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216B1 - 포장용 백 - Google Patents

포장용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216B1
KR100690216B1 KR1020027010764A KR20027010764A KR100690216B1 KR 100690216 B1 KR100690216 B1 KR 100690216B1 KR 1020027010764 A KR1020027010764 A KR 1020027010764A KR 20027010764 A KR20027010764 A KR 20027010764A KR 100690216 B1 KR100690216 B1 KR 100690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groove
groove line
opening
packag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7179A (ko
Inventor
사까이히로시
다께또미히로유끼
하시따니유지
오까다히로후미
히라까와신이찌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오까다 시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오까다 시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7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16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 B65D33/2533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the slide fastener being located between the product compartment and the tampe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10A) 및 제 2 면 (10B) 을 갖는 포장용 백 (10) 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 1 홈선 (100A (100B)) 및 제 2 홈선 (200A (200B)), 그리고 제 1 홈선과 제 2 홈선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소정의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경사를 갖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에 의해 구성된 제 3 홈선 (300A (300B)) 이, 제 1 면 및 제 2 면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제 2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봉후의 포장용 백의 개봉구에 적절한 파지 부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포장용 백 {PACKAGING BAG}
본 발명은 개봉용 홈선을 갖는 포장용 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1a 의 정면도 및 도 11b 의 전개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포장용 백이 알려져 있다. 이 포장용 백 (1000) 은, 개봉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백 (1000) 의 대향하는 1쌍의 면에 재봉선형상 또는 변형 재봉선형상의 홈선 (이하 이것이 서로 대향하는 일방의 면 (1000A) 에 형성되는 홈선 (weak line) 을 「홈선 (2000)」, 타방의 면 (1000B) 에 형성되는 홈선을 「홈선 (3000)」이라고 함) 을 형성한 것이다. 종래의 포장용 백 (1000) 은, 제 1 면 (1000A) 과 제 2 면 (1000B) 에 각각 형성된 홈선 (2000) 및 홈선 (3000) 의 부분을 이용하여 찢음으로써 개봉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실용신안등록 제 2566444호에는 변형 재봉선형상의 홈선을 형성한 포장용 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1a 및 도 11b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포장용 백 (1000) 은, 도 1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봉후에 생기는 백 (1000) 의 개봉구 (4000) 가 밀착된 상태에서 닫히기 쉬워, 필요한 때에 이 개봉구 (4000) 를 신속하게 개구하여 백 (1000) 내의 피포장물을 용이하게 꺼내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개봉작업이 용이하며, 개봉후의 개봉구의 개폐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포장용 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도 12b 에 전개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포장용 백 (1000) 은, 개봉후에 생기는 개봉구 (4000) 를 형성하고 있는 제 1 면의 홈선 (2000) 을 따른 가장자리 부분 (5000) 과 제 2 면의 홈선 (3000) 을 따른 가장자리 부분 (6000) 이 서로 밀착되기 쉽고, 따라서 개봉구 (4000) 가 용이하게 닫히기 쉬워, 일단 닫아 버리면 그 가장자리 부분 (5000) 또는 가장자리 부분 (6000) 의 일방을 손가락 끝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없게 되어 있는 것이 상기 문제점의 발생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봉후에 생기는 개봉구에,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 (이하,「파지 부분」이라고 함) 을 형성함으로써, 개봉구의 개구후에도 그 파지 부분을 이용하여 개봉구를 용이하게 개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포장용 백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 그리고 제 1 홈선과 제 2 홈선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갖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에 의해 구성된 제 3 홈선이, 제 1 면 및 제 2 면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제 2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 1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제 2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봉후의 개봉구에는, 이들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에 의거하여 파지 부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이 파지 부분을 이용하여 개봉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제 3 홈선이 제 1 홈선과 제 2 홈선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파지 부분이 개봉후의 개봉구의 원하는 영역에 확실하게 형성되게 된다.
여기에서 「홈선」이란, 포장용 백을 형성하는 포장재에 직선형상 또는 재봉선형상의 절취선 가공 등을 실시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것에 의해 커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포장용 백을 양쪽으로 갈라 개봉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직선형상의 절취선 가공이란 포장재에 약간의 두께를 남기고 직선형상의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재봉선형상의 절취선 가공과는 포장재에 슬릿 또는 홈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용 백에 있어서는, 포장용 백의 서로 대향하는 일방의 면을 「제 1 면」, 타방의 면을 「제 2 면」 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용 백에 있어서는, 개봉작업중에 포장용 백이 찢어져, 제 1 면과 제 2 면에 실제로 생기는 찢긴 부분의 가장자리를 「개봉선」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포장용 백에 있어서는, 이 개봉선은, 포장용 백이 제 1 면 및 제 2 면에 각각 형성된 제 3 홈선을 따라 찢겨 생기는 것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은, 이용자가 제 3 홈선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용 백에 있어서는, 개봉작업을 실행할 때의 포장용 백의 개봉개시위치는, 제 1 면, 제 2 면 모두 제 3 홈선의 끝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면과 제 2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3 홈선끼리는, 제 1 면 상의 제 3 홈선을 이 제 1 면의 법선방향을 따라 제 2 면 상으로 평행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제 1 면의 제 3 홈선과 제 2 면의 제 3 홈선이 제 2 면 상에서 적어도 그 끝단부의 일부분이 상기 개봉개시위치를 공유할 수 있는 범위에서 겹치는 상태에서 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 홈선과 동일하게, 제 1 면과 제 2 면이 각각 형성되는 제 1 홈선끼리도, 제 1 면 상의 제 1 홈선을 이 제 1 면의 법선방향을 따라 제 2 면 상으로 평행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3 홈선과 동일한 상태에서 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들 제 1 홈선은, 제 3 홈선의 경사를 이용하여 원하는 면적을 갖는 파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범위이면, 서로 원하는 개봉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 1 면과 제 2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2 홈선끼리도 상기 제 1 면과 제 2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홈선끼리의 상대적 배치위치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배치된다.
또 본 발명의 포장용 백에서의 「제 3 홈선」이란, 원하는 개봉방향에 대하 여 경사를 갖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의 역할에 의해, 개봉작업중에 개봉개시점 (즉 제 3 홈선의 끝단부) 으로부터 당해 제 3 홈선을 따라 제 1 면과 제 2 면에 실제로 형성되어 가는 개봉선의 진행방향을 당해 제 3 홈선의 도중에서 일단 원하는 개봉방향으로부터 딴 데로 돌려, 제 3 홈선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동일 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이 형성된 영역을 향하여 개봉선을 진행시키는 것을 의도한 홈선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제 3 홈선의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원하는 개봉방향에 대하여 갖고 있는 경사는, 개봉선을 제 3 홈선으로부터 원활하게 딴 데로 돌릴 수 있도록 개봉시에 각 면의 각 홈선에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 3 홈선의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원하는 개봉방향에 대하여 갖고 있는 경사를 「제 3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로 기술한다.
또한, 제 1 면과 제 2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홈선」및 「제 2 홈선」은, 개봉시에 상기 제 3 홈선에 의해 원하는 개봉방향으로부터 딴 데로 돌아 진행되어 오는 개봉선을 그 형성영역내에서 트랩하여 개봉선이 그 형성영역내로부터 다시 외부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형성영역내에서 개봉선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으로 다시 방향전환하는 것을 의도한 홈선을 나타낸다.
또 「제 1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제 2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상태란, 개봉시에 생기는 개봉선이, 제 1 면의 측에서 제 1 면의 제 3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에 의해 원하는 개봉 방향으로부터 딴 데로 돌리는 방향과, 제 2 면의 측에서 제 2 면의 제 3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에 의해 원하는 개봉방향으로부터 딴 데로 돌리는 방향이 반대 방향이 되도록 제 1 면과 제 2 면에 각각 제 3 홈선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제 1 면에서 제 3 홈선이 형성된 영역을 진행하는 개봉선이 원하는 개봉방향으로부터 제 1 홈선의 방향 (또는 제 2 홈선의 방향) 으로 바뀌는 경우에는, 제 2 면에서 제 3 홈선이 형성된 영역을 진행하는 개봉선이 원하는 개봉방향으로부터 제 2 홈선의 방향 (또는 제 1 홈선의 방향) 으로 바뀌도록 제 1 면과 제 2 면에 각각 제 3 홈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 1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제 2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됨으로써, 제 1 면과 제 2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3 홈선의 끝단부끼리가 겹치는 부분을 개봉개시위치로 하여 이 부분부터 포장용 백을 개봉하는 경우에 있어서, 개봉작업중에 제 1 면 상과 제 2 면 상을 동시에 진행하는 개봉선은 다음과 같이 형성되어 가게 된다.
즉, 개봉작업중에 제 1 면 상을 제 1 면의 제 3 홈선을 따라 진행하는 개봉선은, 제 3 홈선의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의 경사에 의해 그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으로부터 딴 데로 돌리고, 동일 면 상의 제 1 홈선 (또는 동일 면 상의 제 2 홈선) 을 향하여 진행하도록 컨트롤되어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 에 도달한다. 그리고, 제 1 면의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 에 도달한 개봉선은,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 에 의해 그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으로 향하도록 다시 컨트롤되고, 최종적으로 제 1 면 상을 그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 을 따라 진행하게 된다.
한편, 개봉작업중에 제 2 면 상을 제 2 면의 제 3 홈선을 따라 진행하는 개봉선은, 제 3 홈선의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의 경사에 의해 그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으로부터 딴 데로 돌려, 동일 면 상의 제 2 홈선 (또는 제 1 면 상의 제 1 홈선) 을 향하여 진행하도록 컨트롤되어 동일 면 상의 제 2 홈선 (또는 동일 면 상의 제 1 홈선) 에 도달한다. 그리고, 제 2 면의 제 2 홈선 (또는 제 1 홈선) 에 도달한 개봉선은, 제 2 홈선 (또는 제 1 홈선) 에 의해 그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으로 향하도록 다시 컨트롤되고, 최종적으로 제 2 면 상을 그 제 2 홈선 (또는 제 1 홈선) 을 따라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면에 생기는 개봉선은, 제 1 면의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 을 따라 형성되고, 제 2 면에 생기는 개봉선은, 제 2 면의 제 2 홈선 (또는 제 1 홈선) 을 따라 형성되게 되어, 그 결과, 제 1 면과 제 2 면 중 어느 하나에 제 1 면의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 과 제 2 면의 제 2 홈선 (또는 제 1 홈선) 의 거리의 크기에 의거하는 파지 부분이 형성되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제 1 면과 제 2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3 홈선을, 제 1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제 2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형성함으로써 개봉후의 파지 부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미리 특별한 파지 부분을 형성하여 상정되는 개봉구 부근에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 본 발명의 포장용 백에 있어서는, 제 3 홈선이 1∼10개의 홈선으로 이루어지는 집합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개봉후의 개봉구에 형성되는 파지 부분의 면적이 충분한 크기로 확실하게 확보되고, 손각락으로 보다 용이하게 잡을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포장용 백에 있어서는,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25∼4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개봉시에 제 1 면 및 제 2 면의 각각에 형성된 제 3 홈선의 형성영역내를 진행하는 개봉선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으로부터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의 방향을 향하여 보다 원활하게 바뀌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포장용 백에 있어서는, 제 1 홈선 및/또는 제 2 홈선이, 1∼10개의 홈선으로 이루어지는 집합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개봉시에, 제 3 홈선에서 원하는 개봉방향으로부터 딴 데로 돌아가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을 향하여 진행되어 오는 개봉선을 그 형성영역내에서 확실하게 트랩할 수 있다. 따라서, 개봉시에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을 따른 부분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개봉선이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의 형성영역내에서 완전히 트랩되지 않고 다시 외부로 진행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의 형성영역내에서 개봉선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으로 다시 방향전환하는 것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용 백에 있어서는,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이 각각 소정 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갖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 1 면에 형성된 제 1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제 1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고, 제 2 면에 형성된 제 1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제 2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고, 제 1 면에 형성된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제 1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고, 제 2 면에 형성된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제 2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개봉시에, 제 3 홈선에서 원하는 개봉방향으로부터 딴 데로 돌아가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을 향하여 진행되어 오는 개봉선을 그 형성영역내에서 확실하게 트랩할 수 있다. 따라서, 개봉시에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을 따르는 부분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개봉선이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의 형성영역내에서 완전히 트랩되지 않고 다시 외부로 진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의 형성영역내에서 개봉선의 진행방향을 컨트롤하여 원하는 개봉방향으로 다시 방향전환하는 것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면에 형성된 제 1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제 1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상태란, 제 1 면의 측에서, 제 3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가 개봉시에 생기는 개봉선의 진행방향을 제 1 홈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방향전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제 1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가 제 1 홈선의 형성영역에 도달한 개봉선의 진행방향을 제 3 홈선으로 다시 향하는 방향으로 방향전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 「제 2 면에 형성된 제 1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제 2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상태도 제 2 면에서 상기 제 1 면에서의 제 3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와 제 1 홈선의 경사와의 관계와 동일한 상태가 성립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제 1 면에 형성된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제 1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상태란, 제 1 면의 측에서, 제 3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가 개봉시에 생기는 개봉선의 진행방향을 제 2 홈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방향전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제 2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가 제 2 홈선의 형성영역에 도달한 개봉선의 진행방향을 제 3 홈선으로 다시 향하는 방향으로 방향전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 「제 2 면에 형성된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제 2 면에 형성 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상태도 제 2 면에서 상기 제 1 면에서의 제 3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와 제 1 홈선의 경사와의 관계와 동일한 상태가 성립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은,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각각,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25∼4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개봉시에 제 1 면 및 제 2 면의 각각에 형성된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의 형성영역내를 진행하는 개봉선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을 향하여 보다 원활하게 방향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설명에서는,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의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원하는 개봉방향에 대하여 각각 갖고 있는 경사를 「제 1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및 「제 2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로 기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은, 제 3 홈선의 끝단부에 형성된 개봉용 절단선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절단선에 의해, 개봉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개시할 수 있다. 또 이 절단선에 의해, 포장용 백의 각 홈선의 형성영역 이외의 부위가 찢기지 않고 홈선의 형성영역의 부위를 확실하게 이용하여 포장용 백을 찢어 개봉할 수도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은, 개봉후의 개봉구를 밀봉하는 시일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개봉후에도 다시 개봉구를 완전히 닫을 수 있고, 미사용의 피포장물을 밀폐상태에서 유지해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 기에서 「시일 수단」이란 플라스틱 파스너 등의 개봉구를 밀폐하기 위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은, 피포장물을 기밀상태에서 안정하게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층과, 제 1 홈선, 제 2 홈선, 및 제 3 홈선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구성되는 복합포장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구조를 갖는 복합포장재를 사용함으로써, 포장용 백의 강도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피포장물을 백내에 보존하기 위한 조건에 맞춰 각 층의 재질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밀폐층에 의해 개봉전에 피포장물을 원하는 밀봉보존상태로 유지해 둘 수 있다. 이것은 피포장물로서 의약품, 식품 등과 같은 휘발성의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것, 품질이 수분의 함유량에 크게 의존하는 것, 공기중의 산소와의 산화반응에 의해 용이하게 품질열화가 일어나는 것 등이 선택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또한 여기에서 「밀폐층」이란, 피포장물을 기밀상태로 보존할 수 있는 재질의 층을 나타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포장물에 대하여 화학적으로 안정된 표면을 갖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표면가공을 실시한 층이고, 피포장물의 구성성분에 대한 흡착성 및 투과성이 거의 없는 층이며, 외부의 공기성분 및 수분에 대한 투과성이 거의 없는 층으로, 피포장물의 변질이나 열화를 방지하여 피포장물을 거의 초기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층을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은, 밀폐층이 알루미늄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 루미늄박은 기밀성이 우수하고 표면의 산화피막에 의해 화학적으로 안정되며, 또한 경량이고 개봉하기 쉽기 때문에 밀폐층으로서 적합하다. 특히 휘발성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퍼프제 등에 있어서는, 시트형상 구성재료로서 이 휘발성 성분을 투과시키지 않는 알루미늄박이나 가스배리어성의 재료, 휘발성 성분을 흡착하지 않는 아크릴로니트릴필름, 또는 이들을 층구성 중에 함유하는 적층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홈선, 제 2 홈선, 제 3 홈선의 각각이, 복수개의 홈선의 집합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간격을 설명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정의에 의거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즉, 제 1 홈선의 제 2 홈선측의 가장자리와 제 2 홈선의 제 1 홈선측의 가장자리의 간격은, 제 1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 중에서 제 2 홈선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선과,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 중에서 제 1 홈선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선의 간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이것을 「제 1 홈선과 제 2 홈선의 간격」으로 한다.
또, 제 1 홈선의 제 3 홈선측의 가장자리와 제 3 홈선의 제 1 홈선측의 가장자리의 간격은, 제 1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 중에서 제 3 홈선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선과,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 중에서 제 1 홈선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선의 간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이것을 「제 1 홈선과 제 3 홈선의 간격」으로 한다.
또한 제 2 홈선의 제 3 홈선측의 가장자리와 제 3 홈선의 제 2 홈선측의 가 장자리의 간격은,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 중에서 제 3 홈선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선과,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 중에서 제 2 홈선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선의 간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이것을 「제 2 홈선과 제 3 홈선의 간격」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포장용 백의 전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포장용 백의 확대개략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포장용 백을 개봉할 때에 제 1 홈선과 제 2 홈선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실제의 개봉선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포장용 백의 개봉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개봉후의 포장용 백의 전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낸 포장용 백을 개봉할 때에 제 1 홈선과 제 2 홈선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실제의 개봉선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 는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을 직선형상의 절취선 가공에 의해 형성한 경우의 포장용 백의 전개도이다.
도 10 은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을 재봉선형상 절취선 가공에 의해 형성한 경우의 포장용 백의 전개도이다.
도 11a 는 종래의 포장용 백의 개봉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b 는 종래의 포장용 백의 개봉전의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12a 는 종래의 포장용 백의 개봉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b 는 종래의 포장용 백의 개봉후의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선택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다는 것으로 하고, 도면중의 포장용 백 및 그 일부분은 전부 개봉구가 형성된 측을 상방으로 하여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2 는 도 1 의 포장용 백을 외표면의 측에서 본 경우의 전개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3 은 도 1 의 포장용 백의 확대개략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4 는 도 1 의 포장용 백을 개봉할 때에 제 1 면 및 제 2 면에 형성되는 실제의 개봉선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 ∼ 도 3 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포장용 백의 상부에서의 각 홈선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는, 피포장물이 수납되는 포장용 백 하부의 부위에 대하여 크게 강조되어 나타나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백 (10) 은, 직사각형상의 적층구조를 갖는 복합포장재 (18A) 와 복합포장재 (18B) 를 2장 겹쳐 각각의 외연부를 압착가공 등에 의해 시일한 사방 시일의 형태를 갖고 있다.
또 이 포장용 백 (10) 의 제 1 면 (10A) 의 상방부측에는, 제 1 면 (10A) 의 짧은길이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하여 개봉용 제 1 홈선 (100A), 제 3 홈선 (300A), 제 2 홈선 (200A) 이 각각 상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면 (10B) 에도 개봉용 제 1 홈선 (100B), 제 3 홈선 (300B), 제 2 홈선 (200B) 이 각각 상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면 (10A) 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홈선 (100A) 과 제 2 면 (10B) 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홈선 (100B) 은, 모두 직사각형의 포장용 백 (10) 상부의 한 변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면 (10A) 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홈선 (200A) 과 제 2 면 (10B) 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홈선 (200B) 의 상대적인 배치위치의 관계, 및 제 1 면 (10A) 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홈선 (300A) 과 제 2 면 (10B) 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홈선 (300B) 의 상대적인 배치위치의 관계도, 제 1 홈선 (100A) 및 제 1 홈선 (100B) 과 동일하다.
또한 제 1 면의 제 3 홈선 (300A) 은, 3개의 홈선 (320A, 340A, 360A) 이 각각 상방으로부터 평행하게 3개 형성된 집합체이고, 이들 홈선 (320A, 340A, 360A) 은, 각각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 2 면의 제 3 홈선 (300B) 은, 3개의 홈선 (320B, 340B, 360B) 이 각각 상방으로부터 평행하게 3개 형성된 집합체이고, 이들 홈선 (320B, 340B, 360B) 은, 각각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백 (10) 은, 제 1 면 (10A) 상의 제 3 홈선 (300A) 및 제 2 면 (10B) 상의 제 3 홈선 (300B) 의 각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은,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도 (D300) 를 갖고 있다.
또한 이 포장용 백 (10) 의 경우에 있어서는, 제 1 면 (10A) 의 제 3 홈선 (300A) 및 제 2 면 (10B) 의 제 3 홈선 (300B) 의 각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갖고 있는 경사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면 (10A) 에 있어서는, 제 3 홈선 (300A) 의 각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는, 제 3 홈선 (300A) 의 형성영역내를 개봉개시점이 되는 노치 (50) 에서 출발하여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개봉선 (L10A) 에 대하여 복각의 방향으로 유도되는 경사, 즉 제 2 홈선 (200A) 을 향하여 개봉선 (L10A) 이 빗나가는 방향으로 유도되는 경사로 되어 있다. 한편 제 2 면 (100B) 에 있어서는, 제 3 홈선 (300B) 의 각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는, 제 3 홈선 (300B) 의 형성영역내를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개봉선 (L10B) 에 대하여 앙각의 방향으로 유도되는 경사, 즉 제 1 홈선 (100B) 을 향하여 개봉선 (L10B) 이 빗나가는 방향으로 유도되는 경사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면 (10A) 의 제 1 홈선 (100A) 은, 2개의 홈선 (120A, 140A) 이 각각 상방으로부터 평행하게 2개 형성된 집합체로, 이들의 홈선 (120A, 140A) 은, 각각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홈선 (120A, 140A) 의 절취선의 경사는, 소정의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제 1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 (300A) 의 절취선의 경사와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 2 면 (10B) 의 제 1 홈선 (100B) 은, 2개의 홈선 (120B, 140B) 이 각각 상방으로부터 평행하게 2개 형성된 집합체로, 이들 홈선 (120B, 140B) 은, 각각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홈선 (120B, 140B) 의 절취선의 경사는, 소정의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제 2 면 (10B) 에 형성된 제 3 홈선 (300B) 의 절취선의 경사와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면 (10A) 상에 제 1 홈선 (100A) 및 제 2 면 (10B) 상의 제 1 홈선 (100B) 의 각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은,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D100) 를 갖고 있다.
또한 이 포장용 백 (10) 의 경우에 있어서는, 제 1 면 (10A) 의 제 1 홈선 (100A) 및 제 2 면 (10B) 의 제 1 홈선 (100B) 의 각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갖고 있는 경사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면 (10B) 에 있어서, 제 1 홈선 (100B) 의 절취선의 경사는, 개봉선 (L10B) 를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복각 (伏角) 의 방향으로 유도되는 경사, 즉 앞에 서술한 제 3 홈선 (300B) 의 절취선의 경사에 의해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부터 딴 데로 돌려 제 1 홈선 (100B) 을 향하여 진행되어 오는 개봉선 (L10B) 의 진행방향을 다시 제 3 홈선 (300B) 을 향하여 방향전환시키는 경사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홈선 (100B) 에서 방향전환된 후의 실제의 개봉선 (L10B) 의 진행방향은, 개봉시에 제 1 홈선 (100B) 의 각 홈선을 구성하는 각 절취선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의 균형에 의해,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평행해진다. 한편, 이 포장용 백 (10) 에 있어서는, 앞에 서술한 제 3 홈선 (300A) 의 경사의 설정조건으로부터 제 1 면 (10A) 에서의 제 1 홈선 (100A) 에는 실제의 개봉시에 제 3 홈선 (300A) 으로부터 개봉선 (L10A) 은 진행되어 오지 않지만, 제 1 홈선 (100A) 의 절취선의 경사는,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앙각 (仰角) 의 방향으로 유도되는 경사로 되어 있다. 즉,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면 (10A) 의 제 1 홈선 (100A) 의 절취선의 경사는, 포장용 백 (10) 을 전개도로 나타낸 경우에 제 2 면 (10B) 의 제 1 홈선 (100B) 의 절취선의 경사와 평행하게 된다.
또한 제 1 면 (10A) 의 제 2 홈선 (200A) 은, 2개의 홈선 (220A, 240A) 이 각각 상방으로부터 평행하게 2개 형성된 집합체로, 이들 홈선 (220A, 240A) 은, 각각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홈선 (220A, 240A) 의 절취선의 경사는, 소정의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제 1 면에 형성된 제 3 홈선 (300A) 의 절취선의 경사와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 2 면 (10B) 의 제 2 홈선 (200B) 은, 2개의 홈선 (220B, 240B) 이 각각 상방으로부터 평행하게 2개 형성된 집합체로, 이들 홈선 (220B, 240B) 은, 각각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 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홈선 (220B, 240B) 의 절취선의 경사는, 소정의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제 2 면 (10B) 에 형성된 제 3 홈선 (300B) 의 절취선의 경사와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면 (10A) 상의 제 2 홈선 (200A) 및 제 2 면 (10B) 상의 제 2 홈선 (200B) 의 각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은,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D200) 를 갖고 있다.
또한 이 포장용 백 (10) 의 경우에 있어서는, 제 1 면 (10A) 의 제 2 홈선 (200A) 및 제 2 면 (10B) 의 제 2 홈선 (200B) 의 각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갖고 있는 경사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면 (10A) 에 있어서, 제 2 홈선 (200A) 의 절취선의 경사는, 개봉선 (L10A) 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앙각의 방향으로 유도되는 경사, 즉, 앞에 서술한 제 3 홈선 (300A) 의 절취선의 경사에 의해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부터 딴 데로 돌아가 제 2 홈선 (200A) 을 향하여 진행되어 오는 개봉선 (L10A) 의 진행방향을 다시 제 3 홈선 (300A) 을 향하여 방향전환시키는 경사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2 홈선 (200A) 에 있어서 방향전환된 후의 실제의 개봉선 (L10A) 의 진행방향은, 개봉시에 제 2 홈선 (200A) 의 각 홈선을 구성하는 각 절취선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의 균형에 의해,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평행하게 된다. 한편, 이 포장용 백 (10) 에 있어서는, 앞에 서술한 제 3 홈선 (300B) 의 경사의 설정조건으로부터 제 2 면 (10B) 에서의 제 2 홈선 (200B) 에는 실제의 개봉시에 제 3 홈선 (300B) 으로부터 개봉선 (L10B) 은 진행되어 오지 않지만, 제 2 홈선 (200B) 의 절취선의 경사는,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복각의 방향으로 유도되는 경사로 되어 있다. 즉,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면 (10B) 의 제 2 홈선 (200B) 의 절취선의 경사는, 포장용 백 (10) 을 전개도로 나타낸 경우에 제 1 면 (10A) 의 제 2 홈선 (200A) 의 절취선의 경사와 평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면 (10A) 의 제 3 홈선 (300A) 을 구성하는 홈선 (340A) 과, 제 2 면 (10B) 의 제 3 홈선 (300B) 을 구성하는 홈선 (340B) 의 끝단부에는, 개봉작업을 원활하게 개시하기 위한 노치 (50 ; 절단선) 가 제 1 면 (10A) 으로부터 제 2 면 (10B) 에 걸쳐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포장용 백 (10) 의 내부에는, 개봉후에 생기는 개봉구를 개폐하기 위한 플라스틱 파스너 (40 ; 시일 수단) 가 제 1 면 (10A) 의 제 2 홈선 (200A) 및 제 2 면 (10B) 의 제 2 홈선 (200B) 에 평행하게 또한 이들 하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1 ∼ 도 6 에 의거하여 각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5 는 도 1 에 나타낸 포장용 백의 개봉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개봉후의 포장용 백의 전개도이다.
포장용 백 (10) 을 형성하는 복합포장재 (18) 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에 걸쳐 홈선이 형성된 층으로서 종이 (12) 와, 홈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밀폐층으로서 플라스틱 필림 (14), 알루미늄박 (16), 플라스틱 필름 (14) 이 적층된 4층 구조를 갖는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 (18) 이 사용된다. 여기에서 앞에 서술한 바와 같이 경량이고 개봉하기 쉽고, 기밀성,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점에서 알루미늄박이 밀폐층의 하나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 (18) 은,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웨트 라미네이션법, 핫멜트 라미네이션법, 익스트루젼 라미네이션법 등의 이미 알려진 제조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홈선의 절취선이, 홈선이 형성되는 층을 관통하지 않고 약간의 두께를 갖고 형성되는 경우에는, 밀폐층에도 홈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이 복합포장재 (18) 의 각 층의 구성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홈선의 형성의 여하에 관계없이, 종이, 부직포, 알루미늄, 셀로판,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올레핀,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에틸렌비닐알코올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공중합체 등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들에 인쇄잉크, 접착제 등을 도포한 것, 또는 증착 또는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박막을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박막으로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외에,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등의 가스배리어성과 투명성이 높은 박막이 적합하다. 어느 것으로 해도 시트형상 구성재료로서는 포장백으로서의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면 (10A) 상의 제 1 홈선 (100A) 과 제 3 홈선 (300A) 및 제 2 면 (10B) 상의 제 1 홈선 (100B) 과 제 3 홈선 (300B) 은, 각각 소정의 간격 (W13) 을 갖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면 (10A) 상의 제 2 홈선 (200A) 과 제 3 홈선 (300A), 및 제 2 면 (10B) 상의 제 2 홈선 (200B) 과 제 3 홈선 (300B) 은, 각각 소정의 간격 (W23) 을 갖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면 (10A) 및 제 2 면 (10B) 모두, 각 홈선의 절취선은, 복합포장재 (18) 의 최외층의 종이 (12) 에만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면 (10A) 상의 제 1 홈선 (100A)과 제 3 홈선 (300A ; 또는 제 2 면 (10B) 상의 제 1 홈선 (100B) 과 제 3 홈선 (300B)) 의 간격 (W13) 은, 제 1 홈선 (100A) 중에서 제 3 홈선 (300A) 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홈선 (140A) 과, 제 3 홈선 (300A) 중에서 제 1 홈선 (100A) 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홈선 (320A) 과의 거리 (또는 제 2 면 (10B) 상의 제 1 홈선 (100B) 중에서 제 3 홈선 (300B) 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홈선 (140B) 과, 제 3 홈선 (300B) 중에서 제 1 홈선 (100B) 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홈선 (320B) 과의 거리) 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개봉시에 있어서, 실제의 개봉선은 제 1 면 (10A) 에서는 제 1 홈선 (100A) 과 제 2 홈선 (200A) 사이의 영역내, 제 2 면 (10B) 에서는 제 1 홈선 (100B) 과 제 2 홈선 (200B) 사이의 영역내에 각각 형성되어, 개봉구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면 (10A) 과, 제 2 면 (10B) 에 각 홈선을 각각 배치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하여 개봉시에 개봉선 (L10A) 과 개봉선 (L10B) 이 형성된다. 먼저 앞에서 도 4 를 이용하여 서술한 바와 같이 개봉시에서 제 3 홈선 (300A) 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개봉선 (L10A) 은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의 경사에 의거하 여 제 2 홈선 (200A) 을 향하여 진행한다. 한편, 개봉시에서 제 3 홈선 (300B) 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개봉선 (L10B) 도 동일하게 하여 제 1 홈선 (100B) 을 향하여 진행한다. 다음에, 제 2 홈선 (200A) 의 형성영역에 도달한 개봉선 (L10A) 은, 제 2 홈선 (200A) 의 각 홈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의 경사에 의거하여 그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 방향전환하여 진행한다. 이것과 동시에, 제 1 홈선 (100B) 의 형성영역에 도달한 개봉선 (L10B) 도 동일하게 하여 그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 방향전환되어 진행한다.
이 때, 예컨대 제 1 면 (10A) 에 있어서, 처음에 제 3 홈선 (300A) 의 절취선의 경사를 이용하여 개봉선 (L10A) 의 진행방향을 제 3 홈선 (300A) 으로부터 제 2 홈선 (200A) 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경우에, 개봉시의 힘에 가해지는 정도에 의해 하나의 절취선에서는 개봉선 (L10A) 의 진행방향을 제 3 홈선 (300A) 으로부터 제 2 홈선 (200A) 으로 잘 향하지 않고, 개봉선 (L10A) 이 그대로 개봉방향 (L50) 으로 평행하게 진행하여도, 그 진행방향에 대하여 동렬, 또는 그 하단에 새로운 절취선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비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개봉선 (L10A) 은 그 진행방향을 제 3 홈선 (300A) 으로부터 제 2 홈선 (200A) 을 향하여 확실하게 진행하게 된다 (도 4 중, 개봉선 (L10A) 을 참조).
또 제 2 홈선 (200A) 에 도달한 개봉선 (L10A) 이, 개봉시에 힘이 가해지는 정도에 의해 하나의 절취선에서는 그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 요령있게 방향전환할 수 없고, 제 2 홈선 (200A) 의 형성영역내를 다시 하방으로 향하여 진행되어도, 동렬, 또는 그 하단에 새로운 절취선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형성 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개봉선 (L10A) 은 그 진행방향을 확실하게 개봉방향 (L50) 으로 평행하게 수정되고, 이 방향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고 진행되어 가게 된다 (도 4 중, 개봉선 (L10A) 을 참조).
동일하게, 제 2 면 (10B) 에 있어서도, 개봉선 (L10B) 도 그 진행방향을, 제 3 홈선 (300B) 및 제 1 홈선 (100B) 에 의해 컨트롤되고, 그 진행방향을 확실하게 개봉방향 (L50) 에 평행하게 수정되고, 이 방향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고 진행되어 가게 된다 (도 4 중, 개봉선 (L10B) 을 참조). 그리고, 제 1 면 (10A) 및 제 2 면 (10B) 의 쌍방에 있어서, 개봉선 (L10A) 및 개봉선 (L10B) 은 최종적으로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 평행하게 컨트롤되면서 포장용 백 (10) 을 찢어 가게 된다.
그 결과, 도 5 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용 백 (10) 의 개봉후의 개봉구 (60) 에는, 개봉선 (L10B) 을 따른 가장자리 부분 (70) 이 개봉선 (L10A) 에 대하여 돌출되고, 이 돌출부분이 개봉구 (60) 의 파지 부분 (70) 이 된다.
개봉작업에 있어서, 제 1 홈선, 제 2 홈선 및 제 3 홈선을 앞에 서술한 바와 같이 이상적으로 기능시켜 충분한 파지 부분 (70) 을 확보하기 위해, 제 1 홈선과 제 2 홈선과 제 3 홈선을 각각 구성하는 홈선의 개수, 도 4 에 나타낸 제 3 홈선의 절취선의 길이 (W300), 제 3 홈선의 절취선의 간격 (W320),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각 홈선 사이의 간격 (W310),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한 제 3 홈선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의 경사각도 (D300), 도 3 에 나타낸 제 1 홈선과 제 3 홈선의 간격 (W13), 제 2 홈선과 제 3 홈선의 간격 (W23),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의 절취선의 형상이 사용되는 복합포장재 (18) 의 강도를 고려하면서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 1 홈선과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절취선으로서 제 3 홈선과 동일하게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경사를 갖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도 4 에 나타낸 제 1 홈선의 절취선의 길이 (W100), 제 1 홈선의 절취선 사이의 간격 (W120), 제 1 홈선을 구성하는 각 홈선 사이의 간격 (W140),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한 제 1 홈선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의 경사각도 (D100), 제 2 홈선의 절취선의 길이 (W200), 제 2 홈선의 절취선 사이의 간격 (W220),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각 홈선 사이의 간격 (W240),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한 제 2 홈선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의 경사각도 (D200) 가 사용되는 복합포장재 (18) 의 강도를 고려하면서 설정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의 개수는 각각, 1∼10개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개 이다. 홈선의 개수는 10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가 번거로움과 동시에 개봉에 의해 잘려 버려지는 포장용 백의 부위가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을 상기와 같이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개봉시에 제 1 면 (10A) 및 제 2 면 (10B) 에 생기는 개봉선 (L10A) 및 개봉선 (L10B) 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부터 서서히 딴 데로 돌려 제 2 홈선 (200A) 및 제 1 홈선 (100B) 에 의해 확실하게 향할 수 있고, 개봉작업을 보다 확실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특히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의 개수가 2∼4개인 경우는, 제 3 홈선의 형성영역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개봉후의 포장용 백 (10) 에 충분한 파지 부분 (70) 이 형성됨과 동시에, 개봉선 (L10A) 및 개봉선 (L10B) 이 요철없이 수평으로 깨끗하게 형성되므로, 개봉후의 개봉구의 미관도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한 제 3 홈선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의 경사각도 (D300) 는 25∼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개봉시에 개봉선 (L10A) 및 개봉선 (L10B) 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부터 제 1 홈선 (100B) 또는 제 2 홈선 (200A) 의 방향을 향하여 보다 원활하게 딴 데로 돌릴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경사각도 (D300) 가 25°미만이면, 개봉선 (L10A) 및 개봉선 (L10B) 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부터 제 1 홈선 (100B) 또는 제 2 홈선 (200A) 의 방향쪽으로 돌릴 때에, 경사각도가 작기 때문에 제 1 홈선 (100B) 또는 제 2 홈선 (200A) 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개봉선의 실효적인 거리가 길어진다. 그 결과, 개봉후의 포장용 백 (10) 의 개봉구 (60) 에 생기는 파지 부분 (70) 의 크기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커진다. 한편, 상기 경사각도 (D300) 가 45°를 초과하면, 개봉선 (L10A) 및 개봉선 (L10B) 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부터 제 1 홈선 (100B) 또는 제 2 홈선 (200A) 의 방향쪽으로 벗어날 때에, 경사각도가 크기 때문에 홈선의 하나의 절취선에 가해지는 개봉시의 힘이 커지므로 개봉선 (L10A) 및 개봉선 (L10B) 의 요철이나 균열이 생기기 쉬워진다. 그 결과, 개봉후의 포장용 백 (10) 의 개봉구 (60) 및 파지 부분 (70) 의 미관이 손상되는 경향이 커진다.
또한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의 개수는 각각, 1∼10개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개이다. 홈선의 개수가,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가 번거로움과 동시에 개봉에 의해 잘려 버려진 포장용 백의 부위가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 상기와 같이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을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개봉시에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부터 딴 데로 돌려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을 향하여 진행되어 오는 개봉선을 이들 제 1 홈선 또는 제 2 홈선의 형성영역내에서 더욱 외부로 진행시키지 않고 보다 확실하게 트랩하고, 이어서, 개봉선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의해 확실하게 다시 방향전환할 수 있다. 특히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의 개수가 2∼4개인 경우는, 개봉후의 포장용 백 (10) 에 충분한 파지 부분 (70) 이 형성됨과 동시에, 개봉선 (L10A) 및 개봉선 (L10B) 이 요철없이 수평으로 깨끗하게 형성되므로, 개봉후의 개봉구의 미관도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한 제 1 홈선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의 경사각도 (D100) 는, 25∼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개봉시에 제 1 홈선 (100B) 의 형성영역내를 진행하는 개봉선 (L10B) 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을 향하여 보다 원활하게 방향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 1 면 (10A) 및 제 2 면 (10B) 에 형성되는 각 제 1 홈선 및 제 3 홈선의 경사가 본 실시형태와 반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제 1 면 (10A) 에서 개봉선 (L10A) 과 제 1 홈선 (100A) 사이에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경사각도 (D100) 가 25°미만이면, 제 3 홈선 (300B) 으로부터 제 1 홈선 (100B) 을 향하여 진행되어 오는 개봉선 (L10B) 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 방향전환할 때에, 경사각도가 작기 때문에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평행해질 때까지 걸리는 개봉선의 실효적인 거리가 길어진다. 그 결과, 개봉후의 포장용 백 (10) 의 개봉구 (60) 에 생기는 파지 부분 (70) 의 크기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커진다. 한편, 상기 경사각도 (D100) 가 45°를 초과하면, 제 2 면 (10B) 의 제 3 홈선 (300B) 으로부터 제 1 홈선 (100B) 을 향하여 진행되어 오는 개봉선 (L10B) 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 방향전환할 때에, 경사각도가 크기 때문에 홈선의 하나의 절취선에 가해지는 개봉시의 힘이 커지므로 개봉후의 개봉선 (L10A) 이 깨끗한 수평선이 아니라 현저한 요철이나 불필요한 파단선이 생기기 쉬워진다. 그 결과, 개봉후의 포장용 백 (10) 의 개봉구 (60) 및 파지 부분 (70) 의 미관이 손상되고 또한 파지 부분 (70) 이 형성됨에도 관계없이 불필요한 파단선때문에 손가락으로 쥐기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커진다.
또한 제 1 면 (10A) 및 제 2 면 (10B) 에 형성되는 각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의 경사가 본 실시형태와 반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경사각도 (D100) 가 25°미만일 때, 및 상기 경사각도 (D100) 가 45°를 초과할 때에는, 제 1 면 (10A) 에서 개봉선 (L10A) 과 제 1 홈선 (100A) 의 사이에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한 제 2 홈선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의 경사각 도 (D200) 도 25∼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개봉시에 개봉선 (L10A) 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을 향하여 보다 원활하게 방향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 1 면 (10A) 및 제 2 면 (10B) 에 형성되는 각 제 2 홈선 및 제 3 홈선의 경사가 본 실시형태와 반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 2 면 (10B) 에서 개봉선 (L10B) 과 제 2 홈선 (200B) 사이에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경사각도 (D200) 가 25° 미만이면, 제 3 홈선 (300A) 으로부터 제 2 홈선 (200A) 을 향하여 진행되어 오는 개봉선 (L10A) 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 방향전환할 때에, 경사각도가 작기 때문에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평행해질 때까지 걸리는 개봉선의 실효적인 거리가 길어진다. 그 결과, 개봉후의 포장용 백 (10) 의 개봉구 (60) 에 생기는 파지 부분 (70) 의 크기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커진다. 한편, 상기 경사각도 (D200) 가 45°를 초과하면, 제 3 홈선 (300A) 으로부터 제 2 홈선 (200A) 을 향하여 진행되어 오는 개봉선 (L10A) 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 방향전환할 때에, 경사각도가 크기 때문에 홈선의 하나의 절취선에 가해지는 힘이 커지므로 개봉후의 개봉선 (L10A) 이 깨끗한 수평선이 아니라 현저한 요철이나 불필요한 파단선이 생기기 쉬워진다. 그 결과, 개봉후의 포장용 백 (10) 의 개봉구 (60) 및 파지 부분 (70) 의 미관이 손상되고 또한 파지 부분 (70) 이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파단선 때문에 손가락으로 잡기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커진다.
또한 제 1 면 (10A) 및 제 2 면 (10B) 에 형성되는 각 제 2 홈선 및 각 제 3 홈선의 경사가 본 실시형태와 반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경사각도 (D200) 가 25°미만일 때, 및 상기 경사각도 (D200) 가 45°를 초과할 때에는, 제 2 면 (10B) 에서 개봉선 (L10B) 과 제 2 홈선 (200B) 의 사이에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제 1 홈선과 제 3 홈선의 간격 (W13) 과, 제 2 홈선과 제 3 홈선의 간격 (W23) 은, 사용조건에 따라 제로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홈선, 제 2 홈선, 제 3 홈선을 형성하는 스페이스를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노치 (50) 는 개봉시의 개봉 개시점이 된다. 따라서, 유효한 개봉이 가능한 위치, 즉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 1 면 (10A) 의 제 3 홈선 (300A) 과 제 2 면 (10B) 의 제 3 홈선 (300B) 이 유효하게 기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관점에서 노치 (50) 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면 (10A) 의 제 3 홈선 (300A) 의 끝단부와 제 2 면 (10B) 의 제 3 홈선 (300B) 의 끝단부를 포함하는 시일 부분 (10a) 및 시일 부분 (10b) 의 영역 (R50)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3 홈선 (300A) 을 구성하는 홈선 중에서 중앙부에 위치하는 홈선 (340A) 의 끝단부와, 제 3 홈선 (300B) 을 구성하는 홈선 중에서 중앙부에 위치하는 홈선 (340B) 의 끝단부를 포함하는 영역 (R50) 내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이외의 부위에 노치 (50) 를 형성하여 개봉을 개시한 경우, 각 개봉선 (L10A 과 L10B) 이, 제 3 홈선 (300A) 및 제 3 홈선 (300B) 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없게 되어, 각각 형성되어야 하는 제 1 홈선 (100B) 과 제 2 홈선 (200A) 의 영역내에 각각 유효하게 진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치 (50) 는, 제 3 홈선 (300A) 을 구성하는 홈선 (340A) 과 제 3 홈선 (300B) 을 구성하는 홈선 (340B) 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복합포장재 (18) 의 시일 부분 (10a) 및 시일 부분 (10b) 을 절단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개봉작업에서 제 3 홈선 (300A) 및 제 3 홈선 (300B) 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개봉을 개시할 수 있다. 또 이 노치 (50) 의 홈의 깊이는, 개봉전의 포장용 백 (10) 의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시일 부분 (10a) 및 시일 부분 (10b) 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노치 (50)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소위 I노치, V노치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백 (10) 에 있어서는,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제 3 홈선 (300A) 및 제 3 홈선 (300B) 의 절취선의 경사가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개봉후에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면 (10B) 의 제 1 홈선 (100B) 을 구성하는 홈선 중 어느 하나 (도 5 및 도 6 에서는 홈선 (140B)) 에 생기는 개봉선 (L10B) 을 따르는 가장자리 부분 (70) 이, 제 1 면 (10A) 의 제 2 홈선 (200A) 을 구성하는 홈선 중 어느 하나 (도 5 및 도 6 에서는 홈선 (220A)) 에 생기는 개봉선 (L10A) 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파지 부분 (70) 이 되어 개봉구 (60) 의 개폐에 사용된다.
또, 개봉의 개시방향 (S50) 은, 도 1 및 도 3 에서는 제 2 면 (10B) 으로부터 제 1 면 (10A) 의 방향으로 돌아가는 방향을 나타내지만,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백 (10) 에서는, 개봉의 개시방향 (S50) 을 반대방향으로 해도 되고, 어느 방향으로 돌아가도 개봉후의 개봉구 (60) 에 확실하게 파지 부분 (70) 을 형성할 수 있다.
플라스틱 파스너 (40)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부 (40A) 가 제 1 면 (10A) 의 내측의 플라스틱 필름층 (14) 상에 설치되어 있고, 암부 (40B) 는 수부 (40A) 에 대향하도록 제 2 면 (20B) 의 내측의 플라스틱 필름층 (14)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플라스틱 파스너 (40) 의 수부 (40A) 와 암부 (40B) 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포장용 백 (10) 의 개봉후에도 포장용 백 (10) 내에 남은 미사용의 피포장물을 원하는 밀봉상태로 유지해 둘 수 있다.
또 포장용 백에 수납되는 피포장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개봉후에 미사용물을 밀봉보존하는 것과 그 미사용물을 필요할 때에 용이하게 꺼내는 것이 요구되는 피포장물에 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예컨대 시프제, 테이프제를 포함하는 의약품, 식료품, 화장품, 토일리트리, 봉투 등의 피포장물에 적합하다.
이하 도 1 ∼ 도 6 에 의거하여 도 1 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백 (10) 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용 백 (10) 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를 가볍게 쥐고, 개봉개시방향 (S50) 의 방향으로 비트는 것처럼 하여 개봉을 시작한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용 백 (10) 을 노치 (50) 로부터 개봉을 개시하면, 제 3 홈선 (300A) 및 제 3 홈선 (300B) 의 절취선의 경사에 의거하여 제 1 면 (10A) 을 향하는 개봉선 (L10A) 과 제 2 면 (10B) 을 향하는 개봉선 (L10B) 으로 분기된다. 그 후, 이 개봉선 (L10A) 과 개봉선 (L10B) 은, 개봉을 위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 1 면 (10A) 의 제 2 홈선 (200A) 및 제 2 면 (10B) 의 제 1 홈선 (100B) 을 향하여 각각 진행한다.
그 후, 제 1 면 (10A) 의 제 2 홈선 (200A) 의 형성부위 및 제 2 면 (10B) 의 제 1 홈선 (100B) 의 형성부위에 각각 도달한 개봉선 (L10A) 과 개봉선 (L10B) 은, 제 2 홈선 (200A) 및 제 1 홈선 (100B) 의 절취선의 경사의 기능에 의해, 각각 원하는 개봉방향 (L50) 의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서서히 컨트롤되고, 마침내 노치 (50) 에 대향하는 포장용 백 (10) 의 가장자리에 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장용 백 (10) 의 개봉작업을 그다지 주의하지 않고 원활하게, 그리고 깨끗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개봉후의 개봉구 (60) 에 형성된 파지 부분 (70) 을 손가락으로 쥠으로써, 개봉후에도 용이하게 포장용 백 (10) 을 개폐할 수 있다. 예컨대 고령자나 어린이 등의 손가락 끝으로 요령있는 작업을 잘 실행할 수 없는 사용자라도 파지 부분 (70) 을 쥠으로써 용이하게 포장용 백 (10) 의 개폐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 플라스틱 파스너 (40) 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미사용 피포장물도 품질을 열화시키지 않고 밀봉상태로 보존해 둘 수 있다.
또한 이 포장용 백 (10) 은,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홈선을 동일한 패 턴으로 형성한 2장의 복합포장재 (18) 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매우 생산성이 높다.
도 7 은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 은 도 7 의 포장용 백을 개봉할 때에 제 1 홈선과 제 2 홈선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실제의 개봉선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 에 나타낸 포장용 백 (11) 은, 도 1 ∼ 도 3 에 나타낸 포장용 백 (10) 의 구성에 대하여 제 3 홈선,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의 배치조건이 다음의 점에서 다른 것이다.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용 백 (11) 의 제 1 면 (10A) 에 형성된 제 3 홈선 (300A) 은,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경사각도 (D300) 를 갖는 8개의 홈선 (320A, 330A, 340A, 350A, 360A, 370A, 380A, 390A)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포장용 백 (11) 의 경우에는, 제 3 홈선 (300A) 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의 경사에 의해, 개봉선 (L10A) 은 하방의 제 2 홈선 (200A) 의 방향으로 유도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 3 홈선 (300A) 을 구성하는 8개의 홈선은, 홈선 (320A, 340A, 360A, 380A) 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세트와, 330A, 350A, 370A, 390A 로 이루어지는 제 2 세트가, 원하는 개봉방향 (L50) 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W340) 과,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W360) 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세트의 홈선의 절취선과 제 2 세트의 홈선의 절취선의 상대적 인 배치관계는, 제 1 세트의 홈선의 절취선을 그 경사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해 가면, 제 2 세트의 홈선 중 어느 하나의 절취선에 겹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도 8 에서, 노치 (50) 에 접촉하고 있는 제 1 면 (10A) 상의 제 3 홈선 (300A) 의 제 1 세트에 속하는 홈선 (360A) 의 절취선에 착안하여, 이 절취선을 그 경사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해 가면, 제 2 세트에 속하는 홈선 (390A) 의 절취선에 겹쳐진다. 이와 같이, 제 1 세트의 홈선의 절취선과 제 2 세트의 홈선의 절취선의 상대적인 배치관계를 설정함으로써, 개봉선 (L10A) 을 보다 확실하게 하방의 제 2 홈선 (200A) 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 제 1 세트의 홈선의 절취선과 제 2 세트의 홈선의 절취선은 원하는 개봉방향 (L50) 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W340) 을 갖고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개봉개시시직후에서 개봉선 (L10A) 이 하방의 제 2 홈선 (200A) 을 향하여 원활하게 진행하지 않고, 예컨대 제 3 홈선 (300A) 의 제 1 세트의 형성영역내를 원하는 개봉방향 (L50) 을 따라 진행되는 경우에도, 개봉선 (L10A) 은 개봉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제 2 세트의 홈선의 절취선, 또는 이 제 2 세트에 더욱 인접하는 제 1 세트의 홈선의 절취선에 확실하게 트랩되어, 그 진행방향을 하방의 제 2 홈선 (200A) 을 향하여 방향전환된다.
이와 같이, 개봉선 (L10A) 을 제 2 홈선 (200A) 에 의해 확실하게 유도하면, 제 3 홈선 (300A) 의 제 1 세트의 형성영역내를 원하는 개봉방향 (L50) 을 따라 진행되는 개봉선 (L10A) 을 보다 확실하게 트랩한다는 관점에서, 각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각도 (D300) 와, 각 홈선의 절취선의 폭 (W300) 과, 앞에 서술한 제 1 세트의 홈선과 제 2 세트의 홈선의 소정의 간격 (W340 및 W360) 이 적절히 조절된다.
한편, 포장용 백 (11) 의 제 2 면 (10B) 에 형성된 제 3 홈선 (300B) 은,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하여 경사각도 (D300) 를 갖는 8개의 홈선 (320B, 330B, 340B, 350B, 360B, 370B, 380B, 390B)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포장용 백 (11) 경우에는, 제 3 홈선 (300B) 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의 경사에 의해, 개봉선 (L10B) 은 상방의 제 1 홈선 (100B) 의 방향으로 유도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 3 홈선 (300B) 을 구성하는 8개의 홈선은, 홈선 (320B, 340B, 360B, 380B) 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세트와, 홈선 (330B, 350B, 370B, 390B) 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세트가, 원하는 개봉방향 (L50) 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W340) 과,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W360) 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앞에 서술한 개봉선 (L10A) 과 동일한 관점에서, 각 홈선의 경사각도 (D300) 와, 각 홈선의 절취선의 폭 (W300) 과, 앞에 서술한 제 1 세트의 홈선과 제 2 세트의 홈선의 소정의 간격 (W340 및 W360) 이 적절히 조절된다.
또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용 백 (11) 의 제 1 면 (10A) 에 형성된 제 1 홈선 (100A) 및 제 2 홈선 (200A) 은, 앞에 서술한 바와 같이 제 3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에 대하여 반대의 경사 (D200 및 D100) 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홈선 (100A) 및 제 2 홈선 (200A) 은, 2개의 절취선을 1세트로 하는 절취선의 세트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1개의 홈선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이 포장용 백 (11) 의 제 1 면 (10A) 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 3 홈선 (300A) 의 절취선 경사 설정에 의해, 실제의 개봉시에 이용되는 것은 제 2 홈선 (200A) 이다.
제 2 홈선 (200A) 은, 제 3 홈선 (300A) 에 대하여 거의 간극없이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3 홈선 (300A) 에 대하여 제 2 홈선 (200A) 은, 제 3 홈선 (300A) 의 홈선의 절취선을 그 경사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한 경우에, 그 직선이 제 2 홈선 (200A) 의 2개의 절취선을 1세트로 하는 절취선의 세트를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도 8 에 있어서, 노치 (50) 에 접촉하고 있는 제 1 면 (10A) 상의 제 3 홈선 (300A) 의 제 1 세트에 속하는 홈선 (360A) 의 절취선에 착안하면, 이 절취선을 그 경사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해 가면, 제 2 세트에 속하는 홈선 (390A) 의 절취선에 겹쳐진다. 또한 홈선 (390A) 의 절취선을 그 경사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해 가면, 그 직선은 제 2 홈선 (200A) 의 2개의 절취선을 1세트로 하는 절취선의 세트를 횡단한다.
이와 같은 제 2 홈선 (200A) 을 제 3 홈선 (300A) 에 대하여 배치함으로써, 제 3 홈선 (300A) 으로부터 하방으로 유도되어 오는 개봉선 (L10A) 을 보다 확실하게 트랩하고, 이어서,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 확실하게 방향전환할 수 있다. 또 제 2 홈선 (200A) 은 1개의 홈선만으로 구성할 수 있고, 홈선을 형성하는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보다 적은 개수의 홈선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홈선 (200A) 을 사용하여, 상기 개봉선 (L10A) 의 트랩과 방향전환을 보다 확실하게 실행하는 관점에서, 제 2 홈선 (200A) 의 경사각도 (D200) 와, 제 2 홈선 (200A) 의 절취선의 폭 (W200) 과, 제 2 홈선 (200A) 의 절취선의 세트 사이의 간격 (W220) 와, 제 2 홈선 (200A) 의 절취선의 세트를 구성하는 2개의 절취선 사이의 간격 (W240) 이 적절히 조절된다.
또한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용 백 (11) 의 제 2 면 (10B) 에 형성된 제 1 홈선 (100B) 및 제 2 홈선 (200B) 은, 앞에 서술한 바와 같이 제 3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에 대하여 반대의 경사 (D200 및 D100) 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홈선 (100B) 및 제 2 홈선 (200B) 은, 2개의 절취선을 1세트로 하는 절취선의 세트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1개의 홈선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이 포장용 백 (11) 의 제 2 면 (10B) 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 3 홈선 (300B) 의 절취선의 경사의 설정에 의해, 실제의 개봉시에 이용되는 것은 제 1 홈선 (100B) 이다.
제 1 면 (10A) 의 제 2 홈선 (200A) 과 동일하게, 제 2 면 (10B) 의 제 1 홈선 (100B) 은, 제 3 홈선 (300B) 에 대하여 거의 간극없이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3 홈선 (300B) 에 대하여 제 1 홈선 (100B) 은, 제 3 홈선 (300B) 의 홈선의 절취선을 그 경사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한 경우에, 그 직선이 제 1 홈선 (100B) 의 2개의 절취선을 1세트로 하는 절취선의 세트를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개봉선 (L10B) 을 보다 확실하게 트랩하고, 이어서 원하는 개봉방향 (L50) 으로 확실하게 방향전환할 수 있다. 또 제 1 홈선 (100B) 은 1개의 홈선만으로 구성할 수 있어, 홈선을 형성하는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보다 적은 개수의 홈선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홈선 (100B) 을 사용하여, 상기 개봉선 (L10B) 의 트랩과 방향전환을 보다 확실하게 실행하는 관점에서, 제 1 홈선 (100B) 의 경사각도 (D200) 와, 제 1 홈선 (100B) 의 절취선의 폭 (W100) 과, 제 1 홈선 (100B) 의 절취선의 세트 사이의 간격 (W120) 과, 제 1 홈선 (100B) 의 절취선의 세트를 구성하는 2개의 절취선 사이의 간격 (W140) 이 적절히 조절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는데, 본 발명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포장용 백에 있어서, 제 1 홈선과 제 2 홈선의 형상은, 개봉선이 개봉시에 홈선 부분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원하는 개봉방향으로부터 일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직선상의 형상이어도 되고,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봉선형상의 형상이어도 되며, 또한 변형 재봉선형상의 형상이어도 된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봉후에 생기는 파지 부분의 가장자리부가 되는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을 직선상 또는 재봉선형상의 절취선 가공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개봉후의 개봉선을 직선적으로 깨끗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은, 사용하는 포장재의 재질 등에 의해 원하는 개봉방향으로 비교적 개봉하기 쉬운 포장용 백의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도 9 및 도 10 에서는, 제 1 홈선과 제 2 홈선의 수를 2개로 하고 있으나, 이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경우에도 제 1 홈선과 제 2 홈선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1∼10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 및 도 10 에서는, 제 3 홈선으로서 앞에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의 제 1 실시형태의 설명에 사용한 형상의 홈선을 사용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의 제 2 실시형태 의 설명에 사용한 제 3 홈선을 대신 사용해도 된다.
또 「변형 재봉선형상」이란, 실용신안등록 제2566444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대략 ハ자형, 대략 Y자형, 대략く자형, 대략 원호형상의 절취선이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예컨대 대략 ハ자형의 절취선이란, 2개의 재봉선형상의 절취선을 쌍으로 하여 대략 ハ자형을 이루도록 경사시켜 형성한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원하는 찢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ハ자형의 절취선이 넓어진 측을 향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런 대략 ハ자형의 절취선이 넓어진 측으로부터 들어가는 실제의 개봉선은, 절취선이 좁혀진 측으로부터 나오게 되어, 원하는 찢는 방향으로 수렴하도록 컨트롤되게 된다. 또한 제 1 홈선과 제 2 홈선의 형상을 대략 ハ자형의 홈선으로 하는 경우에는, 대략 ハ자형의 홈선의 ハ자의 절취선은, 개봉방향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지 않고, 서로 어긋나게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 1 면과 제 2 면에 형성되는 제 1 홈선과 제 2 홈선은, 앞에 서술한 바와 같이 개봉선이 원하는 개봉방향으로부터 일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동일한 제 1 면과 제 2 면의 면 상에서 서로 비평행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 1 면과 제 2 면에 대한 플라스틱 파스너의 수부와 암부의 배치는 상기 실시형태의 포장용 백에서의 배치와 반대이어도 된다.
또 복합포장재를 구성하는 홈선이 형성된 층은, 복합포장재의 가장 외측에 적층되지 않고 내부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복합포장재를 구성하는 각 층의 적층의 순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 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홈선이 형성된 층으로 플라스틱 필름층을 가장 외측에 적층하여도 된다.
또 여기에서는 포장용 백을 형성하는 포장재로서 4층 구조를 갖는 복합포장재를 사용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은, 피포장물과 그 보존의 조건에 따라 층의 수 및 층을 구성하는 재질이 적절히 선택가능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단일층의 포장재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사방 시일의 형태의 포장용 백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의 형태는, 이런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삼방 시일의 형태이어도 된다.
또 여기에서는 노치를 형성한 형태의 포장용 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노치를 형성하지 않은 형태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의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포장용 백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설명할 때에, 설명의 편의상, 도 7 및 도 8 에 나타낸 포장용 백 (11) 의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기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직사각형의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 (4층을 합한 두께 ; 100㎛) 으로 외측부터 종이, 플라스틱 필름 (폴리에틸렌), 알루미늄박, 플라스틱필름의 4층으로 적층한 것을 2장 제작하여 각각 제 1 면 (10A) 및 제 2 면 (10B) 으로 하였다. 다음에, 이 포장용 백의 제 1 면 (10A) 과 제 2 면 (10B) 에 도 7 및 도 8 에 나타낸 포장용 백 (11) 과 동일한 형상의 절취선을 갖고 또한 동일한 개수의 홈선으로 구성된 제 1 홈선, 제 2 홈선 및 제 3 홈선을 형성하였다.
즉, 제 3 홈선은, 제 1 면 (10A) 및 제 2 면 (10B) 모두 도 7 및 도 8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8개의 홈선으로 구성하였다. 또 이들 8개의 홈선에 대해서는, 각 홈선의 절취선의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한 경사각도 (D300 ; 40°), 각 홈선의 절취선의 폭 (W300 ; 1.2㎜), 제 1 세트의 홈선과 제 2 세트의 홈선의 원하는 개봉방향 (L50) 의 방향에 대한 소정의 간격 (W340 ; 0.46㎜), 제 1 세트의 홈선과 제 2 세트의 홈선의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소정의 간격 (W360 ; 0.39㎜) 로 하였다.
또 도 8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하여 제 1 면 (10A) 및 제 2 면 (10B) 에 형성한 제 2 홈선에 대하여,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절취선의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한 경사각도 (D200 ; 35°), 제 2 홈선의 절취선의 폭 (W200 ; 1.5㎜), 제 2 홈선의 절취선의 세트 사이의 간격 (W220 ; 1.84㎜), 제 2 홈선의 절취선의 세트를 구성하는 2개의 절취선 사이의 간격 (W240 ; 0.92㎜) 으로 하였다.
또한 도 8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하여 제 1 면 (10A) 및 제 2 면 (10B) 에 형성한 제 1 홈선에 대하여, 제 1 홈선을 구성하는 절취선의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대한 경사각도 (D100 ; 35°), 제 1 홈선의 절취선의 폭 (W100 ; 1.5㎜), 제 1 홈선의 절취선의 세트 사이의 간격 (W120 ; 1.84㎜), 제 1 홈선의 절취선의 세트를 구성하는 2개의 절취선 사이의 간격 (W140 ; 0.92㎜) 으로 하였다.
또 상기와 같이 각 홈선을 형성한 결과, 제 3 홈선 전체의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폭 ; 3.47㎜, 제 2 홈선 전체의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폭 ; 0.86㎜, 제 1 홈선 전체의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폭 ; 0.86㎜, 제 3 홈선, 제 2 홈선 및 제 1 홈선을 합한 홈선 형성영역의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폭 ; 5.19㎜ 가 되었다.
또한 제 1 홈선의 하방부에는 플라스틱 파스너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2장의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을 겹쳐 그 4 둘레를 시일하여 사방 시일의 형태를 갖는 포장용 백을 제작하였다. 또한 그 내부에는 피포장물로서, 시프제를 수납하였다.
(실시예 2)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을 6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용 백을 제작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제 3 홈선을 형성한 결과, 제 3 홈선 전체의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폭 ; 2.70㎜, 제 3 홈선, 제 2 홈선 및 제 1 홈선을 합한 홈선 형성영역의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폭 ; 4.42㎜ 가 되었다.
(실시예 3)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을 10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용 백을 제작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제 3 홈선을 형성한 결과, 제 3 홈선 전체의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폭 ; 4.24㎜, 제 3 홈선, 제 2 홈선 및 제 1 홈선을 합한 홈선 형성영역의 원하는 개봉방향 (L50) 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폭 ; 5.96㎜ 가 되었다.
(비교예 1)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홈선을 1개로 하고, 제 1 홈선과 제 2 홈선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용 백을 제작하였다.
[개봉후에 있어서의 개봉구 개폐의 용이성 평가시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에 나타낸 샘플을 10명의 사용자에게 각각 1장씩 배포하여 제 3 홈선 부분의 끝단에서 개봉하게 하여, 이들 샘플의 개봉후에 생기는 개봉구의 개폐에 대하여, 개봉후에 생기는 파지 부분의 파지 용이함을 비교함으로써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얻었다.
이들 샘플의 시험결과를, 개봉후에 있어서의 개봉구의 개폐의 용이성 및 미관에 대하여 3 ; 제 1 홈선과 제 2 홈선 사이의 부위에 생기는 개봉선이 거의 수평으로 깨끗하게 찢어져, 파지 부분이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어 손가락으로 쥐기 쉬움, 2 ; 제 1 홈선과 제 2 홈선 사이의 부위에 생기는 개봉선의 간격이 작아, 파지 부분이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약간 손각락으로 쥐기 어려움, 1 ; 개봉선이 완전히 일치되어 있어 파지 부분이 전혀 형성되지 않아 매우 손가락으로 쥐기 어렵다는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표 1 에 나타낸다.
개봉후에 있어서의 개봉구의 개폐의 용이성
실시예1 3
실시예2 3
실시예3 3
비교예1 1

표 1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1∼3 의 본 발명의 포장용 백은, 제 3 홈선의 절취선의 경사가 유효하게 이용되어 제 1 면과 제 2 면에 생기는 개봉선에 적절한 단차가 생기고, 또한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에 의해 개봉선이 원하는 개봉방향으로 평행하게 깨끗하게 형성되므로, 개봉후에서 개봉구부에 파지 부분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손가락 끝으로 이 파지 부분을 쥘 수 있고, 개봉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용 백에 의하면, 제 1 홈선과 제 2 홈선 사이에 배치된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재봉선형상 절취선의 경사에 의거하여, 개봉후의 포장용 백을 개봉구에서 적절한 파지 부분이 형성되게 되고, 이 파지 부분을 용이하게 손가락으로 쥘 수 있게 된다. 또, 제 1 홈선, 제 2 홈선 및 제 3 홈선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제 1 홈선, 제 2 홈선, 및 제 3 홈선을 형성한 포장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개봉작업이 용이하며, 개봉후의 개봉구 개폐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포장용 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포장용 백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 1 홈선 및 제 2 홈선, 그리고 상기 제 1 홈선과 제 2 홈선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갖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에 의해 구성된 제 3 홈선이,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면에 형성된 상기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상기 제 2 면에 형성된 상기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상기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홈선이 1∼10개의 홈선으로 이루어지는 집합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상기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25∼4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선, 상기 제 2 홈선, 또는 상기 제 1 홈선과 제 2 홈선이, 1∼10개의 홈선으로 이루어지는 집합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선 및 상기 제 2 홈선이 각각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갖는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홈선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이 제 1 면에 형성된 상기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상기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홈선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이 제 2 면에 형성된 상기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상기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면에 형성된 상기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이 제 1 면에 형성된 상기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상기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면에 형성된 상기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과, 이 제 2 면에 형성된 상기 제 3 홈선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상기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선 및 상기 제 2 홈선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재봉선형상 절취선이 각각, 상기 소정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25∼4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백.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홈선의 끝단부에 형성된 개봉용 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백.
  8. 제 1 항에 있어서, 개봉후의 개봉구를 밀봉하는 시일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백.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백이, 피포장물을 기밀상태에서 안정하게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밀폐층과, 상기 제 1 홈선, 상기 제 2 홈선 및 상기 제 3 홈선을 갖는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복합포장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백.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층이 알루미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백.
KR1020027010764A 2000-02-22 2001-02-22 포장용 백 KR100690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44594 2000-02-22
JP2000044594 2000-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179A KR20020097179A (ko) 2002-12-31
KR100690216B1 true KR100690216B1 (ko) 2007-03-12

Family

ID=1856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764A KR100690216B1 (ko) 2000-02-22 2001-02-22 포장용 백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64520B1 (ko)
EP (1) EP1270430B1 (ko)
JP (1) JP4648605B2 (ko)
KR (1) KR100690216B1 (ko)
CN (1) CN1164458C (ko)
AU (1) AU2001234118A1 (ko)
BR (1) BR0108597A (ko)
CA (1) CA2402724C (ko)
WO (1) WO20010626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243B1 (ko) * 2008-12-31 2013-02-04 크래프트 푸즈 그룹 브랜즈 엘엘씨 다중 개방 구성을 구비한 가요성 포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2216B2 (en) * 2004-04-13 2013-10-22 Pac Worldwide Corporation Tear away opening for multi-layer plastic pack
US8459449B2 (en) * 2005-06-01 2013-06-11 International Paper Company Easy-opening carton for shipping and storing cut paper
US7798317B2 (en) * 2005-06-01 2010-09-21 International Paper Company Reamed paper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JP4917362B2 (ja) * 2006-06-15 2012-04-18 共同印刷株式会社 包装袋
WO2008019385A1 (en) * 2006-08-08 2008-02-14 Kellogg Company Flexible container for pourable product
CN200964217Y (zh) * 2006-09-22 2007-10-24 孙胜斌 包装袋
US7637169B2 (en) * 2008-01-25 2009-12-29 Rosemount, Inc. Flangeless magnetic flowmeter with integrated retention collar, valve seat and liner protector
JP4824075B2 (ja) * 2008-12-05 2011-11-24 共同印刷株式会社 包装袋
DE202009000302U1 (de) * 2009-01-10 2009-03-19 Nordenia Deutschland Halle Gmbh Folienverpackung
DE102009043360A1 (de) * 2009-09-29 2011-05-05 Nordenia Technologies Gmbh Aufreißverpackung
EP2601114B1 (en) * 2010-08-06 2017-10-11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ivacy protection packet for holding security devices
US20120213456A1 (en) * 2011-02-17 2012-08-23 Shinichiro Sugiyama Opening Means in Pillow Package Bag Provided with Easy Unsealing Means
CN102689730B (zh) * 2011-03-23 2016-01-13 富士特殊纸业株式会社 带易开封装置的枕头包装袋中的打开装置
DE202011051309U1 (de) * 2011-09-15 2012-12-17 Cofresco Frischhalteprodukte Gmbh & Co. Kg Beutel für die Aufbewahrung und Zubereitung von Lebensmitteln
US8876383B2 (en) 2012-04-09 2014-11-04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Flexible packages having multiple 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JP6126886B2 (ja) * 2013-03-28 2017-05-10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嵌合具付き袋体
JP6234209B2 (ja) * 2013-12-18 2017-11-22 花王株式会社 包装体
JP6656878B2 (ja) * 2015-10-23 2020-03-04 株式会社細川洋行 包装袋及び包装袋の製造方法
ITUB20155356A1 (it) * 2015-10-30 2017-04-30 Simone Abate Sacchetto per conservare prodotti sottovuoto e metodo per la sua realizzazione.
JP6649776B2 (ja) * 2016-01-18 2020-02-19 株式会社メイワパックス 包装袋
DE102016102691A1 (de) * 2016-02-16 2017-08-17 Mondi Ag Folienverpackung sowie Verfahren zum Verpacken eines Produktes in einer Folienverpackung
JP2017218217A (ja) * 2016-06-10 2017-12-14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袋
CN106395104A (zh) * 2016-10-27 2017-02-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包装袋
WO2019176291A1 (ja) * 2018-03-12 2019-09-19 ソニー株式会社 包装用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包装体並びにフィルム包装方法
JP7261035B2 (ja) * 2018-03-13 2023-04-19 スター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袋体用フィルム及び包装用袋体
USD896634S1 (en) 2019-01-29 2020-09-22 Golden State Foods Corp. Container
USD896633S1 (en) 2019-01-29 2020-09-22 Golden State Foods Corp. Container
WO2022030401A1 (ja) * 2020-08-04 2022-02-10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袋、及び包装体
US20230143914A1 (en) * 2021-11-08 2023-05-11 Peel Plastic Products Limited Bag with tear line and notch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6090A (en) * 1923-03-28 1924-11-18 Benjamin L Gary Carton
US2117738A (en) * 1934-11-27 1938-05-17 Ver Deutsche Metallwerke Ag Packing for perishable victuals
US2967010A (en) * 1958-03-21 1961-01-03 Kimberly Clark Co Cellulosic product
US3146912A (en) * 1962-05-14 1964-09-01 Louis S Twersky Package opening means
US3514032A (en) * 1968-05-08 1970-05-26 Mead Corp Top opening carton
US3451539A (en) * 1968-08-07 1969-06-24 Hoerner Waldorf Corp Circular type disc
US4008849A (en) * 1976-05-14 1977-02-22 Boise Cascade Corporation Bidirectional tear strip means for cartons and the like
JP2566444B2 (ja) 1988-05-30 1996-12-25 北海製罐株式会社 複合管状体の成形方法
JPH0618899Y2 (ja) * 1988-09-29 1994-05-18 株式会社細川洋行 レトルト食品用包装袋
JP2566444Y2 (ja) * 1990-11-30 1998-03-25 岡田紙工株式会社 包装袋
JPH04106400U (ja) * 1991-02-15 1992-09-14 富士夫 中島 ミシン切離し目の切れ込みあるいは穿孔用パターン
JPH0735365A (ja) 1993-07-20 1995-02-07 Mitsubishi Heavy Ind Ltd 空調風吹出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JPH08133301A (ja) * 1994-09-12 1996-05-28 Nakamura Seitai Kk 封 筒
JPH08324597A (ja) * 1995-05-31 1996-1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開封用切込および包装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243B1 (ko) * 2008-12-31 2013-02-04 크래프트 푸즈 그룹 브랜즈 엘엘씨 다중 개방 구성을 구비한 가요성 포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02724C (en) 2008-02-19
BR0108597A (pt) 2003-03-18
EP1270430A1 (en) 2003-01-02
JP4648605B2 (ja) 2011-03-09
EP1270430B1 (en) 2011-06-22
KR20020097179A (ko) 2002-12-31
AU2001234118A1 (en) 2001-09-03
CN1404454A (zh) 2003-03-19
CA2402724A1 (en) 2001-08-30
CN1164458C (zh) 2004-09-01
WO2001062616A1 (fr) 2001-08-30
US6964520B1 (en) 2005-11-15
EP1270430A4 (en)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216B1 (ko) 포장용 백
JP3479525B2 (ja) 子供に安全なタブレット用の包装体
US5512337A (en) Packages with controlled easy open features
JP6288819B2 (ja) 易開封性ピロー包装袋
MX2012007691A (es) Bolsita recta-dicidida, método para fabricar la misma, y dispositivo para fabricar la bolsita.
JP5194921B2 (ja) 咬合具付包装袋
KR20090067161A (ko) 활성 물질 함유 필름의 패키징 및 그 제조 방법
JP5428647B2 (ja) スティック状包装袋
JP5088991B2 (ja) 易開封性包装袋
JP5061644B2 (ja) 包装袋
JPH08324597A (ja) 開封用切込および包装袋
JP4439629B2 (ja) 包装用袋体
JP2003063561A (ja) 包装袋
JP2005289407A (ja) 包装袋
US10618696B2 (en) Packaging b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ing bag
JP6087560B2 (ja) ジッパー付ピロー包装袋
JP2001055248A (ja) 易開封包材
JP2000007016A (ja) 易引き裂き性包装袋用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JP2007091266A (ja) 易開封性包装袋
JP2023150940A (ja) 包装袋
JP4043592B2 (ja) 易開封袋
JP6742172B2 (ja) 包装用袋
JP2000062799A (ja) 開封誘導構造付き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45018A (ja) パウチ
JP2006036236A (ja) 切込みを具えた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