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776B1 - 수지제 조립식 가옥 - Google Patents

수지제 조립식 가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776B1
KR100674776B1 KR1020047021565A KR20047021565A KR100674776B1 KR 100674776 B1 KR100674776 B1 KR 100674776B1 KR 1020047021565 A KR1020047021565 A KR 1020047021565A KR 20047021565 A KR20047021565 A KR 20047021565A KR 100674776 B1 KR100674776 B1 KR 100674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d
circumferential wall
roof
house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9816A (ko
Inventor
기타가와가츠유키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쟈판 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01124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7477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쟈판 츠쇼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쟈판 츠쇼
Publication of KR20050019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05Structures with a longitudinal horizontal axis, e.g. cylindrical or prismatic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07Base structures; Ce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16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locking means on lateral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2001/0053Build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layout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2001/0053Build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layout grid
    • E04B2001/0061Buildings with substantially curved horizontal cross-section, e.g. circ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52Cove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7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comprised of a number of panels or blocs connected together forming a self-support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7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comprised of a number of panels or blocs connected together forming a self-supporting structure
    • E04B2001/3276Panel 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04B2001/3583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using permanent tensioning means, e.g. cables or rods, to assemble or rigidify structures (not pre- or poststressing concrete), e.g. by tying them around th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Greenhous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제의 복수의 분할 둘레벽(11~19)을 집합하여 구성되는 둘레벽(10) 및 수지제의 복수의 분할 지붕(31~39)을 집합하여 둘레벽(10) 상에 덮힌 지붕(3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수지제 조립식 가옥{RESIN PREFABRICATED HOUSING}
본 발명은 발포 스티롤이나 강화 플라스틱(FRP) 등의 수지제의 복수의 분할편을 집합하여 내부에 거주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 수지제 조립식 가옥에 관한다.
종래의 야외형 숙박 시설로서는 목재를 이용한 방갈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목재를 이용한 방갈로는 건설비가 높고, 또 공사 기간도 수일 필요하다. 텐트형 숙박 시설도 있지만 내구성이나 돋보이는 점에서 고급감이 없고, 설치 장소가 한정된다.
이러한 배경 아래에서, 본 발명자들은 앞서 국제 공개 번호 WO01/44593의 조립식 돔을 제안했다. 상기 조립식 돔은 발포 스티롤을 구성재로 하는 복수의 돔편을 집합하여, 내부에 반구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짧은 기간에 또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는 야외 숙박 시설, 주거 등을 실현하고 있다.
상기 국제 공개 번호 WO01/44593에 개시되어 있는 돔편은 반구를 천정으로부터 자오선을 따라 10 등분한 형상이다. 돔편의 크기는 거주 공간의 마루부의 직경과 천정까지의 높이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돔편의 하나하나는 매우 커지며, 운반성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조립식 가옥을 구성하는 분할재를 컴팩트하게 한 수지제 조립식 가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제 조립식 가옥은 발포 스티롤을 구성재로 한 복수의 분할 둘레벽(周壁)을 집합하여 구성되는 둘레벽 및 발포 스티롤을 구성재로 한 복수의 분할 지붕을 집합하여 상기 둘레벽 위에 덮는 지붕을 구비하고, 분할 둘레벽의 양측 단부면에는 각각 결합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결합부를 결합하여 분할 둘레벽 끼리 접착하고, 또 분할 지방의 양측 단부면에는 각각 결합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결합부를 결합하여 분할 지붕 끼리 접착하여, 강도 부재인 조립식 가옥의 골조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마루면으로부터 천정까지 연속된 한 장의 돔편을 조립하는 경우에 비해, 한 장의 분할편의 크기(최대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운반성이 향상된다.
분할 둘레벽의 상하 단부면 및 분할 지붕의 상하 단부면에 각각 결합부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결합부를 결합하여 분할 둘레벽 간 및 상기 분할 지붕 간을 접착할 수도 있다. 외주 방향으로 돌출시켜 설치하는 처마를 지붕에 설치하고, 처마 내측의 결합부와 둘레벽의 상단 결합부를 결합하여 접착할 수도 있다.
내부 공간이 대략 직방체(直方體)가 되도록 둘레벽을 형성할 수도 있다. 분할 둘레벽 간의 연결부 및 분할 지붕 간의 연결부는 리브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골 부재를 조립하여 조립식 가옥의 골조를 형성하고, 상기 골조의 외측으로부터 분할 둘레벽 및 분할 지붕을 각각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돔 천정으로부터 둘레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자오선을 따라서 아치 형상으로 기초를 향하여 연장하는 복수의 강도 부재와 인접하는 한쌍의 강도 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자오선 방향에 복수로 분할된 분할편을 기초로부터 돔의 천정까지 걸쳐 쌓아올리도록 집합하여 이루어지는 발포 스티롤을 구성재로 한 외벽을 구비하고, 분할편의 양측 단부면 및 상하 단부면에는 각각 결합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결합부를 결합하여 분할편 끼리 접착하여 외벽을 형성함으로써, 가옥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기초와 접하는 분할 둘레벽의 저면에 오목 형상의 결합부를 설치하고, 기초에 설치한 위치 결정용 부재에 상기 결합부를 위쪽에서 결합하여 고정해도 좋다. 오목 형상의 결합부는 분할 둘레벽의 저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의 제 1 실시형태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의 (b)는 높이를 변경한 가옥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지제 조립식 가옥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수지제 조립식 가옥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d)는 각각 도 1의 분할 둘레벽의 측단부면 결합부와 분할 지붕의 측단부면 결합부의 상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의 (a)는 분할 지붕의 정부(頂部)의 체결 조인트의 단면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평면도, 도 5의 (c)는 분할 지붕의 정부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분할 둘레벽을 토간(土間) 콘크리트에 고정하는 구조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의 (a)는 분할 둘레벽의 기부(基部) 장착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의 (b)는 그 사시도,
도 8은 돔편을 토간 콘크리트에 고정하는 다른 구조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9는 제 1 실시형태의 수지제 조립식 가옥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변형예의 수지제 조립식 가옥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의 제 2 실시형태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제 2 실시형태의 수지제 조립식 가옥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XIII-XIII선 단면도,
도 14의 (a), (b)는 도 11의 XIV-XIV선 단면도,
도 15는 타이밴드로 분산 방지를 실시한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조립식 발포 스티롤 돔의 사시도,
도 16의 (a), (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도 1 또는 도 11의 가옥과 도 16의 가옥을 연결한 것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8의 (a)는 도 16의 (a)의 a-a선 단면도, 도 18의 (b)는 도 16의 (a)의 b-b선 단면도, 도 18의 (c)는 도 16의 (a)의 c-c선 단면도,
도 19의 (a), (b)는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의 내부 리브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의 (a)는 도 19의 (a)의 IIXA-IIXA선 단면도, 도 20의 (b)~(d)는 도 19의 (b)의 IIXB-IIXB선 단면도,
도 21의 (a)~(c)는 분할편의 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의 (a), (b)는 분할 지붕에 천창(天窓)틀을 장착한 도면,
도 23의 (a)는 분할 둘레벽에 현관부를 설치한 도면, 도 23의 (b)는 분할 둘레벽에 창부를 설치한 도면,
도 24의 (a), (b)는 도 23의 현관부 및 창부에 이용되는 분할 지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도 19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6의 (a)~(c)는 각각 리브 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7은 도 19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8의 (a)~(f)는 각각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분할 둘레벽과 분할 지붕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9의 (a)~(c)는 도 21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의 (a), (b)는 도 21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의 (a), (b)는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의 내측에 철골을 설치한 도면,
도 32의 (a), (b)는 도 31의 철골 사시도,
도 33의 (a)는 도 31의 철골 평면도, 도 33의 (b)는 측면도, 도 33의 (c)는 정면도,
도 34의 (a)~(c)는 각각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분할 지붕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5의 (a)~(d)는 각각 도 7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의 (a)~(c)는 도 7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7의 (a)~(c)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8의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9의 (a)는 도 38의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의 평면도, 도 39의 (b)는 단면도, 도 39의 (c)는 도 39의 (a)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0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조립식 가옥을 연결한 사시도 및
도 41은 연결된 복수의 조립식 가옥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단면도, 도 3은 분해 사시도이다.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100)은 발포 스티롤을 구성재로 하는 둘레벽(10)과 발포 스티롤을 구성재로 하는 지붕(30)을 구비하고 있다. 둘레벽(10)은 전체로서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 발포 스 티롤제의 복수의 분할 둘레벽(11~19)을 집합하여 원통 형상의 둘레벽(10)이 구성된다. 지붕(30)은 전체로서 그릇을 거꾸로 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 발포 스티롤제의 복수의 분할 지붕(31~39)을 집합하여 그릇을 거꾸로 한 형상의 지붕(30)이 구성된다. 지붕(30)의 천정부에는 후술하는 환기구(20)가 설치된다.
도 1의 (a)에서, "WD"는 소정의 분할 둘레벽에 미리 설치된 창부, "PT"는 소정의 분할 둘레벽에 미리 설치된 현관부이다.
복수의 분할 둘레벽(11~19)과 복수의 분할 지붕(31~39)은 각각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이들은 발포 배율이 10~50배이며, 두께 10~50㎝의 발포 스티롤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적설량이 최대 80㎝ 정도인 지역에서는 발포 배율 20배, 두께 20㎝의 발포 스티롤을 이용할 수 있다. 또, 같은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발포 배율을 크게 하면 두께가 두꺼워 진다. 또, 적설량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지역에서는 발포 배율을 20배 보다 크게 하고, 또는 두께를 20㎝ 이하로 얇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적설량이 1m 이상인 지역에서는 발포 배율을 20배 이하로 작게 하여 강도를 담보하든지 두께를 두껍게 한다.
각 분할 둘레벽(11~19)의 하단부에는 L자 형상의 기부(DB)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단부(STS)가 형성되어 있다. 각 분할 둘레벽(11~19)의 측단부면에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 방법이 다른 형상의 갈고리부(EN1 및 EN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인접하는 분할 둘레벽(11과 12)의 대향하는 측단부면의 갈고리부(EN1과 EN2)를 서로 물려서 결합부(KB)로서 접착한다.
분할 둘레벽(11~19)의 측단부면의 결합부(KG)의 형상은 도 4의 (a)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의 (b)~도 4의 (d)와 같은 결합이어도 좋다.
도 4의 (b)의 결합부(KGA)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각 분할 둘레벽(11~19)의 측단부면에는 결합 오목부(RS)와 결합 볼록부(PJ)가 형성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인접하는 분할 둘레벽(11과 12)의 대향하는 측단부면의 오목부(RS)에 볼록부(PJ)를 서로 끼워 결합부(KBA)로서 접착한다.
도 4의 (c)의 결합부(KGB)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각 분할 둘레벽(11~19)의 양측 단부면에 각각 사용 방법이 다른 형상의 단부(DB1, DB2)가 형성되어 있다. 즉, 단부(DB1)는 내주면측(內周面側)에 돌출부(PR1)를 형성한 것, 단부(DB2)는 외주면측에 돌출부(PR2)를 형성한 것이며, 직경 방향 접합면에 작은 오목부(SRS)와 작은 볼록부(SPJ)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도 4의 (d)의 결합부(KGC)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각 분할 둘레벽(11~19)의 양측 단부면을 각각 서로 돌출시킨 돌기(突起)(PT1, PT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인접하는 한쌍의 분할 둘레벽(11과 12)을 서로 돌출시킨 돌기(PT1, PT2)를 접합하여 내주 오목부와 외주 오목부에 접합 플레이트(SP)를 서로 끼워서 볼트 체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측단부면의 결합부 형상에 의하면, 접합면은 계단 형상 접합면으로서 가공되고, 접합 면적이 소정치 이상이 되고, 또 외부로부터 비 등이 내부의 거주 공간에 침입하기 어렵게 된다. 접합 면적을 소정치 이상 설정함으로써 접착 강도가 향상한다.
분할 지붕(31~39)의 상단부에는 천창이 되는 대략 반원호 형상의 은촉홈(切 缺)(TM)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처마(HS)가 형성되어 있다. 처마(HS)의 내측 주연(周緣)에는 분할 둘레벽(11~19)의 단부(STS)에 결합하는 단부(STR)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 지붕(31~39)의 각각은 천창(TM)으로부터 처마(HS)에 걸쳐서 서서히 두께가 두꺼워 진다. 분할 지붕(31~39)의 각각의 측단부면에는 분할 둘레벽(11~19)과 동일한 결합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의 (a), (b)는 정부 조인트(20)의 상세를 도시한 것이다. 정부 조인트(20)는 내통(內筒)(221)과 외통(外筒)(222), 내통(221) 안을 십자 모양으로 구분하는 칸막이 벽(223)과, 내통(221)과 외통(222) 사이의 링 형상 공간을 구분하는 칸막이 벽(224)과, 내통(221)과 외통(222) 사이의 링 형상 공간의 상방부를 폐쇄하는 상부 차양(225)과, 내통(221)과 외통(222) 사이의 링 형상 공간의 하방부를 폐쇄하는 하부 차양(226)으로 이루어진다. 내통(221)은 상부 덮개(225)로부터 돌출하여 그 내부가 실내 환기구로서 이용된다. 내통(221)에는 외부로부터 비 등이 거주 공간에 침입하지 않도록 비 방지 커버(23)가 장착된다. 또,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차양(225)과 하부 차양(226) 사이에는 분할 지붕(31~39)의 선단에 형성된 오목부(TM)가 끼워 넣어져 접착되고, 지붕(30)의 정부가 체결된다. 상기 조인트(20)는 실내의 환기구로서도 이용된다. 조인트(20)가 설치되는 개구부에 등불을 부착해도 좋다.
이와 같은 분할 둘레벽(11~19)을 기초(40) 상에 순서대로 설립시켜 집합하여 둘레벽(10)을 형성한다. 도 6은 둘레벽(10)(분할 둘레벽(11~19))의 고정 부착 구조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조립 가옥이 설치되는 장소에 기초(40)인 토간 콘 크리트(PD)가 타설되어 있다. 토간 콘크리트(PD)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GL)으로부터 소정 높이(예를 들면, 360㎜)의 높은 위치에 마루면(FL)을 형성하는 내부 주거부(IM), 지면(GL)과 같은 높이 위치에서 분할 둘레벽(11~19)을 지지하는 지지부(OM) 및 지지부(OM)로부터 내부 주거부(IM)로 이어지는 분할 둘레벽 누름부(DS)를 구비한다. 누름부(DS)는 링 형상의 오목부이며, 상기 누름부(DS)에는 분할 둘레벽(11~19)의 L자 형상의 기부(DB)가 계지되고, 조립 가옥의 위치 고정을 확실히 하고, 또 조립 가옥이 달리 방법이 없을 경우에는 내부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한다. 내부 주거부(IM)의 평면 형상은 원형이며, 그 외형은 7m이다. 또, 기부(DB)의 외주부에는 기부(DB)가 외부 직경 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을 저지하는 구속용 모르타르(mortar)(SM)가 링 형상으로 모든 둘레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에서 "RM"은 콘크리트(PD)와 모르타르(SM)의 강화 부재이다.
이와 같은 분할 둘레벽(11~19)과 분할 지붕(31~39)을 집합하여 발포 스티롤제 가옥을 조립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분할 둘레벽(11~19)을 상기 기부(DB)를 통해 기초(40) 상에 순서대로 설립시켜 집합하여 둘레벽(10)을 형성한다. 이 때,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분할 둘레벽(11~19)의 결합부(KG)를 서로 결합 조합시켜 접착제로 접착한다.
한편, 각 분할 지붕(31~39)을 지상에서 집합하여 지붕(30)을 조립한다. 즉, 각 분할 둘레벽(31~39)의 반원호 형상 오목부(TM)를 환기구로서도 기능하는 정부 조인트(20)에 결합 접착하고, 또 측단부면 간을 결합 접착하여 지붕(3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지상에서 조립된 지붕(30)을 크레인으로 끌어 올려 둘레벽(10) 위에 덮는다. 즉, 처마(HS)에 형성한 단부(STR)를 둘레벽(10)의 단부(STS)에 결합 접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발포 스티롤제의 수지제 조립식 가옥이 조립된다.
조립된 둘레벽(10)과 지붕(30)의 외표면과 내표면에 수지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하고, 건조 후 그 위에 내후성, 방화성의 도료(塗料)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내장을 실시한다. 내부의 설비로서는 키친, 욕실, 플로어링(flooring)의 서양식 방을 설치하거나, 다다미(일본식 바닥재)를 깐 일본식 방을 설치해도 좋다. 또, 현관문이나 창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했지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제 조립 가옥에는 현관부(PT)와 창부(WD)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발포 스티롤제의 복수의 분할 주연(周緣)(11~19) 및 분할 지붕(31~39)을 접착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거주 공간을 갖는 수지제 조립식 가옥이 간단하게 완성된다.
분할 둘레벽(11~19)을 원통 형상으로 집합 조립한 둘레벽(10) 위에 분할 지붕(31~39)을 그릇을 거꾸로 한 형상으로 집합 조립한 지붕(30)을 덮은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종래의 마루면으로부터 천정까지 연속한 1장의 돔편의 경우에 비해 둘레벽(10)과 지붕(30)의 각각을 분할 둘레벽(11~19)과 분할 지붕(31~39)에 높이 방향으로 2분할 했으므로 1장의 분할편의 크기(최대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운반성이 향상된다.
(2) 둘레벽(10)의 높이를 적절히 변경하는 것 만으로 실내 천정 높이가 다른 조립 가옥을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벽(10) 높이를 "HS"로 하면, HL>HS인 높이의 둘레벽(10')을 제조하여, 그 위에 공통 지붕(30)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직경이 동일한 가옥이면, 지붕은 모든 가옥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의 1장의 돔편에서는 직경이 동일해도 천정 높이가 변하면 모두 별도의 크기의 돔편을 제작할 필요가 있고, 금형(金型)도 필요하여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3) 분할 둘레벽(11~19)을 접합하여 둘레벽(10)을 형성하고, 분할 지붕(31~39)을 접합하여 형성된 지붕(30)을 둘레벽 형상에 덮는 것 만으로 저비용에 공사 기간이 짧은 조립식 숙박 시설을 얻을 수 있다.
(4) 둘레벽(10) 및 지붕(30)은 발포 스티롤제이며, 그것들을 완전히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보호에 뛰어난 건축물이다.
(변형예)
둘레벽(10)의 L자 형상 기부(DB)의 기초로서의 고정 방식의 다른 예를 도 7의 (a), (b)에 도시한다. L자 형상 기부(DB)에는 볼트 구멍(BTH)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기초(40)의 기부 장착면에 심어 설치되어 있는 앵커 볼트(anchor bolt)(AB)를 볼트 구멍(BTH)에 삽입 통과시켜 너트(NT)로 체결한다.
L자 형상부를 갖지 않는 기부(DBA)를 구비하는 분할 둘레벽(11'~19')의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둘레벽(11'~19')을 기초(40)에 고정한다. 기부(DBA)에는 상기 외면에서 내면으로 연통하는 볼트 구멍(BTH)을 뚫어 놓고, 기초(40)의 기부 장착면(40P)에 심어 설치되어 있는 앵커 볼트(AB)를 볼트 구멍(BTH)에 삽입 통과시켜 너트(NT)로 체결해도 좋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마(HS)를 생략해도 좋다.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100A)은 발포 스티롤을 구성재로 하는 둘레벽(10A)과, 발포 스티롤을 구성재로 하는 지붕(30A)을 구비하고 있다. 둘레벽(10A)이 도 1에 도시한 둘레벽(10)과 상위한 점은 상단부의 단부 형상이다. 도 9 및 도 10의 둘레벽(10A)에서는 내주측이 낮은 단부(STS)를 설치하고 있다. 지붕(30A)은 도 1의 것에서 처마(HS)를 생략한 것이며, 도 1의 것과 동일하게 전체로서 그릇을 거꾸로 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 하단부에는 둘레벽(10A)의 단부(STS) 형상에 따른 단부(STR)가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조는 도 1~도 6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단, 분할 지붕(31A~39A)의 두께는 천정에서 하단부에 걸쳐 동일하다.
분할 둘레벽(11~19)을 각각 높이 방향으로 더 분할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운반성이 더 향상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11~도 15로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철골 또는 집성재(集成材)를 발포 스티롤 가옥의 강도 부재로서 이용한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분해 사시도이다.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200)은 전체로서는 반구 형상을 나타내고, 철골재나 집성재로 이루어진 강도 부재(40)와 발포 스티롤을 구성재로 하는 돔 둘레벽(60)을 구비하고 있다. 강도 부재(40)는 자오선을 따라 천정(20)에서 기초면까지 아치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고, 둘레 방향은 등간격으 로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강도 부재(40)의 사이에 정면에서 볼 때 대략 3각형 형상인 돔 분할 둘레벽(61~69)이 설치되어 돔 둘레벽(60)이 구성된다. 돔 둘레벽(61~69)의 각각은 발포 스티롤제의 복수의 분할편(61a~61c, 62a~62c …69a~69c)로 구성된다.
분할 둘레벽(60)은 도 13,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도 부재(40)에 장착된다. 도 13은 도 11의 XIII-XIII선 단면도, 도 14의 (a)는 도 11의 XIV-XIV선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도 부재(40)는 띠판 형상의 강판이나 집성재를 소정의 곡률(曲率)로 성형한 것이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편(61a~61c, 62a~62c …69a~69c)의 측단부면 접합면에는 띠판 형상의 강도 부재(40)가 결합하는 결합 오목부(61X, 62X …69X)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둘레벽(61~69)의 각각 3분할되어 있는 분할편(61a~61c, 62a~62c …69a~69c)의 각각의 상하 단부면 접합부에는 결합 단차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면, 하분할편(61a)의 상단부에는 외주측이 낮은 단부(61P1)가 형성되고, 중분할편(61b)의 하단부에는 내주측이 낮은 단부(61P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외주측이 낮은 단부(61Q1)가 형성되고, 상분할편(61c)의 하단부에는 내주측이 낮은 단부(61Q2)가 형성되어 있다. 상중하의 각 분할편(61a~61c)의 각각의 접합부는 상기 단부(61P1~61Q2)에서 결합하여 접착되어 있다. 상분할편(61c)의 천정부에는 상술한 은촉홈(TMR)이 형성되고, 상기 은촉홈(TM)이 천정 조인트(20)와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분할 둘레벽(61)은 인접하는 2개의 강도 부재(40) 사이에서 상중 하 분할편(61a~61c)의 각각을 조립하여 구성된다. 즉, 처음으로 하분할편(61a)을 기초상에 세워 설치한다. 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분할편(61a~69a)에는 상술한 L자 형상 기부(DB)와 동일한 결합기부를 형성하여 기초(40)에 결합 고정할 수 있다. 하분할편(61a)의 좌우 측단부면의 결합 오목부(61X)를 강도 부재(40)에 서로 끼워 접착한다. 다음으로, 중분할편(61b)의 하부 단차(61P2)를 하분할편(61a)의 상부 단차(61P1)에 결합시켜 접착한다. 이 때, 중분할편(61b)의 좌우 측단부면의 결합 오목부(61X)를 강도 부재(40)에 서로 끼워 접착한다. 최후로, 상분할편(61c)의 하부 단차(61Q2)를 중분할편(61b)의 상부 단차(61Q1)에 결합시켜 접착하고, 또 상분할편(61c)의 좌우 측단부면의 결합 오목부(61X)를 강도 부재(40)에 서로 끼워 접착한다. 또, 상분할편(61c)의 최상 단부의 천창(天窓) 오목부(TM)를 천창틀(20)에 연결하여 접착한다. 분할 둘레벽(62~69)도 동일하게 하여 강도 부재(40)를 따라 조립한다.
강도 부재(40T)를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T자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분할 둘레벽(61~69)이 인접하는 접합면의 형상, 예를 들면 분할 둘레벽(61~69)의 대향하는 접합면의 각각에 오목부(61XT 및 69XT)를 형성하고, 접합면을 접합했을 때 T자 형상 오목부가 형성되도록 하면 된다. 오목부(61XT 및 69XT)는 상중하 분할편((61a~61c, 62a~62c …69a~69c)의 각각에 강도 부재(40A)를 따라 형성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조립 순서를 설명한다. 토간 콘크리트(PD)를 먼저 타설(打設)한다. 토간 콘크리트(PD)의 중앙부에 보조 지주(支柱)(31)를 세우고, 지주(31) 의 선단에 정부 조인트(20)를 덮는다. 강도 부재(40)의 하단부를 토간 콘크리트의 연결부에 연결 고정하고, 또 상단부를 정부 조인트(20)에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강도 부재(40) 사이에 분할편(61a~61c, 62a~62c …69a~69c)을 장착한다. 분할편(61a~61c, 62a~62c …69a~69c)의 각 접합면과 강도 부재(40)와의 접합면은 접착제로 접착한다.
반구 형상으로 조립된 돔편의 외표면과 내표면에 수지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건조 후, 그 위에 내후성, 방화성의 도료를 도포하는 점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내장도 동일하게 실행된다. 현관문이나 창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했지만, 도 1에 도시한 가옥과 동일하게 돔에는 현관부(PT)와 창부(WD)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발포 스티롤제의 복수의 분할편(61a~61c, 62a~62c …69a~69c)을 접착하여 조립함으로써 내부에 반구 형상의 거주 공간을 갖는 돔이 완성된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의 수지제 조립식 가옥과 동일한 작용 효과 (1)~(4)를 얻을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분할 둘레벽(61~69)의 분할편(61a~61c, 62a~62c …69a~69c)의 접합면인 위도선(K1, K2)을 따라 밴드(71, 72)를 감아 붙여도 좋다. 밴드(71, 72)를 감아 붙임으로써 분할편(61a~61c, 62a~62c …69a~69c)을 외주부로부터 눌러 확실히 강도 부재(40)에 고정한다. 또, 접착면으로부터의 비 침입 방지 효과도 있다.
발포 스티롤을 대신하여, 강화 플라스틱(FRP) 등의 수지성 소재를 구성재로 하는 복수의 분할편을 집합하고, 내부에 거주 공간, 점포 공간, 각종 상업용 공간을 형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RP"를 사용할 때의 구조, 조립 순서 는 상술한 순서와 동일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도, 수지 콘크리트의 층을 내외표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FRP"는 발포 스티롤에 비해 방음성이나 단열성 면에서 떨어지지만, 내표면에 발포 스티롤을 뿜어서 칠하고 그 표면에 수지 콘크리트를 뿜어서 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깥 표면에 내후성 재료의 층을 설치하면 내구성이 향상한다. 발포 스티롤이나 "FRP"를 구성재로 함으로써, 지진이나 태풍시에 이들 주택이 붕괴했을 때의 주인의 부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돔(200)의 천정으로부터 둘레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자오선을 따라 아치 형상으로 기초를 향해 연장하는 복수의 강도 부재(40) 및 인접하는 한쌍의 강도 부재(4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자오선 방향에 복수로 분할된 분할편(61a~61c, 62a~62c …69a~69c)을 기초로부터 돔 천정까지 걸쳐 쌓아 올리도록 집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제 외벽(60)을 구비하도록 했다. 그러나, 도 1의 (c)와 같이 분할 외벽(61~69)을 높이 방향으로 복수 분할하지 않고, 1장의 분할 둘레벽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운반성은 떨어지지만, 강도 부재(40)에 의해 돔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100, 200)을 원통 형상 및 반구 형상으로 형성했지만, 제 3 실시형태의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300)은 대략 직방체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방체의 상면이 둥그스름한 가운데가 볼록한 형상을 형성한다.
도 16의 (a)는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의 조립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의 (b)는 분해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300)은 발포 스티롤을 구성재로 하는 둘레벽(80)과 지붕(90)을 구비한다. 둘레벽(80)은 대향하는 평판 형상의 분할 둘레벽(81, 82 및 83, 84)과 단면 형상이 대략 S자 형상인 한쌍의 분할 둘레벽(85, 86)을 구비한다. 지붕(90)은 분할 둘레벽(81, 82 및 83, 84 및 85, 86) 사이에 각각 원호 형상으로 걸쳐진 분할 지붕(91~93)을 구비한다. 즉, 복수의 분할 둘레벽(81~86)과 분할 지붕(91~93)을 집합하여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300)이 형성된다. 즉, 보다 많은 분할 둘레벽과 분할 지붕을 집합하면, 각각의 발포 스티롤편을 대형화하지 않고, 대형 가옥(3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볼록한 형상의 가옥(300)은 단체(單體)로도 사용가능하지만,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 및 반구 형상의 가옥(100, 200)에 연결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연결부(CN)는 예를 들면 도어부(PT)이다. 이와 같이 볼록한 형상의 가옥(300)과 원통 형상 및 반구 형상의 돔 가옥(100, 200)을 연결하고, 내부 통로(PA)를 통해서 실내 공간을 연통시키면, 여러가지 형상의 거주 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의 (a)는 가옥(300)의 종단면도(도 16의 (a)의 a-a선 단면도), 도 18의 (b)는 지붕(90)의 종단면도(도 16의 (a)의 a-a선에 직교하는 b-b선 단면도), 도 18의 (c)는 둘레벽(80)의 수평 단면도(도 16의 (a)의 c-c선 단면도)이다. 또, 도 18의 (b), (c)에는 예를 들면, 돔 형상의 가옥(200)(도 11의 분할 둘레벽(61))과의 연결부도 도시한다.
도 16의 (b),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둘레벽(81~84)의 측단부면에는 결합 오목부(80a)와 결합 볼록부(80b)가, 분할 둘레벽(85, 86)의 측단부면에는 결합 오목부(80a)가, 분할 둘레벽(81~86)의 상단부면에는 결합 오목부(80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분할 지붕(91, 92)의 측단부면에는 결합 오목부(90a)와 결합 볼록부(90b)가, 분할 지붕(93)의 측단부면에는 결합 오목부(90a)가, 분할 지붕(91~93)의 하단부면에는 결합 볼록부(90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분할 둘레벽 끼리 결합할 때는 분할 둘레벽의 측단부면의 오목부(80a)에 인접하는 분할 둘레벽의 볼록부(80b)를 서로 끼워 접착한다. 분할 지붕 끼리 결합할 때는 분할 지붕의 측단부면의 오목부(90a)에 인접하는 분할 지붕의 볼록부(90b)를 서로 끼워 접착한다. 분할 둘레벽과 분할 지붕을 결합할 때는 분할 둘레벽의 상단부면의 오목부(80c)에 인접하는 분할 지붕의 하단부면의 볼록부(90c)를 서로 끼워 접착한다.
분할 둘레벽(81~86)의 결합부(KG1)(80a, 80b) 및 분할 지붕(91~93)의 결합부(KG2)(90a, 90b)는 각각 실내측을 향해 돌출하고, 결합부(KG1, KG2)의 두께는 다른 부분보다도 두껍다. 이로 인해 분할 둘레벽 끼리 및 분할 지붕 끼리의 접착 면적이 증가하고, 결합부(KG1, KG2)의 강도가 증가한다. 또, 결합부(KG1, KG2)는 리브 구조가 되며, 결합부(KG1, KG2) 만이 아닌 가옥 전체의 강도 증가를 꾀할 수 있다. 리브(RB)는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둘레벽과 분할 지붕의 결합부(KG1, KG2)에만 설치해도 좋고,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KG1, KG2) 이외에 설치해도 좋다.
한편,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둘레벽(81, 86)과 분할 지붕(91~93)의 결합부(KG3)는 다른 부분보다도 두껍게 형성되고, 결합부(KG3)는 프레스재로서 기능한다. 또, 분할 둘레벽(81~86)과 분할 지붕(91~93)의 접착 면적이 증가하고, 양자의 결합 강도 및 결합부(KG3)의 강도가 담보된다.
도 20의 (a)는 도 19의 (a)의 IIXA-IIXA선 단면도이며, 도 20의 (b)~(d)는 도 19의 (b)의 IIXB-IIXB선 단면도이다. 리브(RB)의 단면 형상은 여러가지 종류를 생각할 수 있다. 즉, 도 20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뿔형 형상으로 해도 좋고, 도 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 형상으로 해도 좋다. 도 2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RB)의 피치를 좁혀서 물결판 형상으로 해도 좋다.
도 18의 (b), (c)에 도시한 분할 둘레벽(85, 86) 및 분할 지붕(93)과 분할 둘레벽(61)은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연결된다. 즉,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둘레벽(85, 86) 및 분할 지붕(93)의 단부면과 이에 대향하는 분할 둘레벽(61)의 단부면에 각각 슬릿 형상의 오목부(SL1, SL2)를 설치한다.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오목부(SL2)에 평판(95)의 일부(절반 정도)를 사이에 끼워 접착하고, 평판(95)을 분할 둘레벽(61)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시킨다. 돌출된 평판(95)을 다른쪽의 오목부(SL1)에 서로 끼워 접착한다. 이로 인해 도 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95)을 끼워 넣는 형태로 분할 둘레벽(85, 86), 분할 지붕(93) 및 분할 둘레벽(61)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평판(95)을 통해 분할편 끼리 연결함으로써, 수직 방향(도 21의 (c)의 화살표 방향)의 결합력이 높아진다. 또, 분할 둘레벽(81~86)이나 분할 지붕(91~93)의 결합부(KG1, KG2)를 도 21과 같이 구성해도 좋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지붕(91, 92)의 결합부에는 천창틀(20)이 설치된다. 이 경우,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지붕(91, 92)의 단부면에 각각 반원 형상의 은촉홈을 상기 은촉홈 단부면에 천창 오목부(TM)에 대응한 결합 볼록부(KG4)를 각각 형성한다.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창 오목부(TM)에 결합 볼록부(KG4)를 서로 끼워 접착하고, 분할 지붕(91, 92) 사이에 천창틀(20)을 장착한다. 이로 인해 천창틀(20)에 의한 분할 지붕 (91, 92)의 변위(變位)가 구속(拘束)되고, 강도 향상도 이룰 수 있다.
가운데가 볼록한 형상의 가옥(300)에 설치한 현관부(PT) 및 창부(WD)의 한예를 도 23의 (a), (b)에 도시한다. 분할 둘레벽(87)에는 상단이 개방된 개구부(PTA)와 현관틀(PTB)이 설치되고, 분할 둘레벽(88)에는 상단이 개방된 개구부(WDA)와 창틀(WDB)이 설치되어 있다. 현관부(PT)와 창부(WD)에 설치되는 분할 지붕(94)은 같은 형상이며, 분할 지붕(94)에는 분할 둘레벽(87, 88)의 개구부(PTA, WDA)로 이어지는 온촉홈부(94A)와 틀(PTA, WDA)로 이어지는 연결틀(94B)이 설치되어 있다. 분할 둘레벽(87, 88)은 평판 형상의 분할 둘레벽(81, 84)(도 16)의 성형틀(成形型)을 일부 변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분할 지붕(94)은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지붕(91, 92)(도 16)의 하단부면에 온촉홈부(94A)를 설치하고, 상기 분할 지붕의 외주면에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틀(94B)을 접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틀을 유용(流用)할 수 있으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조립 순서도 제 1 실시형태의 조립 순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즉, 조립식 가옥(300)이 설치되는 장소에 기초(40)인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토간 콘크리트(PD)를 타설하고, 분할 둘레벽(81, 88)을 그 기부(DB)를 통해 기초(40)상에 세워 설치하여 집합하고, 또 분할 둘레벽(81, 88)을 서로 결합 접착하고, 둘레벽(80)을 형성한다. 분할 지붕(91~94) 및 천창틀(20)을 지상에서 집합하고 서로 결합 접착하여 지붕(90)을 조립한다. 둘레벽(80)의 위쪽에서 지붕(90)을 덮어 둘레벽(80)과 지붕(90)을 결합 접착하고, 가옥(300)을 조립한 후, 가옥(300)의 내표면 및 외표면에 수지 프라이머나 도료를 도포한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발포 스티롤제의 복수의 분할 둘레벽(81~88) 및 분할 지붕(91~94)을 접착하여 조립하고, 가운데가 볼록한 형상의 가옥(300)을 형성하므로, 각각의 분할편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운반성이 향상된다. 특히 분활 둘레벽의 일부(81~84)는 평판 형상이므로, 트럭의 짐을 실는 곳 등의 한정된 공간에 다수의 분할편을 효율적으로 탑재할 수 있다. 각 분할편의 연결부를 리브 구조로 했으므로, 가옥의 강도가 증가하고, 적설 등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분할 둘레벽(81~88)의 조합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현관부(PT)나 창부(WD)의 배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상의 가옥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변형예)
도 25~도 34로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리브 구조의 변형예를 도 25에 도시한다. 도 25의 리브 구조에서는 리브(RB)의 모서리부(RB1), 즉 둘레벽(80)과 지붕(90)의 결합부 근처의 곡률이 크다. 이와 같이 리브(RB)의 곡률을 크게 하면 리브(RB)의 실내 공간으로의 돌출량이 증가하지만, 한편으로 조립 가옥(300)의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 형상, 특히 모서리부(RB1)의 형상이 가옥(300)의 내표면의 형상(점선)과 달라도 좋다. 또, 도 26의 (a)~(c)는 지붕 형상이 서로 다르고, 여러가지 종류의 지붕 형상에 리브(RB)를 설치할 수 있다.
분할 둘레벽(81~88)과 분할 지붕(91~94)의 결합부 이외에 리브(RB)를 설치해도 좋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RB)를 천정에서 교차하도록 설치해도 좋다.
둘레벽(80)과 지붕(90)의 형상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어도 좋다. 즉, 도 28에서는 리브 형상을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 28의 (a)는 지붕(90)의 정부를 평판 형상으로 한 것이며, 도 28의 (b)는 삼각 형상으로 한 것이다. 도 28의 (c)는 둘레벽(80)을 높이 방향으로 더 분할할고, 지붕(90)을 폭 방향으로 더 분할한 것이다. 도 28의 (d)는 지붕(90)을 반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 상기 지붕(90)을 폭 방향으로 더 분할한 것이다. 도 28의 (e)는 지붕(90)의 하단부를 둘레벽(80)의 외표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시킨 것이고, 도 28의 (f)는 둘레벽(80)의 두께를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두껍게 한 것이다.
분할편(81~88, 91~94)의 결합부의 변형예를 도 29에 도시한다. 상기 변형예에서는 도 2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분할편(예를 들면, 분할 둘레벽(81))의 단부면에 대략 U자 형상의 볼록부(81A)을 형성하고, 인접하는 다른쪽의 분할편(예를 들면, 분할 둘레벽(83))의 단부면에 오목부(83A)를 형성한다. 도 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83A)에 볼록부(81A)를 서로 끼워 접착하고, 분할편 끼리 결합한다. 상기 종류의 결합에서는 서로 끼우는 부분의 길이(L)가 길수록 강도상 유리하다. 도 2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끼우는 부분의 양측 표면에 플레이트(96)를 붙여 볼트 체결하면 분할편 끼리의 결합이 한층 강고하게 된다.
도 3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편(81, 83)의 단부면에 각각 단부(81B, 83B)를 설치하고, 단부(81B, 83B)를 통해 분할편 끼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81B, 83B)를 볼트 체결하면, 플레이트(96)를 통하지 않고 분할편 끼리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3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둘레벽(81~88)과 분할 지붕(91~94)의 결합부에 철골(310)을 설치해도 좋다. 도 32의 (a)는 철골(310)의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3의 (a)~(c)는 각각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이다. 철골(310)은 분할 둘레벽 끼리 및 분할 지붕 끼리 연결하는 대략 U자 형상의 아치부(311), 분할 둘레벽(81~88)과 분할 지붕(91~94)을 연결하는 지붕부(312) 및 기초부(313)를 구비한다. 아치부(311), 지붕부(312) 및 기초부(313)는 각각 단면이 대략 コ자 형상인 C형강으로 이루어진다.
아치부(311)와 지붕부(312)는 각각 C형강의 오목부가 옥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도 3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치부(311)에는 브래킷(311a)이 설치되고, 아치부(311)와 지붕부(312)는 브래킷(311a)을 통한 볼트 체결에 의해 수직으로 접합된다. 기초부(313)는 C형강의 오목부가 위쪽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에 아치부(311)의 저부를 서로 끼워 볼트 체결하여 수직으로 접합된다. 도 3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치부(311) 및 지붕부(312)의 C형강의 오목부에는 일체 성형(一體 成形)된 발포 부품(315)이 매립되어 있다.
철골이 들어간 가옥의 조립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앵커볼트 등에 의해 기초부(313)를 지면에 고정하고, 기초부(313)에 아치부(311)를 접합한다. 이 때, 아치부(311)의 저부는 기초부(313)에 서로 끼워 위치 결정되므로 접합이 용이하다. 다음으로 아치부(311)에 지붕부(312)를 접합하고, 철골(310)을 조립한다. 그 후, 도 3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치부(311) 및 지붕부(312)의 외측으로부터 분할 둘레벽(81~88)과 분할 지붕(91~94)을 각각 발포 부품(315)에 접할 때까지 끼워 넣어 접착한다. 이 때, 분할편(81~88, 91~94)의 끼워 넣는 양은 발포 부품(315)에 의해 제한되므로, 끼워 넣는 양이 너무 많지 않게 하여 연결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옥의 내측에 철골(310)을 설치하면, 철골(310)은 강도 부재로 기능하므로, 리브(RB)가 필요없게 된다. 철골용 부재로서 C형강을 이용했으므로 H형강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철골(310)을 가옥 내측에 가까이 하여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철골(310)의 옥내측과 옥외측과의 온도차는 작아지고, 결로(結露)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C형강의 오목부를 옥외측을 향하게 하므로 분할편(81~88, 91~94)의 이음매를 통해 옥내에 비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할 지붕(90)은 도 34의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종류의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4의 (a)의 분할 지붕(901)은 표준적인 크기이며, 도 34의 (b)의 분할 지붕(902)은 분할 지붕(901)보다 작고, 도 34의 (c)의 분할 지붕 (903)은 분할 지붕(901)보다도 크다. 이로 인해, 동일한 분할 둘레벽(80)에 대해 분할 지붕(90)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가옥의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변형예가 가능하다.
도 35에 조립식 가옥의 기초(40)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35의 (a)에서는 발포 스티롤을 구성재로 하는 분할 둘레벽(11~19, 61~69, 81~89)의 하부에 콘크리트제의 블럭(100)을 깔아 설치한다. 분할 둘레벽의 기부(DB)와 블럭(100)의 실내측 및 실외측 단부면에 각각 플레이트(101)를 볼트 체결하고, 플레이트(101)를 통해 분할 둘레벽과 블럭(100)을 일체화한다. 그 후, 분할 둘레벽의 실내측에 토간 콘크리트(PD)를 타설한다. 토간 콘크리트(PD)와 블럭(100)의 결합력은 강하므로, 분할 둘레벽을 토간 콘크리트(PD)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35의 (b)에서는 내측 플레이트(101)를 L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상단을 기부(DB)에 걸치고, 또 기부(DB) 및 블럭(100)의 관통 볼트를 통해 플레이트(101)를 체결한다.
도 35의 (c)에서는 분할 둘레벽의 기부(DB)가 외측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기부(DB) 및 콘크리트 블럭(100)을 덮도록 분할 둘레벽의 외측으로부터 콘크리트(105)가 타설되어 있다. 콘크리트(105)는 형틀을 이용하여 타설되고, 콘크리트(105)의 단면 형상은 도면에서는 L자형을 이룬다. 이와 같이 기부(DB)를 외측에 형성함으로써 실내측의 토간 콘크리트(PD)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마루면을 낮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도 35의 (d)에서는 기부(DB)와 블럭(100)의 내측 만이 플레이트(101)를 통해 볼트 체결되고, 외측은 플레이트(101)를 통하지 않고, 연직(鉛直) 방향으로 볼트 체결되어 있다. 블럭(100)은 분할 둘레벽의 기부(DB)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고, 블럭(100)과 기부(DB)의 단차부에서 기부(DB)를 덮도록 콘크리트(105)가 타설되어 있다.
기초(40)의 다른 예를 도 36에 도시한다. 상기 예에서는 도 3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둘레벽이 셋트 되는 위치에 볼트를 통해 C형강(110)을 고정한다. 분할 둘레벽의 하단부면에 오목부(DBC)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DBC)를 C형강(110)에 서로 끼워, 분할 둘레벽의 수평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한다. 기부(DB)의 실내측 단부면에 복수의 구멍(DBH)을 뚫어 설치하고, 상기 구멍(DBH)에 철근(111)을 삽입하여 분할 둘레벽의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한다. 상기 상태에서 도 3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DB)의 내측에 콘크리트(PD)를 타설한다. 이로 인해 블럭(100)을 이용하지 않고, 분할 둘레벽을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36의 (c)는 분할 둘레벽의 기부(DB)를 실내측 및 실외측에 형성한 예이다. 또, C형강(110)을 대신해서 각진 파이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분할 둘레벽의 저면을 C형강(110) 등의 위치 결정용 부재에 결합하는 것이라면 분할 둘레벽의 저면의 결합부 및 위치 결정용 부재의 형상은 어떤 것이어도 좋다.
도 37은 둘레벽만을 분할하여 조립식 발포 스티롤 가옥(400)을 형성한 예이다. 즉, 도 3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분할편에 의해 천창(20)을 구비하는 지붕(401)을 형성하고, 도 3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401)을 분할 둘레벽(402)의 상부에 덮는다. 분할 둘레벽(402)과 지붕(401)을 예를 들면 도 3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 형상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지붕(401)을 단일 분할편으로 구성함으로써 조립성이 용이해진다. 지붕(401)의 크기는 분할 둘레벽(402)의 크기와 그다지 다르지않고, 운반성을 나빠지게 하는 일이 적다.
조립식 가옥의 형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돔 형상의 조립식 가옥(200)의 분할편와 가운데가 볼록한 형상의 조립식 가옥(300)의 분할편을 조합시키면, 도 3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달걀형의 조립식 가옥(5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9의 (a), (b)는 도 38의 (a)의 조립식 가옥(500)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또, 가운데가 볼록한 형상의 가옥(300)의 분할편의 수를 늘리면 도 3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옥(500)을 보다 대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제 조립식 가옥은 높은 확장성을 갖는다. 도 17에는 원통 형상 및 반구 형상의 가옥(100, 200)과 가운데가 볼록한 형상의 가옥(300)을 연결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다 많은 조립식 가옥(201, 202, 301~305)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해, 단일 조립식 가옥을 대형화 하지 않고, 다양한 타입의 방을 구비하는 가옥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방의 구성의 한 예를 도 41에 도시한다. 도 41에서는 반구 형상의 조립식 가옥으로 리빙(201)과 다이닝 키친(202)을 각각 형성하고, 또 가운데가 볼록한 형상의 가옥으로 화장실(301), 워킹 크로젯(302), 서재(303), 복도(304), 욕실(305), 침실(306), 아이들 방(307, 308)을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리빙(201) 주위에 화장실(301), 워킹 크로젯(302), 서재(303), 복도(304), 욕실(305), 침실(306), 아이들 방(307, 308)을 각각 연결하고, 복도(301)의 반대측에 다이닝 키친(202)을 연결한다.
즉, 조립식 가옥의 연결예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진 않는다. 즉, 수지제의 복수의 분할편을 조합시켜 내부에 거주 공간을 갖는 조립식 가옥을 복수로 형성하고, 이들 복수의 조립식 가옥을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고, 또 내부의 거주 공간을 연결부를 통해서 서로 연통하는 것이라면, 조립식 가옥 끼리를 어떤 방법으로 연결해도 좋다. 연결부를 분할 둘레벽이나 분할 지붕과 동일하게 분할편으로 구성해도 좋다.
상기에서는 원통 형상, 반구 형상, 대략 직방체 형상의 수지제 조립식 가옥에 대해 설명했지만, 그 이외의 형상인 가설 주택, 간이 주택, 별장, 일반 가옥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출원 2002-198358호를 기초로 하고, 그 내용은 인용문으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Claims (15)

  1. 발포 스티롤을 구성재로 한 복수의 분할 둘레벽을 집합하여 구성되는 둘레벽 및 발포 스티롤을 구성재로 한 복수의 분할 지붕을 집합하여 상기 둘레벽 위에 덮는 지붕을 구비하고,
    상기 분할 둘레벽의 양측 단부면에는 각각 결합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결합부를 결합하여 상기 분할 둘레벽 끼리 접착하고,
    또 상기 분할 지붕의 양측 단부면에는 각각 결합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결합부를 결합하여 상기 분할 지붕 끼리 접착하고, 강도 부재인 조립식 가옥의 골조를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조립식 가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둘레벽의 상하 단부면 및 상기 분할 지붕의 상하 단부면에는 각각 결합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결합부를 결합하여 상기 분할 둘레벽 끼리 및 상기 분할 지붕 끼리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조립식 가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은 상기 둘레벽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돌출 설치하는 처마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처마의 내측에 설치한 결합부를 상기 둘레벽의 상단부에 설치한 결합부와 결합하여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조립식 가옥.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옥의 내부 공간이 직방체 형상이 되도록 상기 둘레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조립식 가옥.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둘레벽 끼리의 연결부 및 상기 분할 지붕 끼리의 연결부를 리브 구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조립식 가옥.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철골 부재를 조립하여 조립식 가옥의 골조를 형성하고, 상기 골조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분할 둘레벽 및 분할 지붕을 각각 장착하고, 골조를 통해 상기 둘레벽 및 지붕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조립식 가옥.
  10. 삭제
  11. 돔의 천정으로부터 둘레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자오선을 따라 아치 형상으로 기초를 향해 연장하는 복수의 강도 부재 및
    인접하는 한쌍의 상기 강도 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자오선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분할편을 기초로부터 돔의 천정까지 걸쳐 쌓아 올리도록 집합하여 이루어진 발포 스티롤을 구성재로 한 외벽을 구비하고,
    상기 분할편의 양측 단부면 및 상하 단부면에는 각각 결합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결합부를 결합하여 상기 분할편 끼리 접착하여 상기 외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조립식 가옥.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초와 접하는 상기 분할 둘레벽의 저면에 오목 형상의 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에 설치한 위치 결정용 부재에 상기 오목 형상의 결합부가 위쪽에서 결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조립식 가옥.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형상의 결합부는 상기 분할 둘레벽의 저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조립식 가옥.
KR1020047021565A 2002-07-08 2003-07-08 수지제 조립식 가옥 KR100674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98358 2002-07-08
JPJP-P-2002-00198358 2002-07-08
PCT/JP2003/008646 WO2004005633A1 (ja) 2002-07-08 2003-07-08 樹脂製組立式家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816A KR20050019816A (ko) 2005-03-03
KR100674776B1 true KR100674776B1 (ko) 2007-01-25

Family

ID=3011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565A KR100674776B1 (ko) 2002-07-08 2003-07-08 수지제 조립식 가옥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50166475A1 (ko)
JP (2) JP4476806B2 (ko)
KR (1) KR100674776B1 (ko)
CN (2) CN100441791C (ko)
CA (1) CA2491936C (ko)
RU (2) RU2337214C2 (ko)
TW (1) TWI252271B (ko)
WO (1) WO200400563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916B1 (ko) 2011-11-04 2012-08-28 상 보 심 돔형 구조물
KR101287980B1 (ko) 2011-03-29 2013-08-22 오성수 난방용 골조를 구비한 돔 하우스
KR101870172B1 (ko) 2017-08-25 2018-06-22 조병훈 이동식 가옥 조립체
KR20190000759U (ko) 2017-09-15 2019-03-25 조병훈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KR20190075438A (ko) * 2017-12-21 2019-07-01 (유)선일건설 조립식 원형지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6475A1 (en) 2002-07-08 2005-08-04 Yugenkaisha Japan Tsusyo Pref abricated resin house
KR100751224B1 (ko) * 2006-12-26 2007-08-23 박숙하 확장이 용이한 돔형 구조물을 만드는 방법
KR101119402B1 (ko) * 2008-06-09 2012-02-24 주식회사 월드돔 덮개의 탈부착이 용이한 조립식 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IT1395927B1 (it) * 2009-09-25 2012-11-02 Stella Sistema a strutture modulari componibili e relativi manufatti
WO2012043897A1 (ko) * 2010-09-29 2012-04-05 Kwon Sung-Wook 외관이 미려한 조립식 돔 구조물
US9091399B2 (en) * 2010-11-11 2015-07-28 Bridgelux, Inc. Driver-free light-emitting device
JP5855367B2 (ja) * 2011-06-27 2016-02-09 川上産業株式会社 組立家屋
CA2779760C (en) * 2011-08-19 2019-03-19 Gregory Lekhtman Low cost hurricane and earthquake resistant house
US10808394B1 (en) * 2012-02-24 2020-10-20 Endurequest Corporation Prefabricated modular structure
US8752340B1 (en) * 2012-11-21 2014-06-17 Richard Lee Hartman Dome structure
WO2015003575A1 (zh) * 2013-07-09 2015-01-15 普帝龙绿色建筑研发(重庆)有限公司 可工厂化生产的高承载性可快拆装的模块式建筑
KR20160072543A (ko) 2014-12-15 2016-06-23 (주)멜리오유니온랜드 원형 멀티 룸
US10392800B1 (en) * 2015-10-21 2019-08-27 Shin Civil Engineering Consultants Inc.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structures using multilayered panel frames
JP6666158B2 (ja) * 2016-01-19 2020-03-13 株式会社Lixil 屋外用構造物
RU167752U1 (ru) * 2016-06-21 2017-01-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иагара" Каркасное сооружение
CN106703181A (zh) * 2017-02-24 2017-05-24 山东滨港多咪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房体拼装结构以及房屋
CN109098474B (zh) * 2017-05-10 2020-12-04 阜阳市伟叶家具有限公司 一种森林资源保护用的护林小屋
CN107599280A (zh) * 2017-08-21 2018-01-19 温岭市旭日滚塑科技有限公司 一种滚塑壳体
CN108265829B (zh) * 2018-04-01 2023-12-08 江苏圣达建设集团有限公司 抗压除雪房屋盖板
EP3884121A1 (en) * 2018-11-21 2021-09-29 Autotelic Holding LLC Core for building
JP2020084553A (ja) * 2018-11-22 2020-06-04 有限会社ジャパン通商 簡易家屋
JP6887187B1 (ja) * 2020-10-27 2021-06-16 有限会社ジャパン通商 構造体およびその作製方法
RU2770477C1 (ru) * 2021-10-27 2022-04-18 Сергей Николаевич Шевченко Сборный дом
US20230227252A1 (en) * 2022-01-19 2023-07-20 Dutchland, Inc. Concrete Tank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900A (en) * 1891-12-29 Oxwalker
US775562A (en) * 1903-06-16 1904-11-22 Stanley Golliek Fireproof covering for columns or pillars.
US2958918A (en) * 1956-08-01 1960-11-08 James C A Macmillan Mold and method for making a dome structure
US3295267A (en) * 1963-06-13 1967-01-03 Vernon J Lundell Building having tensioned covering between frames
US3605353A (en) * 1969-05-01 1971-09-20 Gordon L Marcott Building panel and building construction
JPS4811217Y1 (ko) * 1969-06-05 1973-03-26
JPS4940970B1 (ko) * 1970-10-14 1974-11-06
JPS5120091Y2 (ko) 1971-09-08 1976-05-26
US3797190A (en) * 1972-08-10 1974-03-19 Smith E Division Cyclops Corp Prefabricated, insulated, metal wall panel
JPS4940970A (ko) 1972-08-24 1974-04-17
JPS5458913A (en) * 1977-10-18 1979-05-12 Asahi Chemical Ind Sandwich special form panel structure
JPS5814723Y2 (ja) * 1978-09-25 1983-03-24 日鐵建材工業株式会社 ド−ム型建築物
JPS5754510U (ko) 1980-09-13 1982-03-30
US4663898A (en) * 1980-10-23 1987-05-12 Yacaboni Joseph D Dome-shaped building structure
JPS59107675U (ja) * 1983-01-12 1984-07-20 前田製管株式会社 円形構築物
US5675941A (en) * 1983-12-09 1997-10-14 Dykmans; Maximiliaan J.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prestressed structures utilizing a membrane and floating dome assembly
US4774794A (en) * 1984-03-12 1988-10-04 Grieb Donald J Energy efficient building system
JPS611504U (ja) * 1984-06-08 1986-01-08 洋子 水口 強化プラスチツク製組立建築物
CA1253779A (en) 1984-06-11 1989-05-09 Robert L. Dobson Safety support system and method of making
CN85105777A (zh) * 1985-06-24 1987-04-29 特里欧迪维芳普门茨普蒂有限公司 建筑结构及其元件
US4788803A (en) * 1987-01-23 1988-12-06 Seitz John A Modular insulated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US4967528A (en) * 1987-03-02 1990-11-06 Doran William E Construction block
JPH0627612B2 (ja) 1987-04-13 1994-04-13 三洋電機株式会社 組立式断熱箱体
JPH0640724Y2 (ja) * 1988-03-07 1994-10-26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簡易型ハウス
FR2637311B1 (fr) * 1988-10-03 1993-11-26 Vendramini Dante Maison prefabriquee comportant des elements moules
JPH02190541A (ja) 1989-01-17 1990-07-26 Nobuyuki Ataka プラスチックフォーム要素を用いた初期応力導入方式による構造体
US5046789A (en) * 1990-04-05 1991-09-10 Alvin Lee Jewelry, Inc. Modular panel assembly
JPH0640787Y2 (ja) * 1990-11-19 1994-10-26 マスセット株式会社 子供用施設における簡易ルーム
US5319904A (en) * 1991-07-30 1994-06-14 Pascoe Jack F Portable prefabricated modularized clusterable structures
JPH068622U (ja) 1992-06-29 1994-02-04 三浦工業株式会社 角型ケーシング構造
US5341610A (en) * 1992-07-27 1994-08-30 Moss C William Portable dome-shaped structure
JPH073891A (ja) 1993-06-15 1995-01-06 Taisei Corp ドーム・シェル架構
JPH07166719A (ja) 1993-12-14 1995-06-27 Ibiden Co Ltd 野営用組立て家屋
US5522186A (en) * 1994-06-09 1996-06-04 Jarman; Philip Tree supported structure
JP3012866U (ja) 1994-12-22 1995-06-27 櫻護謨株式会社 ドーム状建造物
JP2884333B2 (ja) * 1995-12-19 1999-04-19 周吉 長嶋 防災用ドーム
JPH09177339A (ja) * 1995-12-27 1997-07-08 Cosmo Tec:Kk 屋外建造物
US5724775A (en) * 1996-01-29 1998-03-10 Alternate Realities Corporation Multi-pieced, portable projection dom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5842315A (en) * 1997-03-24 1998-12-01 Tung Yik Trading Co., Ltd. Corrugated board structure
US6006480A (en) * 1997-06-27 1999-12-28 Rook; John G. Low cost prefabricated housing construction system
JPH11141183A (ja) 1997-11-13 1999-05-25 Kiyoshige Hattori 家屋の免震基礎装置
US6085485A (en) * 1997-12-11 2000-07-11 Murdock; Douglas G. Load bearing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 panel
JP2000179045A (ja) 1998-12-11 2000-06-27 Taiheiyo Cement Corp 組立式簡易小屋
JP2001012195A (ja) 1999-06-30 2001-01-16 Geostr Corp 中空構造物の支持構造
US6247281B1 (en) * 1999-09-02 2001-06-19 Gary Lin Wall plank structure
CN100458032C (zh) * 1999-12-15 2009-02-04 有限会社日本通商 组装式圆顶房
DE10020530C2 (de) * 2000-04-27 2002-06-20 Tiedtke Hans Uwe Notunterkunft
US20050166475A1 (en) * 2002-07-08 2005-08-04 Yugenkaisha Japan Tsusyo Pref abricated resin house
JP4368734B2 (ja) 2004-04-30 2009-11-18 株式会社岩本 組立ハウス
US20070261319A1 (en) * 2006-05-05 2007-11-15 Michael Fitzpatrick Arch jamb leg interfac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980B1 (ko) 2011-03-29 2013-08-22 오성수 난방용 골조를 구비한 돔 하우스
KR101177916B1 (ko) 2011-11-04 2012-08-28 상 보 심 돔형 구조물
WO2013066116A2 (ko) * 2011-11-04 2013-05-10 Sim Sang Bo 돔형 구조물
WO2013066116A3 (ko) * 2011-11-04 2013-06-27 Sim Sang Bo 돔형 구조물
KR101870172B1 (ko) 2017-08-25 2018-06-22 조병훈 이동식 가옥 조립체
KR20190000759U (ko) 2017-09-15 2019-03-25 조병훈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KR20190075438A (ko) * 2017-12-21 2019-07-01 (유)선일건설 조립식 원형지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KR102119014B1 (ko) * 2017-12-21 2020-06-04 (유)선일건설 조립식 원형지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19707A1 (en) 2011-09-15
TW200404119A (en) 2004-03-16
US8191318B2 (en) 2012-06-05
RU2394132C2 (ru) 2010-07-10
RU2008118476A (ru) 2009-11-20
CN1668820A (zh) 2005-09-14
CA2491936C (en) 2009-08-25
TWI252271B (en) 2006-04-01
US20050166475A1 (en) 2005-08-04
JP2010013936A (ja) 2010-01-21
CA2491936A1 (en) 2004-01-15
RU2337214C2 (ru) 2008-10-27
JP5261345B2 (ja) 2013-08-14
CN101418643B (zh) 2011-05-11
JP4476806B2 (ja) 2010-06-09
KR20050019816A (ko) 2005-03-03
JPWO2004005633A1 (ja) 2005-11-04
CN100441791C (zh) 2008-12-10
WO2004005633A1 (ja) 2004-01-15
CN101418643A (zh) 2009-04-29
RU2004139235A (ru) 2005-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776B1 (ko) 수지제 조립식 가옥
US6006480A (en) Low cost prefabricated housing construction system
US4621467A (en) Vertical-walled edge-connected panelized connectable rhombic triacontahedral buildings
US20190100917A1 (en) Panelized Building System Utilizing Integrated Insulation
US5860258A (en) Modular building
US20090013615A1 (en) Resin Knockdown House
US20210102378A1 (en) Build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integrated insulation, combination
KR101539324B1 (ko) 이중 지오데식 돔구조 건축물
JP3936583B2 (ja) 組立式ドーム
US20220205242A1 (en) Build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integrated insulation, method to construct wall panel
JP2849228B2 (ja) 建築用パネル、当該建築用パネルからなる木造建築物およびその構築工法
JP2575466Y2 (ja) 断熱パネル
WO1991006720A1 (en) Building prefabrication by room elements
KR100240137B1 (ko) 조립식건축물 구축용 구조물.
JP3360555B2 (ja) 木造住宅の高気密・高断熱構造
JP2002356930A (ja) 地下室付き鉄骨造りユニット式住宅建物
WO2010015042A2 (en)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JP4037375B2 (ja) 樹脂製組立式家屋およびドーム状家屋組立方法
JP2007063987A (ja) 組立式ドーム
JP3106590U (ja) 組立式家屋
JP2004278150A (ja) 樹脂製組立式家屋
CA3109495A1 (en) Build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integrated insulation
JPH0364660B2 (ko)
JPH0538168Y2 (ko)
JP2879039B1 (ja) コンクリートパネル複層壁の構築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パネル複層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225

Effective date: 2011071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