A (ja) 埋込部材を有するサンドイッチパネル
WO2003076135A1 (en) Connecting device for a grinding wheel
FR2401298A2 (fr) Perfectionnement au montage des vantaux vit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