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133B1 - 동적 초점 전압 진폭 제어기 - Google Patents

동적 초점 전압 진폭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133B1
KR100688133B1 KR1019990032373A KR19990032373A KR100688133B1 KR 100688133 B1 KR100688133 B1 KR 100688133B1 KR 1019990032373 A KR1019990032373 A KR 1019990032373A KR 19990032373 A KR19990032373 A KR 19990032373A KR 100688133 B1 KR100688133 B1 KR 100688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arabolic signal
cds
signal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159A (ko
Inventor
죠지죤바렛
Original Assignee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1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6Modifications of scanning arrangements to improve foc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저항성 분압기는 선택된 편향 주파수로 동작하는 편향 회로의 S형 커패시터에 발생된 파라볼릭 전압에 응답한다. 이 분압기는 선택된 편향 주파수에 따라 분압기의 감쇄율을 자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제어 가능한 저항성 네트워크를 구비한다. 감쇄된 파라볼릭 전압에 응답하는 증폭기는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초점 전극에 용량성으로 접속되어 동적 초점 전압을 생성시키는 주기적인 출력 전압을 발생시킨다. 제1 실시예에서, 제어 가능한 저항성 네트워크는 자동 이득 제어를 제공하는 포토 저항을 구비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 분압기는 스위치된다.

Description

동적 초점 전압 진폭 제어기 {DYNAMIC FOCUS VOLTAGE AMPLITUDE CONTROLLER}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수평 편향 회로의 출력단 및 제어된 감쇄기를 내장한 동적 초점 전압 발생기를 예시하는 도면.
도 1c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1b의 감쇄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음극선관
17: 초점 전극
60: 스위칭 회로
70: 제어 회로
97: 증폭기
98, 98′: 버퍼
99: 동적 초점 전압 발생기
100: 전원
101: 수평 편향 회로의 출력단
103: 드라이버단
104: 스위칭 트랜지스터
108: 제동자 다이오드
200: 지연 장치
201: 레지스터
208: 마이크로프로세서
209: 주파수 데이터 변환기
본 발명은 빔 랜딩(beam landing) 왜곡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CRT) 상에 표시된 이미지는 CRT 상의 빔의 주사에 수반되는 디포커싱(defocusing) 또는 비선형성과 같은 결함 또는 왜곡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결함 또는 왜곡은, 예컨대, 빔이 수평 방향으로 편향될 때 CRT의 전자총으로부터 화면까지의 거리가 현저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빔이 수평 방향으로 편향될 때에 발생하는 디포커싱을 감소시키는 것은, 예컨대, 수평 비율로 파라볼라 전압 성분을 갖는 동적 초점 전압을 생성하고 초점 전압을 동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이 동적 초점 전압을 CRT의 초점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수평 편향 출력단의 S형 커패시터에서 생성된 S-보정 전압으로부터 수평 비율로 파라볼라 전압 성분을 유도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TV 수상기, 컴퓨터 또는 모니터는 상이한 수평 주사 주파수로 편향 전류를 이용하는 동일한 음극선관(CRT) 상에 선택적으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성능을 갖출 수 있다. 방송 표준에 따라 규정된 TV 신호의 화상 정보를 표시할 때, 1fH 비율로 칭하는 대략 16 KHz의 비율로 수평 편향 전류를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일 수 있다. 반면에, 고선명 TV 신호 또는 표시 모니터 데이터 신호의 화상 정보를 표시할 때에는 수평 편향 전류의 비율이 32 KHz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비율은 2nfH 라 칭해진다. 값 n은 1 이상이다.
다중 주사 비율로 동작이 가능한 영상 표시 모니터의 수평 편향 회로 출력단에서, 스위치된 S-커패시터들을 이용하는 회로 내의 S-커패시터들의 수를 변화시키는 것은 인지되어 있다. S-커패시터들은 선택된 수평 편향 주파수에 따라 선택 가능한 스위치들을 통해 자동적으로 선택이 행해진다.
스위치 되지 않은 귀선 커패시터가 사용될 때, 수평 귀선 간격의 길이는 상이한 수평 주파수에서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상이한 주파수에서의 S-보정 전압의 요구되는 진폭은 상이할 수 있다. 반면에, 동적 초점 전압의 파라볼릭 전압 성분의 요구되는 진폭은 동일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이한 수평 주파수에서의 동적 초점 전압의 파라볼릭 전압 성분의 진폭을 S-보정 전압의 진폭이 제어되는 방식과는 별개의 제어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실행함에 있어서, 파라볼릭 수평 비율 전압은 S형 커패시터에 발생된다. 파라볼릭 전압은 제이된 가변 분압기를 통해 감쇄된다. 분압기의 출력은 파라볼릭 전압의 피크-피크 진폭을 비교하고 전압 기준과 동일하게끔 조정하는 차동 증폭기의 입력에 접속된다. 피크-피크 진폭의 조정은 제어된 가변 분압기의 포토 저항의 저항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감쇄된 파라볼릭 전압은 고전압 증폭기에서 증폭된다. 그러므로, 감쇄는 상이한 수평 주파수에서의 동적 초점 전압의 파라볼릭 전압 성분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해 변화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을 실행함에 있어서, 파라볼릭 전압은 대신, 스위치에 접속된 분압기를 통하여 감쇄되고, 감쇄된 파라볼릭 전압은 고전압 증폭기에서 증폭된다. 감쇄기의 스위치는 선택된 수평 편향 주파수를 나타내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응답한다. 이로써, 감쇄는 상이한 수평 주파수에서의 동적 초점 전압의 파라볼릭 전압 성분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해 변화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화하는 영상 이미징 장치는 복수의 주파수에서 선택된 편향 주파수의 제1 파라볼릭 신호의 소스(source)를 포함한다. 제1 파라볼릭 신호는 선택된 편향 주파수에 따라 정해진 진폭을 갖는다. 저항을 구비한 분압기는 제1 파라볼릭 신호의 소스에 접속된 입력을 구비하여 저항값에 따른 진폭을 갖는 감쇄된 파라볼릭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1 파라볼릭 신호 진폭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제어 회로는 저항에 접속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저항값을 변화시킨다. 감쇄된 파라볼릭 신호에 응답하고 초점 전극에 접속된 증폭기는 감쇄된 파라볼릭 신호를 증폭하여 초점 전극에 동적 초점 전압을 발생시킨다.
삭제
도 1a는 다중 주사 주파수 성능을 가진 텔레비전 수상기의 수평 편향 회로 출력단(101)을 도시한다. 출력단(101)에는 전원 전압 B+를 발생시키는 조정된 전원 장치(100)에 의해서 전압이 인가된다. 종래의 드라이버단(103)은 선택된 수평 주사 주파수 nfH에서 입력 신호(107a)에 응답한다. 드라이버단(103)은 출력단(101)의 스위칭 트랜지스터(104)에서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브 제어 신호(103a)를 발생시킨다. 예컨대, n=1 의 값은 방송 표준과 같은 소정의 표준에 따른 텔레비전 신호의 수평 주파수를 나타낸다. 트랜지스터(104)의 콜렉터는 플라이백 변압기(T0)의 주 권선(TOW1)의 단자(T0A)에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104)의 콜렉터는 스위치되지 않은 귀선 커패시터(105)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04)의 콜렉터는 귀선 공진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수평 편향 권선(LY)에 추가로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104)의 콜렉터는 종래의 댐퍼 다이오드(108)에 접속된다. 권선(LY)은 선형 인덕터(LIN) 및 스위치되지 않은 귀선 또는 S-커패시터(CS1)와 직렬로 접속된다. 커패시터(CS1)는 단자(25)가 인덕터(LIN)와 S-커패시터(CS1) 사이에 삽입되도록 단자(25)와 기준 전위 또는 접지(GND) 사이에 접속된다.
출력단(101)은 편향 전류(iy)를 생성할 수 있다. 편향 전류(iy)는 2fH 내지 2.4fH 의 범위에서 선택된 신호(103a)의 임의로 선택된 수평 주사 주파수와 1fH 의 선택된 수평 편향 주파수에 대해 실제로 동일한 소정의 진폭을 갖는다. 편향 전류(iy)의 진폭을 제어하는 것은 편향 전류(iy)의 일정 진폭을 유지하기 위해, 수평 주파수가 증가할 때에 전압 B+를 자동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또는 그 역으로 함으로써 성취된다. 전압 B+는 변압기(T0)의 피드백 권선(T0W0)을 경유하는 폐루프 구성에서 동작하는 종래의 조절된 전원 장치(100)에 의해 제어된다. 전압 B+의 크기는 전류(iy)의 진폭을 나타내는 크기를 갖는 정류된 피드백 플라이백 펄스 신호(FB)에 따라서 설정된다. 수직 비율 파라볼라 신호(E-W)는 도시되지 않은 종래의 방식으로 발생된다. 이 신호(E-W)는 통상적으로 동서(East-West) 왜곡 보정을 제공하도록 전압 B+의 수직 비율 파라볼라 성분을 생성하도록 전원 장치(100)에 접속된다.
스위칭 회로(60)는 선형성과 같은 빔 랜딩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회로(60)는 귀선 커패시터(CS1)와 병렬로 귀선 또는 S-커패시터(CS2)와 귀선 또는 S-커패시터(CS3)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거나 모두를 비접속한다. 선택적 접속은 수평 주사 주파수가 선택되는 주파수 범위의 함수로 결정된다. 스위칭 회로(60)에서, 커패시터(CS2)는 단자(25)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스위치(Q2)의 드레인 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2)의 소스 전극은 접지(GND)에 접속된다. 과전압이 트랜지스터(Q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저항(R2)이 트랜지스터(Q2)를 통과하도록 접속된다.
스위치 제어 신호(60a, 60b)는 레지스터(201)를 통과한다. 제어 신호(60a)는 버퍼(98)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다. 제어 신호(60a)가 제1 선택 가능한 레벨일 때,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 된다. 한편, 제어 신호(60a)가 제2의 선택 가능한 레벨일 때, 트랜지스터(Q2)는 턴 온 된다. 버퍼(98)는 종래의 방식으로 전술한 스위칭 동작을 이루기 위해 신호(60a)의 요구되는 레벨 시프팅을 제공한다.
스위칭 회로(60)에서, 커패시터(CS3)는 단자(25)와 FET 스위치(Q2′)의 드레인 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FET 스위치(Q2′)는 FET 스위치(Q2)가 제어 신호(60a)에 의해 제어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 신호(60b)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므로, 버퍼(98′)는 버퍼(98)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8)는 주파수-데이터 신호 변환기(209)에서 발생된 데이터 신호(209b)에 응답한다. 신호(209b)는 동기 신호(HORZ-SYNC) 또는 편향 전류(iy)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수치값을 갖는다. 예컨대, 변환기(209)는 신호(HORZ-SYNC)의 소정의 주기 동안, 클록 펄스의 수를 계수하고 소정의 주기 동안 발생하는 클록 펄스의 수에 따라 워드 신호(209b)를 발생시키는 카운터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8)는 레지스터(201)의 입력에 접속된 제어 데이터 신호(208a)를 발생시킨다. 제어 데이터 신호(208a)의 값은 신호(HORZ-SYNC)의 수평 비율에 따라서 결정된다. 레지스터(201)는 데이터 신호(208a)에 따라, 신호(HORZ-SYNC)의 주파수에 따른 신호(208a)에 의해 결정되는 레벨에서 제어 신호(60a, 60b)를 발생시킨다. 대안으로, 신호(208a)의 값은 도시되지 않은 키보드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109b)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평 편향 전류(iy)의 주파수가 1fH 일 때, 트랜지스터(Q2, Q2′)는 턴 온 된다. 결과적으로, S-커패시터(CS2, CS3)는 모두 스위치되지 않은 S-커패시터(CS1)와 병렬로 접속되며 최대 S-커패시턴스값을 설정하는 회로 내장 S-커패시터이다. 수평 편향 전류(iy)의 주파수가 2fH 이상이고 2.14fH 보다 작을 때, 트랜지스터(Q2)는 턴 오프 되고 트랜지스터(Q2′)는 턴 온 된다. 결과적으로, S-커패시터(CS2)는 스위치되지 않은 S-커패시터(CS1)로부터 분리되고, S-커패시터(CS3)는 중간 S-커패시턴스값을 설정하기 위해 S-커패시터(CS1)에 접속된다. 수평 편향 전류(iy)의 주파수가 2.14fH 이상일 때, 트랜지스터(Q2, Q2′)는 턴 오프 된다. 결과적으로, S-커패시터(CS2, CS3)는 스위치되지 않은 S-커패시터(CS1)로부터 분리되고 최소 S-커패시턴스값을 설정한다. 커패시터(CS1, CS2, CS3) 내의 편향 전류(iy)는 S-형 파라볼라 전압(V5)을 생성한다.
커패시터(105)에 의해 형성된 전체 귀선 커패시턴스는 상이한 주파 주파수에서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귀선 간격은 상이한 주사 주파수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커패시터(CS1, CS2, CS3)의 값은 상이한 주사 주파수에서의 상이한 진폭에서 파라볼라 전압(V5)을 생성하도록 선택된다. 귀선 간격 길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전압(V5)의 상이한 진폭이 필요하다.
도 1b는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화하는 동적 초점 전압 발생기(99)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의 동일한 소자와 기능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 및 숫자를 표시한다. 도 1b의 전압 V5는 음으로 진행하는 귀선 피크를 갖는다. 파라볼라 전압(V5)의 피크-피크 진폭은 16 KHz 또는 1fH 에서 약 60V, 2fH 에서 80V 및 2.4fH 에서 125V이다. 파라볼라 전압(V5)은 커패시터(C4)를 경유하여 저항(R16)에 용량성으로 접속된다.
저항(R16) 및 저항(CDS)을 포함하는 제어된 분압기 또는 감쇄기(70)는 단자(120)에서 감쇄된 파라볼라 전압(V5′)을 생성한다. 분압기(70)의 감쇄는 광결합기(PC1)의 일부인 카드뮴 술폰산 포토 저항(CDS)의 전도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포토 저항(CDS)은 광결합기(PC1)의 일부인 발광 다이오드(LED)로부터의 광에 응답한다. 발광 다이오드(LED)로부터의 광은 달링턴 트랜지스터(Q10)로부터의 전류에 응답한다. 달링턴 트랜지스터(Q10)와 달링턴 트랜지스터(Q11)는 저항(R19), 저항(R23) 및 저항(R24)에 서로 접속되어 차동 증폭기를 형성한다. 달링턴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는 저항(R11)과 저항(R12)에 의해 형성된 저항성 분배기를 경유하여 12V 전원으로부터 유도된 3 볼트의 일정 기준 전압에 접속된다.
전압(V5′)의 DC 성분은 거의 0 볼트이다. AC 성분은 저항(R16, CDS) 및 저항(R17)에 의해 결정된다. 저항(CDS)의 값은 발광 다이오드(LED)로부터의 광 에너지에 의해 결정된다. 전압(V5′)의 AC 성분, 전압(V5″)는 달링턴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와 클램핑 다이오드(D6)의 음극에 커패시터(C21)를 통해 접속된다. 전압(V5″)의 음의 피크는 클램핑 다이오드(D6)에 의해 -0.6 볼트로 유지된다. 전압(V5″)의 양의 피크는 달링턴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서 +3 볼트의 레벨이 초과될 때 달링턴 트랜지스터(Q10)를 턴 온 한다. 달링턴 트랜지스터(Q10)가 턴 온 할 때, 전류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통해 흐르고, 광속(light flux)이 발생된다. 광속은 그 저항값과, 전압(V5′)의 진폭 및 전압(V5″)의 진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저항(CDS) 상에 작용한다. 저항(CDS)의 저항값 변화의 응답 속도는 매우 느리다. 이는 음의 피드백 루프에서 로우 패스 필터의 역할을 한다. V5″의 양의 피크값이 +3V까지 하강하면, 트랜지스터(Q10)의 온 시간은 짧아지고 발광 다이오드(LED)로부터의 평균 광 에너지는 균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감소한다. 전압 V5″의 양의 피크 진폭은 +3 볼트보다 약간 크게 유지된다. 전압 V5″및 V5′의 피크-피크 진폭은 입력 주파수 또는 진폭과 무관하게 약 4 볼트로 유지된다.
저항 CDS와 R16의 접합 단자(120)에서 발생된 드라이브 전압 V5′은 커패시터(C3), 저항(R17) 및 커패시터(C24)를 통해 초점 증폭기(97)의 가산 접합 입력 단자(121)에 용량성으로 접속된다. 저항(CDS)의 이득 제어 기능은 1fH, 2fH 및 2.4fH 비율에서 동일한 피크-피크 진폭을 갖도록 단자(121)에서 전압을 조절하는 것이다.
커패시터(C3)는 수평 파라볼라에 대한 용량성 결합을 제공한다. 커패시터(C10)는 도시되지 않은 종래의 방법으로 단자(121)에서 발생된 수직 파라볼라(V8)를 용량성으로 결합한다. 초점 증폭기(97)의 직류 동작점은 용량성 결합이 직류 성분을 제거하기 때문에, 파라볼라 신호에 의해서가 아니라 저항(R5)에 의해 결정된다. 커패시터(C24)는 수평 초점 보정이 적절하게 일정 시각에 동작되도록 증폭기(97)의 도시되지 않은 빗나간 입력 커패시턴스로 비롯된 위상 지연을 보정한다.
증폭기(97)에서, 트랜지스터(Q5)와 트랜지스터(Q6)는 서로 접속하여 차동 입력단을 형성한다. 이러한 트랜지스터는 베타(beta)로 언급되는, 매우 높은 콜렉터 전류 대 베이스 전류 비율을 가지며 단자(121)에서 입력 임피던스를 증가시킨다. 트랜지스터(Q5, Q6)의 베이스-에미터 접합 전압은 서로 보상하며 온도 변화를 가진 직류 바이어스 드리프트를 감소시킨다. 저항(R11)과 저항(R12)은 약 +3V 에서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 전압을 바이어스시키기 위해 공급 전압(V10)이 인가되는 분압기를 형성한다. 트랜지스터(Q5, Q6)의 에미터에 접속되는 에미터 저항(R10)의 값은 약 6mA의 최대 전류를 전도시키기 위해 선택된다. 이는 고전압 트랜지스터(Q20)를 보호한다. 트랜지스터(Q20)는 스위치로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13)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5)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20)는 캐스코드(cascode) 구성에서 트랜지스터(Q13)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5)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20)는 트랜지스터(Q20)가 1OmA 콜렉터 전류까지만 견딜 수 있기 때문에 과여진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는 증폭기(97)가 6mA 까지의 콜렉터 전류에서 높은 트랜스컨덕턴스와 6mA 이상에서 낮은 트랜스컨덕턴스를 갖기 때문에 성취된다. 트랜지스터(Q20, Q13, Q5)의 캐스코드 구성은 도시되지 않은 밀러 커패시턴스를 트랜지스터(Q20)의 콜렉터 베이스 접합을 통해 고립시키고, 이로써 대역폭은 증가된다. 캐스코드 구성은 또한 고전압 트랜지스터(Q20)의 낮은 베타와 무관하게 증폭기 이득을 생성한다.
도 1a의 변압기(T0)의 권선(T0W3)은 다이오드(D12) 내에서 정류되고 커패시터(C13) 내에서 필터링되는 승압 귀선 전압을 생성하고, 도 1b의 동적 초점 전압 발생기(99)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공급 전압(VSU)을 생성한다. 활성 풀업 트랜지스터(Q1)는 공급 전압(VSU)에 접속된 콜렉터를 갖는다.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풀업 저항(R1)은 다이오드(D7)와 커패시터(C26)를 포함하는 부트스트랩 또는 부스팅 장치를 경유하여 전압(VSU)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5)는 저항(R1)과 직렬로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20)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4)는 단자(97a)에 있는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Q20)의 콜렉터 사이에 접속된다.
단자(97a)의 출력 파형의 음의 피크 동안, 다이오드(D7)는 다이오드(D7)의 음극에서 커패시터(C26)의 종단을 +1600V 공급 전압(VSU)으로 고정시키고 트랜지스터(Q20)는 커패시터(C16)의 다른 종단을 접지 전원에 근접하도록 당긴다. 트랜지스터(Q1)는 다이오드(D4, D5)의 작용에 의해 대기 상태가 된다. 단자(97a)의 전압이 상승할 때, 커패시터(C26) 내에 저장된 에너지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저항(R1)을 통해 인가된다. 저항(R1)을 지나는 전압은 하이로 유지되고, 트랜지스터(Q1)에서의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Q1)를 지나는 콜렉터 대 에미터 전압이 0에 접근하더라도 유지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1) 에미터 전류는 유지된다. 단자(97a)의 출력되는 양의 피크는 왜곡이 없이 +1600V 공급 전압(VSU)에 매우 근접할 수 있다.
커패시턴스(C1)는 초점 전극(17)과 배선의 빗나간 커패시턴스의 합을 나타낸다. 활성 풀업 트랜지스터(Q1)는 단자(97a)에서 빗나간 커패시턴스(C1)까지의 전류를 소싱(sourcing)할 수 있다. 풀다운 트랜지스터(Q20)는 커패시턴스(C1)로부터 다이오드(D4)를 경유하여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활성 풀업 장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빠른 응답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증폭기(97)는 피드백 저항(R2)을 경유하여 단자(97a)의 출력에 대한 분로(分路) 피드백을 사용한다. 저항(R17, R2)은 단자(97a)에서 1000V 수평 비율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선택된다. 결과적으로, 증폭기(97)의 전압 이득은 수백이 된다.
전압 V5에 의해 발생된 수평 비율과 전압 V8에 의해 발생된 수직 비율에서의 동적 초점 전압 성분은 동적 초점 전압(FV)을 생성하기 위해 CRT(10)의 초점 전극(17)에 직류 차단 커패시터(C22)를 경유하여 용량성으로 접속된다. 저항(R28) 및 저항(R29)에 의해 형성된 분압기에 의해 생성된 전압(FV)의 직류 전압 성분은 8KV와 같다.
주기 제어 신호(V13)는 수직 블랭킹 기간 동안과,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AKB 측정 간격으로 언급되는 수직 블랭킹이 따르는 4개의 영상 라인 시간 동안, 하이 상태에 있다. 신호(V13)는 4와 같은 영상 라인 시간의 적당한 개수만큼 종래의 수직 블랭킹 신호(VERT-BLANK)를 지연시키는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한 지연 회로(200)에 의해 생성된다. 신호(V13)는 저항(R26)을 경유하여 스위치 트랜지스터(Q15)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트랜지스터(Q15)의 콜렉터는 저항(R27)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20)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 사이의 접합 단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20)의 에미터에 결합되고 트랜지스터(Q13)의 에미터는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수직 블랭킹 기간 동안과 AKB 측정 간격 동안, 트랜지스터(Q13)는 트랜지스터(Q15)에 의해 턴 오프 되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20)의 에미터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한다.
유리하게는, 트랜지스터(Q20)에 대한 에미터 전류는 AKB 측정 간격 동안 저항(R27)과 트랜지스터(Q15)를 경유하여 유지된다. 저항(R27)은 AKB 측정 간격 동안 트랜지스터(Q20)의 에미터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AKB 측정 간격 동안, 저항(R27)은 이 저항을 통과하는 약 11.3 볼트의 일정한 전압을 갖는다. 저항(R27)의 값은 저항(R1)을 지나 발생하는 전압이 공급 전압(VSU)과 단자(97a)에서의 동적 초점 전압의 피크값 사이의 차와 같도록 트랜지스터(Q20) 내의 일정한 전류를 생성하도록 선택된다. 이는 AKB 측정 간격 후에 정상적인 동적 초점 전압이 시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제1 영상 라인 미스포커싱(misfocusing)과 원치 않는 초점 전압의 과도 현상을 제거한다. 저항(R27)이 트랜지스터(Q20)의 에미터에 결합되지 않으면, 단자(97a)에서의 증폭기(97)의 출력 전압은 공급 전압(VSU)의 +1600V 레벨에 도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단자(97a)에서의 파형의 요구되는 피크는 통상적으로 1450V이다. 단자(97a)에서의 증폭기의 출력 전압이 1600V가 되면, AKB 측정 간격 동안, 화상의 최상부에서, 제1 가시 수평 라인의 시작에서 큰 과도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과도 현상은 불리하게도, AKB 측정 간격이 따르는 제1 가시 수평 라인의 시작 부분에서 디포커싱을 초래한다.
이러한 큰 과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저항(R27)을 통과하는 트랜지스터(Q20)로의 전류 경로에 공급되는 트랜지스터(Q15) 내의 전류는 수직 블랭킹 기간 동안과 AKB 측정 간격 동안, 단자(97a)에서의 출력 전압을 감소시킨다. 트랜지스터(Q20)는 전류원으로 동작하고 저항(R1)을 통과하는 전압 강하를 초래한다. AKB 측정 간격 동안, 단자(97a)에서의 동적 초점 전압은 가산된 수평 및 수직 파라볼라 성분의 피크와 거의 같은 레벨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유리하게도, 초점 전압 과도 현상은 현저하게 감소되고, AKB 측정 간격이 따른다.
도 1c는 스위치되지 않은 감쇄기(70) 대신에, 도 1b의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스위치된 감쇄기(70')를 도시한다. 도 1a, 도 1b, 도 1c의 동일한 참조 부호 및 숫자는 동일한 소자와 기능을 표시한다.
도 1c의 감쇄기(70')는 저항(R71)과, 도 1b의 저항(R16)과 함께 제어 가능한 분압기를 형성하는 저항(R72)을 포함한다. 분압기의 감쇄는 저항(R72)에 접속된 스위치 트랜지스터(Q20)와, 저항(R71)에 접속된 스위치 트랜지스터(Q21)의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트랜지스터(Q21, Q20)는 제어 신호(60c)와 제어 신호(60d)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신호(60c, 60d)는 도 1a의 레지스터(201)에서 제어 신호(60a, 60b)와 같은 방식으로 발생된다. 도 1c의 제어 신호(60c)는 주파수가 2.4fH일 때에만 하이 상태이다. 제어 신호(60d)는 주파수가 2fH 이상일 때에 하이 상태이다. 양 신호(60c, 60d)는 주파수가 1fH 일 때에 로우 상태이다.
신호(60c, 60d)가 하이 상태일 때, 트랜지스터(Q21, Q20)는 각각 도전된다. 양 트랜지스터(Q21, Q20)가 턴 오프일 때에 감쇄는 없으며, 이는 주파수가 1fH 일 때에 발생한다. 트랜지스터(Q20)가 도전되고 트랜지스터(Q21)가 턴 오프 될 때에 중간 감쇄가 존재하며, 이는 주파수가 2fH 일 때에 발생한다. 양 트랜지스터(Q20, Q21)가 도전 상태가 될 때에는 최대 감쇄가 존재하며, 이는 이는 주파수가 2.4fH 일 때에 발생한다.
단자(121)의 전압이 1fH, 2fH 및 2.4fH 비율의 각각에서 동일한 피크-피크 진폭을 가지도록 저항(R16, R71, R72)의 값이 선택된다. 저항(R16, R71, R72)의 선택 기준은 1fH, 2fH 및 2.4fH 비율의 각각에서 초점 증폭기(97)의 출력 단자(97a)에서의 수평 파라볼라 초점 교정 진폭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목표이다. 도 1c의 장치에서, 도 1b와는 다르게 저항(R16)의 값은 56 ㏀이다.
본 발명의 특징을 실행함에 있어서, 파라볼릭 수평 비율 전압은 S형 커패시터에 발생된다. 파라볼릭 전압은 제어된 가변 분압기를 통해 감쇄된다. 분압기의 출력은 파라볼릭 전압의 피크-피크 진폭을 비교하고 전압 기준과 동일하게끔 조정하는 차동 증폭기의 입력에 접속된다. 피크-피크 진폭의 조정은 제어된 가변 분압기의 포토 저항의 저항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감쇄된 파라볼릭 전압은 고전압 증폭기에서 증폭된다. 그러므로, 감쇄를 변화시켜서 상이한 수평 주파수에서의 동적 초점 전압의 파라볼릭 전압 성분의 진폭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을 실행함에 있어서, 파라볼릭 전압은 대신, 스위치에 접속된 분압기를 통하여 감쇄되고, 감쇄된 파라볼릭 전압은 고전압 증폭기에서 증폭된다. 감쇄기의 스위치는 선택된 수평 편향 주파수를 나타내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응답한다. 이로써, 감쇄를 변화시켜서 상이한 수평 주파수에서의 동적 초점 전압의 파라볼릭 전압 성분의 진폭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화하는 영상 이미징 장치는 복수의 주파수에서 선택된 편향 주파수의 제1 파라볼릭 신호의 소스를 포함한다. 제1 파라볼릭 신호는 선택된 주파수에 따라 정해진 진폭을 갖는다. 저항을 구비한 분압기는 제1 파라볼릭 신호원에 접속된 입력을 구비하여 저항값에 따른 진폭을 갖는 감쇄된 파라볼릭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1 파라볼릭 신호 진폭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제어 회로는 저항에 접속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저항값을 변화시킨다. 감쇄된 파라볼릭 신호에 응답하고 초점 전극에 접속된 증폭기는 감쇄된 파라볼릭 신호를 증폭하여 초점 전극에 동적 초점 전압을 발생시킨다.

Claims (8)

  1. 영상 이미징 장치로서,
    초점 전극(17)을 포함하는 음극선관(10)과;
    선택된 편향 주파수에 따라 결정된 진폭을 가지며, 복수의 편향 주파수들로부터 선택되는 편향 주파수(fH)의 제1 파라볼릭 신호의 소스(a source of a first parabolic signal)(V5)와;
    제1 저항값에 따른 진폭을 갖는 감쇄된 파라볼릭 신호(V5')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파라볼릭 신호(V5)의 소스에 접속된 입력을 구비한, 제1 저항(CDS)을 포함한 분압기(CDS, R16)와;
    제어 신호(V5'')에 따라서 상기 제1 저항(CDS)의 값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파라볼릭 신호(V5)에 응답하여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제1 저항(CDS)에 접속된 제어 회로(70)와;
    상기 감쇄된 파라볼릭 신호(V5')에 응답하여, 상기 초점 전극(17)에 동적 초점 전압(FV)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감쇄된 파라볼릭 신호(V5')를 증폭하기 위하여 상기 초점 전극(17)에 접속된 증폭기(9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이미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압기(CDS)는 제2 저항(R16)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70)는 상기 파라볼릭 신호(V5)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파라볼릭 신호(V5)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제1 저항(CDS)과 제2 저항(R16) 사이의 비율을 조정하는 증폭기(Q10, Q11, R19, R23, R24)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 이미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된 파라볼릭 신호(V5')에 응답하여 상기 감쇄된 파라볼릭 신호(V5')를 자동적으로 음의 피드백 방식으로 제어하는 증폭기(Q10, Q11, R19, R23, R24)를 더 포함하는 영상 이미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CDS)은 포토 저항을 포함하는 것인, 영상 이미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볼릭 신호(V5)는 S형 커패시터(CS1, CS2, CS3)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분압기(CDS, R16)에 용량성으로 접속되는 것인, 영상 이미징 장치.
  6. 영상 이미징 장치로서,
    초점 전극(17)을 포함하는 음극선관(10)과;
    선택된 편향 주파수에 따라 결정된 진폭을 가지는, 복수의 편향 주파수들로부터 선택되는 편향 주파수(fH)의 파라볼릭 신호(V5)의 소스와;
    제1 주파수가 선택될 때 제1 상태(HIGH, HIGH)를 가지며 제2 주파수가 선택될 때 제2 상태(LOW, LOW)를 갖는 상기 파라볼릭 신호 전압(V5)의 주파수(fH)를 나타내는 신호(60c, 60d)에 응답하는 제어 가능 스위치(Q21, Q20)와;
    분압기의 감쇄가 상기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도록, 상기 제1 주파수가 선택될 때 저항(R16)을 선택하고, 상기 제2 주파수가 감쇄된 파라볼릭 신호(V5')를 생성하기 위해 선택될 때 상기 저항을 선택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Q20, Q21)에 접속된 저항(R16)을 포함한 분압기(R16, R71, R72)와;
    상기 감쇄된 신호 전압(V5')에 응답하여, 상기 초점 전극(17)에 동적 초점 전압(FV)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감쇄된 파라볼릭 신호 전압(V5')을 증폭하기 위하여 상기 초점 전극(17)에 접속된 증폭기(9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이미징 장치.
  7. 영상 이미징 장치로서,
    초점 전극(17)을 포함하는 음극선관(10)과;
    선택된 편향 주파수에 따라 결정된 진폭을 가지는, 복수의 주파수들로부터 선택되는 편향 주파수(fH)의 제1 파라볼릭 신호(V5)의 소스와;
    제1 임피던스값에 따른 진폭을 갖는 분압된 파라볼릭 신호(V5')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파라볼릭 신호(V5)의 소스에 접속된 입력을 구비한 제1 임피던스(CDS)를 포함한 분압기(CDS, R16)와;
    상기 분압된 파라볼릭 신호(V5')에 응답하여, 상기 초점 전극(17)에 동적 초점 전압(FV)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초점 전극(17)에 접속되는 상기 분압된 파라볼릭 신호(V5')에 따라서, 상기 제1 임피던스(CDS)의 값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임피던스(CDS)에 접속된 제어 회로(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이미징 장치.
  8. 영상 이미징 장치로서,
    초점 전극(17)을 포함하는 음극선관(10)과;
    선택된 편향 주파수에 따라 결정된 진폭을 가지며, 복수의 편향 주파수들로부터 선택되는 편향 주파수(fH)의 제1 파라볼릭 신호(V5)의 소스와;
    제1 임피던스 값에 따른 진폭을 갖는 분압된 파라볼릭 신호(V5')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파라볼릭 신호(V5)의 소스에 접속된 입력을 구비한 제1 임피던스(CDS)를 포함하는 분압기(CDS, R16)와;
    상기 분압된 파라볼릭 신호(V5')에 응답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V5'')에 응답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스위칭 없는 방식으로(continuous, non switched manner) 상기 제1 임피던스(CDS)의 값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임피던스(CDS)에 접속되는 제어 회로(70)로서, 상기 분압된 파라볼릭 신호(V5')는 상기 초점 전극(17)에 동적 초점 전압(FV)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초점 전극(17)에 접속되는 것인, 상기 제어 회로(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이미징 장치.
KR1019990032373A 1998-08-07 1999-08-06 동적 초점 전압 진폭 제어기 KR100688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30,962 1998-08-07
US09/130,962 US6300731B1 (en) 1998-08-07 1998-08-07 Dynamic focus voltage amplitude controller
US9/130,962 1998-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159A KR20000017159A (ko) 2000-03-25
KR100688133B1 true KR100688133B1 (ko) 2007-03-08

Family

ID=2244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373A KR100688133B1 (ko) 1998-08-07 1999-08-06 동적 초점 전압 진폭 제어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00731B1 (ko)
JP (1) JP2000156791A (ko)
KR (1) KR100688133B1 (ko)
CN (1) CN1160942C (ko)
DE (1) DE19936774A1 (ko)
GB (1) GB2340707B (ko)
MY (1) MY117058A (ko)
TW (1) TW4346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1181A (en) * 1998-11-18 2000-02-29 Professional Partners Ltd., Inc. Receptacle for enclosing low-voltage electronic devices in a wall
CN1166173C (zh) * 1998-12-21 2004-09-08 汤姆森许可公司 视频成像设备
TW513887B (en) * 2000-06-08 2002-12-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Focusing circuit for a cathode ray tube
EP1497815B1 (en) * 2002-04-19 2008-08-20 Thomson Licensing Focus voltage amplifier
US7102302B2 (en) * 2002-04-19 2006-09-05 Thomson Licensing Waveform generator for controlling an electron beam in a cathode ray tube
US20050242755A1 (en) * 2002-04-19 2005-11-03 George John B Focus voltage control arrangement with ultor voltage tracking
US6703783B2 (en) 2002-04-19 2004-03-09 Thomson Licensing S.A. Focus voltage control arrangement
KR100490407B1 (ko) * 2002-07-12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Crt 포커스 보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5439A (ja) * 1993-09-21 1995-04-07 Toshiba Corp ホーカス回路
JPH07154633A (ja) * 1993-11-30 199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JPH08168019A (ja) * 1994-12-14 1996-06-25 Toshiba Corp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JPH09224169A (ja) * 1996-02-19 1997-08-26 Sony Corp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KR19980031647A (ko) * 1996-10-31 1998-07-25 배순훈 고압분리형 모니터에서 다이나믹 포커싱회로
KR19980035718A (ko) * 1996-11-14 1998-08-05 배순훈 멀티싱크 모니터의 다이나믹 포커스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033A (en) * 1980-07-30 1982-03-02 Harris Data Communications, Inc. Dynamic focusing circuit for a cathode ray tube
US4695886A (en) * 1985-10-07 1987-09-22 Motorola, Inc. Automatic leveling circuit for a composite video signal
JPS63208371A (ja) 1987-02-25 1988-08-29 Victor Co Of Japan Ltd フオ−カス変調電圧発生回路
US4916365A (en) * 1987-08-31 1990-04-10 Anritsu Corporation Color CRT displaying correction circuit
JPH0748806B2 (ja) 1989-09-04 1995-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装置
JPH03159417A (ja) 1989-11-17 1991-07-09 Nippon Chemicon Corp 高圧パラボラ波発生装置
US4968919A (en) * 1989-12-18 1990-11-06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Differential east-west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JPH0575886A (ja) 1991-09-17 1993-03-26 Fujitsu General Ltd ダイナミツクフオーカス回路
US5754250A (en) * 1992-02-18 1998-05-19 Cooper; J. Carl Synchronizing signal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CA2088699A1 (en) 1993-02-03 1994-08-04 Gregory P. Hartman Power saving circuit for magnetic focus amplifier using switchable resonance capacitors
US5463288A (en) 1993-09-03 1995-10-3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Bus controlled electrode voltage for a cathode ray tube
US5412290A (en) * 1994-03-08 1995-05-0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50 Hz parabolic signal filter
JP3317829B2 (ja) * 1995-12-07 2002-08-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42836B1 (ko) * 1996-02-24 2000-02-01 윤종용 지연 보상 다이나믹 포커스 증폭기
KR100189215B1 (ko) * 1996-06-21 1999-06-01 윤종용 수직 초점 조절 신호의 프론트 포치/백 포치 전압 조절회로
KR100236034B1 (ko) * 1996-12-28 1999-12-15 전주범 모니터에 있어서 다이나믹 포커스회로
KR100232920B1 (ko) * 1997-06-30 1999-12-01 전주범 멀티싱크 모니터의 다이나믹 포커스 회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5439A (ja) * 1993-09-21 1995-04-07 Toshiba Corp ホーカス回路
JPH07154633A (ja) * 1993-11-30 199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JPH08168019A (ja) * 1994-12-14 1996-06-25 Toshiba Corp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JPH09224169A (ja) * 1996-02-19 1997-08-26 Sony Corp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KR19980031647A (ko) * 1996-10-31 1998-07-25 배순훈 고압분리형 모니터에서 다이나믹 포커싱회로
KR19980035718A (ko) * 1996-11-14 1998-08-05 배순훈 멀티싱크 모니터의 다이나믹 포커스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942C (zh) 2004-08-04
MY117058A (en) 2004-04-30
TW434625B (en) 2001-05-16
KR20000017159A (ko) 2000-03-25
DE19936774A1 (de) 2000-02-17
CN1254231A (zh) 2000-05-24
GB2340707A (en) 2000-02-23
GB9918519D0 (en) 1999-10-06
GB2340707B (en) 2002-11-13
JP2000156791A (ja) 2000-06-06
US6300731B1 (en) 2001-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133B1 (ko) 동적 초점 전압 진폭 제어기
JPH06105180A (ja)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US6118233A (en) Dynamic focus voltage disabling circuit
US6297600B1 (en) Blanked dynamic focus power supply transient elimination
KR100752991B1 (ko) 영상 표시 장치
KR100599143B1 (ko) 귀선 소거된 동적 초점 전원의 과도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장치
US4238714A (en) 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KR100619095B1 (ko) 다이나믹 포커스 디스에이블 회로용 제어 신호 발생기
KR100734835B1 (ko) 스위치 제어 신호 발생기
US5925991A (en) Electron beam focus voltage circuit
KR0137275B1 (ko) 텔레비젼 편향 장치
US7102302B2 (en) Waveform generator for controlling an electron beam in a cathode ray tube
KR100752992B1 (ko) 비디오 디스플레이 편향 장치
MXPA99007300A (es) Controlador de amplitud de voltaje de enfoque dinamico
US6274989B1 (en) Dynamic damping clamper arrangement associated with s-shaping capacitor
JP2002369028A (ja) 動的フォーカス電圧振幅制御装置
KR10022839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스크린 비율 선택회로
MXPA01006283A (en) Blanked dynamic focus power supply transient elimination
MXPA99007301A (es) Generador de señales de control para circuito deshabilitador de enfoque dinamico
MXPA99007299A (en) Dynamic beam landing correction circuit of multiple mo
JPH05130449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