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2410A - 보어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 - Google Patents

보어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410A
KR20030062410A KR10-2003-7006361A KR20037006361A KR20030062410A KR 20030062410 A KR20030062410 A KR 20030062410A KR 20037006361 A KR20037006361 A KR 20037006361A KR 20030062410 A KR20030062410 A KR 20030062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e
assembly
assembly element
plate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6825B1 (ko
Inventor
크리스챤 엑켈트
롤란트 레오폴트제더
울리히 헤르멘스
마티아스 마이스너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claimed from PCT/FR2001/003510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38902A2/fr
Publication of KR2003006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36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volving holes or indentations in the p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32B17/1004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consisting of a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가 편심 보어가 있는 다른 하나에 끼워 맞춰지는 2개의 보상 요소(6,7)가 있는, 보어(4)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5)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립체 요소는 보어 구멍(4)의 하단면에 하중을 전달하기 위해 그리고 쓰루 보어(4) 내부에 고정 요소(3)의 길이 방향 축을 위치시키기 위해 설계된다. 상기 요소는 슬롯(11)을 형성하기 위하여 플레이트(1)의 외부 표면에 있는 보어(4)의 적어도 출구보다 적은 방사상 크기를 갖도록 제조되고, 상기 슬롯(11)을 채우는 접합제(15)가 있는 상기 보어(4)에 고정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개별 유리 패널(111,112,113)을 포함하고, 막대-모양의 고정 요소(160)를 고정시키거나 수용하기 위한 모든 개별 유리 패널(111,112,113)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116,117,118)을 갖는 적층 창유리(101)를 위한 상기 조립체 요소는 외부 유리 패널(112,113)에 고정되도록 설계되는 쓰루 보어(125,126)가 제공되는 직접 장착 요소(120,121;120',121')와, 상기 2개의 쓰루 보어(125,126)의 구멍 중심으로부터의 편향 정렬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막대 모양의 고정 요소(160)는 정렬된 쓰루 보어(125,126)에 적어도 직접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어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ASSEMBLY ELEMENT TO BE INSERTED IN A BORE}
이중 글레이징을 위한 알려진 고정 시스템(EP-B1 0 506 522)은, 2개의 창유리를 조립체의 앞에 정렬되어 위치된 미리 제작된 보어의 중심 편차(central deviation)를, 하나의 링을 다른 하나의 링 내부로 핏팅하는 2개의 편심링(eccentric rings)의 도움으로 보상할 수 있게 한다. 2개의 창유리의 하중을 가능한 한 균일하게 막대 모양의 고정 요소에 전달하는 것이 이 방법으로 달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외부 창유리에 있는 보어의 위치는 참조 기준으로 받아들여지는 한편, 편심링은 외부 창유리에 제조된 보어의 중심에 대해 이 구멍의 가능한 횡방향 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내부 창유리의 구멍에 보상 단편(compensating piece)으로서 삽입된다. 내부 편심링의 보어는 외부 창유리에 제조된 보어와 같은 축을 갖는 결과가 된다. 상기 고정 요소가 한번 삽입되기만 하면, 2개의 편심링은 서로에 대하여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2개의 편심링은 서로에 대하여 또는 창유리에 개별적으로 고정되지 않는다.
플레이트를 위한 알려진 고정 시스템(DE-A1-198 39 419)은 골격(framework)의 수용 오리피스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편심 보어가 있는 보상 단편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 오리피스에서 보상 단편의 서로 다른 각 위치로 인하여, 수용 오리피스의 위치와 고정되는 플레이트에 있는 보어의 위치 사이에서의 크기 편차(dimensional deviation)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DE-A1 41 30 823 문서는 복수의 부품 내에 고정 요소를 갖춘 창유리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 창유리는 나사를 조임으로써 2개의 창유리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는 탄성 부시(elastic bush)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시는 금속 코어(core)를 둘러싸는데, 나사 볼트 등으로 인하여, 상기 금속 코어는 창틀(frame)을 포함하는 골격과 조립될 수 있다. 나사가 조여짐으로 인하여, 탄성 부시는 방사상으로 확장하고 그럼으로써 구멍의 내부면에 가해지는 축방향 압력만으로 창유리와 코어가 변형될 수 없고 해제될 수 없게 조립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 고정 요소는 단일체(monolithic) 창유리 또는 적층 창유리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런 타입의 고정 또는 조립 수단은 유리 플레이트와 이를 포함하는 골격을 함께 조립하기 위하여 대형 외장 유리에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때때로, 동일 평면에 놓여져 있는 유리 플레이트를 그들의 에지에서 함께 조립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하나의 응용은 유리 외벽을 위한 강화 요소에 관한 것인데, 이들 강화 요소는 길고 가는 빔(beam){유리 스파인(spine) 또는 유리 횡버팀대(crossbracings)로 알려짐}의 형태로 제조되고 정렬된 복수의 적층 유리 플레이트에서 상당한 길이를 따라 견고하게 접합된다. 에지 또는 조립체 영역에서, 외부에 위치된 러그(lug) 또는 클램핑 플레이트가 가장 흔히 사용되고 때때로 (적층)유리 플레이트로 된 복수의 창유리 사이에 삽입되는 핏팅이 가장 흔히 사용된다. 이것들은 보통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막대 모양의 유지 요소(holding element)에 의해 고정된다.
이 응용에서도, 유리 플레이트는 볼트/나사가 통과하기에 적절한 조립체 요소로 핏팅되어야 한다. 상기 볼트/나사는 한편으로, 러그 또는 핏팅의 확실한 유지를 보장하여야 하고, 적절하다면 유리와 금속 사이의 직접적 접촉을 방지해야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필요한 보어 또는 보어의 중심축을 플레이트의 에지에 대한 플레이트의 면에 가능한 한 정확하게 위치시켜야 한다. 핏팅 자체에서의 크기 편차는 대체로 무시될 수 있다.
방법들은 경험으로부터 알려졌는데, 여기서 조립체 요소의 개별적인 단편은 현장에서 어렵게 조립되어야 하고 플레이트의 보어에 위치되어야 한다. 다음에, 조립체 요소의 개별 단편은 액체 또는 페이스트 화합물의 도움으로 구멍의 내부면에 접합된다.
그러므로, 특히, 적층 유리로 제조된 플레이트를 위한 구멍의 내부벽에 작용하고, 가능한 한 작은 위치 공차를 가지면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서 플레이트가 현장에서 간단하고도 빠르게 서로 접합될 수 있는 조립체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크게 존재한다. 조립체 요소로 핏팅되는 플레이트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함으로써, 재현 가능한 조건에서 조립체의 품질과 안전성을 가능한 한 높게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시에, 공업적인 제조와 이로 인하여 경제적인 제조를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멍의 내부벽에 작용하는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유리 플레이트의 보어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를 (특히, 클램핑에 의한)힘의 전달로 상기 보어의 측부 표면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쓰루-보어가 적층 유리에 제조되자마자 다수의 유리 플레이트에 보어를 정확하게 정렬시키는 것은 대체로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반대로, 보어의 직경에서, 조립된 플레이트의 면의 보어 위치에서, 그리고, 비록 적지만, 보어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에서 발생하는 크기 편차 또는 공차를 보상하는 것이 항상 필요하다. 이로 인하여 플레이트의 보어에 조립체 요소를 고정하는 동안에 효율적이고도 기술적으로 훌륭한 제조 공정이 필요하다.
특히, 적층 창유리를 특히, 핏팅 또는 적재 구조물(carrying structure)과 함께 조립하는 도중에(같은 배열로 정렬된 적층 플레이트를 에지 대 에지로 조립하는 것도 가끔은 필요하다), 단일체 플레이트와는 다르게, 통상의 나사식 조립체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데, 여기서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만들어지고 플레이트의 외부면에 맞물려 있는 2개의 클램핑 단편이 구멍을 통과하는 나사식 조립체에 의해 서로 클램핑된다.
적층 창유리에서, 특히 클램핑 힘의 작용 하에서 유기 연결층이 흐를 수 있다. 적층 창유리가 변형되고, 그 두께가 감소되며 나사식 조립체가 해제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문서 DE 198 12 814 A1은 적재 구조물 또는 기타 유리 플레이트와 함께 클램핑함으로써 조립하기 위한 유리-빔(glass-beam) 패스닝(fastening)이 제공되는 적층 창유리를 개시하고 있다. 유리-빔 패스닝은 적층 창유리의 개별 창유리에 제조된 구멍 및 상기 구멍에 도입되는 성형 수지(moulding resin) 및 상기 수지를 덮는 슬리브(sleeve)로 구성된다. 서로 나사식으로 조여지는 환형 와셔(annular washers)들이 유리의 외부로부터 적용되고, 상기 환형 와셔와 유리 표면 사이에는 접합 와셔가 배치된다. DE 198 12 814 A1의 가르침에 따라서, 하나가 다른 하나에 나사식으로 조여지는 한 쌍의 부시는 슬리브의 내부에서 적용되고 환형 와셔는 부시의 각 단부와 함께 클램핑함으로써 조립된다. 액체 성형 수지가 슬리브와 구멍 사이의 빈 공간에 부어지기 때문에, 유리 플레이트가 수평 위치에 있을 때만 각 단편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이러한 유리-빔 패스닝을 제조하는 동안에, 빈 공간이 완벽하게 채워지도록 주위를 기울여야 하는데, 이는 성형 수지가 창유리에 힘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마찬가지로 연결층에 일정한 정도로 클램핑 힘이 가해진다.
DE-1 99 01 513은 창틀없이 장착되는 적층 유리로 끼워지는 요소를 위한 핏팅이 개시되는데, 상기 핏팅은 클램핑된 조립체에 의해 2개의 개별적인 적층 시트 중 단지 하나에만 고정된다. 이것은 적층 접착제 층이 클램핑 힘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을 피한다.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어 유리 플레이트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및 내부 보상 요소(compensating element)를 포함하는 타입의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보어로서 제공되는 보어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외부 보상 요소는 보어의 구멍 내부 표면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 제공되고, 내부 보상 요소는 외부 보상 요소 내에서 편심적으로(eccentrically) 배열된 보어에 근접 핏팅(close fit)되어 삽입될 수 있고 쓰루-보어(through-bore) 내에서 고정 요소의 길이 방향 축을 위치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도 1은 2개의 플레이트에 대한 에지-대-에지(edge-to-edge) 조립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1에서 가져온 상세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조립체 요소의 전방면의 장착 상태 도면.
도 4는 조립체 요소의 내부 보상 요소에 대한 도면으로, 접합제를 위한 덕트(duct)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4를 90°로 회전시킨 것으로, 동일한 보상 요소에 대한 다른 도면.
도 6은 나사 볼트와 상호 작용하는 적층 창유리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접합된 빈 공간이 있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조립체 요소를 개발하는 것이고, 또, 플레이트의 보어에 조립체 요소를 삽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조립체 요소에 대해서, 본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서 달성된다. 청구항 12 내지 14항의 특징은 본 발명 및 이러한 플레이트 조립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 요소를 갖춘 플레이트와 관련된다. 청구항 15 내지 17은 플레이트에 조립체 요소를 삽입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청구항 18은 3개의 개별 시트가 있는 적층 창유리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다른 조립체 요소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청구항 24는 청구항 18에 따른 조립체 요소로 조립되거나 청구항 18에 따른 조립체 요소가 갖추어진 적층 창유리에 관한 것이다.
종속 청구항의 특징 또는 독립 청구항을 인용하는 항의 특징은 이러한 바람직한 개선을 제안하는 것이다.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 조립체 요소가 제 1 실시예에 제안되었는데, 이것은 플레이트의 각 보어의 치수(직경, 길이 또는 깊이) 또는 플레이트의 두께에 정확하게 맞춰질 수 있고 보다 작은 반지름을 갖는 보어에 삽입될 수 있는데, 상기 조립체 요소는 첫째로 하나에 다른 하나를 핏팅하는 2개의 보상 요소를 포함하며, 이들 보상 요소의 적어도 하나는 중심을 벗어나서 배치되거나 편향되어 배치된 보어를 포함한다.
대체로 말해서, 상기 조립체 요소는 플레이트의 보어 내에서 막대 모양의 패스닝 요소, 특히 유지 볼트의 길이 방향 축을 미리 결정된 위치로 위치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길이 방향 축이 정확하게 위치된 후, 각각의 조립-요소/플레이트 집합체(complex)는 보어에 부어지는 접합제에 의해 플레이트의 해당 보어에서 제거 불가능한 완벽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플레이트의 보어가 꼭 쓰루-보어일 필요는 없다. 반대로, 특정 응용에서, 여기서 설명되는 타입의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가 블라인드 보어(blind bore)에 끼워 맞춰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서, 관련된 막대-모양의 패스닝 요소는 물론 플레이트의 하나의 주요 면으로부터만 나올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두꺼운 플레이트에 있어서, 서로 정확히 마주보게 배치된 2개의 블라인드 구멍이 여기서 설명된 방식으로 끼워 맞춰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응용에서, 내부 보상 요소를 지지하는 보어는 유사하게 블라인드 보어의 형태로 생산될 수 있다.
바람직한 변형에서, 2개의 보상 요소에는 더욱이, 2개의 보상 요소 사이의 나눠진 평면에 적어도 수직이고, 페이스트 상이고, 흐르고 경화될 수 있는 접합제가 부어지거나, 압축될 수 있는 채널(channel)이 제공되는데, 이는 접합제가 경화된 후에 2개의 보상 요소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그리하여 접합제는 2개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데, 한편으로, 접합제는 구멍의 내부면에 대해서 복합 조립체 요소 전부를 차단하고, 다른 한편으로, 접합제는 조립체 요소의 2개의 부분을 서로 내부적으로 고정한다.
내부 보상 요소의 외부 직경은 외부 보상 요소의 중심에서 벗어난 보어의 직경에 가능한 한 정확하게 일치한다. 이것은 대체로 접합제가 덕트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데, 상기 덕트는 2개의 보상 요소 사이의 나눠진 평면을 따르거나 적어도 접촉해야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의 보상 요소는 부시 형태이고, 2개의 보상 요소에는 편심 보어가 제공된다. 볼트 또는 나사는 방사상으로 약간 움직이면서, 지지 보어로 여겨지는 내부 보상 요소의 보어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시 형태인 외부 보상 요소에는 편심 보어가 제공되는 한편, 이 보어에 끼워 맞춰지는 내부 보상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 바람직하게는 양 측면으로 돌출하는 저널(journal)과 함께 단단히 조립되며, 상기 저널의 길이 방향 축은 내부 보상 요소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편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저널 자체는 막대-모양의 고정 요소를 형성한다. 2개 변형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일측면에서 돌출하는 저널과 타측면에 제공되는 지지 보어를 가지는데, 이 경우에서, 상기 보어는 블라인드 보어(blind bore)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크기 변형의 넓은 범위는 2개의 형태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플레이트에 있는 보어의 위치 공차와 적절한 곳에서의 플레이트 자체의 크기 편차는 서로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한 2개의 보상 요소가 적절한 고정물 또는 형판(template)의 도움으로 플레이트의 보어에 삽입된다는 사실과, 지지 보어의 중심축 또는 내부 보상 요소의 돌출 저널의 중심축이 접합제가 도입되기 전에, 대체로 플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기준점에서의 거리고 한정되는 일정 위치에 있게 되는 방법으로 일시적으로 고정된다는 사실로 인하여 넓은 한계 내에서 보상된다.
지지 보어가 내부 보상 요소에 제공된다면, 그의 중심축은 고정물의 일부를 형성하고, 지지 보어를 거의 채우고 접합제가 지지 보어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저널에 의해 바람직하게 위치된다. 이러한 고정물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조립체 요소를 플레이트에 동시에 삽입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 후 고정물은 해당 숫자의 보조 저널을 포함한다.
내부 보상 요소에 돌출 저널이 제공된다면, 장착 고정물은 돌출 저널의 직경과 일치하고, 회전하는 것과 동시에 돌출 저널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recess)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가 조립을 위한 단편의 수를 줄일 수는 있지만, 저널이 상기 플레이트의 주 표면에서 나오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공장에서 현장으로 전달하는 플레이트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러므로, 2개의 보상 요소는 평면 단부 또는 전방면이 있는 원통형 모양인데, 상기 보상 요소 안으로 벗어난 각각의 쓰루-보어가 나온다. 바람직하게, 2개의 보상 요소는 또한 동일한 길이이고, 2개의 보상 요소가 플레이트의 쓰루-보어에 삽입된 후에 플레이트의 면 이상으로 나오지 않는 방법으로 각 플레이트의 두께에 끼워 맞춰진다. 가능성에 따라서, 보상 요소의 전방면은 플레이트의 표면과 같은 높이가 되어야 한다.
보상 요소는 금속 및/또는 적절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곳에서, (유리) 플레이트와 접촉하지 않는 내부 보상 요소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고 외부 보상 요소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저널을 위한 금속 물질과 실제 보상 요소를 위한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된 물체를 갖는 것을 생각할 수있다 하더라도 특히 내부 보상 요소가 막대 모양의 고정 요소를 갖는 단일물을 형성하는 경우일 것이다.
바람직하게, 덕트는 외부 보상 요소의 측면에서 나온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2개의 방사상 보어는 외부 보상 요소의 전방면 근방의 외부 보상 요소의 측면에 만들어진다. 유사하게 이러한 보어는 덕트를 형성하는데, 이는 외부 보상 요소의 측면을 외부 보상 요소의 편심 보어에 연결시킨다. 외부 보상 요소는 더욱이, 적어도 플레이트의 보어의 출구 영역보다 작은 방사상 크기로 제조된다. 결과적으로, 외부 보상 요소의 측면과 구멍의 내부면 사이에는, 접합제로 채워질 수 있고 접합제가 외부에서 해당 방사상 보어로 침투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내부 보상 요소의 해당 덕트로 침투할 수 있게 하는 환형 슬롯(annular slot)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덕트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내부 보상 요소의 측면에 만들어지며, 상기 덕트는 외부 보상 요소에 있는 2개의 방사상 보어를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시킨다.
덕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의 환형 그루브 모두가 외부 보상 요소에 의해 덮이고 상기 방사상 보어와 소통하는 방식으로, 2개의 환형 그루브는 내부 보상 요소의 평면 전방면 근처의 내부 보상 요소 측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서로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2개의 보상 요소의 임의의 각도 위치에서 방사상 보어와 덕트 사이에 유체 소통이 보장된다. 더욱이, 2개의 환형 그루브를 연결하고 바람직하게 보상 요소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뻗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그루브가 만들어졌다.
하나의 변형에서, 내부 보상 요소의 전체 측면은 2개의 환형 그루브 사이 또는 방사상 보어 사이의 영역 전반에 걸쳐 어느 정도 톱니 모양을 가져서, 이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적어도 2개인, 외부 보상 요소의 방사상 보어를 연결시키는 평평한 환형 덕트가 될 수 있다.
이들 그루브의 횡단면 모양은 원칙적으로 임의의 모양일 수 있으나, 접합제가 상기 그루브에 흐를 수 있거나 낮은 흐름 저항으로 그루브에 압축될 수 있도록 선택되고 크기가 정해져야 한다. 제조 기술의 관점에서, 횡단면이 반원인 그루브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 형태는 전체적으로 2개의 보상 요소 서로의 각도 위치와는 상관없이, 상기 접합제가 보상 요소와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충진 보어 및 환형 그루브를 통해서 확실히 지나가서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그루브로 가고, 거기에서, 제 2 환형 그루브와 제 2 보어로 가며, 거기에서 마지막으로 조립체 요소와 구멍의 내부면 사이의 다른 측에 배치된 환형 슬롯으로 흘러간다는 장점을 갖는다. 접합제는 일측에서만 도입될 수도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측에 있는 이용 가능한 빈 공간을 전체적으로 채우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장점은 2개의 보상 요소의 전방면이 보어의 배출 포트(exit port) 등이 없이 완벽히 매끄러울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접합제의 모든 흔적이 완벽히 없을 수 있거나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덕트 형태의 하나의 변형에서, 덕트는 조립체 요소의 전방면에서 나올 수도 있다. 적절한 곳에서, 이들 출구 포트는 나눠진 평면 자체에 위치될 수도있다. 그러나, 외부 보상 요소의 측면과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가 외부 보상 요소의 전방면 근방에서 언제나 제공되어서 쓰루-보어 구멍의 내부면을 향하는 환형 슬롯이 유사하게 덕트를 통하여 도입되는 접합제로 채워져야만 한다.
또 다른 변형에 따라서, 덕트 네트워크는 외부 보상 요소의 보어의 실질적으로 내부면에만 제공될 수 있는데, 그러나, 내부 보상 요소의 측면에는 적어도 내부 보상 요소의 정면에서 떨어진 영역에 어느 정도 거칠거칠한 부분, 치형 또는 길쭉한 홈 등이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에서, 2개의 요소 사이의 나눠진 평면은 덕트 네트워크에 의해 사실상 접촉되기만 한다. 그 후 접합제가 덕트 네트워크를 통해 압축되면, 접합제는 또한 상기 거칠거칠한 부분, 상기 치형 등을 채운다. 접합제가 경화된 후에, 서로 맞춰지는 2개의 보상 요소의 형태로 결합이 또한 일어난다. 물론 내부 보상 요소의 측면에만 덕트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외부 보상 요소 구멍의 내부면에만 거칠거칠한 부분 등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배치의 반대도 실행될 수 있다.
특히, 블라인드 보어에서 이러한 조립체 요소를 사용하기 위해 덕트의 설계가 제안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접합제의 들어감과 나감은 블라인드 보어의 출구 포트 영역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출구 포트에서 환형 슬롯이 채워진 후에 접합제는 나눠진 평면을 따라 블라인드 보어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1 길이 방향 덕트를 통해 바닥까지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적으로 위치된 조립체 요소의 단부와 블라인드 보어의 바닥부 사이에 존재하는 빈 공간은, 상기 길이 방향 덕트가 이 영역으로 나온다면, 접합제로 채워질 수 있다. 제 2 길이 방향덕트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접합제가 공기 배출 포트 또는 출구 포트를 향하여 되 흐를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 포트 또는 출구 포트는 조립체 요소의 전방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제가 내부 보상 요소의 지지 보어에 침투하는 것은 상기 보어를 채우는 장착 고정물의 보조 저널에 의해 또는 블라인드 보어의 형태로 만들어지는 지지 보어 자체에 의해 다시 방지된다. 만약, 덕트의 이러한 형태로 인하여, 플레이트에 있는 블라인드 보어의 바닥부에 있는 속이 빈 공간을 채울 필요가 없다면, 접합제는 여전히 조립체 요소 내에서 환형 그루브 등에 의해 2개의 길이 방향 덕트 사이에서 편향될 수 있다.
보다 간단한 변형에서도, 2개의 보상 요소의 결합은 또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방사상 오리피스 또는 보어 사이에서 뻗는 간단한 환형 덕트를 접합제로 채움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데, 회전에 대한 충분한 안전성이 또한 달성된다면, 상기 덕트는 2개의 보상 요소의 나눠진 평면에 위치된다.
이전에 논의된 덕트의 형태는 물론, 구멍의 내부면과 외부 보상 요소 사이의 모든 환형 슬롯이 쓰루-보어의 단지 하나의 출구 측으로부터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면, 조립체 요소를 쓰루-보어에 삽입할 경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미 언급된 장착 고정물은 또한 플레이트의 면과 정렬하는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보조 저널 또는 저널들 외에 플레이트에 있는 쓰루-보어의 출구 영역 외부를 차단할 수 있는 접합 요소를 포함한다. 접합 요소의 적어도 하나는 충진 오리피스를 포함하여야 하는데, 이 충진 오리피스를 통하여 접합제가 부어지거나 압축될 수있다. 반대 방향에 위치된 접합 요소에는 공기 배출(또는 가스 제거) 오리피스가 제공되어야 하는데, 압력 하에서 도입된 접합제에 의해 빈 공간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오리피스를 통하여 빠져 나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합제가 배출 오리피스를 통하여 나오게 되면, 빈 공간은 완전히 채워진 것이다. 접합제를 위한 입구 및 출구 오리피스가 조립체 요소와 동일한 측면에 존재한다면, 제 2 접합 요소에 있는 공기 배출 오리피스는 물론 생략될 수 있다. 플레이트의 블라인드 보어에 조립체 요소를 삽입하기 위하여, 블라인드 보어의 출구 포트 영역에 있는 단일 접합 요소만 구비하는 것이 물론 필요하고 그 후 이 접합 요소는 구멍의 바닥에서 접합제의 가능한 압력 하에서 조립체 요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적층 창유리를 위한 조립체 요소의 실시예에서, 쓰루-보어가 있는, 서로 독립적으로 고정된 부착된 요소는 적층 창유리의 2개의 외부 창유리에 적용된다. 이들 부착 요소는 예를 들어, 별도의 나사 조립체에 의하여 개별 창유리가 조립되기 전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나사 조립체의 너트는 내부 창유리에 있는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속이 빈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해당 나사는 관통-구멍을 가지므로, 부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부착된 요소는 다른 수단 예를 들어, 접착제 결합 또는 성형(moulding)에 의해 구멍에 고정되거나 플라스틱 변형에 의해 구멍에 박힐 수도 있다.
적층 창유리의 개별 창유리에 관통된 구멍이 각각 개별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적층 창유리를 제조한 후의 구멍 중심에 대한 축방향 편차는 필연적인 것이다. 값비싼 위치 선정 방법 대신에, 부착된 요소의 쓰루-보어를 정렬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들 쓰루-보어에 삽입되는 편심 보어로 와셔 또는 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쓰루-보어의 직경이,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부착된 단편 중 하나에만 구멍 중심에 대한 편차를 보상하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 쓰루-보어 중 하나는 예를 들어, "정상 위치"로 간주될 수 있다. 다른 부착된 요소의 쓰루-보어는 보어의 중심을 보상하기 위하여 쓰루-보어에 삽입될 수 있는 편심링에 비해 충분히 커야 한다. 편심링의 보어는 가장 작은 쓰루-보어와 동일한 직경을 가져야만 한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쓰루-보어의 구멍 중심에 대한 편차는 각 쓰루-보어에 끼워 맞춰지는 쌍으로 된 편심링의 도움으로 보상된다. 편심링은 원형 외부 직경 및 중심에서 이탈한 또는 중심에서 벗어난 보어를 갖는데, 상기 쌍으로 된 가장 작은 편심링의 외부 직경은 가장 큰 편심링에서 만들어진 중심에서 벗어난 보어의 직경과 일치한다. 작은 편심링의 중심에서 벗어난 보어는 상기 쌍으로 된 편심링의 회전에 의해 간단하게 서로 정확히 정렬될 수 있다. 그 후 적층 창유리 구멍에서의 전체적인 배열은 예를 들어, 나사 볼트와 같은, 막대-모양의 고정 요소의 삽입을 위해 지지 필로우(bearing pillow)를 형성한다.
막대-모양의 고정 요소는 적층 창유리의 외부 표면 사이에서 뻗는 장착 부시의 사용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놓여질 수 있다. 바람직한 원통형 장착 부시의 길이는 부시가 지지 필로우의 제 위치에 놓여진 후 창유리 면 위로 돌출되지 않는 방식으로 각각의 적층 창유리의 두께에 맞춰진다. 가능성에 따라서, 장착 부시의 말단면은 창유리 면과 같은 높이가 되어야 한다.
별개의 장착 부시를 제공하려고 하지 않는다면, 막대-모양의 고정 요소 자체에는 또한 환형 쇼울더(annular shoulder)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환형 쇼울더의 공간이 다시 적층 창유리의 두께와 일치되어서 상기 환형 쇼울더가 고정 요소의 축방향에서 일어나는 (클램핑)힘을 전달할 수 있어야만 한다.
고정용 핏팅이 외부로부터 고정 요소의 지지 필로우 영역의 적층 창유리 면으로 클램핑된다 하더라도, 적층 창유리 자체에는 아무런 압력 힘도 가해지지 않는다. 매개 연결층이 변형될 수 없다. 하중의 방사상 전달은 단지 외부 와셔를 통해서만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창유리의 특히 바람직한 변형은 외부 창유리에 챔퍼(chamfer)가 있는 구멍을 구비한다. 구멍에 도입되는 나사는 해당 카운터-챔퍼를 포함한다. 챔퍼와 카운터-챔퍼의 크기는 나사의 헤드가 적층 창유리의 표면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선택된다. 이로 인하여, 한편으로는 나사의 헤드가 실질적으로 외부 창유리의 외부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어 적층 창유리의 외관이 미적으로 보기 좋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지점이 창유리의 중앙 라인 근방에 있게되어 외부 창유리를 통한 하중의 전달이 특히 낮은 휨 모멘트(moment of flexion)로 일어나게 된다.
나사 헤드와 외부 창유리의 같은 높이 배열에 대한 다른 가능성은 외부 창유리에서 만들어지는 쓰루-구멍이 외부에 위치된 면에서, 보다 큰 직경의 깊은 원통형 밀링 구멍(deep cylindrical milled hole)을 구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깊은 구멍의 직경과 깊이는 나사 헤드의 크기와 대체로 일치하여서, 상기 나사 헤드가 상기 깊은 구멍의 리세스(recess)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적층 창유리의 다른 실시예에서, 나사로 조여진 조립체, 편심링 및 성형 부시가 제자리에 놓여진 후, 적층 창유리 내에 남아있는 빈 공간을 경화 가능한 화합물, 예를 들어, 성형 수지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편으로, 나사로 조여진 조립체가 막혀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적층 창유리가 대기적인 영향, 특히 수분의 침투가 되지 않게 제조된다. 유사하게, 장착 지지 필로우의 기계적인 하중-지지 용량은 증가될 수 있는데, 이는 경화 가능한 화합물이 가해진 힘 및 모멘트를 개별 창유리 구멍의 내부 표면으로 전달시키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서, 장착 지지 쿠션의 이 영역에서 강도도 유사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하중도 가능하다.
경화 가능한 화합물이 장착 부시, 편심 와셔 및/또는 조여진 나사에 있는 덕트를 통하여 외부 창유리의 구멍에 가능한 한 조심스럽게 도입된다. 도입 덕트가 채워지는 빈 공간으로 나오지 않는다면, 도입 덕트 쪽으로 통하기 위한 방사상 구멍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하나 이상의 도입 덕트 이외에, 빈 공간이 경화 가능한 화합물로 빠르고 완전하게 채워지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경우에 공기 배출 덕트가 제공되는 것이 또한 편리하다. 편리하게도, 공기 배출 덕트는 도입 덕트에 접한 적층 창유리의 측부에 위치된 단편에서 발견된다. 2개 요소 성형 수지(two-component moulding resin)가 경화 가능한 화합물로 유용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는데, 이는 경화 시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덕트는 적절한 분리수단 또는 경화된 화합물 자체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글레이징 구조를 위한 적층된 창유리의 개별 창유리는 일반적으로, 강화된 또는 부분적으로 강화된 단일체형 안전 유리로 구성된다. 그러나,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으로 제조된 개별 창유리를 이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들어간다. 상기 개별 창유리는, 특정 경우에서 그럴 수 있는 것처럼, 투명하거나, 반투명이거나 불투명이거나 그 밖에 색깔이 제공되거나 패턴이 제공되거나 전자기 방사를 반사하는 층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폴리비닐부틸알인 열 가소성 중합체가 연결층을 위한 물질로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또는 비닐 에틸렌 아세테이트와 같은 알려진 물질도 이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연결층에는 또한 다른 기능도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필라멘트가 연결층에 포함될 수 있거나 전자기 방사를 반사하는 코팅이 있는 필름이 2개의 연결 필름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재의 기타 상세한 설명과 장점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과 이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도 1은 정렬된 2개의 플레이트(1)에 대한 에지-대-에지 조립을 도시하고 있는데, 2개의 플레이트는 핏팅(2)에 의해 조립된다. 양측이 클램핑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된 핏팅(2)은 플레이트(1)를 통과하는 2개의 (나사)볼트(3)의 도움으로 각각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매개층에 의해서, 넓은 표면에 걸쳐, 이들 플레이트의 주요 면에 적용되어,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 평면(F)을 덮는다. 이로 인하여 핏팅(2)에 의해 에지-대-에지 조립체에 가해진 힘이 잘 전달된다.
여기서, 플레이트(1) 자체는 각각 3개의 개별 창유리{1.1(내부), 1.2 및 1.3(외부)}와 해당 접착제 결합층이 있는 적층 창유리의 형태를 갖는다. 서로 접촉하는 그 측부 부근에서, 개별 창유리 각각은 2개의 쓰루-보어(4)를 갖는데, 이 쓰루-보어 각각에는 조립체 요소(5)가 삽입된다. 쓰루-보어는 볼트(3)를 위한 실제 통로를 형성하는데, 이것은 나중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내부 개별 창유리(1.1)에 있는 구멍이 외부 개별 창유리(1.2,1.3)에있는 인접하는 구멍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다는 것을 보다 명백하게 도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플레이트(1)의 쓰루-보어(4)는 계단식 측면 또는 내부면을 갖는다. 보어(4)의 가장 큰 내부 직경은 플레이트(1)의 2개의 외부면으로 나가는 출구 포트(port) 영역에 위치한다. 크기가 서로 다른 구멍으로 인하여, 개별 창유리에 있는 구멍의 상대 위치와 직경 공차는 간단한 방법으로 보상된다. 그러나, 이로써, 쓰루-보어(4)의 중심축의 위치가 플레이트(1)의 측부에 대해 충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효과는 반대로, 보어(4)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5)에 의해 제공된다. 조립체 요소는 외부 보상 요소(6)와 내부 보상 요소(7)로 구성된다. 둘 모두는 본질적으로 부시의 형태이고 동일 길이를 갖는다. 그 길이는 또한 플레이트(1)의 두께에 가능한 한 정확히 맞춰진다. 보상 요소(6,7)의 매끄러운 전방면은 플레이트(1)의 2개의 주요면과 정렬한다. 플레이트의 두께에서 있을 수 있는 공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조립체 요소의 길이가 수용될 수 있는 가장 작은 플레이트 두께로 조절된다. 공차 한계 내에 있는 보다 두꺼운 플레이트에 대해서, 이것은 조립체 요소의 치수를 다소 작게(underdimensioning) 할 수 있다.
도 2에서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또한, 도 3의 조립체 요소(5)에 대한 정면도에 의해 더욱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보완 요소(6,7) 각각은 그들의 길이축 또는 중심축에 대해 중심 위치에서 떨어져 위치된 보어(8)와 지지 보어(9)를 각각 갖는다. 원통형 내부 보상 요소(7)는 가능한 한 조금 움직이면서 보어(8)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내부 보상 요소의 지지 보어(9)는 실질적으로 아무런 움직임없이 볼트(3)를 수용한다. 조립체 요소(5)는 쓰루-보어(4) 내에서 대체로 먼저 회전할 수 있고, 내부 보상 요소(7)는 외부 보상 요소(6)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지지 보어(9)의 중심축은 2개의 보상 요소(6,7)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안에서 회전됨으로써 이론 평균 위치로부터 벗어나서 아주 넓은 범위 내에서 또는 쓰루-보어(4) 내에서 위치될 수 있는데, 상기 보상 요소(6,7)의 전방면에 있는 표시(10)는 해당 보어의 가장 큰 편심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들 표시는 조립하는 사람을 돕기 위한 표식일 뿐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 외부 보상 요소(6)는 내부 창유리(1.1)에 있는 구멍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그러나, 외부 창유리(1.1,1.3)의 구멍 영역에는 2개의 자유 환형 슬롯(11)이 있다. 이들 환형 슬롯 각각은 외부 보상 요소(6)의 측면을 중심에서 벗어난 보어(8)에 연결하는 방사상 보어(12)와 소통된다. 내부 보상 요소(7)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뻗는 그루브(1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환형 그루브(13)가 방사상 보어(12)의 위치와 정렬되어 내부 보상 요소 내에 제공되었다. 2개 이상의 방사상 보어(12)가 외부 보상 요소(6) 내에 제공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보어(8)에 대해서 서로 반대 방향에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접합제로 환형 그루브(13)를 균일하게 채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도 4는 환형 그루브(13) 및 내부 보상 요소(7)의 측면에 있는 그루브(14)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흐름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길이 방향으로 뻗는 하나이상의 그루브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유사하게 보상 요소(7)의 측면에 있는 그루브의 배열에 대한 표시를 도시하고 있다.
장착된 조립체 요소(5)는 쓰루-보어(4)에 삽입하기 위하여,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은 장착 고정물의 보조 저널(journal)에 의해 바람직하게 임시로 고정되는데, 상기 저널은 그 지지 보어(9)를 관통하고 완전히 채운다. 이 보조 저널은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측면에 대한 고정된 기준 위치를 갖기 때문에, 내부 보상 요소(7)의 지지 보어(9)의 중심축은 반드시 제자리로 가거나 쓰루-보어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조립체 요소(5)는 페이스트상이고 흐르며 경화 가능한 접합제(15)에 의해 쓰루-보어(4) 내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바람직한 장착 공정에 따라, 접합 플레이트는 쓰루-보어(4)의 출구 포트 영역에서 플레이트(1) 양측면에 증착되고, 이미 언급된 보조 저널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이들 접합 플레이트는 플레이트의 면과 2개의 보상 요소(6,7)의 전방면 모두에 접합되어 적용됨으로써 외부로 향하는 환형 슬롯(11)을 차단한다. 접합 플레이트 중 하나에는 환형 슬롯(11) 중 하나와 소통하는 충진 오리피스(filling orifice)가 제공된다. 나머지 접합 플레이트에는 나머지 환형 슬롯과 소통하는 공기 배출 및 체크 오리피스가 제공된다.
그 후 접합제(15)가 외부에서 첫 번째 환형 슬롯(11)으로 도입되고 먼저, 상기 환형 슬롯(11)을 완전히 채운다. 중력의 영향 하에서 또는 다른 압력의 영향 하에서, 접합제는 제 1 방사상 보어(12)를 거쳐 제 1 환형 그루브(13)로 가고, 길이 방향으로 뻗는 그루브(14)를 거쳐 제 2 환형 그루브(13)로 가며, 마지막으로 제 2방사상 보어(12)를 거쳐 반대 방향에 위치된 제 2 환형 슬롯(11)으로 간다. 접합제가 유사하게 제 2 환형 슬롯을 채운 후에, 마지막으로 비교적 좁은 공기 배출 오리피스를 거쳐 배출된다. 이 배출은 체크될 수 있고 보어(12) 및 그루브(13,14)의 환형 슬롯(11)을 완전히 채웠다는 표시로서 사용된다. 도면의 도 1 및 도 2는 명료함을 위해서 보어(12) 및 그루브(13,14)에 있는 접합제를 도시하지 않았다.
접합제(15)가 경화된 후에, 접합 플레이트와 보조 저널은 분리되고 과량의 접합제는 제거되었다. 조립체 요소는 플레이트(1)의 쓰루-보어(4)에서 안정한 위치로 접합되고 막대-모양의 패스닝 요소의 중심축 위치는 플레이트의 측부에 대해 확실히 고정된다. 흡열 경화하는 접합제가 사용된다면, 열의 공급은 장착 고정물의 접합 플레이트에 의해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따라, 적층된 창유리(101)는 부분적으로 강화된 중앙 창유리(1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이고 강화 안전 유리로 제조된 2개의 외부 창유리(112,113)로 구성된다. 부분적인 강화 및 강화에 관한 지침은 예를 들어, 규격 EN 1863 및 EN 12150 각각에서 찾을 수 있다. 외부 창유리(112,113)는 열 가소성 접착제 필름(114,115)으로 구성되는 접착제 층에 의해 중앙 창유리(111)와 각각 조립된다. 열 가소성 접착제 필름(114,115)은 1.52mm 두께의 폴리비닐 부티랄로 구성된다. 개별 창유리(111,112,113)에는, 적층 창유리(101)를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멍(116,117,118)이 위치된다. 이러한 특정 경우에서, 중앙 창유리에 있는 구멍(117)은 적층 창유리(101)의 외부 표면 방향에 있는 원뿔대형 챔퍼(frustoconical chamfer)(136)가 차례로 제공되는 구멍(116,118)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원뿔대형 챔퍼(136)에서, 쓰루-보어(125,126)가 제공된 부시 모양의 나사(120,121)의 박혀진 헤드는 매개층(130,131)이 삽입된 채로 끼워 맞춰지고, 너트(123,124)에 의해 조여진다. 상기 나사와 너트는 여기서, 공구의 적용을 위한 장치 없이 도시되어 있다. 매개층(132,133)은 유사하게 너트(123,124)와 외부 창유리(112,113) 사이에 배치된다. 매개층은 폴리아미드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 또는 그 밖에 예를 들어 전성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같은 전성 금속(melleable metal)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은 창유리 및, 일반적으로 적절한 강철로 구성된 나사로 조여진 조립체 사이의 유해한 표면 압력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멍(116,118) 사이 또는 쓰루-보어(125,126) 사이의 축방향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하여, 두 쌍의 편심링(140,141 및 142,143)이 구멍 또는 쓰루-보어에 각각 끼워 맞춰진다. 이들 링은 축방향으로 동일한 중심(Z)을 축방향으로 가지며 정렬하는 2개의 동일 직경의 둥근 장착 구멍(144,145)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회전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그러므로, 구멍(116,118)의 편심율(e1,e2)은 중심 라인(Z)에 대해 보상된다.
상기 쌍으로 된 편심링은 2개의 둥근 링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은 보어 구멍을 갖는다. 가장 큰 링(141,143)의 외부 직경은 쓰루-보어(125,126)와 일치하는 한편, 가장 작은 링(140,142)의 외부 직경은 가장 큰 링(141,143)의 중심에서 벗어난 보어의 직경과 일치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작은 링의 중심에서 벗어난 보어는 장착 구멍(144,145)을 형성한다.
적층 창유리를 관통하고, 다른 구조 요소와 함께 조립될 수 있는 막대 모양의 나사 홈 볼트(16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부시(150)는 장착 구멍(144,145)에 배치된다. 사용되는 그 밖의 구조 요소는 2개의 너트(161,162)에 의해 나사 홈 볼트에 조여지는 금속 리브(metal leave)(155)인데, 거기에는 폴리아미드 매개층(156)이 삽입된다. 리브(155)는 부시(150)와 편심링(140,141,142,143)을 덮어서 이들의 축방향 움직임을 제한한다. 부시(150)의 길이 방향 크기는 부시가 너트(161/162)와 함께 나사 홈 볼트(160)의 볼트 조립체를 위한 스페이서 단편의 역할을 하여, 적층 창유리(101) 및 나사 조립체(120/124 및 121/123)에 압력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선택된다. 나사 볼트(160)에 의해 도입된 하중은 원뿔대형 챔퍼(136)에 의해 외부 창유리로 전달된다.
리브(155)는 적층 창유리(101)를 고정하기 위하여 하부 조직과 함께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상당한 길이에 걸쳐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적층 창유리를 조립하는 것이 리브(155)에 의해 가능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적층 창유리에 리브를 고정하는 것은 또한 적층 창유리에 있는 장착 구멍을 일정한 거리에서 관통하는 복수의 나사 볼트에 의해, 대체로 구조 정역학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편심링(140,141,142,143)의 구멍과 외부 직경, 부시(150)의 구멍과 외부 직경 및 나사 볼트(160)의 구멍과 외부 직경은 어떠한 움직임도 없이 장착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정해진다.
적층 창유리(101)는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나사 조립체(120/124 및 121/123)는 외부 창유리(112,113)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 때 너트(123,124) 및 나사 부시(120,121)는 자유롭게 접근될 수 있어서 확실한 클램핑 및 공구의 조절된적용이 보장될 수 있다. 이어서 개별 창유리(111,112,113)는 열 가소성 접착제 필름(114,115)이 삽입된 채로 층의 스택(stack) 형태로 함께 결합되고 열 및/또는 압력을 적용하여 조립되어 적층 창유리(101)가 된다. 이어서, 편심링의 도움으로 쓰루-보어(125,126)의 축방향 보상이 일어나므로, 창유리가 구멍(116,118)에 대하여 대략으로만 중심을 맞추며 접합될 수 있다. 적층 창유리의 제조는 이로써 매우 단순하다. 쓰루-구멍(125,126)의 축방향 보상은 적층 창유리(101)를 장착할 동안에 현장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개별 창유리(111,112,113)를 적층 창유리(101)로 조립한 후에도 쓰루-보어(125,126)에 있는 부시(150)와 편심링(140,141,142,143)을 삽입하고 정렬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 이러한 구성 요소의 임시 고정은 현장으로 이동하는 동안 축방향 슬립(slip)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 테이프나 접착제에 의해 보장되어야 한다.
도 7의 설명은 도 6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므로 차이점만 고찰될 것이다. 이 경우에서, 나사(120',121')는 탄성 매개층(130',131')이 삽입된 채로 나사의 돌출 헤드와 함께 적층 창유리(101)의 외부 표면에 적용된다. 나사(120')에는 매개 공간(108)으로 나온 쓰루-덕트(170)이 제공된다. 덕트(171)는 편심링(141')에서 만들어지고 유사하게 매개 공간(108)으로 나온다. 성형 수지(109)가 도입 및 공기 배출 도관 역할을 하는 2개의 덕트(170,171)를 통해 도입된 후, 전체 매개 공간(108)은 성형 수지로 채워진다. 성형 수지(109)를 도입하기 위하여, 적층 창유리(101)는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로 기울어져서, 2개의 덕트(170,171)는 위쪽을 향하게 된다. 그 후 유체 성형 수지(109)는 덕트(170)를 통하여 부어지는 한편, 대체공기는 덕트(171)를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다. 그 후, 매개 공간(108)은 거의 완벽하게 채워지고 약간의 공기 거품만이 매개 공간(108)의 모서리(181)에 잔존할 수 있다. 성형 수지(109)가 덕트(170,171)를 또한 차단하는 고체 덩어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반응된 후, 중앙 창유리(111)를 통하여 하중이 또한 전달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매개 공간(108)의 모서리(181)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 거품은 접합 워셔(sealing washers)(133,134)가 분할되어 불통 라인(interruption line)이 제공된다면, 공기 배출 덕트가 클램핑 너트(123,124)로 기계 가공된다면 대부분 방지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어 유리 플레이트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및 내부 보상 요소를 포함하는 타입의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보어로서 제공되는 보어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30)

  1. 보어(bore)(4), 특히,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외부 보상 요소(outer compensating element)와 적어도 하나의 내부 보상 요소(6,7)가 있는 적층된 유리 플레이트인 복수의 층(1)을 갖는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보어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5)로서, 상기 외부 보상 요소는 상기 보어(4) 구멍의 내부 표면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내부 보상 요소는 상기 외부 보상 요소에 편심적으로 배치된 보어(8) 내에 근접 핏팅(close fit)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쓰루-보어(through-bore)(4) 내에서 고정 요소(3)의 길이 방향 축을 위치시키기 위해 제공되는데, 슬롯(11)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1)의 외부면에서 상기 보어(4)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보다 작은 방사 크기(radial dimension)로 제조되는 상기 조립체 요소(5)는 상기 슬롯(11)을 채우는 접합제(15)에 의해 이 보어(4) 내에 고정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요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보상 요소(6,7)에는 덕트(12,13,14)가 제공되는데, 상기 덕트는 상기 2개의 보상 요소 사이의 나눠진 평면에 적어도 수직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보상 요소를 상기 플레이트(1)의 상기 보어(4)에 삽입한 후 상기 접합제(15)로 채워지며, 상기 접합제(15)가 상기 덕트에 도입된 후 상기 접합제의 경화로 인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요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상 요소는 막대 모양 고정 요소와 함께 단단히 고정되는데, 상기 막대 모양 고정 요소는 적어도 한 측부에서 돌출하고 상기 막대 모양 고정 요소의 길이 방향 축은 상기 보상 요소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중심을 벗어나는 위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요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상 요소(7)에는 막대 모양 고정 요소(3)를 수용하기 위한 편심 지지 보어(eccentric supporting bore)(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요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턱트(12,13,14)는 상기 내부 보상 요소(7)의 상기 지지 보어(9)와 소통되지 않는(not communicat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요소.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2,13,14)는 상기 플레이트(1)를 관통하는 상기 보어(4)의 2개의 출구 영역에 위치되는 상기 조립체 요소(5)의 2개 부분 사이에서 연속적인 소통(continuous communication)을 만드는데, 이러한 연속적인 소통은 상기 외부 보상 요소(6)의 상기 구멍의 상기 내부 표면과 상기 내부 보상 요소(7)의 측면 사이의 나눠진 평면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따르거나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요소.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플레이트에서 블라인드 보어(blind bore)의 형태로 만들어진 보어의 출구 영역에 위치된 2개의 오리피스 사이에서 연속적인 소통을 만드는데, 이러한 연속적인 소통은 상기 외부 보상 요소 구멍의 내부 표면과 상기 내부 보상 요소 측면 사이의 나눠진 평면의 적어도 한 지점을 따르거나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요소.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보어(12)}는 상기 외부 보상 요소(6)의 측면에서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요소.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출구 포트(port)는 방사상 보어(12)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방사상 보어는 상기 외부 보상 요소(6)의 측면을 상기 외부 보상 요소의 편심 보어(8)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요소.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덕트(14)는 상기 내부 보상 요소(7)의 측면에서 만들어지고, 상기 외부 보상 요소(6)의 상기 측면에서 나오는 상기 덕트와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요소.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환형 그루브(annular groove)(13)와 상기 2개의 환형 그루브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그루브(14)는 상기 내부 보상 요소(7)의 측면에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요소.
  12. 플레이트(1)로서,
    보어, 특히 상기 플레이트의 쓰루-보어(4)에 삽입되고, 경화되는 접합제(15)에 의해 상기 보어에 고정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 요소를 구비하는 플레이트(1).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적층 플레이트로서, 서로 조립되는 적어도 3개의 시트(1.1,1.2,1.3) 특히 창유리로 구성되는데, 상기 플레이트에서, 각 내부 시트(1.1)의 상기 보어는 상기 외부 시트(1.2,1.3)에 있는 보어 보다 좁고, 상기 조립체 요소(5)의 외부 직경은 상기 내부 시트(1.1)에 있는 보어의 내부 직경과 적어도 대략 일치하며, 상기 조립체 요소(5)의 외부 측면과 해당 상기 출구 영역의 구멍의 내부 표면 사이의 상기 쓰루-보어(4)의 2개의 출구 영역에 제공되는 슬롯(11)은 상기 접합제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기재된 적어도 2개의 플레이트 사이의 조립체로서,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에지-대-에지(edge-to-edge) 조인트(joint)를 덮고, 제 1항 내지 제 10항에 기재된 조립체 요소(5)에 의해 위치되는 막대-모양의 고정 요소(3)에 의해 개별 플레이트(1)에 고정되는 핏팅(fitting)(2)을 포함하는, 조립체.
  15. 쓰루-보어는, 적어도 그 출구 영역에서, 조립체 요소보다 큰 방사상 크기(radial dimension)를 갖는, 플레이트의 쓰루-보어로 제 1항 내지 제 11항에 기재된 조립체 요소를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 고정물에 의해서, 상기 쓰루-보어에서 상기 조립체 요소(5)의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보상 요소(6,7)는 상기 쓰루-보어(4) 내에서 고정 요소(3)의 길이 방향 축을 위치시키기 위해 정확한 위치로 배열되고, 상기 쓰루-보어(4)의 상기 출구 영역 양측은 폐쇄되며,
    - 접합제가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도입되고, 먼저, 상기 보어의 제 1 출구의 측면과 상기 조립체 요소 사이의 매개 공간을 채운 후, 상기 접착제는, 상기 조립체 요소 내에 제공되고 상기 매개 공간과 소통되는 덕트를 통해, 특히 압축되어 인도되어, 마지막으로 상기 조립체 요소와 상기 보어의 제 2 출구의 측면 사이의 제 2 매개 공간을 채우는데, 상기 접합제의 진입은 상기 제 2 매개 공간을 채운 후에 종결되며,
    - 상기 접합제의 경화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요소를 고정하는 방법.
  16. 블라인드 보어는 적어도 그 출구 영역에서, 조립체 요소보다 큰 방사상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의 블라인드 보어로 제 1항 내지 제 11항에 기재된 조립체 요소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 고정물에 의해서, 상기 블라인드 보어에서 상기 조립체 요소의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보상 요소는 상기 블라인드 보어 내에서 고정 요소의 길이 방향 축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정확한 위치로 배열되고, 상기 블라인드 보어의 출구 영역은 차단되고,
    - 접합제가 도입되는데, 이는 먼저 상기 조립체 요소와 상기 보어의 출구 측면 사이의 매개 공간을 채운 후, 상기 조립체 요소 내에 제공되고 상기 매개 공간과 소통되고 상기 블라인드 보어의 출구 영역에 배치된 배출 및 출구 오리피스로 인도하는, 덕트를 통해 특히 압축되어 인도되는데, 상기 접합제의 진입은 상기 접합제가 상기 출구 오리피스에 도달한 후 종결되며,
    - 상기 접합제의 경화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요소를 고정하는 방법.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뜨거운-경화 접합제가 사용되는 경우, 열의 공급은 빈 공간을 완전히 채우고 상기 덕트를 완전히 채운 후 상기 고정물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요소를 고정하는 방법.
  18. 적어도 3개의 개별 창유리(111,112,113)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중앙 창유리(111)가 2개의 외부 창유리(112,113) 사이에 포함되며, 2개의 개별 창유리(111,112,113) 사이 각각에 연결층(114,115)이 있고, 막대-모양의 고정 요소(160)를 도입하거나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개별 창유리(111,112,113) 모두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116,117,118)이 있는 적층 창유리(101)를 위한 조립체 요소로서,
    상기 조립체 요소는 각각 쓰루-보어(125,126)를 가지는, 상기 2개의 외부 창유리(112,113)에 단독으로 고정되도록 제공된 2개의 부착된 요소(120,121;120',121')와 상기 2개의 쓰루-보어(125,126)의 구멍 중심의 편차를 정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막대-모양의 고정 요소(160)는 상기 정렬된 쓰루-보어(125,126)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창유리를 위한 조립체 요소.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된 요소(120,121;120',121')는 쓰루-보어(125,126)가 있는 속이 빈 나사의 형태이고, 너트(123,124)에 의해서 상기 각각의 외부 창유리(112,113)에 각각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창유리를 위한 조립체 요소.
  20.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쓰루-보어(125,126)를 상기 축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쓰루-보어 중 하나에 삽입되는, 중심에서 벗어난 구멍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링(140,141,142,142',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창유리를 위한 조립체 요소.
  21. 제 18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통형 장착 부시(150)는 상기 막대-모양의 고정 요소(160)를 간접적으로 삽입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부시의 길이는 상기 적층 창유리(101)의 두께와 적어도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창유리를 위한 조립체 요소.
  22. 제 20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공기 도입 및/또는 배출 오리피스(171)가 상기 장착 부시 및/또는 상기 편심링(142')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창유리를 위한 조립체 요소.
  23. 제 18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도입 및/또는 배출 오리피스(170)가 적어도 하나의 부착된 요소(121')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창유리를 위한 조립체 요소.
  24. 적어도 3개의 개별 창유리(111,112,113)로, 적어도 하나의 중앙 창유리(111)가 2개의 외부 창유리(112,113) 사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3개의 개별 창유리와, 각 2개의 개별 창유리(111,112,113) 사이에 있는 연결층(114,115)과 막대-모양인 고정 요소(160)를 도입시키거나 수용하기 위한 상기 개별적인 창유리(111,112,113) 모두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116,117,118)이 있는 적층 창유리(101), 특히 글레이징 구조로서,
    각 중앙 창유리(111)에 있는 상기 구멍(117)의 직경은 상기 외부 창유리(112,113)에 있는 구멍(116,118)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쓰루-보어(125,126)가 있는 부착된 요소(120,121;120',121')는 제 18항 내지 제 23항 중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구멍(116,118) 각각에 조여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창유리.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116,118)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창유리(112,113)의 상기 외부 표면에 원뿔대형 리세스(frustoconical recess)(13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부착된 요소(120,121)에는 박혀진 헤드가 제공되는데, 상기 박혀진 헤드의 외부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 창유리(112,113)의 외부 제한면과 동일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창유리.
  26.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116,118)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창유리(112,113)에 원통형 리세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부착 요소(120,121)에는 박혀진 헤드가 제공되는데, 상기 박혀진 헤드의 외부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 창유리(112,113)의 외부 제한면과 동일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창유리.
  27. 제 24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창유리(111)에 있는 상기 구멍(117) 영역에 존재하는 속이 빈 공간(108)은 경화 가능한 화합물(109)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창유리.
  28. 제 24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유리와 속이 빈나사의 형태인 상기 부착된 요소와 상기 너트 사이의 속이 빈 공간은 경화 가능한 화합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창유리.
  29. 제 24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창유리(111,112,113)는 강화된 유리(tempered glass) 또는 부분적으로 강화된 유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창유리.
  30. 제 24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적층 창유리로 구성되는 구조물로서, 제 18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체 요소의 도움으로 서로 함께 조립되는, 구조물.
KR1020037006361A 2000-11-11 2001-11-09 구멍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 조립체 요소를 갖는 판, 적어도 2개의 판 사이의 조립체, 적층 창유리, 적층 창유리를 위한 조립체 요소, 적층 창유리로 구성된 구조물, 및 조립체 요소를 고정하는 방법 KR100846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55983.2 2000-11-11
DE10055983A DE10055983C1 (de) 2000-11-11 2000-11-11 Verbindungselement zum Einsetzen in eine Bohrung
PCT/FR2001/003510 WO2002038902A2 (fr) 2000-11-11 2001-11-09 Element d'assemblage a inserer dans un ales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410A true KR20030062410A (ko) 2003-07-25
KR100846825B1 KR100846825B1 (ko) 2008-07-17

Family

ID=766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361A KR100846825B1 (ko) 2000-11-11 2001-11-09 구멍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 조립체 요소를 갖는 판, 적어도 2개의 판 사이의 조립체, 적층 창유리, 적층 창유리를 위한 조립체 요소, 적층 창유리로 구성된 구조물, 및 조립체 요소를 고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6825B1 (ko)
DE (1) DE10055983C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043B1 (ko) * 2007-06-05 2009-01-15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KR101335508B1 (ko) * 2005-05-27 2013-12-02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기재, 특히 유리 기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3960B4 (de) * 2004-01-27 2005-11-03 Eckelt Glas Gmbh Verbindungsanordnung für Verbundscheiben
DE202007006686U1 (de) * 2007-05-07 2008-09-18 Hettich-Heinze Gmbh & Co. Kg Mehrteiliger Verbindungseinsatz
DE102020132626A1 (de) * 2020-12-08 2022-06-09 Audi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etzanordnung zum automatischen Anbringen von Toleranzausgleichselementen an einem Bautei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19133U (de) * 1972-08-31 Willach H Halterung für neben- und übereinander anzubringende Wandverkleidungsplatten
DE8810643U1 (de) * 1988-08-23 1988-10-06 Knebel, Helmut, 5800 Hagen Verbindungselement zum Verbinden von Wänden
FR2674554B1 (fr) * 1991-03-29 1998-08-21 Saint Gobain Vitrage Int Systeme de fixation d'une plaque de verre.
DE4130823C2 (de) * 1991-09-17 1996-08-29 Ver Glaswerke Gmbh Glasscheibe mit Befestigungselement
DE4311442C1 (de) 1993-04-07 1994-07-07 Ver Glaswerke Gmbh Verfahren zur Schraubbefestigung eines Befestigungs- oder Halteelements an einer Verbundglasscheibe und Anwendung des Verfahrens
FR2713258B1 (fr) 1993-11-30 1996-02-09 Saint Gobain Vitrage Liaison mécanique entre un élément vitré et une structure porteuse.
FR2732730B1 (fr) 1995-04-06 1997-06-13 Hey Rene Dispositif d'attache pour la fixation d'un panneau en verre feuillete a une structure portante
DE19816099A1 (de) * 1998-04-10 1999-10-21 Goetz Metall Anlagen Verbindungsanordnung
DE19839419C2 (de) * 1998-08-29 2000-12-21 Eckelt Glas Gmbh Steyr Befestigungssystem für Platt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508B1 (ko) * 2005-05-27 2013-12-02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기재, 특히 유리 기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100879043B1 (ko) * 2007-06-05 2009-01-15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55983C1 (de) 2002-09-26
KR100846825B1 (ko) 200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3863B2 (ja) 積層グレージング部材のためのアセンブリデバイス
JP3464523B2 (ja) 積層ガラスへの保持部材または固定部材の螺子止め固着
US7273532B2 (en) Assembly element to be inserted in a bore
KR100705419B1 (ko) 적층 벽 요소용 고정 장치, 적층 창유리로 구성된 벽 요소 및 상기 벽 요소로 구성된 벽
US4056878A (en) Method of fixing a sandwich panel to a support
KR100846825B1 (ko) 구멍에 삽입되는 조립체 요소, 조립체 요소를 갖는 판, 적어도 2개의 판 사이의 조립체, 적층 창유리, 적층 창유리를 위한 조립체 요소, 적층 창유리로 구성된 구조물, 및 조립체 요소를 고정하는 방법
US8590226B2 (en) Internal glass holder
US3742673A (en) Panel edge fastening means
WO1996022443A1 (en) Laminate assemblies
DE10063547C1 (de) Verbundscheibe, insbesondere für eine Glasbonstruktion
WO1999007955A1 (en) A beam end fitting and a method for realizing joints for wooden beams
NO983383L (no) Forbindelse for lette konstruksjonsprofiler
TH67454A (th) ชิ้นส่วนการประกอบที่จะได้รับการสอดเข้าภายในรูเจาะ
CZ217196A3 (en) Joint of structural parts
JPH08187719A (ja) 天然石材タイルのpc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