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172B1 - 이동식 가옥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동식 가옥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172B1
KR101870172B1 KR1020170107952A KR20170107952A KR101870172B1 KR 101870172 B1 KR101870172 B1 KR 101870172B1 KR 1020170107952 A KR1020170107952 A KR 1020170107952A KR 20170107952 A KR20170107952 A KR 20170107952A KR 101870172 B1 KR101870172 B1 KR 101870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housing part
upper housing
space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훈
Original Assignee
조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훈 filed Critical 조병훈
Priority to KR1020170107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고 분해 및 재조립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G)에 지지되는 지지부(1430); 상기 지지부(143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지면(G)으로부터 이격되는 하부 하우징부(1400);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면 하우징부(1200);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부(1100); 일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심 기둥부(1510); 상기 중심 기둥부(1510)에 슬라이딩 수납가능한 테라스 기둥부(1140)에 연결되면서 상기 테라스 기둥부(114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부(1120); 를 포함하여, 상기 테라스 기둥부(1140)가 상기 중심 기둥부(1510)으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에 테라스 공간부(1150)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는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의 조립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는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의 조립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내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출입 계단부(142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옥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조립이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 이동 설치가 매우 용이한 강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가옥 조립체{Assembly for a movable house}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고 분해 및 재조립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캠핑은 반복적이고 단조로운 생활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크게 사랑을 받고 있고, 캠핑인구는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캠핑은 일상적인 주거공간을 벗어나 마음에 드는 야외의 임시 거주 공간에서 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텐트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텐트는 이동설치는 편리하지만 일상적인 생활에 필요한 샤워시설이라든지 주방시설 등을 구비하지 못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샤워시설, 화장실, 주방 등이 일체로 마련된 캠핑 트레일러가 등장하였다.
캠핑 트레일러는 견인용 차량에 견인되어 원하는 캠핑장소로 자유롭게 이동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캠핑 트레일러는 워낙 고가의 물건이기도 하지만 별도의 견인용 개인 차량이 필요한 점에서 누구나 즐길 수는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야외에 고정식으로 마련된 캠핑 트레일러는 대체적으로 사각형 박스 구조를 취하는데 거주 공간이 협소한 단점이 있다.
종래의 캠핑 트레일러는 견인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도로 폭에 맞게 제작되기 때문에 공간 크기의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캠핑하기에 적합한 장소에 화장실, 주방 및 샤워실을 구비한 글램핑 시설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글램핑 시설의 경우 한번 설치하면 분해 및 재조립이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장소의 이동설치가 거의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특정 장소에 설치된 종래 글램핑 시설의 경우 사람들이 많이 찾는 시즌에는 그 수요가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요가 거의 없어 공실을 형성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조립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조립식 가옥들이 다수 공지되고 있다.
예로써 한국공개특허 제2016-0123489호인 조립식 돔 하우스가 개시된다.
이는 결합 플랜지를 갖는 단위 패널들이 복수 개 구비되어 있고, 단위패널들 간에는 볼트와 너트로 조립되는 방식으로서 단위 패널들이 결합되어 돔의 둘레벽을 형성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립식 돔 하우스는 바닥면 전체가 지면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에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같이 실내 공간 확보를 위한 하우징 구조일 뿐이어서 내부 공간에 별도의 편의 시설이 일체로 조립되어 마련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조립되는 만큼 단위패널들간의 분리 후 재조립 시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634557호의 조립식 돔 하우스는 단부에 끼움공간이 형성되는 끼움맞춤 방식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끼움맞춤의 경우 조립의 편의성은 증대되지만 결합강도가 약해지는 문제를 갖고 있으며, 이 역시 바닥면이 지면에 전체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습기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 밖에도 분할하여 조립하는 방식인 한국등록특허 제1120540호는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돔하우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앞서 언급된 다른 조립식 돔하우스들과 마찬가지로 하부전체가 바닥면과 직접 맞닿아 있어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에 대처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위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돔하우스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바닥면에 별도의 습기차단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한데 그에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도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돔하우스의 경우 바닥에서 연장되는 측면이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여행객들이 많이 찾는 여름철 태풍과 같은 강풍이 불었을 경우 일반 주택과는 달리 안전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취약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돔하우스는 테라스와 같은 별도의 시설을 마련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외에서 잠시 담배를 피우거나 바깥 바람을 쐬기 위하여는 출입문을 통해 하우스 외부로 나가야만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이에 따라 계절에 따라서 이동 설치가 편리하여 수요층 확보가 용이하고, 주방, 욕실 등 일상 생활에 필요한 편의시설이 갖추어지면서도 거주 공간의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임시 주거시설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123489호 한국 등록특허 제1634557호 한국등록특허 제1120540호 한국등록특허 제951406호 한국등록특허 제921322호 한국등록특허 제674776호 일본등록특허 제4828388호 일본등록특허 제4513032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주거의 편리성을 극대화 하면서도 이동 재설치의 편의를 위한 조립의 용이성과 분리 재조립이 편리한 이동식 가옥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G)에 지지되는 지지부(1430); 상기 지지부(143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지면(G)으로부터 이격되는 하부 하우징부(1400);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면 하우징부(1200);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부(1100); 일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심 기둥부(1510); 상기 중심 기둥부(1510)에 슬라이딩 수납가능한 테라스 기둥부(1140)에 연결되면서 상기 테라스 기둥부(114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부(1120); 를 포함하여, 상기 테라스 기둥부(1140)가 상기 중심 기둥부(1510)으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에 테라스 공간부(1150)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는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의 조립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는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의 조립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실내로 출입 가능하도록 출입 계단부(142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옥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 및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가 형성시키는 실내공간에는 상기 출입 계단부(1423)의 측면에 각각 마련되는 제5 격벽부(1565) 및 제6 격벽부(1566);일측이 상기 중심 기둥부(15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출입 계단부(1423)측에 연결된 제1 격벽부(1561); 일측이 상기 중심 기둥부(15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6 격벽부(1566)와 상기 제1 격벽부(1561) 및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로 둘러싸인 일변을 마감하여 제1 공간부(1520)를 형성시키는 제2 격벽부(1562); 일측이 상기 중심 기둥부(15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와 상기 제1 격벽부(1561) 및 상기 제5 격벽부(1565)로 둘러싸인 일변을 마감하여 제4 공간부(1550)을 형성시키는 제4 격벽부(1564); 일측이 상기 제4 격벽부(1564)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에 연결되어 제3 공간부(1540)를 형성시키는 제3 격벽부(1563); 상기 제2 격벽부(1562)와 상기 제3 격벽부(1563), 상기 제4 격벽부(1564) 및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에 둘러싸여 형성된 제2 공간부(15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격벽부(1561)는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격벽부(1562), 상기 제3 격벽부(1563) 및 상기 제4 격벽부(15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도어가 포함될 수 있는 이동식 가옥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120) 또는 상기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태양전지 패널이 마련되는 이동식 가옥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조립이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 이동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분리 후 이동 재조립이 편리한 강점이 있다.
둘째, 상하부 모두 곡률을 갖음으로써 전체적으로 유선형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태풍과 같은 강풍 속에서도 구조물이 안정적인 이점이 있다.
셋째,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의 유선형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태양열을 받는 면적이 일반 캠핑카나 글램핑 혹은 텐트 구조에 비하여 적어 여름에는 주거공간으로의 열유입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겨울에는 내부의 열 에너지가 거주공간인 중앙부로 모이기 때문에 열효율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테라스에는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태양전지 패널이 마련될 수도 있어 별도의 전원 없이도 거주 공간 내부의 전기시설 이용이 가능해지는 강점이 있다.
여섯째, 하부에 지지부가 마련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의 습기로부터 거주공간이 영향을 받을 일이 거의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일곱째, 하부 하우징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종 벌레나 야생동물들의 침입으로부터 거주공간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이점도 있다.
여덟째, 상부에 테라스가 마련되기 때문에 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 조망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아홉째, 내부에 각종 편의시설들이 모듈식으로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며, 필요한 부분만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열번째, 내부의 각종 편의시설들이 모듈식으로 조립되므로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서 주방, 욕실, 거실의 각각의 구조를 각기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한번 째, 측면부가 유리창으로 형성될 수도 있어 360도 파노라마뷰로써 외부 조망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아홉째, 내부 모듈 구조 각각은 파티션을 포함하기 때문에 프라이빗한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두번 째, 각각의 모듈은 사이즈를 달리하여 제작이 가능하므로 제작 후 설치 위치로의 운반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이송 후의 조립시에 거주 공간의 다양화를 이룰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열세번 째, 하부 하우징부는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하며 방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상에 적용함으로써 수상용으로 물 위에 띄워 수상가옥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열네번 째, 하부 하우징부가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함으로써 하부 하우징부 내부에는 생활에 필요한 식수나 생활용수를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거주공간과는 별도의 창고 공간으로의 활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부(1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와 덮개부(112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하우징부(1400)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간 하우징부(1500)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이동식 가옥 조립체는 상부를 이루는 상부 하우징부(1100), 측면을 이루는 측면 하우징부(1200), 하부를 이루는 하부 하우징부(1400)로 형성된다.
이동식 가옥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곡면을 갖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는 실내공간에 마련되는 싱크대, 세면대, 욕실용기 등 기타 편의 장치들을 일일이 도시하진 않았지만 조립 후 설치가 가능함을 일러둔다.
상부 하우징부(1100)는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 및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의 상단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덮개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에는 햇빛을 수용하는 채광창(1170)이 마련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부(1400)는 이동식 가옥 조립체의 하부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아래로 오목하도록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부(1400)는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 및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에 마련된 지지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하우징부(1300)는 하부 하우징부(1400)에 설치되어 실내 바닥을 형성한다.
측면 하우징부(1200)는 상부 하우징부(1100)와 하부 하우징부(1400) 사이에 마련되어 실내의 측면을 형성한다.
측면 하우징부(1200)는 투명 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부(1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상부 하우징부(1100)는 동일한 형상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로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는 곡면을 갖고 상부 하우징부(1100)의 외벽을 이루는 상부 하우징 외측면부(1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상측면부(1115)는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부 하우징 외측면부(1116)의 상단에서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4)는 상부 하우징 상측면부(1115)의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4)는 등받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3)는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제2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4)의 단부에서 편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3)는 소파 의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2)는 제2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3)의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1)는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2)의 단부에서 편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1)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1), 제1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2), 제2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3), 제2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4)는 일체로서 상부 하우징 상측면부(1115)에 힌지 결합될 수 있어 상부 하우징 외측면부(1116) 방향을 향해 내측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동일 형상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가 8등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분할 정도의 증감은 얼마든지 가능함을 일러둔다.
또한, 복수개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 중에는 채광창(1170)가 마련된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는 서로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의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와 덮개부(1120)의 분리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된 복수 개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가 조립되면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부에는 원형의 소파가 형성될 수 있는데, 원형의 소파가 형성된 공간은 테라스를 이룬다.
덮개부(1120)는 상기 원형의 소파의 상단에 마련되어 지붕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원형의 소파가 실내공간과 단절된 것으로 표현되었지만, 실제로는 앞서 설명한 대로 제1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1), 제1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2), 제2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3), 제2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4)가 일체로서 상부 하우징 상측면부(1115)에 힌지 결합될 수 있어 상부 하우징 외측면부(1116) 방향을 향해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상단부의 원형의 소파로 이동이 가능한 통로가 형성이 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덮개부(1120)에는 중앙에 덮개 중앙부(1121)가 마련된다.
덮개 조립파츠(1122)는 상부 하우징부(1100) 상단에 형성된 원형의 소파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곡률을 갖는 원형의 덮개 조립파츠(1122)로 마련될 수 있다.
덮개 조립파츠(1122)는 동형으로서 복수 개가 분할형으로 마련되어 서로 조립될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덮개림 지지부(1123)는 덮개 조립파츠(1122)의 단부에서 지면 방향을 향해 뻗은 봉 형상으로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덮개림 지지부(1123)는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부 하우징 상측면부(1115)에 형성된 결합공(미도시)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덮개부(1120)는 전기 모터 등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수동으로도 조작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덮개 조립파츠(1122)에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패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어 거주 공간 내의 전기시설에 전기 에너지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태양전지 패널(미도시)은 상부 하우징부(1100)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즉, 태양전지 패널(미도시)은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의 외주면 또는 덮개부(112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태양전지 패널(미도시)이 마련된 상부 하우징부(1100)는 전체적으로 곡률을 갖는 일부 원형의 형상을 취하기 때문에 태양의 고도변화 및 지구자전에 따른 태양에너지 흡수율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태양에너지 수급이 원활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하우징부(1400)의 분리사시도이다.
하부 하우징부(1400)는 동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는 지상과 편행하게 뻗은 하부 하우징 바닥부(1412)를 포함하고, 하부 하우징 바닥부(1412)로부터 상방향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하부 하우징 측벽부(141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 바닥부(1412)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 중에서는 계단식 도어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출입구 조립파츠(1420)가 포함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 출입구 조립파츠(1420)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하부 하우징 출입구 바닥부(1422)와, 하부 하우징 출입구 바닥부(1422)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하부 하우징 출입구 측벽부(1421)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 계단부(1423)는 일단부가 하부 하우징 출입구 바닥부(1422)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어, 실내 공간으로 출입이 가능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계단부(1423)는 회동하여 타단부가 지면에 맞닿을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동일 형상의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가 8등분되고 그 중 하나에는 출입 계단부(1423)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분할 정도의 증감과 출입 계단부(1423)의 개수 증감은 얼마든지 가능함을 일러둔다.
또한, 복수개의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는 서로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의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간 하우징부(1500)의 상면도이다.
중간 하우징부(1500)는 전체적으로 외곽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중심에는 중심 기둥부(15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 격벽부(1561)는 제거가 가능하다.
제1 격벽부(1561)가 제거되면 제1 공간부(1520)와 제4 공간부(1550)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출입도어(미도시)는 제5 격벽부(1565)와 제6 격벽부(1566)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출입 계단부(1423)는 일측이 출입도어(미도시)에 연결되고 타측이 지면(G)에 맞닿을 수 있다.
중심 기둥부(1510)는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중간 하우징부(1500)는 중심 기둥부(1510)를 중심으로 제1 격벽부(1561), 제2 격벽부(1562), 제3 격벽부(1563), 제4 격벽부(1564), 제5 격벽부(1565), 제6 격벽부(15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공간부(1550)는 측면 하우징부(1200), 제1 격벽부(1561), 제5 격벽부(1565), 제4 격벽부(1564)로 둘러싸인 주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공간부(155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식탁 테이블과 의자, 주방용기, 전자레인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공간부(1520)는 측면 하우징부(1200), 제6 격벽부(1566), 제2 격벽부(1562)로 둘러싸인 거실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부(152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소파와 벽걸이 TV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공간부(1530)는 측면 하우징부(1200), 제2 격벽부(1562), 제3 격벽부(1563), 제4 격벽부(1564)로 둘러싸인 침실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간부(153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침대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공간부(1540)는 측면 하우징부(1200), 제4 격벽부(1564), 제3 격벽부(1563)로 둘러싸인 욕실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공간부(154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변기, 샤워기, 세면대 등 욕실 용품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격벽부(1563)과 제4 격벽부(15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3 공간부(1540)에 출입이 가능하도록 도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도어(미도시)는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일 수도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중심 기둥부(1510)에는 앞서 언급된 테라스에 출입하기 위한 내부계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에서 출입 계단부(1423)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들어온 다음 내부계단(미도시)을 이용해서 테라스로 올라갈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제1 격벽부(1561), 제2 격벽부(1562), 제3 격벽부(1563), 제4 격벽부(1564), 제5 격벽부(1565), 제6 격벽부(1566)는 제1 공간부(1520), 제1 공간부(1520), 제2 공간부(1530), 제3 공간부(1540)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획될 수 있도록 불투명창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각각의 공간이 독립성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재질이면 상관 없다.
측면 하우징부(1200)는 투명창으로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제1 공간부(1520), 제1 공간부(1520), 제2 공간부(1530), 제3 공간부(15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커튼이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측면 하우징부(1200)의 어느 한 부분은 전기를 인가함에 따라서 불투명에서 투명으로 혹은 투명에서 불투명으로 변화될 수 있는 재질의 기능성유리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횡단면도이다.
지지부(1430)는 일측이 하부 하우징부(1400)의 하단에 고정되며, 타측은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하부 하우징부(1400)의 외부 바닥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 되도록 한다.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의 영향이 없게 되며, 곤충 및 벌레나 기타 야생 동물들의 침입으로부터 자유로워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출입 계단부(1423)는 타단부가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하부 하우징부(1400)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바닥 하우징부(1300)는 하부 하우징부(1400) 내부에 고정되면서 실내 공간의 바닥을 이룬다.
한편, 바닥 하우징부(1300)와 하부 하우징부(1400)의 사이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수납공간에는 생활에 필요한 식수를 제공하는 식수저장소(미도시)나, 사용된 오수저장소(미도시), 태양전지 패널(미도시)에 연결되어 실내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미도시), 에어컨 실외기(미도시), 기타 생활용품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에어컨 실외기(미도시)는 하부 하우징부(1400)의 바닥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통기구(미도시)와 연통되어 공기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바닥 하우징부(1300)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통하도록 개폐문(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출입 계단부(1423)에 형성된 계단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으로 출입이 가능하다.
한편, 덮개부(1120)는 테라스 기둥부(1140)에 연결될 수 있다.
테라스 기둥부(1140)는 중심 기둥부(1510)에 슬라이딩 수납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테라스 기둥부(1140)가 하강하면 덮개부(1120)가 하강하여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의 상단을 닫게 된다.
덮개림 지지부(1123)는 덮개부(1120)의 슬라이딩 승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덮개부(112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테라스 테이블(1130)은 테라스 기둥부(1140)에 형성되어 칵테일 잔이나 과일 등을 올려둘 수 있는 간이테이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덮개부(1120)는 전기 모터 등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지만 수동으로도 조작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공간부(1520)에는 테라스 기둥부(1140)과 랙피니언 방식의 회전레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테라스 기둥부(1140) 내부에는 랙기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회전레버(미도시)에는 상기 랙기어(미도시)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레버(미도시)를 돌리면 덮개부(1120)가 승하강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덮개부(1120)가 상승하면 테라스 공간부(1150)가 형성되는데, 테라스 공간부(1150)는 앞서 설명된 테라스 공간이다.
테라스 공간부(1150)는 360도 파노라마뷰를 제공하여 우수한 조망권을 선사할 수 있다.
테라스 공간부(1150)에 마련된 내부계단(미도시)을 이용하여 테라스 공간부(1150)으로 출입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출입 계단부(1423) 없이 실내 출입을 위한 상부 출입구(미도시)가 상부 하우징부(1100) 중에서 일부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을 일러둔다.
이 경우, 상부 출입구(미도시)에는 이동식 사다리를 이용하여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100 : 상부 하우징부
1110 :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
1111 : 제1 상부 하우징 바닥부
1112 : 제1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
1113 : 제2 상부 하우징 바닥부
1114 : 제2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
1115 : 상부 하우징 상측면부
1116 : 상부 하우징 외측면부
1120 : 덮개부
1121 : 덮개 중앙부
1122 : 덮개 조립파츠
1123 : 덮개림 지지부
1130 : 테라스 테이블
1140 : 테라스 기둥부
1150 : 테라스 공간부
1170 : 채광창
1200 : 측면 하우징부
1300 : 바닥 하우징부
1400 : 하부 하우징부
1410 :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
1411 : 하부 하우징 측벽부
1412 : 하부 하우징 바닥부
1420 : 하부 하우징 출입구 조립파츠
1421 : 하부 하우징 출입구 측벽부
1422 : 하부 하우징 출입구 바닥부
1423 : 출입 계단부
1430 : 지지부
1500 : 중간 하우징부
1510 : 중심 기둥부
1520 : 제1 공간부
1530 : 제2 공간부
1540 : 제3 공간부
1550 : 제4 공간부
1561 : 제1 격벽부
1562 : 제2 격벽부
1563 : 제3 격벽부
1564 : 제4 격벽부
1565 : 제5 격벽부
1566 : 제6 격벽부
G : 지면

Claims (3)

  1. 지면(G)에 지지되는 지지부(1430);
    상기 지지부(143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지면(G)으로부터 이격되는 하부 하우징부(1400);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면 하우징부(1200);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부(1100);
    일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심 기둥부(1510);
    상기 중심 기둥부(1510)에 슬라이딩 수납가능한 테라스 기둥부(1140)에 연결되면서 상기 테라스 기둥부(114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부(1120);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는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의 조립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는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의 조립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 및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가 형성시키는 실내공간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출입 계단부(1423)가 마련되되,
    상기 테라스 기둥부(1140)가 하강하면 덮개부(1120)가 하강하여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의 상단을 닫고, 상기 테라스 기둥부(1140)가 상기 중심 기둥부(1510)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덮개부(1120)가 상승할 때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에 테라스 공간부(1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옥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간에는,
    상기 출입 계단부(1423)의 측면에 각각 마련되는 제5 격벽부(1565) 및 제6 격벽부(1566);
    일측이 상기 중심 기둥부(15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출입 계단부(1423)측에 연결된 제1 격벽부(1561);
    일측이 상기 중심 기둥부(15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6 격벽부(1566)와 상기 제1 격벽부(1561) 및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로 둘러싸인 일변을 마감하여 제1 공간부(1520)를 형성시키는 제2 격벽부(1562);
    일측이 상기 중심 기둥부(15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와 상기 제1 격벽부(1561) 및 상기 제5 격벽부(1565)로 둘러싸인 일변을 마감하여 제4 공간부(1550)을 형성시키는 제4 격벽부(1564);
    일측이 상기 제4 격벽부(1564)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에 연결되어 제3 공간부(1540)를 형성시키는 제3 격벽부(1563);
    상기 제2 격벽부(1562)와 상기 제3 격벽부(1563), 상기 제4 격벽부(1564) 및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에 둘러싸여 형성된 제2 공간부(15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격벽부(1561)는 착탈 가능하며, 상기 제2 격벽부(1562), 상기 제3 격벽부(1563) 및 상기 제4 격벽부(15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도어가 포함될 수 있는,
    이동식 가옥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120) 또는 상기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태양전지 패널이 마련되는,
    이동식 가옥 조립체.
KR1020170107952A 2017-08-25 2017-08-25 이동식 가옥 조립체 KR101870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952A KR101870172B1 (ko) 2017-08-25 2017-08-25 이동식 가옥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952A KR101870172B1 (ko) 2017-08-25 2017-08-25 이동식 가옥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172B1 true KR101870172B1 (ko) 2018-06-22

Family

ID=6276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952A KR101870172B1 (ko) 2017-08-25 2017-08-25 이동식 가옥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1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9779A1 (fr) * 2019-08-06 2021-02-12 Betarhobeta-High Tech-France Volume habitable amovible comprenant une embase et un dôm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8388A (ko) 1971-08-19 1973-04-14
KR100674776B1 (ko) 2002-07-08 2007-01-25 유겐가이샤 쟈판 츠쇼 수지제 조립식 가옥
KR100921322B1 (ko) 2008-09-03 2009-10-13 (주) 한국스치로폴 조립블록을 이용한 돔하우스
KR100951406B1 (ko) 2005-03-10 2010-04-07 유겐가이샤 쟈판 츠쇼 조립식 하우스 및 그 구축 방법
KR101120540B1 (ko) 2011-04-26 2012-03-09 방민규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돔하우스
JP2012233324A (ja) * 2011-04-28 2012-11-29 Yoshiko Kitano 可動式防災シェルター
KR101329367B1 (ko) * 2012-10-19 2013-11-14 주식회사 광명건설 이동식 기능성 임시주택
KR101634557B1 (ko) 2015-06-11 2016-06-29 김용빈 조립식 돔 하우스
KR20160123489A (ko) 2015-04-16 2016-10-26 최희환 조립식 돔 하우스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8388A (ko) 1971-08-19 1973-04-14
KR100674776B1 (ko) 2002-07-08 2007-01-25 유겐가이샤 쟈판 츠쇼 수지제 조립식 가옥
KR100951406B1 (ko) 2005-03-10 2010-04-07 유겐가이샤 쟈판 츠쇼 조립식 하우스 및 그 구축 방법
JP4513032B2 (ja) 2005-03-10 2010-07-28 有限会社ジャパン通商 組立式ハウス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921322B1 (ko) 2008-09-03 2009-10-13 (주) 한국스치로폴 조립블록을 이용한 돔하우스
KR101120540B1 (ko) 2011-04-26 2012-03-09 방민규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돔하우스
JP2012233324A (ja) * 2011-04-28 2012-11-29 Yoshiko Kitano 可動式防災シェルター
KR101329367B1 (ko) * 2012-10-19 2013-11-14 주식회사 광명건설 이동식 기능성 임시주택
KR20160123489A (ko) 2015-04-16 2016-10-26 최희환 조립식 돔 하우스
KR101634557B1 (ko) 2015-06-11 2016-06-29 김용빈 조립식 돔 하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9779A1 (fr) * 2019-08-06 2021-02-12 Betarhobeta-High Tech-France Volume habitable amovible comprenant une embase et un dô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9675B2 (en) Portable living structure and assembly
US4068421A (en) Frameless shelter for sunlit enclosures such as greenhouses, solariums and pool shelters
US20030009954A1 (en) Self-contained transportable dwelling
EP3126584B1 (en) Mobile house utilising renewable energy
CN101175920A (zh) 帐篷风扇
WO2010029231A2 (fr) Dispositif optimisé d'aménagement extérieur à l'esthétique paysagère évolutive
KR101870172B1 (ko) 이동식 가옥 조립체
KR20180090406A (ko) 실외 시설물용 슬라이딩 개폐식 하우스
KR200490251Y1 (ko)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CN108457380B (zh) 移动式房屋
CN206859416U (zh) 可移动组合胶囊公寓
JP2008184801A (ja) 組立式簡易住宅
CN111197336A (zh) 坐便器
US20230038002A1 (en) Solar powered shelter for producing and storing energy and/or water
CN208267107U (zh) 移动式房屋
NL1019254C2 (nl) Woning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JP2002167986A (ja) 住宅建物
CN106988428A (zh) 可移动组合胶囊公寓
US20030046880A1 (en) Egg shaped house
US20230029279A1 (en) Mobile modular dwelling system
KR200483900Y1 (ko) 자연대류와 난방이 되는 조립식 돔 하우스
KR101466180B1 (ko) 창문이 구비된 캠핑 하우스
KR200343277Y1 (ko) 조립식 하우스
ES1184908U (es) Vivienda industrializada modular con sistema integrado multifuncional de autosuficiencia energética
CN214874447U (zh) 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